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606B1 -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 Google Patents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606B1
KR102351606B1 KR1020180141210A KR20180141210A KR102351606B1 KR 102351606 B1 KR102351606 B1 KR 102351606B1 KR 1020180141210 A KR1020180141210 A KR 1020180141210A KR 20180141210 A KR20180141210 A KR 20180141210A KR 102351606 B1 KR102351606 B1 KR 102351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anular
drug
liquid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8617A (ko
Inventor
서만식
Original Assignee
서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만식 filed Critical 서만식
Priority to KR102018014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6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9/0092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05B12/145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separate units comprising both a material container and a spray device permanently connected thereto being removably attached to a part of the spray apparatus, e.g. to a robot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the delivery being related to the movement of a vehicle, e.g. the pump being driven by a vehicle whe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형약제 및 입제형약제 중 어느 하나가 투입되는 용기부; 용기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액상형약제가 분사되는 액상형약제 분사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본체 하측에 형성되고, 입제형약제가 분사되는 입제형약제 분사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본 발명은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제와 액상 농약 중 사용자가 선택하여 편리하게 선택하여 살포할 수 있고, 트랙터, 이양기, 경운기 등의 농기계에 탈부착하여 씨앗, 비료, 농약을 살포할 수 있으며, 농약을 효율적으로 정량 공급하고 시간과 인력을 절약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농약분사기는 농작물의 재배 중 발생한 병해충이나 잡초 등의 방제를 위한 생화학적 농약을 분무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농약분사기는 주로 각종 농기계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별도로 바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이동식 농약분사기와 휴대가 간편하도록 멜빵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분사기를 어깨에 메고 다니면서 살포 작업을 행하는 휴대용 농약분사기가 있다.
이러한 휴대용 농약분사기는 인력에 의해서 약제를 압송하여 분사시키는 수동 농약분사기와 연료를 연소시키는 엔진 또는 모터와 결합되는 펌프에 의해서 약제를 압송하여 분사시키는 자동 농약분사기 등이 있다.
약제는 농약과 물을 혼합 희석한 것으로, 사용 목적이나 농약의 종류에 따라 농도를 조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약제를 사용하는 수동 농약분사기는 가격은 저렴하지만, 인력에 의해서 약제를 분사시키므로 사용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히 고령화되는 농촌의 현실정을 고려해 볼 때 노인과 같은 사용자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따라서, 최근에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멜빵이 설치되는 약제통과, 약제통의 하부에 설치되고 연료를 연소시켜 작동되는 엔진 또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모터와, 엔진 또는 모터에 펌프를 결합하여 약제를 흡입하여 압송시키는 자동 농약분사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이용하는 분사기의 경우 배터리를 완충할 시간이 필요하고, 기본 제공되는 배터리 용량이 적을 경우 연속 분무 시간이 매우 적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전용 트랙터의 경우 적재함에 분무 장치를 설치하고 로터리 작업을 하면서 분사할 수 있는데, 분무 장치의 크기가 크고 외부에 따로 설치하여야 하며, 조작 방법이 어려워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있었다.
특히, 전용 트랙터로 로터리 작업을 할 경우 후방에 제초제를 분무해야 하는 경우, 분무 방향이나 분무 속도를 조절하기 어렵고 농지의 모서리나 잘 보이지 않는 곳은 세세하게 분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휴대용 분사기를 메고 농로를 통해 농지에 접근하여 분무를 할 경우에도 배터리 용량에 따른 분무 시간이 매우 적고 분무 방법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농약이나 영양제를 특정 식물에 분무할 경우 일정한 속도로 계속하여 뿌릴 필요도 있지만, 작물이나 농약 성분에 따라 분무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분사기는 이러한 편의 기능이 전혀 없었다.
또한, 기존의 배터리형 분사기의 경우 배터리 잔량 확인 기능과 배터리 과방전 알림 기능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만 을 가지고 있어 사용에 불편함을 주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가루 또는 분말형태의 입제와 액상 농약 중 사용자가 선택하여 편리하게 선택하여 살포할 수 있으며, 트랙터와 함께 사용이 가능하며, 농약을 효율적으로 정량 공급할 수 있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에 대한 기술이 모색되었다.
