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099A -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099A
KR20130023099A KR1020120091637A KR20120091637A KR20130023099A KR 20130023099 A KR20130023099 A KR 20130023099A KR 1020120091637 A KR1020120091637 A KR 1020120091637A KR 20120091637 A KR20120091637 A KR 20120091637A KR 20130023099 A KR20130023099 A KR 20130023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substrate
low resistance
light emit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718B1 (ko
Inventor
가오루 하타노
유스케 니시도
순페이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3002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10K59/1315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compris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lowering the resis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02Containers; Seals
    • H01L23/10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arrangement of seals between parts, e.g. between cap and base of the container or between leads and walls of the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4Tungsten [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어 신뢰성이 높은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발광 디바이스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글라스 프리트에 의해 접착된 발광 장치에 있어서, 글라스 프리트를 용융 및 고화하여 형성된 밀봉재와 중첩된 영역에 사용하는 배선 재료에는 발광 장치에 사용하는 기판의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에 가까운 선열팽창 계수를 갖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면 좋다. 더 구체적으로는 기판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와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0℃ 내지 500℃의 범위에서 5ppm/K 이하인 도전성 재료를 배선 재료로서 사용한다.

Description

발광 장치{LIGHT-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유기 EL 소자가 적용된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소자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기 EL 소자의 기본적인 구성은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을 끼운 구성이다. 이 소자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광성 유기 화합물로부터의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유기 EL 소자가 적용된 발광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조명 장치나,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 EL 소자를 조합한 화상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EL 소자는 막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대면적의 소자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면광원을 갖는 조명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가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등에서 필요한 백라이트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박형경량이며 콘트라스트가 높고 소비 전력이 낮은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유기 EL 소자는 대기(수분, 산소 등을 포함함)에 노출되면, 성능이 급속히 저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유기 EL 소자가 대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재료로 기밀성(氣密性) 높게 밀봉하는 것이 요구된다.
높은 배리어성을 실현하는 밀봉 방법으로서 저융점 유리로 이루어진 글라스 프리트(glass frit)를 사용한 밀봉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유리 기판의 외주에 저융점 유리로 이루어진 프리트재와 바인더를 함유한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임시 소성을 수행하여 바인더를 제거한 후, 대향하는 유리 기판을 중첩시키고 글라스 프리트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기판과 글라스 프리트를 융착시켜 밀봉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은 글라스 프리트를 이용하여, 유기 EL 소자가 적용된 디바이스를 밀봉함으로써, 유기 EL 소자를 외부의 분위기와 격리하여 신뢰성이 높은 발광 장치로 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2011-65895호 공보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임시 소성 후의 글라스 프리트를 가열할 때, 글라스 프리트는 급속히 가열 및 냉각되고, 이 때 글라스 프리트가 용융 및 고화되어 형성된 밀봉재의 내부에 응력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밀봉재는 기판 등의 피접착체에 의해서도 외부로부터 응력이 가해진다. 이와 같은 밀봉재에 가해지는 응력에 기인하여 밀봉재 자체 또는 기판 등의 피접착체에 크랙(crack)이 발생하여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응력에 기인한 크랙의 발생은 기판의 재료에 따라 프리트재에 사용하는 재료를 최적화함으로써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밀봉재와 중첩되는 영역의 일부에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이 영역에서는 밀봉재에 크기가 상이한 응력이 가해질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밀봉재로 밀봉된 영역(이후에서 밀봉 영역이라고도 함) 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선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배선과 중첩되는 영역과 이 이외의 영역에서는 밀봉재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밀봉재, 밀봉재와 중첩되는 층, 또는 기판 등에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프리트재에 사용하는 재료의 최적화가 어려워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어 신뢰성이 높은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응력이 발생하는 원인의 하나인, 상이한 재료간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에 착안하였다. 밀봉재와 중첩되는 영역에 사용하는 배선 재료로서는 발광 장치에 사용하는 기판의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에 가까운 선열팽창 계수를 갖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면 좋다.
더 구체적으로는 배선 재료에 사용하는 도전성 재료로서 상기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와 기판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0℃ 내지 500℃의 범위에서 5ppm/K 이하, 바람직하게는 2ppm/K 이하인 도전성 재료를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는 제 1 기판과, 제 1 기판과 대향하는 제 2 기판과, 유리를 포함한 밀봉재를 갖는다. 제 1 기판은 발광 디바이스와, 발광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을 갖는다. 또한 발광 디바이스는 제 1 기판, 제 2 기판, 및 밀봉재로 둘러싸인 밀봉 영역 내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배선은 밀봉 영역 외로 연장되고 일부가 밀봉재와 중첩되며, 배선을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는 상기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와 제 1 기판의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0℃ 내지 500℃의 온도 범위에서 5ppm/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글라스 프리트를 용융 및 고화하여 형성된 밀봉재와 중첩하는 영역에 사용하는 배선 재료로서, 이와 같은 선열팽창 계수를 갖는 도전성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배선과 중첩되는 영역의 밀봉재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저감하여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의 발광 장치는 제 1 기판과, 제 1 기판과 대향하는 제 2 기판과, 유리를 포함한 밀봉재를 갖는다. 제 1 기판은 발광 디바이스와, 발광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을 갖는다. 또한 발광 디바이스는 제 1 기판, 제 2 기판, 및 밀봉재로 둘러싸인 밀봉 영역 내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배선은 밀봉 영역 외로 연장되고 일부가 밀봉재와 중첩되며, 배선을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는 상기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와 제 1 기판의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0℃ 내지 500℃의 온도 범위에서 2ppm/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이 기판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에 매우 가까운 선열팽창 계수를 갖는 도전성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배선과 중첩되는 영역에서의 밀봉재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배선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과 거의 같은 크기로 완화할 수 있어, 크랙의 발생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의 발광 장치는 상기 도전성 재료가 텅스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배선 재료에 사용하는 도전성 재료로서는 텅스텐(W)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라스 프리트를 사용한 밀봉 방법에 바람직한 유리 기판에 적합한 유리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 특히 무알칼리 유리의 선열팽창 계수에 텅스텐의 선열팽창 계수가 가깝기 때문에, 텅스텐을 사용하면 크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텅스텐은 저항률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배선 저항을 저감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더구나 텅스텐은 고융점 재료이며, 레이저광의 조사 공정으로 발생하는 열에 대해 매우 높은 내열성을 갖는다. 또한 텅스텐은 반도체 기술에 자주 사용되는 재료이며,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작 공정에서 동시에 배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의 발광 장치는 상기 배선과 밀봉재 사이에 밀봉재와 접촉하는 산화물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밀봉재와 상기 배선 사이에 밀봉재와 접촉하는 산화물층을 제공하면, 밀착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의 발광 장치는 밀봉재와 중첩되고 상기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완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선이 제공되지 않은, 밀봉재와 중첩된 영역에 상기 배선과 동일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완충층을 제공함으로써,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을 공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의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 디바이스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제공된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의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 디바이스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제공된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과,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는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어 기밀성이 매우 높은 밀봉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장치에 유기 EL 소자가 적용된 발광 디바이스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 디바이스가 적용된 발광 장치로서는 유기 EL 소자를 광원으로서 사용한 조명 장치나, 유기 EL 소자와 박막 트랜지스터를 조합한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유기 EL 소자와 박막 트랜지스터를 조합한 표시 장치에서는 기밀성이 매우 높은 밀봉 영역 내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공할 수 있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신뢰성이 매우 높은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 있어서, EL층이란 발광 소자의 한 쌍의 전극간에 제공되고, 적어도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발광층이라고도 함), 또는 발광층을 포함한 적층체를 가리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발광 장치란 기판 위에 형성된 화상 표시 디바이스, 또는 광원 등의 발광 디바이스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화상 표시 디바이스가 적용된 표시 장치나, 광원이 적용된 조명 장치 등은 발광 장치의 일 형태이다. 또한 발광 장치에 커넥터, 예를 들어 FPC(Flexible Printed Circuit), TAB(Tape Automated Bonding) 테이프 또는 TCP(Tape Carrier Package)가 장착된 모듈, TAB 테이프나 TCP 끝에 프린트 배선판이 형성된 모듈, 또는 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에 COG(Chip On Glass) 방식에 의해 IC(집적회로)가 직접 실장된 모듈도 모두 발광 장치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어 신뢰성이 높은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EL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가 적용된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가 적용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자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제시하는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하는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다른 도면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의 크기, 층의 두께, 또는 영역은 명료화를 위해서 과장되어 도시된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반드시 그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 1a 내지 도 3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구성예>
도 1a는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발광 장치(100)의 상면 개략도이다. 또한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절단선 A-A’부분의 단면 개략도이다.
발광 장치(100)는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11)이 제 2 기판(111)의 외주부에서 밀봉재(107)로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 장치(100)는 제 1 기판(101), 제 2 기판(111), 및 밀봉재(107)로 둘러싸인, 기밀성이 매우 높은 밀봉 영역(113)을 구비한다.
또한 발광 장치(100)에 있어서, 밀봉 영역(113) 내에 발광 디바이스(103)를 구비한다. 발광 디바이스(103)로서는 유기 EL 소자가 적용된 화상 표시 디바이스 또는 광원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발광 디바이스(103)의 구성예에 대해서는 이후의 실시형태에서 기재한다.
