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796A - 벌크 산란 특성을 갖는 유리 세라믹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벌크 산란 특성을 갖는 유리 세라믹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796A
KR20130009796A KR1020127025296A KR20127025296A KR20130009796A KR 20130009796 A KR20130009796 A KR 20130009796A KR 1020127025296 A KR1020127025296 A KR 1020127025296A KR 20127025296 A KR20127025296 A KR 20127025296A KR 20130009796 A KR20130009796 A KR 20130009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lass ceramic
ceramic
sio
ceram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097B1 (ko
Inventor
에티엔느 알모릭
마리 재클린 모니크 꽁뜨
미카엘라 나자하리
로타르 원드락젝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09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0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C03C10/0018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containing SiO2, Al2O3 and monovalent metal oxide as main constituents
    • C03C10/0027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containing SiO2, Al2O3 and monovalent metal oxide as main constituents containing SiO2, Al2O3, Li2O as main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78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e.g. an oxide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벌크 산란 특성을 갖는 유리 세라믹, 및 예를 들면 OLED 또는 광전지 적용에서 그 유리 세라믹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벌크 산란 특성을 갖는 유리 세라믹 및 그 제조 방법{GLASS-CERAMIC WITH BULK SCATTERING PROPERTI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본 출원은 2010년 2월 26일에 출원된 유럽 출원 10305198.3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벌크 산란 특성을 갖는 유리 세라믹, 및 예를 들면 OLED 또는 광전지 적용에서 그 유리 세라믹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인공 조명은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모든 전기 에너지의 상당한 부분을 소비한다. 가정 및 사무실에서 소비되는 총에너지의 20% 내지 50%가 조명에 의한 것이다. 오늘날, 개인 가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조명의 주요한 광원은 백열등(백열전구 및 할로겐 램프) 및 콤팩트 형광등(에너지 절약 램프)이다. 사무실, 상점, 레스토랑, 또는 호텔과 같은 상업 부문에서 적용에 대해서, 형광등(터뷸라 또는 컴팩트)은 전력 효율 및 수명(사용자의 총비용)의 점에서 이점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다. 종래의 광원 이외에, 백색 LED가 일반적인 조명 시장에서 판매되기 시작했다. OLED는 백열등 및 형광등과 같은 종래의 광원을 대체하기 위한 매우 유력한 후보이다. OLED는 실질적으로 에너지 효율적인 조명에 기인할 전력-효율적인 대형 광원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OLED가 일반적인 조명 시장에서 판매하기 위해서, OLED는 90 lm/W (OLED100 프로젝트로부터 100 lm/W) 이하의 전력 효율 및 70.000 h (100 000h from OLED 100 project) (무기 LEDs) 이하의 작동 수명을 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OLED 기술은 잠재적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장수명의 광원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조명의 적용에 대해서 도로를 포장하기 위해서, OLED는 평평한 광원이 평방미터를 덮는 일정한 폼 팩터(form factor)를 사용할 예정이다. OLED는 혁신적으로 새로운 램프 특성을 결합한 대형 광원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들은 얇고 평평하며, 동시에 투명하고, 색조절가능한 또는 구부릴 수 있는 광원으로서, 디자인 및 응용의 점에서 전례없는 휨 등급을 갖는 광원이며, 이들은 소비자에게 매우 매력적이다.
전계발광식 표시장치는 광추출 효율, 장치 내에서 발생된 광과 대기로 방출된 광의 비율로 제한된다. 따라서, 전기적으로 발생된 광의 상당한 비율은 장치내에서 손실된다. OLED에 대해서, 광 추출 효율은 2개의 성분: 상기 활성층으로부터 기판으로 광결합 효율 ηOLED -s, 및 기판으로부터 대기로 추출 효율 ηs- a 로 분할될 수 있고, 즉 ηexOLED -ss-a이다.
광 추출은 하나의 핵심 이슈로서, 하나의 일반적인 문제는 계면에서 총 내부 반사에 의해서 광 추출가능한 효율이 감소된 후, 반사된 광을 재흡수하고: 광이 높은 지수 층(n~1.8)에서 발생하고, 이 광은 기판(일반적으로 n~1.5을 갖는 유리), 그 다음에 최종적으로 공기로 탈출해야 하는 것이다.
