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368A - 자동차 내의 에어백을 덮기 위한 몰딩 트림 부품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의 에어백을 덮기 위한 몰딩 트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368A
KR20120076368A KR1020127011282A KR20127011282A KR20120076368A KR 20120076368 A KR20120076368 A KR 20120076368A KR 1020127011282 A KR1020127011282 A KR 1020127011282A KR 20127011282 A KR20127011282 A KR 20127011282A KR 20120076368 A KR20120076368 A KR 20120076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intermediate layer
tear
molding tri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1196B1 (ko
Inventor
페터 틸호른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즈 인테리얼즈 게엠베하 앤 컴퍼니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즈 인테리얼즈 게엠베하 앤 컴퍼니 케이지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즈 인테리얼즈 게엠베하 앤 컴퍼니 케이지
Publication of KR2012007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32B5/142Variation across the area of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5Sheet, web, or layer weakened to permit separation through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의 에어백을 덮기 위한 몰딩 트림 부품에 관한 것으로, 이 몰딩 트림 부품은 적어도 - 개구 커버(3)를 형성하는 개방 라인(4)을 따라 취약해지는 하나의 지지부(2), - 상기 지지부(2) 위에 배치되는 중간 층(5)으로서, 상기 중간 층은 상기 지지부의 개방 라인과 관련된 인열 라인(6)을 따라 취약해지는 중간 층, 및 - 상기 중간 층(5) 위에 배치되고 가죽으로 제조된 장식 층(7)으로서, 상기 중간 층(5)의 인열 라인(6)의 구역에 국부적인 취약부를 가지지 않는, 장식 층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 몰딩 성형 부품은 적어도 상기 중간 층(5)의 인열 라인(6)의 구역에 또는 적어도 상기 인열 라인(6) 둘레의 영역에 가죽으로 제조된 장식 층(7)이 상기 중간 층(5)에 대한 전체 표면에 걸쳐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의 에어백을 덮기 위한 몰딩 트림 부품 {MOULDED TRIM COMPONENT FOR COVERING AN AIRBAG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내의 에어백을 덮기 위한 몰딩 트림 부품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 개구 커버에 인접한 개방 라인을 따라 취약해지는 지지부,
-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중간 층으로서, 상기 중간 층은 상기 지지부의 개방 라인에 할당된 인열-개방 라인(tear-open line)을 따라 취약해지는, 중간 층, 및
-상기 중간 층 상에 배치된 가죽으로 제조된 장식 층으로서, 상기 장식 층은 상기 중간 층 내의 인열-개방 라인의 구역 내에 국부적 취약부를 가지지 않는, 장식 층을 가진다.
상기 지지부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몰딩 부품이며 이 플라스틱 몰딩 부품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부품 등으로서 생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예를 들면 접착제 결합되는 중간 층은 특히 편물(knitted fabric), 상세하게는 편물 스페이서(knitted spacer fabric)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 내에서, 취약화는 예를 들면 두께의 취약화 또는 노치 그렇지 않으면 천공부 등의 경우와 같은 국부적 두께 감소를 의미한다. 가죽으로 제조된 장식 층은 대체로 편물 스페이서로 접착제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몰딩 트림 부품은 예를 들면 차량 내에서 내부 커버링, 예를 들면 대시보드 커버링, 도어 내부 트림 등으로서 이용된다. 몰딩 트림 부품 뒤, 상세하게는 몰딩 트림 부품의 개구 커버 뒤의 파이어링 채널(firing channel) 내에 배치된 에어백이 확실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지지부는 개방 라인을 따라 취약화되어 개구 커버를 형성한다. 개구 커버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방식으로 형성되며, 에어백이 전개될 때 취약화에 의해 대체로 3개의 측면이 파손되어서 개방되며, 개구 커버가 힌지 방식으로 플랩(flap)되어 개방되도록 한다. 개구 커버는 이러한 경우 또한 복수의 커버 또는 커버 섹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커버 또는 커버 섹션은 힌지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플랩되어 개방된다. 개방 동안, 중간 층, 예를 들면 편물 스페이서가 또한 인열 개방 라인을 따라 인열 개방된다.
