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402A - 높은 당과 알콜 함유량 발효를 얻을 수 있는 효모의 포도밭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당과 알콜 함유량 발효를 얻을 수 있는 효모의 포도밭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402A
KR20120112402A KR1020127012582A KR20127012582A KR20120112402A KR 20120112402 A KR20120112402 A KR 20120112402A KR 1020127012582 A KR1020127012582 A KR 1020127012582A KR 20127012582 A KR20127012582 A KR 20127012582A KR 20120112402 A KR20120112402 A KR 20120112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st
fermentation
wild
yeasts
su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구엘 지저스 마르케즈 사우킬로
주앙 페드로 나바로 아비노
Original Assignee
보데가스 다곤 에스.엘.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데가스 다곤 에스.엘.앤.이. filed Critical 보데가스 다곤 에스.엘.앤.이.
Publication of KR20120112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2/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special kinds of beer
    • C12C12/002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special kinds of beer using special microorganisms
    • C12C12/006Yea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2Cultivation of hops or v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1/00Preparation of wine or sparkling wine
    • C12G1/02Preparation of must from grapes; Must treatment and fermentation
    • C12G1/0203Preparation of must from grapes; Must treatment and fermentation by microbiological or enzymat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0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2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by distill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저항성 있는 포도밭의 재배 방법은 자연 줄기를 가진 토착 포도와, 기타 영양소가 없는 국부적인 잔디/잡초로 이루어진 비료와, 가을의 수확물을 선택한다.
발효 방법은 통의 20~25%인 압착 포도를 기반으로 하며, 야생 효모가 이로부터 생산되고, 초기 상태에서 3.5~6% 체적의 알콜이 매 7~15일마다 그 후에 쌓아 올려 얻어지며; 전체 첨가된 당은 단계적인 발효를 겪는다.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그리고 황색 효모(3)의 3가지 다른 효모를 얻는다.
상기 효모는 체적/체적 60%에 이르는 알콜 함유량을 가지는 생산품인, 사이다, 맥주, 꼬냑, 럼주, 보드카 등과 같은 고 품질 음료를 직접적으로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발효는 또한 자당, 당밀, 탄수화물 가수분해 결과의 당, 그리고 다양한 식물 재료의 고농축액과 일어난다.
빵, 패스트리와 제품으로부터 나온 품질의 생산물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높은 당과 알콜 함유량 발효를 얻을 수 있는 효모의 포도밭 재배 방법{Vineyard culture method enabling the yeast thereof to be obtained for high sugar and alcohol content fermentation}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깊고 강한 뿌리를 개발하여 기상 및/또는 기후 거칠기(climatic roughness)에 강한 포도원 재배 방법의 개발에 관련된 것이다.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자생 포도 효모는 높은 알코올 도수의 와인을 얻기 위한 방법뿐만 아니라 지역을 기억하고, 감각을 자극하는 특성을 가진 완전한 발효 방법의 개발과 관련된 것이다.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자당 솔루션(sucrose solutions), 상업 설탕(commercial sugar), 사탕수수 당밀(sugar cane molasses), 사탕무의 당밀(beet molasses), 식물성 물질로부터 설탕의 전분 가수 분해 및 발효에서 설탕의 발효에서 높은 농도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의 설탕을 발효시킬 자생 포도 효모를 구하여 사용하는 방법의 개발과 관련이 있다.
와인을 정교하게 만드는 동안 효모는 포도즙에서 모든 설탕을 완전히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높은 도수의 알코올은, 일반적으로 14%까지 또는 더 높지 않게, 최종적이고 향이 좋은 구조를 제공한다.
실제로 포도의 발효는 야생 효모, 주사 효모(inoculated yeasts) 또는 두 절차를 적용하여 될 수 있다.
발효작용의 원인이 되는 야생 효모는 자연적으로 "pruina"라는 포도 껍질(일반적으로 포도의 껍질(vitis vinifera I.)을 다루는 품질이 우수한 백색 분말 층에서 발견된다.
특정 재배된 효모 종자는 특정 과일 향기, 높은 알코올 도수, 적합한 조직의 nose, 그리고 저온 혹은 상대적으로 낮은 산도, 등 발효되기 좋은 다른 특성에서 산출된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와인 저장실은 설탕을 알코올로 바꾸기 위해서 전체 알코올 발효작용에서 추천되는 최고의 효모 종 Saccharomyces cerevisiae인 특정 선택된 효모를 사용한다.
매우 확산되지는 않았지만 야생 혹은 고유의 효모를 통한 발효는 전통적으로 야생 효모로 좋은 결과를 얻은 일부 유럽의 와인 만드는 사람들(winemakers)에 의해 주로 수행되고 있다.
또한, 캘리포니아의 와인 만드는 사람들도 매우 유리한 결과와 함께 자연 발효를 구현하기 시작했다.
포도주 양조기(vintage)동안 포도는 감염의 위험이 계속되는 효모를 포함한 수천개의 미생물을 가진다.
야생 효모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는 알코올에 대한 낮은 저항과 감염에 대한 저항 부족이다.
그러나 야생 효모의 많은 종류가 9% vol. 알코올 농도에 도달하면, 낮은 면역 시스템과 다른 문제들 사이에 많은 양의 잔류를 원하지 않는 설탕은 발효를 막고 점성이 없는 와인이 만들어진다.
발효에 야생 효모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유기체가 빠르게 발달하는 다른 미생물의 감염에 노출되어 남아 있거나 산화되어 콜로니(colonies)를 확립하기 위해 야생 효모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 부가적인 어려움이다; 게다가, 일단 발효작용이 시작되면, 만족한 결과의 보증이 없이 길고 느린 과정이다.
와인에 야생 효모에 의해 생긴 예측할 수 없는 향기와 에스테르가 또 다른 문제이다; 그러나, 선택되거나 상업적 실험실 효모는 와인 만드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대로 맛과 향기의 달성이 가능하다.
포도의 껍질과 접촉 시간이 더 많을수록 발효를 시작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리며, 그에 따라 바디, 특성의 깊이(depth of character), 빛깔 그리고 과일 풍미(즉, 와인 산업보다 더 많은 변수이다)는 더 바뀌고, 이는 야생 효모의 사용과 관련된 장점이다.
야생 효모에 의해 전달되는 많은 예측할 수 없는 향기와 에스테르는 와인에 흥미있는 정교한 성질을 부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복합의 풍미, 좋은 향기 그리고 매우 좋은 알코올 와인이 제공된다.
포도 수확(vintage)에 영향을 주는 방법은 관개를 통해 사용할 수 있지만; 설탕의 농도가 감소하여 희석되기 때문에 와인의 알코올 도수와 관련된다.
관개한 경우와 관개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할 때, 포도 덩굴에 관개했던 와인에서 페놀 화합물과 착색제(colorants)의 강도가 감소한 것을 관찰했을 때 생산이 증가한다.
포도 덩굴에 관개한 포도에서 말산(malic acid)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성숙할 때 물의 효과는 열매가 물에 의해 희석되어 농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최종 와인의 성분과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선행 기술로 야생 효모가 복합적인 것에 의해 설탕의 발효성 당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발효 과정 동안, 그 중 기존의 상호관계 및 개입 변수의 특성 때문에 야생 효모가 복합물이므로 와인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깊이있는 요인에 대한 탐구가 몇 개 있다.
문서 FR 2.844.275는:
- 인력을 이용해 나무로 된 통(casks)에 포도를 옮기는 단계,
- 통에 가득 채우기 위해 진동 작용을 사용하는 단계,
- 주기적인 진동 등 이러한 통의 포도 발효를 제어하는 단계,
- 동일한 발효 통에서 말로락틱(malo-lactic) 와인 발효와 와인을 보존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야생 효모와 천연 와인 발효 과정.
그것은 바꾸기 위해 펌프 또는 탱크를 사용하지 않고, 배럴을 이용한다.
특허 WO 2004.029.193은 적어도 하나의 esterase(에스테라아제) 효소와 사용하는 발효와 발효에서 미생물의 접촉을 포함하는 발효 단계로 구성된 발효 제품의 생산 방법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리파아제(lipase), 피타아제(phitase), 포스폴리파아제(phospholipase),그리고 큐티나아제(cutinase)이다.
그러나 선행 기술에는 전체 당을 발효시켜 야생 효모 종자의 달성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포도원 재배에 대한 언급이 없다.
