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064A - 분립체 살포 장치 - Google Patents

분립체 살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064A
KR20120087064A KR1020110095225A KR20110095225A KR20120087064A KR 20120087064 A KR20120087064 A KR 20120087064A KR 1020110095225 A KR1020110095225 A KR 1020110095225A KR 20110095225 A KR20110095225 A KR 20110095225A KR 20120087064 A KR20120087064 A KR 20120087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state
powder
diffus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6057B1 (ko
Inventor
유우끼 시모이께
마사아끼 니시나까
시게끼 하야시
겐이찌 이와미
가즈마사 요시다
마꼬또 야스다
데쯔야 마쯔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2008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9/0053Mechanical dus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distributing slots, e.g. adjustable openings for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2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9/0084Undercarriages, frame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9/0092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확산 수단의 착탈 작업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실제로 방출되는 분립체의 양을 계측할 때에 분립체의 회수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분립체 살포 장치를 제공한다. 조출 수단(25)으로부터 조출되는 분립체를 포장에 확산 방출시키는 회전 구동식의 확산 수단(27)과, 조출 수단(25)과 확산 수단(2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고, 제어 수단이, 포장의 단위 면적당 설정량의 분립체를 공급하는 통상 작업 모드와, 그 통상 작업 모드에서의 조출량과 동등한 조출량으로 분립체를 조출하도록 조출 수단(25)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통상 작업용 구동 상태보다 분립체의 비산이 적은 계량용 구동 상태에서 확산 수단(27)을 작동시키는 계량용 동작을 실행하는 계량용 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분립체 살포 장치{GRANULAR MATERIAL SPRAYING DEVICE}
본 발명은, 저류부에 저류되는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 수단과, 상기 조출 수단으로부터 조출되는 분립체를 포장에 확산 방출시키는 회전 구동식의 확산 수단과, 상기 조출 수단과 상기 확산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분립체 살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립체 살포 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분립체의 일례로서의 약제가 공급 경로를 통해 공급되어 회전 구동식의 확산 수단에 의해 확산 살포시키도록 구성되고, 또한, 예를 들어 이식 대상 모에 있어서의 복수 주의 모를 송출 공급하는 동작에 동조시켜서, 개폐 기구에 의해 공급 경로를 설정 시간만큼 개방 상태로 하여 약제를 확산 수단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회전 구동식의 확산 수단은 항상 동일한 회전수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151559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은 분립체 살포 장치에서는, 실제로 포장에 살포 공급되는 분립체(약제)의 양이 미리 설정한 공급량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분립체 살포 장치를 실제로 작동시켜서, 예를 들어, 확산 수단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회수 용기를 준비하고, 확산 수단에 의해 살포되는 분립체를 상기 회수 용기에 의해 회수하고, 그 회수한 분립체의 중량을 계측하는 등의 계량 작업에 의해, 실제로 방출되는 분립체의 양을 계측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계량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회전 구동식의 확산 수단은 항상 동일한 회전수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량 작업 시에 분립체의 회수를 양호하게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즉, 분립체를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확산 방출시키기 위해서, 포장에 분립체를 살포하는 살포 작업을 행할 때는, 회전 구동식의 확산 수단을 고속으로 연속적으로 회전 구동시킬 필요가 있는데, 계량 작업 시에도 이렇게 회전 구동식의 확산 수단을 고속으로 연속적으로 회전 구동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분립체를 조출하면, 분립체가 강한 타격을 받아 크게 비산해서 회수 용기의 외측으로 흩어지는 등, 분립체의 회수를 양호하게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계량을 행하는 경우에 회전 구동식의 확산 수단을 제거하고, 조출한 분립체를 그대로 회수 용기에 회수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회전 구동식의 확산 수단을 제거하거나 다시 설치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의 면에서 불리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확산 수단의 착탈 작업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실제로 방출되는 분립체의 양을 계측할 때에 분립체의 회수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하는 분립체 살포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분립체 살포 장치는, 저류부에 저류되는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 수단과, 상기 조출 수단으로부터 조출되는 분립체를 포장에 확산 방출시키는 회전 구동식의 확산 수단과, 상기의 것이며, 상기 제어 수단이, 포장의 단위 면적당 설정량의 분립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조출 수단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통상 작업용 회전수로 회전 구동하는 통상 작업용 구동 상태에서 분립체를 포장에 확산 방출시키도록 상기 확산 수단을 작동시키는 통상 살포 동작을 실행하는 통상 작업 모드와, 상기 통상 작업 모드에서의 조출량과 동등한 조출량으로 분립체를 조출하도록 상기 조출 수단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통상 작업용 구동 상태보다 분립체의 비산이 적은 계량용 구동 상태에서 상기 확산 수단을 작동시키는 계량용 동작을 실행하는 계량용 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어 수단이, 통상 작업 모드로 전환되어 통상 작업 장치를 실행하면, 분립체를 설정량씩 공급하도록 조출 수단을 작동시키고, 또한, 분립체를 포장에 확산 방출시키도록 확산 수단을 작동시켜서, 포장의 단위 면적마다 분립체를 설정량씩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수단이, 계량용 모드로 전환되어 계량용 동작을 실행하면, 통상 작업 모드에서의 조출량과 동등한 조출량으로 분립체를 조출하도록 조출 수단을 작동시키고, 또한, 통상 작업용 구동 상태보다 분립체의 비산이 적은 계량용 구동 상태에서 확산 수단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통상 작업용 구동 상태에서는, 분립체를 포장의 소정 영역에 살포시키기 위해서, 고속의 통상 작업용 회전수로 확산 수단을 연속적으로 회전 작동시킬 필요가 있으나, 상기 계량용 구동 상태에서는, 통상 작업용 구동 상태보다 분립체의 비산이 적은 상태에서 확산 수단을 작동시키게 되므로, 분립체가 크게 비산해서 회수 용기에서 벗어나게 외측으로 흩어지는 문제가 없어, 분립체의 회수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확산 수단의 착탈 작업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실제로 살포 공급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계측할 때에 분립체의 회수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분립체 살포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계량용 구동 상태로서, 상기 조출 수단에 의해 설정량의 분립체를 조출하고 그 조출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통상 작업용 회전수보다 저속의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확산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2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계량용 모드에서는, 조출 수단에 의해 설정량의 분립체를 조출하고 그 조출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동안에, 통상 작업용 회전수보다 저속의 계량용 회전수로 확산 수단이 회전하므로, 확산 수단이 통상 작업용 회전수와 같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비해, 분립체가 회수 용기에서 벗어나게 외측으로 흩어질 우려가 적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제2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제어 수단이, 전원 투입되어 기동하면,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확산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예비 모드로 설정되게 구성되어, 그 예비 모드에서 수동 조작식의 계량 지령 수단에 의해 계량의 개시가 지령되면 상기 계량용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예비 모드에서 작업의 개시가 지령되면 상기 통상 작업 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3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어 수단이 전원 투입되어 기동하면,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시키도록 확산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예비 모드로 설정된다. 그리고, 그 예비 모드에서, 계량용 모드로 전환할 때는, 수동 조작식의 계량 지령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고, 또한, 계량용 모드가 아니라 포장에 대한 분립체의 살포 작업을 행할 때는, 상기 예비 모드에서 작업의 개시를 지령하면 통상 작업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렇게 제어 수단이 전원 투입되어 기동했을 때에, 확산 수단이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하기 때문에, 계량 작업을 행할 때에, 확산 수단이 통상 작업용 회전수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잘못해서 계량 작업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게다가, 포장에 대한 분립체의 살포 작업을 행할 때에, 번거로운 모드의 전환 조작을 행하지 않고도, 그대로 작업의 개시를 지령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어 조작의 번거로움이 적어진다.
