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899B1 -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899B1
KR101438899B1 KR1020120089681A KR20120089681A KR101438899B1 KR 101438899 B1 KR101438899 B1 KR 101438899B1 KR 1020120089681 A KR1020120089681 A KR 1020120089681A KR 20120089681 A KR20120089681 A KR 20120089681A KR 101438899 B1 KR101438899 B1 KR 101438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leic anhydride
resin composition
resi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077A (ko
Inventor
김학수
김대식
이한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899B1/ko
Priority to US13/724,773 priority patent/US9074081B2/en
Publication of KR2014002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08L1/12Cellulose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8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two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열가소성 수지를 기재수지로 하고 여기에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실란 커플링제가 결합된 무기충진제, 및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가 일정 함량비로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므로 기존의 자동차 내장부품용 소재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Eco-friendly plastic compositions with excellent mechanical property}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열가소성 수지를 기재수지로 하고 여기에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실란 커플링제가 결합된 무기충진제, 및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가 일정 함량비로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므로 기존의 자동차 내장부품용 소재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계 경제를 이끌고 있는 선진국의 많은 산업체들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석유를 바탕으로 하는 소재 공급원을 천연소재 및 농작물 자원을 바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소재로 대체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역시 새로운 환경 법규, 사회적 관심 그리고 점점 높아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현재 많은 자동차 업체에서는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 연구 및 적용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친환경 재료의 대체 사용은 석유자원고갈 대책, 이산화탄소 저감, 휘발성 유기물질 저감, 리싸이클율 규제 대응 등 많은 실질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자동차 내장부품용 친환경 소재로서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PLA는 옥수수 추출물을 발효 및 중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로서 가장 먼저 상용화 되어 있으나, 그 원료원이 식량자원이기 때문에 가격 및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향후 자동차 내장부품용 바이오 소재의 적용량 증대를 통한 이미지 증대 및 상품성 향상을 위해 자동차 업체에서는 바이오 소재 물성 증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는 기계적 물성이 열악하여 고충격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내장부품재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특정 내장부품에만 한정되어 일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10 내지 50 중량%와 열가소성 수지 5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재수지 100 중량부; 및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1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친환경 수지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10 내지 50 중량%와 열가소성 수지 5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재수지 100 중량부;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1 내지 20 중량부; 실란 커플링제가 결합된 무기충진제 1 내지 40 중량부; 및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 1 내지 3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친환경 수지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이오매스 소재로서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CDA)는 목재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기존의 옥수수 추출물을 발효하여 얻은 폴리락트산(PLA)에 비교하여 원료공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물성 우수하므로 기존 폴리프로필렌 합성수지 조성물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로 유용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도어트림, 필라트림 등의 자동차 내장부품용 소재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CDA)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수지에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가 포함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물성과 열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목적으로, 상기한 기재수지에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이외에도 실란 커플링제가 결합된 무기충진제 및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를 일정 함량범위로 포함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기재수지에 첨가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실란 커플링제가 결합된 무기충진제,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의 첨가여부 및 함량 조절이 물성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조성성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기재수지로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10 내지 50 중량%와 열가소성 수지 50 내지 90 중량%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기재수지를 구성하는 바이오매스로서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CDA)는 목재로부터 얻은 셀룰로오스를 통상의 방법으로 아세테이트화 반응 및 가소화 반응하여 사용한다. 즉,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는 셀룰로오스를 구성하는 피라노스(pyranose) 고리 중에는 3개의 수산기(OH)가 존재하는데 그 중 평균 2개 정도, 구체적으로는 평균 1.5 내지 2.5 개의 수산기가 아세테이트기로 치환되어 있으며, 글리세린과 트리아세틴을 가소제로 사용하여 가소화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좋기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내지 50만 범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재수지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며,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수지를 구성함에 있어,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CDA)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친환경 소재로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50 중량%를 초과하여 과량이 사용되면 본 발명이 목적하는 기계적 물성 및 열적특성을 만족시키는 수지조성물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기재수지로 사용된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열가소성 수지간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를 사용한다. 폴리비닐아세탈은 비닐아세탈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단일중합체이거나, 또는 비닐아세탈 반복단위와 다른 공단량체의 반복단위가 포함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은 비닐알콜계 중합체와 알데히드 화합물을 아세탈화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아세탈화는 종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바, 예를 들면 산 촉매의 존재하에서 비닐알콜계 중합체와 알데히드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아세탈화에 사용하는 산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유기산 및 무기산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아세트산, 파라톨루엔설폰산, 질산, 황산, 염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보다 일반적으로는 염산, 황산, 질산이 사용되고, 특히 염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세탈화에 사용하는 알데히드 화합물은 탄소수 2 내지 6의 알데히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알데히드 화합물은 예를 들면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병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탈화도는 45 내지 85 mol%인 것이 적합하고, 더욱 적합하게는 50 내지 85 mol%이다. 아세탈화도가 상기 범위에 있을 때 상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한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는 기재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는 바, 상용화제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신율 및 저온 특성의 물성이 떨어질 수 있고, 그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신율 및 저온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소재 물성에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가 열가소성 수지 중에 균질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무기충전제를 사용한다. 이때 무기 충전제로는 탈크, 실리카, 카올린, 운모, 알루미나, 규회석, 점토, 탄산 칼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평균입자크기는 2 내지 10 마이크로미터 범위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의 표면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실란 커플링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콕시 그룹이 치환된 실란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예를 들면 n-부틸트리메톡시실란, n-부틸트리에톡시실란, n-헥실트리메톡시실란, n-헥실트리에톡시실란, n-옥틸트리메톡시실란, n-옥틸트리에톡시실란, n-옥틸트리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무기충전제는 기재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중량부 미만 사용되며,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4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예를 들면 굴곡탄성율, 인장강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수말레익산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MA-g-PE), 무수말레익산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MA-g-PP), 무수말레익산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MA-g-EPR), 무수말레익산 그라프트된 에틸렌-옥텐 고무(MA-g-EOR) 및 무수말레익산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MA-g-EPDM)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의 개질제로 사용된 무수말레익산은 엘라스토머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범위로 그라프트된 것을 사용하여야만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는 기재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중량부 미만,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난연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안료, 대전 방지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억연제, 불소계 적하방지제, 무기 충진제, 유리섬유, 내마찰제, 내마모제 및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물질로서 본 발명은 이의 선택이나 함량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으나, 친환경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수지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성형하여 얻은 성형품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수지 조성물을 210℃ 내지 230℃의 가공 온도에서 압출하여 펠릿을 제조한 후, 상기 펠릿을 사출성형법으로 자동차 내장재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수지에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의 첨가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성분과 조성비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하기의 측정방법에 의하여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측정방법]
(1) 인장강도: ASTM D-638법(시편 12.7 x 12.7 x 3.2 mm)으로 측정함.
(2) 신율: ASTM D-638법(시편 12.7 x 12.7 x 3.2 mm)으로 측정함.
(3) 굴곡 탄성율 및 굴곡강도: ASTM D-790법(시편 12.7 x 12.7 x 6.4 mm)으로 측정함.
(4)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 ASTM D-256법(시편 63.5 x 12.7 x 6.4 mm, 상온 23℃)으로 측정함.
구 분 비교예
1
실시예
1 2 3 4 5 6

