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496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496A
KR20200001496A KR1020190072392A KR20190072392A KR20200001496A KR 20200001496 A KR20200001496 A KR 20200001496A KR 1020190072392 A KR1020190072392 A KR 1020190072392A KR 20190072392 A KR20190072392 A KR 20190072392A KR 20200001496 A KR20200001496 A KR 20200001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section
gasket
gaske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재
김성훈
류환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2057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00269B2/ja
Priority to PCT/KR2019/007664 priority patent/WO2020004905A1/en
Priority to AU2019292271A priority patent/AU2019292271B2/en
Priority to US16/455,078 priority patent/US11168435B2/en
Priority to CN202210920917.8A priority patent/CN115262179A/zh
Priority to CN201910565943.1A priority patent/CN110644190B/zh
Priority to EP19182946.4A priority patent/EP3594403A1/en
Publication of KR20200001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496A/ko
Priority to US17/505,232 priority patent/US11840793B2/en
Priority to AU2023201429A priority patent/AU202320142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1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 및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포트 삽입관을 포함하는 개스킷과,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관로 및 상기 이송관로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포트 삽입관과 결합되는 복수의 토출포트를 포함하는 분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포트 삽입관은, 상기 개스킷 바디를 좌, 우로 배분한 제1, 2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상부 포트 삽입관 및 제1 하부 포트 삽입관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포트 중 상기 제1 하부 포트 삽입관과 결합되는 제1 하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와 제1 하부 포트 삽입관이 상기 이송관로의 제1 부분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의 이격된 사이에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스킷과 상기 분배관을 기밀하게 연결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로부터 배출되어 순환관을 따라 순환된 물을 드럼내로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등 물리적 작용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포함한다.
공개특허공보 10-2011-0040180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는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순환 펌프를 이용하여 순환시키고, 이렇게 순환된 물을 분사 노즐을 통해 드럼 내로 분사하는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세탁기는 분배기가 순환 펌프에 결합되어 세탁수를 분배시키고, 분배기에 제1, 2 분사유로가 결합되어, 제1, 2 분사유로가 세탁수를 제1, 2 분사노즐로 각각 안내하는 구조이다. 또한, 분사 노즐은 개스킷을 관통하는 커넥터에 의해 개스킷에 고정되고, 분사 유로와 연결된다.
종래기술은 두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으나, 분사 방향이 제한적이어서 세탁물을 고르게 적시지 못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유동에 다양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와 같은 구조로는 획기적인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커넥터를 개스킷에 관통시켜 분사 노즐을 개스킷에 결합하여야 하고, 상기 순환 펌프와 연결된 분사 유로가 분사 노즐과 상응하는 개수가 필요하고, 복수의 분사 유로와 커넥터를 각각 결합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하는 과정으로 인해 제품의 제조 공정이 번거로웠다.
또한, 복수의 분사 유로는 터브의 주변에 배치되는 밸런서 등의 구조물들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회피하기 위해 밸런서 등의 구조 및 배치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펌프, 분사유로, 커넥터 및 분사 노즐들 간의 연결부가 많아, 세탁기의 운용시 그 부분에서 세탁수의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고, 상기 세탁수에 포함된 세제의 응고나 오염물의 침착으로 인해 발생되는 위생상의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11-004018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여 세탁물을 고르게 적실 수 있고, 펌프와 복수의 노즐 사이의 연결 구조 및 조립 공정을 단순화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노즐을 구비하는 개스킷과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노즐로 안내하는 분배관이 기밀하게 연결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노즐로 안내하는 분배관을 개스킷에 기밀하게 연결시키면서, 터브 주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과,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공급하는 분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케이싱의 전방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고, 터브의 전방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개구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스킷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은 상기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 상에 구비된다.
상기 개스킷은, 상기 노즐과 연통되는 복수의 포트 삽입관을 구비한다. 상기 포트 삽입관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분배관은,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관로와, 상기 복수의 포트 삽입관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토출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상기 토출포트는 상기 이송관로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복수의 포트 삽입관은, 상기 개스킷 바디를 좌, 우로 배분한 제1, 2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상부 포트 삽입관 및 제1 하부 포트 삽입관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토출포트는, 상기 제1 상부 포트 삽입관과 결합되는 제1 상부 토출포트와, 상기 제1 하부 포트 삽입관과 결합되는 제1 하부 토출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분배관은,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이송관로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보다 하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개스킷 바디 중 제1 영역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관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로부는 상기 유입포트가 배치되는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외주면을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된 제1 하부 안내 구간과, 상기 제1 하부 안내 구간의 상단부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 구간과, 상기 제1 절곡 구간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하부 포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토출 포트는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로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상부 포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1 상부 포트 구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포트 삽입관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포트 삽입관은 상기 수평선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포트 삽입관과 상기 수평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상부 포트 삽입관과 상기 수평선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상부 포트 구간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사이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상기제1 관로부는,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 및 제1 상부 포트 구간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이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제1 관로부는,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으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에 해당하는 높이까지 상측으로 연장된 제1 중간 안내 구간과, 상기 제1 중간 안내 구간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된 제1 상부 안내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포트 구간은, 상기 제1 하부 안내 구간의 상단부에서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안내 구간과 제1 하부 안내 구간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에 접할 수 있고, 상기 제1 상부 포트 구간과 제1 하부 포트 구간은 상기 가상의 원에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안내 구간과 제1 하부 안내 구간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안내 구간 및 제1 하부 안내 구간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포트 구간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상부 안내 구간과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하부 안내 구간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관로부는,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내측면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상, 하부 토출포트는 각각 제1 상, 하부 포트 구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포트 구간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의 내측면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토출포트 및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는 서로 평행하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분배관은,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상기 