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9912A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9912A
KR20120089912A KR1020100131828A KR20100131828A KR20120089912A KR 20120089912 A KR20120089912 A KR 20120089912A KR 1020100131828 A KR1020100131828 A KR 1020100131828A KR 20100131828 A KR20100131828 A KR 20100131828A KR 20120089912 A KR20120089912 A KR 20120089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polyamide resin
crystalline
resin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278B1 (ko
Inventor
이완희
장영석
조진경
하두한
허진영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278B1/ko
Priority to US13/330,726 priority patent/US8618209B2/en
Priority to CN2011104316071A priority patent/CN102585489A/zh
Publication of KR2012008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Abstract

(A) 지방족기를 포함하고 적어도 서로 다른 2종의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 (B) 방향족기를 포함하는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그리고 (C)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본 기재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수지의 기계적, 열적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유리섬유 등의 무기물을 보강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주로 자동차의 UTH(under the hood)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무기물의 이방성으로 인하여 제품 내에서 응력 차이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A-1) 지방족기를 포함하는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및 (A-2) 지방족기를 포함하는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 20 내지 80 중량%; (B) 방향족기를 포함하는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1 내지 30 중량%; 및 (C) 유리섬유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1) 및 상기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2)는 서로 상이한 것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1) 및 상기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2)는 서로 상이하며, 각각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9,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610, 폴리아미드 6/66, 폴리아미드 6/12, 폴리프탈아미드, 폴리아릴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1) 및 상기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2)는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B)는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9T, 폴리아미드 6I,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M5T, 폴리아미드 6/6T, 폴리아미드 66/6T, 폴리아미드 66/6I, 폴리아미드 6T/6I, 폴리아미드 6T/12, 폴리아미드 66/6T/6I, 폴리아미드 6T/M5T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A) 및 상기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B)는 5:1 내지 15: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C)는 (C-1) 단면이 원형인 유리섬유 및 (C-2) 단면이 타원형인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1) 단면이 원형인 유리섬유 및 상기 (C-2) 단면이 타원형인 유리섬유는 1:4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TD(Transverse Direction) 수축율은 0.90%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측면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함에 따라, 다양한 성형품, 특히,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의 UTH(under the hood) 등의 플라스틱 외장 제품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A) 적어도 서로 다른 2종의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 (B)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그리고 (C) 유리섬유를 포함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A)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는 적어도 서로 다른 2종의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는 구체적으로,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이와 다른 종류인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와 상기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모두 주사슬(main chain)에 지방족기를 가지는 폴리아미드 화합물이다.
상기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서, 각각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9,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610, 폴리아미드 6/66, 폴리아미드 6/12, 폴리프탈아미드, 폴리아릴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중 좋게는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6 및 폴리아미드 66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6 및 폴리아미드 66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성형성 및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 비용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비율 범위로 혼합될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다.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2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내열성, 치수안정성 및 성형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다. 
 
(B)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상기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18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주사슬에 방향족기를 가지는 폴리아미드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aromatic dicarboxylic acid)이 10 내지 100 몰%가 포함된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과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아민(aliphatic or alicyclic diamine)의 축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또는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1
 [화학식 1b]
Figure pat00002
상기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아민은 C4 내지 C20의 디아민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대표적인 예로는, 헥사메틸렌 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과 테레프탈산의 축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아미드 6T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6T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주사슬에 방향족기를 가지는 폴리아미드 화합물과 주사슬에 지방족기를 가지는 폴리아미드 화합물의 공중합체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구체적으로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9T, 폴리아미드 6I,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M5T, 폴리아미드 6/6T, 폴리아미드 66/6T, 폴리아미드 66/6I, 폴리아미드 6T/6I, 폴리아미드 6T/12, 폴리아미드 66/6T/6I, 폴리아미드 6T/M5T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8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치수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A) 및 상기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B)는 5:1 내지 15: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6:1 내지 13: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비율 범위 내로 혼합될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다.
 
(C) 유리섬유
상기 유리섬유는 직경이 5 내지 30 ㎛ 이고 길이가 1.5 내지 13 ㎜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직경 및 길이를 가지는 유리섬유를 사용할 경우 압출기로의 투입이 용이하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
상기 유리섬유는 단면이 원형인 유리섬유 및 단면이 타원형인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면이 원형인 유리섬유는 단면의 종횡비가 1일 수 있다.  상기 종횡비란 유리섬유의 단면에서 가장 작은 직경에 대한 가장 긴 직경의 비율로 정의된다.
