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097A -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097A
KR20120054097A KR1020127009631A KR20127009631A KR20120054097A KR 20120054097 A KR20120054097 A KR 20120054097A KR 1020127009631 A KR1020127009631 A KR 1020127009631A KR 20127009631 A KR20127009631 A KR 20127009631A KR 20120054097 A KR20120054097 A KR 20120054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ing plate
door
door panel
fully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697B1 (ko
Inventor
마사히코 고케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Synchronisation of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05Y2400/324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5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related to specific positions
    • E05Y2400/354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도어 패널의 진행 방향을 따른 1개소(箇所)에만 설치된 위치 스위치에 의해, 도어 패널이 전개 및 전폐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있는지를 판별 가능하게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좌우 방향으로 개폐하는 도어 패널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에 있어서, 1개의 위치 스위치와, 위치 스위치에 마련된 제1 및 제2 투광기 및 제1 및 제2 수광기와, 도어 패널에 마련된 제1 및 제2 차폐판과, 위치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수광기의 수광 상태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 패널이 전개 및 전폐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제어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제1 차폐판은 도어 전개의 경우에 제1 및 제2 광 중 1이상의 소정 광을 차광하고, 제2 차폐판은 도어 전폐의 경우에 제1 및 제2 광 중 제1 차폐판이 차광하는 소정 광과는 다른 1이상의 소정 광을 차광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ELEVATOR DO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엘리베이터의 권상기가 승강로내에 배치되는 이른바 기계실 리스 엘리베이터(called machine room-less elevator)가 보급됨에 따라, 승강로내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기기의 공간 절약화가 필요해지고 있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도, 보다 컴팩트하고 고기능인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는, 통상, 도어 모터 등의 토크를 전달 기구를 통해서 도어 패널에 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수평 방향으로 자동 개폐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전개(全開) 위치 및 전폐(全閉) 위치에서 도어 패널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의 양쪽 모두를 인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위치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위치 스위치에 관해서는, 광의 차단(차광)이나 반사를 이용하여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를 검출하는 광 스위치(투수(投受)광기)가 기계식 등의 다른 방식의 스위치에 비해 정밀도가 좋고, 또 이물(異物)이나 물 등에도 비교적 강하기 때문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위치를 이 광 스위치(투수광기)로 검출하는 것으로서, 광 스위치의 검출부에 먼지나 기름 등이 부착되어 광의 통과가 방해됨으로써 오동작하여 도어 패널이 고속으로 동작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차광에 의해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1개의 광 스위치와 차광에 의해 도어 패널이 전폐 위치에 가까워진 것을 검출하는 2개의 광 스위치인, 총 3개의 광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러한 광 스위치가 도어 패널에 마련된 차광판에 의해 차광되었을 때에 도어 패널의 이동 속도를 저속으로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마찬가지로 도어의 위치를 광 스위치(투수광기)로 검출하는 것으로, 광 스위치에 외광(外光)이 조사된 경우에도 이 조사에 의한 도어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차광에 의해 도어 패널의 전폐 위치를 검출하는 전폐 검출 광 스위치와, 전개 위치를 검출하는 전개 검출 광 스위치와, 전폐 검출 광 스위치 및 전개 검출 광 스위치의 차광 검출에 의해서 계수값을 리셋트하여 전폐 위치 또는 전개 위치로부터의 도어 패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연산 카운터와, 위치 연산 카운터에 의한 도어 패널의 위치에 기초하여 도어 모터의 개폐 속도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위치 연산 카운터의 계수값이 소정 시간 계속하여 일정값임에도 불구하고 전폐 검출 광 스위치 및 전개 검출 광 스위치 모두가 수광 검출하고 있는 경우, 도어 모터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보호 회로를 구비한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그리고 도어 패널의 개폐 구동에 앞서, 개폐 방향과 도어 모터의 회전 방향을 맞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도어 모터를 소정 방향으로 저속 회전시켜 도어 패널을 구동하여, 이 도어 패널에 의해서 전폐 위치 센서 및 전개 위치 센서 중 어느 하나가 작동했는지를 따라서 도어 모터의 회전 방향과 도어 패널의 개폐 방향의 관련을 검출하고, 제어반으로부터의 개폐 지령 신호에 대해 상기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 모터를 회전시켜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소 60-21828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2002-05328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 2001-354379호 공보
이와 같이, 이러한 특허 문헌에 제시된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도어 패널의 진행 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복수 개의 위치 스위치 각각의 투수광기를, 도어 패널에 설치된 1개 이상의 차폐판(遮蔽坂)이 가로지름으로써 도어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차폐판보다 일반적으로 고가인 투수광기인 위치 스위치를 복수 개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로서도 고가가 되어 비용이 늘어나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 1개의 위치 스위치 및 2개의 차폐판을 마련함으로써, 도어 패널의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 중 하나에 있을 때도 위치 스위치에서는 동일한 검출 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제어 장치 등은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있는지를 판별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 패널의 진행 방향에 따른 1개소에만 설치된 위치 스위치에 의해,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있는지를 판별 가능하게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좌우 방향으로 개폐하는 도어 패널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1개의 위치 스위치와, 상기 위치 스위치에 마련되어 제1 광을 투광하는 제1 투광기와, 상기 위치 스위치의 상기 제1 투광기와 대향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광을 수광하는 제1 수광기와, 상기 위치 스위치에 마련되어 제2 광을 투광하는 제2 투광기와, 상기 위치 스위치의 상기 제2 투광기와 대향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광을 수광하는 제2 수광기와, 상기 도어 패널에 마련된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과, 상기 위치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수광기 및 상기 제2 수광기의 수광 상태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도어 패널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차폐판은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 중 1이상의 소정 광을 차광하고, 상기 제2 차폐판은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다른 쪽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 중, 상기 제1 차폐판이 차광하는 상기 소정 광과는 다른 1이상의 소정 광을 차광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도어 패널의 진행 방향에 따른 1개소에만 설치된 위치 스위치에 의해,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있는지를 판별 가능하게 검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10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10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에 있어서의 공통적인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위치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위치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위치 스위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위치 스위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관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각 도면을 통해서 동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의 공통적인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도시하지 않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용자 등을 태우고 승강하는 탑승 엘리베이터 칸의 정면에 마련된 개구부인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이다.