일 실시형태는 벌크 산란 특성을 갖는 유리 세라믹, 및 OLED 또는 광전지 적용에서 그 유리 세라믹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OLED 장치에서 유리 기판 대신에 유리 세라믹을 사용하는 경우, 유리 세라믹은 광추출을 증가시킨다.
일 실시형태는 중량%로, 0 초과 내지 3% Li2O; 15-27% Al2O3; 60-85% SiO2; 및 1% 이상의 SnO2 ;을 포함한 조성물을 포함한 유리 세라믹이고, 상기 유리 세라믹은 400 내지 1200 nm에서 20% 이상의 확산투과율을 나타내고, 상기 유리 세라믹은 벌크 결정화된 유리 세라믹이다:
제 2 실시형태는 유리 세라믹을 제조방법으로서, 이는 상기 조성물이 중량%로, 0% 초과 내지 3% Li2O; 15-27% Al2O3; 60-85% SiO2; 및 1% 이상의 SnO2 ; 을 포함한 유리를 제조하는 단계; 유리를 열처리하여 결정의 핵을 생성해서 결정을 성장시키고 유리세라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되고, 일부는 그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용이하고 또는 명세서 및 그 청구 범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를 실시함으로써 인지될 것이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이고, 청구범위의 특성 및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서 요약 또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반한 도면은 더욱 이해를 위해서 제공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일부에 포함되고 이를 구성한다. 도면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고, 그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형태의 원리 및 조작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벌크 산란 특성을 갖는 유리 세라믹, 및 OLED 또는 광전지 적용에서 그 유리 세라믹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OLED 장치에서 유리 기판 대신에 유리 세라믹을 사용하는 경우, 유리 세라믹은 광추출을 증가시킨다.
도 1은 2개의 실시형태 S1-B 및 S2-A+B에 대한 파장의 함수로서 확산 및 총투과율의 그래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 S2-C에 대한 파장의 함수로서 확산 및 총투과율의 그래프이다.
도 3는 2개의 실시형태 S3-B 및 S3-C에 대한 파장의 함수로서 확산 및 총투과율의 그래프이다.
유리 기판에서 산란하는 하나의 대안은 유리 세라믹을 사용하는 것이다. (유리 굴절률에 비해서) 적당한 크기 및 굴절률을 갖는 입자의 존재에 의해서 산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Li2O-Al2O3-SiO2 조성물에 기초한 유리 세라믹 물질에 관한 것이다. 이들 유리는 투명하고, 열처리 후에(950℃ 미만) 적당한 크기 및 굴절률을 갖는 결정이 나타나고, 가시광에 대한 우수한 부피 산란 특성을 가지고 OLED 셀에서 기판으로부터 공기로 외부 결합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형태는 유리 세라믹인 것으로서, 이는 중량%로 0% 초과 내지 3% Li2O; 15-27% Al2O3; 60-85% SiO2; 및 1% 이상의 SnO2을 포함한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세라믹은 400-1200nm에서 20% 이상의 확산 투과율을 갖고, 유리 세라믹은 벌크 결정 유리 세라믹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리 세라믹은 60-85% SiO2; 15-27% Al2O3; 0.5-2.9% Li2O; 및 1-5% SnO2을 중량%로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리 세라믹 조성물은 62-82% SiO2; 18-24% Al2O3; 1.9-2.5% Li2O; 및 1-1.5% SnO2을 중량%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리 세라믹은 1-3% ZnO; 2-2.8% ZrO2 , 0-3% MgO; 0-3% BaO; 0-4% P2O5; 0-2% Ta2O5; 및 0-2% B2O3을 중량%로 포함한다.
유리 세라믹 조성물에서 성분 범위는 십진법으로 나타낸 임의의 값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SiO2는 60-85% SiO2, 예를 들면, 65-70% SiO2, 예를 들면, 65.1-69.3% SiO2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유리 세라믹 조성물은 친핵제 및 청징제로서 SnO2를 포함한다. SnO2는 청징제로서 비소 산화물을 대체하는 비독성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SnO2는 TiO2 대신에 친핵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TiO2는 일반적으로 핵 생성용 성분으로서 사용되지만, 유리 세라믹에 바람직하지 않은 색을 첨가할 수 있다.