종래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91041호(발명의 명칭: 자동 농약분사기)와 같은 발명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제와 액상 농약 중 사용자가 선택하여 편리하게 선택하여 살포할 수 있으며, 트랙터, 경운기, 이양기 등과 같은 다양한 농기계에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농약이나 씨앗을 뿌리면서 로터리 작업을 같이 병행할 수 있어 농사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휴대용 분사기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씨앗, 비료, 농약을 효율적으로 정량 공급할 수 있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분사기는 농기계에 부착하여, 씨앗이나 농약을 살포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농기계 또는 캐리어 등과 같은 기계에 부착하여, 원격조정 또는 원격제어가 가능하여 농기계뿐만 아니라 다른 장비에도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한 편리성이 있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깨, 수수 및 조와 같은 씨앗을 농약과 같이 혼합하여 살포할 수 있어 농사를 짓는데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상형약제 및 입제형약제 중 어느 하나가 투입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액상형약제가 분사되는 액상형약제 분사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입제형약제가 분사되는 입제형약제 분사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 상측에 형성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액상형약제 분사부 및 입제형약제 분사부가 동작되도록 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시키는 전원부;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 중 어느 하나만 동작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하는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 중 어느 하나가 동작되도록 전기를 ON/OFF 시키는 ON/OFF 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가 동작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ON-TIME 볼륨;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가 정지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OFF-TIME 볼륨; 및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가 분사하는 약제의 양을 조절하는 살포량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에 액상형약제가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액상형약제 투입부; 상기 액상형약제 투입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일측과 연결되는 제1 펌프모터부; 및 상기 제1 펌프모터부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에 입제형약제가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입제형약제 투입부; 상기 입제형약제 투입부에서 투입되는 입제형약제의 양을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에 일정하게 공급시키는 정량투입조절부; 상기 입제형약제 투입부 및 상기 정량투입조절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정량투입조절부 및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량투입조절부는, 상기 입제형약제 투입부에서 투입되는 상기 입제형약제가 수용되고, 일측에 모터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스크류 샤프트;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제1 동력전달부; 상기 입제형약제를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스크류;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에 부착되되, 상기 제1 스크류에 의해 이송된 상기 입제형약제를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블레이드를 중심으로 타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입제형약제를 상기 제1 블레이드로 이송시키되, 상기 제1 스크류의 나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에 액상형약제가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액상형약제 투입부; 및 상기 용기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에 입제형약제가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입제형약제 투입부;가 동일한 투입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투입부 하측에 형성되어, 제어부를 통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제1 전동밸브부; 상기 제1 전동밸브부 및 액상형약제 분사부 사이에 형성되고, 제어부를 통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제2 전동밸브부; 및 상기 제1 전동밸브부 및 입제형약제 분사부 사이에 형성되고, 제어부를 통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제3 전동밸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블루투스 장치 또는 무선수신기를 통해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무선리모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리모콘은, 상기 제어부의 전원을 ON 또는 OFF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무선리모콘 ON/OFF부; 정량투입조절부의 공급속도를 3단계의 속도인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A 모터부 강버튼부; 정량투입조절부의 공급속도를 2단계의 속도인 중간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A 모터부 중버튼부; 정량투입조절부의 공급속도를 1단계의 속도인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A 모터부 약버튼부;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의 회전축을 3단계의 속도인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B 모터부 강버튼부;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의 