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2665A - 펑크 수리 킷 - Google Patents
펑크 수리 킷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02665A KR20120102665A KR1020127013866A KR20127013866A KR20120102665A KR 20120102665 A KR20120102665 A KR 20120102665A KR 1020127013866 A KR1020127013866 A KR 1020127013866A KR 20127013866 A KR20127013866 A KR 20127013866A KR 20120102665 A KR20120102665 A KR 201201026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ressed air
- bottle
- lid
- air
- punc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5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97 Zn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4—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틀 유닛이 높은 안정성을 갖고 위치되는 펑크 수리 킷을 제공한다. 펑크 수리 킷(1)은 압축기 장치(2), 및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보틀 용기(4)의 개구부(5)에 뚜껑(6)이 부착된 보틀 유닛(3)을 갖춘다. 압축기 장치(2)는 압축공기 토출구(8)를 갖춘다. 뚜껑(6)은 압축공기 토출구(8)로부터의 압축공기를 보틀 용기(4) 내로 보내는 공기 흡입구(27) 및 압축공기의 흡입에 의해 보틀 용기(4)로부터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배출시키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를 갖춘다. 보틀 유닛(3)의 뚜껑(6)이 거꾸로 선 상태에서, 공기 흡입구(27)는 압축공기 토출구(8)와 직접 접속된다. 이 직접 접속이 이루어지면, 뚜껑(6)의 저면과 압축기 장치(2)의 저면은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펑크난 타이어에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주입해 펑크를 응급 수리하는 타이어의 펑크 수리 킷에 관한 것이다.
펑크를 응급 수리하는 펑크 수리 킷의 한 예로 아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펑크난 타이어에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주입하여 타이어를 팽창시킨다. 그 후, 그 상태로 타이어를 주행시킴으로써 펑크 실링제가 타이어의 내강면 전체 둘레에 피복되어 펑크 구멍을 응급 밀폐시킨다.
이러한 종류의 수리 킷은, 도 3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축기 장치(a) 및 보틀 유닛(d)을 구비하고, 이 보틀 유닛은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보틀 용기(b)와 이 보틀 용기(b)의 개구부에 부착된 뚜껑(c)을 포함한다. 이 뚜껑(c)은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토출구로부터 보틀 용기(b) 내로 보내는 공기 흡입구(c1)와, 이 압축공기의 흡입에 의해 보틀 용기(b)로부터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배출시키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c2)를 포함한다. 공기 흡입구(c1)에는 압축기 장치(a)로부터의 공기 공급 호스(e1)가 연결된다.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c2)에는, 일단이 타이어(T)의 공기 밸브(Tv)와 연결된 피딩 호스(e2)의 타단이 연결된다.
이러한 수리 킷은, 보틀 유닛(d)을 거꾸로 세운 상태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a. 보틀 유닛(d)의 높이가 높고,
b. 수납성을 고려할 때, 바닥에 닿게 되는 뚜껑(c)의 저면의 직경을 충분히 크게 설정하는 것이 어려우며,
c. 호스(e1, e2)가 연결되어 있어서, 이 호스(e1, e2)에 밀려 횡방향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작업중에 보틀 유닛(d)이 넘어지기 쉽다. 따라서 펑크 수리의 작업성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 장치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압축기 장치와 보틀 유닛을 호스 등을 개입시키지 않고 직접 접속시키며, 이 직접 접속 상태에서 뚜껑의 저면과 압축기 장치의 저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하여, 보틀 유닛의 안정성을 높여 보틀 유닛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펑크 수리 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펑크 수리 킷은
하우징, 모터 및 모터에 크랭크 기구를 개재시켜 접속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을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하여 피스톤과의 사이에 공기를 압축하는 펌프실을 형성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압축기 본체를 수납한 압축기 장치,
및 펑크 실링제를 수용한 보틀 용기와 이 보틀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된 뚜껑을 포함하는 보틀 유닛을 갖춘다.
상기 압축기 장치는 압축공기를 토출시키는 압축공기 토출구를 갖춘다.
상기 뚜껑은 압축공기 토출구로부터의 압축공기를 보틀 용기 내로 보내는 공기 흡입구, 및 이 압축공기의 흡입에 의해 보틀 용기에서 펑크 실링제 및 압축공기를 차례로 배출시키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를 갖춘다.
상기 압축기 장치는 높이가 낮은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상기 보틀 유닛의 공기 흡입구가, 뚜껑을 아래로 향하여 거꾸로 선 상태에서, 압축기 장치의 일 측면의 압축공기 토출구와 직접 접속된다.
이 직접 접속 상태에서, 뚜껑의 저면과 압축기 장치의 저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틀 유닛이 압축기 장치의 일 측면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보틀 유닛이 압축기 장치와 일체화되어 낮은 무게중심을 갖는다. 또한, 보틀 유닛은 압축기 장치로부터의 어떠한 공기 공급 호스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아, 공기 공급 호스가 가하는 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더하여, 직접 접속 상태에서 뚜껑의 저면과 압축기 장치의 저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어, 접지 면적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요인들의 상승 효과에 의해 설치의 안정성이 높아지며, 보틀 유닛의 전도 방지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 흡입구 측의 호스가 불필요하므로, 배관상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펑크 수리 킷을 이용해 펑크 수리를 실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압축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그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압축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그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압축공기 토출구와 공기 흡입구의 접속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압축공기 토출구와 공기 흡입구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뚜껑과 보틀 용기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뚜껑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방진 덮개가 압축공기 토출구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방진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방진 덮개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방진 덮개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보틀 용기의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가이드 홈 및 그 기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압축기 장치와 보틀 유닛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의 (a),(b)는 압축기 장치 및 보틀 유닛의 외접 직육면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의 (a)∼(c)는 그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피딩 호스를 도시한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타이어의 공기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피딩 호스의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밀폐 뚜껑에 구비된 코어 돌기부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커넥터와 공기 밸브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피딩 호스가 휘감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보틀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25(a)∼(c)는 피딩 호스가 휘감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6은 펑크 수리 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직접 접속 전 상태의 고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직접 접속 상태의 고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결합 전 상태의 저판부와 저판부 수용 오목부를 아래쪽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0은 저판부와 저판부 수용 오목부의 고정 장치에 의한 결합을 아래쪽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1은 피딩 호스의 보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2는 종래의 펑크 수리 킷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압축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그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압축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그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압축공기 토출구와 공기 흡입구의 접속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압축공기 토출구와 공기 흡입구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뚜껑과 보틀 용기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뚜껑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방진 덮개가 압축공기 토출구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방진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방진 덮개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방진 덮개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보틀 용기의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가이드 홈 및 그 기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압축기 장치와 보틀 유닛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의 (a),(b)는 압축기 장치 및 보틀 유닛의 외접 직육면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의 (a)∼(c)는 그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피딩 호스를 도시한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타이어의 공기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피딩 호스의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밀폐 뚜껑에 구비된 코어 돌기부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커넥터와 공기 밸브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피딩 호스가 휘감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보틀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25(a)∼(c)는 피딩 호스가 휘감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6은 펑크 수리 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직접 접속 전 상태의 고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직접 접속 상태의 고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결합 전 상태의 저판부와 저판부 수용 오목부를 아래쪽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0은 저판부와 저판부 수용 오목부의 고정 장치에 의한 결합을 아래쪽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1은 피딩 호스의 보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2는 종래의 펑크 수리 킷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실시예의 펑크 수리 킷(1)은 압축기 장치(2) 및 보틀 유닛(3)을 구비한다. 보틀 유닛(3)은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보틀 용기(4) 및 그 개구부(5; 도 8에 나타냄)에 부착된 뚜껑(6)을 구비한다.
