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753A - 자동차 시트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753A
KR20130028753A KR1020127031912A KR20127031912A KR20130028753A KR 20130028753 A KR20130028753 A KR 20130028753A KR 1020127031912 A KR1020127031912 A KR 1020127031912A KR 20127031912 A KR20127031912 A KR 20127031912A KR 20130028753 A KR20130028753 A KR 20130028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rail
base frame
seat base
rail
transvers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5539B1 (ko
Inventor
빌프리드 베네케르
안드레 딕
토랄프 뮐러
슈테판 슈프링엔베르크
디르크 하니슈
Original Assignee
씨.롭.해머스테인 게엠베하 앤 코. 케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롭.해머스테인 게엠베하 앤 코. 케이쥐 filed Critical 씨.롭.해머스테인 게엠베하 앤 코. 케이쥐
Publication of KR20130028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81Activation of the latches by the contro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 하부 레일(4)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상기 하부 레일(4) 상에 잠금 장치(15)에 의해 잠금가능한 상부 레일(5), 및 상기 상부 레일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고 상부 레일에 연결되는 횡방향 지지부(11)를 가진다. 작은 설치 공간을 요구하고 잠금 장치의 충분한 강도 및 작동 성능을 가지는 시트 프레임을 제공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횡방향 지지부는 상부 레일에 대해 횡방향 지지부의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부 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 레버(10) 및 제어 레버(18)가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배치되고 횡방향 지지부 상에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각각 하부 레일에 대해 상기 상부 레일을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하부 레일에 대해 상기 상부 레일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잠금 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잠금 장치에 의해 맞물릴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SEAT BASE FRAME FOR A MOT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 각각 하부 레일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상기 하부 레일 상의 잠금 장치에 의해 잠금 가능한 상부 레일을 가지는, 서로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쌍의 트랙,
- 상기 상부 레일에 연결된, 시트 구조물, 및
- 상기 상부 레일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여 상기 상부 레일에 연결되는 횡방향 지지부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앞에서 언급된 타입의 시트 베이스 프레임은 종래 기술로부터 다양한 설계로 알려져 있다. 시트 베이스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잠금 장치의 수동 작동 후 시트 베이스 프레임과 연결된 시트 구조물의 길이 방향 조정을 허용하며, 여기에서 시트 구조물과 연결된 상부 레일은 플로어-고정된, 즉 차량 플로어 상에 체결된, 하부 레일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이에 의해 하부 레일 상의 상부 레일 및 이에 따라 자동차 시트의 선택된 길이방향 시팅에서 하부 레일에 대한 시트 구조물의 해제가능한 잠금을 허용한다.
특히, 이 같은 시트 베이스 프레임은 -이에 제한되지 않음- 상부 레일들 사이로 연장하고 요구된 강도를 보장하는 횡방향 지지부의 이용을 요구하며, 이 같은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시트 구조물, 예를 들면 시트 팬(seat pan)은 다수 쌍의 트랙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된다, 즉 이 같은 시트 베이스 프레임에서 시트 레일에 대해 설치 위치에 있는 차량 시트의 시트 구조물이 차량 외부의 방향으로 또는 차량의 중앙으로 배치되게 변위된다. 이는 시트 베이스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한 기능을 하며, 여기에서 장착 지점을 구비한 다수 쌍의 트랙에 대해 특히 시트 구조물의 비대칭 배치는 이어서 차량의 중앙 또는 외부를 향하여 상부 레일에 대한 오프셋이 진행되며, 시트 구조물은 토크를 유발하는데, 이 토크는 특히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붕괴 위험을 가지고 시트 베이스 프레임 상에 증가된 로드로 충돌하는 경우 초래된다.
