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129A -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 Google Patents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129A
KR20170020129A KR1020150114922A KR20150114922A KR20170020129A KR 20170020129 A KR20170020129 A KR 20170020129A KR 1020150114922 A KR1020150114922 A KR 1020150114922A KR 20150114922 A KR20150114922 A KR 20150114922A KR 20170020129 A KR20170020129 A KR 20170020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weight
maleic anhydride
copolymer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철
김민석
이계윤
김도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0129A/ko
Publication of KR2017002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12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56(PA 56),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 및 말레산 무수물(MAH)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친환경적이며,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석유 기반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본 발명은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PA) 수지는 아미드 결합(-CO-NH-)의 반복이 주쇄를 이루는 선상 고분자 물질로서, 나일론 수지라 불린다. PA 수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기계적 성질, 특히 내약품성, 내마찰,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여 일반 기계 부품, 자동차 부품, 전기 부품, 스포츠 용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A 수지의 예로는 e-카프로락탐의 개환중합에 의해 형성된 나일론 6,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축합중합에 의해 형성된 나일론 66 등이 있다.
PA 수지는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와 혼합하여 사용되고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49057호 및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03408888호). 그러나 종래 PA 수지들은 석유 기반이어서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소각 시 다량의 CO2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석유 기반 수지들은 지구온난화 및 기상이변과 같은 환경문제의 원인이 되므로, 종래 석유 기반 수지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CO2를 발생시키지 않는 친환경적인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바이오매스 기반의 폴리아미드 수지와 ABS 공중합체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이 보고된 바 있으나, 비반응성 충격보강제인 ABS 공중합체만으로는 바이오매스 기반의 폴리아미드 수지의 노치(notch) 충격강도를 보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된 폴리아미드 56 수지에 ABS 공중합체 및 말레산 무수물(MAH) 공중합체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내충격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49057호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0340888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적이며,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종래 석유계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폴리아미드 56(PA 56); (B)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 및 (C) 말레산 무수물(MAH)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친환경적이며,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석유 기반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56(PA 56);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 및 말레산 무수물(MAH)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각 성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인 폴리아미드 56('나일론 56'이라고도 함)은 식물을 원료로 하여 얻어지는 바이오매스 기반의 나일론이다. 폴리아미드 56은 석유 유래의 나일론인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과 비교하여 특성이 유사하고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이들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56을 포함하는 성형품들은 생분해성이 우수하여 친환경적이므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발생하는 지구온난화 및 기상이변과 같은 환경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56의 제조방법 등 세부사항은 중국 출원공개 CN 103980486 A에 개시되어 있다. 폴리아미드 56은 석유 시약 중 하나인 헥사메틸렌디아민을 생합성된 중간체인 펜타메틸렌디아민으로 대체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폴리아미드 56은 Cathay Industrial Biotech사에 의해 'Terryl™ PA56'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및 스티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반응성 충격보강제이다. ABS 공중합체는 폴리아미드 56의 강성, 내열성, 내화학성, 성형가공성 및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ABS 공중합체의 예로는 10 내지 30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 10 내지 30 중량%의 부타디엔 및 40 내지 70 중량%의 스티렌을 포함하는 ABS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ABS 공중합체는 유합중합 공정을 통해 제조된 코어-쉘 고무(core-shell rubber) 형태로, 평균 입자경이 0.01 내지 5㎛, 그라프트율이 5 내지 90%, 코어(core)의 유리전이온도가 -20℃ 이하, 쉘(shell)의 유리전이온도가 20℃ 이상일 수 있다. 시판중인 ABS 공중합체의 예로는 HR-181(금호석유화학), CHT(삼성SDI)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인 말레산 무수물(MAH) 공중합체는 조성물간의 상용성 향상을 위한 상용화제로서 사용된다. 상기 MAH 공중합체의 예로는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트-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MAH-g-POE), 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NPMI-St-MAH),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MAH-g-POE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에 말레산 무수물(MAH)이 그라프트 공중합된 화합물로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상용성 향상 및 충격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상용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OE의 예로는 폴리에틸렌-1-펜텐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1-헥센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1-헵텐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1-옥텐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시판중인 상기 MAH-g-POE의 예로는 N525(Dupont사), N416(Dupont사), N493(Dupont사) 등이 있다.