유리 세라믹은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필수적으로 TiO2 및/또는 비소 및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다. 유리 세라믹은 상업적으로 제조된 유리 또는 유리 세라믹에서 발견된 바와 같은 오염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는 배치 기초(batched basis)로 0중량% 비소를 포함할 수 있지만(0 비소를 첨가한다), 분석에 의하면, 상기 유리가 오염을 일으키는 0.05중량% 이하의 비소를 함유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유리는 비소의 소스가 배치 출발 물질의 오염물이기 때문에, 비소를 "필수적으로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서 고려된다. 이것은 TiO2 및 불소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유리가 배치 기초로 0 중량% TiO2 또는 불소를 함유하지만, 이들 원소는 오염을 일으키기 위해서 유리 내에서 존재할 수 있다. 오염물 수준은 0.05 중량% 미만이다. 따라서, 비소와 같이, 유리 조성물은 TiO2를 함유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불소는 이들 물질의 존재에 의해서 출발 물질이 오염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이들 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이들은 의도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총 투과율은 1 mm 유리 시료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통과하는 광으로서 한정된다. 확산 투과율은 유리에 진입하고 약 7도보다 큰 각도로 편향되고 산란된 광량으로 정의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유리 세라믹은 400-700 nm의 파장 범위에 걸쳐서, 50%를 초과한 총 투과율, 예를 들면 60% 초과, 또는 80% 초과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유리 세라믹은 400-700 nm의 파장 범위에 걸쳐서 40%를 초과한 확산 투과율, 예를 들면 50% 초과, 또는 65% 초과한 확산 투과율을 갖는다. 상기 기재된 총 및 확산 투과율 값은 OLED 적용에서 유리 세라믹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허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리 세라믹은 400-1200 nm의 파장 범위에 걸쳐서, 70%를 초과한 총 투과율, 예를 들면 80% 초과한 총 투과율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유리 세라믹은 400-1200 nm의 파장 범위에 걸쳐서 20%를 초과한 확산 투과율, 예를 들면 60% 초과한 확산 투과율을 갖는다. 상기 기재된 총 및 확산 투과율값은 광전지 적용에서 유리 세라믹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허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리 세라믹은 5-60% 결정체, 예를 들면, 25% 결정체, 40% 결정체, 또는 50% 결정체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리 세라믹은 100 nm를 초과한 평균 크기를 갖는 결정, 예를 들면 110 nm 초과, 1 마이크론 이상, 또는 100 nm 내지 2 마이크론인 결정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리 세라믹에서 주요한 결정상은 베타-쿼츠를 포함한다. 유리 세라믹은 또한 또는 양자택일로 페탈라이트(petalite), 베타-소포두멘(beta-spodumene), 또는 ZrSnO4 결정을 함유할 수 있다.
유리 세라믹은 임의의 적당한 방법에 따라서 실시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중량%로 0 초과 내지 3% Li2O; 15-27% Al2O3; 60-85% SiO2; 및 1% 이상의 SnO2를 한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유리를 열처리해서 결정의 핵을 생성하고 결정을 성장시키고 유리 세라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유리 세라믹을 얻는 방법이다.
제조된 유리에서 열처리를 적용해서 유리 세라믹을 제조한다. 상기 열처리는 결정의 핵생성 및 결정 성장 단계를 포함한다. 결정의 핵생성은 일반적으로 680-800℃, 예를 들면 725℃ 또는 780℃의 온도까지 유리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는 최소 10분 동안 핵생성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는 10분, 15분, 60분 이상동안 핵생성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성장은 유리를 일반적으로 880-950℃, 예를 들면 900℃ 또는 925℃ 의 온도까지 최소 15분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리는 15분, 30분, 60분, 이상동안 성장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유리 및/또는 유리 세라믹은 하나 이상의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는 하나의 핵생성 및 성장 처리 후, 2번째 핵생성 및 성장처리에 의해서 열처리될 수 있다. 각각의 연속적인 열처리는 상기 열처리와 동일한 또는 다른 핵생성 및 성장 온도로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열처리는 30℃/분에서 660℃까지 유리를 열처리하는 단계, 3℃/분에서 725℃까지 열처리하는 단계, 및 12℃/분에서 820℃까지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는 820℃에서 10분간 유지한다. 열처리는 시료를 15℃/분의 속도로 900℃까지 가열하는 단계 및 900℃에서 15분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얻어진 유리 세라믹은 실온까지 자연냉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열처리는 상기 유리를 3℃/분에서 780℃까지 가열하는 단계, 780℃에서 1시간동안 유지한 후, 12℃/분의 속도에서 925℃까지 가열하는 단계, 및 925℃에서 1시간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얻어진 유리 세라믹은 실온으로 자연냉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열처리는 30℃/분에서 660℃까지 유리를 가열하는 단계 후 3℃/분에서 725℃까지 가열하는 단계, 및 그 다음에서 12℃/분에서 820℃까지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는 820℃에서 10분동안 유지한다. 열처리는 상기 시료를 15℃/분의 속도에서 925℃까지 시료를 가열하는 단계 및 925℃에서 1시간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유리 세라믹은 20℃/분에서 600℃까지 냉각한 후, 실온까지 자연냉각한다.
