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521B1 - 밴딩장치 - Google Patents

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521B1
KR101542521B1 KR1020150070601A KR20150070601A KR101542521B1 KR 101542521 B1 KR101542521 B1 KR 101542521B1 KR 1020150070601 A KR1020150070601 A KR 1020150070601A KR 20150070601 A KR20150070601 A KR 20150070601A KR 101542521 B1 KR101542521 B1 KR 10154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plate
mold
gu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 식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림모비스
천 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림모비스, 천 식 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림모비스
Priority to KR102015007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521B1/ko
Priority to JP2018513248A priority patent/JP6515368B2/ja
Priority to PCT/KR2016/004992 priority patent/WO2016186372A1/ko
Priority to CN201680028683.9A priority patent/CN107635681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movably-arranged forming men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상,하로 포개지는 상부형틀과 하부형틀로 이루어지며, 피가공물을 테두리부에 고정시켜 상기 피가공물의 일부에 절곡부를 성형하기 위한 절곡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절곡형틀과; 상기 절곡형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절곡형틀의 절곡면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가이드공이 형성된 받침안내판와; 상기 받침안내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절곡형틀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구가 구비된 지주체과; 상기 받침안내판의 일측에서 상향 돌출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일측에 이격되어 구비된 이송봉이 상기 절곡형틀에 관통되며, 상기 이송봉의 끝단과 결합되어 상기 이송봉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구비된 이송실린더의 승강작용으로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기 상부형틀을 수직 상방으로 이송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받침안내판의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절곡부를 성형하는 절곡성형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상기 절곡성형수단을 이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과;상기 승강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곡형틀은 상호 분리 가능한 상부 및 하부형틀로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형틀에는 각각 상부지그와 하부지그가 형성되어 피가공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상부 및 하부지그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다양한 높이를 갖는 피가공물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절곡형틀의 중간부에는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피가공물에 다양한 형태의 절곡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지그와 함께 그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곡률반경이 다른 다수의 절곡부를 성형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Description

밴딩장치 { Bending Apparatus }
본 발명은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절곡면이 형성된 절곡형틀의 테두리에 피가공물이 안착되고, 상기 절곡형틀의 하부에 구비된 받침안내판의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절곡부를 성형하는 절곡성형수단이 상기 받침안내판 하부에 구비된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밴딩작업이 자동화되고 상기 절곡형틀은 상기 받침안내판에서 상부로 돌출된 지주체에 다수가 구비되고, 승강수단에 의해 상향 이동되는 상부형틀과, 수직프레임에 고정된 하부형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형틀에는 각각 상부지그와 하부지그가 결합되어 같은 높이의 피가공물은 물론 다른 높이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다수개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절곡성형수단에는 다수의 성형실린더가 구비된 성형실린더부가 형성되어 상기 피가공물에 절곡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거나 외부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커튼이 고정되는 커튼레일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커튼레일은 직선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으나, 화물차 등과 같은 대형차의 내부나 샤워실, 병원의 입원실, 독서실의 경우에는 빛을 차단함은 물론 각각의 독립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곡선부가 형성된 커튼레일이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튼레일은 금속제로 압출 성형한 다음 설치하려는 장소에 따라 밴딩 성형하게 되며, 이러한 커튼레일을 원하는 형태로 밴딩 성형하기 위해서는 통상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성형홈이 형성된 밴딩다이에 압출 성형한 바(bar) 형태의 커튼레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밴딩다이의 성형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밴딩펀치를 성형홈 방향으로 가압하여 커튼레일을 설치하려는 장소에 맞게 밴딩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일반적인 밴딩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대칭되는 절곡부를 성형하는 경우 상기 커튼레일의 일측을 밴딩성형한 후 타측을 밴딩성형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서, 절곡부가 균일하게 대칭되는 커튼레일을 제작하는 것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밴딩 장치의 경우에는 바(bar) 형태의 커튼레일을 밴딩다이에 설치한 후에도 작업자가 밴딩펀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킴으로 인해 작업 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밴딩성형한 커튼레일의 불량 발생률이 높고 작업속도 역시 늦어 커튼레일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커튼레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는 금속재 파이프의 밴딩성형에도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극복한 것으로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017810호("밴딩 장치" 이하, 선등록특허라 함)를 제안한 바 있다. 