회전축을 2단계의 속도인 중간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B 모터부 중버튼부;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의 회전축을 1단계의 속도인 약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B 모터부 약버튼부; 상기 제1 펌프모터부의 동작을 온(ON)시키는 제1 펌프모터부 ON스위치부; 및 상기 제1 펌프모터부의 동작을 오프(OFF)시키는 제1 펌프모터부 OFF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는 약제인 입제형 농약이나 액상형 농약이 일정하게 살포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농약을 살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는 농약이 투입되는 공간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종래의 농약분무장치보다 살포성능이 향상된 휴대용 분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는 전용 트랙터, 이양기, 경운기 등의 농기계에 간편히 적재하고, 로터리 치면서 제초제 등을 분사기로 분무할 수 있어 따로 외부에 설치 작업 없이 분무 작업과 로터리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는 충방전이 반복되는 2차 전지의 특성 상 처음부터 끝까지 전압이 일정하지 않아 분무 압력에 따른 분무량의 균일화가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의 강력한 전원을 빌려와 지속적인 분무력을 시종일관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는 딸기, 고추, 참외, 수박, 난, 선인장 또는 꽃가루 수정과 같이 분무(안개 분사) 시 주의가 필요한 예민한 식물에게도 수정 노즐이나 분무 레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각각의 특성에 맞게 분무 시간과 분무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압력 제어 장치를 통해 초미립자 분사 압력을 조절하여 축사 방역이나 업소 방역이나 과수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는 내부 선로 이외에 외부 선로를 이용하여 외부 탱크에 저장된 농약 등으로 분무할 수 있어 확장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는 고령자와 같은 노인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도 가벼워 사용자의 피로를 덜어주어, 사용자의 건강에 이로운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는 무선리모콘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리모콘을 들고 다니면서 밭이나 논 등에 편리하게 비료나 농약, 씨앗을 살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는 제1 전동밸브부, 제2 전동밸브부 및 제3 전동밸브부을 이용하여, 하나의 투입부로도 액상형약제 또는 입제형약제를 중 어느 하나를 편리하게 살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에서 확인되는 도 1b 중앙연산장치의 세부적인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의 본체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의 본체를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를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의 제어부를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리모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에서 확인되는 도 1b 중앙연산장치의 세부적인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의 본체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의 본체를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를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의 제어부를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리모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도면이다.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1)는 제어부(2), 레버(5), 펌프 모터(10), 내부선로(11), 외부선로(12), 유출구(13), 판넬부(15), 배터리(20), 중앙연산장치(30), 뚜껑(40), 용기부(50), 디스플레이부(60), 액상형약제 분사부(70), 제1 펌프모터부(71), 제1 연결부(72), 제2 연결부(73), 액상형약제 투입부(74), 본체(80), 전원부(81), 제1 스위치부(82), ON/OFF 동작부(83),ON-TIME 볼륨(84), OFF-TIME 볼륨(85), 살포량 조절기(86), 하부케이스(90), 입제형약제 분사부(91), 통공부(92), 정량투입조절부(100), 입제형약제 투입부(110), 제3 연결부(120), 제4 연결부(130), 휴대용 분사기 동작 스위치(151), ON-TIME 볼륨(152), OFF-TIME 볼륨(153), 살포량 조절기(154), 중앙연산장치(310), 휴대용 분사기 동작 스위치(311), 펌프제어부(320), 펌프 모터(321), 펌프 모터 스피드 설정기(330), 펌프 모터 동작 시간 설정기(340), 펌프 모터 정지 시간 설정기(341), 배터리 자동 전환부(350), 휴대용 분사기 배터리(351), 트랙터 배터리(352), 휴대용 분사기 배터리 충전기(353), 제1 전동밸브부(410), 제2 전동밸브부(420), 제3 전동밸브부(430), 케이싱(500), 제1 스크류 샤프트(510), 제1 블레이드(540), 제1 스크류(530), 제2 스크류(520), 블루투스 장치(600), 무선수신기(700), 제A 모터부(800), 제B 모터부(810), 무선리모콘(900), 무선리모콘 ON/OFF부(910), 제A 모터부 강버튼부(920), 제A 모터부 중버튼부(921), 제A 모터부 약버튼부(922), 제B 모터부 강버튼부(930), 제B 모터부 중버튼부(931), 제B 모터부 약버튼부(932), 제1 펌프모터부 ON스위치부(940) 및 제1 펌프모터부 OFF스위치부(941)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뒷받침을 위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분무 용기는 상측부에 손잡이가 달린 뚜껑과 분무 용액을 담는 분무 용기로 구성되고 상기 분무 용기를 등에 짊어질 수 있도록 멜빵이 형성되며, 분무통 하측부에는 제어장치가 하드 케이스에 담겨 분무통의 분무 용액을 분무하거나 외부 분무통과 연결되는 외부 선로를 통해 외부 분무 용액을 선택하여 분무할 수 있게 하거나 내부 배터리뿐만 아니라 외부 배터리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는 펌프 모터(10), 펌프 모터(10)에 연결되며 ON-TIME 볼륨 (152)과 OFF-TIME 볼륨(153)과 분무 살포량 조절기의 입력 신호에 따라 펌프 모터(10)를 제어하는 중앙연산장치(30) 및 펌프 모터(10)에 전력을 제공하는 휴대용분사기배터리(20)로 구성될 수 있다.
