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778B1 -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778B1
KR102017778B1 KR1020190054338A KR20190054338A KR102017778B1 KR 102017778 B1 KR102017778 B1 KR 102017778B1 KR 1020190054338 A KR1020190054338 A KR 1020190054338A KR 20190054338 A KR20190054338 A KR 20190054338A KR 102017778 B1 KR102017778 B1 KR 102017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knife
width
moving
width adjusting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기복
Original Assignee
허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기복 filed Critical 허기복
Priority to KR1020190054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설치하여 동시에 이동하면서 에어나이프(10)의 전방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분사공(11)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무동력 폭 가변유닛(100);을 포함하는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도금강판의 넓이에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배플 유닛과 동시에 이동하면서 에어나이프의 고압기체 차단범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전진 또는 후진위치에 따라서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압기체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Non-power width adjusting device of air knife}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에어나이프의 분사공에 대한 차단범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는 도금강판의 넓이에 따라서 에어나이프를 통해서 분사하는 고압기체의 차단범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에어나이프의 분사공에 삽입하여 차단범위(폭)를 조절하기 위한 차단부재를 권취장치 또는 모터 및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작동시켜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치공간이 협소한 에어나이프 및 배플 유닛에 쉽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상기 구동수단이 일정기간이 지나면서 오작동 및 잦은 고장이 발생하여 도금강판의 넓이에 따라서 차단부재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생산품질 및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도금강판의 도금량 제어를 위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에어나이프의 위치에 따라서 차단부재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03447호(2006.01.11) 한국등록특허 제10-0613893호(2006.08.22) 일본공개특허 특개2006-274381호(2006.10.12)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7146호(2012.06.25)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3591호(2013.06.17) 한국등록특허 제10-1483432호(2015.01.22) 한국등록특허 제10-1566216호(2015.11.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금강판의 넓이에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배플 유닛과 동시에 이동하면서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에어나이프의 고압기체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전진 또는 후진위치에 따라서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에어나이프의 고압기체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는,
에어나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설치하여 동시에 이동하면서 에어나이프(10)의 전방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분사공(11)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무동력 폭 가변유닛(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동력 폭 가변유닛(100)은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전방과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유도부재(120); 상기 유도부재(120)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되 내측에 상기 분사공(11)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마련하여 고압기체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단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과 설치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조절공(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120)의 끝단에 상기 차단부재(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탈 방지부(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차단부재(130)의 외측에 상기 유도부재(12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유도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공(11)의 외측에 상기 차단부재(130)가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도금강판의 넓이에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배플 유닛과 동시에 이동하면서 에어나이프의 고압기체 차단범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전진 또는 후진위치에 따라서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압기체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설치하여 동시에 이동하면서 에어나이프(10)의 전방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분사공(11)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무동력 폭 가변유닛(1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에어나이프(10)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도금강판의 전면과 후면을 바라보도록 설치하여 고압기체를 분사함으로써 도금강판의 표면에 대한 도금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에어나이프(1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하는 고압기체를 전방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분사공(1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배플 유닛(20)은 도금강판의 넓이에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에어나이프(10)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압기체의 충돌로 인한 와류현상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나이프(10)와 분사공(11) 및 배플 유닛(20)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동원리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동력 폭 가변유닛(100)은 종래와 같이 권취장치 또는 모터 및 실린더 등과 같은 별도의 구동수단을 이용하는 복잡한 구조를 탈피하여 도금강판의 양측면으로 근접하도록 이동하는 상기 배플 유닛(20)과 결합하여 동시에 이동하면서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에어나이프(10)의 고압기체 차단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무동력 폭 가변유닛(100)은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전방과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유도부재(120); 상기 유도부재(120)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되 내측에 상기 분사공(11)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마련하여 고압기체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단부재(13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과 설치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조절공(1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도부재(120)는 상기 차단부재(130)가 장착한 상태에서 분사공(11)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에어나이프(10)가 도금강판의 도금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도금강판의 표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차단부재(130)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차단부재(130)는 상기 분사공(11)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이므로 에어나이프(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동시에 이동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상기 유도부재(120)가 상기 차단부재(130)를 지지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상기 유도부재(120)는 상기 차단부재(1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전방과 후방을 향하도록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유도부재(120)의 끝단에 상기 차단부재(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탈 방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단부재(130)는 상기 분사공(11)을 차단 또는 개방하여 고압기체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130)의 외측에 상기 유도부재(12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유도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유도부(131)는 상기 유도부재(12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간섭없이 상기 차단부재(1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 내측에 베어링 또는 부시 등과 같은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차단부재(13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공(11)의 외측에 상기 차단부재(130)가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구(140)는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차단부재(130)가 가장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분사공(11)의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보조함은 물론 상기 분사공(11)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강판의 넓이(폭)에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배플 유닛(20)과 함께 상기 무동력 폭 가변유닛(100)의 차단부재(130)가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분사공(11)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강판의 표면을 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에어나이프(10)와 함께 상기 무동력 폭 가변유닛(100)의 차단부재(130)가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분사공(11)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130)는 상기 분사공(11)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에어나이프(10)가 이동할 경우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에어나이프 11: 분사공
20: 배플 유닛
100: 무동력 폭 가변유닛
110: 몸체 111: 조절공
120: 유도부재 121: 이탈 방지부
130: 차단부재 131: 이동 유도부
140: 지지구

