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322A - 신규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신규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322A
KR20120097322A KR1020120012840A KR20120012840A KR20120097322A KR 20120097322 A KR20120097322 A KR 20120097322A KR 1020120012840 A KR1020120012840 A KR 1020120012840A KR 20120012840 A KR20120012840 A KR 20120012840A KR 20120097322 A KR20120097322 A KR 20120097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s
formula
compound
light emitting
independent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719B1 (ko
Inventor
구오팡 왕
요헤이 오노
Original Assignee
제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엔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9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3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arsenic, antimony or bismu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압 및 소자 수명이 우수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나프탈렌의 2번 위치와 7번 위치를 특정 안트라센 유도체로 치환하여 얻어진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을 발광층용 재료로서 사용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한다.

Description

신규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NOVEL 2,7-BISANTHRYLNAPHTHALENE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발광층용 재료, 나아가서는 조명 장치나, 예를 들면, 컬러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로서 바람직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하, 유기 EL 소자 또는 단지 소자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신규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을 발광층에 사용함으로써, 구동 전압이나 수명 등을 개선시킨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소자는, 자발광형 발광 소자이며, 표시용 또는 조명용의 발광 소자로서 기대되고 있으며, 최근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기 EL 소자의 실용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소자의 저소비전력화, 장기 수명화가 불가결한 요소이며, 이러한 점은 청색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특히 그러하다.
그러므로, 유기 발광 재료에 대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져 왔으며, 청색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 향상, 수명 향상을 꾀하고자, 스티릴아민이나 안트라센 유도체 등에 대한 개량이 진행되어 왔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2). 또한, 디스플레이 전용으로 재료의 개발이 촉진되어, NTSC비의 향상을 위해 보다 색순도가 높은(발광 스펙트럼의 파장이 짧고, 반값폭이 좁은) 청색 발광을 얻을 수 있는 구성의 재료가 필요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청색 소자의 발광층용 재료로서, 안트라센 유도체에 관한 보고(특허 문헌 1?5, 비특허 문헌 1?5)가 있지만, 높은 색순도의 발광을 목적으로, 발광 파장이 짧은 재료를 사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면, 높은 발광 효율로 유기 EL 소자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5-139390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4-6222호 공보 국제 공개 01/21729호 팜플렛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284050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표번호 2009-518342호 공보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R: Reports Volume 39, Issues 5-6, Pages 143-222, 2002. Appl. Phys. Lett. 91, 251111(2007) Appl. Phys. Lett. 89, 252903(2006) Appl. Phys. Lett. 90, 123506(2007) Appl. Phys. Lett. 91, 083515(2007)
전술한 바와 같은 상황 하에서, 구동 전압이나 소자 수명 등이 개선된 고색순도의 청색 발광 소자,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을 개발하고, 이들을 청색 발광 소자의 발광층에 사용하는 발광층용 재료로서 사용함으로써, 구동 전압이나 소자 수명 등이 개선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신규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발광층용 재료,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비한 표시 장치,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1]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pat00001
식 (1) 중,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이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 또는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8의 정수이며, 그리고,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수소가 중수소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2]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비페닐릴, 터페닐릴, 쿼터페닐릴, 나프틸, 페난트릴, 크리세닐 또는 트리페닐레닐이며,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킬 또는 탄소수 6?18의 아릴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인, 상기 [1]에 기재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3]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2-비페닐릴, 3-비페닐릴, 4-비페닐릴, 1-나프틸, 2-나프틸 또는 페난트릴이며, 페닐, 1-나프틸 또는 2-나프틸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tert-부틸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인,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4]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2-비페닐릴, 3-비페닐릴, 4-비페닐릴, 1-나프틸, 2-나프틸 또는 페난트릴이며, 페닐, 1-나프틸 또는 2-나프틸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m 및 n은 0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5] 하기 식 (1-1), 식 (1-22), 식 (1-57) 또는 식 (1-58)로 표시되는,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pat00002
[6]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을 함유하는 발광층용 재료.
[7] 양극 및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전극과, 상기 한쌍의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6]에 기재된 발광층용 재료를 함유하는 발광층을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8] 상기 발광층에, 스틸벤 구조를 가지는 아민,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쿠마린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9] 또한, 상기 음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배치된 전자 수송층 및/또는 전자 주입층을 가지고,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는, 퀴놀리놀계 금속 착체(錯體), 피리딘 유도체, 페난트롤린 유도체, 보란 유도체 및 벤조이미다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상기 [7] 또는 상기 [8]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희토류 금속, 알칼리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금속의 할로겐화물, 알칼리 토류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토류 금속의 할로겐화물, 희토류 금속의 산화물, 희토류 금속의 할로겐화물, 알칼리 금속의 유기 착체, 알칼리 토류 금속의 유기 착체 및 희토류 금속의 유기 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함유하는, 상기 [9]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1] 상기 [7]?[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비한 표시 장치.
[12] 상기 [7]?[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비한 조명 장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구동 전압이 낮고, 소자 수명이 긴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고색순도의 청색 발광 소자로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1. 일반식 (1)로 표시되는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먼저,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릴 등이 치환된 2개의 안트라센을 나프탈렌을 통하여 결합시킨 화합물에 있어서, 특히 나프탈렌의 2번 위치와 7번 위치에서 2개의 상기 안트라센을 결합한 화합물이며, 이와 같은 특징적인 결합 형태를 선택함으로써, 발광층용 재료로서 보다 우수한 소자 수명을 달성한 화합물이다.
일반식 (1)의 Ar1 및 Ar2에 있어서 「아릴」로서는, 탄소수 6?24의 아릴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14의 아릴이 더욱 바람직하며, 탄소수 6?10의 아릴이 가장 바람직하다. Ar1 및 Ar2는 동일해도 되며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아릴」로서는, 단환계(單環係) 아릴인 페닐, 2환계 아릴인 (2-, 3-, 4-)비페닐릴, 축합 2환계 아릴인 (1-, 2-)나프틸, 3환계 아릴인 터페닐릴(m-터페닐-2'-일, m-터페닐-4'-일, m-터페닐-5'-일, o-터페닐-3'-일, o-터페닐-4'-일, p-터페닐-2'-일, m-터페닐-2-일, m-터페닐-3-일, m-터페닐-4-일, o-터페닐-2-일, o-터페닐-3-일, o-터페닐-4-일, p-터페닐-2-일, p-터페닐-3-일, p-터페닐-4-일), 축합 3환계 아릴인, 아세나프틸렌-(1-, 3-, 4-, 5-)일, 플루오렌-(1-, 2-, 3-, 4-, 9-)일, 페날렌(1-, 2-)일, (1-, 2-, 3-, 4-, 9-)페난트릴, 4환계 아릴인 쿼터페닐릴(5'-페닐-m-터페닐-2-일, 5'-페닐-m-터페닐-3-일, 5'-페닐-m-터페닐-4-일, m-쿼터페닐), 축합 4환계 아릴인 트리페닐렌-(1-, 2-)일, 피렌-(1-, 2-, 4-)일, 나프타센-(1-, 2-, 5-)일, 크리센-(1-, 2-, 3-, 4-, 5-, 6-)일, 축합 5환계 아릴인 페릴렌-(1-, 2-, 3-)일, 펜타센-(1-, 2-, 5-, 6-)일, 또한, 이들의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4-(나프탈렌-1-, -2-일)페닐, 3-(나프탈렌-1-, -2-일)페닐, 4-페닐 나프탈렌-1-일, 1,1'-비나프탈렌-4-일, 4-(페난트렌-9-일)페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Ar1 및 Ar2로서는 페닐, 비페닐릴, 터페닐릴, 쿼터페닐릴, 나프틸, 페난트릴, 크리세닐 또는 트리페닐레닐이 바람직하고, 페닐, 2-비페닐릴, 3-비페닐릴, 4-비페닐릴, 1-나프틸, 2-나프틸 또는 페난트릴이 특히 바람직하다.
Ar1 및 Ar2에 있어서 「아릴」로의 치환기로서는, 낮은 구동 전압과 우수한 소자 수명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킬 또는 탄소수 6?18의 아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치환기로서의 「탄소수 1?12의 알킬」에 대해서는, 직쇄 및 분지쇄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즉, 탄소수 1?12의 직쇄 알킬 또는 탄소수 3?12의 분지쇄 알킬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의 알킬(탄소수 3?6의 분지쇄 알킬)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알킬(탄소수 3?4의 분지쇄 알킬)이다. 구체예로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n-헥실, 1-메틸펜틸, 4-메틸-2-펜틸, 3,3-디메틸부틸 또는 2-에틸부틸 등을 들 수 있으며,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또는 tert-부틸이 바람직하고,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tert-부틸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 치환기로서의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킬」에 대해서, 구체예로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메틸시클로펜틸, 시클로헵틸, 메틸시클로헥실, 시클로옥틸 또는 디메틸시클로헥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치환기로서의 「탄소수 6?18의 아릴」에 대해서, 구체예로서는, 전술한 아릴 중에서 탄소수 6?18로 구성되는 것을 인용할 수 있다.
Ar1 및 Ar2에 있어서 「아릴」로의 치환기에 대해서는, 무치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치환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수는, 예를 들면, 최대 치환 가능한 수이며, 바람직하게는 1?3 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2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1개이다.
일반식 (1)의 R1 및 R2에 있어서의 「탄소수 1?4의 알킬」이나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로서는, 전술한 아릴의 치환기로서의 알킬이나 시클로알킬의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R1 및 R2는 동일해도 되며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 및 n은 0?8의 정수이지만, 0?4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0 또는 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m 및 n은 동일해도 되며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구성하는, 나프탈렌이나 안트라센에 있어서의 수소 원자, 안트라센으로 치환되는 Ar1, Ar2, R1 또는 R2에 있어서의 수소 원자의 전부 또는 일부가 중수소라도 된다.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식 (1-1)?(1-158)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있다. 이 중 바람직한 화합물은, 식 (1-1)?식 (1-4), 식 (1-7), 식 (1-8), 식 (1-10), 식 (1-11), 식 (1-13), 식 (1-14), 식 (1-22), 식 (1-23), 식 (1-33), 식 (1-43), 식 (1-47)?식 (1-54), 식 (1-57)?식 (1-59), 식 (1-69), 식 (1-70), 식 (1-72), 식 (1-78)?식 (1-84), 식 (1-90), 식 (1-91), 식 (1-111)?식 (1-1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식 (1-1)?식 (1-4), 식 (1-7), 식 (1-8), 식 (1-10), 식 (1-11), 식 (1-13), 식 (1-22), 식 (1-33), 식 (1-43), 식 (1-47)?식 (1-51), 식 (1-57)?식 (1-59), 식 (1-69), 식 (1-70), 식 (1-78), 식 (1-79), 식 (1-81), 식 (1-83), 식 (1-90), 식 (1-91), 식 (1-111)?식 (1-1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식 (1-1)?식 (1-4), 식 (1-13), 식 (1-22), 식 (1-33), 식 (1-43), 식 (1-47)?식 (1-50), 식 (1-57)?식 (1-59), 식 (1-69), 식 (1-70), 식 (1-78), 식 (1-79), 식 (1-90), 식 (1-91), 식 (1-111)?식 (1-1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3
[화학식 6]
Figure pat00004
[화학식 7]
Figure pat00005
[화학식 8]
Figure pat00006
[화학식 9]
Figure pat00007
[화학식 10]
Figure pat00008
[화학식 11]
Figure pat00009
[화학식 12]
Figure pat00010
[화학식 13]
Figure pat00011
[화학식 14]
Figure pat00012
[화학식 15]
Figure pat00013
[화학식 16]
Figure pat00014
[화학식 17]
Figure pat00015
2. 식 (1)로 표시되는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의 제조 방법
식 (1)로 표시되는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은, 기존의 합성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 (1)로 표시되는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이 대칭계인 경우(2개의 안트라센 유도체의 구조가 동일한 경우)는, 하기의 반응 (A-1)?(A-2)에서 나타내는 경로를 따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식 (1)로 표시되는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이 비대칭계인 경우에는, 하기의 반응 (B-1)?(B-5)에서 나타내는 경로를 따라서도 합성할 수도 있다.
