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740B1 - 펑크 수리 킷 - Google Patents

펑크 수리 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740B1
KR101775740B1 KR1020127013864A KR20127013864A KR101775740B1 KR 101775740 B1 KR101775740 B1 KR 101775740B1 KR 1020127013864 A KR1020127013864 A KR 1020127013864A KR 20127013864 A KR20127013864 A KR 20127013864A KR 101775740 B1 KR101775740 B1 KR 10177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bottle
compressor
locking
compress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775A (ko
Inventor
요시히데 고지마
분조 슈
야스히로 이토
Original Assignee
유닉 월드 인더스트리즈 컴퍼니 리미티드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53262A external-priority patent/JP53577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53258A external-priority patent/JP5416550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닉 월드 인더스트리즈 컴퍼니 리미티드,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닉 월드 인더스트리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8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4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29C73/025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fe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틀 유닛이 높은 안정성을 갖고 위치되는 펑크 수리 킷을 제공한다. 펑크 수리 킷(1)은 압축기 장치(2), 및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보틀 용기(4)의 개구부(5)에 뚜껑(6)이 부착된 보틀 유닛(3)을 갖춘다. 압축기 장치(2)는 압축공기 토출구(8)를 갖춘다. 뚜껑(6)은 압축공기 토출구(8)로부터의 압축공기를 보틀 용기(4) 내로 보내는 공기 흡입구(27) 및 압축공기의 주입에 의해 보틀 용기(4)로부터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배출시키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를 갖춘다. 압축공기 토출구(8)와 공기 흡입구(27)는 직접 접속 가능하다.

Description

펑크 수리 킷{PUNCTURE REPAIR KIT}
본 발명은, 펑크난 타이어에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주입해 펑크를 응급 수리하는 타이어의 펑크 수리 킷에 관한 것이다.
펑크를 응급 수리하는 펑크 수리 킷의 한 예로 아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펑크난 타이어에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주입하여 타이어를 팽창시킨다. 그 후, 그 상태로 타이어를 주행시킴으로써 펑크 실링제가 타이어의 내강면 전체 둘레에 피복되어 펑크 구멍을 응급 밀폐시킨다.
이러한 종류의 수리 킷은, 도 2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축기 장치(a) 및 보틀 유닛(d)을 구비하고, 이 보틀 유닛은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보틀 용기(b)와 이 보틀 용기(b)의 개구부에 부착된 뚜껑(c)을 포함한다. 이 뚜껑(c)은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토출구로부터 보틀 용기(b) 내로 보내는 공기 흡입구(c1)와, 이 압축공기의 흡입에 의해 보틀 용기(b)로부터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배출시키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c2)를 포함한다. 공기 흡입구(c1)에는 압축기 장치(a)로부터의 공기 공급 호스(e1)가 연결된다.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c2)에는, 일단이 타이어(T)의 공기 밸브와 연결된 피딩 호스(e2)의 타단이 연결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08215호 공보
이러한 수리 킷은, 보틀 유닛(d)을 거꾸로 세운 상태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a. 보틀 유닛(d)의 높이가 높고,
b. 수납성을 고려할 때, 바닥에 닿게 되는 뚜껑(c)의 저면의 직경을 충분히 크게 설정하는 것이 어려우며,
c. 호스(e1, e2)가 연결되어 있어서, 이 호스(e1, e2)에 밀려 횡방향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작업중에 보틀 유닛(d)이 넘어지기 쉽다. 따라서 펑크 수리의 작업성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 장치의 압축공기 토출구와 보틀 유닛의 공기 흡입구를 호스 등을 개입시키지 않고 직접 접속시킴으로써, 보틀 유닛의 안정성을 높여 보틀 유닛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펑크 수리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펑크 수리 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펑크 수리 킷은
압축기 장치와 보틀 유닛을 구비하고, 이 보틀 유닛은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보틀 용기와 이 보틀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된 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 장치는 압축공기를 토출시키는 압축공기 토출구를 갖춘다.
상기 뚜껑은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토출구로부터 보틀 용기 내로 보내는 공기 흡입구, 및 이 압축공기의 흡입에 의해 보틀 용기로부터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배출시키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를 갖춘다.
