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658A - 용기 커버체 및 이 용기 커버체를 구비한 에어졸식 제품 - Google Patents

용기 커버체 및 이 용기 커버체를 구비한 에어졸식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658A
KR20130020658A KR1020127023430A KR20127023430A KR20130020658A KR 20130020658 A KR20130020658 A KR 20130020658A KR 1020127023430 A KR1020127023430 A KR 1020127023430A KR 20127023430 A KR20127023430 A KR 20127023430A KR 20130020658 A KR20130020658 A KR 20130020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operation member
contents
cover bod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 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 밸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 밸브
Publication of KR2013002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the valve member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container mouth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65D43/262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7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 B65D83/206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comprising a cantilevered actuator element, e.g. a lever pivoting about a living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0Closure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5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with means for preventing delivery, e.g. shut-off when inv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정지(靜止) 모드의 내용물 분사구를 조작 부재로 덮어 보호하는 타입의, 에어졸식 제품이나 펌프식 제품의 용기 커버체에 있어서, 조작 부재의 오동작을 저지하여, 내용물 분사구 등의 보호작용의 확실화를 도모한다. 도시하는 정지 모드의 내용물 분사구(6c)를 덮어 보호하기 위한 조작 부재(7)를 슬라이드식으로 하고, 이 슬라이드 조작의 해제에 수반하여 조작 부재가 판스프링(8)의 탄성 작용으로 정지 모드로 확실하게 자동 복귀하는 형태로 하였다. 또한, 정지 모드의,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커버체 겉면의 전체 형상을 단일의 돔형상 외관이 되도록 하였다. 조작 부재를 도시하는 우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내용물 분사구가 외부공간으로 노출되고, 그 후, 압압 작용부(7g)가 내용물 분사부(6)의 경사부(6d)를 압압한다. 이 압압작용에 의해 내용물 분사부와 일체인 스템(3)이 아래로 움직여서 작동 모드로 이행하고, 용기 내용물은 분사용 통로(6b)를 통과하여 내용물 분사구로부터 방출된다.

Description

용기 커버체 및 이 용기 커버체를 구비한 에어졸식 제품{Container cover and aerosol type product provided with container cover}
본 발명은, 에어졸식 제품이나 펌프식 제품의 용기 커버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템과 연통하는 내용물 방출통로를 구비한 통형상의 액츄에이터 부재 및, 당해 액츄에이터 부재의 위쪽 개구부를 덮는 형태의 전방에 탄성 부재로 부세되어, 내용물 방출조작에 수반하여, 당해 탄성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는 형태로 후방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당해 내용물 방출통로의 방출구를 외부 공간역에 노출시키는 조작 부재로 되는 용기 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즉, 정지 모드일 때는 슬라이드식의 조작 부재가 탄성력으로 전방으로 부세되어 내용물 방출구 등을 덮고, 조작 부재를 탄성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내용물 방출구 등이 노출되는 작동 모드를 설정하여, 슬라이드 조작의 해제에 수반하여 조작 부재가 탄성작용으로 정지 모드 위치로 소위 자동 복귀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후의 위치관계를, 내용물 분사구 쪽을 「앞」, 그것과는 반대의 예를 들면 후술하는 화살표 형성 쪽을 「뒤」로 각각 표기한다.
도 1, 도 3의 좌측이 「앞」이고, 우측이 「뒤」가 된다.
종래, 정지 모드일 때는 조작 부재로 내용물 방출구 등을 덮어, 작동 모드 설정조작에 수반되는 조작 부재의 이동에 의해 내용물 분사구 등이 노출되고, 스템이 작동 모드 위치로 아래로 움직이는 형태의 용기 커버체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용기 커버체는, 조작 부재 뒤쪽의 조작부의 눌러내림 조작에 의해, 앞쪽의 내용물 방출구 등의 덮는 부분이 위쪽으로 회동하여 내용물 방출구를 노출시키고, 또한, 눌러내려진 조작 부재 뒤쪽 부분에서 (내용물 방출구를 구비한) 내용물 통로 부재의 뒤쪽 판형상부를 압압하여 이것과 일체인 스템이 작동 모드 위치로 아래로 움직이는 태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용자의 눌러내림 조작이 해제되면, 스템은 주지의 (스템 부세용의) 코일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위로 움직여 정지 모드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스템과 일체인 내용물 통로 부재도 위로 움직여 정지 모드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조작 부재는, 내용물 통로 부재가 위로 움직이는 것에 수반하여 그 판형상부와 맞닿는 뒤쪽 부분이 들어올려져 정지 모드 위치 쪽으로 회동한다. 또한, 조작 부재를 적극적으로 정지 모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11-156251호 공보
이상의 용기용 커버체는 정지 모드의 내용물 방출구를 조작 부재로 덮어 보호한다는 이점을 구비한 것이다.