먼저, 반응 (A-1)?(A-2)에서 나타내는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반응 (A-1)에서는, 염기의 존재 하에서, 나프탈렌-2,7-디올에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을 반응시킴으로써, 나프탈렌-2,7-디일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를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18]
Figure pat00016
다음으로, 반응 (A-2)에서는,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여, 염기의 존재 하에서, 나프탈렌-2,7-디일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에 2당량의 아릴안트라센보론산 유도체를 스즈키 커플링 반응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식 (1)로 표시되는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아릴안트라센보론산 유도체에 있어서의 치환기(R1), 그 치환기수(m) 및 치환기(Ar1)는, 식 (1) 중의 R1, m 및 Ar1과 동일하며, 여기서는, Ar1=Ar2, R1=R2, m=n이다. 또한, 아릴안트라센보론산 유도체 대신 그 보론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화학식 19]
Figure pat00017
그리고, 반응 (A-2)에 있어서의 스즈키 커플링 반응에 있어서는, 반응시키는 2개의 화합물에 있어서의 반응기를 변경하여, 나프탈렌-2,7-디일비스(보론산 또는 보론산 에스테르)와 아릴안트라센 유도체의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를 반응시킬 수도 있다. 또한, 스즈키 커플링이 아닌 네기시 커플링(Negishi coupling)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보론산이나 보론산 에스테르를 가지는 화합물 대신 염화 아연 착체를 사용한다. 또한, 이 네기시 커플링의 경우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반응기를 교대로 변경하면서 반응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반응 (B-1)?(B-5)에서 나타내는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반응 (B-1)에서는, 염기의 존재 하에서, 7-메톡시-2-나프톨에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을 반응시킴으로써, 7-메톡시나프탈렌-2-일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를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20]
Figure pat00018
다음으로, 반응 (B-2)에서는,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여, 염기의 존재 하에서, 7-메톡시나프탈렌-2-일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에 아릴안트라센보론산 유도체를 스즈키 커플링 반응시킴으로써, 9-(7-메톡시나프탈렌-2-일)-10-아릴안트라센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아릴안트라센보론산 유도체에 있어서의 치환기(R1), 그 치환기수(m) 및 치환기(Ar1)는, 식 (1) 중의 R1, m 및 Ar1과 동일하다. 또한, 아릴안트라센보론산 유도체 대신 그 보론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화학식 21]
Figure pat00019
그리고, 반응 (A-2)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반응 (B-2)에 있어서도, 반응기를 변경할 수도 있고, 스즈키 커플링이 아닌 염화 아연 착체를 이용한 네기시 커플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반응 (B-3)에서는, 9-(7-메톡시나프탈렌-2-일)-10-아릴안트라센 유도체에 피리딘 염산염을 반응시킴으로써, 7-(10-아릴안트라센-9-일)-2-나프톨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22]
Figure pat00020
또한, 반응 (B-4)에서는, 염기의 존재 하에서, 7-(10-아릴안트라센-9-일)-2-나프톨 유도체에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을 반응시킴으로써, 7-(10-아릴안트라센-9-일)나프탈렌-2-일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23]
Figure pat00021
마지막으로, 반응 (B-5)에서는,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여, 염기의 존재 하에서, 7-(10-아릴안트라센-9-일)나프탈렌-2-일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유도체에 아릴안트라센보론산 유도체를 스즈키 커플링 반응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식 (1)로 표시되는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아릴안트라센보론산 유도체에 있어서의 치환기(R2), 그 치환기수(n) 및 치환기(Ar2)는, 식 (1) 중의 R2, n 및 Ar2와 동일하다. 또한, 아릴안트라센보론산 유도체 대신 그 보론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화학식 24]
Figure pat00022
그리고, 반응 (A-2)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반응 (B-5)에 있어서도, 반응기를 변경할 수도 있고, 스즈키 커플링이 아닌 염화 아연 착체를 이용한 네기시 커플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반응 (A-2), 반응 (B-2) 및 반응 (B-5)에 있어서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Pd(PPh3)4, PdCl2(PPh3)2, Pd(OAc)2,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2팔라듐(0),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2팔라듐클로로포름 착체(0),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디클로라이드디클로로메탄 착체(1: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촉진을 위해, 경우에 따라 이들 팔라듐 화합물에 포스핀 화합물을 부가해도 된다. 포스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tert-부틸)포스핀,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1-(N,N-디메틸아미노메틸)-2-(디tert-부틸포스피노)페로센, 1-(N,N-디부틸아미노메틸)-2-(디tert-부틸포스피노)페로센, 1-(메톡시메틸)-2-(디tert-부틸포스피노)페로센, 1,1'-비스(디tert-부틸포스피노)페로센, 2,2'-비스(디tert-부틸포스피노)-1,1'-비나프틸, 2-메톡시-2'-(디tert-부틸포스피노)-1,1'-비나프틸 등이 있다.
또한, 팔라듐 촉매와 함께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 탄산 세슘, 탄산 수소 나트륨,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바륨, 나트륨에톡시드, 나트륨tert-부톡시드, 아세트산 나트륨, 아세트산 칼륨, 인산 삼칼륨, 불화 칼륨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반응 (A-2), 반응 (B-2) 및 반응 (B-5)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N,N-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에틸에테르, tert-부틸메틸에테르, 1,4-디옥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등이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혼합 용매로서 사용해도 된다. 반응은, 통상 50?180 ℃의 온도 범위에서 실시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70?130 ℃이다.
또한, 반응 (A-1), 반응 (B-1) 및 반응 (B-4)에 있어서 염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 탄산 세슘, 탄산 수소 나트륨,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바륨, 아세트산 나트륨, 아세트산 칼륨, 인산 삼칼륨, 불화 칼륨, 불화 세슘,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A-1), 반응 (B-1) 및 반응 (B-4)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피리딘, 톨루엔, 크실렌,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 아미드, CH2Cl2, CHCl3CH3CN 등이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혼합 용매로서 사용해도 된다. 반응은, 통상 -10?50 ℃의 온도 범위에서 실시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 ℃이다.
또한, 반응 (B-3)에서 사용되는 반응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1-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니트로벤젠, 디메틸설폭시드, 디클로로벤젠, 퀴놀린 등이 있다.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혼합 용매로서 사용해도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무용제(無溶劑)라도 된다. 반응은, 통상 150?220 ℃의 온도 범위에서 실시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200 ℃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는, 적어도 일부 수소 원자가 중수소로 치환되어 있는 것도 포함되지만, 이와 같은 화합물은 원하는 개소가 중수소화된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합성할 수 있다.
3.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본 발명에 따른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은, 예를 들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
도 1에 나타낸 유기 전계 발광 소자(100)는, 기판(101)과, 기판(101) 상에 설치된 양극(102)과, 양극(102) 상에 설치된 정공 주입층(103)과, 정공 주입층(103) 상에 설치된 정공 수송층(104)과, 정공 수송층(104) 상에 설치된 발광층(105)과, 발광층(105) 상에 설치된 전자 수송층(106)과, 전자 수송층(106) 상에 설치된 전자 주입층(107)과, 전자 주입층(107) 상에 설치된 음극(108)을 가진다.
그리고, 유기 전계 발광 소자(100)는, 제조 순서를 반대로 해서, 예를 들면, 기판(101)과, 기판(101) 상에 설치된 음극(108)과, 음극(108) 상에 설치된 전자 주입층(107)과, 전자 주입층(107) 상에 설치된 전자 수송층(106)과, 전자 수송층(106) 상에 설치된 발광층(105)과, 발광층(105) 상에 설치된 정공 수송층(104)과, 정공 수송층(104) 상에 설치된 정공 주입층(103)과, 정공 주입층(103) 상에 설치된 양극(102)을 가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전술한 각 층 모든 것이 없으면 않되는 것은 아니며, 최소 구성 단위를 양극(102)과 발광층(105)과 음극(108)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정공 주입층(103), 정공 수송층(104), 전자 수송층(106), 전자 주입층(107)은 임의로 설치되는 층이다. 또한, 전술한 각 층은, 각각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 층으로 이루질 수도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층의 태양으로서는, 전술한 「기판/양극/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음극」의 구성 태양 외에, 「기판/양극/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음극」, 「기판/양극/정공 주입층/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음극」, 「기판/양극/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 「기판/양극/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음극」, 「기판/양극/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음극」, 「기판/양극/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 「기판/양극/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음극」, 「기판/양극/정공 주입층/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 「기판/양극/정공 주입층/발광층/전자 수송층/음극」, 「기판/양극/발광층/전자 수송층/음극」, 「기판/양극/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의 구성 태양이라도 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기판>
기판(101)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100)의 지지체가 되는 것이며, 통상, 석영, 유리, 금속, 플라스틱 등이 사용된다. 기판(101)은, 목적에 따라 판형, 필름형, 또는 시트형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유리판, 금속판, 금속박,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시트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유리판,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등의 투명한 합성 수지제의 판이 바람직하다. 유리 기판을 사용한다면, 소다 라임 유리나 무알칼리 유리 등이 사용되고, 또한, 두께도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두께면 되므로, 예를 들면, 0.2 mm이상이면 된다. 두께의 상한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2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이다. 유리의 재질에 대해서는, 유리로부터의 용출 이온이 적은 편이 좋으므로 무알칼리 유리가 바람직하지만, SiO2 등의 배리어 코팅이 행해진 소다 라임 유리도 시판되고 있으므로 이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판(101)에는, 가스 배리어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한쪽 면에 치밀한 실리콘 산화막 등의 가스 배리어막을 형성해도 되며, 특히 가스 배리어성이 낮은 합성 수지제의 판, 필름 또는 시트를 기판(101)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스 배리어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양극>
양극(102)은, 발광층(105)에 정공을 주입하는 역할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양극(102)과 발광층(105)과의 사이에 정공 주입층(103) 및/또는 정공 수송층(104)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통하여 발광층(105)에 정공을 주입하게 된다.
양극(102)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무기 화합물 및 유기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무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알루미늄, 금, 은, 니켈, 팔라듐, 크롬 등), 금속 산화물[인듐의 산화물, 주석의 산화물,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아연 산화물(IZO) 등], 할로겐화 금속(요오드화 구리 등), 황화 구리, 카본 블랙, ITO 유리나 네사 유리(nesa glass) 등이 있다. 유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3-메틸티오펜) 등의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등의 도전성 폴리머 등이 있다. 그 외에,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양극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물질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명 전극의 저항은, 발광 소자의 발광에 충분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으면 되므로 한정되지 않지만, 발광 소자의 소비 전력의 관점에서 저항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300 Ω/□ 이하의 ITO 기판이면 소자 전극으로서 기능하지만, 현재는 10 Ω/□ 정도의 기판의 공급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100?5 Ω/□, 50?5 Ω/□의 저저항품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TO의 두께는 저항값에 맞추어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50?300 nm 사이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103)은, 양극(102)으로부터 이동하여 오는 정공을, 효율적으로 발광층(105) 내 또는 정공 수송층(104) 내에 주입하는 역할을 행하는 것이다. 정공 수송층(104)은, 양극(102)으로부터 주입된 정공 또는 양극(102)으로부터 정공 주입층(103)을 통하여 주입된 정공을, 효율적으로 발광층(105)에 수송하는 역할을 행하는 것이다. 정공 주입층(103) 및 정공 수송층(104)은, 각각, 정공 주입?수송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층, 혼합하거나, 정공 주입?수송 재료와 고분자 결착제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정공 주입?수송 재료에 염화 철(III)과 같은 무기염을 첨가하여 층을 형성해도 된다.