제1 상, 하부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통되는 제1 상부 노즐 및 제1 하부 노즐로 공급하는 제1 분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배관은,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제1 이송관로와,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제1 유입포트와, 상기 제1 상, 하부 토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관로는 상기 제1 영역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관로는 상기 제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포트는 상기 제1 이송관로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포트는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 하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1 이송관로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관로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개스킷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적어도 상단부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유입 구간과, 상기 제1 유입 구간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하부 포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포트는 상기 제1 유입 구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관로는,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반대 편인 외측면을 구비할 수 잇다.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포트는 상기 제1 유입 구간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분배관은,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상기 제1 상, 하부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통된 제1 상부 노즐 및 제1 하부 노즐로 공급하는 제1 분배관과,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상기 제2 상, 하부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통된 제2 상부 노즐 및 제2 하부 노즐로 공급하는 제2 분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개스킷의 내주면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여 세탁물을 고르게 적실 수 있고, 상기 펌프와 복수의 노즐을 연결하여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공급하는 분배관을 포함함으로써, 펌프와 노즐 사이의 연결구조 및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개스킷은 개스킷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노즐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복수의 포트 삽입관을 구비하고, 분배관은,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관로와, 상기 이송관로로부터 개스킷 측으로 돌출된 토출포트를 포함하고, 토출포트가 배치되는 포트 영역은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개스킷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토출포트와 포트 삽입관이 상기 포트 영역과 개스킷의 외주면의 이격된 사이에서 결합됨으로써, 노즐을 구비하는 개스킷과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노즐로 안내하는 분배관이 기밀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분배관을 개스킷의 외주면에 배치하여,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노즐로 안내하는 분배관을 개스킷에 기밀하게 연결시키면서, 터브 주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개스킷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개스킷과 분배관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분배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개스킷과 분배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분배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30)와, 상기 터브(30)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50, 이하 '구동부'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의 전방면에는, 세탁물 투입구(12)가 형성된 전방패널(11)이 배치되고,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20)가 배치되며, 세제가 투입되는 디스펜서(1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내부에는 급수밸브(15), 급수관(16), 급수호스(17)가 설치되어, 급수시 급수밸브(15), 급수관(16)을 통과한 세탁수는 디스펜서(14)에서 세제와 혼합된 다음, 급수호스(17)를 통하여 터브(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급수밸브(15)에 직수 공급관(18)이 연결되어 직수 공급관(18)을 통하여 세탁수가 세제와 혼합되지 않고 터브(30)내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펌프(70)와 분배관(80)이 설치되고, 상기 펌프(70)와 터브(30)는 배출 호스(72)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관(80)과 상기 펌프(70)는 직결되거나 순환관(86)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70)가 작동되면 터브(30)내에 저장된 세탁수가 분배관(80)을 통하여 드럼(40)내부로 분사되어 순환될 수 있다. 상기 펌프(70)는 배수관(74)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관(74)을 통하여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펌프(70)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와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나, 이와 달리 배수펌프 및 순환펌프가 별개로 설치될 수 있고, 배수펌프와 순환펌프가 별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배수펌프에 상기 배수관(74)이 연결되고 순환펌프에 상기 순환관(86)이 연결됨이 당연하다.
한편, 상기 터브(30)는 단일의 터브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2 터브체(30a, 30b)가 서로 체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2 터브체(30a, 30b)가 체결되어 터브(30)를 형성함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터브체(30a)를 단순히 '터브(30)'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터브(30)는 케이싱(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30)의 전방에는, 전방패널(11)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12)에 대응되도록 개구부(32, 도 4 참조)가 형성된다.
터브(30) 내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4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40)은 세탁물을 수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전방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대략 수평한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만, 여기서의 "수평"은 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로써 사용된 용어는 아니다. 즉,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중심선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역시 수직보다는 수평에 근접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평하다고 할 수 있다. 터브(30) 내의 물이 드럼(4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드럼(40)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4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리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터는 드럼(40)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드럼(40)의 회전시, 세탁물이 리프터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되는 것을 반복한다.
드럼(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5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이 터브(30)의 후면부를 통과하여 드럼(40)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50)는 직결식 세탁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 모터는 터브(30)의 후방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은 로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케이싱(10)과 터브(30)를 연결하는 개스킷(60)과, 드럼(40)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66, 67, 도 6 참조.)과, 터브(30)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70)와, 펌프(70)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노즐(66, 67)로 안내하는 분배관(80)을 포함한다. 또한, 터브(30)의 전방면(31)에 배치되는 밸런서(90)와, 펌프(70)로부터 압송된 물을 분배관(80)으로 안내하는 순환관(8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개스킷(60)은 케이싱(10)의 세탁물 투입구(12)와 터브(30)의 개구부(32)를 연결하는 통로(60P)를 형성하는 개스킷 바디(61, 62)를 포함한다. 개스킷(60) 바디(61, 62)의 중심방향을 향하는 내측 둘레면을 내주면(62)이라 하고, 이와 반대편의 외측 둘레면을 외주면(61)이라 할 수 있다.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62)은 상기 세탁물 투입구(12)와 상기 개구부(32)를 연결하는 통로(60P)를 형성한다.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은 밸런서(90)의 내측 둘레면과 대향될 수 있다. 개스킷(60) 바디의 외주면(61)은 분배관(80)과 대향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투입구(12)를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의 투입구(12) 테두리와 상기 개구부(32)를 형성하는 터브(30)의 개구부(32) 테두리 사이에 개스킷(60)이 배치되어, 상기 터브(30)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30)로부터 누설됨이 방지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개스킷(60)은 고무와 같은 유연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대략 원통형(이하, 관상이라고도 함.)으로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개스킷(60)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등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개스킷(60)의 전방 가장자리가 전방패널(11)의 상기 투입구(12) 테두리에 연결되고, 개스킷(60)의 후방 가장자리가 터브(30)의 상기 개구부(32) 테두리에 연결되어, 개스킷(60)의 전, 후방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바디부(61, 62)는 세탁물 투입 통로(60P)를 형성하고, 터브와 전방패널 사이가 밀봉되고, 도어(20)가 닫히는 경우, 도어(20)와 개스킷(60)의 선단부가 밀착되어, 도어(20)와 개스킷(60) 사이가 밀봉되므로, 세탁수의 누설이 방지된다.