다만, 내용물 방출구를 보호하는 조작 부재는 눌러내림 조작에 기인하는 회동 타입의 것으로, 눌러내림 조작 해제 후에 당해 조작 부재를 정지 모드 위치로 확실하게 소위 자동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종래의 상기 용기용 커버체는, 이용자의 일상 동작으로 발생하기 쉬운 불의, 부주의의 아래방향으로의 손 등의 움직임이나, 위쪽으로부터의 물건의 낙하 등으로 조작 부재가 부주의로 눌러내려져 작동 모드(activated mode)로 이행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또한, 본래의 작동 모드 설정용의 눌러내림 조작 해제 후에 조작 부재가 본래의 정지 모드 위치까지 복귀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 점 등에서,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용기용 커버체의 구성요소로, 정지 모드의 내용물 방출구를 덮어 보호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슬라이드식으로 하고, 또한, 이 슬라이드 조작의 해제에 수반하여 조작 부재가 자기 자신으로의 직접적인 탄성작용으로 정지 모드 위치로 확실하게 자동 복귀하는 형태로 하여, 이것에 의해 조작 부재의 오동작을 최대한 줄이는 동시에, 정지 모드에 있어서의 내용물 방출구 등의 보호작용의 확실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정지 모드에 있어서의 슬라이드식의 조작 부재와, 이것을 받아 안내 유지하고, 또한 용기에 장착되는 통형상 본체부의 위쪽 부분으로 되는 용기 커버체 겉면의 전체 형상을 단일의 돔형상 외관의 태양으로 설정하고, 이것에 의해 용기 커버체의 고품질, 사용하기 편리함의 이미지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작 부재의 정지 모드 위치로의 복귀용 탄성 부재도 포함한 용기 커버체를, 슬라이드 조작 부재측의 제1 일체 성형 부재와, 용기에 장착되는 통형상 본체부 및 스템과 연통하는 내용물 방출부로 되는 액츄에이터 부재측의 제2 일체 성형 부재로 구성하고, 이것에 의해 용기 커버체의 부품 점수 저감화, 비용 절감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용물 방출구가 외부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정지 모드의 용기 커버체에 대한 작동 모드 설정용의 슬라이드 조작방향을 나타내고, 이것에 의해 작동 모드 설정조작의 편리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다음의 용기 커버체를 사용함으로써 해결한다.
[1] 용기(예를 들면 후술하는 용기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템(stem)(예를 들면 후술하는 스템(3))과 연통하는 내용물 방출통로(예를 들면 후술하는 분사용 통로(6b))를 구비한 통형상의 액츄에이터 부재(예를 들면 후술하는 액츄에이터 부재(4)) 및, 당해 액츄에이터 부재의 위쪽 개구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위쪽 개구역(5e))를 덮는 형태의 전방으로 탄성 부재(예를 들면 후술하는 판스프링(8))로 부세(付勢)되어, 내용물 방출조작에 수반하여, 당해 탄성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는 형태로 후방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당해 내용물 방출통로의 방출구(예를 들면 후술하는 구멍부(6c))를 외부 공간역에 노출시키는 조작 부재(예를 들면 후술하는 조작 부재(7))로 되는 용기 커버체로서,
상기 액츄에이터 부재는,
상기 위쪽 개구부 및,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후방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분(예를 들면 후술하는 안내단부(5m))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에 계합(係合; 걸어맞춤)하는 통형상 본체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통형상 본체부(5))와,
당해 통형상 본체부에 회동(回動) 가능한 형태로 일체화되어, 상기 내용물 방출통로 및, 당해 슬라이드 동작에 따르는 형태로 작동 모드로 구동되는 피구동 부분(예를 들면 후술하는 사면부(6d))이 형성된 내용물 방출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내용물 분사부(6))
를 가지고 있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위쪽 개구부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셔터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셔터부(7a))와,
당해 셔터부의 일부로서 상기 내용물 방출조작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조작면(예를 들면 후술하는 슬라이드 조작면(7b))과,
상기 가이드 부분으로 안내되는 피가이드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피안내단부(7e))와,
상기 후방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상기 피구동 부분을 구동하여, 상기 액츄에이터 부재에 접속된 상기 스템을 작동 모드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모드 설정 작동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곡면 부분(7j))
를 가지고 있다.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방출부의 가이드 부분은,
원호형상의 가이드 부분이다.
(3) 상기 (1), (2)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셔터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부재의 위쪽 개구부를 덮은 정지(靜止) 모드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본체부의 위쪽 부분과 함께 단일의 돔형상 외관을 나타내는, 겉면형상으로 된다.
(4) 상기 (1), (2), (3)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부재는,
상기 통형상 본체부 및 상기 내용물 분사부의 일체 성형 부재이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와의 일체 성형 부재이다.
