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454A -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454A
KR20120098454A KR1020120018398A KR20120018398A KR20120098454A KR 20120098454 A KR20120098454 A KR 20120098454A KR 1020120018398 A KR1020120018398 A KR 1020120018398A KR 20120018398 A KR20120018398 A KR 20120018398A KR 20120098454 A KR20120098454 A KR 20120098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tread
main
inclined groov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유키 마츠나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2Tread patterns directional pattern, i.e. with main roll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60C11/03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by the void or net-to-gross ratios of the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74Slant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about 5 to 35 degr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1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motorcycles, scoo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종 안정 성능 및 배수 성능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할 수 있다.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1)이다. 트레드부(2)에는, 메인 경사홈(11)과 보조 경사홈(12)이 형성된다. 메인 경사홈(11)은, 일측(E1)에서부터 타측(E2)까지 뻗는 제1 메인 경사홈(11A)과, 타측(E2)에서부터 일측(E1)까지 뻗는 제2 메인 경사홈(11B)을 포함한다. 보조 경사홈(12)은, 제1 메인 경사홈(11A)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보조 경사홈(12A)과, 제2 메인 경사홈(11B)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보조 경사홈(12B)을 포함한다. 또한, 트레드부(2)는, 타이어 적도(C)에서부터 트레드단까지를 10등분함으로써 구분되는 각 트레드 소영역(T1?T10)의 랜드비(L1?L10)가 70%?90% 이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MOTORCYCLE TIRE}
본 발명은, 조종 안정 성능 및 배수 성능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속도로망의 정비나 자동 이륜차의 고출력화에 따라,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에 있어서도 조종 안정 성능의 향상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런 유형의 타이어에 있어서,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트레드부의 랜드비를 증대시켜, 그립 주행이 가능한 한계 성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트레드부의 랜드비를 과도하게 크게 하면, 트레드부에 형성되는 홈 면적이 감소하여, 배수 성능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에 있어서, 이러한 이율 배반의 성능을 양립시키기 위해서, 하기 특허문헌 1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11-29171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에서는, 타이어 적도에서부터 트레드단에 걸쳐 연속해서 뻗는 복수의 경사홈을 형성하고, 타이어 적도와 트레드단 사이의 반(半)트레드면을 3등분한 각 영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를 일정 범위로 규정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는, 조종 안정 성능과 배수 성능을 일부 향상시킬 수 있지만, 한층 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상에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트레드부에, 제1 메인 경사홈과 제2 메인 경사홈을 포함하는 메인 경사홈, 및 제1 보조 경사홈과 제2 보조 경사홈을 포함하는 보조 경사홈을 형성하고, 트레드부를 작은 구획으로 구분한 각 트레드 소영역의 랜드비를 일정 범위로 규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조종 안정 성능 및 배수 성능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트레드부에서부터 사이드월부를 지나 비드부의 비드 코어에 이르는 카커스와, 이 카커스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이면서 트레드부 안쪽에 배치되고 또한 벨트 코드를 나선형으로 감은 벨트층을 구비한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로서, 상기 트레드부에는, 메인 경사홈과 보조 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경사홈은,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이 타이어 적도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단에서부터 타이어 적도의 타측까지 뻗는 제1 메인 경사홈과,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이 타이어 적도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단에서부터 타이어 적도의 일측까지 뻗는 제2 메인 경사홈을 포함하고, 또한, 제1 메인 경사홈과 제2 메인 경사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경사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1 메인 경사홈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 메인 경사홈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타이어 적도의 타측의 트레드부에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을 갖는 메인부를 포함하는 제1 보조 경사홈과,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2 메인 경사홈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2 메인 경사홈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타이어 적도의 일측의 트레드부에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을 갖는 메인부를 포함하는 제2 보조 경사홈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트레드부는, 정규 림에 림조립하며 또한 정규 내압이 충전된 무부하의 정규 상태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에서부터 그 타이어 적도와 직교하면서 트레드단까지의 트레드부의 바깥면을 따르는 트레드 바깥면 반길이를 10등분함으로써 구분되는 각 트레드 소영역의 랜드비가 70%?