개스킷(60)은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로 연장되는 관상의 형태이다. 개스킷(60)의 상기 전단부는 케이싱(10)에 고정되고, 상기 후단부는 터브(30)의 입구 둘레(33)에 고정된다. 개스킷(60)은 유연한 또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60)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60)은 케이싱(10)의 투입구(12) 둘레에 결합되는 케이싱 결합부(68a)와, 터브(30)의 입구 둘레(33)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68b)와, 케이싱 결합부(68a)와 터브 결합부(68b) 사이에서 연장되는 개스킷 바디(61, 6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8a)와 터브 결합부(68b)는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바디부는 케이싱 결합부(68a)와 연결되는 환형의 전단부로부터 터브 결합부(68b)와 연결되는 환형의 후단부를 갖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로 연장되는 관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패널(11)은 투입구(12)의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케이싱 결합부(68a)가 끼워질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8a)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케이싱 결합부(68a)가 투입구(12) 둘레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터브(30)는 터브(30)의 개구부(32)를 형성하는 입구 둘레(33)가 전방면(31)으로부터 돌출되어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터브 결합부(68b)가 끼워진다. 터브 결합부(68b)에는 철사로 형성된 클램프가 감기는 환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의 터브 결합부(68b)가 터브의 입구 둘레(33)에 결합되고, 상기 홈을 따라 클램프가 감겨진 후, 클램프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터브 결합부(68b)가 터브(30)의 입구 둘레(33)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케이싱 결합부(68a)는 전방패널(11)에 고정되나, 터브 결합부(68b)는 터브(30)의 움직임에 따라 변위된다. 따라서, 바디부는 터브 결합부(68b)의 변위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스킷(60)은, 케이싱 결합부(68a)와 터브 결합부(68b) 사이 구간(또는, 바디부)에, 터브(30)가 편심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철되는 접철부(61b)가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 바디(61, 62)는 케이싱(10, 또는 케이싱 결합부(68a))으로부터 터브(30, 또는 터브 결합부(68b))를 향해(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관상의 제1 평탄부(61a)와, 제1 평탄부(61a)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케이싱(10)을 향하여 연장되고 다시 외측으로 절곡된 접철부(61b)와, 접철부(61b)로부터 터브(30)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평탄부(61a)보다 외경이 큰 제2 평탄부(61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노즐(66, 67)은 개스킷(60)의 내주면(62)상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노즐(66, 67)은, 상부 노즐(66a, 67a)과 상부 노즐(66a, 67a)보다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노즐(66b, 6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노즐(66a, 67a)은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 노즐(66b, 67b)은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66, 67)은, 상기 개스킷 바디(61, 62)를 좌, 우로 배분한 제1, 2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노즐(66)과,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노즐(6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즐(66)은 개스킷 내주면(62)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노즐(67)은 개스킷 내주면(62)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노즐(66) 및 제2 노즐(67)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노즐(66) 및 제2 노즐(67)은 각각 두개씩 구비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노즐(66)은 상기 제1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상부 노즐(66a) 및 제1 하부 노즐(6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노즐(66b)은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제1 상부 노즐(66a)은 상기 제1 하부 노즐(66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노즐(66a)은 상기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노즐(67)은 상기 제2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2 상부 노즐(67a) 및 제2 하부 노즐(6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노즐(67b)는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상부 노즐(67a)은 상기 제2 하부 노즐(67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노즐(67a)은 상기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2 하부 노즐(66b, 67b)은 드럼(40) 내로 순환수를 분사하되, 상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제1, 2 상부 노즐(66a, 67a)은 드럼(40) 내로 순환수를 분사하되, 하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순환수란, 터브(30)로부터 배출되어 펌프(70)에 의해 압송되고, 분배관(80)으로 안내되고, 노즐(66, 67)을 통해 드럼(40) 내로 분사되는 물을 의미한다.
개스킷(60)에는 드럼(40) 내로 물을 분사하는 직수 노즐이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를 통해 공급된 물을 직수 노즐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관(18)이 구비될 수 있다. 직수 노즐은 와류 노즐 또는 분무 노즐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직수 노즐은, 전방에서 바라볼 시, 수직선(OV)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2)는 직수 노즐보다 더 드럼(40)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직수 노즐을 통해 분사된 수류가 윈도우(22)에 닿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윈도우(22)가 세척되는 효과가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개스킷(60)은, 노즐(66, 67)과 연통되는 포트 삽입관(63, 64)을 구비한다. 포트 삽입관(63, 64)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토출포트(83, 84)가 포트 삽입관(63, 64)에 삽입되고, 포트 삽입관(63, 64)은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분배관(80)으로부터 노즐(66, 67)로 공급되는 물이 포트 삽입관(63, 64)과 토출포트(83, 84)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포트 삽입관(63, 64)은 전술한 노즐(66, 67)과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노즐(66, 67)과 같은 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포트 삽입관(63, 64)은, 개스킷 바디(61, 62)를 좌, 우로 배분한 제1, 2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포트 삽입관(63)과,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포트 삽입관(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트 삽입관(63)은 제1 노즐(66)과 연통되고, 제2 포트 삽입관(64)은 제2 노즐(67)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포트 삽입관(63)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포트 삽입관(64)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포트 삽입관(63)은 제1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상부 포트 삽입관(63a) 및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은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제1상부 포트 삽입관(63a)은 상기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포트 삽입관(63a)은 상기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은 제1 하부 노즐(66b)과 연통되고, 제1 상부 포트 삽입관(63a)은 제1 상부 노즐(66a)과 연통된다. 제1 상부 포트 삽입관(63a)과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포트 삽입관(64)은 제2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 및 제2 하부 포트 삽입관(6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4b)은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은 상기 제2 하부 포트 삽입관(64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은 상기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부 포트 삽입관(64b)은 제2 하부 노즐(67b)과 연통되고,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은 제2 상부 노즐(67a)과 연통된다.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과 제2 하부 포트 삽입관(64b)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2 노즐(66, 67)의 상부 노즐(66a, 67a) 및 제1, 2 포트 삽입관(63, 64)의 상부 포트 삽입관(63a, 64a)은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2 노즐(66, 67)의 하부 노즐(66b, 67b) 및 제1, 2 포트 삽입관(63, 64)의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은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드럼(40)에 수용된 세탁물에 원활히 물을 분사하고, 드럼(40)의 어느 위치에 있는 세탁물에도 골고루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하부 노즐(66b, 67b)과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 사이의 거리는, 상부 노즐(66a, 67a)과 상기 수평선(OH)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과 상기 수평선(OH) 사이의 거리는, 상부 포트 삽입관(63a, 64a)과 상기 수평선(OH)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드럼(40)에 수용된 세탁물은 중력에 의해 드럼(40) 내부의 하측에 쌓이고, 하부 노즐(66b, 67b)은 드럼(40)에 수용된 세탁물에 원활히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개스킷(60)의 최저점으로부터 상당 높이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하부 노즐(66b, 67b), 개스킷(60)의 중심(O) 및 개스킷(60)의 최저점이 이루는 각도는 45도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은 개스킷(60)의 중심(O) 및 개스킷(60)의 최저점이 이루는 각도는 45도 이상일 수 있다.