이는 피가공물의 양단부를 대칭되게 밴딩 성형하는 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바아 형상의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피가공물의 양측부에 제1 및 제2절곡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1 및 제2돌출절곡면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절곡형틀과; 상기 절곡형틀이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절곡형틀의 제1 및 제2돌출절곡면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1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제1가이드공을 따라 대칭되게 이동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노출면을 가압하여 제1 및 제2절곡부를 각각 성형하는 제1 및 제2절곡성형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절곡성형수단을 상기 제1가이드공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밴딩 장치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밴딩성형하게 되면 피가공물을 밴딩시에 좌우대칭이 되도록 피가공물을 성형하게 되어 불량률이 낮고, 생산속도가 빨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선등록특허의 경우 성형된 피가공물을 대량으로 제작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절곡형틀의 안착홈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 안착홈의 높이에 맞는 피가공물만 성형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가공물에 곡률이 다른 다수의 절곡부를 성형할 수 없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받침안내판 상부에서 상향 돌출된 지주체에 다수의 절곡형틀이 구비되고, 각 절곡형틀의 테두리에 안착된 피가공물을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롤러가 구비된 성형실린더가 복수개 구비된 성형실린더부가 받침안내판의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에 결합되어 다수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절곡형틀은 상호 분리 가능한 상부 및 하부형틀로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형틀에는 각각 상부지그와 하부지그가 형성되어 피가공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상부 및 하부지그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다양한 높이를 갖는 피가공물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절곡형틀의 중간부에는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피가공물에 다양한 형태의 절곡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지그와 함께 그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곡률반경이 다른 다수의 절곡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밴딩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상,하로 포개지는 상부형틀과 하부형틀로 이루어지며, 피가공물을 테두리부에 고정시켜 상기 피가공물의 일부에 절곡부를 성형하기 위한 절곡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절곡형틀과; 상기 절곡형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절곡형틀의 절곡면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가이드공이 형성된 받침안내판와; 상기 받침안내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절곡형틀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구가 구비된 지주체과; 상기 받침안내판의 일측에서 상향 돌출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일측에 이격되어 구비된 이송봉이 상기 절곡형틀에 관통되며, 상기 이송봉의 끝단과 결합되어 상기 이송봉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구비된 이송실린더의 승강작용으로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기 상부형틀을 수직 상방으로 이송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받침안내판의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절곡부를 성형하는 절곡성형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상기 절곡성형수단을 이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승강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형틀의 상부형틀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볼트결합되는 상부지그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형틀은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부면에 볼트결합되는 하부지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의 상부면에는 외주면에 볼트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에 상기 이송봉이 볼트결합되고, 상기 하판의 하부면에 상기 지주체의 지지구가 볼트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안내판에는 상기 절곡형틀의 중앙부에서 상기 피가공물을 상기 상부형틀과 하부형틀 사이로 가압하여 밴딩작업시 상기 피가공물이 상기 절곡형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며, 피스톤을 전후진시키는 실린더수단과; 상기 피스톤의 단부에 구비되며, 한 쌍의 보조레일에 일측 또는 양측에 래크가 일체로 구비되는 랙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받침안내판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되 상기 래크가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각각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스프로켓과 연동되되 상기 절곡형틀의 일측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종동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스프로켓 및 종동스프로켓을 연동시키되 일측에 상기 절곡성형수단이 고정되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받침안내판 상부에서 상향 돌출된 지주체에 다수의 절곡형틀이 구비되고, 각 절곡형틀의 테두리에 안착된 피가공물을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롤러가 구비된 성형실린더가 복수개 구비된 성형실린더부가 받침안내판의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에 결합되어 