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903A - 전자파 시일드 필름, 이를 사용한 플렉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파 시일드 필름, 이를 사용한 플렉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903A
KR20130004903A KR1020127022770A KR20127022770A KR20130004903A KR 20130004903 A KR20130004903 A KR 20130004903A KR 1020127022770 A KR1020127022770 A KR 1020127022770A KR 20127022770 A KR20127022770 A KR 20127022770A KR 20130004903 A KR20130004903 A KR 20130004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owder
film
electromagnetic shielding
layer
electro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1564B1 (ko
Inventor
기요시 이와이
요시하루 야나기
마사유키 도토우게
Original Assignee
다츠다 덴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츠다 덴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츠다 덴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4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3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non-fibrous particles embedded i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powder, flakes, whis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2Inhomogeneous material in general
    • H01B3/004Inhomogeneous material in general with conductive additives or condu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09Casings with provisions to reduce EMI leakage through the joining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휴대전화 등의 힌지부 등의 굴곡이나 슬라이딩이 빈번하게 실시되는 부분에 사용해도 전자파 시일드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 전자파 시일드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하여 전자파 시일드층을 형성하는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금속분과 (B)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도전층에,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전자파 시일드 필름에서 도전층이 (a)평균두께 50~300㎚, 평균입경 3㎛ ~ 10㎛의 박편 형상 금속분과, (b)평균입경 3㎛ ~ 10㎛의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을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 형성된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파 시일드 필름, 이를 사용한 플렉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ELECTROMAGNETIC-SHIELDING FILM, FLEXIBLE SUBSTRATE FORMED US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전자파 시일드 필름, 이를 사용한 플렉시블 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간의 슬라이딩 후에도 전자파 시일드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전자파 시일드 필름, 상기 필름을 사용하여 전자파 시일드층을 형성한 플렉시블 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의 힌지부 등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기판(FPC)에, 전자파 시일드 필름을 적층하여 전자파 시일드하는 것이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다. 전자파 시일드 필름으로서는 적어도 도전층과 보호층을 갖고, 그 도전층을 금속분을 바인더 수지에 분산시킨 도전성 접착제(도전성 페이스트)로부터 형성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와 같은 전자파 시일드 필름은 휴대전화 등의 박형화에 따라, 종래보다 한층 더한 박막화가 요구되고 있지만,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박막화에 따라 시일드성은 저하되므로, 그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과제가 되고 있다. 또한, 전자파 시일드의 대상이 되는 플렉시블 기판은 휴대전화 등의 사용시에 굴곡이나 슬라이딩이 빈번하게 실시되는 부분에 사용되는 것이고,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전자파 시일드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하므로, 그 해결도 요망되고 있다.
전자파 시일드 필름의 제성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금속입자의 형상이나 입경 등에도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도전성, 밀착성, 및 전자파 시일드성의 향상을 위해, 평균입경 0.5㎛ ~ 20㎛의 은 입자와 1차 입자의 평균입경이 50㎚ 이하의 입상(粒狀) 은 입자를 일정한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플렉시블 기판이 요구하는 절곡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얻기 위해, 평균입경 2.0㎛ ~ 5.0㎛의 비늘 조각 형상의 은분과 평균 입경 10㎛ ~ 19㎛의 수지상의 은도금 구리분의 혼합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수십만회 레벨의 굴곡이나 슬라이딩의 후에도 충분한 전자파 시일드성을 지속하는 전자파 시일드 필름은 아직 얻어지지 않은 것이 실상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2942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230952호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박막화해도 우수한 전자파 시일드성을 갖고, 또한 휴대전화 등의 힌지부와 같이 굴곡이나 슬라이딩이 반복되어 빈번하게 실시되는 부분에 사용해도 초기의 전자파 시일드성이 장기간 지속되는 전자파 시일드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름을 사용하여 전자파 시일드층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전자파 시일드 필름은 (A) 금속분과 (B)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도전층에,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전자파 시일드 필름으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도전층이 상기 금속분으로서, (a) 평균 두께 50~300㎚, 평균 입경 3㎛ ~ 10㎛의 박편 형상 금속분과, (b) 평균 입경 3㎛ ~ 10㎛의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을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부터 형성된 것으로 한다.
