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580A - 비상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로프 호이스트 - Google Patents

비상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로프 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580A
KR20130004580A KR1020127024706A KR20127024706A KR20130004580A KR 20130004580 A KR20130004580 A KR 20130004580A KR 1020127024706 A KR1020127024706 A KR 1020127024706A KR 20127024706 A KR20127024706 A KR 20127024706A KR 20130004580 A KR20130004580 A KR 20130004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cable
cable drum
hois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518B1 (ko
Inventor
노르베르트 호른다처
페터 키트슈타이너
이비카 지니크
Original Assignee
코네크레인스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크레인스 피엘씨 filed Critical 코네크레인스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13000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16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the drums or barrels being freely rotatable, e.g. having a clutch activated independently of a br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32Detent devices
    • B66D5/34Detent devices having la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케이블 호이스트는 비상 제동 장치를 구비한다. 비상 제동 장치는 케이블 드럼을 통해 구동되는 기어휠 조립체를 포함한다. 2개의 기어휠 중 하나가 앵커의 감지레버에 의해 감지된다. 앵커의 다른 단부는 기어휠 조립체의 래칫휠과 상호작용한다. 과속이 발생하는 즉시, 앵커가 래칫휠과 맞물려서, 앵커가 정착되어 있는 캐리어의 회전운동을 일으킨다. 이러한 회전운동은 기계식 제동 장치를 시동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동 장치는 케이블 드럼과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비상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풀{CABLE PULL COMPRISING AN EMERGENCY BRAKING DEVICE}
케이블 또는 로프 호이스트는 견인 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 드럼을 포함한다. 기어 모터가 케이블 드럼을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기어 모터는 기어링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비동기식 또는 동기식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영구적 여기식 직류 모터도 사용될 수 있다.
안전상의 이유 때문에, 브레이크가 역시 케이블 드럼에 할당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가 모터와 기어링 메커니즘 사이의 구동 트레인에서 에러가 발생할 때마다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한 에러는 예를 들어 구동부에서의 브레이크 파손 또는 모터에서의 정전을 일으킬 수 있다.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모터들은 그들 자신의 멈춤 토크(detent torque)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 큰 신뢰성을 가지고 작동하는 비상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호이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케이블 호이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보통의 방법으로, 신규한 케이블 호이스트는 기어 모터를 경유하여 회전되는 케이블 드럼을 포함한다. 케이블 드럼은 제동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제동 장치의 시동(triggering)은 제동위치에서 양호하게 스프링 에너지 저장부에 의하여 편향(bias)된다. 시동기구는 스프링 저장부에 의하여 활성화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일반적으로, 하중의 크라싱(crashing)은 케이블 드럼의 과속, 즉 모터의 도움을 받아 달성될 수 있는 최대 회전속도를 초과하는 케이블 드럼의 회전속도에 의하여 나타나고 있다.
제어 장치가 이러한 과속을 검출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어 장치는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래칫휠(ratchet wheel)과 구동휠 또는 다각형 휠로 이루어지는 기어휠(toothed wheel) 조립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구동용 기어휠이 케이블 드럼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앵커 캐리어가 2개의 기어휠의 샤프트에 배치되고, 상기 앵커 캐리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한번의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앵커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의하여 지지된다. 앵커의 한 단부에서, 앵커는 멈춤쇠(pawl)를 갖고, 앵커의 다른 단부에서 감지부재를 갖는다. 멈춤쇠는 래칫휠과 상호작용하도록 고안되어 있고, 한편 감지부재는 구동용 기어휠을 감지한다.
끝으로, 앵커 캐리어를 제동 장치의 제어 장치와 연결시키는 클러치 조립체가 제공되어 있다.