모든 실시형태에서, 열처리의 온도는 950℃를 초과할 필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현된 유리 세라믹은 임의의 적당한 환경 또는 장치에서 포함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세라믹의 실시형태는 OLED 장치에서 사용되어 광추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종래에 OLED 는 2개의 전극 사이에 개재된 여러 유기층 및 기판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투명하다. 전기장 인가에 의해서 유기층으로 전하 캐리어를 주입한다. 전자 및 홀은 여기 상태를 형성하고, 발광에 의해서 방사로 감쇠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공기, 따라서 기판으로부터 대부분의 광을 트랩핑하는 공기로 탈출할 수 있는 광량을 한정한 높은 지수이다. θ=arcsin (ηair//ηsubstrate)보다 높은 각도로 기판/공기 계면을 때리는 광선이 총 내부 반사율에 의해서 반사될 것이다. 부피 산란기판은 OLED 셀에서 여러 회 바운스된 광선을 편향시키고, 결국 탈출콘(escape cone)이 된다. 본원에 기재된 유리 세라믹은 예를 들면 OLED 장치에서 기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리 세라믹의 실시형태는 박막 광전지 장치에서 기판, 슈퍼스트레이트, 둘다로서, 예를 들면, 실리콘 탄뎀 광전지 장치에서 광산란 슈퍼스트레이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세라믹의 실시형태는 광전지에서 광의 통로길이를 향상시키고 박막으로 해서 광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박막 광전지 장치에 대한 최적 산란 거동은 낮은 후방 산란(backward scattering)을 유지하면서 큰 각도에서 광을 산란시키고, 활성층의 두께에서 사선 전파(oblique propagation )를 통해서 상기 통로길이를 증가시키고 광전지로부터 탈출하는 광을 방지하기 위해서 총 내부 반사의 상태를 형성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는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유리 시료는 표 1에 중량%로 표시된 배치의 조성물에 따라서 제조되었다.
성분 S1 S2 S3
SiO2 70 80 65.0
Al2O3 20 20 22
Li2O 2.4 2.4 2.4
MgO 2.6 2.6 0
ZnO 1.3 1.3 2.5
BaO 0 0 2
ZrO2 2.6 2.2 2.6
SnO2 1.4 1.4 1
P2O5 3 3 0
Ta2O5 0 1 0
B2O3 0 0 1
유리 시료를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된 열처리는 표 2에서 요약된다.
Cycle A Cycle B Cycle C
660℃까지 가열 : 30℃/min 780℃ 까지 가열: 3℃/min 660℃까지 가열: 30℃/min
725℃까지 가열 : 3℃/min 유지:
1 hour
725℃까지 가열:
3℃/min
820℃까지 가열 : 12℃/min 925℃까지 가열 : 12℃/min 820℃까지 가열: 12℃/min
유지:
10 min
유지:
1 hour
유지:
10 min
900℃ 까지 가열 : 15℃/min 실온까지 냉각 925℃ 까지 가열: 15℃/min
유지:
15 min
유지:
1h
실온까지 냉각 600℃까지 냉각:
20 min
실온까지 냉각:자발 냉각
열처리 후, X선 회절(XRD), 주사형 전자현미경(SEM) 및 투과율 측정은 유리-세라믹에 대해서 실시되었다. XRD 다이아그램은 다음의 구성을 갖는 X-Pert Pro에 의해서 수집되었다: 구리 튜브(copper tube), 파워 45kV/40mA/λ=1.540593Å 2θ= 5-140°, step=0.008°, time/step=40s/opening =1/4, Detector = X-Celerator. Rietveld 분석은 상을 어피닝(affine)하고 이들의 정확한 조성을 찾기 위해서 실시했다. SEM 분석은 연마된 단면 시료에 대해서 실시했다. 투과율 측정은 Varian으로부터 CARY 500 분광광도계를 사용해서 실시했다. 175nm 내지 3300 nm의 파장은 텅스텐 할로겐 및 중수소 UV 소스를 사용해서 조사했다. 도 1-3은 시험된 5개 시료: S1-B, S2-A+B, S2-C, S3-B 및 S3-C에 대해서 파장의 함수로서 확산 및 총 투과율을 도시한다.
