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009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009A
KR20130014009A KR1020110109467A KR20110109467A KR20130014009A KR 20130014009 A KR20130014009 A KR 20130014009A KR 1020110109467 A KR1020110109467 A KR 1020110109467A KR 20110109467 A KR20110109467 A KR 20110109467A KR 20130014009 A KR20130014009 A KR 20130014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pf unit
engine
base
grain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6071B1 (ko
Inventor
야스시 후지타
타카히코 우에무라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6453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784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64534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90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1103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5389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과제) 내구성이 우수한 정화 장치와, 대량의 곡립를 저류할 수 있는 그레인 탱크를 구비한 콤바인을 제안한다.
(해결수단) 상기 과제는 탈곡 장치(5)의 횡측이 되는 기체 좌우 방향 중앙측 부위에 엔진(9)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DPF 유닛(40)을 배치하고, 상기 엔진(9)의 배기 매니폴드(30B)와 DPF 유닛(40)의 흡기구(40E)를 가요성을 갖는 접속관(52,72)을 통해 접속한다. 또한,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DPF 유닛(40)을 배치하고, 그레인 탱크(6)의 하부에 기체 외측에 향해서 하강 경사진 경사벽(21D)을 구비하고, 상기 DPF 유닛(40)을 상기 경사벽(21D)의 하측 공간으로 들어가게 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미연 연료, 입상화 물질을 정화하는 배기 장치를 탈곡 장치와 그레인 탱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10-8454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0-209813호 공보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콤바인은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와 미연 연료, 입상화 물질을 정화하는 정화 장치를 강관으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엔진의 진동에 의해 정화 장치가 조기에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정화 장치를 탈곡 장치의 측벽과 그레인 탱크의 측벽 사이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의 좌우 방향의 폭을 좁게 할 필요가 있어 그레인 탱크의 저류 용량이 소량이 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에 있으며, 그 다음 과제는 정화 장치의 보수·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체의 하부에 주행 장치(3)를 구비하고, 기체의 상부에는 탈곡 장치(5)와 그 탈곡 장치(5)를 구동하는 엔진(9)을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의 횡측이 되는 기체 좌우 방향 중앙측 부위에 엔진(9)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DPF 유닛(40)을 배치하고, 엔진(9)을 기대(41)측에 탄성부재(9B)를 통해 지지하고, DPF 유닛(40)은 기대(41)측에 고정하고, 엔진(9)의 배기 매니폴드(30B)와 DPF 유닛(40)의 흡기구(40E)를 가요성을 갖는 접속관(52,72)을 통해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를 기체의 좌우 한쪽에 구비하고, 기체의 좌우 다른쪽에는 그레인 탱크(6)를 구비하고, 상기 그레인 탱크(6)의 전방측에 엔진(9)을 구비하고, 상기 그레인 탱크(6)의 하부에 기체 외측을 향해서 하향 경사진 경사벽(21D)을 구비하고, 상기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배치되는 DPF 유닛(40)을 상기 경사벽(21D)의 하측 공간으로 들어가게 한 콤바인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DPF 유닛(40)을 경사벽(21D) 상부의 하면에 근접시켜서 배치한 콤바인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21D)의 상부에 상향의 오목부(22)를 형성하고, 상기 DPF 유닛(40)의 상부를 상기 오목부(22)로 향하게 한 콤바인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로부터 탈곡 후의 곡립을 그레인 탱크(6)로 공급하는 제 1 양곡 장치(14)를 구비하고, 상기 DPF 유닛(40)을 기체 측면으로 볼 때 엔진(9)과 제 1 양곡 장치(14) 사이에 배치한 콤바인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PF 유닛(40)의 배기구(40F)에 배기측 접속관(54,74)을 접속하고, 상기 배기구(40F)의 외주와 배기측 접속관(54,74)의 내주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 콤바인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엔진(9)을 탄성부재(9B)를 통해 기대(41)에 지지시킴으로써 엔진(9)의 진동이 기대(41)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DPF 유닛(40)은 기대(41)측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의 포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탄성부재(9B)를 통해 기대(41)에 지지된 엔진(9)과, 기대(41)측에 고정된 DPF 유닛(40)이 작업중이나 엔진(9)의 시동시에 있어서 다른 진동 상태로 되어도 접속관(52,72)의 휘어짐에 의해 이 진동차를 흡수할 수 있어 배기 매니폴드(30B)로부터 DPF 유닛(40)에 이르는 배기관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접속관(52,72)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엔진(9)의 배기 매니폴드(30B)와 DPF 유닛(40)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엔진(9)의 운전중에 고온이 되는 DPF 유닛(40)을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포장(圃場)에 식립되는 곡간(穀稈)과 DPF 유닛(4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DPF 유닛(40)을 상기 경사벽(21D)의 하측 공간으로 들어가게 했으므로, DPF 유닛(40)의 방열에 의해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의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고, 그레인 탱크 내부에서의 곡립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DPF 유닛(40)을 그레인 탱크(6)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벽(21D) 상부의 하면측에 근접해서 배치하고 있으므로, DPF 유닛(4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그레인 탱크(6)의 용적의 감소를 억제하여 곡립의 저류량을 증대시켜서 콤바인의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DPF 유닛(40)의 상부를 그레인 탱크(6)의 경사벽(21D)에 형성된 오목부(22)를 향하게 하고 있으므로, DPF 유닛(40)의 방열에 의해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의 건조를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DPF 유닛(40)을 기체 측면으로 볼 때 엔진(9)과 제 1 양곡 장치(14) 사이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DPF 유닛(40)을 고온상태로 유지해서 배기가스의 정화를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DPF 유닛(40)의 배기구(40F)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배기측 접속관(54,74)을 접속하고 있으므로, 이젝터 효과에 의해 배기측 접속관(54,74)을 효율적으로 냉각하여 포장 상의 곡간 등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요부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요부 우측면 확대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요부 평면 확대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요부 배면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의 요부 배면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의 엔진의 배면 확대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의 요부 정면 확대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의 요부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의 요부 우측면 확대도이다.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의 요부 배면도이다.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의 요부 우측면 확대도이다.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의 요부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제 3 실시형태의 테일부를 분리한 요부 우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방향을 나타내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에 의해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콤바인(1)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을 주행하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로 이루어지는 주행 장치(3)와, 기체의 전단 위치에서 포장으로부터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4)와, 그 후방에서 곡간의 탈곡·선별을 행하는 탈곡 장치(5)와, 탈곡 장치(5)의 우측에 병설되어 탈곡·선별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6)를 구비하고, 그레인 탱크(6)의 전방측에서 예취 장치(4)의 배면을 향하는 부위에 조작자가 탑승하는 조종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레인 탱크(6)의 후방측에는 저류된 곡립을 기외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8)를 구비하고, 조종부(7)의 하방 후방측의 엔진룸(E)에는 디젤 엔진(엔진)(9)이 탑재되어 있다.