정상모드에서 케이블 드럼의 최대 회전속도로부터 최소량으로 벗어나는 낮은 회전속도에서, 앵커의 감지부재는 구동용 기어휠의 굴곡 구조를 따라간다. 그렇게 하는 동안, 톱니 팁들은, 감지부재가 톱니 팁들을 통과하며 상기 팁들과 접촉상태로 유지될지라도, 멈춤쇠가 래칫휠과 해제상태로 유지되어 있도록 하는 치수로 되어 있다. 케이블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또한 구동용 기어휠의 회전속도도 증가한다. 증가한 속도로 인하여, 이제 앵커가 래칫휠과의 결합 방향으로 더욱 가속되고, 그 결과 기어휠의 팁에서 벗어나게 된다(lift off). 이러한 벗어남은 멈춤쇠가 래칫휠과 결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다. 일단 멈춤쇠가 래칫휠과 결합하게 되면 - 멈춤쇠와 래칫휠에서의 새로 결합된 톱니들의 적절한 기하학적 구성과 함께 - 상기 톱니들은 서로 안전하게 맞물리게 되며, 따라서 래칫휠과 앵커 캐리어 사이의 상대운동을 차단(blocking)한다. 그렇게 하는 동안, 앵커 캐리어는 래칫휠에 의하여 회전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앵커 캐리어가 지지되어 있는 축에 대한 이러한 움직임은 클러치 조립체를 거쳐 제동 장치의 시동기구로 전달되고, 이러한 전달의 결과로서 상기 제동 장치가 시동된다.
장치(arragement)는 매우 간단하며 전자부품들이 없어도 기능을 발휘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장치의 간섭이 불가능하며, 외부의 전기 노이즈 필드에 의해서도 간섭받지 않는다. 다른 한편, 제어 장치를 하나의 모듈로서 사전제작하여 이것을 어떠한 케이블 드럼에도 연결시킬 수 있다. 각각의 케이블 드럼과 각각의 케이블 호이스트에 승인된 제어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각각의 케이블 드럼에 대한 디자인 및 채용에 대해 한 번의 승인으로 충분하다.
앵커를 위한 구동용 기어휠은 적어도 대략적인 다각형 원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용어 "적어도 대략적인 다각형"은 또한 앵커를 위해 더 큰 출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다각형의 모서리들이 정점들 사이에서 오목하게 연장하는 그러한 디자인을 지칭한다.
시동 상황의 경우 어떠한 추가적 기계적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구동용 기어휠과 케이블 드럼 사이에 운동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슬립 마찰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것은 마찰 클러치 또는 적절하게는 슬립핑(slipping) 벨트가 될 수 있다.
벨트 조립체, 양호하게는 V-벨트 조립체는 구동용 기어휠을 위한 구동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체는 케이블 드럼과 비회전방식으로(non-rotationally) 연결되어 있는 V-벨트 풀리와, 구동용 기어휠을 구동하는 V-벨트 풀리를 포함한다. 또한 기어휠 연결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벨트 조립체는 구동용 기어휠이 케이블 드럼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 드럼의 작은 과속이 비상 제동 장치의 시동을 유발한다는 관점에서 특히 민감한 제어반응을 달성할 수 있다.
앵커의 운동의 진동수 조율을 위해, 앵커의 질량(무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앵커를 래칫휠과의 결합해제상태를 동시에 유지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앵커가 편향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감지부재는 앵커의 샤프트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감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슬라이딩 운동이 배제되고, 조립체가 내마모성을 갖고 평활한 주행(smooth-running)을 하게 된다.
제어 장치와 제동 장치 사이의 클러치 조립체는 보우덴(Bowden) 케이블 또는 로드 조립체가 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케이블 드럼과 비회전방식으로 연결되는 브레이크 드럼 또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포함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shoe) 또는 브레이크 캘리퍼(caliper)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단순한 실시예를 고려하면, 브레이크 드럼은 케이블 드럼의 원통형 연장부로 표현될 수 있는 반면, 브레이크 슈는 슬릿 링 형태로서 케이블 드럼에 배치되고, 상기 링은 이러한 제동력에 대항하여 사전에 규정된 반경방향 힘으로 편향된다.
제동 장치는 브레이크 슈에 의해 로크될 수 있는 로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전은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이다.
