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032A - 드럼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032A
KR20120037032A KR1020127005202A KR20127005202A KR20120037032A KR 20120037032 A KR20120037032 A KR 20120037032A KR 1020127005202 A KR1020127005202 A KR 1020127005202A KR 20127005202 A KR20127005202 A KR 20127005202A KR 20120037032 A KR20120037032 A KR 20120037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ter
waterproof
washing machin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238B1 (ko
Inventor
유지 다카이
사토루 니시와키
요시미 니시무라
쇼고 이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93046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93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104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27967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20037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8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pum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실시형태의 드럼식 세탁기는 외부상자와, 외부상자 내에 중심축이 후방을 향하여 하강하는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탄성 지지되고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수조와, 수조 내에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둘레벽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 드럼과, 수조의 배면의 외측에 설치되고 드럼을 정회전방향 및 역회전방향으로 구동하는 세탁기 모터와, 드럼의 내주부에 설치되고 축선을 따르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플과, 수조의 배면측의 저부에 형성된 취수구부와, 수조의 전방면측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방수구부와, 취수구부와 제1 및 제2 방수구부를 연결하는 순환경로와, 순환경로 중에 설치되고 수조의 취수구부로부터 취출된 물을 제1 및 제2 방수구부로부터 드럼 내로 방출시키는 순환펌프와, 세탁기 모터 및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수조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경로를 구비한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식 세탁기는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수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조는 외부상자 내에 그 중심축이 후방을 향하여 하강하는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다. 수조 내에는 세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드럼의 내주부에는 세탁물을 밀어 올리기 위한 복수개의 배플이 설치되어 있다. 배플은 예를 들어, 수조의 전후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탁 운전의 세탁행정시에서 수조 내에는 세제를 녹인 세탁수가 저장된다. 드럼이 회전되면 세탁수를 포함한 세탁물인 의류는 배플에 의해 밀어 올려졌다가 낙하한다. 이에 의해, 의류의 두드림 세탁이 실시된다.
이와 같은 배플을 갖는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의류를 배플로부터 낙하시키기 전에, 세제를 녹인 세탁수를 의류에 충분히 침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순환펌프를 갖는 순환경로를 설치하고, 수조의 저부로부터 세탁수를 취출하여 수조의 상부로부터 드럼 내로 방출하는 구성이 연구되고 있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의류가 드럼의 저부에 있는 상태에서의 세탁수의 자연 침투 이외에, 순환 경로로부터 드럼 내로의 세탁수의 살수(散水)에 의한 강제 침투를 도모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1139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15891호
종래 구성에서는 수조는 외부상자 내에 그 중심축이 후방을 향하여 하강하는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세탁수는 수조의 배면측의 코너부에 고이기 쉬워지고, 적은 세탁수량으로 수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드럼은 수조 내에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배플도 배면측을 향하여 하강하도록 기울어진 상태가 되고, 드럼의 회전에 따라 밀어 올려진 의류가 배면측으로 이동하여 드럼 내의 배면측에 편재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순환경로에 의해 세탁수를 단순히 수조의 상부로부터 드럼 내로 살수하는 것만으로는 세탁수를 의류 전체에 균등하게 침투시키기 곤란했다. 그 때문에, 세탁물의 두드림 세탁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고, 세탁 동작의 효율이 나빠진다. 이것은 헹굼 동작시에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또한, 종래 구성에서는 외부에 부착된 순환경로로부터 수조의 상부 내에 방출되는 물을, 수조의 의류의 출입구부에 부착된 편향판에 반사시켜 드럼 내에 분사한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순환경로의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순환경로의 설치도 번거롭다. 또한, 이와 같이 편향판이 수조의 출입구부에 부착되는 구성에서는 그 편향판이 수조의 출입구부의 내방으로 돌출된다. 그 때문에, 편향판이 의류의 출입에 방해가 된다. 또한, 편향판을 부착하기 위해 다수의 부품이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해진다.
그래서, 순환경로에 의해 세탁수를 세탁물 전체에 균등하게 침투시킬 수 있고 세탁물의 충분한 두드림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세탁 동작 및 헹굼 동작을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순환 경로에 의해 세탁수를 드럼 내에 방수(放水)하는 구성에서, 세탁물의 출입에 방해가 되지 않고 부품수가 적으며 구조가 간단한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드럼식 세탁기는 외부상자, 수조, 드럼, 세탁기 모터, 배플, 취수구부, 제1 방수구부 및 제2 방수구부, 순환경로, 순환펌프 및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수조는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외부상자 내에 그 중심축이 후방을 향하여 하강하는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다. 드럼은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수조 내에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벽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다. 세탁기 모터는 수조의 배면의 외측에 설치되고, 드럼을 정회전방향 및 역회전방향으로 구동한다. 배플은 드럼의 내주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선을 따르도록 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취수구부는 수조의 배면측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방수구부 및 제2 방수구부는 각각 수조의 전방면측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순환경로는 취수구부와 제1 방수구부 및 제2 방수구부를 연결한다. 순환펌프는 순환경로 중에 설치되고, 수조의 취수구부로부터 취출된 물을 제1 방수구부 및 제2 방수구부로부터 드럼 내로 방출시킨다. 제어수단은 세탁기 모터 및 순환펌프를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드럼식 세탁기는 외부상자, 수조, 수조커버, 드럼, 방수기구부, 순환경로, 순환펌프를 구비한다.
수조는 외부상자 내에 탄성 지지되고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저부에 취수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조 커버는 수조의 전방면측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있다. 드럼은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둘레벽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다. 방수기구부는 수조 커버의 배면측에 주수 커버를 용착시켜 구성되고, 수로 및 상기 수로와 연통하여 상측으로부터 드럼 내로 향하는 노즐부를 갖는다. 순환경로는 수조의 취수구부와 방수기구부의 수로를 연결한다. 순환펌프는 순환경로 중에 설치되고, 수조의 취수구부로부터 취출된 물을 방수기구부의 노즐부로부터 드럼 내로 분사시킨다. 그리고, 방수기구부는 수조 커버 및 주수 커버 쌍방에 의해 수로가 형성되고, 수조 커버 및 주수 커버 일방 또는 쌍방에 의해 노즐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드럼식 세탁기 전체의 종단측면도,
도 2는 드럼식 세탁기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드럼의 일부분을 전개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수조 커버 부분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5-5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의 6-6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도 4의 7-7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8은 도 4의 8-8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9는 도 4의 화살표 E방향으로 본 제1 방수구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4의 화살표 F방향으로 본 제2 방수구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작용 설명을 위해 드럼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도 13은 작용 설명을 위해 드럼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작용 설명을 위한 타임차트(타임차트 1),
도 15는 작용 설명을 위한 타임차트(타임차트 2),
도 16은 작용 설명을 위한 타임차트(타임차트 3),
도 17은 작용 설명을 위한 플로우차트,
도 18은 의류량과 세탁수의 침투율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펌프모터의 전류특성도,
도 20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21은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타임차트,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 드럼식 세탁기 전체의 종단측면도,
도 23은 드럼식 세탁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수조의 전방측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측면도,
도 25는 드럼을 수용한 수조의 정면도,
도 26은 방수기구부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배면도,
도 27은 수조 커버의 배면도,
도 28a는 주수 커버의 배면도,
도 28b는 주수 커버의 정면도,
도 29는 도 27의 29-29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0은 도 29의 부호 X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
도 31은 도 27의 31-31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2는 도 31에 부호 Y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
도 33은 도 27의 33-33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29 상당도, 및
도 35는 도 31 상당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에 의한 드럼식 세탁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는 드럼식 세탁기의 전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드럼식 세탁기의 외부상자(1)는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제의 받침판(基臺)(1A)과, 상기 받침판(1A)에 결합된 상자 본체(1B)로 구성되어 있다. 상자 본체(1B)의 전방면부(도 1에서 좌측)의 거의 중앙부에는 세탁물 출입구부(2)가 형성되어 있다. 문(3)은 이중 유리 구조이고, 세탁물 출입구부(2)를 개폐한다. 상자 본체(1B)의 전방면부의 상부에는 조작 패널(4)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4)의 이면측(외부상자(1) 내)에는 제어수단인 제어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상자(1) 내에는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수조(6)가 설치되어 있다. 수조(6)는 외부상자(1) 내에, 그 중심축이 후방(도 1에서 우측)을 향하여 하강하는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서스펜션(7)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다.