정공 주입?수송성 물질로서는, 전계가 인가된 전극 사이에 있어서 양극으로부터의 정공을 효율적으로 주입?수송할 필요가 있으므로, 정공 주입 효율이 높고, 주입된 정공을 효율적으로 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이온화 포텐셜이 작고, 또한 정공 이동도가 크며, 또한 안정성이 우수하여 트랩(trap)이 되는 불순물이 제조 시 및 사용 시에 쉽게 생기지 않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주입층(103) 및 정공 수송층(104)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광 도전 재료에 있어서, 정공의 전하 수송 재료로서 종래부터 관용되고 있는 화합물, p형 반도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것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구체예는, 카르바졸 유도체(N-페닐카르바졸, 폴리비닐카르바졸 등), 비스(N-아릴카르바졸) 또는 비스(N-알킬카르바졸) 등의 비스카르바졸 유도체, 트리아릴아민 유도체[방향족 제3급 아미노기를 주쇄 또는 측쇄에 가지는 폴리머, 1,1-비스(4-디-p-톨릴아미노페닐)시클로헥산, N,N'-디페닐-N,N'-디(3-메틸페닐)-4,4'-디아미노페닐, N,N'-디페닐-N,N'-디나프틸-4,4'-디아미노페닐, N,N'-디페닐-N,N'-디(3-메틸페닐)-4,4'-디페닐-1,1'-디아민, N,N'-디나프틸-N,N'-디페닐-4,4'-디페닐-1,1'-디아민, 4,4',4"-트리스(3-메틸페닐(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등의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스타버스트(starburst) 아민 유도체 등], 스틸벤 유도체, 프탈로시아닌 유도체(무금속, 구리 프탈로시아닌 등), 피라졸린 유도체, 하이드라존계 화합물, 벤조퓨란 유도체나 티오펜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포르피린 유도체 등의 복소환 화합물, 폴리실란 등이다. 폴리머계에서는 전술한 단량체를 측쇄에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나 스티렌 유도체, 폴리비닐카르바졸 및 폴리실란 등이 바람직하지만, 발광 소자의 제조에 필요한 박막을 형성하고, 양극으로부터 정공을 주입할 수 있으며, 또한 정공을 수송할 수 있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유기 반도체의 도전성은, 도핑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유기 반도체 매트릭스 물질은, 전자 공여성(electron-donating)이 양호한 화합물, 또는 전자 수용성이 양호한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공여 물질의 도핑을 위하여,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TCNQ) 또는 2,3,5,6-테트라플루오로테트라시아노-1,4-벤조퀴노디메탄(F4TCNQ) 등의 강한 전자 수용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문헌 「M. Pfeiffer, A. Beyer, T. Fritz, K. Leo, Appl. Phys. Lett.,73(22), 3202-3204(1998)」 및 문헌 「J. Blochwitz, M. Pheiffer, T. Fritz, K. Leo, Appl. Phys. Lett.,73(6),729-731(1998)」 참조). 이들은, 전자 공여형 베이스 물질(정공 수송 물질)에 있어서의 전자 이동 프로세스에 의해, 이른바 정공을 생성한다. 정공의 개수 및 이동도에 의해, 베이스 물질의 전도성이 상당히 크게 변화한다. 정공 수송 특성을 가지는 매트릭스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벤지딘 유도체(TPD 등) 또는 스타버스트 아민 유도체(TDATA 등), 또는 특정 금속 프탈로시아닌(특히, 아연 프탈로시아닌 ZnPc 등)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5-167175호 공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발광층>
발광층(105)은, 전계가 인가된 전극 사이에 있어서, 양극(102)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음극(108)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재결합시킴으로써 발광하는 것이다. 발광층(105)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정공과 전자와의 재결합에 의해 여기되어 발광하는 화합물(발광성 화합물)이면 되며, 안정적인 박막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고체 상태에서 강한 발광(형광) 효율을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발광층용 재료로서,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층은 단일 층으로 이루어져도 되고 복수 층으로 이루어져도 되며, 각각 발광층용 재료(호스트 재료, 도펀트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호스트 재료와 도펀트 재료는, 각각 1종류라도 되며, 복수의 조합이라도 된다. 도펀트 재료는 호스트 재료 전체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며, 부분적으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도핑 방법으로서는, 호스트 재료와의 공증착법(共蒸着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지만, 호스트 재료와 사전에 혼합한 후에 동시에 증착해도 된다.
호스트 재료의 사용량은 호스트 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며, 그 호스트 재료의 특성에 맞추어 결정하면 된다. 호스트 재료의 사용량의 기준은, 바람직하게는 발광층용 재료 전체의 50?99.999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99.95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0?99.9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특히 호스트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펀트 재료의 사용량은 도펀트 재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며, 그 도펀트 재료의 특성에 맞추어 결정하면 된다. 도펀트 사용량의 기준은, 바람직하게는 발광층용 재료 전체의 0.001?50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20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이다. 전술한 범위 내이면, 예를 들면, 농도 소광(消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병용할 수 있는 호스트 재료로서는, 이전부터 발광체로서 알려져 있던 안트라센이나 피렌 등의 축합환 유도체, 비스스티릴안트라센 유도체나 디스티릴벤젠 유도체 등의 비스스티릴 유도체, 테트라페닐부타디엔 유도체, 시클로펜타디엔 유도체, 플루오렌 유도체, 벤조플루오렌 유도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도펀트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기존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원하는 발광색에 따라 다양한 재료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페난트렌, 안트라센, 피렌, 테트라센, 펜타센, 페릴렌, 나프토피렌, 디벤조피렌, 루브렌 및 크리센 등의 축합환 유도체, 벤즈옥사졸 유도체, 벤즈티아졸 유도체,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벤즈트리아졸 유도체, 옥사졸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티아졸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티아디아졸 유도체, 트리아졸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티오펜 유도체, 테트라페닐부타디엔 유도체, 시클로펜타디엔 유도체, 비스스티릴안트라센 유도체나 디스티릴벤젠 유도체 등의 비스스티릴 유도체(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 1-245087호 공보), 비스스티릴아릴렌 유도체(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 2-247278호 공보), 디아자인다센 유도체, 퓨란 유도체, 벤조퓨란 유도체, 페닐이소벤조퓨란, 디메시틸이소벤조퓨란, 디(2-메틸페닐)이소벤조퓨란, 디(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소벤조퓨란, 페닐이소벤조퓨란 등의 이소벤조퓨란 유도체, 디벤조퓨란 유도체, 7-디알킬아미노쿠마린 유도체, 7-피페리디노쿠마린 유도체, 7-하이드록시쿠마린 유도체, 7-메톡시쿠마린 유도체, 7-아세톡시쿠마린 유도체, 3-벤즈티아졸릴쿠마린 유도체, 3-벤즈이미다졸릴쿠마린 유도체, 3-벤즈옥사졸릴쿠마린 유도체 등의 쿠마린 유도체, 디시아노메틸렌피란 유도체, 디시아노메틸렌티오피란 유도체, 폴리메틴 유도체, 시아닌 유도체, 옥소벤즈안트라센 유도체, 크산텐 유도체, 로다민 유도체, 플루오레세인 유도체, 피릴륨 유도체,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아크리딘 유도체, 옥사진 유도체, 페닐렌옥사이드 유도체, 퀴나크리돈 유도체, 퀴나졸린 유도체, 피롤로피리딘 유도체, 프로피리딘 유도체, 1,2,5-티아디아졸로피렌 유도체, 피로메텐 유도체, 페리논 유도체, 피롤로피롤 유도체, 스쿠아릴륨 유도체, 비오란트론 유도체, 페나진 유도체, 아크리돈 유도체, 데아자플라빈 유도체, 플루오렌 유도체 및 벤조플루오렌 유도체 등이 있다.
발색광별로 예시하면, 청?청녹색 도펀트 재료로서는, 나프탈렌, 안트라센, 페난트렌, 피렌, 트리페닐렌, 페릴렌, 플루오렌, 인덴, 크리센-등의 방향족 탄화 수소 화합물이나 그 유도체, 퓨란, 피롤, 티오펜, 실롤, 9-실라플루오렌, 9,9'-스피로비실라플루오렌, 벤조티오펜, 벤조퓨란, 인돌, 디벤조티오펜, 디벤조퓨란, 이미다조피리딘, 페난트롤린, 피라진, 나프틸리딘, 퀴녹살린, 피롤로피리딘, 티옥산텐 등의 방향족 복소환 화합물이나 그 유도체, 디스티릴벤젠 유도체, 테트라페닐 부타디엔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알다진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이미다졸, 티아졸, 티아디아졸, 카르바졸, 옥사졸, 옥사디아졸, 트리아졸 등의 아졸 유도체 및 그 금속 착체 및 N,N'-디페닐-N,N'-디(3-메틸페닐)-4,4'-디페닐-1,1'-디아민으로 대표되는 방향족 아민 유도체 등이 있다.
또한, 녹?황색 도펀트 재료로서는, 쿠마린 유도체, 프탈이미드 유도체, 나프탈이미드 유도체, 페리논 유도체, 피롤로피롤 유도체, 시클로펜타디엔 유도체, 아크리돈 유도체, 퀴나크리돈 유도체 및 루브렌 등의 나프타센 유도체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또한 상기 청?청녹색 도펀트 재료로서 예시한 화합물에, 아릴기, 헤테로 아릴기, 아릴비닐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등 장파장화를 가능하게 하는 치환기를 도입한 화합물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주황?적색 도펀트 재료로서는, 비스(디이소프로필페닐)페릴렌테트라카르복시산 이미드 등의 나프탈이미드 유도체, 페리논 유도체, 아세틸아세톤이나 벤조일아세톤과 페난트롤린 등을 배위자로 하는 Eu 착체 등의 희토류 착체, 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이나 그 유사체, 마그네슘 프탈로시아닌, 알루미늄클로로프탈로시아닌 등의 금속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로다민 화합물, 데아자플라빈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퀴나크리돈 유도체, 페녹사진 유도체, 옥사진 유도체, 퀴나졸린 유도체, 피롤로피리딘 유도체, 스쿠아릴륨 유도체, 비오란트론 유도체, 페나진 유도체, 페녹사존 유도체 및 티아디아졸로피렌 유도체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또한 상기 청?청녹색 및 녹?황색 도펀트 재료로서 예시한 화합물에, 아릴기, 헤테로 아릴기, 아릴비닐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등 장파장화를 가능하게 하는 치환기를 도입한 화합물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그 외에, 도펀트로서는, 일본화학공업 2004년 6월호 13페이지, 및 거기에 예로 든 참고 문헌 등에 기재된 화합물 등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도펀트 재료 중에서도, 특히 스틸벤 구조를 가지는 아민, 페릴렌 유도체, 보란 유도체, 방향족 아민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피란 유도체 또는 피렌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스틸벤 구조를 가지는 아민은, 예를 들면,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화학식 25]
Figure pat00023
상기 식 중, Ar1은 탄소수 6?30의 아릴로부터 유래하는 m가의 기이며, Ar2 및 A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30의 아릴이지만, Ar1?Ar3 중 적어도 1개는 스틸벤 구조를 가지고, Ar1?Ar3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리고, m은 1?4의 정수이다.
스틸벤 구조를 가지는 아민은,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디아미노스틸벤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26]
Figure pat00024
상기 식 중, Ar2 및 A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30의 아릴이며, Ar2 및 Ar3는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탄소수 6?30의 아릴의 구체예는, 벤젠, 나프탈렌, 아세나프틸렌, 플루오렌, 페날렌, 페난트렌, 안트라센, 플루오란텐, 트리페닐렌, 피렌, 크리센, 나프타센, 페릴렌, 스틸벤, 디스티릴벤젠, 디스티릴비페닐, 디스티릴플루오렌 등이 있다.
스틸벤 구조를 가지는 아민의 구체예는, N,N,N',N'-테트라(4-비페닐릴)-4,4'-디아미노스틸벤, N,N,N',N'-테트라(1-나프틸)-4,4'-디아미노스틸벤, N,N,N',N'-테트라(2-나프틸)-4,4'-디아미노스틸벤, N,N'-디(2-나프틸)-N,N'-디페닐-4,4'-디아미노스틸벤, N,N'-디(9-페난트릴)-N,N'-디페닐-4,4'-디아미노스틸벤, 4,4'-비스[4"-비스(디페닐아미노)스티릴]-비페닐, 1,4-비스[4'-비스(디페닐아미노) 스티릴]-벤젠, 2,7-비스[4'-비스(디페닐아미노)스티릴]-9,9-디메틸플루오렌, 4,4'-비스(9-에틸-3-카르바조비닐렌)-비페닐, 4,4'-비스(9-페닐-3-카르바조비닐렌)-비페닐 등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347056호 공보, 및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307884호 공보 등에 기재된 스틸벤 구조를 가지는 아민을 사용해도 된다.
페릴렌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3,10-비스(2,6-디메틸페닐)페릴렌, 3,10-비스(2,4,6-트리메틸페닐)페릴렌, 3,10-디페닐페릴렌, 3,4-디페닐페릴렌, 2,5,8,11-테트라-tert-부틸페릴렌, 3,4,9,10-테트라페닐페릴렌, 3-(1'-피레닐)-8,11-디(tert-부틸)페릴렌, 3-(9'-안트릴)-8, 11-디(tert-부틸)페릴렌, 3,3'-비스(8,11-디(tert-부틸)페릴레닐) 등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11-97178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0-133457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0-26324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267079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267078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267076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0-34234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267075호 공보, 및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217077호 공보 등에 기재된 페릴렌 유도체를 사용해도 된다.
보란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1,8-디페닐-10-(디메시틸보릴)안트라센, 9-페닐-10-(디메시틸보릴)안트라센, 4-(9'-안트릴)디메시틸보릴나프탈렌, 4-(10'-페닐-9'-안트릴)디메시틸보릴나프탈렌, 9-(디메시틸보릴)안트라센, 9-(4'-비페닐릴)-10-(디메시틸보릴)안트라센, 9-(4'-(N-카르바졸릴)페닐)-10-(디메시틸보릴)안트라센 등이 있다. 또한, 국제 공개 제2000/40586호 팜플렛 등에 기재된 보란 유도체를 사용해도 된다.
방향족 아민 유도체는, 예를 들면,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화학식 27]
Figure pat00025
상기 식 중, Ar4는 탄소수 6?30의 아릴로부터 유래하는 n가의 기이며, Ar5 및 Ar6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30의 아릴이며, Ar4?Ar6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리고, n은 1?4의 정수이다.