상기 NPMI-St-MAH 공중합체는 N-페닐말레이미드,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이 공중합된 화합물로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상용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시판중인 NPMI-St-MAH의 예로는 MS-NB(DENKA사), MS-CP(DENKA사), MS-L2A(DENKA사) 등이 있다.
전술한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트-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및 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90 중량%의 폴리아미드 56, 5 내지 50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5 내지 50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60 중량%의 폴리아미드 56, 25 내지 45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3 내지 15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강성, 내열성, 내화학성, 성형가공성 및 내충격성을 달성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활제, 광안정제, 광흡수제, 트랜스에스테르화반응 억제제 및 내가수분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고온 중합 반응시, 조성물들의 산화 또는 열분해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티올계 산화방지제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2,6-디-t-부틸-p-크레졸, 옥타데실-3-(4-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비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파이트 디에틸에스테르,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또는 비스[3,3-비스-(4'-히드록시-3'-tert-부틸-페닐)부탄산]글리콜 에스터 등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페닐-α-나프틸아민, 페닐-β-나프틸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또는 N,N'-디-β-나프틸-p-페닐렌디아민 등의 아민계 산화방지제; 디라우릴디설파이드, 디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머캡토벤조티아졸 또는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 테트라비스[메틸렌-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 등의 티올계 산화방지제; 및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이소데실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 디포스파이트 또는 (1,1'-비페닐)-4,4'-디일비스포스포너스산 테트라키스[2,4-비스(1,1-디메틸에틸)페닐]에스터 등의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를 들 수 있으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와 다른 산화방지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시판중인 산화방지제의 예로는 AO-60(ADEKA사), S-9228(DOVER사), Irgaphos-168(ADEKA사), AO-412S(ADEKA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앞서의 성분 (A) 내지 (C)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0.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범위 내에서 수지의 중합수율(conversion of polymerization) 및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를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성형품의 색상 변화(황변) 등이 억제되므로, 우수한 외관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활제는 수지를 가열 성형할 때, 유동성을 좋게 하여 가공을 쉽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금속 스테아레이트계 활제, 아미드계 활제, 파라핀계 활제, 및 에스테르계 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시판중인 활제의 예로는 Hi-Lube(신원화학), Mg-St(Songwon사), Ca-St(Songwon사), Zn-St(Songwon사), AX-71(ADEKA사) 등이 있다.
상기 광안정제 및 광흡수제는 조성물들의 열분해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며, 할스계 광안정제, 벤조트리아졸계 광흡수제 및 벤조페논계 광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반응 억제제는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을 억제하여 조성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히드록실 관능기 및 알킬에스테르 관능기를 포함하는 인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내가수분해제는 폴리아미드의 말단 성분인 히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로, 수지 조성물의 내가수분해성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내가수분해제는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과 같은 에스테르계 수지에 적용되어 고분자 사슬의 끝부분에 엔드캡핑(endcapping) 반응을 하여 물 또는 산에 의한 수지 조성물의 가수분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가수분해제는 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변성 페닐카보디이미드, 폴리(톨릴카보디이미드), 폴리(4,4'-디페닐메탄카보디이미드), 폴리(3,3'-디메틸-4,4'바이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p-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m-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3,3'-디메틸-4,4'-디페닐메탄카보디이미드) 등일 수 있다.