압축공기 토출구와 공기 흡입구 중의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접속 노즐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접속 노즐이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로 형성되어, 압축공기 토출구와 공기 흡입구가 직접 접속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 토출구가 호스 등의 개재 없이 공기 흡입구와 직접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보틀 유닛이 압축기 장치와 일체화되어 낮은 무게중심을 갖는다. 또한, 보틀 유닛은 압축기 장치로부터의 어떠한 공기 공급 호스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아, 공기 공급 호스가 가하는 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로 인해 안정성이 높아지고 보틀 유닛이 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공급 호스를 배제함에 따라, 원가 절감 및 공간 절약의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펑크 수리 킷을 이용해 펑크 수리를 실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압축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그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압축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그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압축공기 토출구와 공기 흡입구의 접속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압축공기 토출구와 공기 흡입구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뚜껑과 보틀 용기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보틀 용기의 동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가이드 홈 및 그 기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압축기 장치와 보틀 유닛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a 및 12b는 압축기 장치 및 보틀 유닛의 외접 직육면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13c는 그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피딩 호스의 보관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의 펑크 수리 킷의 압축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압축공기 토출구와 공기 흡입구의 접속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뚜껑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탈락 방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탈락 방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탈락 방지 작업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펑크 수리 킷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실시예의 펑크 수리 킷(1)은 압축기 장치(2) 및 보틀 유닛(3)을 구비한다. 보틀 유닛(3)은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보틀 용기(4) 및 그 개구부(5; 도 8에 나타냄)에 부착된 뚜껑(6)을 구비한다. 그리고, 펑크의 수리시에 압축기 장치(2)와 보틀 유닛(3)은 어떤 호스의 개재도 없이 직접 접속된다.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가 보틀 유닛(3)에 마련된다. 피딩 호스(29)는 그 일단이 타이어(T)의 공기 밸브(Tv)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에 접속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압축기 장치(2)는 하우징(9) 내부에 적어도 모터(M) 및 모터(M)에 연결된 피스톤(10)과의 사이에 펌프실(11)을 형성하는 실린더(12)를 구비하는 압축기 본체(13)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9)은, 사방이 측부 패널(14a)로 둘러싸이고 그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측 패널(14U)과 하측 패널(14L)로 닫힌, 실질적으로 높이가 낮은 편평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9)은 상하 케이스부가 분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모터(M)로는, 자동차의 12볼트 직류 전원으로 작동하는, 시판되는 여러 종류의 DC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모터(M)에는, 자동차의 시가 라이터 소켓에 접속 가능한 전원 플러그(15)를 첨단에 구비한 전원 코드가, 상기 하우징(9)의 상측 패널(14U)에 부착된 전원 스위치(SW)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전원 플러그(15)는 상기 하측 패널(14L)에 마련된 리세스(도시하지 않음) 내에 자유롭게 꺼낼 수 있도록 수납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압축기 본체(13)는 크랭크 기구(17)를 통해 상기 모터(M)에 연결되는 피스톤(10)과, 이 피스톤(10)을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피스톤(10)과의 사이에 공기를 압축하는 펌프실(11)을 형성하는 실린더(12)를 갖춘다. 피스톤(10)에는, 이 피스톤(10)을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는 흡기구멍(19A)과 펌프실 쪽으로부터 탄성적인 방식으로 이 흡기구멍(19A)을 막는 밸브(19B)를 갖춘 흡기밸브(19)가 형성된다. 밸브(19B)는 탄성체(예를 들어 고무, 합성수지, 금속 등)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12)는, 상기 펌프실(11)을 구비한 실린더 본체(20)의 후단 측에 서지 탱크실(21A)을 형성하여 펌프실(11)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피스톤(10)에 의한 압력 맥동을 억제하기 위해 실린더 서브파트(21)를 일체로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서지 탱크실(21A)은 실린더 본체(20)의 후단을 밀폐시키는 격벽(20A)에 형성된 작은 구멍(20A1)을 통해 펌프실(11)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서브파트(21) 둘레벽에는, 압축공기를 토출시키는 압축공기 토출구(8)가 돌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 서브파트(21) 둘레벽에는 또한, 압력계(22)가 부착되는 제1 연결부(24A) 및 릴리프 밸브(23)가 부착되는 제2 연결부(24B)가 각각 방향을 달리해 돌출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8)는, 상기 실린더 서브파트(21)로부터 제1 측부 패널(14a1)을 향해 돌출된 원통형부(25)를 갖춘다. 원통형부(25) 내부에는, 상기 서지 탱크실(21A)로부터 뻗은 토출 유로(26)가 형성된다. 토출 유로(26)는 그 개구단측에 상기 보틀 유닛(3)의 공기 흡입구(27)에 접속되는 감합 오목부(28)를 갖춘다. 감합 오목부(28)는, 내경이 일정한 평행 구멍부분(28A)의 앞뒤로 실린더 서브파트(21)를 향해 테이퍼진 원뿔형을 이루는 전방 테이퍼면(28B) 및 후방 테이퍼면(28C)을 연속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보틀 유닛(3)은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보틀 용기(4) 및 그 개구부(5)에 부착된 뚜껑(6)을 포함한다. 보틀 유닛(3)은 뚜껑(6)이 아래로 향하도록 거꾸로 선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 장치(2)에 직접 접속된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보틀 용기(4)에는 동체부(30) 하단에 펑크 실링제를 출납할 수 있는 내경이 작은 원통형의 개구부(5)가 돌출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동체부(30)의 높이 방향과 직각인 횡단면이, 보틀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호 형상의 한 쌍의 장변부(30A) 및 볼록한 호 형상의 한 쌍의 단변부(30B)로 사면이 둘러싸인 실질적인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장변부(30A)의 길이를 W, 장변부(30A)의 곡률 반경을 RW, 단변부(30B)의 길이를 D, 단변부(30B)의 곡률 반경을 RD라 할 때, 이 값들은 아래 식 (1) 내지 (3)을 만족한다.