본 발명의 제4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계량용 구동 상태로서, 상기 조출 수단에 의해 설정량의 분립체를 조출하고 그 조출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상기 확산 수단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또한, 분립체의 조출 작동이 정지한 후에 설정 시간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확산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4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계량용 모드에서는, 조출 수단에 의해 설정량의 분립체를 조출하고 그 조출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확산 수단의 회전을 정지하고 있으므로, 조출된 분립체는 정지한 확산 수단에 수용되는데, 조출량이 많아지면 넘쳐나서 하방으로 낙하하므로, 확산 수단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회수 용기에서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립체의 조출 작동이 종료한 후에 설정 시간만큼 확산 수단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확산 수단에 수용되어 있는 분립체를 확산 수단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비산시킴으로써 회수 용기에서 회수할 수 있다. 이때, 확산 수단은 정지 상태에서 회전을 개시하므로, 회전하기 시작할 때는, 저회전 상태에서부터 회전 속도가 상승해 가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분립체가 회수 용기에서 벗어나게 외측으로 흩어질 우려가 적어진다.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계량용 구동 상태로서, 상기 조출 수단에 의해 설정량의 분립체를 조출하고 그 조출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동안에, 회전 상태와 회전 정지 상태를 교대로 현출시키는 형태로 상기 확산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5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계량용 모드에서는, 조출 수단에 의해 설정량의 분립체를 조출하고 그 조출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동안에, 확산 수단이 회전 상태와 회전 정지 상태를 교대로 반복하므로,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에는, 조출된 분립체는, 정지하고 있는 확산 수단에 의해 수용되거나 또는 회수 용기에서 외측으로 흩어질 우려가 없는 상태로 회수할 수 있고, 게다가, 정지 상태에서 회전 상태로 전환되어 확산 수단이 회전하기 시작할 때는, 회전 속도가 저속 상태에서부터 점차로 회전 속도가 상승해 가므로, 연속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분립체가 회수 용기에서 벗어나게 외측으로 흩어질 우려가 적어진다.
본 발명의 제6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 내지 제5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통상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조출용 작업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서 상기 통상 살포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량용 모드로 전환되면, 조출용 작업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도 상기 계량용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6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통상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조출용 작업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서 통상 살포 동작을 실행하기 때문에, 분립체 살포 장치가 포장에 있어서 분립체를 살포해야 할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조출용 작업 신호가 입력되도록 해 두면, 포장에서의 살포해야 할 영역에 적절하게 분립체를 살포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다.
한편, 계량용 모드에서는, 분립체를 포장에 실제로 살포 방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살포 방출되는 분립체를 회수 용기에 의해 회수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량용 모드로 전환되면, 조출용 작업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도 계량용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계량 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고, 계량 작업 후에 통상 작업 모드에서의 작업으로 신속히 이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 내지 제6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확산 수단이, 횡방향 자세의 수용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종방향의 회전 축심 둘레로 구동 회전되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면에 세워 설치된 확산용 날개체와, 상기 수용체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7 특징 구성에 따르면, 수용체가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조출 수단으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는, 수용체의 수용면에 낙하하여 수용되거나, 혹은, 낙하 도중에 회전하는 확산용 날개체에 의해 타격을 받아 그대로 외측을 향해 확산 방출되게 된다. 수용체 상에서 수용된 분립체는, 수용체의 회전에 따라 균등하게 되는 상태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확산용 날개체에 의해 외측을 향해 확산 방출된다. 그 결과, 수용체로 낙하 공급된 분립체를, 둘레 방향으로 최대한 균등하게 분산된 상태에서 외측을 향해 확산 방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 내지 제7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제어 수단이, 수동 조작식의 조절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조출 수단에 의한 분립체의 조출량을 변경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분립체의 조출량을 조절할 때의 조절 조작 상태로서, 상기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에서 최대 조절 위치로 변화됨에 따라서 분립체의 조출량이 점차로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조절 조작 상태이며 또한 상기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동일할 때의 분립체의 조출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의 상기 조절 조작 상태의 전환을 지령하는 수동 조작식의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계량용 모드에서의 분립체의 살포량이 상기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 및 상기 조절 조작구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살포량이 되도록, 상기 조출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8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어 수단이,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 가능하며,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에 의해 전환이 지령되면 조절 조작 상태가 전환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되면,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에서 최대 조절 위치로 변화됨에 따라서 분립체의 조출량이 점차로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된다.
또한, 제어 수단의 조절 조작 상태가 상기 어느 하나의 조절 조작 상태와는 다른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되면,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에서 최대 조절 위치로 변화됨에 따라서 분립체의 조출량이 점차로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것은 상기 어느 하나의 조절 조작 상태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동일할 때의 분립체의 조출량이 상기 어느 하나의 조절 조작 상태의 경우와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포장의 단위 면적당 많은 살포량이 필요한 종류의 분립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 중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동일할 때의 분립체의 조출량이 다른 조절 조작 상태보다 큰 값이 되는 조정 조작 상태를 사용한다. 또한, 포장의 단위 면적당 필요한 살포량이 적은 분립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 중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동일할 때의 분립체의 조출량이 다른 조절 조작 상태보다 작은 값이 되는 조정 조작 상태를 사용한다.
이렇게 분립체의 종류의 차이에 따라서 적절한 조정 조작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에서 최대 조절 위치로 변화됨에 따른 분립체의 조출량의 변화 정도를, 해당하는 종류의 분립체에 따라서 적절한 변화 정도로 설정할 수 있어, 조출량의 조절 조작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어 수단이, 계량용 모드에 있어서, 분립체의 살포량이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 및 조절 조작구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살포량이 되도록, 조출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량용 모드에서 조출량의 조절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승용형 전식기의 전체 측면도다.