이외에도 수지 조성물 또는 그 성형품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종류나 입수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성형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수지 성형품은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 등의 가공 공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성형품은 자동차, 전기전자기기, 가전기기, 사무기기 또는 생활용품의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에서 인스트루먼트 패널 모듈 관련 플라스틱 부품, 도어 트림 관련 플라스틱 부품, 램프 하우징 관련 부품, 휠커버 관련 부품, 자동차 내/외장용 가니쉬 관련 부품, 도어 핸들 레버 부품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53 중량%의 폴리아미드 56(Terryl™ PA56, Cathay Industrial Biotech사), 40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HR-181, 금호석유화학) 및 7 중량%의 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MS-NB, DENKA사)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활제로서 0.5 중량부의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Hi-Lube, 신원화학), 0.2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방지제(AO-60, ADEKA사) 및 0.2 중량부의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S-9228, DOVER사)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축혼련압출기(Φ: 40㎜,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53 중량%의 폴리아미드 56(Terryl™ PA56, Cathay Industrial Biotech사), 42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HR-181, 금호석유화학) 및 5 중량%의 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MS-NB, DENKA사)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활제로서 0.5 중량부의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Hi-Lube, 신원화학), 0.2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방지제(AO-60, ADEKA사) 및 0.2 중량부의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S-9228, DOVER사)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축혼련압출기(Φ: 40㎜,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57.1 중량%의 폴리아미드 56(Terryl™ PA56, Cathay Industrial Biotech사), 28.6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HR-181, 금호석유화학), 4.8 중량%의 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MS-NB, DENKA사) 및 9.5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트-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N525, Dupont사)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활제로서 0.5 중량부의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Hi-Lube, 신원화학), 0.2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방지제(AO-60, ADEKA사) 및 0.2 중량부의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S-9228, DOVER사)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축혼련압출기(Φ: 40㎜,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아미드 56(Terryl™ PA56, Cathay Industrial Biotech사)만을 이축혼련압출기(Φ: 40㎜,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57.1 중량%의 폴리아미드 6(RV 2.5, 케이피켐텍사), 28.6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HR-181, 금호석유화학), 4.8 중량%의 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MS-NB, DENKA사) 및 9.5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트-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N525, Dupont사)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활제로서 0.5 중량부의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Hi-Lube, 신원화학), 0.2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방지제(AO-60, ADEKA사) 및 0.2 중량부의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S-9228, DOVER사)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축혼련압출기(Φ: 40㎜,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57.1 중량%의 폴리아미드 66(RV 2.5, INVISTA사), 28.6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HR-181, 금호석유화학), 4.8 중량%의 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MS-NB, DENKA사) 및 9.5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트-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N525, Dupont사)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활제로서 0.5 중량부의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Hi-Lube, 신원화학), 0.2 중량부의 페놀계 산화방지제(AO-60, ADEKA사) 및 0.2 중량부의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S-9228, DOVER사)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축혼련압출기(Φ: 40㎜, L/D = 44)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고분자 수지 성형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수지 조성물(펠렛)을 사출기를 이용하여 250℃의 온도에서 동일하게 사출하여 성형품을 얻었다. 상기 성형품을 23±2℃, 50±5% 상대습도 조건 하에서 상태 조절하였다.
시험예 1: 충격강도 측정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D 256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든 후, 아이조드 충격기(Impact Tester, Toyoseiki)를 사용하여 충격강도 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인장강도 측정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638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든 후,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Roell Z010)를 사용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내열도 측정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648에 의거하여, 측정용 시편을 만든 후, 내열도 시험기(HDT Tester, Toyoseiki)를 사용하여 내열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단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아이조드충격강도(1/8) J/m 250 280 760 60 750 750
아이조드충격강도(1/4) J/m 180 250 430 50 420 420
인장강도 kg/㎠ 390 370 380 825 330 350
내열도(0.46MPa) 115 120 116 205 112 115
내열도(1.82MPa) 77 68 73 67 70 72
바이오매스 함유 여부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은 성형품은 내충격성, 인장강도, 내열성 및 친환경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특히,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로서 MAH-g-POE 및 NPMI-St-MAH 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3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은 성형품의 내충격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비교예 1~3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은 성형품은 내충격성, 인장강도, 내열성 및 친환경성 중 적어도 하나의 물성면에서 저조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은 성형품은 아이조드충격강도가 매우 낮아서 내충격성 면에서 부적합하였다. 또한, 비교예 2 및 3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은 성형품은 고분자 수지로부터 얻은 성형품은 석유 기반의 폴리아미드 6 또는 66를 함유하므로 친환경적이지 못하였다.