(5) 상기 (1), (2), (3)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액츄에이터 부재의 한쪽과 일체 성형된 캔틸레버 타입의 것으로 되며, 그 자유단측이 당해 조작 부재 및 당해 액츄에이터 부재의 다른 쪽에 계지(係止; 걸어멈춤)되는 태양의 판스프링(예를 들면 후술하는 판스프링(8))이다.
(6) 상기 (1), (2), (3), (4), (5)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부재는,
상기 셔터부가 상기 위쪽 개구부를 덮었을 때의 상기 통형상 본체부의 겉면 노출 부분에, 슬라이드 조작방향의 표시 부분(예를 들면 후술하는 화살표(5n))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는 용기 커버체 및, 당해 용기 커버체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가스, 내용물 등을 수용한 에어졸식 제품 및 당해 용기 커버체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내용물 등을 수용한 펌프식 제품을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 해결수단을 취함으로써,
(11) 조작 부재의 오동작을 최대한 줄이는 동시에, 정지 모드에 있어서의 내용물 방출구 등의 보호작용의 확실화를 도모할 수 있고,
(12) 용기 커버체의 고품질, 사용하기 편리함의 이미지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13) 용기 커버체의 부품 점수 저감화, 비용 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고,
(14) 작동 모드 설정조작의 편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액츄에이터 부재 및 슬라이드식 조작 부재의 두 부품으로 되는 용기 커버체의 정지 모드(액츄에이터 부재의 위쪽 개구역이 슬라이드 조작 부재로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용기 커버체의 액츄에이터 부재 및 슬라이드식 조작 부재의 사시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작 부재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내용물 분사구를 노출시킨 상태(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지 모드에 있어서의 뒤쪽 사시상태, 즉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방향의 화살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졸식 제품 및 펌프식 제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순한 설명의 편의상 에어졸식 제품의 경우를 전제로 한다.
또한, 이하의 알파벳 딸린 참조번호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원통부(5a))는 원칙으로서, 당해 참조번호의 숫자 부분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통형상 본체부(5))의 일부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1은 후술하는 내용물 및 분사용 가스를 수납한 에어졸식 제품의 용기 본체,
2는 용기 본체(1)의 개구 단부측에 장착된 마운팅 캡,
2a는 당해 마운팅 캡의 외단부(外端部) 하방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돌출형상부(5b)가 강하게 계합하는 고리 오목형상부,
3은 주지의 밸브 기구(도시 생략)의 구성요소로서 코일 스프링(도시 생략) 등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부세되는 스템
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1)에 장착되는 일체 성형의 액츄에이터 부재(통형상 본체부+내용물 분사부)에 관하여,
4는 전체가 일체 성형되고, 후술하는 통형상 본체부(5) 및 내용물 분사부(6)로 되는 액츄에이터 부재,
5는 용기 본체(1)에 직접 장착되는 통형상 본체부,
5a는 아래쪽의 원통부,
5b는 당해 원통부의 하단 내주면의 둘레방향에 복수 형성되어 마운팅 캡측의 고리 오목형상부(2a)에 계합하는 돌출형상부,
5c는 당해 원통부의 가상적인 뒤쪽 상단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계속해서 하강면(패임면) 상태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의 대략 동일 폭으로 되는 뒤쪽 구면 부분(구면의 일부),
5d는 당해 원통부의 가상적인 좌우 상단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한쌍의 좌우 구면 부분(구면의 일부),
5e는 뒤쪽 구면 부분(5c) 및 좌우 구면 부분(5d) 각각의 가장자리 등에 의해 획정된 위쪽 개구역,
5f는 당해 위쪽 개구역의 좌우 양단의 각각에, 자기 자신의 앞쪽 부분 및 뒤쪽 부분이 좌우 구면 부분(5d)과 인접하는 태양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작 부재(7)의 슬라이드 동작의 가이드 작용을 나타내는 한쌍의 원호형상 가이드부(구면의 일부),
