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669A -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669A
KR20130006669A KR1020127027177A KR20127027177A KR20130006669A KR 20130006669 A KR20130006669 A KR 20130006669A KR 1020127027177 A KR1020127027177 A KR 1020127027177A KR 20127027177 A KR20127027177 A KR 20127027177A KR 20130006669 A KR20130006669 A KR 2013000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car
elevator
emergency stop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2027B1 (ko
Inventor
나오유키 마루야마
미츠요시 이무라
아키나리 가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설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레일(11)에 안내된 엘리베이터칸(10)의 하부의 서스펜딩 풀리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엘리베이터칸(10)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한 프레임체(24)와, 프레임체(24)의 가이드레일(11) 측에 마련되며, 가이드레일(11)의 파지 및 파지의 해방을 행하는 파지기구(20)와, 서스펜딩 풀리의 가이드레일(11)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 조속기로프(18)와 파지기구(20)를 연결하고, 엘리베이터칸(10)의 이동중에 조속기로프(18)가 정지했을 경우에, 파지기구(20)에 가이드레일(11)을 유지시키는 동작기구(22)를 구비하며, 동작기구(22)는 파지기구(20)가 마련된 프레임체(24)의 가이드레일(11) 측에 마련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EMERGENCY STOP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는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가 마련되는 것이 있다. 이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에 감긴 메인로프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칸이 매달린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어떠한 이상(異常)으로 증속했을 경우, 권상기의 브레이크가 동작한다. 이 브레이크의 동작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하지 않은 경우(특히 메인로프가 절단한 경우), 다른 방법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에는 비상정지장치가 마련된다. 이 비상정지장치는 조속기의 동작에 따라 동작한다. 그리고, 조속기가 엘리베이터칸의 증속을 검지하면, 비상멈춤장치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12)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에 비상정지장치를 적용한 것을 설명한다. 도 7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평면도이다.
이 비상정지장치는, 파지기구(20), 연결기구(21), 동작기구(22), 원격동작기구(58)를 구비한다. 파지기구(20)는 가이드레일(11)의 파지 및 파지의 해방을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연결기구(21)는 조속기로프(17)와 연결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동작기구(22)는 파지기구(20)에 가이드레일(11)을 파지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원격동작기구(58)는 엘리베이터칸 바닥 측 빔(23)에 장착되는 부품(59)과 프레임체(24)에 장착되는 부품(60)을 구비한다. 또, 원격동작기구(58)는 원격조작링크(61)를 구비한다. 이 원격조작링크(61)는 부품(59)과 부품(60)을 연결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에 추종하여, 조속기로프(17)가 순환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어떠한 이상으로 증속하면, 조속기로프(17)의 순환이 정지한다. 이 조속기로프(17)의 정지에 의해, 연결기구(21), 원격동작기구(58), 동작기구(22)의 동작을 통하여, 파지기구(20)가 가이드레일(11)을 파지한다. 이 파지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한다.
