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499A - 개선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개선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499A
KR20200020499A KR1020180096270A KR20180096270A KR20200020499A KR 20200020499 A KR20200020499 A KR 20200020499A KR 1020180096270 A KR1020180096270 A KR 1020180096270A KR 20180096270 A KR20180096270 A KR 20180096270A KR 20200020499 A KR20200020499 A KR 20200020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cutting
traveling
cutting device
impr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백
김무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0499A/ko
Publication of KR2020002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001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for profiling plate edges or for cutting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8Carriages forming part of a cut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10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 B23K7/102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for controlling the spa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pieces and the gas to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절단 대상물인 모재의 상면을 주행하면서 모재에 대하여 개선절단을 수행하는 주행절단장비, 주행절단장비의 일측에 구비되며, 롤러를 통해 모재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되어 주행절단장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주행안내수단 및 모재의 후단부에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모재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이 이루어지도록 주행절단장비 및 주행안내수단을 가이드하는 연장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개선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선절단 장치{Bevel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개선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번의 작업으로 모재의 끝단까지 개선절단을 수행할 수 있는 개선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혹은 직선절단면을 가진 강판 등의 모재에 대하여 일 측면 이상을 절단하거나 모따기 작업을 하는 것을 개선절단이라 한다.
통상 개선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개선절단 장치를 통해 통해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019025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는, 절단기 몸체에 바퀴가 구비되고, 몸체 일측에 모재(철판)의 모서리를 절단하기 위한 가스토치가 결합되어 있으며, 더불어 가스토치가 구비된 쪽의 몸체의 일측에는 개선절단하고자 하는 모재의 측면부에 지지되어 절단기 몸체의 주행을 안내하는 주행 가이드롤러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고온의 불꽃을 발사하는 가스토치를 이용하여 모재를 절단함으로써, 주행 가이드롤러는 가스토치보다 선행하며 절단기 몸체의 주행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기술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는, 절단기 몸체에 구비된 가스토치를 통해 모재를 개선절단하는 과정에서, 주행 가이드롤러가 모재 측면부를 이탈할 때까지 개선절단 작업을 수행한 후, 이 과정에서 절단되지 않은 모재의 나머지 끝단 부분은 작업자가 절단기 몸체의 직진도를 확인하며 절단기 몸체를 주행시켜 개선절단 작업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개선절단 장치를 이용한 개선절단 작업은, 작업자의 육안에 따른 개선절단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으로써,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고, 항상 일정한 품질의 개선절단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이 여전히 요구되기 때문에 1인의 작업자가 다수의 개선절단 장치를 동시에 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019025호(공개일: 2000.11.06) "개선 절단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번의 작업으로 모재의 끝단까지 개선절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개선절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재의 개선절단이 완료된 후에는 자동으로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단일 작업자가 여러 대의 장치를 운용할 수 있는 개선절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선절단 대상물인 모재의 상면을 주행하면서 모재에 대하여 개선절단을 수행하는 주행절단장비, 주행절단장비의 일측에 구비되며, 롤러를 통해 모재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되어 주행절단장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주행안내수단 및 모재의 후단부에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모재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이 이루어지도록 주행절단장비 및 주행안내수단을 가이드하는 연장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개선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주행절단장비가 본체부, 본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바퀴부재 및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모재의 개선절단을 수행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하되, 복수의 바퀴부재가 주행안내수단이 구비된 쪽의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편향되게 구비되는 개선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주행안내수단이 주행절단장비의 일측에 결합되는 롤러 지지부재,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롤러 지지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개선절단하고자 하는 모재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주행절단장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롤러, 모재 상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1 및 제2 롤러와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롤러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3 롤러를 포함하는 개선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롤러 지지부재가 주행절단장비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핀, 몸체에 장공이 형성되며, 장공을 통해 고정핀에 결합되어 주행절단장비의 일측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바, 주행절단장비의 