(탈곡 장치)
예취 장치(4)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탈곡 장치(5)에 올려져 반송되고, 탈곡 장치(5)에 의해 탈곡·선별된다. 탈곡 장치(5)는 상부에 곡간의 탈곡을 행하는 급실(扱室)과, 하부에 곡간의 선별을 행하는 선별실을 구비하고 있다. 급실에는 도 4, 도 1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급치(扱齒)를 갖는 급동(扱胴)(10)이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급동축(10A)에 축지지되고, 선별실에는 요동 선별 장치에 공기를 송풍하는 풍구(11)와, 요동 선별 장치로부터 누하되는 곡립을 회수하는 1번 수용 홈통(12)과, 요동 선별 장치로부터 누하되는 지경(枝梗) 등이 부착된 곡립(2번물)을 회수하는 2번 수용 홈통(13)이 전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1번 수용 홈통(12)에 의해 회수된 곡립은 탈곡 장치(5)의 우측에 설치된 제 1 양곡 장치(14)에 의해 그레인 탱크(6)로 양송된다. 제 1 양곡 장치(14)는 원통 강재로 이루어지는 제 1 양곡 통(14A)과, 곡립을 이송하는 제 1 양곡 나선(14B)으로 구성되고, 제 1 양곡 통(14A)의 기부는 탈곡 장치(5)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통되고, 제 1 양곡 통(14A)의 상부는 그레인 탱크(6)의 투입구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 1 양곡 통(14A)은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에 의해 끼워진 공간(S)을 기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2번 수용 홈통(13)에 의해 회수된 지경 등이 부착된 곡립은 탈곡 장치(5)의 우측에 설치된 제 2 양곡 장치(15)에 의해 2번 처리실(16)로 양송된다. 제 2 양곡 장치(15)는 원통 강재로 이루어지는 제 2 양곡 통(15A)과, 2번물을 이송하는 제 2 양곡 나선(15B)으로 구성되고, 제 1 양곡 통(14A)의 기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양곡 통(15A)의 기부는 탈곡 장치(5)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통되고, 제 2 양곡 통(15A)의 상부는 2번 처리실(16)의 투입구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 2 양곡 통(15A)은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에 의해 끼워진 공간(S)을 기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2번물을 처리해서 환원하는 2번 처리실(16)의 내부에는 외주면에 간헐 나선 날개를 구비한 2번 처리동(16A)이 축가되어 있다. 2번 처리실(16)에 공급된 2번물은 회전하는 2번 처리동(16A)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면서 곡립과 지경이 분리되고, 2번 처리물 환원구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에 낙하하여 급실로부터의 피처리물과 합류해서 재선별된다.
급실의 급동(10)에는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9)의 좌측에 설치된 출력축(17)과 중간축(18)의 풀리(18C)에 감아 걸어진 벨트(17A) 및 중간축(18)과 급동 전동축(10B)에 감아 걸어진 벨트(18A)에 의해 엔진(9)의 출력축(17)의 회전이 전동되어 있다. 또한, 2번 처리실(16)의 2번 처리동(16A)에는 엔진(9)의 출력축(17)과 중간축(18)에 감아 걸어진 벨트(17A) 및 중간축(18)과 2번 처리동 전동축(16B)에 감아 걸어진 벨트(18B)에 의해 엔진(9)의 출력축(17)의 회전이 전동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
제 1 양곡 장치(14)에 의해 양송된 곡립은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다. 그레인 탱크(6)는 도 8, 도 1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구가 형성된 탱크부(20)와, 배출 오거(8)에 곡립을 이송하는 배출 나선을 내설하는 깔때기부(21)로 구성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6) 내의 점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탱크부(20)는 우측벽(20A)과, 좌측벽(20B)(측벽)을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접합한 접합 구조로 되어 있다. 우측벽(20A)은 전방벽과, 후방벽과, 우벽과, 천정벽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우측벽(20A)의 주변부의 내측에는 좌측벽(20B)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 등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 등의 고정 부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벽(20B)의 주변부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깔때기부(21)는 전방벽(21A)과, 후방벽(21B)과, 우벽(21C)과, 좌벽(경사벽)(21D)으로 구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깔때기부(21)의 하부에는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 오거(8)에 반송하는 배출 나선이 깔때기부(21)의 우측에 치우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벽(21D)은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을 능률적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좌벽(21D)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경사지는 안식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깔때기부(21)의 좌벽(21D)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DPF 유닛)(40)의 우측 상단부를 배치하기 위해서 깔때기부(21)의 전단부로부터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이르는 오목부(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을 능률적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오목부(22)의 저면편(저면부)(22A)에는 좌벽(21D)과 마찬가지로 저면편(22A)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경사지는 안식각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목부(22)는 깔때기부(21)의 전단부로부터 그레인 탱크(6)의 투입구의 하방위치까지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엔진)
조종부(7)의 하방에 배치된 엔진(9)은 본 발명의 탄성부재로서의 엔진 마운트를 통해 기대(41)에 설치되어 있다. 엔진(9)의 상면에는 도 6,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9)에 공기를 과급하는 흡기 터빈(30A)과 엔진(9)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터빈(배기 매니폴드)(30B)을 갖는 과급기(30)와, 엔진(9)에 배기가스의 일부를 혼입시키는 배기 재순환 장치(EGR)(31)를 후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병설하고 있다.
