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533A -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533A
KR20120139533A KR1020120023854A KR20120023854A KR20120139533A KR 20120139533 A KR20120139533 A KR 20120139533A KR 1020120023854 A KR1020120023854 A KR 1020120023854A KR 20120023854 A KR20120023854 A KR 20120023854A KR 20120139533 A KR20120139533 A KR 20120139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power supply
regulator circuit
power
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007B1 (ko
Inventor
겐이찌 이와미
유우끼 시모이께
시게끼 하야시
마사아끼 니시나까
가즈마사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35530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89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35531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4835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20139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ertiliz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작업차에 장비되는 발전기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어도, 그 후의 작업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를 적절하게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전원부(DG)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력 공급로(64)를 통하여 솔레노이드(34)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전원부(DG)가, 차체에 구비된 엔진(4)으로 구동되는 발전기(61)와, 그 발전기(61)에 의해 출력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63)로 구성되고, 이 전원부(DG)로부터 전력 공급로(64)를 통하여 솔레노이드(34)에 전력을 그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전력 공급로(64)를 통하여 솔레노이드(34)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 수단(66)과, 전류 검출 수단(66)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값이 설정값으로 되도록 솔레노이드(34)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28)이 구비되어 있다.
작업차에 장비되는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어도, 그 후의 작업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다른 구동 장치, 및, 제어 수단을 양호하게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차체에 구비된 엔진(4)으로 구동되는 발전기(61)와, 그 발전기(61)에 의해 출력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63)로 구성되는 전원부(DG)로부터, 전력 공급로(64)를 통하여 솔레노이드(34)에 전력을 그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전력 공급로(64)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34)의 상류측 개소로부터 분기하는 상태로 분기 전력 공급로(70)가 설치되고, 분기 전력 공급로(70)로부터 레귤레이터 회로(83, 84, 85)를 통하여 전동 모터(41) 및 솔레노이드(3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28)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SOLENOID DRIV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APPARATUS FOR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솔레노이드 및 다른 구동 기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된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에 장비되는 약제 살포 장치에 적용한 것에 있어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 것이 있었다.
즉, 약제 살포 장치는,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약제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조출 기구에 의해 조출하도록 구성되고, 작업차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에 의해 솔레노이드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의 일례로서의 승용형 이앙기에 장비되는 약제 살포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 있었다.
즉, 약제 살포 장치는,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약제를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조출 기구에 의해 조출하면서, 다른 구동 장치의 일례로서의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확산용 날개에 의해 확산시켜 방출시키도록 구성되고, 작업차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에 의해, 솔레노이드나 전동 모터 및 그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등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151559호 공보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작업차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솔레노이드가 구동되는 것이므로,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되어 있으면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지장은 발생하지 않지만, 작업차가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방치되어 있었던 후에,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배터리가 방전되어 충분한 전력이 얻어지지 않는 상태로 되고,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양호하게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특히, 승용형 이앙기와 같이, 1년 중 단기간의 동안만 작업을 행하고, 그 후, 약 1년간 작업을 행하지 않는 작업차이면,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작업차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솔레노이드, 다른 구동 장치, 및, 제어 수단이 구동되는 것이므로,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되어 있으면 그들의 각 장치의 작동에 지장은 발생하지 않지만, 작업차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방치되어 있었던 후에,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배터리가 방전되어 충분한 전력이 얻어지지 않는 상태로 되어, 상기 각 장치의 작동을 양호하게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특히, 승용형 이앙기와 같이, 1년 중 단기간의 동안만 작업을 행하고, 그 후, 약 1년간 작업을 행하지 않는 작업차이면,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지 않은 상태가 계속되어도, 작업차에 장비되는 발전기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그 후의 작업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를 적절하게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에 걸쳐 작업차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된 후에 있어서도, 작업차에 장비되는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각 부의 작동을 양호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는,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그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전원부가, 차체에 구비된 엔진으로 구동되는 발전기와, 그 발전기에 의해 출력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로 구성되고, 이 전원부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력을 그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 수단과, 상기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값이 설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의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작업차의 차체에 탑재되어 있는 엔진이 작동되면, 그 엔진의 동력에 의해 발전기가 구동되고, 그 발전기에 의해 출력된 전력이 정류 회로에 의해 직류로 변환되어, 그 직류로 변환된 전력이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에 그대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값이 검출되고,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값이 설정값으로 되도록,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값이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즉, 엔진이 작동되면, 그 엔진의 동력에 의해 발전이 행해지므로, 장기간에 걸쳐 작업차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라도, 적절하게 솔레노이드에 대한 구동용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값이 설정값으로 되도록 제어되므로, 솔레노이드가 적정한 전류값에 의해 적정하게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이어져도, 작업차에 장비되는 발전기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그 후의 작업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를 적절하게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솔레노이드가,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의 변동 폭의 하한값보다도 낮은 정격 전압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펄스 폭 변조에 의해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의 스풀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펄스 폭 변조에 있어서의 듀티비를 변경 조절 가능 범위의 최대값 또는 그에 가까운 고듀티비로 조정하고, 상기 스풀의 이동 조작이 종료되어 이동 위치에서 유지할 때에는, 상기 듀티비를 상기 고듀티비보다도 낮은 저듀티비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의 제2 특징 구성에 따르면, 솔레노이드가,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의 변동 폭의 하한값보다도 낮은 정격 전압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원부의 전원 전압이 변동되어 변동 폭의 하한값으로까지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도, 솔레노이드는 적정하게 작동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제어 수단은,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펄스 폭 변조에 의해 제어하지만, 솔레노이드의 스풀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스풀을 이동 조작하기 위해 큰 전자기 흡인력을 필요로 한다. 