길이 방향 변위가능성이, 즉 하부 레일에 대한 상부 레일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도록, 또한 작동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며, 이 작동 수단은 잠금 장치의 작동을 허용하여 하부 레일에 상부 레일을 고정하는 잠금된 위치로부터 상부 레일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 내로 가동되며, 해제 위치에서 상부 레일은 하부 레일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잠금 장치가 두 쌍의 트랙 상에 정상적으로 배열된 후, 전달 수단, 예를 들면 전달 샤프트가 이어서 또한 요구되며, 이 전달 수단은 양 잠금 장치로 작동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안정화를 위한 횡방향 지지부 뿐만 아니라 잠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 샤프트를 구비한 공지된 시트 베이스 프레임은 이 베이스 프레임이 증가된 설치 공간을 요구하는 단점을 가진다. 더욱이, 더 많은 개수의 부품들은 이 같은 시트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더 높은 제조 비용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베이스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시트 베이스 프레임은 잠금 장치의 충분한 강도 및 작동 성능을 구비한 적은 설치 공간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성을 구비한 시트 베이스 프레임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용한 추가의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특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특성은 횡방향 지지부가 상부 레일들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가능하게 서로에 대해 충돌-안정 방식으로 다수 쌍의 트랙을 고정하지만, 동시에 상부 레일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 레일들에 대한 횡방향 지지부의 축방향 고정은 서로에 대한 다수 쌍의 트랙의 확실한 지지 및 이에 따른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고 강도를 보장한다. 특히 차량 방향에 대해 대각선의 차량 상의 설치 위치에서, 서로를 향한 다수 쌍의 트랙의 운동의 결과로서, 특히 충돌의 경우,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접힘이 이에 의해 확실히 방지된다.
샤프트와 같은 횡방향 지지부의 부가로 존재하는 비틀림가능성은 다수 쌍의 트랙의 길이 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하부 레일에 대한 상부 레일을 고정하는 잠금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작동 레버 및 제어 레버는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횡방향 지지부 상에 배열되고 각각 다수 쌍의 트랙의 록킹 장치와 맞물림 가능하다. 잠금 장치와의 맞물림 영역 내로 횡방향 지지부를 넘어 연장하고 그 안에서 작동 레버가 대체로 상승되는 작동 레버의 정상적인 수동 작동은 횡방향 지지부의 비틀림을 초래하여 횡방향 지지부로부터 마주하여 놓이는 잠금 장치의 맞물림 영역 내 까지 작동 레버와 마주하여 놓이는 횡방향 지지부의 단부의 영역 내로 연장하고 잠금 장치 및 제어 레버를 향하는 작동 레버의 단부가 이들의 잠금 위칭들로부터 그리고 이들의 해제 위치들 내로 잠금 장치들을 이동시켜, 하부 레일에 대한 상부 레일의 길이방향 변위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이에 따라 원하는 길이방향 조정의 경우 잠금 장치의 조정을 위한 부가 수단을 생략(forgo)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 지지부는 시트 베이스 프레임을 안정화하는 하나의 지지 기능을 충족하고 상기 횡방향 지지부는 또한 잠금 장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부가적으로, 비용 증가 작동 요소 또는 각각의 안정화 지지 요소가 이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베이스 프레임은 이에 따라 특히 용이하고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으며 단지 다수 쌍의 트랙 사이의 영역에서 작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가장 간단한 실시예에서, 시트 구조물, 예를 들면 시트 팬은 상부 레일에 직접 연결되고, 시트 구조물은 특히 비용 효율적인 차량 시트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지만 대체로 시트 높이 조정의 옵션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실시예에 따라, 전방 및/또는 후방 장착 링키지는 상부 레일 상에 조인트된 방식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추가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레일들로부터 이격되어 향하는 영역에서 장착 링키지와 조인트된 방식으로 장착 링키지와 연결되는 상부 레일에 대해 시트 구조물의 조정가능하거나 각각 피봇가능한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시트 상부 레일에 대한 장착 링키지의 피봇팅은 이어서 예를 들면 상부 레일에 대한 시트 팬의 시트 구조물의 거리 변화를 초래하며 이에 따라 시트 베이스 프레임과 연결된 차량 시트의 조정 성능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전방 및/또는 후방 장착 링키지는 상부 레일 상에 배열되는 장착 링키지 홀더와 조인트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부 레일 상에 배열되고 장착 링키지와 조인트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장착 링키지 홀더, 또는 각각 수개의 장착 링키지 홀더의 사용은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적용 영역을 증가시키고, 그 후 이에 의해 또한 상부 레일에 대한 시트 구조물의 비대칭 배열이 특히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에에 따라 가능하다. 이에 의해 장착 링키지 홀더는 굽혀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굽혀진 형상은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한 쌍의 트랙들에 대해 관련된 장착 링키지 홀더와 장착 링키지의 연결 지점을 변위시킨다. 더욱이, 장착 링키지 홀더들은 예를 들면 용접을 통하여 상부 레일 상에 용이하게 배열될 수 있는 장점을 가져서, 조인트된 연결이 상부 레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실현될 수 있다. 시트 구조물 또는 장착 링키지의 배열을 위한 상부 레일의 조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장착 링키지 홀더의 사용의 경우에서,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횡방향 지지부가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그리고 두 개의 마주하게 배치된 장착 링키지 홀더, 바람직하게는 전방 장착 링키지 홀더를 구비한 단부 측 상에 비틀림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장착 링키지 홀더는 조인트된 방식으로 장착 링키지를 수용하기 위한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또한 횡방향 지지부의 비틀림가능하고 축방향으로 고정된 수용의 기능을 충족한다. 이에 의해 횡방향 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 링키지 홀더의 사용은 횡방향 지지부의 고정을 특별한 방식으로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상부 레일의 대응하는 설계가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횡방향 지지부와의 접촉 영역 내의 장착 링키지 홀더는 특별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어 횡방향 지지부의 특별히 신뢰가능한 설치가 보장된다.