또한, 그레인 탱크(6)를 개방해서 엔진(9)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엔진(9)의 후면에는 도 10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의 상부 중앙부에 과급기(30)를 배치하고, 후면의 우측에 발전기(32)와, 오일을 순환시키는 기어 펌프(33)와, 배출 오거(8)를 구동하는 오거 전동부(34)를 우측 중앙부로부터 우측 하부를 향해서 순서대로 병설하고, 후면의 좌측 중앙부에 엔진(9)을 기동하는 스타터(35)를 배치하고 있다.
(DPF 유닛)
엔진(9)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엔진(9)의 배기 매니폴드(30B)로부터의 접속관(50)에는 도 4~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F 유닛(40)이 접속되어 있다. DPF 유닛(40)의 내부에는 상류측(흡기구측)의 산화 촉매(DOC)(40A)와, 하류측(배기구측)의 파티큘레이트 필터(DPF)(40B)가 설치되어 있어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미연 연료는 DOC(40A)에 의해 산화되고,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입상화 물질은 DPF(40B)에 의해 제거된다.
DPF 유닛(40)은 도 4,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41)에 설치된 강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4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42)은 전방측 프레임(43)과, 후방측 프레임(44)과, 상부 연결 프레임(45)과, 하부 연결 프레임(46)과, 커버(47)와, DPF 유닛(40)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재(4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대(41)에는 기부가 기대(4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선단부가 주행 장치(3)에 축지지된 후방측 연결 플레이트(56)에 고정된 피칭 실린더(57)와, 기부가 기대(4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선단부가 주행 장치(3)에 축지지된 전방측 연결 플레이트(58)에 고정된 좌우 한쌍의 롤링 실린더(5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칭 실린더(57)는 주행 장치(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콤바인(1)의 전후 방향의 자세를 경사시키는 기능을 갖고, 롤링 실린더(59)는 주행 장치(3)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콤바인(1)의 좌우 방향의 자세를 경사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 프레임(43)은 기부가 기대(41)에 고정되고 상방을 향해서 연신되는 전방측 좌측 기둥(43A)과, 기부가 기대(41)에 고정되고 상방을 향해 연신되고, 그 후에 좌측 상방을 향해 연신되고, 계속해서 좌측을 향해서 연신되어 정부(頂部)가 전방측 좌측 기둥(43A)의 정부에 고정되는 전방측 우측 기둥(43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방측 프레임(44)은 기부가 기대(41)에 고정되고 상방을 향해 연신되는 후방측 좌측 기둥(44A)과, 기부가 기대(41)에 고정되고 상방을 향해 연신되고, 그 후에 좌측 상방을 향해서 연신되고, 계속해서 좌측을 향해서 연신되어 정부가 후방측 좌측 기둥(44A)의 정부에 고정되는 후방측 우측 기둥(44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연결 프레임(45)의 양단부는 전방측 좌측 기둥(43A)의 정부와, 후방측 좌측 기둥(44A)의 정부에 각각 고정되고, 하부 연결 프레임(46)의 양단부는 전방측 우측 기둥(43B)의 기부의 상방과, 후방측 우측 기둥(44B)의 기부의 상방 각각에 고정되어 있다.
커버(47)는 전방측 우측 기둥(43B)과 후방측 우측 기둥(44B)에 가설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48)의 상부(48A)는 상부 연결 프레임(45)에 고정되고, 하부(48C)는 하부 연결 프레임(46)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재(48)의 상부(48A)는 우측 하방으로 연신되고, 그 후에 DPF 유닛(40)의 외주면을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DPF 유닛(40)의 외주 형상에 대향하듯이 중간부(48B)는 하방을 향해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약 180도 반시계 방향으로 연신되고, 계속해서 우측을 향해서 하부가 연신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 프레임(43)의 전방측에는 도 5, 도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냉각팬(28)에 의해 흡기되는 공기에 의한 DPF 유닛(40)의 냉각을 방지하기 위해서 강재로 이루어지는 차풍판(4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DOC(40A)에 의해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미연 연료의 산화, DPF(40B)에 의해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입상화 물질의 제거를 능률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DPF 유닛(40)의 내부온도를 30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관로 구조)
엔진(9)의 배기 터빈(30B)의 배기구와 DPF 유닛(40)의 흡기구(40E)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속관(51)과, 엔진(9)의 진동의 전파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스테인레스관으로 이루어지고 가요성을 갖는 플렉시블 튜브(접속관)(52)와,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속관(5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 1 접속관(51)은 도 4,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으로 볼 때 배기 터빈(30B)의 배기구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연신되고, 도 6,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 배기 터빈(30B)의 배기구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연신되고, 그 후에 후방측을 향해서 대략 90도 만곡되고, 계속해서 후방측을 향해서 연신되어 플렉시블 튜브(52)의 흡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튜브(52)는 도 4,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으로 볼 때 플렉시블 튜브(52)의 흡기구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연신되고, 도 6,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 플렉시블 튜브(52)의 흡기구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연신되어 제 2 접속관(53)의 흡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속관(53)은 도 4,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으로 볼 때 플렉시블 튜브(52)의 배기구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신되고, 그 후에 하방을 향해서 대략 90도 만곡되고, 계속해서 하측을 향해서 연신되어 DPF 유닛(40)의 흡기구(40E)에 접속되어 있다.