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트레드 소영역은, 가장 타이어 적도 측에서부터 가장 트레드단 측까지의 제1 내지 제10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부터 제8 영역에 있어서, 각 랜드비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가 7% 이내인 청구항 1에 기재한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메인 경사홈은, 상기 내측단을 향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가 점차 감소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트레드 소영역은, 가장 타이어 적도 측에서부터 가장 트레드단 측까지의 제1 내지 제10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경사홈은, 상기 제1 영역에서부터 제8 영역까지의 구간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10도?35도로 경사지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트레드 소영역은, 가장 타이어 적도 측에서부터 가장 트레드단 측까지의 제1 내지 제10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경사홈의 상기 메인부의 내측단은, 제2 영역 내에 있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보조 경사홈의 상기 메인부의 외측단은, 제10 영역 내에 있는 청구항 5에 기재한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트레드 소영역은, 가장 타이어 적도 측에서부터 가장 트레드단 측까지의 제1 내지 제10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경사홈의 메인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부터 제8 영역까지의 구간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10도?35도로 경사지는 청구항 6에 기재한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거절이 없는 한, 타이어의 각 부의 치수 등은, 정규 림에 림조림되고 또한 정규 내압이 충전된 무부하의 정규 상태에 있어서 특정되는 값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정규 림」이란, 타이어가 기초하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그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는 림이며, 예컨대 JATMA라면 "표준 림", TRA라면 "Design Rim", ETRTO라면 "Measuring Rim"으로 한다.
또한, 「정규 내압」이란, 타이어가 기초하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각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공기압이며, JATMA라면 "최고 공기압", TRA라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치, ETRTO라면 "INFLATION PRESSURE"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는, 트레드부에서부터 사이드월부를 지나 비드부의 비드 코어에 이르는 카커스와, 이 카커스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이면서 트레드부 안쪽에 배치되고 또한 벨트 코드를 나선형으로 감은 벨트층을 구비한다. 또한, 트레드부에는 메인 경사홈과 보조 경사홈이 형성된다.
메인 경사홈은,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이 타이어 적도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단에서부터 타이어 적도의 타측까지 뻗는 제1 메인 경사홈과,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이 타이어 적도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단에서부터 타이어 적도의 일측까지 뻗는 제2 메인 경사홈을 포함한다. 이들 제1 메인 경사홈과 제2 메인 경사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다.
또한, 보조 경사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1 메인 경사홈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제1 메인 경사홈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타이어 적도의 타측의 트레드부에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을 갖는 메인부를 포함하는 제1 보조 경사홈과,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2 메인 경사홈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제2 메인 경사홈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타이어 적도의 일측의 트레드부에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을 갖는 메인부를 포함하는 제2 보조 경사홈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 경사홈 및 보조 경사홈은, 트레드부의 트레드면과 노면 사이에 개재하는 수막(水膜)을 트레드단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레드부는, 정규 림에 림조립하고 또한 정규 내압이 충전된 무부하의 정규 상태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에서부터 그 타이어 적도와 직교하면서 트레드단까지의 트레드부의 바깥면을 따르는 트레드 바깥면 반길이를 10등분함으로써 구분되는 각 트레드 소영역의 랜드비가 70%?90%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트레드부는, 각 트레드 소영역의 랜드비가 일정한 범위 내로 한정되기 때문에, 타이어 적도에서부터 트레드단에 걸쳐 패턴의 강성 변화를 매끄럽게 할 수 있어,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상기 각 트레드 소영역의 랜드비가 70%?90%로 한정되기 때문에, 직진할 때는 물론 선회할 때에 있어서도 배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그립 주행이 가능한 선회시의 한계 성능을 높일 수 있어, 조종 안정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를 도시하는 트레드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타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5는 비교예 1, 2, 5의 트레드 전개도이다.