특히, Ar4가 안트라센, 크리센 또는 피렌으로부터 유래하는 2가의 기이며, Ar5 및 Ar6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30의 아릴이며, Ar4?Ar6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리고, n은 2인, 방향족 아민 유도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탄소수 6?30의 아릴의 구체예는, 벤젠, 나프탈렌, 아세나프틸렌, 플루오렌페날렌, 페난트렌, 안트라센, 플루오란텐, 트리페닐렌, 피렌, 크리센, 나프타센, 페릴렌, 펜타센 등이 있다.
방향족 아민 유도체로서는, 크리센계로서는, 예를 들면, N,N,N',N'-테트라페닐크리센-6,12-디아민, N,N,N',N'-테트라(p-톨릴)크리센-6,12-디아민, N,N,N',N'-테트라(m-톨릴)크리센-6,12-디아민, N,N,N',N'-테트라키스(4-이소프로필페닐)크리센-6,12-디아민, N,N,N',N'-테트라(나프탈렌-2-일)크리센-6,12-디아민, N,N'-디페닐-N,N'-디(p-톨릴)크리센-6,12-디아민, N,N'-디페닐-N,N'-비스(4-에틸페닐)크리센-6,12-디아민, N,N'-디페닐-N,N'-비스(4-에틸페닐)크리센-6,12-디아민, N,N'-디페닐-N,N'-비스(4-이소프로필페닐)크리센-6,12-디아민, N,N'-디페닐-N,N'-비스(4-tert-부틸페닐)크리센-6,12-디아민, N,N'-비스(4-이소프로필페닐)-N,N'-디(p-톨릴)크리센-6,12-디아민 등이 있다.
또한, 피렌계로서는, 예를 들면, N,N,N',N'-테트라페닐피렌-1,6-디아민, N,N,N',N'-테트라(p-톨릴)피렌-1,6-디아민, N,N,N',N'-테트라(m-톨릴)피렌-1,6-디아민, N,N,N',N'-테트라키스(4-이소프로필페닐)피렌-1,6-디아민, N,N,N',N'-테트라키스(3,4-디메틸페닐)피렌-1,6-디아민, N,N'-디페닐-N,N'-디(p-톨릴)피렌-1,6-디아민, N,N'-디페닐-N,N'-비스(4-에틸페닐)피렌-1,6-디아민, N,N'-디페닐-N,N'-비스(4-에틸페닐)피렌-1,6-디아민, N,N'-디페닐-N,N'-비스(4-이소프로필페닐)피렌-1,6-디아민, N,N'-디페닐-N,N'-비스(4-tert-부틸페닐)피렌-1,6-디아민, N,N'-비스(4-이소프로필페닐)-N,N'-디(p-톨릴)피렌-1,6-디아민, N,N,N',N'-테트라키스(3,4-디메틸페닐)-3,8-디페닐피렌-1,6-디아민 등이 있다.
또한, 안트라센계로서는, 예를 들면, N,N,N,N-테트라페닐안트라센-9,10-디아민, N,N,N',N'-테트라(p-톨릴)안트라센-9,10-디아민, N,N,N',N'-테트라(m-톨릴)안트라센-9,10-디아민, N,N,N',N'-테트라키스(4-이소프로필페닐)안트라센-9,10-디아민, N,N'-디페닐-N,N'-디(p-톨릴)안트라센-9,10-디아민, N,N'-디페닐-N,N'-디(m-톨릴)안트라센-9,10-디아민, N,N'-디페닐-N,N'-비스(4-에틸페닐)안트라센-9,10-디아민, N,N'-디페닐-N,N'-비스(4-에틸페닐)안트라센-9,10-디아민, N,N'-디페닐-N,N'-비스(4-이소프로필페닐)안트라센-9,10-디아민, N,N'-디페닐-N,N'-비스(4-tert-부틸페닐)안트라센-9,10-디아민, N,N'-비스(4-이소프로필페닐)-N,N'-디(p-톨릴)안트라센-9,10-디아민, 2,6-디-tert-부틸-N,N,N',N'-테트라(p-톨릴)안트라센-9,10-디아민, 2,6-디-tert-부틸-N,N'-디페닐-N,N'-비스(4-이소프로필페닐)안트라센-9,10-디아민, 2,6-디-tert-부틸-N,N'-비스(4-이소프로필페닐)-N,N'-디(p-톨릴)안트라센-9,10-디아민, 2,6-디시클로헥실-N,N'-비스(4-이소프로필페닐)-N,N'-디(p-톨릴)안트라센-9,10-디아민, 2,6-디시클로헥실-N,N'-비스(4-이소프로필페닐)-N,N'-비스(4-tert-부틸페닐)안트라센-9,10-디아민, 9,10-비스(4-디페닐아미노-페닐)안트라센, 9,10-비스(4-디(1-나프틸아미노)페닐)안트라센, 9,10-비스(4-디(2-나프틸아미노)페닐)안트라센, 10-디-p-톨릴아미노-9-(4-디-p-톨릴아미노-1-나프틸)안트라센, 10-디페닐아미노-9-(4-디페닐아미노-1-나프틸)안트라센, 10-디페닐아미노-9-(6-디페닐아미노-2-나프틸)안트라센 등이 있다.
또한, 피렌계로서는, 예를 들면, N,N,N,N-테트라페닐-1,8-피렌-1,6-디아민, N-비페닐-4일-N-비페닐-1,8-피렌-1,6-디아민, N1,N6-디페닐-N1,N6-비스-(4-트리메틸실라닐-페닐)-1H,8H-피렌-1,6-디아민 등이 있다.
또한, 그 밖에, [4-(4-디페닐아미노-페닐)나프탈렌-1-일]-디페닐아민, [6-(4-디페닐아미노-페닐)나프탈렌-2-일]-디페닐아민, 4,4'-비스[4-디페닐아미노나프탈렌-1-일]비페닐, 4,4'-비스[6-디페닐아미노나프탈렌-2-일]비페닐, 4,4"-비스[4-디페닐아미노나프탈렌-1-일]-p-터페닐, 4,4"-비스[6-디페닐아미노나프탈렌-2-일]-p-터페닐 등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6-156888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향족 아민 유도체를 사용해도 된다.
쿠마린 유도체로서는, 쿠마린-6, 쿠마린-334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4-43646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76876호 공보, 및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6-298758호 공보 등에 기재된 쿠마린 유도체를 사용해도 된다.
피란 유도체로서는, 하기 DCM, DCJTB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화학식 28]
Figure pat00026
또한,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5-126399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5-097283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2-234892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220577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081090호 공보, 및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052869호 공보 등에 기재된 피란 유도체를 사용해도 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107)은, 음극(108)으로부터 이동해 오는 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광층(105) 내 또는 전자 수송층(106) 내에 주입하는 역할을 행하는 것이다. 전자 수송층(106)은, 음극(108)으로부터 주입된 전자 또는 음극(108)으로부터 전자 주입층(107)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광층(105)에 수송하는 역할을 행하는 것이다. 전자 수송층(106) 및 전자 주입층(107)은, 각각, 전자 수송?주입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층, 혼합하거나, 전자 수송?주입 재료와 고분자 결착제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다.
전자 주입?수송층은, 음극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되고, 또한 전자를 수송하는 것을 담당하는 층이며, 전자 주입 효율이 높아서, 주입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자 친화력이 크며, 또한 전자 이동도가 크고, 또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트랩이 되는 불순물이 제조 시 및 사용 시에 쉽게 생기지 않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정공과 전자의 수송 밸런스를 고려할 경우, 양극으로부터의 정공이 재결합하지 않고 음극측으로 흐르는 것을 효율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역할을 주로 행하는 경우에는, 전자 수송 능력이 그다지 높지 않아도,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전자 수송 능력이 높은 재료와 동등하게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주입?수송층은, 정공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층의 기능도 포함되어도 된다.
전자 수송층(106) 또는 전자 주입층(107)을 형성하는 재료(전자 수송 재료)로서는, 광 도전 재료에 있어서 전자 전달 화합물로서 종래부터 관용되고 있는 화합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화합물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 또는 전자 주입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탄소, 수소, 산소, 유황, 규소 및 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자로 구성되는 방향환 또는 복소방향환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피롤 유도체 및 그 축합환 유도체 및 전자 수용성 질소를 가지는 금속 착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나프탈렌, 안트라센 등의 축합환계 방향환 유도체, 4,4'-비스(디페닐에테닐)비페닐로 대표되는 스티릴계 방향환 유도체, 페리논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나프탈이미드 유도체, 안트라센퀴논이나 디페노퀴논 등의 퀴논 유도체, 인 옥사이드 유도체, 카르바졸 유도체 및 인돌 유도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자 수용성 질소를 가지는 금속 착체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페닐옥사졸 착체 등의 하이드록시아졸 착체, 아조메틴 착체, 트로폴론 금속 착체, 플라보놀 금속 착체 및 벤조퀴놀린 금속 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재료는 단독으로도 사용되지만, 상이한 재료와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다른 전자 전달 화합물의 구체예로서, 피리딘 유도체, 나프탈렌 유도체, 안트라센 유도체, 페난트롤린 유도체, 페리논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나프탈이미드 유도체, 안트라센퀴논 유도체, 디페노퀴논 유도체, 디페닐퀴논 유도체, 페릴렌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1,3-비스[(4-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릴]페닐렌 등), 티오펜 유도체, 트리아졸 유도체(N-나프틸-2,5-디페닐-1,3,4-트리아졸 등), 티아디아졸 유도체, 옥신 유도체의 금속 착체, 퀴놀리놀계 금속 착체, 퀴녹살린 유도체, 퀴녹살린 유도체의 폴리머, 벤즈아졸류 화합물, 갈륨 착체, 피라졸 유도체, 퍼플루오로화 페닐렌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피라진 유도체, 벤조퀴놀린 유도체(2,2'-비스(벤조[h]퀴놀린-2-일)-9,9'-스피로비플루오렌 등), 이미다조피리딘 유도체, 보란 유도체, 벤즈이미다졸 유도체(트리스(N-페닐벤즈이미다졸-2-일)벤젠 등), 벤즈옥사졸 유도체, 벤즈티아졸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 터피리딘 등의 올리고 피리딘 유도체, 비피리딘 유도체, 터피리딘 유도체(1,3-비스(4'-(2,2':6',2"-터피리디닐)벤젠 등), 나프틸리딘 유도체(비스(1-나프틸)-4-(1,8-나프틸리딘-2-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 알다진 유도체, 카르바졸 유도체, 인돌 유도체, 인옥사이드 유도체, 비스스티릴 유도체 등이 있다.
또한, 전자 수용성 질소를 가지는 금속 착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퀴놀리놀계 금속 착체나 하이드록시페닐옥사졸 착체 등의 하이드록시아졸 착체, 아조메틴 착체, 트로폴론 금속 착체, 플라보놀 금속 착체 및 벤조퀴놀린 금속 착체 등이 있다.
전술한 재료는 단독으로도 사용되지만, 상이한 재료와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전술한 재료 중에서도, 퀴놀리놀계 금속 착체, 비피리딘 유도체, 페난트롤린 유도체 또는 보란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퀴놀리놀계 금속 착체는, 하기 일반식 (E-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29]
Figure pat00027
식 중, R1?R6는 수소 또는 치환기이며, M은 Li, Al, Ga, Be 또는 Zn이며, n은 1?3의 정수이다.
퀴놀리놀계 금속 착체의 구체예로서는, 8-퀴놀리놀리튬, 트리스(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 트리스(4-메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 트리스(5-메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 트리스(3,4-디메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 트리스(4,5-디메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 트리스(4,6-디메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2-메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3-메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4-메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2-페닐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3-페닐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4-페닐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2,3-디메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2,6-디메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3,4-디메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3,5-디메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3,5-디-tert-부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2,6-디페닐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2,4,6-트리페닐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2,4,6-트리메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2,4,5,6-테트라메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1-나프톨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2-나프톨레이트)알루미늄, 비스(2,4-디메틸-8-퀴놀리놀레이트)(2-페닐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4-디메틸-8-퀴놀리놀레이트)(3-페닐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4-디메틸-8-퀴놀리놀레이트)(4-페닐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4-디메틸-8-퀴놀리놀레이트)(3,5-디메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4-디메틸-8-퀴놀리놀레이트)(3,5-디-tert-부틸페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μ-옥소-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4-디메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μ-옥소-비스(2,4-디메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4-에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μ-옥소-비스(2-메틸-4-에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4-메톡시-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μ-옥소-비스(2-메틸-4-메톡시-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5-시아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μ-옥소-비스(2-메틸-5-시아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μ-옥소-비스(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8-퀴놀리놀레이트)알루미늄, 비스(10-하이드록시벤조[h]퀴놀린)베릴륨 등이 있다.