드럼(40)에 수용된 세탁물에 골고루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상부 노즐(66a, 67a)은 하부 노즐(66b, 67b)과 상당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부 노즐(66a, 67a) 및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직선과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부 포트 삽입관(63a, 64a) 및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직선과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이상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개스킷의 내주면(62)에는 포트 삽입관(63, 64)에 대응되는 부위에 돌출부(65)가 내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65)에 노즐(66)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5)는 제1 상, 하부 포트 삽입관(63a, 63b) 및 제2 상, 하부 포트 삽입관(64a, 64b)에 대응되는 부위에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내지 제4 돌출부(65a, 65b, 65c, 65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돌출부(65a, 65b, 65c, 65d)에는 각각 제1 상, 하부 노즐(66a, 66b) 및 제2 상, 하부 노즐(67a, 67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개스킷(60)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에 인접한 부분보다 내측으로 들어간 함몰부(610)를 포함한다. 함몰부(610)에는 분배관(80)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한다. 함몰부(610)에는 이송관로(81, 82)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610)는 함몰부(610)의 전방측으로 인접한 부분보다 내측으로 들어가게 형성된다. 함몰부(610)는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에 주변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융기부(61d)가 형성되고, 융기부(61d)의 일측(후방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에 리브(615)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615)는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개스킷(6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리브(615)는 개스킷(60) 바디의 외주면(61)의 접선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분배관(80)은 적어도 일부분이 리브(615)에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배관(80) 중 이송관로(81, 82)의 적어도 일부분이 리브(615)에 접촉할 수 있다. 분배관(80)은 적어도 일부분이 함몰부(610)에 위치하기 때문에, 리브(615)는 함몰부(6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분배관(80)은, 펌프(70)로부터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관로(81, 82)와, 이송관로(81, 82)로부터 개스킷(60) 측으로 돌출되고 포트 삽입관(63, 64)과 결합되는 토출포트(83, 84)를 포함한다. 또한, 분배관(80)은 펌프(70)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85)를 포함할 수 있고, 이송관로(82)는 유입포트(85)를 통해 유입된 물을 토출포트(83, 84)로 안내할 수 있다.
분배관(80)의 이송관로(81, 82)는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에 배치된다. 분배관(80)은 토출포트(83, 84)가 포트 삽입관(63, 64)에 삽입되어 개스킷(60)에 결합될 수 있다. 분배관(80)의 이송관로(81, 82)는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 및 밸런서(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분배관(80)은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이 설치될 수 있다.
분배관(80)은 개스킷(60)보다 경질 또는 경직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배관(80)은 세탁기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써, 특히, 터브(30)의 진동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지는 유연성의 개스킷(60)과 비교할 시, 분배관(80)은 상대적으로 강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순환관(86)은 터브(30)의 진동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유연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분배관(80)은 순환관(86)보다 경질 또는 경직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배관(80)은, 대략적으로 상측부(88)가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분배관(80)은 펌프(70)로부터 펌핑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85)와, 상기 유입된 물을 드럼(40) 내부로 분사되도록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토출포트(83, 84)와 상기 유입포트(85)와 토출포트(83, 84)를 연결하는 이송관로(81, 82)를 구비하고, 이송관로(81, 82)의 좌측 관로부(81)의 일단과 우측 관로부(82)의 일단은 유입포트(85)가 구비된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좌측 관로부(81)의 타단과 상기 우측 관로부(82)의 타단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송관로(81, 82)의 하측부에 유입포트(85)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분배관(80)의 좌, 우측에 각각 토출포트(83, 84)가 내측방향(또는, 개스킷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포트(85)와 펌프(70)에 형성된 순환포트(78) 사이에 순환관(86)이 배치되어, 터브내의 세탁수가 상기 순환관(86)을 통하여 상기 유입포트(85)로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포트(83, 84)는, 개스킷(60)의 상부 포트 삽입관(63a, 64a)과 결합하는 상부 토출포트(83a, 84a)와, 개스킷(60)의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과 결합하는 하부 토출포트(83b, 8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토출포트(83a, 84a)와 하부 토출포트(83b, 84b)는 이송관로(81, 82)로부터 개스킷 바디(61, 62) 측으로 돌출되되, 서로 나란하게(또는, 평행한 방향이라고도 함.) 돌출될 수 있다. 상부 토출포트(83a, 84a)와 하부 토출포트(83b, 84b)는 개스킷의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과 나란하게 돌출될 수 있다.
유입포트(85)는 복수의 토출포트(83, 84) 중 어느 것보다도 하측에서 이송관로(81, 82)와 연결된다. 유입포트(85)는 하부 토출포트(83b, 84b)보다 하측에서 이송관로(81, 82)와 연결된다.
이송관로(81, 82)는, 유입포트(85)를 기준으로 이송관로(81, 82)의 좌측부를 형성하는 제1 관로부(81)와, 우측부를 형성하는 제2 관로부(82)를 포함한다. 제1 관로부(81)와 제2 관로부(82)는 하측에서 서로 연결되고, 제1, 2 관로부가 서로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유입포트(85)가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송관로(81, 82)는 유입포트(85)로부터 유입된 순환수를 분지시켜, 제1 부분류(제1 관로부(81)를 따라 흐르는 물)와 제2 부분류(제2 관로부(82)를 따라 흐르는 물)를 형성시킨다. 제1 부분류는 제1 노즐(66)을 통해 드럼(40) 내로 분사될 수 있고, 제2 부분류는 제2 노즐(67)을 통해 드럼(40) 내로 분사될 수 있다.
