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990A - 하드코트 필름 - Google Patents

하드코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990A
KR20120134990A KR1020110092850A KR20110092850A KR20120134990A KR 20120134990 A KR20120134990 A KR 20120134990A KR 1020110092850 A KR1020110092850 A KR 1020110092850A KR 20110092850 A KR20110092850 A KR 20110092850A KR 20120134990 A KR20120134990 A KR 20120134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film
resin
coat film
coa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 하세가와
미노루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오이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이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이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4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99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3/0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32B2333/04Polymers of esters
    • B32B23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양태의 목적은 5H 이상의 연필 경도를 갖는 고경도의 표면을 갖고 있고, 우수한 내찰상성 및 내마모성을 갖고 있으며, 우수한 가요성 및 투명성을 갖고 있고, 또한 광학용 필름에 특히 적합한 하드코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하드코트 필름은 기재가 되는 플라스틱 필름과,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상에 적층된 하드코트층을 갖고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 필름이다. 상기 하드코트층은 불소계 화합물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하드코트 필름 {HARD COAT FILM}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화상 표시 장치 등의 보호막으로서 사용되는 광학용 하드코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 표시면에는, 사용시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내찰상성을 갖고 있을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화상표시면에 표면에 하드코트층을 갖는, 기재 필름(하드코트 필름)이 부착되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면의 내찰상성이 향상된다.
기재 필름 표면에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각종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방법으로는, 기재 필름 표면 상에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의 광중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도제 (塗劑) 를 도포하여 도제를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보다 단단한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막으로 이루어진 하드코트층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기재 필름 표면 상에 폴리실라잔을 도포한다. 그 후 도포된 폴리실라잔을 세라믹스화함으로써, 하드코트층으로서의 산화규소막을 형성한다.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필러로서 콜로이달 실리카 등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자외선경화성수지 등의 수지를 기재 필름 표면에 도포한다. 이로써, 보다 단단한 하드코트층이 형성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128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67238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방법에 관해서, 세라믹스화된 산화규소막으로 이루어진 하드코트층 그 자체는 충분한 경도를 갖는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이 하드코트층의 두께가 얇으면 충분한 연필경도가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관하여 연필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 하드코트층을 단순히 두껍게 하는 것이 생각할 수 있지만, 하드코트층을 두껍게 하면 연필경도는 확실히 향상된다. 그러나 이 경우, 하드코트층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또는 하드코트층 그 자체가 박리되기 쉬워져 버린다는 문제가 생기기 쉽다.
추가로, 하드코트층을 두껍게 하면, 적층 필름 전체의 가요성이 손상되게도 된다. 또한, 또한 적층 필름이 휘었을 때에, 하드코트층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층간 박리가 발생한다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콜로이달 실리카 등의 미립자를 필러로서 함유하는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단단한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필러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하드코트층의 투명성이 저하한다. 그 결과, 이러한 하드코트층을 광학 용도의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부착한 경우, 표시면의 투명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5H 이상의 연필경도를 갖고, 고경도의 표면을 갖고 있으며, 우수한 내찰상성 및 내마모성을 갖고 있고, 우수한 가요성 및 투명성을 갖고 있으며, 추가로 광학용 필름에 특히 적합한 하드코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양태 1에 관한 하드코트 필름은, 기재가 되는 플라스틱 필름과,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한 면 상에 적층된 하드코트층을 갖는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이 아크릴계 수지 필름이고, 상기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불소계 화합물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양태 2에 관한 하드코트 필름은 양태 1의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드코트 필름이다.
본 발명의 양태 3에 관한 하드코트 필름은 양태 1 또는 2의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0.1중량% 이상 5중량% 이하의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하드코트 필름이다.
본 발명의 양태 4에 관한 하드코트 필름은 양태 1 내지 3의 어느 하나의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2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의 이산화규소를 포함하고 있는 하드코트 필름이다.
본 발명의 양태 5에 관한 하드코트 필름은 양태 1 내지 4의 어느 하나의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의 두께가 1㎛ 이상 50㎛ 이하인 하드코트 필름이다.
