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145B1 -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145B1
KR102029145B1 KR1020170178309A KR20170178309A KR102029145B1 KR 102029145 B1 KR102029145 B1 KR 102029145B1 KR 1020170178309 A KR1020170178309 A KR 1020170178309A KR 20170178309 A KR20170178309 A KR 20170178309A KR 102029145 B1 KR102029145 B1 KR 102029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bioplastic
polylactic acid
polyolefi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480A (ko
Inventor
박동협
김대훈
이강영
Original Assignee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78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1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로 이루어진 정수기 필터 하우징 사출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폴리락트산과 폴리프로필렌과 함께 반응성 상용화제를 포함하여 기존 정수기 필터 하우징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고분자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정수기 필터 하우징 사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Bioplastic with improved machinery properties and filter housing for water purifi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로 이루어진 정수기 필터 하우징 사출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존 정수기 필터 하우징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PP) 고분자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정수기 필터 하우징 사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에는 대개 3개 정도의 필터(세디먼트, 활성탄, 세라믹)가 설치되어 정수기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을 정수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필터는 각각 합성수지로 성형된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기존의 정수기 필터 하우징은 주로 폴리프로필렌(PP) 고분자로 성형된 플라스틱제를 사용하였다.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제품은 뛰어난 물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생활용품, 전기전자 및 자동차 등의 많은 산업분야에서 사용되지만, 짧게는 일, 이년 정도 사용되다 폐기되는 경우가 많고, 폐기되는 플라스틱 제품은 매립 또는 소각 시 환경오염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특히 정수기 필터 하우징의 경우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하여 필터가 오염된 경우 폐기처분하고 있어, 환경오염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최근 지구 온난화, 석유자원의 고갈 및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 등이 전세계적으로 부각되면서, 환경오염 등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기존의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 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게 되었다.
초기 바이오 플라스틱에 관한 연구는 일회용품, 쓰레기 봉투 및 포장용기 등과 같이 사용기간이 짧은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에 집중되어, 어떻게 하면 더 빠른 분해특성을 갖게 할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교토 의정서에 도입된 온실가스 감축 협정에 의한 온실가스의 총량 규제로 핸드폰, 자동차 내장제 및 노트북 등의 분야에서도 석유화학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을 대신할 수 있는 바이오 플라스틱에 관한 관심 및 연구개발이 가속화되었다.
상기 바이오 플라스틱으로는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중 폴리락트산은 옥수수 전분의 발효로 얻어진 포도당을 거쳐 생성된 락트산을 탈수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락트산의 광학이성질체의 함량에 따라 결정성 혹은 비결정성의 폴리락트산이 제조된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기존의 다른 바이오 플라스틱에 비하여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물성으로 전체 바이오 플라스틱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등 범용 플라스틱에 비해 기계적 강성 및 내열성이 부족하여 시트(sheet) 및 박막제품에서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낮은 내열성으로 인하여 성형제품의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락트산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등 다른 고분자와 얼로이(합금)할 경우, 높은 극성 차이 등으로 인해 상용성이 부족하여 기계적 강도 및 외관특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78875 및 제10-2009-0084372에는 ABS 수지 및 SAN 수지와의 얼로이를 통해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상용성, 충격강도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정수기 필터 하우징에 있어서 적용하기 위한 상용성 및 충격강도가 보완된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와의 상용성이 보완되면서도 높은 충격강도를 갖는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정수기 필터 하우징 사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폴리락트산, (b) 폴리프로필렌 및 (c) 첨가제(반응성 상용화제)로서 말단에 에폭시 기능기가 있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a) 폴리락트산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300,000 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이 300,000을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압출 및 사출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 미만이면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폴리락트산으로는 폴리 L-락트산, 폴리 D-락트산 및 폴리 L, D-락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폴리락트산은 바이오 플라스틱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해 20 내지 8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중량 20 중량% 미만이면 유기탄소 함량이 25% 미만으로 측정 되어 친환경소재 기준에 미달하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 범위 내에서는 신율, 내충격성, 가공성 등 전반적인 물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b) 폴리프로필렌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500,000 일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플라스틱 전체 조성물의 중량 대비 10 내지 7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은 (c) 반응성 상용화제로서, (i) 폴리올레핀 세그먼트 (ii)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세그먼트 및 (iii) 하기 화학식 (1c)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말단에 에폭시 기능기가 있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c]
