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165A - 비빔 김밥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빔 김밥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165A
KR20120105165A KR1020110022807A KR20110022807A KR20120105165A KR 20120105165 A KR20120105165 A KR 20120105165A KR 1020110022807 A KR1020110022807 A KR 1020110022807A KR 20110022807 A KR20110022807 A KR 20110022807A KR 20120105165 A KR20120105165 A KR 20120105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mbap
laver
rice
casing
bibi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언
Original Assignee
유종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언 filed Critical 유종언
Priority to KR102011002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5165A/ko
Publication of KR2012010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1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빔 김밥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미된 김 또는 건조 김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김을 준비하고 파쇄하는 단계와; 파쇄된 김 가루를 밥과 혼합하여 비빔 김밥을 만드는 단계와; 일정 길이 단위로 매듭진 케이싱 내부에 비빔 김밥을 충전시켜 비빔 김밥 연결체를 만드는 단계와; 비빔 김밥 연결체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김을 말아 싸서 김밥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김을 파쇄하여 얻어지는 김 가루를 밥과 혼합하는 방식을 취하여 김밥을 만들기 때문에, 김밥을 제조함에 있어 김의 형태, 모양, 그리고 그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김밥을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단위 케이싱 내부에 충전하여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필요한 양만큼 분리하여 먹거나, 포장된 케이싱 체로 먹을 수 있고, 김밥을 케이싱 내부에 충전하여 진공 포장하거나, 냉장 및 냉동 유통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통 기한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빔 김밥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ixing kimbap}
본 발명은 비빔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김을 준비하고 파쇄하는 단계와; 파쇄된 김 가루를 밥과 혼합하여 비빔 김밥을 만드는 단계와; 일정 길이 단위로 케이싱 내부에 비빔 김밥을 충전시켜 비빔 김밥 연결체를 만드는 단계와; 비빔 김밥 연결체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빔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밥은 소풍이나 나들이를 갈 때 도시락으로 이용하거나 간식 등으로 먹는 음식으로서, 김에 밥과 단무지?달걀?어묵?쇠고기?당근?시금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말아 싸서 만든다. 김밥은 여러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밥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김으로 싼 삼각 김밥, 어린이의 한입에 들어갈 정도로 크기를 작게 만든 꼬마 김밥, 그리고 재료를 김으로 싸고 밥이 겉으로 나오도록 한 누드 김밥 등이 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재료 뿐 아니라 김치, 참치, 치즈 등과 같은 색다른 재료를 넣어 다양하게 맛으로 소비자에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김밥은 다양한 식재료 및 형상으로 소비자의 입맛에 맞추어 나가고 있으나, 김밥은 기본적으로 김을 펴고 그 내부에 밥과 다양한 식재료를 넣고 만든다는 점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김밥에 있어 김은 밥 및 식재료를 감싸는 부분으로서 그 모양이 매우 중요하다. 김밥을 만들기 위해서는 네모 또는 세모와 같이 반드시 일정 크기 이상으로서 특정한 모양의 김이 필요하며, 나아가 그 특정 모양이 훼손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만일 김이 일정 크기 이하이거나, 특정 모양에서 상당히 벗어나거나, 또는 모양의 일부가 찢어지거나 하는 경우에는 김밥을 만들 수 없게 된다. 설사 준비한 김이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킨다 할지라도. 김밥을 싸는 과정에서 김이 찢어지는 경우에는 의도하는 김밥의 형태를 구현하기가 어렵게 된다.
