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146A - 가스 와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와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146A
KR20120067146A KR1020100128599A KR20100128599A KR20120067146A KR 20120067146 A KR20120067146 A KR 20120067146A KR 1020100128599 A KR1020100128599 A KR 1020100128599A KR 20100128599 A KR20100128599 A KR 20100128599A KR 20120067146 A KR20120067146 A KR 20120067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gas
unit
power transmiss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훈
장태인
김종익
지창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28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146A/ko
Publication of KR20120067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이송되는 강판의 폭에 따라 고압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스 와이핑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한 가스 와이핑 장치는 이송되는 강판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기체분사부 및 이송되는 강판의 폭에 따라 상기 노즐의 내부에서 상기 노즐에 형성된 분사구의 적어도 일측을 개폐토록 상기 노즐에 설치되는 노즐 폭 가변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스 와이핑 장치에 의하면, 노즐 폭 가변유닛을 통해 이송되는 강판의 폭에 따라 고압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의 분사구 폭을 가변할 수 있어 강판 에지부 과도금 현상, 소음발생 및 도금액에서의 상부 드로스 유발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와이핑 장치{Gas wiping appratus}
본 발명은 가스 와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금욕조에 침진된 후 이송되는 도금강판의 도금 두께를 조절하는 가스 와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도금설비는 강판의 표면에 적정 압력의 기체를 분사하여 강판의 표면에 부착된 도금용액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가스 와이핑 장치를 갖는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은 아연 등의 도금용액(L)으로 채워진 도금욕조(20)를 통과한 후 수직방향으로 상승하여 이송되며, 가스 와이핑 장치(10)는 도금욕조(20)를 통과한 강판(S)의 양쪽 표면에 기체를 분사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도금용액(L)에 침지되어 도금되는 강판은 대략 800 ~ 1800mm의 폭을 가진다. 또한, 가스 와이핑 장치(10)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강판(S)으로 고압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은 대략 2000mm ~ 2200mm의 폭을 가진다.
그런데, 예를 들어 800 mm의 폭을 갖는 강판(S)이 도금욕조(20)의 도금용액에 침지된 후 이송되는 경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고압가스는 대략 2200mm의 폭으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의 외측으로 불필요한 고압가스가 분사된다.
즉, 고압가스가 강판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분사되므로 강판의 외측에는 불필요한 고압가스가 분사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분사되는 고압가스의 유량만큼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더하여, 불필요하게 분사되는 고압가스에 의해 도 3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의 모서리 부분에서는 불안정한 와류영역(V)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의 끝단부에 과도금 현상(G)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강판(S)의 외측에 분사되는 고압가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 배치되는 다른 가스 와이핑 장치(1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가스와의 충돌에 의해 와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심한 소음(N)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강판(S)의 외측에 불필요하게 분사되는 고압가스가 도금욕조(20)의 도금용액(L)에 부딪쳐서 상부 드로스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송되는 강판의 폭에 따라 고압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스 와이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는 이송되는 강판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기체분사부 및 이송되는 강판의 폭에 따라 상기 노즐의 내부에서 상기 노즐에 형성된 분사구의 적어도 일측을 개폐토록 상기 노즐에 설치되는 노즐 폭 가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 폭 가변유닛은 접철되어 상기 분사구의 적어도 일측을 개폐하는 접철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철부재는 상기 기체의 이동 경로 상 상기 분사구의 후단에서 상기 분사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구의 간극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 폭 가변유닛은 상기 접철부재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서브 접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접철부재를 접철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노즐 폭 가변유닛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접철부재를 접철시키는 구동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 또는 에어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가 모터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구동시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가 에어 실린더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타단이 고정 설치되는 로드가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관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로 공기를 입출시키는 제1,2 에어 입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가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유입되는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 또는 상기 챔버 중 적어도 하나에는 공급되는 가스에 함유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제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 폭 가변유닛을 통해 이송되는 강판의 폭에 따라 고압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의 분사구 폭을 가변할 수 있어 강판 에지부 과도금 현상, 소음발생 및 도금액에서의 상부 드로스 유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강판도금설비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로부터 고압가스가 분사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로부터 고압가스가 분사되는 경우 강판의 끝단부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로부터 고압가스가 분사되는 경우 소음이 발생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분사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의 A 부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부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로부터 강판의 폭에 맞추어 고압가스가 분사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5의 A 부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100)는 기체분사부(120) 및 노즐 폭 가변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체분사부(120)는 이송되는 강판(S)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노즐(122)를 구비한다. 한편, 기체분사부(120)는 도금욕조(20, 도 1 참조)를 통과한 강판(S)의 이송 경로 상에 배치된다. 다만,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체분사부(120)를 강판(S)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체분사부(120)는 강판(S)의 양측에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체분사부(120)는 양측에 노즐 폭 가변유닛(1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노즐 폭 가변유닛(140)은 설치대(130)에 고정 설치되어 기체분사부(120)에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체분사부(120)는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유입되는 챔버(144)를 구비하며, 챔버(144)에는 고압가스가 분사되는 분사구(122a)를 구비하는 노즐(122)이 연결된다.