Figure 112017128354825-pat00001
상기 화학식 (1c)에서,
z는 1 내지 10의 정수이다.
바람직한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i) 폴리올레핀 세그먼트는 프로필렌, 에틸렌, 이소부틸렌, 1-부텐, 4-메틸-1-펜텐 및 1-헥센,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a)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17128354825-pat00002
상기 화학식 (1a)에서,
x는 50 내지 99 의 정수이다.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서, 상기 (ii)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세그먼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b)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b]
Figure 112017128354825-pat00003
상기 화학식 (1b)에서,
y는 0 내지 50 의 정수이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반응성 상용화제는
하기 화학식 (1a), (1b) 및 (1c)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말단에 에폭시 기능기가 있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a]
Figure 112017128354825-pat00004
[화학식 1b]
Figure 112017128354825-pat00005
[화학식 1c]
Figure 112017128354825-pat00006
상기 화학식 (1a), (1b) 및 (1c)에서,
x는 50 내지 99 의 정수이고, y는 0 내지 50 의 정수이며, z는 1 내지 10의 정수이다.
나아가, 반응성 상용화제의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0,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50,000일 수 있으며, 상기 에폭시 기능기는 전체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중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의 210℃/2.16kg 조건에서 적정용융지수는 10 내지 20 g/min 이다.
본 발명에 따른 (c) 반응성 상용화제는 (a) 폴리락트산 및 (b) 폴리프로필렌 수지 사이의 상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반응성 상용화제의 함량은 전체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중량 대비 1 내지 50 중량%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중량 대비 5 내지 25 중량% 이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제조되는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이 충분한 충격강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a) 폴리락트산: (b) 폴리프로필렌 수지: (c) 반응성 상용화제는 4 내지 6: 4 내지 6: 1 내지 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5: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은 전술한 폴리락트산,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상기 반응성 상용화제 외에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가소제, 항균제, 안료 및 가교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에서 전술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혼합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사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정수기 필터 하우징 사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은 (a) 폴리락트산, (b)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c) 반응성 상용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폴리락트산, (b)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c) 반응성 상용화제의 종류 및 함량은 앞에서 전술한 종류 및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이오 플라스틱 수지 조성물의 혼합 및 압출은 압출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압출기의 종류는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의 배럴 온도는 190 내지 250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수지의 양산이 용이하고, 외관이 우수한 정수기 필터 하우징과 같은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수지 조성물은 상용성이 우수하고 압출에 의해 성형품 제조시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폴리프로필렌 단독,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반응성 상용화제를 사용한 경우의 각각 수지 조성물 시편의 반응성을 FT-IR로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반응성 상용화제를 사용한 경우의 각각 수지 조성물 시편의 인장강도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폴리프로필렌 단독,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반응성 상용화제를 사용한 경우의 각각 수지 조성물 시편의 충격강도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반응성 상용화제(15중량%)를 사용한 경우의 각각 수지 조성물 시편의 상용성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5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반응성 상용화제를 사용한 경우 각각 수지 조성물 시편의 SEM 사진이다.
도 6은 폴리프로필렌 단독,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반응성 상용화제를 사용한 경우 각각 수지 조성물의 복합 점도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7은 폴리프로필렌 단독,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반응성 상용화제를 사용한 경우 각각 수지 조성물의 열중량분석 그래프이다.
도 8은 폴리프로필렌 단독,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및 반응성 상용화제를 사용한 경우 각각 수지 조성물의 시차주사열량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정수기 필터를 사용하여 정수한 물의 수질을 시험한 결과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 플라스틱 소재의 제조
본 발명에 다른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다음 표 1(플라스틱 조성물의 조성비(중량부))과 같은 조성으로 플라스틱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PP PLA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상용화제
PP 100 0 -
PLA 0 100 -
PP/ PLA -0 50 50 0
PP/ PLA -5 50 50 5
PP/ PLA -10 50 50 10
PP/ PLA -15 50 50 15
상기 표 1과 같이, 폴리프로필렌 단독, 폴리락트산 단독, 그리고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의 비율을 동일하게 50/50으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상용화제의 비율을 각각 0, 5, 10, 15 중량부로 하여 이하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 반응성 확인
