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468A -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468A
KR20120053468A KR1020110118914A KR20110118914A KR20120053468A KR 20120053468 A KR20120053468 A KR 20120053468A KR 1020110118914 A KR1020110118914 A KR 1020110118914A KR 20110118914 A KR20110118914 A KR 20110118914A KR 20120053468 A KR20120053468 A KR 20120053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workpiece
powder
weight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9059B1 (ko
Inventor
손순랑
정대하
Original Assignee
손순랑
정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순랑, 정대하 filed Critical 손순랑
Publication of KR20120053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5Agglomeration or granulation by extrusion or by pressing, e.g. through small holes, through sieves or between surf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한 식물 및 세척하고 냉동한 후 해동한 식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열을 가하여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분을 제거한 식물을 8 내지 12 mm 직경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이를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과 질긴 섬유질을 1차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이물질과 질긴 섬유질을 1차 제거한 식물을 5 내지 8 mm 직경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이를 통과하지 못한 질긴 섬유질을 2차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질긴 섬유질을 2차 제거한 식물을 0.5 내지 5mm 직경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이를 통과하지 못 한 질긴 섬유질을 3차 제거한 후, 0.5 내지 5mm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0.5 내지 5mm로 분쇄한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60 내지 8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분을 제거한 식물에, 상기 식물과 동종 또는 타종(他種)인 식물의 0.5 내지 5 mm의 건조 분쇄물 및 30 nm 내지 300 ㎛의 분말 중 하나 이상을 부가하여 전체 중량 대비 수분 함량이 16 내지 26 중량%인 식물 반죽으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가공한 식물 반죽에 압력을 가하여 쌀알, 펠렛, 과립, 편(片) 및 1 내지 10mm 직경의 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Method for processed pla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쇄란 입자를 부수어 작게 하는 과정을 통칭한다. 고체를 분쇄하는 경우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건조, 추출, 용해 능력이 향상되고, 나아가 그에 포함된 유효 성분의 추출, 혼합, 가공이 용이하게 되므로, 이의 흡수 및 효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분쇄하고자 하는 물질에 대해 분쇄 전 어떠한 처리 과정을 수행하느냐에 따라 분쇄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043902호(1991.08.28. 등록) 명세서
본 발명은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식물 가공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세척한 식물 및 세척하고 냉동한 후 해동한 식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열을 가하여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분을 제거한 식물을 8 내지 12 mm 직경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이를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과 질긴 섬유질을 1차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이물질과 질긴 섬유질을 1차 제거한 식물을 5 내지 8 mm 직경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이를 통과하지 못한 질긴 섬유질을 2차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질긴 섬유질을 2차 제거한 식물을 0.5 내지 5mm 직경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이를 통과하지 못 한 질긴 섬유질을 3차 제거한 후, 0.5 내지 5mm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0.5 내지 5mm로 분쇄한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60 내지 8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분을 제거한 식물에, 상기 식물과 동종 또는 타종(他種)인 식물의 0.5 내지 5 mm의 건조 분쇄물 및 30 nm 내지 300 ㎛의 분말 중 하나 이상을 부가하여 전체 중량 대비 수분 함량이 16 내지 26 중량%인 식물 반죽으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가공한 식물 반죽에 압력을 가하여 쌀알, 펠렛, 과립, 편(片) 및 1 내지 10mm 직경의 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상기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 가공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상기 제조된 식물 가공물을 이용한 밥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식물을 분말로 건조 가공하기 위해 종전에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열 건조장, 냉동하여 건조하는 냉동 건조장 등에 소요되는 수억 이상의 설비 투자 비용 및 설비 이용에 따른 운영 비용이 필요하였다. 또한 종전에는 건조된 식물의 잎은 잎 중심에서 잎자루로 이어지는 질긴 섬유질을 포함하므로 이를 분쇄하기 위한 고가의 분쇄 설비 역시 필요하였다. 그리고 질긴 섬유질을 제거하기 위해 반복 분쇄하는 것은 생산성 저하를 불러왔다. 하지만 본 제조 방법에서는 건조 전의 식물의 섬유질이 질긴 섬유질로 되기 전에 습식 분쇄를 하여 분쇄 가공이 용이하다.