DPF 유닛(40)의 배기구(40F)에는 DPF 유닛(40)에 의해 배기가스 중의 미연 연료, 입상화 물질이 제거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접속관(배기측 접속관)(54)이 접속되어 있다.
고온인 배기가스의 배출에 의한 제 3 접속관(54)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3 접속관(54)의 내경은 DPF 유닛(40)의 배기구(40F)의 외경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DPF 유닛(40)의 배기구로부터 제 3 접속관(54)에 유입되는 배기에 의해 제 3 접속관(54)의 DPF 유닛(40)측 단부와, 배기구의 간극으로부터 외기가 인입됨으로써 제 3 접속관(54) 내의 배기 온도가 저하된다. 또한, 제 3 접속관(54)은 도 4,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으로 볼 때 DPF 유닛(40)의 배기구(40F)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연신되고, 그 후에 후방측을 향해서 대략 90도 만곡되고, 계속해서 기대(41) 사이를 후방측을 향해서 연신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9)은 본 발명의 탄성부재로서의 엔진 마운트(방진 마운트)(9B)를 통해 기대(41)에 부착되고, DPF 유닛(40)은 기대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엔진(9)의 지지 구조는 엔진(9)의 하부에 구비하는 엔진측 지지부재(9A)가 탄성을 갖는 엔진 마운트(9B)를 통해 기체측 지지부재(41A)에 지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엔진(9)은 시동시나 탈곡 장치(5) 등의 부하 발생시에 기대(41)에 대하여 크게 진동하지만, 이 경우 엔진(9)과 DPF 유닛(40)의 고유 진동수의 차이로부터 배관이나 DPF 유닛(40)의 파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엔진(9)과 DPF 유닛(40)이 가요성을 갖는 플렉시블 튜브(52)를 통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9)과 DPF 유닛(40)의 진동 상태가 달랐다고 해도 이 진동의 차를 접속관(52)의 휘어짐에 의해 흡수해서 제 1 접속관(51) 및 제 2 접속관(53)의 파손이나 DPF 유닛(40)의 파손, 그리고 DPF 유닛(40)이 진동하는 것에 의한 DPF(40B)의 입자상 물질의 포집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PF 유닛의 배치 위치)
프레임(42)에 지지된 DPF 유닛(40)은 도 4,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는 엔진(9)의 후면과 제 1 양곡 장치(14)의 제 1 양곡 통(14A)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에서는 엔진(9)의 우측(외측)에 설치된 냉각팬(28)의 중심보다 낮고, 피칭 실린더(57)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DPF 유닛(40)의 하단부는 풍구(11)의 팬(11A)의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PF 유닛(40)은 도 6,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는 엔진(9)의 후면과 제 1 양곡 장치(14)의 제 1 양곡 통(14A) 사이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DPF 유닛(40)의 전단부는 그레인 탱크(6)의 깔때기부(21)의 전방벽(21A)과 대략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DPF 유닛(40)은 좌우 방향에서는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탈곡 장치(5)의 급동(10)에 회전을 전동하는 벨트(17A,18A) 및 탈곡 장치(5)의 2번 처리동(16A)에 회전을 전동하는 벨트(17A,18B)의 고온에 의한 내구성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DPF 유닛(40)은 풀리(18C), 벨트(17A,18A,18B)보다 우측 후방에 배치되고,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DPF 유닛(40)의 우측 상부는 그레인 탱크(6)의 깔때기부(21)의 좌벽(21D)에 형성된 오목부(22)를 향하고 있다.
DPF 유닛(40)은 도 8, 도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는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DPF 유닛(40)의 중심은 그레인 탱크(6)의 깔때기부(21)의 좌벽(21D)의 상단부보다 우측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DPF 유닛(40)은 상하 방향에서는 탈곡 장치(5)의 2번 처리동(16A)과 피칭 실린더(57) 사이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의 곡간에의 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레인 탱크(6)의 깔때기부(21)의 좌벽(21D)의 상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DPF 유닛(40)의 우측 상부는 그레인 탱크(6)의 깔때기부(21)의 좌벽(21D)에 형성된 오목부(22)를 향하고 있다.
DPF 유닛(40)은 도 11, 도 1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는 엔진(9)의 좌측면(9C)보다 우측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3~도 17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엔진(9)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갖는 엔진 마운트를 통해 기대(41)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엔진(9)의 하부에 구비하는 엔진측 지지부재(9A)가 탄성을 갖는 엔진 마운트(9B)를 통해 기체측 지지부재(41A)에 지지되어 있다.
DPF 유닛(40)은 기대(41)에 설치된 강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102)은 전방측 프레임(103)과, 후방측 프레임(104)과, 상부 연결 프레임(105)과, 하부 연결 프레임(106)과, 커버(107)와, DPF 유닛(40)을 지지하는 하측 지지부재(108), 상측 지지부재(10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대(41)에는 기부가 기대(4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선단부가 주행 장치(3)에 축지지된 후방측 연결 플레이트(56)에 고정된 피칭 실린더(57)와, 기부가 기대(4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선단부가 주행 장치(3)에 축지지된 전방측 연결 플레이트(58)에 고정된 좌우 한쌍의 롤링 실린더(5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칭 실린더(57)는 주행 장치(3)에 대하여 기대(41)의 전후 방향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고, 롤링 실린더(59)는 주행 장치(3)에 대하여 기대(41)의 좌우 방향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102)은 DPF 유닛(40)의 주위를 덮음과 아울러 기대(41)에 DPF 유닛(40)을 지지시키기 위한 것이고, DPF 유닛(40)의 상측 및 좌우 양측은 커버에 의해 덮여지고, 전방측은 전방측 프레임(103)에 의해, 후방측은 후방측 프레임(104)에 의해 덮여져 있다.