이미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간단한 실시예에서, 시트 구조물은 상부 레일과 직접 연결된다. 유용한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장착 링키지의 사용의 경우, 도어-측 및 차량-중앙의 다수 쌍의 트랙의 장착 링키지가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져서, 특히 시트 구조물, 특히 시트 팬이 다수 쌍의 트랙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것이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다. 장착 링키지의 사용은 예를 들면 두 개의 쌍의 트랙의 장착 링키지가 서로 상이하게 굽혀지고, 상부 레일과의 장착 링키지 또는 각각의 장작 링키지 홀더의 힌지 지점이 평면에 대해 시트 구조물, 특히 시트 팬과의 장착 링키지의 힌지 지점에 대해 변위되어 차량 플로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두 개의 쌍의 트랙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진행된다는 사실에 의해 가능하다. 레일에 대한 시트 구조물의 비대칭 정렬을 초래하는 이러한 설계는 차량 제조자에 의해 요구된 사양으로 차량 시트를 최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여기에서 점점 더 두 개의 쌍의 트랙에 대한 배열 오프셋이 요구되어 두 개의 쌍의 트랙에 대한 시트 구조물의 도어-측 또는 차량-중앙 정렬 변위를 일으킨다.
특히 두 개의 쌍의 트랙에 대한 시트 구조물의 비대칭 정렬의 경우, 상부 레일 또는 장착 링키지 홀더 각각에 대해 축방향 지지부의 축방향으로 발생된 횡방향 지지부의 고정이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특별한 강도를 보장하며, 이는 또한 충돌의 경우 발생되는 로드의 경우에서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의 유용하게 제공된 실시예에 부가하여, 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시트 레일의 장착 링키지, 바람직하게는 시트 레일의 장착 링키지 둘다가 도어-측 또는 차량-중앙-정렬 굽힘부를 가져서, 시트 구조물의 비대칭 배열을 초래하며, 두 개의 쌍의 트랙에 대한 시트 구조물의 보충 변위가 더욱이 또한 굽혀진 장착 링키지 홀더의 이용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용한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방 장착 링키지는 횡방향 지지부와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 장착 링키지는 다수 쌍의 트랙에 대한 시트 구조물의 높이 조정의 결과로서 횡방향 지지부와 접촉될 수 있다. 시트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시트 구조물의 최대 낮춤 위치가 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충돌의 경우 시트 구조물의 처짐(sagging)을 방지하여 시트 벨트 및 에어백과 같은 보충 안전 시스템이 신뢰성있게 전개될 수 있다.
특히 유용하게는, 횡방향 지지부와 맞물림가능한 전방 장착 링키지는 이에 의해 횡방향 지지부의 외형과 맞추어지는 접촉면을 가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충돌의 경우, 접촉의 경우에 횡방향 지지부 상에 로드를 선택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오히려 2차원 적용이 있는 것을 보장하며, 이는 장착 링키지로부터 횡방향 지지부로의 힘의 특히 유용한 전달을 보장한다.