측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가이드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바 및 지지바의 끝단에 고정되며, 제1 내지 제3 롤러가 각각 축 연결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개선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및 제2 롤러의 경우, 지지몸체에 연결되는 축의 고정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개선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연장가이드 브라켓은 판체 측면부가 모재의 측면부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고, 모재의 측면 끝단과 대향하는 브라켓의 코너부분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절개홈 일측에 연장가이드 브라켓의 측면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주행절단장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롤러가 모재의 측면부를 따라 롤링하여 절개홈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3 롤러를 지지하는 보조가이드를 포함하는 개선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주행절단장비에는 연장가이드 브라켓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주행절단장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스위치 센서가 구비되고, 연장가이드 브라켓의 후단에는 정지스위치 센서를 작동시키는 엔드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개선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는, 모재의 측면부를 개선절단함에 있어, 한번의 작업으로 모재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항상 균일한 품질을 얻을 수 있어, 개선절단되는 모재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재의 개선절단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정지스위치 센서에 의해 장치 구동이 자동으로 정지됨으로써, 작업자가 다수 대의 장치를 용이하게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편향된 바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행안내수단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행절단장비를 통해 모재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행절단장비가 연장가이드 브라켓 쪽으로 이동하며 모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제1 내지 제3 롤러의 가이드 이동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는, 개선절단 대상물인 모재(10)의 상면을 주행하면서 모재(10)에 대하여 개선절단을 수행하는 주행절단장비(100)와, 상기 주행절단장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롤러를 통해 모재(10)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되어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주행안내수단(200)과, 모재(10)의 후단부에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모재(10)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이 이루어지도록 주행절단장비(100) 및 주행안내수단(200)을 가이드하는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는, 모재의 후단부에 연장가이드 브라켓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모재의 측면부를 절단하며 모재 상면을 주행하는 주행절단장비가 모재의 후단부 쪽을 통과하여, 모재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장가이드 브라켓의 상면을 주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한번의 작업으로 주행절단장비를 통해 모재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의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는, 주행절단장비(100), 주행안내수단(200) 및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절단장비(100)는 개선절단 대상물이 되는 모재(10, 강판 등)의 상면을 주행하면서 모재(10)에 대하여 개선절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이러한 주행절단장비(100)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복수의 바퀴부재(120)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모재(10)의 개선절단을 수행하는 절단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행절단장비(100)는 복수의 바퀴부재(120)를 통해 모재(10) 위를 이동하면서 절단수단(130)을 통해 모재(10)의 개선절단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절단수단(130)은 가스불꽃을 분사하여 모재(10)를 개선절단할 수 있는 토치(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토치(131)에는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라인(132)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토치(131)는 개선각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토치(131)에 형성된 노즐의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체부(110)에는 양측에 각각 한 쌍씩 총 4개의 바퀴부재(120)가 구비되어, 바퀴부재(120)를 통해 모재(10)의 판면 위를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체부(110) 내부에는 복수의 바퀴부재(12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복수의 바퀴부재(12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력전달수단은 복수의 기어 및 축으로 이루어지는 구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편향된 바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각각의 바퀴부재(120)는 소정 각도로 편향되게 구비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주행안내수단(200)은 주행절단장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롤러를 통해 모재(10)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되어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행안내수단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안내수단(200)은, 절단수단(130)이 배치되는 주행절단장비(100)의 본체부(110) 일측에 결합되는 롤러 지지부재(210)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롤러 지지부재(210)에 각각 결합되며, 개선절단하고자 하는 모재(10)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제1 및 제2 롤러(220,230)와, 모재(10) 상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롤러(220,230)와 상기 본체부(110) 사이에 배치되도록 롤러 지지부재(210)에 결합되는 제3 롤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 지지부재(210)는 주행절단장비(100)가 모재(10)를 절단하며 모재(10)의 측면부와 평행하게 직선 주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1 내지 제3 롤러(220,230,240)를 지지하며, 더불어 제1 내지 제3 롤러(220,230,24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롤러 지지부재(210)는, 주행절단장비(100)의 