양태 1에 관한 하드코트 필름에 의하면, 기재가 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또,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재 필름과 하드코트층의 밀착성이 좋으므로 이들의 계면에서의 박리 혹은 크랙이 생기기 어럽게 되어 있다. 즉, 이 하드코트 필름은 우수한 가요성을 갖고 있다. 게다가 이 하드코트 필름은 우수한 투명성, 높은 표면 경도, 우수한 내찰상성,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고 있다.
또한, 이 하드코트 필름의 하드코트층에서는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에 불소계 화합물의 첨가제를 함유시키고 있다. 이로써, 하드코트 필름이 휘었을 때라도 하드코트층에 크랙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즉, 이 하드코트 필름은 우수한 가요성을 갖고 있다. 게다가 불소계 화합물에 의하여, 하드코트층의 표면의 평활성이 향상한다. 이 때문에 하드코트층의 표면이 미끄러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이 표면이 흠지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이 하드코트 필름은 결과적으로 우수한 내찰상성 및 내마모성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코트 필름(본 하드코트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하드코트 필름은 기재가 되는 플라스틱 필름과 하드코트층을 갖고 있다. 하드코트층은 플라스틱 필름의 한면 혹은 양면에 적층되어 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 필름이다. 또, 하드코트층은 불소계 화합물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하드코트 필름은 기재(플라스틱 필름)로서,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이용하고 있다. 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표면 경도가 우수하고, 투명성, 가요성, 및 유연성을 겸비하고 있는 기재 필름이다. 그러므로, 본 하드코트 필름의 기재로서,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하드코트 필름을 예를 들면 광학용 필름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50㎛ 이상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가 50㎛ 미만이면 얻어지는 하드코트 필름 자체의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두께가 250㎛를 초과하면 하드코트 필름 자체의 가요성이나 투명성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아크릴계 수지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및 폴리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베이스로 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폴리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베이스로 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폴리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경질 수지에 공중합체 고무 성분, 공액 디엔계 중합체 고무, 알킬산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질 수지를 함유시킨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라도 된다. 연질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써, 필름의 유연성 및 인성이 향상한다. 또, 고무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수지와 다른 고분자 수지를 앨로이화함으로써 형성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하드코트 필름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PMMA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PMMA 수지가 높은 투명도를 갖고 있는 동시에 가볍고 강인하다는 것, 및 PMMA 수지가 무색 투명으로 유리보다 우수한 광 투과도를 갖고 있고, 우수한 내후성, 내수성 및 내충격성을 갖고 있는 것에 있다.
이하에 본 하드코트 필름에서의 하드코트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하드코트 필름의 하드코트층은 불소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이다.
이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표면에 광중합 반응성 관능기가 도입된 이산화규소(실리카) 초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다. 상기의 초미립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중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반응성 관능기로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로 대표되는 중합성 불포화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는 이들로 한정하지 않고, 적절한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 중에 분산되는 이산화규소(실리카) 초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0.00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의 평균 입자직경을 갖는 초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투명성 등의 광학 특성과 하드코트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층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효과를 보다 얻기 쉽게 하려면 0.001~0.01㎛의 평균 입자직경을 갖는 초미립자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투명성 등의 광학 특성과 하드코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 전체에 대한 이산화규소(실리카) 초미립자의 함유량을 2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산화규소(실리카) 초미립자의 함유량이 20중량% 미만인 경우, 표면의 강도를 충분히 높이지 못하는 것, 및 함유량이 80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표면이 투명하고 평활하게 되지 않는 것에 있다.
다음에,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에 포함되는 불소계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탄소-탄소 2중 결합을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함유 화합물이다.