실온에서 폴리프로필렌, 폴리락트산 및 반응성 상용화제를 상기 표 1의 조성에 따른 비율에 따라 드라이 블렌드 하였다. 이후 이 드라이 블렌드물을 Feeder 속도 50 내지 300 rpm으로 하고, 230∼240℃로 가열 용융하여, 스크류 회전수를 100~1000rpm로 2분간 혼련하여 압출하였다. 혼합 부분에서의 압출 온도는 200 내지 210℃, 스크류 회전수는 100 내지 1000rpm 및 L/D(스크류 길이/지름 비율) 은 12 이상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플라스틱 수지 조성물은 압출 도중에 에폭시기가 반응하여 균질한 고분자 수지를 형성하였다. 압출한 고분자수지를 분쇄하여 FT-IR/ATR 분석을 통해 각각의 반응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FT-IR 분석시,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상용화제의 에폭시기는 각각 1175 nm 및 670 nm에서 피크가 나타나는데,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피크가 모두 사라졌으므로, 압출 도중에 에폭시기가 완전히 반응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고, 반응성 상용화제를 15중량%를 첨가하여도 반응이 완벽하게 끝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확인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된 바이오 플라스틱 시편의 인장강도를 ASTM D638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충격강도는 ASTM D256 방법에 의거하여 1/8inch 두께 시편에 노치 후 상온(23 )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및 3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반응성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수지 조성물은 상용화제의 양 증가에 따라 인장강도가 감소되며, 15 중량부로 첨가된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인장강도와 유사한 수준까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적용시 가장 문제였던 충격강도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용화제의 양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15 중량부로 첨가된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유사한 수준의 물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반응성 상용화제 = 5:5:1.5의 배합에서 기존의 폴리프로필렌의 물성을 대체가능하고 바이오매스 함량이 40% 이상을 포함하는 수지의 경우 정수기 필터 하우징 제품 적용가능한 가장 바람직한 물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상용성 확인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된 바이오 플라스틱 시편 중의 폴리프로필렌과 폴리락트산의 상용성을 SEM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응성 상용화제의 첨가 없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락트산을 사용한 경우 상이 응집되어 균질한 고분자 수지가 형성되지 못함에 반해, 본 발명과 같이 반응성 상용화제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로 균질한 고분자 수지가 형성되여, 상용성이 현격히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복소점도 확인(Frequency sweep test)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상용화제 추가에 따른 복소점도(complex viscosity)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Frequency sweep test를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실험은 200℃, 에서 변형률 1% 조건으로, 0.1~100 Hz 범위에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응성 상용화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복소 점도가 증가하였고, 특히 반응성 상용화제의 함량이 15 중량부인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유사한 수준의 복소 점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열물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상용화제 추가에 따른 열물성(thermal properties)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열중량 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및 시차주사열량 측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열중량 분석은 TA instrument사의 TGA-55 시스템을 사용하여 50 에서 800 까지 10 /분의 승온 속도로 승온하면서 N2 flow 분위기에서 수행하였다. DSC 분석은 TA사의 TGA-55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의 경우 50 에서 250까지 10/분의 승온 속도로 승온하면서 N2 flow 분위기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7 및 8에 나타내었다. 도 7 및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응성 상용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도 300에서도 안정한 열적특성을 보이고, 시차주사열량 측정을 통해 반응성 상용화제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락트산을 잘 분산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정수기 필터 성능 확인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을 정수기 필터의 하우징으로 사출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정수기 필터로서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락트산: 반응성 상용화제 = 5:5:1.5의 비율로 함유된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을 상기 실험예 1의 조건과 마찬가지로 사출하여 정수기 필터 하우징을 제조하고, 이로부터 정수기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정수기 필터는 외관상 기존 제품과 차이가 없었을 뿐 아니라(도 4),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17-19호)에 따라 진행된 시험에 따라 정수된 물은 먹는물 수질 공정시험기준을 통과하여 우수한 정수 성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9).
실험예 7: 유기탄소 함량 측정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과 이로 사출한 정수기 필터의 하우징의 유기탄소 함량을 ASTM D6866-16 Method B을 통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락트산: 반응성 상용화제 = 5:5:1.5의 비율과 폴리프로필렌: 폴리락트산: 반응성 상용화제 = 5:5:0.5의 비율의 수지를 분석한 결과, 표 2(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바이오플라스틱 조성물과 사출품의 유기탄소 함량 측정 결과)에 나타나듯 각각 36, 33%의 유기탄소 함량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PP:PLA:RC-5 상태 유기탄소 함량
(ASTM D6388)
미국농무성 바이오플라스틱 인증기준
5:5:1.5 수지 36.8 % 통과
5:5:0.5 수지 33.5 % 통과
5:5:1.5 필터하우징 사출품 36.6 % 통과
또한 추가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락트산: 반응성 상용화제 = 5:5:1.5의 비율의 수지로 사출한 정수기 필터 하우징 역시 같은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36%의 유기탄소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이 수치는 미국 농무성에서 인증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기준(25%)를 충족함을 알 수 있었다.
함유된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을 상기 실험예 1의 조건과 마찬가지로 사출하여 정수기 필터 하우징을 제조하고, 이로부터 정수기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정수기 필터는 외관상 기존 제품과 차이가 없었을 뿐 아니라(도 4),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17-19호)에 따라 진행된 시험에 따라 정수된 물은 먹는물 수질 공정시험기준을 통과하여 우수한 정수 성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9).