Claims (6)

  1. 에어나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설치하여 동시에 이동하면서 에어나이프(10)의 전방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분사공(11)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무동력 폭 가변유닛(100);을 포함하되, 상기 무동력 폭 가변유닛(100)은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전방과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유도부재(120); 상기 유도부재(120)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되 내측에 상기 분사공(11)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마련하여 고압기체의 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차단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과 설치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조절공(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120)의 끝단에 상기 차단부재(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탈 방지부(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30)의 외측에 상기 유도부재(12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유도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11)의 외측에 상기 차단부재(130)가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KR1020190054338A 2019-05-09 2019-05-09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KR102017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38A KR102017778B1 (ko) 2019-05-09 2019-05-09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38A KR102017778B1 (ko) 2019-05-09 2019-05-09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778B1 true KR102017778B1 (ko) 2019-09-03

Family

ID=6795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338A KR102017778B1 (ko) 2019-05-09 2019-05-09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77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973A (ko) * 2000-06-23 2002-01-09 이구택 도금코팅제어기에 있어서의 소음제거장치
KR20060003447A (ko) 2004-07-06 2006-01-11 박창식 가스분사폭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나이프
JP2006274381A (ja) 2005-03-30 2006-10-12 Nippon Steel Corp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及びガスワイピング装置
KR20120067146A (ko) 2010-12-15 2012-06-25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와이핑 장치
KR20130063591A (ko) 2011-12-07 2013-06-17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
KR20130117517A (ko) * 2012-04-18 2013-10-28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와이핑 설비용 배플 장치
KR20140081612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와이핑 설비의 크리닝장치
KR101483432B1 (ko) 2014-05-08 2015-01-22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
KR101566216B1 (ko) 2015-03-30 2015-11-09 주식회사 삼우에코 작동효율이 우수한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973A (ko) * 2000-06-23 2002-01-09 이구택 도금코팅제어기에 있어서의 소음제거장치
KR20060003447A (ko) 2004-07-06 2006-01-11 박창식 가스분사폭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나이프
KR100613893B1 (ko) 2004-07-06 2006-08-22 박창식 가스분사폭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나이프
JP2006274381A (ja) 2005-03-30 2006-10-12 Nippon Steel Corp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及びガスワイピング装置
KR20120067146A (ko) 2010-12-15 2012-06-25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와이핑 장치
KR20130063591A (ko) 2011-12-07 2013-06-17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
KR20130117517A (ko) * 2012-04-18 2013-10-28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와이핑 설비용 배플 장치
KR20140081612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와이핑 설비의 크리닝장치
KR101483432B1 (ko) 2014-05-08 2015-01-22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
KR101566216B1 (ko) 2015-03-30 2015-11-09 주식회사 삼우에코 작동효율이 우수한 에어나이프의 폭 가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0397B1 (en) Steel strip stabilizing apparatus
AU2950397A (en) Sliding wall
KR102017778B1 (ko)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JP2007054852A (ja) 棒鋼のための誘導装置
KR101062037B1 (ko) 에어나이프용 노즐 개구부 차단 장치
KR20130034216A (ko) 에이치 형강의 냉각장치
KR100613893B1 (ko) 가스분사폭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나이프
KR20120065487A (ko) 무레일 노갭 용접장치
KR101243205B1 (ko) 포지셔너 횡형 이동 동조장치
KR20210027732A (ko) 벤딩 장치
KR20160057763A (ko) 스폿 용접장치
JPS6290356A (ja) 整備位置へ可動のキヤリツジ装置を備えた平形編機
KR200202221Y1 (ko) 자동용접기용 이송 레일 구조
KR20190039462A (ko) 수평 필릿 용접 장치 및 수평 필릿 용접 방법
KR20210009180A (ko) 롤러 장치 및 주조 설비
US20080131547A1 (en) External Sprue Bar Position Alignment Apparatus
KR20040048726A (ko) 각도 조절형 슬라이드 코어
JP2008201580A (ja) 部品移行装置
KR20110065618A (ko) 강판 진행 가이드장치
KR101824845B1 (ko) 가구용 판넬 고정장치
KR20200020499A (ko) 개선절단 장치
JPH07196145A (ja) 部品の供給速度制御装置
KR101382660B1 (ko) 가스 와이핑 설비용 배플 장치
CN114909053B (zh) 一种曲线滑移的人孔盖开合装置
CN208374594U (zh) H型钢雏形工件的端部对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