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에는 좌우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문을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2)이 거의 수평 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2)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행거(2a)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 행거(2a)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롤러(2b)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상방에는 빔(beam:3)이 마련되어 있고, 이 빔(3)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4)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2)의 개폐 방향을 따라서 즉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4) 상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롤러(2b)가 전동(轉動) 가능하게 맞물려 있고, 이렇게 하여 좌우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2)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행거(2a)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 롤러(2b)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 레일(4)에 의해 매달려 있다. 그리고 이 도어 롤러(2b)가 도어 레일(4)에 안내되어 전동함으로써, 좌우의 도어 패널(2)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개폐한다.
이 도어 패널(2)의 개폐 동작은 빔(3)의 도어 레일(4) 상방에 배치된 도어 구동 장치(5)에 의해 구동되고 있다. 이 도어 구동 장치(5)는 빔(3)의 좌우 방향(즉 도어 개폐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 이하 동일함)의 일측에 마련된 도어 모터(6)를 가지고 있고, 이 도어 모터(6)의 회전축에는 구동차(driving wheel: 7)가 고정되어 있다.
또, 빔(3)의 좌우 방향의 타측에는 종동차(driven wheel: 8)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구동차(7) 및 종동차(8)에는 무단(無端) 모양의 톱니 부착 벨트(toothed belt: 9)가 감겨져 있다. 이 톱니 부착 벨트(9)의 내측에는 등간격으로 요철이 마련된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구동차(7) 및 종동차(8)에는 이 톱니에 맞물리는 요철이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톱니 부착 벨트(9)의 톱니가 구동차(7) 및 종동차(8)의 요철에 치합(齒合)하여, 도어 모터(6)의 회전 구동이 톱니 부착 벨트(9)의 순환 이동으로 전달되는 감기 전동 기구인 도어 구동 장치(5)가 구성되어 있다.
각 도어 패널의 도어 행거(2a)의 상단에는, 계지 부재(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계지 부재(10) 중, 좌우 한 쌍의 도어 패널(2)의 한쪽 도어 패널(2)에 마련된 계지 부재(10)가, 톱니 부착 벨트(9)의 상하 중 일측에 계지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쪽의 도어 패널(2)에 마련된 계지 부재(10)는, 톱니 부착 벨트(9)의 상하 중 타측에 계지되어 있고, 도어 구동 장치(5)의 도어 모터(6)의 정역(正逆) 양방향의 회전 구동이, 도시하지 않은 감속 기구를 통해서 톱니 부착 벨트(9)의 양방향으로의 순환(循環) 이동으로 변환되어, 좌우 한 쌍의 도어 패널(2)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가 개폐된다.
또, 빔(3)에는 도어 패널(2)이 전개 상태 및 전폐 상태를 초과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1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스토퍼(11)는 도어 패널(2)이 전개 상태 및 전폐 상태에 있을 때 도어 행거(2a)의 단부가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빔(3)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도어 패널(2) 중 어느 한 쪽의 도어 패널(2)의 도어 행거(2a) 상방의 위치에는,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コ자형인 위치 스위치(14)가 후술하는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한쪽 도어 패널(2)의 도어 행거(2a) 상단부에는,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차폐판(12)은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이 제1 차폐판(12)이 위치 스위치(14)의 コ자형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차폐판(13)은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에 있을 때, 이 제2 차폐판(13)이 위치 스위치(14)의 コ자형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위치 스위치(14)는 그 コ자형의 내측에 차폐판이 위치한 것을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며, 따라서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이 위치함으로써,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 양쪽 모두에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즉 좌우 한 쌍의 도어 패널(2)의 개폐 동작은 도어 제어 장치 본체(18)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도어 모터(6)의 회전축에는, 이 회전축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회전각 정보 신호로서 출력하는 도시하지 않은 펄스 인코더가 마련되어 있고, 도어 제어 장치 본체(18)는 펄스 인코더로부터의 회전각 정보 신호나 위치 스위치(14)로부터 출력되는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 패널(2)의 위치를 파악해서, 도어 모터(6)의 회전을 제어하여 도어 패널(2)을 수평 방향으로 개폐시킨다.