펌프 모터(1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분무액이 지나가는 외부선로(12) 또는 휴대용 분사기의 분무 용기에서 전달되는 분무액이 지나가는 내부선로(11)를 통해 전달된 분무액을 펌핑하여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13)를 포함하고, 유출구(13)에 연결된 외부선로(12) 또는 내부선로(11) 중 하나를 선택하는 레버(5)를 통해 선택 운반되어 유출구(13)에서 분무 용액이 분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앙연산장치(310)는 펌프제어부(320), 휴대용 분사기 배터리(351), 트랙터 배터리(352), 배터리 자동 전환부(350), 휴대용 분사기 배터리 충전기(353), 펌프 모터 스피드 설정기(330), 펌프 모터 동작 시간 설정기(340), 펌프 모터 정지 시간 설정기(341), 휴대용 분사기 동작 스위치(311) 등과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용 트랙터에 간편히 적재하고, 이동하여 로터리 치면서 제초제 등을 분사기로 분무할 수 있어 따로 외부에 설치 작업 없이 분무 작업과 로터리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랙터 배터리(352) 이외에도 휴대용 분사기를 멜빵으로 메고 걸어서 농로를 타고 들어가거나, 휴대용 분사기를 소형차에다 적재한 후, 들어가 차량의 시거잭에 연결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어 배터리 용량에 제한을 최소로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연산장치(310)는 입력 신호를 받아 상기 제어 장치 내의 각 부품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별도의 모듈을 사용하여 ON-TIME 볼륨과 OFF-TIME 볼륨으로 분무 온/오프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받아 제어 명령을 각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펌프제어부(320)는 중앙연산장치(310)의 제어를 받아 펌프 모터(321)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외부선로 또는 내부선로를 선택하여 여닫는 밸브를 포함하고, 분무 용기의 분무액을 펌프 모터(321)가 설치된 분무용기의 하측부에 부착된 하드 케이스로 유입시켜, 하드 케이스 내부의 펌프 모터(321)의 동작에 의해 분무 할 수 있다.
휴대용 분사기 배터리(351)는 배터리자동전환부(350)로 휴대용분사기배터리가 선택된 경우, 중앙연산장치(310)의 제어를 받아 펌프 모터(321)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로서, 중앙연산장치(310)에 현재 충전량을 전달하여 외부 배터리로 전환 경고를 발생시키도록 한다든지, 자동으로 외부 배터리로 전환되도록 설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충방전이 반복되는 2차 전지의 특성 상 처음부터 끝까지 전압이 일정하지 않아 분무 압력에 따른 분무량의 균일화가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의 강력한 전원을 빌려와 강력한 분무력을 장시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트랙터 배터리(352)는 트랙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로서, 외부에서 연결되는 순간 중앙연산장치(310)에 연결 입력 신호가 전달되고, 중앙연산장치(310)는 배터리 자동 전환부(350)에 배터리 전환 제어 명령을 전달하게 될 수 있다.
배터리 자동 전환부(350)는 휴대용분사기배터리(351) 또는 트랙터배터리(352)를 선택하는 스위치가 구비되고, 휴대용분사기배터리(351)와 트랙터배터리(352) 간의 전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듈로서, 중앙연산장치(310)로부터 배터리 전환 제어 명령이 전달될 경우 배터리 전환 제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용 분사기 배터리 충전기(353)는 휴대용분사기배터리(351)를 충전시키는 장치로서, 제어장치가 담겨있는 하드 케이스의 측면에 연장 형성된 충전 단자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펌프 모터 스피드 설정기(330)는 펌프 모터(321)의 스피드를 설정하는 장치로서, 분무 용액의 농도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농도표시수단과 함께 스피드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속도와 농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펌프 모터 동작 시간 설정기(340)는 펌프 모터(321)의 모터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장치로서, 모터 동작 시간은 시간 단위로 설정하거나 분단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펌프 모터 정지 시간 설정기(341)는 펌프 모터(321)의 모터정지 시간을 설정하는 장치로서, 모터 정지 시간은 시간 단위로 설정하거나 분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휴대용 분사기 동작 스위치(311)는 휴대용 분사기의 동작과 멈춤을 선택하는 장치로서, 동작이 선택된 경우 설정된 상기 모터 동작 시간과 모터 정지 시간에 따라 모터가 동작하거나 정지하게 된다.
분무 살포량 조절기(154)를 돌려서 생성해낸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 모터(321)를 제어하는 중앙연산장치(310)는 외부의 각 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분무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분무 용액을 분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ON-TIME 볼륨(152)과 OFF-TIME 볼륨(153)으로 펌프 모터(321)의 분무 시간(모터 펌프 온/오프 타임량)을 조절하여 간헐적으로 분무하거나 스프링클러 식으로 분무하게 하거나, 살포량 조절기(154)를 설치하여 액체의 살포량과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딸기, 고추, 참외, 수박, 난, 선인장 또는 꽃가루 수정과 같이 분무(안개 분사) 시 주의가 필요한 예민한 식물에게도 수정 노즐이나 분무 레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각각의 특성에 맞게 분무 시간과 분무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료 소모량에 대응되는 모터 회전속도에 따라 펌프 모터(321)의 모터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분무량이 일정치 않을 경우 펌프 모터(321)의 모터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배터리 자동 전환부(350)가 트랙터의 외부 배터리로 전환하여 전력을 지속적으로 양호하게 전송 받을 수 있다.