그리고, 펑크의 수리시에 압축기 장치(2)와 보틀 유닛(3)은 어떤 호스의 개재도 없이 직접 접속된다. 또한 보틀 유닛(3)에 마련된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에는 미리 피딩 호스(29)가 접속되어 있으며, 차내 보관시에, 피딩 호스(29)는 도 24, 2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속된 상태로 두껑(6) 주위에 휘감겨 수용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압축기 장치(2)는 하우징(9) 내부에 적어도 모터(M) 및 모터(M)에 연결된 피스톤(10)과의 사이에 펌프실(11)을 형성하는 실린더(12)를 구비하는 압축기 본체(13)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9)은, 사방이 측부 패널(14a)로 둘러싸이고 그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측 패널(14U)과 하측 패널(14L)로 닫힌, 높이가 낮은 편평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9)은 상하 케이스부(9U, 9L)가 분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모터(M)로는, 자동차의 12볼트 직류 전원으로 작동하는, 시판되는 여러 종류의 DC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모터(M)에는, 자동차의 시가 라이터 소켓에 접속 가능한 전원 플러그(15)를 첨단에 구비한 전원 코드가, 상기 하우징(9)의 상측 패널(14U)에 부착된 전원 스위치(SW)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전원 플러그(15)는 상기 하측 패널(14L)에 마련된 리세스(도시하지 않음) 내에 자유롭게 꺼낼 수 있도록 수납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압축기 본체(13)는 크랭크 기구(17)를 통해 상기 모터(M)에 연결되는 피스톤(10)과, 이 피스톤(10)을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피스톤(10)과의 사이에 공기를 압축하는 펌프실(11)을 형성하는 실린더(12)를 갖춘다. 피스톤(10)에는, 이 피스톤(10)을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는 흡기구멍(19A)과 펌프실 쪽으로부터 탄성적인 방식으로 이 흡기구멍(19A)을 막는 밸브(19B)를 갖춘 흡기밸브(19)가 형성된다. 밸브(19B)는 탄성체(예를 들어 고무, 합성수지, 금속 등)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12)는, 상기 펌프실(11)을 구비한 실린더 본체(20)의 후단 측에 서지 탱크실(21A)을 형성하여 펌프실(11)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피스톤(10)에 의한 압력 맥동을 억제하기 위해 실린더 서브파트(21)를 일체로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서지 탱크실(21A)은 실린더 본체(20)의 후단을 밀폐시키는 격벽(20A)에 형성된 작은 구멍(20A1)을 통해 펌프실(11)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서브파트(21) 둘레벽에는, 압축공기를 토출시키는 압축공기 토출구(8)가 돌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 서브파트(21) 둘레벽에는 또한, 압력계(22)가 부착되는 제1 연결부(24A) 및 릴리프 밸브(23)가 부착되는 제2 연결부(24B)가 각각 방향을 달리해 돌출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8)는, 상기 실린더 서브파트(21)로부터 제1 측부 패널(14a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첨단에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8a)를 개방시킨 원통형부(25)를 갖춘다. 원통형부(25)의 중심 구멍(25H)에는, 상기 서지 탱크실(21A)로부터 토출구(8a)까지 뻗은 토출 유로(26)가 형성된다. 또 중심 구멍(25H)은 그 개구단측에 상기 보틀 유닛(3)의 공기 흡입구(27)에 접속되는 감합 오목부(28)를 갖춘다. 감합 오목부(28)는, 내경이 일정한 평행 구멍부분(28A)의 앞뒤로 실린더 서브파트(21)를 향해 테이퍼진 원뿔형을 이루는 전방 테이퍼면(28B) 및 후방 테이퍼면(28C)을 연속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보틀 유닛(3)은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보틀 용기(4) 및 그 개구부(5)에 부착된 뚜껑(6)을 포함한다. 보틀 유닛(3)은 뚜껑(6)이 아래로 향하도록 거꾸로 선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 장치(2)에 직접 접속된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보틀 용기(4)에는 동체부(30) 하단에 펑크 실링제를 출납할 수 있는 내경이 작은 원통형의 개구부(5)가 돌출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동체부(30)의 높이 방향과 직각인 횡단면이, 보틀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호 형상의 한 쌍의 장변부(30A) 및 볼록한 호 형상의 한 쌍의 단변부(30B)로 사면이 둘러싸인 실질적인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장변부(30A)의 길이를 W, 장변부(30A)의 곡률 반경을 RW, 단변부(30B)의 길이를 D, 단변부(30B)의 곡률 반경을 RD라 할 때, 이 값들은 아래 식 (1) 내지 (3)을 만족한다.
1.3 ≤ W/D ≤ 1.7 ------ (1)
0.5 ≤ RW/W ≤ 3.0 ------ (2)
0.5 ≤ RD/D ≤ 20.0 ------ (3)
펑크 수리 킷(1)의 차량 내, 예를 들어 트렁크 내에의 수납성을 고려하면, 상기 압축기 장치(2)가 실질적인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므로, 보틀 용기(4)의 동체부(30)도 실질적인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펑크 수리시에는 예를 들어 350 kPa에 가까운 높은 내압이 보틀 용기(4)에 작용한다. 이때, 동체부(3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동체부(30)가 내압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균등하게 팽창한다. 따라서, 압축공기가 찰 때의 변형을 인식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불안감은 낮아진다. 반면, 동체부(30)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라면, 내압에 의한 팽창이 균등하지 않아 단면이 사각형으로부터 원형으로 팽창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그 변형이 실제보다 큰 것처럼 느끼게 된다. 따라서, 그 변형이 내압 범위 내라도, 사용자에게 폭발 등의 불안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변부(30A)와 단변부(30B)를 각각 볼록한 호 형상으로 하여, 팽창시의 변형된 형상에 가깝게 형성하였다. 따라서, 수납성을 향상시키면서, 팽창시의 변형이 사용자에게 크게 느껴지지 않아, 사용자의 불안감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 전술한 불안감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장변측의 팽창량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변측의 길이(W)는 크게 설정하고, 곡률 반경(RW)은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D 비가 1.3 미만이거나 RW/W 비가 3.0을 초과하면, 상기 길이 W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거나, 또는 곡률 반경(RW)이 커져 장변측의 팽창량 증가를 초래한다. 반면 상기 W/D 비가 1.7을 초과하거나 RW/W 비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수납성이 악화된다. 또, RD/D 비가 20.0을 초과하면, 단변측의 팽창량이 증가되고, 압축공기 충전시의 변형이 커진다. 반대로, RD/D 비가 0.5 미만이면, 수납성이 악화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W/D 비의 하한은 1.4 이상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1.6 이하가 바람직하다. RW/W 비의 하한은 0.7 이상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RD/D 비의 하한은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1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장변부(30A)와 단변부(30B)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응력 집중을 완화해 내압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곡률 반경 15 mm ± 5 mm의 원호(30C)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뚜껑(6)은,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8)로부터의 압축공기를 보틀 용기(4) 내로 보내는 공기 흡입구(27) 및 이 압축공기의 흡입에 의해 보틀 용기(4)로부터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배출시키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뚜껑(6)은, 저면(6S)을 이루는 원반 모양의 저판부(31)와, 상기 보틀 용기(4)의 개구부(5)에 결합되는 보틀 결합부(32)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잘록부(33)를 일체로 갖추는 뚜껑 본체부(6A)를 구비한다. 또, 이 뚜껑 본체부(6A) 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27)로부터 보틀 용기(4)의 개구부(5) 내로 뻗는 공기 유로(35) 및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로부터 보틀 용기(4)의 개구부(5) 내로 뻗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36)가 형성된다.
