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732A - 벤딩 장치 - Google Patents

벤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732A
KR20210027732A KR1020190108517A KR20190108517A KR20210027732A KR 20210027732 A KR20210027732 A KR 20210027732A KR 1020190108517 A KR1020190108517 A KR 1020190108517A KR 20190108517 A KR20190108517 A KR 20190108517A KR 20210027732 A KR20210027732 A KR 20210027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holding
support
pip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883B1 (ko
Inventor
김기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운
Priority to KR1020190108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8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movably-arranged forming men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딩 장치는 프레임; 설정 면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파이프를 홀딩하도록 제공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2개의 홀딩 유닛; 및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파이프를 벤딩하도록 제공되고,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홀딩 유닛의 외측에 위치되는 2개의 벤딩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벤딩 장치{Be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벤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효과적으로 파이프를 벤딩하여 헤드 레스트용 스테이로드를 만들 수 있는 벤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좌석에는 헤드 레스트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 레스트는 좌석의 상단에 위치되어, 사람의 머리 뒷 부분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헤드 레스트는 금속재의 스테이로드에 쿠션을 위한 외피가 부착되는 형태로 만들어 진다. 이때, 스테이로드는 선형의 금속 파이프의 양단을 구부려 U 형상으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파이프를 벤딩할 수 있는 벤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벤딩 위치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벤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벤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 설정 면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파이프를 홀딩하도록 제공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2개의 홀딩 유닛; 및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파이프를 벤딩하도록 제공되고,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홀딩 유닛의 외측에 위치되는 2개의 벤딩 유닛을 포함하는 벤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2개가 폭 방향으로 배열되게 제공되고, 상기 홀딩 유닛, 상기 벤딩 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각각 하나씩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폭 방향으로 레일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레일을 따라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 유닛은, 길이 방향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되는 홀딩 링크;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고정되게 제공되고, 상기 홀링 링크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홀딩 링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래크 구동기; 및 상기 지지대의 전방 영역에 상기 홀딩 링크와 연결되게 제공되어, 상기 홀딩 링크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 링크는 래크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홀딩 롤러의 하부에는 상기 홀딩 링크와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효과적으로 파이프를 벤딩할 수 있는 벤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벤딩 위치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벤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파이프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벤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홀딩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홀딩 롤러의 상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1의 벤딩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파이프의 벤딩을 수행한 상태의 벤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벤딩 장치(1)는 프레임(10), 지지대(20), 홀딩 유닛(30), 정렬 유닛(40), 벤딩 유닛(50), 안내 부재(60) 및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벤딩 장치(1)는 선형 파이프의 양측을 벤딩하여, U자 형상이 되게 한다.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는 금속재의 파이프 양측을 벤딩하여 U형태로 성형하여 만들어 진다. 이에 따라, 벤딩 장치(1)는 선형의 파이프를 벤딩하여 헤드 레스트를 생산할 수 있다.
이하 평면 상에서, 2개의 홀딩 유닛(30)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하고,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한다. 이 때, 벤딩 유닛(50)의 벤딩 롤러(530)가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한다.
도 1은 벤딩 장치(1)가 대기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도시되었다. 대기 상태는 공정 대상인 파이프가 벤딩 장치(1)로 반입되기 전 상태, 또는 공정이 완료된 파이프가 벤딩 장치(1)에서 반출된 후 새로운 파이프가 반입되기 전 상태이다.
프레임(10)은 설정 체적을 가지고, 벤딩 장치(1)의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프레임(10)의 상부에는 레일(111, 112)이 제공된다. 레일(111, 112)은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레일(111, 112)은 전후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전방 레일(111) 및 후방 레일(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레일(111) 및 후방 레일(112)은 각각 프레임(10)의 상부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대(20)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구조로 제공되어, 프레임(10)에 연결된다. 지지대(20)는 2개가 제공된다. 2개의 지지대(20)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지지대(20)의 저면에는 레일 결합부(211)가 제공되어, 레일 결합부(211)는 레일(111, 112)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지지대(20)는 레일(111, 112)을 따라 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홀딩 유닛(30)은 지지대(20)의 상면에 결합되어, 파이프를 홀딩한다. 홀딩 유닛(30)은 2개가 제공되어, 각각이 서로 상이한 지지대(20)의 상면에 하나씩 위치된다. 각각의 홀딩 유닛(30)은 지지대(20)에 있어 폭 방향 중심을 향하는 영역에 위치되어, 2개의 홀딩 유닛(30)은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도 2는 도 1의 홀딩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홀딩 유닛(30)은 홀딩 링크(310), 래크 구동기(320) 및 홀딩 롤러(330)를 포함한다.
