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305A - 가스소화설비 - Google Patents

가스소화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305A
KR20120093305A KR1020127013224A KR20127013224A KR20120093305A KR 20120093305 A KR20120093305 A KR 20120093305A KR 1020127013224 A KR1020127013224 A KR 1020127013224A KR 20127013224 A KR20127013224 A KR 20127013224A KR 20120093305 A KR20120093305 A KR 20120093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ircumferential wall
circumferential
end wall
extinguishin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2714B1 (ko
Inventor
히데아키 고토
Original Assignee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가스소화설비는 소화가스 공급원(15)에서 도관(14), 분기관(18) 및 분지관(19)을 통하여 공급되는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헤드(13)에 소음장치(17)를 형성하며, 소화가스 분사류에 기인하는에 의한 분사음을 억제한다.

Description

가스소화설비{GAS FIRE-EXTINGUISHING FACILITY}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에 건물의 소화대상구획 내에 N2가스 또는 할로겐화물 가스 등의 소화가스를 소화제로써 방출함으로써, 소화대상구획 내의 O2농도를 저하시켜서 소화하는 가스소화설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소화대상구획 내에 형성되는 분사헤드에서 소화가스를 분사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큰 음향을 저감하기 위해서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스소화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소화제로써 CO2가스 및 N2가스 및 할로겐화물 등의 소화가스를 소화대상구획 내에 방출하여, 그 소화대상구획 내의 O2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소화를 실시하는 가스소화설비가 각종의 건물에 장비되어 있다.
도 16은 종래 기술의 가스소화설비로 이용되는 소화가스 분사부(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소화가스 분사부(1)는 소화가스 공급원(2)으로부터 화재 발생시에 공급되는 고압의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헤드(3)와, 분사헤드(3)가 접속되는 도관(4)을 구비한다.
도관(4)은 소화가스 공급원(2)에 접속되는 메인관(5)과, 메인관(5)에 개재되는 분기관(6)과, 분기관(6)에 의해서 메인관(5)에서의 소화가스가 안내되며, 상기 분사헤드(3)가 접속되는 분지관(分枝官, branch pipe)(7)을 가진다. 메인관(5)은 건물의 몸체 또는 그 몸체에 고정된 기대(基台)(8) 및 브라켓(9)에 U볼트 등의 체결구(10)에 의해서 체결되며, 분사헤드(3)의 진동 및 변위가 억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평8-173565호 공보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소화가스 공급원(2)으로부터 도관(4)을 거쳐서 공급되는 고압의 소화가스를 분사헤드(3)에서 대량으로 분사하기 때문에, 분사헤드(3)의 노즐부(112)에 형성되는 노즐구멍(116)에서 고속으로 분사되는 소화가스 분사류에 의해서, 이른바 공기를 찢는듯한 큰 음향을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사헤드에서의 소화가스 분사류에 기인하는 음향을 감쇠시킬 수 있는 가스소화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간을 향하여 분사하는 노즐부를 가지는 분사헤드와;
분사헤드가 접속되며, 분사헤드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안내하는 도관과;
도관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급하는 소화가스 공급원과;
분사헤드에 형성되며, 노즐부에서의 소화가스의 방출에 의한 음향을 감쇠시키는 소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가스 공급원으로부터 도관에 공급된 고압의 소화가스는 분사헤드를 통하여 건물 내의 공간을 향하여 분사된다. 이와 같은 분사헤드에는 소음장치가 형성됨으로써 분사헤드의 노즐부에서 고속으로 분사되는 소화가스 분사류에 기인하는 큰 분사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둘레벽에는 복수의 통기구멍이 상기 둘레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장치는 둘레벽과 단부벽과 부착부를 가지며, 부착부에 의해서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소음장치가 구성됨으로써, 분사헤드의 노즐부에서 분사된 소화가스는 단부벽에 충돌한 후, 둘레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기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므로 큰 분사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단부벽에는 복수의 통기구멍이 상기 단부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장치는 둘레벽과 단부벽과 부착부를 가지며, 부착부에 의해서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분사헤드의 노즐부에서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는 둘레벽 내의 공간을 거쳐서 단부벽에 충돌한 후, 상기 단부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기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소음장치의 구성에 의해서도 또, 소화가스 분사시에 큰 분사음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둘레벽, 단부벽 및 부착부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에는 흡음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음장치의 둘레벽, 단부벽 및 부착부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에 흡음재가 수용되므로, 상기 흡음재에 의해서 소화가스 분사류의 진동이 흡수되어 이것에 의해서 보다 분사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부착부와; 분사헤드의 노즐부에 있어서의 소화가스 분사방향 하류측에 면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내측 통형상체;를 포함하며,
단부벽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스 방출구멍이 형성되고,
내측 통형상체는 복수의 투공이 형성되는 통형상부와, 통형상부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통형상부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헤드의 노즐부에서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는 내측 통형상체 내에서, 이 내측 통형상체의 통형상의 단부판에 충돌하여, 통형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을 통하여 방출된 후, 통형상부와 둘레벽 사이의 공간을 더욱 거쳐서, 단부벽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가스 방출시에 있어서의 분사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간을 향하여 분사하는 노즐부를 가지는 분사헤드와;
분사헤드가 접속되며, 분사헤드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안내하는 도관과;
도관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급하는 소화가스 공급원;을 포함하며,
분사헤드의 노즐부에는 상기 도관의 내주면에 매끄럽게 이어지는 내주면을 가지는 노즐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가스 공급원으로부터 도관에 공급된 고압의 소화가스는 분사헤드를 통하여 건물 내 등의 공간을 향하여 분사된다. 이와 같은 분사헤드에는 도관의 내주면에 매끄럽게 이어지는 내주면을 가지는 노즐구멍이 형성되므로, 분사헤드의 노즐부에서 고속으로 분사되는 소화가스 분사류에 기인하여 큰 분사음을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간을 향하여 분사하는 노즐부를 가지는 분사헤드와;
분사헤드가 접속되며, 분사헤드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안내하는 도관과;
도관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급하는 소화가스 공급원과;
분사헤드와 도관 사이에 형성되며, 노즐부에서의 소화가스의 방출에 의한 음향을 감쇠시키는 소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가스 공급원으로부터 도관에 공급된 고압의 소화가스는 분사헤드를 통하여 건물 내의 공간을 향하여 분사된다. 이와 같은 분사헤드와 도관 사이에 소음장치가 형성됨으로써, 분사헤드의 노즐부에서 고속으로 분사되는 소화가스 분사류에 기인하는 큰 분사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도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부착부와;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2 부착부와; 상기 일단부에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1 단부벽과; 상기 타단부에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2 단부벽;을 포함하며,
제 1 단부벽에는 둘레벽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1 단부벽의 중앙부에 적어도 1개의 투공이 상기 제 1 단부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 2 단부벽에는 복수의 투공이 상기 제 2 단부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장치는 둘레벽과, 제 1 단부벽, 제 2 단부벽과, 제 1 부착부, 제 2 부착부를 가지며, 제 1 부착부, 제 2 부착부에 의해서 분사헤드 및 도관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관으로부터 공급되어 제 1 단부벽에 형성되는 투공을 통하여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는 소음장치 내에서, 제 2 단부벽의 중앙부에 충돌한 후, 제 2 단부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으로부터, 제 2 단부벽과 분사헤드로 규정되는 공간 내에 방출된 후, 분사헤드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소음장치는 제 1 단부벽에 형성되는 투공을 통하여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를 소음장치 내의 공간에서 팽창시킴으로써, 제 2 단부벽에 형성되는 투공으로의 유속을 내리므로, 분사헤드에서의 소화가스 방출에 의한 음향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도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부착부와;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2 부착부와; 상기 일단부에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1 단부벽과; 상기 타단부에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2 단부벽;을 포함하며,
제 1 단부벽에는 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소화가스를 둘레벽, 제 1 단부벽 및 제 2 단부벽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으로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구멍을 가지는 안내부가 둘레벽의 축선 상에 상기 내부공간에 면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구멍은 둘레벽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 상에, 둘레벽의 축선에 관하여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제 2 단부벽에는 복수의 투공이 상기 제 2 단부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장치는 둘레벽과 제 1 단부벽, 제 2 단부벽과 제 1 부착부, 제 2 부착부를 가지며, 제 1 부착부, 제 2 부착부에 의해서 분사헤드 및 도관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관으로부터 공급되어 제 1 단부벽에 형성되는 안내부의 노즐구멍에서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는 소음장치 내에서, 둘레벽의 내주면에 충돌한 후, 제 2 단부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을 통하여, 제 2 단부벽과 분사헤드로 규정되는 공간 내에 방출된 후, 분사헤드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소음장치는 제 1 단부벽에 형성되는 안내부의 노즐구멍에서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를 소음장치 내의 공간에서 팽창시킴으로써, 제 2 단부벽에 형성되는 투공으로의 유속을 내리므로, 분사헤드에서의 소화가스 방출에 의한 음향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1 단부벽과;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를 가지며,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2 단부벽과; 제 1 단부벽과 제 2 단부벽 사이에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로막이벽과; 분사헤드에서 분사되는 소화가스를 둘레벽, 제 1 단부벽 및 가로막이벽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제 1 소음실로 안내하는 통형상의 도통관과; 둘레벽, 제 2 단부벽 및 가로막이벽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제 2 소음실 내의 소화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통형상의 통기관;을 포함하며,