그때에는, 펄스 폭 변조에 있어서의 듀티비를 변경 조절 가능 범위의 최대값 또는 그에 가까운 고듀티비로 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큰 전류를 공급하여 스풀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풀의 이동 조작이 종료된 후에는, 스풀을 그 이동한 위치에서 유지시킬 필요가 있지만, 그때의 유지력은 이동 조작시에 비해 작고, 전자기 흡인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에 흘리는 전류값을 적은 것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펄스 폭 변조에 있어서의 듀티비를 저듀티비로 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전류값을 작은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나 발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원부의 전압 변동에 관계없이 솔레노이드에 의한 조작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의 이동 조작 및 유지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고듀티비가 변경 조절 가능 범위의 최대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저듀티비가, 상기 스풀을 이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유지용 전류값에 상당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의 제3 특징 구성에 따르면, 솔레노이드의 스풀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듀티비가 변경 조절 가능 범위의 최대값으로 설정되므로,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스풀을 양호하게 이동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풀을 이동 위치에서 유지할 때에는, 스풀을 이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유지용 전류값에 상당하는 듀티비로 설정되므로, 스풀을 이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최소 한도의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에 있어서의 스풀의 이동 조작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불필요한 전력 소비나 발열을 최대한 적게 하는 상태로 스풀을 이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의 제4 특징 구성은, 작업차의 작업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를 작동하기 위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검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의 스풀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상기 검출 센서의 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의 제4 특징 구성에 따르면, 작업차의 작업 상황에 기초하여 검출 센서가 솔레노이드를 작동하기 위한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 수단이, 검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검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작업차의 작업 상황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것이므로, 작업차의 작업 상황에 따라서는, 출력되는 상태와 출력되지 않은 상태가 있다. 이로 인해, 제어 수단은, 검출 센서로부터 검출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항상 감시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솔레노이드의 스풀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력이 소비되므로, 제어 수단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이 일시적으로 낮은 전압으로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제어 수단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이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하회하는 경우가 있으면, 제어 수단에 의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솔레노이드의 제어를 양호하게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의 스풀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제어 수단이 검출 센서의 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하여, 오작동에 의한 잘못된 판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솔레노이드의 스풀을 이동 조작할 때에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고 있는 상태이므로, 그때에는, 검출 센서의 신호의 유무를 판별할 필요는 없어,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수단이 전압 저하에 기인하여 검출 센서의 신호의 유무를 오 판별하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적정하게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솔레노이드 및 다른 구동 기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된 것이며, 그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전원부가, 차체에 구비된 엔진으로 구동되는 발전기와, 그 발전기에 의해 출력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로 구성되고, 이 전원부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력을 그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력 공급로에 있어서의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류측 개소로부터 분기하는 상태로 분기 전력 공급로가 설치되고,
이 분기 전력 공급로로부터 레귤레이터 회로를 통하여 상기 다른 구동 기기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작업차의 차체에 탑재되어 있는 엔진이 작동되면, 그 엔진의 동력에 의해 발전기가 구동되고, 그 발전기에 의해 출력된 전력이 정류 회로에 의해 직류로 변환되어, 그 직류로 변환된 전력이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에 그대로 공급되게 된다. 즉, 엔진이 작동되면, 그 엔진의 동력에 의해 발전이 행해지므로, 작업차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라도, 그 후에 있어서 작업을 개시할 때에, 적절하게 솔레노이드에 대한 구동용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는, 내장되는 스프링에 의한 복귀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풀을 이동시키는 데에 필요한 전압이 공급되면 작동하지만, 그때에 필요한 전압을 크게 초과하는 전압이 일시적으로 인가되는 경우가 있어도, 스풀이 이동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뿐이며 다른 작동에 지장이 발생할 우려는 없다. 이에 대해 전동 모터 등 다른 구동 기기나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나 전자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수단은, 정격 전압을 크게 초과하는 전압이 인가되면, 문제가 발생하여 그 후 양호한 작동을 행할 수 없는 것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로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의 상류측 개소로부터 분기하는 상태로 분기 전력 공급로가 설치되고, 이 분기 전력 공급로로부터 레귤레이터 회로를 통하여 다른 구동 기기 및 제어 수단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다른 구동 기기 및 제어 수단에 대해서는, 분기 전력 공급로로부터 레귤레이터 회로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다른 구동 기기 및 제어 수단에 대하여 과대한 전압이 인가되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양호한 작동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솔레노이드에 대한 전력 공급로에도 레귤레이터 회로를 설치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레귤레이터 회로는, 입력되는 전압이 조정 전압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조정 전압 이하의 낮은 전압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출력하는 것이므로, 그 전위 차분만큼 전력 손실로 되는 것이며,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는, 필요한 전압을 크게 초과하는 전압이 일시적으로 인가되는 경우가 있어도 작동에 특별히 지장이 발생할 우려는 적으므로, 솔레노이드에 대해서는, 전원부로부터 전력 공급로에 공급되는 전력을 그대로 공급하도록 하여, 전력 손실이 적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즉, 그로 인해,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전력 손실이 가능한 한 적어지는 상태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작업차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된 후에 있어서도, 작업차에 장비되는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각 부의 작동을 양호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레귤레이터 회로로서, 상기 분기 전력 공급로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조정 전압이 높은 고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가 위치하고, 하류측에 조정 전압이 낮은 저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가 위치하도록 직렬로 접속되는 상태에서, 조정 전압이 다른 복수의 레귤레이터 회로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제2 특징 구성에 따르면, 발전기에 의해 출력된 전력이 정류 회로에 의해 직류로 변환되어, 그 직류로 변환된 전력이, 전력 공급로 및 분기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고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에 공급되고, 그 고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에 의해 조금 높은 조정 전압으로 조정된다. 그리고, 고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력은 하류측에 설치된 저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에 공급되고, 그 저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에 의해 조금 낮은 조정 전압으로 조정되어, 다른 구동 기기나 제어 수단에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조정 전압이 다른 복수의 레귤레이터 회로가 설치되는 구성이 아니라, 발전기에 의해 출력되고 또한 정류 회로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전력을 조금 낮은 조정 전압으로 조정하기 위한 1개의 레귤레이터 회로를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입력되는 전압과 조정 전압 사이의 전위차가 크므로, 그 레귤레이터 회로의 전력 손실이 커져, 그 만큼 발열량도 커지므로, 레귤레이터 회로가 대형인 것으로 되는 불리함이 있다.
이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와 저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가 직렬로 접속되는 상태에서, 조정 전압이 다른 복수의 레귤레이터 회로를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복수의 레귤레이터 회로는, 입력되는 전압과 조정 전압 사이의 전위차가 작은 것으로 되어, 전력 손실이 적고 발열량이 적은 것으로 된다. 그 결과, 방열을 위한 부재도 작은 것에 대응할 수 있어, 레귤레이터 회로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되는 전압과 조정 전압 사이의 전위차를 적절한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레귤레이터 회로로서 시판되고 있는 저렴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따라서, 소형이면서 전력 손실이 적고 발열량도 적은 레귤레이터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장치를 대형화시키거나, 고비용을 초래하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전압 조정이 필요한 다른 구동 기기나 제어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저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로서, 상기 다른 구동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와, 상기 제어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가, 상기 고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의 하류측에 병렬로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제3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고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의 하류측에 병렬로 접속되는 상태에서, 다른 구동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와, 상기 제어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에 의해 다른 구동 기기에 대하여 적절한 전압으로 되는 조정 전압으로 조정된 전력이 다른 구동 기기에 공급되고, 또한, 제2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에 의해 제어 수단에 대하여 적절한 전압으로 되는 조정 전압으로 조정된 전력이 제어 수단에 공급되게 된다.