상기 기능을 구비한 비상정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우선, 공장에서 파지기구(20), 동작기구(22), 원격동작기구(58)의 부품(60)이 프레임체(24)에 조립된다. 그 후, 엘리베이터칸 바닥 측 빔(23)과 프레임체(24)가 엘리베이터의 설치현장에 반입된다. 그 후, 엘리베이터칸 바닥 측 빔(23)과 프레임체(24)가 조립된다. 그 후, 연결기구(21), 원격동작기구(58)의 부품(59)이 엘리베이터칸 바닥 측 빔(23)에 조립된다. 그 후, 연결기구(21)가 조속기로프(17)에 연결된다. 그 후, 원격동작기구(58)의 부품(59, 60)이 원격조작링크(61)에 의해 연결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5-298118호 공보
그렇지만, 원격동작기구(58)의 부품(59)은 엘리베이터칸 바닥 측 빔(23)에 장착된다. 한편, 원격동작기구(58)의 부품(60)은 프레임체(24)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공장에서는 원격동작기구(58)를 조립한 상태로 출하할 수 없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격조작링크(61)는 엘리베이터칸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설치현장에서의 원격조작링크(61)나 부품(59)의 조립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저부(底部)에서 엘리베이터칸의 바닥을 올려 보는 작업이 된다. 이 때문에, 원격조작링크(61)나 부품(59)의 조립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설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레일에 안내된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마련된 서스펜딩 풀리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하부로부터 지지한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가이드레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파지 및 파지의 해방을 행하는 파지기구와, 상기 서스펜딩 풀리의 상기 가이드레일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 조속기로프와 상기 파지기구를 연결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중에 상기 조속기로프가 정지했을 경우에, 상기 파지기구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파지시키는 동작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동작기구는 상기 파지기구가 마련된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가이드레일 측에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설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설치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이다. 이 승강로(1) 내의 위쪽에는 권상기(2)가 마련된다. 이 권상기(2)에는 쉬브(3)가 마련된다. 쉬브(3)의 경사 아래쪽에는 디플렉팅 쉬브(4)가 마련된다.
쉬브(3)와 디플렉팅 쉬브(4)에는 메인로프(5)가 감겨진다. 이 메인로프(5)의 쉬브(3) 측 단부에는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6)가 마련된다. 이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6)는 승강로(1) 상부의 쉬브(3) 측에 고정된다. 한편, 메인로프(5)의 디플렉팅 쉬브(4) 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7)가 마련된다. 이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7)는 승강로(1) 상부의 디플렉팅 쉬브(4) 측에 고정된다.
쉬브(3)의 아래쪽에는 균형추(8)가 배치된다. 이 균형추(8)의 상부에는 균형추 측 서스펜딩 풀리(9)가 마련된다. 이 균형추 측 서스펜딩 풀리(9)에는 메인로프(5)가 감긴다. 이것에 의해, 균형추(8)는 메인로프(5)에 매달린다.
디플렉팅 쉬브(4)의 아래쪽에는 엘리베이터칸(10)이 마련된다. 이 엘리베이터칸(10)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1)이 마련된다. 이 가이드레일(11)은 엘리베이터칸(10)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10)의 하부의 양측에는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12)가 마련된다. 이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12)에는 메인로프(5)가 감긴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은 메인로프(5)에 매달린다.
이러한 구성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권상기(2)를 구동함으로써, 쉬브(3)가 회전한다. 이 회전에 추종하여, 메인로프(5)가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과 균형추(8)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한다.
또, 가이드레일(11)의 상부에는 장착대(13)가 조립된다. 이 장착대(13)의 상부에는 조속기(14)가 장착된다. 한편, 가이드레일(11)의 하부에도 장착대(15)가 조립된다. 이 장착대(15)에는 텐션쉬브(16)가 장착된다. 조속기(14)와 텐션쉬브(16)와의 사이에는 조속기로프(17)가 무단상(無端狀)으로 감긴다. 또, 조속기(14)에는 로프캐치장치(18)가 조립된다.
또, 엘리베이터칸(10)의 하부에는 비상정지장치(19)가 마련된다. 이 비상정지장치(19)는 파지기구(20), 연결기구(21), 동작기구(22)를 구비한다. 파지기구(20)는 가이드레일(11)의 파지 및 파지의 해방을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연결기구(21)는 조속기로프(17)와 연결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동작기구(22)는 연결기구(21)의 동작에 따라서, 파지기구(20)에 가이드레일(11)을 파지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19)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평면도이다.