도 6은 비교예 6의 트레드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이하, 단순히 「타이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1)는, 트레드부(2)에서부터 사이드월부(3)를 지나 비드부(4)의 비드 코어(5)에 이르는 카커스(6)와, 이 카커스(6)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이면서 트레드부(2)의 안쪽에 배치되는 벨트층(7)을 구비하고, 타이어 회전 방향(R)이 지정된 트레드 패턴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타이어(1)는, 캠버 앵글이 큰 선회시에 있어서도 충분한 접지 면적을 얻을 수 있도록, 트레드부(2)의 트레드단(2t, 2t) 사이의 바깥면(2S)이,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만곡하여 뻗고, 트레드단(2t, 2t) 사이의 타이어 축 방향 거리인 트레드 폭(TW)이 타이어 최대 폭을 이룬다.
상기 카커스(6)는, 트레드부(2)에서부터 사이드월부(3)를 지나 비드부(4)에 매설된 비드 코어(5)에 이르는 본체부(6a)와, 이 본체부(6a)에 연속해 있으면서 비드 코어(5)가 돌아 꺾여 접힌 꺾음부(6b)를 갖는 적어도 1장의 카커스 플라이(6A)를 포함하고, 본 예에서는 2장의 카커스 플라이(6A, 6B)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카커스 플라이(6A, 6B)는, 각각의 카커스 코드가 타이어 적도(C)에 대하여, 예컨대 65도?90도의 각도로 경사져 배열된다. 또한, 각 카커스 플라이(6A, 6B)의 카커스 코드는, 동일 각도이고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짐으로써 교차하고 있다. 또한, 카커스 코드에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또는 레이온 등의 유기 섬유 코드 등이 적합하게 채용된다.
또한, 카커스 플라이(6A, 6B)의 본체부(6a)와 꺾임부(6b) 사이에는, 예컨대 경질의 고무로 이루어지는 비드 에이펙스(8)가 배치된다. 또한, 각 꺾임부(6b)는, 각각 타이어 반경 방향으로 높이를 다르게 하여 종단하여, 사이드월부(3)에 큰 강성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벨트층(7)은, 벨트 코드를,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예컨대 5도 이하의 각도로 나선형으로 감은 적어도 1장, 본 실시형태에서는 1장의 조인트리스(jointless) 구조의 벨트 플라이(7A)를 포함한다. 이 벨트 코드에는, 나일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아라미드 등의 유기 섬유 코드, 또는 스틸 코드 등이 적합하게 채용된다. 이러한 벨트 플라이(7A)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이음매가 없기 때문에, 타이어의 균등성(uniformity)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고속 안정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 벨트 플라이(7A)의 전개 폭(W1)은, 예컨대 트레드 전개 폭(TWe)의 75%?90%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개 폭(W1)은, 상기 정규 상태에 있어서, 벨트 플라이(7A)의 타이어 축 방향의 외측단(7t, 7t) 사이의 전개 길이로 하고, 트레드 전개 폭(TWe)은, 트레드단(2t, 2t) 사이의 트레드부 바깥면의 전개 길이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트레드부(2)는, 도 1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상기 정규 상태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C)에 대하여 일측의 트레드부(이하, 단순히 「일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E1), 및 타이어 적도(C)에 대하여 타측의 트레드부(이하, 단순히 「타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E2)의 각각이, 타이어 적도(C)에서부터 그 타이어 적도(C)와 직교하면서 트레드단(2t)까지의 트레드부(2)의 바깥면(2S)을 따르는 트레드 바깥면 반길이(TWs)가 10등분됨으로써, 10개의 트레드 소영역(T)으로 가상적으로 구분된다. 각 트레드 소영역(T)은, 가장 타이어 적도(C) 측에서부터 가장 트레드단(2t) 측까지, 제1 영역(T1) 내지 제10 영역(T10)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랜드비(L1?L10)가 70%?90%로 각각 설정된다.
여기서, 랜드비(L1?L10)는, 각 트레드 소영역(T1?T10)에 있어서, 트레드부(2)의 바깥면(2S)의 모든 홈을 메운 상태에서 측정되는 표면적에 대한 랜드 부분의 접지 면적의 비율로 나타내어진다.