이송관로(81, 82)는 개스킷(60)과 밸런서(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관로(81, 82)는 내측면이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과 대향되고, 외측면이 밸런서(90)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이송관로(81, 82)는, 전체적으로 중심각의 크기가 180도 이상인, 상측이 개구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관로(82)는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관로부(81)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관로부(8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관로부(81)와 제2 관로부(82)는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배관(80)은, 이송관로(81, 82)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에 배치되고, 토출포트(83, 84)가 포트 삽입관(63, 64)에 삽입되어, 개스킷(60)과 결합할 수 있다. 토출포트(83, 84)은 이송관로(81, 82)로부터 개스킷 바디(61, 62) 측으로 돌출되고, 포트 삽입관(63, 64)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분배관(80)과 개스킷(60) 사이에 결합공간이 필요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이송관로(81, 82)는, 하부 토출포트(83b, 84b)가 배치된 부분과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 62)을 이격시키기 위하여 독특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과 개스킷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 사이의 거리는, 상부 포트 삽입관(63a, 64a)과 개스킷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다. 따라서, 이송관로(81, 82)의 상부 토출포트(83a, 84a)가 배치된 부분(81a)은, 그 하측 부분(81c)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것으로써 토출포트(83a, 84a)와 포트 삽입관(63a, 64a)의 결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와달리, 이송관로(81, 82)의 하부 토출포트(83b, 84b)가 배치된 부분(81b)은, 그 하측 부분(81f)으로부터 어느 일측으로 절곡되는 것으로써 상기 결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이송관로(81, 82)는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이격된 부분(81b, 82b)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된 부분에 하부 토출포트(83b, 84b)를 배치할 수 있다. 제1 관로부(81)에 이격된 부분을 제1 부분(81b)이라 하고, 제2 관로부(82)에 이격된 부분을 제2 부분(82b)이라 할 수 있다. 제1 하부 토출포트(83b)는 상기 제1 부분(81b)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하부 토출포트(83b)는 상기 제2 부분(82b, 82b)로부터 돌출된다.
하부 토출포트(83b, 84b)와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가 결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송관로(81, 82)는 하측부(81f, 82f)의 상단에서 개스킷 바디(61, 8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 구간(81e, 82e)과, 절곡 구간(81e, 82e)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된 부분(81b)에 하부 토출포트(83b, 84b)를 배치할 수 있다.
이하, 이송관로(81, 82)의 전체 형상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송관로(81, 82)는 토출포트(83, 84, 이하 83이라고도 함)가 배치되는 포트 구간(81a, 81b, 82a, 82b)과 그 이외의 구간인 안내 구간(81c~81f, 82c~82f)으로 구분될 수 있다.
토출포트(83, 84)는 포트 구간(81a, 81b, 82a, 82b)으로부터 개스킷 바디(61, 62) 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포트 구간(81a, 81b, 82a, 82b)은 토출포트(83, 84)가 돌출되는 내측면을 구비한다. 토출포트(83, 84)는 포트 구간(81a, 81b, 82a, 82b)의 내측면으로부터 개스킷 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포트 구간(81a, 81b, 82a, 82b)의 내측면, 즉 후술하는 상부 포트 구간(81a, 82a)의 내측면과 하부 포트 구간(81b, 82b)의 내측면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포트 구간(81a, 81b, 82a, 82d)은 상부 포트 구간(81a, 82a), 하부 포트 구간(81b, 82b)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구간(81c~81f, 82c~82f)은 하부 안내 구간(81f), 절곡 구간(81e), 중간 안내 구간(81d) 및 상부 안내 구간(8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송관로(81, 82)의 형상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설명한다.
이송관로(81, 82, 이하 81이라고도 함)는 상부 토출포트(83a, 84a, 이하 83a라고도 함)가 배치되는 상부 포트 구간(81a, 82a, 이하 81a라고도 함)과, 상부 포트 구간(81a)의 하측에 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 안내 구간(81c, 82c, 이하 81c라고도 함)과, 상부 안내 구간(81c)의 하측에 하측으로 갈수록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멀어지는 중간 안내 구간(81d, 82d, 이하 81d라고도 함)과, 중간 안내 구간(81d)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포트 구간(81b, 82b 이하 81b라고도 함)과, 하부 포트 구간(81b)의 하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에 가까워지도록 꺽인 절곡 구간(81e, 82e, 이하 81e라고도 함)과, 절곡 구간(81e)의 하측으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 안내 구간(81f, 82f, 이하 81f라고도 함)을 구비한다.
이하, 이송관로(81, 82)의 형상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설명한다.
이송관로(81, 82)는 호 형상의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을 포함한다. 유입포트(85)는 하부 안내 구간(81f, 82f)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제1 관로부(81)의 하부 안내 구간(81f)과 제2 관로부(82)의 하부 안내 구간(82f)은 유입포트(85)가 배치되는 구간에서 서로 연결된다. 제1 관로부(81)의 하부 안내 구간(81f)은 개스킷 바디(61, 62)의 제1 영역의 외주면을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되고, 제2 관로부(82)의 하부 안내 구간(82f)은 개스킷 바디(61, 62)의 제2 영역의 외주면을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된다. 유입포트(85)를 통해 유입된 물은 좌, 우 양측으로 분지되어 상기 제1, 2 관로부(82)의 하부 안내 구간(81f, 82f)에 의해 상측으로 안내된다.
이송관로(81, 82)는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의 상단부에서 개스킷 바디(61, 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 구간(81e, 82e)을 포함한다.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의 상단부 및 절곡 구간(81e, 82e)의 하부 안내 구간(81f, 82f) 측 일단부는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과 접촉되고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의 타단부는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는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의 타단부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절곡 구간(81e, 82e)의 일단부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멀 수 있다.
이송관로(81, 82)는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이격된 하부 포트 구간(81b, 82b)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1, 2 부분은 상기 하부 포트 구간(81b, 82b)을 의미한다. 하부 포트 구간(81b, 82b)은 절곡 구간(81e, 82e)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이격된다. 하부 토출포트(83b, 84b)는 하부 포트 구간(81b, 82b)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이송관로(81, 82)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 사이에 하부 토출포트(83b, 84b)와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의 결합 공간이 마련된다.
이송관로(81, 82)는 적어도 일부분이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이격된 상부 포트 구간(81a, 8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포트(83a, 84a)는 상부 포트 구간(81a, 82a)으로부터 돌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과 개스킷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 사이의 거리는, 상부 포트 삽입관(63a, 64a)과 개스킷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다. 따라서,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과 개스킷 바디(61, 62)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 사이의 거리는, 상부 포트 삽입관(63a, 64a)과 상기 수직선(OV)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다. 이와 대응하여, 하부 포트 구간(81b, 82b)과 상기 수직선(OV) 사이의 거리는, 상부 포트 구간(81a, 82a)과 상기 수직선(OV) 사이의 거리보다 멀다.