종전에는 농작물의 일부만을 식용으로 가공하고 가공이 어려운 나머지 농작물은 폐기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은 보편화 된 비교적 저가의 일반 장비를 사용하여 종전의 가공 방법으로는 가공이 어려운 질긴 섬유질이 많은 자생 식물, 질긴 섬유질이 형성되어 식용이 어려운 잉여 농작물, 넝쿨 식물 등의 뿌리, 줄기, 잎, 열매 등 식물 전체를 질긴 섬유질이 제거된 상태로 가공할 수 있으므로 식물 전체의 영양분을 모두 포함하는 식물 가공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건조 설비 및 분쇄 설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시설 투자 비용 감소를 통한 원가 절감 및 건조 시간 단축을 통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식물 원형에서 분말 가공까지가 하나의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효율적이다.
또한 종전의 건조 방법은 식물의 종류 또는 식물의 각 부위에 따라 무게, 부피, 수분 함량 차이가 크므로 균질한 건조가 어려웠다. 예를 들어, 배추의 잎과 잎자루의 수분 함량은 10배 이상 차이가 있는데, 수분이 제일 많은 부분이 건조되어야 건조가 완성되므로 에너지의 소모가 많고 오랜 건조 시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균질한 정도의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은 식물을 분쇄하여 식물 반죽으로 가공한 후 무게, 부피 및 수분 함량이 균질한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건조하므로 신속한 균질 건조가 가능하여 건조 품질은 높이면서도 건조 시간 및 에너지 소모는 낮출 수 있다. 또한 질긴 섬유질이 제거되어 균질한 분쇄가 이루어지기 쉬우므로 대량 분쇄가 용이하다.
더불어 종전에는 냉해를 입은 식물이나 냉동 후 해동한 식물의 부드러운 잎은 장시간의 건조 과정 중에 배출되는 식물즙에 의해 변질이 가속화되어 이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은 냉해를 입은 식물과 냉동 후 해동한 식물을 해동과 동시에 분쇄한 후 잉여 수분을 조절하고 단시간에 가공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을 통해 냉동 저장한 식물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계절 내내 식물 가공물 생산이 가능하며, 나아가 과잉 생산된 농산물을 냉동 보관한 후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식물 가공물 수급 조절이 용이해진다. 또한, 종전에는 질긴 섬유질이 많이 포함되어 식용이 어렵다는 이유로 버려지던 자생 식물과 잉여 농작물 등을 섬유질 및 풍부한 영양분을 가지는 식물 가공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낮은 비용으로 대량 제조할 수 있으므로 섬유질 섭취가 부족한 현대인의 건강 증진과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종전에는 식물을 0.5 내지 5mm 크기로 분쇄 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에서는 식물을 먼저 0.5 내지 5mm 구멍에 통과시켜 습식 분쇄를 하므로 분쇄열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0.5 내지 5mm 크기로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고, 분쇄 과정에서 질긴 섬유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므로 질긴 섬유질이 포함되어 있어 가공이 어려웠던 갈대, 줄풀 등 많은 자생 식물도 우수한 식물 가공물로 재탄생시킬 수 있다. 또한 농작물 수확 후 버려지는 고구마, 고추, 오이, 수박, 호박 등의 잎과 줄기, 낙과된 과일, 과잉 생산되어 폐기되는 배추, 무 등과 같은 잉여 농작물도 습식 분쇄하여 냉동 보관한 후 필요할 때 활용 가능하므로 이들의 경제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종전에는 섬유질을 포함하는 식물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식물을 건조 및 분쇄하고 분쇄 후에도 제거되지 않는 질긴 섬유질은 채망으로 여과하는 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0043902호 등) 또는 고가의 분쇄기로 여러 번 반복 분쇄하는 방법으로 질긴 섬유질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상기 두 방법들은 분말의 입자가 균질하지 않고 수율이 낮으며 대량 생산이 어렵거나 높은 비용을 요구하여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곤란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건조 식물을 분쇄하여, 질긴 섬유질을 함께 가공하는 과정 및 고가의 분쇄기에 의한 반복 분쇄 과정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질긴 섬유질이 제거된 