이하에서 특징들의 서술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양상들을 설명한다. 추가로 설명되지 않은 세부사항들은 특징들의 서술을 어느 정도 보충하는 도면들을 참고함으로써 통상의 기술자가 보통의 방법으로 유추할 수 있다.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하의 도면들은 반드시 실측으로 그려진 것이 아니다. 세부를 예시하기 위해 어떤 영역들은 과장된 크기로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면들은 간략한 개략도이며, 잠재적으로 실제적인 구현을 대신할 수 있는 모든 세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용어 "상단" 및 "하단" 또는 "전방", 및 "후방"은 정상적인 설치 위치 또는 케이블 호이스트에 대해 사용된 전문용어와 관련되어 있다.
도면들은 본 발명의 주제에 대한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호이스트의 도식화된 평면도.
도 2는 트윈 기어가 없이, 케이블 드럼에 있는 제동 장치의 도식화된 표현과 함께 제어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시동 전의 제어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시동 후의 제어 장치의 측면도.
도 1은 케이블 호이스트(1)의 도식화된 평면도이다. 케이블 호이스트(1)는 케이블 드럼(2), 기어 모터로서 구성된 구동부(3), 비상 제동 장치(4), 및 비상 제동 장치를 위한 제어 장치(5)를 포함한다.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으로, 케이블 드럼(2)은 케이블이 자체적으로 놓여지는 케이블 홈들(7)을 갖는다. 케이블 자체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우측으로 이동할 것이다. 한 단부에서, 케이블 드럼은 브레이크 드럼으로서 작용하는 원통형 연장부(8)로 끝난다. 케이블 드럼(2)의 이러한 원통형 연장부상에 안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슈(9)는 나머지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면에서 톱니(11)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슈(9)는 사전에 규정된 압력에서 원통형 연장부(8)와 마찰 접촉이 유지된다.
케이블 드럼(2)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 모터(3)를 경유하여 구동되며, 기어 모터의 출력 샤프트는 부호(12)로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드럼의 지지를 위한 단부 실드들(shields)(13, 14)이 나타나 있다. 출력 샤프트(12) 뿐만 아니라 보조 베어링 샤프트(16)가 상기 케이블 드럼을 통해 연장한다.
V-벨트 풀리(17)는 베어링 샤프트(16)의 자유단부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V-벨트 풀리는 제어 장치(5)의 구동부로서 작용하거나 또는 상기 구동부의 구성요소이다.
제어 장치(5)의 디자인의 나머지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샤프트(18)는 단부 실드(14)에 정지상태로 안착되고, 상기 샤프트는 케이블 드럼(2)과 동축상에 있다. 앵커 캐리어(19)는 추(pendulum) 방식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18)에서 지지되어 있다. 앵커 캐리어(19)는 양팔 레버(two-arm lever)로서 설계되어 있다. 상기 레버의 하단부는 보우덴 케이블(23)의 코어(22)에 연결된다. 앵커(26)는 샤프트(24)에서 피봇될 수 있도록 앵커 캐리어(19)의 상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샤프트(24)는 샤프트(18)와 평행하다.
앵커(26)는 또한 양팔 레버이고, 도 2의 우측 단부에서 샤프트(24)의 축선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감지롤러(27)를 지지한다. 앵커의 대향 단부에서, 앵커(26)는 결합용 멈춤쇠(28)를 구비하고, 상기 멈춤쇠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또는 베어링 샤프트(18)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도 3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휠 조립체(29)는 회전축(18)상의 앵커 캐리어(19) 옆에 안착되어 있다. 기어휠 조립체(29)는 정다각형 외부 형태를 갖는 구동용 또는 다각형 휠(30)과, 래칫휠(31)로 이루어진다. 구동용 휠(30)은 둥근 정점들 및 이 정점들 사이로 연장하는 직선형 표면들을 가지며, 상기 표면들은 부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축(18)에 대칭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구동용 휠(30)과 비회전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래칫휠은 예리한 에지를 갖는 플랭크들(flanks)(33)을 갖는 톱니(32)를 보유한다. 플랭크들(33)은 결합용 멈춤쇠(28)의 대응 표면과 인터로킹(interlocking)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앵커(26)에 추 방식의 운동을 부여하기 위해서 감지롤러(27)는 구동용 휠(30)의 외부 원주면과 상호작용한다.
