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403A -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403A
KR20120065403A KR1020127009309A KR20127009309A KR20120065403A KR 20120065403 A KR20120065403 A KR 20120065403A KR 1020127009309 A KR1020127009309 A KR 1020127009309A KR 20127009309 A KR20127009309 A KR 20127009309A KR 20120065403 A KR20120065403 A KR 20120065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stand
terminal
space
hou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0213B1 (ko
Inventor
노부히코 도다
히로노부 호리
마사시 다나카
츠요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65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는 스탠드 본체와, 상기 스탠드 본체에 수납되는 콘센트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유닛은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체와,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콘센트의 전력 공급용의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하우징체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
본 발명은 자동차 전용 도로의 서비스 에어리어(service area)나 상업 시설의 주차장, 혹은 집합 주택의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나 석유(가솔린이나 경유 등)의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는 지구환경에 좋은 자동차로서, 내연 기관(가솔린 엔진이나 디젤 엔진 등)과 전동기(모터)를 병용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나 전동기만으로 주행하는 전기 자동차가 주목을 모으고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형태로서, 현재는 주행중에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것이 주류이지만, 상용 교류 전원(AC 100볼트 또는 200볼트)을 이용하여 주차중에 이차전지를 충전하고, 처음에 전동기로 주행하고 이차전지의 잔여 용량이 저하하면 내연 기관으로 주행하는 것도 곧 시판될 예정이다. 이러한 후자 형태의 자동차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car)라고 부르고 있다.
그런데, 전기 자동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이하에서는, 이들 2종류의 자동차를 합쳐서 「전기 자동차」라고 부른다.)가 보급되기 위해서는, 이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인프라(infrastructure)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전용 도로의 서비스 에어리어나 상업시설의 주차장, 혹은 집합 주택의 주차장 등의 공공의 장소(public space)에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이용 가능한 전원(콘센트)을 다수 설치해야만 한다. 여기에서, 실외에 콘센트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부가 땅속에 매설된 폴(pole) 내에 콘센트를 배치하고, 주택내(옥내)의 주택용 분전반으로부터 분기된 전력 공급선을 상기 콘센트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콘센트 장치(전원 폴이라고도 불린다.)가 종래부터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전원 폴은, 원통 형상의 폴의 상부에 도어(door)가 부탁된 케이스(case)가 장착되고, 2개의 콘센트가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도어를 연 상태에서 케이스내의 콘센트에 전원 플러그가 삽입함으로서 접속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10-223339호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전원 폴을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로 이용했을 경우, 두 대의 전기 자동차까지라면 한 대의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전원 폴)로 동시에 충전할 수 있지만, 세 대 이상의 전기 자동차를 동시에 충전하기 위해서는 복수대의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전원 폴)를 설치하거나, 혹은 케이스 내에 3개 이상의 콘센트를 수납한 다른 형태의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전원 폴)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의 보급율 증가에 따라 콘센트의 개수를 늘리려고 할 때, 새로이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전원 폴)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관하여, 내부에 복수의 수납 공간을 가지고 전기 자동차를 주차하는 지면에 세워 설치되는 스탠드 본체와, 전면이 개구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체 및 하우징체에 유지되는 콘센트를 구비하여 스탠드 본체의 수납 공간 내에서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수납되는 콘센트 유닛을 구비하고, 콘센트의 개수의 증가에 대응 가능하고 또한 수리나 교환 등의 유지보수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충전 스탠드에 있어서는, 콘센트의 단자부가 하우징체에 숨겨져 버리기 때문에 전력 공급용의 전력 케이블을 콘센트의 단자부에 접속하는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콘센트의 단자부와 전력 공급용의 전력 케이블과의 전기적인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탠드 본체와, 상기 스탠드 본체에 수납되는 콘센트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유닛은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체와,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콘센트의 전력 공급용의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하우징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 본체는 내부에 1 내지 복수의 수납 공간을 가지고 전기 자동차를 주차하는 지면에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콘센트 유닛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수납되고, 상기 콘센트는 전기 자동차에 