도 2는 승용형 전식기의 전체 평면도다.
도 3은 약제 살포 장치의 배면도다.
도 4는 약제 살포 장치의 설치부의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약제 살포 장치의 종단 측면도다.
도 6은 약제 살포 장치의 저면도다.
도 7은 전기 제어 유닛의 조작부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8은 확산 방출 기구의 횡단 평면도다.
도 9는 조출 기구의 종단 측면도다.
도 10은 조출 기구의 횡단 평면도다.
도 11은 조출 기구의 종단 정면도다.
도 12는 조출 기구의 분해 사시도다.
도 13은 케이싱의 시일 부재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다.
도 14는 약제 살포 장치의 전기 회로도다.
도 15는 제어 동작의 흐름도다.
도 16은 조절 조작 위치와 개방 작동 시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다.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의 제어 동작의 흐름도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분립체 살포 장치를 승용형 전식기에 장비한 약제 살포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용형 전식기는, 조향 조작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전륜(1) 및 좌우 한 쌍의 후륜(2)을 구비한 주행 기체(3)의 전방부측에 엔진(4) 및 미션 케이스(5)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3)의 중앙부에 스티어링 핸들(6) 등을 장비한 조종부(7)와 운전 좌석(8)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또한, 주행 기체(3)의 좌우 양측에 예비 모 탑재대(9)가 배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3)의 후방에는, 리프트 실린더(10)의 조작에 의해 링크 기구(11)를 통해 승강 조작 가능하게 모심기 장치(12)가 연결되고, 상기 모심기 장치(12)의 후방에, 분립체로서의 예를 들어 제초제 등의 약제를 살포하는 분립체 살포 장치로서의 약제 살포 장치(13)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심기 장치(12)는 4조식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5)에는, 변속 레버(16)를 조작함으로써 변속 조작되는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심기 장치(12)는, 1개의 피드 케이스(14)에 연결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2개의 전동 케이스(15)가 후방측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15)의 후방부의 좌우 양측부에 이식 아암(18)이 크랭크 기구(17)에 의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식 아암(18)에 이식 갈고리(22)가 구비되어 있고, 모심기 장치(12)의 하부에는 접지 플로트(19)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모심기 장치(12)에는, 모 탑재대(20)가 좌우로 일정 스트로크로 왕복 가로 이송 구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모 탑재대(20)가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할 때마다, 적재된 모를 소정량 만큼 하방으로 이송하는 벨트식의 세로 이송 장치(21)가 모 탑재대(20)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피드 케이스(14)에 전달되는 동력이 전동 케이스(15)에 전달되어 이식 아암(18)이 구동되는 한편, 피드 케이스(14)에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모 탑재대(20)가 왕복 가로 이송 구동되고, 모 탑재대(20)의 하부로부터 상하로 요동 운동하는 이식 아암(18)이, 그 선단부에 구비된 이식 갈고리(22)에 의해 1주씩 모를 취출하여 농지면에 이식하는 것이며, 모 탑재대(20)가 왕복 가로 이송의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하면, 피드 케이스(14)에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세로 이송 장치(21)가 구동되어, 모 탑재대(20)에 적재된 모가 하방으로 보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약제 살포 장치(1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전동 케이스(15)에 각각 고정되어 가설된 지지 프레임(23A)의 중간부에서 지지 기둥(23B)을 고정해서 세워 설치하고 있고, 상기 지지 기둥(23B)의 상부에, 모 이식 상태에 있어서 농지면으로부터 설정 거리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약제 살포 장치(13)가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살포 장치(13)는, 약제를 저류하는 저류부로서의 저류 호퍼(24)와, 상기 저류 호퍼(24)의 하부에 위치하여 저류되는 약제를 조출하는 조출 수단으로서의 조출 기구(25)와, 조출되어 공급 경로로서의 안내 통로(26)(도 5 참조)를 통해 낙하 공급되는 약제를 확산시키는 회전식의 확산 수단으로서의 확산 방출 기구(27)와, 조출 기구(2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 제어 유닛(28)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조출 기구(25) 및 확산 방출 기구(27)는, 케이싱(29)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29)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확산 방출 기구(27)에 약제를 낙하 공급하는 안내 통로(26)를 구성하는 통부(30)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9)은, 좌우 양측의 분할 케이싱 부분(29a, 29b)(케이스 단위체의 일례)을 맞춤면(w)끼리 접속하는 좌우 분할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양측의 분할 케이싱 부분(29a, 29b)의 맞춤면(w) 중, 케이싱(29)의 하면(29A)에 대응하는 하부 맞춤면 부분(w1) 이외의 다른 맞춤면 부분(w2), 즉, 케이싱(29)의 상면 및 측면에 대응하는 맞춤면 부분(w2)에는, 케이싱(29)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성의 시일재(Si)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좌우 양측의 분할 케이싱 부분(29a, 29b)의 맞춤면(w) 중 하부 맞춤면 부분(w1) 이외의 다른 맞춤면 부분(w2)에 시일재(Si)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빗물이나 작업 종료 후에 행해지는 세정 작업 시에 물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도, 케이싱(29)의 내부, 특히, 약제가 통과하는 통부(30)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싱(29)의 하면(29A)에 대응하는 개소에 위치하는 하부 맞춤면 부분(w1)은, 상기한 바와 같은 빗물이나 세정수가 침입할 우려가 적기 때문에, 시일재(Si)를 설치하지 않게 해서 비용 저감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기구(25)는, 약제의 통과용 개구(31)가 형성된 금속제의 개구 형성판(32)과, 통과용 개구(31)를 폐색하는 폐쇄 상태와 약제의 통과용 개구(31)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에 걸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금속제의 셔터 부재(33)와, 상기 셔터 부재(33)를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액추에이터로서의 솔레노이드(3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9, 10,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형성판(32)과 셔터 부재(33)가 상하로 겹치는 상태로 설치되고, 셔터 부재(33)가 개구 형성판(32)에 형성된 통과용 개구(31)를 폐쇄하면 폐쇄 상태가 되어, 약제의 낙하 공급이 정지되고, 셔터 부재(33)가 통과용 개구(31)를 개방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되면, 통과용 개구(31)가 개방되어 개방 상태가 되고, 이 개방 상태에서는, 통과용 개구(31)를 통해 약제가 하방으로 낙하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통과용 개구(31)의 하방측에서는, 셔터 부재(33)만이 존재하고 있고, 셔터 부재(33)의 하방에는 다른 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약제가 막히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개구 형성판(32)에는, 통과용 개구(31)가 형성되는 수평면 부분(32a)의 개구측 단부에 하방을 향해 굴곡되는 하향 굴곡편(32b)이 형성되고, 그와 반대인 솔레노이드(34)측 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굴곡되는 상향 굴곡편(3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면 부분(32a)의 개구측 단부와 솔레노이드(34)측 단부의 중간부에서의 폭 방향 양측부 각각에, 셔터 부재(33)가 하방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셔터 부재(33)를 상하로부터 둘러싸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굴곡되는 유지부(32d)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개구 