횡방향 지지부는 일반적으로 상부 레일 상에 축방향으로 길이 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지지되고 또한 상부 레일에 대해 피봇-장착되는 것을 보장하는 한 임의의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피봇가능성은 잠금 장치를 향하는 작동 레버 상에 작용하는 조정 운동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일 실시예에 따라, 그러나 횡방향 지지부는 크로스 튜브에 의해 형성되고 크로스 튜브는 다양한 형상, 프로파일링, 제한부 등을 가질 수 있다. 축 방향으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거나 상부 레일 상에 또는 각각 장착 링키지 홀더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크로스 튜브는 또한 로드 방향과 관계없이 특별한 강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특별히 유용한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크로스 튜브는 이에 의해 상부 레일 상, 특히 전방 장착 링키지 지지부의 직면하는 내측면 상에 단부-측 전방 표면들을 통하여 놓인다. 전방면을 구비한 크로스 튜브가 상부 레일 상에 또는 각각 장착 링키지 지지부의 직면하는 표면 상에 직접 지지되는, 본 발명의 대응하는 일 실시예는 다수 쌍의 트랙에 대한 크로스 비임의 길이 방향 축선 방향으로 발생하는 고정이 특히 확실한 방식으로 보장된다.
본 발명의 추가 일 실시예에 따라, 잠금 장치와 맞물림가능한 각각의 작동 레버 및 제어 레버는 횡방향 지지부로, 특히 크로스 부재로 용접, 특히 레이저 용접된다. 발생되는 하부 레일에 대한 상부 레일의 길이 방향 조정의 경우, 오퍼레이터는 이의 단부의 영역에서 작동 레버를 정상적으로 상승시켜, 횡방향 지지부의 비틀림 운동을 일으킨다. 횡방향 지지부의 비틀림 운동의 결과로서, 횡방향 지지부의 마주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어 레버 및 작동 핸들로부터 횡방향 지지부 위로 연장하는 작동 레버의 단부가 잠금 장치의 작동 요소와 맞물려서 잠금 장치가 하부 레일 상에 상부 레일의 고정을 유발하는 위치를 넘어 작동 요소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유용한 추가 실시예에 따라 작동 레버 및 제어 레버의 배열이 주로 자유롭게 선택가능하지만, 용접 연결, 특히 레이저 용접 연결이 바람직하며, 이는 횡방향 지지부의 작동 레버 및 제어 레버의 비틀림-방지 연결을 확실한 방식으로 보장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가 도면을 기초로 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2는 도 1의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추가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3은 시트 구조물이 시트 베이스 프레임 위에 배치하지 않는, 도 1 내의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4는 도 1의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정면도를 보여주며;
도 5는 도 3의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한 쌍의 트랙의 측면도를 보여주며;
도 6은 도 3의 시트 베이스 프레임의 측부 레일의 사시도로서, 횡방향 지지부가 측부 레일 상에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장착 링키지 홀더를 구비한 도 1 내의 횡방향 지지부의 연결의 분해도를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는 시트 베이스 프레임(1)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1 및 도 2에서, 두 쌍의 트랙, 한 쌍의 도어-측 트랙(2) 및 한 쌍의 터널-측 트랙(3)이 시트 표면(12)으로서 설계된 시트 구조물을 경유하여 상호 연결된다.
상기 두 쌍의 트랙(2, 3)은 각각 하부 레일(4)에서 변위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레일(5) 뿐만 아니라 차량 플로어(여기서 도시안됨) 상에 배치가능한 하부 레일(4)을 가진다. 하부 레일(4)에 대해 상부 레일(5)의 길이 방향 변위가능성이 차량 내의 시트 표면(12)의 길이 방향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변위가능한 상부 레일(5)과 시트 표면(12)의 연결을 위해, 두 개의 장착 링키지(7a, 7b, 8a, 8b)는 이에 의해 장착 볼트(13)를 경유하여 시트 표면(12)과 조인트되는 방식으로 일 단부 상에 그리고 또한 장착 볼트(13)를 경유하여, 상부 레일(5) 상에 배열된 장착 링키지 홀더(6a, 6b, 9)와 조인트되는 방식으로 타 단부 상에 시트 표면(12)의 양 측부 상에 연결된다. 시트 표면(12)과의 상부 레일(5)의 이러한 조인트식 연결은 두 쌍의 트랙(2, 3)에 대해 시트 표면(12)의 높이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장착 링키지 홀더(6a, 6b, 9)는 상부 레일(5) 상에 체결, 바람직하게는 용접된다. 또한 한 쌍의 터널-측 트랙(3)의 방향으로 굽혀지는 한 쌍의 도어-측 트랙(2)의 전방 및 후방 장착 링키지(7a, 8a)의 설계와 관련하여 한 쌍의 터널-측 트랙(3)의 방향으로 만곡된 한 쌍의 도어 측 트랙(2)의 전방 장착 링키지 홀더(6a)의 설계는 시트 표면(12)이 두 쌍의 트랙(2, 3)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것을 초래한다. 이는, 특히 도 4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터널-측 트랙(3)의 방향으로 변위된 시트 표면(12)이 배열된다. 비록 한 쌍의 터널-측 트랙(3)의 전방 장착 링키지 홀더(6b)가 상부 레일(5)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지만, 시트 구조물(12)과의 전방 장착 링키지(7b)의 힌지 지점은 장착 링키지(7a)와 유사하게 설계된 굽힘부에 의해 한 쌍의 도어-측 트랙(2)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비대칭이 보강된다. 두 쌍의 트랙(2, 3)의 후방 영역에서, 후방 장착 링키지(8a, 8b)의 조인트된 배열을 가능하게 하는 후방 장착 링키지 홀더(9)는 상부 레일(5) 상에 배열된다.