표 3은 적용된 열처리 후에 각각의 유리 세라믹의 특성을 요약한다.
유리 S1 S2 S2 S3 S3
열처리 B A+B C B C
굴절률 1.521 1.522 1.512 1.542 1.536
평균입자크기 ~1 micron ~1 micron ~1 micron ~1 micron ~1 micron
입자 사이의 거리 1-5 micron 0-5 micron 2-10 micron 수 nm 수 nm
결정상
(XRD)
β-쿼츠, 페탈라이트 β-쿼츠, 페탈라이트 β-쿼츠 β-쿼츠,
β-소포두멘,
ZrSnO4
β-쿼츠,
β-쿼츠,
ZrSnO4 또는 ZnO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총투과율은 S1-B(14) 및 S2-A+B(10)에 대해서 관찰했다. S1-B(12) 및 S2-A+B(16)에 대해서 높은 확산 투과율이 관찰되었다. S1은 사이클 B에 따라서 열처리되었고, S2는 사이클 A 및 B에 따라서 열처리했다. 대부분의 투과율이 발산되었다. 입자 크기 또한 매트릭스에 대한 분산율이 최적화되었다. 입자는 둥근 형상이었고, 그 크기는 일정하고 직경은 1 마이크론에 가깝다. 입자 사이의 거리는 1 내지 5 마이크론이었다. 결정화된 부분이 최적화되고 입자는 매트릭스에 분산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S1-C는 낮은 확산 투과율(20) 및 높은 총투과율(18)을 나타내고, 평균 자유 경로(MFP)가 너무 긴 것을 나타낸다. 확산투과율이 파장에 따라서 감소한다는 사실은 평균 자유 경로가 파장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MFP는 파장 증가에 따라서 증가할 것이다(즉 긴 파장이 짧은 파장보다 작은 입자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현상은 작은 결정화도 때문일 수 있다. SEM 입자는 S2-C에 대한 입자크기가 S2-A+B와 동일하지만, 입자 밀도는 사이클 C를 적용할 때보다 낮았다. 입자의 밀도는 주요 변수인 것을 확인했다. 이 조성물에 대해서, 사이클 C는 충분한 입자크기의 핵을 생성하는 데에 충분하지 않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S3-B(22) 및 S3-C(26)은 상기 시료에 비해서 더 낮은 총 투과율을 나타냈다. 낮은 값은 흡수율, 이면 산란(back scattering )(유리의 반사율 증가), 또는 둘 다의 결합인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유리 세라믹의 일부에 대한 측정은 흡수율 최대 수 %인 것을 나타낸다. 낮은 총 투과율은 많은 이면 산란 에 기인한 것이었다(MFP가 매우 작아서 전체의 기판의 높은 반사율을 유도한다). 확산 투과율은 S3-B 24 및 S3-C 28에 대한 파장에 따라서 감소했다. 이 경우에, 투과율 곡선 거동은 물질의 높은 결정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SEM 실험은 결정화도가 상기 시료에 비해서 높은 것을 나타낸다. 확산 곡선의 감소는 결정화된 입자와 잔류 매트릭스 사이의 굴절률의 차 때문일 수 있다. 높은 결정화도는 낮은 SiO2 수준 및 B2O3의 존재에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특정한 설명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재되었지만, 수반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많은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제한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달리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모든 수치는 기재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에 "약"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정확한 수치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Claims (15)

  1. 0 초과 내지 3% Li2O;
    15-27% Al2O3;
    60-85% SiO2; 및
    1% 이상의 SnO2 ;을 중량%로 포함한 조성물을 포함하고,
    400nm 내지 1200 nm에서 20% 이상의 확산투과율을 갖고,
    벌크 결정화된 유리 세라믹인 유리세라믹.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중량%로
    60-85% SiO2;
    15-27% Al2O3;
    0.5-2.9% Li2O; 및
    1-5% SnO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라믹.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중량%로
    62-82% SiO2;
    18-24% Al2O3;
    1.9-2.5% Li2O; 및
    1-1.5% SnO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라믹.