(후방측 프레임 및 전방측 프레임)
후방측 프레임(104)은 DPF 유닛(40)의 후방측을 덮는 커버부(104A)와, 커버부(104A)의 하단부로부터 기대(41)측으로 연신된 좌우의 다리부(104B,104C)를 갖고, 이 우측 다리부(104B) 및 좌측 다리부(104C)의 하단부가 기대(41)측에 고정된다.
우측 다리부(104B)는 기대(41)에 있어서의 상기 피칭 실린더(57)보다 우측 부위에 직접 고정되고, 좌측 다리부(104C)는 기대(41)에 구비하는 부착부재(41B)에 고정되어 있다. 이 부착부재(41B)는 제 3 접속관(54)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부재를 겸용하고 있고, 이 구성에 의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피칭 실린더(57)의 선단부(후단부)측은 우측 다리부(104B) 및 좌측 다리부(104C) 사이로부터 후방으로 연신되어 주행 장치(3)측의 크롤러 프레임과 연계된 피칭 암과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방측 프레임(104)을 피칭 실린더(57)의 상부에 설치한 것이면서 피칭 실린더(57)의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전방측 프레임(103)은 DPF 유닛(40)의 전방측을 덮는 커버부(103A)와, 커버부(103A)의 하단부의 우측 부근 부위로부터 기대(41)측으로 연신된 1개의 다리부(103B)를 갖고, 이 다리부(103B)는 기대(41)에 고정되고, 커버부(104A)의 상부 좌측 부근에 구비하는 부착부는 상부 연결 프레임(105)에 고정된다. 전방측 프레임(103)이 커버부(103A)의 좌측 하부에 다리부를 설치하지 않은 구조이기 때문에 엔진(9)으로부터의 전동 벨트 등의 전동기구에 전방측 프레임(103)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 프레임(103)은 후방측 프레임(104)과 마찬가지로 2개의 다리부를 갖는 구조로 해도 좋다.
(상부 연결 프레임 및 하부 연결 프레임)
전방측 프레임(103)과 후방측 프레임(104) 사이에는 전후 방향의 상부 연결 프레임(105) 및 하부 연결 프레임(10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부 연결 프레임(105)의 전단부의 고정부(105A)는 엔진(9)의 후방부에 있어서 기대(41)로부터 기립된 엔진 후방부 프레임(109)에 고정된다.
(커버)
그리고, 상기 커버(107)는 전방측 프레임(103) 및 후방측 프레임(104)과, 상부 연결 프레임(105) 및 하부 연결 프레임(106)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커버(107)는 좌측 커버(107L)와 우측 커버(107R)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좌측 커버(107L)는 상부 연결 프레임(105)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이 상단부로부터 탈곡 장치(5)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진 상측 경사면과, 상측 경사면의 하단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하방을 향하는 측면부와 그레인 탱크(6)측이 낮게 경사지고, 측면부의 하단으로부터 배면으로 볼 때 후방측 프레임(104)과 교차하는 위치까지 이르는 하측 경사면을 갖는다.
다른쪽의 우측 커버(107R)는 상부 연결 프레임(105)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상부 연결 프레임(105)으로부터 그레인 탱크(6)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연신된 상면부와, 상면부의 우측 단부보다 그레인 탱크(6)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지는 상측 경사면과, 상측 경사면의 하단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하방을 향하는 측면부를 갖고, 이 측면부의 하단부는 하부 연결 프레임(106)에 고정된다.
그리고, 좌측 커버(107L)와 우측 커버(107R)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전방측 프레임(103) 및 후방측 프레임(104)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각각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러나, 커버(107)는 DPF 유닛(40)의 상측 및 좌우 양측을 덮고, 하측(좌측 커버(107L)와 우측 커버(107R)의 하단부 사이의 부위, 하측 개구부(Hb))은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DPF 유닛(40)의 전방측 및 후방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측 프레임(103)과 후방측 프레임(104)의 커버부(103A,104A)에 덮여져 있지만, 후방측 프레임(104)의 커버부(104A)는 상부 연결 프레임(105)의 좌단부보다 우측에만 설치되어 있고, 커버부(104A)와 좌측 커버(107L) 사이는 개방되어 있다(후방측 개구부(Hr)). 따라서, 후술하는 센서 유닛(110)의 후방이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센서 유닛(110)의 열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 및 하측 지지부재)
하측 지지부재(108) 및 상측 지지부재(109)는 상부 연결 프레임(105)과 하부 연결 프레임(106)에 DPF 유닛(4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하측 지지부재(108)의 상부(108A)는 상부 연결 프레임(105)에 고정되고, 하부(108C)는 하부 연결 프레임(106)에 고정되어 있다. 하측 지지부재(108)의 상부(108A)는 우측 하방으로 연신되고, 그 후에 DPF 유닛(40)의 외주면을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외주의 형상을 따르는 원호상의 원호부(108B)가 형성되고, 계속해서 우측을 향해서 하부(108C)가 연신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지지부재(109)는 상부(109A)가 하측 지지부재(108)의 상부(108A)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되고, 하부(109C)가 하측 지지부재(108)의 하부(108C)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되어 있다. 상부(109A)와 하부(109C) 사이에는 DPF 유닛(40)의 외주를 따르는 원호부(109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하측 지지부재(108) 및 상측 지지부재(109)에 의해 DPF 유닛(40)이 고정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하측 지지부재(108)의 상부(108A) 및 하부(108C)와 상부 연결 프레임(105) 및 하부 연결 프레임(106) 사이에는 방진용 탄성부재(고무편)를 구비하고 있어 기대(41)로부터 DPF 유닛(40)에 전파되는 진동을 저감하고 있다.