기어휠 조립체(29)는 V-벨트 풀리(34)를 경유하여 회전되며, 상기 V-벨트 풀리(34)는 기어휠 조립체(29)와 비회전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V-벨트 풀리(34)의 직경은 V-벨트 풀리(17)의 직경보다 작아서 V-벨트 풀리(34)가 V-벨트(35)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벨트는 케이블 드럼(2)의 회전속도보다 큰 회전속도로 양 V-벨트 풀리들 주위를 순환한다.
끝으로, 제어 장치(5)는 보조 인장 스프링(37)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26)와 앵커 캐리어(19) 사이에서 작용하며, 또한 구동용 기어휠(30)의 외부 원주면에 감지롤러(27)를 접촉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우덴 케이블(23)은 제어 장치(5)와 비상 제동 장치(4) 사이에 기계식 연결부를 확립한다. 비상 제동 장치(4)는 케이블 드럼에 대해 축-병렬(axis-parallel)이 되도록 샤프트(39)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멈춤쇠(38)를 포함한다. 멈춤쇠(38)의 자유단부는 톱니(11)의 급경사진 플랭크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쇠(38)와 접촉하게 되는 자석 장치(39)를 사용함으로써, 멈춤쇠(38)가 브레이크 슈(9)에서 해제상태로 유지된다. 톱니(11)와 함께, 멈춤쇠(38)는 비상 제동 장치(4)의 활성화/시동 기구의 방식을 형성한다.
또한, 레버(41)가 멈춤쇠(38)와 연결되고, 상기 레버는 지점(38)의 받침대에 접하고 있는 인장 스프링(47)과 접촉하게 된다. 인장 스프링(47)의 도움을 받아 멈춤쇠(38)가 브레이크 슈(9)의 톱니(11)와 결합 위치로 편향된다.
더구나, 도그(dog)(49)를 갖는 슬라이더(48)는 코어(22)를 경유하여 레버(41)와 접촉하게 된다.
인장 스프링(47)과 연관된 자석(40) 대신에, 멈춤쇠(38)를 톱니(11)와 해제상태로 유지하는 단 하나의 스프링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정상 모드에서, 공급 전압이 케이블 호이스트에 인가되고, 따라서 자석(40)이 인장 스프링(47)의 작용에 대항하며 로킹 멈춤쇠(38)를 브레이크 슈(9)의 톱니와 해제상태로 유지하도록 만든다. 그렇게 하는 동안, 기어 모터(3)는 양방향, 즉 하중의 상승 방향 뿐만 아니라 하중의 하강 방향에서 필요한 대로 케이블 드럼(2)을 회전시킬 수 있다.
기어 모터(3)가 케이블 드럼(2)을 회전시키기 시작할 때, 이러한 회전운동이 V-벨트 풀리(17)를 경유하여 V-벨트들(35) 및 V-벨트 풀리(34)로 전달되며 따라서 기어휠 조립체(29)로 전달된다. 회전운동은 비교적 느리며, 앵커(26)의 감지롤러(27)가 구동용 기어휠(30)의 외형을 따라갈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는 다각형 형태의 정점들에서 구동용 기어휠(30)을 벗어나지 않는다. 이외에, 장치는, 감지롤러(27)가 다각형 형태의 정점을 따라 이동할 때, 멈춤쇠(38)의 팁이 여전히 샤프트(18)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게 되어, 래칫휠(31)의 톱니(32)가 멈춤쇠(38)와 결합할 수 없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 드럼이 정상 회전운동 모드에 있는 상황에서, 앵커(26)는 샤프트(24)에 대하여 다소 느린 피칭(pitching) 운동을 실행한다.