조성
(g)
폴리프로필렌1) 70 70 70 70 80 60 70
가소화된 CDA2) 30 30 30 30 20 40 30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3) - 5 10 15 20 20 20
안정제4) 0.5 0.5 0.5 0.5 0.5 0.5 0.5

물성
인장강도(Mpa) 34 34 33 33 32 36 31
신율(%) 15 38 43 86 97 54 82
IZOD 충격강도
(kgf㎝/㎝)
23℃ 3.4 4.5 6.3 8.3 10.5 7.1 8.3
-10 ℃ 2.1 2.8 3.9 5.3 6.4 4.9 5.1
1) 폴리프로필렌: 폴리미래, EA5074
2)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중량평균분자량 284,750 g/mol으로 가소화됨
3)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아세탈화도 75 mol%
4) 안정제: 3,3'-Thiodipropionic acid dioctadecylester (BASF, PS-800)
상기 표 1의 결과에 의하면,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비교예 1)과 비닐아세탈 상용화제가 첨가된 수지 조성물(실시예 1 내지 6)을 비교할 때, 인장강도는 동일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아세탈 상용화제가 첨가됨으로써 신율과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월등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내지 10 및 비교예 2.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수지에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이외에 실란 커플링제가 결합된 무기충진제의 첨가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성분과 조성비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각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비교예
1
실시예 비교예
2
3 7 8 9 10

조성
(g)
폴리프로필렌1) 70 70 70 70 70 70 70
가소화된 CDA2) 30 30 30 30 30 30 30
비닐아세탈 상용화제3) - 15 15 15 15 15 15
실란처리된 탈크4) - - 5 10 15 20 -
탈크 - - - - - - 10
안정제5) 0.5 0.5 0.5 0.5 0.5 0.5 0.5