한편, 삼각 김밥과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통상적으로 김밥은 말아 싸는 방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사용되는 김은 일정 함량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만일 김이 일정 함량 이상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말아 싸는 과정에서 김이 찢어질 수 있어 김밥을 만들기가 곤란해진다. 이는 김에 소금 및 참기름 등으로 조미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김밥을 만드는 경우 사용 가능한 김의 한정된 모양으로 인해 폐기되는 김의 양이 필연적으로 증대될 수밖에 없으며, 김밥을 만드는 과정에서 김이 훼손되는 경우에도 이를 전량 폐기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상적인 김밥은 유통 과정에서 비교적 상하기 쉬운 밥 및 여러 식재료를 다수 포함하고 있어 일정 기한까지 유통을 시키기 위해서는 진공 포장 또는 멸균 포장 등과 같이 만들어진 김밥을 외부 환경과 분리시키는 수단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김밥은 그 자체가 특유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진공 포장하는 경우 자칫 김밥의 형상이 훼손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식품들에 통상 사용되는 포장 기술을 적용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김의 형상 및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형태의 김을 사용하여 김밥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언제 어디서든지 필요한 양만큼 분리하여 먹을 수 있는 김밥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통 기한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김밥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김을 준비하고 파쇄하는 단계와; 파쇄된 김 가루를 밥과 혼합하여 비빔 김밥을 만드는 단계와; 일정 길이 단위로 케이싱 내부에 비빔 김밥을 충전시켜 비빔 김밥 연결체를 만드는 단계와; 비빔 김밥 연결체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은 식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장 단계 이전에, 살균 및 냉각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단계 이전에, 살균 및 냉각, 그리고 액체동결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김을 말아 싸서 김밥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김을 파쇄하여 얻어지는 김 가루를 밥과 혼합하는 방식을 취하여 김밥을 만들기 때문에, 김밥을 제조함에 있어 김의 형태, 모양, 그리고 그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김밥을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단위 케이싱 내부에 충전하여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필요한 양만큼 분리하여 먹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포장된 케이싱 체로 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김밥과 달리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김밥을 케이싱 내부에 충전하여 진공 포장하거나, 냉장 및 냉동 유통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통 기한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자명한 사항 및 본 발명이 추구하는 기술적 특징과 무관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비빔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김 및 밥을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김을 파쇄하고 이를 밥과 혼합하여 비빔 김밥을 만드는 단계와, 비빔 김밥을 케이싱에 충전하는 단계와, 케이싱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는데 이를 각 단계별로 살펴본다.
먼저, 밥을 준비한다. 밥은 각국 또는 각 지방의 다양한 쌀을 사용하여 준비될 수 있으며, 각 쌀의 특성에 맞추어 익힌다. 준비되는 밥은 일정 온도 이하가 되도록 일정 시간 냉각 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준비되는 밥에는 소금, 깨소금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재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밥이 준비되기 이전 또는 이후, 또는 이와 동시에 김을 일정 크기로 파쇄하여 함께 준비한다. 사용되는 김은 그 형상 및 수분 함량 정도, 그리고 조미 여부를 불문한다. 따라서, 전형적인 건조 김, 소금 및 참기름 등으로 조미된 김, 조미 김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가루 김 등과 같이 어떠한 형상 및 조성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우리가 김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이에는 건조 김을 만드는 원료인 김 원초를 세척, 절단, 건조하여 만들어지는 김도 포함된다. 김의 파쇄시 그 크기는 제한이 없다.
밥과 파쇄된 김 가루가 준비되면 이들 양자를 적절하게 혼합한다. 이 과정을 거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빔 김밥이 만들어진다. 상기 비빔 김밥은 밥과 파쇄된 김 가루가 함께 혼합된 것으로서 일정한 형상 또는 모양이 없다. 즉, 본 발명은 밥과 김을 상호 혼합하여 김밥을 만들되, 사용하는 김은 종래와 같이 일정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파쇄된 가루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김밥과 달리 밥과 김 가루가 서로 혼합된 형상의 비빔 김밥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모든 김이 김밥 제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김밥을 만드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김이 없게 된다.
비빔 김밥이 만들어지면 이를 케이싱 내부에 충전하는 작업이 이어진다. 본 발명은 비빔 김밥을 케이싱에 충전함에 있어, 일정 길이 단위로 케이싱 내부에 비빔 김밥을 충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일정 양의 비빔 김밥이 케이싱 내부에 채워지면 매듭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는 방식이다. 단위 케이싱의 길이를 얼마로 할 것인지, 단위 케이싱의 직경을 얼마로 할 것인지, 매듭을 어떻게 형성할 것인지 등은 순전히 임의 사항임은 자명하다. 이러한 통상적인 케이싱 작업은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진 자동 충전 장치(stuffer)를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준비되는 케이싱은 충전 작업 및 매듭 작업을 고려하면 박막 형상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이 비 식용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나, 케이싱이 비식용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가급적 식용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매우 편리하게 김밥을 즐길 수 있게 된다.