본체부(110)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핀(211)과, 몸체에 장공(212)이 형성되며, 장공(212)을 통해 고정핀(211)에 결합되어 본체부(110) 일측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바(213)와, 본체부(110) 측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213)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바(214)와, 상기 지지바(214)의 끝단에 고정되며, 제1 내지 제3 롤러(220,230,240)가 각각 축 연결되는 지지몸체(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롤러(220,230)의 경우, 지지몸체(215) 상에서 제1 및 제2 롤러(220,230)와 연결되는 축의 고정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롤러 지지부재(210)를 통해 제1 내지 제3 롤러(220,230,240)의 위치를 조정함에 있어서는, 장공(212)을 통해 고정핀(211)에 결합된 가이드바(213)의 위치를 조정하여, 가이드바(213)에 지지바(214)와 지지몸체(215)를 통해 연결된 제1 내지 제3 롤러(220,230,24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고, 더불어 지지몸체(215)에 축 연결되는 제1 및 제2 롤러(220,230)의 축 고정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 및 제2 롤러(220,230)가 개선절단하고자 하는 모재(10)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되도록 제1 및 제2 롤러(220,2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몸체(215)가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재(10)의 측면부와 대향하는 몸체의 양측단에 각각 제1 및 제2 롤러(220,230)가 연결되고, 주행절단장비(100)의 본체부(110)를 향하는 쪽의 몸체 단부에 제3 롤러(240)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롤러(220,230)는 주행절단장비(100)를 통해 모재(10)를 개선절단하는 과정에서, 개선절단하고자 하는 모재(10)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되어, 모재(10)를 절단하는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절단장비(100)를 통해 모재(10)의 개선절단을 수행하는 경우, 개선절단하고자 하는 모재(10)의 상면 일측에 주행절단장비(100)를 배치시키는 동시에, 주행절단장비(100)에 연결된 롤러 지지부재(210)를 통해 제1 및 제2 롤러(220,230)의 위치를 조정하여 개선절단하고자 하는 모재(10)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시키게 되는데, 이때 주행절단장비(100)를 통해 모재(10)를 절단하면서 주행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롤러(220,230)가 모재(10)의 측면부를 따라 지지되며 롤링되면서 주행절단장비(100)가 모재(10)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절단장비(100)의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각각의 바퀴부재(120)는 주행안내수단(200)이 구비된 쪽의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각도 편향되게 구비되어 있어, 주행절단장비(100)가 편향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모재(10)의 측면부를 따라 지지되는 제1 및 제2 롤러(220,230)에 의해 주행절단장비(100)의 이동이 가이드되어 주행절단장비(100)가 모재(10)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수의 바퀴부재(120)와 함께 본체부(110)도 편향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3 롤러(240)는 주행절단장비(100)를 통해 모재(10)를 개선절단하는 과정에서,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에 구비되는 보조가이드(340)에 밀착 지지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은 모재(10)의 후단부에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모재(10)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이 이루어지도록 주행절단장비(100) 및 주행안내수단(200)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판체 측면부가 모재(10)의 측면부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모재(10)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일측에는 모재(10)의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대(310)와, 지지대(310) 끝단에 구비되어 모재(10)의 상면에 부착되는 마그네틱 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이 모재(1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그네틱 부재(320)는 영구자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모재(10)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행절단장비를 통해 모재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0)의 측면부를 절단하며 모재(10) 상면을 주행하는 주행절단장비(100)가 모재(10)의 후단부 쪽을 통과하게 되면, 모재(1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상면을 주행할 수 있게 되며, 이 과정에서 주행절단장비(100)에 의해 모재(10)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이 이루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롤러(220,230)는 모재(10)의 측면부를 따라 지지되면서, 주행절단장비(100)가 연장가이드 브라켓(300)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모재(10)의 측면부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측면부에 지지되어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을 연속하여 안내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에는, 모재(10)의 측면 끝단과 대향하는 브라켓의 코너부에 절개홈(330)이 형성되어 있어, 주행절단장비(100)가 모재(10) 후단부에서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으로 이동하며 모재(10)의 측면 끝단을 개선절단하는 과정에서,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측면 선단이 함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상면에는, 주행안내수단(200)의 제1 및 제2 롤러(220,230)가 모재(10)의 측면부를 통과하여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측면부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주행안내수단(200)의 제3 롤러(240)가가 밀착 지지될 수 있는 보조가이드(340)가 구비된다.
즉, 주행절단장비(100)가 모재(10)의 후단부에서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으로 이동하며 모재(10)의 측면 끝단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주행안내수단(200)의 제1 및 제2 롤러(220,230)가 모재(10)의 측면부를 따라 지지되며 롤링되면서,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절개홈(330)을 통과하여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측면부에 지지되게 되는데, 이때 주행안내수단(200)의 제1 및 제2 롤러(220,230)가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절개홈(330)에 걸리지 않고 절개홈(33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주행안내수단(200)의 제3 롤러(240)가 보조가이드(340)에 지지된다.