도어 패널(2)의 전폐 위치 및 전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 즉 위치 스위치(14) 및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되어 있다.
즉, 상술과 같이, 위치 스위치(14)는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コ자형을 나타내고, 빔(3)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コ자형의 한쪽 돌출부에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 등으로 이루어진 투광기(15)가 마련되어 있고, コ자형의 다른 쪽 돌출부에는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진 수광기(16)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투광기(15) 및 수광기(16)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통상시에 있어서는 투광기(15)로부터 투광된 광(17)은 수광기(16)에 의해 수광된다.
또,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은 한쪽 도어 패널(2)의 도어 행거(2a) 상단부에, 접합부(19)를 통해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접합부(19)에는, 좌우 방향으로 장경(長徑)을 가지는 장공(19a)이 천설(穿設)되어 있고, 이 장공(19a)을 통한 볼트(19b)에 의해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은 도어 행거(2a)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장공(19a)내에 있어서 볼트(19b)의 나사 결합 위치를 바꿈으로써,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의 좌우 방향의 설치 위치가 조정된다.
이들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의 설치 위치는, 구체적으로는 상술과 같이, 제1 차폐판(12)은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이 제1 차폐판(12)이 위치 스위치(14)의 コ자형 내측에 위치하도록 조정된다. 또, 제2 차폐판(13)은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에 있을 때, 이 제2 차폐판(13)이 위치 스위치(14)의 コ자형 내측에 위치하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는 제1 차폐판(12)에 의해 투광기(15)로부터 투광되는 광(17)이 차광되며, 수광기(16)는 이 광(17)을 수광하지 않게 되어,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에 있을 때는 제2 차폐판(13)에 의해 투광기(15)로부터 투광되는 광(17)이 차광되며, 수광기(16)는 이 광(17)을 수광하지 않게 되어,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이 이후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추가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는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위치 스위치(14)는 상하 방향(즉 도어 개폐 방향에 직교하고 또 도어 패널과 동일 평면 내에 있는 방향, 이하 동일함)으로 늘어서 배치된 제1 투광기(15a) 및 제2 투광기(15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 투광기(15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1 수광기(16a)가, 제2 투광기(15b)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2 수광기(16b)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1 투광기(15a)로부터 투광된 제1 광(17a)은 제1 수광기(16a)로 수광되고, 이 수광의 유무에 의해 도어 패널(2)의 위치 검출이 행해진다. 또, 도어 패널(2)의 위치의 검출은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된 제2 광(17b)의, 제2 수광기(16b)에 의한 수광의 유무에 의해서도 행해진다.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은 그 상하 방향 치수가 서로 다르고, 여기에서는,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에서 위치 스위치(14)에 걸리는 제1 차폐판(12)의 상하 방향 치수가,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에서 위치 스위치(14)에 걸리는 제2 차폐판(13)의 상하 방향 치수보다도 길어져 있다.
그리고 제1 차폐판(12)은 제1 투광기(15a)로부터 투광되는 제1 광(17a) 및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되는 제2 광(17b)의 쌍방을 동시에 차광할 수 있는 상하 방향 치수가 되도록 조정된다. 이것에 대해, 제2 차폐판(13)은 하방에 배치되는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되는 제2 광(17b)만을 차광하고, 상방에 배치되는 제1 투광기(15a)로부터 투광되는 제1 광(17a)은 차광하지 않는 상하 방향 치수로 조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가 되면, 제1 차폐판(12)에 의해 제1 투광기(15a)로부터 투광되는 제1 광(17a) 및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되는 제2 광(17b)의 쌍방이 동시에 차광된다. 그러면, 제1 수광기(16a) 및 제2 수광기(16b) 양쪽 모두로부터 수광 없음 신호가 출력된다(또는, 수광 있음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됨, 이하 동일함). 그리고 이 제1 수광기(16a) 및 제2 수광기(16b)의 양쪽 모두로부터 수광 없음 신호를 받으면, 도어 제어 장치 본체(18)는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도어 모터(6)의 회전 구동 제어 등의 도어 개폐 제어를 행한다.