충전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의 플러그가 꽂고 빼는 것이 자유롭게 삽입 접속되는 삽입구 및 전력 공급용의 단자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체는 전면이 개구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콘센트의 상기 전력 공급용의 단자를 감추도록 상기 콘센트를 유지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콘센트 유닛은 상기 접속단자를 가지는 단자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단자대를 거쳐서 상기 콘센트의 상기 전력 공급용의 단자와 상기 전력 케이블이 접속하고, 상기 접속 단자를 상기 하우징체의 외측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체에 장착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콘센트의 단자와 단자대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조 단계에서 시행하고, 시공시에 하우징체의 외측에 노출하고 있는 접속 단자에 전력 케이블을 접속함으로써, 콘센트의 단자부와 전력 공급용의 전력 케이블과의 전기적인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본체 내는, 연직 방향을 따라 세워지도록 설치된 칸막이 벽에 의해, 상기 전력 케이블이 배선되는 배선 공간과 상기 수납 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칸막이 벽은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기 콘센트 유닛의 상기 단자대를 상기 배선 공간을 향하게 하는 창구멍이 관통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 벽에 의해 스탠드 본체 내를 수납 공간과 전력 케이블용의 배선 공간으로 분리한 경우에 있어서, 칸막이 벽에 관통 설치된 창구멍을 통하여 콘센트 유닛의 단자대를 배선 공간에 향하게 함으로써, 단자대의 접속 단자에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 본체 내의 배선 공간에는, 상기 전력 케이블과 상기 단자대의 상기 접속 단자와의 사이에 삽입되는 누전 차단기의 설치 스페이스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누전 차단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스페이스가 스탠드 본체 내의 배선 공간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콘센트의 누전 사고를 방지하는 대책으로서 전력 케이블과 콘센트 사이에 누전 차단기를 삽입하는 시공 형태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콘센트의 단자부와 전력 공급용의 전력 케이블과의 전기적인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이하와 같은 첨부 도면과 함께 주어지는 이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를 나타내며, 우측 후방에서 볼 때 일부 생략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 스탠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 스탠드를 나타내며,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 스탠드를 나타내며, 도 2의 IV-IV' 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 스탠드의 전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 스탠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 스탠드의 배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 스탠드의 저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 스탠드에 있어서의 콘센트 유닛을 나타내고,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 스탠드에 있어서의 콘센트 유닛을 나타내고,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 스탠드의 일부 생략한 전방에서 볼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 스탠드의 배판을 뺀 상태에서의 일부 생략한 배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스탠드에 있어서, 콘센트, 단자대 및 누전 차단기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에 대한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를 주차하는 지면에 세워 설치되는 스탠드 본체(1)와,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이하, 충전 케이블로 부른다.)(100)의 플러그(110)이 삽입구(20a)(도 3 참조)에 꽂고 빼는 것이 자유롭게 삽입 접속되는 콘센트(20)를 구비하고 있다.
스탠드 본체(1)는, 긴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3매의 금속판(좌측판(2), 우측판(3), 배판(4))을 조립함으로써 앞측 및 상측, 하측이 각각 개구한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편평한 상자 형상의 커버(cover)(5)에 의해 상측의 개구가 닫혀 있다. 좌측판(2) 및 우측판(3)의 내측면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방향(수평 방향)의 대략 중앙부가 전후 방향을 따라 계단 형상으로 절곡된 장착판(6)이 배판(4)과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즉, 스탠드 본체(1)의 내부가 장착판(6)에 의해 전후로 구분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콘센트 유닛(10)이 장착판(6)의 전방의 공간에 수납되고, 후술하는 누전 차단기(200)나 전력 공급용의 전력 케이블(50)(도 13참조)이 장착판(6)의 후방의 공간에 수납(배선)된다. 또한, 장착판(6)에는 콘센트 유닛(10)이나 누전 차단기(200)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 구멍(6a)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같은 간격으로 관통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탠드 본체(1)의 앞측에 있어서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상측 패널(7A) 및 하측 패널(7B)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탠드 본체(1) 내에 있어서 상측 패널(7A)의 하단으로부터 하측 패널(7B)의 상단까지의 전방공간에, 콘센트 유닛(10)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4개의 수납 공간(8)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수납 공간(8)의 개수가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2, 3, 5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스탠드 본체(1)내의 공간에 마련되어도 좋다.
