KR20130032323A - 차량용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323A
KR20130032323A KR1020127033528A KR20127033528A KR20130032323A KR 20130032323 A KR20130032323 A KR 20130032323A KR 1020127033528 A KR1020127033528 A KR 1020127033528A KR 20127033528 A KR20127033528 A KR 20127033528A KR 20130032323 A KR20130032323 A KR 20130032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s
input unit
input
displ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224B1 (ko
Inventor
게르트-디터 투차르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32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60K2360/11
    • B60K2360/126
    • B60K2360/143
    • B60K2360/145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기능들을 조작하며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터치 감응형 스크린으로서 구성되는 제 1 가상 입력 유닛(2)이 제공되는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이 제공되며, 상기 기능들이 상기 제 1 입력 유닛(2) 및/또는 상기 제 2 입력 유닛(3)을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기능들의 목표 값들이 상기 제 1 입력 유닛(2) 및/또는 상기 제 2 입력 유닛(3)을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기능들 및/또는 상기 목표 값들이 상기 터치 감응형 스크린상에 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표시 장치{DISPLAY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다수의 기능들의 조작 및 정보의 표시를 위한 접촉 감응형 모니터 형태의 제 1 가상 입력 유닛이 제공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에는 차량의 탑승자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다수의 기능들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에어 컨디셔닝(air conditioning) 시스템,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전자 장치들, 예를 들어 휴대폰 및 인터넷 어플리케이션들과 같은 통신 수단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다.
이러한 기능들의 제어 및 표시를 위한 다양한 입력 장치들 및 표시 장치들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차량용 입력 장치를 갖춘 이러한 유형의 표시 장치가 제 DE 10 2004 031 334 A1 호에 개시되어 있다.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다수의 논리 영역들로 분할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를 사용하여, 도로 특성들, 일반적인 현재 교통 규칙들, 차량의 경로 및 운전자에 관한 정보가 표시 장치의 제 1 논리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 2 논리 영역에는, 차량의 동적 구동 값들 및 경고 신호들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동적 구동 값들은 차량의 속도 및 엔진 회전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의 제 3 논리 영역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 내비게이션 시스템, 데이트 플래너(date planar), 이른바 가이드(guide) 및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 장치는 전화이다. 표시 장치의 제 4 논리 영역에는, 제 3 논리 영역에서와 동일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또한, 터치 스크린으로 알려져 있는 접촉 감응형 모니터 형태의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가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를 형성한다.
또한, 접촉 감응형 모니터와 제어 요소로 이루어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모니터 기반 차량 조작 시스템이 제 DE 10 2008 041 649 A1 호에 공지되어 있다. 제어 요소가 모니터를 커버함으로써, 제어 요소를 사용하여 선택되는 기능들에 따라 모니터 상의 표시부가 변경될 수 있다.
제 DE 103 92 383 T5 호에는 표시 스크린을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다기능 유닛은 또한, 표시 스크린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 버튼을 포함하며, 기계 버튼의 회전 시에 표시 스크린상에서의 해당 버튼의 기능의 소프트웨어 제어 표시 내용이 변경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를 명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에 명시된 특징들을 갖는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주제들이다.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는 다수의 기능들을 제어하며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접촉 감응형 모니터 형태의 제 1 가상 입력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이 제공되어, 상기 기능들이 상기 제 1 입력 유닛 및/또는 상기 제 2 입력 유닛을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기능들의 목표 값들이 상기 제 1 입력 유닛 및/또는 상기 제 2 입력 유닛을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기능들 및/또는 상기 목표 값들이 상기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제어 요소들이 또한, 상기 제 1 가상 입력 유닛의 일부로서 상기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에 표시될 수 있고, 상기 가상 제어 요소들은 스위치들, 슬라이드 제어부들 및/또는 회전 제어부들이다.
