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753A - 접촉 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촉 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753A
KR20130024753A KR1020120082472A KR20120082472A KR20130024753A KR 20130024753 A KR20130024753 A KR 20130024753A KR 1020120082472 A KR1020120082472 A KR 1020120082472A KR 20120082472 A KR20120082472 A KR 20120082472A KR 20130024753 A KR20130024753 A KR 20130024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se
cover
connecting member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435B1 (ko
Inventor
요스케 혼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4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정합 커넥터를 사용한 연결에 가요성 연결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접촉 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방향 (A1) 으로 정합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커넥터는 베이스, 커버, 및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플레이트형 또는 시트형의 가요성 연결 부재 (10) 를 갖는다. 연결 부재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 (11),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 (A2) 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 (12), 및 제 1 부분 (11) 과 제 2 부분 (12) 사이의 굽힘부 (13), 및 제 1 부분에 제공된 이어 부분 (14) 을 포함한다. 이어 부분은 굽힘부 근처에 있으며 제 1 및 제 2 방향에 수직한 제 3 방향 (A3) 으로 연결 부재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커버는 제 1 방향에서 이어 부분의 가장자리를 향하는 액추에이터 부분을 갖는다.

Description

접촉 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커넥터{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OCCURRENCE OF A CONTACT FAILURE}
본 출원은 2011년 8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188242호에 기초하고 이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내용을 여기서 참조로 원용한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형 또는 시트형의 가요성 연결 부재를 사용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연성 인쇄 회로 (FPC) 또는 연성 플랫 케이블 (FFC) 과 같은 플레이트형 또는 시트형 연결 부재가 있었다. 이러한 타입의 연결 부재는 정합 (mating) 연결 부재와 직접 정합될 수 있다. 그러한 연결 부재의 정합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JP-A-H06-283236 (특허문헌 1) 에서 제안된 것처럼, FFC 의 단부를 굽힘 상태로 유지하도록 FFC 의 단부에 클립이 부착된다.
도 1 을 참조하여,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기술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 1 에서, 단부 (1a) 가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굽혀진 상태로 FFC (1) 의 단부 (1a) 를 유지하도록, FFC (1) 에 클립 (2) 이 부착된다. 클립 (2) 은 제 1 플레이트부 (2a), 제 2 플레이트부 (2b), 및 제 1 플레이트부 (2a) 와 제 2 플레이트부 (2b) 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좌측 및 우측 연결 밴드부 (2c) 를 포함한다. 제 1 플레이트부 (2a), 제 2 플레이트부 (2b) 및 연결 밴드부 (2c) 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FFC (1) 는 좌측 및 우측 연결 밴드부들 (2c) 사이에 규정되는 구멍에 삽입되고, 제 1 플레이트부 (2a) 와 제 2 플레이트부 (2b) 사이에 개재된다. FFC (1) 의 단부 (1a) 는 클립 (2) 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팁을 갖는다. 따라서, FFC (1) 는, 커넥터 (3) 의 삽입 슬롯 (3a) 에 단부 (1a) 의 팁을 삽입함으로써, 커넥터 (3) 와 직접 정합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은 FFC 의 굽힘점에 대해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FFC 의 굽힘점의 정확도가 저하되기 쉽다. 따라서, FFC 의 단부의 노출 부분의 길이가 변하기 쉽다. 더욱이, 비록 FFC 가 가요성이긴 하지만, FFC 는 정확히 직각으로 굽혀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FFC 가 굽혀지거나 커넥터와 정합되는 때, 굽힘점으로부터 FFC 의 팁까지의 일 부분에서 FFC 의 예기치 않은 변형이 야기되기 쉽다. FFC 에 굽힘점의 변화 또는 변형이 발생하면, 정합되는 FFC 의 유효 접촉 길이가 짧아지고, 따라서 접촉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더욱이, 경우에 따라서는 정합 작업 동안 FFC 의 팁이 정합 커넥터와 직접 충돌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FFC 가 부서져서, 접촉 불량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정합 커넥터와의 연결에 가요성 연결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접촉 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제 1 방향으로 정합 커넥터에 끼워 맞춰져서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커넥터는, 플레이트형 또는 시트형이고 가요성을 갖는 연결 부재; 베이스; 및 베이스와 협력하여 상기 연결 부재를 그의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기 위해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 제 1 부분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굽힘부; 및 제 1 및 제 2 방향에 수직한 제 3 방향에서 연결 부재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이어 (ear)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는 굽힘부에 인접하며, 상기 커버는, 정합 커넥터에 커넥터를 정합하는 작업 동안 제 1 방향에서 이어 부분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액추에이터 부분을 포함한다.