(센서 유닛)
DPF 유닛(40)의 탈곡 장치(5)측의 측부에는 DPF 유닛(40)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유닛(110)이 부착되어 있다. 이 센서 유닛(110)은 DPF(40B)의 필터보다 배기 흐름 방향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 센서와, DOC(40A) 및 DPF(40B)의 각 부에 있어서의 배기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 등과 접속되고, 엔진(9)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다.
센서 유닛(110)은 DPF 유닛(40)의 전후로 분할된 통체를 접합하기 위한 플랜지의 체결 볼트에 의해 브래킷(110A)으로 DPF 유닛(40)에 고정되어 있다.
(배기관로 구조)
엔진(9)으로부터 DPF 유닛(40)에 이르는 배기관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속관(51)과, 스테인레스관으로 이루어지고 가요성을 갖는 플렉시블 튜브(접속관)(52)와,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속관(5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DPF 유닛(40)의 배기구(40F)에는 DPF 유닛(40)에 의해 배기가스 중의 미연 연료, 입상화 물질이 제거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접속관(배기측 접속관)(54)이 접속되어 있다.
고온인 배기가스의 배출에 의한 제 3 접속관(54)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3 접속관(54)의 내경은 DPF 유닛(40)의 배기구(40F)의 외경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DPF 유닛(40)의 배기구로부터 제 3 접속관(54)에 유입되는 배기에 의해 제 3 접속관(54)의 DPF 유닛(40)측 단부와, 배기구의 간극으로부터 외기가 인입됨으로써 제 3 접속관(54) 내의 배기 온도가 저하된다. 또한, 제 3 접속관(54)은 도 4,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으로 볼 때 DPF 유닛(40)의 배기구(40F)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연신되고, 그 후에 후방측을 향해서 대략 90도 만곡되고, 계속해서 기대(41) 사이에 후방측을 향해서 연신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9)은 탄성을 갖는 엔진 마운트(9B)를 통해 기대(41)에 부착되고, DPF 유닛(40)은 기대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9)은 시동시나 탈곡 장치(5) 등의 부하 발생시에 기대(41)에 대하여 크게 진동하지만, 이 경우 엔진(9)과 DPF 유닛(40)의 고유 진동수의 차이로부터 배관이나 DPF 유닛(40)의 파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엔진(9)과 DPF 유닛(40)이 가요성을 갖는 플렉시블 튜브(52)를 통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9)과 DPF 유닛(40)의 진동 상태가 달랐다고 해도 이 진동의 차를 접속관(52)의 휘어짐에 의해 흡수하고, 제 1 접속관(51) 및 제 2 접속관(53)의 파손이나 DPF 유닛(40)의 파손, 그리고, DPF 유닛(40)이 진동하는 것에 의한 DPF(40B)의 입자상 물질의 포집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PF 유닛의 배치 위치)
DPF 유닛(40)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에서는 엔진(9)의 후면과 제 1 양곡 장치(14)의 제 1 양곡 통(14A) 사이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DPF 유닛(40)의 전단부는 그레인 탱크(6)의 깔때기부(21)의 전방벽(21A)과 대략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DPF 유닛(40)은 상하 방향에서는 탈곡 장치(5)의 2번 처리동(16A)과 피칭 실린더(57) 사이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의 곡간으로의 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레인 탱크(6)의 깔때기부(21)의 좌벽(21D)의 상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DPF 유닛(40)의 우측 상부는 그레인 탱크(6)의 깔때기부(21)의 좌벽(21D)에 형성된 오목부(22)를 향하고 있다. 즉, DPF 유닛(40)은 일부 또는 전부가 그레인 탱크(6)의 좌벽(21D)의 하측으로 들어가 있다.
DPF 유닛(40)은 그 전후 방향의 길이의 중앙위치가 주행 장치(3)의 전후 방향의 접지 길이(L)의 접지 중심(C)과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요철이 있는 포장을 주행해서 콤바인(1)의 기체의 전후 방향의 자세변화에 따른 상하의 진동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어 입상화 물질의 포집 효율 저하나 진동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1)은 단일의 피칭 실린더(57)에 의해 전후의 경사 자세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전후에 2개의 피칭 실린더를 구비해서 전후의 경사 자세를 변경하는 형태를 채용할 경우에는 DPF 유닛(40)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중앙위치가 2개의 피칭 실린더의 전후 간격의 중앙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엔진(9)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엔진(9)의 접속관(70)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F 유닛(40)이 접속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DPF 유닛(40)은 기대(41)에 설치된 강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6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62)은 전방측 프레임(63)과, 후방측 프레임(64)과, 상부 연결 프레임(65)과, 하부 연결 프레임(66)과, 커버(67)와, DPF 유닛(40)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재(6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측 프레임(63)은 제 1 실시형태 전방측 프레임(43)과 마찬가지로 기부가 기대(41)에 고정되고 상방을 향해서 연신되는 전방측 좌측 기둥과, 기부가 기대(41)에 고정되고 상방을 향해서 연신되고, 그 후에 좌측 상방을 향해서 연신되고, 계속해서 좌측을 향해서 연신되어 정부가 전방측 좌측 기둥의 정부에 고정되는 전방측 우측 기둥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후방측 프레임(64)은 제 1 실시형태의 후방측 프레임(44)과 마찬가지로 기부가 기대(41)에 고정되고 상방을 향해서 연신되는 후방측 좌측 기둥과, 기부가 기대(41)에 고정되고 상방을 향해서 연신되고, 그 후에 좌측상방을 향해서 연신되고, 계속해서 좌측을 향해서 연신되어 정부가 후방측 좌측 기둥의 정부에 고정되는 후방측 우측 기둥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연결 프레임(65)의 양단부는 전방측 프레임(63)의 전방측 좌측 기둥의 정부와 후방측 프레임(64)의 후방측 좌측 기둥의 정부에 각각 고정되고, 하부 연결 프레임(66)의 양단부는 전방측 프레임(63)의 전방측 우측 기둥의 기부의 상방과, 하부 연결 프레임(66)의 후방측 우측 기둥의 기부의 상방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연결 프레임(65) 및 하부 연결 프레임(66)은 제 1 실시형태의 상부 연결 프레임(45) 및 하부 연결 프레임(46)보다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커버(67)는 전방측 프레임(63)의 전방측 우측 기둥과 후방측 프레임(64)의 후방측 우측 기둥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가설되어 있다.