1.3 ≤ W/D ≤ 1.7 ------ (1)
0.5 ≤ RW/W ≤ 3.0 ------ (2)
0.5 ≤ RD/D ≤ 20.0 ------ (3)
펑크 수리 킷(1)의 차량 내, 예를 들어 트렁크 내에의 수납성을 고려하면, 상기 압축기 장치(2)가 실질적인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므로, 보틀 용기(4)의 동체부(30)도 실질적인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펑크 수리시에는 예를 들어 350 kPa에 가까운 높은 내압이 보틀 용기(4)에 작용한다. 이 때, 동체부(3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동체부(30)가 내압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균등하게 팽창한다. 따라서, 압축공기가 찰 때의 변형을 인식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불안감은 낮아진다. 반면, 동체부(30)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라면, 내압에 의한 팽창이 균등하지 않아 단면이 사각형으로부터 원형으로 팽창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그 변형이 실제보다 큰 것처럼 느끼게 된다. 따라서, 그 변형이 내압 범위 내라도, 사용자에게 폭발 등의 불안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변부(30A)와 단변부(30B)를 각각 볼록한 호 형상으로 하여, 팽창시의 변형된 형상에 가깝게 형성하였다. 따라서, 수납성을 향상시키면서, 팽창시의 변형이 사용자에게 크게 느껴지지 않아, 사용자의 불안감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 전술한 불안감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장변측의 팽창량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변측의 길이(W)는 크게 설정하고, 곡률 반경(RW)은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D 비가 1.3 미만이거나 RW/W 비가 3.0을 초과하면, 상기 길이 W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거나, 또는 곡률 반경(RW)이 커져 장변측의 팽창량 증가를 초래한다. 반면 상기 W/D 비가 1.7을 초과하거나 RW/W 비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수납성이 악화된다. 또, RD/D 비가 20.0을 초과하면, 단변측의 팽창량이 증가되고, 압축공기 충전시의 변형이 커진다. 반대로, RD/D 비가 0.5 미만이면, 수납성이 악화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W/D 비의 하한은 1.4 이상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1.6 이하가 바람직하다. RW/W 비의 하한은 0.7 이상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RD/D 비의 하한은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1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장변부(30A)와 단변부(30B)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응력 집중을 완화해 내압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곡률 반경 15 mm ± 5 mm의 원호(30C)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뚜껑(6)은,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8)로부터의 압축공기를 보틀 용기(4) 내로 보내는 공기 흡입구(27) 및 이 압축공기의 흡입에 의해 보틀 용기(4)로부터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배출시키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뚜껑(6)은, 저면(6S)을 이루는 저판부(31)와, 상기 보틀 용기(4)의 개구부(5)에 결합되는 보틀 결합부(32)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잘록부(33)를 일체로 갖추는 뚜껑 본체부(6A)를 구비한다. 또, 이 뚜껑 본체부(6A) 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27)로부터 보틀 용기(4)의 개구부(5) 내로 뻗는 공기 유로(35) 및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로부터 보틀 용기(4)의 개구부(5) 내로 뻗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36)가 형성된다.
상기 보틀 결합부(32)는, 상기 개구부(5)를 고정하는 결합 오목부(32A) 및 이 결합 오목부(32A)의 저면으로부터 융기하는 보스부(32B)를 갖춘다. 또한 결합 오목부(32A)는, 그 내벽면에 마련된 내측 나사를 통해 개구부(5)를 나선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보스부(32B)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 유로(35)의 상단이 개구되는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 및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36)의 상단이 개구되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상부 개구(38)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 유로(35)는, 상기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로부터 아래로 뻗는 수직 공기 유로(35a) 및 이 수직 공기 유로(35a)와 교점(P)에서 직교하고 교점(P)으로부터 공기 흡입구(27)까지 뻗는 수평 공기 유로(35b)를 구비한다. 수직 공기 유로(35a)의 교점(P)을 아래로 넘어선 하단부에,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로부터 펑크 실링제가 역류한 경우에, 역류하는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실링제 수용부(39)가 형성된다. 실링제 수용부(39)는 수직 공기 유로(35a)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펑크 수리시에, 사용자는 먼저 펑크 수리 킷(1)을 이용해 펑크난 타이어(T)에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주입하여 타이어를 펌핑한다. 그 후, 사용자는, 압축기 장치(2)와 보틀 유닛(3)이 접속된 상태로 타이어(T)로부터 분리된 펑크 수리 킷(1)을 일단 차내에 싣고, 펑크 구멍을 밀봉하기 위해 약 10분 정도 주행한다. 마지막으로, 펑크 수리 킷(1)을 다시 타이어(T)에 접속해, 공기압을 점검하고 보충하여 펑크 수리 작업을 종료한다. 이러한 펑크 수리 과정에서, 실링제가 충전된 후의 보틀 유닛(3)은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진동한다. 이로 인해, 보틀 유닛(3) 내부에 잔류하는 펑크 실링제가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로부터 압축기 장치(2)로 역류해, 압축기 장치(2)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펑크 실링제가 압축기 장치(2)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링제 수용부(39)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실링제 수용부(39)의 용량은 보틀 유닛(3) 내에 잔류하는 실링제의 용량과 비슷해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5 내지 15 cc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 용량이 5 cc 미만이면, 역류한 실링제를 다 수용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15 cc를 초과하는 용량은 무용하며, 뚜껑(6)의 불필요한 대형화, 즉 수납성의 악화를 초래한다.
전술한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로부터의 역류를 억제하기 위해서, 상기 수직 공기 유로(35a)의 상단에는 내경을 줄이는 조임부(35a1)를 마련해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의 내경(Da1)을 1.0 내지 2.0 mm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점(P)에서, 수직 공기 유로(35a)의 내경(Da)은 수평 공기 유로(35b)의 내경(Db)보다 크게 설정되고, 이를 통해 수직 공기 유로(35a)로부터 수평 공기 유로(35b)로의 역류를 억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공기 유로(35b)의 내경(Db)은 대략 3.0 내지 5.0 mm이다. 또한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로부터의 역류를 억제하기 위해,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의 위치를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상부 개구(38)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상부 개구(38)로부터 측정한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의 높이(h)는 5.0 내지 7.0 mm가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제 수용부(39)는 뚜껑(6)의 저면(6S)에서 개방되고, 이 개구는 저면(6S)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수용부 뚜껑(40)에 의해서 밀폐된다.