상기와 같은 랜드비를 실현하기 위해서, 트레드부(2)에는, 타이어 적도(C)에서부터 트레드단(2t) 측으로 타이어 회전 방향(R)의 후착측(S2)에서부터 선착측(S1)으로 경사져 뻗는 메인 경사홈(11)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메인 경사홈(11, 11) 사이에, 그 메인 경사홈(11)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뻗는 보조 경사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경사홈(11)은,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11Ai)이 일측(E1)에 위치하고, 그 내측단(11Ai)에서부터 타측(E2)까지,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으로 올라가는 경사로 뻗는 제1 메인 경사홈(11A)과,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11Bi)이 타측(E2)에 위치하고 그 내측단(11Bi)에서부터 일측(E1)까지,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으로 올라가는 경사로 뻗는 제2 메인 경사홈(11B)을 포함한다. 이들 제1, 제2 메인 경사홈(11A, 11B)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제2 메인 경사홈(11A, 11B)의 홈 폭(W3)은, 예컨대 3.5 mm?5.5 mm 정도, 최대 홈 깊이(D3)(도 2에 도시함)가 4.0 mm?5.0 mm 정도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메인 경사홈(11A)은, 도 3에 확대하여 도시되는 것과 같이, 그 내측단(11Ai)이 일측(E1)의 제1 영역(T1)에 위치하고, 그 외측단(11Ao)이 타측(E2)의 제10 영역(T10)에서 종단하고 있다.
또한, 제1 메인 경사홈(11A)은, 타측(E2)의 제1 영역(T1)에서부터 제8 영역(T8)까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θ1a)를 점차 증가시키면서 매끄럽게 만곡하여 뻗는 내홈부(15A)와, 그 내홈부(15A)에서부터 외측단(11Ao)까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θ1b)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매끄럽게 만곡하여 뻗는 외홈부(16A)를 포함하며, 대략 역S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제2 메인 경사홈(11B)은, 도 4에 확대하여 도시되는 것과 같이, 그 내측단(11Bi)이 타측(E2)의 제1 영역(T1)에 위치하고, 그 외단(11Bo)이 일측(E1)의 제10 영역(T10)에서 종단하고 있다.
또한, 제2 메인 경사홈(11B)도, 제1 메인 경사홈(11A)과 마찬가지로, 일측(E1)의 제1 영역(T1)에서부터 제8 영역(T8)까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θ2a)를 점차 증가시키면서 뻗는 내홈부(15B)와, 그 내홈부(15B)에서 외측단(11Bo)까지 각도(θ2b)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뻗는 외홈부(16B)를 포함하며, 대략 S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메인 경사홈(11A) 및 제2 메인 경사홈(11B)은, 도 3, 도 4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타이어 적도(C)에 교차하고, 각 외측단(11Ao, 11Bo)이 트레드단(2t, 2t) 측까지 뻗기 때문에, 타이어 적도(C) 근방이 주로 접지하는 직진 주행시부터 큰 캠버 앵글이 주어지는 선회시까지, 트레드부(2)의 바깥면(2S)과 노면 사이에 개재하는 수막을 트레드단(2t, 2t)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메인 경사홈(11A, 11B)은, 상기한 것과 같이 대략 역S자형, 또는 대략 S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측단(11Ai, 11Bi)에서부터 외측단(11Ao, 11Bo)에 걸쳐서 패턴의 강성 변화를 매끄럽게 하여, 롤(roll)시의 과도 특성을 높일 수 있어,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패턴의 강성 변화를 효과적으로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 제1, 제2 메인 경사홈(11A, 11B)의 각 내홈부(15A, 15B)(제1 영역(T1)에서부터 제8 영역(T8)까지의 구간)의 각도(θ1a, θ2a)는, 10도?35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θ1a, θ2a)가 10도 미만이면, 트레드부(2)의 접지 면적이 과도하게 커져, 조타가 과도하게 가벼워져 조종 안정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각도(θ1a, θ2a)가 35도를 넘으면, 트레드부(2)의 접지 면적이 과도하게 저하되어, 조타가 무겁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각도(θ1a, θ2a)는, 바람직하게는 12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도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20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도 이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1, 제2 메인 경사홈(11A, 11B)은, 내측단(11Ai, 11Bi)을 향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θ1a, θ2a)가 점차 감소하고, 타이어 회전 방향(R)의 후착측(S2)으로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뻗기 때문에, 패턴의 강성 단차를 보다 매끄럽게 할 수 있어, 조종 안정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보조 경사홈(12)은, 도 1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1 메인 경사홈(11A, 11A)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보조 경사홈(12A)과,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2 메인 경사홈(11B, 11B)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보조 경사홈(12B)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제2 보조 경사홈(12A, 12B)의 홈 폭(W4)은, 예컨대 3.5 mm?6.5 mm 정도, 최대 홈 깊이(D4)(도 2에 도시함)는 4.0 mm?5.0 mm 정도로 설정된다.