또한 제 1 기판(101) 위에 발광 디바이스(1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밀봉 영역(113) 내로부터 밀봉 영역 외로 연장되는 배선(105)을 갖는다. 배선(105)은 발광 디바이스(103)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전위나 공통 전위, 및 구동 신호 등의 전기 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하기 위한 배선이다. 여기서 배선(105)은 일부가 밀봉재(107)와 중첩되어 형성된다.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11)으로서는 밀봉재(107)의 형성시의 온도에 대해 내열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한다. 또한 발광 디바이스(103)로부터의 발광이 추출되는 측에 형성되는 기판에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한다.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11) 중 한쪽 또는 양쪽으로서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발광 디바이스(103)가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반도체 소자의 특성을 열화시키는 불순물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무알칼리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재(107)는 유리 재료를 함유하고, 글라스 프리트를 용융 및 고화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밀봉재(107)는 가스 배리어성이 매우 높아, 기밀성이 높은 밀봉 영역(113)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재(107)에 사용하는 유리 재료에는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11)의 밀봉재(107)의 형성시의 온도 범위에서의 선열팽창 계수나, 기판의 내열 온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밀봉재(107)에 사용하는 유리 재료로서, 예를 들어 산화 마그네슘, 산화 칼슘, 산화 바륨, 산화 리튬, 산화 나트륨, 산화 칼륨, 산화 붕소, 산화 바나듐, 산화 아연, 산화 텔루르, 산화 알루미늄, 이산화 실리콘, 산화 납, 산화 주석, 산화 인, 산화 루테늄, 산화 로듐, 산화 철, 산화 구리, 산화 티타늄, 산화 텅스텐, 산화 비스무스, 산화 안티몬, 붕산납 유리, 인산주석 유리, 바나듐산 염 유리, 및 보로실리케이트 유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재(107)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재료로 구성된 분말 유리로 이루어진 프리트재에, 예를 들어 유기 용매로 희석한 수지로 이루어진 바인더를 혼합한 프리트 페이스트를 제 1 기판(101) 또는 제 2 기판(111) 위에 스크린 인쇄법이나 디스펜서법 등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이어서, 임시 소성을 수행하여 프리트 페이스트 내의 유기 용매 및 바인더를 제거한다. 그 다음에 유기 용매 및 바인더가 제거된 프리트 페이스트와, 대향하는 기판이 접촉하도록 2개의 기판을 접합하고, 상기 프리트 페이스트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융착시킴으로써, 밀봉재(107)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밀봉재(107) 내에는 상기 유기 용매나 바인더 등에 포함되는 성분, 또는 이들이 열로 인하여 변질한 성분 등이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레이저광의 조사시에 밀봉 영역(113)의 내부가 불활성 가스 분위기, 또는 감압 분위기가 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레이저광을 조사하기 전에 미리 프리트 페이스트가 도포되는 영역보다 외측 또는 내측의 영역에 자외선 경화 수지나 열경화 수지 등의 씰재를 형성하고,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 또는 감압 분위기하에서 2개의 기판을 상기 씰재로 임시적으로 접착한다. 이 후 대기 분위기하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밀봉재(107)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씰재를 폐곡선을 이루도록 제공하면, 밀봉 영역(113) 내부가 불활성 분위기 또는 감압 분위기로 유지되고, 대기 분위기하에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미리 밀봉 영역(113) 내부를 감압 분위기로 하면, 레이저광의 조사시에 2개의 기판을 누르기 위한 클램프(clamp) 등의 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압력차에 의해 프리트 페이스트와 대향하는 기판이 확실히 접촉한 상태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밀봉재(107)를 형성할 때, 밀봉재(107)는 피접착면과 용착할 만큼 매우 고온까지 순간적으로 가열된다. 이 때, 밀봉재(107) 근방의 제 1 기판(101), 제 2 기판(111), 및 배선(105) 등도 고온으로 가열된다.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영역에서의 배선(105)의 도달 온도는 밀봉재(107)의 재료나,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 레이저광의 조사 영역 근방에서의 열전도성 및 열용량의 크기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200℃ 이상 500℃ 이하까지 도달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200℃ 이상 800℃ 이하까지 도달할 수도 있다.
배선(105)에 사용하는 도전성 재료로서는 배선(105)이 제공되는 제 1 기판(101)에 사용하는 기판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에 가까운 선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를 사용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와 기판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적어도 0℃ 내지 500℃의 범위에서 5ppm/K 이하, 바람직하게는 2ppm/K 이하인 도전성 재료를 사용한다.
배선(105)에 사용하는 도전성 재료는 비교적 저저항 재료를, 사용하는 기판 재료가 갖는 선열팽창 계수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면 좋다. 예를 들어, 기판 재료로서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몰리브덴, 티타늄, 이리듐, 크롬, 탄탈, 백금, 바나듐, 로듐 등의 도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선(105)은 상술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도전막을 단층으로 또는 적층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상술한 도전성 재료를 주성분(예를 들어, 함유율이 50% 이상)으로 함유한 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막을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배선(105)에 사용하는 도전성 재료로서 기판 재료와 상기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5ppm/K 이하인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배선(105)과 중첩되는 영역의 밀봉재(107)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재료와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2ppm/K 이하로 매우 작은 경우, 상기 응력의 크기를 배선(105)과 중첩되지 않은 영역과 거의 같은 크기로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재료에 따라 최적으로 선택된 프리트재로 이루어진 밀봉재(107)를 사용한 경우에도, 배선(105)과 중첩되는 영역에 가해지는 응력에 기인한 크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선(105)에 사용하는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와, 제 1 기판(101)의 선열팽창 계수의 값이 가깝기 때문에, 레이저광의 조사 공정에서 이들이 가열된 경우에도 배선(105)과 제 1 기판(101) 사이에서의 열팽창의 크기의 차이에 따른 크랙의 발생이나 계면의 박리 등의 불량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선(105)에 사용하는 도전성 재료로서 텅스텐(W)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라스 프리트를 사용한 밀봉 방법에 바람직한 유리 기판에 적합한 유리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 특히 무알칼리 유리의 선열팽창 계수에 텅스텐의 선열팽창 계수가 가깝고 저항률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배선 저항을 저감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텅스텐은 고융점 재료이며, 레이저광의 조사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대해 매우 높은 내열성을 가지기 때문에,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이나 밀봉재(107)에 사용하는 재료 선택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텅스텐은 반도체 기술에 자주 사용되는 재료이며,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로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작 공정에서 동시에 배선(105)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재와 접촉하는 산화물층을 적용하는 구성예>
여기서, 배선(105)과 밀봉재(107) 사이에는 밀봉재(107)와 접촉하는 산화물층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c에는 배선(105)과 밀봉재(107) 사이에 산화물층(109)을 제공한 예를 도시하였다. 산화물층(109)은 배선(105)을 덮도록 형성되고, 또 밀봉재(107)가 산화물층(109)에 접촉하여 형성됨으로써, 밀봉 영역(1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봉 영역(113)보다 외측의 일부의 영역에서 배선(105)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산화물층(109)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발광 디바이스(103)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산화물층(109)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금속 산화물 또는 반도체 산화물 등의 내열성이 비교적 높은 무기 산화물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실리콘, 알루미늄, 탄탈, 텅스텐, 이트륨, 하프늄, 갈륨 등의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층(109)으로서 배선(105)에 사용하는 도전성 재료의 산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선(105)의 표면을 산화성을 갖는 기체를 함유한 분위기하에서 열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 등에 의해 산화하여 얻어지는 산화막을 산화물층(109)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는 배선(105)의 표면에 형성되는 자연 산화막을 산화물층(109)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산화물층(109)은 복수의 산화막으로 이루어진 막을 적층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배선(105)의 표면을 산화하여 얻어진 산화막과, 별도로 형성한 산화막을 적층한 것을 산화물층(109)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 1c에서는 배선(105)을 덮도록 산화물층(109)을 형성하는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산화물층(109)은 적어도 밀봉재(107)와 중첩하는 영역에 형성하면 좋다.
<저저항 배선을 적용하는 구성예>
그런데, 밀봉재(107)에 가해지는 응력에 기인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영역의 배선(105)에 상술한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면 좋고, 다른 영역에는 배선(105)보다 단위 길이당 저항값이 낮은 배선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하에서는 배선(105)과 배선(105)보다 저저항의 저저항 배선(115)을 적용하는 경우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 2a 내지 도 2d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배선(105)과 밀봉재(107)가 중첩되는 영역 부근에서의 상면 개략도이다. 또한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절단선 B-B’부분의 단면 개략도이다.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배선(105)이 산화물층(109)을 개재(介在)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선(105)의 양단부에 있어서, 접속부(117)에서 저저항 배선(11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밀봉 영역(113)(도시하지 않았음) 내에서 저저항 배선(115)의 한쪽 단부가 배선(105)과 접속부(117)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쪽 단부가 발광 디바이스(103)(도시하지 않았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밀봉 영역(113) 외에서는 배선(10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105) 위에는 절연층(119)을 제공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제 1 기판(101)의 선열팽창 계수에 가까운 선열팽창 계수를 갖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배선(105)을 형성하여 크랙의 발생을 억제함과 함께, 그 외의 영역에서는 저저항 배선(115)을 사용함으로써 배선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105)의 배선 폭을 저저항 배선(115)의 배선 폭보다 작게 하면, 저저항 배선(115)의 배선간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디바이스(103)로서 매우 고정세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나 입력하는 신호의 종류가 많은 경우에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저저항 도전성 재료를 저저항 배선(115)에 사용하고 그 배선 폭이나 배선간 거리를 가능한 한 작게 하여, 배선의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105)의 배선 폭을 저저항 배선(115)의 배선 폭보다 크게 함으로써, 배선(105)에서의 배선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선(105)의 배선 폭을 배선간 거리보다 가능한 한 크게 함으로써, 복수의 배선(105)과 밀봉재(107)의 교차부에서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을 통일시킬 수 있다.