도 1 은 JP-A6-283236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a 는 플레이트형 또는 시트형 가요성 연결 부재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b 는 도 2a 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커넥터들이 서로 연결되기 전,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세트를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커넥터 세트의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로서, 일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는 커넥터 세트의 연결이 완료된 때의 도 3 의 커넥터 세트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 는 도 3 에 나타낸 커넥터 세트의 플러그 커넥터를 조립하는 제 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 6a 의 일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8a 및 도 8b 는 도 3 에 나타낸 커넥터 세트의 플러그 커넥터를 조립하는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b 의 선 Ⅸ-Ⅸ 을 따라 자른 단면을 포함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a 는 도 8b 의 선 Ⅹ-Ⅹ 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b 는 도 8b 의 선 Ⅹ-Ⅹ 을 따라 자른 단면을 포함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 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기 전,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세트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커넥터 세트의 연결이 완료된 때, 도 11 에 나타낸 커넥터 세트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을 포함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 은, 커넥터 세트의 연결이 완료된 때, 도 11 에 나타낸 커넥터 세트의 내부 구조의 다른 부부을 보여주는 단면을 포함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 는 도 11 에 나타낸 커넥터 세트의 플러그 커넥터를 조립하는 제 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 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 14a 의 일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6a 및 도 16b 는 도 11 에 나타낸 커넥터 세트의 플러그 커넥터를 조립하는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6b 의 선 ⅩⅦ-ⅩⅦ 을 따라 자른 단면을 포함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6b 의 선 ⅩⅧ-ⅩⅧ 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a ~ 도 10b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사용되는 플레이트형 또는 시트형 가요성 연결 부재 (10) 의 일례를 보여준다. 연결 부재 (10) 는 FPC 또는 FFC 로 형성된다. 연결 부재 (10) 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 1 부분 (11), 플레이트 형태의 제 2 부분 (12), 및 제 1 부분 (11) 과 제 2 부분 (12) 사이에 굽어 있는 굽힘부 (13) 를 포함한다. 제 1 부분 (11) 은 커넥터가 정합 커넥터와 정합되어 그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 1 방향 (정합 방향) (A1) 을 따라 연장된다. 제 2 부분 (12) 은 제 1 방향 (A1) 에 수직한 제 2 방향 (길이 방향) (A2) 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 (10) 는 제 1 부분 (11) 과 제 2 부분 (12) 이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지는 것처럼, 제 1 부분 (11) 은 커넥터의 유효 접촉 길이에 관련된다. 그러므로, 제 1 방향 (A1) 에서의 크기 (L) 의 공차를 줄일 필요가 있다.
연결 부재 (10) 는 제 1 부분 (11) 에 제공된 한 쌍의 이어 부분 (14) 을 포함한다. 이 이어 부분 (14) 은 제 1 방향 (A1) 및 제 2 방향 (A2) 에 수직한 제 3 방향 (폭 방향) (A3) 에서 연결 부재 (10) 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도 2a 및 도 2b 에서, 이어 부분 (14) 은 대략 전체 제 1 부분 (11) 으로부터 연결 부재 (10) 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렇지만, 이어 부분 (14) 은 굽힘부 (13) 근처에 위치되는 제 1 부분 (11) 의 일부에만 제공될 수 있다. 즉, 이어 부분 (14) 은 굽힘부 (13) 근처에 위치되는 제 1 부분 (11) 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어야 한다.
연결 부재 (10) 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이어 부분 (14) 은 굽힘부 (13) 근처에 위치되는 제 1 부분 (11) 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공되므로, 굽힘부 (13) 는, 베이스로서 이어 부분 (14) 을 사용하면서 연결 부재 (10) 를 굽힘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 (10) 의 굽힘점의 정확도, 즉 굽힘부 (13) 의 위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특정 유효 접촉 길이가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방향 (A1) 을 따른 크기 (L) 의 공차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다.
연결 부재 (10) 는 제 1 부분 (11) 의 외측 표면, 즉 도 2b 에서 제 1 부분 (11) 의 좌측 표면에서 노출된 다수의 신호 컨덕터 (15) 를 갖는다. 이들 신호 컨덕터 (15) 는, 커넥터가 정합 커넥터와 정합되어 그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때 정합 접촉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 부분을 구성한다. 이들 신호 컨덕터 (15) 는 제 3 방향 (A3) 을 따라 미리 결정된 피치로 배치된다. 또한, 신호 컨덕터 (15) 는 제 1 부분 (11) 으로부터 굽힘부 (13) 를 통해 제 2 부분 (12) 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연결 부재 (10) 는, 이어 부분 (14) 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11) 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강화 플레이트 (16) 를 갖는다. 강화 플레이트 (16) 는 절연성을 갖는다. 강화 플레이트 (16) 는 적어도, 제 1 방향 (A1) 에서 제 2 부분 (12) 에 반대되는 제 1 부분 (11) 의 가장자리 (자유 단부) (17) 근처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연결 부재 (10) 의 제 1 부분 (11) 의 팁이 강화 플레이트 (16) 로 강화되어서, 쉽게 굽혀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부분 (11) 에 어느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 1 부분 (11) 은 변형되지 않는다.