전체 당을 발효시켜 야생 효모를 얻는 방법과 와인 감염을 극복하기 위한 효모를 얻는 방법이 실제적인 관심사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본 발명은 깊고 강인한 뿌리들의 개발을 통하여 기상학적 및 기후학적 어려움에 대처하고 있는 포도원의 배양법, 와인발효 공법 개발을 위해 야생 효소들을 이용하는 배양법 그리고 설탕을 알코올로 완전히 변환시키기 위하여 이들 야생 효소들을 포도 주스 내에서 배양 및 증식시켜서 현재까지 실행되고 있는 발효에 의해 얻어지는 것보다 훨씬 우수한 고농도의 알코올들 얻는 완전한 발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연 배양법은 포도덩굴 선택에서부터 포도덩굴이 스스로 그리고 자체적인 효소에 의해 과실을 맺고 생산하도록, 완전히 자연적인 와인을 얻는 것에 관여하고 있다.
식물이 자연적으로 강력해지고스스로 토양에 적응한다하더라도 인간의 간섭은 토양의 준비, 비료의 추가 없이 상황에 맞도록 토양에 유기물로서 묻히는 허브의 경작에 집중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수확이 지연될 수 있는 연도를 통하여, 고당도의 포도를 획득하는 것 그리고 최근에는 질 및 생산 증가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으면서도 이를 어느 정도 앞당기는 것이 가능해 지고 있기는 하지만, 일월과 이월에도 수확하는 것이 확인된다.
보다 빠르게 배양할 수 있고,발효 과정에서 우수하도록 즉, 개체수 및 강도에 있어서 존재할 수 있는 다른 효소들에 아랑곳없이 우월하도록 유전적으로 추가적으로 처리하는 일연의 과정들로부터 효소가 얻어질 때까지 덩굴 선택 순간부터 시작한다.
그 방법은 포도 덩굴 선택의 바로 그 순간부터 이들 종(strains)들로부터 효소가 얻어질 때까지 더 빠르게 배양되고 발효 공정에 있어서 우수하게 되도록, 즉, 혹시 나타날지도 모르는 다른 효소들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수량과 힘에 있어서 우수하게 발생하도록 하는 것 게다가, 야생 혹은 토종 효소들을 통하여 얻어지지 않는 고정도의 알코올 발효에 존재하는 실제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과실의 영양(reminiscences)뿐만 아니라 포도덩굴이 경작된 토양과 환경들까지도 장수(longevity), 향기 그리고 맛으로 만드는 특질과 매우 좋은 알코올을 가지는 와인을 얻도록 설탕의 완전한 발효를 달성하는 것이 그들의 케이스에서 보다 더 발생학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시작한다.
자연 농법의 주요한 단계들
- 접붙이기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다양한 자생 포도 덩굴을 선택하기
- 상기 포도덩굴들에 토양의 자체 유기 물질로부터 얻어지는 퇴비를 시비하기
- 지연된 양태로 포도를 수확하기
- 토양 자체의 영양분 이외의 다른 영양분을 주지 않기
야생 포도의 효소들을 이용하는 완전한 발효 방법은 그의 자극에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는 토양에 대하여 반추하며 그리고 보다 중요하게 포도에 포함된 당분 전체를 완전하게 발효시킨다.
완전한 발효 방법은 오직 포도 자신의 야생효소를 통하여만 발효하고 추가적인 어떠한 형태의 효소도 채용하지 않는다. 즉 발효는 자연 농법에 의해 키워진 포도로부터 얻어지는 효소들에 의해서만 달성된다.
토양을 반추하는 특성을 가지는 이들 포도 자신의 야생 효소들은 고농도의 알코올조차도 발효할 수 있다.
맛의 증진과 표준화, 향기 그리고 꽃다발(bouquet)이 일어났던 와인 저장실들에는 포도에 의하여 산출된 야생효소의 진화의 증거가 있다. 알코올이 그것의 특성이 안정화였던 2004년까지 언제나 훨씬 더 좋았기 때문에, 그 이후의 생산은 와인은 특성에 대하여 보다 정규의 것이다. 더군다나, 야생 포도의 효소들을 이용한 철저한 발효 방법은 보다 우수한 알코올 성분을 가지는 표도 주스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꼬냑 등과 같은 알코올 음료의 직접적 획득을 허용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현재 사탕수수 또는 사탕무우 주스와 같은 원료품의 발효를 통한 바이오-에탄올(bio-ethanol)의 산업적 생산에 의해 얻어지는 현존하는 것들과 비교할 때,
보다 효과적인 에너지 등급을 가지는 바이오-에탄올 산업적 생산하는 조건을 창조한다.
철저한 발효작용 방법의 중요한 특징적 단계들
- 압착된 포도를 포함하는 야생 포도 주스 통의 형성
- 상술한 용량의 20에서 25 %를 초과하는 5,000 리터 능력 이하의 큰 통들에서의 발효작용,
- 알코올의 용량이 3,5에서 6 %을 이루는 얻어진 야생의 자생적인 효모들의 재생
- 7일에서 15일마다의 추가적인 토핑업(topping ups)
- 동일한 효소들을 이용한 단계적 발효, 이어지는 단계에서 발효를 획득하고, 각각의 단계에서 알코올 퍼센티지가 증가를 얻고, 모든 설탕이 발효되어 14 내지 21%의 최종 알코올 등급의 와인를 얻을 때까지.
도 1은 17.7 % 에탄올의 포함하는 통의 침전과 18.2 % 알코올 함유량의 두 번째 통의 침전, 둘다 YPD 매체의 판에 씨앗을 품은 (효모 추출 - 펩톤 - 덱스트로오스(Dextrose)) 것에 해당한다.
도 2는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황색 효모(3) YPD 매체의 시딩(seeding)을 보여준다.
도 3은 YPD 매체에서 2008년 빈티지의 포도 발효 탱크 침전물 탱크와 다른 하단 부분의 느리게 성장 효모에 속해 있는 실같은 균 샘플이 있다.
도 4는 동일하게 YPD 매체에서 2008년 빈티지에 해당되는 포도 발효 탱크 침전물 탱크와 다른 하단 부분의 느리게 성장 효모에 속해 있는 실같은 균 샘플이 있으며, 백색 효모는 많이 있고, 황색 효모는 적게 있는 실같은 균을 인식한다.
도 5a 및 5b 오른쪽 열은 에탄올 수준의 증가를 겪고 포도당이 없는 YPD 매체이다.왼쪽 열은 1 %의 포도당을 포함하는 YPD 매체의 번호판을 보여줍니다.사진의 왼편에서 글은 각 판의 에탄올 비율을 나타냅니다. 모든 판은 세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각 지역에서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황색 효모(3) 계통의 각 각 해당 영역을 퍼뜨리고 세 영역으로 나뉘어진다.
도 6은 높은 에타놀 수준에서의 1%의 포도당과 YPD 매체안에서 백색 효모(1)과, 느린 성장 효모(2)와 황색 효모(3)의 세 효모종자의 동작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모든 판은 각 종자의 각 지역 에서 씨를 뿌리는 3개의 지역으로 나뉘어 진다.
도 7은 분리된 백색 효모가 뿌려지는(seeding)의 현미경 관찰 형태를 보여준다.
도 8 은 고급 성장 후 분리된 백색 효모가 뿌려지는 현미경 관찰 형태를 보여준다.
도 9는 분리된 느린 성장 효모가 뿌려지는 현미경 관찰에 해당한다.
도 10은 몇몇 균사 - 균류의 대다수에 발효작용 필요한 것에서 독특한 원통 모양 실같은 성분 -가, 분석될 것인 얻어지는 동일한 도 4 판에 대응한다.
도 11은 머리를 포함한, 전체 균사(hypha)의 하나를 보여준다.
도 12는 도11의 균사머리 확대를 관찰한것으로 작은 세포들로 구성되어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3은 도12에서 관찰된 작은 세포들의 확대이다.
도 14는 거품이 있는 플라스크(flask) 사진으로, 상기 거품은 60% 상업적인 설탕 (자당)를 가진 매체에 있는 발효의 샘플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로 인한 것이다.
도 15 은 거품이 있는 플라스크(flask) 사진으로, 상기 거품은 70%의 상업적인 설탕 (자당)를 가진 매체에 있는 발효의 샘플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로 인한 것이다.
도 16 은 거품이 있는 플라스크(flask) 사진으로, 상기 거품은 12.2 %의 자당을 함량한 사탕무당밀의 발효의 샘플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로 인한 것이다.
도 17은은 거품이 있는 플라스크(flask) 사진으로, 상기 거품은 40 %의 자당을 함량한 순수 사탕수수 당밀의 발효의 샘플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로 인한 것이다.
도 18은 거품이 있는 플라스크(flask) 사진으로, 상기 거품은 12.2%의 자당을 함량한 사탕무 당밀의 발효의 샘플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로 인한 것이다.
도 19는 거품이 있는 플라스크(flask) 사진으로, 상기 거품은 18.4%의 자당을 함량한 사탕무 당밀의 발효의 샘플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로 인한 것이다.