<완충층을 적용하는 경우의 구성예>
여기서, 배선(105)뿐만 아니라, 밀봉재(107)가 형성되는 영역에 상술한 배선(105)에 사용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완충층을 제공함으로써, 크랙의 발생을 억제함과 함께 레이저광의 조사를 단일의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완충층을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3a 내지 도 3c를 사용하여 예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완충층(121)이 적용된 발광 장치(100)의 상면 개략도이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에서 명료화를 위해서 제 1 기판(101), 배선(105) 및 완충층(121)만을 명시하였고, 밀봉재(107) 및 발광 디바이스(103)가 형성되는 영역을 파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3a에서는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완충층(121)이 발광 디바이스(103)를 둘러싸도록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밀봉재(107)와 중첩되도록 완충층(121)을 배치함으로써,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으로서 복수의 배선(105)이 형성된 영역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완충층(121)은 배선(105)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완충층(121)과 배선(105)을 각각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완충층(121)을 배선(105)과 상이한 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연층을 개재하여 완충층(121)과 배선(105)을 중첩하여 형성하고, 완충층(121)이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밀봉재(107) 아래에는 완충층(121)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일의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을 이용하여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배선(10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완충층(121) 위에 밀봉재(107)와 접촉하는 산화물층(109)을 형성하면, 완충층(121)과 밀봉재(107)의 밀착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층(121)에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완충층(121)을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영역에 완충층(121)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밀봉재(107)와 도전성 재료가 중첩되는 면적의 비율을 복수의 배선(105)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과 동등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광을 조사할 때 레이저광의 도전성 재료로부터의 표면 반사의 영향이나 레이저광의 조사 영역 부근의 열 특성 등을 통일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형성되는 밀봉재(107)의 형상이나 밀착성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 3c에 있어서, 복수의 완충층(121) 각각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발광 장치는 글라스 프리트를 용융 및 고화하여 형성된 밀봉재와 중첩된 영역에 제공되는 배선에, 기판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에 가까운 선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밀봉재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배선과 중첩되지 않은 영역과 동등한 크기로 완화할 수 있어, 상기 응력에 기인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장치에는 유기 EL 소자가 적용된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발광 장치로 함으로써, 크랙에 의해 기밀성이 저하되는 일이 억제되어, 신뢰성이 매우 높은 발광 장치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 중에서 기재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 예시한 발광 디바이스로서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 EL 소자를 조합한 화상 표시 디바이스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 4a 내지 도 5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표시 장치(200)의 상면 개략도이다. 표시 장치(200)는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11)이 밀봉재(107)에 의해 접착되고, 기밀성이 매우 높은 밀봉 영역(113)을 갖는다. 또한 밀봉 영역(113) 내에는 제 1 기판(101) 위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화소부(201)와, 화소부(201)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부(203)를 갖는다. 또한 표시 장치(200)는 구동 회로부(2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밀봉 영역(113) 내로부터 밀봉 영역(113) 외로 연장하는 복수의 배선(105)을 갖는다. 또한 밀봉 영역(113) 외에 복수의 배선(10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FPC(205)가 제공되고, FPC(205) 및 복수의 배선(105)을 통하여 구동 회로부(203)에 전원 전위나 공통 전위, 및 구동 신호 등의 전기 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밀봉 영역(113) 내의 화소부(201) 및 구동 회로부(203)를 포함한 구성이 발광 디바이스에 상당한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FPC(205), 배선(105), 구동 회로부(203), 및 화소부(201)를 포함한 영역을 절단하는 절단선 C-C’부분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b에는 구동 회로부(203)로서 n채널형 트랜지스터(213)와 p채널형 트랜지스터(214)를 조합한 CMOS회로를 갖는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구동 회로부(203)를 구성하는 회로는 각종 CMOS회로, PMOS회로, 또는 NMOS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소부가 형성되는 기판 위에 구동 회로부가 형성된 드라이버 일체형의 구성을 제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부가 형성된 기판 위와는 별도로 구동 회로부를 제공하여도 좋다.
도 4b에는 화소부(201)로서 하나의 화소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였다. 화소부(201)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215)와, 전류 제어용 트랜지스터(216)와, 트랜지스터(216)의 전극(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화소 전극(223)을 포함한 복수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소 전극(223)의 단부를 덮는 절연층(21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회로부(203)나 화소부(201)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태거형 트랜지스터이어도 좋고, 역 스태거형 트랜지스터이어도 좋다. 또한 상부 게이트(top-gate)형 및 하부 게이트(bottom-gate)형 중 어느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실리콘을 사용하여도 좋고, 인듐, 갈륨, 및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한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의 결정성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정질 반도체, 결정성 반도체 중 어느 쪽이나 사용할 수 있다.
발광 소자(221)는 화소 전극(223), EL층(225), 및 공통 전극(227)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의 구조나 재료 등에 대해서는 이후의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소 전극(223) 및 공통 전극(227)에 사용하는 도전성 재료로서, 광사출 측에 제공되는 전극에는 EL층(225)으로부터의 발광에 대한 투광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고, 광사출 측과 반대측에 제공되는 전극에는 상기 발광에 대한 반사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한다.
광사출 측의 전극에 사용할 수 있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산화 인듐, 인듐주석 산화물, 인듐아연 산화물, 산화 아연, 갈륨이 첨가된 산화 아연, 그래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재료로서 금, 은, 백금, 마그네슘, 니켈, 텅스텐, 크롬, 몰리브덴, 철, 코발트, 구리, 팔라듐, 또는 티타늄 등의 금속 재료나, 이들 금속 재료를 함유한 합금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금속 재료의 질화물(예를 들어 질화 티타늄)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금속 재료(또는 그 질화물)를 사용하는 경우, 투광성을 가질 만큼 얇게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재료의 적층막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과, 인듐주석 산화물의 적층막 등을 사용하면,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광사출 측과 반대측의 전극에 사용할 수 있는 반사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금, 백금, 은, 니켈, 텅스텐, 크롬, 몰리브덴, 철, 티타늄, 코발트, 구리, 또는 팔라듐 등의 금속 재료나, 상기 금속 재료를 함유한 합금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금속 재료나, 상기 금속 재료를 함유한 합금 재료에 란탄, 네오디뮴, 또는 게르마늄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합금, 알루미늄과 니켈의 합금, 알루미늄과 네오디뮴의 합금 등 알루미늄을 함유한 합금(알루미늄 합금)이나, 은과 구리의 합금,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 등 은을 함유한 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은과 구리의 합금은 내열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막에 접촉하도록 금속막 또는 금속 산화물막을 적층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막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금속막, 금속 산화물막의 재료로서는 티타늄, 산화 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막과,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막을 적층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은과 인듐주석 산화물의 적층,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과 인듐주석 산화물의 적층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절연층(219)은 화소 전극(223)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절연층(219)의 상층에 형성되는 공통 전극(227)의 피복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절연층(219)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곡률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절연층(219)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곡률 반경(0.2μm 내지 3μm)을 갖는 곡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층(219)의 재료로서는 네거티브형 감광성 수지, 또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등의 유기 화합물이나, 산화 실리콘, 산질화 실리콘 등의 무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판(101) 표면에는 절연층(229)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229)은 제 1 기판(101)에 포함된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각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을 구성하는 제 2 도전층 위에 접촉하는 절연층(231)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231)은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반도체로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절연층(229) 및 절연층(231)에는 불순물의 확산을 억제하는 무기 절연막을 사용하면 좋고, 예를 들어, 산화 실리콘이나 산화 알루미늄 등의 반도체 산화물 또는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229) 및 절연층(231)은 불필요하면 제공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각 트랜지스터를 덮는 절연층(241)으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 실리콘, 산질화 실리콘, 질화 실리콘, 산화 알루미늄 등의 무기 절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폴리이미드, 실록산 등의 유기 절연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제 2 기판(111)에는 발광 소자(221)와 중첩되는 위치에 컬러 필터(233)가 제공되어 있다. 컬러 필터(233)는 발광 소자(221)로부터의 발광색을 조색하는 목적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백색 발광의 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풀 컬러 표시 장치로 하는 경우에는 상이한 색의 컬러 필터가 제공된 복수의 화소를 사용한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청색(B)의 3색을 사용하여도 좋고, 상기 3색에 황색(Y)을 추가한 4색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인접한 컬러 필터(233)들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235)가 제공되어 있다. 블랙 매트릭스(235)는 인접한 화소의 발광 소자(221)로부터의 빛을 차광하여 인접한 화소간에서의 혼색을 억제한다. 여기서, 컬러 필터(233)의 단부가 블랙 매트릭스(235)와 중첩되도록 제공함으로써 광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235)는 발광 소자(221)로부터 발광된 빛을 차광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금속이나 유기 수지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235)는 구동 회로부(203) 등의 화소부(201) 이외의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컬러 필터(233) 및 블랙 매트릭스(235)를 덮는 오버 코트(237)를 제공하여도 좋다. 오버 코트(237)는 발광 소자(221)로부터의 발광을 투과시키는 재료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무기 절연막이나 유기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버 코트(237)는 불필요하면 제공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4b에 도시한 단면 개략도에서는 발광 소자(221)를 하나만 도시하였지만, 화소부(201)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소부(201)에 3종류(R, G, B)의 발광을 얻을 수 있는 발광 소자를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풀 컬러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후의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백색 발광 EL층을 갖는 발광 소자와 컬러 필터를 조합함으로써, 풀 컬러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는 전면 사출 방식(top-emission 방식이라고도 함), 배면 사출 방식(bottom-emission 방식이라고도 함), 및 양면 사출 방식 중 어느 것이나 채용할 수 있다. 배면 사출 방식에서 컬러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사출 측에 컬러 필터를 제공하면 좋다.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11)은 제 2 기판(111)의 외주부에서 밀봉재(107)에 의해 접착되어, 밀봉 영역(1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221)는 밀봉 영역(113) 내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밀봉 영역(113)은 희가스 또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또는 유기 수지나 겔 등으로 충전되어 있어도 좋고, 감압 분위기가 되어 있어도 좋다. 