펌프 모터(321)의 회전속도를 연료 소모량별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무 시간 정보 또는 분무량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어 장치가 전달 받아,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증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속도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누적하고 누적한 회전속도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분사기의 동작전원은 12V 배터리이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용량은 제한이 없다. 참고로, 휴대용 분사기의 배터리 전원연결구는 2개소임이 바람직하다.
휴대용 분사기용 연결콘넥터, 트랙터용 분사기 연결콘넥터에 각각 자체 배터리와 트랙터 배터리가 연결될 수 있다.
만약 휴대용 분사기용 연결콘넥터와 트랙터용 분사기 연결콘넥터 2개소를 동시접속 시, 트랙터용 분사기 전원만 사용한다.
또한, 배터리 자동 전환부(350)에 의해 전원절체용 릴레이가 합선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절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모터(321)는 약 40~50W 짜리 DC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연산장치(310)에서 PWM방식으로 DC모터의 속도를 제어한다.
휴대용 분사기용 연결콘넥터에 12V 배터리전원 연결상태에서 휴대용 분사기 동작 스위치를 ON시키고, SPEED 볼륨을 우측으로 최대로 돌리면 펌프 모터(321) 최대스피드까지 올라갈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12V 이외의 24V 등을 사용할 수 있는 프리볼트 장치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트랙터용 분사기 연결콘넥터에 12V 전원 연결상태에서 휴대용 분사기 동작 스위치를 ON시키면 트랙터용 전원 사용 중 LED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
아울러, ON-TIME 볼륨과 OFF-TIME 볼륨으로 분무 시간 정보를 조절하여 간헐적으로 분무할 수도 있고, ON-TIME과 OFF-TIME을 짧게 설정하면 스프링클러 식으로도 분무할 수 있다.
또한, ON-TIME 볼륨과 OFF-TIME 볼륨의 조절타임은 최소 0.1초~ 최대 30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장치가 설정되거나 동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1)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부(50)는 액상형약제 및 입제형약제 중 어느 하나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50)는 액상형약제 및 입제형약제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공간일 수 있다.
본체(80)는 용기부(5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80)는 액상형약제가 분사되는 액상형약제 분사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80)는 액상형약제 분사부(70)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9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80)는 전원부(81), 제1 스위치부(82) 및 ON/OFF 동작부(8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80)는 ON-TIME 볼륨(152), OFF-TIME 볼륨(153) 및 살포량 조절기(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TIME 볼륨(152)은 액상형약제 분사부(70)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91)가 동작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OFF-TIME 볼륨(153)은 액상형약제 분사부(70)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91)가 정지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살포량 조절기(154)는 액상형약제 분사부(70)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91)가 분사하는 약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전원부(81)는 액상형약제 분사부(70) 및 입제형약제 분사부(91)가 동작되도록 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부(82)는 액상형약제 분사부(70)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91) 중 어느 하나만 동작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ON/OFF 동작부(83)는 액상형약제 분사부(70)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91) 중 어느 하나가 동작되도록 전기를 ON/OFF 시킬 수 있다.
참고로, ON-TIME 볼륨(84), OFF-TIME 볼륨(85) 및 살포량 조절기(86)은 ON-TIME 볼륨(152), OFF-TIME 볼륨(153) 및 살포량 조절기(154)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80)는 액상형약제 투입부(74), 제2 연결부(73), 제1 펌프모터부(71) 및 제1 연결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액상형약제 투입부(74)는 용기부(5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액상형약제 투입부(74)는 액상형약제 분사부(70)에 액상형약제가 투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액상형약제 투입부(74)는 마개(도면 미도시)를 끼울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투입부의 입구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제2 연결부(73)는 액상형약제 투입부(74)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73)의 일측은 액상형약제 투입부(74)와 연결되고, 제2 연결부(73)의 타측은 제1 펌프모터부(7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펌프모터부(71)는 제2 연결부(73)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펌프모터부(71)의 일측은 제2 연결부(73) 및 제1 연결부(7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72)는 제1 펌프모터부(71) 타측과 연결되고, 액상형약제 분사부(7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입제형약제 분사부(91)는 입제형약제가 분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입제(granule)는 농약의 형태로 대체로 8∼60메시(입자자름 약 0.5∼2.5mm) 범위의 작은 입자로된 농약을 의미한다.
