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820A - 리튬 이온 전지용 도전 하지 도료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전지용 도전 하지 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820A
KR20120087820A KR1020120004466A KR20120004466A KR20120087820A KR 20120087820 A KR20120087820 A KR 20120087820A KR 1020120004466 A KR1020120004466 A KR 1020120004466A KR 20120004466 A KR20120004466 A KR 20120004466A KR 20120087820 A KR20120087820 A KR 20120087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base
electrode
lithium ion
mas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시라히게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과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에 있어서의 집전체와 활물질간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고,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의 밀착성의 향상에 기여하여, 막두께 6 ㎛ 이하로 균일하게 도공 가능한 도전 하지 도료, 이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온 전지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는, 집전체 및 활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도전 하지 피막을 형성하는 수계 도전 하지 도료이다. 상기 도전 하지 도료는, 박편화 흑연을 함유하고, 상기 박편화 흑연은,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0.3 ㎛ ? 8 ㎛,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이 0.08 ㎛ ? 3.5 ㎛,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가 2.2 ? 5 이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전지용 도전 하지 도료{ELECTROCONDUCTIVE BASE COATING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Y}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에 있어서의 집전체와 활물질간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고,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의 밀착성의 향상에 기여하여, 막두께 6 ㎛ 이하로 균일하게 도공 가능한 도전 하지 도료, 이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의 내부 저항의 저감에는, 집전체와 활물질층간의 접촉 저항의 저감이나 밀착성 향상이 중요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집전체로 한 전극에 있어서는, 알루미늄의 표면에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도전성이 저하됨과 함께, 고저항의 부동태 피막이 형성된다.
알루미늄 표면의 도전성 개량에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64466호에는, 진공 증착법으로 알루미늄재의 표면에 탄소막을 형성한 집전체를 사용하고, 그 위에 활물질을 피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86427호에는, 집전체의 표면에 도전재를 접합시키고, 추가로 도전재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집전체가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집전체의 표면에 대한 흑연이나 티탄카바이드의 분사가 검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도전재의 고착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집전체와 활물질층의 밀착성의 향상이 요망된다.
국제 공개 2010/086961 A1 은, 밀착성의 개선을 위해서,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집전체 표면에, 수지 피복한 탄소 함유 입자를 부착시킨 후, 탄화수소 함유 물질을 함유하는 공간에 알루미늄을 배치하여 가열하는 것으로, 알루미늄 표면에는 탄소 함유 입자와 알루미늄의 탄화물로 이루어지는 탄소 피복 알루미늄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집전체의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
또, 종래부터,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생산성 향상이나 내부 저항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분극성 다공질 시트와 집전체의 접착성이 좋고, 전기 저항값이 낮은 도전 접착제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제4371979호에는, 도전 접착제의 조성이, 합성 고무, 및 탄소재로서 인편상 (鱗片狀) 흑연과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지는 도전 접착제가 제안되어 있고, 도전 접착제가 분극성 다공질 시트의 공공 (空孔) 내에 진입함으로써, 밀착성과 내부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수법은 캐패시터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수법을 집전체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접촉 저항의 저감을 더욱 고려할 필요가 있고, 활물질과의 밀착성 향상에는 추가적인 개량을 필요로 한다. 생산 비용을 저감시키면서 내부 저항의 저감을 도모한다는 관점에서는, 얇아도 균일한 막이 형성될 것이 요망된다.
또, 대전류를 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 고출력의 리튬 이온 전지에 있어서는, 내부 저항의 저감과 내구성의 향상은 중요한 과제로,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을 갖는 전극의 내부 저항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60053호에는 활물질 함유층 내에 복수의 집전체를 배치함으로써,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의 최대 거리를 단축시킨 구조의 전극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전극은, 활물질 함유층 내의 확산 저항의 저감은 기대할 수 있지만, 전극 내부 저항의 또 하나의 요인인 활물질 함유층과 집전체의 계면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계면 저항은, 집전체로서 알루미늄과 같은 표면에 강고한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현저해진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038017호에는, 알루미늄박 또는 알루미늄 합금박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와, 이 집전체 표면에 형성되고, 활물질, 도전제 및 결착제를 함유하는 활물질 함유층을 구비하고, 도전제는, 애스펙트비가 1 을 초과하고, 그 일부가 집전체에 그 집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20 ? 50 % 의 깊이로 매몰되는 탄소 입자를 함유하는 탄소 입자군을 함유하며, 또한 탄소 입자의 장축은, 활물질 함유층의 두께의 1.05 ? 1.50 배의 길이를 갖는 비수 전해질 전지용 전극이 제안되어 있다.
집전체로서 알루미늄박 또는 알루미늄 합금박을 사용하면, 표면에 강고한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활물질 함유층과 집전체의 계면 저항이 커진다. 이 계면 저항을 저감시키는 수단으로서, 특허문헌 6 에서는 프레스에 의해 집전체에 탄소 입자를 파고들게 하고, 이른바 높은 앵커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활물질층과 집전체 계면의 계면 저항을 저감시키는 전극이 기재되어 있다. 이 전극은, 계면 저항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지만, 프레스에 의한 계면 저항의 편차나, 내구 시험 후의 신뢰성의 개선이 필요하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에 있어서의 집전체와 활물질간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고,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의 밀착성의 향상에 기여하여, 막두께 6 ㎛ 이하로 균일하게 도공 가능한 도전 하지 도료, 이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것에 관한 것이다.
<1> 집전체 및 활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도전 하지 피막을 형성하는 수계 도전 하지 도료로서,
상기 도전 하지 도료는, 박편화 흑연을 함유하고,
상기 박편화 흑연은,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8 ㎛ 이하,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이 3.5 ㎛ 이하,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가 2.2 ? 5 인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
<2> 추가로, 카본 블랙을 함유하고,
상기 박편화 흑연 및 카본 블랙의 총함유율이 75 ? 90 질량% 의 범위이고,
상기 박편화 흑연과 상기 카본 블랙의 질량 비율 (박편화 흑연:카본 블랙) 이 97:3 ? 1:8 의 범위인 상기 <1> 에 기재된 수계 도전 하지 도료.
<3> 상기 카본 블랙의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0.3 ㎛ 이하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수계 도전 하지 도료.