이 불소계 화합물을 전술한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에 첨가함으로써 하드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가 형성된다. 이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하드코트층의 표면은 방오성, 특히 우수한 지문 부착 방지성을 구비한다. 나아가 하드코트층의 표면이 발수 발유성을 갖는 저마찰 표면이 된다. 그리고 하드코트층은 보다 높은 유연성 및 우수한 가요성을 갖게 된다.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와 불소계 화합물의 합계 중량에 대한 불소계 화합물의 첨가량은 용제를 제외한 유효 성분 비율에 의하여 나타내는 경우, 0.1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불소계 화합물의 첨가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하드코트 도포막의 인성이 얻어지지 않는 것, 및 불소계 화합물의 첨가량이 5.0중량%를 초과하면, 충분한 고경도를 갖는 도포막 표면이 얻어지지 않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이, 본 하드코트 필름의 하드코트층은 이하와 같이 형성된다. 즉, 전술한 불소계 화합물이 첨가된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를, 기재가 되는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도포한다. 이어서 이 수지층을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경화시킨다. 이로써, 하드코트층이 형성된다. 이때, 하드코트층에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자외선 경화성 수지 성분과 이산화규소(실리카) 초미립자의 광중합 반응성 관능기가 중합 반응을 일으킨다. 이로써, 이산화규소(실리카) 초미립자가 화학 결합에 의하여 유기 매트릭스 중에 균일 분산된 메시 형상의 가교막을 형성한다. 즉, 하드코트층 표면에 가교막에 강고하게 결합된 불소계 화합물의 막이 형성된다.
하드코트층의 막두께가 1㎛ 미만인 경우, 표면의 경도를 충분히 높이지 못한다. 한편, 하드코트층의 막두께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하드코트층의 가요성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하드코트층의 평균 막두께 1㎛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막두께를 얻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필름에 도포된 직후의 수지의 막두께(웨트막두께)를 대략 2~100㎛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플라스틱 필름(기재 필름)의 표면에 수지를 적층하는 방법(즉,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트법,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하드코트 필름의 제조에서는 적절히 바람직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광중합시키기 위한 자외선의 광원으로는 예를 들어,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하드코트 필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본 하드코트 필름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먼저, 실시예 1의 하드코트 필름의 하드코트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실시예 1의 수지 (도료)를 준비하였다. 이 실시예 1의 도료는 이하와 같은 배합 조성을 갖고 있다.
이 실시예 1의 도료에는 10.0중량부의 광중합 반응성 관능기가 도입된 이산화규소 (실리카) 초미립자를 아크릴계 수지에 배합한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하드코트 조성물(JSR 주식회사제, 옵스타 KZ6445, 고형분 50중량% 함유 용액), 첨가제로서의 0.8중량부의 불소계 화합물(다이킨 고오교 주식회사제, 옵툴 DAC-HP, 불소계 화합물 성분 20중량% 함유 용액), 및 희석 용제로서의 6.4중량부의 메틸에틸케톤이 배합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하드코트 필름의 플라스틱 필름은 두께 125㎛의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필름(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제, 테크놀로이 S001G)이다. 이 필름의 한쪽 면에 바 코트법에 의하여 경화 후의 막두께가 15㎛가 되도록 실시예 1의 도료를 도포했다. 용제가 건조한 후, 질소 퍼지하에서 고압 수은등에 의하여 440mJ/㎠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도포막을 경화했다. 이로써, 본 발명 실시예 1의 하드코트 필름이 제작되었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의 하드코트 필름의 하드코트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실시예 2의 수지(도료)를 준비하였다. 이 실시예 2의 도료는 이하와 같은 배합 조성을 갖고 있다.
이 실시예 2의 도료에는 10.0중량부의 광중합 반응성 관능기가 도입된 이산화규소 (실리카) 초미립자를 아크릴계 수지에 배합한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하드코트 조성물(모멘티브 퍼포먼스 마테리알즈 재팬 공동회사제, UVHC7000, 고형분 32중량% 함유 용액), 첨가제로서의 0.3중량부의 불소계 화합물(DIC 주식회사제, 메가팍 RS-75, 불소계 화합물 성분 40중량% 함유 용액), 및 희석 용제로서의 0.7중량부의 메틸에틸케톤이 배합되어 있다.