상기 보틀 결합부(32)는, 상기 개구부(5)를 고정하는 결합 오목부(32A) 및 이 결합 오목부(32A)의 저면으로부터 융기하는 보스부(32B)를 갖춘다. 또한 결합 오목부(32A)는, 그 내벽면에 마련된 내측 나사를 통해 개구부(5)를 나선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보스부(32B)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 유로(35)의 상단이 이어진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 및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36)의 상단이 이어진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상부 개구(38)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 유로(35)는, 상기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로부터 아래로 뻗는 수직 공기 유로(35a) 및 이 수직 공기 유로(35a)와 교점(P)에서 직교하고 교점(P)으로부터 공기 흡입구(27)까지 뻗는 수평 공기 유로(35b)를 구비한다. 수직 공기 유로(35a)의 교점(P)을 아래로 넘어선 하단부에,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로부터 펑크 실링제가 역류한 경우에, 역류하는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실링제 수용부(39)가 형성된다. 실링제 수용부(39)는 수직 공기 유로(35a)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펑크 수리시에, 사용자는 먼저 펑크 수리 킷(1)을 이용해 펑크난 타이어(T)에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주입하여 타이어를 펌핑한다. 그 후, 사용자는, 압축기 장치(2)와 보틀 유닛(3)이 접속된 상태로 타이어(T)로부터 분리된 펑크 수리 킷(1)을 일단 차내에 싣고, 펑크 구멍을 밀봉하기 위해 약 10분 정도 주행한다. 마지막으로, 펑크 수리 킷(1)을 다시 타이어(T)에 접속해, 공기압을 점검하고 보충하여 펑크 수리 작업을 종료한다. 이러한 펑크 수리 과정에서, 실링제가 충전된 후의 보틀 유닛(3)은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진동한다. 이로 인해, 보틀 유닛(3) 내부에 잔류하는 펑크 실링제가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로부터 압축기 장치(2)로 역류해, 압축기 장치(2)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공기 유로(35)는 수직 공기 유로(35a) 및 이 수직 공기 유로(35a)와 교점(P)에서 직교하는 수평 공기 유로(35b)를 갖추며, 수직 공기 유로(35a)의 하단부에 실링제 수용부(39)가 구비된다. 따라서, 잔류 실링제가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로부터 수직 공기 유로(35a)로 역류할 때, 실링제는 교점(P)에서 수평 공기 유로(35b) 쪽으로 분기하지 않고 하단의 실링제 수용부(39)로 흘러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제 수용부(39)의 용량은 보틀 유닛(3) 내에 잔류하는 실링제의 용량과 비슷해야 한다. 즉, 5 내지 15cc의 범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 용량이 5 cc 미만이면, 역류한 실링제를 다 수용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15 cc를 초과하는 용량은 무용하며, 뚜껑(6)의 불필요한 대형화, 즉 수납성의 악화를 초래한다.
전술한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로부터의 역류를 억제하기 위해서, 상기 수직 공기 유로(35a)의 상단에는 내경을 줄이는 조임부(35a1)를 마련해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의 내경(Da1)을 1.0 내지 2.0 mm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점(P)에서, 수직 공기 유로(35a)의 내경(Da)은 수평 공기 유로(35b)의 내경(Db)보다 크게 설정되고, 이를 통해 수직 공기 유로(35a)로부터 수평 공기 유로(35b)로의 역류를 억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공기 유로(35b)의 내경(Db)은 대략 3.0 내지 5.0 mm이다. 또한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로부터의 역류를 억제하기 위해,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의 위치를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상부 개구(38)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상부 개구(38)로부터 측정한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의 높이(h)는 5.0 내지 7.0 mm가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제 수용부(39)는 뚜껑(6)의 저면(6S)에서 개방되고, 이 개구는 저면(6S)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수용부 뚜껑(40)에 의해서 밀폐된다.
전술한 공기 흡입구(27)는 상기 잘록부(33)로부터 압축공기 토출구(8)를 향해 돌출되는 접속 노즐(41)을 갖춘다. 따라서, 접속 노즐(41)이 상기 감합 오목부(28)에 감합되므로, 압축공기 토출구(8)와 공기 흡입구(27)가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접속 노즐(41)은 외경이 일정한 노즐 본체(41A)의 첨단에 테이퍼진 원뿔형의 테이퍼면(41B)을 갖춘다. 이 테이퍼면(41B)은, 상기 감합 오목부(28)의 후방 테이퍼면(28C)과 거의 동일한 경사를 이룬다. 따라서, 후방 테이퍼면(28C)은, 접속 노즐(41)을 감합 오목부(28) 내에 삽입할 때, 테이퍼면(41B)에 접해 테이퍼면(41B)을 받아들이는 노즐 수용면부(42)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노즐(41)이 감합 오목부(28)와 동심을 이루는 정확한 위치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감합 오목부(28)의 전방 테이퍼면(28B)은, 접속 노즐(41)을 삽입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상기 접속 노즐(41)에는, 상기 노즐 본체(41A)의 외주에, 상기 감합 오목부(28)의 내면(본 실시예에서는 평행 구멍부분(28A)의 내면)과 접속 노즐 사이를 밀폐시키는 O링(43)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실한 밀폐를 위해 두 개의 O링(43)을 장착했을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소모품인 O링(43)을 보틀 유닛(3) 측에 배치하였으므로, 압축기 장치(2)를 유지보수 없이 반복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펑크 수리 킷(1)에는, 펑크 타이어의 수리중에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8)와 공기 흡입구(27)가 분리되어 펑크 실링제가 주위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34)가 구비된다.
이 고정 장치(34)는, 상기 뚜껑(6)에 형성되는 로킹 장치(34A) 및 압축기 장치(2)에 형성되는 결합 장치(34B)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킹 장치(34A)는, 상기 공기 흡입구(27)의 접속 노즐(41)의 양측(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에서 압축기 장치(2)를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로킹 클로(45)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장치(34B)는, 로킹 클로(45)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로킹 클로(45)와 결합해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클로 결합 구멍(46)을 갖춘다.
상기 로킹 클로(45)에는, 상기 뚜껑 본체부(6A)로부터 접속 노즐(41)을 향해 평행하게 뻗는 메인부(45A)의 첨단에, 직각삼각형 형태의 후크부(45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클로 결합 구멍(46)은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구멍으로 형성되며, 후크부(45B)와 결합한다.
로킹 클로(45)와 뚜껑 본체부(6A)는, 플라스틱(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혹은 이것들에 유리섬유 등의 단섬유를 배합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일체의 성형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로 결합 구멍(46)은 상기 감합 오목부(28)를 구성하는 상기 원통형부(25)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47)을 구비한다. 프레임(47)과 원통형부(25) 및 실린더(12)는, 경량 합금(예를 들면 아연 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성된 일체의 성형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필요한 강도가 확보될 수 있다.