형성판(32)은, 1장의 플레이트를 굴곡시킴으로써, 하향 굴곡편(32b), 상향 굴곡편(32c) 및 유지부(32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 형성판(32)은, 하향 굴곡편(32b)이 케이싱(29)의 통부(3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35)에 결합하여, 셔터 부재(33)가 솔레노이드(3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나란히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또한, 상향 굴곡편(32c)이 케이싱(29)의 통부(30)의 외측의 단부 테두리부(36)에 결합하여, 셔터 부재(33)가 솔레노이드(34)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나란히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과용 개구(31)는, 솔레노이드(34)에 의한 셔터 부재(33)의 이동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의 개구 폭(L1)이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개구 폭(L2)보다 작아지도록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 면적을 충분히 크게 하면서도, 솔레노이드(34)에 의한 셔터 부재(33)의 이동 조작량을 짧게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셔터 부재(33)는, 띠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솔레노이드(34)의 조작 로드(37)에 대하여 연결 핀(38)에 의해 피봇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개구 형성판(32)의 하측에 접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유지부(32d)에 의해 개구 형성판(32)으로부터 상하로 이격되는 것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33)의 개구 차폐 개소(33A)보다 솔레노이드(34)측에 가까운 개소에, 개구 형성판(32)과 셔터 부재(33)의 사이로 들어가는 약제를 하방으로 낙하시키기 위해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긁어냄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9)에 있어서의 통부(30)의 가로 일측 개소에는, 솔레노이드(34)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으로서의 솔레노이드 수납실(40)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측 개소에는, 확산 방출 기구(27)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41)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으로서의 모터 수납실(42)이 형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수납실(40)측의 통부(30)의 측벽에는, 셔터 부재(33)와 개구 형성판(32)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슬릿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릿 구멍(43)의 상측에는, 개구 형성판(32)과 셔터 부재(33)를 수평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광폭 안내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폭 안내부(44)의 상면에는, 통과용 개구(31)를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5)이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 구멍(43)의 상측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측부에는, 개구 형성판(32)의 부상을 방지하는 양측 가이드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 구멍(43)의 하부측에는, 폭 방향 양측부에 셔터 부재(33)를 수용 지지하는 하측 가이드부(47)가 형성되는 동시에, 셔터 부재(33)를 개방 상태로 전환했을 때에, 긁어냄 구멍(39)의 하방으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확산 방출 기구(27)에 안내할 수 있도록 폭이 넓은 배출용 공간(48)이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셔터 부재(33)와 개구 형성판(32)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슬릿 구멍(43)이 형성되는 개소에 대하여, 통로 폭 방향의 반대측에 가까운 상태로 통과용 개구(31)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안내 통로(26)는, 평면에서 볼 때 횡단면 형상이 대략 4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배출용 공간(48)의 하방측에는, 출구(54)측을 향할수록 직경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의 안내 통로(26)의 폭이 순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경사면(56)이 형성되어 순차적으로 폭을 좁게 하고 있고, 그 폭이 좁은 개소는 통과용 개구(31)를 통과한 약제가 그대로 저항이 되지 않고 직선 형상으로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출된 약제가 유동 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양호하게 확산 방출 기구(27)를 향해 안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33)는, 솔레노이드(34)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49)이 와셔(50)를 통해 연결 핀(38)에 작용함으로써 폐쇄 위치[통과용 개구(31)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 압박되고, 솔레노이드(34)에 통전함으로써 코일 스프링(49)의 압박력에 저항해서 당김 조작됨으로써 개방 위치[통과용 개구(31)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5,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 방출 기구(27)는, 횡방향 자세의 수용면(51A)을 구비하는 동시에 종방향의 회전 축심 둘레로 구동 회전되는 수용체(51)와, 수용면(51A)에 세워 설치된 확산용 날개체(52)와, 수용체(51)를 종방향의 회전 축심(Y) 둘레로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4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용체(51)는 종축심(Y) 둘레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판면이 횡측을 보는 자세가 되도록 설치된 원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확산용 날개체(52)가, 둘레 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는 상태이면서 또한 수용체(51)에서의 회전 축심(Y)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에 가까운 상태로 방사상으로 복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체(51)에서의 회전 축심(Y)을 포함하는 그 주위의 영역은, 둘레 방향 전체 영역에 걸쳐 확산용 날개체(52)가 존재하지 않는 날개 없는 영역(Q)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용 날개체(52)는, 둘레 방향을 따라 약 60도씩 등간격을 두고 분산 배치되는 상태로 6개 구비되어 있고, 각 확산용 날개체(52)는, 수용체(51)의 반경의 약 절반 거리에 상당하는 횡폭을 가지며, 또한, 횡폭의 대략 절반 거리에 상당하는 높이를 갖는 상태로, 수용체(51)의 직경 방향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 세워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용 날개체(52)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 단부 테두리는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높아지는 경사 테두리(52A)로 형성되어 있다. 확산용 날개체(52)의 상단부 테두리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확산용 날개체(52)의 상하 높이가 수용체(51)의 수용면(51A)의 경사분만큼,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체(51) 및 확산용 날개체(52)는 합성 수지재로 일체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수용체(51)에는, 전동 모터(41)의 구동축(53)에 외부 끼움하는 통축부(80)도 일체 형성되어 있고, 통축부(80)는, 전동 모터(41)의 구동축(53)에 외부 끼움 장착되어 그것에 횡방향으로 장착된 비스(bi)를 구동축(53)에 압접해서 수용체(51)가 구동축(53)과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수용체(51)는 중앙부가 하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수용체(51)의 상부측이 위치하는 수용면(51A)이 회전 축심(Y)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중간 오목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약제를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하는 기능을 보다 발휘시키기 쉽게 하고 있다.