실시예 2의 하드코트 필름의 플라스틱 필름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두께 125㎛의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필름(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제, 테크놀로이 S001G)이다. 이 필름의 한쪽 면에 바 코트법에 의하여 경화 후의 막두께가 15㎛가 되도록 실시예 2의 도료를 도포했다. 용제가 건조한 후, 질소 퍼지하에서 고압 수은등에 의하여 440mJ/㎠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도포막을 경화했다. 이로써, 실시예 2의 하드코트 필름이 제작되었다.
<비교예 1>
비교를 위해서, 비교예 1의 하드코트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의 하드코트 필름과 실시예 1의 하드코트 필름에서는, 기재로서 이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이 서로 다르다. 비교예 1의 하드코트 필름에서는 기재가 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두께 125㎛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비교예 1의 하드코트 필름의 제작에서는 이 두께 125㎛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1의 도료를 도포했다. 용제가 건조한 후, 도포막을 경화했다. 이로써, 비교예 1의 하드코트 필름이 제작되었다.
<비교예 2>
또한, 비교를 위해서, 비교예 2의 하드코트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의 하드코트 필름과 실시예 1의 하드코트 필름에서는 하드코트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도료가 서로 다르다. 실시예 1의 도료와 달리, 비교예 2의 도료에는 불소계 화합물이 첨가되어 있지 않다.
즉, 비교예 2의 도료는 이하와 같은 배합 조성을 갖고 있다. 비교예 2의 도료에는 10.0중량부의 광중합 반응성 관능기가 도입된 이산화규소(실리카) 초미립자를 아크릴계 수지에 배합한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하드코트 조성물(JSR 주식회사제, 옵스타 KZ6445, 고형분 50중량% 함유 용액), 및 6.7중량부의 희석 용제로서의 메틸에틸케톤이 배합되어 있다.
비교예 2의 하드코트 필름의 플라스틱 필름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두께 125㎛의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필름(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제, 테크놀로이 S001G)이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이 필름의 한쪽 면에 비교예 2의 도료를 도포한 후, 도료를 건조 및 경화함으로써 비교예 2의 하드코트 필름이 제작되었다.
상기의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4종의 하드코트 필름에서의 연필경도 및 가요성을 평가하였다. 이들 평가 결과를 하드코트 필름의 시료 내용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또, 이들 평가는 다음과 같이 실시되었다.
연필경도의 평가는 JIS K5600-5-4에 준거하여 실행되었다. 경도가 상이한 복수의 연필을 45°의 각도로 하드코트 필름의 시료의 표면에 댄다. 그 후, 연필에 하중을 가하여 시료의 표면을 긁는 긁기 시험을 실행했다. 그리고, 표면에 흠집을 생기게 하지 않는 가장 단단한 연필의 경도를 그 시료의 연필 경도로 하였다.
가요성의 평가는 JIS K5600-5-1에 준거하여 원통형 맨드릴을 이용해서 실행하였다. 사용된 맨드릴의 직경은 32㎜였다. 각 하드코트 필름의 시료를 구부려 휘게 한 후, 시료에서의 크랙이나 박리의 유무를 관찰했다. 하드코트층에 크랙 또는 박리가 관찰되지 않은 것을 ○, 크랙 또는 박리의 발생이 관찰된 것을 ×로 하였다.
하드코트 필름의 시료 내용 평가 결과
기재 필름 도료 타입 불소계 화합물의 첨가 연필 경도 가요성
실시예 1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있음 5H
실시예 2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있음 5H
비교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있음 4H ×
비교예 2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없음 4H ×
(표 1)의 평가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하드코트 필름의 연필 경도는 모두 5H로 매우 단단했다. 즉, 이들의 하드코트 필름은 우수한 내찰상성 및 내마모성을 갖고 있다. 또, 이들의 하드코트 필름에서는 필름이 휘었을 때에도 하드코트층에 크랙 혹은 박리가 생기지 않는다. 즉, 이들 하드코트 필름은 우수한 가요성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하드코트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 등의 보호막으로서 이용되는 광학용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우수한 실용성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하드코트 필름은 기재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드코트 필름에서는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피막인 하드코트층과 기재 필름과의 밀착성이 나쁘다. 이 때문에 필름이 휘었을 때에 하드코트층과 기재 필름과의 계면에서 박리 혹은 크랙이 발생했다. 즉, 이 하드코트 필름은 떨어진 가요성을 갖고 있다.