개구 커버 또는 에어백 커버가 차량 내부로부터 가시적이 되는 것을 회피하도록, 전체 몰딩 트림 부품은 시임(seam) 등이 개구 커버의 구역 내에서 가시적이 되지 않으면서 대체로 예를 들면 가죽으로 제조된 장식 층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어백이 전개될 때 에어백 커버링의 한정된 인열 개방을 보장하기 위해, 과거에는 취약 라인을 구비하고 가죽으로 제조된 장식 층이 후방에 제공되었으며, 이 취약 라인은 증간 층의 인열-개방 라인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그러나, 이 같은 에어백 커버링의 제조는 복잡하다. 더욱이, 가죽 층의 후방에서의 취약화는 단점이 되는데, 이는 특히 노화 중에, 취약화가 표면 상에서 명확하게 되어 가죽 층의 후방에서 취약 라인이 이에 의해 차량 내부로부터 가시적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가죽의 후방에서 취약화되지 않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DE 10 2006 055 861 B3 참조). 그러나, 공지된 실시예에서 에어백의 한정된 개방을 보장하도록, 인열-개방 라인을 따라 연장하는 스트립 내의 중간 층(편물 스페이서)과 가죽 층 사이에 접착 연결부를 생략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불리한 것은 접착제의 도포가 한정되고 제한된 방식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특히 서로에 대해 개별 층들의 정확한 위치설정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결과적으로, 전체 제조가 더욱 복잡하게 된다.
DE 10 2006 027 082 A1호는 또한 도입부에서 설명된 타입의 몰딩 트림 부품을 공개하는데, 여기에서 장식 층이 지지 부분의 또는 중간 층의 개방 라인의 구역에서 취약화되지 않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도입부에서 설명된 타입의, 자동차 내의 에어백을 덮기 위한 몰딩 트림 부품을 형성하는 목적을 기초로 하는데, 상기 몰딩 트림 부품은 에어백의 확실한 전개를 보정함에도 불구하고 높은 미적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경계적 방식으로 생산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입부에서 설명된 타입의 일반적인 몰딩 트림 부품의 경우, 가죽으로 제조된 장식 층이 적어도 중간 층의 인열-개방 라인의 구역에서 또는 적어도 인열-개방 라인의 근처에 증간 층의 표면 전면에 접착제 결합되는 것을 설명한다. 중간 층에서 인열-개방 라인은 이러한 경우-개구 커버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지지부 내의 개방 라인 외부로 연장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우 중간 층 내의 인열-개방 라인의 부분 또는 섹션은 지지부 내의 개방 라인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지 않는다. 종래의 에어백 커버링의 개구 커버가 평면도로 볼 때 대체로 직사각형 방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특별히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중간 층 내의 인열-개방 라인이 직사각형 형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면 평면도에서 타원형 또는 계란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열-개방 라인의 구역 또는 섹션만이 곡선형 방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인열-개방 라인은 예를 들면 커버 내의 측면 라인에 대해 평행한 방식으로 커버 내의 평행한 두 개의 마주하는 측면 라인을 따라 연장할 수 있고 나머지 구역에서, 즉 커버 내의 두 개의 다른 마주하는 측면 라인들의 구역에서 아치형 방식으로 연장할 수 있어, 전반적으로 평면도에서 개략적인 계란형 형태를 초래한다. 임의의 경우에서, 중간 층에서의 인열-개방 라인은 지지부 내의 개방 라인을 전체적으로 따르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 경우 국부적으로 취약화되지 않은 가죽 층(즉, 개별적인 취약화 라인이 없는 가죽 층)을 이용하여 에어백의 확실하고 한정된 전개가 접착제 연결부에서 한정된 갭이 없어서 결과적으로 접착제 결합이 표면 전면에 걸쳐 이루어질 때조차 보장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으로부터 진행된다. 이는 접착제의 도포 동안 한정된 갭을 제공하기 위해 주의하지 않아도 되는 제조 상의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가죽 층을 정밀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가죽 층에는 취약부가 필요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트림은 현대의 차량에서의 높은 미적 욕구 조차 만족한다. 놀랍게도, 에어백의 개방 기능은 손상되지 않는다. 지지 부분 및 중간 층 모두가 예를 들면 편물이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취약화 또는 천공되는 것이 충분하다. 편물의 취약화 또는 천공은 가죽 층 자체를 취약화시킬 필요 없이 그리고 접착 연결부의 갭을 생략할 필요 없이, 마찬가지로 그 위에 배치된 가죽 층의 인열-개방 라인을 또한 형성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형성은-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중간 층의 인열-개방 라인의 경로가 지지부의 개방 라인의 경로로부터 완전히 의식적으로 벗어나서 결론적으로 지지부 내의 개방 라인을 따르지 않음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본 발명은 중간 층으로 고정되는, 예를 들면 접착제 결합되는 가죽으로 제조된 장식 층은 0.4 mm 내지 0.8 mm,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0.7 mm, 예를 들면 0.6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심지어 국부적 취약화 없이 한정된 방식으로 인열 개방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얇은 가죽을 이용하여 작업이 수행된다. 이 같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가죽 층이 초기에 생산되고 마무리된 가죽이 후속하는 프로세싱 동안 상세하게는 목표 두께로 스플릿(split), 바람직하게는 건조 스플릿된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편물 내의 인열-개방 라인의 인열 개방의 결과로서 가죽 층의 특히 신뢰할 만한 인열 개방을 보장하도록, 비교적 낮은 파괴 연성을 갖는 가죽이 사용되는 경우가 적당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가죽, 예를 들면 목표 두께로 스플릿되는 가죽이 파손시 최대 4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35%의 연성을 가지는 것을 제안한다. 25% 내지 4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의 파괴 연성이 적당하다.