도 20은 거품이 있는 플라스크(flask) 사진으로, 상기 거품은 42.7%의 자당을 함량한 사탕무 당밀의 발효의 샘플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로 인한 것이다.
도 21은 거품이 있는 플라스크(flask) 사진으로, 상기 거품은 20%의 전분 농도를 가진 전분에서 설탕의 발효작용에 있는 샘플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로 인한 것이다.
도 22는 거품이 있는 플라스크(flask) 사진으로, 상기 거품은 40%의 전분 농도를 가진 전분에서 설탕의 발효작용에 있는 샘플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로 인한 것이다.
도 23은 거품이 있는 플라스크(flask) 사진으로, 상기 거품은 40%의 전분 농도를 가진 전분에서 설탕의 발효작용에 있는 샘플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로 인한 것이다.
도 24는 거품이 있는 플라스크(flask) 사진으로, 상기 거품은 식물성 물질로부터 설탕의 발효작용에 있는 샘플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로 인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성 포도 재배방법(Resistant vineyard culture method)
a) 재배조건:
1989년에 Bobal, Crujidera, 로얄 및 Tardana 자생포도덩굴을 선택하여 시작하였다. 초창기 농업은 완전히 자연적이었기 때문에, 포도덩굴이 심어진 곳에서 토양의 허브로 만든 퇴비를 제외하고 화학제품 또는 유기비료는 쓰이지 않았다
발명의 이전의 목적은, 내성 포도 재배방법으로 구성된 내성 포도덩굴의 성과에 스스로 자립하고 토양의 토양의 영양소에 의존 하지 않게 함으로써 깊고 강한 뿌리를 개발하는 것을 발명의 첫 번째 목적에 해당한다. 따라서, 포도는 경작된 곳의 토양의 맛과 향의 추억을 얻는다. 지역의 강우강도가 500 l/m² 이하의 대륙성건조 기후(강우량 300~500mm 사이)의 전형이었지만 아무 관계가 없었다. 이것은 또한 포도의 껍질에 존재하는 효모의 기후 조건에 적응을 가능하게 한 재배유형을 위한 발명품의 첫번째 목표에 대응한다,
b)포도의 수확 연대기와 특성:
- 1990년대: 포도는 주로 재배방법에 완벽히~ 이 포도 덩굴은 남쪽으로 직면하고 미기후에 위치하고 있으며, 두 개의 작은 숲이 양쪽에 같이있는 지형에 의해 확장되었습니다.
- 1996년과 1998년대: 포도덩굴은 매년 너 나은 생산품질 획득하였고, 6, 7 년간 다른 풍미 와 향기의 포도 생산을 시작했다.
발명의 두 번째 목적에 해당하는 와인은 최근 수집된 포도로 만들어 졌다.
(완전히 자연적인 방법으로 14도에서 16도 사이의 높은 알콜 등급을 이루는
오직 야생의 효모에 의존하는 매우 뛰어난 일반화된 의견 야생효모가 거의 생존하지 않고 고 알콜 함유량과 매체가 개발하는)
또한 그들은 좀더 알콜을 얻기위해 새로운 풍토에 길들이게 하지 않았지만, 1998년 그들은 향기를 바꾸었다. 이것은 효모는 매우 민감한 생명체로 알려져 있으며 그것은 그들이 이 높은 알콜 눈금에 점차적으로 풍토에 순화시키고 있다는 것을 보인다.
- 2002년대: 발명의 첫 번째 목적에 따르면, 최초의 상업적인 수확은 안개의 때에, 특히 가을 강우 후에 늦은 포도수확을 통해서 수집되었다. 발명에 따르면 9월에 비가올 때 포도를 살찌게 하는데; 가을 강우는 자신의 축적를 방해하는 포토껍질을 두껍게 하므로써 여기에 서 나타난 발명의 두 번째 목표의 효모; 발효방법을 통한 야생 효모, 상기효모의 발명은 혁신적인 설탕발효과정에서 더 개입했다.
실시예 2. 야생효모를 통한 발효방법
발명의 두 번째 목적에 따르면 와인이 얻어진다.
- 포도덩굴의 야생이나 자연적인 효모를 재생산 하기 위해, 상기 양의 20~25%이상 또는 이에 상응하는 비율관계를통해 , 5,000리터 이하의 큰통에 손질한 야생 포도 한통과 압축된 포도.
- 발효기간: 15~20일은 알콜의 3.5~6%의 양에 달성.
- 이 야생포도 한통에서, 알콜눈금이 증가하고 모든 설탕이 발효될 때 까지 점차적인 발효를 수행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효모에 기여하면, 충분히7일 에서 15일에 15~20%의 함유량이 늘어난다. 그리고
- 16~19% 알콜 양 사이의 최종 알콜 등급을 달성한다.
2.1 2002년부터 생산: 2002년과 2003년의 주스는 15.5%알콜로, 2004년에는 15.5와18.98% 양 사이의 알콜 농도를 얻어 생산되어 졌다.
이런 방식으로 포도주는 몸과 아주 좋은 알콜로 얻어져, 따라서 때 맞추어 그리고 아주 좋은 풍미를 가진 그것의 질을, 환경 및 토양을 추억에 잠겨서 확신해서, 에 의하여 에서 및 온 과일을 추억에 잠기는 방향을 말해 거치된 주스에 있는 더 중대한 질을 얻는 포도 덩굴 (70 년을 가진 오래된 포도원)의 근속기간 때문에 독특한 꽃다발 및 개성을 얻는
2.2 토종의 야생효모의 특성
토종의 야생효모를 얻기위한 방법(Method to obtain autochthonous wild yeasts) 발명의 세 번째 목적에 따라 발명의 두 번쩨 목적에 해당하는 생산된 와인의 대표적인 샘플을 추출하여 효모의 발효일으키는 효모를 실험실 연구를 받게 되었다.
샘플 : 2004년에 만들어진 와인에 속한 샘플을 수집한 결과:
- 17.7%에서 17% 알코올 양의 에탄올 함량이 있는 한통의 침전물 샘플.
- 18.2%에서, 18.2%의 알코올을 함유한 다른 한통의 침전물 샘플.
판에 있는 샘플 연구:
1-샘플은 YPD를 포함한 판에 뿌려졌다. 도 1은 세종류의 다른 집단에서 관찰되어 그안에서 얻어진 결과의 예를 보여준다.
2-효모의 세가지유형의 샘플은 YPD매체안의 새로운 판 안에 가져다 지고 뿌려져, 그것들은 많은 양으로 자랄수 있고 더 차별화 될수도 있었으며, 도2를 참조하라.
이 도 2에 있는 효모에는 각각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어,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와 황색 효모(3)을 구별 한다.
3-효모가 완벽하게 정의하고 차별되어 성장 능력이 결정되었다. 효모의 각 유형의 동일 분량은 가지고 가고 새로운 YPD 판에서 씨를 뿌려 소위 느린 성장 효모를 확인하는 것은 실제로 다른 둘 보다는 더 늦은 속도로 성장했다.
4-통이 아닌 2008년에 만들어진 와인과 발효 탱크로부터 새로운 샘플을 가져왔다.
- 탱크의 바닥부분의 액체에서 샘플을 가져왔다.
- 상기 발효탱크에 있는 침전의 다른샘플을 가져왔다.
두 개의 샘플은 도 3에 표시된 일부 실같은 균사(fungi)의 YPD매체 관찰 발생에 있는 두 개의 판에 뿌려졌고,더 나은 보기는 도4에서 화살표와 함께, 가정상 느린 성장 효모(2)에 오는
발효과정에서 통에서 얻어진 효모 형태에 더 진화하여 실같은 균류의 형태가 발견된다.
판에는 풍부한 백색 효모(1) 뿐만 아니라 보다 작은 양의 황색 효모 3도 있었다.
2.3 다른 에탄올 농도에 분리된 효모의 테스트
a.- 상기 세가지 효모를 글리세린으로 처리하여 뿌리기-다른 에탄올에서 효모의 성장과 포도당 농도.
세가지 효모 각각의 글리세린 처리는 다른 에탄올 레벨과 매체에서 그들의 발달 기능을 보기위하여 실행되고 퍼뜨려 졌다.
매체의 두가지 유형은 포도당(1%)을 가진 하나와 포도당이 없는 또다른 하나가 준비되었다.
초과 상기 YPD매체의 에탄올 유동화의 높은 농도 때문에 에탄올과 YPD매체의 실패한 준비 목적 후에 적절한 절차가 진행 되었다. 상기 매체는 더추가되는 에탄올의 양에 따라 세균배양액의 양을 증가시켜서 고형화 했다. 상기 효모는 판들에 퍼져있고, 모든 판의 효모는 같은 양을 세심하게 뿌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라
1.- 백색 효모는 모든 에타놀 농도와 포도당 (1%)을 가진 매체에서 또는 매체의 큰 양에서 포도당 없이 적합하게 성장한다, 왜냐하면 펩톤 및 효모 추출물 모두 뿐만 아니라 먹이는 근원으로 YPD 매체의 분대 에타놀의 탄소를 이용할 수 있다.