이 경우, 가상 입력 유닛은 비물리적 제어 요소들을 포함하는 입력 유닛으로서 이해된다. 비물리적 제어 요소들은, 특히, 상기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의 2차원 기호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물리적 입력 유닛은 물리적 제어 요소들, 예를 들어, 스위치들, 버튼들, 회전 스위치들, 회전 제어부들, 슬라이드 제어부들, 통합 스위치들, 그리고 조합형 제어부들을 포함하는 입력 유닛으로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며,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다. 감소된 개수의 입력 및 표시 수단에 의해 다양한 기능들의 제어가 수행되며, 입력 및 표시 수단의 개수가 감소되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자, 특히, 차량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상당히 복잡해진다. 상기 가상 제어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차량들에서 발생하는 실제 제어 요소들을 모델링하여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의 직관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 감응형 모니터는 저항성, 용량성 또는 유도성 접촉 감응형 모니터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모니터들은 사용 수명이 길고 저비용으로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접촉 감응형 모니터는, 예를 들어, 상기 모니터 전방의 적외선 격자판(grid)을 구비한 음파 제어식 장치 또는 광학 제어식 장치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른바 전파성 신호 기술 장치 형태의 구조가 또한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 제어 요소들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따라 상기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의 상이한 위치들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에서의 선명한 예시 효과가 항상 달성될 수 있다.
유리한 일 개발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은 상기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의 간단한 조작을 추가로 개선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회전 제어부, 슬라이드 제어부 및/또는 조합형 제어부를 포함한다.
조합형 제어부는, 특히, 누름 스위치 및/또는 당김 스위치와 회전 제어부의 조합체이다. 이에 따라, 직관적인 동시 제어에 의해 특히 적은 개수의 제어 요소들을 사용하여 매우 작은 공간에서 다수의 조작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적은 개수의 상기 제어 요소들을 사용한 결과, 명료성이 개선되며 이에 따라 상기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의 조작이 촉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합형 제어부의 회전 기능을 사용하여 메인 메뉴의 다수의 기능들로부터 기능이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조합형 제어부의 누름 기능을 사용하여 기능이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서브 메뉴의 개개의 기능의 적어도 하나의 목표 값이 상기 조합형 제어부의 상기 회전 기능 및/또는 상기 누름 기능을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메뉴 구조는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조합형 제어부를 사용한 조작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리하게는, 상기 기능들의 조작을 위해 조작자의 시야가 상기 조합형 제어부를 향할 필요가 없으며, 교통량으로 인해 차량 운전자의 집중도가 떨어지는 일이 줄어든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메인 메뉴의 상기 기능들은 상기 제 2 입력 유닛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메뉴의 하위 기능들 및/또는 상기 관련 목표 값들이 상기 제 1 입력 유닛을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목표 값이 변경되는 상기 기능이 상기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의 제어 요소를 조작함으로써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선택된다. 상기 목표 값들의 설정은 상기 제 1 입력 유닛을 사용하여, 즉, 상기 접촉 감응형 모니터를 사용하여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요소들이 설정하고자 하는 상기 기능에 따라 상기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에 형성 및 배치됨으로써, 최소 개수의 제어 요소들에 의해, 설정하고자 하는 상기 목표 값 또는 상기 기능에 적합한 최적의 입력 유닛이 항상 이용 가능하며, 이러한 입력 유닛에 의해 상기 목표 값이 정확하면서도 간단하게 설정될 수 있다.
특정 구조에 따르면, 다수의 기능들 및/또는 목표 값들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으며, 및/또는 하나 이상의 기능들의 다수의 목표 값들이 동시에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정보 아이템이 사용자에게 동시에 표시되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많은 개수의 메뉴 옵션들 사이의 복잡한 변경 없이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다.
상기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를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목표 값들이 설정될 수 있는 상기 기능들은, 특히, 에어 컨디셔닝 기능들, 엔터테인먼트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통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상기 차량의 섀시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상기 차량의 구동 트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차량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및/또는 상기 차량의 편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이다. 편의 장치들은, 예를 들어, 좌석 가열 장치, 좌석 통기 장치, 그리고 주차 히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사용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a 내지 도 2d 는 도 1 에 따른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의 다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a 내지 도 4c 는 도 3 에 따른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의 다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다양한 조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의 단면도이다.