가로막이벽에는 복수의 투공이 상기 가로막이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도통관에는 도통관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도통관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단부판이 형성되며, 도통관의 둘레벽에 있어서 제 1 소음실에 돌출된 부분에는 복수의 투공이 상기 도통관의 둘레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통기관은 가로막이벽 및 제 1 단부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장치는 둘레벽과, 제 1 단부벽과, 부착부를 가지는 제 2 단부벽과, 가로막이벽을 포함하며, 부착부에 의해서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연결부에 의해서 분사헤드에 연결되는 도통관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을 통하여 제 1 소음실에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는 가로막이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을 통하여 제 2 소음실로 방출된다. 제 2 소음실에 방출된 소화가스는 통기관을 통하여 소음장치의 외부로 방출된다. 소음장치는 도통관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을 통하여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를 제 1 소음실 내의 공간 및 제 2 소음실 내의 공간에서 팽창시킴으로써, 통기관으로의 유속을 내리므로, 통기관에서의 소화가스 방출에 의한 음향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1 단부벽과;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를 가지며,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2 단부벽과; 제 1 단부벽과 제 2 단부벽 사이에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로막이벽과; 분사헤드에서 분사되는 소화가스를 둘레벽, 제 1 단부벽 및 가로막이벽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제 1 소음실로 안내하는 통형상의 도통관과; 둘레벽, 제 2 단부벽 및 가로막이벽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제 2 소음실 내의 소화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통형상의 복수의 통기관;을 포함하며,
가로막이벽에는 복수의 투공이 상기 가로막이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도통관에는 도통관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도통관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단부판이 형성되며, 도통관의 둘레벽에 있어서 제 1 소음실에 돌출된 부분에는 복수의 투공이 상기 도통관의 둘레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관은 둘레벽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 상에, 둘레벽의 축선에 관하여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둘레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장치는 둘레벽과, 제 1 단부벽과 부착부를 가지는 제 2 단부벽과, 가로막이벽을 포함하며, 부착부에 의해서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연결부에 의해서 분사헤드에 연결되는 도통관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을 통하여 제 1 소음실에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는 가로막이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을 통하여 제 2 소음실에 방출된다. 제 2 소음실에 방출된 소화가스는 통기관을 통하여 소음장치의 외부로 방출된다. 소음장치는 도통관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을 통하여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를 제 1 소음실 내의 공간 및 제 2 소음실 내의 공간에서 팽창시킴으로써, 통기관으로의 유속을 내리므로, 통기관에서의 소화가스 방출에 의한 음향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과;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와; 둘레벽, 단부벽 및 분사헤드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다공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흡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음재는 다공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이와 같은 흡음재를 노즐구멍의 직후에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분지관(分枝官, branch pipe)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가스를 서서히 감압 팽창하여, 그 유속을 내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가스분사에 기인하는 분사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음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흡음재는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1 흡음재와; 상기 축선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 2 흡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음재는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1 흡음재와, 상기 축선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 2 흡음재를 포함하므로, 노즐구멍의 직후에 분지관측에서 공급되는 소화가스를 제 1 흡음재에 의해서 서서히 감압 팽창하여, 그 유속을 내릴 수 있음과 아울러, 분사 직전에 제 2 흡음재에 의해서 소화가스를 더욱 감압 팽창하여, 그 유속을 내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가스분사에 기인하는 분사음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음장치는 상기 제 1 흡음재와 상기 제 2 흡음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흡음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흡음재와 제 2 흡음재 사이에는 제 3 흡음재가 형성되므로, 제 3 흡음재에 의해서, 소화가스 분사류에 기인하는 음향 진동을 흡수하여, 소화가스분사에 기인하는 분사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사헤드에 소음장치가 형성되므로, 화재 발생시에 분사헤드의 노즐부에서 소화가스가 분사되어도 큰 분사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사헤드에는 도관의 내주면에 매끄럽게 이어지는 내주면을 가지는 노즐구멍이 형성되므로, 화재 발생시에 분사헤드의 노즐부에서 소화가스가 분사되어도 큰 분사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사헤드와 도관 사이에 소음장치가 형성됨으로써, 화재 발생시에 분사헤드의 노즐부에서 소화가스가 분사되어도 큰 분사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아래와 같은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화가스 분사부(1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소음장치(17)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a)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b)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c)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의 분사헤드(5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분사헤드(50)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60)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60a)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d)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소음장치(17d)에 의한 소음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e)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f)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g)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h)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 기술의 가스소화설비로 이용되는 소화가스 분사부(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화가스 분사부(1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는 건물의 소화대상구획 내에 형성되며, 고압의 소화가스를 상기 소화대상구획 내의 공간을 향하여 분사하는 노즐부(12)를 가지는 분사헤드(13)와, 분사헤드(13)가 접속되며, 분사헤드(13)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안내하는 도관(14)과, 도관(14)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급하는 소화가스 공급원(15)과, 분사헤드(13)에 형성되며, 노즐부(12)에 형성되는 노즐구멍(16)에서 분사되는 소화가스분사에 의한 분사음 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음향을 감쇠시키는 소음장치(17)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가스는 N2가스 및 CO2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또는 할로겐화물 가스 등의 활성 가스에 의해서 실현되며, 이와 같은 소화가스를 소화제로써 방출함으로써, 소화대상구획 내의 O2농도를 저하시켜 소화할 수 있다.
상기 분사헤드(13)와, 소음장치(17)에 의해서, 상기 소화가스 분사부(1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소화가스 분사부(11)에는 소화가스 공급원(15)으로부터 도관(14)를 거쳐서 분사헤드(13)에 공급된다. 도관(14)은 소화가스 공급원(15)에 접속되는 메인관(23)과, 메인관(23)에 개재되는 분기관(18)과, 분기관(18)에 접속되는 분지관(19)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도관(14)를 거쳐서 소화가스 공급원(15)로부터의 고압의 소화가스가 상기 분사헤드(13)에 안내된다. 도관(14)은 기대(20) 및 브라켓(21)에 U볼트 등의 체결구(22)에 의해서 체결되며, 진동 및 변위가 억제된 상태로 건물의 몸체에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소음장치(17)의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소음장치(17)는 원통형상의 둘레벽(25)과, 둘레벽(25)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25)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26)과, 둘레벽(25)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13)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부착부(27)와, 둘레벽(25) 내에 그 내주면을 따라서 장착되어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흡음재(3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흡음재(33)로써는, 예를 들면, 와이어 메쉬를 복수 적층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단부벽(26)에는 동일 축선 상에 가스 방출구멍(3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소음장치(17)를 이용함으로써, 분사헤드(13)의 노즐부(12)에서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 분사류에 기인하는 음향 진동은 흡음재(33)에 의해서 흡수되어 가스 방출구멍(34)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가스분사에 기인하는 분사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a)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의 상기 소음장치(17a)는 원통형상의 둘레벽(25)과, 둘레벽(25)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25)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26)과, 둘레벽(25)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1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부착부(27)와, 분사헤드(13)의 노즐부(12)에 있어서의 소화가스 분사방향 하류측에 면하는 부분(28)에 형성되는 내측 통형상체(29)를 포함한다.