식물 가공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질긴 섬유질”은 식물을 8 내지 12mm, 구체적으로 5 내지 8mm, 더 구체적으로 0.5 내지 5mm 구멍에 통과시킬 때 분쇄되지 않아 통과하지 못 하는 섬유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습식 분쇄"는 물 또는 기타 액체에서 분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반죽"은 고체와 액체가 혼합된 제형이되 고체의 비율이 보다 높아 쉽게 형상화가 가능한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의 세척한 식물 및 세척하고 냉동한 후 해동한 식물에서 식물은, 고구마, 배추, 사탕무, 무, 감자, 줄풀, 대, 갈대, 수수, 사탕수수, 산죽, 옥수수, 밀, 보리, 스테비아, 우뭇가사리, 곤약, 메론, 참외, 여주, 야콘, 수박, 울금, 당근, 토란, 오이, 호박, 연, 마, 박, 수세미, 오미자, 복분자, 미역, 다시마, 김, 모자반, 파래, 인삼, 브로커리, 고추, 파프리카, 피망, 우엉, 케일, 신선초, 백련초, 갓, 방아, 시금치, 양배추, 부추, 양파, 파, 미나리, 상추, 콩, 삼백초, 어성초, 셀러리, 딸기, 토마토, 배, 바나나, 모과, 귤, 감, 유자, 바나바(大花紫薇), 사과, 구기자, 지초, 로즈마리, 페퍼민트, 바질, 포도, 블루베리, 체리 및 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상기 식물은 식물의 모든 부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식물은 식물의 잎, 잎자루, 줄기, 뿌리, 열매, 꽃 및 씨앗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간편하게 질긴 섬유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전에는 이용이 어렵고 폐기물로 여겨지던 질긴 섬유질이 형성된 식물의 잎과 잎자루, 줄기 등의 식물 부위 및 건조 후 질긴 섬유질이 형성되어 가공이 어려운 배추, 무 등의 잎, 잎자루 또는 줄기 또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에서,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 이전에, 세척한 식물 및 세척하고 냉동한 후 해동한 식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3 내지 10 cm로 분쇄 또는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에서,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는, 분쇄 또는 절단한 식물에 열을 가하여 식물의 수분을 수증기 형태로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 제거 단계는 분쇄 또는 절단한 식물을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2 내지 10분 동안 10 내지 30 m 길이의 적외선과 열에 의한 고온의 박스 터널을 통과하게 하여 식물 내 수분을 수증기로 만들고 이를 박스 터널 외부로 배출하여 식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 또는 박스형 건조기에서 증숙으로 식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에서,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60 내지 8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는, 0.5 내지 5mm로 분쇄한 식물을 탈수하여 식물즙과 식물 고형물로 분리한 다음, 식물즙에 열을 가하거나 발효시켜 농축한 후 다시 식물 고형물과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에서,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60 내지 8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는, 0.5 내지 5mm로 분쇄한 식물을 탈수하여 식물즙과 식물 고형물로 분리하는 과정; 분리한 식물즙에 식물즙 중량 대비 0.3 내지 3 중량%의 소금, 식초 및 목초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과정; 혼합한 식물즙을 1 내지 7℃에서 6 내지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분리되는 상청액을 제거하는 과정; 상청액을 제거한 침전물에 열을 가하여 침전물을 응고시키는 과정; 응고시킨 침전물에서 액체와 고형물을 분리하는 과정; 및 액체와 분리한 고형물을 탈수한 후, 이를 상기에서 식물즙과 분리한 식물 고형물과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분 제거 과정을 통해, 식물을 건조하지 않고 식물을 분쇄할 때 생산될 수 있는 잉여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상청액을 제거한 침전물에 열을 가하여 침전물을 익혀 응고시킴으로써 이의 탈수가 용이해진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식물의 종류와 수분 함량, 가공 목적에 따라 당업자는 상기의 수분 제거 과정 중 적절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의 수분 함량이 16 내지 26 중량%인 식물 반죽으로 가공하는 단계에서, 타종의 식물은 곡물, 스테비아, 사탕수수, 사탕무, 무, 고구마, 우뭇가사리, 박, 파프리카, 배추, 오이, 감자, 고추, 다시마, 미역 및 곤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물은 식용으로 하는 농작물의 입상(粒狀) 열매를 총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쌀, 현미, 찹쌀, 찰현미. 