이송관로(81, 82)는 하부 포트 구간(81b, 82b)과 상부 포트 구간(81a, 82a) 사이에 중간 안내 구간(81d, 82d) 및 상부 안내 구간(81c, 82c)을 포함한다. 중간 안내 구간(81d, 82d)은 하부 포트 구간(81b, 82b)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중간 안내 구간(81d, 82d)은 하부 포트 구간(81b, 82b)으로부터 개스킷 바디(61, 62)의 중심(O)에 해당하는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고, 개스킷 바디(61, 62)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안내 구간(81c, 82c)은 중간 안내 구간(81d, 82d)의 상단부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안내 구간(81c, 82c)은 중간 안내 구간(81d, 82d)의 상단부로부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을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 포트 구간(81a, 82a)은, 상부 안내 구간(81c, 82c)의 상단부에서 개스킷바디(61, 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포트 구간(81a, 82a)은 하단부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 62)과 접촉하더라도, 적어도 일부분이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부 포트 구간(81a, 82a)은 이송관로의 좌, 우 양측의 상단을 이루고, 제1 관로부의 상부 포트 구간(81a) 및 제2 관로부의 상부 포트 구간(82a)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이송관로(81)의 형상을 좌측 상단부터 반시계방향을 따라 자세히 설명한다.
이송관로(81)는 상부 포트 삽입관(63a, 64a, 이하 63a라고도 함)에 삽입되는 상부 토출포트(83a)가 배치되는 상부 포트 구간(8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포트 구간(81a)은 이송관로(81)의 상측 끝단을 이룰 수 있다.
상부 포트 구간(81a)은, 상부 토출 포트(83a)의 돌출방향과 수직한 내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토출 포트(83a)가 수평하게 돌출된 경우 상부 포트 구간(81a)은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과 평행한 내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포트 구간(81a)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측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외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송관로(81)는 상부 포트 구간(81a)의 하측에 호 형상의 상부 안내 구간(81c)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안내 구간(81c)은 중심각의 크기가 90도 미만인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안내 구간(81c)은 상부 포트 구간(81a)의 하측에서부터 개스킷(60)의 중심(O)에 해당하는 높이까지 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안내 구간(81c)의 최하측부는 접선이 수직선(OV)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상부 안내 구간(81c)의 중심각은 20° 내지 50° 범위일 수 있다. 상부 안내 구간(81c)의 상측에 상부 포트 구간(81a)이 배치되고, 이로부터 토출포트(83a)가 돌출되어 상부 노즐(66a)에 물을 공급하므로, 개스킷(60) 내주면(62) 상에서 상부 노즐(66a)이 배치되는 위치는 이와 대략 비슷할 수 있다.
이송관로(81)는 상부 안내 구간(81c)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중간 안내 구간(81d)을 구비할 수 있다. 중간 안내 구간(81d)은 상부 안내 구간(81c)의 하측에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안내 구간(81d)은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중간 안내 구간(81d)과 절곡 구간(81e)은 하부 포트 구간(81b)을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중간 안내 구간(81d)은, 상부 안내 구간(81c)의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거나, 상부 안내 구간(81c)으로부터 수직선(OV)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중간 안내구간(81d)은 후술하는 하부 포트 구간(81e)의 내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안내 구간(81d)은 하측으로 갈수록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중간 안내구간(81d)은 상부 안내 구간(81c)과 하부 포트 구간(81d)을 연결할 수 있다.
이송관로(81)는 중간 안내 구간(81d)의 하측에 하부 포트 구간(81b)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포트 구간(81b)은, 중간 안내 구간(81d)의 하측으로부터 중간 안내 구간(81d)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포트 구간(81a)과 하부 포트 구간(81b) 사이에 상부 안내 구간(81c)과 중간 안내 구간(81d)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송관로(81)는 토출포트(83)가 개스킷(60)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토출포트(83)가 개스킷(60)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개스킷(60)은 터브(30)와 케이싱(10)을 밀봉 및 연결하는 구성으로, 토출포트(83)가 삽입되어 이송관로(81)를 고정시키기에 두께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60)은 외주면(61)으로부터 돌출된 포트 삽입관(63, 64, 이하 63이라고도 함)을 구비하고, 토출포트(83)가 포트 삽입관(63)에 삽입됨으로써, 이송관로(81)가 개스킷(60)의 외주면(61)에 탈거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이송관로(81)의 내측면과 개스킷(60)의 외주면(61) 사이에 상기의 포트 삽입관(63)이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상부 포트 구간(81a)은 상부 안내 구간(81c)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개스킷(60)의 외주면(61)과 멀어지는 내측면을 구비하고, 하부 포트 구간(81b)은 중간 안내 구간(81d)과 절곡 구간(81e)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하부 포트구간(81b)과 개스킷의 외주면(61) 사이에 하부 토출포트(83b, 84b, 이하 83b라고도 함) 및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 이하 63b 라고도 함)이 배치될 공간이 마련된다.
하부 포트 구간(81b)은 하부 토출 포트(83b)가 돌출된 방향과 수직한 내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포트 구간(81b)은 상기 내측면과 평행한 외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송관로(81)는 하부 포트 구간(81b)의 하측에, 하측으로 갈수록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꺽인 절곡 구간(81e)을 구비할 수 있다. 절곡 구간(81e)은 하부 포트 구간(81b)과 후술하는 하부 안내 구간(81f) 사이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이송관로(81)는 절곡 구간(81e)의 하측으로 호 형상의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은 이송관로(81, 82)의 하부를 형성한다.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은, 이송관로(81, 82)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절곡 구간(81e)으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을 지나 이송관로(81, 82)의 우측부에 위치하는 절곡 구간(82e)까지 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로부(81)의 하부 안내 구간(81f)과 제2 관로부(82)의 하부 안내구간(82f)은 이송관로(81, 82)의 하부, 즉 유입포트(85)가 형성된 부분에서 서로 만나 하나의 하부 안내 구간(81f, 82f)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로부(81)와 제2 관로부(82)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이송관로(81, 82)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은 중심각의 크기가 180° 미만의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의 중심각은 120° 이상, 180° 미만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관로(81, 82)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송관로(81)의 우측부(82)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하부 안내 구간(82f)의 상측에 상측으로 갈수록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꺽인 절곡 구간(82e)과, 절곡 구간(82e)의 상측에 배치되는 하부 포트 구간(82b)과, 하부 포트 구간(82b)의 상측에 중간 안내 구간(82d)과, 중간 안내 구간(82d)의 상측에 호 형상의 상부 안내 구간(82c)과, 상부 안내 구간의 상측에 상부 포트 구간(82a)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 하부 포트 구간(81a, 81b, 82a, 82b)은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상부 안내 구간(81b, 82b)과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 하부 안내 구간(81b, 82b, 81f, 82f)이 개스킷의 외주면으로부터 개스킷의 외측방향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상, 하부 포트 구간(81a, 81b, 82a, 82b)과 개스킷(60) 외주면(61) 사이의 이격 거리가 상, 하부 안내 구간(81b, 82b, 81f, 82f)과 개스킷(60) 외주면(61)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분배관(80)과 터브(30) 전방면(31)에 배치되는 다른 구조물(예를들면 밸런서(90))의 간섭을 방지하면서도, 토출포트(83, 84)와 포트 삽입관(63, 64)이 결합되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관로(81, 82)는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관로부(81)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관로부(8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관로부(81)를 이루는 상부 포트 구간(81a), 상부 안내 구간(81c), 중간 안내 구간(81d), 하부 포트 구간(81b), 절곡 구간(81e) 및 하부 안내 구간(81f)을 각각 제1 상부 포트 구간(81a), 제1 상부 안내 구간(81c), 제1 중간 안내 구간(81d), 제1 하부 포트 구간(81b), 제1 절곡 구간(81e) 및 제1 하부 안내 구간(81f)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2 관로부(82)를 이루는 상부 포트 구간(82a), 상부 안내 구간(82c), 중간 안내 구간(82d), 하부 포트 구간(82b), 절곡 구간(82e) 및 하부 안내 구간(82f)을 각각 제2 상부 포트 구간(82a), 제2 상부 안내 구간(82c), 제2 중간 안내 구간(82d), 제2 하부 포트 구간(82b), 제2 절곡 구간(82e) 및 제2 하부 안내 구간(82f)이라 칭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이송관로(81)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스킷(60)과 동일한 중심(O)을 갖는 가상의 원(VO)을 정의할 수 있다.