비피리딘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E-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30]
Figure pat00028
식 중, G는 단지 결합손 또는 n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n은 2?8의 정수이다. 또한, 피리딘-피리딘 또는 피리딘-G의 결합에 이용되지 않는 탄소 원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일반식 (E-2)의 G로서는, 이하의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하기 구조식 중의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시클로헥실,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비페닐릴 또는 터페닐릴이다.
[화학식 31]
Figure pat00029
피리딘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2,5-비스(2,2'-비피리딘-6-일)-1,1-디메틸-3,4-디페닐실롤, 2,5-비스(2,2'-비피리딘-6-일)-1,1-디메틸-3,4-디메시틸실롤, 2,5-비스(2,2'-비피리딘-5-일)-1,1-디메틸-3,4-디페닐실롤, 2,5-비스(2,2'-비피리딘-5-일)-1,1-디메틸-3,4-디메시틸실롤, 9,10-디(2,2'-비피리딘-6-일)안트라센, 9,10-디(2,2'-비피리딘-5-일)안트라센, 9,10-디(2,3'-비피리딘-6-일)안트라센, 9,10-디(2,3'-비피리딘-5-일)안트라센, 9,10-디(2,3'-비피리딘-6-일)-2-페닐안트라센, 9,10-디(2,3'-비피리딘-5-일)-2-페닐안트라센, 9,10-디(2,2'-비피리딘-6-일)-2-페닐안트라센, 9,10-디(2,2'-비피리딘-5-일)-2-페닐안트라센, 9,10-디(2,4'-비피리딘-6-일)-2-페닐안트라센, 9,10-디(2,4'-비피리딘-5-일)-2-페닐안트라센, 9,10-디(3,4'-비피리딘-6-일)-2-페닐안트라센, 9,10-디(3,4'-비피리딘-5-일)-2-페닐안트라센, 3,4-디페닐-2,5-디(2,2'-비피리딘-6-일)티오펜, 3,4-디페닐-2,5-디(2,3'-비피리딘-5-일)티오펜, 6',6"-디(2-피리딜)2,2':4',4":2",2'"-쿼터피리딘 등이 있다.
페난트롤린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E-3-1) 또는 (E-3-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32]
Figure pat00030
식 중, R1?R8은 수소 또는 치환기이며, 인접하는 기는 서로 결합하여 축합 환을 형성해도 되고, G는 단지 결합손 또는 n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n은 2?8의 정수이다. 또한, 일반식 (E-3-2)의 G로서는, 비피리딘 유도체의 란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페난트롤린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2,9-디메틸-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9,10-디(1,10-페난트롤린-2-일)안트라센, 2,6-디(1,10-페난트롤린-5-일)피리딘, 1,3,5-트리(1,10-페난트롤린-5-일)벤젠, 9,9'-디플루오로비스(1,10-페난트롤린-5-일), 바소쿠프로인(bathocuproine)이나 1,3-비스(2-페닐-1,10-페난트롤린-9-일)벤젠 등이 있다.
특히, 페난트롤린 유도체를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에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시간에 걸쳐서 안정적인 발광을 얻기 위해서는, 열적 안정성이나 박막 형성성이 우수한 재료가 바람직하며, 페난트롤린 유도체 중에서도, 치환기 자신이 3차원적 입체 구조를 가지거나, 페난트롤린 골격과의 입체 반발 또는 인접 치환기와의 입체 반발에 의해 3차원적 입체 구조를 가지는 것, 또는 복수의 페난트롤린 골격을 연결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페난트롤린 골격을 연결하는 경우, 연결 유닛 중에 공역 결합, 치환 또는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 수소, 치환 또는 무치환의 방향 복소환을 포함하고 있는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란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E-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상세한 것은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7-2758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화학식 33]
Figure pat00031
식 중,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치환 실릴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질소 함유 복소환기, 또는 시아노기 중 적어도 1개이며, R13?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이며, X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렌기이며, Y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6 이하의 아릴기, 치환 보릴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카르바졸기이며, 그리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정수이다.
상기 일반식 (E-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 (E-4-1)로 표시되는 화합물, 나아가서는 하기 일반식 (E-4-1-1)?(E-4-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예로서는, 9-[4-(4-디메시틸보릴나프탈렌-1-일)페닐]카르바졸, 9-[4-(4-디메시틸보릴나프탈렌-1-일)나프탈렌-1-일]카르바졸 등이 있다.
[화학식 34]
Figure pat00032
식 중,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치환 실릴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질소 함유 복소환기, 또는 시아노기 중 적어도 1개이며, R13?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이며, R21 및 R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치환 실릴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질소 함유 복소환기, 또는 시아노기 중 적어도 1개이며, X1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0 이하의 아릴렌기이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정수이며, 그리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이다.
[화학식 35]
Figure pat00033
각 식 중, R31?R34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페닐 중 어느 하나이며, 그리고, R35 및 R3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페닐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일반식 (E-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 (E-4-2)로 표시되는 화합물, 나아가서는 하기 일반식 (E-4-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6]
Figure pat00034
식 중,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치환 실릴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질소 함유 복소환기, 또는 시아노기 중 적어도 1개이며, R13?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이며, X1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0 이하의 아릴렌기이며, 그리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정수이다.
[화학식 37]
Figure pat00035
식 중, R31?R34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페닐 중 어느 하나이며, 그리고, R35 및 R3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페닐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일반식 (E-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 (E-4-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나아가서는 하기 일반식 (E-4-3-1) 또는 (E-4-3-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8]
Figure pat00036
식 중,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치환 실릴기,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질소 함유 복소환기, 또는 시아노기 중 적어도 1개이며, R13?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이며, X1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0 이하의 아릴렌기이며, Y1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4 이하의 아릴기이며, 그리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정수이다.
[화학식 39]
Figure pat00037
각 식 중, R31?R34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페닐 중 어느 하나이며, 그리고, R35 및 R3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페닐 중 어느 하나이다.
벤조이미다졸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E-5)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40]
Figure pat00038
식 중, Ar1?A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수 6?30의 아릴이다. 특히, Ar1은 치환되어도 되는 안트릴인 벤조이미다졸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6?30의 아릴의 구체예는,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아세나프틸렌-1-일, 아세나프틸렌-3-일, 아세나프틸렌-4-일, 아세나프틸렌-5-일, 플루오렌-1-일, 플루오렌-2-일, 플루오렌-3-일, 플루오렌-4-일, 플루오렌-9-일, 페날렌-1-일, 페날렌-2-일, 1-페난트릴, 2-페난트릴, 3-페난트릴, 4-페난트릴, 9-페난트릴, 1-안트릴, 2-안트릴, 9-안트릴, 플루오란텐-1-일, 플루오란텐-2-일, 플루오란텐-3-일, 플루오란텐-7-일, 플루오란텐-8-일, 트리페닐렌-1-일, 트리페닐렌-2-일, 피렌-1-일, 피렌-2-일, 피렌-4-일, 크리센-1-일, 크리센-2-일, 크리센-3-일, 크리센-4-일, 크리센-5-일, 크리센-6-일, 나프타센-1-일, 나프타센-2-일, 나프타센-5-일, 페릴렌-1-일, 페릴렌-2-일, 페릴렌-3-일, 펜타센-1-일, 펜타센-2-일, 펜타센-5-일, 펜타센-6-일이다.
벤조이미다졸 유도체의 구체예는, 1-페닐-2-(4-(10-페닐안트라센-9-일)페닐)-1H-벤조[d]이미다졸, 2-(4-(10-(나프탈렌-2-일)안트라센-9-일)페닐)-1-페닐-1H-벤조[d]이미다졸, 2-(3-(10-(나프탈렌-2-일)안트라센-9-일)페닐)-1-페닐-1H-벤조[d]이미다졸, 5-(10-(나프탈렌-2-일)안트라센-9-일)-1,2-디페닐-1H-벤조[d]이미다졸, 1-(4-(10-(나프탈렌-2-일)안트라센-9-일)페닐)-2-페닐-1H-벤조[d]이미다졸, 2-(4-(9,10-디(나프탈렌-2-일)안트라센-2-일)페닐)-1-페닐-1H-벤조[d]이미다졸, 1-(4-(9,10-디(나프탈렌-2-일)안트라센-2-일)페닐)-2-페닐-1H-벤조[d]이미다졸, 5-(9,10-디(나프탈렌-2-일)안트라센-2-일)-1,2-디페닐-1H-벤조[d]이미다졸이 있다.
전자 수송층 또는 전자 주입층에는, 전자 수송층 또는 전자 주입층을 형성하는 재료를 환원할 수 있는 물질을 더 포함시켜도 된다. 이 환원성 물질은, 일정한 환원성을 가지는 것인 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희토류 금속, 알칼리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금속의 할로겐화물, 알칼리 토류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토류 금속의 할로겐화물, 희토류 금속의 산화물, 희토류 금속의 할로겐화물, 알칼리 금속의 유기 착체, 알칼리 토류 금속의 유기 착체 및 희토류 금속의 유기 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환원성 물질로서는, Na(일함수 2.36 eV), K(일함수 2.28 eV), Rb(일함수 2.16 eV) 또는 Cs(일함수 1.95 eV) 등의 알칼리 금속이나, Ca(일함수 2.9 eV), Sr(일함수 2.0?2.5 eV) 또는 Ba(일함수 2.52 eV)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일함수가 2.9 eV 이하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환원성 물질은, K, Rb 또는 Cs의 알칼리 금속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b 또는 Cs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Cs이다. 이들 알칼리 금속은, 특히 환원 능력이 높으며, 전자 수송층 또는 전자 주입층을 형성하는 재료에 비교적 소량을 첨가함으로써,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의 발광 휘도의 향상이나 장기 수명화가 도모된다. 또한, 일함수가 2.9 eV 이하인 환원성 물질로서, 이들 중에서 2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으로 편성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특히, Cs를 포함한 조합, 예를 들면, Cs와 Na, Cs와 K, Cs와 Rb, 또는 Cs와 Na와 K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Cs를 포함함으로써, 환원 능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고, 전자 수송층 또는 전자 주입층을 형성하는 재료에 첨가함으로써,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의 발광 휘도의 향상이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음극>
음극(108)은, 전자 주입층(107) 및 전자 수송층(106)을 통하여, 발광층(105)에 전자를 주입하는 역할을 행하는 것이다.
음극(108)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전자를 유기층에 효율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양극(102)을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주석, 인듐, 칼슘, 알루미늄, 은, 구리, 니켈, 크롬, 금, 백금, 철, 아연, 리튬, 나트륨, 칼륨, 세슘 및 마그네슘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마그네슘-은 합금, 마그네슘-인듐 합금, 불화 리튬/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리튬 합금 등) 등이 바람직하다. 전자 주입 효율을 높여 소자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리튬, 나트륨, 칼륨, 세슘, 칼슘, 마그네슘 또는 이들 낮은 일함수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이 유효하다. 그러나, 이들 낮은 일함수 금속은 일반적으로 대기중에서 불안정한 경우가 많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유기층에 미량의 리튬, 세슘이나 마그네슘을 도핑하여, 안정성이 높은 전극을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 외의 도펀트로서는, 불화 리튬, 불화 세슘, 산화 리튬 및 산화 세슘과 같은 무기염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극 보호를 위해 백금, 금, 은, 동, 철, 주석, 알루미늄 및 인듐 등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을 사용한 합금, 그리고, 실리카, 이산화 티타늄 및 질화 규소 등의 무기물, 폴리비닐알코올, 염화 비닐, 탄화수소계 고분자 화합물 등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전극의 제조법도, 저항 가열, 전자선 빔, 스퍼터링, 이온 플레이팅 및 코팅 등, 도통(導通)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각 층에서 사용해도 되는 결착제>
이상의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에 사용되는 재료는 단독으로 각 층을 형성할 수 있지만, 고분자 결착제로서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N-비닐카르바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부타디엔, 탄화수소 수지, 케톤 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아미드, 에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 비닐 수지, ABS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용제 가용성 수지나, 페놀 수지, 크실렌 수지, 석유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 등에 분산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은, 각 층을 구성할 재료를 증착법, 저항 가열 증착, 전자 빔 증착, 스퍼터링, 분자 적층법, 인쇄법, 스핀 코트법 또는 캐스트법, 코팅법 등의 방법으로 박막으로 만들어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각 층의 막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재료의 성질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 2nm?5000nm의 범위이다. 막 두께는 통상, 수정 발진식 막 두께 측정 장치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증착법을 이용하여 박막화하는 경우, 그 증착 조건은, 재료의 종류, 막의 목적으로 하는 결정 구조 및 회합 구조 등에 따라 상이하다. 증착 조건은 일반적으로, 보트 가열 온도 50?400 ℃, 진공도 10-6?10-3 Pa, 증착 속도 0.01?50 nm/초, 기판 온도 -150?+300 ℃, 막 두께 2nm?5㎛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양극/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호스트 재료와 도펀트 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음극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절한 기판 상에, 양극 재료의 박막을 증착법 등에 의해 형성시켜 양극을 제조한 후, 이 양극 상에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의 박막을 형성한다. 그 위에 호스트 재료와 도펀트 재료를 공증착하고 박막을 형성시켜 발광층으로 만들고, 이 발광층 상에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을 형성시키고, 또한 음극용 물질로 이루어지는 박막을 증착법 등에 의해 형성시켜 음극으로 함으로써, 목적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에 있어서는, 제조 순서를 반대로 하여, 음극,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발광층,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 양극의 차례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양극을 +, 음극을 - 극성으로서 인가하면 되고, 전압 2?40 V 정도를 인가하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전극측(양극 또는 음극, 및 양쪽)으로부터 발광을 관측할 수 있다. 또한, 이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펄스 전류나 교류 전류를 인가한 경우에도 발광한다. 그리고, 인가하는 교류 파형은 임의의 파형이라도 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응용예>
또한,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비한 표시 장치 또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비한 조명 장치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비한 표시 장치 또는 조명 장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공지의 구동 장치를 접속하는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직류 구동, 펄스 구동, 교류 구동 등 공지의 구동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컬러 평판 디스플레이 등의 패널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컬러 유기 전계 발광(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10-335066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321546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4-281086호 공보 등 참조). 또한,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매트릭스 및/또는 세그멘톤 방식 등이 있다. 그리고, 매트릭스 표시와 세그멘톤 표시는 같은 패널 중에 공존하고 있어도 된다.