2.- 황색 효모는 매체가 들어있는 포도당 여부에 따라 다른 형태를 제공합니다. 포도당매체에서 그것은 큰 집단에서 자라거나 포도당없이 작은집단에서 자라지만 훨씬더 다양한 상기 집단;두 경우에 에탄올의 비율을 증가시켜 얻은 효모 양의 감소를 생산.
3- 황색 효모 뿐만 아니라 느린 성장 효모 또한 매체가 들어있는 포도당의 여부에 따라 다른방식으로 성장한다.이러한 경우,동작은 황색효소와 반대로, 따라서
b. 높은 에탄올 농도에서 효모의 성장
추가적인 테스트에서 에타놀 농도는 효모의 각 유형에 의해 저항된 에타놀 한계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증가되었다. 이 테스트는 추가될 에타놀 양이 다소 높았고 매체에는 응고의 문제가 있을수 있었기 때문에 문제를 제기하여,그래서 2%에서 3%까지 매체에 있는 세균배양액의 농도를 증가하기 위해 결정했다. 매체에서 사용된 포도당 양은 1%이었다.
획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백색 효모는 에탄올에서 크게 성장했다. 농도간의 차이는 효모의 성장속도 였다. 높은 농도의 경우, 성장속도가 작아서 효모가 성장하기 위해 더 많은 날이 걸리지만 성장한 효모의 양은 모든 판에서 매우 유사하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 황색 효모는 모든 판에서 자랐지만 성장은 작았고, 어떤 판에서는 전혀 성장하지 않은 경우 효모를 관찰하는 것이 힘들다. 그러므로, 더 큰 성장은 25와 40%를 에탄올 양을 가진 판에서 관찰되었다.
- 느린 성장 효모의 성장은 25%양의 농도에 대한 집단의 수많은 성장과 높은 에탄올 농도를 위해서 어떠한 성장을 실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결론으로서 예비 방법으로, 느린 성장 효모는 25% 이상의 에탄올 농도 조건을 저항하지 않으며, 백색 효모가 매우 높은 에탄올 농도에서 저항하는 사이, 황색 효모에 관해서는 아주 작은 양만 성장하고, 모든 에탄올 농도에서 성장하기 매우 어렵다.
c.- 더 높은 에탄올 레벨에서의 효모 테스트
판들의 테스트 에탄올 레벨은 40%, 45%, 50% 및 60%의 양.
결과를 얻었다. (도 6참조)
- 백색 효모는 그 레벨에서는 에탄올의 독성에 의한 영향을 받을수 있기 때문에 비록 60%의 에탄올의 양에서 효모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보였지만 모든 판에서 상당하게 성장한다.
느린 성장 효모는 어떠한 판에서도 성장하지 않았다.
- 황색 효모는 판의 몇 개에서 성장의 신호를 보이지만 뿌리는 라인핸들과 뿌려진 효모의 많은 양에 따라 나머지 성장한 것 같다.
d. 다른 효모 종류의 형태
효모의 다른 유형은 현미경의 밑에서 관찰되었다
도 7과 8은 백색 효모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8은 재생산에 있는 많은 세포를 보여준다.
도 9는 느린 성장효모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10은 2008년에 수확한 포도의 발효탱크에서 모아진 그안에서 평가받는 균사의 발효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11은 도10의 완벽하게 상기 균사의 머리가 관찰되는 전체 균사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12는 작은세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관찰된 도 11의 균사의 머리의 확대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13은 도 12의 상기 균사의 머리를 형성하는 작은 세포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9를 참조하면,이 세포들은 균사머리 세포의 크기가 상기 느린 성장 효모(2)에서 관찰된 세포의 것들 보다 크고, 그 세포 막이 두껍지만 이 세포들은 느린 성장 효모(2)에서 관찰된 것들과 유사하다
실시예 3. 자당 발효에서 혼합된 세포의 능력(상업용 설탕).
여러 농도의 중량/부피의 상업용 설탕이 플라스크(flasks)에 준비되어 있다.
매체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단일칼륨(monopotassic) 인산 0.5 %
- 염화 황산염(ammonium sulphate) 0.2 %
- 헥타하이드레이트(heptahydrated) 마그네슘 황산염(magnesium sulphate) 0.004 %
- 효모 추출물 0.1 %
- 물
당도는 다음과 같다: 중량/부피 비율의 1, 2, 10, 15, 20, 25, 30, 40 및 50퍼센트(%)이다.
백색 효모(1), 황색 효모(3), 느린 성장 효모(2) 다른 매체에서 접종되는 종의 대비
효모는 액체 매체 YPD (5ml)에 놓아두고, YPD 매체 판에서 다양한 종의 집단이 자라고, 각각의 종이 분리되고, 그리고 240 rpm으로 28℃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일단 시간이 지나면서 모든 다양한 종들이 성장하면, 각각 20 μl은 각 튜브에 해당 매체의 5ml로 테스트 튜브에 배치되고, 24시간 동안 240 rpm으로 교반한다.
일단 시간이 경과되면 각 매체이 다음의 성장에 따라 존재한다.
Figure pct00001
흡광도는 배지에서 세포 성장을 평가하는 실험으로 측정된다.
흡광도의 측정은 배지의 결정적인 부피에서 효모 세포의 양에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다.
분광 광도계에 의해 램프에서 빛이 방출되는 강도와 시료를 통과해서 검출기에 도달되는 것의 차이가 측정된다. 즉, 세포에 흡수된 빛의 양은 시료의 수많은 세포에 상응해야 한다.
이러한 성장 값은 이러한 효모가 고당도 농도에 큰 저항이 있다는 생각을 가진다.
실험관의 내용물은 해당 농도로 배지와 플라스크로 전송되고, 총 40 ml의 부피를 남긴다.
그것은 4 시간 동안 240 rpm으로 흔들리고, 그래서 접종된 세포는 증식 될 것이다.
시간이 경과되면 흔들림은 무산소 조건에서 31℃에 재배를 남기는 것이 중단되었다.
세포가 잘 따르는 작은 흔들림(22 rpm)은 전체 재배에서 잘 퍼져나갈 것이다.
이때 발효가 시작된다.
탄수화물(carbohydrates)의 농도는 다음과 같은 비율을 취득한 페놀 - 황 두보이스 콜로리메트릭 방법(the Phenol-Sulphuric Dubois Colorimetric Method)에 의해 다음 주 결정되었다 :
초기당도(%) 최종당도(%)
1 0.052
2 0.049
10 0.947
15 4.988
20 9.506
25 13.024
30 21.988
40 31.137
50 40.333
그 결과 발효가 모든 실험 농도에서 나타났고, 설탕 내용물의 감소는 모든 플라스크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경우에 발견되는 에탄올의 양은 이론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 : 예를 들면, 초기 20 % 설탕 농도에 대해 9.5 %의 설탕의 최종 농도가 얻어지며, 이는 설탕 10.5 g이 초기 주스의 100 ml를 소비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알코올 발효를 나타내는 반응은 다음과 같다 :
Figure pct00002

화학량론의(stoichiometric) 관계는 각각 포도당의 몰과 에탄올의 두 개의 몰에서 획득한 것을 나타낸다.
주스 100 ml → 10.5 g의 포도당
10.5 그램(grams)의 포도당 → 0.058 몰(mol) 포도당 (MP 포도당 = 180.16 gr/ 몰(mol))
0.058 몰(mol) 포도당 → 0.116 몰(mol) 에탄올 (화학량론(stechiometry) 1:2)
0.116 몰(mol) 에탄올 → 5.370 그램(grams) 에탄올 (MP 에탄올 = 46.07 gr/ 몰(mol))
5.370 그램(grams) 에탄올 → 6.806 미리리터(ml) 에탄올 (에탄올 밀도 = 0.789 gr/ml)
\요약 : 주스의 100 ml → 6.806 ml 에탄올.
실제 수율을 고려하면 이론의 80 %이다: 6.806x0.8 = 에탄올의 5.445 ml.
즉, 예제에서 설탕 초기 20 % 농도에서 최종적으로 대략 5.4 %의 알코올 농도가 얻어진다.
그것이 효모 종자는 다음 단계에서 설탕 농도가 증가되므로, 어려움없이 당도 50%까지 저항할 것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실험은 60 과 70 % (중량 / 부피)의 당도로 만들어지고, 발효에서 이산화탄소 거품이 만든 거품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는 28℃에서 72시간동안 240 rpm으로 교반했다.