전체 도면에 걸쳐 서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1 에는 정보의 표시 및 도시하지 않은 차량 내부 기능들의 조작을 위해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조작 및 차량 내부의 온도 제어에 관한 정보 표시용으로 설계되어 있다.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는 접촉 감응형 모니터 형태의, 즉, 이른바 터치 스크린으로 불리우는 제 1 가상 입력 유닛(2)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접촉 감응형 모니터는 이른바 용량성 상호 작용 디스플레이(약어: CID(Capacitive Interactive Display))로 불리우는 용량성 접촉 감응형 모니터의 형태로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접촉 감응형 모니터는 저항성, 유도성, 음파 제어식 또는 광학 제어식 접촉 감응형 모니터이다. 또한, 접촉 감응형 모니터가 이른바 전파성 신호 기술(Dispersive Signal Technology)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는 또한, 조합형 제어부(3.1) 및 네 개의 버튼(3.2 내지 3.5)들을 포함하는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을 포함한다.
버튼(3.2 내지 3.5)들을 사용하여, 차량의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들이 직접 선택될 수 있다. 제 1 버튼(3.2)은 통기 시스템의 공기 재순환 모드를 활성 및 비활성화하기 위해 제공되며, 제 2 버튼(3.3)은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 즉, 특히, 에어 컨디셔닝 압축기를 활성 및 비활성화하기 위해 제공되고, 제 3 버튼(3.4)은 차량 앞유리용 집중 통기 수단(이른바 제빙 기능)을 활성 및 비활성화하기 위해 제공되며, 제 4 버튼(3.5)은 후방 스크린 히터를 활성 및 비활성화하기 위해 제공된다.
조합형 제어부(3.1)는 누름 버튼 및 당김 버튼과 회전 제어부의 조합체로 구성된다. 조합형 제어부(3.1)를 사용하여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특정한 기능들의 목표 값들이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시된 서브 메뉴의 조합형 제어부(3.1)의 회전 기능을 사용하여 내부 온도 목표 값, 여기서는 20℃가 설정될 수 있다. 조합형 제어부(3.1)에 의한 목표 온도 변경은, 예를 들어, 온도 제어부에 대해 명시된 목표 값 변경과 직결되어 있다. 또한, 회전 조작을 통해 선택된 내부 온도가 조합형 제어부(3.1)를 누르는 방식으로 확인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의 조합형 제어부(3.1)의 누름 기능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메인 메뉴 또는 이른바 드롭-다운(drop-down) 메뉴로의 변경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변경된 메뉴에서는 사용자가 바람직하게는 조합형 제어부(3.1)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조합형 제어부(3.1)를 누르는 방식으로 소망하는 기능이 선택된다. 이러한 기능들은, 내부 온도의 제어에 추가하여, 통기 수단의 송풍기 단계의 제어 및 통기 수단의 다양한 유출 오리피스들의 제어이다.
메인 메뉴로 복귀하기 위하여, 일 대안으로서, 조합형 제어부(3.1)의 누름 기능 대신, 조합형 제어부(3.1)의 당김 기능이 실시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 에는 도 1 에 따른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의 다양한 상태, 즉, 다양한 메뉴 옵션을 이용한 조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가상 입력 유닛(2)은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의 상부에서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에 직접 연결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제 1 가상 입력 유닛(2)과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은 서로 인접하는 상태로, 중첩되는 상태로, 인접하여 중첩되는 상태로 및/또는 서로 위 아래로 중첩되는 상태로 서로 상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일 방안으로서,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의 형상이 접촉 감응형 모니터에 대해 예시된 바를 모방하거나 유지하도록 접촉 감응형 모니터에 대해 예시된 바대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도시된 접촉 감응형 모니터는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의 일부가 시각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논리적인, 용이한 이해 및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한 장치가 초래된다.
도 2a 에서, 도 1 에 따른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가 서브 메뉴에 도시되어 있으며, 조합형 제어부(3.1)를 회전시켜 내부 온도 목표 값이 명시될 수 있다. 설정된 내부 온도 목표 값이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에 출력된다. 조합형 제어부(3.1)를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가 메인 메뉴 또는 드롭-다운 메뉴로 복귀한다.
이러한 메인 메뉴가 도 2b 에 도시되어 있으며, 선택을 위해 이용 가능한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들이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에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온도의 제어, 통기 수단의 송풍기 단계의 제어, 그리고 통기 수단의 다양한 유출 오리피스들의 제어, 즉, 이른바 차량 내부의 공기 흐름 분배이다.
조합형 제어부(3.1)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목표 값이 변경되도록 하기 위한 소망하는 기능이 선택될 수 있어, 현재 선택된 기능이 표식, 예를 들어, 유색 표식 또는 조명에 의해 확인된다. 이 경우, 내부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이 선택된다.