고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 제1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및, 제2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로서, 소형이면서 전력 손실이 적고 발열량도 적은 레귤레이터 회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서, 다른 구동 기기 및 제어 수단의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전압으로 조정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다른 구동 장치 및 제어 수단에 대해서 양호한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제4 특징 구성은, 상기 솔레노이드가 작업차에 구비된 약제 살포 장치에 있어서의 약제 조출용의 솔레노이드이며, 상기 다른 구동 기기가 약제 살포용의 날개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인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제4 특징 구성에 따르면,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수납되어 있는 약제의 조출이 행해지고, 다른 구동 장치로서의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확산용 날개에 의해 확산시켜 방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차에 구비된 발전기의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한 약제의 조출 작동과 전동 모터에 의한 약제의 확산 방출 작동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약제 살포 장치의 배면도.
도 4는 약제 살포 장치의 저면도.
도 5는 약제 살포 장치의 일부 측면도.
도 6은 약제 살포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 7은 조출 기구의 종단 측면도.
도 8은 조출 기구의 횡단 평면도.
도 9는 조출 기구의 종단 정면도.
도 10은 조출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조절 조작 위치와 개방 작동 시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약제 살포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13은 약제 살포 장치의 전원 공급 상태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14는 조출 작동의 타이밍 챠트.
도 15는 솔레노이드 구동 전류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를 승용형 이앙기에 장비한 약제 살포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를 승용형 이앙기에 장비한 약제 살포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용형 이앙기는, 조향 조작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전륜(1) 및 좌우 한 쌍의 후륜(2)을 구비한 주행 기체(機體)(3)의 전방부측에, 엔진(4) 및 미션 케이스(5)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3)의 중앙부에 스티어링 핸들(6) 등을 장비한 조종부(7)와 운전 좌석(8)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또한, 주행 기체(3)의 좌우 양측에 예비 모 적재대(9)가 배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3)의 후방에는, 리프트 실린더(10)의 조작에 의해 링크 기구(11)를 통하여 승강 조작 가능하게 모 이식 장치(12)가 연결되고, 그 모 이식 장치(12)의 후방에, 제초제 등의 약제를 살포하는 약제 살포 장치(13)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 이식 장치(12)는 4줄 이식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5)에는, 변속 레버(16)를 조작함으로써 변속 조작되는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 이식 장치(12)는, 1개의 피드 케이스(14)에 연결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2개의 동력 전달 케이스(15)가 후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동력 전달 케이스(15)의 후방부의 좌우 양측부에 이식 아암(18)이 크랭크 기구(17)에 의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식 아암(18)에 이식 갈고리(22)가 구비되어 있고, 모 이식 장치(12)의 하부에는 접지 플로트(19)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모 이식 장치(12)에는, 모 적재대(20)가 좌우로 일정 스트로크로 왕복 가로 이송 구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모 적재대(20)가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할 때마다, 적재된 모를 소정량만큼 하방으로 이송하는 벨트식의 세로 이송 장치(21)가 모 적재대(20)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피드 케이스(14)에 전달되는 동력이 동력 전달 케이스(15)에 전달되어, 이식 아암(18)이 구동되는 한편, 피드 케이스(14)에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모 적재대(20)가 왕복 가로 이송 구동되어, 모 적재대(20)의 하부로부터 상하로 요동 운동하는 이식 아암(18)이, 그 선단부에 구비된 이식 갈고리(22)에 의해 1줄기씩 모를 취출하여 농지면에 이식하는 것이며, 모 적재대(20)가 왕복 가로 이송의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하면, 피드 케이스(14)에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세로 이송 장치(21)가 구동되어, 모 적재대(20)에 적재된 모가 하방으로 이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약제 살포 장치(1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동력 전달 케이스(15)에 각각 고정되어 가설된 지지 프레임(23A)의 중간부로부터 판 형상의 지지 부재(23B)를 고정시켜 세워 설치하고 있고, 이 지지 부재(23B)의 상부에, 모 이식 상태에 있어서 농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약제 살포 장치(13)가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살포 장치(13)는, 약제를 저류하는 저류부로서의 저류 호퍼(24)와, 그 저류 호퍼(24)의 하부에 위치하여 저류되는 약제를 조출하는 조출 수단으로서의 조출 기구(25)와, 조출되어 공급 경로로서의 안내 통로(26)(도 6 참조)를 통하여 낙하 공급되는 약제를 확산시키는 회전식의 확산 수단으로서의 확산 방출 기구(27)와, 조출 기구(2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2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살포 장치(13)는 지지 부재(23B)에 대하여 버클 기구(BK)에 의해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상태로 위치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출 기구(25) 및 확산 방출 기구(27)는, 케이싱(29)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케이싱(29)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확산 방출 기구(27)에 약제를 낙하 공급하는 안내 통로(26)를 구성하는 통부(30)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29)은, 좌우 양측의 분할 케이싱 부분(29a, 29b)을 맞춤면(w)끼리 접속하는 좌우 2개 분할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출 기구(25)는, 약제의 통과용 개구(31)가 형성된 금속제의 개구 형성판(32)과, 통과용 개구(31)를 폐색하는 폐쇄 상태와 약제의 통과용 개구(31)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에 걸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금속제의 셔터 부재(33)와, 그 셔터 부재(33)를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액추에이터로서의 솔레노이드(3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 형성판(32)과 셔터 부재(33)가 상하에 겹치는 상태로 설치되고, 셔터 부재(33)가 개구 형성판(32)에 형성된 통과용 개구(31)를 폐쇄하면 폐쇄 상태로 되어, 약제의 낙하 공급이 정지되고, 셔터 부재(33)가 통과용 개구(31)를 개방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하면, 통과용 개구(31)가 개방되어 개방 상태로 되고, 이 개방 상태에서는, 통과용 개구(31)를 통하여 약제가 하방으로 낙하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통과용 개구(31)의 하방측에서는, 셔터 부재(33)만이 존재하고 있고, 셔터 부재(33)의 하방에는 다른 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약제가 막히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개구 형성판(32)에는, 통과용 개구(31)가 형성되는 수평면 부분(32a)의 개구측 단부에 하방을 향하여 굴곡되는 하향 굴곡편(32b)이 형성되고, 그것과 반대인 솔레노이드(34)측 단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굴곡되는 상향 굴곡편(3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면 부분(32a)의 개구측 단부와 솔레노이드(34)측 단부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측부 각각에, 셔터 부재(33)가 하방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셔터 부재(33)를 상하로부터 둘러싸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굴곡되는 유지부(32d)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개구 