콘센트 유닛(unit)(10)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측에 개구창(11a)을 가지는 상자 형상의 하우징체(11)과, 하우징체(11)내에 유지되는 콘센트 블럭(block)(12)과, 개구창(11a)의 닫힘 위치(도 5 참조)와 열림 위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도어(door)(13)와, 하우징체(11)의 상부에 씌워진 합성 수지 재료로 만들어진 유닛 커버(unit cover)(16)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체(11)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판(11b)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부가 전후 방향을 따라 계단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개구창(11a)으로부터 배판(11b)까지의 깊이가 큰 측(좌측)의 모서리에 콘센트 블럭(12)이 배치되어 있다.
콘센트 블럭(12)은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기체 본체(20b)의 전면에 삽입구(20a)가 마련된 콘센트(20)와, 콘센트(20)의 전단부가 감합되는 감합 구멍(21a)을 가지고 콘센트(20)가 후방에서 장착되는 판 형상의 콘센트 패널(21)을 구비하고 있다. 콘센트 패널(21)은 대략 6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대하여 하단이 후방에 위치하고 좌측단에 대하여 우측단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우징체(11)내에 있어서의 좌측의 모서리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체(11)의 내벽면과 콘센트 패널(21)에 둘러싸인 공간에 콘센트(20)가 수납되고, 콘센트 패널(21)의 감합 구멍(21a)을 통하여 콘센트(20)의 삽입구(20a)가 하우징체(11)의 내부 공간에 노출된다. 또한, 콘센트(20)는 종래 잘 알려진 것으로써, 삽입구(20a)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110)의 접촉자(plug-pin)를 받는 수용부(plug-pin receiver)(도시하지 않음)와 수용부를 외부의 전선(60)(도 13참조)과 접속하기 위한 단자(20c, 20d)(도 13 참조)가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기체 본체(20b)에 수납되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단에 대하여 하단이 후방에 위치함과 함께 좌측단에 대하여 우측단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콘센트 패널(21)이 하우징체(11)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콘센트 패널(21)에 장착된 콘센트(20)는 삽입구(20a)에 대한 플러그(110)의 꽂고 빼는 방향이 수평 방향 및 연직 방향에 있어서 개구창(11a)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다시 말해서 삽입구(20a)의 방향(콘센트(20)전면의 법선(法線) 방향)이 개구창(11a)의 방향(개구창(11a)의 개구면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오른쪽 경사 아래 방향으로 기울도록 배치되게 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여기에서, 도 10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체(11)의 배면에는 단자대(22)가 장착되어 있다. 이 단자대(22)는 한 쪽의 접속 단자(22c, 22d)가 배판(11b)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콘센트(20)의 단자(20c, 20d)와 접속되고(실제로는, 후술하는 인터록 장치(23)을 거쳐 접속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누전 차단기(200)의 2차 측 단자에 접속된 전선(60)이 다른 쪽의 접속 단자(22a, 22b)에 접속된다. 즉 콘센트(20)가 하우징체(11)의 내벽면과 콘센트 패널(21)에 둘러싸인 공간에 수납되므로, 하우징체(11)의 외측에 단자대(22)를 장착하고, 단자대(22)을 거쳐 콘센트(20)의 단자(20c, 20d)와 외부의 전선(60)을 접속함으로써 접속 작업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도어(13)는 편평(扁平)한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한 쌍의 힌지(hinge)부(14)에 의해 좌측단부가 하우징체(11)의 전면측 좌측단부에 축지지되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어(13)의 배면측에는 록 장치(15)가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13)의 전면에 록 장치(15)의 열쇠 구멍부(15a)가 노출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도어(13)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도어(13)의 