검정쌀, 검정찰현미, 볶은쌀, 볶은보리, 볶은콩, 찰보리, 보리, 밀, 콩, 율무, 수수, 옥수수, 호밀, 귀리, 조 및 기장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의 수분 함량이 16 내지 26 중량%인 식물 반죽으로 가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물 반죽은 수분을 제거한 식물 및 상기 식물과 동종 또는 타종(他種)인 식물 건조 분쇄물 및 식물 분말 중 하나 이상의 색상이 혼합된 색상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노란 색상의 수분을 제거한 식물에 초록 색상의 식물 건조 분쇄물 및 식물 분말 중 하나 이상을 부가한 후 혼합하면 노란색과 초록색이 혼합된 색상의 식물 반죽을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에서 식물의 분쇄, 절단 또는 탈수는 당업계의 보편화된 장비인 압축프레스, 헴머분쇄기, 칼날분쇄기, 절단기, 초퍼(chopper)기, 착즙기, 탈수기, 압착기, 원심분리기, 맷돌분쇄기, 분쇄밀, 습식분쇄기, 분쇄기 및 나노분쇄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은 수분 함량이 16 내지 26 중량%인 식물 반죽으로 가공하는 단계 이후, 식물 반죽에 열을 가하여 익힌 식물 반죽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의 포함 여부는 식물 유형, 가공 목적 및 가공량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의 식물 반죽에 압력을 가하여 쌀알, 펠렛, 과립, 편(片) 및 1 내지 10mm 직경의 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에서, 쌀알, 펠렛, 과립, 편(片) 또는 1 내지 10mm 직경의 구는 균질한 속성 건조와 대량 분쇄가 용이한, 1개당 1g 이하의 무게를 가지고 부피 및 수분 함량이 균일한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감소된 부피, 일정한 형상 및 수분 함량을 가지는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식물 가공물 제조에 요구되는 균일하고 신속한 건조 및 대량 분쇄가 용이하여 건조 품질을 높이면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용이해져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의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에서, 건조는 적외선 건조, 열 건조, 저온 건조 및 냉동 건조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은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 이후, 식물 건조 가공물을 분쇄하여 0.5 내지 5mm 식물 건조 분쇄물 또는 30 nm 내지 300 ㎛의 식물 건조 분말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은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 이후, 건조한 식물 가공물 외부를 증숙 곡물 분말, 전분, 덱스트린, 우뭇가사리 분말, 곤약 분말, 고구마 분말, 감자 분말, 누룽지 분말, 볶은 곡물 분말, 사탕수수 분말, 사탕무 분말, 스테비아 분말 및 박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 물질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코팅 단계를 통해 식물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식물 가공물의 섭취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외형을 보다 단단하게 함으로써 식물 가공물의 보관 및 유통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은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 이후, 식물 가공물을 전자레인지, 오븐기, 증숙기 또는 열탕기에서 조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 후 건조하는 경우 팽창되거나 바삭거리는 식감의 식물 가공물로 가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은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 이후, 식물 가공물을 차광 용기, 