상기 단면이 타원형인 유리섬유는 단면의 종횡비가 1 초과의 값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단면의 종횡비가 1.5 이상인 유리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 내지 8인 유리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2 내지 6인 유리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면이 원형인 유리섬유와 상기 단면이 타원형인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각각 1:4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비율 범위 내로 혼합 사용할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치수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 및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의 반응을 막고 함침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리섬유의 표면에 소정의 물질을 코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팅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전체적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기계적 물성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리섬유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는 물질의 종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알려져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다. 
 
(D) 기타 첨가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항균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광안정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혼화제, 착색제, 안정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조색제, 방염제, 내후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핵 형성제, 접착 조제, 점착제 또는 이들의 조합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형, 포스파이트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이형제로는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의 금속염, 몬탄산(montanic acid)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후제로는 벤조페논형 또는 아민형 내후제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착색제로는 염료 또는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이산화티타늄(TiO2) 또는 카본블랙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핵 형성제로는 탈크 또는 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구현예에 따른 구성 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TD(Transverse Direction) 수축율은 0.90% 미만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80 내지 0.88 % 일 수 있다.  상기 TD 수축율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은 시편을 이용하여 6"×6" 크기 및 1/8" 두께를 가진 필름 게이트(Film Gate) 금형을 80℃로 유지하고 10 oz 사출기에서 95%의 힘으로 사출을 실시한 후, 외력을 가하지 않은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온도 23℃, 수분 50%인 항온 항습실에 방치하여 측정한 값이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즉,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성형, 열 성형 등의 여러 가지 공정에 의해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이 요구되는 성형품, 특히,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의 UTH(under the hood) 등의 플라스틱 외장 제품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A) 결정성 폴리아미드( PA ) 혼합 수지
(A-1)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PA) 수지
폴리아미드 6인, Zigsheng社의 TP-4210을 사용하였다.
(A-2)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PA) 수지
폴리아미드 66인, Asahi-Kasei社의 Leona 1200을 사용하였다.
(B)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PA ) 수지
Dupont社의 Selar® PA 3426을 사용하였다.
(C) 유리섬유
(C-1) 단면의 종횡비가 1이고, 길이가 3mm 이며, 단면의 직경이 13㎛의 원형을 가지는 유리섬유로서, KCC社의 CS321-EC10-3을 사용하였다.
(C-2) 단면의 종횡비가 4(가장 긴 직경이 28㎛, 가장 작은 직경이 7㎛)이고 길이가 3mm인 유리섬유로서, Nitto Boseki社의 CSG 3PA-820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9
상기에서 언급된 구성성분들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각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9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그 제조 방법으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통상의 이축 압출기에서 220℃의 온도범위로 압출한 후,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한다.  
(시험예)
상기 제조된 펠렛을 80℃에서 2 시간 동안 건조한 후, 6 oz의 사출능력이 있는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10℃ 및 금형온도 60℃로 설정하고, ASTM 덤벨(dumb-bell) 시험편으로 사출성형하여 물성시편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물성시편은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1) 인장강도: ASTM D63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2) 굴곡강도: ASTM D79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3) 굴곡탄성율: ASTM D79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4) 열변형온도(HDT): ASTM D64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5) TD(Transverse Direction) 수축율: 6"×6" 크기에 1/8" 두께를 가진 필름 게이트(Film Gate) 금형을 80℃로 유지하고 10 oz 사출기에서 95%의 힘으로 사출을 실시한 후, 외력을 가하지 않은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온도 23℃, 수분 50%인 항온 항습실에 방치하여 시편의 플로우(flow) 방향의 직각인 TD 수축율을 측정하여 % 단위로 표시하였다.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6 7 8 9
(A) 결정성 PA 혼합 수지 (A-1) 제1 결정성 PA 수지(중량%) 30 30 20 30 35 40 40 40 30 20 70 0 50 65
(A-2) 제2 결정성 PA 수지(중량%) 35 35 45 30 25 50 40 30 30 30 0 70 40 0
(B) 비결정성 PA 수지(중량%) 5 5 5 5 10 0 0 0 0 0 0 0 10 50
(C) 유리섬유 (C-1)(중량%) 20 10 20 20 20 10 20 30 40 50 20 20 0 20
(C-2)(중량%) 10 20 10 10 10 0 0 0 0 0 10 10 0 10
인장강도
(kgf/cm2)
1280 1420 1320 1200 1190 700 900 1200 1500 1800 1100 1400 500 1000
굴곡강도
(kgf/cm2)
1680 1780 1730 1500 1490 900 1200 1500 1800 2100 1400 1800 800 1150
굴곡탄성율
(kgf/cm2)
63000 66000 65000 70000 70000 30000 50000 70000 100000 130000 600000 72000 30000 58000
열변형온도(℃) 188 190 192 190 187 120 150 180 220 250 180 200 95 185
TD 수축율(%) 0.84 0.79 0.84 0.82 0.80 1.02 0.99 0.97 0.93 0.92 0.95 0.92 0.5 0.86