물성
인장강도(Mpa) 34 33 25 25 26 27 25
신율(%) 15 86 56 50 44 40 36
굴곡탄성율 - - 1950 2340 2510 2690 2240
IZOD 충격강도
(kgf㎝/㎝)
23℃ 3.4 8.3 6.9 6.6 6.4 6.0 6.5
-10℃ 2.1 5.3 3.8 3.7 3.5 3.1 3.4
1)폴리프로필렌: 폴리미래, EA5074
2)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중량평균분자량 284,750 g/mol으로 가소화됨
3)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아세탈화도 75 mol%
4) 실란처리된 탈크: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표면처리된 탈크
5) 안정제: 3,3'-Thiodipropionic acid dioctadecylester (BASF, PS-800)
상기 표 2의 결과에 의하면,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비교예 1)과 비닐아세탈 상용화제와 실란처리된 탈크가 동시에 첨가된 수지 조성물(실시예 7 내지 10)을 비교할 때, 인장강도는 동일 내지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비닐아세탈 상용화제와 실란처리된 탈크가 첨가제로 동시에 첨가됨으로써 신율과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월등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첨가제로서 비닐아세탈 상용화제가 단독으로 사용된 수지 조성물(실시예 3)과 비교할 때, 비닐아세탈 상용화제와 실란처리된 탈크가 첨가제로 동시에 첨가됨으로써 신율 및 굴곡탄성, 충격강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0과 비교예 2는 실란처리된 탈크 또는 탈크를 첨가제로 포함한 수지 조성물으로서, 실란처리된 탈크를 사용함으로써 굴곡탄성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내지 10 및 비교예 2.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수지에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이외에 실란 커플링제가 결합된 무기충진제와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의 첨가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성분과 조성비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각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비교예 실시예
3 4 5 11 12 13

조성
(g)
폴리프로필렌1) 70 70 70 70 70 70
가소화된 CDA2) 30 30 30 30 30 30
비닐아세탈 상용화제3) 15 15 15 15 15 15
실란처리된 탈크4) 15 15 15 15 10 10
무수 말레산으로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5) - - - 10 20 30
엘라스토머6) 10 20 30 - - -
안정제7) 0.5 0.5 0.5 0.5 0.5 0.5


물성
인장강도(Mpa) 25 22 21 25 23 21
신율(%) 49 105 115 92 146 180
굴곡탄성율 2350 2080 1750 2410 2130 1890
IZOD 충격강도
(kgf㎝/㎝)
23℃ 7.0 15.9 46.4 9.7 31.5 51.4
-10℃ 3.8 6.5 7.5 6.1 7.2 7.8
1) 폴리프로필렌: 폴리미래, EA5074
2)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중량평균분자량 284,750 g/mol으로 가소화됨
3)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아세탈화도 75 mol%
4) 실란처리된 탈크: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표면처리된 탈크
5) 무수 말레산으로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 무수 말레산이 1.0 중량%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EOR-Ethyloctene Rubber)
6)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DOW, ENGAGE8200)
7) 안정제: 3,3'-Thiodipropionic acid dioctadecylester (BASF, PS-800)
상기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수지에 비닐아세탈 상용화제, 실란처리된 탈크 그리고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가 동시에 첨가된 수지 조성물(실시예 11 내지 13)은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가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신율, 굴곡탄성율 및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월등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수지에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가 첨가된 수지 조성물은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견줄 수 있는 정도의 기계적 물성 향상효과를 얻고 있다. 더욱이 첨가제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와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무기충전제와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를 일정 함량비로 함께 사용하게 되면 보다 더 기계적 물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친환경 소재로서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을 대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자동차 내장부품용 소재로서 특히 유용하다.

Claims (10)

  1. 삭제
  2.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10 내지 50 중량%와 열가소성 수지 5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재수지 100 중량부;
    아세탈화도가 45 내지 85 mol%인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폴리비닐아세탈 상용화제 1 내지 20 중량부;
    실란 커플링제가 결합된 무기충진제 1 내지 40 중량부; 및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 1 내지 3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친환경 수지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내지 50만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지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지 조성물.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진제에 결합된 실란 커플링제는 n-부틸트리메톡시실란, n-부틸트리에톡시실란, n-헥실트리메톡시실란, n-헥실트리에톡시실란, n-옥틸트리메톡시실란, n-옥틸트리에톡시실란, n-옥틸트리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지 조성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말레익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는 무수말레익산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MA-g-PE), 무수말레익산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MA-g-PP), 무수말레익산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MA-g-EPR), 무수말레익산 그라프트된 에틸렌-옥텐 고무(MA-g-EOR), 및 무수말레익산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MA-g-EPD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지 조성물.
  9. 제 2 항에 있어서,
    난연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안료, 대전 방지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억연제, 불소계 적하방지제, 무기 충진제, 유리섬유, 내마찰제, 내마모제 및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지 조성물.
  10. 제 2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성형품.
KR1020120089681A 2012-08-16 2012-08-16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KR101438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681A KR101438899B1 (ko) 2012-08-16 2012-08-16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US13/724,773 US9074081B2 (en) 2012-08-16 2012-12-21 Eco-friendly resin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681A KR101438899B1 (ko) 2012-08-16 2012-08-16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077A KR20140023077A (ko) 2014-02-26
KR101438899B1 true KR101438899B1 (ko) 2014-09-05