하단과 하우징체(11)의 전면측 하단의 사이로부터 충전 케이블(100)을 인출하기 위한 간극(인출구)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 유닛(10)에는 인터록(interlock) 장치(23)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인터록 장치(23)에 의해, 도어(13)가 닫힘 위치가 아닌 경우 콘센트(20)로의 통전이 오프(OFF)되고, 도어(13)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만 콘센트(20)로의 통전이 온(ON)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인터록 장치(23)는 종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는 도어(13)의 배면에 마련되어 있는 'ㄷ'자형의 구동편(13a)이 눌려지는 것에 의해 구동되는 액추에이터(23a)를 가지고 있고, 도어(13)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액추에이터(23a)가 구동편(13a)에 의해 구동되어 콘센트(20)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하고, 도어(13)가 닫힘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액추에이터(23a)가 구동편(13a)에 의해 구동되지 않음으로써 콘센트(20)로의 전력 공급을 중지시키고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되는 콘센트 유닛(10)은 전면측에서 스탠드 본체(1)내의 수납 공간(8)내에 수납되고, 장착판(6)에 대하여 하우징체(11)가 나사고정 됨으로써 스탠드 본체(1)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탠드 본체(1)내에는 동일 치수의 4개의 수납 공간(8)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 4개의 수납 공간(8)의 어디에도 콘센트 유닛(10)을 수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착판(6)에는 각 수납 공간(8)마다 직사각형의 창구멍(6b)이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콘센트 유닛(10)이 수납 공간(8)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하우징체(11)의 배면에 장착되어 있는 단자대(22)가 창구멍(6b)에 삽입 통과되어 장착판(6)의 후방 공간(배선 공간(9)(도 3 및 도 4 참조))에 노출된다(도 10 ~ 도 12 참조).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수납 공간(8)의 모두에 콘센트 유닛(10)을 수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4개의 수납 공간(8) 모두에 콘센트 유닛(10)을 수납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1개의 콘센트 유닛(10)을 어느 하나의 수납 공간(8)에 수납하고 있으면 좋다.
누전 차단기(200)는 도 3, 4,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판(6)의 전방에 돌출되어 있는 측(도 12에서는 좌측)의 배면에 장착되어 배선 공간(9)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선 공간(9)에는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50)이 스탠드 본체(1)의 저면의 케이블 입선구(入線口)(1a)로부터 입선되어서 배선된다(도 8 참조). 그리고, 배선 공간(9)에 배선된 전력 케이블(50)이 누전 차단기(200)의 1차 측에 접속되고, 누전 차단기(200)의 2차 측이 전선(60)에 의해 단자대(22)의 한 쪽의 접속 단자(22a, 22b)(배선 공간(9)측에 있는 접속 단자)에 접속되고, 단자대(22)의 다른 쪽의 접속 단자(22c, 22d)(하우징체(11)내에 있는 접속 단자)로부터 인터록 장치(23)를 거쳐서 콘센트(20)의 단자(20c, 20d)와 접속된다. 또한, 상술한 배선 작업은 스탠드 본체(1)의 배판(4)을 탈착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의 사용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어(13)를 열고, 충전 케이블(100)의 플러그(110)의 접촉자를 삽입구(20a)에 삽임함으로써 콘센트(20)에 플러그(110)를 삽입 접속한다. 이때, 콘센트(20)의 삽입구(20a)가 하우징체(11)내의 왼쪽 위치에 있고, 또한, 삽입구(20a)의 방향이 개구창(11a)의 방향에 대하여 오른쪽 경사 하측방향으로 기울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체(11)내에 있어서 플러그(110)의 꽂고 빼는 데에 필요한 스페이스(공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110)의 삽입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우천시에 있어서도 개구창(11a)을 통하여 하우징체(11)내에 들이치는 빗물이 삽입구(20a)에 스며드는 것이 어렵다.