에어백 커버링에 대해 실제로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사용된 가죽의 타입보다 낮은 인열 파급 강도(tear propagation strength)를 가지는 가죽으로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 더 적당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죽 또는 가죽으로 제조된 장식 층은 12 N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10 N 보다 작은 인열 파급 강도를 가지는 것을 제안한다. 인열 파급 강도는 이러한 경우 적어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의,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로의 인열 파급 강도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특정된 두께로 건조 스플릿된 가죽의 인열 파급 강도가 의미된다.
이 같은 특성을 가지는 가죽은 심지어 국부적 취약화 없이 그리고 충분한 접착제 결합을 이용하여 편물의 한정된 인열 개방에 의해 발생된 한정된 인열 개방을 보장한다.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크롬없이 무두질한 가죽(chrome-free tanned leather)이 장식 층을 위해 이용되는 것이 제공된다. 원칙적으로, 예를 들면 토글링 건조(toggle drying)에 의해 (무두질된) 가죽이 제조 동안 공지된 방식으로 건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스에서, 가죽은 토글의 보조로 프레임 상으로 스트레칭될 수 있고 건조기 내로 도입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건조가 진공 건조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가죽은 토글(toggle)에 의해 프레임 상에 스트레칭되지 않고 부압(negative pressure) 또는 진공에 의해 프레임 상에 스트레칭된다. 테스트는 이러한 방식으로 건조된 가죽이 언급된 목적을 위해 특히 잘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중간 층, 예를 들면 편물에 가죽의 전면을(all-over) 덮는 접착제 결합은 본 발명의 내용 내에 제공된다. 전면을 덮는 접착제 결합은, 본 발명의 내용 내에서, 인열-개방 라인의 근처에서의 전면적인 접착제 결합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접착 연결부는 인열-개방 라인의 근처에서 생략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내용 내에서, 몰딩 트림 부품의 다른 구역에서 접착 연결부 내에 갭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개구 커버 자체의 구역에 또는 개구 커버의 서브 구역에 접착 연결부가 필요 없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조 이유 때문에, 전면을 덮는 접착제 결합딩이 선호된다. 지지부로의 중간 층의 접착제 결합은 또한 대체로 표면 전면에 발생된다.