수조(6)의 배면의 외측에는 세탁기 모터(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탁기 모터(8)는 예를 들어 직류의 브러시리스모터로 이루어진 것으로 아우터로터형이고, 스테이터(8A) 및 로터(8B)를 포함하고 있다. 스테이터(8A)는 수조(6)의 배면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로터(8B)의 중심부의 회전축(8C)은 베어링 브래킷(9)에 베어링(10)을 통하여 지지되어 수조(6)의 내부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수조(6) 내에는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드럼(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11)은 배면의 외측의 중심부가 세탁기 모터(8)의 회전축(8C)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드럼(11)은 수조(6)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기 모터(8)에 의해 정회전방향 및 역회전방향으로 구동된다. 이 경우, 세탁기 모터(8)는 드럼(11)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로서 기능한다.
드럼(11)의 둘레벽(몸체부)에는 다수의 구멍(12)이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구멍(12)은 드럼(11)의 전후의 중앙보다도 전방면측의 반부분(전반부), 즉 드럼(11)의 전후의 중심보다 전방의 영역에 형성된 구멍(12A)의 수가, 드럼의 중앙보다도 배면측의 반부분(후반부), 즉 드럼(11)의 전후의 중심보다도 후방의 영역에 형성된 구멍(12B)의 수보다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드럼(11)의 내주부에는 세탁물 밀어 올림용도의 복수(예를 들어, 3개)의 배플(13)이 드럼(1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플(13)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드럼(11) 및 수조(6)는 모두 전방면측이 개구되어 있다. 드럼(11)의 전방면측의 개구부(14)의 주위부의 내측에는 예를 들어 액체 봉입형 회전 밸런서(15)가 설치되어 있다. 수조(6)의 전방면측의 개구부에는 수조 커버(16)가 장착되어 있다. 수조 커버(16)의 선단부의 개구부(16a)는 환형상의 탄성재(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진 벨로우즈(17)에 의해 세탁물 출입구부(2)에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세탁물 출입구부(2)는 벨로우즈(17), 수조 커버(16) 및 드럼(11)의 개구부(14)를 통하여 드럼(11)의 내부에 연결되어 있다.
수조(6)의 배면측의 저부에는 취수구부로서 겸용되는 배수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부(18)에는 기내배수호스(19)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내배수호스(19)의 타단부는 외부상자(1)의 받침판(1A)의 전방부에 설치된 필터 케이스(20)의 기내배수호스 접속구부(21)에 접속되어 있다.
필터 케이스(20)는 상부에 기내배수호스 접속구부(21)가 형성되고, 전단부에 캡(22)이 장착되어 있다. 필터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캡(22)과 일체의 린트필터(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필터 케이스(20)의 하부에는 배수 밸브(23)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수 밸브(23)의 출구부에는 배수 파이프(24)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 파이프(24)의 선단부는 외부상자(1)의 받침판(1A)으로부터 기외를 향하고, 도시하지 않은 기외배수호스에 접속된다.
한편, 필터 케이스(20)의 후단부에는 순환펌프(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순환펌프(25)는 수조(6)(드럼(11)) 내의 물을 배수구부(18), 기내배수호스(19) 및 필터 케이스(20)를 통하여 흡인한다. 도 11에 도시한 펌프 모터(25a)를 갖는 순환펌프(25)는 그 둘레측부(도면에서는 상부)에 토출구부(26)를 갖는다. 상기 토출구부(26)에는 송수 호스(27)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송수 호스(27)는 그 중간부가 수조 커버(16)의 둘레측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선단부가 수조 커버(16)에 형성된 방수기구부(28)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방수기구부(2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럼(11)의 내부에 살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배수구부(18)와 방수기구부(28)를 연결하도록 하여 순환경로(30)가 형성된다. 즉, 순환경로(30)는 수조(6), 드럼(11), 배수구부(18), 기내배수호스(19), 필터 케이스(20), 송수 호스(27) 및 방수기구부(28)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순환펌프(25)는 순환경로(30) 중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순환펌프(25)가 구동되면, 수조(6)의 배수구부(18)로부터 취출된 물을 방수기구부(28)로부터 드럼(11) 내를 향하여 샤워 형상으로 방출(분사)한다.