제 2 부분 (12) 은 제 2 부분의 내측 표면, 즉 하측 표면에 제공된 그라운드 컨덕터 (ground conductor) (18) 를 갖는다. 도 2a 및 도 2b 에서, 제 2 부분 (12) 은 제 2 방향 (A2) 에서 제한된 크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 2 부분 (12) 은 도 2b 에서 우측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3 은, 정합 커넥터로서 리셉터클 커넥터 (20) 및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로서 플러그 커넥터 (30) 를 포함하는 커넥터 세트를 보여주는데, 이들 커넥터는 서로 연결되기 전의 상태이다. 도 4 는 상기 커넥터들이 서로 연결되는 때의 커넥터 세트를 보여준다. 도 5 는 커넥터 세트의 연결이 완료된 때의 커넥터 세트를 보여준다.
리셉터클 커넥터 (20) 는 회로 기판 (21) 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 (20) 는 절연성을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 (22),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 (22) 에 설치되는 다수의 신호 접촉부 (23), 및 1 이상의 그라운드 접촉부 (24) 를 포함한다. 신호 접촉부 (23) 및 그라운드 접촉부 (24) 는 전도성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 (22) 은 제 3 방향 (A3) 을 따라 연장되는 정합 홈 (25) 을 갖는다. 각각의 신호 접촉부 (23) 는 신호 접촉 부분 (26) 을 갖는다. 신호 접촉부 (23) 의 신호 접촉 부분 (26) 은 정합 홈 (25) 위에 배치되고 제 3 방향 (A3) 을 따라 전술한 피치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그라운드 접촉부 (24) 는 정합 홈 (25)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 접촉 부분 (27) 을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 (30) 는 전술한 연결 부재 (10), 베이스 (31) 및 커버 (32) 를 포함한다. 베이스 (31) 및 커버 (32) 는 서로 협력하여 연결 부재 (10) 의 양측으로부터 연결 부재 (10) 를 사이에 둔다. 베이스 (31) 는 연결 부재 (10) 의 굽힘부 (13) 를 향하는 돌출 표면 (33) 을 갖는다. 커버 (32) 는 연결 부재 (10) 의 굽힘부 (13) 를 향하는 오목 표면 (34) 을 갖는다. 따라서, 돌출 표면 (33) 을 갖는 베이스 (31) 및 오목 표면 (34) 을 갖는 커버 (32) 에 의해, 연결 부재 (10) 의 형상이 유지된다.
베이스 (31) 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 1 수용부 (35) 및 플레이트 형태의 제 2 수용부 (36) 를 갖는다. 돌출 표면 (33) 의 일 측에서는 제 1 수용부 (35) 가 제 1 방향 (A1) 및 제 3 방향 (A3) 을 따라 연장된다. 돌출 표면 (33) 의 다른 측에서는 제 2 수용부 (36) 가 제 2 방향 (A2) 및 제 3 방향 (A3) 을 따라 연장된다. 제 1 수용부 (35) 는 연결 부재 (10) 의 제 1 부분 (11) 을 향하는 한편, 제 2 수용부 (36) 는 연결 부재 (10) 의 제 2 부분 (12) 을 향한다. 즉, 연결 부재 (10) 는 주로 베이스 (31) 의 일 측에 배치된다. 베이스 (31) 는 그의 다른 측에 제공된 전도성 베이스 그라운드 (37) 를 갖는다. 제 1 수용부 (35) 는, 연결 부재 (10) 의 제 1 부분 (11) 의 가장자리 (17) 를 덮어 보호하기 위한 제 1 보호기 부분 (38), 및 베이스 그라운드 (37) 의 단부를 덮어 보호하기 위한 제 2 보호기 부분 (39) 을 포함한다.
커버 (32) 는 오목 표면 (34) 의 일 측에서 연결 부재 (10) 의 제 1 부분 (11) 을 가압하기 위한 제 1 가압부 (41), 및 오목 표면 (34) 의 다른 측에서 연결 부재 (10) 의 제 2 부분 (12) 을 가압하기 위한 제 2 가압부 (42) 을 갖는다. 제 1 가압부 (41) 는 베이스 (31) 의 제 1 보호기 부분 (38) 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끝난다. 그러므로, 연결 부재 (10) 의 신호 컨덕터 (15) 는 제 1 가압부 (41) 와 제 1 보호기 부분 (38)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30) 는 연결 부재 (10) 의 일부, 베이스 (31) 의 일부 및 베이스 그라운드 (37) 의 일부로 형성되는 정합부 (43) 를 갖는다. 연결 부재 (10) 의 신호 컨덕터 (15) 의 접촉 부분은, 제 3 방향 (A3) 을 따라 전술한 피치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정합부 (43) 의 상측 표면에서 노출된다.