도 2 및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축기 장치(2)의 상기 하우징(9)에, 막대형 지그(48; 예를 들면 스크루 드라이버 등)를 상기 로킹 클로(45)와 상기 클로 결합 구멍(46)과의 결합부(J)로 유도해 그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49)을 마련하고 있다. 가이드 홈(49)은, 결합부(J)를 향해 경사진 홈 바닥(49S)을 가이드 면으로 한 경사진 홈이다. 이 가이드 홈(49)에 의해, 홈 바닥(49S)과 그 양측의 홈 측벽면 사이에서, 막대형 지그(48)를 결합부(J)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로킹 클로(45)는 상기 후크부(45B)를 바깥쪽을 향하여 구비하므로, 막대형 지그(48)로 후크부(45B)를 안쪽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보틀 유닛(3)을 압축기 장치(2)에 밀어넣음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8; 본 실시예에서는 감합 오목부(28))와 공기 흡입구(27;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노즐(41))의 직접 접속 및 상기 로킹 클로(45)와 클로 결합 구멍(46)의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 때, 밀어넣는 힘은 3 내지 6 kgf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6 kgf을 초과하면 조작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3 kgf 미만에서는 고정이 약해져, 타이어를 충전할 때의 내압에 의해서 접속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펑크 수리 킷(1)에서는, 압축기 장치(2)와 보틀 유닛(3)이 호스류의 개재 없이 직접 접속된다. 따라서, 보틀 유닛(3)이 압축기 장치(2)와 일체화해 무게중심을 낮춤에 따라, 설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보틀 유닛(3)은 압축기 장치(2)로부터의 공기 공급 호스와 접속되지 않으므로, 공기 공급 호스에 의해서 밀리는 일도 없어 보틀 유닛이 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직접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6)의 저면(6S)과 압축기 장치(2)의 저면(2S)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의해 접지 면적이 늘어나고, 압축기 작동시에 노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설치 안정성뿐만 아니라 압축기 진동시의 진동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장치(34)에 의해, 보틀 유닛(3)과 압축기 장치(2)가 직접 접속과 동시에 원터치로 고정될 수 있어 펑크 수리시의 접속 분리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보틀 유닛(3)은, 압축기 장치(2)의 일 측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부 패널(14a1) 측에 직접 접속된다. 이 때,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 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측부 패널(14a1))과 직각 방향의 상기 뚜껑(6)의 저면(6S)의 폭(Wa)이, 전술한 직각 방향의 보틀 용기(4)의 폭(W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납성을 고려하면, 폭(Wa)은 폭(W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펑크 수리 킷(1)의 전도의 피벗점(P0)은 뚜껑(6) 저면(6S)의 전술한 직각 방향의 바깥 에지점(edge point)과 일치한다. 따라서, 피벗점(P0)이 전술한 직각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할수록 전도 모멘트가 높아져, 펑크 수리 킷이 쉽게 넘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폭(Wa)과 폭(Wb)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면, 수납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전도 방지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축기 장치(2)가 제1 폭(W1)이 제2 폭(W2)보다 넓은 장방형을 이루는 경우, 단변을 이루는 측부 패널(14a1) 측에 보틀 유닛(3)을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축기 장치(2)의 무게중심(2G)과 보틀 유닛(3)의 무게중심(3G) 사이의 거리 L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도 모멘트가 높아진다. 따라서, 펑크 수리 킷은 잘 넘어지지 않게 된다.
압축기 장치(2)의 일 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측부 패널(14a1))에는, 상기 보틀 유닛(3)의 외면 형상과 일치하여 보틀 유닛(3)의 안착을 안정시키는,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오목부(53)가 형성된다.
도 17의 (a),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납성을 고려하면, 상기 보틀 유닛(3)은 이 보틀 유닛(3)의 표면에 외접하는 보틀측 외접 직육면체(50)의 3 변(50a, 50b, 50c) 중 2 변의 길이를, 상기 압축기 장치(2)의 표면에 외접하는 압축기측 외접 직육면체(51)의 3 변(51d, 51e, 51f) 중 2 변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 18(a) 내지 18(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틀측 외접 직육면체(50)와 압축기측 외접 직육면체(51)를 평평하게 겹쳐 쌓을 수 있어, 수납 공간의 낭비를 줄이고 차량 내에의 수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압축기 장치(2)에는 보관 중에 감합 오목부(28)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덮개(16)가 마련된다.
방진 덮개(16)는, 상기 원통형부(25)의 토출구(8a)에 착탈가능하며 부착에 의해 토출구(8a)를 막을 수 있는 덮개부(54)와, 원통형부(25)에 외삽되는 링 고정부(55), 및 덮개부(54)와 링 고정부(55) 사이를 연결하는 구부릴 수 있는 연결부(56)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54)가 상기 토출구(8a)에 삽입 가능한 마개(57)로 형성되는 경우가 예시된다. 덮개부(54)는, 토출구(8a)보다 큰 직경을 가져 마개(57)가 토출구(8a)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58) 및 토출구(8a)에서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혀 모양의 손잡이부(59)를 구비한다. 링 고정부(55)는 실린더 서브파트(21)와 프레임(47) 사이의 원통형부(25)의 바깥에 끼워진다. 이 링 고정부(55)는 옆면에 슬릿(55a)이 형성된 C자 형의 단면을 이루며, 이 슬릿(55a)을 통해서 원통형부(25)에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56)는 구부릴 수 있는 벨트 형태를 이루며, 본 실시예에서 방진 덮개(16)는, 덮개부(54)와 링 고정부(55) 및 연결부(56)가 일체로 된 합성 수지제의 일체 성형체로 형성된다.
상기 링 고정부(55) 둘레에는, 원통형부(25)가 관통하는 하우징(9)의 관통구멍(9H)의 내주면을 유지하는, 외주에 홈이 파인 모양의 유지 홈(55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 홈(55b)은 연결부(56)보다 안쪽(실린더 서브파트(21)쪽)에 형성된다.
도 13과 같이, 상기 덮개부(54)를 마개(57) 대신 원통형부(25) 외주에 감합하는 감합 구멍(44a)이 있는 뚜껑 형(44)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방진 덮개(16)를 마련함으로써, 보관 중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결합 오목부(28)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물질에 의한 공기 흡입구(27)와 감합 오목부(28) 사이의 결합 불량 및 이물질이 실링제에 혼입해서 공기 밸브(Tv)가 막히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펑크 수리 킷(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펑크 수리 킷(1)에서 보틀 유닛(3)은 소모품이며 펑크 수리시마다 교환하지만, 압축기 장치(2)는 반복 사용한다. 따라서, 펑크 수리 후 사용한 보틀 유닛(3)을 압축기 장치(2)에서 분리한 후에도 압축기 장치(2)의 감합 오목부(28) 안으로의 이물질 침입을 차단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진 덮개(16)가 압축기 장치(2)에 부착되어 유지되므로, 분실의 우려 없이 압축기 장치(2)를 반복하여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피딩 호스(29)의 타단(29b)은 뚜껑(6)의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에 접속되며, 일단(29a)에는 타이어(T)의 공기 밸브(Tv)에 접속 가능한 커넥터(60)가 부착된다.
공기 밸브(Tv)는, 예를 들어 JISD4207 등의 규격에 맞는 자동차 타이어 밸브이며, 일반적인 스냅-인 식의 것을 도 20에 예시하였다. 이 공기 밸브(Tv)는 림(61)에 고정되는 밸브 스템(62)과 밸브 스템(62)의 내부 구멍(63H)에 장착되는 밸브 코어(64)를 갖추는 주지의 구조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스템(62)은, 림(61)에 부착된 고무 시트(65; rubber seat) 및 이 고무 시트(65)에 일체로 고정되는 관형 밸브 스템 본체(63)를 갖춘다. 밸브 스템 본체(63)의 첨단부에는, 외주에는 밸브 뚜껑(66)을 나사결합하기 위한 외부 나사(63A)가, 내주에는 밸브 코어(64)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내부 나사(63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밸브 코어(64)는, 축(A1), 머리(A2), 몸통 패킹(A3), 몸통(A4), 밸브 패킹(A5), 밸브 패킹 접수부(A6), 스프링(A7), 스프링 접수부(A8) 등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머리(A2)와 몸통 패킹(A3)과 몸통(A4)은 일체로 연결된 유닛(67)으로 형성되어 내부 나사(63B)에 의해 고정된다. 축(A1)과 밸브 패킹(A5)과 밸브 패킹 접수부(A6)는 일체를 이루고, 유닛(67)의 위아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밸브 코어(64)는 밸브 패킹 접수부(A6)와 스프링 접수부(A8)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A7)에 의해 닫힌다; 평상시에는 몸통(A4) 하단의 밸브 시트부와 밸브 패킹(A5) 사이의 밸브부(K)가 압력에 의해 닫혀, 타이어 내강이 기밀로 유지된다. 반면, 타이어 내강에 공기를 충전할 때에는, 커넥터(60)가 축(A1)을 누르면 몸통(A4) 하단의 밸브 시트부와 밸브 패킹(A5) 사이가 분리되어, 그 틈으로 충전 공기가 주입된다.