내측 통형상체(29)는 복수의 투공(30)이 형성되는 곧은 원통형상의 통형상부(31)와, 통형상부(31)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통형상부(3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판(32)을 가진다.
이와 같은 소음장치(17a)에 의해서, 분사헤드(13)의 노즐부(12)에서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는 내측 통형상체(29) 내에서, 이 내측 통형상체(29)의 통형상의 단부판(32)에 충돌하여, 통형상부(31)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30)을 통하여 방출된 후, 통형상부(31)와 둘레벽(25) 사이의 공간을 더욱 거쳐서, 단부벽(26)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구멍(34)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소화가스 방출에 의한 음향의 발생이 억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b)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소음장치(17b)는 원통형상의 둘레벽(35)과, 둘레벽(35)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35)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36)과, 둘레벽(35)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13)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37)를 가진다. 단부벽(36)에는 복수의 통기구멍(38)이 상기 단부벽(36)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소음장치(17b)는 또, 둘레벽(35), 단부벽(36) 및 부착부(37)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39)에 흡음재(40)가 수용된다. 이 흡음재(40)로써는 와이어 메쉬를 복수 적층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소음장치(17b)를 구비하는 가스소화설비에 의해서, 분사헤드(13)의 노즐부(12)에서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는 둘레벽(35) 내의 공간을 거쳐서 단부벽(36)에 충돌하며, 상기 단부벽(36)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기구멍(38)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소음장치의 구성에 의해서도 또한, 큰 음향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c)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의 소음장치(17c)는 원통형상의 둘레벽(41)과, 둘레벽(41)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4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42)과, 둘레벽(41)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13)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43)를 가진다. 둘레벽(41)에는 복수의 통기구멍(44)이 상기 둘레벽(41)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소음장치(17c)에는 둘레벽(41), 단부벽(42) 및 부착부(43)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45)에 흡음재(46)가 수용된다. 이 흡음재(46)로써는 예를 들면, 와이어 메쉬를 복수 적층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소음장치(17c)를 구비하는 가스소화설비에 의해서, 분사헤드(13)의 노즐부(12)에서 분사된 소화가스는 단부벽(42)에 충돌하여 그 유속이 감쇠하고, 둘레벽(41)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기구멍(44)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가스에 분사에 기인하여 큰 음향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의 분사헤드(5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분사헤드(50)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는 건물 내에 형성되며, 고압의 소화가스를 상기 건물 내의 공간을 향하여 분사하는 노즐부(12)를 가지는 분사헤드(50)와, 분사헤드(50)가 접속되며, 분사헤드(50)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안내하는 도관(14)과, 도관(14)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급하는 소화가스 공급원(15)을 포함한다.
분사헤드(50)의 노즐부(12)에는 상기 도관(14)에 있어서의 분지관(19)의 내주면(51)에 매끄럽게 이어지는 내주면(52)을 가지는 노즐구멍(1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사헤드(50)를 이용함으로써, 소화가스 공급원(15)으로부터 도관(14)에 공급된 고압의 소화가스는 분사헤드(50)의 노즐구멍(16)을 통하여 건물 내의 공간을 향하여 분사된다. 이 때, 분사헤드(50)에는 도관(14)에 있어서의 분지관(19)의 내주면(51)에 매끄럽게 이어지는 내주면(52)을 가지는 노즐구멍(16)이 형성되므로, 분사헤드(50)의 노즐부(12)에서 고속으로 분사되는 소화가스 분사류,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분사헤드(50a)에 있어서, 도관(14)에 있어서의 분지관(19)의 내경(D1)보다도 작은 내경(D2)으로 된 노즐구멍(16)의 유입구에 면하는 에지부(55) 등에 기인하는 큰 분사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60)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의 소음장치(60)는 원통형상의 둘레벽(61)과, 둘레벽(61)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분지관(19)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62){청구범위에서의 '제 1 부착부'에 해당}와, 둘레벽(61)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13)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63){청구범위에서의 '제 2 부착부'에 해당}와, 상기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6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64){청구범위에서의 '제 1 단부벽'에 해당}과, 상기 타단부에 상기 둘레벽(6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65){청구범위에서의 '제 2 단부벽'에 해당}을 가진다.
단부벽(64)에는 적어도 1개의 투공(66)이 상기 단부벽(64)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적어도 1개의 투공(66)은 둘레벽(61)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단부벽(64)의 중앙부(68)에 형성되어 분지관(19)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가스의 유량을 압축한다. 단부벽(65)에는 복수의 투공(67)이 상기 단부벽(65)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투공(67)은 둘레벽(61)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단부벽(65)의 중앙부(69)를 제외한 잔여 주변부(70)에 형성된다. 단부벽(64,65)은 예를 들면, 펀칭 메탈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소음장치(60)에 의해서, 단부벽(64)에 형성되는 투공(66)을 통하여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는 소음장치(60) 내에서, 단부벽(65)의 중앙부(69)에 충돌하여 그 유속이 감쇠하고, 단부벽(65)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67)을 통하여, 단부벽(65)과 분사헤드(13)로 규정되는 공간 내에 방출된 후, 노즐부(12)에 형성되는 노즐구멍(16)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소음장치(60)는 단부벽(64)에 형성되는 투공(66)을 통하여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를 소음장치(60) 내의 공간에서 팽창시킴으로써, 단부벽(65)에 형성되는 투공(67)으로의 유속을 내리므로, 노즐구멍(16)에서의 소화가스 방출에 의한 음향의 발생이 억제된다.
도 8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단부벽(65)의 중앙부(69)에 투공(67)을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 단부벽(65)의 중앙부(69)에 투공(67)을 형성하여도 좋다. 단부벽(65)의 중앙부(69)에 투공(67)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단부벽(65)의 중앙부(69)에 투공(67)을 형성하는 경우 보다도, 투공(66)을 통하여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를 받아치는 양이 많아, 보다 유속을 내리므로 소음 효과는 높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60a)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의 소음장치(60a)는 원통형상의 둘레벽(61)과, 둘레벽(61)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분지관(19)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62)와, 둘레벽(61)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13)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63)와, 상기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6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64a){청구범위에서의 '제 1 단부벽'에 해당}과, 상기 타단부에 상기 둘레벽(6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65)을 가진다.
단부벽(64a)에는 분지관(19)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소화가스를 둘레벽(61) 및 단부벽(64a,65)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으로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구멍(71)을 가지는 안내부(72)가 둘레벽(61)의 축선 상에 상기 내부공간에 면하여 형성된다. 안내부(72)의 복수의 노즐구멍(71)은 둘레벽(61)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 상에, 둘레벽(61)의 축선에 관하여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단부벽(65)에는 복수의 투공(67)이 상기 단부벽(65)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투공(67)은 둘레벽(61)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단부벽(65)의 중앙부(69)를 제외한 잔여 주변부(70)에 형성된다. 단부벽(65)는 예를 들면, 펀칭 메탈에 의해서 구성된다. 도 9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단부벽(65)의 중앙부(69)에 투공(67)을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 단부벽(65)의 중앙부(69)에 투공(67)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소음장치(60a)에 의해서, 단부벽(64a)에 형성되는 안내부(72)의 노즐구멍(71)을 통하여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는 소음장치(60a) 내에서, 둘레벽(61)의 내주면에 충돌하여 그 유속이 감쇠하고, 단부벽(65)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67)을 통하여, 단부벽(65)과 분사헤드(13)로 규정되는 공간 내에 방출된 후, 노즐부(12)에 형성되는 노즐구멍(16)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소음장치(60a)는 노즐구멍(71)을 통하여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를 소음장치(60a) 내의 공간에서 팽창시킴으로써, 단부벽(65)에 형성되는 투공(67)으로의 유속을 내리므로, 노즐구멍(16)에서의 소화가스 방출에 의한 음향의 발생이 억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d)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소음장치(17d)는 예를 들면, 소화대상구획의 벽면에 형성되는 분사헤드(13)에 부착되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의 상기 소음장치(17d)는 원통형상의 둘레벽(81)과, 둘레벽(81)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8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82){청구범위에서의 '제 1 단부벽'에 해당}과, 분사헤드(13)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83)를 가지며, 둘레벽(81)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상기 둘레벽(8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84){청구범위에서의 '제 2 단부벽'에 해당}과, 단부벽(82)과 단부벽(84) 사이에 둘레벽(8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로막이벽(85)과, 분사헤드(13)에서 분사되는 소화가스를 둘레벽(81), 단부벽(82) 및 가로막이벽(85)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소음실(86){청구범위에서의 '제 1 소음실'에 해당}로 안내하는 원통형상의 도통관(87)과, 둘레벽(81), 단부벽(84) 및 가로막이벽(85)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소음실(88){청구범위에서의 '제 2 소음실'에 해당} 내의 소화가스를 소음장치(17d)의 외부로 안내하는 원통형상의 통기관(89)를 포함한다.