플러그(110)를 콘센트(20)에 삽입 접속한 후에, 도어(13)를 닫고 도시하지 않는 열쇠를 이용하여 록 장치(15)를 잠근다. 여기에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전원 폴과 같이, 콘센트가 수납되어 있는 케이스의 개구에 대하여 콘센트의 삽입구가 수평 방향에 있어서 대략 정면으로 마주하고 있는 경우, 콘센트에 플러그를 삽입 접속한 전원 케이블(충전 케이블)의 인출 위치와 콘센트의 삽입구의 위치가 수평 방향에 있어서 대략 같은 위치가 된다. 그 때문에, 복수의 콘센트를 연직 방향으로 배열했을 때에, 매달려 있는 전원 케이블과 하단의 콘센트의 삽입구가 전방에서 보아 중첩되기 때문에, 하단의 콘센트에 다른 전원 케이블의 플러그를 삽입 접속하는 작업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구(20a)의 방향이 개구창(11a)의 방향에 대하여 오른쪽 경사 하측방향으로 기울도록 각 콘센트(20)가 스탠드 본체(1)내(콘센트 유닛(10)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단의 콘센트(20)에 플러그(110)가 삽입 접속되어 개구창(11a)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충전 케이블(100)과 하단의 콘센트(20)의 삽입구(20a)가 전방에서 보아 중첩되지 않으므로, 하단의 콘센트(20)에 다른 충전 케이블(100)의 플러그(110)을 삽입 접속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탠드 본체(1)의 외주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면)에 복수(3개)의 케이블 유지부(유지체)(40)가 장착되어 있다. 케이블 유지부(4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band)형상의 판 형상의 금속판을 단면형상이 대략 'ㄷ'자형의 통형상으로 구부려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에 맞춤과 함께 홈이 후방을 향하도록 하여 스탠드 본체(1)의 우측판(3)에 있어서의 위에서 2 ~ 4단째의 수납 공간(8)의 근방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창(11a)(인출구)을 통하여 스탠드 본체(1)의 바깥(전방)으로 인출된 충전 케이블(100)을 홈에 끼워 넣음으로써 케이블 유지부(40)에 유지시키면, 상단의 콘센트(20)에 플러그(110)가 접속된 충전 케이블(100)이 크게 방해되지 않고 하단의 콘센트 유닛(10)의 도어(13)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케이블(100)이 부주의로 잡아 당겨졌을 경우에 있어서도 케이블 유지부(40)가 충전 케이블(100)을 유지하고 있음으로써 플러그(110)에 걸리는 장력을 완화하고, 콘센트(20)의 삽입구(20a)로부터 플러그(110)가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3개의 케이블 유지부(40)가 상하 방향을 따라 스탠드 본체(1)의 전후에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유지부(40)에 유지된 복수의 충전 케이블(100)이 서로 방해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있는 케이블 유지부(40)가, 상대적으로 위쪽에 있는 케이블 유지부(40)보다도 스탠드 본체(1)의 앞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있는 케이블 유지부(40)가, 상대적으로 위쪽에 있는 케이블 유지부(40)에 유지된 충전 케이블(100)보다도 스탠드 본체(1)의 앞쪽에 위치하는 것이 되므로(도 5 및 도 6 참조),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있는 케이블 유지부(40)에 충전 케이블(100)을 유지시킬 때, 상대적으로 위쪽에 있는 케이블 유지부(40)에 유지된 충전 케이블(100)이 방해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종료되면, 록 장치(15)를 잠금 해제하여 도어(13)를 열고, 플러그(110)를 콘센트(20)의 삽입구(20a)로부터 뽑는다. 여기에서, 도어(13)가 열려있을 때는 인터록 장치(23)에 의해 콘센트(20)로의 통전이 오프(OFF)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110)를 콘센트(20)의 삽입구(20a)에 꽂고 뺄 때의 감전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에 1 내지 복수의 수납 공간(8)을 가지는 스탠드 본체(1)와, 스탠드 본체(1)의 수납 공간(8)내에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수납되는 콘센트 유닛(10)을 구비하고, 콘센트 유닛(10)은 전기 자동차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 케이블(100)의 플러그(110)를 꽂고 빼는 것이 자유롭게 삽입 접속 되는 삽입구(20a) 및 전력 공급용의 단자(20c, 20d)를 가지는 콘센트(20)와, 전면이 개구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삽입구(20a)를 노출시키는 동시에 단자(20c, 20d)를 감추도록 콘센트(20)를 유지하는 하우징체(11)와, 전력 케이블(50)이 접속되는 접속 단자(22a, 22b)를 가지고 콘센트(20)의 단자(20c, 20d)에 전력 케이블(50)을 접속하는 단자대(22)를 구비하고, 접속 단자(22a, 22b)를 하우징체(11)의 외측에 노출시키도록 하여 단자대(22)가 