도 2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피딩 호스(29)의 커넥터(60)는 밸브 스템 본체(63)의 외부 나사(63A)에 나사결합 가능한 접속 나사부(68)를 전단부에 마련한 원통형 커넥터 본체(69)와, 접속 나사부(68)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밀폐 뚜껑(70)과, 커넥터 본체(69)의 외주에 고정되는 원통형 외부 슬리브(7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69)는 대경부(69C)의 앞뒤로 소경부(69A, 69B)를 갖는, 계단이 있는 관 모양이며, 내부 구멍(69H) 안에 내측 나사형의 접속 나사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 뚜껑(70)은, 밀폐 뚜껑(70)을 손가락으로 잡고 나선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70a) 및 손잡이부(70a)의 후단에 단차를 통해 돌출하고 접속 나사부(68)와 나사결합하는 외측 나사형의 나사부(70b)를 구비한다. 손잡이부(70a)는 외부 슬리브(71)의 내부 구멍(71H)보다 직경이 작고, 외부 슬리브(71)의 끝(71e)보다 적어도 5 mm 이상의 길이(L1)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 부분(70a1)을 통해 밀폐 뚜껑(70)을 손가락으로 잡고 나선 회전시켜 커넥터 본체(69)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 나선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잡이 부분(70a)의 외주면에는 축심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진 널링(knurling)을 형성하였다.
상기 밀폐 뚜껑(70)의 손잡이부(70a)의 전단에, 공기 밸브(Tv)의 밸브 코어(64)의 첨단을 눌러 밀 수 있는 코어 돌기부(70c)가 구비된다. 도 2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코어 돌기부(70c)는 밸브 코어(64)의 첨단, 즉 축(A1)의 첨단을 눌러 밀어, 몸통(A4) 하단의 밸브 시트부와 밸브 패킹(A5) 사이의 밸브부(K)를 분리시킬 수 있어, 타이어의 공기를 공기 밸브(Tv)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펑크 수리 킷(1)에 의해 타이어(T)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진 경우, 코어 돌기부(70c)를 사용하여 타이어를 감압시킬 수 있다. 코어 돌기부(70c)는 밸브 스템 본체(63)의 내부 구멍(63H)보다 직경이 작고, 손잡이 부분(70a) 첨단으로부터의 돌출 높이(H)는 2 내지 4 mm 범위가 바람직하다.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커넥터(60)에서 밀폐 뚜껑(70)을 분리하면, 밀폐 뚜껑(70)을 대신하여 밸브 스템 본체(63)가 커넥터 본체(69)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슬리브(71)가 커넥터(60)의 굵기를 증가시키므로, 나사회전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외부 슬리브(71)는 압입 등에 의해 커넥터 본체(69)에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전술한 나사회전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외주면에 널링을 형성하였다. 외부 슬리브(71)는 커넥터 본체(69)의 전단(69e)보다 앞으로 돌출된 돌출부(71A)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71A)는 차폐 판으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실링제 및 압축공기의 충전이 완료되어 커넥터 본체(69)를 밸브 스템 본체(63)에서 분리할 때, 커넥터 본체(69)와 밸브 스템 본체(63) 사이의 틈으로 실링제가 새어나올 경우, 이 돌출부(71A)가 실링제가 후방으로 흩날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실링제가 사용자에게 묻는 것을 막고 펑크 수리 작업을 청결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71A)의 커넥터 본체(69) 전단(69e)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2)는 1 내지 5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길이가 1.0 mm 미만이면 차폐 기능이 불충분해지고, 5.0 mm를 초과하면 밸브 스템 본체(63)에의 장착성이 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본체(69)의 전단에 소경부(69A)를 구비하여 외부 슬리브(71)와의 사이에 작은 틈(G)을 형성하고 있다. 이 작은 틈(G)은 전술한 차폐 기능의 향상에 기여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60)는, 내부 구멍(69H)에 연통하는 내부 구멍(72H)을 갖는 원통형 조인트 커넥터(72)를 통해 피딩 호스(29)에 장착된다. 이 조인트 커넥터(72)는, 커넥터 본체(69)의 내부 구멍(69H)에 삽입되어 커넥터 본체(69)에 회전 가능토록 연결되는 몸통부(72A) 및 몸통부(72A)에 일체로 연결되고 뒤로 뻗어 피딩 호스(29)와 연결 가능한, 예를 들어 테이퍼진 호스 연결부(72B)를 구비한다. 몸통부(72A)는 내부 구멍(69H)에 마련된 단차부(69H1)와 결합해 탈락 방지된다. 또한 몸통부(72A)의 전단부에는 밸브 스템 본체(63)와의 사이에서 눌려져 그 틈을 밀폐시키는 패킹 부재(73)가 배치되어 기밀 접속이 이루어진다. 부호 74는 몸통부(72A)의 전단부에 마련된 돌기를 나타내며, 밸브 스템 본체(63)가 커넥터 본체(69)에 나사결합될 때, 돌기(74)가 밸브 코어(64)의 첨단을 눌러 밀어 밸브부(K)를 개방시킨다. 또한 부호 75는 피딩 호스(29)를 호스 연결부(72B) 및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에 조여 고정시키는 고리 모양의 주지의 호스 고정쇠를 나타낸다. 조인트 커넥터(72)로는 종래의 각종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또한, 조인트 커넥터(72)를 개재시키지 않고 피딩 호스(29)를 커넥터(60)에 직접 연결하는 것과 같이, 커넥터 본체(69)에 호스 연결부(72B)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4, 2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피딩 호스(29)는 보관시에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에 연결된 상태에서, 저판부(31)와 보틀 용기(4) 사이의 뚜껑(6) 둘레에 휘감겨 수납된다. 피딩 호스(29)의 길이는 50 cm 이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50∼60 cm의 길이를 갖고, 뚜껑(6) 둘레에 약 두 바퀴 반 휘감겨있다.
상세하게는, 피딩 호스(29)는 공기 흡입구(27)와 상부 로킹 클로(45) 사이 및 공기 흡입구(27) 와 하부 로킹 클로(45) 사이를 각각 통해서 서로 교차하면서 휘감기며, 뚜껑(6)에 형성된 되감김 방지 판부(80)에 의해 되감김이 방지된다. 특히,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되감김 방지 판부(80)는 보틀 결합부(32) 측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판 모양을 이루고, 그 중앙에 커넥터(60)를 삽입시키는 되감김 방지 구멍(80H)이 형성된다. 상기 피딩 호스(29)가, 그 굽힘 변형 복원력에 의해, 이 되감김 방지 판부(80)의 되감김 방지 구멍(80H)에 고정되어, 되감김이 방지된다. 또한 보틀 결합부(32) 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뻗어 피딩 호스(29)를 되감김 방지 구멍(80H)으로 유도하는 낮은 안내 리브(8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뚜껑(6)의 잘록부(33)는 직경이 작고 굴곡진 형태이며, 보틀 결합부(32)의 측면에는 되감김 방지 판부(8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딩 호스(29)를 직경이 작은 잘록부(33) 주위에 긴밀하게 휘감을 수 있다. 또 휘감긴 피딩 호스(29)의 일단 측의 커넥터(60)가 되감김 방지 판부(80)에 의해 되감김이 방지되므로, 긴밀한 휘감김이 유지되어 효율적인 수납이 가능해진다.
되감김 방지 판부(80)는, 압축기 장치(2) 및 보틀 유닛(3)과 연결할 때, 측부 패널(14a1)과 평행하게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측부 패널(14a1)에는 되감김 방지 구멍(80H)에 감합하여 연결시 위치 엇갈림을 방지하는 위치 엇갈림 방지 돌출부(83; 도 1, 2에 나타냄)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피딩 호스(29)의 굵기와 길이는, 휘감아서 수납할 때에 보틀 동체부(30)의 외주면 혹은 외접 직육면체(50)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설정된다.