우선, 비상정지장치(19) 근방의 엘리베이터칸(10)의 하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는 엘리베이터칸(10)의 일측을 나타낸다. 도 2에서 23은 엘리베이터칸 바닥 측 빔이다. 이 엘리베이터칸 바닥 측 빔(23)은 엘리베이터칸(10)의 바닥의 가장자리부를 두르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칸(10)을 지지한다. 이 엘리베이터칸 바닥 측 빔(23)의 아래쪽에는 가이드레일(11)에 근접하여 프레임체(24)가 마련된다. 이 프레임체는 엘리베이터칸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 프레임체(24)는 엘리베이터칸 바닥 측 빔(23)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프레임체(24)는 브래킷(25)을 구비한다. 이 브래킷(25)은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12)를 지지한다.
다음으로, 파지기구(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기구(20)는 프레임체(24)의 가이드레일(11) 측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파지기구(20)는 연직투영면상에서 프레임체(24)의 가이드레일(11) 측면 내에 들어가도록 장착된다. 이 파지기구(20)는 그리퍼(gripper)(26), 탄성요소(27), 고정슈(28), 경사판(29), 슈가이드(30), 가동슈(31)를 구비한다.
그리퍼(26)는 프레임체(24)에 장착된다. 이 그리퍼(26)는 수평투영면상에서 대략 'コ'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 그리퍼(26)의 내측에는 가이드레일(11)이 배치된다. 이 그리퍼(26) 내면의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12) 측에는 탄성요소(27)가 장착된다. 이 탄성요소(27)의 가이드레일(11) 측에는 고정슈(28)가 장착된다. 이 고정슈(28)는 가이드레일(11)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배치된다.
한편, 그리퍼(26) 내면의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12)와는 반대 측에는 경사판(29)이 장착된다. 이 경사판(29)에는 슈가이드(30)가 장착된다. 이 슈가이드(30)의 가이드레일(11) 측면은 위쪽으로 감에 따라서 가이드레일(11)과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치된다. 이 슈가이드(30)의 가이드레일(11) 측면의 아래쪽에 접촉하도록 가동슈(31)가 배치된다. 이 가동슈(31)는 가이드레일(11)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해서 배치된다.
다음으로, 연결기구(2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기구(21)는 조속기로프(17)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 연결기구(21)는 인상(引上)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연결기구(21)의 상부에는 조속기(14) 측의 조속기로프(17) 단부가 연결된다. 이 연결기구(21)의 하부에는 텐션쉬브(16) 측의 조속기로프(17) 단부가 연결된다. 이 연결기구(21)의 중앙부에는 장착구멍(32)이 마련된다.
다음으로, 동작기구(2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동작기구(22)는 브래킷(25)을 통하여 프레임체(24)의 가이드레일(11) 측에 장착된다. 이 동작기구(22)는 인상레버(33), 원격동작레버(34), 링크(35)를 구비한다.
인상레버(33)는 가이드레일(11)의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12)와는 반대 측에 배치된다. 이 인상레버(33)는 경사부(36)와 수평부(37)를 구비한다. 경사부(36)는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서 가이드레일(11)에 가까워지도록 배치된다. 이 경사부(36)의 상단부는 베어링부(38)에 의해서 브래킷(25)의 한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경사부(36)의 아래쪽으로부터 가이드레일(11) 측을 향하여 수평부(37)가 형성된다. 이 수평부(37)의 가이드레일(11) 측 단부는 연결부(39)를 통하여 가동슈(31)의 하단에 연결된다.
원격동작레버(34)는 가이드레일(11)의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12)에 배치된다. 이 원격동작레버(34)는 연직부(40)와 수평부(41)를 구비한다. 연직부(40)와 수평부(41)와의 교차부는 축(42)에 의해서 브래킷(25)의 다른 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연직부(40)는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12)와 파지기구(20)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수평부(41)는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12)의 위쪽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수평부(41)의 조속기로프(17) 측 단부는 접합부(43)에 의해서 연결기구(21)의 장착구멍(32)에 접합한다.