플러그 커넥터 (30) 가 리셉터클 커넥터 (20) 에 연결되는 때, 정합부 (43) 가 정합 홈 (25) 에 끼워 맞춰진다. 이때, 신호 컨덕터 (15) 의 접촉 부분이 일대일의 관계로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신호 접촉 부분 (26) 과 접촉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 그라운드 (37) 가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그라운드 접촉 부분 (27) 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30) 는 리셉터클 커넥터 (20) 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부재 (10) 의 팁을 덮는 제 1 보호기 부분 (38) 이 정합부 (43) 의 팁 단부에 제공되므로, 정합 작업 동안 연결 부재 (10) 가 부서지는 것이 방지된다. 신호 접촉 부분 (26) 과 그라운드 접촉 부분 (27) 사이에 정합부 (43) 를 매끄럽게 삽입하기 위해, 제 1 보호기 부분 (38) 과 제 2 보호기 부분 (39) 의 일 단부 또는 양단부를 모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31) 는 제 3 방향 (A3) 으로 제 1 수용부 (35) 의 양측에 제공된 한 쌍의 잠금 기구 (lock mechanism) (44) 를 갖는다. 잠금 기구 (44) 는, 플러그 커넥터 (30) 가 리셉터클 커넥터 (20) 에 연결되는 때, 정합부 (43) 와 함께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정합 홈 (25) 에 삽입된다. 잠금 기구 (44) 는 제 1 방향 (A1) 으로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 (22) 과 맞물리도록 클릭 (click) 된다. 그 결과, 리셉터클 커넥터 (20) 와 플러그 커넥터 (30) 사이의 연결이 잠긴다. 도 3 에 도시된 것처럼, 잠금 기구 (44) 를 풀 수 있도록 베이스 (31) 의 상측 표면에 작업 구멍 (45)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 도 9 를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 (30) 의 상세한 구조와 함께, 플러그 커넥터 (30) 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 (30) 를 조립하는 제 1 단계에서, 도 6a 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 부재 (10) 와 베이스 (31) 가 준비된다. 베이스 (31) 는 제 3 방향 (A3) 으로 베이스의 양단부에 제공된 한 쌍의 벽부 (46) 를 갖는다. 각각의 벽부 (46) 는 제 1 수용부 (35) 근처, 더 구체적으로는 제 1 수용부 (35) 의 외측 가장자리의 외부에 형성된 이어 부분 가이드 (47) 를 갖는다. 벽부 (46) 의 이어 부분 가이드 (47) 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각각의 이어 부분 가이드 (47) 는 제 1 방향 (A1) 을 따라 연장된다. 각각의 이어 부분 가이드 (47) 는 도 6a 에 도시된 것처럼 홈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도 6b 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 부재 (10) 가 벽부 (46) 사이에 설치된다. 연결 부재 (10) 가 설치되는 때, 연결 부재 (10) 의 이어 부분 (14) 이 베이스 (31) 의 이어 부분 가이드 (47) 에 삽입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 (10) 의 제 1 부분 (11) 은 베이스 (31) 의 제 1 수용부 (35) 의 외측 표면을 향하고, 연결 부재 (10) 의 제 2 부분 (12) 은 베이스 (31) 의 제 2 수용부 (36) 의 상측 표면을 향한다. 더욱이, 신호 컨덕터 (15) 가 연결 부재 (10) 의 제 1 부분 (11) 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도 6b 및 도 7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이어 부분 가이드 (47) 처럼 제 1 방향 (A1) 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 홈 (48) 이 제 3 방향 (A3) 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베이스 (31) 의 벽부 (46) 에 형성된다. 베이스 (31) 의 벽부 (46) 에서 안내 홈 (48) 근처에, 제 3 방향 (A3) 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의 커버 부착부 (49) 가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 (30) 를 조립하는 제 2 단계에서, 도 8a 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 (32) 를 준비한다. 커버 (32) 는 제 3 방향 (A3) 으로 커버 (32) 의 양단부에 제공된 안내 돌출부 (51) 및 맞물림부 (52) 를 갖는다. 도 8b 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 (32) 는 벽부 (46) 사이에 설치된다. 커버 (32) 가 설치되는 때, 커버 (32) 의 안내 돌출부 (51) 가 베이스 (31) 의 안내 홈 (48) 에 삽입된다. 안내 돌출부 (51) 는 안내 홈 (48) 내에서 제 1 방향 (A1) 으로 미끄러지고, 따라서 안내 홈 (48) 이 커버 (32) 를 설치하기 위해 안내 돌출부 (51) 를 안내한다. 안내 돌출부 (51) 및 안내 홈 (48) 은 함께 안내 기구로서 역할한다.
커버 (32) 가 연결 부재 (10) 와 접촉할 때까지 커버 (32) 가 베이스 (31) 에 설치되는 때, 맞물림부 (52) 가 제 1 방향 (A1) 에서 베이스 (31) 의 커버 부착부 (49) 에 맞물린다. 따라서, 베이스 (31) 로부터의 커버 (32) 의 탈착이 방지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안내 돌출부 (51) 의 일 단부에 액추에이터 부분 (53) 이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 (30) 의 조립이 완료되는 때, 액추에이터 부분 (53) 은 제 1 방향 (A1) 에서 이어 부분 가이드 (47) 의 일 단부에 위치된다. 그 결과, 액추에이터 부분 (53) 은 제 1 방향 (A1) 에서 연결 부재 (10) 의 이어 부분 (14) 의 가장자리에 접한다. 그러므로, 커버 (32) 의 양단부가 정합 작업 동안 연결 부재 (10) 의 이어 부분 (14) 을 밀고, 따라서 정합 방향으로 직접 연결 부재 (10) 에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연결 부재 (10) 의 팁의 변형으로 인한 접촉 불량의 발생이 방지된다.