이때, 보조가이드(340)는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에서 절개홈(330) 일측에 브라켓 측면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행절단장비가 연장가이드 브라켓 쪽으로 이동하며 모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제1 내지 제3 롤러의 가이드 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절단장비(100)가 연장가이드 브라켓(300) 쪽으로 이동하며 모재(10)를 절단하는 과정에서는, 모재(10)의 측면부에 지지되며 롤링되는 제1 및 제2 롤러(220,230) 중, 먼저 연장가이드 브라켓(300)과 인접한 제1 롤러(220)가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절개홈(330)으로 진입되는데, 이때 제2 롤러(230)는 모재(10)의 측면부에 지지되며 롤링되고, 동시에 제3 롤러(240)는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보조가이드(340)에 지지되며 롤링됨으로써, 제2 및 제3 롤러(230,240)를 통해, 절개홈(330)을 통과하는 제1 롤러(220)를 지지하는 동시에,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220)가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절개홈(330)을 통과하고, 제2 롤러(230)가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절개홈(330)으로 진입되면, 제1 롤러(220)가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측면부에 지지되며 롤링되고, 동시에 제3 롤러(240)는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보조가이드(340)에 지지되며 롤링됨으로써, 제1 및 제3 롤러(220,240)를 통해, 절개홈(330)을 통과하는 제2 롤러(230)를 지지하는 동시에,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이때, 절개홈(330) 쪽의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측면 선단부는 테이퍼(T, 도7 참조)지게 형성되어 있어, 절개홈(330)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제1 및 제2 롤러(220,230)가 연장가이드 브라켓(200)의 측면부에 용이하게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행절단장비(100)가 모재(10)의 후단부에서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으로 이동하며 모재(10)의 측면 끝단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주행안내수단(200)이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절개홈(330)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모재(10) 절단 방향으로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절단장비(100)의 본체부(110)에서 연장가이드 브라켓(300)과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주행절단장비(1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스위치 센서(410)가 구비되고,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후단에는 모재(10)의 측면 끝단을 절단하고 주행하는 주행절단장비(100)의 정지스위치 센서(41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정지스위치 센서(410)를 작동시키는 엔드 플레이트(42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는 모재(10)의 측면부를 개선절단함에 있어, 한번의 작업으로 모재(10)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모재(10)의 개선절단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정지스위치 센서(410)에 의해 장치 구동이 자동으로 정지됨으로써, 작업자가 다수의 개선절단 장치를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를 통해 모재(10)의 개선절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개선절단하고자 하는 모재(10)의 상면 일측에 주행절단장비(100)를 배치시키는 동시에, 주행절단장비(100)에 연결된 롤러 지지부재(210)를 통해 제1 및 제2 롤러(220,230)의 위치를 조정하여 개선절단하고자 하는 모재(10)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시킨다.
이후, 주행절단장비(100)가 모재(10)의 상면을 주행하며 모재(10) 측면부의 개선절단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모재(10)의 측면부에 지지되는 제1 및 제2 롤러(220,230)를 통해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0)의 측면부를 절단하며 모재(10) 상면을 주행하는 주행절단장비(100)가 모재(10)의 후단부 쪽을 통과하게 되면, 모재(1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상면을 주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주행절단장비(100)에 의해 모재(10)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이 이루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주행절단장비(100)를 통해 모재(10)의 측면 끝단을 절단하는 과정에서는,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측면 선단이 함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모재(10)의 측면 끝단과 대향하는 브라켓의 코너부에 절개홈(330)이 형성되어 있는데, 모재(10)의 측면부에 지지되며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주행안내수단(200)의 제1 및 제2 롤러(220,230)가 절개홈(330)을 통과하여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측면부에 지지되는 과정에서, 주행안내수단(200)의 제3 롤러(240)가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보조가이드(340)에 지지됨으로써, 주행안내수단(200)이 절개홈(330)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모재(10) 절단 방향으로 주행절단장비(100)의 주행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0)의 개선절단이 완료된 후, 주행되는 주행절단장비(100)는 본체부(110)에 구비된 정지스위치 센서(410)가 연장가이드 브라켓(300)의 후단에 구비된 엔드 플레이트(420)에 접촉되어, 정지스위치 센서(410)의 작동에 의해 주행절단장비(100)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절단 장치는, 모재의 측면부를 개선절단함에 있어, 한번의 작업으로 모재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항상 균일한 품질을 얻을 수 있어, 개선절단되는 모재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재의 개선절단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정지스위치 센서에 의해 장치 구동이 자동으로 정지됨으로써, 작업자가 다수 대의 장치를 용이하게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모재 100 : 주행절단장비
110 : 본체부 120 : 바퀴부재
130 : 절단수단 131 : 토치
132 : 가스공급라인 200 : 주행안내수단
210 : 롤러 지지부재 211 : 고정핀
212 : 장공 213 : 가이드바
214 : 지지바 215 : 지지몸체
220 : 제1 롤러 230 : 제2 롤러
240 : 제3 롤러 300 : 연장가이드 브라켓
310 : 지지대 320 : 마그네틱 부재
330 : 절개홈 340 : 보조가이드
410 : 정지스위치 센서 420 : 엔드 플레이트

Claims (7)