필터 케이스(20)의 전방부의 상부에는 에어트랩(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트랩(31)과 외부상자(1) 내의 최상부에 설치된 수위센서(32)는 에어튜브(3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수위센서(32)는 수조(6) 내의 수위를, 기내배수호스(19), 필터 케이스(20), 에어트랩(31) 및 에어튜브(33)를 통하여 검출하는 수위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외부상자(1) 내의 최상부에는 급수 밸브(34) 및 급수 케이스(35)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밸브(34)의 입구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도꼭지에 접속된 기외급수호스(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급수 밸브(34)의 출구부에는 접속 파이프(36)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접속 파이프(36)의 타단부는 급수 케이스(35)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 케이스(35)는 내부에 세제 저류부(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상기 급수 케이스(35)에는 기내급수호스(37)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내급수호스(37)의 타단부는 수조(6)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수도로부터 급수밸브(34)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접속 파이프(36), 급수 케이스(35)의 세제저류부 및 기내급수호스(37)를 통하여 수조(6) 내에 공급된다. 또한, 급수 밸브(34)와 급수 케이스(35)는 수조(6) 내에 급수하는 급수 장치(38)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배플(13)은 수조(6)의 축선을 따르도록 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드럼(11)의 회전 중심축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배플(13)은 그 둘레방향의 양측면부(13A, 13B)가 중앙 능선부(13C)를 향하여 높아지는 산맥형상을 이루고 있다. 중앙 능선부(13C)에는 복수의 구멍(1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측면부(13A)를, 드럼식 세탁기를 정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측(예를 들어, 도 2 및 도 3 중의 화살표 A방향)의 측면부로 한다. 또한, 측면부(13B)를, 드럼식 세탁기를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측(예를 들어, 도 2 및 도 3 중 화살표 B방향)의 측면부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플(13)의 중앙 능선부(13C)는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정현파와 같이 만곡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능선부(13C)는, 그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는 3개의 영역으로 나눈 경우, 제1 돌출부(13Ca), 제2 돌출부(13Cb) 및 제3 돌출부(13Cc)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13Ca)는 수조(6)의 축선을 따른 선(L)(도 3 참조)에 대해서 둘레방향의 일방측(이 경우, 드럼식 세탁기를 정면에서 보아 화살표 A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드럼(11)의 전방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돌출부(13Cb)는 축선을 따른 선(L)에 대해서 둘레방향의 타방측(이 경우, 드럼식 세탁기를 정면에서 보아 화살표 B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드럼(11)의 배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3 돌출부(13Cc)는 제1 돌출부(13Ca)와 제2 돌출부(13C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3Ca)와 제3 돌출부(13Cc)는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돌출부(13Cb)와 제3 돌출부(13Cc)도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13Ca)와 제3 돌출부(13Cc)에 의해 제1 오목부(13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돌출부(13Cb)와 제3 돌출부(13Cc)에 의해 제1 오목부(13E)와는 반대 방향의 제2 오목부(13F)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오목부(13E)는 도 1에서 하측(반시계 방향측)이 개방되도록 구부러지고, 제2 오목부(13F)는 도 1에서 상측(시계 방향측)이 개방되도록 만곡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6)의 배면측의 상부에는 그 수조(6) 내에 연통하는 에어트랩(3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트랩(39)과 외부상자(1)내의 최상부에 설치된 거품센서(40)는 에어튜브(4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거품센서(40)는 압력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수조(6) 내에 발생한 거품이 에어트랩(39)에 도달하고, 그 거품이 드럼(11)의 회전에 따라 신축하여 에어트랩(39) 내의 압력이 변화된다. 거품센서(40)는 그 압력변화를 검출함으로써 거품의 발생량을 검출한다.
다음에, 방수기구부(28)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10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방수기구부(28)는, 도 1,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 커버(16)의 내면부의 거의 상부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42)와, 이들 돌출부(42)의 선단부에 장착(용착)되어 수로(43)를 형성하는 폐색판(44)을 구비하고 있다. 수조 커버(16)의 도 2에서의 좌방부위(도 4에서는 우방부위)에는 수로(43)에 연통하는 연결구부(45)(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부(45)에는 송수호스(27)가 연결되어 있다. 수조 커버(16)의 연결구부(45)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폐색판(44)과 함께 제1 방수구부(46)(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방수구부(46)는 드럼(11) 내를 향하는 확산판부(46a)를 갖는다. 수조 커버(16)의 제1 방수구부(46)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위(도 2에서는 우방부위, 도 4에서는 좌방부위)에는 폐색판(44)과 함께 제2 방수구부(47)(도 8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방수구부(47)는 드럼(11) 내를 향하는 확산판부(47a)를 갖는다. 이 경우, 제1 방수구부(46) 및 제2 방수구부(47)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방수구부(46)에 의한 방수경로(Pa)의 물 낙하지점이 드럼(11) 내의 전방면측이 되고, 제2 방수구부(47)에 의한 방수경로(Pb)의 물 낙하지점이 제1 방수구부(46)의 물 낙하지점보다도 배면측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방수구부(46) 및 제2 방수구부(47)는 제1 방수구부(46)의 개구보다 제2 방수구부(47)의 개구쪽이 크고, 제2 방수구부(47)의 방출유량이 제1 방수구부(46)의 방출유량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방수구부(47)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3)의 후면 유리(3a)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통수구멍(47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방수구부(47)의 통수구멍(47b)으로부터의 분사수에 의해 문(3)의 후면 유리(3a)에 부착된 거품이 씻겨내려간다.
도 11에는 상기 드럼식 세탁기의 전기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장치(5)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고, 드럼식 세탁기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장치(5)에는, 조작 패널(4)(도 1 참조)에 설치된 각종 키(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부(48)로부터의 각종 조작신호, 수위센서(32)로부터의 수위검출신호, 거품센서(40)로부터의 거품검출신호, 세탁기 모터(8)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센서(49)로부터의 속도검출신호, 펌프모터(25a)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센서(50)로부터의 속도검출신호, 펌프모터(25a)의 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51)로부터의 전류검출신호 등이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장치(5)는 상기 각종 입력신호 및 미리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급수밸브(34), 배수밸브(23), 세탁기 모터(8), 펌프모터(25a)를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장치(5)는 인버터에 의한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의해 세탁기 모터(8)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장치(5)는 조작패널(4)에 설치된 예를 들어, 액정패널 등으로 이루어진 표시부(52)에, 후술하는 세탁물의 중량검출에 따른 세제사용량을 표시한다. 그 밖에, 제어장치(5)는 설정된 운전코스, 운전의 잔여시간, 예약시각, 현재시각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부(52)에 표시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실시간, 및 도 17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 패널(4)을 조작하여 통상의 운전코스(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의 각 행정을 실시하는 코스)를 선택하고, 조작패널(4)의 조작부(48)의 개시 키를 조작하면, 제어장치(5)는 세탁운전의 동작을 개시(스타트)한다. 제어장치(5)는 조작부(4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우선 세탁물(의류)의 중량을 검출한다(도 17의 처리 단계(S1)). 세탁물 중량의 검출은 드럼(11)의 회전속도가 소정의 회전속도로 상승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과, 그 후 세탁기 모터(8)에 의한 드럼(11)의 구동을 정지하여 드럼(11)을 관성(惰性) 회전시켜, 그에 의해 드럼(11)의 회전속도가 소정의 회전속도로 하강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연산하는 것이다. 즉, 제어장치(5)는 세탁물의 중량을 세탁기 모터(8)의 회전 부하를 가지고 검출한다. 이 후, 제어장치(5)는 상기 세탁물 중량의 검출결과로부터 세제량의 판정과, 세탁물 중량에 따른 세탁행정에서의 수위의 결정과, 드럼(11)의 회전속도의 결정을 실시한다. 이 경우, 세탁기 모터(8)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센서(49)가, 드럼(11) 내의 세탁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제어장치(5)는 세제량의 판정결과(세탁물 중량에 따라 판정한 세제량)을 표시부(52)에 표시한다(도 17의 처리 단계(S2)).
또한, 제어장치(5)는 세탁물의 중량(부하량)을, 이 경우 소(예를 들어, 1㎏), 중(예를 들어, 3㎏) 및 대(예를 들어, 6㎏)의 3단계로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단계에 따라서 각각 도 14, 도 15 및 도 16의 타임차트를 선택한다.
제어장치(5)는 표시부(52)에 의한 세제량 표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급수 케이스(35)에 표시된 세제량을 투입하는 것을 소정 시간(예를 들어, 20초) 기다린다(도 17의 판단단계(S3)). 그리고, 제어장치(5)는 소정 시간의 경과후에 급수밸브(34)를 개방하고, 세탁행정용으로 결정한 수위(세탁물이 잠기는 수위)까지 수돗물을 공급한다. 이 경우, 급수 케이스(35)의 세제저류부에는 제어장치(5)에 의한 세제량의 판정에 따른 양의 세제가 미리 투입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드럼(11)은 중심축이 후방을 향하여 하강하는 수조(6)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급수되는 물은 드럼(11)(수조(6))의 배면측(후반부측)에 고이고, 드럼(11)의 전방면측(전반부측)으로 감에 따라서 얕아진다. 따라서, 드럼(11)의 전방면측 부근(전단측 부분)에는 물이 거의 없는 상태, 또는 별로 없는 상태가 된다.