상기 전자파 시일드 필름에서는 (A) 금속분과 (B) 바인더 수지의 비율이 중량비로 A:B=50:50~80:20의 범위 내(단, 고형분 환산)이고, 또한 상기 (a) 박편 형상 금속분과 (b)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의 비율이, 중량비로 a:b=20:80~80:2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의 제조 방법은 플렉시블 기판상에 상기 본 발명의 전자파 시일드 필름을 배치하고, 이어서 상기 전자파 시일드 필름과 함께 플렉시블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가열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상에 전자파 시일드 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본 발명의 전자파 시일드 필름으로 이루어진 전자파 시일드층을 갖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파 시일드 필름은 우수한 전자파 시일드 효과를 갖고, 이를 사용하여 플렉시블 기판에 전자파 시일드층을 설치한 경우, 수십만회 레벨의 굴곡 또는 슬라이딩의 후에도 전자파 시일드가 고레벨로 유지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파 시일드층을 구비한 기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한 우수한 전자파 시일드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 전자파 시일드층을 구비한 플렉시블 기판이 용이하게 얻어진다.
도 1은 시트 저항의 측정방법을 도시한 모식단면도이다.
도 2a, 도 2b는 접속저항의 측정방법을 도시한 모식단면도로, 도 2b는 도 2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슬라이딩 시험의 방법을 도시한 모식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자파 시일드 필름 및 이를 사용한 플렉시블 기판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자파 시일드 필름은 상기와 같이 금속분과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도전층과 보호층을 적어도 갖는 것이고, 금속분으로서 박편 형상 금속분과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을 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박편 형상 금속분」은 통상, 비늘조각 형상 또는 플레이크 형상 등으로 불리는 것이고, 평판인 형상이면 좋고, 그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러 가지 형상의 입자를 눌러 으깨거나, 쳐서 으깨어 형성한 비늘조각 형상 금속분이, 비용이나 생산성의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박편 형상 금속분의 금속의 종류는 금, 은, 은코팅 구리, 구리, 니켈 등이고 그 중에서도 은, 은 코팅 구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편 형상 금속분의 크기는 평균 두께가 50~300㎚이고, 또한 평균 입경이 3㎛ ~ 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두께가 300㎚보다 크면 박편 형상 금속분의 융점의 저하가 일어나기 어렵고, 평균 두께가 50㎚보다 작으면 생산 비용이 대폭 상승한다. 또한, 평균 입경이 10㎛보다 크면 분산성이 저하되고 평균 입경이 3㎛보다 작으면 금속분이 저충전일 때의 도전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은 침상이어도 수지상(덴드라이트)이어도,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여기에서 수지상이라는 것은 명확하게 가지 형상으로 인정되는 부분을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별사탕과 같이 돌기를 갖는 것이나, 크고 작은 여러 형상의 볼록부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의 금속의 종류도 상기와 동일하게 금, 은, 은 코팅 구리, 구리, 니켈 등이고, 그 중에서도 은 코팅 구리가 바람직하다. 크기는 평균 입경이 3㎛ ~ 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10㎛보다 크면 시일드 필름의 박막화가 곤란해지고, 평균 입경이 3㎛보다 작으면 금속분의 돌기 형상의 형성이 곤란해진다.