한편, 기체분사부(120)는 공급되는 가스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제거부재(126)가 구비되며, 이물제거부재(126)은 챔버(124) 또는 노즐(12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이물제거부재(126)로 정류판(126a)와 메쉬망(126b)가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정류판(126a)과 메쉬망(126b) 중 하나만이 구비될 수 있다.
노즐 폭 가변유닛(140)은 이송되는 강판의 폭에 따라 노즐(122)의 내부에서 노즐(122)에 형성된 분사구(122a)의 적어도 일측을 개폐토록 노즐(122)에 설치된다.
한편, 노즐 폭 가변유닛(140)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5에 A 부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즐 폭 가변유닛(140)은 구동부(142), 동력전달부재(144) 및 접철부재(1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142)는 가스분사부(12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설치대(13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부(142)는 동력전달부재(144)에 연결되어 동력전달부재(144)를 통해 접철부재(146)를 접철시킨다.
한편, 구동부(142)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142)는 구동시 회전하여 동력전달부재(144)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동력전달부재(144)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42a)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42a)는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어 동력전달부재(144)를 이동시킨다.
한편, 예를 들어 구동부(142)에 의해 연결부재(142a)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동력전달부재(144)는 기체분사부(120)의 노즐(122)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구동부(142)에 의해 연결부재(142a)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동력전달부재(144)는 기체분사부(120)의 노즐 내부로부터 구동부(142) 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구동부(142)는 동력전달부재(144)가 권취될 수 있는 권취부(142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구동부(142)는 하부측에 권취부(142b)를 구비하며 구동부(142)의 구동에 의해 동력전달부재(144)는 권취부(142b)에 감겨지거나 풀리게 된다.
동력전달부재(144)는 접철부재(146)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구동부(142)의 연결부재(142a)에 연결된다. 즉, 구동부(142)의 구동시 동력전달부재(144)는 연결부재(142a)와 연동되어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접철부재(146)는 동력전달부재(144)에 의해 접철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44)는 구동부(142)의 권취부(142b)에 용이하게 권취되거나 풀려질 수 있도록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접철부재(146)는 접철되어 분사구의 적어도 일측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접철부재(146)는 복수개의 서브 접철부재(152,154,156)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접철부재(146)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서브 접철부재(152,154,156)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 접철부재(152,154,156) 중 최소직경(d1)을 가지는 서브 접철부재(152)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관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최소직경(d1)을 가지는 서브 접철부재(152)에는 동력전달부재(144)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재(144)의 이동시 최소직경(d1)을 가진 서브 접철부재(152)는 동력전달부재(144)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최소직경(d1)을 가진 서브 접철부재(152)는 고압가스의 이동 경로 상 분사구(122a)의 후단에서 분사구(122a)를 폐쇄할 수 있도록 분사구(122a)의 간극(C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브 접철부재(152)는 도 6에 도시된 분사구(122a)의 간극(C1)보다 큰 직경(d1)을 가진다. 이에 따라, 유동하는 고압가스에 의해 서브 접철부재(152)는 분사구(122a) 측으로 이동되어 분사구(122a)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최소직경(d1)을 가진 서브 접철부재(152)의 일단에는 결합된 중간직경(d2)를 가진 서브 접철부재(154)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152a)가 구비되며, 중간직경(d2)를 가진 서브 접철부재(154)에는 돌기부(152a)에 대응되는 걸림부(154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중간직경(d2)를 가진 서브 접철부재(154)는 최소직경(d1)을 가진 서브 접철부재(152)가 입출될 수 있도록 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154a)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에는 최소직경(d1)을 가진 서브 접철부재(152)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이탈방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최소직경(d1)을 가진 서브 접철부재(152)는 중간직경(d2)을 가진 서브 접철부재(154)의 걸림부(154a)와 이탈방지부에 의해 중간직경(d2)을 가진 서브 접철부재(154)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최대직경(d3)을 가진 서브 접철부재(156)도 상기한 중간직경(d2)을 가진 서브 접철부재(154)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더하여, 노즐 폭 가변유닛(140)은 가스분사부(120)의 