비닐, 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캡슐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넣어 밀폐하여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가공물은 생(生) 식물 가공물에 가까우므로 실온에서 쉽게 색상이 변질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밀폐하여 보관함으로써, 그 성질을 장기간 유지하고 유통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 식물 가공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물 가공물은 0.5 내지 5mm 식물 건조 분쇄물 또는 30 nm 내지 300 ㎛의 식물 건조 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식물 가공물은 식물 전체의 영양소를 함유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고구마 잎에는 폴리페놀, 트라이카페오일키닌산(tricaffeoylquinic acid), 뿌리에는 베타 카로틴, 줄기에는 페루릭산, 잎자루에는 칼륨이 풍부하나, 잎은 점액질 때문에 식감이 좋지 않고, 줄기는 질긴 섬유질이 많아 가공이 어려우며, 잎자루는 외피 제거가 불편하고 냄새가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실제로는 덩이 뿌리만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에 의하는 경우, 잎의 점액질은 제조 과정에서 흡수되고, 줄기의 질긴 섬유질은 제거되며, 잎자루의 외피는 분쇄되고 냄새는 가공 중에 희석되므로, 고구마 뿌리, 잎, 잎자루 및 줄기를 모두 혼합하여 고구마 전체를 활용한 고구마 가공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초록색의 고구마 잎과 잎자루, 줄기에서 질긴 섬유질을 제거한 후, 단계적으로 수분을 제거하여 제조한 0.5 내지 5mm의 고구마 분쇄물에 30 nm 내지 300 ㎛의 노란색 증숙 고구마 덩이 분말을 부가하여 반죽 총 중량 대비 수분이 16 내지 26 중량%의 고구마 반죽으로 가공하고 수증기로 익힌 후 압력을 가하여 쌀알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건조함으로써 제조한, 초록색과 노란색이 혼합된 3 내지 5mm 크기인 쌀알 형상의 고구마 가공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토란 덩이 뿌리, 토란 잎 및 토란 줄기;와 찰보리, 보리 잎 및 보리 줄기 등 다른 덩이 뿌리 식물과 곡물을 이용하여 상기 고구마 가공물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식물 가공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과 쌀을 혼합하여 취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가공물을 포함하는 밥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물 가공물은 곡물 형상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식물의 섬유질이 분산되지 않아 깔끔하며 식물 섬유질이 풍부한 밥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6)

  1. 세척한 식물 및 세척하고 냉동한 후 해동한 식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열을 가하여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분을 제거한 식물을 8 내지 12 mm 직경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이를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과 질긴 섬유질을 1차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이물질과 질긴 섬유질을 1차 제거한 식물을 5 내지 8 mm 직경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이를 통과하지 못한 질긴 섬유질을 2차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질긴 섬유질을 2차 제거한 식물을 0.5 내지 5mm 직경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이를 통과하지 못 한 질긴 섬유질을 3차 제거한 후, 0.5 내지 5mm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0.5 내지 5mm로 분쇄한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60 내지 8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분을 제거한 식물에, 상기 식물과 동종 또는 타종(他種)인 식물의 0.5 내지 5 mm의 건조 분쇄물 및 30 nm 내지 300 ㎛의 분말 중 하나 이상을 부가하여 전체 중량 대비 수분 함량이 16 내지 26 중량%인 식물 반죽으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가공한 