<4> 추가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염과, 300 ℃ 에서 0.5 시간 후의 질량 감모율이 5 %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상기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계 도전 하지 도료.
<5>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율이 5 질량% ? 15 질량% 의 범위인 상기 <4> 에 기재된 수계 도전 하지 도료.
<6> 상기 집전체가 알루미늄을 함유하여 구성되는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계 도전 하지 도료.
<7>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 상에 형성된, 상기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계 도전 하지 도료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 하지 피막과,
상기 도전 하지 피막 상에 형성된, 활물질을 함유하는 활물질 함유층을 갖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8> 상기 도전 하지 피막은, 피막 밀도가 0.85 g/㎖ ? 1.2 g/㎖ 이고, 체적 고유 저항이 0.25 Ω㎝ 이하인 상기 <7> 에 기재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9> 상기 도전 하지 피막의 피막 평활도가 0.02 ㎛ ? 0.6 ㎛ 인 상기 <7> 또는 <8> 에 기재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10> 상기 도전 하지 피막의 평균 두께가 0.5 ㎛ ? 6 ㎛ 인 <7>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11> 상기 집전체가 알루미늄을 함유하여 구성되는 상기 <7> ?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12> 상기 활물질이, 올리빈형의 정극 재료 LiFePO4 인 상기 <7> ?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13> 정극 전극과, 부극 전극과, 전해질을 갖고,
상기 정극 전극 및 부극 전극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7> ?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인 리튬 이온 전지.
본 발명에 의하면,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에 있어서의 집전체와 활물질간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고,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의 밀착성의 향상에 기여하여, 막두께 6 ㎛ 이하로 균일하게 도공 가능한 도전 하지 도료, 이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는, 박편화 흑연과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수계 도전 하지 도료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고, 도 1(B) 는, 도 1(A) 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전 하지 피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사용하여 나타내어진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치 및 최대치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수계 도전 하지 도료>
본 발명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는, 집전체 및 활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도전 하지 피막을 형성하는 수계 도전 하지 도료이다. 상기 도전 하지 도료는, 박편화 흑연을 함유하고, 상기 박편화 흑연은,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8 ㎛ 이하,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이 3.5 ㎛ 이하,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가 2.2 ? 5 이다.
리튬 이온 전지는, 자동차, 각종 이동체, 전력 저장 등의 용도 확대에 수반하여, 대형 리튬 전지의 검토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에 대하여, 안전성, 자원량, 비용 저감 등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정극의 활물질로서 자원량이 많은 올리빈형의 LiFePO4 가 실용화되고 있다. 추가적인 전극의 고용량 및 고출력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정극 재료의 고밀도화, 후막화, 및 소립자화가 진행되고 있어, 활물질 함유층의 집전체에 대한 밀착성의 확보, 전극의 전기 저항 저감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집전체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경우, 집전체 표면에는 부동태막이 생성된다. 그 때문에, 이 부동태막과 활물질 함유층의 접촉 저항의 저감이 요구된다. 또, 활물질을 고밀도 충전할 때에, 집전체와 활물질층간의 밀착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형상의 박편화 흑연을 함유하는 수계 도전 하지 도료에 의해 형성한 도전 하지 피막을,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집전체와 활물질간의 접촉 저항이 저감되며, 또한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것을 밝혔다.
상기 특정 형상의 박편화 흑연이란, 구체적으로는,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8 ㎛ 이하,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이 3.5 ㎛ 이하,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가 2.2 ? 5 인 박편화 흑연이다.
여기서,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란, 레이저 회절?산란법을 이용하여 측정되고, 중량 누적 입도 분포 곡선을 소입경측에서 그린 경우에, 중량 누적이 50 % 가 되는 입자경에 대응한다. 레이저 회절법을 이용한 입도 분포 측정은, 레이저 회절 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 (예를 들어, 시마즈 제작소 제조 SALD-2100, 닛키소 주식회사의 마이크로토라크 시리즈 MT3300) 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이란, 액상 침강법에 있어서 종말 침강 속도로부터 구해지는 입경이다.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측정은, 원심 침강식 입도 분포계 (예를 들어, 시마즈 제작소 제조 SA-CP-4L) 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과,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에 의해 박편화 흑연의 크기를 특정함과 함께,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에 의해 박편화 흑연의 애스펙트비를 수치화하여 특정 범위 내로 함으로써, 집전체와 활물질간의 접촉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며, 또한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는, 입자의 박편화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입자가 괴상에 가까워지면 1 에 가깝게 되고, 박편화가 진행되면 1 보다 커진다. 또한, 발명자들의 검토 결과,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와 애스펙트비는, (X50dif/X50st) 가 2.2 인 경우에는 애스펙트비는 약 5 정도, (X50dif/X50st) 가 3.0 인 경우에는 애스펙트비는 10 정도, (X50dif/X50st) 가 5.0 인 경우에는 애스펙트비는 50 정도의 관계에 있다.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8 ㎛ 이하,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이 3.5 ㎛ 이하의 크기인 박편화 흑연을 사용하면, 막두께를 얇게 해도 저항값이 낮은 도막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박편화 흑연의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를 2.2 ? 5 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얇아도 저저항인 도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이 도막을 개재하여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의 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이 이유를 이하와 같이 추측하지만, 당해 추측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 는, 상기 박편화 흑연 (10) 과 카본 블랙 (20) 을 함유하는 수계 도전 하지 도료의 모식도이고, 도 1(B) 는, 집전체 (30) 상에, 도 1(A) 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전 하지 피막의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박편화 흑연 (10) 을 함유하고 있으면 되고, 카본 블랙 (20) 의 함유는 임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 (20) 을 함유하는 경우이다.