5g는 좌우 구면 부분(5d) 및 원호형상 가이드부(5f) 사이에 설정되어, 후술하는 피안내 수하부(7c)가 장착되는 한쌍의 원호형상 개구부,
5h는 원호형상 가이드부(5f) 각각의, 원호형상 개구부(5g)의 내단측에 인접하는 폭이 넓은 부분의 전후방향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판스프링(8)의 자유단 부분(8a) 등을 맞닿아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수하 판형상부,
5j는 당해 수하 판형상부의 좌우방향 판 부분,
5k는 당해 수하 판형상부의, 원호형상 개구부(5g)에 인접하는 형태의 전후방향 판 부분,
5m은 좌우 구면 부분(5d) 각각의 내주면 상단측의, 원호형상 개구부(5g)의 바로 바깥쪽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피안내 수하부(7d)의 가이드 작용을 나타내는 원호형상의 안내단부,
5n은 정지 모드에 있어서의 뒤쪽 구면 부분(5c)의 노출 부분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작 부재(7)의 슬라이드 조작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도 4 참조),
6은 통형상 본체부(5)의 앞쪽 내주면의 대략 상하방향 중간 부분에 접속된 회동 타입의 내용물 분사부,
6a는 당해 내용물 분사부의 소위 회동 중심축으로서 작용하는 변형 가능한 접속편부,
6b는 스템(3)과 연통하여 L자형상의 길이방향 단면으로 되는 분사용 통로,
6c는 당해 분사용 통로의 전단측의 구멍부(내용물 분사구),
6d는 당해 분사용 통로의 L자형상 굴곡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뒤까지 뻗은 부분으로서, 작동 모드 설정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후술하는 조작 부재(7)(곡면 부분(7j))으로부터 압압(押壓)작용을 받음으로써 하방으로 변위되는 사면부
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회동 타입의 내용물 분사부(6)에 대한 슬라이드식의 조작 부재(판스프링도 포함한 일체 성형품)에 관하여,
7은 용기 본체(1)의 내용물이 구멍부(6c)로부터 외부 공간역으로 분사되는 작동 모드를 설정하는 슬라이드식의 조작 부재,
7a는 뒤쪽 구면 부분(5b)과 동일한 대략 동일 폭으로 전후방향으로 뻗는 위쪽 구면 부분(구면의 일부)으로 되고, 정지 모드(도 1 참조)에 있어서 위쪽 개구역(5)의 전체를 덮는 셔터부,
7b는 당해 셔터부의 상면 후방에, 전후방향 단면이 톱니형상이 되는 태양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조작면,
7c는 당해 셔터부의 상면 전방에 형상되어, 액츄에이터 부재(4)의 앞쪽(내용물 분사용의 구멍부(6c) 쪽)을 이용자에게 시사하기 위한 보조개형상의 원형 패임부,
7d는 당해 조작 부재의 좌우 단부 각각의 대략 전후방향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슬라이드 조작시에 원호형상의 안내단부(5m)로 가이드되는 한쌍의 피안내 수하부,
7e는 당해 피안내 수하부의 구성요소로서, 슬라이드 조작시에 안내단부(5m)를 따라 이동하는 원호형상의 피안내단부,
7f는 당해 피안내 수하부의 구성요소로서, 원호형상 개구부(5g)로의 삽입 장착시에 좌우 구면 부분(5d)의 상단 부분에 맞닿아 안쪽으로 조금 변형되고, 이것에 의해 당해 장착작업의 간단화를 도모하기 위한 사면부,
7g는 한쌍의 피안내 수하부(7d)끼리의 좌우 중앙(폭방향 중앙)의 조작 부재 천장 부분에 형성되어, 슬라이드 조작에 수반되는 뒤쪽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사면부(6d)를 압압하고, 이것에 의해 스템(3)을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도 3의 작동 모드를 설정하는 압압 작용부,
7h는 당해 압압 작용부의 구성요소로서, 각각 조작 부재 천장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뻗는 한쌍의 삼각형상 수하부,
7j는 당해 한쌍의 삼각형상 수하부에 대한 뒤쪽 연결 부분의 자유단측의 좌우방향에 형성된 압압 작동용의 곡면 부분,
8은 각각 좌우 양단의 피안내 수하부(7d)와 좌우 중앙의 압압 작용부(7f) 사이에 형성되어, 조작 부재(7)를 도 1의 정지 모드의 위치에, 즉 전방향으로 부세하는 캔틸레버 타입이며 C자형상인 한쌍의 판스프링,
8a는 액츄에이터(4)에 조작 부재(7)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원호형상 가이드부(5f)의 수하 판형상부(5h)에 맞닿아 유지되는 당해 판스프링의 자유단 부분
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스템(3), 액츄에이터 부재(4)(통형상 본체부(5)+내용물 분사부(6)), 조작 부재(7) 및 판스프링(8) 등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세탈, 나일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되는 플라스틱제의 것이다. 용기 본체(1)나 마운팅 캡(2)은 예를 들면 금속제의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통형상 본체부(5) 및 내용물 분사부(6)로 되는 액츄에이터 부재(4)
·조작 부재(7) 및 판스프링(8)
의 2개는 각각 일체 성형된 것이다.