상부 포트 구간(81a)은 가상의 원(VO)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상의 원(VO)과 가까워질 수 있다.
상부 안내 구간(81c)은 상기 가상의 원(VO)에 접할 수 있다. 상부 안내 구간(81c)은 상기 상부 포트 구간(81a)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가상의 원(VO)의 중심에 해당하는 높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안내 구간(81d)은 상기 가상의 원(VO)과 이격될 수 있다. 중간 안내 구간(81d)은 상부 안내 구간(81c)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는 곡선이거나, 상부 안내 구간(81c)의 하측부의 접선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포트 구간(81b)과 절곡 구간(81e)은 상기 가상의 원(VO)과 이격될 수 있다.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은 상기 가상의 원(VO)에 접할 수 있다. 하부 안내 구간(81f, 82f)은 상기 가상의 원(VO)의 최하지점에서 좌측부(81f)와 우측부(82f)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토출포트(83, 84)는 이송관로의 포트 구간(81a, 81b, 82a, 82b)으로부터 개스킷(60)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포트 삽입관(63, 64)에 삽입된다. 토출포트(83, 84)는 이송관로(81, 82)를 따라 유동하는 순환수를 노즐(66, 67)로 안내하여 드럼(40)내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토출포트(83, 84)의 직경은 포트 삽입관(63, 64)의 내측 직경(노즐(66, 67)과 연통되는 홀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토출포트(83, 84)가 포트 삽입관(63, 64)에 압입될 수 있다. 순환수가 토출포트(83, 84)로부터 노즐(66, 67)을 향하여 유동할 때, 반작용에 의해 포트 구간(81a, 81b, 82a, 82b)에 개스킷(60)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반작용 힘에 의해 분배관(80)이 개스킷(6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포트 삽입관(63, 64)은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고, 토출포트(83, 84)의 직경은 포트 삽입관(63, 64)의 내측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포트(83, 84)의 외경에는 둘레를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토출포트(83, 84)는, 제1 포트 구간(81a, 81b)으로부터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토출포트(83)와, 제2 포트 구간(82a, 82b)으로부터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토출포트(84)를 포함한다. 제1 토출포트(83)는 제1 포트 삽입관(63)에 삽입되어 순환수를 제1 노즐(66)로 안내하고, 제2 토출포트(84)는 제2 포트 삽입관(64)에 삽입되어 순환수를 제2 노즐(67)로 안내한다.
제1 토출포트(83)는,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에 삽입되는 제1 하부 토출포트(83b)와, 제1 상부 포트 삽입관(63a)에 삽입되는 제1 상부 토출포트(8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토출포트(83b)와 제1 상부 토출포트(83a)는 각각 제1 상부 포트 구간(81a)과 제1 하부 포트 구간(81b)으로부터 돌출되고, 각각 제1 상부 포트 삽입관(63a)과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에 삽입되어 제1 상부 노즐(66a)과 제1 하부 노즐(66b)로 순환수를 안내할 수 있다.