도전 하지 피막 중에 있어서, 박편화 흑연 (10) 이 상기 범위 내의 크기 및 박편화 지수를 갖는 경우에는, 박편화 흑연 (10) 이 조밀한 상태에서 배향되어 적층되고, 집전체 (30) 와 활물질 (도시 생략) 간의 접촉 저항이 저감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박편화 흑연 (10) 이 조밀한 상태에서 배향되어 적층되기 때문에, 도전 하지 피막의 두께의 편차가 억제되고, 국소적으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이 억제된 결과, 밀착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박편화 흑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박편화 흑연은, 상기 범위 내의 크기 및 박편화 지수를 갖는 것이면, 인상 (鱗狀) 흑연?인편상 흑연?토상 (土狀) 흑연으로 분류되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키시 흑연, 열분해 흑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 중에서도, c 축 방향의 결정성이 발달되어 있고, 적당한 건식 분쇄에 의해 박편화가 진행되어, 애스펙트비가 높은, 즉 박편도가 큰 박편 형상 흑연이 얻어지는 점에서, 결정성이 양호한 인상 흑연 또는 인편상 흑연이 바람직하다.
흑연의 결정성은 라만 분광 분석에서의 R 값이 0.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 값이란, 라만 스펙트럼에서 관측되는 G 밴드 (1580 ㎝-1 부근의 피크) 와 D 밴드 (1350 ㎝-1 부근의 피크) 의 면적비 (ID/IG) 이다. 측정에는 파장 514 ㎚ 의 Ar 레이저광을 사용한다. 면적의 측정에 있어서는 G 밴드 부근과 D 밴드 부근의 2 개의 피크 곡선의 형태가 로렌츠 함수에 근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측정한 라만 스펙트럼을 피팅시켜 고쳐 적고, 면적 ID, IG 를 구하여 R 값을 산출한다.
라만 스펙트럼에서 관측되는 D 밴드 (1350 ㎝-1 부근의 피크) 는 탄소의 비정질 구조에 대응하여, 복합 입자에서는 주로 탄소성 물질에 귀속시킬 수 있다. 또, G 밴드 (1580 ㎝-1 부근의 피크) 는 흑연 결정 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본 복합 입자에서는 주로 흑연성 물질에 귀속시킬 수 있다.
또한, 1350 ㎝-1 부근의 피크란, 예를 들어 1300 ㎝-1 ? 1400 ㎝-1 에 관측되는 피크를 의미한다. 또한 1580 ㎝-1 부근의 피크란, 예를 들어 1530 ㎝-1 ? 1630 ㎝-1 에 관측되는 피크를 의미한다.
상기 R 값이 커질수록, 흑연의 결정자의 크기가 작아지고, 흑연의 에지면이 많아져, 흑연의 도전성은 저하된다. 따라서 흑연의 라만 분광 분석에서의 R 값은 0.45 이하가 바람직하고, 0.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R 값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박편화 흑연을 조정함으로써 저항값이 보다 낮은 도막이 얻어진다.
박편화 흑연에 있어서의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은, 막두께를 얇게 해도 저항값이 낮은 도막이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8 ㎛ 이하이고, 0.3 ㎛ ? 8 ㎛ 인 것이 바람직하며, 1 ㎛ ? 6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 5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박편화 흑연에 있어서의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은, 막두께를 얇게 해도 저항값이 낮은 도막이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3.5 ㎛ 이하이고, 0.08 ㎛ ? 3.5 ㎛ 인 것이 바람직하며, 0.3 ㎛ ? 3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 ? 2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박편화 흑연에 있어서의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는, 저항값이 낮은 도막이 얻어지며 또한 밀착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2.2 ? 5 이고, 2.5 ? 4.5 인 것이 바람직하며, 2.8 ? 4.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흑연의 박편화 처리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박편화하기 쉬운 인상 흑연 또는 인편상 흑연을 분쇄한 경우에 있어서도, 박편화된 흑연 입자의 주변에, 분쇄 찌꺼기인 미립자가 부착되거나, 분쇄 과정에서 흑연 입자의 층간에 크랙 등이 생기기는 했지만 박편화가 진행되지 않은 인편상 흑연 입자가 혼재된다. 이와 같은 상태의 인편상 흑연을 도료화하여, 도막을 형성한 경우, 균일한 박막이 형성되기 어렵고, 입자간의 결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도막 중에 박편화 흑연이 고밀도로 충전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박편화 처리법으로는 이하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즉, 건식 분쇄로 미립자화된 흑연을, 추가로 습식으로 분쇄?분산하여, 입자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립자를 재분산시키고, 또한 흑연을 형성하는 탄소의 육각 망면(網面)간 (층간) 에 크랙이 생겨, 망면간의 결합력이 약해진 부분을 더욱 넓혀, 박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편화 처리는, 물을 개재하여 실시하면, 흑연의 윤활성이 향상되고, 탄소 망면간 (층간) 에서의 박편화가 한층 더 진행되게 된다.
특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염의 용액 중에, 흑연을 분산시켜 박편화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염은, 박편화시킨 인편상 흑연 등의 표면에 흡착되고, 인편상 흑연 등의 수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을 높인다. 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염은, 리튬 이온 전지의 비수계 전해액에 용해되지 않고, 또한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되기 때문에, 리튬 이온 전지용 도전 하지 도료에 사용하는 분산제로서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염으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나트륨염 또는 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특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나트륨염을 사용한 경우에는, 박편화 흑연이나 도전 보조제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도료가 일부 건조되어도 물에 대한 재용해성이 좋아, 도공 전의 교반에 의해 미용해물이 적은 도료를 제작할 수 있다.
흑연을 분산시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용액에 있어서의 고형분 및 점도는, 원료 흑연의 박편화, 흑연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흑연 미립자의 재분산을 진행시킨다는 관점에서, 이하의 범위 내로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형분은, 15 질량% ? 35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 30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2 질량% ? 28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점도는, 100 mPa.s ? 700 mPa.s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mPa.s ? 500 mPa.s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 mPa.s ? 300 mPa.s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박편화 처리는, 비드를 매체로 한 분쇄기를 사용하고, 장치에 맞추어 최적인 조건을 검토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카본 블랙〕
본 발명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는, 추가로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흑연은 탄소 원자의 육각 망면이 중첩되고, 3,354 Å 의 거리를 반?데르?발스의 힘으로 연결되어 있다. 육각 망면에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는 π 결합은, π 전자가 육각 망면을 자유 전자와 같이 운동하기 때문에, 흑연은 직경 방향 (c 축 방향) 에 있어서 높은 도전성을 갖는다. 한편으로, 망면간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두께 방향에서의 도전성은 낮다. 여기서, 도전 하지 피막이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적층한 박편화 흑연의 간극에 카본 블랙이 분산되어 존재하기 때문에, 박편화 처리된 흑연 입자의 엣지면으로부터의 도전 패스가 유효하게 활용되어, 두께 방향에서의 도전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카본 블랙의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은, 0.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 ? 0.2 ㎛ 가 보다 바람직하며, 0.05 ㎛ ? 0.15 ㎛ 가 더욱 바람직하다.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0.3 ㎛ 이하인 경우에는, 카본 블랙이, 박편화 흑연의 간극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박편화 처리된 흑연의 배향에 대한 영향이 적다.