그리고, 수용체(51)에 있어서의 상방측에는 상부측을 구획하는 천장벽부(58A)가 설치되고, 또한, 수용체(51)의 외주측에는, 둘레 방향의 일부의 영역으로부터 약제가 외측으로 확산 방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용 종벽(58B)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규제용 종벽(58B)의 양측부의 각각에, 수용체(51)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산 방출되는 약제의 확산 방출 방향을 조정하는 확산 방향 조정판(59, 60)이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 방향 조정판(59, 60)은, 볼트(Bo)에 의해 천장벽부(58A)에 설치되어 있으며, 볼트(Bo)를 풀어 좌우 회전 위치를 변경시키고 다시 조임으로써 약제의 확산 방출 방향(개방 각도)을 변경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약제의 확산 방출 방향(개방 각도)을 변경 조정함에 있어서, 볼트(Bo)를 푸는 조작에 의해 위치 조정하는 구성 대신에, 확산 방향 조정판(59, 60)을, 천장벽부(58A)에 대하여 종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면서 또한 마찰에 의해 위치 유지하는 상태로 설치하여, 수동 조작으로 마찰 유지력에 저항하여 임의의 조작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규제용 종벽(58B)은, 케이싱(29)에 일체 성형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수용체(51)의 외주연의 근방에, 둘레 방향을 따라 약 둘레 절반에 걸쳐 수용체(51)의 외주부를 덮도록, 소정의 상하 폭을 갖는 상태이면서 또한 외주연을 따르도록 평면에서 볼 때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약제 살포 장치(13)에는, 조출 기구(25) 및 확산 방출 기구(2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 장치(66)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 장치(66)는, 포장의 단위 면적당 설정량의 약제를 공급하도록 조출 기구(25)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통상 작업용 회전수로 회전 구동하는 통상 작업용 구동 상태로 약제를 포장에 확산 방출시키도록 확산 방출 기구(27)를 작동시키는 통상 살포 동작을 실행하는 통상 작업 모드와, 통상 작업 모드에 있어서의 조출량과 동등한 조출량으로 약제를 조출하도록 조출 기구(25)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통상 작업용 구동 상태보다 약제의 비산이 적은 계량용 구동 상태로 확산 방출 기구(27)를 작동시키는 계량용 동작을 실행하는 계량용 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66)는, 최소 조절 위치와 최대 조절 위치의 사이의 조작 범위 내에서 조작 가능한 수동 조작식의 조절 조작구로서의 포텐시오미터식의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에 기초하여, 조출 기구(25)에 의한 약제의 조출량을 변경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약제의 조출량을 조절할 때의 조절 조작 상태로서,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에서 최대 조절 위치로 변화됨에 따라서 약제의 조출량이 점차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조절 조작 상태이면서 또한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동일할 때의 약제의 조출량이 서로 다른 2개의 조절 조작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어 장치(66)의 조절 조작 상태의 전환을 지령하는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K)의 일례인 조정 조작구로서의 전환 스위치(69)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66)는 전기 제어 유닛(28)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 기체(3)에는 충전식의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고, 엔진(4)에 의해 구동되는 외부 전원으로서의 발전기(61)(예를 들어, 전조등 등을 점등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발전기 등)에서 발전된 전력이 전기 제어 유닛(28)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3)에는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엔진(4)은 리코일식의 시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기 제어 유닛(28)은, 전원 온오프 스위치(62)를 통해 공급되는 발전기(61)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정류 회로(63)에 의해 정류한 후, 제1 레귤레이터 회로(64)에 의해 직류 12V로 전압 조정하고, 그 직류 12V의 전력을 전동 모터(41) 및 솔레노이드(34)의 구동용의 전력으로서 이용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1 레귤레이터 회로(64)의 출력을 제2 레귤레이터 회로(65)에 의해 직류 5V로 전압 조정해서 제어 장치(66)의 구동용 전력으로서 이용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직류 12V의 전력은, 제어 장치(66)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67)를 통해 솔레노이드(34)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직류 12V의 전력은 전동 모터(41)에도 공급되는데, 제어 장치(66)에 의해 예를 들어 펄스폭 변조에 의해 전동 모터(41)에 공급하는 전력을 조정하는 구동 회로(71)와, 전동 모터(4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홀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센서(72)가 설치되고, 회전 센서(72)의 검출 결과를 제어 장치(66)에 피드백하여 설정 회전수로 수용체(51)를 회전하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 장치(66)가, 구동 회로(71)에 출력하는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해서 전동 모터(41)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도록, 전동 모터(41)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발전기(61)에 의한 발전 상태가 변동하는 것 등에 기인해서 전원 전압이 변동하는 경우가 있어도, 전동 모터(41)에 의해, 수용체(51)를 설정 회전수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센서(72)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소형의 프린트 배선 기판에 단자를 납땜하여 고정되는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며, 그 상방측은 프린트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절연용의 레지스트막에 의해 방수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고, 납땜된 개소는 별도로 방습용 시일재로 방수 시일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수용체(51)가 회전하는 설정 회전수로서는, 통상 작업 모드에서는 고속의 통상 작업용 회전수가 설정되고, 계량용 모드에서는 통상 작업용 회전수보다 저속의 계량용 회전수가 설정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69) 및 전원 온오프 스위치(62)는 1개의 로터리 스위치(RS)로 구성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RS)는, 3위치로 전환이 자유로우며, 중앙의 "오프" 위치로 조작하면, 전원 온오프 스위치(62)가 오프 상태가 되고, "A" 위치 및 "B" 위치로 조작하면, 전원 온오프 스위치(62)가 온 상태가 되며 또한 "A" 위치 또는 "B" 위치의 차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장치(66)의 조절 조작 상태가 서로 다른 것으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69) 및 전원 온오프 스위치(62)를 겸용하는 1개의 로터리 스위치(RS) 및 살포량 조절기(68)가, 케이싱(29)의 가로 일측면의 조작 패널면(73)에 배열하여 구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패널면(73)에는, 계량용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누름 조작식의 계량 스위치(74)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66)에서의 조절 조작 상태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로터리 스위치(RS)가 "A" 위치로 조작되면,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에서 최대 조절 위치로 변화됨에 따라서, 솔레노이드(34)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개방 작동용의 설정 시간(약제의 조출량에 상당)(이하, 개방 작동 시간이라고 칭함)이 점차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조절 조작 상태이며 또한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동일할 때의 개방 작동 시간이 적은 상태가 되는 제1 조절 조작 상태(T1)가 설정된다(도 16 참조).
또한, 로터리 스위치(RS)가 "B" 위치로 조작되면,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에서 최대 조절 위치로 변화됨에 따라서 개방 작동 시간이 점차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조절 조작 상태이며 또한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동일할 때의 개방 작동 시간이 제1 조절 조작 상태(T1)보다 커지는 제2 조절 조작 상태(T2)가 설정된다(도 16 참조).