상기 제1 보조 경사홈(12A)은, 도 3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제1 메인 경사홈(11A)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메인부(19A)와, 이 메인부(19A)의 외측단(19Ao)에서 꺾여 접혀 타이어 적도(C) 측으로 경사져 뻗는 서브부(20A)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메인부(19A)는, 그 내측단(19Ai)이 타측(E2)의 제2 영역(T2)에 위치하고, 그 외측단(19Ao)이 타측(E2)의 제10 영역(T10)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메인부(19A)는, 제2 영역(T2)에서부터 제10 영역(T10)까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θ3a)를 점차 증가시키면서 매끄럽게 만곡하여 뻗는다.
또한, 상기 서브부(20A)는, 그 외측단(20Ao)이 메인부(19A)의 외측단(19Ao)에 연속해 있고, 그 내측단(20Ai)이 타측(E2)의 제9 영역(T9)에서 종단하고 있다. 또한, 서브부(20A)는, 외측단(20Ao)에서부터 내측단(20Ai)까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θ3b)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뻗고 있다. 이 각도(θ3b)는, 예컨대 35도?55도 정도로 설정된다.
상기 제2 보조 경사홈(12B)은, 도 4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제2 메인 경사홈(11B)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메인부(19B)와, 이 메인부(19B)의 외측단(19Ao)에서 꺾여 접혀 타이어 적도(C) 측으로 경사져 뻗는 서브부(20B)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부(19B)는, 그 내측단(19Bi)이 일측(E1)의 제2 영역(T2)에 위치하고, 그 외측단(19Bo)이 일측(E1)의 제10 영역(T10)에 위치하고, 제2 영역(T2)에서부터 제10 영역(T10)까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θ4a)를 점차 증가시키면서 매끄럽게 만곡하여 뻗는다.
또한, 상기 서브부(20B)는, 그 외측단(20Bo)이 메인부(19B)의 외측단(19Bo)에 연속해 있고, 그 내측단(20Bi)이 일측(E1)의 제9 영역(T9)에서 종단한다. 또한, 서브부(20B)는, 외측단(20Bo)에서부터 내측단(20Bi)까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θ4b)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뻗고 있다. 이 각도(θ4b)는 제1 보조 경사홈(12A)의 서브부(20A)의 각도(θ3b)와 동일 범위에 설정된다.