밀봉 영역(113) 내를 가스나 고체, 겔 등으로 충전시키는 경우나 감압 분위기로 하는 경우, 밀봉 영역(113) 내를 물이나 산소 등 불순물이 저감된 상태로 하면 발광 소자(221)의 신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 회로부(20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105)이 밀봉 영역(113) 외로 연장되어, 밀봉 영역(113) 외의 일부에서 접속체(239)를 통하여 FPC(20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는 제 1 도전층과 동일한 층으로 배선(105)이 구성되어 있다. 배선(105)은 각 트랜지스터를 덮는 절연층(241)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구동 회로부(2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배선(105)을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는 제 1 도전층과 동일한 층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배선(105)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배선(105)의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영역에서는 배선(105) 위에 밀봉재(107)와 접촉하는 산화물층으로서 절연층(231)이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절연층(231)은 실시형태 1에서 예시한 산화물층(109)과 같은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각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덮는 절연층(231)과 동일한 층으로 구성하였지만,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여 별도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산화물층을 밀봉재(107)에 접촉하도록 제공함으로써, 밀봉재(107)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트랜지스터를 덮는 절연층(241)을 반도체 산화물 또는 금속 산화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절연층(241)을 밀봉재(107)에 접촉하는 산화물층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밀봉재(107)에 접촉하는 산화물층에는 트랜지스터나 발광 소자를 구성하고, 배선(105)에 사용하는 도전층보다 상층에 제공되는 산화물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적용할 수 있다. 산화물층을 상기 절연층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제작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배선(105)과 FPC(205)는 접속체(239)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체(239)로서는 열경화성 수지에 금속 입자를 혼합한 페이스트상 또는 시트상의 재료를 사용하고, 열압착에 의해 이방성 도전성을 나타내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니켈 입자를 금으로 피복한 것 등 2종류 이상의 금속이 층상으로 된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다른 영역에는 완충층(121)이 제공되어 있다. 완충층(121)은 배선(105)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완충층(121) 위에는 배선(105)과 마찬가지로 밀봉재(107)와 접촉하는 산화물막으로서 절연층(231)이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영역에 완충층(121)을 제공함으로써, 밀봉재(107)를 형성할 때, 단일의 레이저 조사 조건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여기서, 배선(105)은 적어도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영역에 제공하면 좋고, 그 외의 영역에 저저항 배선을 사용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저저항 배선을 적용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도 5a 및 도 5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접속체(239)를 통하여 FPC(20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저저항 배선(115)이 제공되어 있다. 저저항 배선(115)은 밀봉 영역(113) 외에서 절연층(241)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배선(10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는 저저항 배선(115)이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배선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저저항 배선(115)은 예를 들어 각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층, 또는 화소 전극(223)과 동일한 층, 또는 이들의 적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나 발광 소자에 사용하는 도전층으로 저저항 배선(115)을 구성함으로써, 이들 제작 공정에서 동시에 저저항 배선(115)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체(239)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저저항 배선(115)과 배선(105)과 동일한 도전층을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FPC(205)와의 접속부의 배선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5b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밀봉 영역(113) 외에서 배선(105)과 저저항 배선(115)을 적층시켜 리드 배선(lead wiring)으로서 사용한다.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배선을 적층하여 사용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더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표시 장치는 글라스 프리트를 용융 및 고화하여 형성된 밀봉재와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배선에, 기판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에 가까운 선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밀봉재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배선과 중첩되지 않은 영역과 동등한 크기로 완화할 수 있어 상기 응력에 기인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기 EL 소자가 적용된 표시 장치로 함으로써, 크랙에 의해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되어, 신뢰성이 매우 높은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 중에서 기재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 예시한 발광 디바이스로서, 유기 EL 소자를 갖는 광원을 사용한 조명 장치의 일례에 대해 도 6a 및 도 6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조명 장치(300)의 상면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 6a에는 명료화를 위해서 상부 전극(307) 및 EL층(305)은 명시하지 않았고 제 2 기판(111)은 파선으로 도시하였다.
조명 장치(300)는 제 1 기판(101), 제 2 기판(111), 밀봉재(107)에 둘러싸인 밀봉 영역(113) 내에 유기 EL 소자가 적용된 발광 소자(311)를 갖는다. 또한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하부 전극(30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105b)과, 상부 전극(30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저저항 배선(1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105a)이 밀봉 영역(113) 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공되어 있다. 또한 밀봉 영역(113) 외에는 상기 배선(105a) 및 배선(105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전극(309a) 및 접속 전극(309b)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300)는 접속 전극(309a) 및 접속 전극(309b)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광 소자(311)를 발광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밀봉 영역(113) 내에 제공된 하부 전극(303) 및 상부 전극(307)을 포함한 발광 소자(311), 및 저저항 배선(115)을 포함한 구성이 발광 디바이스에 상당한다.
도 6b는 도 6a 내의 접속 전극(309a), 배선(105a), 저저항 배선(115), 및 하부 전극(303)을 포함한 영역을 절단하는 절단선 D-D’부분의 단면 개략도이다.
발광 소자(311)는 절연층(313) 위에 형성되고, 하부 전극(303), EL층(305), 및 하부 전극(307)으로 구성된다. 발광 소자의 구조나 재료 등에 대해서는 이후의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절연층(313) 위에는 저저항 배선(115)이 발광 소자(311)를 둘러싸도록 제공되어 있다.
저저항 배선(115)과 하부 전극(303)의 단부는 절연층(315)으로 덮여 있다. 절연층(315)으로서 실시형태 2에서 예시한 절연층(219)과 같은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상부 전극(307)은 절연층(315)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저저항 배선(1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발광 소자(311)를 제공하고, 발광 소자 사이에 상부 전극(307)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저저항 배선(115)을 제공함으로써, 상부 전극(307)의 저항에 기인한 전위 강하가 억제되어, 발광 휘도 편차를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6b에서는 명료화를 위해서 하부 전극(303)과 저저항 배선(115)을 상이한 해칭 패턴을 이용하여 명시하였지만, 하부 전극(303)이 충분히 저저항인 경우에는 이들을 같은 막을 사용하여 동시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저항 배선(115)과 하부 전극(303)이 중첩되지 않도록 병렬하여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들이 절연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어, 저저항 배선(115)을 하부 전극(303) 위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저저항 배선(115)의 일부는 절연층(313)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배선(105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105a)은 밀봉 영역(113) 외에 연장되어, 접속 전극(309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배선(105a) 및 배선(105b)은 적어도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하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봉 영역(113) 외에서는 배선(105a) 및 배선(105b)을 리드 배선으로 구성으로 하였지만, 상기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저저항 배선(115)을 리드 배선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배선(105a) 및 배선(105b) 위에 밀봉재(107)와 접촉하는 산화물층을 형성함으로써, 밀봉재(107)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완충층(121)을 밀봉재(107)와 중첩되는 영역에 제공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조명 장치는 글라스 프리트를 용융 및 고화하여 형성된 밀봉재와 중첩되는 영역에 제공되는 배선에, 기판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에 가까운 선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를 사용한다. 따라서, 밀봉재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배선과 중첩되지 않은 영역과 동등한 크기로 완화할 수 있어서, 상기 응력에 기인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기 EL 소자가 적용된 조명 장치로 함으로써, 크랙에 의해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되어, 신뢰성이 매우 높은 조명 장치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 중에서 기재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적용할 수 있는 EL층의 일례에 대해서 도 7a 내지 도 7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한 EL층(405)은 제 1 전극(403)과 제 2 전극(407)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제 1 전극(403) 및 제 2 전극(407)은 실시형태 2에서 예시한 화소 전극 또는 공통 전극, 또는 실시형태 3에서 예시한 하부 전극 또는 상부 전극과 같은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EL층(405)을 갖는 발광 소자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발광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EL층(405)은 적어도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발광층을 포함하면 좋다. 이 외에,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한 층,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한 층, 전자 주입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한 층, 정공 주입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한 층, 양극성(bipolar) 물질(전자 수송성 및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한 층 등을 적절히 조합한 적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EL층(405)은 제 1 전극(403)측 위에 차례로 정공 주입층(701), 정공 수송층(702),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703), 전자 수송층(704), 및 전자 주입층(705)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이들을 반전시킨 적층 구조로 하여도 좋다.
도 7a에 도시한 발광 소자가 갖는 EL층(405)의 제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공 주입층(701)은 정공 주입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한 층이다. 정공 주입성이 높은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몰리브덴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바나듐 산화물, 레늄 산화물, 루테늄 산화물, 크롬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탄탈 산화물, 은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망간 산화물 등의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탈로시아닌(약칭: H2Pc), 구리(II)프탈로시아닌(약칭: CuPc) 등의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분자 유기 화합물인 방향족 아민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화합물(올리고머, 덴드리머, 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산(酸)을 첨가한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701)으로서, 정공 수송성이 높은 유기 화합물에 억셉터성 물질을 함유시킨 복합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에 억셉터성 물질을 함유시킨 복합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제 1 전극(403)으로부터의 정공 주입성을 양호하게 하여,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을 저감할 수 있다. 이들 복합재료는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과 억셉터성 물질(전자 수용체)을 공증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정공 주입층(701)을 형성함으로써, 제 1 전극(403)으로부터 EL층(405)에 정공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로서, 방향족 아민 화합물, 카바졸 유도체, 방향족 탄소화 수소, 고분자 화합물(올리고머, 덴드리머, 폴리머 등)과 같은 다양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합재료에 사용하는 유기 화합물로서는 정공 수송성이 높은 유기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0-6cm2/Vs 이상의 정공 이동도를 갖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자보다 정공의 수송성이 높은 물질이면 이들 외의 물질을 사용하여도 좋다.