본 발명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 중의 상기 박편화 흑연 및 카본 블랙의 총함유율은, 75 질량% ? 90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질량% ? 90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4 질량% ? 89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전 하지 피막으로서의 밀착성과 도전 하지 도료로서의 분산성을 고려하면, 도전 하지 피막 중의 탄소 재료는 9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피막의 저항값이나 접촉 저항의 저감 효과를 고려하면 7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박편화 흑연과 상기 카본 블랙의 질량 비율 (박편화 흑연:카본 블랙) 은, 카본 블랙이 균일적으로 배합되어 더욱 피막 저항과 접촉 저항의 저감을 도모한다는 관점에서, 97:3 ? 1:8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9:1 ? 1:8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2 ? 4:6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3 ? 5:5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카본 블랙으로는,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이 도전 보조제로서 우수하다. 단, 케첸 블랙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표면적이 크게 응집되기 쉽기 때문에, 표준적인 배합보다 배합량을 적게 하여 충분한 분산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
본 발명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는, 추가로 바인더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바인더 수지로는, 300 ℃ 에서 0.5 시간 후의 질량 감모율이 5 %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도전 하지 도료에 사용하는 바인더 수지는, 200 ℃ 정도의 건조에 있어서, 물성 면에서 변화가 적고, 밀착성, 유연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 지표로서, 300 ℃ 에서 0.5 시간 후의 중량 감모율이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에 있어서의, 300 ℃ 에서 0.5 시간 후의 중량 감모율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열가소성 수지 1 g 을 알루미늄 용기에 나누어 넣고, 300 ℃ 의 산화 분위기의 전기로 중에 0.5 시간 두고, 가열 전후에서의 중량 감소율을 산출한다.
추가적인 밀착성 향상의 면에서는, 수계 도전 하지 도료에 있어서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율은, 5 ? 15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7 ? 13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 ? 11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엘라스토머,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부타디엔계 엘라스토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는, 일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집전체에 도전 하지 피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경우, 활물질층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프레스 처리를 실시하는데, 도전 하지 피막에 사용하는 바인더 수지를 열가소성 수지로 함으로써, 프레스에 의한 피막의 변형에 대해서도 밀착성이 저하되지 않고, 또, 활물질층과 도전 하지 피막 계면으로부터의 계면 박리도 방지할 수 있다.
〔용도〕
본 발명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는, 집전체 및 활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도전 하지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도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전 하지 피막을 갖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에서는, 집전체와 활물질간의 접촉 저항이 저감되며, 또한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도전 하지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전 하지 피막은, 막두께가 얇아도, 비교적 입경이 큰 박편 형상의 흑연이 배향되어, 고밀도로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집전체와 도전 하지 피막의 계면, 및 도전 하지 피막과 활물질 함유층의 계면에 있어서 전자의 이동이 용이해지고, 흑연 입자간의 접촉 저항도 적어짐으로써 전극 전기 저항이 현저하게 저감되며, 또한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특히, 집전체가 알루미늄을 함유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도전 하지 도료는, 알루미늄 표면에 형성되는 부동태막에서 기인된 접촉 저항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알루미늄 표면에 형성되는 부동태막은, 10 ㎚ 정도의 피막이고, 이 피막 중에는 전류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 결함 부분이 많이 존재한다. 흑연은 탄소의 육각 망면이 적층된 구조로, 육각 망면에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는 π 결합은, 육각 망면을 자유 전자와 같이 운동한다. 알루미늄박 표면에 박편화 흑연을 함유하는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흑연 구조에 존재하는 π 전자에 의해, 알루미늄박 표면에 형성되는 부동태막 중의 미세 결함 부분으로부터의 전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접촉 저항을 대폭 저감시키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 활물질로서 올리빈형의 정극 재료 LiFePO4 를 사용한 리튬 전지용 전극에, 본 발명의 도전 하지 도료를 사용하면, 전기 저항값이 높은 정극 활물질 함유층과 평활하고 저항값이 낮은 도전 하지 피막의 밀착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전자의 이동이 보다 용이해져 도전 하지 피막과 활물질 함유층간의 접촉 저항이 대폭 저감된다.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은,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 상에 형성된, 상기 수계 도전 하지 도료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 하지 피막과, 상기 도전 하지 피막 상에 형성된, 활물질을 함유하는 활물질 함유층을 갖는다.
피막의 저항값을 저감시키고, 집전체와 활물질간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며, 또한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도전 하지 피막의 피막 밀도는, 0.85 g/㎖ ? 1.2 g/㎖ 인 것이 바람직하고, 0.9 g/㎖ ? 1.2 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95 g/㎖ ? 1.2 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에서는 탄소 재료의 분산이 양호하고, 건조 과정에서 박편화 흑연의 배향이 진행되어, 치밀한 피막을 형성한다.
도전 하지 피막의 피막 밀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한 값이다.
피막의 체적 고유 저항은, 0.25 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6 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로부터 치밀한 피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피막의 저항값이 낮아지고, 집전체와 활물질의 접촉 저항이 낮아진다.
피막의 체적 고유 저항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한 값이다.
도전 하지 피막의 피막 평활도는, 0.02 ㎛ ? 0.6 ㎛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 0.5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5 ㎛ ? 0.35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활성이 높은 도전 하지 피막은, 박편화 흑연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활물질층의 막두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를 사용하면, 상기 범위 내의 피막 평활도를 갖는 도전 하지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 하지 피막의 피막 평활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한 값이다.