더욱이, 도 10a 및 도 10b 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그라운드 (37) 는 베이스 (31) 를 통해 연장되는 스프링 (54) 을 갖는다. 스프링 (54) 은 압력 하에서 연결 부재 (10) 의 그라운드 컨덕터 (18) 와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 그 결과, 스프링 (54) 은 커버 (32) 의 제 2 가압부 (42) 를 향해 연결 부재 (10) 의 제 2 부분 (12) 을 가압한다. 그러므로, 연결 부재 (10) 의 제 2 부분 (12) 은 커버 (32) 의 제 2 가압부 (42) 에 접한다. 연결 부재 (10) 의 제 2 부분 (12) 은 베이스 (31) 의 제 2 수용부 (36) 와 접촉된 채로 유지되거나, 또는 제조 공차 등에 따라 부유 방식 (floated manner) 으로 제 2 수용부 (36) 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그때, 스프링 (54) 은 제 2 방향 (A2) 에서 연결 부재 (10) 의 제 1 부분 (11) 에 반대되는 베이스 (31) 의 커버 부착부 (49) (도 6a ~ 도 8b 참조) 의 일 측에 위치된다. 즉, 커버 부착부 (49) 는 제 1 부분 (11) 과 스프링 (54) 사이에 위치된다. 그 결과, 연결 부재 (10) 가 스프링 (54) 에 의해 가압되는 때, 커버 부착부 (49) 주위에 모멘트가 생성된다. 이 모멘트에 의해, 연결 부재 (10), 특히 제 1 부분 (11) 이 베이스 (31) 의 제 1 수용부 (35) 의 외측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그러므로, 제 1 부분 (11), 특히 제 1 부분 (11) 의 팁이 베이스 (31) 에 접한 채로 유지된다. 따라서, 커넥터들이 서로 정합되어 연결되는 때에 외력에 의해 제 1 부분 (11) 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접촉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다음으로, 도 11 ~ 도 1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 도 10b 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었고,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 은 정합 커넥터로서 리셉터클 커넥터 (60) 및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로서 플러그 커넥터 (70) 를 포함하는 커넥터 세트를 보여주는데, 이들 커넥터는 서로 연결되기 전의 상태이다. 도 12 는 커넥터 세트의 연결이 완료된 때의 도 11 에 나타낸 커넥터 세트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보여준다. 도 13 은 커넥터 세트의 연결이 완료된 때의 도 11 에 나타낸 커넥터 세트의 내부 구조의 다른 부분을 보여준다.
이 커넥터 세트의 리셉터클 커넥터 (60) 에는, 신호 접촉부 (23) 의 신호 접촉 부분 (26) 이 정합 홈 (25) 아래에 배치되고 제 3 방향 (A3) 을 따라 전술한 피치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한편, 각각의 그라운드 접촉부 (24) 는 정합 홈 (25) 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 접촉 부분 (27) 을 갖는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 (60) 의 신호 접촉 부분 (26) 과 그라운드 접촉 부분 (27) 사이의 위치 관계는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위치 관계와는 수직으로 반대이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70) 는 리셉터클 커넥터 (60) 에 맞도록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 (30) 로부터 수정되었다.
도 14a ~ 도 17 을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 (70) 를 조립하는 방법과 함께,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 (30) 로부터의 몇몇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묘사되지 않은 부분은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 (30) 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 (70) 를 조립하는 제 1 단계에서, 도 14a 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 부재 (10a) 및 베이스 (31a) 가 준비된다.
연결 부재 (10a) 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연결 부재 (10) 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 (10a) 의 제 1 부분 (11) 의 내측 표면 (도 2b 에 나타낸 제 1 부분 (11) 의 우측 표면에 해당함) 에서 다수의 신호 컨덕터 (15) 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들 신호 컨덕터 (15) 는, 연결 부재 (10a) 가 정합 커넥터와 정합되어 그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때, 정합 접촉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 부분을 구성한다.
도 2b 에 도시된 강화 플레이트 (16) 와 동일한 기능과 형상을 갖는 강화 플레이트 (도시 안 됨) 가 제 1 부분 (11) 및 이어 부분 (14) 의 외측 표면 (도 2b 에 도시된 제 1 부분 (11) 의 좌측 표면에 해당함) 에 부착된다. 그러한 강화 플레이트는 절연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연결 부재 (10a) 의 제 1 부분 (11) 의 팁은 강화 플레이트로 강화되어서, 굽혀지기 어렵다. 따라서, 제 1 부분 (11) 은 제 1 부분 (11) 에 어느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변형되지 않는다.