상기 금속분의 평균입경이나 평균두께는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박편 형상 금속분과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을 병용함으로써, 이들 중 어느 한쪽을 단독 사용한 경우, 또는 다른 형상을 조합한 경우(예를 들어, 박편 형상 금속분과 구형상 금속분을 병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반복의 굴곡·슬라이딩에 대한 전자파 시일드 효과의 지속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 인정된다. 종래 기술에서 시일드 효과가 경시적으로 저하되는 것은 필름의 변형이 거듭됨에 의해, 도전층의 금속입자끼리의 접촉 상태가 악화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 바, 상기와 같이 박편 형상 금속분과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을 병용한 경우,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이 박편 형상 금속분에 부분적으로 찔리는 등의 물리적 결합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후술하는 가압하면서의 가열공정을 거침으로써, 금속분끼리 금속결합 또는 그에 준하는 단단한 결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또한 후술하는 땜납 리플로우 공정을 거침으로써, 그 결합이 보다 단한한 것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박편 형상 금속분(a)과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b)은 중량비로 a:b=20:80~80:20의 범위 내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편 형상 금속분에 대한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굴곡·슬라이딩에 의한 도전성의 저하가 커진다. 즉, 시일드 효과가 크게 저하된다.
다음에, 바인더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특별한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우레탄 수지가 가요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A)금속분과 (B)바인더 수지의 배합 비율은 중량비로 A:B=50:50~80:20의 범위(단, 고형분 환산)가 바람직하고, A:B=55:45~70:3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분이 50중량%보다 적으면 도전성의 발현이 곤란해지고, 80중량%보다 많으면 가요성이나 밀착성이 저하된다.
상기 금속분과 바인더 수지로부터 전자파 시일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금속분과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페이스트를 조제하고 박리지 등에 코팅하여 도전층이 되는 필름을 형성한다. 상기 필름의 두께는 8㎛ ~ 28㎛인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프레스 공정 후에 5㎛ ~ 25㎛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스 공정 후의 두께가 5㎛ 미만이면 충분한 전자파 시일드성이 얻어지기 어렵고, 25㎛를 초과하면 박막화의 요청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도전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의 예로서는 난연제, 레벨링제, 점도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난연제로서는 인계 등의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난연제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을 구성하는 필름에 보호층을 구성하는 필름을 적층함으로서, 본 발명의 전자파 시일드 필름이 얻어진다. 또는 먼저 보호층을 구성하는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필름에 도전층을 구성하는 필름을 적층할 수도 있다.
보호층을 구성하는 필름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의 표면경도는 연필경도로 H~4H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를 위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에폭시 수지나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층에 아크릴계 등의 하드코팅제를 적층할 수도 있다. 보호층의 표면경도가 연필경도에서 H보다 작으면 손상되기 쉽고, 한편 4H보다 크면 가요성이 작아져 슬라이딩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을 구성하는 필름의 두께는 3㎛ ~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프레스 공정 후에 2㎛ ~ 12㎛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스 공정 후의 두께가 2㎛ 미만이면 보호층으로서의 강도가 부족하고, 12㎛를 초과하면 박막화의 요청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전자파 시일드 필름 전체로서는 후술하는 프레스 공정 전의 두께가 11㎛ ~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레스 공정 후에 7㎛ ~ 28㎛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플렉시블 기판상에 상기 본 발명의 전자파 시일드 필름을 얹고, 압력 1~5 MPa로 가압하면서 가열하는 프레스 공정을 거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상에 전자파 시일드층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스 공정에서의 가열온도는 140~20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전자파 시일드층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을 땜납 리플로우 공정에 제공함으로써, 슬라이딩 특성을 더욱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땜납 리플로우의 실시조건은 땜납이 녹는 조건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은 약 260℃에서 4초간 정도이다. 금속은 박막화에 의해 융점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박편 형상 금속분은 예를 들어 융점 962℃의 은과 같은 고융점 금속이어도, 본 온도 범위에서 리플로우 공정을 거침으로써 용융되고, 상기한 금속결합 또는 그에 준하는 단단한 결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파 시일드 필름은 피복 대상이 되는 플렉시블 기판과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폴리이미드에 대해서 180 ℃ 필강도로 2N 이상의 접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이형(離型) 필름상에 에폭시계 수지를 두께 6㎛로 코팅하여 건조시키고 이것에 아크릴계 하드 코팅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에폭시계 소프트층과 아크릴계 하드 코팅층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진 보호층(후술하는 도 1, 도 2a, 도 2b에서의 부호 "1")을 형성했다. 상기 보호층 상에 표 1,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조제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코팅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도전층(동 도 1, 도 2a, 도 2b에서의 부호 "2")를 형성하여 전자파 시일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전자파 시일드 필름을 사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실시했다. 사용한 바인더 수지 및 금속분의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바인더 수지: 다이니치세이카고교(주)제, 우레탄 수지 UD1357
금속분: (a) 비늘 조각 형상 은분: 평균 두께 100㎚, 평균 입경 5㎛, 융점 약 250℃
(b) 수지상의 은 코팅 구리분: 평균 입경 5㎛
단, 비교예 3에서는 (b) 수지상의 은 코팅 구리분으로 바꾸어 구 형상의 은 코팅 구리분(평균 입경 6㎛ ~ 7㎛)을 사용했다.