조합형 제어부(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후,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흐름의 분배 제어가 선택된다.
조합형 제어부(3.1)를 누르는 방식으로, 사용자는 도 2d 에 도시된 서브 메뉴에 들어가게 되어, 공기 흐름 분배를 위한 목표 값이 조합형 제어부(3.1)의 회전 동작에 의해 명시될 수 있다. 조합형 제어부(3.1)의 당김 이동에 의해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가 메인 메뉴로 복귀한다.
도 3 에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의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는 차량 내부의 온도 제어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조작을 위해 제공된다.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은 프레임과 같은 형태로 제 1 가상 입력 유닛(2)을 에워싼다. 특히 유리한 일 방안에 따르면, 프레임 형상의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이 차량 내부에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를 장착하기 위한, 예를 들어, 차량 계기판의 일체형 장착을 위한 프레임을 동시에 형성한다.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은, 버튼(3.2 내지 3.5)들에 추가하여, 다른 세 개의 버튼(3.5 내지 3.8)들을 포함하여, 내부 온도의 제어(버튼(3.8)), 통기 수단의 송풍기 단계 제어(버튼(3.7)), 그리고 통기 수단의 다양한 유출 오리피스들의 제어(버튼(3.6)) 기능들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 에 따른 조합형 제어부(3.1)가 제공되지 않는다. 목표 값이 설정되는 개개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3.6 내지 3.8)들에 의해 조합형 제어부(3.1)를 사용한 조작이 한 손으로 이루어진다.
목표 값들의 설정이 접촉 감응형 모니터를 통해 이루어진다. 기능 선택에 이어, 선택된 기능이 접촉 감응형 모니터에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기능으로서 차량의 내부 온도가 선택된다. 내부 온도의 목표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 1 가상 제어 요소(2.1)가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 1 가상 제어 요소(2.1)는 회전 제어부로서, 사용자의 한 손가락 또는 이른바 입력 펜을 이용하여 가상 회전 제어부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원형 이동에 의해 내부 온도 목표 값이 설정된다.
서브 메뉴에서 나가기 위하여, 버튼을 가장한 제 2 가상 제어 요소(2.2)가 접촉 감응형 모니터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버튼(3.2 내지 3.7)들 중 하나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상이한 기능으로의 직접적인 변경이 가능하다.
제 2 입력 유닛(3)의 프레임 형상 구조의 대안으로서, 도 5c 에 일 예로서 도시된 공통의 접촉 감응형 층(2.9)에 의해 제 1 입력 유닛(2)과 제 2 입력 유닛(3)이 형성된다. 이 층(2.9)은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형태로 형성되며, 도 5c 에 상세히 도시된 표시 유닛(2.10)을 덮는 전체 영역에 저항성 또는 용량성 층(2.9)의 형태로 형성된다. 층(2.9)을 터치하면, 전기 신호들이 발생되며, 이러한 신호들에 의해 접촉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제 1 입력 유닛(2)이 제어될 수 있다.
제 2 입력 유닛(3)을 생성하기 위하여, 층(2.9)이 표시 유닛(2.10)을 초과하여 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버튼(3.2 내지 3.8)들의 영역에서, 용량성 및/또는 저항성 센서들이 접촉 시에 버튼(3.2 내지 3.8)들의 조작과 동일한 작용들을 유발하는 층(2.9)에 삽입되거나 형성된다. 사용자에게 예시를 위해, 용량성 및/또는 저항성 센서들이 배치되는 영역들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백라이트(backlit)이다.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의 이러한 구조의 결과,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는 상당히 호감이 가는 고품질 인상을 주는 연속적인 면을 구비한다.
도 4a 에는 도 3 에 따른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의 가상 회전 제어부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원형 또는 회전 이동을 사용하여 내부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서브 메뉴가 도시되어 있다.
통기 수단의 송풍기 단계 제어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제 2 가상 제어 요소(2.2)의 활성화 및 버튼(3.7)의 후속 조작이 필요하다. 제 2 가상 제어 요소(2.2)는 이른바 출구 지점 또는 종료 수단을 형성한다.