전술한 공기 흡입구(27)는 상기 잘록부(33)로부터 압축공기 토출구(8)를 향해 돌출되는 접속 노즐(41)을 갖춘다. 따라서, 접속 노즐(41)이 상기 감합 오목부(28)에 감합되므로, 압축공기 토출구(8)와 공기 흡입구(27)가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접속 노즐(41)은 외경이 일정한 노즐 본체(41A)의 첨단에 테이퍼진 원뿔형의 테이퍼면(41B)을 갖춘다. 이 테이퍼면(41B)은, 상기 감합 오목부(28)의 후방 테이퍼면(28C)과 거의 동일한 경사를 이룬다. 따라서, 후방 테이퍼면(28C)은, 접속 노즐(41)을 감합 오목부(28) 내에 삽입할 때, 테이퍼면(41B)에 접해 테이퍼면(41B)을 받아들이는 노즐 수용면부(42)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노즐(41)이 감합 오목부(28)와 동심을 이루는 정확한 위치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감합 오목부(28)의 전방 테이퍼면(28B)은, 접속 노즐(41)을 삽입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상기 접속 노즐(41)에는, 상기 노즐 본체(41A)의 외주에, 상기 감합 오목부(28)의 내면(본 실시예에서는 평행 구멍부분(28A)의 내면)과 접속 노즐 사이를 밀폐시키는 O링(43)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실한 밀폐를 위해 두 개의 O링(43)을 장착했을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소모품인 O링(43)을 보틀 유닛(3) 측에 배치하였으므로, 압축기 장치(2)를 유지보수 없이 반복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펑크 수리 킷(1)에는, 펑크 타이어의 수리중에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8)와 공기 흡입구(27)가 분리되어 펑크 실링제가 주위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34)가 구비된다.
이 고정 장치(34)는, 상기 뚜껑(6)에 형성되는 로킹 장치(34A) 및 압축기 장치(2)에 형성되는 탈락 방지 장치(34B)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킹 장치(34A)는, 상기 공기 흡입구(27)의 접속 노즐(41)의 양측(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에서 압축기 장치(2)를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로킹 클로(45)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탈락 방지 장치(34B)는, 로킹 클로(45)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로킹 클로(45)와 결합해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클로 결합 구멍(46)을 갖춘다.
상기 로킹 클로(45)에는, 상기 뚜껑 본체부(6A)로부터 접속 노즐(41)을 향해 평행하게 뻗는 메인부(45A)의 첨단에, 직각삼각형 형태의 후크부(45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클로 결합 구멍(46)은 후크부(45B)와 결합한다.
로킹 클로(45)와 뚜껑 본체부(6A)는, 플라스틱(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혹은 이것들에 유리섬유 등의 단섬유를 배합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일체의 성형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로 결합 구멍(46)은 상기 감합 오목부(28)를 구성하는 상기 원통형부(25)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47)을 구비한다. 프레임(47)과 원통형부(25) 및 실린더(12)는, 경량 합금(예를 들면 아연 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성된 일체의 성형체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축기 장치(2)의 상기 하우징(9)에, 막대형 지그(48; 예를 들면 스크루 드라이버 등)를 상기 로킹 클로(45)와 상기 클로 결합 구멍(46)의 결합부(J)로 유도해 그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49)을 마련하고 있다. 가이드 홈(49)은, 결합부(J)를 향해 경사진 홈 바닥(49S)을 가이드 면으로 한 경사진 홈이다. 이 가이드 홈(49)에 의해, 홈 바닥(49S)과 그 양측의 홈 측벽면 사이에서, 막대형 지그(48)를 결합부(J)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로킹 클로(45)는 상기 후크부(45B)를 바깥쪽을 향하여 구비하므로, 막대형 지그(48)로 후크부(45B)를 안쪽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보틀 유닛(3)을 압축기 장치(2)에 밀어넣음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8; 본 실시예에서는 감합 오목부(28))와 공기 흡입구(27;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노즐(41))의 직접 접속 및 상기 로킹 클로(45)와 클로 결합 구멍(46)의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 때, 밀어넣는 힘은 2 내지 10 kgf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kgf을 초과하면 조작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2 kgf 미만에서는 고정이 약해져, 타이어를 충전할 때의 내압에 의해서 접속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펑크 수리 킷(1)에서는, 압축기 장치(2)와 보틀 유닛(3)이 호스류의 개재 없이 직접 접속된다. 또한 이 접속 상태에서, 양자는 로킹 클로(45)와 클로 결합 구멍(46)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따라서, 보틀 유닛(3)이 압축기 장치(2)와 일체화해 무게중심을 낮춤에 따라, 설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보틀 유닛(3)은 압축기 장치(2)로부터의 공기 공급 호스와 접속되지 않으므로, 공기 공급 호스에 의해서 밀리는 일도 없어 보틀 유닛이 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직접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6)의 저면(6S)과 압축기 장치(2)의 저면(2S)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접지 면적이 늘어나고, 압축기 작동시에 노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설치 안정성뿐만 아니라 접지 진동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틀 유닛(3)은, 압축기 장치(2)의 일 측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부 패널(14a1) 측에 직접 접속된다. 이 때,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 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측부 패널(14a1))과 직각 방향의 상기 뚜껑(6)의 저면(6S)의 폭(Wa)이, 전술한 직각 방향의 보틀 용기(4)의 폭(W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납성을 고려하면, 폭(Wa)은 폭(W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펑크 수리 킷(1)의 전도의 피벗점(P0)은 뚜껑(6) 저면(6S)의 전술한 직각 방향의 바깥 에지점(edge point)과 일치한다. 따라서, 피벗점(P0)이 전술한 직각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할수록 전도 모멘트가 높아져, 펑크 수리 킷이 쉽게 넘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폭(Wa)과 폭(Wb)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면, 수납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전도 방지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축기 장치(2)가 제1 폭(W1)이 제2 폭(W2)보다 넓은 장방형을 이루는 경우, 단변을 이루는 측부 패널(14a1) 측에 보틀 유닛(3)을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축기 장치(2)의 무게중심(2G)과 보틀 유닛(3)의 무게중심(3G) 사이의 거리 L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도 모멘트가 높아진다. 따라서, 펑크 수리 킷은 잘 넘어지지 않게 된다.