다수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형틀은 상호 분리 가능한 상부 및 하부형틀로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형틀에는 각각 상부지그와 하부지그가 형성되어 피가공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상부 및 하부지그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다양한 높이를 갖는 피가공물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절곡형틀의 중간부에는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피가공물에 다양한 형태의 절곡부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지그와 함께 그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곡률반경이 다른 다수의 절곡부를 성형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밴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밴딩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밴딩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밴딩장치 중 절곡성형수단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밴딩장치 중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밴딩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밴딩장치 중 동력전달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밴딩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은 본 발명의 밴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밴딩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밴딩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밴딩장치 중 절곡성형수단의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밴딩장치 중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밴딩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밴딩장치(1)는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상,하로 포개지는 상부형틀(110)과 하부형틀(120)로 이루어지며, 피가공물(20)을 테두리부에 고정시켜 상기 피가공물(20)의 일부에 절곡부(21)를 성형하기 위한 절곡면(101)이 형성된 복수개의 절곡형틀(100)과; 상기 절곡형틀(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절곡형틀(100)의 절곡면(101)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가이드공(210)이 형성된 받침안내판(200)와; 상기 받침안내판(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절곡형틀(10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구(310)가 구비된 지주체(300)과; 상기 받침안내판(200)의 일측에서 상향 돌출된 가이드봉(410)과 상기 가이드봉(410)의 일측에 이격되어 구비된 이송봉(420)이 상기 절곡형틀(100)에 관통되며, 상기 이송봉(420)의 끝단과 결합되어 상기 이송봉(420)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구비된 이송실린더(430)의 승강작용으로 상기 가이드봉(410)을 따라 상기 상부형틀(110)을 수직 상방으로 이송하는 승강수단(400)과; 상기 받침안내판(200)의 가이드공(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피가공물(20)을 가압하여 절곡부(21)를 성형하는 절곡성형수단(5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공(210)을 따라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을 이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700)과; 상기 승강수단(400)과 동력전달수단(700)을 제어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피가공물(20)은 바(bar) 형태의 커튼레일은 물론 각종 산업에 적용되는 파이프 및 금속선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은 상기 받침안내판(200)의 가이드공(210)을 따라 양측으로 대칭되게 이동하는 제1절곡성형수단(500a)과 제2절곡성형수단(500b)으로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20)의 양측에 절곡부(21)를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형틀(100)의 상부형틀(110)은 상판(111)과, 상기 상판(111)의 하부면에 볼트결합되는 상부지그(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형틀(120)은 하판(121)과, 상기 하판(121)의 상부면에 볼트결합되는 하부지그(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111)의 상부면에는 외주면에 볼트공(113a)이 형성된 플랜지(113)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113)에 상기 이송봉(420)이 볼트결합되고, 상기 하판(121)의 하부면에 상기 지주체(300)의 지지구(310)가 볼트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형틀(100)은 동시에 다수의 피가공물(20)을 성형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승강수단(400)의 이송실린더(430)에 의해 상기 이송봉(420)과 결합된 상기 상부형틀(110)이 상,하이동되고, 상기 하부형틀(120)은 상기 지주체(300)의 지지구(310)에 의해 상기 지주체(300)에 고정되게 되어 상기 상부형틀(110)과 하부형틀(120)이 상호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실린더(430)은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111)과 상부지그(112) 및 상기 하판(121)과 하부지그(122)의 볼트를 해제하여 상기 상부지그(112)와 하부지그(122)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피가공물(20)의 절곡부(21)는 상기 단차부에 형성된 곡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그(112) 또는 하부지그(122)를 교체하여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갖는 절곡부(21)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지그(112,122)는 둘레부가 상기 상판(111) 및 하판(121)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그(112) 또는 하부지그(122) 중 어느 하나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피가공물(20)이 단차부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체(300)의 상부면에 결합된 연결판(320)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연결지지부재(610)와 결합되어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의 상단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60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600)는 상기 절곡형틀(100)의 절곡면(101)과 같은 곡률 반경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지지부재(610)는 3개의 바(bar) 형태로서 일단이 상기 연결판(3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부재(600)의 양측과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어 부채꼴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지주체(300)은 상기 절곡형틀(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곡형틀(100)의 후면부의 양측에 3개씩 대칭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주체(300)의 지지구(310)는 상기 절곡형틀(100)의 절곡면(101)을 중심으로 전방 및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절곡형틀(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지지구(310)는 "