지지부재(68)의 상부는 상부 연결 프레임(65)에 고정되고, 지지부재(68)의 하부는 하부 연결 프레임(66)에 고정되고, 지지부재(68)의 중간부는 DPF 유닛(40)의 분할면(40C)보다 전방측의 외주 형상에 대향해서 하방을 향해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PF 유닛(40)의 DPF(40B)의 교환 작업을 간이하게 행하기 위해서 DPF 유닛(40)의 분할면(40C)보다 후방측의 테일부(40D)는 프레임(62)의 하부 연결 프레임(66)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DPF(40B)의 교환 작업시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F 유닛(40)으로부터 테일부(40D)를 분리함으로써 DPF(40B)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엔진(9)의 배기 터빈(30B)의 배기구와 DPF 유닛(40)의 흡기구(40E)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속관(71)과, 엔진(9)의 진동의 전파를 저감하기 위해서 스테인레스관으로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튜브(접속관)(72)와,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속관(7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18,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접속관(71)은 측면으로 볼 때 배기 터빈(30B)의 배기구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상측으로 연신되고, 그 후에 하측을 향해서 대략 45도 만곡되고, 계속해서 하방을 향해서 연신되어 플렉시블 튜브(72)의 흡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튜브(72)는 측면으로 볼 때 플렉시블 튜브(72)의 흡기구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연신되어 제 2 접속관(73)의 흡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속관(73)은 측면으로 볼 때 플렉시블 튜브(72)의 배기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신되어 DPF 유닛(40)의 흡기구(40E)에 접속되어 있다.
DPF 유닛(40)의 배기구(40F)에는 DPF 유닛(40)에 의해 배기가스 중의 미연 연료, 입상화 물질이 제거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접속관(배기측 접속관)(74)이 접속되어 있다.
고온인 배기가스의 배출에 의한 제 3 접속관(74)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3 접속관(74)의 내경은 DPF 유닛(40)의 배기구(40F)의 외경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접속관(74)은 측면으로 볼 때 DPF 유닛(40)의 배기구(40F)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연신되고, 그 후에 후방측을 향해서 대략 120도 만곡되고, 계속해서 기대(41) 사이를 후방측을 향해서 연신되어 있다.
프레임(62)에 지지된 DPF 유닛(40)은 제 1 실시형태의 DPF 유닛(40)과 마찬가지로 도 18,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는 엔진(9)의 후면과 제 1 양곡 장치(14)의 제 1 양곡 통(14A)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에서는 엔진(9)의 우측(외측)에 설치된 냉각팬(28)의 중심보다 낮고, 피칭 실린더(57)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DPF 유닛(40)은 좌우 방향에서는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탈곡 장치(5)의 급동(10)에 회전을 전동하는 벨트(17A,18A) 및 탈곡 장치(5)의 2번 처리동(16A)에 회전을 전동하는 벨트(17A,18B)의 고온에 의한 내구성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DPF 유닛(40)은 벨트(17A,18A,18B)보다 우측 후방에 배치되고,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DPF 유닛(40)의 우측 상부는 그레인 탱크(6)의 깔때기부(21)의 좌벽(21D)에 형성된 오목부(22)를 향하고 있다.