보틀 유닛(3)에는, 도 8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미 사용시에 보틀 용기(4)내의 실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 및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상부 개구(38)를 각각 막는 내부 마개(52)가, 보스부(32B)에 장착되어 있다. 이 내부 마개(52)는, 압축기 장치(2)로부터의 압축공기로 인한 압력 상승에 의해 보스부(32B)로부터 벗겨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펑크 수리 킷(1)을 도 26 내지 도 30에 나타내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펑크 수리 킷(1)에서는, 고정 장치(34)가 저판부(31)에 형성되며, 폭 방향 양 바깥쪽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폭 방향 안쪽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한 쌍의 측면 로킹 클로(95)를 구비하는 로킹 장치(34A)를 갖춘다.
구체적으로는, 저면 측에서 본 도 29, 3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저판부(31)는 직사각형 판 모양의 기판부(31A)를 구비하며, 한 쌍의 측면 로킹 클로(95)는 기판부(31A)의 후단 측에, 기판부(31A)의 측면 모서리(31e)를 넘어 폭 방향 양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95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 로킹 클로(95)는 기판부(31A)로부터 후방을 향해 뻗어 실질적으로 “<”자형 굴곡(만곡을 포함한다)을 갖는 탄성변형 가능한 각편(脚片)으로 형성되고, 이 각편의 후단부가 폭방향 양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5a)를 형성한다.
로킹 장치(34A)는, 기판부(31A)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전면 로킹 클로(96)를 구비한다. 이 전면 로킹 클로(96)는 기판부(31A)로부터 전방으로 뻗는 평판 모양의 메인부(96a)의 전단에 후크부(96b)를 위쪽으로 돌출 설치하고 있다.
도 2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축기 장치(2)의 제1 측부 패널(14a1)에는, 뚜껑(6)의 외면 형상과 일치하여, 직접 접속된 상태에서 뚜껑(6)을 받아들여 위치시키는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수용 오목부(97)를 구비하는 결합 장치(34B)가 형성된다.
이 수용 오목부(97)는, 보틀 결합부(32)를 수용하는 보틀 수용 오목부(97A)와, 잘록부(33)를 수용하는 잘록부 수용 오목부(97B) 및 저판부(31)를 수용하는 저판부 수용 오목부(97C)를 구비한다. 보틀 수용 오목부(97A)는 보틀 결합부(32)의 상단에 마련되는 플랜지부(32a)를 안내하는 가이드부(97AS)를 구비해, 이에 의해 보틀 유닛(3)을 연결할 때에 공기 흡입구(27)가 압축공기 토출구(8)로 정확하게 안내된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저판부 수용 오목부(97C)는, 그 양 측면(97cS, 97cS) 사이에서 측면 로킹 클로(95)를 폭 방향 안쪽으로 탄성변형 시키면서 저판부(31)를 수용한다. 측면(97cS)은, 기판부(31A)의 측면 모서리(31e)를 따라 뻗은 제1 측면부(S1)와, 측면 로킹 클로(95)를 수용하는 제2 측면부(S2) 및 제1, 2 측면부(S1, S2)사이를 잇는 경사면부(S3)를 구비한다. 제2 측면부(S2, S2) 간의 폭(WA1)은 삽입 전의 측면 로킹 클로(95, 95) 간의 폭(WA2)보다 작다. 그 차이(WA2-WA1)에 의해, 측면 로킹 클로(95)를 폭 방향 안쪽으로 탄성변형 시키면서 저판부(31)를 수용할 수 있다.
저판부 수용 오목부(97C)에는, 직접 접속 상태에서 전면 로킹 클로(96)와 마주보는 위치에, 전면 로킹 클로(96)의 후크부(96b)와 위아래로 결합함으로써 뚜껑(6)이 수용 오목부(97)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로킹부(99)가 설치되어 있다.
저판부 수용 오목부(97C)에는, 측면 로킹 클로(95)의 후단과 결합함으로써 뚜껑(6)이 탈락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결합 돌기(100; 도 29 및 도 30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냄)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면 로킹 클로(96) 및 그 로킹부(99)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전면 로킹 클로(96) 및 그 로킹부(99)와 병용할 수도 있다. 결합 돌기(100)는 측면(97cS)에 낮게 돌출 설치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처럼, 잘록부 수용 오목부(97B)와 저판부 수용 오목부(97C) 사이의 단차면(Ks)에 낮게 돌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보틀 결합부(32)에는 보관시 뚜껑(6)의 주위에 휘감기는 피딩 호스(29)를 보관 유지하는 유지 구멍을 갖는 전후의 호스 유지 돌출부(32b, 32c)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링제 수용부(39)는 잘록부(33)에 마련된 수용부 뚜껑(40)에 의해 밀폐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펑크 수리 킷에서, 도 14에 나타낸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보틀 용기를 표 1의 사양으로 시험 제작하고, 이 보틀 용기에 400 kPa의 내압을 가했을 때의 단면 형상의 변화 정도를 비교했다. 표 1 이외의 사양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틀 용기의 공통 사양>
- 재질: 폴리프로필렌
- 두께: 2.1 mm
- 병 높이: 80 mm
- 코너 부분의 곡률: 10 mm
본 시험에서는, 보틀 용기에 400 kPa의 내압을 가했을 때의 장변측의 팽창량을 측정했다. 팽창량이 7 mm를 초과하면 보틀 용기의 파열에 대한 불안이 강해진다. 따라서, 상기 팽창량이 7 mm 이하인 경우를 합격으로 하였다.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 1∼9 중 아래의 조건 (1) 내지 (3)을 만족하는 실시예 3∼7의 보틀 용기는 그 장변측의 팽창량이 7 mm 이하로 작아진다.
1.3 ≤ W/D ≤ 1.7 ------(1)
0.5 ≤ RW/W ≤ 3.0 ------(2)
0.5 ≤ RD/D ≤ 20.0 ------(3)
따라서, 보틀 용기의 파열에 대한 불안을 억제할 수 있음이 확인된다.