통공부(92)는 입제형약제 분사부(91)가 회전하도록 중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입제형약제 투입부(110)는 용기부(5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입제형약제 투입부(110)는 입제형약제 분사부(91)에 입제형약제가 투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정량투입조절부(100)는 입제형약제 투입부(110)에서 투입되는 입제형약제의 양을 입제형약제 분사부(91)에 일정하게 공급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량투입조절부(100)는 케이싱(500), 제1 스크류 샤프트(510), 제1 블레이드(540), 제1 스크류(530) 및 제2 스크류(5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500)은 입제형약제 투입부(110)에서 투입되는 입제형약제가 수용되고, 일측에 모터가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크류 샤프트(510)는 케이싱(5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크류 샤프트(510)는 모터부(400)과 연결될 수 있다.
모터부(400)는 별도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모터부(400)의 속도를 조절 또는 제어할 수 있다. 모터부(400)는 제1 스크류 샤프트(5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부(400)는 전원공급장치(도면 미도시)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모터부(400)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류(530)는 입제형약제를 입제형약제 분사부(91)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제1 스크류 샤프트(510)에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540)는 제1 스크류 샤프트(510)에 부착되되, 제1 스크류(530)에 의해 이송된 입제형약제를 입제형약제 분사부(91)로 배출하도록 입제형약제 분사부(91)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5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54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540)는 삼각형, 반원, 톱니모양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540)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각 제1 블레이드(540)는 등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크류(520)는 제1 블레이드(530)를 중심으로 타방향에 형성되고, 입제형약제를 제1 블레이드(530)로 이송시키되, 제1 스크류(530)의 나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부(120)는 입제형약제 투입부(110) 및 정량투입조절부(1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연결부(130)는 정량투입조절부(100) 및 입제형약제 분사부(9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90)는 본체(80)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90)는 입제형약제가 분사되는 입제형약제 분사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40)은 용기부(50)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뚜껑(40)은 용기부(50) 내부의 액상형약제 및 입제형약제 중 어느 하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형약제 투입부와 입제형약제 투입부가 동일한 투입부를 이용하도록 구조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제형약제 투입부(110)는 액상형약제 투입부로도 이용되게끔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80)는 용기부(50) 하부에 형성되고, 액상형약제 분사부(70)에 액상형약제가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액상형약제 투입부 및 용기부(50) 하부에 형성되고, 입제형약제 분사부(91)에 입제형약제가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입제형약제 투입부를 포함한다.
제1 전동밸브부(410)는 투입부 하측에 형성되어, 제어부(2)를 통해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다.
제2 전동밸브부(420)는 제1 전동밸브부(410) 및 액상형약제 분사부(70) 사이에 형성되고, 제어부(2)를 통해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다.
제3 전동밸브부(430)는 제1 전동밸브부(410) 및 입제형약제 분사부(91) 사이에 형성되고, 제어부(2)를 통해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전동밸브부(410), 제2 전동밸브부(420) 및 제3 전동밸브부(430)는 제어부(2)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는 액상형약제 분사부(70)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91)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는 제A 모터부(800) 및 제B 모터부(8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는 제1 펌프모터부(71)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리모콘(900)은 제어부(2)를 블루투스 장치(600) 또는 무선수신기(700)를 통해서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선리모콘(900)은 별도로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리모콘(900)은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앱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리모콘(900)은 무선리모콘 ON/OFF부(910), 제A 모터부 강버튼부(920), 제A 모터부 중버튼부(921), 제A 모터부 약버튼부(922), 제B 모터부 강버튼부(930), 제B 모터부 중버튼부(931), 제B 모터부 약버튼부(932), 제1 펌프모터부 ON스위치부(940) 및 제1 펌프모터부 OFF스위치부(941)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리모콘 ON/OFF부(910)는 제어부(2)의 전원을 ON 또는 OFF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분사기의 속도, 양 등을 설정한 후 전원을 ON 또는 OFF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A 모터부 강버튼부(920)는 정량투입조절부(100)의 공급속도를 3단계의 속도인 빠른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A 모터부 중버튼부(921)는 정량투입조절부(100)의 공급속도를 2단계의 속도인 중간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A 모터부 약버튼부(922)는 정량투입조절부(100)의 공급속도를 1단계의 속도인 빠른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A 모터부는 위와 같은 3단계 속도 조절방식 이외에도 디지털 방식으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B 모터부 강버튼부(930)는 입제형약제 분사부(91)의 회전축을 3단계의 속도인 빠른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B 모터부 중버튼부(931)는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91)의 회전축을 2단계의 속도인 중간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B 모터부 약버튼부(932)는 입제형약제 분사부의 회전축(91)을 1단계의 속도인 약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B 모터부는 위와 같은 3단계 속도 조절방식 이외에도 디지털 방식으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펌프모터부 ON스위치부(940)는 제1 펌프모터부(71)의 동작을 온(ON)시킬 수 있다.