링크(35)는 그리퍼(26)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 링크(35)는 길이방향을 수평방향으로 하여 배치된다. 이 링크(35)의 인상레버(33) 측 단부는 접합부(44)에 의해서 인상레버(33)의 베어링부(38)의 아래쪽에 접합된다. 한편, 링크(35)의 원격동작레버(34) 측 단부는 접합부(45)에 의해서 원격동작레버(34)의 하단에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조정기구(46)도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조정기구(46)는 원격동작레버(34)의 수평부(41)의 중앙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 위치조정기구(46)는 브래킷(25)의 다른 쪽에 형성된 위치조정기구 장착부(47)의 나사구멍(48)에 장착된다. 이 위치조정기구(46)는 볼트(49)와 너트(50)를 구비한다. 볼트(49)는 나사구멍(48)의 아래쪽으로부터 나사끼움된다. 이 볼트(49)는 나사끼움량의 조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너트(50)는 위치조정기구 장착부(47)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 너트(50)는 위쪽으로부터 볼트(49)에 나사끼움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칸(10)의 타측에도 상기 동일한 파지기구(도시생략)와 인상레버(도시생략)가 마련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10)의 타측의 인상레버는 도 3에 나타낸 연결축(51)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칸(10)의 일측의 인상레버(33)와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의 일측의 인상레버(33)의 회전과 엘리베이터칸(10)의 타측의 인상레버의 회전이 동기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비상정지장치(19)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엘리베이터칸(10)의 속도가 어떠한 이상으로 증속했을 경우, 권상기(2)의 브레이크(도시생략)가 동작한다. 이 브레이크의 동작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칸(10)이 정지하지 않은 경우(특히 메인로프(5)가 절단된 경우), 조속기(14)가 이상속도를 검지한다. 이 이상속도가 검지되면, 로프캐치장치(18)가 조속기로프(17)를 정지시킨다.
이 때문에, 연결기구(21)는 엘리베이터칸(10)으로부터 보아 상대적으로 끌어 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원격동작레버(34)의 수평부(41)가 상승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추종하여, 원격동작레버(34)의 연직부(40)가 조속기로프(17)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링크(35)가 조속기로프(17)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인상레버(33)의 경사부(36)가 상승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추종하여, 인상레버(33)의 수평부(37)가 상승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추종하여, 가동슈(31)가 끌어 올려진다.
이 때, 가동슈(31)는 슈가이드(30)의 가이드레일(11) 측면을 따라서 가이드레일(11)에 가까워지도록 상승한다. 그 결과, 가동슈(31)는 가이드레일(11)과 접촉한다. 그리고, 더욱 상승한 가동슈(31)는 슈가이드(30)와 가이드레일(11)과의 사이에 파고든다.
이 파고드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이 조속기로프(1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추종하여, 고정슈(28)가 가이드레일(11) 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고정슈(28)도 가이드레일(11)에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탄성요소(27)가 압축한다. 이 압축에 의해, 탄성요소(27)는 고정슈(28)를 가이드레일(11)로 밀어붙인다.
이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가동슈(31)와 고정슈(28)가 가이드레일(11)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 마찰력에 의해, 가동슈(31)와 고정슈(28)가 가이드레일(11)을 파지한다. 이 파지에 의해, 가동슈(31)와 고정슈(28)가 엘리베이터칸(10)에 대한 제동력을 얻는다. 이 제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이 정지한다.
또, 어떠한 고장에 의해 권상기(2)의 브레이크를 개방하여, 엘리베이터칸(10) 내에 갇힌 승객을 구출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칸(10)의 무게와 균형추(8)의 무게가 균형을 맞추고 있으면, 엘리베이터칸(10)이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 조속기로프(17)에 구출용의 추를 매달아, 엘리베이터칸(10) 측을 무겁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구출용의 추에 의한 아래로 향한 하중은 조속기로프(17)를 통하여 원격동작레버(34)에 아래쪽으로 작용한다. 이 원격동작레버(34)에 작용한 하중은 볼트(49)에 지지된다.