상기 도전 하지 피막의 평균 두께는,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는 얇을수록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를 사용하면 치밀한 피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얇아도 균일한 막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막두께가 0.5 ㎛ ? 6 ㎛ 인 도전 하지 피막이어도, 균일한 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을 함유하여 구성되는 집전체의 경우라도, 도전 하지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전 하지 피막을 형성하면, 접촉 저항이 대폭 저감된다. 또, 상기 활물질로서 올리빈형의 정극 재료 LiFePO4 를 사용한 정극 전극에서는, 도전 하지 피막과 활물질 함유층간의 접촉 저항이 대폭 저감된다.
<리튬 이온 전지>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지는, 정극 전극과, 부극 전극과, 전해질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정극 전극 및 부극 전극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이다.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지에서는, 집전체와 활물질간의 접촉 저항이 저감되며, 또한 집전체와 활물질 함유층의 밀착성이 향상된 전극을 사용하기 때문에, 내부 저항의 저감이 도모된다.
실시예
이하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부」 및 「%」는 질량 기준이다.
<흑연 원료의 조제>
(인편상 흑연 A)
결정성이 높은 인편상 흑연 (브라질산,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25 ㎛) 을 볼 밀로 건식 분쇄 후, 제트 밀로 분쇄?분급하여,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2 ㎛, 4 ㎛, 8 ㎛, 10 ㎛ 인 시료를 각각 조제하였다. 이 원료 흑연을 인편상 흑연 A 로 하였다.
(인상 흑연 B)
결정성이 비교적 높은 인상 흑연 (스리랑카산,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18 ㎛) 을 볼 밀로 건식 분쇄 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염의 수용액 중에 투입하고, 또한 볼 밀로 습식 분쇄를 실시하였다. 그 후, 원심 분리기로 정밀 분급하여,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0.38 ㎛, 4.1 ㎛ 인 시료를 각각 조제하였다. 이 원료 흑연을 인상 흑연 B 로 하였다.
(토상 흑연 C)
결정성이 낮은 토상 흑연 (중국산,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5 ㎛) 을 제트 밀로 분쇄, 분급하여,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2 ㎛ 인 시료를 조제하였다. 이 원료 흑연을 토상 흑연 C 로 하였다.
<도전 하지 도료의 조제>
(분산 처리 1 에 의한 도전 하지 도료의 조제)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배합 (표 중의 수치는 질량 기준) 으로, 하기 방법에 의해 도전 하지 도료를 조제하였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염 (CMC-Na) 을 순수에 용해한 수용액 중에, 상기 조제한 흑연 원료와, 도전 보조제로서 케첸 블랙 또는 아세틸렌 블랙을 배합하고, 볼 밀로 6 시간 내지 24 시간, 분쇄 처리 및 분산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SBR) 계 에멀션 (닛폰 제온사 제조, 상품명:MB-400B, 300 ℃ 에서 0.5 시간 후의 질량 감모율이 2.8 %) 을 배합하고, 30 분간 교반하였다. 흑연의 균일 분산에는, 분산 시간, 고형분, 점도의 조정이 중요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형분은 15 질량% ? 30 질량% 의 범위, 점도는 100 ? 400 mPa.s 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고, 원료 흑연의 박편화, 흑연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흑연 미립자의 재분산을 진행시켰다.
(분산 처리 2 에 의한 도전 하지 도료의 조제)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하기 방법에 의해 도전 하지 도료를 조제하였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염을 순수에 용해한 수용액 중에, 상기 조제한 흑연 원료와, 도전 보조제로서 케첸 블랙 및/또는 아세틸렌 블랙을 배합하고, 디스퍼로 1 시간 분산 후,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SBR) 계 에멀션 (닛폰 제온사 제조, 상품명:MB-400B, 300 ℃ 에서 0.5 시간 후의 질량 감모율이 2.8 %) 을 배합하여 30 분간 교반하였다.
<도전 하지 도료의 점도 평가>
제작한 도료의 점도는, BL 형 점도계에 의해, 회전수 30 rpm 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온도는 25 ℃ 로 하였다. 점도의 측정시에는, 도료를 프로펠라형의 교반 날개를 갖는 교반기를 사용하고, 1000 rpm 의 교반 조건으로 30 분간 교반하고 나서 실시하였다.
<도전 하지 도료의 입도 분포 및 박편화 지수>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 (시마즈 제작소 제조 SALD-2100) 를 사용하여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을 측정하였다. 굴절률은 2.00-0.1i 를 사용하였다. 또한 원심 침강식 입도 분포계 (시마즈 제작소 제조 SA-CP-4L) 를 사용하여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을 측정하였다. 흑연 입자의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과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의 비 (X50dif/X50st) 를 흑연 입자의 박편화 지수로서 사용하였다.
<도전 하지 피막의 제작 및 도포성의 평가>
조제한 도전 하지 도료를, 독터 블레이드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 20 ㎛ 의 알루미늄박 상에 도공하였다. 그 후, 105 ℃ 에서 20 분간 열풍 건조시켜, 두께 0.5 ㎛, 2 ㎛, 4 ㎛, 및 6 ㎛ 의 도전 하지 피막을 각각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전 하지 피막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균일하게 도포되어 있는 것을 ○, 도포 불균일이 약간 발생되어 있는 것을 △, 도포 불균일이 발생되어 있는 것을 × 로 하여, 도포성을 확인하였다.
<도전 하지 피막의 표면 조도>
조제한 도전 하지 도료를, 독터 블레이드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 20 ㎛ 의 알루미늄박 상에 도공하였다. 그 후, 105 ℃ 에서 20 분간 열풍 건조시켜, 두께 3 ? 6 ㎛ 의 도전 하지 피막을 제작하였다.
표면 조도 형상 측정기를 사용하여, 제작한 도전 하지 피막의 중심선 평균 조도를 계측하였다. 측정시, 촉침 직경은 2 ㎛ 를 사용하고, 측정 속도 0.3 ㎜/s, 측정 길이 4 ㎜, 컷오프값 0.8 ㎜ 로 하였다.
<도전 하지 피막의 밀도 평가>
조제한 도전 하지 도료를, 독터 블레이드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 20 ㎛ 의 알루미늄박 상에 도공하였다. 그 후, 105 ℃ 에서 20 분간 열풍 건조시켜, 두께 20 ㎛ 의 도전 하지 피막을 제작하였다.