제어장치(5)는 급수개시와 함께 세탁기 모터(8)에 의해 드럼(11)을 회전 구동한다(도 17의 처리단계(S5), 도 14의 (c) 내지 도 16의 (c) 참조). 급수개시시에서의 드럼(11)의 회전 주기는 이 경우 드럼(11)을 저속도(예를 들어, 40~60rpm)으로 정회전방향으로 15초간 회전시키고 다음에 드럼(11)을 1초간 정지시키며, 다음에 드럼(11)을 저속도(예를 들어, 40~60rpm)으로 역회전방향으로 15초간 회전시키고, 다음에 드럼(11)을 1초간 정지시키는 것이다.
그 후, 제어장치(5)는 수위센서(32)에 의한 검출수위가 순환펌프(25)의 구동 가능 수위가 되었을 때에는(도 17의 판단 단계(S6)에서 「예」, 거품센서(40)가 소정량의 거품을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판단 단계(S7)). 그리고, 제어장치(5)는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처리 단계(S8), 또는 처리 단계(S9)로 이행하고, 펌프모터(25a)를 회전시켜 순환펌프(25)를 구동한다(도 14의 (b) 내지 도 16의 (b) 참조). 이 경우, 제어장치(5)는 거품센서(40)의 검출 거품량이 소정량 미만일 때에는(판단 단계(S7)에서 「아니오」), 펌프모터(25a)를 설정속도(예를 들어, 2000rpm)으로 회전시켜 순환펌프(25)를 구동한다(처리 단계(S8)). 한편, 제어장치(5)는 거품센서(40)의 검출 거품량이 소정량 이상일 때에는(판단 단계(S7)에서 「예」), 펌프모터(25a)를 현재의 설정속도(예를 들어, 2000rpm)으로부터 일정 속도(예를 들어, 100rpm)를 순차적으로 뺀 속도(예를 들어, 2000-100rpm)으로 회전시켜 순환펌프(25)를 구동한다(처리 단계(S9)).
또한, 제어장치(5)는 변류기(51)의 검출전류값을 관측하고 순환펌프(25)에 공기혼입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도 17의 판단 단계(S10)). 세제가 녹은 수조(6) 내(드럼(11) 내)에 공급된 세탁수는 배플(13)에 의해 밀어 올려져 낙하하는 세탁물에 의해 교반되고, 또한 순환펌프(25)에 의해 순환되고, 이에 의해 거품을 발생시키게 된다. 거품의 발생이 과잉이 되면, 세정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순환펌프(25)에 해를 준다. 수조(6) 내에 거품이 과잉으로 발생하여 순환펌프(25) 내에 거품이 진입하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모터(25a)의 전류값이 크게 변동되고, 그 후 소정값 이하의 낮은 값에서 거의 일정해진다. 이에 의해, 제어장치(5)는 순환펌프(25)에 공기만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17의 판단 단계(S10)).
제어장치(5)는 순환펌프(25)에 공기혼입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판단 단계(S10)에서 「예」), 펌프모터(25a)의 설정속도를 현재의 설정속도로부터 일정속도(예를 들어, 100rpm) 뺀 속도로 변경하고(도 17의 처리 단계(S11)), 다음 판단단계(S12)로 이행한다. 또한, 제어장치(5)는 순환펌프(25)에 공기혼입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판단 단계(S10)에서 「아니오」), 그대로 판단 단계(S12)로 이행한다.
제어장치(5)는 판단 단계(S12)로 이행하면, 수위센서(32)에 의한 검출수위가 처리단계(S1)에서 설정된 세탁행정용 소정 수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달하지 않았을 때에는(판단 단계(S12)에서 「아니오」), 제어장치(5)는 판단 단계(S7)로 되돌아간다. 한편, 도달했을 때에는 (판단 단계(S12)에서 「예」), 제어장치(5)는 급수밸브(34)를 폐색하여 상기 급수밸브(34)에 의한 급수를 정지한다(처리 단계(S13)). 그 후, 제어장치(5)는 세탁기 모터(8)에 의해 드럼(11)을 정회전방향 및 역회전방향으로 구동하여 실질적인 세탁행정(처리 단계(S14))를 실행한다.
제어장치(5)는, 상기 세탁행정의 초기에서는 세탁물의 중량에 따른 시간동안, 드럼(11)을 저속(예를 들어, 40~60rpm)으로 정회전시킨다. 즉, 제어장치(5)는 세탁물의 중량이 소(예를 들어, 1㎏)인 경우에는 세탁기 모터(8)를 20초 정회전시키고(도 14의 (c) 참조), 세탁물의 중량이 중(예를 들어, 3㎏)인 경우에는 세탁기 모터(8)를 30초 정회전시키며(도 15의 (c) 참조), 세탁물의 중량이 대(예를 들어, 6㎏)인 경우에는 세탁기 모터(8)를 40초 정회전시킨다(도 16의 (c) 참조). 즉, 제어장치(5)는 세탁행정의 초기에는 드럼(11)의 회전방향을 정회전방향으로 선택하고 또한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세탁기 모터(8)의 정회전시간을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제어장치(5)는 드럼(11)의 회전량을 변화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드럼(11) 내에 미리 수용된 세탁물이 배플(13)에 의해 밀어 올려졌다가 떨어지는 두드림 세탁이 반복되어 실시된다. 또한, 제어장치(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행정 중에 순환펌프(25)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수조(6) 내의 물은 수조(6)의 배수구부(18)로부터 취수되고, 수조(6)의 개구부 상부에 설치된 방수기구부(28)의 제1 방수구부(46) 및 제2 방수구부(47)로부터 드럼(11)의 전방면측 및 배면측을 향하여 샤워 형상으로 공급된다.
그 후, 제어장치(5)는 상술한 판단 단계(S7), 처리 단계(S9), 판단 단계(S10) 및 처리 단계(S11), 그리고 동일한 판단 단계(S15), 처리 단계(S16), 판단 단계(S17) 및 처리 단계(S18)를 실행한다. 그 후, 제어장치(5)는 세탁기 모터(8)가 30초간 정회전하고 1초간 정지하며, 30초간 역회전하고 1초간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통상 운전을 실시한다(처리 단계(S19)).
그리고, 제어장치(5)는 세탁행정의 설정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경과하지 않았을 때에는(판단 단계(S20)에서 「아니오」), 제어장치(5)는 판단 단계(S15)로 되돌아간다. 한편, 경과했을 때에는(판단 단계(S20)에서 「예」), 제어장치(5)는 배수밸브(23)를 개방시키고, 수조(6)(드럼(11)) 내의 물을, 수조(6)의 배수구부(18)로부터 기내배수호스(19), 필터케이스(20)(린트필터), 배수밸브(23), 배수파이프(24) 및 기외배수호스를 통하여 배출시킨다(도 17의 처리 단계(S21)).