복합재료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로서는, 방향족 아민 화합물, 카바졸 유도체나, 그 외에 정공 이동도가 높은 방향족 탄소화 수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억셉터성 물질로서는 유기 화합물이나 전이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원소 주기율표의 4족 내지 8족에 속하는 금속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화 바나듐, 산화 니오브, 산화 탄탈, 산화 크롬, 산화 몰리브덴, 산화 텅스텐, 산화 망간, 산화 레늄은 전자 수용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산화 몰리브덴은 대기 중에서도 안정적이고 흡습성이 낮으며 취급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고분자 화합물과 상술한 전자 수용체를 사용하여 복합재료를 형성하여 정공 주입층(701)에 사용하여도 좋다.
정공 수송층(702)은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한 층이다.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 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주로 10-6cm2/Vs 이상의 정공 이동도를 갖는 물질이다. 다만, 전자보다 정공의 수송성이 높은 물질이면 이들 외의 물질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정공 수송층(702)은 단층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물질로 이루어진 층이 2층 이상 적층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정공 수송층(702)에는 카바졸 유도체, 안트라센 유도체나, 정공 수송성이 높은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703)은 형광(螢光)을 발광하는 형광성 화합물이나 인광을 발광하는 인광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703)으로서는, 발광성 유기 화합물(게스트 재료)을 다른 물질(호스트 재료)로 분산시킨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호스트 재료로서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발광성 물질보다 최저 비점유 분자궤도 준위(LUMO 준위)가 높고, 최고 점유 분자궤도 준위(HOMO 준위)가 낮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 종류의 호스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결정화를 억제하는 물질을 추가적으로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게스트 재료에 에너지를 더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또 다른 물질을 추가적으로 첨가하여도 좋다.
게스트 재료를 호스트 재료에 분산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703)의 결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게스트 재료가 고농도인 것에 기인한 농도 소광(消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703)으로서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을 복수로 형성하고 각 층의 발광색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발광 소자 전체로서 원하는 색의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을 2개 갖는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제 1 층의 발광색과,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제 2 층의 발광색이 보색의 관계가 되도록 함으로써, 발광 소자 전체로서 백색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보색’이란 그들이 혼합되는 경우, 무채색이 되는 색들 사이의 관계를 말한다. 즉 보색 관계인 색을 발광하는 물질로부터 얻어진 빛을 혼합하면 백색 발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을 3개 이상 갖는 발광 소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전자 수송층(704)은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한 층이다.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은 주로 10-6cm2/Vs 이상의 전자 이동도를 갖는 물질이다. 또한 전자 수송층은 단층뿐만 아니라, 상술한 물질로 이루어진 층이 2층 이상 적층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전자 주입층(705)은 전자 주입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한 층이다. 전자 주입층(705)에는 리튬, 세슘, 칼슘, 불화 리튬, 불화 세슘, 불화 칼슘, 리튬 산화물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불화에르븀과 같은 희토류 금속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자 수송층(704)을 구성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정공 주입층(701), 정공 수송층(702),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703), 전자 수송층(704), 전자 주입층(705)은 각각 증착법(진공 증착법을 포함함), 잉크젯법, 도포법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EL층이 제 1 전극(403)과 제 2 전극(407) 사이에 적층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적층된 제 1 EL층(800)과 제 2 EL층(801) 사이에는 전하 발생층(803)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하 발생층(803)은 상술한 복합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하 발생층(803)은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층과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층의 적층 구조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층으로서 전자 공여성 물질(도너성 물질)과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한 층이나,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진 층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발광 소자는 에너지의 이동이나 소광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고, 재료의 선택의 여지가 넓어짐으로써 높은 발광 효율과 긴 수명의 양쪽 모두를 갖는 발광 소자로 하기 용이하다. 또한 하나의 EL층에서 인광 발광, 다른 하나의 EL층에서 형광 발광을 얻는 것도 용이하다. 이 구조는 상술한 EL층의 구조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EL층의 발광색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발광 소자 전체로서 원하는 색의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EL층을 갖는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제 1 EL층의 발광색과 제 2 EL층의 발광색을 보색 관계가 되도록 함으로써, 발광 소자 전체로서 백색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보색’이란 그들이 혼합되는 경우, 무채색이 되는 색들 사이의 관계를 말한다. 즉 보색 관계인 색을 발광하는 물질로부터 얻어진 빛을 혼합하면 백색 발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EL층을 갖는 발광 소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연색성(演色性)이 높은 백색 발광을 얻는 경우, 발광 스펙트럼이 가시광 전역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할 필요가 있어, 3개 이상의 EL층이 적층된 발광 소자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색, 청색, 녹색을 나타내는 빛을 발광하는 EL층을 각각 적층하여 발광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이한 3색 이상의 EL층이 적층된 발광 소자로 함으로써 연색성을 높일 수 있다.
제 1 전극(403)과 제 2 전극(407) 사이에 광학 조정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광학 조정층은 반사성을 갖는 전극과 투과성을 갖는 전극 사이의 광학 거리를 조정하는 층이다. 광학 조정층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범위의 파장의 빛을 강조할 수 있어 색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403)과 제 2 전극(407) 사이의 EL층(405)은 정공 주입층(701), 정공 수송층(702),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703), 전자 수송층(704), 전자 주입 버퍼층(buffer layer)(706), 전자 릴레이층(electron-relay layer)(707), 및 제 2 전극(407)에 접촉하는 복합재료층(708)을 가져도 좋다.
제 2 전극(407)에 접촉하는 복합재료층(708)을 형성함으로써, 특히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제 2 전극(407)을 형성할 때, EL층(405)이 받는 데미지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복합재료층(708)은 상술한 정공 수송성이 높은 유기 화합물에 억셉터성 물질을 함유시킨 복합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주입 버퍼층(706)을 형성함으로써, 복합재료층(708)과 전자 수송층(704) 사이의 주입 장벽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재료층(708)에서 발생한 전자를 전자 수송층(704)에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전자 주입 버퍼층(706)에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 금속, 및 이들의 화합물(알칼리 금속 화합물(산화리튬 등의 산화물, 할로겐화물, 탄산리튬이나 탄산세슘 등의 탄산염을 포함함),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산화물, 할로겐화물, 탄산염을 포함함), 또는 희토류 금속의 화합물(산화물, 할로겐화물, 탄산염을 포함함)) 등의 전자 주입성이 높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주입 버퍼층(706)이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과 도너성 물질(donor substance)을 함유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에 대해서 질량비로 0.001 이상 0.1 이하의 비율로 함유되도록 도너성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너성 물질로서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 금속, 및 이들의 화합물(알칼리 금속 화합물(산화리튬 등의 산화물, 할로겐화물, 탄산리튬이나 탄산세슘 등의 탄산염을 포함함),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산화물, 할로겐화물, 탄산염을 포함함), 또는 희토류 금속의 화합물(산화물, 할로겐화물, 탄산염을 포함함)) 외에, 테트라티아나프타센(약칭: TTN), 니켈로센, 데카메틸니켈로센 등의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로서는, 이미 기재한 전자 수송층(704)의 재료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주입 버퍼층(706)과 복합재료층(708) 사이에 전자 릴레이층(70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릴레이층(707)은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지만, 전자 수송성이 높은 전자 릴레이층(707)을 형성함으로써, 전자 주입 버퍼층(706)에 전자를 신속하게 수송할 수 있게 된다.
복합재료층(708)과 전자 주입 버퍼층(706) 사이에 전자 릴레이층(707)이 개재된 구조는 복합재료층(708)에 함유되는 억셉터성 물질과, 전자 주입 버퍼층(706)에 함유되는 도너성 물질이 상호 작용을 받기 어렵고 서로 기능을 저해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따라서, 구동 전압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 릴레이층(707)은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하며, 상기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의 LUMO 준위가 복합재료층(708)에 함유되는 억셉터성 물질의 LUMO 준위와 전자 수송층(704)에 함유되는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의 LUMO 준위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전자 릴레이층(707)이 도너성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너성 물질의 도너 준위도 복합재료층(708)에서의 억셉터성 물질의 LUMO 준위와, 전자 수송층(704)에 함유되는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의 LUMO 준위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구체적인 에너지 준위의 값으로서는 전자 릴레이층(707)에 함유되는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의 LUMO 준위는 -5.0eV 이상, 바람직하게는 -5.0eV 이상 -3.0eV 이하로 하면 좋다.