둘레벽(81), 단부벽(82) 및 단부벽(84)은 예를 들면, 소음재에 의해서 구성된다. 가로막이벽(85)에는 복수의 투공(851)이 상기 가로막이벽(85)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가로막이벽(85)은 예를 들면, 펀칭 메탈에 의해서 구성된다.
도통관(87)은 가로막이벽(85)을 관통하여 소음실(86)에 돌출되어 배치된다. 도통관(87)에는 도통관(87)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분사헤드(1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871)가 형성되며, 도통관(87)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단부판(872)이 형성된다. 도통관(87)의 둘레벽에 있어서 소음실(86)에 돌출된 부분(873)에는 복수의 투공(874)이 도통관(87)의 둘레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통관(87)에 있어서 복수의 투공(874)이 형성되는 부분(873)은 예를 들면, 펀칭 메탈에 의해서 구성된다. 통기관(89)은 가로막이벽(85) 및 단부벽(82)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소음실(88)측의 개구부에 철망(891)이 형성되어, 외부를 향한 개구부인 소화가스 분사구(892)에서 소화가스를 분사한다. 통기관(89)의 재료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이다.
이와 같은 소음장치(17d)에 의해서, 도통관(87)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874)을 통하여 고속으로 소음실(86)에 분사된 소화가스는 가로막이벽(85)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851)을 통하여 소음실(88)로 방출된다. 투공(851)을 통하여 소음실(88)로 방출된 소화가스는 통기관(89)을 통하여 소음장치(17d)의 외부로 방출된다. 소음장치(17d)는 복수의 투공(874)을 통하여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를 소음실(86) 내의 공간 및 소음실(88) 내의 공간에서 팽창시킴으로써, 통기관(89)으로의 유속을 내리므로, 통기관(89)에서의 소화가스 방출에 의한 음향의 발생이 억제된다.
구멍지름(㎜) 압력 유속(㎧)
실시예 1 50 1.5 기압 250
실시예 2 80 1.1 기압 100
표 1은 소음장치(17d)를 이용한 가스소화설비의 실시예 1, 2에 대한 압력 및 유속의 계산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은 소음장치(17d)의 통기관(89)의 구멍 지름이 50㎜이며, 실시예 2는 소음장치(17d)의 통기관(89)의 구멍 지름이 80㎜이다. 압력은 소음실(86)의 압력이며, 유속(㎧)은 통기관(89)의 소화가스 분사구(892)로의 유속이다.
2기압의 소화가스를 1기압의 대기 중에 분사할 때의 유속은 약 340㎧이며, 큰 음향큰 음향한다. 소음실(86) 내의 압력을 내림으로써, 소화가스 분사구(892)로의 유속을 내려, 음량을 내릴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소음실(86) 내의 압력이 약 1.5기압이며, 소화가스 분사구(892)로의 유속은 약 250(㎧)이다. 실시예 2에서는 소음실(86) 내의 압력이 약 1.1기압이며, 소화가스 분사구(892)로의 유속은 약 100(㎧)이다.
도 11은 소음장치(17d)에 의한 소음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세로축이 음압(㏈)이며, 가로축이 노즐부(12)에서의 거리(m)이다. 그래프(91)가 소음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의 그래프이며, 그래프(92)가 실시예 1의 경우의 그래프이며, 그래프(93)가 실시예 2의 경우의 그래프이다.
노즐부(12)에서의 거리가 2(m)인 위치에서는 소음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음압은 약 125㏈이지만, 실시예 1에서는 음압은 약 105㏈까지 내려갔으며, 실시예 2에서는 음압은 약 100㏈까지 내려가 있다. 마찬가지로 노즐부(12)에서의 거리가 10(m)인 위치에서는 소음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음압은 약 115㏈이지만, 실시예 1에서는 음압은 약 96㏈까지 내려갔으며, 실시예 2에서는 음압은 약 92㏈까지 내려가 있다. 즉, 소음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실시예 1에서는 음압을 약 20㏈ 내릴 수 있으며, 실시예 2에서는 음압을 약 25㏈ 내릴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e)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소음장치(17e)는 예를 들면, 소화대상구획의 천장에 형성되는 분사헤드(13)에 부착되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의 상기 소음장치(17e)는 원통형상의 둘레벽(81)과, 둘레벽(81)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8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82)과, 분사헤드(13)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83)를 가지며, 둘레벽(81)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상기 둘레벽(8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84)과, 단부벽(82)과 단부벽(84) 사이에 둘레벽(8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로막이벽(85)과, 분사헤드(13)에서 분사되는 소화가스를 둘레벽(81), 단부벽(82) 및 가로막이벽(85)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소음실(86)로 안내하는 원통형상의 도통관(87)과, 둘레벽(81), 단부벽(84) 및 가로막이벽(85)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소음실(88) 내의 소화가스를 소음장치(17e)의 외부로 안내하는 원통형상의 복수의 통기관(89a)을 포함한다.
둘레벽(81), 단부벽(82) 및 단부벽(84)은 예를 들면, 소음재에 의해서 구성된다. 가로막이벽(85)에는 복수의 투공(851)이 상기 가로막이벽(85)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가로막이벽(85)은 예를 들면, 펀칭 메탈에 의해서 구성된다.
도통관(87)은 가로막이벽(85)을 관통하여 소음실(86)에 돌출되어 배치된다. 도통관(87)에는 도통관(87)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분사헤드(1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871)가 형성되며, 도통관(87)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단부판(872)이 형성된다. 도통관(87)의 둘레벽에 있어서 소음실(86)에 돌출된 부분(873)에는 복수의 투공(874)이 도통관(87)의 둘레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통관(87)에 있어서 복수의 투공(874)이 형성되는 부분(873)은 예를 들면, 펀칭 메탈에 의해서 구성된다. 복수의 통기관(89a)은 둘레벽(81)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 상에, 둘레벽(81)의 축선에 관하여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둘레벽(8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각 통기관(89a)에는 소음장치(17e)의 외부를 향한 개구부인 소화가스 분사구(892a)가 형성되며, 소화가스를 각각의 소화가스 분사구(892a)에서 소음장치(17e)의 외부로 분사한다. 통기관(89a)의 재료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이다.