다음에, 제어장치(5)는 헹굼행정을 실행한다. 헹굼행정에서는 제어장치(5)는 세탁행정과 동일한 급수동작, 헹굼동작, 배수동작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그리고, 제어장치(5)는 탈수행정을 실행한다. 탈수행정에서는 제어장치(5)는 드럼(11)을, 한 방향으로 고속(예를 들어, 700~1500rpm)으로 회전시키고 세탁물에 대해서 원심 탈수를 실시한다. 탈수행정이 종료됨으로써, 통상의 운전코스(세탁운전)가 종료된다.
도 12 및 도 13은 세탁운전의 세탁행정의 초기시에서의 세탁물인 의류(W)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드럼(11)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정회전)하면, 의류(W)는 배플(13)에 의해 밀어 올려지면서, 배플(13)의 측면부(13A)를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측(도 3에 도시한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배플(13)의 배면측에는 제2 오목부(13F)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드럼(11)이 회전해도 의류(W)는 제2 오목부(13F)보다도 후단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2 오목부(13F) 내에 모인다. 또한, 제2 오목부(13F)는 배플(13)의 후반부측에 있다. 그 때문에, 제2 오목부(13F)내에 모여 있는 의류(W)는 드럼(11)의 회전에 따라 드럼(11) 내의 최상 위치 부근으로 이동하면, 자중(自重)에 의해 드럼(11)의 후반부측에 떨어져 두드림 세탁된다. 이 때, 드럼(11)의 후반부측에는 많은 세탁수가 고여 있으므로, 세탁물(W)에 물이 스며들기 쉽다. 이 경우, 의류(W)의 양(중량)이 클수록 드럼(11)의 정회전방향으로의 회전량(회전시간)이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의류(W)는 그 양(중량)이 클수록, 배면측으로 이동되어, 많은 세탁수가 고여 있는 배면측에 낙하된다. 이에 의해, 세제가 물에 녹는 것이 촉진되고 또한 세탁수가 의류(W)에 침투하기 쉬워진다. 또한, 드럼(11)의 전방면측에 살수하는 제1 방수구부(46)의 방수량 보다 드럼(11)의 배면측에 살수하는 제2 방수구부(47)의 살수량이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의류(W) 전체에 균등하게 세탁수를 침투시킬 수 있다.
또한, 드럼(11)의 회전에 따라 밀어 올려지는 의류(W)는 방수량이 큰 제2 방수구부(47)에 의한 방수방향(방수경로(Pb))을 따르도록 낙하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의류(W)가 제2 방수구부(47)로부터 방수된 물과 접촉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의류(W)에 물이 한층 더 스며들기 쉬워진다.
다음에, 드럼(11)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역회전)하면 의류(W)는 배플(13)에 의해 밀어 올려지면서 배플(13)의 측면부(13B)를 따라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측(도 3에 도시한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배플(13)의 전반부측에는 제1 오목부(13E)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드럼(11)이 회전해도 의류(W)는 제1 오목부(13E) 보다도 전단부로 이동되지 않고 제1 오목부(13E) 내에 모인다. 또한, 제1 오목부(13E)는 배플(13)의 전반부측에 있다. 그 때문에, 제1 오목부(13E)에 모여 있는 의류(W)는 드럼(11)의 회전에 따라 드럼(11) 내의 최상 위치 부근으로 이동하면, 자중에 의해 드럼(11)의 전반부측에 떨어져 두드림 세탁된다. 이 때, 드럼(11)의 전반부에는 거의 물이 없으므로, 두드림 세탁되는 세탁물(W)로부터 물이 밀려 나오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순환경로(30)의 방수기구부(28)는 드럼(11)의 전방면측에 살수되는 제1 방수구부(46)와, 드럼(11) 내의 배면측에 살수되는 제2 방수구부(4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방수구부(47)의 방수량은 제1 방수구부(46)의 방수량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플(13)에 의해 배면측에 편재하도록 이동되는 의류(W)에 세탁수를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침투시킬 수 있어, 두드림 세탁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게 할 수 있으며, 세탁 동작 및 헹굼 동작을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구부(46) 및 제2 방수구부(47)는 제1 방수구부(46)에 의한 물 낙하지점이 드럼(11) 내의 전방면측이 되고, 제2 방수구부(47)에 의한 물 낙하지점이 제1 방수구부(46)에 의한 물 낙하지점 보다도 배면측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드럼(11) 내의 세탁물이 배면측에 편재하는 경향이 있어도 세탁수를 세탁물 전체에 균등하게 침투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두드림 세탁 효과를 한층 더 충분히 얻을 수 있어 세탁 동작 및 헹굼 동작을 한층 더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세탁행정의 초기에는 의류(W)의 양(중량)이 클수록 드럼(11)의 정회전방향으로의 회전량(회전시간)이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의류(W)는 의류(W)의 양(중량)이 클수록, 드럼(11) 내의 배면측으로 이동되어, 많은 세탁수가 고여 있는 배면측에 낙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세제가 물에 녹는 것이 촉진되고 또한 세탁수가 의류(W)에 침투하기 쉬워진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류(W)에 대한 세탁수의 침투비율은 의류(W)의 중량이 커짐에 따라서 나빠진다. 그 때문에, 의류(W)의 중량이 커짐에 따라서 정회전시간을 많게 하는 것은 의류(W)에 세탁수를 침투시키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제어장치(5)는 거품 센서(40)의 검출 거품량이 소정량 이상일 때에는 펌프모터(25a)를 현재의 설정속도로부터 일정속도를 순차적으로 뺀 속도로 회전시키고 순환펌프(25)를 구동시킨다. 즉, 제어장치(5)는 거품센서(40)의 검출 거품량이 소정량 이상일 때에는 순환펌프(25)에 의한 순환수량을 감소시키도록 했다. 이에 의해, 드럼(11) 내에 과잉으로 거품이 발생하여 세정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는 변류기(51)의 검출전류값을 관측하고 순환펌프(25)에 공기혼입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펌프모터(25a)의 설정속도를 현재의 설정속도로부터 일정 속도를 뺀 속도로 변경한다. 즉, 제어장치(5)는 변류기(51)의 검출전류값에 기초하여 순환펌프(25)에 공기혼입이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순환펌프(25)에 의한 순환수량을 감소시키도록 했다. 이에 의해, 순환펌프(2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는 판단 단계(S15), 또는 판단 단계(S17)를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순환펌프(25)의 회전수가 하한값 이하가 되었을 때에는 펌프모터(25a)를 정지시키도록 하면 좋다. 이에 의해, 불필요한 제어의 속행이 방지된다.
(제2 실시형태)
도 20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1 실시형태(도 17)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상기 제2 실시형태는 변류기(51)(도 11 참조)에 관한 판단 단계(S10), 처리 단계(S11), 판단 단계(S17) 및 처리 단계(S18)를 삭제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는 변류기(51)를 생략한 구성이다.