도시하는 용기 커버체는, 이들 2개의 일체 성형 부재를 조합한 것으로, 그 기본적 특징은,
(21) 작동 모드 설정용의 조작 부재로서, 슬라이드식으로, 도 1의 정지 모드일 때는 통형상 본체부(5)의 위쪽 개구역(5e)의 전체를 덮어 내용물 분사부(6)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판스프링(8)으로 전방향으로 부세되는, 조작 부재(7)를 사용하고 있는 것,
(22) 정지 모드의 조작 부재(7)에 대한 후방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판스프링(8)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당해 조작 부재의 원호형상의 피안내단부(7e)가 통형상 본체부(5)의 원호형상의 안내단부(5m)로 가이드되어 뒤쪽 하방으로 슬라이드되는 것,
(23) 이 슬라이드 조작의 후반에 있어서, 내용물 분사부(6)의 사면부(6d)가 조작 부재(7)(압압 작용부(7g))의 곡면 부분(7j)에서 압압되어, 당해 내용물 분사부와 일체인 스템(3)이 작동 모드 위치로 아래로 움직이는 것,
(24) 작동 모드로의 슬라이드 조작이 해제되면, 조작 부재(7)는, 판스프링(8)의 전방향으로의 탄성 부세력에 의해 도 4의 작동 모드 위치로부터 도 1의 정지 모드 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것,
(25) 조작 부재(7)의 겉면 형상이, 도 1의 정지 모드에 있어서, 통형상 본체부(5)의 원통부(5a)보다 위쪽의 구면 부분(뒤쪽 구면 부분(5c), 좌우 구면 부분(5d) 등)과 함께 단일의 돔형상 외관을 나타내는, 즉 당해 조작 부재 및 당해 위쪽 구면 부분의 전체가 단일 구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형상인 것
등이다.
도 1, 도 4의 정지 모드에 있어서, 조작 부재(7)와 일체 성형된 판스프링(8)의 자유단 부분(8a)이 통형상 본체부(5)의 수하 판형상부(5h)(좌우방향 판 부분(5j))에 맞닿아, 당해 판스프링 전체로서는 자기 자신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초기 상태보다 안쪽으로 소위 만곡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때, 조작 부재(7)는 판스프링(8)의 탄성작용에 의해 전방향으로 부세되어, 그 맨 앞쪽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다.
이 맨 앞쪽 위치의 조작 부재(7)는 통형상 본체부(5)의 위쪽 개구역(5e) 전체를 덮고 있다. 이 때문에 내용물 분사부(6)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또한, 정지 모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구면 부분(5c)의 대부분의 아래쪽 부분이 노출되고, 거기에는 슬라이드 조작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5n)가 형성되어 있다.
이용자가, 도시하는 용기 커버체를 작동 모드로 설정하는 데는, 조작 부재(7)를 이 화살표(5n)로 시사되는 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된다.
이 후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에 수반하여,
(31) 조작 부재(7)의 한쌍의 피안내단부(7e)가 각각 통형상 본체부(5)의 한쌍의 안내단부(5m)로 가이드되고,
(32) 판스프링(8)은, 그 자유단 부분(8a)이 통형상 본체부(5)의 좌우방향 판 부분(5j)에 맞닿아 상방향으로 변위되면서, 정지 모드보다도 더욱 만곡되어,
(33) 최종적으로는, 내용물 분사부(6)의 사면부(6d)가 조작 부재(7)(압압 작용부(7g))의 곡면 부분(7j)에서 압압되고,
(34) 조작 부재(7)의 사면부(6d)로의 압압작용에 기인하여, 내용물 분사부(6) 및 이것과 일체인 스템(3)이, 주지의 스템 복귀용 코일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스템(3)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주지의 밸브 작용부(도시 생략)가 열림상태로 되어, 용기 본체(1)의 내용물이 「스템(3)-내용물 분사부(6)의 분사용 통로(6b)」를 거쳐 구멍부(6c)로부터 외부 공간역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도 4의 작동 모드 위치로의 슬라이드 조작을 해제하면, 조작 부재(7)는, 그 피안내단부(7e)가 통형상 본체부(5)의 안내단부(5m)로 가이드되면서 판스프링(8)의 탄성작용에 의해 전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의 정지 모드 위치로 자동 복귀한다.
또한, 내용물 분사부(6) 및 이것과 일체인 스템(3)은, 주지의 스템 복귀용 코일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작용에 의해 초기 위치, 즉 도 1의 정지 모드 위치로 조작 부재와 마찬가지로 자동 복귀한다.
또한, 한쌍의 판스프링(8)의 자유단 부분(8a)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은, 각각의 바깥쪽이 되는 한쌍의 전후방향 판 부분(5k)(통형상 본체부(5)의 수하 판형상부(5h)의 일부)이나, 각각의 안쪽이 되는 소위 공통의 내용물 분사부(6)의 좌우단 부분에 의해 규제된다.