또한, 비교예 2의 하드코트 필름은 불소계 화합물이 첨가되지 않은 도료로 형성된 하드코트층을 갖고 있다. 이 하드코트 필름의 하드코트층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하드코트층을 비교하여, 낮은 유연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비교예 2의 하드코트 필름에서는 32㎜ 직경의 맨드릴에 의하여 필름을 구부려 휘었을 때에 하드코트층에 크랙이 발생했다. 즉, 비교예 2의 하드코트 필름은 떨어진 가요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하드코트 필름의 연필 경도는 모두 4H이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2보다 부드럽다. 즉,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하드코트 필름에 대한 평가에서는 광학용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바람직한 연필 경도(충분한 연필 경도)가 얻어지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본 하드코트 필름에서는 기재가 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하드코트층의 재료로서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이로써, 본 하드코트 필름에서는 기재 필름과 하드코트층과의 밀착성이 좋으므로 이들의 계면에서의 박리 혹은 크랙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즉, 본 하드코트 필름은 우수한 가요성을 갖고 있다. 또한, 본 하드코트 필름은 우수한 투명성, 높은 표면 경도, 우수한 내찰상성,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고 있다.
또한, 본 하드코트 필름의 하드코트층에서는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에 불소계 화합물의 첨가제를 함유시키고 있다. 이로써, 필름이 휘었을 때에도 하드코트층에 크랙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즉, 본 하드코트 필름은 우수한 가요성을 갖고 있다. 또한, 불소계 화합물에 의하여 하드코트층의 표면의 평활성이 향상한다. 이 때문에 하드코트층의 표면이 미끄러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이 표면이 흠지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본 하드코트 필름은 더욱 우수한 내찰상성 및 내마모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하드코트 필름은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동시에 우수한 가요성, 및 충분한 연필 경도를 갖는다. 즉, 이 하드코트 필름은 우수한 내찰상성 및 내마모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이 하드코트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 등의 보호막으로서 종래 이용되고 있는 광학용 유리의 대체품으로서 사용되는 광학용 필름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Claims (10)

  1. 기재가 되는 플라스틱 필름과,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상에 적층된 하드코트층을 갖는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이 아크릴계 수지 필름이고,
    상기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불소계 화합물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하드코트 필름.
  2. 제 1 항에 기재된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0.1중량% 이상 5중량% 이하의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하드코트 필름.
  3. 제 1 항에 기재된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2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의 이산화규소를 포함하고 있는 하드코트 필름.
  4. 제 1 항에 기재된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표면에 광중합 반응성 관능기가 도입된 이산화규소의 초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하드코트 필름.
  5. 제 1 항에 기재된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의 두께가 1㎛ 이상 50㎛ 이하인 하드코트 필름.
  6. 제 1 항에 기재된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폴리메타크릴산 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드코트 필름.
  7. 제 6 항에 기재된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0.1중량% 이상 5중량% 이하의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하드코트 필름.
  8. 제 6 항에 기재된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2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의 이산화규소를 포함하고 있는 하드코트 필름.
  9. 제 6 항에 기재된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표면에 광중합 반응성 관능기가 도입된 이산화규소의 초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하드코트 필름.
  10. 제 6 항에 기재된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의 두께가 1㎛ 이상 50㎛ 이하인 하드코트 필름.