덧붙여서 말하면, 포장의 단위 면적당 적은 양을 공급하는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조절 조작 상태(T1)가 사용되고, 포장의 단위 면적당 많은 양을 공급하는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조절 조작 상태(T2)가 사용된다.
그리고, 모심기 장치(12)에 있어서의 세로 이송 장치(21)가 이송 작동한 것을 검출하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가 구비되고, 상기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의 출력이 제어 장치(66)에 입력되어 있어,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통상 작업 모드에서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살포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제어 유닛(28)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 부품이 프린트 배선 기판 상에 장착되어 있고, 케이싱(29)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제어 유닛(28)과 주행 기체(3)의 사이에서의 전기 배선(77)은, 도중에 구비된 커넥터(78)에 의해 접속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전기 제어 유닛(28)과 커넥터(78)에 있어서의 약제 살포 장치측의 접속구(78A)와는, 케이싱(29)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전기 제어 유닛(28)측의 전기 배선(7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78)에 있어서의 약제 살포 장치측의 접속구(78A)가, 좌우 양측의 분할 케이싱 부분(29a, 29b)의 맞춤면(w)에 의해 끼워 넣어지는 상태로 케이싱(29)에 장착되어 있다. 즉, 케이싱(29)의 하면(29A)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좌우 양측의 분할 케이싱 부분(29a, 29b)에, 접속구(78A)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장착하기 위한 설치부(90)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설치부(90)는 케이싱(29)의 하면(29A)보다 외측(하방측)으로 팽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구(78A)의 케이스 내측 부분이 이 외측으로 팽출되어 있는 부분[설치부(90)]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케이싱(29)의 내부에 수용되는 부재,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제어 유닛(28)이나 솔레노이드(34) 등의 배치에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케이싱(29)의 외형 형상을 콤팩트한 형상으로 하면서 접속구(78A)를 배치할 수가 있다.
약제 살포 장치(13)를 조립할 때는, 좌우 양측의 분할 케이싱 부분(29a, 29b)은, 전동 모터(41)나 솔레노이드(34) 등을 내부에 내장한 상태에서, 맞춤면(w)에서 접속하도록 위치 정렬한 상태로 복수 개소를 나사 고정함으로써 일체적으로 1개의 케이싱(29)으로서 연결되게 되는데, 이러한 좌우 양측의 분할 케이싱 부분(29a, 29b)의 접속 작업 시에, 설치부(90)에 접속구(78A)를 끼워 넣는 상태로 장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 5,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78A)는, 외부 전원측의 접속구로서의 상대측의 접속구(78B)를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삽입 장착되는 형태이며, 그 삽입구(78A1)를 하향으로 개방하는 상태이면서 또한 케이싱(29)의 하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9)의 하면에서의 하부 맞춤면 부분(w1)에 있어서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개소, 즉, 접속구(78A)의 상부측 개소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장착하기 위한 장착 개소로서의 상기 설치부(90)에, 물기 배출 구멍으로서의 물기 배출용 개구(k)가 형성되어 있어, 케이싱(29) 내에 수분이 침입해도 상기 개구(k)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78)의 접속을 해제하고 전기 배선(77)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약제 살포 장치(13) 전체를 지지 기둥(23B)에 대해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9)에 측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절곡된 지지 브래킷(89)이 나사 고정 상태로 고정되고, 한편, 지지 기둥(23B)의 상부에 측면에서 볼 때 L자형의 수용구(88)가 고정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구(88)에 좌우 한 쌍의 버클 기구(87)가 구비되어 있다.
수용구(88)에는, 그 세로면부(88A)의 하단부에 지지 브래킷(89)의 하단부 테두리(89A)를 수용 지지하는 하측 수용부(88B)가 형성되는 동시에, 세로면부(88A)의 상부에는, 지지 브래킷(89)에 형성된 결합 구멍(89B)이 서로 끼워져 결합되어 수용 지지하는 상측 수용부(88C)가 형성되고, 수용구(88)의 세로면부(88A)와 지지 브래킷(89)의 세로면부(89C)가 접촉한 상태에서, 각 수용부(88B, 88C)에 의해 지지 브래킷(89)을 수용하고 있는 상태이며, 좌우의 버클 기구(87)를 지지 브래킷(89)에 형성된 걸림부(89D)에 결합시킨 상태로 위치 유지 가능 및 제거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작업 종료 후에 주행 기체(3)나 모심기 장치(12) 등을 물로 세척하는 경우에, 버클 기구(87)를 떼어냄으로써 약제 살포 장치(13) 전체를 제거해 둘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66)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4)을 시동해서 로터리 스위치(RS)가 "오프" 위치에서 "A" 위치 또는 "B" 위치로 조작되어 제어 장치(66)가 기동하면, 통상 작업 모드로 설정되어 수용체(51)가 통상 작업용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전동 모터(41)를 구동 제어한다. 그리고, 계량 스위치(74)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승용형 전식기에 의한 모이식 작업을 개시하고,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가 세로 이송 장치(21)의 이송 작동이 설정 횟수 행해진 것을 검출하고, 상기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로부터 검출 신호(조출용 작업 신호의 일례)가 입력되면, 그때마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해서 설정되는 개방 작동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만 셔터 부재(33)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에 폐쇄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솔레노이드(34)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방 작동 조작(통상용 조출 작동)을 실행한다.
세로 이송 장치(21)의 이송 작동이 설정 횟수 행해지면, 주행 기체(3)가 설정 거리 주행하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살포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승용형 전식기가 모이식 작동을 실행하면서 주행을 행하고 있을 때에, 주행 기체(3)가 설정 거리 주행할 때마다, 설정 조분의 기존 이식모가 존재하는 영역(약제 공급 대상 영역)에 솔레노이드(34)의 개방 작동 시간에 대응하는 양의 약제를 살포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 실행함으로써, 포장의 단위 면적당 소정량의 약제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통상 살포 동작에 대응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통상 작업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계량 스위치(74)가 설정 시간(몇초간) 이상 연속해서 누름 조작(길게 누름)되면, 계량용 모드로 전환된다. 계량용 모드로 전환되면,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도, 수용체(51)가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전동 모터(41)를 구동 제어하는 동시에, 통상 작업 모드에서의 조출량과 동등한 조출량으로 약제를 조출하도록, 설정 횟수만큼 솔레노이드(34)의 개방 작동(계량용 조출 작동)을 반복 실행한다. 이러한 동작이 계량용 동작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계량용 모드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계량 스위치(74)를 길게 누를 필요가 있으며, 잘못해서 단시간만 조작했을 경우에, 작업자의 뜻에 반하여 계량용 모드로 바뀌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계량 스위치(74)의 조작에 의한 계량용 모드로의 전환의 다른 형태로서, 예를 들어, 소정 시간 내에 설정 횟수 이상 누름 조작을 반복하면 계량용 모드로 전환하는 형태 등, 다른 형태이어도 좋다.