종은 설탕에 밀집되어 이러한 매체에서 어려움 없이 성장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이 두 재배의 광학 밀도가 측정되고 결과가 얻어졌다:
Figure pct00003
그것은 종이 70 % 당도와 매체에서도 성장할 것을 확인하고; 이 주스의 발효 후에 이론적인 알코올 도수는 45.37 도가 될 것이다.
이 자료의 계산 알고리즘은 추가로 제공된다.
알코올 발효를 나타내는 반응은 다음과 같다 :
Figure pct00004

화학량론의(stoichiometric) 관계는 각각 포도당의 몰과 에탄올의 두 개의 몰에서 획득한 것을 나타낸다.
주스 100 ml → 70그램(grams) 포도당
70그램(grams) 포도당 → 0.338 몰 포도당 (M.B. 포도당 = 180.16 gr / 몰)
0.338 몰 포도당 → 0.777 몰 에탄올 (화학량론(stechiometry) 1:2)
0.777 몰 에탄올 → 35.8그램(grams) 에탄올 (MP 에탄올 = 46.07 g / 몰)
35.8그램(grams) 에탄올 → 45.37미리리터(ml) 에탄올 (에탄올 밀도 = 0.789 g / 미리리터(ml)) 쇼핑
요약 : 주스의 100 ml → 45.37ml 에탄올.
실제 수율을 고려하면 이론의 80 %이다.
45.37×0.8 = 에탄올의 36.30ml, 또는 36.35 부피(vol.)의 농도.
실시예4 . 당밀발효에 혼합된 품종의 기능
(사탕수수에서 얻은) 여러 가지 희석
사탕수수 당밀은 배양기를 위해 기초로 사용되었다. 당밀에서 다른 희석은 다른 설탕레벨 이전에 희석의 동작을 테스트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 시작 당밀에는 78.9º 브릭스(Brix)와 49.9% 자당을 함유했다.
아래의 표는 준비한 매체를 보여준다:
Figure pct00005

다음과 같은 품종 접목을 위한 절차:
각 품종의 각 집단에,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와 황색 효모(3)가 YPD매체에 1㎖의 물과 함께 뿌려진다.
각 준비된 매체의 5㎖의 물은 각 관에 있는 품종의 혼합물의 50㎕를 접목하는 시험관에 둔다. 그것은 28℃에서 240rpm으로 교반한.
66시간동안 품종은 다음과 같은 성장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6
각 샘플의 OD600 값이 다른 것으로부터 독립적이며, 그것은 해당 매체에 얼마나 효모가 적응되는지 증명되는 것이다.
다음의 스텝은 이들 튜브들의 내용물을 1/1000단위로 희석시켜서 상응하는 플라스크로 옮기는 것이다. 일단, 효소들이 플라스크에 접종되면, 28℃에서 240rpm의 요동이 인가된다. 16시간이 경과하자 다음의 성장을 보였다.
Figure pct00007
16시간부터 발효 작용이 개시되도록 산소 공급이 감소하도록 요동을 감소시킨다. 도 16 내지 17은 발효 작용의 산물로서 방출된 CO2의 존재에 의해 형성된 거품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16은 자당(sucrose) 응집이 23%인 플라스크에 상응하는 것이다.
도 17은 자당(sucrose) 응집이 40%인 플라스크에 상응하는 것이다.
주목하여야 할 것은, 당밀(molasses)이 매우 끈적이는 액체이어서 셀들은 같은 이유로 즉, 사례 No.6에 보여지듯이 당밀이 어느 정도의 물에 의해 묽어지지 않으면  세포 성장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확산되기가 매우 어려워서 순수한 당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40% 자당에서의 균주 성장은 아무런 어려움이 없고; 쥬스의 발효의 종단에서 얻어지는 이론적인 알코올 급수는 25.93°이고 결석에 따라 20.7% 가까이 나온다.
Figure pct00008
이들 미디어들에서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그리고 황색 효모(3)의 연구된 균주는 접종되고 28℃에서 240rpm으로 요동되었다.
일주일의 요동후에 관찰된 성장은 다음과 같다.
% 자당 OD600
6.1 12.88
12.2 11.22
18.4 14.3
24.4 13.32
27.5 12.36
30.5 9.4
36.6 2.54
42.7 2.34
47 -
이 표는 30.5%의 자당(sucrose)으로부터, 효소가 어떻게 증식을 위한 보다 많은 저항(resistance)을 찾고, 흡광도가 감소하는 데도 불구하고 42.7%에서조차 알코올 발효를 수행하기 위한 충분한 능력을 가지는 거품의 형성을 지속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도 18, 19 그리고 20에 보여진다. 도 18은 자당 농도가 42.7%인 플라스크를 보이고; 도 19는 자당 농도가 18.4%인 플라스크를 보이고; 도 20은 자당 농도가 12.2%인 플라스크를 보인다.
도 18을 참조하면, 얻어진 결과는 쥬스가 42.7%에 달하는 설탕 함량으로 발효될 수 있음을 증거하며, 이는 아마도 27.68%, 28% Volume/volume 에탄올(여기에 이전에 제시된 이상적인 결석 방법 참조)에 달하는 참으로 현저한 것이다.
지적된 바와 같이 당밀이 매우 끈적한 액체이기 때문에, 셀들은 그것을 통하여 확산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당밀이 어느 정도의 물과 희석되지 않으면, 세포 성작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실시예5. 녹말 가수분해로부터 설탕 발효에 혼합된 셀들의 능력
녹말은 빵과 맥주를 생산하기 위한 처리의 근본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심할 바 없이 실제적인 흥미를 가지는 것이다.
물에서의 녹말의 다른 분해들이 준비되고, 녹말은 물에 용해되지 않으므로 부유(suspended)된 채로 남아있다.
이를 가수분해하기 위하여, 황산(sulphuric acic)으로 pH을 0.8로 낮추는 산성 가수분해가 사용되었고 34℃에서 6시간 동안 요동되었다.
사용된 전분 농도는 10%, 20%, 40% 그리고 50% 였으며: 그들 모두는 무게/체적 퍼센트로 나타내었다.
상기 전분이 한번 가수분해 하면, pH는 NaOH로 중화되고, 변종은 주사된 YPD 매체에서 포화 재배되었고; 포화 재배는 세포의 남은 함유량의 수 중 하나이며, 이는 세포가 죽고 같은 수로 태어난 것이다.
각 변종으로 재배된 170μl의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그리고 황색 효모(3)의 혼합물이 주사되었다.
48시간 동안 28℃에서 240 rpm으로 교반하여, 다음과 같은 성장이 상기 매체에서 나타났다:
플라스크 내에서 전분의 초기 퍼센트는
% OD 600
10 0.749
20 0.556
40 0.471
50 0.351
앞의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낮은 OD600은 높은 전분 농도를 제공하는 플라스크에 해당하며, 여기에서 효모는 생존을 위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그 수는 작아진다.
48시간 교반 정지 시, 산소 공급이 없고, 발효가 종료된다.
도 21은 20% 전분으로 제공된 플라스크에 해당한다.
도 22는 40% 전분으로 제공된 프라스크에 해당한다.
밀가루는 전분을 포함하고, 효모는 전분의 발효 능력이 있기 때문에, 발효 과정에서 동시에 세 효모 변종의 사용이 밀가루 발효 생산물의 높은 품질을 강화하며, 세 효모의 조화로운 활동 때문에 발효 과정 자체를 강화할 것이다.
포도당 내에서 더 활동하는 효모(황색 효모(3))는 동일한(70% 자당 내에 생존해야 한다) 높은 함유량을 갖는 매체 내에 다르게 덮일 수 있고, 느린 성장 효모(2)는 산소가 없는 것을 좋아하는 베일을 생성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더 발효를 생산하기 위한 모든 이점을 제공하고, 백색 효모(1)는 높은 에탄올 농도의 매체 내에서 성장할 수 있고, 과정 내에서 존재하는 다른 효모 종류를 보호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과정 내에서 발효가능한 당으로부터 발효가 존재하고, 이들 효모는 얻은 생산물에 아마도 높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6 : 당 발효에서 식물 물질로부터 혼합된 변종의 능력
본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Nicotiana glauca 종류가 야생 식물로부터 식물 물질의 예로 선택되었고, 뿌리, 푸른 줄기, 나무 줄기, 그리고 나뭇잎과 같이 식물의 다른 부위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였다.
식물의 당을 얻기 위하여, 이들은 분쇄되고 물과 분쇄 혼합되고, 식물의 용융성 당이 물에 녹았다.
이 시점에서, 매체에 나타난 당의 양(무게/체적 퍼센트)은 다음과 같다:
샘플 초기 당도(%)
푸른 줄기 1.98
나무 줄기 1.53
나뭇잎 2.19
뿌리 1.61
샘플은 YPD 매체에서 포화 재배된 것으로부터 효모를 주사하였다.