구동 모터(3)가 케이블에 걸린 하중으로부터 발생하는 토크를 더 이상 수용할 수 없게 하는 에러가 발생하고 동시에 전자석(40)이 멈춤쇠(38)를 브레이크 슈(9)와의 해제상태로 유지하면, 제어 장치(5)가 작용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가정한 경우, 크라싱 하중이 케이블 드럼(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3)가 더 이상 하중을 유지할 수 없으면, 그 하중이 붕괴되고, 그러는 동안 명백히 케이블 드럼(2)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기어휠 조립체(29)의 회전속도도 역시 증가할 것이다. 이렇게 증가하는 회전속도는, 다각형 호이스트의 정점의 방향에 있는 직선형 에지들을 따라 이동하는 감지롤러가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가속도를 내게 만들어서, 결국에는 상기 감지롤러가 정점의 영역에 있는 구동용 휠(30)의 외부 원주면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다.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속도 때문에, 진폭이 충분히 커지게 될 때, 멈춤쇠(28)가 샤프트(18)의 방향으로 2개의 멈춤 톱니(32) 사이의 갭 내로 들어갈 정도로 멈춤쇠(28)는 충분히 근접하게 이동할 것이다. 이제 급경사진 플랭크(33)가 멈춤쇠(28)의 대응하는 급경사진 플랭크를 향해 이동하여 앵커(26)를 이러한 결합 위치에 로크시킨다. 따라서, 기어휠 조립체(29)와 앵커 캐리어(19) 사이의 어떤 계속적인 회전운동이 차단된다.
또한, 기어휠 조립체(29)가 V-벨트(35) - 즉, 가정한 실례에서 시계방향 -를 경유하여 구동되는 한, 래칫휠(31)과 앵커(26)의 인터로킹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캐리어(19)가 샤프트(18)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회전하도록 만든다. 그렇게 하는 동안, 그것의 하부 암(21)이 보우덴 케이블(23)의 코어(22)를 당기고, 다음에 이것이 도그(49)가 암(41)과 결합하게 되고 암(41)을 샤프트(39)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피봇시키는 효과를 일으킨다. 그 결과, 멈춤쇠(38)가 유지용 자석(40)의 작용에 대항하여 회전되고, 멈춤쇠(38)의 팁 또는 도그가 멈춤 톱니(11)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멈춤쇠(38)가 톱니(11) 중 하나와 결합하자마자, 브레이크 슈(9)가 제위치에 유지되고, 즉 더 이상 케이블 드럼(2)과 함께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브레이크 슈(9)와 케이블 드럼(2) 사이의 마찰 작용이 작용하게 되고, 케이블 드럼(2)이 제동되어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장치의 파괴는 V-벨트(35)가 한편으로 필요한 토크를 V-벨트 풀리에 입력시킬 수 있도록 적절하게 느슨하게 주행하기 때문에 방지된다. 상기 토크는 앵커 캐리어(19)가 유지용 전자석(39)의 작용에 대항하여 멈춤쇠(38)를 이동시킬 수 있을 만큼 필요하다. 다른 한편, 편향력은 V-벨트가 슬립 마찰 클러치의 방법으로 V-벨트 풀리들(17, 34)에 작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다. 혼란을 피하기 위해 이것에 적절한 벨트 조임부(tightener)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앵커(26)의 관성 모멘트와 연관지어 편향 스프핑(37)을 사용함으로써, 케이블 드럼이 적절한 과속에 도달되었을 때에만, 앵커(26)의 멈춤쇠(28)가 톱니(32) 사이의 갭과 안전하게 결합하게 될 것임을 보장하는 균형을 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프링(37)은 구동용 기어휠(30)의 하나의 정점의 통과 운동에 의하여 초래된 작은 펄스들이 아직 앵커(26)와 구동용 기어휠(31) 사이의 인터로킹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상 제동 장치는 어떠한 추가의 외부 에너지 공급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제동 장치는 후크 상에서 이동하는 하중에 고유한 운동학적 에너지 및 잠재적 에너지만을 사용한다.