(제3 실시형태)
도 21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1 실시형태(도 14 내지 도 16 참조)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상기 제3 실시형태는 세탁행정의 초기에서 세탁물의 중량(이 경우, 소, 중, 대)에 따라서 설정된 드럼(11)(도 1, 도 2 참조)의 정회전시간(이 경우, 20초, 30초, 40초)을 복수의 정회전시간과 정지시간으로 분할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거품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22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에는 드럼식 세탁기의 전체 구조가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식 세탁기는 외부상자(1)의 형상 등이 상술한 드럼식 세탁기(도 1 및 도 2 참조)와는 다르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이하, 특히 방수기구부(28)의 구성에 대해서, 도 24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수조 커버(61)의 배면부의 외주부에는 거의 하부로부터 상반부에 걸쳐 소정의 간격을 갖는 원호 형상의 수로형성용 돌출부(62, 63)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62, 63)는 하부에서 연결되어 있다. 수조 커버(61)의 배면부의 상부에서 도 27의 시계방향측으로 어긋난 위치(예를 들어, 수직선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30도 어긋난 위치)에는 제1 노즐부 형성용 돌출부(64, 65)가 수조커버(61)의 중심을 향하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64, 65) 사이는 돌출부(62, 63) 사이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수조커버(61)의 배면부의 상부에서 도 27의 반시계 방향측으로 어긋난 위치(예를 들어, 수직선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30도 어긋난 위치)에는 제2 노즐부 형성용 돌출부(66, 67)가 수조 커버(61)의 중심을 향하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66, 67) 사이는 돌출부(62, 63) 사이에 연통한다.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 주수커버(68)는 수조커버(61)의 돌출부(62, 63)와 동일하게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주수커버(68)의 내주부 및 외주부에는 돌출부(62, 63)와 대응하는 수로형성용 돌출부(69, 70)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69, 70)는 하부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주수커버(68)에는 돌출부(64, 65)와 대응하는 제1 노즐부 형성용 돌출부(71, 72) 및 돌출부(66, 67)와 대응하는 제2 노즐부 형성용 돌출부(73, 74)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돌출부(71, 72) 사이 및 돌출부(73, 74) 사이는 돌출부(69, 70) 사이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수조 커버(61)의 전방면의 개구부(61a)는 벨로우즈(17)(도 22 참조)에 의해 세탁물 출입구부(2)에 수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주수 커버(68)는 수조 커버(61)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돌출부(69, 70)는 돌출부(62, 63)에 부딪혀 결합되고, 돌출부(71, 72)는 돌출부(64, 65)에 부딪혀 결합되며, 돌출부(73, 74)는 돌출부(66, 67)에 부딪혀 결합된다. 이들이,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되어 도 26,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한 수로(75), 제1 노즐부(76) 및 제2 노즐부(77)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방수기구부(28)가 구성된다. 또한, 도 29 내지 도 3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수커버(68)가 용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1 노즐부(76)는, 도 26,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지향하는 기초벽부(76a)와, 상기 기초벽부(76a)에 대응하는 안내벽부(76b), 이들 기초벽부(76a)와 안내벽부(76b)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양측벽부(76c, 76d)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노즐부(76)는 드럼(11) 내로 향하는 거의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슬릿 형상)의 개구(76f)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노즐부(76)의 방수유량은 기초벽부(76a)와 상기 기초벽부(76a)에 대응하는 안내벽부(76b) 사이의 최소의 간극 치수(Sa)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제1 노즐부(76)에 의한 방수경로(Pa)의 물 낙하지점은 기초벽부(76a) 및 안내벽부(76b)의 지향각도인 경사각도 α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제2 노즐부(77)는, 도 26,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를 향하는 기초벽부(77a), 상기 기초벽부(77a)에 대응하는 안내벽부(77b), 이들 기초벽부(77a)와 안내벽부(77b)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양측벽부(77c, 77d)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노즐부(77)는 드럼(11) 내로 향하는 거의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슬릿 형상)의 개구(77f)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제2 노즐부(77)의 방수유량은 기초벽부(77a)와 상기 기초벽부(77a)에 대응하는 안내벽부(77b) 사이의 최소의 간극치수(Sb)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간극치수(Sb)는 제1 노즐부(76)의 간극치수(Sa)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Sb>Sa). 또한, 제2 노즐부(77)에 의한 방수경로(Pb)의 물 낙하지점은 기초벽부(77a) 및 안내벽부(77b)의 지향각도인 경사각도 β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경사각도 β는 제1 노즐부(76)의 경사각도 α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β>α).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 커버(61)의 도 23에서의 바로 아래보다도 좌방부위(도 27에서는 우방부위)에는 수로(75)에 연통하는 연결구부(7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로(75)에는 송수호스(27)가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장치(5)는 세탁행정 중에 순환펌프(25)를 구동하여, 수조(6)의 배수구부(18)로부터 취수되는 수조(6) 내의 물을, 수조(6)의 개구부 상부의 방수기구부(28)의 제1 노즐부(76) 및 제2 노즐부(77)로부터 드럼(11)의 전방면측 및 배면측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방출시킨다. 제어장치(5)는 그 후에는 배수동작 및 탈수동작을 실시하여 세탁행정을 종료한다. 그리고, 제어장치(5)는 또한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을 실시하여 세탁운전을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순환경로(30)의 방수기구부(28)는 수조커버(61)의 배면부에 주수커버(68)를 초음파에 의해 용착함으로써, 순환경로(30)로부터의 세탁수가 공급되는 수로(75)와, 상기 수로(75)로부터의 세탁수를 드럼(11) 내에 분사하도록 방수하는 제1 노즐부(76) 및 제2 노즐부(77)를 형성한 구성이다. 그 때문에, 종래의 외부에 부착한 호스와 같은 배관이 불필요해질 뿐만 아니라, 종래의 편향판과 같은 수조 커버(61)의 출입구부(61b) 내에 돌출되는 것도 불필요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류의 출입에 방해가 되는 것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방수기구부(28)는 수조커버(61)와 주수커버(68)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다. 그리고, 수조커버(61)에 주수커버(68)를 용착하는 구조로 했으므로, 용착 후에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어 조립이 간단하다.