각 변종으로부터 재배의 35μl이며,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그리고 황색 효모(3)가 주사되었다.
이러한 매체는 48 시간 동안 28℃에서 240 rpm으로 교반되었고; 샘플에서의 소모된 당을 결정하기 위하여 다음 세포 성장과 당의 양이 측정되었다.
샘플 당도(%) OD 600
푸른 줄기 1.710 1.221
나무 줄기 0.93 1.411
나뭇잎 1.98 1.363
뿌리 0.77 0.865
데이터는 효모가 초기 당을 어떻게 소비하는 보여준다.
매체의 교반이 산화를 방해하기 위하여 정지되고, 따라서 발효의 시작이 허용된다.
이뿐 아니라, 이전의 도에서, 발효의 생산물인 도 23과 24에서 거품을 볼 수 있다.
실험은 매체 내에서 반복되었고, 여기에서 당 농도가 증가하였다.
매체 내에서 당의 함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식물 물질의 산 가수분해가 수행되었고, 따라서 다음의 당 농도를 얻었다:
샘플 초기 당도(%)
푸른 줄기 3.850
나무 줄기 16.59
나뭇잎 8.63
뿌리 18.50
이때, 재배 포화된 YPD 매체로부터의 변종은 각 변종으로부터 재배의 35μl로 주사하였다.
이러한 미디어는 48시간 동안 28℃에서 240 rpm으로 교반이 유지되었고, 이 시간 경과 후에 세포 성장을 측정한다.
샘플 OD 600
푸른 줄기 1.670
나무 줄기 1.183
나뭇잎 2.078
뿌리 1.881
따라서, 당 함유량의 증가가 효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토론
다른 요소가 이전에 존재하던 결과를 관찰하여 유추할 수 있었다
발효 과정에서 본 출원의 세 효모 변종의 동시 사용은 세 효모의 조화로운 활동이 발효 과정에서 증가되기 때문에, 조화로운 형태에서 얻어질 수 있는 발효 생산물의 높은 품질을 부여할 수 있다.
통으로부터 이 세 효모가 얻어짐에 따라, 세 효모는 16~19도에 달하는 에탄올 농도의 발효 과정의 종료 시에 존재해야 한다.
포도당에서 더 기능적인 효모(황색 효모(3))는 동일한(얻어진 결과를 확인하면 70% 자당 내에 생존해야 한다) 높은 함유량의 다른 두 매체 내에 덮여지며, 느린 성장 효모(2)는 더 나은 발효를 생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이점을 제공하여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좋아하는 베일을 생성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백색 효모(1)는 매우 높은 에탄올 농도의 매체 내에서 성장할 수 있고, 과정 내에서 존재하는 다른 효모 종류를 보호하며, 이러한 방법으로 - 효모의 배치를 보호 - 쥬스로부터 얻은 더 나은 강화가 달성되거나 생산물이 얻어질 것이다.
결과적으로, 어떠한 과정에서 발효도 존재하며, 발효가능한 당으로부터 이들 효모는 높은 품질의 생산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다른 발효가능한 원료를 통해 얻은 생산물의 품질이 왜 높은지(자당, 당밀, 탄수화물, 곰팡이 등) 설명할 수 있다.
반면에, 각각 변형된 자체의 특성(본 상세한 설명에서 분석된)을 모두 갖는 이 조화로운 활동은, 매우 증가한 자당 농도(또는 대용물)를 가진 용액이 발효할 수 있고 매우 높은 에탄올 농도(대부분의 효모 변종은 에탄올 농도 13% 이상을 견딜 수 없음)를 갖는 생산물을 얻을 수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당의 많은 양의 초기 존재와 함께 이들 세 효모의 조화로운 활동은 부차 생산물에서 풍부한 발효를 이끌게 된다.
당, 탄수화물, 당밀, 그리고 나머지 식물 등과 같은 발효 산업의 대표 제품의 넓은 범위를 포함하고 발효 원료로 활동하는 것은 분석되었다.
비생물은 성장, 재생산, 그리고 생장에 적합한 조건을 필요로 한다.
이는 항상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연구한 세 효모는 탄수화물을 포함하는 단순 매체 내에서 발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발효를 위한 탄화 원료의 이전의 기원과 같이 탄수화물을 사용하는 공정들에 유용할 것임을 유추할 수 있다.
이것은 효모가 가수분해된 탄수화물을 발효할 수 있고, 그 효모가 맥주의 생산에도 불구하고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효모의 혼합물로부터 여기에서 언급한 이전의 해석을 유추하여 다음을 얻을 수 있다:
1.- 높은 에탄올 농도
2.- 높은 품질의 생산물
3.- 높은 당 함유량과 뒤따른 높은 에탄올 생산물로 인해 현재까지 비발효물질의 발효
긍정적인 결과의 요약
● 높은 알코올 등급 음료의 획득물
● 매우 활동적인 효율을 지닌 알콜의 획득물은 높은 에탄올 농도가 증류로 획득한 에너지의 적은 양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높은 품질의 와인, 빵 및 맥주 획득물은, 효모가 이러한 음식물 모두를 얻기 위해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 언급된 효모를 통한 달성은 높은 품질의 생산물을 생산할 것이기 때문이다.
● 보다 효과적인 바이오 에탄올 합성은 식물 또는 비식물 바이오매스로부터 달성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생산 비용은 현재보다 낮아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원료가 발효 기질인 포도당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주로)Saccharomyces cerevisiae의 효모 종류에 의해 이후 에탄올로 변경하는 것이며, 탄화 원료와 같은 어떠한 원천으로부터 종래의 공정에 의한 자연 에탄올 획득물에 관한 실질적인 개선을 의미한다.
높은 체적을 처리하는 산업과 높은 이윤을 받는 것이 다른 것들 사이에서 가능하며, 연료로 바이오 에탄올의 생산물을 포함하는 것과 또한 알콜 생산물 산업, 낮은 원료나 포도당 농축 원료로부터 알콜을 생산하는 것은 저렴한 비용 효과가 있다.
● 얻은 결과는 본 출원에서 연구한 효모가 일반적으로 활동적이고 경제적으로 당의 발효에 기초한 어떠한 과정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여기에서 언급한 효모의 사용은 이미 추출된 당이나 그 추출물로부터 과일과 같은 농작물 또는 파생물로부터 얻은 어떠한 알콜 음료의 생산을 사실적으로 포함하여 폐기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나타난 효모의 기능
● 효모는 대등하게 활동하며, 뛰어난 역할을 가진 이들 각각을 설명할 방법이 없고, 이는 시너지 현상으로 보인다.
● 황색 효모(3)는 삼투 응력에 강한 저항을 가진 효모를 필요로하는 공정에서 사용될 것이며, 더 나아가 성장, 개발, 재생산 및 발효, 삼투 응력의 능력은 수성 매체에서 물 배출를 위한 몸부림의 문제가 있다.
매우 높은 포도당 농도는 강한 압력으로부터 손상을 피하기 위해 특히 효과적인 방어 시스템을 의미하며, 상기 매체의 보다 많은 포도당은 외부를 향하는 세포 내에 보다 많은 외부 압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는 여러 물리적, 화학적 그리고 생물학적 의미를 갖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세포 내에서 손상과 응답에 관해 알기 위해 수년간 세계적으로 지속적으로 연구한 많은 연구 그룹에게 중요하다.
S. cerevisiae 효모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별히 사용되었다.
현재 황색 효모(3)와 같은 최종 효모를 얻기 위해 손상과 저항을 포함한 중요한 단계의 몇몇 향상에 초점을 맞춘 많은 연구 그룹이 있으며, 유전자 변형을 일으키는 사실에 의해 가중되었고, 본 발명의 상기 효모는 자연 선택을 통해 얻은 효모이다.
● 백색 효모(1)는 매우 높은 에탄올 내성을 가지며; 판에서 60%이고 액체의 체적비 70%인 에탄올 농도에 대한 언급은 S. cerevisiae 변종에 대한 어떠한 과학 간행물 또는 특허 출원에서 현재까지 해당 분야에서 보고되지 않은 수를 언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포도당 저항의 경우, 설명된 값은 다른 크기로 현재까지 관찰된 것과 곱한다.
이는 본 발명의 변종을 의미한다: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그리고 황색 효모(3)는 현재까지 알려진 변종의 엄청난 크기의 과학적이고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잠재력을 갖는다.
백색 효모(1)의 경우 그 역할은 잠재적인 성장이 강조된다.
에탄올은 살아있는 생물의 대다수에게 독성이며, 이러한 독성은 종류와 농도에 의존한다.