매트릭스란, 표시를 위한 화소가 격자형이나 모자이크형 등 2차원적으로 배치된 것을 말하여, 화소의 집합에 의해 문자나 화상을 표시한다. 화소의 형상이나 사이즈는 용도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면, PC, 모니터, 텔레비전의 화상 및 문자 표시에는, 통상적으로 한변이 300㎛ 이하인 사각형 화소가 사용되고, 또한, 표시 패널과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한변이 mm 오더를 가지는 화소를 사용하게 된다. 흑백 표시의 경우에는, 동일한 색의 화소를 배열하면 되지만, 컬러 표시의 경우에는, 적, 녹, 청의 화소를 배열하여 표시하게 한다. 이 경우, 전형적으로는 델타 타입과 스트라이프 타입이 있다. 그리고, 이 매트릭스의 구동 방법으로서는, 선(線) 순차 구동 방법이나 액티브 매트릭스 중 어느 쪽이라도 좋다. 선 순차 구동이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지만, 동작 특성을 고려한 경우, 액티브 매트릭스가 우수한 경우가 있으므로, 이것도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그멘톤 방식(타입)에서는, 미리 결정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패턴을 형성하고, 결정된 영역을 발광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시계나 온도계에 있어서의 시각이나 온도 표시, 오디오 기기나 전자 조리기 등의 동작 상태 표시 및 자동차의 패널 표시 등이 있다.
조명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실내 조명 등의 조명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등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257621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277741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4-119211호 공보 등 참조). 백라이트는, 주로 자발광하지 않는 표시 장치의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액정 표시 장치, 시계, 오디오 장치, 자동차 패널, 표시판 및 표식 등에 사용된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 그 중에서도 박형화가 과제로 되어 있는 PC 용도의 백라이트로서는, 종래 방식이 형광등이나 도광판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박형화가 곤란한 점을 고려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소자를 사용한 백라이트는 박형이며 경량인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먼저 실시예에서 사용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의 합성예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예>
[화학식 41]
Figure pat00039
<나프탈렌-2,7-디일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먼저, 질소 분위기 하에서, 나프탈렌-2,7-디올 48.1 g 및 피리딘 380 ml를 플라스크에 넣어 0℃까지 냉각시킨 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 203.1 g을 천천히 적하(滴下)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0℃에서 1시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다음으로, 반응액에 물을 부가하고, 톨루엔으로 목적 성분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조제품(粗製品)을, 실리카겔로 컬럼 정제(용매: 헵탄/톨루엔=6/1(용량비))를 행하여, 제1 중간체 화합물인 나프탈렌-2,7-디일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12.4 g(수율: 88%)을 얻었다. 하기 「반응 1」에 그 스킴(scheme)을 나타낸다.
[화학식 42]
Figure pat00040
<2,7-비스(10-페닐안트라센-9-일)나프탈렌의 합성>
다음으로,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제1 중간체 화합물인 나프탈렌-2,7-디일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24 g, (10-페닐안트라센-9-일)보론산 6.26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Pd(PPh3)4) 0.35 g, 인산 칼륨 8.49 g 및 톨루엔과 에탄올과의 혼합 용매 40 ml(톨루엔/에탄올=9/1(용량비))를 플라스크에 넣어서 5분간 교반했다. 그 후, 물 4 ml를 부가하여 3시간 환류했다. 가열 종료 후에 반응액을 냉각시키고, 메탄올을 40 ml 첨가하여, 침전을 여과했다. 또한, 침전을 메탄올과 물로 세정하여, 목적하는 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조제품을 얻었다. 이 조제품을 실리카겔로 쇼트 컬럼 정제(용매: 톨루엔)를 행한 후, 아세트산 에틸로 세정하고, 톨루엔으로 재결정을 행하고, 또한 승화(昇華)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인 2,7-비스(10-페닐안트라센-9-일)나프탈렌 2.4 g(수율: 38%)을 얻었다. 하기 「반응 2」에 그 스킴을 나타낸다.
[화학식 43]
Figure pat00041
MS 스펙트럼 및 NMR 측정에 의해 목적 화합물 (1-1)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CDCl3):δ=8.25(d, 1H), 8.04(s, 1H), 7.86?7.83(m, 2H), 7.74?7.72(m, 3H), 7.64?7.49(m, 5H), 7.39?7.34(m, 4H).
목적 화합물 (1-1)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193℃였다.
[측정 기기: Diamond DSC (PERKIN-ELMER사 제품); 측정 조건: 냉각 속도 200℃/Min., 승온 속도 10 ℃/Min.]
<식 (1-2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예>
[화학식 44]
Figure pat00042
<2,7-비스(10-(나프탈렌-1-일)안트라센-9-일)나프탈렌의 합성>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제1 중간체 화합물인 나프탈렌-2,7-디일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8.49 g, ((10-나프탈렌-1-일)안트라센-9-일)보론산 14.62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Pd(PPh3)4) 0.69 g, 인산 칼륨 16.98 g 및 톨루엔과 에탄올과의 혼합 용매 80 ml(톨루엔/에탄올=4/1(용량비))를 플라스크에 넣어 5분간 교반했다. 그 후, 물 7 ml를 부가하여 3시간 환류했다. 가열 종료 후에 반응액을 냉각시키고, 메탄올을 100 ml 첨가하여, 침전을 여과했다. 또한, 침전을 메탄올과 물로 세정하여, 목적하는 식 (1-2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조제품을 얻었다. 이 조제품을 실리카겔로 쇼트 컬럼 정제(용매: 톨루엔)를 행한 후, 메탄올과 아세트산 에틸과의 혼합 용제(메탄올/아세트산 에틸=4/1(용량비))로 세정하고, 톨루엔으로 재결정을 행하고, 또한 승화 정제를 행하여, 목적 화합물인 2,7-비스(10-(나프탈렌-1-일)안트라센-9-일)나프탈렌 8.9 g(수율: 61%)을 얻었다. 하기 「반응 3」에 그 스킴을 나타낸다.
[화학식 45]
Figure pat00043
MS 스펙트럼 및 NMR 측정에 의해 목적 화합물 (1-22)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CDCl3):δ=8.28(t, 1H), 8.17?8.10(q, 1H), 8.08(d, 1H), 8.02(t, 1H), 7.92?7.69(m, 4 H), 7.63?7.59(m, 1H), 7.52?7.46(m, 3H), 7.38?7.34(m, 2H), 7.27?7.21(m, 4H).
목적 화합물 (1-22)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240℃였다.
[측정 기기: Diamond DSC(PERKIN-ELMER사 제품); 측정 조건: 냉각 속도 200 ℃/Min., 승온 속도 10 ℃/Min.]
<식 (1-5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예>
[화학식 46]
Figure pat00044
<7-메톡시나프탈렌-2-일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먼저, 질소 분위기 하에서, 7-메톡시-2-나프톨 75 g 및 피리딘 200 ml를 플라스크에 넣어 0℃까지 냉각시킨 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 146 g을 천천히 적하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0℃에서 1시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다음으로, 반응액에 물을 부가하여, 톨루엔으로 목적 성분을 추출했다. 또한,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조제품을 실리카겔로 쇼트 컬럼 정제(용매: 톨루엔)를 행하고, 또한 감압 증류로 정제하여, 제2 중간체 화합물인 7-메톡시나프탈렌-2-일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05 g(수율: 88%)을 얻었다. 하기 「반응 4」에 그 스킴을 나타낸다.
[화학식 47]
Figure pat00045
<9-(7-메톡시나프탈렌-2-일)-10-페닐안트라센의 합성>
다음으로,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제2 중간체 화합물인 7-메톡시나프탈렌-2-일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91.8 g, (10-페닐안트라센-9-일)보론산 89.4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Pd(PPh3)4) 10.4 g, 인산 칼륨 127.2 g 및 1,2,4-트리메틸벤젠과 tert-부틸 알코올과의 혼합 용매 600 ml(1,2,4-트리메틸벤젠/tert-부틸알코올=5/1(용량비))를 플라스크에 넣어 5분간 교반했다. 그 후, 물 20 ml를 부가하여 5시간 환류했다. 가열 종료 후에 반응액을 냉각시키고, 메탄올을 200 ml 첨가하여, 침전을 여과했다. 또한, 침전을 메탄올과 물로 세정하여, 얻어진 조제품을 실리카겔로 쇼트 컬럼 정제(용매: 톨루엔)를 행한 후, 메탄올로 세정을 행하여, 제3 중간체 화합물인 9-(7-메톡시나프탈렌-2-일)-10-페닐안트라센 66 g(수율: 53%)을 얻었다. 하기 「반응 5」에 그 스킴을 나타낸다.
[화학식 48]
Figure pat00046
<7-(10-페닐안트라센-9-일)-2-나프톨의 합성>
다음으로,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제3 중간체 화합물 9-(7-메톡시나프탈렌-2-일)-10-페닐안트라센 66 g, 피리딘 염산염 93 g, 및 1-메틸-2-피롤리돈 120 ml를 플라스크에 넣어 175℃에서 3시간 가열하였다. 가열 종료 후에 반응액을 냉각시키고, 물을 250 ml 첨가하여, 침전을 여과했다. 또한, 침전을 물과 메탄올로 세정하여, 얻어진 조제품을 실리카겔로 쇼트 컬럼 정제(용매: 톨루엔)를 행한 후, 아세트산 에틸로 세정을 행하여, 제4 중간체 화합물인 7-(10-페닐안트라센-9-일)-2-나프톨 54 g(수율: 85%)을 얻었다. 하기 「반응 6」에 그 스킴을 나타낸다.
[화학식 49]
Figure pat00047
<7-(10-페닐안트라센-9-일)나프탈렌-2-일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다음으로,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제4 중간체 화합물인 7-(10-페닐안트라센-9-일)-2-나프톨 37.8 g 및 피리딘 300 ml를 플라스크에 넣어 0℃까지 냉각시킨 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 31 g을 천천히 적하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0℃에서 1시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다음으로, 반응액에 물을 부가하여, 침전을 여과했다. 또한, 침전을 물과 메탄올로 세정하여, 얻어진 조제품을 실리카겔로 쇼트 컬럼 정제(용매: 톨루엔)를 행한 후, 메탄올로 세정을 행하여, 제5 중간체 화합물인 7-(10-페닐안트라센-9-일)나프탈렌-2-일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8.5 g(수율: 96%)을 얻었다. 하기 「반응 7」에 그 스킴을 나타낸다.
[화학식 50]
Figure pat00048
<9-(나프탈렌-1-일)-10-(7-(10-페닐안트라센-9-일)나프탈렌-2-일)안트라센의 합성>
마지막으로,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제5 중간체 화합물인 7-(10-페닐안트라센-9-일)나프탈렌-2-일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5.28 g, (10-나프탈렌-1-일)안트라센-9-일)보론산 3.83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Pd(PPh3)4) 0.23 g, 인산 칼륨 5.51 g 및 톨루엔과 에탄올과의 혼합 용매 40 ml(톨루엔/에탄올=9/1(용량비))를 플라스크에 넣어 5분간 교반했다. 그 후, 물 4 ml를 부가하여 3시간 환류했다. 가열 종료 후에 반응액을 냉각시키고, 메탄올을 40 ml 첨가하여, 침전을 여과했다. 또한, 침전을 메탄올과 물로 세정하여, 목적하는 식 (1-5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조제품을 얻었다. 이 조제품을 실리카겔로 쇼트 컬럼 정제(용매: 톨루엔)를 행한 후, 메탄올과 아세트산 에틸과의 혼합 용제(메탄올/아세트산 에틸=4/1(용량비))로 세정하고, 톨루엔으로 재결정을 행하고, 또한 승화 정제를 행하여, 목적 화합물인 9-(나프탈렌-1-일)-10-(7-(10-페닐안트라센-9-일)나프탈렌-2-일)안트라센 4.1 g(수율: 60%)을 얻었다. 하기 「반응 8」에 그 스킴을 나타낸다.