노즐(12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4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48)은 노즐(122)과 연통되며 접철부재(146)가 접혀진 경우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연장부(148a)와, 연장부(148a)에 연결되며 구동부(14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148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노즐 폭 가변유닛(140)의 구동부(142)는 이송되는 강판(S)의 폭에 따라 구동부(142)를 제어하는 제어부(16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이송되는 강판(S)의 폭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제어부(160)는 구동부(142)를 제어하여 접철부재(146)가 신장되는 길이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센서(미도시) 또는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의하여 이송되는 강판(S)의 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노즐 폭 가변유닛(140)의 구동부(142)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노즐 폭 가변유닛(140)의 작동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강판(S)의 폭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60)가 수신하면, 제어부(160)는 구동부(142)를 구동시킨다. 만약,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부재(146)를 최대한 펼쳐서 노즐(122)에 구비되는 분사구(122a)의 양측을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부(142)를 통해 연결부재(142a)를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42a)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144)는 노즐(122)의 내부로 인입된다.
동력전달부재(144)가 이동되면, 동력전달부재(144)가 고정 설치되는 최소직경(d1)을 갖는 서브 접철부재(152)가 이동된다. 이후 계속해서 접혀져서 결합되어 있던 중간직경(d2)을 갖는 서브 접철부재(154)와 최대직경(d3)을 갖는 서브 접철부재(156)가 순차적으로 노즐(122)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후, 노즐(122)로 고압가스가 공급되면, 펼쳐진 서브 접철부재(152,154,156))들은 노즐(122)의 분사구(122a)를 폐쇄하게 된다. 즉, 공급되는 고압가스에 의해 펼쳐진 서브 접철부재(152,154,156)는 분사구(122a)측으로 이동되고, 서브 접철부재(152,154,156)의 직경(d1,d2,d3)이 분사구(122a)의 간극(C1)보다 크므로 서브 접철부재(152,154,156)에 의해 분사구(122a)의 양측부가 폐쇄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접철부재(152,154,156)에 의해 분사구(122a)의 양측부가 폐쇄되어 강판(S)의 폭과 일치되도록 고압가스가 노즐(122)의 분사구(122a)로부터 분사될 수 있다.
한편, 노즐(122)에 구비되는 분사구(122a)의 양측을 폐쇄하지 않고 모두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구동부(142)를 통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42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42a)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144)는 노즐(122)의 내부로부터 인출된다.
동력전달부재(144)가 노즐(122)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면, 동력전달부재(144)가 고정 설치되는 최소직경(D1)을 갖는 서브 접철부재(152)가 이동된다. 이후 순차적으로 중간직경(d2)을 갖는 서브 접철부재(154)와 최대직경(d3)을 갖는 서브 접철부재(156)가 노즐(122)로부터 인출된다.
이에 따라, 노즐(122)의 분사구(122a) 전영역이 개방되고, 고압가스를 노즐(122)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 폭 가변유닛(140)을 통해 이송되는 강판(S)의 폭에 따라 고압가스를 분사하는 노즐(122)의 분사구(122a) 폭을 가변할 수 있어 강판(S) 에지부 과도금 현상, 소음발생 및 도금액에서의 상부 드로스 유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노즐(122)의 분사구(122a)로부터 강판(S)의 폭에 따라 분사되는 고압가스의 폭이 조절되어 고압가스가 분사될 수 있으므로, 강판(S)의 외측에 분사되는 고압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에지부 과도금 현상, 소음발생, 및 도금액에서의 상부 드로스 유발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에의 도시 및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5의 A 부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와이핑 장치(200)는 가스분사부(220) 및 노즐 폭 가변유닛(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스분사부(220)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가스분사부(120)와 동일한 구성에 해당되는 구성으로서, 여기서는 도면에의 자세한 도시 및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노즐 폭 가변유닛(240)은 구동부(242), 동력전달부재(244) 및 접철부재(24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노즐 폭 가변유닛(240)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재(244)와 접철부재(246)도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동력전달부재(244)와 접철부재(246)과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242)는 동력전달부재(244)에 연결되며 동력전달부재(244)를 통해 접철부재(246)를 접철시킨다. 그리고, 구동부(242)는 에어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242)는 관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 부재(242a)와 실린더 부재(242a)에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242b)를 구비할 수 있다.