다음으로, 비상정지장치(19)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비상정지장치(19)는 공장 내에서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우선, 파지기구(20)가 프레임체(24)의 양측에 장착된다. 그 후, 프레임체(24)의 일측에서 브래킷(25)을 통하여 프레임체(24)에 동작기구(22)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체(24)의 일측에서 브래킷(25)의 한쪽에 인상레버(33)가 장착된다. 또, 프레임체(24)의 일측에서 브래킷(25)의 다른 쪽에 원격동작레버(34)가 장착된다. 또, 프레임체(24)의 타측에서 브래킷(25)의 한쪽에 인상레버가 장착된다.
그 후, 프레임체(24)의 일측의 인상레버(33)와 프레임체(24)의 타측의 인상레버가 연결축(51)을 통하여 연결된다. 그 후, 인상레버(33)와 원격동작레버(34)가 링크(35)에 의해서 연결된다. 또한, 위치조정기구(46)가 브래킷(25)의 다른 쪽에 장착된다.
또한, 볼트(49)가 나사끼움된다. 이것에 의해, 원격동작레버(34)의 수평부(41)가 상승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링크(35)와 인상레버(33)의 접합부(44)나 원격동작레버(34)와 링크(35)의 접합부(45)에서는 파지기구(20)가 동작하는 방향의 틈새가 없어진다. 이 상태에서, 너트(50)가 아래쪽으로 나사끼움된다. 이것에 의해, 위치조정기구(46)의 위치가 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공장 내에서 파지기구(20), 동작기구(22), 위치조정기구(46)가 프레임체(24)에 일체화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설치현장에서는, 조속기로프(17)에 연결기구(21)에 장착한 후, 연결기구(21)를 원격동작레버(34)의 접합부(43)에 조립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 1에 의하면, 동작기구(22)는, 파지기구(20)와 함께, 공장 내에서 프레임체(24)의 가이드레일(11) 측에 마련된다. 즉, 동작기구(22)를 엘리베이터의 설치시에 장착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설치시에, 자세가 나쁜 작업이 없어져,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의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설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동작기구(22)의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 비상정지장치(19)는 공장 내에서 전문 작업자에 의해서 조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상정지장치(19)의 조립이나 조립 정도가 확실히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비상정지장치(19)의 품질이 향상한다.
또, 프레임체(24)는 엘리베이터칸 바닥 측 빔(23)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프레임체(24)는 엘리베이터칸 바닥 측 빔(23)과는 별도로 엘리베이터의 설치현장에 반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설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원격동작레버(34)는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12)의 위쪽을 경유하여 연결기구(21)에 연결된다. 이 때문에, 동작기구(22)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칸(10)의 연직방향의 치수가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위치조정기구(46)는 가이드레일(11)을 파지하는 방향으로 파지기구(20)가 이동하도록 동작기구(22)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 때문에, 링크(35)의 접합부(44, 45)의 틈새가 없어진다. 이것에 의해, 비상정지장치(19)를 즉석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10)의 정지거리를 종래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속기로프(17)에 구출용의 추를 매다는 경우가 있어도, 원격동작레버(34)에 걸리는 하중을 볼트(49)가 지지한다. 즉, 부품점수가 적은 간이한 구성으로 원격동작레버(34)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실시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원격동작레버(34)의 수평부(41)는 일체화되고 있었다. 한편, 실시형태 2에서는, 원격동작레버(34)의 수평부(41)는 기부(基部)(52)와 선단부(53)로 분할되어 있다.