(1) 시트 저항
도 1에 도시한 입방체 형상의 전극 A, B(전극면적: 1㎠(L1=L2=L3=1㎝), 전극간격 d:1㎝, 전극 표면: 금도금 처리)를 도전층(2)에 배치하고, 각 전극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4.9N의 하중을 가하고, A-B 전극간의 저항값을 4단자법으로 측정하여 측정개시로부터 1분후의 값을 시트저항으로 했다. 측정분위기 온도는 상온(18~28℃)로 하고 측정에는 249㎜×50㎜ 절단 샘플을 사용했다. 시험 수를 n=5로 한 평균값을 표 1에 나타낸다.
(2) 180°필강도
상기 전자파 시일드 필름의 도전층측을 폴리이미드 필름[도레 듀폰(주)제, 카프톤 100H(상품명)]을 통하여 시험판에 점착하고, 보호층측에도 접착제층을 통하여 폴리이미드 필름(동 카프톤 100H)을 점착하여 50㎜/분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으로부터 벗겨내었다. 시험 수를 n=5로 한 평균값을 표 1에 나타낸다.
(3) 접속저항
상기 전자파 시일드 필름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두께 53.5㎛)에 얹고, 압력 3MPa로 가압하면서 17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단면 형상을 갖는 전자파 시일드 필름층을 구비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의 평가용 시료를 작성하고, 그 후 땜납 플로우를 5회 실시했다. 도 2a 및 도 2b에서 부호 "1"은 전자파 시일드 필름의 보호층, 부호 "2"는 그 도전층을 나타낸다. 또한, 부호 "3"은 FPC의 폴리이미드층(두께 12.5㎛), 부호 "4"는 구리층(Cu: 18㎛), 부호 "5"는 무전해 니켈-금도금층(Ni:3㎛ ~ 5㎛, Au:0.05㎛ ~ 0.1㎛), 부호 "6"은 접착제층(두께 35㎛), 부호 "7"은 폴리이미드층(두께 25㎛)를 나타낸다. a는 그라운드부 직경이다. (b)는 (a)에서의 그라운드부의 확대도이다. 그라운드부 직경 (a)가 0.5㎜φ, 0.8㎜φ, 1.0㎜φ의 각각의 경우에서의 저항값 R(접속저항)을 측정했다. 시험 수를 n=5로 한 평균값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4) 슬라이딩 특성
폴리이미드층(12.5㎛), 접착제층(15㎛), 구리박층(12㎛) 및 폴리이미드층(12.5㎛)이 위로부터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4층 구조의 FPC(13)의 상하 양면에 전자파 시일드 필름(14, 15)(길이 100㎜, 폭 12㎜)을 적층하고 평가용 시료를 작성했다. 상기 평가용 시료를, FPC(13)의 상면측이 내측이 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굴곡시키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11)과 슬라이딩판(12)에 의해 끼워(굴곡반경 b:1.0㎜), 전자파 시일드 필름(14, 15)의 도전층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구리박(폭 10㎜)를 통하여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고, 이들 필름(14, 15)의 저항값을 각각 측정하고 시일드층 초기저항으로 했다. 계속하여 검은 원 표시를 기점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스트로크(슬라이딩폭 50㎜(c=c'=25㎜), 60왕복/분)시키고, 시일드층 저항이 100Ω에 도달했을 때의 스트로크 횟수(왕복을「1회」로 함)를 조사하여, 「슬라이딩 특성」으로 했다. 또한, 상기 평가용 시료를 땜납 플로우 공정에 3회 제공한 시료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2에 나타낸다. 표에서 「내곡)」은 굴곡시켰을 때 FPC(13)의 내측이 되는 전자파 시일드 필름(15)의 저항값을 나타내고, 「외곡)」은 FPC(13)의 외측이 되는 전자파 시일드 필름(15)의 저항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전자파 시일드 필름은 휴대전화 이외에, 굴곡부나 슬라이딩부를 갖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기에 편성되는 플렉시블 기판 전반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1: 전자파 시일드 필름의 보호층
2: 도전층
3, 7: 폴리이미드층
4: 구리층
5: 니켈-금 도금층
6: 접착제층
11: 고정판
12: 슬라이딩판
13: FPC
14, 15: 전자파 시일드 필름

Claims (4)

  1. (A)금속분과 (B)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도전층에,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전자파 시일드 필름으로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금속분으로서 (a) 평균두께 50~300㎚, 평균입경 3~10㎛의 박편 형상 금속분과, (b) 평균입경 3㎛ ~ 10㎛의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을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 형성된 전자파 시일드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에서의 (A)금속분과 (B)바인더 수지의 비율이, 중량비로 A:B=50:50~80:20의 범위 내(단, 고형분 환산)이고, 또한 상기 (a) 박편 형상 금속분과 (b) 침상 또는 수지상 금속분의 비율이 중량비로 a:b=20:80~80:20의 범위 내인 전자파 시일드 필름.
  3. 플렉시블 기판 상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전자파 시일드 필름을 배치하고,