다양한 접착제가 접착제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죽으로 제조된 장식 층은 재활성화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에 의해 증간 층으로 고정된다. 중간 층은 또한 재활성화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에 의해 지지부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장식 층, 중간 층 및/또는 지지부 상으로 고온-용융 접착제를 분무하거나 롤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은 전체 몰딩 트림 부품이 가죽으로 제조된 일체형 및 결론적으로 원-피스(one-piece) 장식 층으로 덮히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가죽으로 제조된 이러한 원-피스 장식 층은 이때 전체 두께에 걸쳐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대형 몰딩 트림 부품의 경우, 구역이 상이한 두께를 가지면서 가죽으로 제조된 원-피스 장식 층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가죽은 에어백 개구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구역에서 예를 들면 1 mm 또는 그 이상의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개구 커버 또는 에어백 커버링의 근처에서만 상술된 치수로 스플릿되어 감소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조차, 인열-개방 라인을 따라 가죽 내에 국부적 취약화 또는 취약 라인(예를 들면, 노치)이 없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가죽 섹션으로부터 장식 층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가죽 섹션이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개구 커버의 구역에서 그리고 이의 근처에서 얇은 두께를 가지는 가죽 섹션을 제공하는 것, 및 나머지 구역에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가죽 섹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별 가죽 섹션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시임에 의해 서로 꿰매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임은 인열-개방 라인을 형성하지 않지만 오히려 이 같은 시임은 차량 트림 상에 미적 이유를 위해 제공되는 장식용 시임이다.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을 기초로 하여 아래 내용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몰딩 트림 부품의 단순화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대상을 통한 개략적으로 단순화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대상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면은 자동차 내의 에어백(도시안됨)을 덮기 위한 몰딩 트림 부품(1)을 도시한다. 이러한 몰딩 트림 부품(1)은 지지부(2)의 기본 구조물, 중간 층(5) 및 장식 층(5)으로 이루어진다.
대체로, 지지부(2)는 몰딩 트림 부품,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몰딩 트림 부품은 대시 보드용 지지부(2) 또는 소정의 다른 내부 커버링일 수 있다. 몰딩 트림 부품(1) 뒤, 또는 지지부(2) 뒤에, 에어백(도시안됨)이 파이어링 채널(도시안됨) 내에 배치된다.
우선 지지부(2)가 개방 라인(4)을 따라 취약화되는 것을 도 1 및 도 2의 비교로부터 볼 수 있다. 이러한 취약화 또는 개방 라인(4)은 지지부의 개구 커버(3)를 형성한다. 개구 커버(3)는 이러한 경우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방식으로 형성된다. 개방 라인(4)을 형성하는 취약부는 이 경우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직사각형의 3개의 측면 라인 상에 제공된다. 제 4 측면 라인(4')은 이를 테면 개방 힌지를 형성하고, 따라서 커버(2)가 이를 테면 에어백이 전개될 때 커버(2)가 플랩되어 개방되어, 지지부(2)는 개방 라인(4)을 따라 인열 또는 파손된다. 개구 커버는 따라서 "창문-형" 방식으로 플랩되어 개방된다. 개구 커버가 "이중 창"의 방식으로 플랩되어 개방되는 두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지는 변형 실시예가 또한 이러한 경우 가능하다. 이 같은 실시예는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부(2)에 고정되는 중간 층(5)이 인열-개방 라인(6)을 따라 취약화되는 것이 도 1 및 도 2의 비교로부터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열-개방 라인(6)은 예를 들면 천공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층(5) 자체는 예를 들면 편물 스페이서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비록 중간 층(5) 내의 인열-개방 라인(6)이 지지부(2) 내의 개방 라인(4)에 "할당"되지만, 인열-개방 라인(6)이 개방 라인(4)과 정렬되지 않는 것이 나타난다. 차라리, 중간 층(5) 내의 인열-개방 라인(6)은 지지부(2) 내의 개방 라인(4) 외부로-개구 커버(3)에 대해-연장한다. 특히, 중간 층(5) 내의 인열-개방 라인(6)이 전체 길이에 걸쳐 지지부(2) 내의 개방 라인(4)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지 않고 결론적으로 개방 라인을 따르지 않는 것이 도 1에 표시된다. 개구 커버(3) 내의 개방 라인(4)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에 의해 또는 직사각형의 상기 측면들 또는 측면들 중 일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형성되지만, 중간 층(5) 내의 인열-개방 라인(6)은 직사각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형상, 특히 부분적인 계란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중간 층(5) 내의 인열-개방 라인(6)이 커버(3)의 종방향 측부를 따라 커버(3)의 측부 라인(4, 4')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대비하면, 커버(3)의 (짧은) 횡방향 측부의 구역에서, 중간 층(5) 내의 인열-개방 라인(6)은 아치 방식으로 연장하고 결론적으로 지지부(2) 내의 개방 라인(4)에 대해 평행하지 않으며, 따라서 도 1에서 인식할 수 있는 인열-개방 라인(6)의 경로가 전체적으로 타원형 결과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가죽 층(7)에서의 취약부는 중간 층(5)의 인열-개방 라인(6)의 구역 내에 필요 없게 된다. 결론적으로, 국부적으로 취약화되지 않는 가죽(7)이 도 2에 도시된다. 가죽으로 제조된 장식 층(7)은 특히 접착 층(8)에 의해 중간 층(5)의 표면 전면에 접착제 결합된다. 결론적으로, 인열-개방 라인의 구역에서 접착제 층(8) 내의 갭이 필요 없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편물(5)이 접착 층(9)에 의해 지지부(2)에 고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또한, 전면을 덮는 접착제 결합이 발생된다.