Claims (12)

  1. (a) 폴리락트산, (b) 폴리프로필렌, 및 (c) 210 ℃/2.16kg 조건에서 용융지수가 10 내지 20 g/min인 반응성 상용화제로서 (i) 폴리올레핀 세그먼트 (ii)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세그먼트 및 (iii) 하기 화학식 (1c)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말단에 에폭시 기능기가 있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a) 폴리락트산: (b) 폴리프로필렌: (c)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는 5: 5: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화학식 1c]
    Figure 112019082048635-pat00007

    상기 화학식 (1c)에서,
    z는 1 내지 1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폴리올레핀 세그먼트는 프로필렌, 에틸렌, 이소부틸렌, 1-부텐, 4-메틸-1-펜텐 및 1-헥센,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폴리올레핀 세그먼트는 하기 화학식 (1a)의 구조를 갖는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화학식 1a]
    Figure 112017128354825-pat00008

    상기 화학식 (1a)에서,
    x는 50 내지 99 의 정수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i)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세그먼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i)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세그먼트는 하기 화학식 (1b)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화학식 1b]
    Figure 112017128354825-pat00009

    상기 화학식 (1b)에서,
    y는 0 내지 50 의 정수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락트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300,000인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폴리프로필렌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500,000인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0인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중의 에폭시 기능기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10. 삭제
  11. 제1항에 따른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이오 플라스틱 성형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이 정수기 필터 하우징인 것인, 바이오 플라스틱 성형품.
KR1020170178309A 2017-12-22 2017-12-22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KR102029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309A KR102029145B1 (ko) 2017-12-22 2017-12-22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309A KR102029145B1 (ko) 2017-12-22 2017-12-22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480A KR20190076480A (ko) 2019-07-02
KR102029145B1 true KR102029145B1 (ko) 2019-10-07

Family

ID=6725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309A KR102029145B1 (ko) 2017-12-22 2017-12-22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6915A1 (de) * 2021-03-30 2022-10-05 Riva Systemtechnik GmbH Filtergehäuse, filter und filter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098A (ja) * 1999-08-10 2001-02-20 Mitsui Chemicals Inc 乳酸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612B1 (ko) * 2011-05-17 2014-04-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유산-폴리프로필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098A (ja) * 1999-08-10 2001-02-20 Mitsui Chemicals Inc 乳酸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480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9330A1 (en) Cellulosic Composites Comprising Cellulose Filaments
CN106574101B (zh) 聚酯树脂组合物和成型体
KR101734561B1 (ko)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7431326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81834B1 (ko)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KR101438899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US20140066565A1 (en) Polypropylene-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CN104788926B (zh) 聚碳酸亚烷基酯树脂组合物
KR101263983B1 (ko)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 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CN111978687A (zh) 全生物降解复合高分子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20247B1 (ko)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유산 스테레오 콤플렉스 수지 조성물
KR20210066569A (ko) 바이오매스 개질을 통한 열흐름 특성을 개선한 열 가소성 수지 복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029145B1 (ko)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EP4071211A1 (en)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2749605A2 (en)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draining board core material and draining board produced therefrom
KR100728087B1 (ko) 반응압출을 이용한 폐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재활용 방법
US20230365806A1 (en) Resin composition for injection molding and injection-molded article
KR20110056037A (ko) 생분해성 abs 복합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강도가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
KR102579310B1 (ko)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20435B1 (ko) 생분해성 필름 조성물
CN111087776B (zh) 一种基于氮丙啶增容剂的高韧性、高熔体强度pla/pbat合金及其制备方法
KR101750474B1 (ko)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0951B1 (ko) 자동차 내외장재용 고분자 수지 조성물, 자동차 내외장재용 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177039A (ja) 耐熱性と透明性に優れた脂肪族ポリエステルブロック共重合体、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成形品、シート。
KR101567196B1 (ko) 고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