홀딩 링크(310)는 길이 방향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된다. 홀딩 링크(310)는 홀딩 유닛(30)의 전방 영역에 위치된다. 홀딩 링크(310)는 래크 구조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래크 구동기(320)는 지지대(20)의 상면에 고정되게 제공된다. 래크 구동기(320)는 홀딩 링크(31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홀딩 링크(3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래크 구동기(320)는 지지대(20)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동 레일(321), 구동 레일(321)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구동부(322), 구동부(322)의 전단에 위치되고, 홀딩 링크(310)에 연결되는 구동축(323)을 포함할 수 있다.
홀딩 롤러(330)는 지지대(20)의 전방 영역 및 홀딩 링크(310)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된다. 홀딩 롤러(330)의 하부는 홀딩 링크(310)와 연결되어, 홀딩 롤러(330)는 홀딩 링크(31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홀딩 롤러(330)의 하부에는 홀딩 링크(310)와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부가 제공된다.
도 3은 도 2의 홀딩 롤러의 상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홀딩 롤러(330)의 상부에는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이 형성된다. 이 때, 홈은 파이프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여, 아크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는 홈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홀딩 롤러(330)에 의해 홀딩될 수 있다. 홈은 홀딩 롤러(3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홀딩 롤러(330)의 상단부에는 안내 절개부(331)가 형성된다. 안내 절개부(331)는 홈의 내측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개된 구조로 제공된다. 수직 상방에서 바라볼 때, 안내 절개부(331)는 홀딩 롤러(330)의 지름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홀딩 롤러(330)에는 간섭 방지 절개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간섭 방지 절개부(332)는 홀딩 롤러(330)의 외측 둘레가 설정 중심각에 걸쳐 지름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간섭 방지 절개부(332)는 중심을 기준으로 안내 절개부(331)의 반대 방향 영역에 형성된다.
정렬 유닛(40)은 홀딩 롤러(330)에 홀딩된 파이프가 폭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게 한다. 일 예로, 정렬 유닛(40)은 프레임(10) 또는 지지대(20)에 고정될 수 있다. 정렬 유닛(40)은 2개가 제공되어, 각각이 폭 방향을 기준으로 홀딩 유닛(30)의 외측에 하나씩 위치된다. 정렬 유닛(40)은 폭 방향으로 홀딩 롤러(330)와 정렬되게 위치된다. 서로 마주보는 정렬 유닛(40)의 내측 단부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파이프의 길이에 대응되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가 홀딩 롤러(330)에 홀딩되면, 파이프의 양단은 정렬 유닛(40)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파이프의 폭 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정렬 유닛(40)의 내측 단부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조절 가능하게 제공된다.
벤딩 유닛(50)은 지지대(20)의 상면에 결합되어, 공정 대상 파이프를 벤딩한다. 벤딩 유닛(50)은 2개가 제공되어, 각각이 서로 상이한 지지대(20)의 상면에 하나씩 위치된다. 벤딩 유닛(50)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에 대해 전단부가 내측을 향하도록 설정 각도 기울어 지게 위치될 수 있다. 폭 방향을 기준으로, 벤딩 유닛(50)은 홀딩 유닛(30)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2개의 벤딩 유닛(50) 사이에, 2개의 홀딩 유닛(30)이 위치된다.
도 4는 도1의 벤딩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벤딩 유닛(50)은 벤딩 링크(510), 벤딩 구동기(520) 및 벤딩 롤러(530)를 포함한다.
벤딩 링크(510)는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벤딩 링크(510)는 길이 방향이 전후 방향에 대해 전반부가 내측을 향하도록 설정 각도 기울어 지게 위치될 수 있다.
벤딩 구동기(520)는 지지대(20)의 상면에 고정되게 제공된다. 벤딩 구동기(520)는 벤딩 링크(51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벤딩 링크(510)가 그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이동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벤딩 구동기(520)는 지지대(20)의 상면에 고정되는 벤딩 레일(521), 벤딩 레일(521)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벤딩 구동부(522), 벤딩 구동부(522)의 전단에 위치되고, 벤딩 링크(510)에 연결되는 벤딩 구동축(523)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롤러(530)는 벤딩 링크(510)의 전단부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다. 벤딩 롤러(530)는 상하 방향 높이가 홀딩 롤러(330)에 대응되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벤딩 롤러(530)가 홀딩 롤러(330)의 후방에서 홀딩 롤러(330)의 전방 영역으로 이동되면, 파이프가 전방을 향해 벤딩된다.