대안으로서, 버튼(3.7)의 단독 조작으로 충분히 통기 수단의 송풍기 단계 제어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도 4b 에 도시된 통기 수단의 송풍기 단계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의 선택에 이어, 제 1 가상 제어 요소(2.1), 즉, 가상 회전 제어부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원형 또는 회전 이동에 의해 송풍기의 단계가 설정된다.
통기 수단의 송풍기 단계 제어 기능을 종료하고 통기 수단의 다양한 유출 오리피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제 2 가상 조작 요소(2.2)의 조작 및 버튼(3.6)의 후속 조작이 필요하다. 대안으로서, 버튼(3.6)의 단독 조작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도 4c 에 도시된 통기 수단의 다양한 유출 오리피스들의 제어 선택에 이어, 제 1 가상 제어 요소(2.1)를 조작하여 공기 분배 설정이 수행된다. 제어 요소(2.1)를 특정 위치들에서 조작함으로써, 차량의 작동 위치에서 차량의 기호를 이용하여 예시된 탑승자들에 관해 배치되는 유출 오리피스들이 활성화된다.
도 5a 및 도 5b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의 제 3 실시예의 다양한 조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는 제 1 가상 입력 유닛(2)과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을 포함한다.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에 따른 조합형 제어부(3.1) 및 네 개의 버튼(3.2 내지 3.5)들을 포함한다.
제 1 가상 입력 유닛(2)은 도시된 실시예의 저항성 접촉 감응형 모니터의 형태로 형성된다.
도 5a 에 따른 도시된 제 3 실시예의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를 사용하여, 전술한 도면들에 이미 설명된 차량의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기능들에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기능들, 엔터테인먼트 전자 장치들, 특히 오디오 시스템의 기능들, 그리고 차량 기능들이 조작 및/또는 제어될 수 있다. 차량 기능들은 섀시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차량의 구동 트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차량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그리고 차량의 편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세 개의 가상 제어 요소(2.3 내지 2.5)들이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에 출력될 수 있어, 데이터베이스의 기능들이 가상 제어 요소(2.3)를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엔터테인먼트 전자 장치들의 기능들이 가상 제어 요소(2.4)를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고, 차량 기능들이 가상 제어 요소(2.5)를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가상 제어 요소(2.3 내지 2.5)들이 가상 버튼들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개개의 기능들과 연관된 서브 메뉴가 가상 제어 요소(2.3 내지 2.5)들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열린다. 개개의 서브 메뉴 내부의 기능들의 조작이 접촉 감응형 모니터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그외 다른 가상 제어 요소들이 도시하지 않은 방식으로 버튼들, 슬라이드 제어부들 및/또는 회전 제어부들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제어 요소들 및 가상 제어 요소(2.1 내지 2.5)들이 선택된 기능에 따라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의 상이한 위치들에 배치된다.
접촉 감응형 모니터의 상부 영역에서, 기능들의 현재 설정치들이 표시되는 인포메이션 바(information bar)(2.6)가 또한 표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설정치들 및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조합형 제어부(3.1)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특히, 조합형 제어부를 누르는 방식으로,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가 차량의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로 변경된다.
도 5b 에는 내부 온도 기능, 송풍기 단계 기능, 그리고 공기 분배 수단 기능이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에 함께 기호를 사용하여 예시되도록 하기 위한 메뉴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합형 제어부(3.1)를 누르는 방식으로 내부 온도 기능이 선택되어, 내부 온도 목표 값들의 설정이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 의 설명에 따라 조합형 제어부(3.1)의 회전 이동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조합형 제어부(3.1)를 다시 누르고 이어서 회전 운동에 의해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다른 두 가지 기능들 중 하나로의 변경이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개개의 기능의 기호들의 영역에서 접촉 감응형 모니터를 터치함으로써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나머지 기능들의 목표 값들을 설정하기 위한 서브 메뉴로의 변경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서브 메뉴 내부에서의 설정이 조합형 제어부(3.1)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조합형 제어부(3.1)를 누르고 차량의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연 후,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기능의 개개의 목표 값들이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에 생성되는 가상 제어 요소(2.1, 2.6, 2.7)들을 조작하여 설정될 수 있다.