1: 펑크 수리 킷 2: 압축기 장치
2S: 저면 3: 보틀 유닛
4: 보틀 용기 5: 개구부
6: 뚜껑 6S: 저면
7: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 8: 압축공기 토출구
8a: 토출구 9: 하우징
10: 피스톤 11: 펌프실
12: 실린더 13: 압축기 본체
14a1: 제1 측부 패널 16: 방진 덮개
17: 크랭크 기구 25: 원통형부
25H: 중심 구멍 27: 공기 흡입구
28: 감합 오목부 29: 피딩 호스
30: 동체부 30A: 장변부
30B: 단변부 31: 저판부
31A: 기판부 32: 보틀 결합부
32A: 결합 오목부 32B: 보스부
33: 잘록부 34A: 로킹 장치
35: 공기 유로 35a: 수직 공기 유로
35a1: 조임부 35b: 수평 공기 유로
36: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37: 공기 유로 상부 개구
38: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상부 개구
39: 실링제 수용부 41: 접속 노즐
45: 로킹 클로 50: 외접 직육면체
51: 외접 직육면체 54: 덮개부
55: 링 고정부 56: 연결부
60: 커넥터 80H: 되감김 방지 구멍
80: 되감김 방지 판부 81: 안내 리브
95: 측면 로킹 클로 95a: 돌출부
96: 전면 로킹 클로 97: 수용 오목부
99: 로킹부 M: 모터
Tv: 공기 밸브
2S: 저면 3: 보틀 유닛
4: 보틀 용기 5: 개구부
6: 뚜껑 6S: 저면
7: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 8: 압축공기 토출구
8a: 토출구 9: 하우징
10: 피스톤 11: 펌프실
12: 실린더 13: 압축기 본체
14a1: 제1 측부 패널 16: 방진 덮개
17: 크랭크 기구 25: 원통형부
25H: 중심 구멍 27: 공기 흡입구
28: 감합 오목부 29: 피딩 호스
30: 동체부 30A: 장변부
30B: 단변부 31: 저판부
31A: 기판부 32: 보틀 결합부
32A: 결합 오목부 32B: 보스부
33: 잘록부 34A: 로킹 장치
35: 공기 유로 35a: 수직 공기 유로
35a1: 조임부 35b: 수평 공기 유로
36: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37: 공기 유로 상부 개구
38: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상부 개구
39: 실링제 수용부 41: 접속 노즐
45: 로킹 클로 50: 외접 직육면체
51: 외접 직육면체 54: 덮개부
55: 링 고정부 56: 연결부
60: 커넥터 80H: 되감김 방지 구멍
80: 되감김 방지 판부 81: 안내 리브
95: 측면 로킹 클로 95a: 돌출부
96: 전면 로킹 클로 97: 수용 오목부
99: 로킹부 M: 모터
Tv: 공기 밸브
Claims (16)
- 하우징에 모터 및 압축기 본체를 수납하고, 이 압축기 본체는 상기 모터에 크랭크 기구를 개재시켜 접속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피스톤과의 사이에 공기를 압축하는 펌프실을 형성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인 압축기 장치와,
펑크 실링제를 수용한 보틀 용기 및 이 보틀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된 뚜껑을 포함하는 보틀 유닛
을 구비하는 펑크 수리 킷으로서;
상기 압축기 장치는 압축공기를 토출시키는 압축공기 토출구를 갖추고;
상기 뚜껑은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로부터의 압축공기를 보틀 용기 내로 보내는 공기 흡입구 및 이 압축공기의 흡입에 의해 상기 보틀 용기로부터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배출시키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를 갖추고;
상기 압축기 장치는 높이가 낮은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상기 보틀 유닛의 상기 공기 흡입구가, 상기 뚜껑이 아래로 향한 반전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 장치의 일 측면에 배치된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와 직접 접속되며;
상기 직접 접속 상태에서, 상기 뚜껑의 저면과 상기 압축기 장치의 저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저면의 상기 일 측면과 직각 방향의 폭이, 상기 보틀 용기의 상기 일 측면과 직각 방향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유닛의 표면에 외접하는 보틀측 외접 직육면체의 3 변 중 2 변의 길이를, 상기 압축기 장치의 표면에 외접하는 압축기측 외접 직육면체의 3 변 중 2 변의 길이와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용기는, 그 높이 방향과 직각인 횡단면이 보틀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호 형상으로 만곡된 한 쌍의 장변부와 볼록한 호 형상의 한 쌍의 단변부로 둘러싸인 실질적인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동체부를 갖추며;
상기 장변부의 길이를 W, 상기 장변부의 곡률 반경을 RW, 상기 단변부의 길이를 D, 상기 단변부의 곡률 반경을 RD라 할 때, 아래 식 (1) 내지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1.3 ≤ W/D ≤ 1.7 ------ (1)
0.5 ≤ RW/W ≤ 3.0 ------ (2)
0.5 ≤ RD/D ≤ 20.0 ------ (3)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는 접속 노즐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는 상기 실린더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첨단에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개방시킨 원통형부를 갖추고;
상기 원통형부의 중심 구멍은 상기 접속 노즐이 직접 접속되는 감합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압축기 장치에는, 상기 토출구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부착에 의해 보관중에 상기 감합 오목부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진 덮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덮개는, 상기 토출구를 막는 덮개부와, 상기 원통형부의 바깥에 끼워지는 링 고정부, 및 상기 덮개부와 상기 링 고정부를 연결하는 굴곡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압축기 장치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보틀 용기 내로 보내는 공기 유로 및 상기 보틀 용기로부터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배출시키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를 갖추고;
상기 뚜껑은, 상기 보틀 용기의 개구부를 고정하는 결합 오목부 및 이 결합 오목부의 저면으로부터 융기하는 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스부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 유로의 상단이 개구되는 공기 유로 상부 개구 및 상기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의 상단이 개구되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상부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공기 유로 상부 개구로부터 아래로 뻗는 수직 공기 유로 및 이 수직 공기 유로에 교점 P에서 직교하고 상기 교점 P로부터 상기 공기 흡입구까지 뻗는 수평 공기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 공기 유로의 하단부에, 상기 공기 유로 상부 개구로부터 펑크 실링제가 역류한 경우의 역류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실링제 수용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 상부 개구는, 상기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상부 개구보다 높은 곳에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공기 유로는, 그 상단 측에 내경을 줄이는 조임부를 갖고, 상기 공기 유로 상부 개구의 내경이 1.0 mm 내지 2.0 mm 범위에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공기 유로의 상기 교점 P의 위치에서의 내경이, 상기 수평 공기 유로의 상기 교점 P의 위치에서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저면을 이루는 저판부와, 상기 보틀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보틀 결합부,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잘록부를 갖추며, 상기 잘록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에는, 그 일단에 타이어의 공기 밸브에 접속 가능한 커넥터가 부착된 피딩 호스의 타단이 접속되고;
상기 피딩 호스는, 상기 저면과 상기 보틀 용기 사이의 상기 두껑 둘레에 감겨 보관되며;
상기 뚜껑에는, 상기 보틀 결합부의 측면에, 상기 커넥터의 삽입에 의해 상기 피딩 호스의 되감김을 방지하는 되감김 방지 구멍을 갖는 되감김 방지 판부가 돌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의 상하에, 상기 뚜껑을 상기 압축기 장치에 고정하는 로킹 클로를 돌출 설치하고;
상기 피딩 호스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상부 로킹 클로 사이 및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하부 로킹 클로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 뚜껑의 둘레에 휘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보틀 결합부의 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뻗어 상기 피딩 호스를 상기 되감김 방지 구멍으로 유도하는 낮은 안내 리브를 돌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저면을 이루는 저판부와, 상기 보틀 용기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보틀 부착부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잘록부를 갖추고, 상기 잘록부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를 갖추고;
상기 뚜껑은, 상기 저판부에, 폭 방향 양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 안쪽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한 쌍의 로킹 클로를 구비하는 로킹 장치를 갖추며;
상기 압축기 장치에는, 상기 로킹 클로를 폭 방향 안쪽으로 탄성변형 시키면서 상기 저판부를 수용하여, 상기 직접 접속 상태에서 상기 보틀 유닛을 상기 압축기 장치에 고정하는 저판부 수용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는, 직사각형 판 모양의 기판부를 갖추며, 상기 한 쌍의 로킹 클로는, 상기 기판부의 후단 측에, 상기 기판부의 측면 모서리를 넘어 폭 방향 양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한 쌍의 로킹 클로 및 상기 기판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전면 로킹 클로를 갖추며, 상기 저판부 수용 오목부는, 상기 직접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전면 로킹 클로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전면 로킹 클로와 위아래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공기 흡입구가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킹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253263 | 2009-11-04 | ||
JPJP-P-2009-253264 | 2009-11-04 | ||
JPJP-P-2009-253261 | 2009-11-04 | ||
JP2009253263A JP5357703B2 (ja) | 2009-11-04 | 2009-11-04 | パンク修理キット |
JP2009253260A JP5421734B2 (ja) | 2009-11-04 | 2009-11-04 | パンク修理キット |
JPJP-P-2009-253259 | 2009-11-04 | ||
JP2009253259A JP5374318B2 (ja) | 2009-11-04 | 2009-11-04 | パンク修理キット |
JPJP-P-2009-253260 | 2009-11-04 | ||
JP2009253264A JP5357704B2 (ja) | 2009-11-04 | 2009-11-04 | パンク修理キット |
JP2009253261A JP5374319B2 (ja) | 2009-11-04 | 2009-11-04 | パンク修理キット |