제1 펌프모터부 OFF스위치부(941)는 제1 펌프모터부(71)의 동작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는 일반적인 농촌에서 사용하는 농약 살포제나 씨앗을 자동화한 장치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소형 배터리)를 장착하고, 휴대용 분사기를 사용자가 어깨에 메고, 무선리모콘(900)을 들고 다니면서 밭이나 논 등에 살포시, 편리하게 현장 상황에 맞게 조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살포하는 방식이 아닌 자동으로 무선리모콘(900) 또는 제어부(2)의 설정된 값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자동으로 농약이나 씨앗이 배출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물과 같은 액체 형태와 입제 형태의 물질을 같이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배출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2 : 제어부
5 : 레버
10 : 펌프 모터
11 : 내부선로
12 : 외부선로
13 : 유출구
15 : 판넬부
20 : 배터리
30 : 중앙연산장치
40 : 뚜껑
50 : 용기부
60 : 디스플레이부
70 : 액상형약제 분사부
71 : 제1 펌프모터부
72 : 제1 연결부
73 : 제2 연결부
74 : 액상형약제 투입부
80 : 본체
81 : 전원부
82 : 제1 스위치부
83 : ON/OFF 동작부
84 : ON-TIME 볼륨
85 : OFF-TIME 볼륨
86 : 살포량 조절기
90 : 하부케이스
91 : 입제형약제 분사부
92 : 통공부
100 : 정량투입조절부
110 : 입제형약제 투입부
130 : 제3 연결부
140 : 제4 연결부
151 : 휴대용 분사기 동작 스위치
152 : ON-TIME 볼륨
153 : OFF-TIME 볼륨
154 : 살포량 조절기
310 : 중앙연산장치
311 : 휴대용 분사기 동작 스위치
320 : 펌프제어부
321 : 펌프 모터
330 : 펌프 모터 스피드 설정기
340 : 펌프 모터 동작 시간 설정기
341 : 펌프 모터 정지 시간 설정기
350 : 배터리 자동 전환부
351 : 휴대용 분사기 배터리
352 : 트랙터 배터리
353 : 휴대용 분사기 배터리 충전기
400 : 모터부
410 : 제1 전동밸브부
420 : 제2 전동밸브부
430 : 제3 전동밸브부
500 : 케이싱
510 : 제1 스크류 샤프트
520 : 제2 스크류
530 : 제1 스크류
540 : 제1 블레이드
600 : 블루투스 장치
700 : 무선수신기
800 : 제A 모터부
810 : 제B 모터부
900 : 무선리모콘
910 : 무선리모콘 ON/OFF부
920 : 제A 모터부 강버튼부
921 : 제A 모터부 중버튼부
922 : 제A 모터부 약버튼부
930 : 제B 모터부 강버튼부
931 : 제B 모터부 중버튼부
932 : 제B 모터부 약버튼부
940 : 제1 펌프모터부 ON스위치부
941 : 제1 펌프모터부 OFF스위치부

Claims (11)

  1. 액상형약제 및 입제형약제 중 어느 하나가 투입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액상형약제가 분사되는 액상형약제 분사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입제형약제가 분사되는 입제형약제 분사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에 입제형약제가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입제형약제 투입부;
    상기 용기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제형약제 투입부와 연결되며, 액상형약제 분사부에 액상형약제가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액상형약제 투입부;
    상기 입제형약제 투입부에서 투입되는 입제형약제의 양을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에 일정하게 공급시키는 정량투입조절부;
    상기 입제형약제 투입부 및 상기 정량투입조절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연결부;
    상기 정량투입조절부 및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4 연결부;
    상기 입제형약제 투입부 하측에 형성되어, 제어부를 통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제1 전동밸브부;
    상기 제1 전동밸브부 및 액상형약제 분사부 사이에 형성되고, 제어부를 통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제2 전동밸브부;
    상기 제1 전동밸브부 및 입제형약제 분사부 사이에 형성되고, 제어부를 통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제3 전동밸브부;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 중 어느 하나만 동작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하는 제1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량투입조절부는,
    상기 입제형약제 투입부에서 투입되는 상기 입제형약제가 수용되고, 일측에 모터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스크류 샤프트;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제1 동력전달부;
    상기 입제형약제를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스크류;
    상기 제1 스크류 샤프트에 부착되되, 상기 제1 스크류에 의해 이송된 상기 입제형약제를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블레이드를 중심으로 타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입제형약제를 상기 제1 블레이드로 이송시키되, 상기 제1 스크류의 나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상측에 형성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액상형약제 분사부 및 입제형약제 분사부가 동작되도록 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시키는 전원부;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 중 어느 하나가 동작되도록 전기를 ON/OFF 시키는 ON/OFF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가 동작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ON-TIME 볼륨;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가 정지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OFF-TIME 볼륨; 및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가 분사하는 약제의 양을 조절하는 살포량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에 액상형약제가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액상형약제 투입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일측과 연결되는 제1 펌프모터부; 및