도시하는 조작 부재(7) 및 판스프링(8)의 일체 성형 부재를 통형상 본체부(5) 및 내용물 분사부(6)의 일체 성형 부재에 끼워넣는 데는, 도 2의 화살표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41) 판스프링(8)의 자유단 부분(8a)을 각각, 한쌍의 원호형상 가이드부(5f)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앞쪽 폭이 넓은 부분으로부터 넣은 다음에 수하 판형상부(5h)의 좌우방향 판 부분(5j) 쪽으로 시프트시키고,
(42) 이 시프트 상태의 조작 부재(7)를 통형상 본체부(5) 쪽으로 소위 밀어넣어, 당해 조작 부재의 피안내 수하부(7d)의 각각이 당해 통형상 본체부의 원호형상 개구부(5g)를 통과하여, 당해 피안내 수하부의 피안내단부(7e)와 당해 통형상 본체부의 안내단부(5m)가 계합하는 형태로 설정하면 된다.
본 발명이, 도시하는 용기 커버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예를 들면,
(51) 판스프링(8) 대신에 스프링 등의 각종 탄성 부재를 사용하고,
(52) 내용물 분사용 구멍부를 위쪽으로 향하게 하여 대략 직선상으로 슬라이드하는 조작 부재를 사용하며,
(53) 판스프링(8)을 내용물 분사부(6)와 일체 성형하여 그 자유단 부분(8a)을 조작 부재(7) 쪽(천장면 등)에서 받고,
(54) 판스프링(8)을 조작 부재(7) 등과 일체 성형하는 것이 아니라, 조작 부재(7) 등과는 별도 부재로서 제작하며,
(55) 스템을 가로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밸브가 열림상태가 되는 틸트식 밸브를 사용하고,
(56) 작동 모드 설정조작시에 스템(3)이 경사지지 않고 대략 하방향으로만 이동하는 푸쉬 다운 밸브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펌프식 제품이나 에어졸식 제품으로서는, 세정제, 청소제, 제한제, 냉각제, 근육소염제, 헤어스타일링제, 헤어트리트먼트제, 염모제, 육모제, 화장품, 쉐이빙 폼, 식품, 액적상의 것(비타민 등), 의약품, 의약부외품, 도료, 원예용제, 기피제(살충제), 클리너, 소취제, 세탁풀, 우레탄 폼, 소화기, 접착제, 윤활제 등의 각종 용도의 것이 있다.
용기 본체에 수납하는 내용물은, 액상, 크림상, 겔상 등 각종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내용물에 배합되는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분상물, 기름성분, 알코올류, 계면활성제, 고분자화합물, 각 용도에 따른 유효성분, 물 등을 들 수 있다.
분상물로서는, 금속염류 분말, 무기물 분말이나 수지 분말 등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탈크, 카올린, 알루미늄 히드록시 클로라이드(알루미늄염), 알긴산칼슘, 금분, 은분, 운모, 탄산염, 황산바륨, 셀룰로오스,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한다.
기름성분으로서는, 실리콘오일, 팜오일, 유칼리오일, 동백오일, 올리브오일, 호호바오일, 파라핀오일,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을 사용한다.
알코올류로서는, 에탄올 등의 1가의 저급 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등의 1가의 고급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사용한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 베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한다.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전분, 카제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을 사용한다.
각 용도에 따른 유효성분으로서는, 살리실산메틸, 인도메타신 등의 소염진통제, 안식향산나트륨, 크레졸 등의 제균제, 피레트로이드, 디에틸톨루아미드 등의 해충 기피제, 산화아연 등의 제한제, 캄퍼, 멘톨 등의 청량제, 에페드린, 아드레날린 등의 항천식약, 수크랄로오스, 아스파탐 등의 감미료, 에폭시 수지, 우레탄 등의 접착제나 도료, 파라페닐렌디아민, 아미노페놀 등의 염료, 인산이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칼륨 등의 소화제 등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이외의, 현탁제, 자외선흡수제, 유화제, 보습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에어졸식 제품에 있어서의 내용물 방출용 가스로서는, 탄산가스, 질소가스, 압축공기, 산소가스, 불활성가스, 이들의 혼합가스 등의 압축가스나, 액화 석유가스, 디메틸에테르, 플루오로카본 등의 액화가스를 사용한다.