이러한 제1 보조 경사홈(12A) 및 제2 보조 경사홈(12B)은, 제1, 제2 메인 경사홈(11A, 11B)과 함께, 트레드부(2)의 바깥면(2S)과 노면 사이에 개재하는 수막을, 트레드단(2t)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하여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패턴의 강성 변화를 매끄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서브부(20A, 20B)는, 트레드단(2t) 측이 주로 접지하는 큰 캠버 앵글이 주어지는 선회시까지, 노면의 수막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배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패턴의 강성 변화를 효과적으로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 각 메인부(19A, 19B)(적어도, 제2 영역(T2)에서부터 제8 영역(T8)까지의 구간까지)의 각도(θ3a, θ4a)는, 제1, 제2 메인 경사홈(11A, 11B)의 내홈부(15A, 15B)의 각도(θ1a, θ2a)와 동일 범위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제2 보조 경사홈(12A, 12B)은, 각 메인부(19A, 19B)의 내측단(19Ai, 19Bi) 및 각 서브부(20A, 20B)의 내측단(20Ai, 20Bi)이, 타이어 회전 방향(R)의 후착측(S2)으로 끝이 가는 형상으로 뻗기 때문에, 패턴의 강성 단차를 보다 매끄럽게 하여, 조종 안정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트레드부(2)는, 상기한 것과 같이, 각 트레드 소영역(T1?T10)의 랜드비(L1?L10)가 일정한 범위 내로 한정되기 때문에, 타이어 적도(C)에서부터 트레드단(2t)에 걸쳐 패턴의 강성 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매끄럽게 할 수 있어, 롤시의 과도 특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트레드 소영역(T1?T10)의 랜드비(L1?L10)가 70%?90%로 한정되기 때문에, 직진시는 물론 선회시에도, 홈 면적이 유지되어 배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드라이 그립 성능 및 웨트 그립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각 트레드 소영역(T1?T10)의 랜드비(L1?L10)가 70% 미만이면, 드라이 그립 성능을 충분히 높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랜드비(L1?L10)가 90%를 넘으면, 홈 면적이 과도하게 감소되어, 배수 성능 및 웨트 그립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랜드비(L1?L10)는 바람직하게는 7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3%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8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7% 이하이다.
또한, 제1 영역(T1)에서부터 제8 영역(T8)에 있어서, 각 랜드비(L1?L8)의 최대치(Lm)와 최소치(Ls)의 차(Lm-Ls)가 7%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영역(L1)에서부터 제8 영역(L8)에 있어서의 패턴의 강성 변화를 효과적으로 매끄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롤시의 과도 특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차(Lm-Ls)가 7%를 넘으면, 상기와 같은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차(Lm-Ls)는, 바람직하게는 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양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도 2에 도시하는 기본 구조를 이루고, 표 1에 나타내는 메인 경사홈 및 보조 경사홈을 갖는 타이어를 제조하여, 이들의 성능을 평가했다.
또한, 비교로서, 도 5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메인 경사홈 및 보조 경사홈이 제8 영역에서 종단하는 타이어(비교예 1, 2, 5)나, 도 6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메인 경사 메인홈 및 보조 경사홈의 내측단이 제3 영역에 위치하는 타이어(비교예 6)에 대해서도 같은 식으로 평가했다. 또한, 2장의 컷트 플라이를 포함하는 벨트층이 배치되는 타이어(비교예 1)에 대해서도 같은 식으로 평가했다. 한편, 공통 사양은 다음과 같다.
타이어 사이즈 : 전륜 : 120/70ZR17
후륜 : 190/50ZR17
림 사이즈 : 전륜 : MT3.50×17
후륜 : MT6.00×17
트레드 폭(TW) : 120 mm
트레드 전개 폭(TWe) : 168 mm
카커스 플라이 : 카커스 코드의 코드 재질 : 레이온
카커스 코드의 구조 : 1840 dtex/2
벨트 플라이 : 전개 폭(W1) : 140 mm
벨트 코드의 코드 재질 : 스틸
벨트 코드의 구조 : 3×3×0.17 mm
비(W1/TWe) : 83%
메인 경사홈 : 최대 홈 깊이(D3) : 4.5 mm
보조 경사홈 : 최대 홈 깊이(D4) : 4.5 mm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수 성능, 웨트 그립 성능>
각 시험 제공 타이어를, 상기 림에 림조립하고 또한 내압(전륜 : 250 kPa, 후륜 : 290 kPa)을 충전하여, 배기량 1000 cc의 자동 이륜차에 장착하고, 물을 뿌린 테스트 코스를 돌았을 때의 「배수 성능」 및 「웨트 그립 성능」을 드라이버에 의한 관능 평가에 의해 5점법으로 평가했다. 평가는 수치가 클수록 양호하다.