각 단위 케이싱 내부에 적당한 양의 비빔 김밥이 충전된 상태로 비빔 김밥 연결체가 만들어지면, 이를 일정 길이 단위로 절단하여 포장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빔 김밥의 제조가 완료된다. 포장은 통상적인 진공 포장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자는 제조된 김밥의 유통 기한을 늘릴 수 있게 되며, 소비자는 비빔 김밥 연결체에서 필요한 양만큼 김밥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유통 기한을 연장하기 위하여 포장 단계 이전에, 만들어진 비빔 김밥 연결체를 살균하고 냉각하거나, 또는 살균 및 냉각, 그리고 액체 동결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전자의 경우는 70 ℃ - 120 ℃ 사이에서 스팀을 이용하여 비빔 김밥 연결체를 살균한 다음, 내부가 0 ℃ - 10 ℃ 정도로 유지되는 냉장고 내부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비빔 김밥 연결체 내부 온도가 10 ℃ 이하가 되도록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70 ℃ - 120 ℃ 사이에서 스팀을 이용하여 비빔 김밥 연결체를 살균한 다음, 내부가 0 ℃ - 10 ℃ 정도로 유지되는 냉장고 내부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비빔 김밥 연결체 내부 온도가 10 ℃ 이하가 되도록 냉각시키는 것은 전자의 경우와 대동소이하나, 그 다음에 액체 동결 장치를 이용하여 비빔 김밥 연결체를 대략 - 60 ℃ 온도 범위에서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가 부가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들 각각의 방법은 케이싱 내부에 충전된 비빔 김밥을 저온 상태 또는 극저온 상태로 유통시킴으로써(냉장 유통, 냉동 유통), 판매되는 비빔 김밥의 유통 기한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하여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발명이 추구하는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해석되어 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김을 준비하고 파쇄하는 단계와;
    파쇄된 김 가루를 밥과 혼합하여 비빔 김밥을 만드는 단계와;
    일정 길이 단위로 케이싱 내부에 비빔 김밥을 충전시켜 비빔 김밥 연결체를 만드는 단계와;
    비빔 김밥 연결체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빔 김밥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식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빔 김밥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단계 이전에, 살균 및 냉각 단계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빔 김밥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단계 이전에, 살균 및 냉각, 그리고 액체동결 단계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빔 김밥의 제조방법.
KR1020110022807A 2011-03-15 2011-03-15 비빔 김밥의 제조 방법 KR20120105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807A KR20120105165A (ko) 2011-03-15 2011-03-15 비빔 김밥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807A KR20120105165A (ko) 2011-03-15 2011-03-15 비빔 김밥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165A true KR20120105165A (ko) 2012-09-25

Family

ID=4711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807A KR20120105165A (ko) 2011-03-15 2011-03-15 비빔 김밥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51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240A (ko) * 2014-11-11 2016-05-25 감경희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9687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쿡썬 김밥용 밥의 제조방법 및 그 밥을 이용한 김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240A (ko) * 2014-11-11 2016-05-25 감경희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9687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쿡썬 김밥용 밥의 제조방법 및 그 밥을 이용한 김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9044A (zh) 一种果蔬春卷的制作方法
JP2017529836A (ja) ミートクリス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05165A (ko) 비빔 김밥의 제조 방법
KR101658993B1 (ko) 레토르트 파우치 포장밥의 제조방법
KR20140079239A (ko) 천연 첨가물을 함유한 육포의 제조방법
KR102628148B1 (ko) 냉동 블록의 제조 방법, 냉동 블록, 및 냉동 식품
CN105249307A (zh) 香酥公干鱼的制备方法
CN103892293A (zh) 一种保持肌纤维牛肉干的制作方法
JP2010239940A (ja) 包餡米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343041B (zh) 即食型大块卤豆腐及其制作方法
US3959500A (en) Process for blended food product
CN105105187A (zh) 一种椰香鸡柳的制备方法
KR101235200B1 (ko) 떡말이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말이 가공식품
KR20050079938A (ko) 포장된 김밥속과 이를 사용한 김밥
KR101816030B1 (ko) 떡볶이 떡이 함유된 구운어묵 핫바의 제조방법.
JPS61205445A (ja) 調理済チルド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M455366U (zh) 包餡冰粽結構
KR20120082043A (ko) 누룽지 삼겹살 제조방법 및 누룽지 삼겹살
RU262066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улинарного изделия из теста с начинкой
WO2005104877A1 (en) Ready to consume' instant wonton and its preparation
JP3207142U (ja) アイスカップに詰めた冷凍おこわ
JP2000316533A (ja) 緑藻入り魚肉ねり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102674U (ja) 缶詰チーズケーキ及びガゼット袋詰めチーズケーキ
TWM599542U (zh) 包覆芥末烏魚子切片突破卵袋膜之軟硬構造之真空包裝
US2617735A (en) Corn fritter batter and process of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