압축기 장치(2)의 일 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측부 패널(14a1))에는, 상기 보틀 유닛(3)의 외면 형상과 일치하여 보틀 유닛(3)의 안착을 안정시키는,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오목부(53; 도 2 및 도 3 참조)가 형성된다.
도 12a 및 1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납성을 고려하면, 상기 보틀 유닛(3)은 이 보틀 유닛(3)의 표면에 외접하는 보틀측 외접 직육면체(50)의 3변(50a, 50b, 50c) 중 2변의 길이를, 상기 압축기 장치(2)의 표면에 외접하는 압축기측 외접 직육면체(51)의 3변(51d, 51e, 51f) 중 2변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 13a 내지 13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틀측 외접 직육면체(50)와 압축기측 외접 직육면체(51)를 평평하게 겹쳐 쌓을 수 있어, 수납 공간의 낭비를 줄이고 차량 내에의 수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7)에는 상기 피딩 호스(29)가 접속된다. 이 피딩 호스(29)는, 미 사용시에는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잘록부(33) 주위에 감겨져 보관된다.
미 사용시에 보틀 용기(4) 내의 펑크 실링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틀 유닛(3)에는, 도 8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보스부(32B)에 끼워 맞춤되어 공기 유로 상부 개구(37) 및 실링제·압축공기 배출 유로 상부 개구(38)를 각각 막는 내부 마개(52)가 구비되어 있다. 내부 마개(52)는 압축기 장치(2)로부터의 압축공기로 인한 압력 상승에 의해 보스부(32B)로부터 벗겨질 수 있다.
펑크 수리 킷(1)의 제2 실시예를 도 15 내지 도 21에 나타낸다. 제2 실시예의 펑크 수리 킷(1)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8)가 상기 접속 노즐(41)로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공기 흡입구(27)가 상기 감합 오목부(28)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합 오목부(28)는, 상기 접속 노즐(41)을 향해 돌출된 원통형부(25)의 중심 구멍(25H)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 감합 오목부(28)는, 내경이 일정한 평행 구멍부분(28A) 및 그 안쪽으로 이어지는 테이퍼진 원뿔형의 테이퍼 구멍부분(28B)을 포함한다. 감합 오목부(28)는 접속 노즐(41)과 감합 가능하며 그 축심(i1) 둘레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뚜껑(6)에는, 원통형부(25)의 주위에, 이 원통형부(25)의 축심(i1)의 양측으로 방사상으로 뻗는 한 쌍의 로킹 판부(6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킹 판부(61)가 원통형부(25)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로킹 판부(61)에는 로킹 구멍(61H)이 그 두께 방향으로 뚫려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킹 구멍(61H)에 스프링성을 갖게 해 탄성변형 가능케 하기 위해서, 로킹 구멍(61H)에 실질적으로 C자 형상을 갖는 노치부(notched part; 61A)를 마련하였다. 로킹 판부(61)의 축심(i1) 방향 첨단은 상기 원통형부(25)의 첨단보다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접속 노즐(41)은, 상기 실린더 서브파트(21)로부터 뻗어나온 관형 연결부(24C)의 바깥에 끼워지는 설치 원통부(60A)의 첨단에, 테이퍼진 노즐 본체(60B)를 일체로 갖추고, 상기 압축기 장치(2)의 일 측면(14aS)에 돌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치 원통부(60A)에는 일 측면(14aS)을 따라서 플레어부(60C)가 부설된다. 이 플레어부(60C)를 일 측면(14aS)에 고정(예를 들어 나사 고정)함으로써, 접속 노즐(41)은 압축기 장치(2)에 일체로 고정된다. 노즐 본체(60B)는, 외경이 일정한 메인부(60B1) 및 그 첨단에 이어지는 원뿔형의 테이퍼부(60B2)를 포함하며, 이 메인부(60B1)의 외주에는 감합 오목부(28)와의 틈을 밀폐시키는 O링(43)이 부착된다.