1:에어졸식 제품의 용기 본체
2:마운팅 캡(mounting cap)
2a:고리 오목형상부
3:스템(stem)
4:액츄에이터 부재(=통형상 본체부(5)+내용물 분사부(6))
5:통형상 본체부
5a:아래쪽의 원통부
5b:돌출형상부
5c:뒤쪽 구면 부분(구면의 일부)
5d:한쌍의 좌우 구면 부분(구면의 일부)
5e:위쪽 개구역
5f:한쌍의 원호형상 가이드부(구면의 일부)
5g:한쌍의 원호형상 개구부
5h:수하(垂下) 판형상부(=좌우방향 판 부분(5j)+전후방향 판 부분(5k))
5j:좌우방향 판 부분
5k:전후방향 판 부분
5m:원호형상의 안내단부(案內段部)
5n:슬라이드 조작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도 4 참조)
6:내용물 분사부
6a:접속편부
6b:분사용 통로
6c:구멍부(내용물 분사구)
6d:사면부(斜面部)
7:슬라이드식의 조작 부재
7a:셔터부
7b:슬라이드 조작면
7c:원형 패임부
7d:한쌍의 피안내 수하부(=피안내단부(7e)+사면부(7f))
7e:원호형상의 피안내단부
7f:사면부
7g:압압 작용부(=삼각형상 수하부(7h)+곡면 부분(7j))
7h:한쌍의 삼각형상 수하부
7j:압압 작동용의 곡면 부분
8:한쌍의 판스프링
8a:자유단(自由端) 부분

Claims (8)

  1. 용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템과 연통하는 내용물 방출통로를 구비한 통형상의 액츄에이터 부재 및, 당해 액츄에이터 부재의 위쪽 개구부를 덮는 형태의 전방에 탄성 부재로 부세(付勢)되어, 내용물 방출조작에 수반하여, 당해 탄성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는 형태로 후방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당해 내용물 방출통로의 방출구를 외부 공간역에 노출시키는 조작 부재로 되는 용기 커버체로서,
    상기 액츄에이터 부재는,
    상기 위쪽 개구부 및,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후방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에 계합(係合; 걸어맞춤)하는 통형상 본체부와,
    당해 통형상 본체부에 회동(回動) 가능한 형태로 일체화되어, 상기 내용물 방출통로 및, 당해 슬라이드 동작에 따르는 형태로 작동 모드로 구동되는 피구동 부분이 형성된 내용물 방출부,
    를 가지고 있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위쪽 개구부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셔터부와,
    당해 셔터부의 일부로서 상기 내용물 방출조작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조작면과,
    상기 가이드 부분으로 안내되는 피가이드부와,
    상기 후방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상기 피구동 부분을 구동하여, 상기 액츄에이터 부재에 접속된 상기 스템을 작동 모드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모드 설정 작동부
    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커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방출부의 가이드 부분은,
    원호형상의 가이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커버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셔터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부재의 위쪽 개구부를 덮은 정지(靜止) 모드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본체부의 위쪽 부분과 함께 단일의 돔형상 외관을 나타내는, 겉면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커버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부재는,
    상기 통형상 본체부 및 상기 내용물 분사부의 일체 성형 부재이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와의 일체 성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커버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액츄에이터 부재의 한쪽과 일체 성형된 캔틸레버 타입의 것으로 되고, 그 자유단측이 당해 조작 부재 및 당해 액츄에이터 부재의 다른 쪽에 계지(係止; 걸어멈춤)되는 태양의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커버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부재는,
    상기 셔터부가 상기 위쪽 개구부를 덮었을 때의 상기 통형상 본체부의 겉면 노출 부분에, 슬라이드 조작방향의 표시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커버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기 커버체를 구비하고, 또한, 분사용 가스 및 내용물을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식 제품.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기 커버체를 구비하고, 또한, 내용물을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제품.
KR1020127023430A 2010-03-12 2010-07-26 용기 커버체 및 이 용기 커버체를 구비한 에어졸식 제품 KR201300206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56440 2010-03-12
JPJP-P-2010-056440 2010-03-12
PCT/JP2010/062495 WO2011111244A1 (ja) 2010-03-12 2010-07-26 容器カバー体およびこの容器カバー体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658A true KR20130020658A (ko) 2013-02-27

Family

ID=4456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430A KR20130020658A (ko) 2010-03-12 2010-07-26 용기 커버체 및 이 용기 커버체를 구비한 에어졸식 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51214A4 (ko)
JP (1) JP2011207531A (ko)
KR (1) KR20130020658A (ko)
CN (1) CN102791594A (ko)
WO (1) WO2011111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5564B2 (ja) * 2010-10-20 2016-01-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静電噴霧装置
KR101410894B1 (ko) 2013-01-03 2014-06-24 신동훈 면도용 크림용기의 디스펜서
FR3003447B1 (fr) * 2013-03-22 2015-05-01 Oreal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cosmetique, dispositif et procede associes
JP6140559B2 (ja) * 2013-07-18 2017-05-31 株式会社三谷バルブ シャッタートリガ機構ならびにシャッタートリガ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AT514868B1 (de) * 2013-10-04 2015-11-15 Genialistix Gmbh Selbstschließender Ausgießer
JP2015196534A (ja) * 2014-04-02 2015-11-09 ライオン株式会社 ワンタッチキャップ