Figure 112015048562487-pat00001
" 형태로써 상기 지주체(300)의 일측에서 상기 절곡형틀(100)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고, 상기 절곡형틀(100)의 개수만큼 상기 지주체(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410)과 이송봉(420)은 상기 받침안내판(200)에서 수직 상방으로 설치되되 상기 절곡형틀(100)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지주체(300)과 같이 양측으로 각각 3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봉(420)은 상기 상부형틀(110)의 플랜지(113)와 볼트 결합되며, 상기 지지구(310)는 상기 하부형틀(120)의 하부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상부형틀(110)은 상기 승강수단(400)에 의해 상기 이송봉(420)과 함께 상기 가이드봉(410)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400)은 도 5a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봉(420)의 끝단이 일체로 결합된 제1 및 제2고정판(411)과; 상기 제1 및 제2고정판(411,412)이 상호 연결되도록 양단이 상기 제1고정판(411)과 상기 제2고정판(412)의 하부면에 결합된 수평바(413)와; 상기 수평바(413)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실린더(430)의 피스톤 끝단이 밀착되는 승강판(41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판(411,412)은 "ㄱ"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와 절곡부에 각각 상기 이송봉(420)의 끝단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실린더(430)의 피스톤(431)이 상승되면 이 피스톤(431)의 끝단이 상기 승강판(414)을 가압하여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승강판(414)과 결합된 상기 수평바(413)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고정판(411,412)과 상기 이송봉(420) 및 상기 상부형틀(110)이 수직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형틀(110,120)이 상호 분리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지그(112,122)를 교체하거나 피가공물(20)을 삽입하고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밴딩장치(1) 중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받침안내판(200)의 가이드공(210)을 따라 이동하며, 외측으로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511)이 일체로 형성된 이동부재(510)와, 상기 수평판(511)의 상부에 안착되며, 단부에 상기 절곡형틀(100)에 고정된 상기 피가공물(20)을 가압 밀착시키는 가압롤러(522)가 구비된 성형실린더(521)가 상기 이동부재(5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성형실린더부(520)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부재(510)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면과 밀착되는 제1롤러부(540)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510)의 수평판(511) 중 최하부에 형성된 수평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받침안내판(200) 상부면과 밀착되는 제2롤러부(5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롤러부(540,550)에 의해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의무게가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롤러부(540)와 상기 이동부재(510) 사이 및 상기 제2롤러부(550)와 상기 수평판(511) 사이에는 각각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의 충격흡수부재(541,55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롤러부(540,550)는 "
Figure 112015048562487-pat00002
" 형태의 롤러지지구(542,552)에 형성된 롤러축에 의해 원통형의 롤러(543,553) 한 쌍이 결합되며, 상기 롤러지지구(542,552)는 상기 이동부재(510) 및 수평판(511)에서 자유회동될 수 있도록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이 곡선부에서도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판(511)은 상기 절곡형틀(100)의 개수와 같은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성형실린더부(520)는 상기 이동부재(510)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성형실린더부(520)은 상기 이동부재(510)에서 일체로 형성된 제1성형실린더부(520a)와, 상기 제1성형실린더부(520a)의 일측에 상기 제1성형실린더부(520a)와 나란히 구비된 제2성형실린더부(520b)로 형성되어 상기 미가공물(20)에 2개의 절곡부(21)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가압롤러(522)는 상기 수평판(511)상에 각각 형성된 롤러이송레일(516)을 따라 전후진하는 롤러고정판(523)의 끝단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롤러이송레일(516)은 "ㄷ" 형태로 한 쌍이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롤러고정판(523)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롤러이송레일(516)을 따라 전후진 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성형실린더부(520a,520b)가 순차적으로 상기 피가공물(20)을 가압하여 상기 피가공물(20)의 일부에 두 개의 절곡부(21)를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성형실린더(521)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안내판(200)에는 상기 절곡형틀(100)의 중앙부에서 상기 피가공물(20)을 상기 상부형틀(110)과 하부형틀(120) 사이로 가압하여 밴딩작업시 상기 피가공물(20)이 상기 절곡형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수단(8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가압수단(800)은 상기 받침안내판(200)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일측면에 체결구(811)가 형성되어 상기 피가공물(20)을 가압하는 가압구(820)와 볼트체결되는 가압지지대(810)와; 상기 가압지지대(810)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지지대(810)를 전,후진시켜 상기 가압구(820)를 상기 피가공물(20)에 밀착시키는 가압실린더(8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지지대(810)는 에이치빔(H-beam)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811)는 볼트공(811a)이 관통된 금속판재가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가압구(820)의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볼트,너트 결합된다. 