1:콤바인 3:주행 장치
4:예취 장치 5:탈곡 장치
6:그레인 탱크 7:조종부
8:배출 오거 9:엔진
9B:탄성부재(엔진 마운트) 14:제 1 양곡 장치
14A:제 1 양곡 통 14B:제 1 양곡 나선
16:2번 처리실 20:탱크부
20A:우측벽 20B:좌측벽(측벽)
21:깔때기부 21A:전방벽
21B:후방벽 21C:우측벽
21D:좌측벽(경사벽) 22:오목부
22A:저면편(저면부) 30:과급기
30A:흡기 터빈 30B:배기 터빈(배기 매니폴드)
31:EGR 40:DPF 유닛
40E:흡기구 40F:배기구
41:기대 49:차풍판
50:접속관 51:제 1 접속관
52:플렉시블 튜브(접속관) 53:제 2 접속관
54:제 3 접속관(배기측 접속관) 57:피칭 실린더
59:롤링 실린더 70:접속관
71:제 1 접속관 72:플렉시블 튜브(접속관)
73:제 2 접속관 74:제 3 접속관(배기측 접속관)
E:엔진룸 S:공간

Claims (6)

  1. 기체의 하부에 주행 장치(3)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상부에는 탈곡 장치(5)와 그 탈곡 장치(5)를 구동하는 엔진(9)을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의 횡측이 되는 상기 기체 좌우 방향 중앙측 부위에 상기 엔진(9)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DPF 유닛(40)을 배치하고,
    상기 엔진(9)을 기대(11)측에 탄성부재(9B)를 통해 지지하고, 상기 DPF 유닛(40)은 기대(41)측에 고정하고,
    상기 엔진(9)의 배기 매니폴드(30B)와 상기 DPF 유닛(40)의 흡기구(40E)를 가요성을 갖는 접속관(52,72)을 통해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를 상기 기체의 좌우 한쪽에 구비하고, 상기 기체의 좌우 다른쪽에는 그레인 탱크(6)를 구비하고, 그 그레인 탱크(6)의 전방측에 상기 엔진(9)을 구비하고, 상기 그레인 탱크(6)의 하부에 상기 기체 외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진 경사벽(21D)을 구비하고, 상기 탈곡 장치(5)와 상기 그레인 탱크(6)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DPF 유닛(40)을 상기 경사벽(21D)의 하측 공간으로 들어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PF 유닛(40)을 상기 경사벽(21D) 상부의 하면에 근접시켜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21D)의 상부에 상향의 오목부(22)를 형성하고, 상기 DPF 유닛(40)의 상부를 상기 오목부(22)로 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로부터 탈곡 후의 곡립을 상기 그레인 탱크(6)로 공급하는 제 1 양곡 장치(14)를 구비하고, 상기 DPF 유닛(40)을 기체 측면으로 볼 때 상기 엔진(9)과 상기 제 1 양곡 장치(14)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PF 유닛(40)의 배기구(40F)에 배기측 접속관(54,74)을 접속하고, 상기 배기구(40F)의 외주와 상기 배기측 접속관(54,74)의 내주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10109467A 2011-07-27 2011-10-25 콤바인 KR101306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64533 2011-07-27
JP2011164533A JP5578444B2 (ja) 2011-07-27 2011-07-27 コンバイン
JP2011164534A JP5489007B2 (ja) 2011-07-27 2011-07-27 コンバイン
JPJP-P-2011-164534 2011-07-27
JP2011211033A JP5505389B2 (ja) 2011-09-27 2011-09-27 コンバイン
JPJP-P-2011-211033 2011-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009A true KR20130014009A (ko) 2013-02-06
KR101306071B1 KR101306071B1 (ko) 2013-09-09

Family

ID=4677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467A KR101306071B1 (ko) 2011-07-27 2011-10-25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06071B1 (ko)
CN (2) CN102893749B (ko)
TW (1) TWI4546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136A (ko) * 2013-03-15 2021-07-28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4615B (zh) * 2011-07-27 2014-10-01 Iseki Agricult Mach Combine
CN105848466B (zh) * 2013-12-27 2018-11-13 洋马株式会社 联合收割机
CN104153409B (zh) * 2014-09-03 2016-08-24 山推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推土机
KR102481560B1 (ko) * 2015-03-04 2022-12-26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KR101898953B1 (ko) * 2016-07-27 2018-09-14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KR20180023809A (ko) * 2016-08-26 2018-03-0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6256817B1 (ja) * 2017-06-29 2018-01-1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9076033A (ja) * 2017-10-25 2019-05-2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4030B2 (ja) * 1997-04-16 2006-05-1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TW368390B (en) * 1997-04-28 1999-09-01 Yanmar Agricult Equip Grain rod carrying apparatus for a combine
CN2380009Y (zh) * 1999-04-01 2000-05-31 陈东升 两用谷物收获机
JP4865173B2 (ja) * 2001-09-28 2012-02-0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7244308A (ja) * 2006-03-16 2007-09-2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4921893B2 (ja) * 2006-08-28 2012-04-25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235564B2 (ja) * 2008-08-27 2013-07-1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085491B2 (ja) * 2008-09-29 2012-11-28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1132924A (ja) * 2009-12-25 2011-07-07 Iseki & Co Ltd 作業車両
TWI454615B (zh) * 2011-07-27 2014-10-01 Iseki Agricult Mach Comb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136A (ko) * 2013-03-15 2021-07-28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20220018100A (ko) * 2013-03-15 2022-02-14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20230051604A (ko) * 2013-03-15 2023-04-18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93749A (zh) 2013-01-30
TWI454615B (zh) 2014-10-01
KR101306071B1 (ko) 2013-09-09
CN202425328U (zh) 2012-09-12
CN102893749B (zh) 2015-08-12
TW201305427A (zh)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071B1 (ko) 콤바인
WO2017065117A1 (ja) コンバイン
KR20130111260A (ko) 콤바인
JP2010083331A (ja) コンバイン
JP2015052274A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5360615B2 (ja) コンバイン
JP2016029895A (ja) コンバイン
JP5505389B2 (ja) コンバイン
JP6226299B2 (ja) コンバイン
JP5945220B2 (ja) コンバイン
JP2016021965A (ja) コンバイン
JP2017074026A (ja) コンバイン
JP2015119680A (ja) コンバイン
JP5489007B2 (ja) コンバイン
JP6409903B2 (ja) コンバイン
JP5945937B2 (ja) コンバイン
JP6409902B2 (ja) コンバイン
KR20160102155A (ko) 콤바인
JP5817892B2 (ja) コンバイン
JP5578444B2 (ja) コンバイン
JP6173207B2 (ja) コンバイン
JP6209137B2 (ja) コンバイン
JP6652188B2 (ja) コンバイン
JP6652187B2 (ja) コンバイン
JP7197454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