가죽은 예를 들면 0.6 mm의 두께를 가지며, 가죽은 이러한 두께로 건조 스플릿된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진공 건조에 의해 건조되는 크롬 없이 무두질한 가죽이 이용된다. 이용된 가죽은 예를 들면 30 내지 35%의 파괴 연성 및 10 N 보다 작은 인열 전파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접착제 결합은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분무되거나 롤링되는, 재활성화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로 수행된다. 임의의 경우에서, 가죽 층(7)의 한정된 인열 개방 및 결론적으로 에어백의 결론적으로 한정된 개방은 편물(5) 내의 인열-개방 라인(6)의 영역에서 가죽 내에 취약부가 제공되지 않고 인열-개방 라인(6)의 영역 내에 접착제 갭이 제공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내용 내에서 보장된다.
도 1은 이러한 경우 전체 지지부(2)가 가죽으로 제조된 원-피스 장식 층(7)으로 덮혀지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가죽 또는 가죽 층(7)은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전체 영역에 걸쳐 예를 들면 0.5 mm 내지 0.7 mm, 바람직하게는 0.6 mm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도 3에 따른 변형된 실시예에서, 지지부(2)는 복수의 장식 층 섹션(7 및 7')으로 이루어지는 장식 층으로 덮혀진다. 이러한 장식 층 섹션(7 및 7')은 상이한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전체 에어백 개구 또는 개구 커버 및 이의 근방을 덮거나 걸치는 제 1 장식 층 섹션(7)이 제공된다. 이러한 장식 층 섹션(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고 본 발명에 따른 장점이 발생되는 상술된 특징을 가지는 장식 층(7)에 대응한다. 그러나, 도 3에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장식 층 섹션(7)은 예를 들면 시임(10)에 의해 꿰매진, 추가의 장식 층 섹션(7')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임(10)은 인열-개방 라인이 아닌 순전한 장식용 시임이다. 장식 층 섹션(7')은 이어서 예를 들면 1 mm 또는 그 이상의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 내에서, 단일 피스의 가죽으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실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이때 단일 피스의 가죽이 섹션(7')의 구역에서 제 1의 더 두꺼운 두께 및 섹션(7)에서 제 2의 더 얇은 두께를 가진다. 초기의 더 두꺼운 가죽은 결론적으로 구역(7)에서만 요구된 크기로 스플릿되어 작아진다.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

Claims (14)

  1. 자동차 내의 에어백을 덮기 위한 몰딩 트림 부품(1)으로서,
    적어도
    - 개구 커버(3)에 인접한 개방 라인(4)을 따라 취약화되는 지지부(2),
    - 상기 지지부(2) 상에 배치된 중간 층(5)으로서, 상기 중간 층(5)은 상기 지지부의 개방 라인에 할당된 인열-개방 라인(6)을 따라 취약화되는, 중간 층, 및
    - 상기 중간 층(5) 상에 배치된 가죽으로 제조된 장식 층(7)으로서, 상기 장식 층은 상기 중간 층(5) 내에 인열-개방 라인(6)의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취약화되지 않는, 장식 층을 가지는 몰딩 트림 부품에 있어서,
    가죽으로 제조된 상기 장식 층(7)은 적어도 상기 중간 층(5) 내의 상기 인열-개방 라인(6)의 구역에 또는 적어도 상기 인열-개방 라인(6)의 근처에 상기 중간 층(5)의 표면 전면에(all over) 접착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5) 내의 상기 인열-개방 라인(6)은 상기 개구 커버(3)에 대해 상기 지지부(2) 내의 상기 개방 라인 외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중간 층(5) 내의 상기 인열-개방 라인(6)의 구역들 또는 섹션들은 상기 지지부(2) 내의 상기 개방 라인(4)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5) 내의 상기 인열-개방 라인(6)은 평면도로 볼 때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부터 벗어나며 예를 들면 타원형 또는 계란형 또는 국부적으로 타원형 또는 계란형 또는 아치형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죽, 바람직하게는 건조 스플릿 가죽으로 제조된 상기 장식 층(7)은 0.4 mm 내지 0.8 mm,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0.7 mm, 예를 들면 약 0.6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죽은 40% 까지, 예를 들면, 35% 까지,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예를 들면 30% 내지 35%의 파괴 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죽은 12 N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10 N 보다 작은 인열 파급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층(7)을 생산하기 위해 크롬 없이 무두질한 가죽(chrome-free tanned leather)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층(7)을 생산하도록 진공-건조 가죽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5)은 상기 지지부(2)의 표면 전면에 접착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죽으로 제조된 상기 장식 층(7)은 재활성화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8)에 의해 상기 중간 층(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5)은 재활성화가능한 고온-용융 접착제(9)에 의해 상기 지지부(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용융 접착제(8, 9)는 상기 장식 층(7), 상기 중간 층(5) 및/또는 상기 지지부(2) 상으로 분무되거나 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층은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가죽으로 제조된 복수의 함께 연결된, 예를 들면 꿰매진 장식 층 섹션(7, 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 커버의 구역 내의 상기 가죽의 두께가 상기 나머지 구역 내의 가죽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트림 부품.