하우징체(11)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콘센트(20)의 단자(20c, 20d)와 단자대(22)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조 단계에서 행하고, 시공시에 하우징체(11)의 외측에 노출하고 있는 단자대(22)의 접속 단자(22a, 22b)에 전력 케이블(50)을 접속함으로써, 콘센트(20)의 단자(20c, 20d)와 전력 공급용의 전력 케이블(50)과의 전기적인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탠드 본체(1)내에는, 연직 방향을 따라 세워 설치된 칸막이 벽(장착판(6))에 의해, 전력 케이블(50)이 배선되는 배선 공간(9)과 수납 공간(8)으로 분리되고, 장착판(6)은 수납 공간(8)에 수납된 콘센트 유닛(10)의 단자대(22)를 배선 공간(9)을 향하게 하는 창구멍(6b)이 관통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착판(6)에 의해 스탠드 본체(1)내를 수납 공간(8)과 전력 케이블(50)용의 배선 공간(9)으로 분리한 경우에 있어서, 장착판(6)에 관통 설치된 창구멍(6b)을 통하여 콘센트 유닛(10)의 단자대(22)를 배선 공간(9)을 향하게 함으로써, 단자대(22)의 접속 단자(22a, 22b)에 전력 케이블(50)을 접속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력 케이블(50)과 단자대(22)의 접속 단자(22a, 22b)와의 사이에 삽입되는 누전 차단기(200)의 설치 스페이스가 스탠드 본체(1)내의 배선 공간(9)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콘센트(20)의 누전 사고를 방지하는 대책으로서 전력 케이블(50)과 콘센트(20) 사이에 누전 차단기(200)를 삽입하는 시공 형태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력 케이블(50)과 상용 교류 전원 사이에 누전 차단기(200)가 설치될 경우에 있어서는, 반드시 스탠드 본체(1)의 배선 공간(9)에 누전 차단기(200)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후속하는 청구범위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것도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

  1. 스탠드 본체와,
    상기 스탠드 본체에 수납되는 콘센트 유닛
    을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유닛은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체와,
    전력 케이블 및 상기 콘센트의 전력 공급용의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가지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하우징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본체는 내부에 1 내지 복수의 수납 공간을 가지고 전기 자동차를 주차하는 지면에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콘센트 유닛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수납되고,
    상기 콘센트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의 플러그가 꽂고 빼는 것이 자유롭게 삽입 접속되는 삽입구 및 상기 전력 공급용의 단자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체는 전면이 개구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콘센트의 상기 전력 공급용의 단자를 감추도록 상기 콘센트를 유지하고,
    상기 콘센트 유닛은 상기 접속단자를 가지는 단자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단자대를 거쳐서 상기 콘센트의 상기 전력 공급용의 단자와 상기 전력 케이블이 접속하고, 상기 접속 단자를 상기 하우징체의 외측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본체 내에는, 연직 방향을 따라 세워지도록 설치된 칸막이 벽에 의해, 상기 전력 케이블이 배선되는 배선 공간과 상기 수납 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칸막이 벽은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기 콘센트 유닛의 상기 단자대를 상기 배선 공간을 향하게 하는 창구멍이 관통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본체 내의 상기 배선 공간에는, 상기 전력 케이블과 상기 단자대의 상기 접속 단자 사이에 삽입되는 누전 차단기의 설치 스페이스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
KR1020127009309A 2009-10-13 2010-08-27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 KR101370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36184A JP5406657B2 (ja) 2009-10-13 2009-10-13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JP-P-2009-236184 2009-10-13
PCT/IB2010/002104 WO2011045635A1 (ja) 2009-10-13 2010-08-27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403A true KR20120065403A (ko) 2012-06-20