이와 같은 소음장치(17e)에 의해서, 도통관(87)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874)을 통하여 고속으로 소음실(86)에 분사된 소화가스는 가로막이벽(85)에 형성되는 복수의 투공(851)을 통하여 소음실(88)로 방출된다. 투공(851)을 통하여 소음실(88)로 방출된 소화가스는 통기관(89a)을 통하여 소음장치(17e)의 외부로 방출된다. 소음장치(17e)는 복수의 투공(874)을 통하여 고속으로 분사된 소화가스를 소음실(86) 내의 공간 및 소음실(88) 내의 공간에서 팽창시킴으로써, 통기관(89a)으로의 유속을 내리므로, 통기관(89a)에서의 소화가스 방출에 의한 음향의 발생이 억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f)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소음장치(17f)는 예를 들면, 소화대상구획의 벽면에 형성되는 분사헤드(13)에 부착되어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소음장치(17f)는 통형상의 둘레벽(121)과, 둘레벽(121)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12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환형상의 단부벽(122)과, 둘레벽(121)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형성되어 분사헤드(13)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123)를 가진다. 소음장치(17f)에는 분사헤드(13), 둘레벽(121) 및 단부벽(122)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소음실(124)이 형성된다. 이 소음실(124)에는 기둥 형상의 흡음재(125)가 둘레벽(121)의 내주면을 따라서 장착되어 수용된다. 상기 둘레벽(121), 단부벽(122) 및 부착부(123)를 포함해 케이싱(129)을 구성한다.
상기 케이싱(129)의 소음실(124)에 면하는 둘레벽(121)의 내주면(121a)은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음실(124)에 면하는 단부벽(122)의 내면(122a)은 둘레벽(121)의 축선(L121)에 수직한 가상 일평면(一平面) 상에 형성된다. 단부벽(122)에는 둘레벽(121)의 축선(L121)을 중심축선으로 하는 투공(122b)이 상기 축선(L121)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흡음재(125)는 기둥 형상이되, 그 외주면(125a)은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흡음재(125)의 축선(L125) 방향 일측 단면(125b) 및 타측 단면(125c)이 상기 축선(L125)에 수직한 가상 일평면 상에 형성된다. 분사헤드(13)의 노즐부(12)에 있어서의 소화가스 분사방향 하류측의 단면(12a)은 노즐부(12)의 축선(L12)에 수직한 가상 일평면 상에 형성된다.
소음장치(17f)에 있어서 흡음재(125)는 그 축선(L125)이 둘레벽(121)의 축선(L121)에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는 자세로 부착부(123)측으로부터 케이싱(129) 내의 공간에 장전된다. 예를 들면, 흡음재(125)가 곧은 원통형상인 경우, 부착부(123)의 내주부에 형성된 내측 나사에 대해서, 노즐부(12)에 있어서의 소화가스 분사방향 하류측의 외주부에 형성된 외측 나사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소음장치(17f)에 있어서, 흡음재(125)는 일측 단면(125b)과 단부벽(122)의 내면(122a)이 면(面)접촉 하고, 한편 타측 단면(125c)과 노즐부(12)의 단면(12a)이 면접촉한 상태로 소음실(124)에 수용된다. 즉, 흡음재(125)는 소음실(124)에 틈 없이 차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공(122b)의 구멍 지름은 유효하게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 투공(122b)의 유효한 구멍 지름 부분은 단부벽면측 뿐만이 아니라, 둘레벽면측에 있어도 좋다. 둘레벽면측에 유효한 구멍 지름 부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단부벽면측의 부분의 유효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장치(17f)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흡음재(125)를 케이싱(129) 내의 공간에 틈 없이 장전함으로써, 소음장치(17f)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흡음재(125)는 기둥 형상의 공극이 연속한 다공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흡음재(125)를 노즐구멍(16)의 직후에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소음장치(17f)는 분지관(19)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가스를 서서히 감압 팽창하여, 그 유속을 내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가스분사에 기인하는 분사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흡음재(125)가 소음실(124)에 틈 없이 차 있으므로, 노즐구멍(16)에서 방출되는 소화가스를 흡음재(125)인 다공질의 금속 내에 직접 유입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다공질의 금속 내에 유입한 소화가스를 투공(122b)을 통하여 직접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구멍(16)에서 방출되는 소화가스를 흡음재(125)에 직접 유입시킴으로써, 소화가스가 상기 노즐구멍(16)에서 방출된 직후에 과 팽창하여 충격파를 발생하기 전에, 흡음재(125)에 유입하여 급격하게 감속 및 확산한다. 따라서 충격파에 따른 강한 혼란 발생이 방지되므로 소음이 억제된다. 또, 흡음재(125)의 미세한 공극에 의해서 소화가스가 확산하기 때문에, 흡음재(125)에서 투공(122b)을 거쳐서 외부로 방출되는 소화가스는 유속이 감쇠하므로, 큰 충격파를 일으킬 일이 없으며, 이것에 의해서도 또 소음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노즐부(12)의 단면(12a)과 흡음재(125)의 단면(125c) 사이가 이간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소화가스의 급격한 감압 팽창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단부벽(122)의 내면(122a)과 흡음재(125)의 단면(125b) 사이가 이간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소화가스의 급격한 감압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소음장치(17f)는 흡음재(125)인 다공질의 금속에 의해서, 소화가스를 서서히 감압 팽창하여 유속을 내릴 수 있으므로, 소화가스분사에 기인하는 분사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소음장치(17f)는 소화가스의 급격한 감압 팽창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급격한 감압 팽창에 기인하는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g)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음장치(17g)는 예를 들면, 소화대상구획의 벽면에 형성되는 분사헤드(13)에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소음장치(17g)는 통형상의 둘레벽(131)과, 둘레벽(131)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상기 둘레벽(131)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132)과, 단부벽(132)에 이어져서 형성되며, 분사헤드(13)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133)를 가진다. 둘레벽(131)의 축선방향 일단부의 내주면에는 내측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소음장치(17g)에는 둘레벽(131), 단부벽(132) 및 분사헤드(13)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소음실(140)이 형성된다.
소음실(140)에는 상기 축선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제 1 흡음재(134)와, 상기 축선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제 2 흡음재(135)와, 제 1 흡음재(134)와 제 2 흡음재(135) 사이에 형성되는 통형상의 제 3 흡음재(136)와, 제 1 흡음재(134)를 지지하는 원환(円環) 형상의 단부판(141)과, 원환 형상의 스페이서(142)와, 너트(143)가 수용된다.
제 1 흡음재(134) 및 제 2 흡음재(135)는 편평한 기둥 형상의 다공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제 1 흡음재(134)는 둘레벽(131)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내주면을 따라서 장착되어 수용되며, 단부벽(132)의 소음실(140)에 면하는 일표면(一表面) 및 분사헤드(13)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맞닿아서 형성된다.
제 1 흡음재(134)의 상기 축선방향 일단부측에는 투공(141a)을 가지는 원환 형상의 단부판(141)이 형성된다. 단부판(141)은 제 1 흡음재(134)에 맞닿아서 형성되며, 제 1 흡음재(134)의 상기 축선방향 일단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단부판(141)의 상기 축선방향 일단부측에는 제 3 흡음재(136)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흡음재(136)는 상기한 소음장치(17)의 흡음재(33)와 동일한 부재에 의해서 실현된다. 또 제 3 흡음재(136)는 다공질의 금속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좋다. 제 3 흡음재(136)는 둘레벽(131)의 내주면을 따라서 장착되어 수용된다.
제 3 흡음재(136)의 상기 축선방향 일단부측에는 투공(142a)를 가지는 원환 형상의 스페이서(142)가 형성된다. 스페이서(142)는 제 2 흡음재(135)에 맞닿아서 형성되며, 제 3 흡음재(136)와 제 2 흡음재(135)와의 간격을 유지한다.
스페이서(142)의 상기 축선방향 일단부 측에는 제 2 흡음재(135)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흡음재(135)는 제 1 흡음재(13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제 1 흡음재(134)와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제 2 흡음재(135)는 둘레벽(131)의 내주면을 따라서 장착되어 수용된다.