결과적으로 시스템은 또한 공급 전압의 정전 또는 기어 모터(3)를 위한 제어장치의 파손이 일어날지라도 흠잡을 데 없이 작용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케이블 드럼(2)을 제동하기 위한 다양한 해법을 제시한다.
케이블 호이스트는 비상 제동 장치를 구비한다. 비상 제동 장치는 케이블 드럼을 통해 구동되는 기어휠 조립체를 포함한다. 2개의 기어휠 중 하나가 앵커의 감지레버에 의해 감지된다. 앵커의 다른 단부는 기어휠 조립체의 래칫휠과 상호작용한다. 과속이 발생하는 즉시, 앵커가 래칫휠과 맞물려서, 앵커가 정착되어 있는 캐리어의 회전운동을 일으킨다. 이러한 회전운동은 기계식 제동 장치를 시동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동 장치는 케이블 드럼과 연결되어 있다.

Claims (14)

  1. 케이블 호이스트(1)로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케이블 드럼(2);
    상기 케이블 드럼(2)을 위한 구동장치(3);
    상기 케이블 드럼(2) 상에 제동방식으로 작용하도록 배치되며 시동/활성화 기구(11,38)를 포함하는 제동 장치(4);
    상기 제동 장치(4)를 위한 제어 장치(5)로서, 상기 제어 장치(5)의 부품들은,
    - 상기 케이블 드럼(2)에 의해 구동되는 축(1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반경방향 연장부들을 갖는 구동휠(30)과 기어(32)를 갖는 래칫휠(31)을 포함하는 기어휠 조립체(29),
    - 상기 축(18)에 적어도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앵커 캐리어(19), 및
    - 적어도 추 형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앵커 캐리어(19)에 지지되며, 한 단부에서 상기 래칫휠(31)과 상호작용하는 멈춤쇠(28)를 유지하고 다른 단부에서 상기 구동휠(30)을 위한 감지부재(27)를 유지하는 앵커(26)인, 상기 제어 장치(5); 및
    상기 앵커 캐리어(19)의 피봇팅 운동을 상기 시동/활성화 기구(11, 38)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앵커 캐리어(19)와 상기 시동/활성화 기구(11, 38) 사이에 배열된 클러치 조립체(23)를 포함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30)은 적어도 대략 다각형 외측 원주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3. 제1항에 있어서,
    슬립 마찰 클러치 조립체(17, 34, 35)가 상기 구동휠(30)과 상기 케이블 드럼(2) 사이에 운동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30)을 구동하기 위해 벨트 조립체, 양호하게는 V-벨트 조립체(17, 34, 35)가 제공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케이블 드럼(2)과 비회전방식으로 결합되는 V-벨트 풀리(17)와, 상기 구동휠(30)을 구동하는 V-벨트(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조립체(17, 34, 35)는 상기 구동휠(30)이 상기 케이블 드럼(2)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고속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26)는 스프링(37)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앵커(26)의 멈춤쇠(28)가 상기 래칫휠(31)로부터 결합해제되는 위치로 상기 앵커(26)를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26)와 함께 상기 앵커(26)를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링(37)은 진동수 조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7) 및 상기 앵커(26)를 포함하는 상기 조립체는 상기 케이블 드럼의 회전속도가 정상인 상황에서 상기 앵커(26)가 오버리프팅없이 상기 구동휠(30)의 외형을 따라가는 방식으로 조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27)는 상기 앵커(26)의 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감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26)는 상기 케이블 드럼(2)의 회전속도가 정상인 상황에서 허용오차가 첨가된 채로 상기 구동휠(30)과 영구적 결합상태로 유지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23)는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 또는 로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4)는 상기 케이블 드럼(2)과 비회전방식으로 연결되는 브레이크 드럼(8) 또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포함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슈(9) 또는 브레이크 캘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4)는 상기 브레이크 슈(9)를 제위치에 로크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멈춤장치(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14. 제1항에 있어서,
    벨트-인장장치가 상기 벨트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호이스트.