이 연결 부재 (10a) 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도 2 에 도시된 연결 부재 (1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신호 컨덕터 (15) 가 제 3 방향 (A3) 을 따라 미리 결정된 피치로 배치된다. 신호 컨덕터 (15) 는 제 1 부분 (11) 으로부터 굽힘부 (13) 를 통해 제 2 부분 (12) 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굽힘부 (13) 근처에 위치되는 제 1 부분 (11) 의 일부에, 연결 부재 (10a) 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이어 부분 (14) 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굽힘부 (13) 는, 베이스로서 이어 부분 (14) 을 사용하면서 연결 부재 (10a) 를 굽힘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 (10a) 의 굽힘점의 정확도, 즉 굽힘부 (13) 의 위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특정 유효 접촉 길이가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31a) 의 한 쌍의 벽부 (46) 에 한 쌍의 이어 부분 가이드 (47) 가 형성된다 (도 15 참조). 이어 부분 가이드 (47) 는 제 1 수용부 (35) 의 내측 표면 (81) 에서 제 1 방향 (A1) 을 따라 연장된다. 더욱이, 제 1 수용부 (35) 와 제 2 수용부 (36) 사이에 슬릿 (82) 이 형성된다. 슬릿 (82) 은 이어 부분 가이드 (47) 를 서로 연결하도록 제 3 방향 (A3) 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나서, 도 14b 에 도시된 것처럼, 벽부 (46) 사이에 연결 부재 (10a) 가 설치된다. 연결 부재 (10a) 가 설치되는 때, 연결 부재 (10a) 의 제 1 부분 (11) 이 슬릿 (82) (도 15 참조) 에 삽입되고, 연결 부재 (10a) 의 이어 부분 (14) 이 베이스 (31a) 의 이어 부분 가이드 (47) 에 삽입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 (10a) 의 제 1 부분 (11) 은 베이스 (31a) 의 제 1 수용부 (35) 의 내측 표면 (81) 을 향하고, 연결 부재 (10a) 의 제 2 부분 (12) 은 베이스 (31a) 의 제 2 수용부 (36) 의 상측 표면을 향한다. 더욱이, 신호 컨덕터 (15) 는 연결 부재 (10a) 의 제 1 부분 (11) 에서 내부로 노출된다.
도 14b 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31a) 의 각각의 벽부 (46) 는, 제 2 방향 (A2) 을 따라 연장된 안내 홈 (83), 및 안내 홈 (83) 내에 형성된 커버 부착부 (84) 를 갖는다. 벽부 (46) 의 안내 홈 (83) 은 제 3 방향 (A3) 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벽부 (46) 의 커버 부착부 (84) 는 제 3 방향 (A3) 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 (70) 를 조립하는 제 2 단계에서, 도 16a 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 (32a) 가 준비된다. 커버 (32a) 는 제 3 방향 (A3) 에서 커버 (32a) 의 양단부에 제공된 안내 돌출부 (85) 및 맞물림부 (86) 를 갖는다. 커버 (32a) 는 제 2 방향 (A2) 에서 연결 부재 (10a) 의 제 2 부분 (12) 을 따라 이동되고, 벽부 (46) 사이에 삽입된다. 커버 (32a) 가 설치되는 때, 커버 (32a) 의 안내 돌출부 (85) 는 베이스 (31) 의 안내 홈 (83) 에 삽입된다. 안내 돌출부 (85) 는 제 2 방향 (A2) 으로 미끄러져서, 안내 홈 (83) 이 커버 (32a) 를 설치하기 위해 안내 돌출부 (85) 를 안내한다. 안내 돌출부 (85) 및 안내 홈 (83) 은 함께 안내 기구로서 역할한다.
커버 (32a) 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때, 맞물림부 (86) 가 제 2 방향 (A2) 에서 커버 부착부 (84) 와 맞물린다. 따라서, 베이스 (31a) 로부터의 커버 (32a) 의 탈착이 방지된다.
도 17 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안내 돌출부 (85) 의 단부에 액추에이터 부분 (100) 이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 (70) 의 조립이 완료되는 때, 액추에이터 부분 (86) 은 제 1 방향 (A1) 에서 이어 부분 가이드 (47) 의 단부에 위치된다. 그 결과, 액추에이터 부분 (100) 은 제 1 방향 (A1) 에서 연결 부재 (10a) 의 이어 부분 (14) 의 가장자리에 접한다. 그러므로, 커버 (32a) 의 양단부가 정합 작업 동안 연결 부재 (10a) 의 이어 부분 (14) 을 밀고, 따라서 정합 방향으로 직접 연결 부재 (10a) 에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연결 부재 (10a) 의 팁의 변형으로 인한 접촉 불량의 발생이 방지된다.