제 2 흡음재(135)의 상기 축선방향 일단부측에는 너트(143)가 형성된다. 너트(143)는 그 외주부에 외측 나사가 형성되며, 둘레벽(131)의 개구단부측의 내주부에 형성된 내측 나사에 나사결합한 상태로 체결되며, 제 2 흡음재(135)를 상기 축선방향 타단부측으로 눌러붙이면서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각 흡음재(134,135,136), 및 단부판(141), 스페이서(142)가 상기 축선방향 일단부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소음장치(17g)는 3개의 흡음재(134,135,136)를 수용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흡음재(134)를 노즐구멍(16)의 직후에 형성함으로써, 소음장치(17g)는 분지관(19)측에서 공급되는 소화가스를 서서히 감압 팽창하여 그 유속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제 3 흡음재(136)가 형성됨으로써, 제 3 흡음재(136)에 의해서, 소화가스 분사류에 기인하는 음향 진동을 흡수하여, 소화가스분사에 기인하는 분사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흡음재(135)가 형성됨으로써, 제 3 흡음재(136)를 통과한 소화가스를 더욱 감압하여 그 유속을 내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화가스분사에 기인하는 분사음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가스소화설비에 구비되는 소음장치(17h)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음장치(17h)는 예를 들면, 소화대상구획의 벽면에 형성되는 분지관(19)에 분사헤드(13)을 통하여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소음장치(17h)는 분사헤드(13), 폐관 통형상의 케이싱(150), 케이싱(150)의 개구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51), 분사헤드(13)에 장착되는 원통형상의 제 1 흡음재(152), 케이싱(150)에 수용되며, 케이싱(150)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원통형상의 제 2 흡음재(153), 케이싱(150) 내에서 분사헤드(13)의 기단부에 장착되는 원환 형상의 제 1 협지편(154), 케이싱(150) 내의 개구부 측에 상기 분사헤드(13)의 단면에 맞닿은 상태로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제 2 협지편(155), 및 너트(151)에 의해서 케이싱(150)의 개구부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원판형상의 제 3 흡음재(156)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50)은 곧은 원통형상의 통부(157)와, 통부(157)의 축선방향 일단부에서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수직하게 돌출하는 플랜지부(158)와, 통부(157)의 축선방향 타단부에서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원환 형상의 단부벽부(159)를 가진다. 플랜지부(158)의 외주 부분에는 외측 나사(160)가 형성된다. 단부벽부(159)에는 그 중심축선 상에 분사헤드(13)의 기단부가 끼워지는 삽입구멍(16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케이싱(15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또 제 1 흡음재~제 3 흡음재(152,153,156)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공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너트(151)는 곧은 원통형상의 통부(162)와, 통부(162)의 축선방향 일단부에서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163)를 가진다. 통부(162)의 축선방향 타단부의 내주면에는 내측 나사(164)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50)의 외측 나사(160)에 나사결합한다. 이와 같은 너트(151)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싱(150)의 외측 나사(160)에 나사결합한 상태로 체결함로써, 상기 제 3 흡음재(156)의 가장자리부가 케이싱(150)의 플랜지부(158)와, 너트(151)의 플랜지부(163)에 의해서 협지됨과 아울러, 제 3 흡음재(156)와, 분사헤드(13)의 단부벽부(165)에 의해서 제 2 협지편(155)이 협지됨과 아울러, 제 2 흡음재(153)의 케이싱(150)에서의 발출이 방지된다.
분사헤드(13)는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166)와, 걸어맞춤부(166)에 축선방향으로 이어지는 통부(167)와, 통부(167)의 축선방향 일단부를 차지하는 단부벽부(165)를 가진다. 통부(167)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예를 들면, 90°마다 노즐구멍(16)이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통부(167)에 있어서의 상기 걸어맞춤부(166) 측의 기부(基部)에는 외측 나사(168)가 형성된다. 이 외측 나사(168)에는 제 1 협지편(154)의 내주부에 형성된 내측 나사(169)가 나사결합하고, 제 1 협지편(154)과, 걸어맞춤부(166)에 의해서 케이싱(150)의 단부벽부(159)를 협지하여, 분사헤드(13)가 케이싱(150)에 동일 축선 상에 고정된다. 제 1 흡음재(15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분사헤드(13)에 장착된 상태, 즉 케이싱(150) 내에서 통부(167)에 장착된 상태로, 제 1 협지편(154) 및 제 2 협지편(155)에 의해서 축선방향 양측에서 협지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음장치(17h)에 있어서, 제 1 흡음재(152)와 제 2 흡음재(153) 사이에는 케이싱(150)의 단부벽부(159)와 제 3 흡음재(156)에 걸쳐서 환형상의 공간(170)이 형성된다.
분지관(19)에서 분사헤드(13)로 공급된 고압의 소화가스는 분사헤드(13)의 각 노즐구멍(16)에서 제 1 흡음재(152) 내로 분사되고, 그 충격파는 급격하게 확산하여 감속하며, 이것에 따라 충격파를 수반하는 강한 혼란 발생을 방지하여, 감음(減音)할 수 있다. 제 1 흡음재(152)에서 공간(170)으로 배출된 소화가스는 제 2 흡음재(153)에 침입(浸入)하여 상기 제 1 흡음재(152)와 마찬가지로 급격하게 확산되어 감속되며, 케이싱(150)의 내주면에서 반사되어 제 3 흡음재(156)로 향한다. 제 3 흡음재(156)에 침입한 소화가스는 상기 제 1 흡음재(152) 및 제 2 흡음재(153)와 마찬가지로, 급격하게 팽창하기 전에 확산하여 실속(失速)하며, 이것에 의해서 더욱 감음되어 소화가스분사에 기인하는 분사음을 현격히 저감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분사헤드(13)의 통부(167)에 그 축선에 대하여 수직하게 복수의 노즐구멍(16)을 형성하여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소화가스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분사헤드(13)의 통부(167)에 케이싱(150)의 개구부를 향해서 경사한 노즐구멍(16)을 형성하여 제 1 흡음재(152)를 투과한 가스가 그대로 제 3 흡음재(156)를 향하여 방출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아무런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1 - 가스 분사부 12 - 노즐부
13,50,50a - 분사헤드 14 - 도관(導管)
15 - 소화가스 공급원 16,71 - 노즐구멍
17,17a~17h,60,60a - 소음장치 18 - 분기관
19 - 분지관 20 - 기대
21 - 브라켓 22 - 체결구
23 - 메인관 25,35,41,61,81 - 둘레벽
26,36,42,64,64a,65,82,84 - 단부벽
27,37,43,62,63,83,123 - 부착부
28 - 분사방향 하류측에 면하는 부분 29 - 내측 통형상체
30,66,67,851,874 - 투공 31 - 통형상부
32,872 - 단부판 33 - 흡음재
34 - 가스 방출구멍 38,44 - 통기구멍
39,45 - 내부공간 40,46 - 흡음재
51,52 - 내주면 55 - 에지부
72 - 안내부 85 - 가로막이벽
86,88 - 소음실 87 - 도통관
89,89a - 통기관 125 - 흡음재
134 - 제 1 흡음재 135 - 제 2 흡음재
136 - 제 3 흡음재 871 - 연결부
891 - 철망 892,892a - 소화가스 분사구
D1,D2 - 내경

Claims (14)

  1.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간을 향하여 분사하는 노즐부를 가지는 분사헤드와;
    분사헤드가 접속되며, 분사헤드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안내하는 도관과;
    도관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급하는 소화가스 공급원과;
    분사헤드에 형성되며, 노즐부에서의 소화가스의 방출에 의한 음향을 감쇠시키는 소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둘레벽에는 복수의 통기구멍이 상기 둘레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단부벽에는 복수의 통기구멍이 상기 단부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소음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둘레벽, 단부벽 및 부착부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에는 흡음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부착부와; 분사헤드의 노즐부에 있어서의 소화가스 분사방향 하류측에 면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내측 통형상체;를 포함하며,
    단부벽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스 방출구멍이 형성되고,
    내측 통형상체는 복수의 투공이 형성되는 통형상부와, 통형상부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통형상부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장치.