<조종 안정 성능(드라이 그립 성능, 경쾌성, 롤시의 과도 특성, 조타의 과도 특성) 및 고속 안정 성능>
각 시험 제공 타이어를 상기 림에 상기 조건으로 림조립하고, 상기 차량에 장착하여, 드라이 아스팔트 노면의 테스트 코스를 돌았을 때의 「드라이 그립 성능」, 「경쾌성」, 「롤시의 특성」, 「조타의 과도 특성」 및 「고속 안정 성능」을 드라이버에 의한 관능 평가에 의해 5점법으로 평가했다. 평가는 수치가 클수록 양호하다.
테스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테스트 결과, 실시예의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는, 조종 안정 성능 및 배수 성능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2 : 트레드부
11 : 메인 경사홈 12 : 보조 경사홈
T1?T10 : 트레드 소영역

Claims (7)

  1. 트레드부에서부터 사이드월부를 지나 비드부의 비드 코어에 이르는 카커스와, 이 카커스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이면서 트레드부 안쪽에 배치되며 또한 벨트 코드를 나선형으로 감은 벨트층을 구비한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로서,
    상기 트레드부에는, 메인 경사홈과 보조 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경사홈은,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이 타이어 적도의 일측에 위치하고 그 내측단에서부터 타이어 적도의 타측까지 뻗는 제1 메인 경사홈과,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이 타이어 적도의 타측에 위치하고 그 내측단에서부터 타이어 적도의 일측까지 뻗는 제2 메인 경사홈
    을 포함하고,
    제1 메인 경사홈과 제2 메인 경사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경사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1 메인 경사홈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제1 메인 경사홈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타이어 적도의 타측의 트레드부에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을 갖는 메인부를 포함하는 제1 보조 경사홈과,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2 메인 경사홈 사이에 배치되면서 그 제2 메인 경사홈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타이어 적도의 일측의 트레드부에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을 갖는 메인부를 포함하는 제2 보조 경사홈
    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부는, 정규림에 림조립하고 정규 내압이 충전된 무부하의 정규 상태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에서부터 그 타이어 적도와 직교하면서 트레드단까지의 트레드부의 바깥면을 따르는 트레드 바깥면 반길이를 10등분함으로써 구분되는 각 트레드 소영역의 랜드비가 7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소영역은, 가장 타이어 적도 측에서부터 가장 트레드단 측까지의 제1 내지 제10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부터 제8 영역에 있어서, 각 랜드비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는 7% 이내인 것인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경사홈은, 상기 내측단을 향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인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소영역은, 가장 타이어 적도 측에서부터 가장 트레드단 측까지의 제1 내지 제10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경사홈은, 상기 제1 영역에서부터 제8 영역까지의 구간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10도?35도로 경사지는 것인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소영역은, 가장 타이어 적도 측에서부터 가장 트레드단 측까지의 제1 내지 제10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경사홈의 상기 메인부의 내측단은, 제2 영역 내에 있는 것인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경사홈의 상기 메인부의 외측단은, 제10 영역 내에 있는 것인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소영역은, 가장 타이어 적도 측에서부터 가장 트레드단 측까지의 제1 내지 제10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경사홈의 메인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부터 제8 영역까지의 구간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10도?35도로 경사지는 것인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KR1020120018398A 2011-02-25 2012-02-23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KR201200984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40431A JP5314718B2 (ja) 2011-02-25 2011-02-25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JP-P-2011-040431 2011-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454A true KR20120098454A (ko) 2012-09-05

Family

ID=4565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398A KR20120098454A (ko) 2011-02-25 2012-02-23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10389B2 (ko)
EP (1) EP2492116B1 (ko)
JP (1) JP5314718B2 (ko)
KR (1) KR20120098454A (ko)
CN (1) CN102649388B (ko)
BR (1) BR102012004286A2 (ko)
RU (1) RU2012108060A (ko)
TW (1) TWI54248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9567A (zh) * 2014-06-11 2014-09-10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一种摩托车充气轮胎胎面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2018B2 (ja) * 2012-10-16 2015-06-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5824490B2 (ja) 2013-09-20 2015-11-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6502689B2 (ja) * 2015-01-30 2019-04-1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6393222B2 (ja) * 2015-03-18 2018-09-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モーターサイクル用タイヤ
JP6581371B2 (ja) * 2015-03-20 2019-09-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6420709B2 (ja) * 2015-04-09 2018-11-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20180201069A1 (en) * 2015-07-31 2018-07-19 Bridgestone Corporation Motorcycle pneumatic tire
JP6719874B2 (ja) * 2015-07-31 2020-07-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ITUB20153767A1 (it) * 2015-09-21 2017-03-21 Pirelli Pneumatico per motocicli
JP1547644S (ko) * 2015-10-22 2016-04-11
JP1547642S (ko) * 2015-10-22 2016-04-11
USD781776S1 (en) * 2015-10-22 2017-03-21 Bridgestone Corporation Motorcycle tire
CN108602386B (zh) * 2015-10-30 2021-10-01 倍耐力轮胎股份公司 用于自行车车轮的轮胎
ITUB20154793A1 (it) * 2015-11-04 2017-05-04 Pirelli Pneumatico per ruote di motocicli.