건조 후의 도전 하지 피막 부착 알루미늄박을 φ20 ㎜ 의 크기로 타발 (打拔) 하여, 전극 중량을 측정하였다. 알루미늄박의 중량을 빼서, 피막의 밀도를 산출하였다.
<도전 하지 피막의 체적 고유 저항값의 평가>
조제한 도전 하지 도료를 유리판 상에 도공한 후, 105 ℃ 에서 20 분간 열풍 건조시켜, 두께 20 ㎛ 의 도전 하지 피막을 제작하였다. 이 유리판 상의 도전 하지 피막의 시트 저항값을 사단침법 (四端針法) 으로 측정하였다. 막두께를 측정하여 체적 고유 저항을 산출하였다.
<도전 하지 피막의 필 강도의 측정>
조제한 도전 하지 도료를, 독터 블레이드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 20 ㎛ 의 알루미늄박 상에 도공하였다. 그 후, 105 ℃ 에서 20 분간 열풍 건조시켜, 두께 3 ? 6 ㎛ 의 도전 하지 피막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도전 하지 피막의 표면에 18 ㎜ 폭의 멘딩 테이프 (스미토모 쓰리엠사 제조, 상품명:스콧치 멘딩 테이프 810) 를 붙이고, 하중 2 ㎏ 의 롤러로 눌렀다. 그 후, 멘딩 테이프를 90°의 각도로 벗겨내어, 도전 하지 피막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도전 하지 피막의 전기 저항값의 측정>
조제한 도전 하지 도료를, 두께 20 ㎛ 의 알루미늄 플레인박 상에, 독터 블레이드 코터를 사용하여 도공한 후, 110 ℃ 에서 15 분 건조시켜, 2 ? 6 ㎛ 두께의 도전 하지 피막을 형성하였다.
건조 후의 도전 하지 피막 부착 알루미늄박을 φ13 ㎜ 의 크기로 타발하고, 이것을 Ag 판 상에 둔 후, Ag 판과는 반대측으로부터 φ8 ㎜ 의 Ag 봉으로 사이에 끼워넣고, Ag 봉에 500 g 의 하중을 가하였다. Ag 판과 Ag 봉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도전 하지 도료를 도포한 Al 박의 두께 방향의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정극 페이스트의 조제>
폴리불화비닐리덴 (PVDF) 용액 (구레하 화학사 제조, 상품명:KF 바인더 #1120 을 N-메틸피롤리돈으로 희석 용해) 에, 카본 블랙 (전기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HS-100,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0.05 ㎛), 및 올리빈형 FePO4 정극재를 혼합하고, 디스퍼로 분산시킴으로써 정극 페이스트를 얻었다. 배합 비율은, 질량 기준으로, FePO4:카본 블랙:PVDF = 88:6:6 으로 하고, 정극 페이스트의 고형분은 52 질량% 로 하였다.
<정극 전극의 제작>
조제한 도전 하지 도료를, 두께 20 ㎛ 의 알루미늄 플레인박 상에, 독터 블레이드 코터를 사용하여 도공한 후, 110 ℃ 에서 15 분 건조시켜, 2 ? 6 ㎛ 두께의 도전 하지 피막을 형성하였다. 이 도전 하지 피막 상에, 상기 조제한 정극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120 ℃ 에서 20 분 건조시켜, 70 ㎛ 두께의 활물질 함유층을 형성하여, 정극 전극을 얻었다.
<정극 전극의 전기 저항값의 측정>
다음으로, 제작한 정극 전극을 φ13 ㎜ 로 타발하고, 이것을 Ag 판 상에 둔 후, Ag 판과는 반대측으로부터 φ8 ㎜ 의 Ag 봉으로 사이에 끼워넣고, Ag 봉에 500 g 의 하중을 가하였다. Ag 판과 Ag 봉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정극 전극의 두께 방향의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또, 도전 하지 도료를 도포하지 않은 Al 박 상에 정극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동일하게 정극 전극을 제작하여 전극 저항값을 측정하고, 비교를 실시하였다. 또한, 표 3 또는 4 에 나타내는 프레스 조건으로 프레스한 후의 전극 저항값도 확인하였다. 전극 저항의 저감률이, 50 % 이상인 것을 ○, 25 % 이상 50 % 미만인 것을 △, 25 % 미만을 × 로 하였다.
Figure pat00001
도료 배합 조성 중의 괄호 안의 수치는, 건조 피막으로 한 경우의 배합 질량 비율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도료 배합 조성 중의 괄호 안의 수치는, 건조 피막으로 한 경우의 배합 질량 비율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비교예 1 ? 3, 실시예 1 ? 4 는 형상 및 입경이 상이한 흑연 원료를 사용하여, 도료화를 실시한 도전 하지 도료의 평가 결과이다 (표 1).
비교예 1 은 도료 중에 분산되어 있는 흑연의 입경이 비교적 작고,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도 작은, 즉 사용하고 있는 흑연의 애스펙트비가 작아 괴상화된 흑연을 사용한 예이다.
비교예 1 에서는, 공극이 많은 피막이 되기 때문에 피막 밀도가 낮고, 그 결과, 입자간의 접촉 면적이 낮아져 도전 패스가 적어지고, 피막의 체적 고유 저항이 높아진다. 또, 도공성의 결과로부터, 사용한 흑연의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2.0 ㎛ 에도 불구하고, 막두께 4 ㎛ 미만의 피막에서는 균일한 것이 얻어지지 않았다.
또, 비교예 2 는, 박편화 처리를 진행시키지 않은 분산 처리 2 의 방법에 의해 조제한 예로,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가 작고, 즉 애스펙트비가 작은 형상이 되었기 때문에, 피막 밀도가 낮아지고, 피막의 체적 고유 저항도 높다.
또, 비교예 3 에서는, 사용한 흑연의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는 2.2 로 박편이 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10.0 ㎛ 이고, 막두께 6 ㎛ 이하에서의 균일 도공을 할 수 없고, 그 결과, 표면 조도가 거칠어져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 ? 4 는, 박편화 처리한 도료로,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및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를 제어한 예이다. 검토 결과로부터, 6 ㎛ 이하에서의 균일 도공을 생각하면,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은 8 ㎛ 이하,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은 3.5 ㎛ 이하,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는 2.2 이상이 필요한 것을 알아냈다.