전자 릴레이층(707)에 함유되는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로서는 프탈로시아닌계 재료, 또는 금속-산소 결합과 방향족 배위자를 갖는 금속 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릴레이층(707)에 포함되는 금속-산소 결합과 방향족 배위자를 갖는 금속 착체로서는 금속-산소의 이중 결합을 갖는 금속 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산소의 이중 결합은 억셉터성(전자를 수용하기 쉬운 성질)을 갖기 때문에, 전자의 이동(주고 받음)이 더 용이하게 된다. 또한 금속-산소의 이중 결합을 갖는 금속 착체는 안정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금속-산소의 이중 결합을 갖는 금속 착체를 사용함으로써 발광 소자를 낮은 전압으로 더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금속-산소 결합과 방향족 배위자를 갖는 금속 착체로서는 프탈로시아닌계 재료가 바람직하다. 특히 분자 구조적으로 금속-산소의 이중 결합이 다른 분자에 대하여 작용하기 쉽고 억셉터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프탈로시아닌계 재료로서는 페녹시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hO-VOPc 등 페녹시기를 갖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페녹시기를 갖는 프탈로시아닌계 유도체는 용매에 용해할 수 있다. 그래서,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데 취급하기 쉽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용매에 용해할 수 있으므로 막 형성에 사용하는 장치의 유지보수(maintenance)가 용이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전자 릴레이층(707)은 도너성 물질을 추가적으로 함유하여도 좋다. 도너성 물질로서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 금속, 및 이들의 화합물(알칼리 금속 화합물(산화리튬 등의 산화물, 할로겐화물, 탄산리튬이나 탄산세슘 등의 탄산염을 포함함),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산화물, 할로겐화물, 탄산염을 포함함), 또는 희토류 금속 화합물(산화물, 할로겐화물, 탄산염을 포함함)) 외에, 테트라티아나프타센(약칭: TTN), 니켈로센, 데카메틸니켈로센 등의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릴레이층(707)에 이들 도너성 물질을 함유시킴으로써, 전자가 이동하기 쉬워져 발광 소자를 더 낮은 전압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전자 릴레이층(707)에 도너성 물질을 함유시키는 경우,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로서는 상술한 재료 외에, 복합재료층(708)에 함유되는 억셉터성 물질의 억셉터 준위보다 높은 LUMO 준위를 갖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에너지 준위로서는 -5.0eV 이상, 바람직하게는 -5.0eV 이상 -3.0eV 이하의 범위에서 LUMO 준위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페릴렌 유도체나 함질소 축합 방향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함질소 축합 방향족 화합물은 안정적이기 때문에, 전자 릴레이층(707)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로서 바람직한 재료이다.
또한 전자 릴레이층(707)에 도너성 물질을 함유시키는 경우,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과 도너성 물질을 공증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전자 릴레이층(707)을 형성하면 좋다.
정공 주입층(701), 정공 수송층(702),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703), 및 전자 수송층(704)은 상술한 재료를 사용하여 각각 형성하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의 EL층(405)을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 중에서 기재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가 적용된 전자 기기나 조명 장치의 예에 대하여 도 8a 내지 도 8e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발광 장치를 적용한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어, 텔레비전 장치(텔레비전,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라고도 함), 컴퓨터용 등의 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포토 프레임, 휴대 전화기(휴대 전화, 휴대전화 장치라고도 함), 휴대형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 음향 재생 장치, 파친코(pachinko)기 등의 대형 게임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예를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하였다.
도 8a는 텔레비전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텔레비전 장치(7100)는 하우징(7101)에 표시부(7103)가 내장되어 있다. 표시부(7103)에 의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발광 장치를 표시부(7103)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스탠드(7105)에 의해 하우징(7101)을 지지한 구성을 도시하였다.
텔레비전 장치(7100)는 하우징(7101)이 구비하는 조작 스위치나, 별도로 제공된 리모트 컨트롤러(7110)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7110)가 구비하는 조작 키(7109)에 의해 채널이나 음량을 조작할 수 있고, 표시부(7103)에 표시되는 영상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7110)로부터 출력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7107)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110)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7100)는 수신기나 모뎀 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수신기에 의해 일반적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할 수 있으며, 추가로 모뎀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일방향(송신자로부터 수신자) 또는 쌍방향(송신자와 수신자간 또는 수신자들간 등)의 정보 통신을 할 수도 있다.
도 8b는 컴퓨터이며, 본체(7201), 하우징(7202), 표시부(7203), 키보드(7204), 외부 접속 포트(7205), 포인팅 디바이스(7206)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는 발광 장치를 그 표시부(7203)에 사용하여 제작된다.
도 8c는 휴대형 게임기이며, 2개의 하우징(7301, 7302)으로 구성되고, 연결부(7303)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7301)에는 표시부(7304)가 내장되어 있고, 하우징(7302)에는 표시부(7305)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도 8c에 도시한 휴대형 게임기는 상술한 것 이외에, 스피커부(7306), 기록매체 삽입부(7307), LED 램프(7308), 입력 수단(조작 키(7309), 접속 단자(7310), 센서(7311)(힘, 변위, 위치, 속도, 가속도, 각속도, 회전수, 거리, 빛, 액체, 자기, 온도, 화학물질, 음성, 시간, 경도(硬度), 전기장, 전류, 전압, 전력, 방사선, 유량, 습도, 경도(傾度), 진동, 냄새 또는 적외선을 측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 마이크로폰(7312)) 등을 구비한다. 물론, 휴대형 게임기의 구성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표시부(7304) 및 표시부(7305)의 양쪽 또는 한쪽에 발광 장치를 사용하면 되고, 다른 부속 설비가 적절히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8c에 도시한 휴대형 게임기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기능이나, 다른 휴대형 게임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 8c에 도시한 휴대형 게임기가 갖는 기능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8d는 휴대 전화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7400)는 하우징(7401)에 내장된 표시부(7402) 외에, 조작 버튼(7403), 외부 접속 포트(7404), 스피커(7405), 마이크로폰(7406) 등을 구비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7400)는 발광 장치를 표시부(7402)에 사용하여 제작된다.
도 8d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7400)는 표시부(7402)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전화를 걸거나 메일을 작성하는 등의 조작은 표시부(7402)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7402)의 화면은 주로 3가지 모드가 있다. 제 1 모드는 화상의 표시가 주된 표시 모드이고, 제 2 모드는 문자 등의 정보의 입력이 주된 입력 모드이다. 제 3 모드는 표시 모드와 입력 모드의 2개의 모드가 혼합한 표시+입력 모드이다.
예를 들어, 전화를 걸거나 메일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표시부(7402)를 문자 입력이 주된 문자 입력 모드로 하여, 화면에 표시시킨 문자의 입력 조작을 수행하면 좋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7402)의 화면의 대부분에 키보드 또는 번호 버튼을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 전화기(7400) 내부에 자이로(gyroscope), 가속도 센서 등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를 갖는 검출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휴대 전화기(7400)의 방향(세로인지 가로인지)을 판단하여 표시부(7402)의 화면 표시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면 모드는 표시부(7402)를 터치하거나 또는 하우징(7401)의 조작 버튼(7403)을 조작함으로써 전환된다. 또한 표시부(7402)에 표시되는 화상의 종류에 따라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신호가 동영상 데이터라면 표시 모드, 텍스트 데이터라면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입력 모드에서 표시부(7402)의 광센서로 검출되는 신호를 검지하고 표시부(7402)의 터치 조작에 의한 입력이 일정 기간 없는 경우에는, 화면의 모드를 입력 모드로부터 표시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표시부(7402)는 이미지 센서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7402)를 손바닥이나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장문(掌紋)이나 지문 등을 촬상(撮像)함으로써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 근적외광을 발광하는 백라이트 또는 근적외광을 발광하는 센싱용 광원을 사용하면, 손가락 정맥이나 손바닥 정맥 등을 촬상할 수도 있다.
도 8e는 조명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조명 장치(7500)는 하우징(7501)에 광원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인 발광 장치(7503a) 내지 발광 장치(7503d)가 내장되어 있다. 조명 장치(7500)는 천정이나 벽 등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장치(7503a) 내지 발광 장치(7503d)는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눈이 피로하기 어려운 명도가 높고 옅은 색을 나타내는 빛과, 선명한 적색과, 적색 이외의 선명한 색을 나타내는 빛을 발광한다.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조건을 발광색마다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색상을 조절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폴더형 태블릿 단말이다. 도 9a는 펼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태블릿 단말은 하우징(9630), 표시부(9631a), 표시부(9631b), 표시 모드 전환 스위치(9034), 전원 스위치(9035), 전력 절약 모드 전환 스위치(9036), 후크(9033), 조작 스위치(9038)를 갖는다. 또한 상기 태블릿 단말은 발광 장치를 표시부(9631a) 및 표시부(9631b)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사용하여 제작된다.
표시부(9631a)는 일부를 터치 패널의 영역(9632a)으로 할 수 있으며, 표시된 조작 키(9637)를 터치함으로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일례로서 표시부(9631a)에 있어서 영역의 반이 표시만 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이고 영역의 나머지 반이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부(9631a)의 모든 영역이 터치 패널의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표시부(9631a)의 전체면에 키보드 버튼을 표시시킨 터치 패널로 하여, 표시부(9631b)를 표시 화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9631b)에서도 표시부(9631a)와 마찬가지로 표시부(9631b)의 일부를 터치 패널의 영역(9632b)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의 키보드 표시 전환 버튼(9639)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를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표시부(9631b)에 키보드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의 영역(9632a)과 터치 패널의 영역(9632b)에 대해 동시적으로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모드 전환 스위치(9034)는 세로 표시 또는 가로 표시 등의 표시 방향을 전환하며, 흑백 표시나 컬러 표시의 전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전력 절약 모드 전환 스위치(9036)는 태블릿 단말에 내장된 광센서로 검출되는 사용시의 외광의 광량에 따라 표시의 휘도를 최적으로 할 수 있다. 태블릿 단말은 광센서뿐만 아니라, 자이로, 가속도 센서 등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와 같은 다른 검출 장치를 내장하여도 좋다.
또한 도 9a에서는 표시부(9631b)와 표시부(9631a)의 표시 면적이 같은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서로 크기가 상이하여도 좋고 표시 품질도 상이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한쪽이 다른 쪽보다 고정세한 표시가 가능한 표시 패널로 하여도 좋다.