형성판(32)은, 1매의 플레이트를 굴곡시킴으로써, 하향 굴곡편(32b), 상향 굴곡편(32c), 및, 유지부(3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 형성판(32)은, 하향 굴곡편(32b)이 케이싱(29)의 통부(3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35)에 결합하여, 셔터 부재(33)가 솔레노이드(3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연속해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또한, 상향 굴곡편(32c)이 케이싱(29)의 통부(30)의 외측의 단부 테두리부(36)에 결합하여, 셔터 부재(33)가 솔레노이드(34)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연속해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과용 개구(31)는, 솔레노이드(34)에 의한 셔터 부재(33)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개구 폭 L1이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개구 폭 L2보다도 작아지도록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 면적을 충분히 크게 하면서도, 솔레노이드(34)에 의한 셔터 부재(33)의 이동 조작량을 짧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셔터 부재(33)는, 띠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솔레노이드(34)의 스풀(37)에 대하여 연결 핀(38)으로 피봇 지지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개구 형성판(32)의 하측에 접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유지부(32d)에 의해 개구 형성판(32)으로부터 상하로 이격하는 것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33)의 개구 차폐 개소(33A)보다도 솔레노이드(34)측으로 치우친 개소에, 개구 형성판(32)과 셔터 부재(33) 사이에 끼여지는 약제를 하방으로 낙하시키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긁어내기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29)에 있어서의 통부(30)의 횡일측 개소에는, 솔레노이드(34)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으로서의 솔레노이드 수납실(40)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측 개소에는, 확산 방출 기구(27)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41)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으로서의 모터 수납실(42)이 형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수납실(40)측의 통부(30)의 측벽에는, 셔터 부재(33)와 개구 형성판(32)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슬릿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슬릿 구멍(43)의 상측에는, 개구 형성판(32)과 셔터 부재(33)를 수평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광폭 안내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이 광폭 안내부(44)의 상면에는, 통과용 개구(31)를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5)이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 구멍(43)의 상측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측부에는, 개구 형성판(32)의 부상을 방지하는 양측 가이드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 구멍(43)의 하부측에는, 폭 방향 양측부에 셔터 부재(33)를 받아내어 지지하는 하측 가이드부(47)가 형성되는 동시에, 셔터 부재(33)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긁어내기 구멍(39)의 하방으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확산 방출 기구(27)에 안내할 수 있도록 폭이 넓은 배출용 공간(48)이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33)는, 솔레노이드(34)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49)이 와셔(50)를 통하여 연결 핀(38)에 작용함으로써 폐쇄 위치[통과용 개구(31)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 가압되고, 솔레노이드(34)에 통전함으로써, 코일 스프링(49)의 가압력에 의해 돌출 위치에 있는 스풀(37)을 코일 스프링(4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전자기 흡인력에 의해 후퇴 위치를 향하여 이동 조작함으로써, 셔터 부재(33)를 개방 위치[통과용 개구(31)를 개방하는 위치]로 전환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산 방출 기구(27)는, 횡방향 자세의 수용면(51A)을 구비하는 동시에 종방향의 회전 축심 주위로 구동 회전되는 수용체(51)와, 수용면(51A)에 세워 설치된 확산용 날개체(52)와, 수용체(51)를 종방향의 회전 축심 Y 주위로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4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용체(51)는 종방향의 회전 축심 Y 주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판면이 횡방향 자세로 되도록 설치된 원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확산용 날개체(52)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분산 배치되는 상태에서 또한 수용체(51)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 Y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방사 형상으로 복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수용체(51) 및 확산용 날개체(52)는 합성 수지재로 일체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수용체(51)의 지지축(80)이 전동 모터(41)의 출력축(53)을 압입한 조인트(53a)에 외부 끼움 장착되어 있고, 지지축(80)을 통하여 조인트(53a)를 비스(bi)로 고정한다. 또한, 조인트(53a)의 외형[지지축(80)의 장착부]은 타원형을 하고 있고, 지지축(80)과 일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수용체(51)는 중앙부가 하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수용체(51)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수용면(51A)이 회전 축심 Y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중앙 오목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약제를 둘레 방향으로 고르게 하는 기능을 보다 발휘시키기 쉽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수용체(51)에 있어서의 상방측에는 상부측을 구획하는 천장벽부(58A)가 설치되고, 또한, 수용체(51)의 외주측에는, 둘레 방향의 일부의 영역으로부터 약제가 외측으로 확산 방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용 종벽(58B)이 구비되고, 또한, 이 규제용 종벽(58B)의 양측부의 각각에, 수용체(51)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산 방출되는 약제의 확산 방출 방향을 조정하는 확산 방향 조정판(59, 60)이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산 방향 조정판(59, 60)은, 천장벽부(58A)에 설치되어 있고, 좌우 회전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약제의 확산 방출 방향(개방 각도)을 변경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규제용 종벽(58B)은, 케이싱(29)에 일체 성형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수용체(51)의 외주연의 근방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약 반주(半周)에 걸쳐 수용체(51)의 외주부를 덮도록, 소정의 상하 폭을 갖는 상태에서 또한 외주연에 따르도록 평면에서 보아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출 기구(25)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34)의 작동 및 확산 방출 기구(27)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 장치(28)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28)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하와 같이, 솔레노이드(34) 및 전동 모터(4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 이식 장치(12)에 있어서의 세로 이송 장치(21)가 이송 작동된 것을 검출하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가 구비되고, 이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의 출력이 제어 장치(28)에 입력되어 있고, 제어 장치(28)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에 의해 검출되는 세로 이송 장치(21)의 이송 작동이 설정 횟수 행해진 것을 검출할 때마다, 설정 시간(후술하는 개방 작동 시간)이 경과되는 동안만, 셔터 부재(33)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폐쇄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솔레노이드(3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로 이송 장치(21)의 이송 작동이 설정 횟수 