    상기 제1 펌프모터부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형약제 분사부 또는 입제형약제 분사부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블루투스 장치 또는 무선수신기를 통해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무선리모콘;을 더 포함하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리모콘은,
    상기 제어부의 전원을 ON 또는 OFF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무선리모콘 ON/OFF부;
    정량투입조절부의 공급속도를 3단계의 속도인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A 모터부 강버튼부;
    정량투입조절부의 공급속도를 2단계의 속도인 중간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A 모터부 중버튼부;
    정량투입조절부의 공급속도를 1단계의 속도인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A 모터부 약버튼부;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의 회전축을 3단계의 속도인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B 모터부 강버튼부;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의 회전축을 2단계의 속도인 중간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B 모터부 중버튼부;
    상기 입제형약제 분사부의 회전축을 1단계의 속도인 약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B 모터부 약버튼부;
    제1 펌프모터부의 동작을 온(ON)시키는 제1 펌프모터부 ON스위치부; 및
    상기 제1 펌프모터부의 동작을 오프(OFF)시키는 제1 펌프모터부 OFF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KR1020180141210A 2018-11-16 2018-11-16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KR102351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210A KR102351606B1 (ko) 2018-11-16 2018-11-16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210A KR102351606B1 (ko) 2018-11-16 2018-11-16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617A KR20200058617A (ko) 2020-05-28
KR102351606B1 true KR102351606B1 (ko) 2022-01-17

Family

ID=7092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210A KR102351606B1 (ko) 2018-11-16 2018-11-16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6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871B1 (ko) * 2013-12-06 2015-09-14 호산테크 주식회사 스크류 하우징의 청소가 용이한 약제살포장치
KR101812063B1 (ko) * 2017-05-12 2017-12-28 서만식 트랙터 겸용이 가능한 휴대용 분무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305B1 (ko) * 1994-06-07 1997-11-15 김태룡 유탕처리에 의한 스넥식품의 제조방법
KR20020001082A (ko) * 2000-06-24 2002-01-09 변호진 다목적 살포기의 약제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871B1 (ko) * 2013-12-06 2015-09-14 호산테크 주식회사 스크류 하우징의 청소가 용이한 약제살포장치
KR101812063B1 (ko) * 2017-05-12 2017-12-28 서만식 트랙터 겸용이 가능한 휴대용 분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617A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1049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pplying substances to pre-harvested or harvested forage, grain, and crops
US20140312142A1 (en) Multi-Configuration Misting and Spraying System
KR20160017882A (ko) 자동교반 가능한 휴대용 농약분무기
KR102351606B1 (ko)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EP3881662A1 (en) Motorized robotic lawnmower
US20080099581A1 (en) Animal scent disperser
CN205357889U (zh) 一种均匀搅拌的农药喷洒装置
CN204518446U (zh) 一种药肥施用装置
KR101812063B1 (ko) 트랙터 겸용이 가능한 휴대용 분무기
EP1496735B1 (en)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forage additive and method
US20010048037A1 (en) Chemical infeed system for a sprinlker or irrigation system
KR101982541B1 (ko) 어깨끈 결합이 쉬운 자동분무형 휴대용 농약 분무장치
CN104904396A (zh) 自走式喷药施肥机的自动上肥装置
KR101389917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자가 충전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동 분무기
CN208708554U (zh) 一种园林用植被打药装置
EP1083996B1 (en) Forage additive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CN207784089U (zh) 一种毫菊种植喷洒农药的设备
KR20120070863A (ko) 친환경 농작물 재배장치
US20190110399A1 (en) Materials Spraying Lawn Maintenance Vehicle
CN104472095A (zh) 药肥施用装置
CN212851779U (zh) 一种多功能施撒机及储料桶
CN207940275U (zh) 一种可精确喷洒的园林用农业无人机
CN209002685U (zh) 一种园林高效农药喷洒机
CN109526915A (zh) 一种无线自动控制无人喷药车
CN210382354U (zh) 药剂喷洒系统及植保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