회전 제어부 형태의 제 1 가상 제어 요소(2.1)가 내부 온도의 설정을 위해 제공된다. 그외 다른 두 개의 제어 요소(2.6, 2.7)들은 가상 버튼들의 형태로 형성되어, 접촉 감응형 모니터를 한번 또는 여러 번 터치하여 목표 값들의 설정이 이루어진다.
도 5c 에는 제 3 실시예의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는 접촉 감응형 모니터 형태의 제 1 입력 유닛(2)을 포함한다. 접촉 감응형 모니터는 저항성 투명 층(2.9)을 포함하는 저항성 접촉 감응형 모니터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층(2.9)은 터치 시에 전기 신호들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신호들에 의해 접촉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제 1 입력 유닛(2)이 제어될 수 있다. 저항성 층(2.9)의 개별 영역들의 예시 및/또는 강조를 위해,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는 백라이트가 제공된다.
또한, 제 1 전기 입력 유닛(2)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유닛(2.10)을 포함하며, 표시 유닛(2.10)은 표면이 저항성 투명 층(2.9)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투명 층(2.9)으로 덮여 있다.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은 하우징(3.9)을 포함한다. 하우징(3.9)은 버튼(3.2 내지 3.5)들 및 조합형 제어부(3.1)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이들 구성 요소가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개구를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버튼(3.2 내지 3.5)들 및 조합형 제어부(3.1)용의 전기 회로가 하우징(3.9)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1 :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
2 : 제 1 입력 유닛
2.1 : 가상 제어 요소
2.2 : 가상 제어 요소
2.3 : 가상 제어 요소
2.4 : 가상 제어 요소
2.5 : 가상 제어 요소
2.6 : 인포메이션 바
2.7 : 가상 제어 요소
2.8 : 가상 제어 요소
2.9 : 층
2.10 : 표시 유닛
3 : 제 2 입력 유닛
3.1 : 조합형 제어부
3.2 : 버튼
3.3 : 버튼
3.4 : 버튼
3.5 : 버튼
3.6 : 버튼
3.7 : 버튼
3.8 : 버튼
3.9 : 하우징

Claims (9)

  1. 다수의 기능들을 조작하며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접촉 감응형 모니터 형태인 제 1 가상 입력 유닛(2)이 제공되는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1)에 있어서,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이 제공되며,
    상기 기능들이 상기 제 1 입력 유닛(2) 및/또는 상기 제 2 입력 유닛(3)을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기능들의 목표 값들이 상기 제 1 입력 유닛(2) 및/또는 상기 제 2 입력 유닛(3)을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기능들 및/또는 상기 목표 값들이 상기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가상 제어 요소(2.1 내지 2.6; 2.7, 2.8)들이 상기 제 1 가상 입력 유닛(2)의 일부로서 상기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에 표시될 수 있고,
    상기 가상 제어 요소(2.1 내지 2.6, 2.7, 2.8)들은 버튼들, 슬라이드 제어부들 및/또는 회전 제어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응형 모니터는 저항성, 용량성 또는 유도성 접촉 감응형 모니터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
  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제어 요소(2.1 내지 2.6, 2.7, 2.8)들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따라 상기 접촉 감응형 모니터상의 상이한 위치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리적 입력 유닛(3)은 하나 이상의 버튼(3.2 내지 3.8), 회전 제어부, 슬라이드 제어부 및/또는 조합형 제어부(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
  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형 제어부(3.1)는 누름 스위치 및/또는 당김 스위치와 회전 제어부의 조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
  6.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형 제어부(3.1)의 회전 기능에 의해 메인 메뉴의 다수의 기능들로부터 기능이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조합형 제어부(3.1)의 누름 기능에 의해 기능이 선택될 수 있고,
    상기 개개의 기능의 하나 이상의 목표 값이 서브 메뉴의 상기 조합형 제어부(3.1)의 상기 회전 기능 및/또는 상기 누름 기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메뉴의 상기 기능들은 상기 제 2 입력 유닛(3)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서브 메뉴의 하위 기능들 및/또는 관련 목표 값들이 상기 제 1 입력 유닛(2)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기능들 및/또는 목표 값들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으며, 및/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들의 다수의 목표 값들이 동시에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들은,
    - 에어 컨디셔닝 기능들,
    - 엔터테인먼트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 통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 상기 차량의 섀시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 상기 차량의 구동 트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 차량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 및/또는
    - 상기 차량의 편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 및 입력 겸용 장치.