행해지면, 주행 기체(3)가 설정 거리 주행하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살포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승용형 이앙기가 모 이식 작동을 실행하면서 주행을 행하고 있을 때에, 주행 기체(3)가 설정 거리 주행할 때마다, 4줄분의 이미 심은 모가 존재하는 영역(약제 공급 대상 영역)에 약제를 살포 공급할 수 있어, 농지의 단위 면적당 원하는 양의 약제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 장치(28)는, 농지의 단위 면적당 설정량의 약제를 공급하도록 솔레노이드(34)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또한, 포텐시오미터식의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에 기초하여, 조출 기구(25)에 의한 약제의 조출량을 변경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약제의 조출량을 조절할 때의 조절 조작 상태로 하여,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동일할 때의 약제의 조출량이 서로 다른 2개의 조절 조작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수동 조작식의 전환 스위치(69)에 의해 그 조절 조작 상태의 전환을 지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69) 및 전원 온 오프 스위치(62)는, 1개의 로터리 스위치(RS)로 구성되고, 이 로터리 스위치(RS)는, 3위치로 전환 가능하며, 중앙의 「오프」 위치로 조작하면, 전원 온 오프 스위치(62)가 오프 상태로 되고, 「A」 위치 및 「B」 위치로 조작하면, 전원 온 오프 스위치(62)가 온 상태로 되고 또한 「A」 위치 또는 「B」 위치의 차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장치(28)의 조절 조작 상태가 서로 다른 것으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리 스위치(RS) 및 살포량 조절기(68)가, 케이싱(29)의 횡일측면의 조작 패널면(73)에 나열하여 구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조작 패널면(73)에는, 계량용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누름 조작식의 계량 스위치(74)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28)에 있어서의 조절 조작 상태의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로터리 스위치(RS)가 「A」 위치로 조작되면,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로 변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솔레노이드(34)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개방 작동용의 설정 시간(약제의 조출량에 상당)(이하, 개방 작동 시간이라고 칭함)이 점차 증대되는 형태로 변화되는 조절 조작 상태이고 또한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동일할 때의 개방 작동 시간이 적은 상태로 되는 제1 조절 조작 상태 T1이 설정된다(도 11 참조).
또한, 로터리 스위치(RS)가 「B」 위치로 조작되면,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로 변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개방 작동 시간이 점차 증대되는 형태로 변화되는 조절 조작 상태이고 또한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동일할 때의 개방 작동 시간이 제1 조절 조작 상태 T1보다도 커지는 제2 조절 조작 상태 T2가 설정된다(도 11 참조).
덧붙여서 말하면, 농지의 단위 면적당 적은 양을 공급하는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조절 조작 상태 T1이 사용되고, 농지의 단위 면적당 조금 많은 양을 공급하는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조절 조작 상태 T2가 사용된다.
그리고, 전동 모터(4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홀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센서(72)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 센서(72)의 검출 결과를 제어 장치(28)에 피드백하여, 설정 회전수로 수용체(51)를 회전하는 상태로 되도록, 제어 장치(28)가 전동 모터(41)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이앙기에서는, 주행 기체(3)에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고, 엔진(4)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61)에 의해 발전된 전력이, 솔레노이드(34), 전동 모터(41), 제어 장치(28) 등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주행 기체(3)에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동 조작으로 엔진(4)을 시동시키는 리코일식의 시동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전력 공급 상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온 오프 스위치(62)를 통하여 공급되는 발전기(61)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전파식의 정류 회로(63)에 의해 정류하여 직류(맥류)로 변환한 전력을, 솔레노이드(34), 전동 모터(41), 제어 장치(28) 등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발전기(61)와 정류 회로(63)에 의해 전원부(DG)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솔레노이드(34)에 대한 전력 공급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부(DG)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즉, 발전기(61)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정류 회로(63)에 의해 정류하여 직류(맥류)로 변환한 전력을, 전력 공급로(64)를 통하여, 그대로 솔레노이드(34)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력 공급로(64)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34)보다도 하류측에는, 솔레노이드(34)에 통류하는 전류값을 변경 조절하기 위해 제어 장치(28)에 의해 온 오프 제어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65)와, 전력 공급로(64)를 통하여 솔레노이드(34)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류 검출 수단으로서의 전류 검출용의 저항기(66)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65)는 FET(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 중의 부호 67은, 솔레노이드(34)의 양측 단자간에서 소정 전압 이상의 역 기전력이 발생하였을 때에, 단락 상태로 통류시켜 그것을 흡수하기 위한 역 기전력 방지 회로이다.
솔레노이드(34)는, 전원부(DG)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의 변동 폭의 하한값보다도 낮은 정격 전압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더하면, 발전기(61)는 엔진(4)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며, 엔진(4)의 회전수는, 농지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구동 부하의 변동에 따라서 변화되지만, 작업을 행하는 데에 최저한 필요로 하는 엔진 회전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엔진(4)의 동력이 미리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설정되는 엔진(4)의 최저 회전수로 발전기(61)가 발전되는 경우라도 전원부(DG)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은, 솔레노이드(34)의 정격 전압을 하회하지 않도록 미리 정한 특성의 발전기(61)와 솔레노이드(34)가 사용되게 된다.
제어 장치(28)는, 전력 공급로(64)를 통하여 솔레노이드(34)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펄스 폭 변조에 의해 제어하는, 바꾸어 말하면, 일정한 주기로 스위칭 트랜지스터(65)를 온 상태(도통 상태)와 오프 상태(차단 상태)로 교대로 반복할 때의 주기에 대한 온 시간의 비율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34)의 스풀(37)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 즉, 셔터 부재(33)를 개방 위치로 이동 조작할 때에는, 펄스 폭 변조에 있어서의 듀티비를 변경 조절 가능 범위의 최대값인 고듀티비(예를 들어, 100%)로 조정하고, 스풀(37)의 이동 조작이 종료되어 이동 위치에서 유지할 때, 즉, 셔터 부재(33)를 개방 위치에서 위치 유지할 때에는, 듀티비를 고듀티비보다도 낮은 저듀티비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듀티비는, 스풀(37)을 이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유지용 전류값에 상당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솔레노이드(34)의 스풀(37)을 코일 스프링(4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퇴 위치로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큰 전자기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큰 전류를 흘릴 필요가 있으므로, 이때에는, 펄스 폭 변조에 있어서의 듀티비를 고듀티비로 조정하여 대전류를 흘리도록 하고 있다. 한편, 스풀(37)의 이동 조작이 종료되어 이동 위치에서 유지할 때에는, 이동 조작시와 같은 큰 전자기 흡인력은 불필요하며, 작은 전자기 흡인력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펄스 폭 변조에 있어서의 듀티비를 저듀티비로 조정하여 전류량을 억제해서 불필요한 발열을 회피시키고 있다.