상기 계량용 동작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통상 작업 모드에 있어서 포장의 단위 면적(예를 들어, 10a)당 소정량의 약제를 살포한다고 설정한 경우에는, 이 소정량의 약제를 조출하는데 필요한 미리 설정되는 설정 횟수만큼 조출 기구(25)를 개방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그때, 확산 방출 기구(27)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미리 준비한 회수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방출되는 약제를 회수하여 약제의 양을 계측하게 된다.
계량용 동작이 종료한 후에는, 계량 스위치(74)가 다시 길게 누름 조작되거나, 또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수용체(51)가 통상 작업용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전동 모터(41)를 구동 제어하는 상태로 복귀하여, 로터리 스위치(RS)가 "오프" 위치로 조작될 때까지 통상 살포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계량 스위치(74)의 조작에 의한 계량용 모드에서 통상 작업 모드로의 전환의 다른 형태로서, 예를 들어, 소정 시간 내에 설정 횟수 이상 누름 조작을 반복하면 통상 작업 모드로 전환하는 형태 등, 다른 형태이어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66)의 기동시에 전동 모터(41)가 통상 작업용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제어 장치(66)가 전원 투입되어 기동하면,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시키도록 확산 방출 기구(27)의 작동을 제어하는 예비 모드로 설정되게 구성되고, 그 예비 모드에서 수동 조작식의 계량 지령 수단으로서의 계량 스위치(74)에 의해 계량의 개시가 지령되면 계량용 모드로 전환되고, 예비 모드에서 작업의 개시가 지령되면 통상 작업 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면 좋다.
구체적인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4)을 시동해서 로터리 스위치(RS)가 "오프" 위치에서 "A" 위치 또는 "B" 위치로 조작되어 제어 장치(66)가 기동하면, 수용체(51)가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전동 모터(41)를 구동 제어한다. 그리고, 그 후, 계량 스위치(74)가 온 조작되면, 수용체(51)가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전동 모터(41)를 구동 제어하는 동시에, 통상 작업 모드에서의 조출량과 동등한 조출량으로 약제를 조출하도록, 설정 횟수만큼 솔레노이드(34)의 개방 작동 조작(계량용 조출 작동)을 반복 실행한다.
그리고, 전동 모터(41)가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하고 있는 예비 모드에서,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로부터 검출 신호(조출용 작업 신호)가 입력되면 통상 작업 모드로 전환되어, 수용체(51)가 통상 작업용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전동 모터(41)를 구동 제어한다. 그 후에는, 세로 이송 장치(21)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전환 스위치(69)의 조작에 기초하는 조절 조작 상태와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정 위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개방 작동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만 셔터 부재(33)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에 폐쇄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솔레노이드(34)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방 작동 조작(통상용 조출 작동)을 실행한다. 이러한 통상 살포 동작을 로터리 스위치(RS)가 "오프" 위치로 조작될 때까지 실행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계량용 모드에서의 계량용 구동 상태로서, 조출 기구(25)에 의해 설정량의 약제를 조출하고 그 조출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동안,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시키도록 확산 방출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게 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다음의 (2-1), (2-2)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2-1) 제어 장치(66)가, 계량용 모드에서의 계량용 구동 상태로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소정량의 약제를 조출하는데 필요한 것으로서 미리 설정되는 설정 횟수만큼 조출 기구(25)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고, 조출 기구(25)에 의해 설정량의 약제를 조출하고 그 조출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확산 방출 기구(27)에서의 전동 모터(41)의 회전을 정지시켜 둔다. 그리고, 조출 기구(25)에 의한 약제의 조출 작동이 정지한 후에, 설정 시간(예를 들어, 몇초간)만큼 전동 모터(41)를 회전시켜, 수용체(51)에 적재되어 있는 약제를 외측의 회수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방출시키도록 확산 방출 기구(27)에서의 전동 모터(41)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
(2-2) 제어 장치(66)가, 계량용 모드에서의 계량용 구동 상태로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소정량의 약제를 조출하는데 필요한 미리 설정되는 설정 횟수만큼 조출 기구(25)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고, 조출 기구(25)에 의해 설정량의 약제를 조출하고 그 조출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동안, 소정의 단시간(예를 들어 몇초간)씩 회전 상태와 회전 정지 상태를 교대로 현출시키는 형태로 확산 방출 기구(27)에서의 전동 모터(41)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K)이 수동 조작식의 전환 조작구로서 로터리 스위치(RS)로 전환 조작되는 전환 스위치(69)로 구성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다음의 (3-1), (3-2), (3-3)과 같이 구성해도 좋다.
(3-1) 2위치로 전환이 자유로운 토글식의 전환 스위치나, 한 쌍의 누름 조작식의 전환 스위치로 구성하는 것.