에탄올은 의료 환경에서 물질의 모든 형태를 소독하기 위하여 옛날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병원균 박테리아 종류의 대부분은 그들의 죽음을 야기하는 에탄올의 영향을 받는다.
백색 효모(1)은 이러한 관점에서 적용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높아진 에탄올 농도에서 어떻게 미생물(특히 S. cerevisiae 효모와 같은 표본 생물)이 생존하는지에 대한 연구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의 핵심을 결정한다.
또한, 이는 용액의 유형에 대한 에탄올의 높아진 농도에서 저항 없이 미생물을 보낼 수 있도록 한다.
백색 효모(1)의 높아진 농도는 짧은 기간 동안 특정 미생물의 생존을 허용하는 미세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증가된 당 농도에 대한 황색 효모(3)에 대해서도 언급될 수 있다.
계획의 이 형태는 예를 들어, 원생동물에서 DNA의 전기천공법 기술, 예를 들어, 연어 정자와 같은 전기천공법의 대상과 다른 DNA의 높아진 농도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외부 및 엔도뉴클레아제(endonuclease)(DNA 보호)의 회피 동작이 수행될 때 사용된다.
● 효모는 산화하며, 발효성 또는 그 대사 활동이 동시에 두 가지 형태입니다.
액체의 표면에서, 산화 효모는 필름, 베일 또는 거품의 형태로 성장할 수 있고, 이는 그 들이 필름 형성 효모로 불리는 이유이다.
느린 성장 효모(2)는 핵심 발효 관점에 의해 생성된 변화의 형태상 소성에 특히 민감하다.
예를 들어, YPD 플레이트에서의 성장이 관찰될 때(도 3 및 4 참조), 빠른 흑화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식된다.
만약, 빠른 변화가 상기 효모에서 관찰된다면(보통 상태에서의 효모는 흰색을 가지며; 강렬한 흰색으로부터 짙은 검은색으로 빠르게 변하는),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경험하지 못했던 인자와 접촉한 것이며, 이 인자는 아마도 산소이다.
이 논지는 흑화가 처음 관찰되고, 최고 농도(YPD 매체의 표면)의 산소와 접촉하는 효모의 일부에서 더 강렬한 형태인 사실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 가설은 느린 성장 효모(2)가 구명 형태가 아닌 균사체의 형태일 때,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는 관찰에 의해 힘을 얻는다.
이러한 논쟁은 발효가 산소의 부재 시 포도당의 부분적인 연소 과정이라는 사실과 일관된 것이다.
따라서 적은 산소가 존재함에 따라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산소의 존재로부터 베일을 보호하는 것을 보장하여, 느린 성장 효모(2)는 보다 나은 조건에서 발효 과정을 발생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즉시 상업적인 사용은 더 나은 공정, 더 효과적이고 높은 품질을 생산하기 위하여, 무엇이든 유형분류체계의 발효 공정을 통합하는 것에 의해 성취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록 산화하는 것, 예를 들어 필름을 형성하고, 산화 유기산과 알콜은 포도주의 '부케' 또는 좋아하는 것의 생산에 또한 기여하지만, 당은 효모에게 가장 적합한 에너지 넘치는 원천이다.
따라서 이러한 효모의 상업적 사용은 와인 변종에 부케, 또는 액체 생산물같은 기타 발효 과정, 낮은 등급 알콜 음료, 빵 등으로 각인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앞서 언급한 산업 공정에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산소가 존재치 않는 장소가 특별하게 필수적이거나 중요하게 되며, 예를 들어 약제의 생산 또는 산소의 중요한 민감도와 같이 필름을 형성하는 효모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 그룹은 항산화제로 간주되는 모든 물질을 망라하며, 특히 그 환경에서 전기적인 불균형에 민감하며, 이러한 전기적인 불균형은 기저 상태와 관련하여 전기 충전의 과도 또는 결함에 의해 특징으로 한다.
● 이 같은 효모는 산화로부터 특정 용액을 보호하기 위하여 음식물의 자연적 특성의 손실, 또는 산업적 용액, 산소에 대한 민감도, (산소에 의해 또는 의하지 않고 생산), 발전 전기적 불균형제의 존재, 전자 포획(예를 들어 산소의 경우) 또는 유전자 전자(예를 들어 Fe2+의 경우)를 피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항산화제로 알려진 알려진 물질의 형태는 생물의학 관심 물질의 거대한 그룹을 포함하며, 동시에 전기적 불균형의 탐폰으로 작용하는 주요 기능이기 때문에 주거 기능의 큰 대부분으로 유익하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와 같이 노화 프로세스 및 암에 대한 관심의 이러한 물질은: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글루타티온, 레스베라트롤 등이다.
일반적으로, pH 지시약으로 작용하는 물질이며, 쉽게 자신의 전자 형태를 변경하고, 그 안에서 환경의 전기적 불균형으로 적은 변화와 관련하기 이전에 전자를 얻거나 잃는다.
이 유형의 베일을 만들어내는 물질의 이 유형의 제조, 운송 또는 보관은 분명히 증가한다.
이후, 이 베일은 단순한 원심 분리 과정으로 채취할 수 있다.
이는 엄청난 관심의 자연의학 또는 영양학적 분야의 예가 될 수 있고, 음식물에 첨가되는 항산화제 물질의 사용은 지난 몇 년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산화에 대해 매우 민감한 물질을 생산하는 산업 분야이다.
현재 해당 분야의 장소는 진공 제조나 포장과 같은 다른 기술에 의해 점유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효모의 이 형태의 사용은, 진공의 구현이 생산의 시점에 제품에 몇몇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 향상을 몇몇 경우에 막대한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다.
본 발명 뿐 아니라 동일한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가 충분히 설명되었으나, 이는 오직 구성과 사용된 물질의 변경을 추가하기 위한 것으로, 청구항에 정의된 관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1 : 백색 효모 2 : 느린 성장 효모
3 : 황색 효모

Claims (8)

  1. 어떠한 접목도 없는 자연 야생 포도 태생을 갖는 토착 자연 포도 덩굴 품종을 선택하고;
    토양 자체의 허브로부터 얻으며 퇴비를 가진 상기 포도 덩굴을 수정하고;
    기타 영양소를 첨가하지 않지만 자체의 토양은 첨가하며;
    가을 강우(rainfall) 후 포도를 수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고 튼튼한 뿌리의 성장을 통해 기상 및/또는 기후 거칠기에 저항하는 포도밭 재배 방법.
  2. 5,000리터 보다 낮은 용량에서 체적의 20~25% 이상을 침전시킨 야생 포도 주스 통을 형성하고;
    알콜 체적 3.5~6%에 달하는 얻은 토착 야생 효모를 복제하고;
    매 7~15일마다 뒤에 쌓아 올리고;
    14~20% 사이의 체적으로 최종 알콜 등급 포도주를 얻은 모든 당이 발효할 때까지 단계적으로 동일 효모를 발효하는;
    것을 통해 포도 발효로 전체 당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그리워하고 관능적 특성을 지닌 야생 포도 효모의 철저한 발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60%에 이르는 에탄올 농도를 함유한 YPD 매체로의 성장을 통해 백색 효모(1);
    25%에 이르는 에탄올 농도를 함유한 YPD 매체로의 성장을 통해 느린 성장 효모(2);
    당을 함유한 YPD 매체로의 성장을 통해 황색 효모(3)를 얻으며, 상기 매체는 검출된 효모의 잔량보다 큰 크기의 군집을 생산하고;
    여기에서 상기 세 효모로부터 얻은 혼합물의 추출물은 알콜과 당의 다른 농도를 지닌 YPD 매체로 재배를 통해 상기 효모들의 분리에 의해 YPD 매체로 얻어;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그리고 황색 효모(3)의 세 가지 다른 효모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포도 효모 획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 효모의 개별적인 추출물은
    높은 에탄올 농도에서 살아남은 백색 효모(1);
    발효 공정에서 이로운 균사체 필름을 형성하는 느린 성장 효모(2);
    포도당 농도로 성장하는 효모를 가능하게 하는 황색 효모(3);
    의 적용으로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적인 야생 효모의 사용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그리고 황색 효모(3)의 세 효모에서 얻은 혼합물은, 자당 용액; 상업적 당; 당 줄기 당밀과 사탕무우 당밀; 탄수화물 가수분해와 식물 물질로부터의 당 등으로 나타나는 낮은 것 뿐 아니라 높은 당의 농도로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효모로부터 알콜의 산업적 생산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그리고 황색 효모(3)의 세 효모에서 얻은 혼합물은, 포도주, 맥주, 사이다 등과 같은 낮은 등급 알콜 음료의 획득물인 다른 원료로부터의 당의 발효를 통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효모로부터 낮은 등급 알콜 음료의 산업적 생산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백색 효모(1), 느린 성장 효모(2), 그리고 황색 효모(3)의 세 효모에서 얻은 혼합물은, 꼬냑, 럼주, 보드카 등과 같은 높은 등급 알콜 음료의 획득물인 다른 원료로부터의 당의 발효를 통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효모로부터의 높은 등급 알콜 음료의 산업적 생산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 발효 공정은 백색 효모(White Yeast)(1), 느린 성장 효모(Slow Growth Yeast)(2), 그리고 황색 효모(Yellow Yeast)(3)의 세 효모로부터 얻은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 산업에서의 야생 효모 사용 방법.