식물 반죽에 압력을 가하여 쌀알, 펠렛, 과립, 편(片) 및 1 내지 10mm 직경의 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세척한 식물 및 세척하고 냉동한 후 해동한 식물에서 식물은, 고구마, 배추, 사탕무, 무, 감자, 줄풀, 대, 갈대, 수수, 사탕수수, 산죽, 옥수수, 밀, 보리, 스테비아, 우뭇가사리, 곤약, 메론, 참외, 여주, 야콘, 수박, 울금, 당근, 토란, 오이, 호박, 연, 마, 박, 수세미, 오미자, 복분자, 미역, 다시마, 김, 모자반, 파래, 인삼, 브로커리, 고추, 파프리카, 피망, 우엉, 케일, 신선초, 백련초, 갓, 방아, 시금치, 양배추, 부추, 양파, 파, 미나리, 상추, 콩, 삼백초, 어성초, 셀러리, 딸기, 토마토, 배, 바나나, 모과, 귤, 감, 유자, 바나바(大花紫薇), 사과, 구기자, 지초, 로즈마리, 페퍼민트, 바질, 포도, 블루베리, 체리 및 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 이전에, 세척한 식물 및 세척하고 냉동한 후 해동한 식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3 내지 10 cm로 분쇄 또는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는, 분쇄 또는 절단한 식물에 열을 가하여 식물의 수분을 수증기 형태로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60 내지 8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는, 0.5 내지 5mm로 분쇄한 식물을 탈수하여 식물즙과 식물 고형물로 분리한 다음, 식물즙에 열을 가하거나 발효시켜 농축한 후 다시 식물 고형물과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의 수분 총 중량 중 60 내지 80 중량%를 제거하는 단계는,
    0.5 내지 5mm로 분쇄한 식물을 탈수하여 식물즙과 식물 고형물로 분리하는 과정;
    분리한 식물즙에 식물즙 중량 대비 0.3 내지 3 중량%의 소금, 식초 및 목초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과정;
    혼합한 식물즙을 1 내지 7℃에서 6 내지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분리되는 상청액을 제거하는 과정;
    상청액을 제거한 침전물에 열을 가하여 침전물을 응고시키는 과정;
    응고시킨 침전물에서 액체와 고형물을 분리하는 과정; 및
    액체와 분리한 고형물을 탈수한 후, 이를 상기에서 식물즙과 분리한 식물 고형물과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 함량이 16 내지 26 중량%인 식물 반죽으로 가공하는 단계에서, 타종(他種)의 식물은 곡물, 스테비아, 사탕수수, 사탕무, 무, 고구마, 우뭇가사리, 박, 파프리카, 배추, 오이, 감자, 고추, 다시마, 미역 및 곤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 함량이 16 내지 26 중량%인 식물 반죽으로 가공하는 단계에서, 식물 반죽은 수분을 제거한 식물 및 상기 식물과 동종 또는 타종(他種)인 식물 건조 분쇄물 및 식물 분말 중 하나 이상의 색상이 혼합된 색상을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 함량이 16 내지 26 중량%인 식물 반죽으로 가공하는 단계 이후, 식물 반죽에 열을 가하여 익힌 식물 반죽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에서, 성형한 쌀알, 펠렛, 과립, 편(片) 및 1 내지 10mm 직경의 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상은 1개당 1g 이하의 무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 이후, 식물 건조 가공물을 분쇄하여 0.5 내지 5mm 식물 건조 분쇄물 또는 30 nm 내지 300 ㎛의 식물 건조 분말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 이후, 건조한 식물 가공물 외부를 증숙 곡물 분말, 전분, 덱스트린, 우뭇가사리 분말, 곤약 분말, 고구마 분말, 감자 분말, 누룽지 분말, 볶은 곡물 분말, 사탕수수 분말, 사탕무 분말, 스테비아 분말 및 박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 물질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 이후, 식물 가공물을 전자레인지, 오븐기, 증숙기 또는 열탕기에서 조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하여 식물 가공물로 가공하는 단계 이후, 식물 가공물을 차광 용기, 비닐, 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캡슐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넣어 밀폐하여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가공물.
  16. 제 15 항의 식물 가공물과 쌀을 혼합하여 취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가공물을 포함하는 밥 제조 방법.