또,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가 되면, 제2 차폐판(13)에 의해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되는 제2 광(17b)은 차광되지만,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되는 제2 광(17b)은 차광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수광기(16a)에서는 수광 없음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반면, 제2 수광기(16b)에서는 수광 없음 신호가 출력되며, 이 제1 수광기(16a)로부터의 수광 있음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수광기(16b)로부터의 수광 없음 신호를 수신하여서, 도어 제어 장치 본체(18)는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도어 모터(6)의 회전 구동 제어 등의 도어 개폐 제어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는,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1개의 위치 스위치와, 위치 스위치에 마련되어 제1 광을 투광하는 제1 투광기와, 위치 스위치의 제1 투광기와 대향한 위치에 마련되어 제1 광을 수광하는 제1 수광기와, 위치 스위치에 마련되어 제2 광을 투광하는 제2 투광기와, 위치 스위치의 제2 투광기와 대향한 위치에 마련되어 제2 광을 수광하는 제2 수광기와, 도어 패널에 마련된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과, 위치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제1 수광기 및 제2 수광기의 수광 상태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도어 패널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제1 차폐판은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있는 경우, 제1 광 및 제2 광 중 1이상의 소정 광을 차광하고, 제2 차폐판은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의 다른 쪽에 있는 경우, 제1 광 및 제2 광 중, 제1 차폐판이 차광하는 상기 소정 광과는 다른 1이상의 소정 광을 차광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도어 패널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1개소에만 설치된 위치 스위치에 의해,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있는지를 판별 가능하게 검출할 수 있어, 장치 전체에 대해 비용을 낮추고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차폐판이 차광하는 1이상의 소정 광이란 제1 광 및 제2 광 중 1이상의 조합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차폐판이 차광하는, 제1 차폐판이 차광하는 상기 소정 광과는 다른 1이상의 소정 광이란 그 광의 조합이 다르면 제1 차폐판이 차광하는 소정 광과 공통되는 것이 있어도 좋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는 제1 투광기 및 제2 투광기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고,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 중 한쪽 차폐판의 상하 방향 치수는 다른 쪽 차폐판의 상하 방향 치수보다 길고, 한쪽 차폐판은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있는 경우, 제1 광 및 제2 광의 양쪽 모두를 차광하고, 다른 쪽 차폐판은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의 다른 쪽에 있는 경우, 제1 광 및 제2 광 중 어느 한 쪽을 차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 1은 2개의 차폐판의 상하 방향 치수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차폐하는 투광기로부터의 광의 수를 다르게 함으로써, 도어 전개 상태 및 전폐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 스위치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변화시켜 이러한 상태를 구별 가능한 것으로 했지만,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2는 2개의 차폐판의 상하 방향의 설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차폐하는 투광기의 광을 바꾸어, 도어 전개 상태 및 전폐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 스위치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변화시켜 이러한 상태를 구별하도록 한 것이다.
즉,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은 각각의 접합부(19)로부터 상방으로 돌설된 제1 차폐판의 암부(12a) 및 제2 차폐판의 암부(13a)를 통해서, 각각 도어 행거(2a)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차폐판의 암부(12a) 및 제2 차폐판의 암부(13a)는 그 상하 방향 치수가 서로 다르며, 여기에서는 제1 차폐판의 암부(12a)의 상하 방향 치수가 제2 차폐판의 암부(13a)의 상하 방향 치수보다도 길어져 있다. 그리고 제1 차폐판의 암부(12a)의 상단에는 제1 차폐판(12)이, 제2 차폐판의 암부(13a)의 상단에는 제2 차폐판(1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차폐판의 암부(12a)의 상하 방향 치수는 제1 차폐판(12)이 상방에 배치되는 제1 투광기(15a)로부터 투광되는 제1 광(17a)만을 차광하고, 하방에 배치되는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하는 제2 광(17b)은 차광하지 않게 조정된다. 이것에 대해, 제2 차폐판의 암부(13a)의 상하 방향 치수는 제2 차폐판(13)이 하방에 배치되는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되는 제2 광(17b)만을 차광하고, 상방에 배치되는 제1 투광기(15a)로부터 투광되는 제1 광(17a)은 차광하지 않게 조정된다.
또한,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가 되면, 제1 차폐판(12)에 의해 제1 투광기(15a)로부터 투광되는 제1 광(17a)은 차광되지만,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되는 제2 광(17b)은 차광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수광기(16a)로부터 수광 없음 신호가 출력되는 반면, 제2 수광기(16b)에서는 수광 없음 신호는 출력되지 않으며, 이 제1 수광기(16a)로부터의 수광 없음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제2 수광기(16b)로부터의 수광 있음 신호를 수신하여서, 도어 제어 장치 본체(18)는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도어 모터(6)의 회전 구동 제어 등의 도어 개폐 제어를 행한다.
또,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가 되면, 제2 차폐판(13)에 의해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되는 제2 광(17b)은 차광되지만, 제1 투광기(15a)로부터 투광되는 제1 광(17a)은 차광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수광기(16a)에서는 수광 없음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반면, 제2 수광기(16b)에서는 수광 없음 신호가 출력되며, 이 제1 수광기(16a)로부터의 수광 있음을 수신하고 제2 수광기(16b)로부터의 수광 없음 신호를 수신하여서, 도어 제어 장치 본체(18)는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도어 모터(6)의 회전 구동 제어 등의 도어 개폐 제어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제1 투광기 및 제2 투광기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고,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제1 차폐판은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있는 경우, 제1 광 및 제2 광 중 어느 한쪽만의 광을 차광하고, 제2 차폐판은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의 다른 쪽에 있는 경우, 제1 광 및 제2 광 중 다른 쪽만을 차광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3은, 2개의 투수광기를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하고, 2개의 차폐판에 의해 차폐하는 투광기의 광을 다르게 함으로써, 도어 전개 상태 및 전폐 상태에 있어서 위치 스위치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변화시켜 이러한 상태를 구별하도록 한 것이다.