다음에, 전동 모터(41) 및 제어 장치(28)에 대한 전력 공급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 공급로(64)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34)의 상류측 개소로부터 분기하는 상태로 분기 전력 공급로(70)가 설치되고, 이 분기 전력 공급로(70)로부터 레귤레이터 회로(83, 84, 85)를 통하여 전동 모터(41) 및 제어 장치(28)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 회로로서, 분기 전력 공급로(70)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조정 전압이 높은 고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로서의 제1 레귤레이터 회로(83)가 위치하고, 하류측에 조정 전압이 낮은 저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가 위치하도록 직렬로 접속되는 상태에서, 조정 전압이 다른 복수의 레귤레이터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로서, 전동 모터(41) 및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레귤레이터 회로(84)(제1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의 일례)와, 제어 장치(2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3 레귤레이터 회로(85)(제2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의 일례)가, 제1 레귤레이터 회로(83)의 하류측에 병렬로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2 레귤레이터 회로(84)는, 입력되는 전압이 제2 조정 전압(예를 들어, 12V)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조정 전압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3 레귤레이터 회로(85)는, 입력되는 전압이 제3 조정 전압(예를 들어, 5V)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3 조정 전압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 공급로(64)로부터 분기된 분기 전력 공급로(70)에, 입력되는 전압이 제1 조정 전압(예를 들어, 24V)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조정 전압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출력하는 제1 레귤레이터 회로(8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레귤레이터 회로(83)의 하류측에는, 입력되는 전압이 제2 조정 전압(예를 들어, 12V)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조정 전압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출력하는 제2 레귤레이터 회로(84)와, 입력되는 전압이 제3 조정 전압(예를 들어, 5V)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3 조정 전압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출력하는 제3 레귤레이터 회로(85)가 병렬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제2 레귤레이터 회로(84)의 하류측(출력측)에 검출 센서용의 전압 안정화 회로(87)가 구비되고, 이 검출 센서용의 전압 안정화 회로(87)를 통하여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에 대하여 검출 작동용의 전력으로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3 레귤레이터 회로(85)의 출력은 제어 장치(28)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3 레귤레이터 회로(85)의 상류측(입력측)에는, 제어 장치(28)용의 전압 안정화 회로(86)가 구비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전압 안정화 회로(86, 87)는, 접지부(G)와의 사이에서 접속된 평활용 콘덴서(C1, C2)와, 이 평활용 콘덴서(C1, C2)의 충전 전력이 전원부(DG)에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i1, Di2)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부(DG)는, 발전기(61)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정류 회로(63)에 의해 정류하여 직류(맥류)로 변환한 전력을 공급하므로, 일시적으로 0에 가까운 저전압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전압 안정화 회로(86, 87)를 설치함으로써, 평활용 콘덴서(C1, C2)로 충전하여 전압 변동이 적어지도록 평활화시킴으로써, 출력하는 전압이 0에 가까운 저전압으로 되어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나 제어 장치(28)가 오동작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평활용 콘덴서(C1, C2)의 단자 전압이 입력측의 전압보다도 높아지는 경우가 있어도, 전원부(DG)를 향하여 전류가 역류되는 것을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i1, Di2)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레귤레이터 회로(83)는, 에미터 폴로워 동작을 실행하도록 접속된 트랜지스터(88)와, 그 트랜지스터(88)의 베이스 전위를 제1 조정 전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89)와, 전압을 평활화시키기 위한 콘덴서(9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88)는, 출력해야 할 전류값을 고려하여 고증폭도(예를 들어, 1000배 정도)로 설정된 것이 사용되어 있고, 이 제1 레귤레이터 회로(83)의 출력 임피던스가 커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콘덴서(90)는, 트랜지스터(88)의 출력측에 접속함으로써, 입력측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소용량의 것이어도 좋고 또한 내압도 낮은 것이어도 좋다.
제2 레귤레이터 회로(84) 및 제3 레귤레이터 회로(85)는, 시판되고 있는 일반적인 구성의 레귤레이터 회로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고, 그들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여기서는 생략한다.
제2 레귤레이터 회로(84)의 출력이 전동 모터(41)에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제어 장치(28)가, 설정 회전수로 수용체(51)를 회전하는 상태로 되도록 전동 모터(41)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레귤레이터 회로(84)의 출력이 전동 모터(41)에 공급되는 공급로 중에, 펄스 폭 변조에 의해 전동 모터(41)에 공급하는 전력을 조정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71)와, 전동 모터(4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홀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센서(72)가 설치되고, 회전 센서(72)의 검출 결과가 제어 장치(28)에 피드백되고, 설정 회전수로 수용체(51)를 회전하는 상태로 되도록, 제어 장치(28)가, 스위칭 트랜지스터(71)에 출력하는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하여 전동 모터(41)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발전기(61)에 의한 발전 상태가 변동되는 것 등에 기인하여 전원 전압이 변동되는 경우가 있어도, 전동 모터(41)에 의해, 수용체(51)를 설정 회전수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수용체(51)가 회전하는 설정 회전수로서는, 통상 작업 모드에서는 고속의 통상 작업용 회전수가 설정되고, 계량용 모드에서는 통상 작업용 회전수보다도 저속의 계량용 회전수가 설정된다.
제어 장치(28)나 전원용 회로 부품 등을 구비한 배선 기판(h)이 케이싱(29)에 내장되어 있고, 도 6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들의 전기 부품과 주행 기체(3)나 모 이식 장치 사이에서의 전기 배선(77)은, 약제 살포 장치측의 접속구(78A)와 주행 기체측의 접속구(78B)를 구비한 커넥터(78)에 의해 접속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 장치(28)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엔진(4)을 시동하여 로터리 스위치(RS)가 「오프」 위치로부터 「A」 위치 또는 「B」 위치로 조작되어 제어 장치(28)가 기동하면, 통상 작업 모드로 설정되고, 수용체(51)가 통상 작업용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전동 모터(41)를 구동 제어한다. 그리고, 승용형 이앙기에 의한 모 이식 작업을 개시하면,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가 세로 이송 장치(21)의 이송 작동이 행해진 것을 검출하여, 그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지만, 그 검출 신호가 설정 횟수(예를 들어, 4회) 입력될 때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설정되는 개방 작동 시간이 경과되는 동안만, 셔터 부재(33)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에 폐쇄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솔레노이드(34)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방 작동 조작(통상용 조출 작동)을 실행한다.