  4.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세라믹은 400nm 내지 700nm에서 65%를 초과한 확산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라믹.
  5.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세라믹은 400nm 내지 700nm에서 60%를 초과한 총 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라믹.
  6.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세라믹은 400nm 내지 1200nm에서 60%를 초과한 확산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라믹.
  7.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세라믹은 400nm 내지 1200nm에서 80%를 초과한 총 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라믹.
  8.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세라믹은 5-60% 결정화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은 100 nm 내지 2 마이크론의 평균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라믹.
  9.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세라믹은 필수적으로 TiO2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라믹.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세라믹은 비소 및 불소를 필수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라믹.
  11. 0 초과 내지 3% Li2O;
    15-27% Al2O3;
    60-85% SiO2; 및
    1% 이상의 SnO2 ;
    을 중량%로 포함한 조성물을 포함한 유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리를 열처리해서 결정의 핵을 생성시키고 결정을 성장시켜서 유리 세라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유리 세라믹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유리를 680℃ 내지 800℃의 온도에서 적어도 15분간 열처리해서 결정의 핵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라믹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유리를 880℃ 내지 950℃의 온도에서 적어도 15분간 열처리해서 결정을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라믹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리 세라믹을 포함한 OLED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리 세라믹을 포함한 광전지 장치.
KR1020127025296A 2010-02-26 2011-02-24 벌크 산란 특성을 갖는 유리 세라믹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8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305198.3 2010-02-26
EP10305198A EP2364957A1 (en) 2010-02-26 2010-02-26 Glass ceramics with bulk scattering properti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PCT/US2011/026012 WO2011106489A2 (en) 2010-02-26 2011-02-24 Glass-ceramic with bulk scattering properti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796A true KR20130009796A (ko) 2013-01-23
KR101828097B1 KR101828097B1 (ko) 2018-02-09

Family

ID=4213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296A KR101828097B1 (ko) 2010-02-26 2011-02-24 벌크 산란 특성을 갖는 유리 세라믹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61068B2 (ko)
EP (1) EP2364957A1 (ko)
JP (1) JP5843789B2 (ko)
KR (1) KR101828097B1 (ko)
CN (1) CN102781862A (ko)
TW (1) TWI542563B (ko)
WO (1) WO201110648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863A1 (ko) 2021-07-26 2023-02-02 주식회사 하스 글라스 세라믹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글라스 세라믹 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3124B2 (en) * 2012-04-26 2015-12-29 Xerox Corporation Time resolved optical microscopy (“TROM”) process for measuring the rate of crystallization of solid inks
JP6322191B2 (ja) 2012-08-01 2018-05-09 フエロ コーポレーション 光作用移行層
KR101570968B1 (ko) * 2012-11-20 2015-11-23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기 발광소자용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
JP6269933B2 (ja) * 2013-01-04 2018-01-3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
WO2014112552A1 (ja) * 2013-01-18 2014-07-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結晶性ガラス基板及び結晶化ガラス基板並びに拡散板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
JP6090708B2 (ja) * 2013-01-18 2017-03-0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拡散板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
JP6066060B2 (ja) * 2013-01-18 2017-01-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結晶化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2960220B1 (en) * 2013-02-21 2020-02-2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Crystallized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DK3572384T3 (da) 2014-10-08 2021-01-04 Corning Inc Højstyrkeglaskeramik med petalit- og lithiumsilicatstrukturer
WO2019022033A1 (ja) * 2017-07-26 2019-01-31 Agc株式会社 化学強化用ガラス、化学強化ガラスおよび電子機器筐体
WO2019022035A1 (ja) 2017-07-26 2019-01-31 Agc株式会社 化学強化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20100490A1 (ja) * 2018-11-12 2021-09-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Li2O−Al2O3−SiO2系結晶化ガラス
CN115667168A (zh) * 2020-04-29 2023-01-31 康宁公司 制作玻璃陶瓷制品的组成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A (en) * 1841-03-12 Improvement in horizontal windivhlls
US3380818A (en) * 1964-03-18 1968-04-30 Owens Illinois Inc Glass composition and method and product
BE658573A (ko) * 1964-08-20 1965-05-17
US3490984A (en) 1965-12-30 1970-01-20 Owens Illinois Inc Art of producing high-strength surface-crystallized,glass bodies
US3573074A (en) 1968-03-08 1971-03-30 Corning Glass Works Halide nucleated glass-ceramic articles giving mie light scattering