즉, 위치 스위치(14)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된 제1 투광기(15a) 및 제2 투광기(15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 투광기(15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1 수광기(16a)가, 제2 투광기(15b)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2 수광기(16b)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1 투광기(15a) 및 제1 수광기(16a)는 상대적으로 제1 차폐판(12)측에, 제2 투광기(15b) 및 제2 수광기(16b)는 상대적으로 제2 차폐판(13)측에 배치된다.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을 각각 지지하는 제1 차폐판의 암부(12a) 및 제2 차폐판의 암부(13a)의 상하 방향 치수는 거의 동일하다.
제1 차폐판(12)의 좌우 방향의 설치 위치는,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는, 제1 차폐판(12)이 제1 차폐판(12)측에 배치되는 제1 투광기(15a)로부터 투광되는 제1 광(17a)만을 차광하고, 반 제1 차폐판(12)측(제2 차폐판(13)측)에 배치되는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하는 제2 광(17b)은 차광하지 않게 조정된다. 이것에 대해, 제2 차폐판(13)의 좌우 방향의 설치 위치는 제2 차폐판(13)이 제2 차폐판(13)측에 배치되는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되는 제2 광(17b)만을 차광하고, 반 제2 차폐판(13)측(제1 차폐판(12)측)에 배치되는 제1 투광기(15a)로부터 투광되는 제1 광(17a)은 차광하지 않게 조정된다.
또한,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가 되면, 제1 차폐판(12)에 의해 제1 투광기(15a)로부터 투광되는 제1 광(17a)은 차광되지만,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되는 제2 광(17b)은 차광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수광기(16a)로부터 수광 없음 신호가 출력되는 반면, 제2 수광기(16b)에서는 수광 없음 신호는 출력되지 않으며, 이 제1 수광기(16a)로부터의 수광 없음을 수신하고 또한 제2 수광기(16b)로부터의 수광 있음 신호를 수신하여서, 도어 제어 장치 본체(18)는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도어 모터(6)의 회전 구동 제어 등의 도어 개폐 제어를 행한다.
또,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가 되면, 제2 차폐판(13)에 의해 제2 투광기(15b)로부터 투광되는 제2 광(17b)은 차광되지만, 제1 투광기(15a)로부터 투광되는 제1 광(17a)은 차광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수광기(16a)에서는 수광 없음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반면, 제2 수광기(16b)에서는 수광 없음 신호가 출력되며, 이 제1 수광기(16a)로부터의 수광 있음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제2 수광기(16b)로부터의 수광 없음과의 신호를 수신하여서, 도어 제어 장치 본체(18)는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도어 모터(6)의 회전 구동 제어 등의 도어 개폐 제어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투수광기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했지만, 이것을 추가하여 상하 방향에도 늘어서게 하여, 즉 2쌍의 투수광기를 비스듬하게 늘어서 배치해도 괜찮다.
또, 2개의 차폐판 가운데, 어느 한쪽의 좌우 방향 치수를 길게 하여, 2쌍 양쪽 모두의 투수광기의 광을 차광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에 더하여, 제1 투광기 및 제2 투광기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고, 제1 차폐판은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어느 한쪽에 있는 경우, 제1 광 및 제2 광 중 어느 한쪽만의 광을 차광하고, 제2 차폐판은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의 다른 쪽에 있는 경우, 제1 광 및 제2 광 중 다른 쪽만을 차광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스위치의 상하 방향 치수를 보다 작은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4.
도 1 및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4는, 실시 형태 3의 구성에 있어서, 한쪽 차폐판의 좌우 방향 치수를 2쌍의 투수광기의 좌우 방향의 간격 치수보다 길게 함과 아울러, 이 긴 치수의 차광판에 의한 2쌍의 투수광기의 차광 순서를 가미(加味)함으로써,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즉,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 중 어느 한쪽, 여기에서는 제2 차폐판(13)으로 함,의 좌우 방향 치수는 제1 투광기(15a) 및 제2 투광기(15b) 사이의 좌우 방향의 간격 치수보다 길어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차폐판(13)의 좌우 방향 치수는 제1 투광기(15a)로부터의 제1 광(17a) 및 제2 투광기(15b)로부터의 제2 광(17b)의 양쪽 모두를 동시에 차광할 수 있는 만큼 충분히 길다.
또한,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같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도어 패널(2)이 전개 위치가 되었을 경우의 판별 동작은 실시 형태 3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어 패널(2)이 전폐 위치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 동작은, 도 7의 플로우에 따라서 행해진다.
즉, 도어 제어 장치 본체(18)는 위치 스위치(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수광기(16a) 및 제2 수광기(16b) 양쪽 모두가 수광하고 있지 않는 상태인지 여부에 대해서 확인을 행한다. 이 확인에 있어서, 제1 수광기(16a) 및 제2 수광기(16b) 양쪽 모두가 수광하고 있지 않는 상태인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2로 이행한다.
이 스텝 S2에 있어서는, 도어 제어 장치 본체(18)는 제1 수광기(16a) 및 제2 수광기(16b)가 수광하고 있지 않는 상태가 된 순서(차광 차례)에 대해서, 제2 차폐판(13)측인 제2 수광기(16b)가 먼저이고, 반 제2 차폐판(13)측인 제1 수광기(16a)가 후(後)인지 여부에 대해서 확인을 행한다.