PCT/JP2010/068452 WO2011055633A1 (ja) | 2009-11-04 | 2010-10-20 | パンク修理キッ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2665A true KR20120102665A (ko) | 2012-09-18 |
KR101814217B1 KR101814217B1 (ko) | 2018-01-02 |
Family
ID=4396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13866A KR101814217B1 (ko) | 2009-11-04 | 2010-10-20 | 펑크 수리 킷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684046B2 (ko) |
EP (1) | EP2497629B1 (ko) |
KR (1) | KR101814217B1 (ko) |
CN (1) | CN102596548B (ko) |
WO (1) | WO201105563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5982A (ko) * | 2017-01-17 | 2019-03-12 |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97801B2 (en) * | 2009-11-04 | 2015-04-07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Puncture repair kit |
EP2620271B1 (en) * | 2010-11-05 | 2019-04-24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Puncture repair kit |
EP2657007B1 (en) * | 2011-01-28 | 2019-06-05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Flat tire repair kit |
DE102011018927A1 (de) | 2011-04-28 | 2012-10-31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Luft und/oder Abdichtmittel in einen Reifen |
JP5395865B2 (ja) * | 2011-09-20 | 2014-01-22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パンク修理キット |
JP5568068B2 (ja) * | 2011-09-20 | 2014-08-06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パンク修理キット |
JP5568101B2 (ja) * | 2012-02-03 | 2014-08-06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一体型のパンク修理キット |
DE202014011544U1 (de) * | 2013-11-28 | 2022-02-01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Vorrichtung zum Abdichten und/oder Aufpumpen von Gegenständen und selbstverschließende Schraubkupplung |
US20170173900A1 (en) * | 2014-02-06 | 2017-06-22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Puncture repair kit |
EP3103629B1 (en) * | 2014-02-25 | 2022-02-09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Tire puncture repair kit |
US9457367B2 (en) * | 2014-09-19 | 2016-10-04 | Min-Hsieng Wang | Tire repair solution can |
TWI647129B (zh) * | 2015-04-23 | 2019-01-11 | 周文三 | 空氣壓縮機裝置 |
KR102330046B1 (ko) | 2015-09-02 | 2021-11-23 | 액티브 툴스 인터내셔널 (에이치케이) 리미티드. | 공기 팽창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JP6493121B2 (ja) | 2015-09-29 | 2019-04-03 | 横浜ゴム株式会社 |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およびパンク修理キット |
JP6900786B2 (ja) * | 2017-05-26 | 2021-07-07 | 横浜ゴム株式会社 | パンク修理キット用容器 |
CN111699087B (zh) | 2018-02-15 | 2022-04-19 | 横滨橡胶株式会社 | 漏气轮胎修补液容纳容器以及漏气轮胎修补工具包 |
US20210354408A1 (en) * | 2020-05-18 | 2021-11-18 | Illinois Tool Works Inc. | Sealant bottle cap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846451C5 (de) | 1998-10-08 | 2018-08-23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Vorrichtung zum Abdichten aufblasbarer Gegenstände, insbesondere Reifen |
JP3875523B2 (ja) * | 2001-07-19 | 2007-01-31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パンクシーリング剤の収容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パンク修理システム |
DE20115003U1 (de) * | 2001-09-11 | 2003-02-06 | Dunlop GmbH, 63450 Hanau | Abdichtsystem |
EP1463626B1 (en) * | 2001-11-15 | 2007-12-26 | Even Honour International Limited | A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an inflatable object |
TW581150U (en) * | 2003-03-26 | 2004-03-21 | Kurt Kemppainen | Inflating device |
JP4210149B2 (ja) * | 2003-05-14 | 2009-01-14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及びポンプアップ装置 |
ITTO20040121A1 (it) * | 2004-02-27 | 2004-05-27 | Tek Srl | Contenitore per un liquido sigillante per la riparazione di oggetti gonfiabili, in particolare pnematici, e kit di riparazione provvisto di tale contenitore |
JP4392292B2 (ja) * | 2004-06-01 | 2009-12-24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小型簡易コンプレッサ装置 |
JP4133945B2 (ja) * | 2004-06-28 | 2008-08-13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タイヤのパンクシーリング剤送給、抜取り装置 |
KR100586409B1 (ko) * | 2004-08-03 | 2006-06-08 | 이광수 | 수동식 공기압축펌프 |
DE102004060662A1 (de) * | 2004-12-15 | 2006-07-06 |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 Sytem zum Abdichten aufblasbarer Gegenstände, insbesondere Reifen |
US20080145245A1 (en) * | 2004-12-22 | 2008-06-19 | Wen-San Chou | Compressor for tire inflating combination |
CN101291799B (zh) * | 2005-09-13 | 2012-01-11 | 曲岱尔研究控股有限公司 | 密封装置的改进 |
JP4519065B2 (ja) * | 2005-11-29 | 2010-08-04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
JP4777832B2 (ja) | 2006-06-20 | 2011-09-21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
JP4871106B2 (ja) * | 2006-06-20 | 2012-02-08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
US7789112B1 (en) * | 2006-11-09 | 2010-09-07 | Wise Robert W | Method and system for inflating an inflatable object |
JP2008307861A (ja) * | 2007-06-18 | 2008-12-25 | Bridgestone Corp |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
US8276624B2 (en) * | 2008-01-31 | 2012-10-02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ealant bottle snap-in feature for vehicle temporary mobility kit |
ITTO20070776A1 (it) | 2007-10-31 | 2009-05-01 | Tek Global Srl | Kit per la riparazione e il gonfiaggio di articoli gonfiabili provvisto di un dispositivo di controllo |
JP4705655B2 (ja) * | 2008-03-25 | 2011-06-22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タイヤの一体型パンク修理装置 |
JP4914394B2 (ja) * | 2008-03-25 | 2012-04-11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タイヤのパンク修理装置 |
US8020588B2 (en) * | 2008-09-11 | 2011-09-20 | Min-Hsieng Wang | Tire repair solution can |
US8997801B2 (en) * | 2009-11-04 | 2015-04-07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Puncture repair kit |
US8746293B2 (en) * | 2011-10-12 | 2014-06-10 | Wen San Chou |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
TWI456130B (zh) * | 2011-11-02 | 2014-10-11 | Wen San Chou | 車載用空氣壓縮機之串接軟管的接頭結構 |
-
2010
- 2010-10-20 EP EP10828193.2A patent/EP2497629B1/en active Active
- 2010-10-20 WO PCT/JP2010/068452 patent/WO201105563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10-20 CN CN201080049250.4A patent/CN102596548B/zh active Active
- 2010-10-20 KR KR1020127013866A patent/KR10181421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10-20 US US13/508,005 patent/US8684046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5982A (ko) * | 2017-01-17 | 2019-03-12 |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97629A1 (en) | 2012-09-12 |
EP2497629A4 (en) | 2014-04-30 |
CN102596548A (zh) | 2012-07-18 |
EP2497629B1 (en) | 2016-12-14 |
US8684046B2 (en) | 2014-04-01 |
KR101814217B1 (ko) | 2018-01-02 |
CN102596548B (zh) | 2015-04-22 |
US20130138146A1 (en) | 2013-05-30 |
WO2011055633A1 (ja) | 2011-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02665A (ko) | 펑크 수리 킷 | |
KR101775740B1 (ko) | 펑크 수리 킷 | |
US7178564B2 (en) | Supplying/removing apparatus of puncture sealant of tire | |
JP3184445U (ja) | 車載用空気圧縮機の直列接続フレキシブル管の継手構造 | |
US8596310B2 (en) | Sealing and pump-up device | |
US20130199666A1 (en) | Puncture repair kit | |
TW201637903A (zh) | 空氣壓縮機裝置 | |
EP3950289A1 (en) | Apparatus for sealing and/or inflating objects and self-closing screw coupling | |
JP5716241B2 (ja) | パンクシーリング剤を収容したボトル容器のキャップ | |
JP5364171B2 (ja) | パンク修理キット | |
JP5364079B2 (ja) | パンク修理キット | |
JP5374319B2 (ja) | パンク修理キット | |
JP5357703B2 (ja) | パンク修理キット | |
JP5357704B2 (ja) | パンク修理キット | |
JP5374318B2 (ja) | パンク修理キット | |
JP5416550B2 (ja) | パンク修理キット | |
JP2011189559A (ja) |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 |
JP5357702B2 (ja) | パンク修理キット | |
JP5421734B2 (ja) | パンク修理キ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