도 9b는 닫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태블릿 단말은 하우징(9630), 태양 전지(9633), 충방전 제어 회로(9634), 배터리(9635), DCDC 컨버터(9636)를 갖는다. 또한 도 9b에서는 충방전 제어 회로(9634)의 일례로서 배터리(9635), DCDC 컨버터(9636)를 갖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또한 태블릿 단말은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하우징(9630)을 닫은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9631a), 표시부(9631b)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며 장기 사용의 관점에서 봐도 신뢰성이 우수한 태블릿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태블릿 단말은 다양한 정보(정지 화상, 동영상, 텍스트 화상 등)를 표시하는 기능, 달력, 날짜 또는 시각 등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기능, 표시부에 표시한 정보를 터치 입력 조작하거나 편집하는 터치 입력 기능, 각종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를 제어하는 기능 등을 가질 수 있다.
태블릿 단말의 표면에 장착된 태양 전지(9633)에 의해, 전력을 터치 패널, 표시부, 또는 영상 신호 처리부 등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9633)를 하우징(9630)의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하면, 배터리(9635)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또한 배터리(9635)로서 리튬 이온 전지를 사용하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한 충방전 제어 회로(9634)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9c의 블록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9c는 태양 전지(9633), 배터리(9635), DCDC 컨버터(9636), 컨버터(9638), 스위치(SW1) 내지 스위치(SW3), 표시부(9631)를 도시한 것이며, 배터리(9635), DCDC 컨버터(9636), 컨버터(9638), 스위치(SW1) 내지 스위치(SW3)가 도 9b에 도시한 충방전 제어 회로(9634)에 대응하는 개소이다.
우선, 외광을 이용하여 태양 전지(9633)에 의해 발전되는 경우의 동작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태양 전지(9633)에 의해 발전된 전력은 배터리(9635)를 충전하기 위한 전압이 되도록 DCDC 컨버터(9636)로 승압 또는 강압된다. 또한 표시부(9631)의 동작에 태양 전지(9633)로부터의 전력이 사용될 때는 스위치(SW1)를 온 상태로 하여, 컨버터(9638)에 의해 표시부(9631)에 필요한 전압으로 승압 또는 강압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9631)에서 표시를 수행하지 않을 때는 스위치(SW1)를 오프 상태로 하고,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하여 배터리(9635)를 충전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태양 전지(9633)에 대해서는 발전 수단의 일례로서 도시하였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압전 소자(피에조 소자)나 열전 변환 소자(펠티에 소자) 등의 다른 발전 수단에 의하여 배터리(9635)를 충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무선(비접촉)으로 전력을 송수신하여 충전하는 무접점 전력 전송 모듈이나, 다른 충전 수단을 조합하여 수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한 전자 기기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전자 기기나 조명 장치 등의 발광 장치는 글라스 프리트를 용융 및 고화하여 형성된 밀봉재와 중첩된 영역에 제공되는 배선에, 기판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에 가까운 선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밀봉재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배선과 중첩되지 않은 영역과 동등한 크기로 완화할 수 있어, 상기 응력에 기인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기 EL 소자가 적용된 발광 장치는 크랙에 의해 기밀성이 저하되는 일이 억제되어, 신뢰성이 매우 높은 전자 기기나 조명 장치 등의 발광 장치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 중에서 기재한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발광 장치 101: 제 1 기판
103: 발광 디바이스 105: 배선
105a: 배선 105b: 배선
107: 밀봉재 109: 산화물층
111: 제 2 기판 113: 밀봉 영역
115: 저저항 배선 117: 접속부
119: 절연층 121: 완충층
200: 표시 장치 201: 화소부
203: 구동 회로부 205: FPC
213: 트랜지스터 214: 트랜지스터
215: 트랜지스터 216: 트랜지스터
219: 절연층 221: 발광 소자
223: 화소 전극 225: EL층
227: 공통 전극 229: 절연층
231: 절연층 233: 컬러 필터
235: 블랙 매트릭스 237: 오버 코트
239: 접속체 241: 절연층
300: 조명 장치 303: 하부 전극
305: EL층 307: 상부 전극
309a: 접속 전극 309b: 접속 전극
311: 발광 소자 313: 절연층
315: 절연층 403: 제 1 전극
405: EL층 407: 제 2 전극
701: 정공 주입층 702: 정공 수송층
703: 발광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층
704: 전자 수송층 705: 전자 주입층
706: 전자 주입 버퍼층 707: 전자 릴레이층
708: 복합재료층 800: 제 1 EL층
801: 제 2 EL층 803: 전하 발생층
7100: 텔레비전 장치 7101: 하우징
7103: 표시부 7105: 스탠드
7107: 표시부 7109: 조작 키
7110: 리모트 컨트롤러 7201: 본체
7202: 하우징 7203: 표시부
7204: 키보드 7205: 외부 접속 포트
7206: 포인팅 디바이스 7301: 하우징
7302: 하우징 7303: 연결부
7304: 표시부 7305: 표시부
7306: 스피커부 7307: 기록 매체 삽입부
7308: LED 램프 7309: 조작 키
7310: 접속 단자 7311: 센서
7312: 마이크로폰 7400: 휴대전화기
7401: 하우징 7402: 표시부
7403: 조작 버튼 7404: 외부 접속 포트
7405: 스피커 7406: 마이크로폰
7500: 조명 장치 7501: 하우징
7503: 발광 장치 9630: 하우징
9631: 표시부 9631a: 표시부
9631b: 표시부 9632a: 영역
9632b: 영역 9633: 태양 전지
9634: 충방전 제어 회로 9635: 배터리
9636: DCDC 컨버터 9637: 조작 키
9638: 컨버터 9639: 키보드 표시 전환 버튼
9033: 후크 9034: 표시 모드 전환 스위치
9035: 전원 스위치
9036: 전력 절약 모드 전환 스위치 9038: 조작 스위치

Claims (30)

  1.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위에 있고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배선과;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기 제 2 기판, 및 글라스 프리트에 의해 둘러싸인 밀봉 영역의 내측에 상기 배선의 제 1 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밀봉 영역의 외측에 상기 배선의 제 2 부분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 및 상기 배선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상기 글라스 프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의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와 상기 제 1 기판의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0℃ 내지 500℃의 온도 범위에서 5ppm/K 이하인,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의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와 상기 제 1 기판의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0℃ 내지 500℃의 온도 범위에서 2ppm/K 이하인, 전자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텅스텐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텅스텐으로 형성되는, 전자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과 상기 글라스 프리트 사이에 개재된 반도체 산화물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영역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저저항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저항 배선은 일정한 길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보다 전기 저항이 낮은, 전자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영역의 내측에 형성된 제 1 저저항 배선과;
    상기 밀봉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제 2 저저항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의 제 1 부분은 상기 밀봉 영역의 내측에 형성된 제 1 접속부에서 상기 제 1 저저항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배선의 제 2 부분은 상기 밀봉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제 2 접속부에서 상기 제 2 저저항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저저항 배선과 상기 제 2 저저항 배선 양쪽 모두는 일정한 길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보다 전기 저항이 낮은, 전자 기기.
  8. 발광 장치에 있어서,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위에 있고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배선과;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기 제 2 기판, 및 글라스 프리트에 의해 둘러싸인 밀봉 영역의 내측에 상기 배선의 제 1 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밀봉 영역의 외측에 상기 배선의 제 2 부분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 및 상기 배선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상기 글라스 프리트와;
    상기 밀봉 영역 내에 있고,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의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와 상기 제 1 기판의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0℃ 내지 500℃의 온도 범위에서 5ppm/K 이하인, 발광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의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와 상기 제 1 기판의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0℃ 내지 500℃의 온도 범위에서 2ppm/K 이하인, 발광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텅스텐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텅스텐으로 형성되는, 발광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과 상기 글라스 프리트 사이에 개재된 반도체 산화물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영역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저저항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저항 배선은 일정한 길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보다 전기 저항이 낮은, 발광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영역의 내측에 형성된 제 1 저저항 배선과;
    상기 밀봉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제 2 저저항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의 제 1 부분은 상기 밀봉 영역의 내측에 형성된 제 1 접속부에서 상기 제 1 저저항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배선의 제 2 부분은 상기 밀봉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제 2 접속부에서 상기 제 2 저저항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저저항 배선과 상기 제 2 저저항 배선 양쪽 모두는 일정한 길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보다 전기 저항이 낮은, 발광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프리트와 상기 제 1 기판 사이에 상기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글라스 프리트와 중첩되며 상기 배선이 제공되지 않은 영역에 제공된 버퍼층(buffer layer)을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중 하나가 상기 발광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중 하나가 상기 발광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밀봉 영역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저저항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저항 배선은 일정한 길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보다 전기 저항이 낮고,
    상기 저저항 배선 및 상기 소스 전극은 동일한 도전막으로 형성된 층을 각각 포함하는, 발광 장치.
  18. 제 8 항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중 하나가 상기 발광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은 동일한 도전막으로 형성된 층을 각각 포함하는, 발광 장치.
  19. 제 8 항에 있어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중 하나가 상기 발광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를 덮고 상기 배선과 상기 글라스 프리트 사이에 개재된 무기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
  20. 제 8 항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중 하나가 상기 발광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밀봉 영역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저저항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저항 배선은 일정한 길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보다 전기 저항이 낮고,
    상기 배선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은 동일한 도전막으로 형성된 제 1 층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저저항 배선 및 상기 소스 전극은 동일한 도전막으로 형성된 제 2 층을 각각 포함하는, 발광 장치.