KR1020110118914A 2010-11-17 2011-11-15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KR101349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4266 2010-11-17
KR1020100114266 2010-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468A true KR20120053468A (ko) 2012-05-25
KR101349059B1 KR101349059B1 (ko) 2014-01-09

Family

ID=4626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914A KR101349059B1 (ko) 2010-11-17 2011-11-15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0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8969A (zh) * 2013-11-14 2014-02-05 于复生 一种山药芋头玉米煎饼及其制作方法
KR101496345B1 (ko) * 2012-11-08 2015-02-27 주식회사 양원농장농업회사법인 울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울금 혼합 음료
WO2020101112A1 (ko) * 2018-11-12 2020-05-22 김동철 시리얼 제조방법
KR102469547B1 (ko) * 2022-05-13 2022-11-22 이갑수 무를 가공하여 풍부한 섬유질 및 식감을 갖는 래디쉬 미트를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670A (ko) 2014-09-02 2016-03-10 서상완 한약재 조립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한약재 조립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098A (ko) * 1995-07-04 1997-02-19 남인섭 솔잎의 분말과 즙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JPH09248126A (ja) * 1996-03-12 1997-09-22 Asupuro Kk 野菜粉末の製造方法
JP4249976B2 (ja) 2002-11-22 2009-04-08 キッセイ薬品工業株式会社 そば粉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KR20100028185A (ko) * 2008-09-04 2010-03-12 김현수 인스턴트 글루코만난 과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345B1 (ko) * 2012-11-08 2015-02-27 주식회사 양원농장농업회사법인 울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울금 혼합 음료
CN103548969A (zh) * 2013-11-14 2014-02-05 于复生 一种山药芋头玉米煎饼及其制作方法
WO2020101112A1 (ko) * 2018-11-12 2020-05-22 김동철 시리얼 제조방법
KR102469547B1 (ko) * 2022-05-13 2022-11-22 이갑수 무를 가공하여 풍부한 섬유질 및 식감을 갖는 래디쉬 미트를 제조하는 방법
US11980208B2 (en) 2022-05-13 2024-05-14 Gap Su Lee Method for manufacturing radish meat with rich fiber and texture by processing radi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059B1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314B1 (ko)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KR101349059B1 (ko) 식물 가공물 제조 방법
CN104286729A (zh) 一种复合发芽蛋白营养粉及其制备方法
CN103431340A (zh) 全营养土豆米及其制备方法
CN105077066A (zh) 一种叶菜类蔬菜粉的制备方法
CN104082660A (zh) 一种薯类全粉的加工方法
CN104335811B (zh) 一种紫甘薯的栽培方法及加工紫甘薯全粉的方法
Barzee et al. Carrots
KR20060096394A (ko) 생식물을 이용한 녹즙생식환의 제조방법
CN106107668A (zh) 一种保健蔬菜粉及其制作方法
Tarwaca et al. Effect of various dry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umpkin powder
KR20170061907A (ko) 소금 또는 설탕장 제조 방법
CN112515100A (zh) 一种方便冲泡五谷干果代餐粥(粉)及其制备方法
CN100521966C (zh) 一种绿色果蔬营养米
Onyekwere et al. Industrialization of gari fermentation
KR102274917B1 (ko) 일반 무화과, 미숙과 그리고 저가 무화과를 이용한 품질향상 건조 무화과 및 분말 제조방법
KR100657865B1 (ko) 생식물을 이용한 녹즙생식환의 제조방법
Pruthi Advances in post-harvest processing technologies of Capsicum
CN103689065A (zh) 一种脱水洋葱的制备方法
KR102022677B1 (ko) 천연 저염소스의 제조 방법
CN104855876A (zh) 非油炸甘薯脆片及其加工方法
CN105192606A (zh) 一种叶用枸杞芽菜含片的制备方法
KR101774974B1 (ko) 증포된 발효홍무를 이용한 다선가락채의 제조방법
CN108552418A (zh) 一种干芦笋饲料及其加工方法
CN103749652A (zh) 一种成人日包装专用冻干蔬果及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