KR1020127011282A 2009-09-30 2010-09-23 자동차 내의 에어백을 덮기 위한 몰딩 트림 부품 KR101391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43498.4 2009-09-30
DE102009043498.4A DE102009043498B4 (de) 2009-09-30 2009-09-30 Verkleidungsformteil zum Abdecken eines Airbags in einem Kraftfahrzeug
PCT/EP2010/005814 WO2011038856A2 (de) 2009-09-30 2010-09-23 Verkleidungsformteil zum abdecken eines airbags in einem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368A true KR20120076368A (ko) 2012-07-09
KR101391196B1 KR101391196B1 (ko) 2014-05-02

Family

ID=4363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282A KR101391196B1 (ko) 2009-09-30 2010-09-23 자동차 내의 에어백을 덮기 위한 몰딩 트림 부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61649B2 (ko)
EP (1) EP2483111B1 (ko)
JP (1) JP2013506587A (ko)
KR (1) KR101391196B1 (ko)
CN (1) CN102725184B (ko)
DE (1) DE102009043498B4 (ko)
IN (1) IN2012DN02691A (ko)
WO (1) WO20110388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6716B2 (en) * 2011-01-07 2015-04-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irbag deployment system for a fabric wrapped vehicle interior panel
DE102011085412B4 (de) * 2011-10-28 2017-12-21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ahrzeugbauteils mit mehreren Schichten sowie Vorrichtung zum Applizieren eines Schmelzklebstoffs
DE102012106238A1 (de) 2012-07-11 2014-01-16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Gmbh Innenverkleidungstei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12021402A1 (de) 2012-10-30 2014-05-15 Eastman Kodak Company Bogenwendeeinheit und verfahren zum wenden eines bogens
PL2749458T3 (pl) * 2012-12-28 2015-09-30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Element wykładzinowy z osłoną poduszki powietrznej i sposób wytwarzania elementu wykładzinowego
DE102013202737B4 (de) 2013-02-20 2023-08-03 Antolin Deutschland Gmbh Schwächung von Lederhäuten
JP2014218188A (ja) * 2013-05-09 2014-11-20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エアバッグドア
JP2015093555A (ja) * 2013-11-11 2015-05-18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内装パネル及び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014116813A1 (de) 2014-11-18 2016-05-19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Gmbh Innenverkleidungstei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9296354B1 (en) 2015-02-11 2016-03-29 Global Ip Holdings, Llc Airbag cover assembly including layered, decorative cover pieces held together at a decorative seam
DE102015111590C5 (de) 2015-07-16 2022-03-31 Eissmann Automotive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korverbunds mit wenigstens einer örtlichen Schwächung und eines geschwächten Abstandsgewirkes
US11046278B2 (en) 2017-10-31 2021-06-29 Key Safety Systems, Inc. Cover assembly for an airbag module
DE102018109172B3 (de) * 2018-04-18 2019-07-0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irbagabdeckung
DE102020111343A1 (de) * 2020-04-27 2021-10-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irbagkappe eines Fahrzeugs
CN114684057A (zh) * 2022-03-29 2022-07-0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装置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15970U1 (ko) 1992-09-23 1993-01-21 Nichols, Joanna A., Baldwin Park, Calif., Us
DE19932327B4 (de) * 1999-07-10 2008-05-29 Adam Opel Ag Innenverkleidungsteil für ein Kraftfahrzeug
DE10231131C5 (de) 2002-07-10 2020-01-09 Lisa Dräxlmaier GmbH Armaturenbrett für ein Fahrzeug