또한,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는, 스위치식으로 구성되고, 모 적재대(20)가 가로 이송 이동의 스트로크 엔드에 이르는 것에 수반하여 오프 상태로부터 일시적으로 온 상태로 전환된 후,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28)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에서,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의 입력이 있었던 것을 판별하는 입력 판정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로 이송 장치(21)의 이송 작동이 설정 횟수 행해지면, 주행 기체(3)가 설정 거리 주행하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살포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승용형 이앙기가 모 이식 작동을 실행하면서 주행을 행하고 있을 때에, 주행 기체(3)가 설정 거리 주행할 때마다, 설정 줄분의 이미 심은 모가 존재하는 영역(약제 공급 대상 영역)에, 솔레노이드(34)의 개방 작동 시간에 대응하는 양의 약제를 살포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농지의 단위 면적당 소정량의 약제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이 통상 살포 동작에 대응한다.
설명을 더하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28)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별 처리를 실행하여, 세로 이송 장치(21)의 이송 작동이 설정 횟수 행해진 것을 판별하면, 즉시 솔레노이드(34)를 구동하여 셔터 부재(33)의 개방 작동을 실행한다.
솔레노이드(34)의 스풀(37)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65)에 대한 펄스 폭 변조에 있어서의 듀티비(Dx)를 변경 조절 가능 범위의 최대값인 고듀티비(Dx=100%)로 조정하여, 솔레노이드(34)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그 결과,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부(DG)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그대로 솔레노이드(34)에 공급되므로, 이때의 솔레노이드(34)에는 큰 구동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4)에 통전하여 스풀(37)의 이동 조작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의 조작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펄스 폭 변조에 있어서의 듀티비(Dx)를 스풀(37)을 이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유지용 전류값(Is)에 상당하는 값(Ds)으로 조정한다. 즉, 전류 검출용의 저항기(66)의 양측 단자간의 전압을 검출하여, 그 전압값으로부터 저항기, 즉, 솔레노이드(34)에 실제로 흐르고 있는 전류값을 구하고, 그 전류값이 유지용 전류값(Is)에 대응하는 전류값으로 되도록, 듀티비(Dx)를 변경 조절하는 것이다. 그 결과,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4)에 유지용 전류값(Is)이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살포량 조절기(68)에서 설정되어 있는 개방 작동 시간이 경과되면, 솔레노이드(34)에의 통전을 정지한다. 그렇게 하면, 스풀(37)이 코일 스프링(49)의 가압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되고, 셔터 부재(33)는 폐쇄 상태로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4)의 스풀(37)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큰 전류가 흐르므로, 일시적으로 전원 전압이 저하되어 제어 장치(28)에 대한 전원 전압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28)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별 처리를 항상 행할 필요가 있지만, 솔레노이드(34)의 스풀(37)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의 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4)의 스풀(37)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34)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나서 판별 정지용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기까지의 동안,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의 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4)의 스풀(37)을 코일 스프링(4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퇴 위치로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큰 전자기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큰 전류가 흐르므로, 일시적으로 전원 전압이 저하되어 제어 장치(28)에 대한 전원 전압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28)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별 처리를 항상 행할 필요가 있지만, 솔레노이드(34)의 스풀(37)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의 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4)의 스풀(37)을 후퇴 위치로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34)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나서 판별 정지용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기까지의 동안,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의 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판별 정지용의 설정 시간은, 듀티비(Dx)를 고듀티비(Dx=100%)로 조정하여 솔레노이드(34)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조작 시간보다도 긴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계량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계량 스위치(74)가 설정 시간(수초간) 이상 연속해서 누름 조작(길게 누름)되면 계량용 모드로 전환된다. 계량용 모드로 전환되면,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도, 수용체(51)가 계량용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전동 모터(41)를 구동 제어하는 동시에, 통상 작업 모드에 있어서의 조출량과 동등한 조출량으로 약제를 조출하도록, 설정 횟수만큼 솔레노이드(34)의 개방 작동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은 동작이 계량용 동작에 대응하고 있고, 이와 같은 계량 동작은 통상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약제의 조출량을 조정하기 위해 행해지는 것이다.
상기 계량용 동작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통상 작업 모드에 있어서 농지의 단위 면적(예를 들어, 10a)당 소정량의 약제를 살포한다고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소정량의 약제를 조출하는 데에 필요한 미리 설정되는 설정 횟수만큼 조출 기구(25)를 개방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그때, 확산 방출 기구(27)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미리 준비한 회수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방출되는 약제를 회수하여, 약제의 양을 계측하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고듀티비가 변경 조절 가능 범위의 최대값(100%)으로 설정되고, 상기 저듀티비가 솔레노이드(34)의 스풀(37)을 이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유지용 전류값(Is)에 상당하는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상기 고듀티비로서는 변경 조절 가능 범위의 최대값보다 낮은 값이어도 되고, 상기 저듀티비는 상기 고듀티비보다도 낮은 값이면 되며, 유지용 전류값에 상당하는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28)가, 전력 공급로(64)를 통하여 솔레노이드(34)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펄스 폭 변조에 있어서의 듀티비를 변경함으로써 조정하도록 하였지만, 듀티비를 변경하지 않고 피크 전압을 변경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주기를 변경하도록 해도 되어, 다양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28)가, 솔레노이드(34)의 스풀(37)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의 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항상, 상기 판별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용형 이앙기에 장비되는 약제 살포 장치에 적용한 것을 나타냈지만, 약제 살포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로 구동되는 전자기 밸브나 개폐 장치 등의 다양한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레귤레이터 회로(84)와 제3 레귤레이터 회로(85)가, 제1 레귤레이터 회로(83)의 하류측에 병렬로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이하의 (5-1) 내지 (5-4)에 기재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5-1) 제1 레귤레이터 회로(83)와, 제2 레귤레이터 회로(84)와, 제3 레귤레이터 회로(85)를, 그 순서대로 직렬 상태로 접속하는 구성.