안내 부재(60)는 지지대(20)의 상면에 결합되어, 벤딩 링크(510)의 이동을 안내한다. 안내 부재(60)는 2개가 제공되어, 각각이 서로 상이한 지지대(20)의 상면에 하나씩 위치된다. 일 예로, 안내 부재(60)는 벤딩 링크(510)의 측면과 접하는 롤러로 제공될 수 있다. 폭 방향을 기준으로, 안내 부재(60)는 벤딩 링크(510)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기는 벤딩 장치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도 5는 파이프의 벤딩을 수행한 상태의 벤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파이프의 벤딩이 이루어 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파이프의 공급에 앞서, 제어기는 벤딩 장치(1)대기 상태가 되게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벤딩 롤러(530)가 홀딩 롤러(330)의 후방에 위치되게, 벤딩 구동기(520)가 구동된다. 또한, 안내 절개부(331)가 후방을 향하도록 래크 구동기(320)가 구동된다.
대기 상태에서, 파이프는 안내 절개부(331)와 상하로 정렬된 상태에서 홀딩 롤러(330)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게 끼워진다. 이에 따라, 파이프의 양단은 정렬 유닛(40)에 의해 위치가 조절된 상태로 벤딩 장치(1)에 위치된다.
이후, 래크 구동기(320)가 구동되어, 홀딩 롤러(330)는 안내 절개부(331)가 중앙 방향을 항하도록 회전된다. 홀딩 (330)의 회전에 따라 파이프는 홀딩 롤러(330)의 홈에 위치되어 홀딩된다.
이후, 벤딩 롤러(53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벤딩 구동기(520)가 구동된다. 벤딩 롤러(530)가 홀딩 롤러(330)보다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홀딩 롤러(330)에 홀딩된 파이프의 양단은 전방으로 벤딩된다. 이 때, 간섭 방지 절개부(332)에 의해 벤딩 롤러(530)는 홀딩 롤러(330)와 간섭 없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파이프는 간섭 방지 절개부(332)에 의해 용이하게 벤딩이 이루어 진다.
벤딩이 이루어 지면, 벤딩 장치(1)는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는 홀딩 롤러(330)에 의한 홀딩 상태가 풀려,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벤딩 장치(1)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장치(1)는 특유의 구조에 의해 파이프를 벤딩 장치(1)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또한,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구성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어, 상이한 길이의 파이프가 다양한 위치에 벤딩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프레임 20: 지지대
30: 홀딩 유닛 40: 정렬 유닛
50: 벤딩 유닛 310: 홀딩 링크
320: 래크 구동기 330: 홀딩 롤러
510: 벤딩 링크 520: 벤딩 구동기
530: 벤딩 롤러

Claims (5)

  1. 프레임;
    설정 면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파이프를 홀딩하도록 제공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2개의 홀딩 유닛; 및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파이프를 벤딩하도록 제공되고,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홀딩 유닛의 외측에 위치되는 2개의 벤딩 유닛을 포함하는 벤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2개가 폭 방향으로 배열되게 제공되고,
    상기 홀딩 유닛, 상기 벤딩 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각각 하나씩 위치되는 벤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폭 방향으로 레일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레일을 따라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에 연결되는 벤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유닛은,
    길이 방향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되는 홀딩 링크;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고정되게 제공되고, 상기 홀링 링크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홀딩 링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래크 구동기; 및
    상기 지지대의 전방 영역에 상기 홀딩 링크와 연결되게 제공되어, 상기 홀딩 링크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벤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링크는 래크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홀딩 롤러의 하부에는 상기 홀딩 링크와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부가 제공되는 벤딩 장치.