잠금 장치(15)는 각각의 쌍의 트랙(2, 3)으로 할당된다. 잠금 장치(15)는 상부 레일(5) 상에 변위가능하게 배치된 잠금 핀(17)을 가지며, 잠금 장치(15)의 하나 이상의 잠금 핀(17)은 잠금된 위치에서 하부 레일(4)에서 수 개의 개구들(도시안됨) 중 하나와 맞물려서 각각의 상부 레일(5)이 하부 레일(4)에 대해 잠금된다.
잠금 핀(17)이 하부 레일(4)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잠금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잠금 장치(15)의 변위는 마주하여 놓이는 쌍의 트랙(2, 3)의 방향으로 잠금 장치(15)로부터 연장하는 작동 요소(16)를 경유하여 발생하며, 이의 조정은 하부 레일(4)과의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잠금 장치(17)의 변위를 일으킨다.
작동 요소(16)의 조정을 위해 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해 두 쌍의 트랙(2, 3)의 축방향 지지를 위해, 크로스 튜브(11)가 장착 링키지 수용부들(6a, 6b) 사이로 연장한다. 크로스 튜브(11)는 장착 링키지 수용부(6a, 6b)의 직면하는 내측면 상의 테이퍼부(19)로 연결되는 테이퍼부의 전방면(21)에 달려 있으며 따라서 크로스 튜브(11)의 축방향으로 전방면에 대해 고정된다. 위치의 고정을 위해 그리고 더욱이 두 쌍의 트랙(2, 3)에 대해 회전가능한 배열을 위해, 크로스 튜브(11)는 또한 장착 링키지 홀더(6a, 6b)를 통하여 연장하는 나사형성 볼트(14)를 경유하여 장착 링키지 홀더(6a, 6b) 상에 고정된다. 피봇-장착을 위해, 나사가 없는 섹션을 구비한 나사형성 볼트(14)는 이에 의해 부싱(20)이 제공된 장착 링키지 수용부(6a, 6b)(도 6 및 도 7 참조) 내의 개구(23)를 통하여 연장한다. 전방 장착 링키지 홀더(6a, 6b) 상의 크로스 튜브(11)의 배열은 이에 따라 크로스 튜브(11)가 두 쌍의 트랙(2, 3)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크로스 튜브(11)의 회전가능한 장착은 잠금 장치(15)를 작동하기 위해 크로스 튜브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터널-측 트랙(3)의 영역에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작동 레버(10)는 크로스 튜브(11)의 일 단부의 영역에서 크로스 튜브(11)에 용접된다. 작동 레버(10)는 사용자에게 접근가능한 전방 영역으로부터 한 쌍의 터널-측 트랙(3)에 대해 평행한 크로스 튜브(11)의 위로 한 쌍의 터널-측 트랙(3)의 잠금 장치(15)의 작동 요소(16)와의 맞물림 영역 내까지 연장한다. 작동 레버(10)의 전방 단부의 상승은 크로스 튜브(11)의 회전을 일으키고, 여기에서 전방 단부에 마주하게 놓이고 잠금 장치(15)에 할당되는 작동 레버(10)의 후방 단부는 작동 요소(16)와 맞물리고 작동 요소를 해제 위치로 변위하며, 이 해제 위치에서 잠금 핀(17)은 하부 레일(4)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한 쌍의 도어-측 트랙(2)에 할당된 잠금 장치(15)로 크로스 튜브(11)의 회전 운동을 초래하는 작동 레버(10)의 작동 운동의 전달은 제어 레버(18)를 경유하여 발생한다. 한 쌍의 도어-측 트랙(2)의 영역에서 크로스 튜브(11)로부터 한 쌍의 도어-측 트랙(2)으로 할당된 잠금 장치(15)의 작동 요소(16)와의 맞물림 영역 내로까지 연장한다. 작동 레버(10)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크로스 튜브(11)의 회전 운동의 결과로서, 바닥 레일(4)과의 맞물림 해제 위치 내로 한 쌍의 도어-측 트랙(2)으로 할당된 잠금 장치(15)의 잠금 핀(17)의 조정은 또한 작동 요소(16)와의 제어 레버(18)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발생한다. 이 때 해제 위치 내로 잠금 장치(15) 모두 상에 발생하는 조정의 결과로서, 시트 표면(12)의 길이 방향 조정은 하부 레일(3)에 대한 상부 레일(5)의 변위를 통하여 가능하다. 원하는 길이 방향 조정에 도달한 후, 잠금 장치(15)는 작동 레버(10)의 현재의 더 길지 않은 작동 결과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프리텐셔닝된 잠금 장치의 잠금 위치에 도달한다.
