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613A -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성형용품 - Google Patents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성형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613A
KR20190054613A KR1020170151392A KR20170151392A KR20190054613A KR 20190054613 A KR20190054613 A KR 20190054613A KR 1020170151392 A KR1020170151392 A KR 1020170151392A KR 20170151392 A KR20170151392 A KR 20170151392A KR 20190054613 A KR20190054613 A KR 20190054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weight
p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124B1 (ko
Inventor
한재성
장도훈
김진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124B1/ko
Priority to CN201811299887.3A priority patent/CN109401274B/zh
Priority to JP2018210454A priority patent/JP6726727B2/ja
Priority to US16/189,723 priority patent/US11124648B2/en
Priority to EP18205845.3A priority patent/EP3483216B1/en
Publication of KR2019005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1Mud-guards made of non-conventional material, e.g. rubbe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485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내열성이 향상된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성형용품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높은 내열성을 가져 온라인 페인팅 공정을 비롯한 205℃ 이상의 공정을 거쳐도 변형 없이 우수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각종 운송 수단의 외장재, 또는 전기 전자 제품의 하우징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성형용품{HEAT RESISTANT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FORMED THEREFROM}
실시예는 내열성이 향상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성형용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내열성이 요구되는 운송 수단의 외장재, 전기 전자 부품의 하우징에 적용 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소재는 금속이나 세라믹 소재에 비하여 내열성, 난연성 등의 특성이 떨어지는 반면,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생활용품, 자동차, 전기, 전자 및 산업용 분야 등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폴리아미드(polyamide, PA) 수지는 아미드 결합(-CO-NH-)의 반복이 주쇄를 이루는 선상의 고분자 물질로서, 나일론 수지라고도 불리며, 기계적 성질, 특히 내약품성, 내마찰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여 일반 범용 플라스틱(commodity plastics) 외에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의 소재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폴리페닐렌에테르(polyphenylene ether, PPE)도 열변형온도(heat deformation temperature, HDT)가 높고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소재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 플라스틱 수지, 특히 PPE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다른 플라스틱 소재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다른 수지들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각 구성 수지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PPE를 폴리스티렌(PS), 폴리아미드(PA) 등의 수지들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PPE의 물성 외에도 PS, PA의 내충격성, 내화학성 등의 물성까지 얻을 수 있다. 특히, PPE/PS, PPE/PA의 조합은 내열성, 내충격성, 내화학성 등의 물성이 균형있게 발현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골프 카트, 오토바이, 자동차 등의 외장재, 전기 전자 제품의 하우징 등에 적용되어 사용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플라스틱 소재 자체가 갖는 내열적 한계 때문에, PPE/PS 및 PPE/PA 혼합 수지는 185℃ 이상 또는 195℃ 이상의 고온에서 수행되는 공정, 예컨대, 온라인 페인팅(on-line painting) 공정에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적용된다 하더라도 상기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한국 공개특허 제2016-0121383호).
따라서, 보다 높은 내열성을 가져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 소재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6-0121383호
실시예는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폴리아미드 각각의 본연의 우수한 특성을 유지하되, 자동차, 오토바이 등의 운송 수단의 외장재 또는 전기 전자 제품의 하우징 등에 요구되는 보다 높은 내열성을 가져, 특히 205℃ 이상의 고온의 공정을 거쳐도 변형 없이 우수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폴리페닐렌에테르(PPE) 수지 및 폴리아미드(PA)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PA) 수지는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 단독 수지; 또는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 및 제2 폴리아미드(PA) 수지의 혼합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의 융점이 상기 제2 폴리아미드(PA) 수지의 융점보다 20℃ 내지 100℃ 높은 내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내열 수지 조성물로부터 사출성형된 성형용품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내열 수지 조성물은 높은 내열성을 가져 자동차 온라인 페인팅 공정을 비롯한 205℃ 이상의 공정을 거쳐도 변형 없이 우수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자동차 외장재, 특히 자동차용 플라스틱 펜더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는 폴리페닐렌에테르(PPE) 수지, 및 폴리아미드(PA)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PA 수지는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 단독 수지; 또는 상기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 및 제2 폴리아미드(PA) 수지의 혼합 수지인 내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PA 수지 및 상기 제2 PA 수지는 서로 융점이 상이하며, 상기 제1 PA 수지의 융점이 상기 제2 PA 수지의 융점보다 20℃ 내지 100℃ 높을 수 있다.