이 확인에 있어서, 차광 차례에 대해서 제2 수광기(16b)가 먼저이고 제1 수광기(16a)가 후인 것으로 확인되었을 경우는 스텝 S3으로 이행하고, 도어 제어 장치 본체(18)는 도어 패널(2)이 전폐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후, 스텝 S1로 돌아온다.
한편, 스텝 S2의 확인에 있어서, 차광 차례에 있어서 제2 수광기(16b)가 먼저이고 제1 수광기(16a)가 후인 것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4로 이행하고, 도어 제어 장치 본체(18)는 전원 이상이나 위치 스위치 등의 케이블 단선 등이 발생함으로써 제1 수광기(16a) 및 제2 수광기(16b) 양쪽 모두가 수광 없음 상태가 되어 버리는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후, 스텝 S1로 돌아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는, 제1 투광기 및 제2 투광기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고,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 중 한쪽 차폐판의 좌우 방향 치수는 다른 쪽 차폐판의 좌우 방향 치수보다 길고, 한쪽 차폐판은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있는 경우, 제1 광 및 제2 광의 양쪽 모두를 차광하고, 다른 쪽 차폐판은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의 다른 쪽에 있는 경우, 제1 광 및 제2 광 중 어느 한쪽을 차광하고, 도어 제어 장치 본체는 제1 수광기 및 제2 수광기가 수광하고 있지 않는 상태가 된 순서에 기초하여,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한쪽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3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에 더하여, 전원 이상이나 위치 스위치 등의 케이블 단선 등이 발생함으로써 제1 수광기 및 제2 수광기 양쪽 모두가 수광하고 있지 않는 상태가 되어 버리는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5.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5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4의 구성에 있어서, 수광기를 위치 스위치의 コ자형의 2개의 돌출부 중, 도어 구동 장치와 이간(離間)하는 측, 즉 빔과 이간하는 측에 마련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투광기는 수광기와 대향하는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부터, 투광기를 위치 스위치의 コ자형의 2개의 돌출부 중 도어 구동 장치측, 즉 빔측에 마련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술한 것처럼, 위치 스위치(14)는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コ자형을 나타내고, 빔(3)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コ자형의 2개의 돌출부 중 도어 구동 장치(5)측, 즉 빔(3)측의 돌출부에는 투광기(15)가 마련되어 있다. 또, コ자형의 2개의 돌출부 중 도어 구동 장치(5)로부터 이간하는 측, 즉 빔(3)으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돌출부에는 수광기(16)가 투광기(15)와 대향하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이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4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4 중 어느 하나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에 더하여, 위치 스위치는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コ자형을 나타내고, 출입구의 상방에 마련된 빔에, 거의 コ자형의 한쪽 돌출부가 빔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설치되고, 제1 수광기 및 제2 수광기는 빔으로부터 이간하는 측인 거의 コ자형의 다른 쪽 돌출부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일광(日光) 등의 외란광이 수광기에 직접 입사하기 어려워져, 오동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위치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6은,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의 구성에 있어서, 투광기 및/또는 수광기를 위치 스위치의 コ자형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후퇴한 위치에 마련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술한 것처럼, 위치 스위치(14)는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コ자형을 나타내고, 빔(3)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コ자형의 한쪽 돌출부에 있어서, 내측 표면보다 후퇴한 위치에는, 투광기(15)가 마련되어 있다. 또, コ자형의 다른 쪽 돌출부에 있어서, 내측 표면보다 후퇴한 위치에는 수광기(16)가 투광기(15)와 대향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투광기(15) 및 수광기(16) 양쪽 모두를 내측 표면으로부터 후퇴한 위치에 배치해 마련했지만, 투광기(15) 및 수광기(16) 중 어느 하나 한쪽만을 내측 표면으로부터 후퇴한 위치에 배치해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또, 다른 구성이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 중 어느 하나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에 더하여, 위치 스위치는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コ자형을 나타내고, 출입구의 상방에 마련된 빔에 설치되고, 제1 투광기 및 제2 투광기, 및/또는 제1 수광기 및 제2 수광기는 거의 コ자형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후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투광기의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다른 수광기로의 영향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일광 등의 외란광이 수광기에 직접 입사하기 어려워져, 오동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7.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위치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7은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6의 구성에 있어서, 위치 스위치의 자리수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외측 표면부에, 이 위치 스위치에 마련된 수광기의 수광 상태를 표시하는 수광 표시기를 마련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술한 것처럼, 위치 스위치(14)는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コ자형을 나타내고, 빔(3)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위치 스위치(14)의 빔(3)으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외측 표면부에는, 이 위치 스위치(14)에 마련되어 있는 수광기(16)가 수광하고 있는지 여부의 수광 상태를 표시하는 수광 표시기(20)가 마련되어 있다.