장착 링키지(7a, 7b, 8a, 8b)를 경유하여 높이-조정가능한 시트 표면(12)의 최대로 낮추어진 위치의 고정을 위해, 한 쌍의 도어-측 트랙(2)의 전방 장착 링키지(7a)는 전방 장착 링키지 홀더(6a)와 연결되어 크로스 튜브(11)가 전방 장착 링키지(7a)의 피봇팅 범위 내에 위치된다. 시트 표면(12)의 최대로 낮추어진 위치는 크로스 튜브(11) 상에 인접하는 전방 장착 링키지(7a)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위치에서 장착 링키지(7a)의 접촉면(22)이 크로스 튜브(11) 상에 놓인다. 이에 의해 접촉면(22)은 크로스 바아(11) 상에 2차원 인접을 설정하기 위해 이의 외형으로 조정된다(도 3 내지 도 5 참조).

Claims (11)

  1. 하부 레일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상기 하부 레일 상에 잠금 장치에 의해 잠금가능한 상부 레일을 각각 가지는, 서로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 쌍의 트랙,
    상기 상부 레일에 연결되는 시트 구조물, 및
    상기 상부 레일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 레일에 연결되는 횡방향 지지부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으로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11)는 상기 상부 레일(5)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게 서로에 대해 충돌-안정 방식으로 상기 다수 쌍의 트랙(2, 3)을 고정하고 상기 상부 레일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잠금 장치(15)의 조정을 위해, 작동 레버(10) 및 제어 레버(18)가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비틀림-방지 방식으로 배열되고 각각 상기 하부 레일(4) 상에 상기 상부 레일(5)을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횡방향 지지부(11) 상에 상기 하부 레일(4)에 대해 상기 상부 레일(5)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잠금 장치(15)와 각각 맞물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5) 상에 조인트된 방식으로 전방 및/또는 후방 장착 링키지(7a, 7b, 8a, 8b)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또는 후방 장착 링키지(7a, 7b, 8a, 8b)는 상기 상부 레일(5) 상에 배치되는 장착 링키지 홀더(6a, 6b, 9)와 조인트된 방식으로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11)는 두 개의 마주하여 배치되는 장착 링키지 홀더(6a, 6b, 9), 바람직하게는 전방 장착 링키지 홀더(6a, 6b)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장착 링키지 홀더와 단부 측 상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시트 구조물, 특히 시트 팬(12)이 상기 다수 쌍의 트랙(2, 3)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도어-측 트랙(2) 및 상기 한 쌍의 차량-중앙 트랙(3)의 상기 장착 링키지(7a, 7b, 8a, 8b)는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시트 레일(2, 3)의 상기 장착 링키지(7a, 7b, 8a, 8b), 바람직하게는 시트 레일(2, 3)의 장착 링키지(7a, 7b, 8a, 8b) 모두가 도어-측 또는 차량-중앙-정렬 굽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11)와 하나 이상의 전방 장착 링키지(7a, 7b)가 맞물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11)와 맞물림가능한 전방 장착 링키지(7a, 7b)가 상기 횡방향 지지부(11)의 외형으로 맞추어진 접촉면(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는 크로스 튜브(1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튜브(11)는 단부-측 전방면(21)을 경유하여 상기 상부 레일(5) 상에 놓이고, 특히 상기 전방 장착 링키지 지지부(7a, 7b)의 대면하는 내부면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15)와 각각 맞물림가능한 상기 작동 레버(10) 및 상기 제어 레버(18)가 상기 횡방향 지지부 상에, 특히 크로스 튜브(11) 상에 용접, 특히 레이저-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KR1020127031912A 2010-05-05 2011-04-29 자동차 시트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KR101435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8630A DE102010028630A1 (de) 2010-05-05 2010-05-05 Sitzuntergestell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DE102010028630.3 2010-05-05