원격동작레버(34)의 기부(52)는 연직부(40)와 교차한다. 이 기부(52)에는 힌지(54)를 통하여 선단부(5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선단부(53)는 아래쪽으로부터 볼트(49)에 지지된다. 이 볼트(49)는 장착판(55)에 지지된다. 이 장착판(55)은 브래킷(25)의 다른 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 결과, 원격동작레버(34)의 기부(52)와 선단부(53)와의 서로의 대향면(56, 57)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선단부(53)의 회전 중 상승방향의 회전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이용하여, 비상정지장치(19)의 공장출하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의 설치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상정지장치(19)의 출하 시점에서는, 위치조정기구(46)는 장착판(55)마다 떼어내진다. 이 위치조정기구(46)는 프레임체(24) 내의 다른 장소에 장착된다(도시생략). 이 때, 원격동작레버(34)의 선단부(53)는 힌지(54)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12)의 파지기구(20)와는 반대 측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도록 접어 겹쳐진다. 이 때문에, 원격동작레버(34)의 선단부(53)는 연직투영면상에서 프레임체(24)에 장착된 브래킷(25)의 다른 쪽의 측면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또, 원격동작레버(34)의 선단부(53)는 연직투영면상에서 프레임체(24)의 측면으로부터 연직방향 하측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즉, 원격동작레버(34)는 연직투영면상에서 프레임체(24)와 브래킷(25)의 외형 내로 들어가도록 접어 겹쳐진다. 엘리베이터의 설치현장까지의 수송시에는, 원격동작레버(34)의 선단부(53)는 도 6의 위치에서 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고정에 의해, 원격동작레버(34)의 선단부(53)의 편차가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2에 의하면, 동작기구(22)는 연직투영면상에서 프레임체(24)와 브래킷(25)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접어 겹쳐진다. 이 때문에, 비상정지장치(19)가 프레임체(24)에 조립된 상태에서 출하되어도, 프레임체(24)의 외형으로부터 동작기구(22)가 돌출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종래대로의 용적으로 비상정지장치(19)를 수송할 수 있다. 즉, 비상정지장치(19)의 수송에 여분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프레임체(24)를 엘리베이터의 설치현장에 반입할 때에, 건축물에 동작기구(22)가 걸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동작기구(22)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어떠한 이상으로 증속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승강로, 2 권상기,
3 쉬브, 4 디플렉팅 쉬브,
5 메인로프, 6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
7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 8 균형추,
9 균형추 측 서스펜딩 풀리, 10 엘리베이터칸,
11 가이드레일, 12 엘리베이터칸 측 서스펜딩 풀리,
13 설치대, 14 조속기,
15 설치대, 16 텐션쉬브,
17 조속기로프, 18 로프캐치장치,
19 비상정지장치, 20 파지기구,
21 연결기구, 22 동작기구,
23 엘리베이터칸 바닥 측 빔, 24 프레임체,
25 브래킷, 26 그리퍼,
27 탄성요소, 28 고정슈,
29 경사판, 30 슈가이드,
31 가동슈, 32 설치구멍,
33 인상레버, 34 원격동작레버,
35 링크, 36 경사부,
37 수평부, 38 베어링부,
39 연결부, 40 연직부,
41 수평부, 42 축,
43 ~ 45 접합부, 46 위치조정기구,
47 위치조정기구 장착부, 48 나사구멍,
49 볼트, 50 너트,
51 연결축, 52 기부,
53 선단부, 54 힌지,
55 장착판, 56, 57 대향면,
58 원격동작기구, 59, 60 부품,
61 원격조작링크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레일에 안내된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마련된 서스펜딩 풀리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한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가이드레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파지 및 파지의 해방을 행하는 파지기구와,
    상기 서스펜딩 풀리의 상기 가이드레일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 조속기로프와 상기 파지기구를 연결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중에 상기 조속기로프가 정지했을 경우에, 상기 파지기구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파지시키는 동작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동작기구는 상기 파지기구가 마련된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가이드레일 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바닥의 가장자리를 두르도록 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지지한 엘리베이터칸 바닥측 빔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파지기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조속기로프와는 반대 측에 마련된 슈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기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조속기로프와는 반대 측에 마련된 인상(引上)레버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조속기로프 측에 마련되고, 상기 서스펜딩 풀리의 위쪽을 경유하여 상기 조속기로프에 연결된 원격동작레버와,
    상기 파지기구의 아래쪽에서 상기 인상레버와 상기 원격레버를 연결한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조속기로프가 정지했을 경우에, 상기 원격동작레버가 상기 링크를 상기 조속기로프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링크가 상기 인상레버에 상기 슈를 끌어올리게 하고, 상기 슈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촉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파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파지기구가 이동하도록 상기 동작기구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기구는 연직투영면상에서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가이드레일 측면 내에 들어가도록 마련되고,