[화학식 51]
Figure pat00049
MS 스펙트럼 및 NMR 측정에 의해 목적 화합물 (1-57)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CDCl3):δ=8.27(t, 2H), 8.13?8.01(m, 4H), 7.90?7.46(m, 17H), 7.39?7.34(m, 6H), 7.27?7.19(m, 5H).
목적 화합물 (1-57)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218℃였다.
[측정 기기: Diamond DSC (PERKIN-ELMER사 제품); 측정 조건: 냉각 속도 200 ℃/Min., 승온 속도 10 ℃/Min.]
<식 (1-58)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예>
[화학식 52]
Figure pat00050
<9-(나프탈렌-2-일)-10-(7-(10-페닐안트라센-9-일)나프탈렌-2-일)안트라센의 합성>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제5 중간체 화합물인 7-(10-페닐안트라센-9-일)나프탈렌-2-일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2.64 g, (10-나프탈렌-2-일)안트라센-9-일)보론산 1.92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Pd(PPh3)4) 0.12 g, 인산 칼륨 2.13 g 및 톨루엔과 에탄올과의 혼합 용매 30 ml(톨루엔/에탄올=9/1(용량비))를 플라스크에 넣어 5분간 교반했다. 그 후, 물 3 ml를 부가하여 3시간 환류했다. 가열 종료 후에 반응액을 냉각시키고, 물을 20 ml 첨가하여, 침전을 여과했다. 또한, 침전을 물과 메탄올로 세정하여, 목적하는 식 (1-58)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조제품을 얻었다. 이 조제품을 실리카겔로 쇼트 컬럼 정제(용매: 클로로벤젠)를 행한 후, 아세트산 에틸로 세정하고, 클로로벤젠으로 재결정을 행하고, 또한 승화 정제를 행하여, 목적 화합물인 9-(나프탈렌-2-일)-10-(7-(10-페닐안트라센-9-일)나프탈렌-2-일)안트라센 2.4 g(수율: 70%)을 얻었다. 하기 「반응 9」에 그 스킴을 나타낸다.
[화학식 53]
Figure pat00051
MS 스펙트럼 및 NMR 측정에 의해 목적 화합물 (1-58)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CDCl3):δ=8.26(dd, 2H), 8.11?8.00(m, 5H), 7.95?7.91(m, 1H), 7.87?7.84(m, 4H), 7.77?7.73(m, 6H), 7.66?7.50(m, 8H), 7.39?7.32(m, 8H).
목적 화합물 (1-58)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205℃였다.
[측정 기기: Diamond DSC (PERKIN-ELMER사 제품); 측정 조건: 냉각 속도 200 ℃/Min., 승온 속도 10 ℃/Mi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한 유기 EL 소자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여, 각각 1000 cd/m2 발광 시의 특성인 전압(V), EL 발광 파장(nm), 외부 양자 효율(%)을 측정하였고, 다음으로, 2000 cd/m2의 휘도를 얻을 수 있는 전류 밀도로 정전류 구동했을 때 80%(1600 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발광 소자의 양자 효율에는, 내부 양자 효율과 외부 양자 효율이 있지만, 발광 소자의 발광층에 전자(또는 정공)로서 주입되는 외부 에너지가 순수하게 광자로 변환되는 비율을 나타낸 것이 내부 양자 효율이다. 한편, 이 광자가 발광 소자의 외부로까지 방출된 양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이 외부 양자 효율이며, 발광층에 있어서 발생한 광자는, 그 일부가 발광 소자의 내부에서 흡수되거나 또는 계속 반사되어, 발광 소자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양자 효율은 내부 양자 효율보다 낮아진다.
외부 양자 효율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어드반테스트사 제품인 전압/전류 발생기 R6144를 사용하여, 소자의 휘도가 1000 cd/m2가 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소자를 발광시켰다. TOPCON사 제품인 분광 방사 휘도계 SR-2A를 사용하여, 발광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가시광선 영역의 분광 방사 휘도를 측정하였다. 발광면이 완전 확산면인 것으로 가정하여, 측정한 각 파장 성분의 분광 방사 휘도의 값을 파장 에너지로 나누고 π를 곱한 수치가 각 파장에 있어서의 광자수이다. 이어서, 관측한 전체 파장 영역에서 광자수를 적산(積算)하여, 소자로부터 방출된 전체 광자수로 했다. 인가 전류값을 기본 전하(elementary electric charge)로 나눈 수치를 소자에 주입한 캐리어 수로 하고, 소자로부터 방출된 전체 광자수를 소자에 주입한 캐리어 수로 나눈 수치가 외부 양자 효율이다.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의, 각 층의 재료 구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at00052
표 1에 있어서, 「HI」는 N4,N4'-디페닐-N4,N4'-비스(9-페닐-9H-카르바졸-3-일)-[1,1'-비페닐]-4,4'-디아민, 「NPD」는 N,N'-디페닐-N,N'-디나프틸-4,4'-디아미노페닐, 「BD1」는 N5,N5,N9,N9,7,7,-헥사페닐-7H-벤조[c]플루오렌-5,9-디아민, 「ET1」은 9,10-디([2,2'-비피리딘]-5-일)안트라센, 화합물 (C-1)은 9-페닐-10-(4-페닐나프탈렌-1-일)-안트라센이며, 이하에서 각각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다.
[화학식 54]
Figure pat00053
<실시예 1>
<화합물 (1-22)를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에 사용한 소자>
스퍼터링에 의해 180 nm의 두께로 제막한 ITO를 150 nm까지 연마한, 26 mm×28 mm×0.7 mm의 유리 기판((주)오프토사이언스 제품)을 투명 지지 기판으로 만들었다. 이 투명 지지 기판을 시판중인 증착 장치(쇼와 진공(주) 제품)의 기판 홀더에 고정하고, HI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NPD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본 발명의 화합물 (1-22)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BD1을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ET1을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불화 리튬(LiF)이 들어간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및 알루미늄을 넣은 텅스텐제 증착용 보트를 장착하였다.
투명 지지 기판의 ITO막 상에 차례로, 하기 각 층을 형성하였다. 진공조를 5×10-4 Pa까지 감압하고, 먼저, HI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40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NPD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20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화합물 (1-22)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와 BD1이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동시에 가열하여 막 두께 35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화합물 (1-22)와 BD1의 중량비가 대략 95:5로 되도록 증착 속도를 조절하였다. 다음으로, ET1이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15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각 층의 증착 속도는 0.01?1 nm/초였다.
그 후, 불화 리튬(LiF)이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1 nm로 되도록 0.01?0.1 nm/초의 증착 속도로 증착하였다. 이어서, 알루미늄이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100 nm로 되도록 0.01?2 nm/초의 증착 속도로 알루미늄을 증착함으로써 음극을 형성하여, 유기 EL 소자를 얻었다.
ITO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불화 리튬/알루미늄 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1000 cd/m2 발광 시의 특성을 측정하면, 구동 전압은 4.1 V, 외부 양자 효율은 3.5%(파장 약 458 nm의 청색 발광)였다. 또한, 휘도 2000 cd/m2를 얻기 위한 전류 밀도에 의해, 정전류 구동 시험을 실시한 결과, 초기 휘도의 80%(1600 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60시간이었다.
<비교예 1>
<화합물 (C-1)을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에 사용한 소자>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인 화합물 (1-22)를 화합물 (C-1)로 변경한 점 이외는 실시예 1에 준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얻었다. ITO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불화 리튬/알루미늄 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1000 cd/m2 발광 시의 특성을 측정하면, 구동 전압은 4.8 V, 외부 양자 효율은 4.0%(파장 약 456 nm의 청색 발광)였다. 또한, 휘도 2000 cd/m2를 얻기 위한 전류 밀도에 의해, 정전류 구동 시험을 실시한 결과, 초기 휘도의 80%(1600 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40시간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표 2]
Figure pat00054
다음으로, 실시예 2?6 및 비교예 2, 3에 따른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고, 각각 1000 cd/m2 발광 시의 특성인 전압(V), EL 발광 파장(nm), 외부 양자 효율(%)을 측정하고, 그 다음으로, 2000 cd/m2의 휘도를 얻을 수 있는 전류 밀도로 정전류 구동했을 때 80%(1600 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제조한 실시예 2?6 및 비교예 2, 3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의, 각 층의 재료 구성을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at00055
표 3에 있어서, 「HT」는 N4,N4,N4',N4'-테트라[1,1'-비페닐]-4-일)-[1,1'-비페닐]-4,4'-디아민, 「BD2」는 7,7,-디메틸-N5,N9-디페닐-N5,N9-비스(4-(트리메틸실라닐)페닐)-7H-벤조[c]플루오렌-5,9-디아민, 「ET2」는 4,4'-(2-페닐안트라센-9,10-디일)비스(4,1-페닐렌)디피리딘, 「ET3」는 2-(4-(9,10-디(나프탈렌-2-일)안트라센-2-일)페닐)-1-페닐-1H-벤조[d]이미다졸, 화합물 (C-2)는 9-(7-([1,1'-비페닐]-2-일)나프탈렌-2-일)-10-페닐안트라센, 화합물 (C-3)은 9-(7-([1,1'-비페닐]-3-일)나프탈렌-2-일)-10-페닐안트라센, 그리고, 「Liq」는 8-퀴놀리놀리튬이다. 이하에서 각각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다.
[화학식 55]
Figure pat00056
<실시예 2>
<화합물 (1-22)를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에 사용한 소자>
스퍼터링에 의해 180 nm의 두께로 제막한 ITO를 150 nm까지 연마한, 26 mm×28 mm×0.7 mm의 유리 기판((주)오프토사이언스 제품)을 투명 지지 기판으로 만들었다. 이 투명 지지 기판을 시판중인 증착 장치(쇼와 진공(주) 제품)의 기판 홀더에 고정하고, HI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HT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본 발명의 화합물 (1-22)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BD2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ET2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8-퀴놀리놀리튬(Liq)을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마그네슘을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및 은을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를 장착하였다.
투명 지지 기판의 ITO막 상에 차례로, 하기 각 층을 형성하였다. 진공조를 5×10-4 Pa까지 감압하고, 먼저, HI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45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HT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20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화합물 (1-22)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와 BD2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동시에 가열하여 막 두께 25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화합물 (1-22)와 BD2의 중량비가 대략 95:5로 되도록 증착 속도를 조절하였다. 다음으로, ET2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25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각 층의 증착 속도는 0.01?2 nm/초였다.
그 후, Liq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1 nm로 되도록 0.01?0.1 nm/초의 증착 속도로 증착하였다. 이어서, 마그네슘이 들어간 보트와 은이 들어간 보트를 동시에 가열하여 막 두께 100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음극을 형성하였다. 이 때, 마그네슘과 은의 원자수의 비가 10:1로 되도록 증착 속도를 조절하여, 증착 속도가 0.01?2 nm/초로 되도록 하여 유기 EL 소자를 얻었다.
ITO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Liq/마그네슘 + 은 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1000 cd/m2 발광 시의 특성을 측정하면, 구동 전압은 3.47 V, 외부 양자 효율은 5.6%(파장 약 462 nm의 청색 발광)였다. 또한, 초기 휘도 2000 cd/m2를 얻기 위한 전류 밀도에 의해, 정전류 구동 시험을 실시한 결과, 초기값의 80%(1600 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110시간이었다.
<실시예 3>
<화합물 (1-57)을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에 사용한 소자>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인 화합물 (1-22)를 화합물 (1-57)로 변경한 점 이외는 실시예 2에 준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얻었다. ITO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Liq/마그네슘 + 은 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1000 cd/m2 발광 시의 특성을 측정하면, 구동 전압은 3.75 V, 외부 양자 효율은 5.48%(파장 약 460 nm의 청색 발광)였다. 또한, 초기 휘도 2000 cd/m2를 얻기 위한 전류 밀도에 의해, 정전류 구동 시험을 실시한 결과, 초기값의 80%(1600 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75시간이었다.