DE10241715B4 (de) 2002-09-09 2011-06-16 Lisa Dräxlmaier GmbH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 mit einer Schwächung in einer Airbagabdeckung
DE602004004359T2 (de) 2004-01-26 2007-08-23 Pro-Cord S.P.A. Stuhl mit kippbarer Rückenlehne
DE202004017029U1 (de) 2004-11-04 2005-03-24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 mit Airbagabdeckung
DE102005034354B4 (de) * 2005-07-22 2014-08-28 Lisa Dräxlmaier GmbH Airbagabdeckung
JP2007159709A (ja) 2005-12-12 2007-06-28 Combi Corp 揺動椅子
DE102006028444A1 (de) 2006-04-03 2007-11-29 Kobleder Strickmode Gmbh & Co. Freitragende Bespannung für Sitz- und Liegemöbel
DE102006027082A1 (de) 2006-06-10 2007-12-1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irbagabdeckung für Fahrzeuge
DE102006054590B3 (de) * 2006-11-20 2008-01-31 Lisa Dräxlmaier GmbH Funktionsoptimiertes Schwächen eines Abstandsgewirkes
DE102006055861B3 (de) 2006-11-22 2008-02-21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Innenverkleidungsteil zum Abdecken eines Airbags, Airbag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Innenverkleidungsteils
DE102007017602A1 (de) * 2007-04-13 2008-10-16 Lisa Dräxlmaier GmbH Airbagschwächung bei Leder mit Schärfen und Schneiden
CN201101324Y (zh) 2007-09-13 2008-08-20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幼儿摇椅
DE102009008726A1 (de) * 2009-02-12 2009-10-29 Daimler Ag Airbagabdec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61649B2 (en) 2015-06-23
CN102725184B (zh) 2016-03-09
JP2013506587A (ja) 2013-02-28
DE102009043498B4 (de) 2015-08-06
DE102009043498A1 (de) 2011-04-07
WO2011038856A8 (de) 2012-05-03
KR101391196B1 (ko) 2014-05-02
EP2483111B1 (de) 2013-11-06
WO2011038856A2 (de) 2011-04-07
IN2012DN02691A (ko) 2015-09-04
WO2011038856A3 (de) 2011-09-22
US20120237712A1 (en) 2012-09-20
CN102725184A (zh) 2012-10-10
EP2483111A2 (de)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6368A (ko) 자동차 내의 에어백을 덮기 위한 몰딩 트림 부품
US8336910B1 (en) Active bolster with integrated tear seam
US7793972B2 (en) Front pillar trim panel with tether
KR100890774B1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JP4395597B2 (ja) 車両用エンジンフード
US11440498B2 (en) Airbag cover
US10155488B2 (en) One-piece headliner and pillar trim assembly of a vehicle
US8424903B2 (en) Vehicular interior parts
US20150298640A1 (en) Composite layer
US10807542B2 (en) Vehicular interior part including sound absorbing member
CN104002757A (zh) 皮革的削弱
KR100986476B1 (ko) 차량용 내부 트림
JPH1044904A (ja) 樹脂製エアバッグ
WO2016035457A1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及びそれを備えるエアバッグ装置
US9061647B2 (en) Trim assembly and component with retention feature
JP4478830B2 (ja) エアバッグドア
IT202000015523A1 (it) Pannello di copertura per un abitacolo di un veicolo e provvisto di un indebolimento per l'apertura di un sottostante airbag
US8376393B2 (en) Covering of an interior element of a motor vehicle equipped with an airbag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covering
JP2007030841A (ja) エアバッグドア
JP6433816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US20210122304A1 (en) Paneling element for a vehicle interior compart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neling element cross 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KR20100031940A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JP2010269610A (ja) エアバッグドア構造
JP5930659B2 (ja) 車両用内装部品
JP2008149979A (ja) 自動車のピラーガーニッシ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