    상기 동작기구는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가이드레일 측면에 접어 겹침 가능하게 마련되며, 접어 겹쳐진 상태에서는, 연직투영면상에서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가이드레일 측면 내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서스펜딩 풀리를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KR1020127027177A 2010-04-22 2010-04-22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KR101382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7177 WO2011132294A1 (ja) 2010-04-22 2010-04-22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669A true KR20130006669A (ko) 2013-01-17
KR101382027B1 KR101382027B1 (ko) 2014-04-04

Family

ID=4483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177A KR101382027B1 (ko) 2010-04-22 2010-04-22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41357B2 (ko)
KR (1) KR101382027B1 (ko)
CN (1) CN102858671B (ko)
WO (1) WO2011132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1461B2 (ja) * 2014-02-07 2017-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WO2017050697A1 (de) 2015-09-23 2017-03-30 Inventio Ag Anordnung für eine aufzugsanlage mit einer fangvorrichtung
JP7449782B2 (ja) * 2020-06-12 2024-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7705Y1 (ko) * 1967-01-11 1972-03-23
JPS5859181A (ja) * 1981-09-30 1983-04-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昇降体落下防止装置
JPS6251585A (ja) * 1985-08-29 1987-03-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非常止め装置
JP4514298B2 (ja) * 2000-09-12 2010-07-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TW593116B (en) * 2000-02-16 2004-06-21 Toshiba Corp Elevator device
KR20030028818A (ko) * 2001-06-29 2003-04-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WO2004083090A1 (ja) * 2003-03-18 2004-09-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EP1739046B1 (en) * 2004-04-20 2011-06-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mergency stop system of elevator
KR20060057572A (ko) * 2006-01-11 2006-05-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장치
KR100879681B1 (ko) * 2007-02-06 2009-01-2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027B1 (ko) 2014-04-04
JPWO2011132294A1 (ja) 2013-07-18
WO2011132294A1 (ja) 2011-10-27
JP5541357B2 (ja) 2014-07-09
CN102858671B (zh) 2014-11-26
CN102858671A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62387B (zh) 建造电梯设备的方法及用于该目的的电梯设备
US10589962B2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mounting device
CN111348518B (zh) 电梯安全促动器系统
KR101382027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JP2004523441A (ja) リフトまたは吊り下げ荷物用の非常ブレーキ装置および緩衝装置
KR1018629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751373B2 (ja) 非常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KR20000022577A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해제 방법
KR10199659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JP4862296B2 (ja) エレベータの検査方法
JP3961895B2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救出方法および装置
JP5548524B2 (ja) 非常止め装置を備えた昇降装置
JP6476142B2 (ja) タイダウン装置、タイダウン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ー、タイダウン装置の復帰方法
JP2002154758A (ja) エレベーター及び巻上機の取付方法
WO2017129852A1 (en) Arrangement for tensioning a traction member of an elevator and for monitoring the tension of the traction member
JP6704339B2 (ja) 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用ブレーキ装置
WO2005121006A1 (ja) エレベーター用の非常ブレーキ装置
JP7323032B1 (ja) エレベータ用かご枠、およびエレベータの足場なし工法
JP622323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830837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CN108657899B (zh) 电梯装置及缆绳制动装置的位置调整方法
JP2019077533A (ja) 非常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CN114364627B (zh) 施工用升降机
JP200504164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23177370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据付補助装置及び据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