더욱이, 도 18 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그라운드 (37) 의 단부와 연결 부재 (10a) 의 단부를 덮기 위한 제 1 보호기 부분 (38) 이 정합부 (43) 의 팁 단부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정합 작업 동안 베이스 그라운드 (37) 와 연결 부재 (10a) 가 부서지는 것이 방지된다. 말할 것도 없이, 신호 접촉 부분 (26) 과 그라운드 접촉 부분 (27) 사이에 정합부 (43) 를 매끄럽게 삽입하기 위해, 제 1 보호기 부분 (38) 의 팁 표면을 모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 묘사된 스프링 (54) 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스프링을 구비한 커버 (32a) 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스프링은 연결 부재 (10a) 에 모멘트를 제공한다. 이 모멘트에 의해 연결 부재 (10a), 특히 제 1 부분 (11) 이 베이스 그라운드 (37) 에 대해 가압된다. 그러한 경우, 제 1 부분 (11), 특히 제 1 부분 (11) 의 팁이 베이스 그라운드 (37) 에 접한 채로 유지된다. 따라서, 커넥터들이 서로 정합되어 연결되는 때에 외력에 의해 제 1 부분 (11) 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접촉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또한 그의 일부 또는 전체가 다음과 같은 보충 노트로서 묘사될 수 있지만, 이러한 보충 노트로 제한되지 않는다.
(보충 노트 1)
제 1 방향 (A1) 으로 정합 커넥터에 끼워 맞춰져서 상기 정합 커넥터 (20, 60) 에 연결되는 커넥터 (30, 70) 로서,
상기 커넥터는,
플레이트형 또는 시트형이고 가요성을 갖는 연결 부재 (10, 10a);
베이스 (31, 31a); 및
상기 베이스와 협력하여 상기 연결 부재를 그의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는 커버 (32, 32a)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기 위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 (11);
상기 제 1 부분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 (A2) 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 (12);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의 굽힘부 (13); 및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한 제 3 방향 (A3) 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이어 부분 (14)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굽힘부에 인접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정합 커넥터에 커넥터를 정합하는 작업 동안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이어 부분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액추에이터 부분 (53, 100) 을 포함하는 커넥터.
이러한 커넥터에 의하면, 베이스로서 이어 부분을 사용하면서 연결 부재를 굽힘으로써, 특정 유효 접촉 길이가 보장된다. 그러므로, 접촉 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커버에 제공된 액추에이터 부분이 이어 부분의 가장자리에 접하기 때문에, 연결 부재의 제 1 부분은 정합 작업 동안 정합 커넥터에 용이하게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의 팁을 덮는 보호기 부분이 정합부의 팁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기 부분에 의하면, 연결 부재가 정합 커넥터와 직접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보충 노트 2)
보충 노트 1 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기 커버를 향해 상기 제 2 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54) 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보충 노트 3)
보충 노트 2 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스프링 사이의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는 커넥터.
(보충 노트 4)
보충 노트 2 또는 3 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기 베이스는 전도성 베이스 그라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 그라운드에 제공되는 커넥터.
(보충 노트 5)
보충 노트 2 ~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향하는 그라운드 컨덕터 (18)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가압 하에서 상기 그라운드 컨덕터에 접촉된 채로 유지되는 커넥터.
(보충 노트 6)
보충 노트 1 ~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강화 플레이트 (16)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제 2 부분의 반대측에서의 상기 제 1 부분의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되는 커넥터.
(보충 노트 7)
보충 노트 1 ~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 1 부분을 향하는 수용부 (35)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제 1 부분의 자유 단부를 덮는 보호기 부분 (38) 을 포함하는 커넥터.
따라서, 연결 부재의 팁을 덮는 보호기 부분이 정합부의 팁 단부에 제공되는 때, 연결 부재가 정합 커넥터와 직접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보충 노트 8)
보충 노트 7 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부분, 상기 굽힘부 및 상기 제 2 부분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신호 컨덕터 (15)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컨덕터는 상기 보호기 부분과 상기 커버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들이 서로 정합되어 연결되는 때에 상기 정합 커넥터와 접촉하게 되는 커넥터.
(보충 노트 9)
보충 노트 1 ~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이어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이어 부분 가이드 (47) 를 포함하고,
액추에이터 부분은 상기 이어 부분 가이드의 단부에 위치되는 커넥터.
(보충 노트 10)
보충 노트 9 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커버의 부착을 위한 커버 부착부 (49, 84)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착부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스프링 사이에 위치되는 커넥터.
(보충 노트 11)
보충 노트 9 또는 10 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커버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기구 (48, 51)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상기 커버의 탈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커버 부착부와 맞물리는 맞물림부 (52) 를 포함하는 커넥터.
(보충 노트 12)
보충 노트 9 또는 10 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2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커버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기구 (83, 85)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상기 커버의 탈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방향에서 상기 커버 부착부와 맞물리는 맞물림부 (86) 를 포함하는 커넥터.