상기 PPE 수지는 폴리페닐렌에테르 중합체, 폴리페닐렌에테르 중합체에 반응성 단량체가 반응한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PPE 수지는 0.5 내지 2, 예를 들어, 0.8 내지 1.5, 예를 들어, 0.8 내지 1.2의 비중을 가질 수 있고, 180 내지 220℃, 예를 들어, 180 내지 210℃, 예를 들어, 190 내지 2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PPE 수지는 8Ⅹ10-4 내지 8Ⅹ10-6, 예를 들어, 8Ⅹ10-4 내지 8Ⅹ10-5의 선팽창계수를 가질 수 있고, 0.01 내지 0.1%, 예를 들어, 0.01 내지 0.08%, 예를 들어, 0.02 내지 0.08%의 흡수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수율은 23℃에서 포화 상태를 기준으로 측정한 값이다. 상기 PPE 수지는 직접 제조, 또는 Bluestar사 등의 판매처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PA 수지는 아미노산, 락탐, 디아민,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주된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중합하여 얻어진 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PA 수지는 상기 주된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유도되는 PA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각각 단독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A 수지는 제1 PA 수지 단독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 PA 수지와 상기 제2 PA 수지의 혼합 수지일 수 있다. 상기 PA 수지는 이의 탄소수, 화학 구조 등에 따라 약 13종의 수지가 시판되고 있으며, 각각의 물성이 상이하다.
상기 제1 PA 수지와 상기 제2 PA 수지는 서로 다른 탄소수 및 화학 구조를 가지며, 이들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상기 내열 수지 조성물이 목적하는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PA 수지는 상기 제2 PA 수지보다 융점이 높은 고융점 수지로서, 이의 융점은 약 280℃ 내지 약 32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290℃ 내지 약 32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295℃ 내지 약 320℃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내열 수지 조성물은 PA 수지로서 융점이 전술한 범위인 상기 제1 PA 수지와 이보다 융점이 20℃ 내지 100℃ 낮은 상기 제2 PA 수지를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내열 수지 조성물은 융점이 전술한 범위인 상기 제1 PA 수지로 이루어진 PA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PA 수지는 대기 중 평형 상태에서 수분 함유율이 3% 내지 3.5%이고, 상기 제2 PA 수지는 대기 중 평형 상태에서 수분 함유율이 2% 내지 2.8%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PA 수지는 추가 수분 흡수에 따른 치수 변화율이 상기 제2 PA 수지보다 낮으며, 그 결과,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운송 수단의 외장재 또는 전기 전자 제품의 하우징 용도에 있어서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PA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90g/mol 내지 약 200g/mol일 수 있고, 상기 제2 PA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210g/mol 내지 약 230g/mol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PA 수지는 아디프산과 탄소수 3 내지 5의 알킬렌기를 갖는 디아민의 공중합체일 수 있고, 상기 제2 PA 수지는 아디프산과 탄소수 6 내지 8의 알킬렌기를 갖는 디아민의 공중합체; 또는 카프로락탐(caprolactam)의 개환 중합체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PA 수지는 폴리아미드 46 수지일 수 있고, 상기 제2 PA 수지는 폴리아미드 66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6 수지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1 PA 수지는 폴리아미드 46 수지일 수 있고, 상기 제2 PA 수지는 폴리아미드 66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PPE 수지를 5 내지 80 중량%, 10 내지 70 중량%, 또는 10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PA 수지를 1 내지 80 중량%, 또는 4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PA 수지를 0 내지 80 중량%, 또는 0 내지 7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PE 수지 및 PA 수지의 중량비는 PPE 수지 : PA 수지 = 1: 0.1 내지 10, 1 : 0.2 내지 10 또는 1 : 0.2 내지 8일 수 있다. 이때, 상기 PA 수지가 제1 PA 수지와 제2 PA 수지의 혼합 수지인 경우, 제1 PA 수지 : 제2 PA 수지의 중량비는 1: 0.1 내지 20, 1: 0.5 내지 20, 또는 1: 0.5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일 때, 실시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205℃ 이상의 저하중 열변형온도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PPE 수지 : PA 수지의 중량비는 1 : 0.1 내지 10이고, PA 수지가 제1 PA 수지와 제2 PA 수지의 혼합 수지일 때, 제1 PA 수지 : 제2 PA 수지의 중량비는 1: 0.1 내지 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PE 수지 : PA 수지의 중량비는 1 : 0.2 내지 8이고, PA 수지가 제1 PA 수지와 제2 PA 수지의 혼합 수지일 때, 상기 제1 PA 수지 : 제2 PA 수지의 중량비가 1: 0.5 내지 15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PPE 수지는 10 내지 60 중량%, 상기 제1 PA 수지는 4 내지 80 중량%, 및 상기 제2 PA 수지는 0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PPE 수지 : PA 수지의 중량비는 1 : 0.2 내지 8이고, PA 수지가 1 PA 수지와 제2 PA 수지의 혼합 수지일 때, 제1 PA 수지 : 제2 PA 수지의 중량비는 1: 0.5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수지,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MA-SEBS)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충격보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EBS 및 MA-SEBS는 PA 수지의 치수안정성, 상용성, 내열성, 내화학성, 성형가공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25 중량%, 또는 4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일 때, 충격보강제가 내열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치수 안정성, 내화학성, 내충격성, 성형가공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상용화제, 산화방지제, 활제, 광안정제, 광흡수제, 전도성 첨가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간의 상용성 향상을 위해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MA), 푸마르산, 시트르산, 시트르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상용화제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용화제는 극성을 가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시트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PPE 