<비교예 2>
<화합물 (C-2)를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에 사용한 소자>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인 화합물 (1-22)를 화합물 (C-2)로 변경한 점 이외는 실시예 2에 준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얻었다. ITO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Liq/마그네슘 + 은 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1000 cd/m2 발광 시의 특성을 측정하면, 구동 전압은 4.22 V, 외부 양자 효율은 5.27%(파장 약 458 nm의 청색 발광)였다. 또한, 초기 휘도 2000 cd/m2를 얻기 위한 전류 밀도에 의해, 정전류 구동 시험을 실시한 결과, 초기값의 80%(1600 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52시간이었다.
<실시예 4>
<화합물 (1-1)을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에 사용한 소자>
스퍼터링에 의해 180 nm의 두께로 제막한 ITO를 150 nm까지 연마한, 26 mm×28 mm×0.7 mm의 유리 기판((주)오프토사이언스 제품)을 투명 지지 기판으로 만들었다. 이 투명 지지 기판을 시판중인 증착 장치(쇼와 진공(주) 제품)의 기판 홀더에 고정하고, HI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HT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본 발명의 화합물 (1-1)을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BD2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ET2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Liq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및 알루미늄을 넣은 텅스텐제 증착용 보트를 장착하였다.
투명 지지 기판의 ITO막 상에 차례로, 하기 각 층을 형성하였다. 진공조를 5×10-4 Pa까지 감압하고, 먼저, HI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45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HT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20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화합물 (1-1)이 들어간 증착용 보트와 BD2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동시에 가열하여 막 두께 25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화합물 (1-1)과 BD2의 중량비가 대략 95:5로 되도록 증착 속도를 조절하였다. 다음으로, ET2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와 Liq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동시에 가열하여 막 두께 25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ET2와 Liq의 중량비가 대략 1:1로 되도록 증착 속도를 조절하였다. 각 층의 증착 속도는 0.01?2 nm/초였다.
그 후, Liq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1 nm로 되도록 0.01?0.1 nm/초의 증착 속도로 증착하였다. 이어서, 알루미늄이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100 nm로 되도록 0.01?2 nm/초의 증착 속도로 알루미늄을 증착함으로써 음극을 형성하여, 유기 EL 소자를 얻었다.
ITO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Liq/알루미늄 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1000 cd/m2 발광 시의 특성을 측정하면, 구동 전압은 3.37 V, 외부 양자 효율은 5.64%(파장 약 457 nm의 청색 발광)였다. 또한, 휘도 2000 cd/m2를 얻기 위한 전류 밀도에 의해, 정전류 구동 시험을 실시한 결과, 초기 휘도의 80%(1600 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155시간이었다.
<실시예 5>
<화합물 (1-1)을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에 사용한 소자>
전자 수송층의 전자 수송 재료인 화합물 (ET2)를 화합물 (ET3)로 변경한 점 이외는 실시예 4에 준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얻었다. ITO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Liq/알루미늄 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1000 cd/m2 발광 시의 특성을 측정하면, 구동 전압은 3.95 V, 외부 양자 효율은 5.44%(파장 약 458 nm의 청색 발광)였다. 또한, 초기 휘도 2000 cd/m2를 얻기 위한 전류 밀도에 의해, 정전류 구동 시험을 실시한 결과, 초기값의 80%(1600 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253시간이었다.
<실시예 6>
<화합물 (1-22)를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에 사용한 소자>
스퍼터링에 의해 180 nm의 두께로 제막한 ITO를 150 nm까지 연마한, 26 mm×28 mm×0.7 mm의 유리 기판((주)오프토사이언스 제품)을 투명 지지 기판으로 만들었다. 이 투명 지지 기판을 시판중인 증착 장치(쇼와 진공(주) 제품)의 기판 홀더에 고정하고, HI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HT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본 발명의 화합물 (1-22)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BD2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ET3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Liq를 넣은 몰리브덴제 증착용 보트 및 알루미늄을 넣은 텅스텐제 증착용 보트를 장착하였다.
투명 지지 기판의 ITO막 상에 차례로, 하기 각 층을 형성하였다. 진공조를 5×10-4 Pa까지 감압하고, 먼저, HI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45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HT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20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화합물 (1-22)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와 BD2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동시에 가열하여 막 두께 25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화합물 (1-22)와 BD2의 중량비가 대략 95:5로 되도록 증착 속도를 조절하였다. 다음으로, ET3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25 nm로 되도록 증착하여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각 층의 증착 속도는 0.01?2 nm/초였다.
그 후, Liq가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1 nm가 되도록 0.01?0.1 nm/초의 증착 속도로 증착하였다. 이어서, 알루미늄이 들어간 증착용 보트를 가열하여, 막 두께 100 nm로 되도록 0.01?2 nm/초의 증착 속도로 알루미늄을 증착함으로써 음극을 형성하여, 유기 EL 소자를 얻었다.
ITO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Liq/알루미늄 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1000 cd/m2 발광 시의 특성을 측정하면, 구동 전압은 4.69 V, 외부 양자 효율은 3.67%(파장 약 458 nm의 청색 발광)였다. 또한, 휘도 2000 cd/m2를 얻기 위한 전류 밀도에 의해, 정전류 구동 시험을 실시한 결과, 초기 휘도의 80%(1600 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235시간이었다.
<비교예 3>
<화합물 (C-3)을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에 사용한 소자>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인 화합물 (1-22)를 화합물 (C-3)로 변경한 점 이외는 실시예 6에 준한 방법으로 유기 EL 소자를 얻었다. ITO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Liq/알루미늄 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1000 cd/m2 발광 시의 특성을 측정하면, 구동 전압은 5.03 V, 외부 양자 효율은 4.42%(파장 약 457 nm의 청색 발광)였다. 또한, 초기 휘도 2000 cd/m2를 얻기 위한 전류 밀도에 의해, 정전류 구동 시험을 실시한 결과, 초기값의 80%(1600 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96시간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표 4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표 4]
Figure pat00057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저전압 및 소자 수명이 우수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그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조명 장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100: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1: 기판
102: 양극 103: 정공 주입층
104: 정공 수송층 105: 발광층
106: 전자 수송층 107: 전자 주입층
108: 음극

Claims (12)

  1.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58

    식 (1) 중,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이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 또는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8의 정수이며, 그리고,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수소가 중수소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비페닐릴, 터페닐릴, 쿼터페닐릴, 나프틸, 페난트릴, 크리세닐 또는 트리페닐레닐이며,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킬 또는 탄소수 6?18의 아릴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인,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2-비페닐릴, 3-비페닐릴, 4-비페닐릴, 1-나프틸, 2-나프틸 또는 페난트릴이며, 페닐, 1-나프틸 또는 2-나프틸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tert-부틸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인,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2-비페닐릴, 3-비페닐릴, 4-비페닐릴, 1-나프틸, 2-나프틸 또는 페난트릴이며, 페닐, 1-나프틸 또는 2-나프틸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m 및 n은 0인,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식 (1-1), 하기 식 (1-22), 하기 식 (1-57) 또는 하기 식 (1-58)로 표시되는,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at00059
    .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을 함유하는 발광층용 재료.
  7. 양극 및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전극; 및
    상기 한쌍의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제6항에 기재된 발광층용 재료
    를 함유하는 발광층
    을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에, 스틸벤 구조를 가지는 아민,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쿠마린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음극과 상기 발광층과의 사이에 배치된 전자 수송층 및/또는 전자 주입층을 가지고,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는, 퀴놀리놀계 금속 착체(錯體), 피리딘 유도체, 페난트롤린 유도체, 보란 유도체 및 벤조이미다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희토류 금속, 알칼리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금속의 할로겐화물, 알칼리 토류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토류 금속의 할로겐화물, 희토류 금속의 산화물, 희토류 금속의 할로겐화물, 알칼리 금속의 유기 착체, 알칼리 토류 금속의 유기 착체 및 희토류 금속의 유기 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함유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비한 표시 장치.
  12.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1020120012840A 2011-02-24 2012-02-08 신규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890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38499 2011-02-24
JP2011038499 2011-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322A true KR20120097322A (ko) 2012-09-03
KR101890719B1 KR101890719B1 (ko) 2018-08-22

Family

ID=4680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840A KR101890719B1 (ko) 2011-02-24 2012-02-08 신규한 2,7-비스안트릴나프탈렌 화합물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94155B2 (ko)
KR (1) KR101890719B1 (ko)
CN (1) CN102675032B (ko)
TW (1) TWI56150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491A1 (ko) * 2020-07-24 2022-0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9256B2 (ja) * 2013-09-25 2018-07-18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電子機器
WO2018150832A1 (ja) * 2017-02-16 2018-08-23 学校法人関西学院 有機電界発光素子
CN110627602A (zh) * 2018-06-22 2019-12-31 天津大学 有机光电半导体材料及其合成方法和应用
JP7325731B2 (ja) 2018-08-23 2023-08-15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729A (en) 1987-07-15 1989-01-25 Fujitsu Ltd Multi-track jump system for optical disk device
JP2001284050A (ja) 2000-03-30 2001-10-12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有機発光媒体
JP2004006222A (ja) 2002-04-22 2004-01-08 Hayashibara Biochem Lab Inc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5139390A (ja) 2003-11-10 2005-06-02 Sony Corp 含クマリン発光性有機材料及び有機el素子
KR20070078724A (ko) * 2006-01-27 2007-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기소자
JP2009518342A (ja) 2005-12-08 2009-05-07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のための新規材料
KR20100006979A (ko) * 2008-07-11 2010-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5721A (en) * 1998-03-20 1999-08-10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for stable electroluminescent
KR100852328B1 (ko) * 2006-03-15 2008-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551207B1 (ko) * 2008-09-04 2015-09-08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유기 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729A (en) 1987-07-15 1989-01-25 Fujitsu Ltd Multi-track jump system for optical disk device
JP2001284050A (ja) 2000-03-30 2001-10-12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有機発光媒体
JP2004006222A (ja) 2002-04-22 2004-01-08 Hayashibara Biochem Lab Inc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5139390A (ja) 2003-11-10 2005-06-02 Sony Corp 含クマリン発光性有機材料及び有機el素子
JP2009518342A (ja) 2005-12-08 2009-05-07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のための新規材料
KR20070078724A (ko) * 2006-01-27 2007-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기소자
KR20100006979A (ko) * 2008-07-11 2010-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 Phys. Lett. 89, 252903(2006)
Appl. Phys. Lett. 90, 123506(2007)
Appl. Phys. Lett. 91, 083515(2007)
Appl. Phys. Lett. 91, 251111(2007)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R: Reports Volume 39, Issues 5-6, Pages 143-222, 200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491A1 (ko) * 2020-07-24 2022-0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CN115461317A (zh) * 2020-07-24 2022-12-09 株式会社Lg化学 新化合物和包含其的有机发光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61502B (en) 2016-12-11
TW201235332A (en) 2012-09-01
CN102675032B (zh) 2016-08-03
KR101890719B1 (ko) 2018-08-22
JP5794155B2 (ja) 2015-10-14
CN102675032A (zh) 2012-09-19
JP2012188416A (ja)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309B1 (ko) 발광층용 재료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7202572B2 (ja) 多環芳香族化合物
JP7232448B2 (ja) 有機デバイス用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JP5796582B2 (ja) 新規アントラセン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KR102023792B1 (ko) 벤조플루오렌 화합물, 그 화합물을 사용한 발광층용 재료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WO2019009052A1 (ja) 多環芳香族化合物
JP5780132B2 (ja) ベンゾフルオレン化合物、該化合物を用いた発光層用材料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KR102342591B1 (ko) 벤조플루오렌 화합물, 그 화합물을 사용한 발광층용 재료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5824827B2 (ja) ベンゾフルオレン化合物、該化合物を用いた発光層用材料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JP5834442B2 (ja) ベンゾフルオレン化合物、該化合物を用いた発光層用材料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JP7276750B2 (ja) 多環芳香族系二量体化合物
JP6341315B2 (ja) 発光層用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KR102007337B1 (ko) 벤조플루오렌 화합물, 이 화합물을 사용한 발광층용 재료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87126B1 (ko)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7269602B2 (ja) 多環芳香族化合物およびその多量体
JP5794155B2 (ja) 新規な2,7−ビスアントリルナフタレン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KR20230049656A (ko) 다환 방향족 화합물
KR20130112690A (ko) 전자 수용성 질소 함유 헤테로아릴을 함유하는 치환기를 갖는 카르바졸 화합물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16132642A (ja) アクリジン系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薄膜デバイス
JP5867269B2 (ja) ベンゾフルオレン化合物、該化合物を用いた発光層用材料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KR20230046222A (ko) 다환 방향족 화합물
KR20230086603A (ko) 트리아지닐기를 가지는 다환 방향족 화합물을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23085205A (ja) トリアジニル基を有する多環芳香族化合物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