PCT/EP2011/056866 WO2011138249A1 (de) 2010-05-05 2011-04-29 Sitzuntergestell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753A true KR20130028753A (ko) 2013-03-19
KR101435539B1 KR101435539B1 (ko) 2014-09-02

Family

ID=4430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912A KR101435539B1 (ko) 2010-05-05 2011-04-29 자동차 시트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67580B2 (ko)
EP (1) EP2566718B1 (ko)
JP (1) JP5538624B2 (ko)
KR (1) KR101435539B1 (ko)
CN (1) CN102883909B (ko)
DE (1) DE102010028630A1 (ko)
PL (1) PL2566718T3 (ko)
WO (1) WO2011138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20533A1 (de) * 2011-12-08 2013-06-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Fahrzeugsitz, Fahrzeug und Verfahren hierzu
JP6237468B2 (ja) * 2013-06-10 2017-11-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DE102014207503A1 (de) * 2014-04-17 2015-10-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baugruppe mit drehbarem Betätigungsmittel zur Abstützung von Halteelementen für ein Sitzgestell
JP6324811B2 (ja) * 2014-05-26 2018-05-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668947B2 (ja) * 2016-05-26 2020-03-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DE202017100199U1 (de) * 2017-01-16 2017-03-17 Valeo Klimasysteme Gmbh Heizungs-, Lüftungs- und/oder Klimatisier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9204079B (zh) * 2017-06-30 2021-10-08 丰田车体株式会社 车辆用座椅装置
KR20220014920A (ko) * 2020-07-29 202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지지 조립체
US11400839B2 (en) * 2020-09-22 2022-08-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 absorbing vehicle seat
KR20230020154A (ko) * 2021-08-03 2023-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KR20230020153A (ko) * 2021-08-03 2023-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CN113581033A (zh) * 2021-09-14 2021-11-02 上海国琻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低坐姿的座椅骨架平台及汽车座椅
DE102021212087A1 (de) * 2021-10-26 2023-04-27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mit einer asymmetrischen Kinematikeinrichtung
CN115183054B (zh) * 2022-09-13 2022-11-22 山西国新科莱天然气有限公司 一种天然气气体管道铺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0793A (en) * 1967-03-15 1969-08-12 Lear Siegler Inc Adjustable seat assembly
US3700203A (en) * 1971-02-05 1972-10-24 Albert John Adams Vehicle seat support
US4043529A (en) * 1976-10-20 1977-08-23 Ferro Manufacturing Corporation Seat adjusting mechanism
JPH0332430Y2 (ko) * 1986-10-07 1991-07-10
AU592382B2 (en) * 1986-11-07 1990-01-11 Tachi-S Co., Ltd. Seat slide device
FR2711100B1 (fr) * 1993-10-14 1995-12-15 Bfa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réglage des sièges de véhicules.