DE2263234C3 (de) 1972-12-23 1975-07-10 Jenaer Glaswerk Schott & Gen., 6500 Mainz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festen und temperaturwechselbeständigen Glasgegenständen durch Oberflächenkristallisation unter Ausnutzung eines lonenaustausches innerhalb des Glases
CS188541B1 (en) * 1976-10-22 1979-03-30 Josef Dusil Coloured non-transparent glass crystalline material
US4341543A (en) 1981-01-09 1982-07-27 Corning Glass Works Method of making strengthened transparent glass-ceramic, partially body-crystallized, and surface-crystallized glass articles
JP2668075B2 (ja) 1987-01-19 1997-10-27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透明結晶化ガラス
US5096862A (en) * 1990-08-09 1992-03-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parent ceramic composite article comprising aluminum oxide and aluminum magnesium oxynitride
US5084328A (en) 1990-12-24 1992-01-28 Corning Incorporated Strong, surface crystallized glass articles
JP4120897B2 (ja) 1997-09-25 2008-07-1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赤外線透過ガラスセラミックス
JP3022524B1 (ja) * 1998-02-26 2000-03-21 株式会社オハラ 情報磁気記憶媒体用高剛性ガラスセラミックス基板
DE19907038C2 (de) 1999-02-19 2003-04-10 Schott Glas Transluzente oder opake Glaskeramik mit Hochquarz-Mischkristallen als vorherrschender Kristallphase und deren Verwendung
JP2000344544A (ja) 1999-06-02 2000-12-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結晶化ガラス物品
US6620747B2 (en) 2000-06-28 2003-09-16 Ivoclar Vivadent Ag Low temperature-sintering apatite glass ceramic
EP1170264B1 (de) 2000-07-04 2003-09-03 Schott Glas Transluzente Glaskeramik,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ransluzenten Glaskeramik sowie deren Verwendung
JP2002154840A (ja) * 2000-11-16 2002-05-2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Li2O−Al2O3−SiO2系結晶化ガラス
JP4093524B2 (ja) * 2001-02-20 2008-06-04 Hoya株式会社 光学ガラス、プレス成形予備体および光学部品
DE10122263C2 (de) 2001-05-08 2003-04-03 Schott Glas Optische Gläser und ihre Verwendung
JP2003020254A (ja) 2001-07-04 2003-01-24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結晶化ガラス
FR2830248B1 (fr) 2001-09-28 2004-09-24 Snc Eurokera Verre mineral, precurseur d'une vitroceramique opaque; ladite vitroceramique et son obtention
JP4461474B2 (ja) * 2002-04-03 2010-05-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防火ガラス板
US7038373B2 (en) 2002-07-16 2006-05-02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2004099429A (ja) * 2002-08-20 2004-04-0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結晶化ガラス
US20040157720A1 (en) 2002-08-20 2004-08-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Crystallized glass
DE10307422B4 (de) 2003-02-21 2008-08-07 Schott Ag Verwendung eines Glassubstrats zur Herstellung eines Datenspeichers
DE102004008824B4 (de) 2004-02-20 2006-05-04 Schott Ag Glaskeramik mit geringer Wärmeausdehnung sowie deren Verwendung
US7439202B2 (en) 2004-03-01 2008-10-2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Glass ceramic composition, glass-ceramic sintered body, and monolithic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WO2006080557A1 (en) 2005-01-31 2006-08-03 Kabushiki Kaisha Ohara Glass-ceramic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276848B2 (en) 2005-03-29 2007-10-02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FR2887870B1 (fr) 2005-06-30 2007-10-05 Snc Eurokera Soc En Nom Collec Elaboration de vitroceramiques de beta-quartz et/ou de beta-spodumene, d'articles en de telles vitroceramiques; vitroceramiques, arcticles en lesdites vitroceramiques et verres precurseurs
US7531955B2 (en) 2005-07-12 2009-05-12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with improved efficiency and robustness
US7691730B2 (en) * 2005-11-22 2010-04-06 Corning Incorporated Large area semiconductor on glass insulator
FR2902421B1 (fr) 2005-12-07 2008-11-07 Snc Eurokera Soc En Nom Collec Vitroceramiques de b quartz et/ou de b spodumene, verres precurseurs, articles en lesdites vitroceramiques, elaboration desdits vitroceramiques et articles
ATE439334T1 (de) 2006-03-20 2009-08-15 Schott Ag Transparente, farblose lithium-aluminosilikat- glaskeramikplatte mit blickdichter, farbiger unterseitenbeschichtung
US7476633B2 (en) 2006-03-31 2009-01-13 Eurokera β-spodumene glass-ceramic material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4976058B2 (ja) 2006-06-06 2012-07-18 株式会社オハラ 結晶化ガラスおよび結晶化ガラスの製造方法
US7456121B2 (en) 2006-06-23 2008-11-25 Eurokera Glass-ceramic materials, precursor glass thereof and process-for making the same
US7834541B2 (en) 2006-10-05 2010-11-16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US20080100201A1 (en) 2006-10-31 2008-05-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7977702B2 (en) 2006-11-02 2011-07-12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Surface textured LED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FR2909373B1 (fr) * 2006-11-30 2009-02-27 Snc Eurokera Soc En Nom Collec Vitroceramiques de beta-quartz, transparentes et incolores, exemptes de tio2 ; articles en lesdites vitroceramiques ; verres precurseurs, procedes d'elaboration.