(보충 노트 13)
보충 노트 1 ~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정합 커넥터와의 연결을 기계적으로 잠그기 위해 상기 제 3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의 양단부에 제공된 잠금 기구 (44) 를 포함하는 커넥터.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형태 및 세부에 다양한 변화가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1)

  1. 제 1 방향으로 정합 커넥터에 끼워 맞춰져서 상기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플레이트형 또는 시트형이고 가요성을 갖는 연결 부재;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협력하여 상기 연결 부재를 그의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기 위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의 굽힘부; 및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한 제 3 방향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이어 (ear)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굽힘부에 인접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정합 커넥터에 커넥터를 정합하는 작업 동안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이어 부분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액추에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향해 상기 제 2 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전도성 베이스 그라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 그라운드에 제공되는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향하는 그라운드 컨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가압 하에서 상기 그라운드 컨덕터에 접촉된 채로 유지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강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제 2 부분의 반대측에서의 상기 제 1 부분의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 1 부분을 향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제 1 부분의 자유 단부를 덮는 보호기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이어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이어 부분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 부분은 상기 이어 부분 가이드의 단부에 위치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버를 향해 상기 제 2 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커버의 부착을 위한 커버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착부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스프링 사이에 위치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커버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상기 커버의 탈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커버 부착부와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2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커버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상기 커버의 탈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방향에서 상기 커버 부착부와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정합 커넥터와의 연결을 기계적으로 잠그기 위해 상기 제 3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의 양단부에 제공된 잠금 기구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120082472A 2011-08-31 2012-07-27 접촉 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커넥터 KR101412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88242 2011-08-31
JP2011188242A JP5826565B2 (ja) 2011-08-31 2011-08-3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753A true KR20130024753A (ko) 2013-03-08
KR101412435B1 KR101412435B1 (ko) 2014-06-25

Family

ID=4774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472A KR101412435B1 (ko) 2011-08-31 2012-07-27 접촉 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85433B2 (ko)
JP (1) JP5826565B2 (ko)
KR (1) KR101412435B1 (ko)
TW (1) TWI4823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7525B2 (ja) * 2010-03-17 2014-07-1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末接続具
TWI525929B (zh) * 2012-11-23 2016-03-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組合
EP2936618A1 (en) * 2012-12-19 2015-10-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ble-to-board connector
US9112302B2 (en) * 2013-05-02 2015-08-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JP2018081829A (ja) * 2016-11-16 2018-05-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フィルム回路の接続装置
JP6452751B2 (ja) * 2017-04-20 2019-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883377B1 (ko) * 2017-12-11 2018-07-31 (주)연호엠에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JP7144282B2 (ja) 2018-11-01 2022-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TWM577186U (zh) * 2018-12-11 2019-04-21 品威電子國際股份有限公司 Adapter for flexible cable
JP7134934B2 (ja) * 2019-10-08 2022-09-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導電部材を保持する保持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JP7218269B2 (ja) * 2019-10-08 2023-02-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導電部材を保持する保持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0600Y2 (ja) 1991-11-21 1999-10-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Fpc/ffc用コネクタ装置
JP3166111B2 (ja) * 1993-01-18 2001-05-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JP3303405B2 (ja) 1993-03-26 2002-07-22 ソニー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末部保護クリップ及びこのクリップ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末部のコネクター装着方法
US5967831A (en) * 1995-01-23 1999-10-19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688911B2 (en) * 2000-12-13 2004-02-10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flat flexible circuitry
JP4425732B2 (ja) 2004-07-21 2010-03-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基板実装型コネクタ
TW200737604A (en) * 2006-03-29 2007-10-01 Altek Corp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TW200803057A (en) * 2006-06-27 2008-01-01 P Two Ind Inc Electrical connector
EP2187479A1 (en) * 2007-09-06 2010-05-19 Fujikura, Ltd. Connector
TWM341323U (en) * 2007-12-06 2008-09-21 Tennrich Int Corp Connection device and the signal bridging conversion device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51111A (ja) 2013-03-14
US20130052858A1 (en) 2013-02-28
KR101412435B1 (ko) 2014-06-25
US8585433B2 (en) 2013-11-19
TW201320492A (zh) 2013-05-16
JP5826565B2 (ja) 2015-12-02
TWI482371B (zh)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435B1 (ko) 접촉 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커넥터
EP2876737B1 (en) Connector
TWI413313B (zh) 連接器裝置
US904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a circuit board
EP2019456B1 (en) Electric connector
US20140206218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260703B2 (ja) 電気コネクタ
TWM468795U (zh) 排線連接器
TW201112532A (en) Shield case,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TWI323534B (en) Connector with a shell having a function of guiding insertion and removal of a mating connector
TW201618385A (zh) 插頭連接器
TW202019028A (zh) 連接器及連接器總成
KR20030044875A (ko) 결속 부분을 구비한 차폐 외피를 가지는 커넥터
JP2013055007A (ja) コネクタ
US11146006B2 (en) High-power board-to-board floating connector
WO2017038876A1 (ja) 電気コネクタ
CN114514657A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WO2017038877A1 (ja) 基板接続構造
US9755339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flat circuit body
CN114628952B (zh) 连接器
JP5041412B2 (ja) コネ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CN112670751B (zh) 连接器
CN110729579A (zh) 端子
US9337560B2 (en) Connector having a mounting surface with engagement hooks offset from each other in an insertion direction of a flexible integrated wi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