US5568908A (en) * 1994-12-02 1996-10-29 Atoma International Inc. Six-way manual seat adjustment assembly
DE29814223U1 (de) * 1998-02-27 1998-11-19 Hammerstein Gmbh C Rob Sitzträgergestell eines Fahrzeugsitzes mit einem linken und einem rechten vorderen Stellarm
DE19827068C1 (de) * 1998-06-18 1999-09-09 Keiper Gmbh & Co Längsverstellvorrichtung an einem Kraftfahrzeugsitz für insbesondere zweitürige Kraftfahrzeuge
DE59912756D1 (de) * 1998-08-12 2005-12-15 Hammerstein Gmbh C Rob Sitzträgergestell eines Fahrzeugsitzes mit einem linken und einem rechten vorderen Stellarm
DE10207807A1 (de) * 2002-02-25 2003-09-04 Hammerstein Gmbh C Rob Einseitig arretierter Kraftfahrzeugsitz mit Rückhalteeinrichtung
DE10226717B4 (de) * 2002-06-14 2008-04-17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Gestell eines Kraftfahrzeugsitzes mit einem Sitzträger und einem Polsterträger
JP4169563B2 (ja) * 2002-10-09 2008-10-2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支持構造
FR2883521B1 (fr) * 2005-02-11 2010-01-08 Hammerstein Gmbh C Rob Siege de vehicule deplacable en avant, comprenant un support et un dossier rabattable ver l'avant
DE102005039540B4 (de) * 2005-02-11 2018-02-08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Vorverlagerbarer Fahrzeugsitz mit einem Untergestell und einer vorklappbaren Rückenlehne
DE102005039903B3 (de) * 2005-08-24 2006-12-07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Fahrzeugsitz
CN1955041B (zh) * 2005-10-27 2010-05-19 C.劳勃汉默斯坦两合有限公司 带有两对导轨的机动车辆座位的纵向调节机构的保持装置
JP4940654B2 (ja) * 2005-12-22 2012-05-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FR2896460B1 (fr) * 2006-01-26 2016-03-04 Hammerstein Gmbh C Rob Siege a ceinture integree avec dispositif de reglage longitudinal.
DE102006043759A1 (de) * 2006-09-13 2008-03-2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DE102007049864B4 (de) * 2007-01-31 2017-08-03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Sitzgestell eines Kraftfahrzeugsitzes mit einem Sitzträger, der zwei Seitenteile hat
DE102007018101A1 (de) * 2007-04-16 2008-10-23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07049067B3 (de) * 2007-10-12 2009-01-22 Recaro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07059371B4 (de) * 2007-12-07 2014-01-23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anordnung
KR20090063583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장치
PL2337704T3 (pl) * 2008-08-19 2014-08-29 Hammerstein Gmbh C Rob Podstawa fotela pojazdu z dwiema parami szyn, wahaczami i nośnikiem fotela
DE102010002278B4 (de) * 2009-02-26 2014-11-13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Verstellbarer Kraftfahrzeugsitz
DE102011001638A1 (de) * 2011-03-29 2012-10-04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Untergestell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US9527416B2 (en) * 2012-05-21 2016-12-27 Sears Manufacturing Co. Vehicle seat scissors suspension with integrated stabilized iso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28630A1 (de) 2011-11-10
EP2566718B1 (de) 2014-09-03
JP2013525202A (ja) 2013-06-20
US20130200675A1 (en) 2013-08-08
PL2566718T3 (pl) 2015-01-30
CN102883909A (zh) 2013-01-16
US8967580B2 (en) 2015-03-03
WO2011138249A1 (de) 2011-11-10
EP2566718A1 (de) 2013-03-13
KR101435539B1 (ko) 2014-09-02
CN102883909B (zh) 2015-04-29
JP5538624B2 (ja)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8753A (ko) 자동차 시트용 시트 베이스 프레임
JP5921769B2 (ja) 車両シート用前後方向アジャスタ及び車両シート
JP5055766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9321374B2 (en) Vehicle seat slide device
US8113588B2 (en) Base frame of a motor vehicle seat having two rail pairs, rockers and a seat support
JP5335698B2 (ja) 車両座席
JP5380449B2 (ja) 自動車部品の縦方向調節のための調節装置
BR112015002915B1 (pt) assento de automóvel
US20180111640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 restriction assembly
US10239422B2 (en) Connecting element
JP5407225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20130069405A1 (en) Vehicle seat
KR101607103B1 (ko) 진입 간편화 기능을 갖는 차량 시트용 잠금 해제 장치 및 잠금 해제 장치의 작동 방법
JP5622940B2 (ja) 自動車シート用長手方向調整装置
CN106994922B (zh) 儿童座椅
JP2006517883A (ja) 衝突ロックユニットを有する高さ調節可能な車両座席
EP3502039B1 (de) Flurförderzeug mit einem eine fahrerstandplattform umfassenden fahrerarbeitsplatz
US8602491B2 (en) Seat for a motor vehicle
JP5255322B2 (ja) シートトラック装置
JP2023525453A (ja) 車両シート用の前後方向調節装置
US9555723B2 (en) Vehicle seat with a turning device
JP5031464B2 (ja) 車両用シートの骨組み構造体
JP5674359B2 (ja) 車両用シートのフレーム構造
KR101915612B1 (ko) 시트트랙장치의 트랙레버 높이 조절 구조
KR20180048055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