수지와 반응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PPE 수지를 개질하여 상용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충격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 0.01 내지 0.8 중량%, 0.05 내지 1 중량%, 0.05 내지 0.8 중량%, 또는 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고온의 공정에서 조성물들의 산화 또는 열분해를 억제하기 위해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것이면 제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이가녹스 1010, 이가녹스 1076,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톨루엔(BHT), 이가포스 168, Cyanox 2246, Cyanox LTDP, Cyanox STDP, Cyanox MTDP, Ultranox 626, Mark 260 등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 또는 0.1 내지 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수지를 가열 성형할 때, 유동성을 좋게하여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금속 스테아레이트계 활제, 아미드계 활제, 파라핀계 활제, 에스테르계 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활제는 에틸렌비스스테아미드(EBS), 몬탄(montan), 폴리에틸렌 왁스(PE wax), 폴리프로필렌 왁스(PP wax), 파라핀 왁스, 저분자량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세틸알콜(cetyl Alcohol), 올레오아미드(oleamide), 에루카아미드(erucamide), 스테아라미드(stearamide), 부틸스테아레이트(butylstearate),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ol mono stearate),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glycerine mono oleate),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stearyl stearate), 스테아르산 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르산 바륨(barium stearate), 스테아르산 납(lead stearate), 스테아르산 마그네슘(magnecium stearate) 등일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 또는 0.1 내지 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할라이드계 열안정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염화구리(I), 브롬화구리(I), 브롬화구리(II), 브롬화칼륨, 염화구리(II), 요오드화구리(I), 요오드화구리(II), 요오드화칼륨 등일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 또는 0.1 내지 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의 열분해를 억제하기 위해 광안정제, 광흡수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할스계 광안정제, 벤조트리아졸계 광흡수제, 벤조페논계 광흡수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 및 광흡수제는 미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 또는 0.05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탄소섬유, 그래핀, 금속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전도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첨가제는 수지 조성물 중에 분산되어 전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도성 첨가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 또는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직경이 0.5 내지 100nm, 또는 1 내지 10nm이며, 길이는 0.01 내지 100㎛, 또는 0.5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직경 및 길이 범위 내일 때, 전도성 및 가공성이 보다 우수하다.
이 외에도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성형품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종류나 입수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알려져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ASTM D648 규격에 따라 측정시 205℃ 이상, 205 내지 250℃, 또는 205 내지 240℃의 저하중 열변형온도를 가질 수 있다(시험예 1 참조). 나아가, 상기 수지 조성물은 23℃의 온도 및 상대습도 50%에서 ISO 62 규격에 따라 측정시 1.5% 이하, 0.5 내지 1.5% 또는 0.7 내지 1.5%의 흡습률을 가질 수 있다(시험예 2 참조).
또한, 실시예는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사출성형된 성형용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용품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 등의 가공 공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성형용품은 자동차, 오토바이 골프카터 등의 운송 수단의 외장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자동차용 플라스틱 펜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성형용품은 전기 전자 제품의 하우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높은 내열성을 가져 운송 수단의 외장재 또는 전기 전자 제품의 하우징 등의 온라인 페인팅 공정을 비롯한 205℃ 이상의 공정을 거쳐도 변형 없이 우수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PPE 수지 : PPE, Bluestar사
제1 PA 수지 : stanyl®, DSM사, 폴리아미드 46 (융점: 290℃)
제2 PA 수지 : Vydyne, Ascend사, 폴리아미드 66 (융점: 264℃)
충격보강제 : SEBS 수지(G1651, Kraton사)
: MA-SEBS 수지(FG1901, Kraton사)
상용화제 : 말레산 무수물(MA)(무수말레산, 용산화학)
활제 : 에틸렌비스스테아미드(EBS)(L-C 140P, 라이온켐텍)
산화방지제 : 이가녹스 1010 (BASF)
열안정제 : 요오드화칼륨(KI)(KI, 나우켐)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및 2 : 수지 조성물의 제조
각각의 수지 조성물은 PPE 수지, 제1 PA 수지, 및 제2 PA 수지와 함께 다른 성분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각각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성분들을 32mm의 이축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30kg/hr, 330℃의 조건 하에서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시험예]
시험예 1 : 저하중 열변형온도( heat deformation temperature ; HDT )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및 2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의 수지 조성물을 170톤 전동식 사출기를 이용하여, 300℃의 사출온도 및 100℃의 금형 온도 조건에서 사출 성형하여 ASTM D648 기준, Edgewise, 6.4mm*128mm 시편에 대해, 하중 4.6kgf 조건에서 저하중 열변형온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2 : 흡습률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및 2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출 성형하여 ISO62 기준, 시편 크기 60mm*60mm*2mm (가로*세로*두께), 온도 23℃, 상대습도 50% 조건에서 흡습률을 측정하였다.