KR101370213B1 KR101370213B1 (ko) 2014-03-05

Family

ID=4387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309A KR101370213B1 (ko) 2009-10-13 2010-08-27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06657B2 (ko)
KR (1) KR101370213B1 (ko)
WO (1) WO2011045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3876B2 (ja) * 2014-02-19 2017-10-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充電スタンド
DE102017115098A1 (de) * 2017-07-06 2019-01-10 Innogy Se Ladeboxeinheit für eine Ladesäule
CN107234979B (zh) * 2017-07-13 2023-08-18 安徽易威斯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间距的电动汽车充电桩
WO2023239269A1 (en) * 2022-06-07 2023-12-14 Garo Aktiebolag Support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365B2 (ja) * 1985-11-01 1996-02-14 松下電工株式会社 フロアコンセント
JPH04358950A (ja) * 1991-05-31 1992-12-11 Honda Motor Co Ltd 電動式車両
JP3561994B2 (ja) * 1994-12-15 2004-09-08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源ポール
JPH09107605A (ja) * 1995-10-11 1997-04-22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JPH09172404A (ja) * 1995-10-16 1997-06-30 Junko Suginaka 移動型電気機器の情報報知装置
JPH09198571A (ja) * 1996-01-12 1997-07-31 Takeshi Okohara 携帯電話用バッテリーの充電スタンド
JP3442649B2 (ja) * 1998-03-16 2003-09-02 パーク二四株式会社 電気車両用充電装置
JP2000217245A (ja) * 1999-01-22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漏電遮断器
JP3061831U (ja) * 1999-03-03 1999-09-24 泰介 新原 電力販売ロッカ―
IT1317975B1 (it) * 2000-06-16 2003-07-21 Christian Pio Pedulla Presa multipla volante.
JP2002101506A (ja) * 2000-09-26 2002-04-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電盤の電線接続構造及び電線接続方法
JP2004045478A (ja) * 2002-07-09 2004-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コネクタ及び光通信装置並びに情報コンセント
JP2007143370A (ja) * 2005-11-22 2007-06-07 Toyota Motor Corp 充電装置、電動車両および充電システム
JP4947705B2 (ja) * 2006-12-18 2012-06-06 日東工業株式会社 分電盤のコンセントユニット
JP5435706B2 (ja) * 2009-04-10 2014-03-05 日東工業株式会社 スタンド式充電装置
JP2010279181A (ja) * 2009-05-28 2010-12-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5421721B2 (ja) * 2009-10-13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5635A1 (ja) 2011-04-21
JP2011087352A (ja) 2011-04-28
KR101370213B1 (ko) 2014-03-05
JP5406657B2 (ja)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6208B2 (ja) コンセントユニット
JP5597150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4915970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5421721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5453041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CN102044891A (zh) 电动汽车用充电装置
KR101370213B1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
JP5453040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CN102577012B (zh) 电动车用充电站
JP5476164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5552082B2 (ja) 充電スタンド
JP4835777B1 (ja) 充電スタンド
JP5507891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5600446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2012085471A (ja) 充電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