  1. 개선절단 대상물인 모재의 상면을 주행하면서 상기 모재에 대하여 개선절단을 수행하는 주행절단장비;
    상기 주행절단장비의 일측에 구비되며, 롤러를 통해 상기 모재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되어 상기 주행절단장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주행안내수단; 및
    상기 모재의 후단부에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모재의 측면 끝단까지 개선절단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주행절단장비 및 상기 주행안내수단을 가이드하는 연장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개선절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절단장비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바퀴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모재의 개선절단을 수행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바퀴부재는,
    상기 주행안내수단이 구비된 쪽의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편향되게 구비되는 개선절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안내수단은,
    상기 주행절단장비의 일측에 결합되는 롤러 지지부재;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롤러 지지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개선절단하고자 하는 상기 모재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주행절단장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롤러; 및
    상기 모재 상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롤러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롤러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3 롤러를 포함하는 개선절단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부재는,
    상기 주행절단장비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핀;
    몸체에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고정핀에 결합되어 상기 주행절단장비의 일측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바;
    상기 주행절단장비의 측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롤러가 각각 축 연결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개선절단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롤러는,
    상기 지지몸체에 연결되는 축의 고정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높낮이가 조절되는 개선절단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가이드 브라켓은,
    측면부가 상기 모재의 측면부와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재의 측면 끝단과 대향하는 코너부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 일측에 상기 연장가이드 브라켓의 측면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주행절단장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제1 또는 제2 롤러가 상기 절개홈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3 롤러를 지지하는 보조가이드를 포함하는 개선절단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절단장비에는 상기 연장가이드 브라켓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주행절단장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스위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가이드 브라켓의 후단에는 상기 정지스위치 센서를 작동시키는 엔드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개선절단 장치.
KR1020180096270A 2018-08-17 2018-08-17 개선절단 장치 KR20200020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270A KR20200020499A (ko) 2018-08-17 2018-08-17 개선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270A KR20200020499A (ko) 2018-08-17 2018-08-17 개선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499A true KR20200020499A (ko) 2020-02-26

Family

ID=6963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270A KR20200020499A (ko) 2018-08-17 2018-08-17 개선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04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5550A (zh) * 2022-08-05 2022-11-01 江门市南洋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板件开坡口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025A (ko) 1998-09-08 2000-04-06 박준신 자전거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025A (ko) 1998-09-08 2000-04-06 박준신 자전거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5550A (zh) * 2022-08-05 2022-11-01 江门市南洋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板件开坡口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3815A (en) Process for guiding sheets to be butt-welded together and apparatus with means for conveying and guiding sheets or strips to be butt-welded together
JP5230008B2 (ja) プラズマ切断装置
US20120055762A1 (en) Conveyor system
KR20200020499A (ko) 개선절단 장치
JP2018519164A (ja) 板状材料の分離機械加工のための機械
CN111843189B (zh) 一种带有辅助定位轨道的手持式激光焊接装置
KR200204905Y1 (ko) 주행강판의 사이드 가이드장치
JPWO2013002068A1 (ja) トーチ調整装置
JP4808389B2 (ja) 移動式切断機
KR101048046B1 (ko) 자동 터닝 롤러
JPS6290356A (ja) 整備位置へ可動のキヤリツジ装置を備えた平形編機
KR101134276B1 (ko) 레일 캐리지 어셈블리
US4495000A (en) Device for cutting a strip cast in a continuous casting machine
JP5865042B2 (ja) 切断機
KR100965988B1 (ko) 스트립 용접기 헤드유닛의 용접라인 유도장치
JP5963621B2 (ja) 切断機
US4232209A (en) Apparatus for welding of stiffeners or the like on a plate
JPH04279276A (ja) ボックス柱用のダイヤフラム溶断装置
KR960007084A (ko) 용접 설비
KR101233309B1 (ko) 용접 캐리지
KR200262386Y1 (ko) 개선 절단 장치
KR20110000871U (ko) 직선용접을 위한 토치의 가이드 지그
KR20110092639A (ko) 판재 절단장치의 작업대 구조
KR101622654B1 (ko) 백히팅용 케이블 로봇
KR20140028663A (ko)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