또한, 제1 노즐부(76)는 상방으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는 기초벽부(76a), 상기 기초벽부(76a)에 대응하는 안내벽부(76b), 이들 기초벽부(76a)와 안내벽부(76b)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양측벽부(76c, 76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의해 제1 노즐부(76)는 드럼(11) 내로 향하는 거의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슬릿 형상)의 개구(76f)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 노즐부(77)는 상방으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는 기초벽부(77a), 상기 기초벽부(77a)에 대응하는 안내벽부(77b), 이들 기초벽부(77a)와 안내벽부(77b)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양측벽부(77c, 77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노즐부(77)는 드럼(11) 내로 향하는 거의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슬릿형상)의 개구(77f)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노즐부(76) 및 제2 노즐부(77)로부터의 분사수는 종래와 같은 편향판으로부터의 비산수와는 달리, 수평인 막 형상으로 또한 방사상으로 확산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세탁수를 의류에 골고루 침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노즐부(76) 및 제2 노즐부(77)로부터의 분사수는 수평인 막형상으로 또한 방사상으로 확산되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 커버(61)의 출입구부(61b)와 드럼(11)의 개구부(14) 사이의 간극 치수(L)가 작아도(예를 들어, 1㎝ 전후), 제1 노즐부(76) 및 제2 노즐부(77)로부터의 분사수를 개구부(14)를 통하여 원활하게 드럼(11) 내에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노즐부(76)는 기초벽부(76a) 및 안내벽부(76b)의 지향각도인 경사각도 α에 의해, 제1 노즐부(76)에 의한 방수경로(Pa)의 물 낙하지점이 설정된다. 제2 노즐부(77)는 기초벽부(77a) 및 안내벽부(77b)의 지향각도인 경사각도 β에 의해, 제2 노즐부(77)에 의한 방수경로(Pb)의 물 낙하지점이 설정된다. 그리고, 경사각도 β는 제1 노즐부(76)의 경사각도 α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β>α). 그 때문에, 제1 노즐부(76)는 드럼(11)의 전방면측 근처에 방수되고, 제2 노즐부(77)는 드럼(11) 내의 배면측 근처에 방수된다. 또한, 제2 노즐부(77)에 의한 방수수량을 제1 노즐부(76)에 의한 방수수량보다도 크게 했다. 그 때문에, 배플(13)에 의해 배면측에 편재하도록 이동되는 의류에 세탁수를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침투시킬 수 있고, 두드림 세탁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게 할 수 있어 세탁 동작 및 헹굼 동작을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도 34 및 도 35는 제5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고, 상술한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도시한다.
상술한 제4 실시형태에서는 수조 커버(61) 및 주수커버(68)의 쌍방에 의해 제1 노즐부(76) 및 제2 노즐부(77)를 형성했다. 이에 대해서, 상기 제5 실시형태에서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노즐부(76)를 대신하는 제1 노즐부(81)는 주수커버(68)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노즐부(77)를 대신하는 제2 노즐부(82)는 주수커버(68)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단, 어떤 경우에도 연결구부(78)로부터 각 노즐부까지의 수로는, 수조커버(61)와 주수커버(68)의 쌍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제5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변형, 확장이 가능하다.
상술한 배플(13) 대신 통상의 직선형상의 배플을 사용해도 좋다.
배플(13)의 갯수는 3개 이외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세탁행정의 초기에서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서 드럼(11)의 정회전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드럼(11)의 회전량을 변경한다. 그 대신, 드럼(11)의 정회전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드럼(11)의 회전량을 변경해도 좋다.
제어장치(5)는 세탁운전의 초기에서 방수량이 큰 제2 방수구부(47)에 의한 물 낙하점측에 세탁물(W)이 낙하하도록 세탁기 모터(8)에 의한 드럼(11)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방수량이 큰 제2 방수구부(47)에 의한 물 낙하점측에 세탁물(W)이 낙하하도록 세탁기 모터(8)에 의한 드럼(11)의 「회전속도」를 제어해도 좋다.
제어장치(5)는 세탁운전의 초기에서 방수량이 큰 제2 방수구부(47)에 의한 방수방향(방수경로(Pb))을 따라서 세탁물(W)이 낙하하도록 세탁기 모터(8)에 의한 드럼(11)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방수량이 큰 제2 방수구부(47)에 의한 방수방향(방수경로(Pb))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세탁물(W)이 낙하되도록 세탁기 모터(8)에 의한 드럼(11)의 회전방향을 제어해도 좋다. 이에 의해 낙하하는 세탁물(W)이 제2 방수구부(47)로부터 방수된 물에 대해서 충돌하는 상태가 되고, 그 기계력에 의해 세탁수가 세탁물(W)의 섬유 중에 침투하기 쉬워지므로, 세탁물(W)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중량검출수단으로서 전류센서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5)는 세탁기 모터(8)를 구동하여 드럼(11)을 회전시켰을 때에서의 전류센서의 검출전류의 크기와, 제어장치(5)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드럼(11)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을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방수기구부(28)에 설치되는 방수구부, 또는 노즐부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1개이어도 좋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는 건조기능이 포함된 드럼식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았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외부상자 5: 제어장치(제어수단)
6: 수조 8: 세탁기 모터
11: 드럼 13: 배플
16: 수조커버 18: 배수구부(취수구부)
25: 순환펌프 25a: 펌프모터
28: 방수기구부 30: 순환경로
43: 수로 68: 주수커버
46: 제1 방수구부 47: 제2 방수구부
61: 수조커버 75: 수로
76: 제1 노즐부 76a: 기초벽부
76b: 안내벽부 76c, 76d: 측벽부
76f: 개구 77: 제2 노즐부
77a: 기초벽부 77b: 안내벽부
77c, 77d: 측벽부 77f: 개구
81: 제1 노즐부 82: 제2 노즐부

Claims (17)

  1. 외부상자,
    상기 외부상자 내에 중심축이 후방을 향하여 하강하는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탄성 지지되고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수조,
    상기 수조 내에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둘레벽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 드럼,
    상기 수조의 배면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을 정회전방향 및 역회전방향으로 구동하는 세탁기 모터,
    상기 드럼의 내주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선을 따르도록 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배플,
    상기 수조의 배면측의 저부에 형성된 취수구부,
    상기 수조의 전방면측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방수구부 및 제2 방수구부,
    상기 취수구부와 상기 제1 방수구부 및 상기 제2 방수구부를 연결하는 순환경로,
    상기 순환경로 중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상기 취수구부로부터 취출된 물을 상기 제1 방수구부 및 상기 제2 방수구부로부터 상기 드럼 내로 방출시키는 순환펌프, 및
    상기 세탁기 모터 및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전방면측의 개구부에 장착된 수조 커버,
    상기 수조 커버의 배면측에 장착된 주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 커버 및 상기 주수 커버의 쌍방에 의해 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수구부 및 상기 제2 방수구부는 상기 수조 커버 및 상기 주수 커버 중 한쪽 또는 쌍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로와 연통하며 상측으로부터 상기 드럼 내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드럼식 세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구부 및 상기 제2 방수구부는 상기 제2 방수구부에 의한 물 낙하지점이 상기 제1 방수구부에 의한 물 낙하지점 보다도 배면측이 되도록 구성되는, 드럼식 세탁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수구부의 방수량은 상기 제1 방수구부의 방수량보다 크게 설정되는, 드럼식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세탁운전의 초기에서 방수량이 큰 상기 제2 방수구부에 의한 물 낙하지점측에 세탁물이 낙하하도록 상기 세탁기 모터에 의한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드럼식 세탁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세탁운전의 초기에서 방수량이 큰 상기 제2 방수구부에 의한 방수방향을 따라 세탁물이 낙하하도록 상기 세탁기 모터에 의한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드럼식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중량검출수단의 검출중량에 따라서 상기 세탁기 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드럼식 세탁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중량검출수단의 검출중량에 따라서 상기 세탁기 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드럼식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검출하는 거품량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거품량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거품량이 설정량 이상일 때에는 상기 순환펌프를 그 순환유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드럼식 세탁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검출하는 거품량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거품량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거품량이 설정량 이상일 때에는 상기 순환펌프를 그 순환유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드럼식 세탁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모터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류검출수단의 검출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순환펌프에 공기혼입이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순환펌프를 그 순환유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드럼식 세탁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모터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류검출수단의 검출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순환펌프에 공기혼입이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순환펌프를 그 순환유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드럼식 세탁기.