상기 압축기 장치(2)에는 탈락 방지 장치(64)가 구비된다. 이 탈락 방지 장치(64)에서는, 접속 노즐(41)을 감합 오목부(28) 내에 삽입시켜 접속 노즐(41)과 감합 오목부(28)를 감합시킨다. 이어서,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보틀 유닛(3)을 압축기 장치(2)에 대해서 작은 각도(α)로 상대적으로 축심(i1)의 둘레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탈락 방지 장치(64)가 상기 로킹 구멍(61H)과 결합하여, 접속 노즐(41)이 감합 오목부(28)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탈락 방지 장치(64)는, 상기 접속 노즐(41)의 축심(i2)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1, 제2 홈 측벽(S1, S2)을 구비하는 부채꼴 형상의 한 쌍의 삽입 오목부(65)를 갖춘다.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삽입 오목부(65)는, 상기 제1, 제2 홈 측벽(S1, S2) 사이에 로킹 판부(61)를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홈 측벽(S1)은, 보틀 유닛(3)의 상기 상대적 회전(K)에 의해서 상기 로킹 판부(61)와 접할 수 있어, 이에 의해 회전의 종단 위치가 규제된다. 제1 홈 측벽(S1)에는, 그에 접하는 로킹 판부(61)의 상기 로킹 구멍(61H)에 감합하여 상기 감합 오목부(28)의 접속 노즐(41)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 돌기(66)가 돌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돌기(66)는, 로킹 구멍(61H)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일정한 외경을 갖는 기초부(66A)와 테이퍼진 원뿔형부(66B)의 사이에, 상기 로킹 구멍(61H)보다 다소 큰 외경을 갖는 플랜지(66C)를 구비한다. 이 플랜지(66C)는, C자 형상의 로킹 구멍(61H)의 스프링성에 의해서 로킹 구멍(61H)을 통과할 수 있고, 그 통과시의 저항에 의해서 제1 홈 측벽(S1)과 로킹 판부(61)의 접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홈 측벽(S2)은, 삽입 오목부(65)의 바닥(65S)에 가까울수록 제1 홈 측벽(S1)과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67)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67)은, 상기 로킹 판부(61)를 삽입 오목부(65) 내에 삽입할 때의 안내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 노즐(41)과 감합 오목부(28)의 직접 접속과 동시에 그 탈락 방지 작업이 이루어지고, 제2 실시예에서는, 직접 접속 후에 보틀 유닛(3)을 압축기 장치(2)에 대해서 작은 각도(α)로 상대적으로 축심(i1)의 둘레에서 회전시킴으로써 탈락 방지 작업이 이루어진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접속 작업과는 다른 동작에 의해서 탈락을 방지하므로, 사용자에게 탈락 방지 작업의 실시 여부를 충분히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탈락 방지 작업의 미 실시 또는 불완전 실시에 의하여 펑크 수리중에 접속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66)와 로킹 구멍(61H)의 결합 상태(Y)에서, 상기 압축기 장치(2)의 저면(2S)과 뚜껑(6)의 저면(6S)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접지 면적이 커지고 노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설치 안정성뿐만 아니라 압축기 진동시의 진동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탈락 방지 작업이 불완전한 경우, 저면(2S, 6S)이 서로 어긋나게 되므로, 사용자는 탈락 방지 작업이 불완전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탈락 방지 작업에 있어서의 상대적 회전(K)의 상기 각도(α)는 10∼30°가 적합하다. 각도(α)가 10° 미만이면 탈락 방지 작업의 불완전성을 인식시키기가 어렵다. 30°를 초과하면, 작업 난이도가 높아져 확실성이 손상된다. 각도(α)를 10∼30°로 하기 위해서 제1, 제2 홈 측벽(S1, S2)간의 각도(β)를 15∼3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탈락 방지 장치(64)와 접속 노즐(41)을 플라스틱(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혹은 이것들에 단섬유 등을 배합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일체의 성형체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접속 노즐(41)을, 예를 들면 실린더(12)와 일체로 형성해, 탈락 방지 장치(64)와는 별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 펑크 수리 킷 2: 압축기 장치
3: 보틀 유닛 4: 보틀 용기
5: 개구부 6: 뚜껑
7: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 8: 압축공기 토출구
9: 하우징 10: 피스톤
11: 펌프실 12: 실린더
13: 압축기 본체 17: 크랭크 기구
25: 원통형부 25H: 중심 구멍
27: 공기 흡입구 28: 감합 오목부
41: 접속 노즐 41B: 테이퍼면
42: 노즐 수용면부 43: O링
45: 로킹 클로 46: 클로 결합 구멍
48: 막대형 지그 49: 가이드 홈
61: 로킹 판부 61H: 로킹 구멍
64: 탈락 방지 장치 65: 삽입 오목부
66: 결합 돌기 67: 경사면
i1: 축심 J: 결합부
M: 모터 S1, S2: 제1, 제2 홈 측벽

Claims (11)

  1. 압축기 장치와,
    펑크 실링제를 수용하는 보틀 용기 및 이 보틀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된 뚜껑을 포함하는 보틀 유닛을 갖추는 펑크 수리 킷으로서;
    상기 압축기 장치는 압축공기를 토출시키는 압축공기 토출구를 갖추고;
    상기 뚜껑은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로부터의 압축공기를 보틀 용기 내로 보내는 공기 흡입구 및 이 압축공기의 흡입에 의해 상기 보틀 용기로부터 펑크 실링제와 압축공기를 차례로 배출시키는 실링제·압축공기 배출구를 갖추며;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와 상기 공기 흡입구 중의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접속 노즐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접속 노즐이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와 상기 공기 흡입구가 직접 접속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압축기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크랭크 기구를 개재시켜 접속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피스톤과의 사이에서 공기를 압축하는 펌프실을 형성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압축기 본체를 갖추며;
    상기 실린더에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가 상기 접속 노즐로 형성되고, 그 외주에, 상기 감합 오목부의 내면과의 사이를 밀폐하는 O링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의 양측에 한 쌍의 로킹 클로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 장치에는, 상기 로킹 클로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로킹 클로와 결합하여 상기 직접 접속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 장치와 보틀 유닛을 고정하는 클로 결합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막대형 지그를 상기 로킹 클로와 상기 클로 결합 구멍의 결합부로 유도해 로킹 클로와 클로 결합 구멍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와 상기 공기 흡입구의 직접 접속 및 상기 로킹 클로와 클로 결합 구멍의 결합은, 보틀 유닛을 압축기 장치에 밀어넣음에 의해서 동시에 이루어지며;