    다음에 상기 전자파 시일드 필름과 함께 플렉시블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가열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기판상에 전자파 시일드층을 형성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전자파 시일드 필름으로 이루어진 전자파 시일드층을 갖는 플렉시블 기판.
KR1020127022770A 2010-03-11 2011-02-25 전자파 시일드 필름, 이를 사용한 플렉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51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54587A JP5528857B2 (ja) 2010-03-11 2010-03-11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0-054587 2010-03-11
PCT/JP2011/001102 WO2011111324A1 (ja) 2010-03-11 2011-02-25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903A true KR20130004903A (ko) 2013-01-14
KR101751564B1 KR101751564B1 (ko) 2017-06-27

Family

ID=4456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770A KR101751564B1 (ko) 2010-03-11 2011-02-25 전자파 시일드 필름, 이를 사용한 플렉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28857B2 (ko)
KR (1) KR101751564B1 (ko)
CN (1) CN102792790B (ko)
TW (1) TWI526150B (ko)
WO (1) WO20111113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214B1 (ko) * 2013-05-15 2013-08-30 (주)드림텍 휴대단말기 전자파 차폐용 블랙 쉴드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0279B2 (ja) * 2011-10-27 2016-06-29 藤森工業株式会社 Fpc用電磁波シールド材の製造方法
TW201708482A (en) * 2012-06-29 2017-03-01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conductive adhesive film, bonding method, and circuit board
WO2014021037A1 (ja) * 2012-08-02 2014-02-06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導電性フィルム
JP2014112576A (ja) * 2012-11-28 2014-06-19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シールドフィルム
JP6255816B2 (ja) * 2013-09-09 2018-01-10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2015065342A (ja) * 2013-09-25 2015-04-09 タツタ電線株式会社 シールド収容体、プリント回路板、及び、電子機器
JP6650660B2 (ja) * 2014-01-20 2020-02-19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および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付き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CN106465568B (zh) * 2014-06-02 2019-01-01 大自达电线股份有限公司 导电性接合膜、印刷布线板及电子设备
CN104409144B (zh) * 2014-12-05 2016-08-24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具有电磁屏蔽层的扁平式电缆
JP6028290B2 (ja) * 2014-12-11 2016-11-1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CN105788703B (zh) * 2014-12-18 2017-09-26 上海宝银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电磁屏蔽的抗氧化银铜浆及其制备方法
JPWO2016136537A1 (ja) * 2015-02-26 2017-09-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部材、当該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部材を備える電子部品
JP6332124B2 (ja) * 2015-04-17 2018-05-3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銅粉及びそれを用いた導電性ペースト、導電性塗料、導電性シート
JP5854248B1 (ja) 2015-05-27 2016-02-09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導電性接着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導電性接着シートおよび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
JP6577316B2 (ja) * 2015-09-30 2019-09-18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用銅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555111A (zh) * 2015-12-10 2016-05-04 深圳市法鑫忠信新材料有限公司 一种屏蔽膜及连续式屏蔽膜制作系统及方法