  13. 외부상자,
    상기 외부상자 내에 탄성 지지되고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저부에 취수구부가 형성된 수조,
    상기 수조의 전방면측의 개구부에 장착된 수조 커버,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배면측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둘레벽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 드럼,
    상기 수조 커버의 배면측에 주수커버를 장착함으로써 구성되고, 수로 및 상기 수로와 연통하여 상측으로부터 상기 드럼 내로 향하는 노즐부를 갖는 방수기구부,
    상기 수조의 취수구부와 상기 방수기구부의 수로를 연결하는 순환경로, 및
    상기 순환경로 중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취수구부로부터 취출된 물을 상기 방수기구부의 노즐부로부터 상기 드럼 내로 분사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기구부는 상기 수조커버 및 상기 주수커버 쌍방에 의해 상기 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 커버 및 상기 주수 커버 중 일방 또는 쌍방에 의해 상기 노즐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드럼식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기구부는 상기 노즐부에 의한 상기 드럼 내의 물 낙하지점이 상기 드럼의 배면측이 되도록 구성되는, 드럼식 세탁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기구부는 2개의 상기 노즐부를 구비하고 한쪽의 노즐부에 의한 상기 드럼 내의 물 낙하지점이 상기 드럼의 배면측이 되도록 구성되며, 다른쪽 노즐부에 의한 상기 드럼 내의 물 낙하지점이 상기 드럼의 전방면측이 되도록 구성되는, 드럼식 세탁기.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방으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는 기초벽부, 상기 기초벽부에 대응하는 안내벽부, 이들 기초벽부와 안내벽부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양측벽부에 의해, 상기 드럼 내를 향하는 거의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드럼식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물 낙하지점은 상기 기초벽부 및 상기 안내벽부의 지향각도에 의해 설정되는, 드럼식 세탁기.
KR1020127005202A 2009-08-24 2010-08-02 드럼식 세탁기 KR101389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93046 2009-08-24
JP2009193046A JP5489328B2 (ja) 2009-08-24 2009-08-24 ドラム式洗濯機
JPJP-P-2009-210415 2009-09-11
JP2009210415A JP5279670B2 (ja) 2009-09-11 2009-09-11 ドラム式洗濯機
PCT/JP2010/063018 WO2011024611A1 (ja) 2009-08-24 2010-08-02 ドラム式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032A true KR20120037032A (ko) 2012-04-18
KR101389238B1 KR101389238B1 (ko) 2014-04-24

Family

ID=4362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202A KR101389238B1 (ko) 2009-08-24 2010-08-02 드럼식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71993B1 (ko)
KR (1) KR101389238B1 (ko)
CN (1) CN102482833B (ko)
WO (1) WO2011024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9200B2 (ja) * 2011-02-23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AU2012243647B2 (en) * 2011-04-14 2016-03-03 Lg Electronics Inc. Washer
CN102888740A (zh) * 2011-07-22 2013-01-2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衣机的排水装置以及具有该排水装置的洗衣机
EP2692936B1 (en) * 2012-07-30 2016-07-20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 rotating drum of a horizontal axis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using such method
ITTO20121049A1 (it) * 2012-12-05 2014-06-06 Indesit Co Spa Lavabiancheria con circuito di protezione
CN104018313B (zh) * 2013-02-28 2017-09-26 天津日日新资产管理有限公司 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4074031B (zh) * 2013-03-30 2018-03-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喷淋外桶盖的洗衣机
KR102210011B1 (ko) * 2013-09-05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80074B1 (ko) * 2014-03-05 202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JP6286311B2 (ja) * 2014-07-29 2018-02-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2196183B1 (ko) * 2014-10-27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6603042B2 (ja) * 2015-05-25 2019-11-0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US10422068B2 (en) 2016-02-12 2019-09-24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s of operation
KR101756408B1 (ko) * 2016-04-18 2017-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JP6691028B2 (ja) * 2016-09-12 2020-04-28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機
EP4234798A3 (en) 2016-12-28 2023-10-1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EP3505666B1 (en) 2017-12-28 2021-08-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573125B1 (ko) * 2017-12-28 202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10387699B (zh) * 2018-04-16 2021-10-2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及其喷淋系统
CN108755000B (zh) * 2018-04-27 2023-04-2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0607635B (zh) * 2018-06-15 2022-06-17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的喷淋控制方法
WO2020004908A1 (en) *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20004911A1 (en)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20004905A1 (en) *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20200001496A (ko) 2018-06-27 202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8410A (en) * 1967-09-11 1968-06-18 Donald E. Marshall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DE3825500A1 (de) * 1988-07-27 1990-02-08 Licentia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des laugen-abpumpvorgangs bei waschmaschinen
DE3825502A1 (de) * 1988-07-27 1990-02-01 Licentia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laugen-abpumpvorgangs bei waschmaschinen
DE4236873A1 (de) * 1992-10-31 1994-05-05 Harald Faller Verfahren zum Waschen von Wäsche und nach dem Verfahren arbeitende Waschmaschine
JP3040902B2 (ja) * 1993-12-17 2000-05-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洗濯方法
BE1009718A6 (nl) * 1995-10-20 1997-07-01 Peeters Tom Walter Wasmachine.
JPH09215891A (ja) 1996-02-15 1997-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DE19962257B4 (de) * 1999-12-22 2013-11-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behandlungsmaschine
KR100393994B1 (ko) * 2000-10-19 200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수 재순환 장치
DE10227958A1 (de) * 2002-06-22 2004-01-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schmaschine
KR20050121052A (ko) * 2004-06-21 2005-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0765277B1 (ko) * 2005-01-10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JP2006239141A (ja) * 2005-03-03 2006-09-14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JP4448843B2 (ja) 2006-11-08 2010-04-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EP2009165A1 (en) * 2007-06-28 2008-12-31 Bonferraro S.p.A. Operating cycle for the drain pump of a household washing appliance
JP2009056113A (ja) * 2007-08-31 2009-03-19 Toshiba Corp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1993A1 (en) 2012-07-04
EP2471993A4 (en) 2013-03-13
CN102482833A (zh) 2012-05-30
EP2471993B1 (en) 2019-10-30
WO2011024611A1 (ja) 2011-03-03
KR101389238B1 (ko) 2014-04-24
CN102482833B (zh)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238B1 (ko) 드럼식 세탁기
JP5489328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79920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279670B2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070006899A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42968B1 (ko) 세탁기
JP2010268842A (ja) 洗濯機
JP6071854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60100616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JP5889575B2 (ja) 洗濯機
JP615839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139574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53349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10886070B (zh) 一种洗衣机
WO2019128900A1 (zh) 洗衣机
JPH05184778A (ja) 脱水兼用洗濯機
JP5253488B2 (ja) 洗濯機
JP2017018467A (ja) 洗濯機
JP673286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703248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718411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415858B2 (ja) 洗濯機
WO2023066274A1 (zh) 滚筒洗衣机
KR10173032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3066275A1 (zh) 滚筒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