상기 표 1을 통하여, 일 구현예에 따라 적어도 서로 다른 2종의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그리고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1종의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만을 사용한 비교예 6, 7 및 9,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7, 그리고 유리섬유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8의 경우와 비교하여,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5를 통하여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서로 다른 2종의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종의 유리섬유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치수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A) (A-1) 지방족기를 포함하는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및 (A-2) 지방족기를 포함하는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 20 내지 80 중량%;
    (B) 방향족기를 포함하는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 1 내지 30 중량%; 및
    (C) 유리섬유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1) 및 상기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2)는 서로 상이한 것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1) 및 상기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2)는 서로 상이하며, 각각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9,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610, 폴리아미드 6/66, 폴리아미드 6/12, 폴리프탈아미드, 폴리아릴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1) 및 상기 제2 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2)는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B)는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9T, 폴리아미드 6I,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M5T, 폴리아미드 6/6T, 폴리아미드 66/6T, 폴리아미드 66/6I, 폴리아미드 6T/6I, 폴리아미드 6T/12, 폴리아미드 66/6T/6I, 폴리아미드 6T/M5T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폴리아미드 혼합 수지(A) 및 상기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B)는 5:1 내지 15: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C)는 (C-1) 단면이 원형인 유리섬유 및 (C-2) 단면이 타원형인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면이 원형인 유리섬유  및 상기 (C-2) 단면이 타원형인 유리섬유는 1:4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TD(Transverse Direction) 수축율은 0.90% 미만인 것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KR1020100131828A 2010-12-21 2010-12-21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466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828A KR101466278B1 (ko) 2010-12-21 2010-12-21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3/330,726 US8618209B2 (en) 2010-12-21 2011-12-20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CN2011104316071A CN102585489A (zh) 2010-12-21 2011-12-21 聚酰胺树脂组合物和使用该组合物的模制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828A KR101466278B1 (ko) 2010-12-21 2010-12-21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912A true KR20120089912A (ko) 2012-08-16
KR101466278B1 KR101466278B1 (ko) 2014-11-27

Family

ID=4623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828A KR101466278B1 (ko) 2010-12-21 2010-12-21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18209B2 (ko)
KR (1) KR101466278B1 (ko)
CN (1) CN102585489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725A (ko) * 2012-12-21 2014-07-01 이엠에스-패턴트 에이지 방오성 물품 및 이의 용도
KR20140125051A (ko) * 2013-04-18 2014-10-28 제일모직주식회사 굴곡탄성율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조성물
WO2016093465A1 (ko) * 2014-12-09 2016-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자동차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KR20170015023A (ko) * 2015-07-31 2017-02-08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WO2017039224A1 (ko) * 2015-08-28 2017-03-09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70131856A (ko) * 2016-05-23 2017-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US10081719B2 (en) 2014-05-29 2018-09-25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s and molded product produced from the same
KR20190054613A (ko) * 2017-11-14 2019-05-2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성형용품
US10316188B2 (en) 2014-12-19 2019-06-11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art for automobiles using the same
KR20190078066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00061824A (ko) * 2018-11-26 2020-06-03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00082436A (ko) * 2018-12-28 2020-07-08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0197261A1 (ko) * 2019-03-28 2020-10-0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145799A1 (ko) * 2020-12-29 2022-07-07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수소 탱크 라이너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147416A (ko) * 2021-04-27 2022-11-03 정우석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20746B1 (de) 2014-11-11 2020-08-26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hieraus hergestellter formkörper sowie verwendungszwecke
TW201811976A (zh) 2016-08-08 2018-04-01 美商堤康那責任有限公司 用於散熱器之導熱聚合物組合物
CN106751793A (zh) * 2016-11-18 2017-05-31 江苏沃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表面光泽度高尺寸稳定性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825074A (zh) * 2019-01-23 2019-05-31 江翼明 一种高刚性半芳香族聚酰胺及其制备方法
CN109825073A (zh) * 2019-01-24 2019-05-31 广东壹豪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高强度材料的制备方法
CN110615984A (zh) * 2019-09-26 2019-12-27 安特普工程塑料(苏州)有限公司 一种低模温注塑玻纤增强高温尼龙及其生产工艺
MX2022004816A (es) 2019-10-24 2022-05-16 Invista Textiles Uk Ltd Composiciones de poliamida y articulos fabricados a partir de esta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5764A (ja) 1989-03-28 1990-10-16 Unitika Ltd 結晶性ポリアミド成形品のソリ防止法