    이 때의 밀어넣는 힘을 2 내지 10kgf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노즐은, 그 첨단에 원뿔형의 테이퍼면을 갖추며, 상기 감합 오목부는, 상기 테이퍼면에 접해 상기 테이퍼면을 받아들이는 원뿔형의 노즐 수용면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토출구가 상기 접속 노즐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가 상기 감합 오목부로 형성되고;
    상기 감합 오목부는 상기 접속 노즐을 향해 돌출된 원통형부의 중심 구멍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부의 주위에는, 상기 감합 오목부의 축심의 양측에서 방사상으로 뻗는 판 모양을 이루고 그 두께 방향으로 로킹 구멍이 뚫려있는 한 쌍의 로킹 판부가 돌출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 장치에는, 상기 접속 노즐을 감합 오목부 내에 삽입해 감합시킨 후, 상기 축심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통해 상기 보틀 유닛을 압축기 장치에 대해서 작은 각도(α)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로킹 구멍과 결합해 상기 감합 오목부의 접속 노즐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장치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장치는, 상기 접속 노즐의 축심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1, 제2 홈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제2 홈 측벽 사이에 각각 상기 로킹 판부를 삽입할 수 있는 부채꼴 형상의 한 쌍의 삽입 오목부를 갖추며;
    상기 제1 홈 측벽은, 상기 보틀 유닛의 상기 상대적 회전에 의해서 상기 로킹 판부와 접할 수 있고,
    상기 제1 홈 측벽에는, 상기 접한 로킹 판부의 상기 로킹 구멍에 감합하여 상기 감합 오목부의 접속 노즐로부터 상기 보틀 유닛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 측벽은, 삽입 오목부의 바닥에 가까울수록 제1 홈 측벽과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장치와 상기 로킹 구멍의 결합시에, 상기 압축기 장치의 저면과 상기 뚜껑의 저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 킷.
KR1020127013864A 2009-11-04 2010-10-20 펑크 수리 킷 KR101775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3262 2009-11-04
JPJP-P-2009-253258 2009-11-04
JP2009253262A JP5357702B2 (ja) 2009-11-04 2009-11-04 パンク修理キット
JP2009253258A JP5416550B2 (ja) 2009-11-04 2009-11-04 パンク修理キット
PCT/JP2010/068451 WO2011055632A1 (ja) 2009-11-04 2010-10-20 パンク修理キ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775A KR20120088775A (ko) 2012-08-08
KR101775740B1 true KR101775740B1 (ko) 2017-09-06

Family

ID=4396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864A KR101775740B1 (ko) 2009-11-04 2010-10-20 펑크 수리 킷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97801B2 (ko)
EP (1) EP2497628B1 (ko)
KR (1) KR101775740B1 (ko)
CN (1) CN102596549B (ko)
WO (1) WO2011055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2833B2 (en) * 2008-11-04 2013-09-03 Wen San Chou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CA2748499C (en) * 2009-01-07 2015-03-03 Trydel Research Pty. Ltd. Apparatus for repairing and inflating of damaged inflatable articles
EP2497629B1 (en) * 2009-11-04 2016-12-14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uncture repair kit
EP3521113B1 (en) * 2011-01-28 2022-08-03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Compressor device
TWI482908B (zh) * 2011-03-07 2015-05-01 Wen San Chou Air compressor for vehicle
JP5568068B2 (ja) * 2011-09-20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KR20140110836A (ko) 2011-10-11 2014-09-17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펑크 수리액의 주입 방법 및 주입 장치
JP5568101B2 (ja) * 2012-02-03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一体型のパンク修理キット
EP2918834B1 (en) * 2012-10-26 2017-12-13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Compressor and flat tire repair kit using same
JP5321727B1 (ja) 2012-12-20 2013-10-23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装置
EP3093132A4 (en) * 2014-02-06 2017-09-13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uncture repair kit
WO2015129124A1 (ja) * 2014-02-25 2015-09-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パンク修理キット
DE102014205067A1 (de) 2014-03-19 2015-09-2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Abdichten und Aufpumpen aufblasbarer Gegenstände
DE102014205071A1 (de) * 2014-03-19 2015-09-2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Abdichten und Aufpumpen aufblasbarer Gegenstände
US9457367B2 (en) * 2014-09-19 2016-10-04 Min-Hsieng Wang Tire repair solution can
TWI583572B (zh) * 2014-11-18 2017-05-21 周文三 汽車破損輪胎之急救裝置
JP6613368B2 (ja) 2015-09-02 2019-11-27 アクティブ ツール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ホンコン)リミティド 空気注入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るタイヤ修理機
KR102301517B1 (ko) 2015-10-12 2021-09-14 탑 얼라이언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병마개 및 그 사용법
EP3687778A4 (en) * 2017-09-25 2021-05-26 Active Tools International (HK) Ltd. TIRE REPAI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1179A2 (en) 2006-06-20 2008-01-03 Tek Global S.R.L. Kit for repairing and inflating inflatable articles
JP2008307861A (ja) 2007-06-18 2008-12-25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09226891A (ja) 2008-03-25 2009-10-0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一体型パンク修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16453U1 (de) * 1997-09-12 1999-01-21 Alusuisse Bayrisches Druckguß-Werk GmbH & Co. KG, 85570 Markt Schwaben Reparatursatz zum Reifenflicken