실린더 부재(242a)에는 로드(242b)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부(242c)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242c)는 실린더 부재(242a)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실린더 부재(242a)의 양단부에는 실린더 부재(242a)의 내부로 공기를 입출시키는 제1,2 에어 입출구(242d,242e)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에어 입출구(242d,242e)에 연결되는 배관(272,274)에는 밸브부재(276,278)가 구비될 수 있다.
더하여, 밸브부재(276,278)는 삼방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에어의 이동 경로 상 밸브부재(276,278)의 전단에는 에어공급펌프(280,282)가 배관(272,274)에 설치될 수 있다.
더하여, 밸브부재(276,278)에는 배기되는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배관(284,286)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 입출구(242d)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배관(272)에 설치된 에어공급펌프(280)가 구동되어 에어가 제1 에어 입출구(242d)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 부재(242a)에 설치된 로드(242b)는 실린더 부재(242a)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실린더 부재(242a)를 따라 이동된다.
로드(242b)의 이동에 따라 동력전달부재(244)는 노즐(222)의 내부로 인입되고, 종국적으로 접철부재(246)가 펼쳐진다.
한편, 에어가 제1 에어 입출구(242d)로 유입되는 경우 실린더 부재(242a)에 존재하던 에어는 제2 에어 입출구(242e)를 통해 실린더 부재(242a)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배관(274)에 설치되는 밸브부재(278)는 배출되는 에어가 배기배관(286)을 따라 배출되도록 에어의 유동 경로를 변경시킨다.
또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에어 입출구(242e)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배관(274)에 설치된 에어공급펌프(282)가 구동되어 에어가 제2 에어 입출구(242e)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 부재(242a)에 설치된 로드(242b)는 실린더 부재(242a)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로 실린더 부재(242a)를 따라 이동된다.
로드(242b)의 이동에 따라 동력전달부재(244)는 노즐(222)의 내부로부터 구동부(242) 측으로 인출되고, 종국적으로 접철부재(246)가 접혀진다.
한편, 에어가 제2 에어 입출구(242e)로 유입되는 경우 실린더 부재(242a)에 존재하던 에어는 제1 에어 입출구(242d)를 통해 실린더 부재(242a)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배관(272)에 설치되는 밸브부재(276)는 배출되는 에어가 배기배관(284)을 따라 배출되도록 에어의 유동 경로를 변경시킨다.
한편, 밸브부재(276,278)와 에어공급펌프(280,282)는 제어부(26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밸브부재(276,278) 및 에어공급펌프(280,282)를 통해 실린더 부재(242a)에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로드(242b)의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철부재(246)의 접철되는 길이는 조절하여 노즐(222)의 분사구(미도시)의 개방 정도를 제저할 수 있다.
한편, 노즐 폭 가변유닛(240)은 노즐(222)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접철부재(246)가 접혀진 경우 접철부재(246)가 수용되는 하우징(24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접철부재(246)의 모두 접혀진 경우 접철부재(246)는 노즐(222)로부터 인출되어 하우징(248)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접철부재(246)에 의한 노즐(222)의 분사구 폐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 폭 가변유닛(240)을 통해 이송되는 강판(S)의 폭에 따라 고압가스를 분사하는 노즐(222)의 분사구(222a) 폭을 가변할 수 있어 강판(S) 에지부 과도금 현상, 소음발생 및 도금액에서의 상부 드로스 유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노즐(222)의 분사구(222a)로부터 강판(S)의 폭에 따라 분사되는 고압가스의 폭이 조절되어 고압가스가 분사될 수 있으므로, 강판(S)의 외측에 분사되는 고압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에지부 과도금 현상, 소음발생, 및 도금액에서의 상부 드로스 유발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칭은 에어 나이프라고 불리우기도 하며, 이때 에어는 공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금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분사되는 기체를 일컫는 의미로 사용된다.