또한, 막두께 0.5 ㎛ 에서의 균일 도공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0.38 ㎛,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이 0.08 ㎛,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가 4.75 인 박편화 흑연을 사용한 실시예 1 에 있어서, 막두께 0.5 ㎛ 에서의 균일 도공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 실시예 1 ? 4 는 도막 밀도도 0.85 이상이 되어 높은 숫자를 나타내고, 도막의 체적 고유 저항도 0.1 Ω㎝ 이하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 카본 블랙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카본 블랙의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은 0.3 ㎛ 이하가 되었다. 그 때문에, 얻어지는 피막에서는, 박편화 처리된 흑연이 고밀도로 배향되고, 또한 카본 블랙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도막의 표면 조도도 0.4 ㎛ 이하였다. 본 실시예의 도전 하지 도료는, 박막으로 균일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 품질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비교예 4, 실시예 5 ? 10 은 카본 블랙과 흑연의 비율을 바꾸어 효과를 확인한 예이다.
비교예 4 는 도전 보조제로서 카본 블랙만을 사용하고 있어, 피막 밀도도 낮고, 또한 피막의 체적 고유 저항값도 높은 값을 나타낸다.
이에 대하여, 적어도 본 발명에 관련된 박편화 흑연을 함유하는 실시예 5 ? 10 은, 피막 밀도가 높고, 또한 피막의 체적 고유 저항값도 낮은 값을 나타낸다. 특히, 카본 블랙과 박편화 흑연의 질량 비율 (박편화 흑연:카본 블랙) 이, 97:3 ? 1:8 의 범위에 있는 실시예 6, 7, 9, 10 에서, 피막 밀도가 높고, 체적 고유 저항도 저하되었다. 또, 체적 고유 저항에서는 실시예 3 에서 나타낸 박편화 흑연:카본 블랙의 질량 비율이 3:1 정도일 때에 최소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은, 카본 블랙으로서 케첸 블랙과 아세틸렌 블랙을 병용한 예로, 도전 보조제의 최적화에 의해 도막의 체적 고유 저항값의 추가적인 저감이 가능해진다.
표 3, 4 는, 비교예 1, 4, 실시예 1 ? 10 의 도전 하지 도료를 사용한 전극 저항값과 밀착성의 평가 결과이다. 리튬 이온 전지용 정극 하지 도료에는, 전극 저항의 저감 효과가 크고, 프레스시의 밀착성 유지가 요구된다. 그래서, 알루미늄박에 직접 정극 페이스트를 도포한 전극 저항 (도전 하지 피막이 없는 정극 전극) 의 측정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도전 하지 피막이 없는 프레스 전의 정극 전극은, 전극 저항이 90 Ω 이었지만, 15 kN/㎠ 로 프레스하였을 때에는, 도막 밀도의 상승과 알루미늄 집전체와 정극층의 접촉 저항의 저하로, 6 Ω 까지 저감된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 ? 10 에서는, 프레스 전의 전극 저항은 5.0 Ω ? 8.2 Ω 이고, 도전 하지 피막이 없는 전극 저항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저감률은, 90 % 이상으로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프레스 후의 전극 저항의 저감률은, 대부분이 50 % 이상으로, 접촉 저항의 저감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 실시예 1 ? 10 에서는, 프레스 전과 프레스 후에서 정극 피막의 필 강도의 저하가 확인되지 않고, 밀착성도 우수하였다.
한편, 비교예 1, 4 에서는, 프레스 전의 전극 저항의 저감률은, 83.3 %, 88.9 % 로 높기는 하지만, 실시예 1 ? 10 에 비하면 낮은 값이다. 나아가서는, 프레스 후의 전극 저항의 저감률은, 8.3 %, 16.7 % 로, 실시예 1 ? 10 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값이었다.

Claims (13)

  1. 집전체 및 활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도전 하지 피막을 형성하는 수계 도전 하지 도료로서,
    상기 도전 하지 도료는, 박편화 흑연을 함유하고,
    상기 박편화 흑연은,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8 ㎛ 이하, 50 질량% 스토크스 직경 (X50st) 이 3.5 ㎛ 이하, 박편화 지수 (X50dif/X50st) 가 2.2 ? 5 인,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카본 블랙을 함유하고,
    상기 박편화 흑연 및 카본 블랙의 총함유율이 75 ? 90 질량% 의 범위이고,
    상기 박편화 흑연과 상기 카본 블랙의 질량 비율 (박편화 흑연:카본 블랙) 이 97:3 ? 1:8 의 범위인,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의 50 질량% 레이저 회절 직경 (X50dif) 이 0.3 ㎛ 이하인,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염과, 300 ℃ 에서 0.5 시간 후의 질량 감모율이 5 %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율이 5 질량% ? 15 질량% 의 범위인,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가 알루미늄을 함유하여 구성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수계 도전 하지 도료.
  7.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 상에 형성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계 도전 하지 도료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 하지 피막과,
    상기 도전 하지 피막 상에 형성된, 활물질을 함유하는 활물질 함유층을 갖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하지 피막은, 피막 밀도가 0.85 g/㎖ ? 1.2 g/㎖ 이고, 체적 고유 저항이 0.25 Ω㎝ 이하인,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하지 피막의 피막 평활도가 0.02 ㎛ ? 0.6 ㎛ 인,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하지 피막의 평균 두께가 0.5 ㎛ ? 6 ㎛ 인,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가 알루미늄을 함유하여 구성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이, 올리빈형의 정극 재료 LiFePO4 인,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13. 정극 전극과, 부극 전극과, 전해질을 갖고,
    상기 정극 전극 및 부극 전극의 적어도 일방이, 제 7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인, 리튬 이온 전지.