US7507681B2 (en) * 2007-02-28 2009-03-24 Eurokera Glass-ceramic, articles and fabrication process
CN101766052B (zh) 2007-07-27 2012-07-18 旭硝子株式会社 透光性基板、其制造方法、有机led元件及其制造方法
JP5053948B2 (ja) * 2007-12-21 2012-10-24 株式会社オハラ 結晶化ガラ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863A1 (ko) 2021-07-26 2023-02-02 주식회사 하스 글라스 세라믹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글라스 세라믹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06489A3 (en) 2012-01-26
US20110212824A1 (en) 2011-09-01
JP2013521203A (ja) 2013-06-10
TWI542563B (zh) 2016-07-21
WO2011106489A2 (en) 2011-09-01
TW201139317A (en) 2011-11-16
CN102781862A (zh) 2012-11-14
KR101828097B1 (ko) 2018-02-09
EP2364957A1 (en) 2011-09-14
JP5843789B2 (ja) 2016-01-13
US8461068B2 (en)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097B1 (ko) 벌크 산란 특성을 갖는 유리 세라믹 및 그 제조 방법
JP4995449B2 (ja) ガラスまたはガラスセラミックス
JP4298822B2 (ja) 発光性ガラスセラミックス
TWI609515B (zh) 結晶性玻璃基板、結晶化玻璃基板及其製造方法、 及擴散板
TW200911011A (en) Translucent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ranslucent substrate, organic led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rganic led element
TW201044665A (en) Glass for scattering layer of organic led device and organic led device
TW201815717A (zh) 波長轉換構件及使用其而成之發光裝置
TW201817043A (zh) 波長轉換構件及使用其而成之發光裝置
WO2018100991A1 (ja) 紫外線透過フィルタ
CN101813296B (zh) 一种使用具有截止紫外线和红外线双功能滤光片的led光源
JP6066060B2 (ja) 結晶化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Zheng et al. In situ growth mechanism of CsPbX3 (X= Cl, Br, and I) quantum dots in an amorphous oxide matrix
JP2013503500A (ja) 光起電装置のための表面に核が生成されたガラス
WO2015186606A1 (ja) 分相ガラス、分相性ガラス、有機elデバイス及び分相ガラスの製造方法
Wang et al. The preparation and UV absorb properties of the antidazzle glass doping Ce3+, Sm3+, Ho3+ ions
TW200526533A (en) Use of glass-ceramic substrate
KR101410941B1 (ko) 태양 전지용 커버 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Zhao et al. Role of B2O3 substitution by SiO2 on luminescence properties of Tb3+-doped SiO2-B2O3-Na2O-BaO glass
Shi et al. Wide visible-range fluorescence of Eu 3+ located in the macroscopic bi-layer ceramic/glass composite
CN201526906U (zh) 一种使用光学玻璃滤光片的led光源
JP3998231B2 (ja) 反射鏡
WO2023112940A1 (ja) 光学フィルタ及び殺菌装置
US11999648B2 (en)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same
CN102563542A (zh) 一种使用coc滤光片的led光源
CN201526907U (zh) 一种使用cop滤光片的led光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