DE19846451C5 (de) 1998-10-08 2018-08-23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Vorrichtung zum Abdichten aufblasbarer Gegenstände, insbesondere Reifen
DE20115003U1 (de) 2001-09-11 2003-02-06 Dunlop Gmbh Abdichtsystem
US6789581B2 (en) * 2002-10-31 2004-09-14 Interdynamics, Inc. Apparatus for sealing, inflating, and repairing tires
JP4392292B2 (ja) * 2004-06-01 2009-12-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小型簡易コンプレッサ装置
DE102004060662A1 (de) 2004-12-15 2006-07-06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Sytem zum Abdichten aufblasbarer Gegenstände, insbesondere Reifen
US7389800B2 (en) * 2005-03-25 2008-06-24 Accessories Marketing, Inc. Orientation-independent fluid delivery apparatus
CN2915479Y (zh) * 2006-02-28 2007-06-27 郑州大学 自动充气补胎胶的耐压注胶装置
ITTO20060166A1 (it) * 2006-03-07 2007-09-08 Tek Srl Kit automatico di riparazione e gonfiaggio per oggetti gonfiabili provvisto di una valvola selettrice
JP4777832B2 (ja) * 2006-06-20 2011-09-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US7798183B2 (en) * 2006-10-26 2010-09-21 Illinois Tool Works Inc. Integrated compressor-tire sealant injection device with large mouth sealant container
US20080230142A1 (en) * 2007-03-19 2008-09-25 Scott Noble Hickman Tire sealant and air dispenser apparatus with a sealing mechanism
US8276624B2 (en) * 2008-01-31 2012-10-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lant bottle snap-in feature for vehicle temporary mobility kit
US8146622B2 (en) * 2007-08-20 2012-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witch and hose-valve connection arrangement for vehicle temporary mobility kit
US20090107578A1 (en) * 2007-10-29 2009-04-30 Saul Trachtenberg Tire sealant dispensing apparatus
DE202007016242U1 (de) * 2007-11-21 2008-01-31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mit einer Schaltmarkierung zum Abdichten und Aufpumpen aufblasbarer Gegenstände
EP2261011A4 (en) * 2008-03-25 2014-04-30 Sumitomo Rubber Ind REPAIR TIRE FOR TIRE TENSIONS
JP4914394B2 (ja) * 2008-03-25 2012-04-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パンク修理装置
JP4793418B2 (ja) * 2008-09-22 2011-10-12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補修液収容容器
JP4766093B2 (ja) * 2008-09-22 2011-09-07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補修液収容容器
WO2010047231A1 (ja) * 2008-10-20 2010-04-29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シーリング剤収容容器およびパンク修理装置
US8297944B2 (en) * 2008-11-04 2012-10-30 Wen San Chou Air compressor having quick coupling device
US8522833B2 (en) * 2008-11-04 2013-09-03 Wen San Chou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EP2497629B1 (en) * 2009-11-04 2016-12-14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uncture repair kit
US9010383B2 (en) * 2010-03-12 2015-04-21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Cap unit for a tire puncture repair apparatus
US8671995B2 (en) * 2010-07-02 2014-03-18 Wen San Chou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US8297321B2 (en) * 2010-07-02 2012-10-30 Wen San Chou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WO2012060296A1 (ja) * 2010-11-05 2012-05-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パンク修理キット
EP3521113B1 (en) * 2011-01-28 2022-08-03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Compressor device
TWI482908B (zh) * 2011-03-07 2015-05-01 Wen San Chou Air compressor for vehicle
US8746293B2 (en) * 2011-10-12 2014-06-10 Wen San Chou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1179A2 (en) 2006-06-20 2008-01-03 Tek Global S.R.L. Kit for repairing and inflating inflatable articles
JP2008307861A (ja) 2007-06-18 2008-12-25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09226891A (ja) 2008-03-25 2009-10-0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一体型パンク修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6549B (zh) 2014-09-10
EP2497628A1 (en) 2012-09-12
EP2497628A4 (en) 2014-04-30
KR20120088775A (ko) 2012-08-08
US8997801B2 (en) 2015-04-07
WO2011055632A1 (ja) 2011-05-12
EP2497628B1 (en) 2019-01-02
US20130000777A1 (en) 2013-01-03
CN102596549A (zh)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740B1 (ko) 펑크 수리 킷
KR101814217B1 (ko) 펑크 수리 킷
JP3184445U (ja) 車載用空気圧縮機の直列接続フレキシブル管の継手構造
US8596310B2 (en) Sealing and pump-up device
JP5716241B2 (ja) パンクシーリング剤を収容したボトル容器のキャップ
JP5364171B2 (ja) パンク修理キット
JP5364079B2 (ja) パンク修理キット
JP5357703B2 (ja) パンク修理キット
JP5357704B2 (ja) パンク修理キット
JP5374319B2 (ja) パンク修理キット
JP5374318B2 (ja) パンク修理キット
JP5357702B2 (ja) パンク修理キット
JP5416550B2 (ja) パンク修理キット
JP2012006346A (ja) キャップユニット
JP2010234795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5261276B2 (ja) 液剤ユニット及び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5421734B2 (ja) パンク修理キット
JP2012158117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11189947A (ja) キャッ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