(5-2) 제2 레귤레이터 회로(84)를 생략하고, 제1 레귤레이터 회로(83)의 출력을 복수의 저항기로 분압한 전압을 전동 모터(41)나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에 공급하는 구성.
(5-3) 제3 레귤레이터 회로(85)를 생략하고, 제1 레귤레이터 회로(83)의 출력을 복수의 저항기로 분압한 전압을 제어 장치(28)에 공급하는 구성.
(5-4) 전력 공급로(64)의 전력을 1개의 레귤레이터 회로에 의해 전동 모터(41)용의 전압으로 조정하고, 전력 공급로(64)의 전력을 1개의 레귤레이터 회로에 의해 제어 장치(28)용의 전압으로 조정하는 구성.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용형 이앙기에 장비되는 약제 살포 장치에 적용한 것을 나타냈지만, 약제 살포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솔레노이드에서 조출을 행하고, 전동 모터에 의해 유동 안내하도록 한 시비 장치에 사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승용형 이앙기에 장비되는 약제 살포 장치나 시비 장치 등의 다양한 작업 장치를 구비한 작업차에 적용할 수 있다.
4 : 엔진
28 : 제어 수단
34 : 솔레노이드
37 : 스풀
41 : 다른 구동 기기(전동 모터)
61 : 발전기
63 : 정류 회로
64 : 전력 공급로
66 : 전류 검출 수단
70 : 분기 전력 공급로
82 : 검출 센서
83 : 고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
84 : 제1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85 : 제2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DG : 전원부
Dx : 듀티비
Is : 유지용 전류값

Claims (8)

  1.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이며,
    상기 전원부가, 차체에 구비된 엔진으로 구동되는 발전기와, 그 발전기에 의해 출력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로 구성되고, 이 전원부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력을 그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 수단과, 상기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값이 설정값으로 되도록 상기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가,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의 변동 폭의 하한값보다도 낮은 정격 전압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펄스 폭 변조에 의해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의 스풀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펄스 폭 변조에 있어서의 듀티비를 변경 조절 가능 범위의 최대값 또는 그에 가까운 고듀티비로 조정하고, 상기 스풀의 이동 조작이 종료되어 이동 위치에서 유지할 때에는, 상기 듀티비를 상기 고듀티비보다도 낮은 저듀티비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듀티비가 변경 조절 가능 범위의 최대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저듀티비가, 상기 스풀을 이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유지용 전류값에 상당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업차의 작업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를 작동하기 위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검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의 스풀을 이동 조작하는 조작시에는, 상기 검출 센서의 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5.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솔레노이드 및 다른 구동 기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된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이며,
    상기 전원부가, 차체에 구비된 엔진으로 구동되는 발전기와, 그 발전기에 의해 출력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로 구성되고, 이 전원부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로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력을 그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력 공급로에 있어서의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류측 개소로부터 분기하는 상태로 분기 전력 공급로가 설치되고,
    이 분기 전력 공급로로부터 레귤레이터 회로를 통하여 상기 다른 구동 기기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 회로로서, 상기 분기 전력 공급로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조정 전압이 높은 고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가 위치하고, 하류측에 조정 전압이 낮은 저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가 위치하도록 직렬로 접속되는 상태에서, 조정 전압이 다른 복수의 레귤레이터 회로가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로서, 상기 다른 구동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와, 상기 제어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저전압 레귤레이터 회로가, 상기 고전압용 레귤레이터 회로의 하류측에 병렬로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가 작업차에 구비된 약제 살포 장치에 있어서의 약제 조출용의 솔레노이드이며, 상기 다른 구동 기기가 약제 살포용의 날개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인, 작업차용의 전원 공급 장치.
KR1020120023854A 2011-06-17 2012-03-08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 KR101649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35531 2011-06-17
JP2011135530A JP5258933B2 (ja) 2011-06-17 2011-06-17 作業車用のソレノイド駆動装置
JPJP-P-2011-135530 2011-06-17
JP2011135531A JP5054835B1 (ja) 2011-06-17 2011-06-17 作業車用の電源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533A true KR20120139533A (ko) 2012-12-27
KR101649007B1 KR101649007B1 (ko) 2016-08-17

Family

ID=4790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854A KR101649007B1 (ko) 2011-06-17 2012-03-08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4243A1 (zh) * 2019-02-12 2020-08-20 丰疆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混合动力的无人插秧系统及其组装方法和插秧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4106A (ja) * 1991-05-31 1992-12-08 Hitachi Ltd ソレノイド駆動回路と車輌搭載用at制御装置
JPH05164010A (ja) * 1991-12-10 1993-06-29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バッテリレス電子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7151559A (ja) 1998-02-24 2007-06-21 Yamato Noji Kk 田植機搭載型農薬散布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4106A (ja) * 1991-05-31 1992-12-08 Hitachi Ltd ソレノイド駆動回路と車輌搭載用at制御装置
JPH05164010A (ja) * 1991-12-10 1993-06-29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バッテリレス電子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7151559A (ja) 1998-02-24 2007-06-21 Yamato Noji Kk 田植機搭載型農薬散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007B1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3907B2 (en) Methods and drive circuit for controlling a solenoid valve
KR20120139533A (ko)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
JP5735261B2 (ja) 薬剤散布装置
JP5054835B1 (ja) 作業車用の電源供給装置
KR101296057B1 (ko) 분립체 살포 장치
JP6419007B2 (ja) 水田作業機
KR101812810B1 (ko) 분립체 살포 장치
JP5258933B2 (ja) 作業車用のソレノイド駆動装置
JP5735356B2 (ja) 作業車用の電源供給装置
JP7250104B2 (ja) 粉粒体供給装置
JP5498409B2 (ja) 粉粒体散布装置
KR102217417B1 (ko) 이앙기
JP5411831B2 (ja) 水田作業機
JP5702176B2 (ja) 乗用型田植機
KR102351606B1 (ko)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JP5735357B2 (ja) 粉粒体散布装置
WO2023172614A1 (en) Fluid sprayer
JP5984609B2 (ja) 粉粒体散布装置
KR20210047970A (ko) 이앙기
KR20190112625A (ko) 분립체 공급 장치
JPH07163223A (ja) ラジコンヘリコプタに搭載される粒状体散布装置
JPH10250502A (ja) 作業機のバッテリ充電構造
KR20190044659A (ko) 이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