KR1020127033528A 2010-05-28 2011-05-27 차량용 표시 장치 KR101660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1848.0 2010-05-28
DE102010021848 2010-05-28
DE102010042376.9 2010-10-13
DE102010042376A DE102010042376A1 (de) 2010-05-28 2010-10-13 Anzeig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PCT/EP2011/058724 WO2011147962A1 (de) 2010-05-28 2011-05-27 Anzeig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323A true KR20130032323A (ko) 2013-04-01
KR101660224B1 KR101660224B1 (ko) 2016-10-10

Family

ID=4411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528A KR101660224B1 (ko) 2010-05-28 2011-05-27 차량용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52088B2 (ko)
EP (1) EP2576267B1 (ko)
JP (2) JP2013528137A (ko)
KR (1) KR101660224B1 (ko)
CN (1) CN103025561B (ko)
DE (1) DE102010042376A1 (ko)
WO (1) WO20111479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227A (ko) * 2015-01-02 2017-08-14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동 수단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혼성 사용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1153B2 (en) * 2012-03-21 2015-04-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and controls
FR2995836B1 (fr) * 2012-09-27 2015-05-22 Valeo Systemes Thermiques Module de commande
DE102012112312A1 (de) * 2012-12-14 2014-06-18 Eppendorf Ag Laborgerät mit einer Bedienvorrichtung
KR101706679B1 (ko) * 2012-12-21 2017-02-15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램프 제어 장치 및 그의 램프 제어 방법
DE102013009603A1 (de) 2013-06-06 2014-12-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beiführung einer gewünschten Komforteinstellung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20150091874A1 (en) * 2013-09-30 2015-04-02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Button selection trace light indicator
KR101611205B1 (ko) * 2013-11-11 2016-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9550419B2 (en) * 2014-01-21 2017-01-24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vehicle interface
DE102014205157A1 (de) * 2014-03-19 2015-09-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Klimabedienung in einem Fortbewegungsmittel
JP6414693B2 (ja) * 2015-04-17 2018-10-3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操作装置
EP4145263A1 (en) 2015-07-17 2023-03-0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dustrial vehicle
DE112015007064T5 (de) 2015-10-30 2018-07-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nzeigesteuerung, Anzeigesystem und Anzeigesteuerverfahren
DE102016015753A1 (de) 2016-06-30 2018-01-04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Bedien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DE102016008061A1 (de) 2016-06-30 2018-01-04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Bedien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EP3545398B1 (en) 2016-11-22 2023-01-04 Crown Equipment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
DE102017211525B4 (de) 2017-07-06 2023-12-07 Audi Ag Bedie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mithilfe der Bedienvorrichtung, Steuer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US10712882B2 (en) * 2018-02-09 2020-07-14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Operational input device
US11556239B1 (en) * 2018-07-27 2023-01-17 Tesla, Inc. Interactive air vent control interface
JP7259508B2 (ja) * 2019-04-19 2023-04-1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操作入力装置および車両用操作入力方法
JP7263899B2 (ja) * 2019-04-19 2023-04-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操作入力装置および車両用操作入力方法
CN115113791A (zh) * 2021-03-18 2022-09-2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输入受理系统以及输入受理系统的控制方法
DE102022101457A1 (de) 2022-01-21 2023-07-27 Audi Aktiengesellschaft 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569B1 (ko) * 1996-12-23 1999-11-15 류정열 카오디오의 일체형 스위치에 의한 기능선택장치
JP2008513268A (ja) * 2004-09-22 2008-05-01 フオルクスヴアーゲ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自動車のための操作エレメント
KR20080110737A (ko) * 2006-04-21 2008-12-19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자동차용 다기능 조작 장치 및 라디오 네비게이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355A (en) * 1997-01-28 1999-12-28 American Calcar Inc. Multimedia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s
GB0201074D0 (en) * 2002-01-18 2002-03-06 3G Lab Ltd Graphic user interface for data processing device
JP4043247B2 (ja) * 2002-01-31 2008-02-06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車搭載用操作装置
SE523970C2 (sv) * 2002-03-22 2004-06-08 Scania Cv Abp Multifunktionsdon för fordon