Claims (10)

  1. (A) 폴리아미드 56(PA 56);
    (B)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 및
    (C) 말레산 무수물(MAH)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5 내지 90 중량%의 폴리아미드 56,
    (B) 5 내지 50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C) 5 내지 50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가 10 내지 30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 10 내지 30 중량%의 부타디엔, 및 40 내지 70 중량%의 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가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트-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MAH-g-POE), 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NPMI-St-MAH),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가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트-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MAH-g-POE)와 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NPMI-St-MAH)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가 폴리에틸렌-1-펜텐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1-헥센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1-헵텐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1-옥텐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산화방지제, 활제, 광안정제, 광흡수제, 트랜스에스테르화반응 억제제 및 내가수분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가 페놀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티올계 산화방지제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성형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성형품이 자동차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성형품.
KR1020150114922A 2015-08-13 2015-08-13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70020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922A KR20170020129A (ko) 2015-08-13 2015-08-13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922A KR20170020129A (ko) 2015-08-13 2015-08-13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129A true KR20170020129A (ko) 2017-02-22

Family

ID=5831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922A KR20170020129A (ko) 2015-08-13 2015-08-13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012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1297A (zh) * 2018-08-31 2019-01-11 上海凯赛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高流动性生物基聚酰胺56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486182A (zh) * 2018-10-22 2019-03-19 滁州吉胜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芳香尼龙56及其制备方法
CN111484736A (zh) * 2019-10-17 2020-08-04 四川鑫达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耐低温增强pa56/pa6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063169A (zh) * 2020-09-16 2020-12-11 横店集团得邦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生物基pa56/abs合金及其制备方法
CN112679943A (zh) * 2020-12-14 2021-04-20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光黑免喷涂耐刮擦pa/abs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0A (en) 1853-12-20 Hand-loom
KR20080049057A (ko) 2005-09-22 2008-06-03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스크래치 내성 중합체 및 코팅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0A (en) 1853-12-20 Hand-loom
KR20080049057A (ko) 2005-09-22 2008-06-03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스크래치 내성 중합체 및 코팅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1297A (zh) * 2018-08-31 2019-01-11 上海凯赛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高流动性生物基聚酰胺56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486182A (zh) * 2018-10-22 2019-03-19 滁州吉胜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芳香尼龙56及其制备方法
CN111484736A (zh) * 2019-10-17 2020-08-04 四川鑫达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耐低温增强pa56/pa6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063169A (zh) * 2020-09-16 2020-12-11 横店集团得邦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生物基pa56/abs合金及其制备方法
CN112679943A (zh) * 2020-12-14 2021-04-20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光黑免喷涂耐刮擦pa/abs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679943B (zh) * 2020-12-14 2023-10-31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光黑免喷涂耐刮擦pa/abs组合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0129A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438899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KR102165345B1 (ko) 금형 오염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KR20170020134A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9023920B2 (en) High-strength polyphenylene sulfide/polyethylene terephthalate blend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5939843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成形品の使用方法
JPWO2006054774A1 (ja) ガラス繊維含有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CN111073210B (zh) 一种永久抗静电降噪abs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39366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KR20110108976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070017872A (ko)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CN107922718B (zh) 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树脂组合物
WO2014062572A1 (en) Heat resistant, flame retardant polylactic acid compounds
CN110684337B (zh) 一种高性能耐刮擦聚酰胺/聚苯醚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470916B1 (ko)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CN109370194B (zh) 一种刚性和韧性均衡的三元共混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082486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JP2018044115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102204087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00079518A (ko) 폴리락트산 함유 고분자 복합 재료
KR20160114994A (ko) 저경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70016600A (ko) 케이블 타이용 수지 조성물
KR102275120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247363B1 (ko) 그리스 내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KR100828655B1 (ko) 밴드 케이블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