  6.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간을 향하여 분사하는 노즐부를 가지는 분사헤드와;
    분사헤드가 접속되며, 분사헤드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안내하는 도관과;
    도관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급하는 소화가스 공급원;을 포함하며,
    분사헤드의 노즐부에는 상기 도관의 내주면에 매끄럽게 이어지는 내주면을 가지는 노즐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
  7.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간을 향하여 분사하는 노즐부를 가지는 분사헤드와;
    분사헤드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안내하는 도관과;
    도관에 고압의 소화가스를 공급하는 소화가스 공급원과;
    분사헤드와 도관 사이에 형성되며, 노즐부에서의 소화가스의 방출에 의한 음향을 감쇠시키는 소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도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부착부와;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2 부착부와; 상기 일단부에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1 단부벽과; 상기 타단부에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2 단부벽;을 포함하며,
    제 1 단부벽에는 둘레벽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1 단부벽의 중앙부에 적어도 1개의 투공이 상기 제 1 단부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 2 단부벽에는 복수의 투공이 상기 제 2 단부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도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부착부와;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2 부착부와; 상기 일단부에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1 단부벽과; 상기 타단부에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2 단부벽;을 포함하며,
    제 1 단부벽에는 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소화가스를 둘레벽, 제 1 단부벽 및 제 2 단부벽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으로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구멍을 가지는 안내부가 둘레벽의 축선 상에 상기 내부공간에 면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구멍은 둘레벽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 상에, 둘레벽의 축선에 관하여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제 2 단부벽에는 복수의 투공이 상기 제 2 단부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1 단부벽과;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를 가지며,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2 단부벽과; 제 1 단부벽과 제 2 단부벽 사이에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로막이벽과; 분사헤드에서 분사되는 소화가스를 둘레벽, 제 1 단부벽 및 가로막이벽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제 1 소음실로 안내하는 원통형상의 도통관과; 둘레벽, 제 2 단부벽 및 가로막이벽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제 2 소음실 내의 소화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통형상의 통기관;을 포함하며,
    가로막이벽에는 복수의 투공이 상기 가로막이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도통관에는 도통관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도통관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단부판이 형성되며, 도통관의 둘레벽에 있어서 제 1 소음실에 돌출된 부분에는 복수의 투공이 상기 도통관의 둘레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통기관은 가로막이벽 및 제 1 단부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1 단부벽과;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를 가지며, 둘레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2 단부벽과; 제 1 단부벽과 제 2 단부벽 사이에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로막이벽과; 분사헤드에서 분사되는 소화가스를 둘레벽, 제 1 단부벽 및 가로막이벽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제 1 소음실로 안내하는 통형상의 도통관과; 둘레벽, 제 2 단부벽 및 가로막이벽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인 제 2 소음실 내의 소화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통형상의 복수의 통기관;을 포함하며,
    가로막이벽에는 복수의 투공이 상기 가로막이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도통관에는 도통관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도통관의 축선방향 타단부에 단부판이 형성되며, 도통관의 둘레벽에 있어서 제 1 소음실에 돌출된 부분에는 복수의 투공이 상기 도통관의 둘레벽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관은 둘레벽의 축선에 직교하는 축선 상에, 둘레벽의 축선에 관하여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둘레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음장치는 통형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상기 둘레벽의 축선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부벽과; 분사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착부와; 둘레벽, 단부벽 및 분사헤드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다공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흡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둘레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1 흡음재와; 상기 축선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 2 흡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음재와 상기 제 2 흡음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흡음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설비.
KR1020127013224A 2009-10-23 2010-10-14 가스소화설비 KR101352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4986 2009-10-23
JPJP-P-2009-244986 2009-10-23
JP2010023575 2010-02-04
JPJP-P-2010-023575 2010-02-04
JP2010086586 2010-04-02
JPJP-P-2010-086586 2010-04-02
JPJP-P-2010-161096 2010-07-15
JP2010161096A JP5276630B2 (ja) 2009-10-23 2010-07-15 ガス消火設備
PCT/JP2010/068087 WO2011049002A1 (ja) 2009-10-23 2010-10-14 ガス消火設備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062A Division KR101412253B1 (ko) 2009-10-23 2010-10-14 가스소화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305A true KR20120093305A (ko) 2012-08-22
KR101352714B1 KR101352714B1 (ko) 2014-01-16

Family

ID=439002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062A KR101412253B1 (ko) 2009-10-23 2010-10-14 가스소화설비
KR1020127013224A KR101352714B1 (ko) 2009-10-23 2010-10-14 가스소화설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062A KR101412253B1 (ko) 2009-10-23 2010-10-14 가스소화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57214B2 (ko)
EP (2) EP2491984B1 (ko)
JP (1) JP5276630B2 (ko)
KR (2) KR101412253B1 (ko)
CN (3) CN106139480A (ko)
WO (1) WO2011049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6630B2 (ja) 2009-10-23 2013-08-28 エア・ウォーター防災株式会社 ガス消火設備
JP4988945B2 (ja) * 2009-10-23 2012-08-01 エア・ウォーター防災株式会社 ガス消火設備
JP5972518B2 (ja) * 2009-11-02 2016-08-17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JP2011120797A (ja) * 2009-12-11 2011-06-23 Air Water Safety Service Inc 消火ガス噴射装置
US8887820B2 (en) * 2011-05-12 2014-11-18 Fike Corporation Inert gas suppression system nozzle
JP5276730B1 (ja) * 2012-03-21 2013-08-28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TWI566804B (zh) 2012-02-21 2017-01-21 高壓股份有限公司 氣體系滅火設備用的具有消音功能的噴射頭
JP5276728B1 (ja) * 2012-02-21 2013-08-28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US9597537B2 (en) 2012-05-03 2017-03-21 Koatsu Co., Ltd. Injection head having silencing function for gas type fire extinguisher
JP6305688B2 (ja) * 2013-04-17 2018-04-04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JP5989591B2 (ja) * 2013-04-17 2016-09-07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JP6196955B2 (ja) * 2013-10-02 2017-09-13 エア・ウォーター防災株式会社 消火ガス噴射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ガス消火装置
KR102108374B1 (ko) 2013-10-25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토리지 시스템 및 그것의 비신호 분석 방법
GB2543357A (en) * 2015-10-16 2017-04-19 Graviner Ltd Kidde Fire supression systems
WO2017096261A1 (en) * 2015-12-04 2017-06-08 Tyco Fire Products Lp Low pressure drop acoustic suppressor nozzle for inert gas discharge system
US10507343B2 (en) 2015-12-04 2019-12-17 Tyco Fire Products Lp Low pressure drop acoustic suppressor nozzle for fire protection inert gas discharge system
CN105641841A (zh) * 2016-01-25 2016-06-08 维梯埃消防设备(上海)有限公司 一种消音装置
EP3470119A4 (en) * 2016-06-13 2020-01-29 Koatsu Co., Ltd. EXTINGUISHER