KR1020127024706A 2010-02-25 2011-02-11 비상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로프 호이스트 KR101366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09357.2 2010-02-25
DE102010009357A DE102010009357B4 (de) 2010-02-25 2010-02-25 Seilzug mit Notbremseinrichtung
PCT/IB2011/050583 WO2011104650A1 (de) 2010-02-25 2011-02-11 Seilzug mit notbrems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580A true KR20130004580A (ko) 2013-01-11
KR101366518B1 KR101366518B1 (ko) 2014-02-25

Family

ID=4450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706A KR101366518B1 (ko) 2010-02-25 2011-02-11 비상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로프 호이스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67196B2 (ko)
EP (1) EP2539269B1 (ko)
KR (1) KR101366518B1 (ko)
CN (1) CN102858675B (ko)
DE (1) DE102010009357B4 (ko)
ES (1) ES2546553T3 (ko)
RU (1) RU2505474C1 (ko)
TW (1) TWI532675B (ko)
WO (1) WO2011104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3320A1 (de) * 2011-05-27 2012-11-29 Konecranes Plc Balancer
FR3013341B1 (fr) * 2013-11-21 2017-01-06 Machinerie Scenique Concept Appareil de levage muni d'un dispositif de securite s'opposant a la chute de la charge en cours de translation verticale
KR101546284B1 (ko) * 2014-10-02 2015-08-21 주식회사 동양호이스트크레인 호이스트의 코일브레이크
EP3045419A1 (de) 2015-01-15 2016-07-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bremse für ein Hubwerk
CN106284225A (zh) * 2015-05-29 2017-01-04 湖北省咸宁三合机电制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多速双吊点卷扬式启闭机
US10360335B2 (en) 2016-08-29 2019-07-23 Tempo Communications, Inc. Distributed sensor network for measuring and optimizing wireless networks
US10208817B2 (en) * 2016-10-10 2019-02-19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Drawworks gearbox with redundant braking on input side
US11793701B2 (en) * 2017-10-24 2023-10-24 Roland John Lindqvist Device for bearing the weight of a load
CN108840204B (zh) * 2018-08-04 2023-09-19 安徽理工大学 一种矿井提升机制动时能量回收组件
CN110844736B (zh) 2018-08-20 2022-08-2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平衡载救援装置、电梯及电梯平衡载救援方法
RU2739646C1 (ru) * 2020-02-26 2020-12-28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акетно-космическая корпорация "Энергия" имени С.П. Королёва" Ограничитель скорости относи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
CN111498699B (zh) * 2020-04-26 2021-12-24 台州市同享管业有限公司 一种防坠悬挂装置
TWI717270B (zh) * 2020-04-30 2021-01-21 徐瑞峯 電動捲揚機之結構
CN112875522B (zh) * 2021-01-26 2022-11-08 中铁二十二局集团电气化工程有限公司 一种有效降低失速事故发生概率的铁路轨道吊装装置
CN113697628B (zh) * 2021-08-31 2023-04-25 铜陵有色金属集团股份有限公司 副井提升系统重故障应急机械开车方法
CN113845051A (zh) * 2021-09-17 2021-12-2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自锁滑车
CN114162740B (zh) * 2021-11-29 2023-11-14 宁波意宁码头经营有限公司 一种桥吊吊具卷盘
CN114148933B (zh) * 2022-02-10 2022-04-26 新乡市起重设备厂有限责任公司 一种起重机用带有应急功能的滚筒起升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7767A1 (ru) * 1927-11-22 1929-01-31 В.Н. Семенкович Стопор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к лебедке
US2745633A (en) * 1953-06-22 1956-05-15 Claire L Cornwell Cable speed indicator
US4177973A (en) * 1978-03-06 1979-12-11 Ederer Incorporated Cable drum safety brake
US4175727A (en) * 1978-03-06 1979-11-27 Ederer Incorporated Single failure proof crane