물론 상기 가압구(820)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820a)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형틀(100)의 개수만큼 상기 가압지지대(810)에 복수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가압구(820)는 상기 피가공물(20)을 가압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지그(122) 사이에 밀착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상부지그(112) 또는 하부지그(1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단차부의 형태에 따라 둘레부의 형태가 다양한 가압구(820)로 교체하여 상기 피가공물(20)의 일부를 성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가압지지대(810)의 일측에는 상기 가압실린더(830)가 안착되는 실린더받침판(812)이 장볼트에 의해 복수개 결합되고, 상기 가압실린더(830)는 2~3개가 상,하로 이격된 공압실린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지지대(810)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안내판(200) 상부면에 밀착되는 제1이송롤러(813)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상기 지주체(300)에 양단이 고정된 연결바(815)의 중앙에서 상기 가압지지대(810)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레일(816)에 밀착되는 제2이송롤러(814)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지지대(810)가 용이하게 전,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승강수단(400), 동력전달수단(700)뿐만 아니라 상기 가압지지대(810)를 상기 절곡형틀(100)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상기 가압수단(800)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부(900)는 다수의 버튼으로 구비되며, 바닥면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발로 버튼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밴딩장치 중 동력전달수단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수단(7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중앙에 설치되며, 피스톤(711)을 전후진시키는 실린더수단(710)과; 상기 피스톤(711)의 단부에 구비되며, 한 쌍의 보조레일(721)에 래크(722)가 일체로 구비되는 랙부재(7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받침안내판(200)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축(731)상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되 상기 래크(722)가 치합되는 피니언(730)과; 상기 피니언(730)과 각각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스프로켓(740)과; 상기 구동스프로켓(740)과 연동되되 상기 절곡형틀(100)의 일측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종동스프로켓(750)과; 상기 구동스프로켓(740) 및 종동스프로켓(750)을 연동시키되 일측에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이 고정되는 체인(7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수단(71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부면 중앙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상기 피스톤(711)이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700)의 피니언(730), 구동스프로켓(740), 종동스프로켓(750) 및 체인(760)은 상기 랙부재(7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보조레일(721)의 일측에 각각 제1 및 제2래크(722a,722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래크(722a,722b)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받침안내판(20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구동축(731a,731b)상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다.
또한, 상기 피니언(730)은 상기 제1 및 제2래크(722a,722b)가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피니언(730a,730b)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스프로켓(740)은 상기 제1 및 제2피니언(730a,730b)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구동스프로켓(740a,740b)로 형성되고, 상기 종동스프로켓(750)은 상기 제1구동스프로켓(740a)과 연동되되 상기 절곡형틀(100)의 일측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제1종동스프로켓(750a)과; 상기 제2구동스프로켓(740b)과 연동되되 상기 절곡형틀(100)의 타측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제2종동스프로켓(750b)으로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체인(760)은 상기 제1구동스프로켓(740a) 및 제1종동스프로켓(750a)을 연동시키되 일측에 상기 제1절곡성형수단(500a)이 고정되는 제1체인(760a)과; 상기 제2구동스프로켓(740b) 및 제2종동스프로켓(750b)을 연동시키되 일측에 상기 제2절곡성형수단(500b)이 고정되는 제2체인(760b)으로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731a,731b)의 후방에는 다수의 제1 및 제2종동축(751a,751b)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종동축(751a,751b)상에는 제1 및 제2체인(760a,760b)으로 연동되는 제1 및 제2종동스프로켓(750a,750b)의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구동스프로켓(740a,740b)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종동스프로켓(750a,750b)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체인(760a,760b)에는 상기 제1 및 제2절곡성형수단(500a,500b)을 구성하는 상기 고정부재(510)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체인(760a,760b)이 연동되어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절곡성형수단(500a,500b)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랙부재(720)의 