KR1020190108517A 2019-09-03 2019-09-03 벤딩 장치 KR102248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17A KR102248883B1 (ko) 2019-09-03 2019-09-03 벤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17A KR102248883B1 (ko) 2019-09-03 2019-09-03 벤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32A true KR20210027732A (ko) 2021-03-11
KR102248883B1 KR102248883B1 (ko) 2021-05-06

Family

ID=7514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517A KR102248883B1 (ko) 2019-09-03 2019-09-03 벤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629B1 (ko) * 2021-03-03 2021-08-19 주식회사 한현피앤티 전기차용 쿨링 파이프의 원형벤딩과 조인트압입이 동시에 구현되는 압입벤딩장치
KR102390063B1 (ko) * 2021-08-05 2022-04-26 (주) 건우기계 철근 자동 다중 절곡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157Y1 (ko) * 1986-02-24 1989-10-20 김풍기 가방용 심체의 벤딩 장치
JPH07100544A (ja) * 1993-09-30 1995-04-18 Kintetsu Eng Kk ベンダー
KR100250243B1 (ko) * 1992-04-06 2000-07-01 애카티노 엔리코 길다란 부재를 고정시켜서 구부리기 위한 기계장치에 채용된 공구들을 적소에 위치시켜서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 및 길다란 부재를 구부리기 위한 장치
JP2004154791A (ja) * 2002-11-05 2004-06-03 Ims Kk ワーク曲げ加工装置
KR101021462B1 (ko) * 2010-10-20 2011-03-15 주식회사 장헌산업 곡면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철근 절곡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JP2011200910A (ja) * 2010-03-25 2011-10-13 Syoko-Aluminium Co Ltd ロールベンダ及びロール曲げ加工方法
KR20140114928A (ko) * 2013-03-18 2014-09-30 서승덕 파이프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자동 성형장치
KR101542521B1 (ko) * 2015-05-20 2015-08-06 주식회사 유림모비스 밴딩장치
KR101733176B1 (ko) * 2016-05-19 2017-05-08 문대복 자동차용 쿨란트파이프 벤딩장치
KR101802708B1 (ko) * 2017-06-08 2017-11-30 주식회사 디에이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의 성형방법
KR101818528B1 (ko) * 2017-09-19 2018-01-15 주식회사 정운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절곡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157Y1 (ko) * 1986-02-24 1989-10-20 김풍기 가방용 심체의 벤딩 장치
KR100250243B1 (ko) * 1992-04-06 2000-07-01 애카티노 엔리코 길다란 부재를 고정시켜서 구부리기 위한 기계장치에 채용된 공구들을 적소에 위치시켜서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 및 길다란 부재를 구부리기 위한 장치
JPH07100544A (ja) * 1993-09-30 1995-04-18 Kintetsu Eng Kk ベンダー
JP2004154791A (ja) * 2002-11-05 2004-06-03 Ims Kk ワーク曲げ加工装置
JP2011200910A (ja) * 2010-03-25 2011-10-13 Syoko-Aluminium Co Ltd ロールベンダ及びロール曲げ加工方法
KR101021462B1 (ko) * 2010-10-20 2011-03-15 주식회사 장헌산업 곡면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철근 절곡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140114928A (ko) * 2013-03-18 2014-09-30 서승덕 파이프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자동 성형장치
KR101542521B1 (ko) * 2015-05-20 2015-08-06 주식회사 유림모비스 밴딩장치
KR101733176B1 (ko) * 2016-05-19 2017-05-08 문대복 자동차용 쿨란트파이프 벤딩장치
KR101802708B1 (ko) * 2017-06-08 2017-11-30 주식회사 디에이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의 성형방법
KR101818528B1 (ko) * 2017-09-19 2018-01-15 주식회사 정운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절곡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629B1 (ko) * 2021-03-03 2021-08-19 주식회사 한현피앤티 전기차용 쿨링 파이프의 원형벤딩과 조인트압입이 동시에 구현되는 압입벤딩장치
KR102390063B1 (ko) * 2021-08-05 2022-04-26 (주) 건우기계 철근 자동 다중 절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883B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883B1 (ko) 벤딩 장치
KR20110101493A (ko) 용접용 캐리지의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용접장치
CN105442981A (zh) 塞拉门开闭装置和塞拉门设备
KR20140107811A (ko) 파이프 용접 자동화 장치
KR101776515B1 (ko) 시트 쿠션의 틸팅 장치
US7213430B2 (en) Tube bending machine and its right and/or left bending device
KR101181662B1 (ko) 용접 기능을 갖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KR101219742B1 (ko) 차량용 시트쿠션의 길이조절장치
KR20100038837A (ko) 아크길이의 제어가 가능한 용접장치
KR101356240B1 (ko) 자동용접기
KR102115731B1 (ko) 수평 필릿 용접 장치 및 수평 필릿 용접 방법
WO2014119613A1 (ja) 走行台車
KR20120065487A (ko) 무레일 노갭 용접장치
JP2008302367A (ja) 自動溶接機及び自動溶接方法
JPH08257643A (ja) 曲げ加工装置
KR101138371B1 (ko) 주행 용접 장치
JPH09220663A (ja) 立向溶接装置
KR101484892B1 (ko) 용접용 오토 캐리지
KR102344793B1 (ko) 헤밍 헤드
KR101820769B1 (ko) 양방향 용접 자동화 장치
KR950004809B1 (ko) 철도차량의 대조립 용접용 스폿 용접 장치
KR102222063B1 (ko) 용접지그장치
JPH0692278A (ja) 車両シートの搭載装置
KR101306337B1 (ko) 문틀 자동용접기
KR101233309B1 (ko) 용접 캐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