JP6640447B2 (ja) * 2014-11-05 2020-02-05 ロレアル 供出デバイスおよびそうしたデバイスを備えたパッケージング
DE102016000161A1 (de) * 2016-01-07 2017-07-13 Oliver Zimmerer Schutzkappe und Sprühanordnung mit einer solchen Schutzkappe
JP6703838B2 (ja) * 2016-01-12 2020-06-03 株式会社三谷バルブ 直線スライド操作式の内容物放出機構ならびにこの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FR3063491B1 (fr) * 2017-03-02 2019-04-19 Technima Capot diffuseur de securite
US10370176B2 (en) * 2017-09-12 2019-08-06 Wd-40 Company Child resistant aerosol actuator
FR3092091B1 (fr) 2019-01-25 2021-08-13 Lindal France Diffuseur pour récipient sous pression
EP3741463A1 (en) * 2019-05-24 2020-11-25 Nerudia Limited Aerosol delive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9862B2 (ja) 1997-11-21 2008-02-20 株式会社三谷バルブ カバーキャップ
JP3330323B2 (ja) * 1998-06-22 2002-09-30 エム・エフ・ヴィ株式会社 容 器
GB0003343D0 (en) * 2000-02-14 2000-04-05 Unilever Plc Actuator mechanism
JP2002002840A (ja) * 2000-06-16 2002-01-09 Taisho Pharmaceut Co Ltd 間欠噴射機構付エアゾール装置
US6405898B1 (en) * 2000-11-16 2002-06-18 The Gillette Company Dispenser for a foaming product
JP2002284261A (ja) * 2001-03-23 2002-10-03 Mitani Valve Co Ltd エアゾール容器用噴射ヘッド
JP2003165588A (ja) * 2001-11-29 2003-06-10 Yoshino Kogyosho Co Ltd 残留ガス抜き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容器
EP1949971B1 (en) * 2005-09-26 2019-08-07 Mitani Valve Co., Ltd. Flow rate regulator unit and aerosol-type product with the same
JP2007106490A (ja) * 2005-10-17 2007-04-26 Mitani Valve Co Ltd 内容物放出機構ならびにこれ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US7510102B2 (en) * 2006-02-22 2009-03-31 Schmitt William H Clog resistant actuator and overcap
US8590743B2 (en) * 2007-05-10 2013-11-26 S.C. Johnson & Son, Inc. Actuator cap for a spray device
EP2130787A1 (en) * 2008-06-04 2009-12-09 Somova Srl. Sprayhead and dispen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91594A (zh) 2012-11-21
WO2011111244A1 (ja) 2011-09-15
JP2011207531A (ja) 2011-10-20
EP2551214A1 (en) 2013-01-30
EP2551214A4 (en)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0658A (ko) 용기 커버체 및 이 용기 커버체를 구비한 에어졸식 제품
AU2005273628B2 (en) Liquid dispensing device
JP6105273B2 (ja) シャットオフトリガ機構ならびにこのシャットオフトリガ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5971754B2 (ja) トリガー操作式内容物放出機構ならびにこのトリガー操作式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5435714B2 (ja) 内容物放出機構ならびにこの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ポンプ式製品およびエアゾール式製品
CN106029523B (zh) 内容物释放状态切换机构、具备该内容物释放状态切换机构的喷雾式制品和泵式制品
JP6731741B2 (ja) 放出口近くの残留内容物押出し作用を呈する内容物放出機構ならびにこの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WO2015122229A1 (ja) 内容物放出操作ロック機構ならびに内容物放出操作ロック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6703838B2 (ja) 直線スライド操作式の内容物放出機構ならびにこの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6304797B2 (ja) エアゾール噴射操作機構、およびこのエアゾール噴射操作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2006240735A (ja) 連続作動モード保持機構,連続作動モード保持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エアゾール式製品の操作ボタン保護部材
JP7216947B2 (ja) 内容物放出操作構造ならびにこの内容物放出操作構造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6552044B2 (ja) 内容物放出操作ロック機構ならびにこの内容物放出操作ロック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5587143B2 (ja) 連続作動モード設定機構および、この連続作動モード設定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2015048132A (ja) 内容物放出操作ロック機構ならびに内容物放出操作ロック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CN106660691B (zh) 喷雾器喷射操作机构以及具备该喷雾器喷射操作机构的喷雾式制品
JP2010253443A (ja) 内容物放出機構,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ポンプ式製品およびエアゾール式製品
JP5793886B2 (ja) 連続作動モード設定機構およびこの連続作動モード設定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5477956B2 (ja) 内容物放出量切換え機構ならびにこの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6164729B2 (ja) シャットオフトリガ機構ならびにこのシャットオフトリガ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6892059B2 (ja) エアゾール式製品用またはポンプ式製品用のアタッチメント取付け構造ならびにこのアタッチメント取付け構造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7371904B2 (ja) ステム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ステム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7470374B2 (ja) 容器本体内容物の放出操作ロック構造およびこの放出操作ロック構造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6795905B2 (ja) シャットオフ機構ならびにこのシャットオフ機構を備えたポンプ式製品およびエアゾール式製品
JP6710446B2 (ja) カバー体相対回動式の内容物放出機構ならびにこの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ポンプ式製品およびエアゾール式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