상,하부 양측에는 상부 및 하부롤러(723,724)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롤러(723,724)가 각각 안착되어 상기 랙부재(720)가 수평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하부레일(725)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수단(710)의 전방에 피스톤(711)이 관통되는 제1레일고정판(727)과 상기 제1레일고정판(727)에서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2레일고정판(728) 사이에 양단이 고정된 상부레일(726)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레일(721)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보조롤러(729)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된 보조롤러 지지구(770)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랙부재(720)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전후진되며, 상기 보조롤러(729)에 의해 상기 랙부재(720)의 제1 및 제2래크(722a,722b)가 상기 제1 및 제2피니언(730a,730b)과 각각 수평으로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전,후진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밴딩장치(1)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밴딩장치(1)는 피가공물(20)에 두 개의 절곡부(21,22)가 성형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밴딩장치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베이스프레임(10)의 받침안내판(200) 상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절곡형틀(100)의 상부형틀(110)과 하부형틀(120) 사이에 바(bar) 형태의 피가공물(2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상부형틀(110)을 상향 이동시킨 상태에서 피가공물(20)을 상기 하부형틀(120)의 테두리에 안착시키고 상기 상부형틀(110)을 하향 이동하여 상기 피가공물(20)이 상기 상부형틀(110)과 하부형틀(120)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피가공물(20)의 높이에 따라 상기 상부 및 하부지그(112,122)를 선택적으로 교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안내판(200)의 중간에 형성된 가압수단(800)의 가압실린더(830)에 의해 가압구(820)와 볼트 체결된 가압지지대(810)를 전진하여 상기 가압구(820)가 상기 피가공물(20)을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수단(700)의 실린더수단(710)을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수단(710)의 피스톤(711)이 전진하면서 상기 피스톤(711)과 일체로 형성된 랙부재(720)가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랙부재(7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래크(722a,722b)가 전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래크(722a,722b)가 치합되는 제1 및 제2피니언(730a,730b)이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제1 및 제2피니언(730a,730b)이 각각 축합된 상기 제1 및 제2구동스프로켓(740a,740b)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구동스프로켓(740a,740b)과 제1 및 제2체인(760a,760b)으로 연동된 제1 및 제2종동스프로켓(750a,750b)이 함께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체인(760a,760b)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체인(760a,760b)과 연결된 제1 및 제2절곡성형수단(500a,500b)이 상기 받침안내판(200)의 가이드공(2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성형실린더부(520a)의 피스톤이 동시에 전진하면서 피스톤의 끝단에 형성된 제1가압롤러(521a)가 상기 피가공물(20)을 가압밀착시키면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절곡형틀(100)의 절곡면(101)을 지나게 되면서 상기 피가공물(20)에 절곡부(21)를 성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성형실린더부(520b)의 피스톤이 동시에 전진하면서 제2가압롤러(521b)가 상기 피가공물(20)을 가압밀착시키면서 이동되고, 상기 절곡형틀(100)의 절곡면(102)을 지나게 되면서 상기 피가공물(20)에 또 다른 절곡부(22)를 성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밴딩작업이 마무리된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700)의 실린더수단(710)을 역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수단(710)의 피스톤(711)이 후진하면서 상기 랙부재(720)가 후진하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절곡성형수단(500a,500b)은 원위치된다. 즉, 상기 성형과정의 반대로 구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절곡성형수단(500a,500b)이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따라서, 한 번의 밴딩작업으로 다수의 피가공물(20)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상부 및 하부지그(112,122)를 교체하여 높이가 다른 피가공물(20)도 동시에 성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파이프, 금속선재 등을 보다 간편하고 빠른 시간에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베이스프레임 20: 피가공물
100: 절곡형틀 110: 상부형틀
120: 하부형틀 200: 받침안내판
210: 가이드공 300: 지주체
310: 지지구 400: 승강수단
410: 가이드봉 420: 이송봉
500: 절곡성형수단 600: 가이드부재
610: 연결지지부재 700: 동력전달수단
800: 가압수단

Claims (14)

  1.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상,하로 포개지는 상부형틀(110)과 하부형틀(120)로 이루어지며, 피가공물(20)을 테두리부에 고정시켜 상기 피가공물(20)의 일부에 절곡부(21)를 성형하기 위한 절곡면(101)이 형성된 복수개의 절곡형틀(100)과;
    상기 절곡형틀(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절곡형틀(100)의 절곡면(101)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가이드공(210)이 형성된 받침안내판(200)와;
    상기 받침안내판(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절곡형틀(10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구(310)가 구비된 지주체(300)과;
    상기 받침안내판(200)의 일측에서 상향 돌출된 가이드봉(410)과 상기 가이드봉(410)의 일측에 이격되어 구비된 이송봉(420)이 상기 절곡형틀(100)에 관통되며, 상기 이송봉(420)의 끝단과 결합되어 상기 이송봉(420)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구비된 이송실린더(430)의 승강작용으로 상기 가이드봉(410)을 따라 상기 상부형틀(110)을 수직 상방으로 이송하는 승강수단(400)과;