JP3530536B2 (ja) * 1992-02-17 2004-05-24 岸本産業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法
JPH07138475A (ja) 1993-09-08 1995-05-30 Kishimoto Sangyo Kk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用途
JPH06299068A (ja) * 1993-04-16 1994-10-25 Showa Denko Kk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3524283B2 (ja) * 1996-08-30 2004-05-10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二軸延伸フィルム
JP4441855B2 (ja) 2003-11-28 2010-03-31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US20100227122A1 (en) * 2006-01-13 2010-09-09 Teruhisa Kumazawa Polyamide Resin Composi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lded Artic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882719B1 (de) 2006-07-11 2017-04-19 Ems-Chemie Ag Polyamidformmasse und deren Verwendung
DE502006003349D1 (de) 2006-12-28 2009-05-14 Ems Chemie Ag Mit flachen Glasfasern verstärkte Polyamidformmassen sowie daraus hergestellte Spritzgussteile
ES2324734T3 (es) * 2007-02-07 2009-08-13 Ems-Chemie Ag Compuestos de moldeo de poliamida rellenos con absorcion de agua reducida.
JP5548349B2 (ja) * 2008-08-20 2014-07-16 ユニチカ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101277723B1 (ko) 2008-12-19 2013-06-24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8476354B2 (en) * 2008-12-23 2013-07-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sink marks and excellent surface appearance reinforced polyamide compositions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725A (ko) * 2012-12-21 2014-07-01 이엠에스-패턴트 에이지 방오성 물품 및 이의 용도
KR20140125051A (ko) * 2013-04-18 2014-10-28 제일모직주식회사 굴곡탄성율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조성물
US10669396B2 (en) 2014-05-29 2020-06-02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s and molded product produced from the same
US10081719B2 (en) 2014-05-29 2018-09-25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s and molded product produced from the same
WO2016093465A1 (ko) * 2014-12-09 2016-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자동차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US10266692B2 (en) 2014-12-09 2019-04-23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Automobile-us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utomobile-use molded product manufactured therefrom
US10316188B2 (en) 2014-12-19 2019-06-11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art for automobiles using the same
KR20170015023A (ko) * 2015-07-31 2017-02-08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WO2017039224A1 (ko) * 2015-08-28 2017-03-09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0450460B2 (en) 2015-08-28 2019-10-22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20170131856A (ko) * 2016-05-23 2017-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190054613A (ko) * 2017-11-14 2019-05-2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성형용품
KR20190078066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00061824A (ko) * 2018-11-26 2020-06-03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00082436A (ko) * 2018-12-28 2020-07-08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0197261A1 (ko) * 2019-03-28 2020-10-0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145799A1 (ko) * 2020-12-29 2022-07-07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수소 탱크 라이너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147416A (ko) * 2021-04-27 2022-11-03 정우석 레토르트 식품 공정용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85489A (zh) 2012-07-18
US8618209B2 (en) 2013-12-31
US20120157606A1 (en) 2012-06-21
KR101466278B1 (ko)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27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396033B1 (ko)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체 및 용도 목적
JP2011148267A (ja) ポリアミド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20120232184A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KR102240966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70099297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70015023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02015833B (zh) 具有汽车照明应用的聚醚酰亚胺和聚醚酰亚胺砜共混物
KR101777446B1 (ko) 유리섬유 보강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KR10126629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04087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96125B1 (ko)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52968B1 (ko) 고온 분체 도장용 폴리페닐렌 설파이드/폴리아마이드 수지조성물
KR101660242B1 (ko) 내충격성 및 외관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180039481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570567B1 (ko) 광택성 및 저휨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KR101779796B1 (ko) 고화속도가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150076619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S60248775A (ja) 樹脂組成物
KR102402212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321899B1 (ko) 발포사출용 유리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배터리팩 하우징
KR102292133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20112120A (ko) 폴리아마이드 하이브리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경량 및 고강도 성형품
KR20160083528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KR20230115888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