CN105744818A (zh) * 2016-02-03 2016-07-06 中电海康集团有限公司 一种柔性磁屏蔽和抗辐照薄膜
JP6920796B2 (ja) * 2016-08-05 2021-08-18 藤森工業株式会社 Fpc用導電性接着シート及びfpc
CN108300360A (zh) * 2016-10-10 2018-07-20 昆山雅森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异形金属粒子导电胶膜及其制作方法
CN107914435B (zh) * 2016-10-10 2019-10-29 昆山雅森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异向导电胶膜及其制作方法
CN108913057B (zh) * 2017-03-27 2023-11-10 昆山雅森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异向型导电布胶及其制作方法
JP6566008B2 (ja) * 2017-11-24 2019-08-2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6839669B2 (ja) 2018-01-09 2021-03-10 タツタ電線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
JP7252067B2 (ja) * 2019-06-12 2023-04-0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摺動材
JP2019186225A (ja) * 2019-07-18 2019-10-24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用銅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3188206A1 (ja) * 2022-03-30 2023-10-05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板用接合剤、プリント配線板用補強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4102B2 (ja) * 2001-06-26 2006-12-06 小松精練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材の製造方法
JP4295794B2 (ja) * 2001-06-29 2009-07-15 タツタ電線株式会社 シールド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4363340B2 (ja) * 2004-03-12 2009-11-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導電性銀ペース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波シールド部材
JP4936142B2 (ja) * 2008-03-21 2012-05-23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組成物及び電子回路並びに電子部品
JP2008171828A (ja) * 2008-03-26 2008-07-24 Toyobo Co Ltd 導電性ペースト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214B1 (ko) * 2013-05-15 2013-08-30 (주)드림텍 휴대단말기 전자파 차폐용 블랙 쉴드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6334A (en) 2012-02-01
TWI526150B (zh) 2016-03-11
KR101751564B1 (ko) 2017-06-27
CN102792790B (zh) 2017-12-19
WO2011111324A1 (ja) 2011-09-15
JP5528857B2 (ja) 2014-06-25
JP2011187895A (ja) 2011-09-22
CN102792790A (zh)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4903A (ko) 전자파 시일드 필름, 이를 사용한 플렉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56091B1 (ko) 전자파 차폐 필름
KR101510173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쉴드 필름 및 프린트 배선판
JP6064903B2 (ja) 導電性シート
JP6554618B2 (ja) シールドプリント配線板及びシールド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09038278A5 (ko)
TWI559823B (zh) 印刷配線板、印刷配線板的製造方法及電子裝置
JP5798980B2 (ja) 導電性粘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6368711B2 (ja) 形状保持シールドフィルム、及びこの形状保持シールドフィルムを備えた形状保持型シールドフレキシブル配線板
WO2013183692A1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20230043820A (ko) 도전성 접착제
WO2020090726A1 (ja)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シールド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及び、シールドプリント配線板
KR20230159702A (ko) 도전성 접착제층
TWI550650B (zh) 導電性片以及電子零件
JP2020061486A (ja)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付きプリント配線板
KR102443614B1 (ko) 도전성 접착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파 차폐 필름
JP4763813B2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73557B2 (ja) 接合方法及び接合体
JP2012054568A (ja) 接合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