100, 200 : 가스 와이핑 장치
120, 220 : 기체분사부
140, 240 : 노즐 폭 가변유닛

Claims (8)

  1. 이송되는 강판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기체분사부; 및
    이송되는 강판의 폭에 따라 상기 노즐의 내부에서 상기 노즐에 형성된 분사구의 적어도 일측을 개폐토록 상기 노즐에 설치되는 노즐 폭 가변유닛;
    을 포함하는 가스 와이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폭 가변유닛은 접철되어 상기 분사구의 적어도 일측을 개폐하는 접철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와이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재는 상기 기체의 이동 경로 상 상기 분사구의 후단에서 상기 분사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구의 간극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와이핑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폭 가변유닛은 상기 접철부재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서브 접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접철부재를 접철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와이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폭 가변유닛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접철부재를 접철시키는 구동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 또는 에어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와이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모터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구동시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와이핑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에어 실린더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타단이 고정 설치되는 로드가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관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로 공기를 입출시키는 제1,2 에어 입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와이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가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유입되는 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 또는 상기 챔버 중 적어도 하나에는 공급되는 가스에 함유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제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와이핑 장치.
KR1020100128599A 2010-12-15 2010-12-15 가스 와이핑 장치 KR20120067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599A KR20120067146A (ko) 2010-12-15 2010-12-15 가스 와이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599A KR20120067146A (ko) 2010-12-15 2010-12-15 가스 와이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146A true KR20120067146A (ko) 2012-06-25

Family

ID=4668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599A KR20120067146A (ko) 2010-12-15 2010-12-15 가스 와이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714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432B1 (ko) * 2014-05-08 2015-01-22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
KR101631533B1 (ko) * 2014-12-19 2016-06-21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용 셔터 및 제조방법
WO2016159534A1 (ko) * 2015-03-30 2016-10-06 주식회사 삼우에코 작동효율이 우수한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
KR101697973B1 (ko) 2015-09-07 2017-02-02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용 셔터 권취장치
KR102017778B1 (ko) 2019-05-09 2019-09-03 허기복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432B1 (ko) * 2014-05-08 2015-01-22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
KR101631533B1 (ko) * 2014-12-19 2016-06-21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용 셔터 및 제조방법
WO2016159534A1 (ko) * 2015-03-30 2016-10-06 주식회사 삼우에코 작동효율이 우수한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
DE112016000077B4 (de) * 2015-03-30 2020-08-20 Samwooeco Co., Ltd. Vorrichtung zur Änderung der Breite eines Luftmessers mit hervorragender Betriebseffizienz
KR101697973B1 (ko) 2015-09-07 2017-02-02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용 셔터 권취장치
KR102017778B1 (ko) 2019-05-09 2019-09-03 허기복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7146A (ko) 가스 와이핑 장치
JP4870799B2 (ja) 流量調節バルブ
ITMI930293A1 (it) Anello di spruzzatura automatico per l'utilizzo in un rifinitore di succo.
JP2007014877A (ja) 内部洗浄装置
CN110241537B (zh) 换向往复砂洗机
JP3811812B2 (ja) 塗工装置
WO2009120143A1 (en) Method for system for a water jet propulsion system for a ship
KR101600949B1 (ko) 스케일 제거장치
IT201600072149A1 (it) Pompa per erogare un liquido.
KR20160053074A (ko) 염색기용 염액분사 노즐
CN201381280Y (zh) 蚀刻设备
CN203248417U (zh) 射流气提装置
CN205635794U (zh) 一种多功能管材酸洗装置
JP4760367B2 (ja) 浴槽の機器収納構造
JP2758151B2 (ja) 染色装置及び染色装置用の液体染料用ノズル
JP2013146985A (ja) インク供給装置
WO2019214514A1 (zh) 滚筒洗衣机及其喷淋控制方法
JP2011092891A (ja) 基板洗浄装置
JP2014190622A (ja) 風呂システム
JP3565443B2 (ja) 噴射装置
WO2019214516A1 (zh) 滚筒洗衣机及其喷淋控制方法
KR20190009729A (ko) 의류처리장치
JPS5967955A (ja) 噴流浴装置
JP5021972B2 (ja) 浴槽装置
KR102346100B1 (ko) 샤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