    상기 받침안내판(200)의 가이드공(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피가공물(20)을 가압하여 절곡부(21)를 성형하는 절곡성형수단(5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공(210)을 따라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을 이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700)과;
    상기 승강수단(400)과 동력전달수단(700)을 제어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안내판(200)에는 상기 절곡형틀(100)의 중앙부에서 상기 피가공물(20)을 상기 상부형틀(110)과 하부형틀(120) 사이로 가압하여 밴딩작업시 상기 피가공물(20)이 상기 절곡형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수단(8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800)은 상기 받침안내판(200)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일측면에 체결구(811)가 형성되어 상기 피가공물(20)을 가압하는 가압구(820)와 볼트체결되는 가압지지대(810)와;
    상기 가압지지대(810)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지지대(810)를 전,후진시켜 상기 가압구(820)를 상기 피가공물(20)에 밀착시키는 가압실린더(8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틀(100)의 상부형틀(110)은 상판(111)과, 상기 상판(111)의 하부면에 볼트결합되는 상부지그(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형틀(120)은 하판(121)과, 상기 하판(121)의 상부면에 볼트결합되는 하부지그(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111)의 상부면에는 외주면에 볼트공(113a)이 형성된 플랜지(113)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113)에 상기 이송봉(420)이 볼트결합되고, 상기 하판(121)의 하부면에 상기 지주체(300)의 지지구(310)가 볼트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지그(112,122)는 둘레부가 상기 상판(111) 및 하판(121)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그(112) 또는 하부지그(122) 중 어느 하나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피가공물(20)이 단차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체(300)의 상부면에 결합된 연결판(320)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연결지지부재(610)와 결합되어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의 상단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이송봉(420)의 끝단이 일체로 결합된 제1 및 제2고정판(411)과;
    상기 제1 및 제2고정판(411,412)이 상호 연결되도록 양단이 상기 제1고정판(411)과 상기 제2고정판(412)의 하부면에 결합된 수평바(413)와;
    상기 수평바(413)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실린더(430)의 피스톤 끝단이 밀착되는 승강판(4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받침안내판(200)의 가이드공(210)을 따라 이동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511)이 일체로 형성된 이동부재(510)와, 상기 수평판(511)의 상부에 안착되며, 단부에 상기 절곡형틀(100)에 고정된 상기 피가공물(20)을 가압 밀착시키는 가압롤러(522)가 구비된 성형실린더(521)가 상기 이동부재(5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성형실린더부(520)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부재(510)의 내부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공(210)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제1가이드롤러(513)가 구비되고, 외부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600)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제2가이드롤러(5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10)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면과 밀착되는 제1롤러부(540)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510)의 수평판(511) 중 최하부에 형성된 수평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받침안내판(200) 상부면과 밀착되는 제2롤러부(5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실린더부(520)는 상기 이동부재(510)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7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중앙에 설치되며, 피스톤(711)을 전후진시키는 실린더수단(710)과;
    상기 피스톤(711)의 단부에 구비되며, 한 쌍의 보조레일(721)에 래크(722)가 일체로 구비되는 랙부재(7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받침안내판(200)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축(731)상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되 상기 래크(722)가 치합되는 피니언(730)과;
    상기 피니언(730)과 각각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스프로켓(740)과;
    상기 구동스프로켓(740)과 연동되되 상기 절곡형틀(100)의 일측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종동스프로켓(750)과;
    상기 구동스프로켓(740) 및 종동스프로켓(750)을 연동시키되 일측에 상기 절곡성형수단(500)이 고정되는 체인(7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700)의 피니언(730), 구동스프로켓(740), 종동스프로켓(750) 및 체인(760)은 상기 랙부재(7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랙부재(720)의 상,하부 양측에는 상부 및 하부롤러(723,724)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롤러(723,724)가 각각 안착되어 상기 랙부재(720)가 수평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하부레일(725)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수단(710)의 전방에 상기 피스톤(711)이 관통되는 제1레일고정판(727)과 상기 제1레일고정판(727)에서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2레일고정판(728) 사이에 양단이 고정된 상부레일(726)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레일(721)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보조롤러(729)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된 보조롤러 지지구(77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장치.