Family

ID=5010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681A KR101438899B1 (ko) 2012-08-16 2012-08-16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74081B2 (ko)
KR (1) KR101438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764B1 (ko) 2016-02-05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ft용 친환경 열가소성 복합수지 조성물
CN106589649A (zh) * 2016-12-20 2017-04-26 长春远洋特种工业材料有限公司 一种热塑性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589648A (zh) * 2016-12-20 2017-04-26 长春远洋特种工业材料有限公司 一种热塑性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189249B (zh) * 2017-06-21 2019-04-1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性能抗菌p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034140A (zh) * 2018-01-09 2018-05-15 浙江中聚材料有限公司 一种耐候性能优异的聚烯烃复合物及其制备方法
IT201800001655A1 (it) * 2018-01-23 2019-07-23 Sapa S P A Bio-composito termoplastico per la realizzazione di componenti estetiche e funzionali di un qualsiasi veicolo
CN108727646B (zh) * 2018-05-22 2020-08-07 徐工集团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橡胶履带
CN108641187A (zh) * 2018-05-23 2018-10-12 河南森源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改性聚丙烯塑料及其制备方法
CN108641192A (zh) * 2018-06-21 2018-10-12 刘强 一种复合聚丙烯树脂新材料的生产方法
CN111320817A (zh) * 2020-04-21 2020-06-23 贵州省材料产业技术研究院 一种阻燃、抗静电、耐磨及防鼠咬电力管道外层专用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183A (ko) * 2004-10-28 2007-07-02 사이픽스 이미징, 인코포레이티드 내구층
KR20070119304A (ko) * 2006-06-15 2007-12-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셀룰로오즈 유도체를 이용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20100007153A (ko) * 2008-07-11 2010-0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저수축 및 치수안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20110051575A (ko) * 2009-11-10 2011-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친환경 자동차 내장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0031B2 (ja) 2009-12-25 2014-04-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成形材料、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電子機器用筐体
JP2011208103A (ja) 2010-03-30 2011-10-20 Fujifilm Corp 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電気電子機器用筐体
WO2011122646A1 (ja) 2010-03-30 2011-10-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電気電子機器用筐体
JP2011241236A (ja) 2010-05-13 2011-12-01 Fujifilm Corp 樹脂組成物、射出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電気電子機器用筐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183A (ko) * 2004-10-28 2007-07-02 사이픽스 이미징, 인코포레이티드 내구층
KR20070119304A (ko) * 2006-06-15 2007-12-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셀룰로오즈 유도체를 이용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20100007153A (ko) * 2008-07-11 2010-0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저수축 및 치수안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20110051575A (ko) * 2009-11-10 2011-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친환경 자동차 내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51783A1 (en) 2014-02-20
US9074081B2 (en) 2015-07-07
KR20140023077A (ko)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899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KR10155870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916247B1 (ko) 천연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컴파운드 조성물
CN101698726A (zh) 一种耐刮擦的改性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759913A (zh) 一种新型的耐划痕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383621B1 (ko)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가 향상된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7872A (ko)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20160064389A (ko)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성형품
KR20130070429A (ko) 대나무 섬유-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64875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36627B1 (ko) 촉감과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00079518A (ko) 폴리락트산 함유 고분자 복합 재료
KR101876021B1 (ko)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10056037A (ko) 생분해성 abs 복합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강도가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
KR102022359B1 (ko) 친환경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090072832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1378589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소광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51970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20077465A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029145B1 (ko)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KR101734772B1 (ko) 고충격성 및 고부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1610130B1 (ko) 자동차 내외장재용 고분자 수지 조성물, 자동차 내외장재용 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4764B1 (ko) Lft용 친환경 열가소성 복합수지 조성물
KR101509902B1 (ko) 친환경 자동차 부품용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