(3-2) 수동 조작식의 전환 조작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행 기체(3)측으로부터 전환용의 조작 정보가 지령되고, 그 지령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 조작 상태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주행 기체(3)의 조종부(7)에 구비된 조작구(도시하지 않음)의 정보가 커넥터(78)로 접속 분리 가능한 배선(77)을 통해 제어 장치(66)에 전달되는 구성이나, 혹은, 주행 기체(3)측의 제어 장치에 출하국이나 출하 지역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환용 정보가, 출시 시의 본 기체측의 설정 변경에 따라 배선(77)을 통해 제어 장치(66)에 전달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3-3) 분립체의 종류는 2종류에 한하지 않고, 3종류 이상의 분립체에 대응하기 위해 3개 이상의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계량 지령 수단으로서, 누름 조작식의 계량 스위치(74)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2위치 전환식의 스위치나 로터리 스위치 등,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계량용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계량 개시 전용의 스위치와, 계량 모드를 해제하고 통상 작업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계량 해제 전용의 스위치를 설치하는 구성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 형성판(32)과 셔터 부재(33)에 의해 통과용 개구(31)를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통과용 개구(31)가 형성된 개구 형성판(32), 솔레노이드(34)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33)에 더하여, 셔터 부재(33)를 하방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누름 조작하는 판 스프링식의 압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상하로 겹친 3층 구조로 하는 등, 다양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 이송 장치(21)의 이송 작동이 설정 횟수 행해진 것을 검출할 때마다, 셔터 부재(33)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도록 솔레노이드(34)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그 대신에, 주행 기체(3)가 설정 거리 주행할 때마다 셔터 부재(33)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립체로서 약제를 살포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약제에 한하지 않고, 비료나 종자 등 다른 분립체를 살포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립체 살포 장치가 승용형 전식기의 후방부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포장을 보행하면서 보행형 전식기를 조종하는 작업자의 등에 짊어진 상태에서 살포 작업을 행하는 형태의 분립체 살포 장치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분립체를 설정량씩 조출해서 확산 방출시키도록 구성된 분립체 살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24 : 저류부 25 : 조출 수단
27 : 확산 수단 41 : 전동 모터
51 : 수용체 51A : 수용면
52 : 확산용 날개체 66 : 제어 수단
68 : 조절 조작구 74 : 계량 지령 수단 
K :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

Claims (8)

  1. 저류부에 저류되는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 수단과, 상기 조출 수단으로부터 조출되는 분립체를 포장에 확산 방출시키는 회전 구동식의 확산 수단과, 상기 조출 수단과 상기 확산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분립체 살포 장치이며,
    상기 제어 수단이,
    포장의 단위 면적당 설정량의 분립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조출 수단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통상 작업용 회전수로 회전 구동하는 통상 작업용 구동 상태에서 분립체를 포장에 확산 방출시키도록 상기 확산 수단을 작동시키는 통상 살포 동작을 실행하는 통상 작업 모드와,
    상기 통상 작업 모드에서의 조출량과 동등한 조출량으로 분립체를 조출하도록 상기 조출 수단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통상 작업용 구동 상태보다 분립체의 비산이 적은 계량용 구동 상태에서 상기 확산 수단을 작동시키는 계량용 동작을 실행하는 계량용 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살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계량용 구동 상태로서, 상기 조출 수단에 의해 설정량의 분립체를 조출하고 그 조출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통상 작업용 회전수보다 저속의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확산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살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전원 투입되어 기동하면,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확산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예비 모드로 설정되게 구성되어, 그 예비 모드에서 수동 조작식의 계량 지령 수단에 의해 계량의 개시가 지령되면 상기 계량용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예비 모드에서 작업의 개시가 지령되면 상기 통상 작업 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살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계량용 구동 상태로서, 상기 조출 수단에 의해 설정량의 분립체를 조출하고 그 조출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상기 확산 수단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또한, 분립체의 조출 작동이 정지한 후에 설정 시간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확산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살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계량용 구동 상태로서, 상기 조출 수단에 의해 설정량의 분립체를 조출하고 그 조출 작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동안에, 회전 상태와 회전 정지 상태를 교대로 현출시키는 형태로 상기 확산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살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통상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조출용 작업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서 상기 통상 살포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량용 모드로 전환되면, 조출용 작업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도 상기 계량용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살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수단이, 횡방향 자세의 수용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종방향의 회전 축심 둘레로 구동 회전되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면에 세워 설치된 확산용 날개체와, 상기 수용체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살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수동 조작식의 조절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조출 수단에 의한 분립체의 조출량을 변경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분립체의 조출량을 조절할 때의 조절 조작 상태로서, 상기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에서 최대 조절 위치로 변화됨에 따라서 분립체의 조출량이 점차로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조절 조작 상태이며 또한 상기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동일할 때의 분립체의 조출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의 상기 조절 조작 상태의 전환을 지령하는 수동 조작식의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계량용 모드에서의 분립체의 살포량이 상기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 및 상기 조절 조작구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살포량이 되도록, 상기 조출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살포 장치.
KR1020110095225A 2011-01-27 2011-09-21 분립체 살포 장치 KR101296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5464 2011-01-27
JP2011015464A JP4944996B1 (ja) 2011-01-27 2011-01-27 粉粒体散布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064A true KR20120087064A (ko) 2012-08-06
KR101296057B1 KR101296057B1 (ko) 2013-08-12

Family

ID=4649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225A KR101296057B1 (ko) 2011-01-27 2011-09-21 분립체 살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944996B1 (ko)
KR (1) KR101296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4835B1 (ja) * 2011-06-17 2012-10-2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用の電源供給装置
JP6858953B2 (ja) * 2016-12-28 2021-04-14 松山株式会社 農作業機用散布量調整システム
JP2019110789A (ja) * 2017-12-21 2019-07-11 株式会社クボタ 圃場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104119A (nl) * 1981-09-07 1983-04-05 Lely Nv C Van Der Inrichting voor het verspreiden van korrel- en/of poedervormig materiaal.
JP2659516B2 (ja) * 1994-04-28 1997-09-30 カンリウ工業株式会社 自走式肥料散布機
JP4444978B2 (ja) 1998-02-24 2010-03-31 ヤマト農磁株式会社 田植機搭載型農薬散布装置
JP4454278B2 (ja) * 2003-10-07 2010-04-21 ヤマト農磁株式会社 田植機搭載型農薬散布装置
KR200339886Y1 (ko) 2003-10-14 2004-01-28 박종문 자주식 비료살포기
JP5519918B2 (ja) * 2008-09-30 2014-06-11 株式会社クボタ 散布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44996B1 (ja) 2012-06-06
JP2012152170A (ja) 2012-08-16
KR101296057B1 (ko) 201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057B1 (ko) 분립체 살포 장치
CN108347879A (zh) 动力手持式撒布机
US20140174368A1 (en) Plunger gate animal feeder attachment
JP5735261B2 (ja) 薬剤散布装置
KR101973927B1 (ko) 무논 작업기
KR101812810B1 (ko) 분립체 살포 장치
JP4939089B2 (ja) 散布装置
JP5498409B2 (ja) 粉粒体散布装置
JP5457774B2 (ja) 粉粒体散布装置
CN101273683B (zh) 手摇施肥器
JP3715622B2 (ja) 田植機搭載式散布機
JP5702176B2 (ja) 乗用型田植機
JPH0623214Y2 (ja) 電動散粒機
JP5835960B2 (ja) 作業機
KR20120139533A (ko)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
JP5411831B2 (ja) 水田作業機
JP5735357B2 (ja) 粉粒体散布装置
JP3843065B2 (ja) 散布材容器、散布機及び散布材投入方法
JP5258933B2 (ja) 作業車用のソレノイド駆動装置
FI76988B (fi) Apparat foer toemning av pulver, granulat och liknande massa fraon en behaollare.
JP5735356B2 (ja) 作業車用の電源供給装置
KR20180103171A (ko) 이앙기
JPH08168332A (ja) 田植機装着式薬剤散布装置
JP2020110120A (ja) 粉粒体散布装置
JP2017000048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