USD834501S1 (en) * 2016-04-15 2018-11-27 Cooper Tire & Rubber Company Tire tread
JP6825309B2 (ja) 2016-11-04 2021-02-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及びそれを装着した自動三輪車
CN108891204A (zh) * 2018-07-25 2018-11-27 建大橡胶(中国)有限公司 钢丝结构防爆摩托车轮胎
JP7251219B2 (ja) * 2019-03-05 2023-04-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7310174B2 (ja) * 2019-03-05 2023-07-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14069B (en) * 1982-02-01 1985-09-18 Avon Tyres Ltd Motorcycle tyre tread
JPH05201207A (ja) * 1992-01-27 1993-08-10 Bridgestone Corp モーターサイクル用空気入りタイヤ
JP3495593B2 (ja) 1998-04-07 2004-02-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前輪用タイヤ
JP2001030719A (ja) * 1999-07-23 2001-02-06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US20060130949A1 (en) * 2002-08-09 2006-06-22 Tsutomu Nakamura Pneumatic tire for two-wheeled motor vehicle
US20100126645A1 (en) * 2007-04-13 2010-05-27 Samuel Santana Barboza Motorcycle tires and method to improve performance and wear resistance of motorcycle tires
BRPI0823375B1 (pt) * 2008-12-24 2021-05-18 Pirelli Tyre S.P.A. pneu para motocicletas
JP5250021B2 (ja) * 2010-12-27 2013-07-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タイ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9567A (zh) * 2014-06-11 2014-09-10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一种摩托车充气轮胎胎面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2116A3 (en) 2013-03-13
US20120216929A1 (en) 2012-08-30
JP5314718B2 (ja) 2013-10-16
JP2012176680A (ja) 2012-09-13
BR102012004286A2 (pt) 2015-03-24
US9010389B2 (en) 2015-04-21
TWI542483B (zh) 2016-07-21
EP2492116B1 (en) 2014-08-06
TW201242798A (en) 2012-11-01
EP2492116A2 (en) 2012-08-29
CN102649388B (zh) 2015-12-09
RU2012108060A (ru) 2013-08-27
CN102649388A (zh)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8454A (ko)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KR101509318B1 (ko) 공기 타이어
KR102030715B1 (ko) 공기 타이어
US8881778B2 (en) Motorcycle tire
JP572796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75648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732018B2 (ja) 自動二輪車用タイヤ
RU2652489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541675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824490B2 (ja)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4989753B2 (ja) 自動二輪車用タイヤ
KR20130105486A (ko)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JP5779211B2 (ja) 自動二輪車用タイヤ
KR20120138650A (ko) 자동 이륜차용 타이어
JP5913224B2 (ja)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5767659B2 (ja) 自動二輪車用タイヤ
US10071599B2 (en) Motorcycle tire
JP333235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198498A (ja) 自動二輪車用タイヤ
US10940720B2 (en) Tire for motorcycles
JP201317344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027230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017732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00858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7045373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