도 9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제1 수광기(16a) 및 제2 수광기(16b)를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했을 경우의 예이며, 따라서 수광 표시기(20)는 제1 수광기(16a)의 수광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수광 표시기(20a) 및 제2 수광기(16b)의 수광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수광 표시기(20b)인 2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수광기를 상하로 늘어놓은 배치에 대한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배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구성이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6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6 중 어느 하나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에 더하여, 위치 스위치의 외측 표면에 마련되어 제1 수광기 및 제2 수광기의 수광 상태를 표시하는 수광 표시기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도어 전개 및 전폐 위치에 있어서의 위치 스위치 및 차폐판의 조정 작업에 있어서, 작업원은 수광기의 수광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고, 당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8.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관한 것으로, 도 10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위치 스위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위치 스위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8은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7의 구성에 있어서, 위치 스위치의 좌우 방향 양측에, 외란광이 수광기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광 차폐부를, 차폐판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여 마련한 것이다.
즉, 이 실시 형태의 하나의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 스위치(14)의 좌우 방향 양측에, 외광 차폐부(21)인 차광 커버(21a)를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여 마련한다.
또, 이 실시 형태의 다른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 스위치의 좌우 방향 치수(14a)를 다른 실시 형태의 것보다 길게 함으로써, 외광 차폐부(21)를 형성한다.
또한, 다른 구성이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7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7 중 어느 하나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에 더하여, 위치 스위치의 좌우 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외란광이 제1 수광기 및 제2 수광기에 입사 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광 차폐부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일광 등의 외란광이 수광기에 직접 입사하기 어려워져, 오동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9.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9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8의 구성에 있어서, 차폐판의 표면을 흑색 또는 광 반사율이 낮은 도료나 부재로 가리도록 한 것이다.
즉,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의 표면은 흑색 또는 광 반사율이 낮은 도료나 부재로 덮여 있고, 다른 구성이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8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8의 어느 하나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에 더하여,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은 이러한 표면이 흑색 도료 또는 부재 혹은 광 반사율이 낮은 도료 또는 부재로 덮여 있음으로써, 차폐판에 의한 반사광이 수광기에 직접 입사하기 어려워져, 오동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10.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장치의 도어 패널 위치 검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10은,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9의 구성에 있어서, 접합부의 형상을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L자형으로 하고, 이 접합부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입사하는 외란광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19)는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L자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장공(19a) 및 볼트(19b)에 의해 도어 행거(2a)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면으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도어 구동 장치(5)측(빔(3)측)으로 절곡(折曲)되어 거의 수평면이 형성되어 지고, 이 거의 수평면의 상면에 제1 차폐판(12) 또는 제2 차폐판(13)이 입설(入設)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차폐판(12) 및 제2 차폐판(13)의 설치 위치에 맞추어 위치 스위치(14)의 설치 위치도 조정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이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9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9 중 어느 하나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에 더하여,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L자형을 나타내고,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을 도어 패널에 설치하는 접합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은 접합부에 의해 형성된 거의 수평면의 상면에 입설되어 있음으로써, 위치 스위치의 하방으로부터 수광기로 입사하는 외란광을 차단하여, 오동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를 검출하여 문 개폐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 2: 도어 패널
2a: 도어 행거 2b: 도어 롤러
3: 빔 4: 도어 레일
5: 도어 구동 장치 6: 도어 모터
7: 구동차 8: 종동차
9: 톱니 부착 벨트 10: 계지 부재
11: 스토퍼 12: 제1 차폐판
12a: 제1 차폐판의 암부 13: 제2 차폐판
13a: 제2 차폐판의 암부 14: 위치 스위치
14a: 위치 스위치의 좌우 방향 치수 15: 투광기
15a: 제1 투광기 15b: 제2 투광기
16: 수광기 16a: 제1 수광기
16b: 제2 수광기 17: 광
17a: 제1 광 17b: 제2 광
18: 도어 제어 장치 본체 19: 접합부
19a: 긴 구멍 19b: 볼트
20: 수광 표시기 20a: 제1 수광 표시기
20b: 제2 수광 표시기 21: 외광 차폐부
21a: 차광 커버

Claims (11)

  1.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좌우 방향으로 개폐하는 도어 패널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全開) 위치에 있는 것 및 전폐(全閉)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1개의 위치 스위치와,
    상기 위치 스위치에 마련되어 제1 광을 투광하는 제1 투광기와,
    상기 위치 스위치의 상기 제1 투광기와 대향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광을 수광하는 제1 수광기와,
    상기 위치 스위치에 마련되어 제2 광을 투광하는 제2 투광기와,
    상기 위치 스위치의 상기 제2 투광기와 대향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광을 수광하는 제2 수광기와,
    상기 도어 패널에 마련된 제1 차폐판 및 제2 차폐판과,
    상기 위치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수광기 및 상기 제2 수광기의 수광 상태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및 전폐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해서 상기 도어 패널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차폐판은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 중 1이상의 소정 광을 차광하고,
    상기 제2 차폐판은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다른 쪽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 중, 상기 제1 차폐판이 차광하는 상기 소정 광과는 다른 1이상의 소정 광을 차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기 및 상기 제2 투광기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고,
    상기 제1 차폐판 및 상기 제2 차폐판 중 한쪽 차폐판의 상하 방향 치수는 다른 쪽 차폐판의 상하 방향 치수보다 길고,
    상기 한쪽 차폐판은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 양쪽 모두를 차광하고,