구분
구성성분(중량부)
저하중
HDT(℃)

흡습률(%)
PPE 제1PA 제2PA SEBS MA-
SESB
열안정제 상용화제 활제 산화방지제
실시예1 10 40 40 4 6 0.3 0.5 0.3 0.3 219 1.4
실시예2 30 30 30 4 6 0.3 0.5 0.3 0.3 211 1.2
실시예3 70 10 10 4 6 0.3 0.5 0.3 0.3 206 0.8
실시예4 30 5 55 4 6 0.3 0.5 0.3 0.3 207 1.2
실시예5 30 40 20 4 6 0.3 0.5 0.3 0.3 213 1.2
실시예6 10 80 0 4 6 0.3 0.5 0.3 0.3 234 1.4
실시예7 30 60 0 4 6 0.3 0.5 0.3 0.3 225 1.2
실시예8 30 20 40 4 6 0.3 0.5 0.3 0.3 216 1.2
실시예9 10 5 75 4 6 0.3 0.5 0.3 0.3 206 1.4
비교예1 0 45 45 4 6 0.3 0.5 0.3 0.3 201 1.8
비교예2 45 0 45 4 6 0.3 0.5 0.3 0.3 195 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에 1 내지 9의 수지 조성물은 모두 205℃ 이상의 저하중 HDT를 나타내었고, 1.5% 이하의 낮은 흡습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및 2의 수지 조성물은 실시예보다 낮은 저하중 HDT 값을 나타내었고, 비교예 1의 수지 조성물은 1.5%를 초과하는 흡습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이 우수하여 205℃ 이상의 고온의 공정에 적용되어도 변형을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3)

  1. 폴리페닐렌에테르(PPE) 수지; 및
    폴리아미드(PA)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PA) 수지는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 단독 수지; 또는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 및 제2 폴리아미드(PA) 수지의 혼합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의 융점이 상기 제2 폴리아미드(PA) 수지의 융점보다 20℃ 내지 100℃ 높은, 내열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의 융점이 280℃ 내지 320℃인, 내열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PPE) 수지가 10 내지 60 중량%, 상기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가 4 내지 80 중량%, 및 상기 제2 폴리아미드(PA) 수지가 0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내열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PPE) 수지 : 폴리아미드(PA) 수지의 중량비가 1 : 0.1 내지 10이고,
    상기 폴리아미드(PA) 수지가 상기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 및 상기 제2 폴리아미드(PA) 수지의 혼합 수지이고,
    상기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 : 상기 제2 폴리아미드(PA) 수지의 중량비가 1: 0.1 내지 20인, 내열 수지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PPE) 수지 : 상기 폴리아미드(PA)의 중량비가 1 : 0.2 내지 8이고,
    상기 제1 폴리아미드(PA) 수지 : 상기 제2 폴리아미드(PA) 수지의 중량비가 1: 0.5 내지 15인, 내열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수지,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MA-SEBS)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충격보강제를 더 포함하는, 내열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가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내열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말레산 무수물, 시트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상용화제를 더 포함하는, 내열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탄소섬유, 그래핀, 금속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전도성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내열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23℃의 온도 및 상대습도 50%에서 ISO 62 규격에 따라 측정시 1.5% 이하의 흡습률을 갖는, 내열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ASTM D648 규격에 따라 측정시 205℃ 이상의 저하중 열변형온도를 갖는, 내열 수지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사출성형된 성형용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용품이 자동차용 플라스틱 펜더인, 성형용품.