KR1020150070601A 2015-05-20 2015-05-20 밴딩장치 KR10154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601A KR101542521B1 (ko) 2015-05-20 2015-05-20 밴딩장치
JP2018513248A JP6515368B2 (ja) 2015-05-20 2016-05-12 曲げ装置
PCT/KR2016/004992 WO2016186372A1 (ko) 2015-05-20 2016-05-12 밴딩장치
CN201680028683.9A CN107635681B (zh) 2015-05-20 2016-05-12 弯曲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601A KR101542521B1 (ko) 2015-05-20 2015-05-20 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521B1 true KR101542521B1 (ko) 2015-08-06

Family

ID=5388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601A KR101542521B1 (ko) 2015-05-20 2015-05-20 밴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15368B2 (ko)
KR (1) KR101542521B1 (ko)
CN (1) CN107635681B (ko)
WO (1) WO20161863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732A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정운 벤딩 장치
WO2022025301A1 (ko) * 2020-07-25 2022-02-03 유한회사 이룸산업 조선 기자재의 자동제작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963A (ja) 2006-08-11 2008-02-28 Nsk Ltd チューブの曲げ加工装置および曲げ加工方法、ならびに曲管および当該曲管を循環路に用いたボールねじ
KR101017810B1 (ko) 2008-08-07 2011-02-28 천 식 김 밴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6512U (ko) * 1980-09-17 1982-04-02
JPS6215819U (ko) * 1985-07-09 1987-01-30
JP2811281B2 (ja) * 1994-05-19 1998-10-15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金属管の曲げ加工装置
US5927124A (en) * 1996-03-05 1999-07-27 Adaptive Motion Control Systems, Inc. Apparatus for bending and cutting tubing, and method of using same
JPH11156444A (ja) * 1997-11-28 1999-06-15 Calsonic Corp パイプベンダー装置
JP2000005824A (ja) * 1998-06-19 2000-01-11 Kanzaki Kogyo Kk ベンディング ロール
JP3507369B2 (ja) * 1999-08-10 2004-03-15 株式会社太洋 テーパー管の曲げ加工装置
KR101112503B1 (ko) * 2004-10-20 2012-02-24 가부시키가이샤 하야카와 세이사쿠쇼 수지 튜브의 고속 굽힘 방법과 이 방법에 사용하는 3차원굽힘 형
KR20050035837A (ko) * 2005-02-03 2005-04-19 김대식 밴딩장치
US7360385B1 (en) * 2007-04-17 2008-04-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Quick change bend tooling bolster
TWM477326U (zh) * 2014-01-14 2014-05-01 Jie-Yu Zheng 倍力彎管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963A (ja) 2006-08-11 2008-02-28 Nsk Ltd チューブの曲げ加工装置および曲げ加工方法、ならびに曲管および当該曲管を循環路に用いたボールねじ
KR101017810B1 (ko) 2008-08-07 2011-02-28 천 식 김 밴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732A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정운 벤딩 장치
KR102248883B1 (ko) 2019-09-03 2021-05-06 주식회사 정운 벤딩 장치
WO2022025301A1 (ko) * 2020-07-25 2022-02-03 유한회사 이룸산업 조선 기자재의 자동제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35681B (zh) 2019-08-02
JP2018518373A (ja) 2018-07-12
WO2016186372A1 (ko) 2016-11-24
JP6515368B2 (ja) 2019-05-22
CN107635681A (zh)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2016318A1 (en) System for working on plate material
US8887544B2 (en) Conveyor apparatus and hot press-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115740148B (zh) 一种汽车钣金件自动冲压装置及工艺
KR101542521B1 (ko) 밴딩장치
CN112024703A (zh) 一种冶金管件冲孔设备及管件冲孔工艺
WO2021012762A1 (zh) 快速换辊校平机
JP2586324Y2 (ja) 金型交換装置
KR101729488B1 (ko) 탈형 데크의 간격재 자동 조립 장치
KR101484451B1 (ko) 밴딩머신
CN201287173Y (zh) 双向移动立式钢筋自动弯曲机
CN206382772U (zh) 一种汽车车身梁类零件的焊接架
CN115449993B (zh) 一种碳纤维织布自动成型生产线
CN210995939U (zh) 一种双臂拉弯机夹紧机构
KR101691167B1 (ko) 사출성형프레스의 다층금형개폐장치
JP3131269B2 (ja) 板材加工装置
CN210492886U (zh) 一种鞋业生产用智能制鞋修边机
CN109433867B (zh) 一种建筑扣件折弯设备及使用方法
KR101017810B1 (ko) 밴딩 장치
CN201998300U (zh) 一种耐火砖成型液压机模具自动导入装置
CN205413959U (zh) 一种铁塔塔材调直切断装置
KR101941690B1 (ko) 후판 교정기용 영점조절패널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후판 교정기의 영점조절방법
CN114260691B (zh) 一种导尿管拔管夹具机构
CN212470327U (zh) 一种双机器人门板焊接设备
CN217570239U (zh) 一种型材搬料装置和型材拉直生产线
KR101462921B1 (ko) 스트레치 벤딩 금형 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