  21. 제 8 항에 따른 상기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2.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위에 있고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배선과;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기 제 2 기판, 및 글라스 프리트에 의해 둘러싸인 밀봉 영역의 내측에 상기 배선의 제 1 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밀봉 영역의 외측에 상기 배선의 제 2 부분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 및 상기 배선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상기 글라스 프리트와;
    상기 글라스 프리트와 상기 제 1 기판 사이에 상기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글라스 프리트와 중첩되는 영역에 제공되는 버퍼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의 도전성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와 상기 제 1 기판의 재료의 선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0℃ 내지 500℃의 온도 범위에서 5ppm/K 이하인, 전자 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텅스텐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텅스텐으로 형성되는, 전자 기기.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과 상기 글라스 프리트 사이에 개재된 반도체 산화물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영역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저저항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저항 배선은 일정한 길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보다 전기 저항이 낮은, 전자 기기.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영역의 내측에 형성된 제 1 저저항 배선과;
    상기 밀봉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제 2 저저항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의 제 1 부분은 상기 밀봉 영역의 내측에 형성된 제 1 접속부에서 상기 제 1 저저항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배선의 제 2 부분은 상기 밀봉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제 2 접속부에서 상기 제 2 저저항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저저항 배선과 상기 제 2 저저항 배선 양쪽 모두는 일정한 길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보다 전기 저항이 낮은, 전자 기기.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상기 밀봉 영역 내에 형성된 회로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전자 기기.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상기 배선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는, 전자 기기.
  3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상기 배선과 중첩되는, 전자 기기.
KR1020120091637A 2011-08-24 2012-08-22 발광 장치 KR101928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82642 2011-08-24
JP2011182642A JP5816029B2 (ja) 2011-08-24 2011-08-24 発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099A true KR20130023099A (ko) 2013-03-07
KR101928718B1 KR101928718B1 (ko) 2018-12-13

Family

ID=4774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637A KR101928718B1 (ko) 2011-08-24 2012-08-22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33871B2 (ko)
JP (1) JP5816029B2 (ko)
KR (1) KR101928718B1 (ko)
TW (1) TWI570980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284A (ko) * 2014-02-19 2015-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257668B2 (en) 2013-09-23 2016-02-0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59539A (ko) * 2014-11-18 2016-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0081A (ko) * 2014-12-29 2016-07-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기능 패널과 그 제작 방법
KR20170051680A (ko) * 2015-10-30 2017-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130092A (ko) * 2018-05-10 2019-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92087B (zh) 2011-05-05 2023-02-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TWI569490B (zh) 2011-11-28 2017-02-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密封體,發光模組,及製造密封體之方法
TWI577006B (zh) 2011-11-29 2017-04-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密封體、發光裝置、電子裝置及照明設備
KR102001815B1 (ko) 2011-11-29 2019-07-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밀봉체의 제작 방법 및 발광 장치의 제작 방법
TWI570906B (zh) 2011-11-29 2017-02-1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密封結構,發光裝置,電子裝置,及照明裝置
KR20140016170A (ko) 2012-07-30 2014-02-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밀봉체 및 유기 전계 발광 장치
JP6429465B2 (ja) 2013-03-07 2018-11-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KR102100880B1 (ko) * 2013-06-26 2020-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194824B1 (ko) * 2014-03-17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1237B1 (ko) * 2014-03-17 2020-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3676B1 (ko) * 2014-06-24 2021-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636736B2 (ja) * 2014-07-18 2020-01-2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回路基板の作製方法、発光装置の作製方法、電子機器の作製方法、及び発光装置
CN104409663B (zh) * 2014-11-12 2017-0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方法、封装结构及显示装置
KR102462424B1 (ko) 2014-12-30 2022-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53329B1 (ko) * 2015-01-16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39308B1 (ko) * 2015-10-06 2022-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677386B2 (ja) * 2016-02-16 2020-04-08 天馬微電子有限公司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EP3439431B1 (en) * 2016-03-28 2022-06-15 Toyo Seikan Group Holdings, Ltd. Substrate for flexible devic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772897B2 (ja) * 2016-03-28 2020-10-21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915307B2 (ja) * 2016-03-28 2021-08-04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用基板用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35711B1 (ko) 2016-03-28 2020-07-20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시블 디바이스용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US9908043B2 (en) * 2016-04-25 2018-03-06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Guitar shaped video game controller
US9914050B2 (en) * 2016-04-25 2018-03-13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Guitar shaped video game controller
US9908042B2 (en) * 2016-04-25 2018-03-06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Guitar shaped video game controller
CN107068715B (zh) * 2017-03-28 2019-12-2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有机发光显示装置以及有机发光显示面板的制备方法
CN110621617B (zh) * 2017-05-12 2023-08-01 康宁股份有限公司 高温密封剂及其方法
WO2019064437A1 (ja) * 2017-09-28 2019-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87002B1 (ko) 2017-11-15 202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0098228B (zh) * 2019-04-25 2021-09-24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I696988B (zh) * 2019-05-02 2020-06-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DE102020132356A1 (de) 2020-12-04 2022-06-09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Trägeranordnung, verfahren für dessen herstellung und optoelektronisches halbleiterbautei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4737A (ja) * 2004-12-07 2006-06-22 Sharp Corp 表示素子、若しくはそれを備えた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07200856A (ja) * 2006-01-27 2007-08-09 Samsung Sdi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28210A (ja) * 2009-07-21 2011-02-1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20613A (ko) * 2009-08-24 2011-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3201A (ja) * 1997-11-10 1999-08-06 Laurel Bank Mach Co Ltd シート判別装置
JP4184526B2 (ja) * 1999-02-19 2008-11-19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41633B2 (ja) * 2000-10-16 2006-11-01 ヤマハ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モジュール
US6646284B2 (en) 2000-12-12 2003-11-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203686A (ja) * 2000-12-28 2002-07-19 Tdk Corp 自発光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US6998776B2 (en) 2003-04-16 2006-02-14 Corning Incorporated Glass package that is hermetically sealed with a frit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050077961A (ko) 2004-01-30 2005-08-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431628B2 (en) 2005-11-18 2008-10-07 Samsung Sd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panel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7425166B2 (en) * 2005-12-06 2008-09-16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sealing glass substrates
US7936062B2 (en) * 2006-01-23 2011-05-03 Tessera Technologies Ireland Limited Wafer level chip packaging
KR100688795B1 (ko) 2006-01-25 200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5854B1 (ko) * 2006-01-25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164257B2 (en) 2006-01-25 2012-04-2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71638B1 (ko) 2006-01-26 2007-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0688790B1 (ko) 2006-01-27 200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70200489A1 (en) 2006-02-01 2007-08-30 Poon Hak F Large area organic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7220647A (ja) 2006-02-14 2007-08-30 Samsung Sdi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32817B1 (ko) 2006-03-29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1756A (ko) 2006-12-06 2008-06-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87463B1 (ko) 2007-01-05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글래스 프릿, 실링재 형성용 조성물,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조방법
KR100838077B1 (ko) 2007-01-12 2008-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7652305B2 (en) * 2007-02-23 2010-01-26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frit-sealed glass package
US20090058293A1 (en) 2007-08-31 2009-03-05 Norihisa Maeda Display device
JP2009076437A (ja) * 2007-08-31 2009-04-09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
KR101457362B1 (ko) 2007-09-10 2014-11-03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유리 프릿 및 이를 이용한 전기소자의 밀봉방법
KR100897132B1 (ko) 2007-09-12 2009-05-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패널 봉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10080341A (ja) 2008-09-26 2010-04-08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表示装置
JP2010080339A (ja) 2008-09-26 2010-04-08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表示装置
JP2011065895A (ja) 2009-09-17 2011-03-31 Toshiba Corp ガラス封止体、発光装置及びガラス封止体の製造方法
JP2011070797A (ja) 2009-09-24 2011-04-07 Toshiba Corp 封止体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el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4737A (ja) * 2004-12-07 2006-06-22 Sharp Corp 表示素子、若しくはそれを備えた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07200856A (ja) * 2006-01-27 2007-08-09 Samsung Sdi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28210A (ja) * 2009-07-21 2011-02-1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20613A (ko) * 2009-08-24 2011-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7668B2 (en) 2013-09-23 2016-02-0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780328B2 (en) 2014-02-19 2017-10-0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276054B2 (en) 2014-02-19 2016-03-0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150098284A (ko) * 2014-02-19 2015-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018317B2 (en) 2014-02-19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0381593B2 (en) 2014-02-19 2019-08-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160059539A (ko) * 2014-11-18 2016-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0085642A (zh) * 2014-11-18 2019-08-02 三星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设备及制造有机发光显示设备的方法
CN110085642B (zh) * 2014-11-18 2023-09-19 三星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设备及制造有机发光显示设备的方法
KR20160080081A (ko) * 2014-12-29 2016-07-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기능 패널과 그 제작 방법
KR20170051680A (ko) * 2015-10-30 2017-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130092A (ko) * 2018-05-10 2019-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US11785818B2 (en) 2018-05-10 2023-10-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22519A (zh) 2013-06-01
US9633871B2 (en) 2017-04-25
TWI570980B (zh) 2017-02-11
JP5816029B2 (ja) 2015-11-17
KR101928718B1 (ko) 2018-12-13
JP2013045629A (ja) 2013-03-04
US20130049062A1 (en)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718B1 (ko) 발광 장치
KR102588333B1 (ko) 밀봉체 및 유기 전계 발광 장치
US9202843B2 (en) Sealed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sealed body,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evice
US9231232B2 (en)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module, light-emitting panel, and light-emitting device
TWI602337B (zh) 顯示裝置
KR102027097B1 (ko) 분산 조성물의 가열 방법, 및 글라스 패턴의 형성 방법
US20170271415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048350B2 (en) Sealed body, light-emitt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aled body
US2017002563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aled Structure
US20130134396A1 (en) Glass Pattern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Sealed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ght-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