KR1020170151392A 2017-11-14 2017-11-14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성형용품 KR102017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392A KR102017124B1 (ko) 2017-11-14 2017-11-14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성형용품
CN201811299887.3A CN109401274B (zh) 2017-11-14 2018-11-02 耐热树脂组合物及由此获得的成型制品
JP2018210454A JP6726727B2 (ja) 2017-11-14 2018-11-08 耐熱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た成形品
US16/189,723 US11124648B2 (en) 2017-11-14 2018-11-13 Heat-resistant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obtained therefrom
EP18205845.3A EP3483216B1 (en) 2017-11-14 2018-11-13 Heat-resistant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obtain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392A KR102017124B1 (ko) 2017-11-14 2017-11-14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성형용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613A true KR20190054613A (ko) 2019-05-22
KR102017124B1 KR102017124B1 (ko) 2019-09-02

Family

ID=6430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392A KR102017124B1 (ko) 2017-11-14 2017-11-14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성형용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24648B2 (ko)
EP (1) EP3483216B1 (ko)
JP (1) JP6726727B2 (ko)
KR (1) KR102017124B1 (ko)
CN (1) CN1094012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9110A (ja) * 2019-03-01 2020-09-03 旭化成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CN111040414A (zh) * 2019-12-31 2020-04-21 贵州凯科特材料有限公司 一种低介电常数的sebs增韧ppo/pa6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912A (ko) * 2010-12-21 2012-08-16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40086736A (ko) * 2012-12-28 2014-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20160121383A (ko) 2015-04-10 2016-10-19 롯데첨단소재(주) 전도성 폴리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JP6115386B2 (ja) * 2013-07-31 2017-04-19 横浜ゴム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タイヤ及びホ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7167A (en) 1977-12-02 1979-06-20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Electronic watch
JPH0641321A (ja) 1992-07-22 1994-02-15 Unitika Ltd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7022776B2 (en) * 2001-11-07 2006-04-04 General Electric Conductive polyphenylene ether-polyamide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 derived therefrom
WO2007058169A1 (ja) 2005-11-15 2007-05-24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耐熱性樹脂組成物
CN101309972A (zh) * 2005-11-15 2008-11-19 旭化成化学株式会社 具有优良耐热性的树脂组合物
WO2008054850A2 (en) * 2006-04-05 2008-05-0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 (arylene ether)/polymide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JP5348692B2 (ja) * 2009-08-25 2013-11-20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品
WO2012046341A1 (ja) * 2010-10-08 2012-04-12 矢崎総業株式会社 耐熱電線用樹脂組成物及び耐熱電線
CN102942784A (zh) * 2012-10-10 2013-02-27 惠州市华聚塑化科技有限公司 一种耐湿态无铅锡焊的尼龙46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5171394A1 (en) * 2014-05-05 2015-11-1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Reinforced polyphthalamide/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
CN108587109A (zh) * 2018-03-12 2018-09-28 广东顺威赛特工程塑料开发有限公司 一种高耐热高强度ppe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912A (ko) * 2010-12-21 2012-08-16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40086736A (ko) * 2012-12-28 2014-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JP6115386B2 (ja) * 2013-07-31 2017-04-19 横浜ゴム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タイヤ及びホース
KR20160121383A (ko) 2015-04-10 2016-10-19 롯데첨단소재(주) 전도성 폴리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3216B1 (en) 2024-05-08
JP6726727B2 (ja) 2020-07-22
JP2019108525A (ja) 2019-07-04
US11124648B2 (en) 2021-09-21
US20190144669A1 (en) 2019-05-16
EP3483216A1 (en) 2019-05-15
KR102017124B1 (ko) 2019-09-02
CN109401274A (zh) 2019-03-01
CN109401274B (zh)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3136B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s
KR10194041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2928962B1 (en) Polyamide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WO2007058169A1 (ja) 耐熱性樹脂組成物
KR102017124B1 (ko)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성형용품
TWI631179B (zh) 聚醯胺樹脂組成物及聚醯胺樹脂之耐熱老化性改善方法
KR20110108976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70015023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70020129A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N113321866A (zh) 一种激光直接成型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204087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4067031A1 (en) Improved performance of carbon nanotube based polymeric materials
KR2022016198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09280372B (zh) 聚苯醚/尼龙合金材料制品及其制备方法
JP5636278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WO2018229678A1 (en) Reinforced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with low emissions
KR101528390B1 (ko) 대전 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27219A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WO2017131008A1 (ja) 耐熱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2502631B2 (ja) 樹脂組成物
JP2018070808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H1160943A (ja) 低い線膨張係数を有する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2007154109A (ja) 押出加工性に優れる樹脂組成物
EP4269495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JP2024018932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