KR1020110092850A 2011-06-03 2011-09-15 하드코트 필름 KR201201349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4777 2011-06-03
JP2011124777A JP5680486B2 (ja) 2011-06-03 2011-06-03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990A true KR20120134990A (ko) 2012-12-12

Family

ID=4723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850A KR20120134990A (ko) 2011-06-03 2011-09-15 하드코트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80486B2 (ko)
KR (1) KR20120134990A (ko)
CN (1) CN102806736B (ko)
TW (1) TWI5685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6795B1 (ja) 2013-03-04 2014-12-24 パナ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成型品の製造方法、成型品、及び積層フィルム
JP6071108B2 (ja) * 2013-03-13 2017-02-01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光硬化型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て得られる光学用フィルム
EP3865301A1 (en) 2015-03-18 2021-08-18 Riken Technos Corporation Hard coat laminated film
WO2016147776A1 (ja) 2015-03-18 2016-09-22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WO2016147733A1 (ja) 2015-03-18 2016-09-22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EP3272518B1 (en) 2015-03-18 2022-05-11 Riken Technos Corporation Hard coat laminat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1433651B2 (en) 2015-03-18 2022-09-06 Riken Technos Corporation Hard coat laminated film
CN107405859B (zh) 2015-03-18 2020-04-17 理研科技株式会社 成型体
CN107405897B (zh) 2015-03-18 2020-08-07 理研科技株式会社 粘合膜
US10391750B2 (en) 2015-09-03 2019-08-27 Dongwoo Fine-Chem Co., Ltd. Cover window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618098B (zh) * 2015-11-24 2018-03-11 Konica Minolta Inc Touch panel sensor film
US11774166B2 (en) 2015-11-25 2023-10-03 Riken Technos Corporation Door body
JP6599789B2 (ja) * 2015-11-25 2019-10-30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TWI745316B (zh) 2015-11-25 2021-11-11 日商理研科技股份有限公司 門體
JP6644534B2 (ja) 2015-12-08 2020-02-12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EP3513970B1 (en) 2016-09-14 2023-05-03 Riken Technos Corporation Hard coat laminated film
JP7064313B2 (ja) 2016-11-25 2022-05-10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JP7087466B2 (ja) * 2018-03-07 2022-06-2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樹脂積層体及び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
CN114437616B (zh) * 2022-03-17 2022-11-08 惠州市日大实业有限公司 抗指纹高固低粘耐磨仿陶瓷光固化涂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534A (ja) * 2001-05-25 2002-12-04 Nippon Arc Co Ltd ハードコート組成物およびハードコート製品
JP4731743B2 (ja) * 2001-07-03 2011-07-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耐摩耗性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4224227B2 (ja) * 2001-07-27 2009-02-1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帯電防止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397023B2 (ja) * 2003-11-14 2010-01-13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および物品
JP2006052260A (ja) * 2004-08-10 2006-02-23 Lintec Corp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製造方法および光記録媒体
JP2007140229A (ja) * 2005-11-21 2007-06-07 Nippon Zeon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200740897A (en) * 2006-02-22 2007-11-01 Kimoto Kk Film with antistatic hard coating
KR20070094184A (ko) * 2006-03-16 2007-09-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장치
WO2009041533A1 (ja) * 2007-09-26 2009-04-02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oration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68588B (zh) 2017-02-01
JP5680486B2 (ja) 2015-03-04
JP2012250438A (ja) 2012-12-20
CN102806736A (zh) 2012-12-05
CN102806736B (zh) 2016-05-25
TW201249652A (en) 201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4990A (ko) 하드코트 필름
TWI527859B (zh) 硬塗膜
JP4746863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材料及び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958609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06000A (ko) 윤활용이성 안티블록킹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기재상에 피복 경화한 안티블록킹성 구조체 및 그 제법
KR101664735B1 (ko) 지문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문방지 하드코팅 필름
KR20130018475A (ko) 적층체
JP6245705B2 (ja) ハードコート膜形成用組成物、硬化膜、及び帯電防止性物品
JP2009287017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KR101880759B1 (ko) 광경화성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JP2019167489A (ja) 光硬化樹脂組成物および自己修復フィルム
WO2014208749A1 (ja) 紫外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樹脂組成物
TW202045553A (zh) 可撓性的硬膜用硬化性組成物
WO2019146622A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28542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01457A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810431B (zh) 可撓性硬塗覆用硬化性組成物
JP2012068398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6965582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該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及び該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JP2019128543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307810B2 (ja) 低摩擦フィルム
JP6561726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795275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もしくは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9128544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TW202045552A (zh) 防眩性可撓硬塗覆用硬化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