US4493479A (en) * 1980-11-07 1985-01-15 Ederer Incorporated Hoist drive safety system
US4518153A (en) * 1981-11-02 1985-05-21 Ederer Incorporated Safety mechanism for hoisting drums
US4448290A (en) * 1981-11-23 1984-05-15 Acushnet Company Safety device for a cable wound drum
DE3520967A1 (de) * 1985-06-12 1986-12-18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Sicherheitsbremsvorrichtung
DE3644781A1 (de) * 1986-12-23 1988-07-14 Mannesmann Ag Fangbremse
US5513723A (en) * 1994-07-01 1996-05-07 Harnischfeger Corporation Double-masted crane with improved brake arrangement
JP2790615B2 (ja) * 1994-10-20 1998-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GB9715293D0 (en) * 1997-07-22 1997-09-24 Street Crane Company Limited Monitor and/or overload means
CN2325371Y (zh) * 1998-02-18 1999-06-23 杭州电机总厂 电动葫芦安全制动器
US6092789A (en) * 1998-03-19 2000-07-25 Hugo Nev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boom hoist systems
KR200191024Y1 (ko) 2000-01-21 2000-08-16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US7063306B2 (en) * 2003-10-01 2006-06-20 Paccar Inc Electronic winch monitoring system
US20060186388A1 (en) 2005-02-24 2006-08-24 Thune Asbjorn E Emergency brake for hoist systems
KR100794767B1 (ko) 2006-04-15 2008-01-15 한국고벨주식회사 로드셀을 이용한 디씨 디스크브레이크 제동력 감지장치 및그 방법
CN101293622A (zh) * 2008-06-27 2008-10-29 河南省黄河防爆起重机有限公司 一种电动葫芦的第二制动器
CN101503170A (zh) * 2009-02-24 2009-08-12 贾光军 强制制动式电动葫芦
US8328165B2 (en) * 2009-03-17 2012-12-11 J.R. Clancy, Inc. Hoist with overspeed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14613A1 (en) 2015-01-15
TWI532675B (zh) 2016-05-11
EP2539269B1 (de) 2015-08-12
EP2539269A1 (de) 2013-01-02
DE102010009357B4 (de) 2012-02-16
TW201217260A (en) 2012-05-01
WO2011104650A1 (de) 2011-09-01
ES2546553T3 (es) 2015-09-24
CN102858675B (zh) 2015-03-11
US9567196B2 (en) 2017-02-14
CN102858675A (zh) 2013-01-02
KR101366518B1 (ko) 2014-02-25
DE102010009357A1 (de) 2011-09-08
RU2505474C1 (ru)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518B1 (ko) 비상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로프 호이스트
US5398911A (en) Winch assembly
JP5345245B1 (ja) 風車回転翼のターニング装置、これを備えた風力発電装置
US20100254229A1 (en) Mechanical Watch Having Constant Spring Force
US7686141B2 (en) Brake-equipped retracting device for retractable member
MX2014000021A (es) Cabrestante de cable sin fin.
US20130112931A1 (en) Winch
ES2135600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disparar el mecanismo de seguridad de un ascensor.
CN200978898Y (zh) 离心式超速离合器
KR20050045998A (ko) 와이퍼 장치
US20210300735A1 (en) Crane and method for weathervaning such a crane
KR102199659B1 (ko) 전자브레이크가 없는 무대장치용 리프트 구동장치
CN201034144Y (zh) 整经机离合式传动装置
CN203237967U (zh) 防坠落升降装置
CN103030080A (zh) 防坠落升降装置
CN211032536U (zh) 一种普轨卡轨车超速检测装置
US4523487A (en) Device for positioning and position stabilizing
WO1992011145A1 (en) Locking device for transmission systems of vehicles
CN202298224U (zh) 洗衣机双行程牵引器
US247075A (en) Power-driven hoisting-machine
JPH07103265A (ja) 回転軸の過回転防止ブレーキ装置
KR102658041B1 (ko) 전동셔터의 정전시 체인휠이 클러치 기능을 하고 체인 전달력이 감김 및 풀림시 일정한 수동 수직형 구동장치
KR100812970B1 (ko) 가속도감지를 통한 긴급잠금장치
US1162411A (en) Centrifugally-operated brake.
US263603A (e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