    상기 다른 쪽 차폐판은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다른 쪽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 중 어느 한쪽을 차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기 및 상기 제2 투광기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고,
    상기 제1 차폐판 및 상기 제2 차폐판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차폐판은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 중 어느 한쪽만의 광을 차광하고,
    상기 제2 차폐판은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다른 쪽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 중 다른 쪽만을 차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기 및 상기 제2 투광기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고,
    상기 제1 차폐판은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 중 어느 한쪽만의 광을 차광하고,
    상기 제2 차폐판은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의 다른 쪽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 중 다른 쪽만을 차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기 및 상기 제2 투광기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고,
    상기 제1 차폐판 및 상기 제2 차폐판 중 한쪽 차폐판의 좌우 방향 치수는 다른 쪽 차폐판의 좌우 방향 치수보다 길고,
    상기 한쪽 차폐판은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 양쪽 모두를 차광하고,
    상기 다른 쪽 차폐판은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의 다른 쪽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 중 어느 한쪽을 차광하고,
    상기 도어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제1 수광기 및 상기 제2 수광기가 수광하고 있지 않는 상태가 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패널이 전개 위치 또는 전폐 위치 중 상기 한쪽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스위치는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コ자형을 나타내고, 상기 출입구의 상방에 마련된 빔(beam)에, 상기 거의 コ자형의 한쪽 돌출부가 상기 빔측이 되도록 배치되어서 설치되고,
    상기 제1 수광기 및 상기 제2 수광기는 상기 빔으로부터 이간(離間)하는 측인 상기 거의 コ자형의 다른 쪽 돌출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스위치는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コ자형을 나타내고, 상기 출입구의 상방에 마련된 빔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투광기 및 제2 투광기 및/또는 상기 제1 수광기 및 상기 제2 수광기는 상기 거의 コ자형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후퇴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스위치의 외측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수광기 및 상기 제2 수광기의 수광 상태를 표시하는 수광 표시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스위치의 좌우 방향 양측에 마련되고, 외란광이 상기 제1 수광기 및 상기 제2 수광기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광 차폐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판 및 상기 제2 차폐판은 이러한 표면이 흑색 도료 또는 부재 혹은 광 반사율이 낮은 도료 또는 부재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서 거의 L자형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차폐판 및 상기 제2 차폐판을 상기 도어 패널에 설치하는 접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차폐판 및 상기 제2 차폐판은 상기 접합부에 의해 형성된 거의 수평면의 상면에 입설(入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KR1020127009631A 2009-11-18 2009-11-18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KR101250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9553 WO2011061822A1 (ja) 2009-11-18 2009-11-18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097A true KR20120054097A (ko) 2012-05-29
KR101250697B1 KR101250697B1 (ko) 2013-04-03

Family

ID=4405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631A KR101250697B1 (ko) 2009-11-18 2009-11-18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02870B1 (ko)
JP (1) JP5287997B2 (ko)
KR (1) KR101250697B1 (ko)
CN (1) CN102666351B (ko)
WO (1) WO20110618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090A1 (ja) * 2010-12-15 2012-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6142715B2 (ja) * 2013-07-30 2017-06-07 株式会社リコー 記録媒体加熱装置、記録媒体前処理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KR101809864B1 (ko) * 2014-06-11 2017-12-1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JP6429742B2 (ja) * 2015-07-06 2018-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CN112193974A (zh) * 2019-07-08 2021-01-08 上海森尼电梯成套有限公司 轻触式带屏蔽开关和安全触板的电梯门红外保护装置
CN110697528A (zh) * 2019-09-10 2020-01-17 宁夏电通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漫反射检测轿门开关状态的检测装置及电梯及检测方法
CN112576114B (zh) * 2020-07-26 2022-06-14 宁波中车时代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地铁站台屏蔽门无源锁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8282A (ja) * 1984-04-10 1985-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扉制御装置
JP3237257B2 (ja) * 1993-01-19 2001-12-10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ドアの位置検出装置
JP2001354379A (ja) 2000-06-14 2001-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の出入口開閉装置
JP4640883B2 (ja) * 2000-08-09 2011-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戸の制御装置
JP2003040563A (ja) 2001-07-30 2003-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ドアの位置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2870B1 (en) 2016-03-30
WO2011061822A1 (ja) 2011-05-26
EP2502870A4 (en) 2014-12-24
EP2502870A1 (en) 2012-09-26
CN102666351B (zh) 2014-04-30
CN102666351A (zh) 2012-09-12
JPWO2011061822A1 (ja) 2013-04-04
KR101250697B1 (ko) 2013-04-03
JP5287997B2 (ja)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697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EP2080725B1 (en) Elevator system
EP1762531B1 (en) Safety system for elevator doors
JP611771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80986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KR10144988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JP5474067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2009096580A (ja) エレベーターの点検装置
WO2014136200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かご位置検出方法
JP2011037580A (ja) エレベータの着床検出装置
JP2014108833A (ja) 乗客コンベヤ
JP2012066901A (ja) エレベータ着床装置
JP4252323B2 (ja) エレベータの着床検出装置
JP568390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123890B2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JP4786329B2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引込まれ防止装置
JP5522916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安全装置
JP201319386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2012148880A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の空転検出装置
JP5055969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5016919A (ja) エレベータ着床装置の設置位置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