CN106247037A (zh) * 2016-08-25 2016-12-21 吴速 一种灭火介质输送带及其快速放带盘
KR102620362B1 (ko) * 2016-08-31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779735B2 (ja) * 2016-10-07 2020-11-04 ニッタン株式会社 ガス消火設備用ガス放出ノズル
EP3311886A1 (de) * 2016-10-20 2018-04-25 Siemens Schweiz AG Schallgedämpfte löschdüsenanordnung mit frequenzselektiver schalldämpfschicht sowie geeignete verwendung
WO2018123656A1 (ja) 2016-12-26 2018-07-05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及びその保管・組立方法
EP3626313A4 (en) * 2017-05-19 2021-01-13 Koatsu Co., Ltd. LIQUEFIED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 HEAD
US11117007B2 (en) * 2017-11-10 2021-09-14 Carrier Corporation Noise reducing fire suppression nozzles
TWI799647B (zh) * 2018-10-02 2023-04-21 日商高壓股份有限公司 液態滅火劑用噴射頭
US20220323805A1 (en) * 2019-08-09 2022-10-13 Tyco Fire Products Lp Fire suppression nozzles and systems
WO2021154287A1 (en) * 2020-01-31 2021-08-05 Carrier Corporation Low noise discharge nozzle
US20210291000A1 (en) * 2020-03-20 2021-09-23 Kidde Technologies, Inc. Fire suppressio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flow of fire suppressant agents in fire suppress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1762A (en) 1929-05-08 1931-06-23 Burgess Lab Inc C F Exhaust muffler
US1844105A (en) * 1929-05-08 1932-02-09 Burgess Lab Inc C F Exhaust muffler
US1844106A (en) 1929-05-08 1932-02-09 Burgess Lab Inc C F Exhaust muffler
US1844104A (en) 1929-05-08 1932-02-09 Burgess Lab Inc C F Exhaust muffler
US2030017A (en) 1930-09-26 1936-02-04 Mile Raymond Automatic smoke preventer
US1968456A (en) 1932-07-28 1934-07-31 Burgess Lab Inc C F Gaseous pressure wave absorbing construction
US2376933A (en) 1943-01-04 1945-05-29 Stone Wheel Inc Spark and flame arrestor
US2442773A (en) * 1944-05-05 1948-06-08 Bell Telephone Labor Inc Sound suppressor
US2559408A (en) * 1946-10-11 1951-07-03 Pyrene Mfg Co Fire extinguisher nozzle for vehicles
US2600236A (en) * 1948-11-16 1952-06-10 Esther Larsen Muffler with a plurality of passages
US2792760A (en) * 1954-03-26 1957-05-21 Hammer Alexander Combination flash eliminator and stabilizer for a firearm
US3339668A (en) 1965-03-18 1967-09-05 C W Morris Company Air exhaust noise attenuator
US3672465A (en) * 1970-10-15 1972-06-27 Blatt Leland F Gas exhaust silencer
US3960239A (en) * 1973-08-15 1976-06-01 Barry Wright Corporation Noise-reducing fluid-flow devices
JPS515799U (ko) 1974-06-29 1976-01-16
US3949828A (en) * 1974-08-30 1976-04-13 Barry Wright Corporation Fluid exhaust silencer
JPS5512824Y2 (ko) * 1975-08-05 1980-03-22
JPS6033544B2 (ja) 1977-03-17 1985-08-0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低騒音用圧力流体放出装置
JPS5644423Y2 (ko) 1978-07-12 1981-10-17
JPS56161110U (ko) 1980-04-30 1981-12-01
JPS58103100U (ja) 1982-01-06 1983-07-13 横河電機株式会社 空気パ−ジ用消音器
JPS5933450U (ja) 1982-08-25 1984-03-01 ニツタン株式会社 ガス系消火設備の試験用ガス排出管の消音器
JPS60175718A (ja) * 1984-02-22 1985-09-09 Nippon Soken Inc 内燃機関用消音器
JPH0332736Y2 (ko) * 1985-03-22 1991-07-11
JPH0640896Y2 (ja) * 1987-11-13 1994-10-26 日酸運輸株式会社 サイレンサー
SU1657679A1 (ru) 1989-02-28 1991-06-23 Московский автомеха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газовой струи
US5250094A (en) 1992-03-16 1993-10-05 Donaldson Company, Inc. Ceramic filter construction and method
JP3093440B2 (ja) 1992-05-26 2000-10-03 日本電気株式会社 光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42849B2 (ja) 1992-06-30 1995-05-15 三和産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モルタル吹付機の排気用消音装置
JPH0647683A (ja) 1992-07-08 1994-02-22 Shuichi Teramoto ホースベルトの離脱装置およびホースの離脱装置
JP2593556Y2 (ja) * 1993-01-29 1999-04-12 株式会社クボタ 空気圧ノズル
US5511621A (en) * 1994-04-08 1996-04-30 Factory Mutual Research Local flooding fine water spray fire suppression system using recirculation principles
JPH08173565A (ja) 1994-12-22 1996-07-09 Koatsu:Kk 不活性ガス消火設備における消火方法及びその設備
US5799652A (en) 1995-05-22 1998-09-01 Hypoxico Inc. Hypoxic room system and equipment for Hypoxic training and therapy at standard atmospheric pressure
US6314754B1 (en) 2000-04-17 2001-11-13 Igor K. Kotliar Hypoxic fire prevention and fire suppression systems for computer rooms and other human occupied facilities
JPH09124302A (ja) 1995-10-30 1997-05-13 Masayuki Imai 酸素濃縮器
JPH09324617A (ja) * 1996-06-04 1997-12-16 Ndc Co Ltd 消音器
JP3037617B2 (ja) 1996-07-15 2000-04-24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消音器及びその製造方法
DE19719535A1 (de) 1996-10-16 1998-04-23 Gerd Schwertfeger Vorrichtung zur Schalldämpfung
JPH1190285A (ja) 1997-09-17 1999-04-06 Kenki Engineering:Kk 局部塗装方法および装置
JPH11325655A (ja) 1998-05-14 1999-11-26 Matsushita Seiko Co Ltd 消音器および空気調和機
US6112850A (en) * 1999-09-07 2000-09-05 Met Pro Corporation Acoustic silencer nozzle
CN2406694Y (zh) 2000-02-29 2000-11-22 丁一 气体灭火喷嘴
RU2301095C2 (ru) * 2000-04-17 2007-06-20 Игорь К. КОТЛЯР Предотвращающие пожар и ликвидирующие пожар системы и пригодные для дыхания огнегасящие составы с пониженным содержанием кислорода для занимаемых людьми помещений
IT1317475B1 (it) 2000-05-05 2003-07-09 Vesta S R L Ugello silenziato per la scarica di gas estinguenti.
ATE345850T1 (de) * 2001-03-29 2006-12-15 Kidde Ip Holdings Ltd Mittel zum feuerlöschen und zur explosionsunterdrückung
DE20120671U1 (de) * 2001-12-21 2002-03-14 Total Feuerschutz Gmbh Feuerlöschanlage
JP2003206718A (ja) * 2002-01-16 2003-07-25 Fuji Heavy Ind Ltd 消音器
JP4196181B2 (ja) 2003-04-25 2008-12-17 英雄 中嶋 吸音材料
JP2005002873A (ja) 2003-06-11 2005-01-06 Aisin Seiki Co Ltd 消音器
WO2005051520A1 (en) * 2003-11-20 2005-06-09 Air Institution, Inc. Exhaust gas filter and filtering system
JP4561349B2 (ja) 2004-12-20 2010-10-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液体ノズル
JP4613619B2 (ja) 2005-01-13 2011-01-19 Smc株式会社 サイレンサ
JP2006296491A (ja) 2005-04-15 2006-11-02 Air Water Safety Service Inc 液体噴射用発泡ノズル
JP2006307719A (ja) 2005-04-27 2006-11-09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消音器
US7587969B2 (en) * 2005-08-26 2009-09-15 Robert Silvers Asymmetric firearm silencer with coaxial elements
KR100655293B1 (ko) * 2005-11-23 2006-12-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장거리 기류이송용 축류식 터보 제트팬
JP4917803B2 (ja) * 2005-12-26 2012-04-18 株式会社ガスター 微細気泡噴出ノズ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微細気泡発生装置
JP4969300B2 (ja) * 2006-05-18 2012-07-04 英夫 吉田 消火ガス噴射器
KR100755722B1 (ko) 2007-03-08 2007-09-05 한국뉴매틱(주) 공압장치용 사일렌서
CN101366997B (zh) 2008-06-30 2011-07-20 芜湖世纪凯旋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气体灭火系统的灭火剂喷头
JP5276630B2 (ja) 2009-10-23 2013-08-28 エア・ウォーター防災株式会社 ガス消火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3552A3 (en) 2018-02-21
EP3243552B1 (en) 2024-03-06
CN102573998A (zh) 2012-07-11
US20120205128A1 (en) 2012-08-16
EP2491984A4 (en) 2015-10-07
CN102573998B (zh) 2014-12-03
CN104014097B (zh) 2017-12-19
CN104014097A (zh) 2014-09-03
JP5276630B2 (ja) 2013-08-28
EP2491984A1 (en) 2012-08-29
KR101352714B1 (ko) 2014-01-16
KR101412253B1 (ko) 2014-06-25
WO2011049002A1 (ja) 2011-04-28
US9457214B2 (en) 2016-10-04
EP3243552A2 (en) 2017-11-15
KR20130112952A (ko) 2013-10-14
CN106139480A (zh) 2016-11-23
EP3243552C0 (en) 2024-03-06
JP2011255152A (ja) 2011-12-22
EP2491984B1 (en)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714B1 (ko) 가스소화설비
JP6595557B2 (ja) 消火ガス噴射装置およびガス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