DE10323467A1 (de) * 2003-05-23 2004-12-30 Robert Bosch Gmbh Multimediaendgerät
JP2005071246A (ja) 2003-08-27 2005-03-17 Nissan Motor Co Ltd 操作入力装置及び操作入力方法
JP4341016B2 (ja) * 2003-11-17 2009-10-07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載用電装品制御装置
DE102004031659A1 (de) * 2004-06-17 2006-06-08 Volkswagen Ag Bedien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31334A1 (de) 2004-06-29 2006-01-26 Volkswagen Ag Kraftfahrzeug
JP4649932B2 (ja) * 2004-09-30 2011-03-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
JP4649931B2 (ja) * 2004-09-30 2011-03-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
US20060092129A1 (en) * 2004-10-20 2006-05-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uman machine interface for vehicle
US7820294B2 (en) * 2006-05-23 2010-10-26 Panasonic Corporatio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JP4257549B2 (ja) * 2007-07-17 2009-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操作装置
JP2009098936A (ja) 2007-10-17 2009-05-07 Xanavi Informatics Corp 入力装置、そのメニュー表示方法
US8239087B2 (en) * 2008-02-14 2012-08-07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accessory
DE102008040755B4 (de) * 2008-07-25 2011-10-0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Berührungsempfindliche Anzeigevorrichtung mit integriertem mechanischem Bedienelement für Kraftfahrzeuge
JP2010036618A (ja) * 2008-07-31 2010-02-18 Fujitsu Ten Ltd 車載用電子機器
DE102008041649A1 (de) * 2008-08-28 2010-03-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n Buren Township Bildschirmbasiertes Fahrzeugbediensystem
US20100214213A1 (en) * 2009-02-25 2010-08-26 Upton Beall Bowden Integrated center panel with rotary control
DE102009034913A1 (de) * 2009-07-28 2011-02-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569B1 (ko) * 1996-12-23 1999-11-15 류정열 카오디오의 일체형 스위치에 의한 기능선택장치
JP2008513268A (ja) * 2004-09-22 2008-05-01 フオルクスヴアーゲ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自動車のための操作エレメント
KR20080110737A (ko) * 2006-04-21 2008-12-19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자동차용 다기능 조작 장치 및 라디오 네비게이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227A (ko) * 2015-01-02 2017-08-14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동 수단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혼성 사용하기 위한 방법
US10838604B2 (en) 2015-01-02 2020-11-17 Volkswagen Ag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the hybrid use of a display unit of a transportation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06878A (ja) 2015-01-15
CN103025561B (zh) 2015-07-15
DE102010042376A1 (de) 2011-12-01
CN103025561A (zh) 2013-04-03
EP2576267B1 (de) 2014-10-15
WO2011147962A1 (de) 2011-12-01
US9552088B2 (en) 2017-01-24
JP2013528137A (ja) 2013-07-08
US20130194228A1 (en) 2013-08-01
JP5859614B2 (ja) 2016-02-10
KR101660224B1 (ko) 2016-10-10
EP2576267A1 (de) 201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224B1 (ko) 차량용 표시 장치
US8446381B2 (en) Control panels for onboard instruments
US8849510B2 (en) In-vehicle display system
CN104679404A (zh) 车辆的集成多媒体装置
US8581718B2 (en) Motor vehicle
US8950542B2 (en) System for driver-vehicle interaction
US20120023440A1 (en) Motor vehicle
US83265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ft-by-wire in a motor vehicle
US2021034959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uman-machine interface, and human-machine interface
CN109890646B (zh) 在车辆中的图形用户界面的装置和用于提供在车辆中的图形用户界面的方法
US2019021291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uman-machine interface and human-machine interface
US20060022521A1 (en) Multifunction control system
US20130002605A1 (en) Control device for entering control commands into an electronic device
US20210252979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JP2013014212A (ja) 操作装置
US7904220B2 (en) Vehicular multifunction control system
US2019021291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uman-machine interface and human-machine interface
JP2004345549A (ja) 車載機器操作システム
KR102385060B1 (ko)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90263439A1 (en) Steering wheel having operator control elements, and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for a vehicle
US20190114066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13082380A (ja) 空調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80003582A (ko) 차량 요소용 디스플레이 및 작동 장치
US20240109418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an operating device
JP2004299539A (ja) 車載用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04

Effective date: 201602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