KR1020120004466A 2011-01-28 2012-01-13 리튬 이온 전지용 도전 하지 도료 KR201200878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6761 2011-01-28
JP2011016761A JP5598356B2 (ja) 2011-01-28 2011-01-28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の導電下地塗料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103A Division KR20180084715A (ko) 2011-01-28 2018-07-17 리튬 이온 전지용 도전 하지 도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820A true KR20120087820A (ko) 2012-08-07

Family

ID=465583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466A KR20120087820A (ko) 2011-01-28 2012-01-13 리튬 이온 전지용 도전 하지 도료
KR1020180083103A KR20180084715A (ko) 2011-01-28 2018-07-17 리튬 이온 전지용 도전 하지 도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103A KR20180084715A (ko) 2011-01-28 2018-07-17 리튬 이온 전지용 도전 하지 도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98356B2 (ko)
KR (2) KR20120087820A (ko)
CN (1) CN1026180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4300B2 (ja) * 2012-11-27 2016-12-14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電極形成用導電性プライマー組成物、それを用いた非水系二次電池電極、及び非水系二次電池
JP6361955B2 (ja) * 2013-01-11 2018-07-2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029949A1 (ja) * 2013-08-27 2015-03-05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炭素材料分散剤および導電性炭素材料分散液
JP2015056318A (ja) * 2013-09-12 2015-03-23 新神戸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
WO2015111411A1 (ja) * 2014-01-23 2015-07-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キャパシタ用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キャパシタ
CN106463698B (zh) * 2014-04-11 2020-11-20 远景Aesc能源元器件有限公司 二次电池和用于制造其的方法
US20190280283A1 (en) * 2016-07-20 2019-09-12 Nec Energy Devices, Ltd. Electrode for lithium-ion battery and lithium-ion battery
CN106410209A (zh) * 2016-10-18 2017-02-15 深圳市河科科技有限公司 用于锂电池集流体的银灰色导电浆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TWI617073B (zh) 2016-11-25 2018-03-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電池電極結構及其製作方法
WO2019065084A1 (ja) * 2017-09-29 2019-04-04 株式会社カネカ 加工グラファイト積層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加工グラファイト積層体用レーザー切断装置
CN112349910B (zh) 2019-04-28 2022-03-0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负极集流体、负极极片、电化学装置、电动汽车及消费类电子产品
CN112151753A (zh) * 2020-10-15 2020-12-2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极片及包含其的电化学装置和电子设备
WO2022177023A1 (ja) * 2021-02-22 2022-08-25 株式会社Adeka 導電性アンダーコート剤
CN113066958B (zh) * 2021-03-22 2022-09-27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集流体及其应用
WO2023007962A1 (ja) * 2021-07-30 2023-0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極
CN117836965A (zh) * 2021-08-31 2024-04-0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924A (ja) * 1998-11-06 2000-05-3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1357854A (ja) * 2000-06-13 2001-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系二次電池
JP2004099355A (ja) * 2002-09-06 2004-04-02 Tsunemi Ochiai グラファイト粉末、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電池用導電材料
ATE535002T1 (de) * 2003-10-10 2011-12-15 Japan Gore Tex Inc Elektrode für einen elektrischen doppelschichtkondensator,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elektrischer doppelschichtkondensator und leitfähiger klebstoff
JP4371979B2 (ja) * 2003-10-10 2009-11-25 ジャパンゴアテックス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極、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並びに導電性接着剤
JP2006338963A (ja) * 2005-05-31 2006-12-14 Fuji Heavy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2007091487A (ja) * 2005-09-26 2007-04-12 Muroran Institute Of Technology 導電性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導電性弾性体組成物
JP2008077993A (ja) * 2006-09-21 2008-04-03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455445B1 (ko) * 2008-08-28 2014-10-27 제온 코포레이션 리튬 이온 커패시터용 전극 및 리튬 이온 커패시터
JP5098954B2 (ja) * 2008-10-28 2012-12-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用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化学素子
JP2010109080A (ja) * 2008-10-29 2010-05-13 Asahi Kasei Corp 蓄電素子用電極体の製造方法および蓄電素子用電極体ならびに非水系リチウム型蓄電素子
JP2010238588A (ja) * 2009-03-31 2010-10-21 Daikin Ind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の集電積層体
CN102549693B (zh) * 2009-07-30 2014-03-12 日本瑞翁株式会社 电化学元件用电极及电化学元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18097B (zh) 2016-09-28
CN102618097A (zh) 2012-08-01
KR20180084715A (ko) 2018-07-25
JP2012156109A (ja) 2012-08-16
JP5598356B2 (ja)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7820A (ko) 리튬 이온 전지용 도전 하지 도료
KR102088396B1 (ko) 전고체전지 및 부극
KR101421860B1 (ko) 개질 천연 흑연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JP5429168B2 (ja) 混合炭素材料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
JP5375953B2 (ja) 混合炭素材料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
KR102015134B1 (ko) 캐패시터용 도전 하지 도료, 캐패시터용 전극, 그리고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및 리튬 이온 캐패시터
JP7262392B2 (ja) コンフォーマルグラフェン分散によるナノ構造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電極複合材料
US20210171353A1 (en) Carbonaceous materials and methods of use thereof
Müller et al. Si-on-Graphite fabricated by fluidized bed process for high-capacity anodes of Li-ion batteries
JP2010114206A (ja)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ーの負極被膜及び電極被膜形成用塗料組成物
TW202030913A (zh) 全固體電池用活性物質、全固體電池用電極及全固體電池
JP2019109998A (ja) 全固体二次電池
JP2010034300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の分極性電極用炭素材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Sullivan et al. On the connection between slurry rheology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graphite anodes in Lithium-ion batteries
Yap et al. Comparison of carbon-nanofiber and carbon-nanotube as conductive additives in Si anodes for high-energy lithium-ion batteries
WO2019216216A1 (ja) 全固体電池用集電層、全固体電池、及び炭素材料
CN112640155A (zh) 二次电池用电极及二次电池
JP2019071304A (ja) グラフェン系炭素粒子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電極
TWI514651B (zh) Electrode material,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Jiao et al. Collector and binder-free high quality graphene film as a high performance anode for lithium-ion batteries
CN115224353A (zh) 电池
KR20210144692A (ko) 비수계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부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WO2023119857A1 (ja) 固体電池用負極および固体電池
EP4254540A1 (en) Electrode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Smyth et al. Modification of graphene anode morphologies via wet and dry mi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0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17

Effective date: 2019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