KR1020127012582A 2009-10-15 2010-10-15 높은 당과 알콜 함유량 발효를 얻을 수 있는 효모의 포도밭 재배 방법 KR201201124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200901997A ES2358402B1 (es) 2009-10-15 2009-10-15 Método de obtención de levaduras para fermentación con alto grado de alcohol.
ESP200901997 2009-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402A true KR20120112402A (ko) 2012-10-11

Family

ID=4389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582A KR20120112402A (ko) 2009-10-15 2010-10-15 높은 당과 알콜 함유량 발효를 얻을 수 있는 효모의 포도밭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120258197A1 (ko)
JP (1) JP2013507142A (ko)
KR (1) KR20120112402A (ko)
CN (1) CN102665389A (ko)
AU (1) AU2010309705A1 (ko)
BR (1) BR112012008866A2 (ko)
CL (1) CL2012000951A1 (ko)
CO (1) CO6541601A2 (ko)
CR (1) CR20120246A (ko)
DO (1) DOP2012000109A (ko)
EC (1) ECSP12011894A (ko)
ES (1) ES2358402B1 (ko)
IL (1) IL219176A0 (ko)
NI (1) NI201200058A (ko)
PE (1) PE20130563A1 (ko)
TN (1) TN2012000175A1 (ko)
WO (1) WO2011048238A2 (ko)
ZA (1) ZA2012035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06740C1 (ru) * 2012-10-16 2014-02-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ВИНОГРАДАРСТВА И ВИНОДЕЛИЯ ИМЕНИ Я.И. ПОТАПЕНКО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НАУК ГНУ ВНИИВ и В Состав субстрат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вегетирующих саженцев и сеянцев винограда
FR3052786B1 (fr) * 2016-06-16 2022-04-29 Ab7 Ind Procede de preparation d'un vin a faible degre alcoolique et fermenteur-desucreur pour sa mise en oeuvre
IT201700005484A1 (it) * 2017-01-19 2018-07-19 Antonella Manuli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va e vino ottenuto da essa
CN109666555A (zh) * 2019-02-20 2019-04-23 湖北大学 一种转化高糖产品为酒精饮品的方法及应用
CN111108946B (zh) * 2020-01-13 2021-10-29 宁夏西鸽酒庄有限公司 一种回缩促壮架型改造技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373294A1 (ru) * 1971-03-23 1973-03-12 Авторы изобретени витель НАЯГ373294М. Кл. С 12g- 1/02УДК 663.252.4 (088.8)
FR2630455B1 (fr) * 1988-04-20 1994-07-29 Tax Administration Agency Mini Souche de levure ayant un pouvoir eleve de production d'alcool par fermentation et procede pour la production d'alcool par fermentation utilisant cette souche de levure
FR2687544B1 (fr) * 1989-12-26 1995-02-10 Gerald Biremont Pain eleve aux ferments naturels de fruits et notamment de raisin,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H06102005B2 (ja) * 1990-03-30 1994-12-14 ボディソニック株式会社 ワインの醸造方法および醸造装置
FR2751322B1 (fr) * 1996-07-17 1998-10-02 Vignolles Jean Procede de traitement des residus viticoles pour produire un compost a base de sarments de vigne
RU2186846C2 (ru) * 2000-09-18 2002-08-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биосинтеза белковых веществ" Штамм дрожжей saccharomyces cerevisiae,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сбраживания мелассного сусла в производстве этилового спирта и хлебопекарных дрожжей
FR2844275B1 (fr) * 2002-09-11 2004-12-03 Jean Louis Despagne Procede de vinification naturelle de la vendange et preparation de la vendange
ES2222088B1 (es) * 2003-05-27 2006-01-16 Instituto Madrileño De Investigacion Agraria Y Alimentaria - Imia Cepas de saccharomyces cerevisiae cect 11774 y cect 11775 y su empleo en la elaboracion, por fermentacion alcoholica, de bebidas alcoholicas y otros productos alimenticios.
CN1236041C (zh) * 2003-08-06 2006-01-11 陈长武 一种制造山葡萄冰酒的生产工艺
CN101058784B (zh) * 2007-05-31 2011-07-13 中国长城葡萄酒有限公司 一种干红葡萄酒橡木桶发酵工艺
CL2008002978A1 (es) * 2007-10-09 2009-08-07 The Australian Wine Res Institute Ltd Cepa de levadura industrial que comprende una modificacion en un gen met10 que lleva una produccion reducida de sulfuro de hidrogeno al compararse con la cepa de levadura industrial sin modificar; metodo de fabricacion de dicha cepa; uso de la cepa para la produccion de un producto fermentado.
CN101463312B (zh) * 2009-01-07 2012-07-25 冷平 桃发酵酒的生物冰点酿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07142A (ja) 2013-03-04
TN2012000175A1 (en) 2013-12-12
BR112012008866A2 (pt) 2019-09-24
ECSP12011894A (es) 2012-08-31
PE20130563A1 (es) 2013-05-31
CL2012000951A1 (es) 2012-09-28
IL219176A0 (en) 2012-06-28
CO6541601A2 (es) 2012-10-16
CR20120246A (es) 2012-11-23
ES2358402B1 (es) 2012-03-21
CN102665389A (zh) 2012-09-12
NI201200058A (es) 2012-08-17
ZA201203525B (en) 2013-01-31
ES2358402A1 (es) 2011-05-10
DOP2012000109A (es) 2012-09-15
WO2011048238A3 (es) 2011-06-09
AU2010309705A1 (en) 2012-06-07
US20120258197A1 (en) 2012-10-11
WO2011048238A2 (es)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3655B (zh) 一种提高浓香型白酒陈香味的人工窖泥制备方法
CN101921685B (zh) 一种浓香型健康白酒的生产工艺
CN109097291B (zh) 一种复合发酵组剂及其在酿制赤霞珠干化酒中的应用
Doneche Botrytized wines
CN103013755A (zh) 一种降低米香型白酒中苦味的方法
CN102911885B (zh) 一种酿酒酵母菌株及用其制备蓝莓果酒的方法
KR20120112402A (ko) 높은 당과 알콜 함유량 발효를 얻을 수 있는 효모의 포도밭 재배 방법
CN102268384B (zh) 一种酿酒酵母菌株及用其制备黑莓果酒的方法
DE602004002431T2 (de) CECT 11774 und CECT 11775 Saccharomyces cerevisiae-Stämme und ihre Verwendung zur fermentativen Herstellung alkoholischer Getränke und anderer Nahrungsmittel
KR101889605B1 (ko) 사카로마이세스 종과 비-사카로마이세스 종의 혼합균을 이용한 향미가 증진된 참다래 와인의 제조방법
JP5487508B2 (ja) トマトの糖度向上液肥、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781466B1 (ko) 꾸지뽕나무 열매를 이용한 와인 및 이의 제조방법
Garg et al. Production of mango vinegar by immobilized cells of Acetobacter aceti
Lachance et al. Yeasts
ES2350431B1 (es) Levadura vinica osmotolerante cect 13015 y su aplicacion en la produccion y mejora de vinos dulces y la obtencion de bioetanol.
KR20230149157A (ko) 드라이 타입의 약주 제조용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nibrfgc00050177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드라이 타입의 약주 제조 방법
Adeleke et al. Nutrient analyses and investigation into the potential of watermelon flesh-juice for wine production
KR100396959B1 (ko) 효모 신균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에스씨-55(케이에프씨씨-11224호),그 분리 방법 및 그를이용한 매실 발효주의 제조 방법
Letaief Wine making process.
KR100886954B1 (ko) 거봉포도로부터 분리된 신규 발효균주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제 아이제이 850과 이를 이용한 포도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도주
Mahmood et al. Evalu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 in baker’s yeast obtained from grape juice
ES2350223A1 (es) Levadura vinica osmotolerante cect 13014 y su aplicacion en la produccion y mejora de vinos dulces y la obtencion de bioetanol.
Cambray African mead: biotechnology and indigenous knowledge systems in iqhilika process development
CN112481064A (zh) 苦水玫瑰酒的生产工艺
CN113403166A (zh) 一种蓝莓高效综合利用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