제2 토출포트(84)는, 제2 하부 포트 삽입관(64b)에 삽입되는 제2 하부 토출포트(84b)와,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에 삽입되는 제2 상부 토출포트(8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토출포트(84b)와 제2 상부 토출포트(84a)는 각각 제2 상부 포트구간(82a)와 제2 하부 포트 구간(82b)로부터 돌출되고, 각각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과 제2 하부 포트 삽입관(64b)에 삽입되어 제2 상부 노즐(67a)과 제2 하부 노즐(67b)로 순환수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순환관(86)의 일단은 분배관(80)의 하부에서 돌출된 유입포트(85)와 연결되고, 타단은 펌프(70)의 순환포트(78)와 연결된다. 펌프(70)의 순환포트(78)가 유입포트(85)와 일직선상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경우, 순환관(86)은 일직선의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다만, 그 이외의 경우에는 순환관(86)이 유연한 재질의 호스로 형성되거나,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순환관(86)은 유연하되 형상이 유지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순환관(86)은 벨로우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30)의 전방면(31)에 배치되는 밸런서(90)를 포함한다. 밸런서(90)는 터브(30)의 전방면(31)에 체결될 수 있다. 밸런서(90)는 터브(30)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이다. 밸런서(90)는 터브(30)의 전방면(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밸런서(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밸런서(90)는 터브(30)의 전방면(31)에 좌, 우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제1 밸런서(91)와 제2 밸런서(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런서(91)는 개스킷(6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밸런서(92)는 개스킷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밸런서(91)와 제2 밸런서(91)는 상측 및 하측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2 밸런서(91, 92)는 서로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의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수직선(OV)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케이싱(10)과 터브(30)를 연결하는 개스킷(60)과, 드럼(40)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66, 67)과, 터브(30)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70)와, 펌프(70)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노즐(66, 67)로 안내하는 분배관(800)을 포함한다. 또한, 터브(30)의 전방면(31)에 배치되는 밸런서(90)와, 펌프(70)로부터 압송된 물을 분배관(800)으로 안내하는 순환관(8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비교하여 밸런서(90), 분배관(800), 순환관(860)의 구조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밸런서(90)는 터브(30)의 전방면(31)에 배치되고, 상하로 분리된 상부 밸런서(93) 및 하부 밸런서(94)를 포함한다. 상부 밸런서(93)는 개스킷(60)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부 밸런서(94)는 개스킷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부 밸런서(93)와 하부 밸런서(94)는 서로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배관(800)은 개스킷(60)을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분배관(801)과 제2 분배관(8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배관(801)은 펌프(70)로부터 압송된 물을 제1 노즐(66)로 공급하고, 제2 분배관(802)은 펌프(70)로부터 압송된 물을 제2 노즐(67)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분배관(801)과 제2 분배관(802)은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을 기준으로 서로 좌, 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분배관(801)과 제2 분배관(802)은 형상이 동일하고,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2 분배관(800) 각각은, 펌프(70)로부터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제1,2 이송관로(810, 820)와, 제1, 2 이송관로(810, 820)로부터 개스킷(60) 측으로 돌출되고 포트 삽입관(63, 64)과 결합되는 제1, 2 토출포트(830, 84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2 분배관(801, 802) 각각은 펌프(70)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제1, 2 유입포트(851, 8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2 이송관로(810, 820)는 각각 제1, 2 유입포트(851, 852)를 통해 유입된 물을 포트 삽입관(63, 64)으로 안내할 수 있다.
분배관(800)의 이송관로(801, 802)는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에 배치된다. 제1, 2 이송관로(80, 802) 각각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에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반대 편인 외측면을 구비한다.
분배관(800)은 토출포트(83, 84)가 포트 삽입관(63, 64)에 삽입되어 개스킷(6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분배관(801)은 제1 토출포트(83)가 제1 포트 삽입관(63)에 삽입되어 개스킷(60)에 결합되고, 제2 분배관(802)은 제2 토출포트(84)가 제2 포트 삽입관(64)에 삽입되어 개스킷(6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2 토출포트(83, 84)는 각각 제1, 2 이송관로(801, 80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2 유입포트(851, 852)는 이송관로(810, 82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송관로(801, 802)는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이격된 부분(810b, 820b)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된 부분에 하부 토출포트(83b, 84b)를 배치할 수 있다. 제1 이송관로(801)에 이격된 부분을 제1 부분(81b)이라 하고, 제2 이송관로(82)에 이격된 부분을 제2 부분(82b)이라 할 수 있다. 제1 하부 토출포트(83b)는 상기 제1 부분(81b)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하부 토출포트(83b)는 상기 제2 부분(82b, 82b)로부터 돌출된다.
제1, 2 이송관로(810, 8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대칭형으로 형성 및 배치되는 바, 이하 제1 이송관로(810)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 이송관로(8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관로(810)는 토출포트(830)가 배치되는 포트 구간(810a, 810b)과 유입포트(851)가 배치되는 유입 구간(810c)과, 그 이외의 구간인 안내 구간(810d~810e)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포트 구간(810a, 810b)은 상부 포트 구간(810a), 하부 포트 구간(810b)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구간(810d~810e)은 중간 안내 구간(810e) 및 상부 안내 구간(810d)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관로(810)는 상부 토출포트(830)가 배치되는 상부 포트 구간(810a)과, 상부 포트 구간(810a)의 하측에 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 안내 구간(810d)과, 상부 안내 구간(810d)의 하측에 하측으로 갈수록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멀어지는 중간 안내 구간(810e)과, 중간 안내 구간(810e)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포트 구간(810b)과, 하부 포트 구간(810b)의 하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에 가까워지도록 꺽이고 유입포트(851)가 배치되는 유입 구간(810c)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로(810) 중 상부 포트 구간(810a), 상부 안내 구간(810d), 중간 안내 구간(810e) 및 하부 포트 구간(810b)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로(81) 중 상부 포트 구간(81a), 상부 안내 구간(81c), 중간 안내 구간(81d) 및 하부 포트 구간(81b)과 각각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관로(810)는 하부 포트 구간(810b)의 하측에, 하측으로 갈수록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꺽인 유입 구간(810c)을 구비할 수 있다. 유입 구간(810c)에는 유입포트(851)가 배치될 수 있다.
유입구간(810c)은 상측으로 갈수록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유입구간(810c) 적어도 상단부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하부 포트 구간(810b)은 유입 구간(810c)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부 포트 구간(810b)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유입 포트(851)는 이송관로(810)의 외측면 중 유입 구간(810c), 즉 유입 구간(810c)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유입 포트(851)는 유입 구간(810c)의 외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이송관로(81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스킷(60)과 동일한 중심(O)을 갖는 가상의 원(VO)을 정의할 수 있다.
상부 포트 구간(810a)은 가상의 원(VO)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상의 원(VO)과 가까워질 수 있다.
상부 안내 구간(810d)은 상기 가상의 원(VO)에 접할 수 있다. 상부 안내 구간(810d)은 상기 상부 포트 구간(810a)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가상의 원(VO)의 중심에 해당하는 높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안내 구간(810e)은 상기 가상의 원(VO)과 이격될 수 있다. 중간 안내 구간(810e)은 상부 안내 구간(810d)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는 곡선이거나, 상부 안내 구간(810d)의 하측부의 접선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포트 구간(810b)과 유입 구간(810c)은 상기 가상의 원(VO)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토출포트(830) 및 토출포트(830)와 개스킷(60)의 결합관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순환관(860)은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제1 분배관(801)으로 안내하는 제1 순환관(861)과, 제2 분배관(802)으로 안내하는 제2 순환관(8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순환관(861)과 제2 순환관(862)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순환관(86)과 달리, 펌프(70)와 분배관(800)을 연결하는 유연한 재질의 호스일 수 있다.
펌프(70)는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두 개의 순환포트(780a, 780b)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순환포트는 제1, 2 순환관(861, 862)과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케이싱 30: 터브
40: 드럼 60: 개스킷
61: 외주면 62: 내주면
63, 64: 포트 삽입관 66, 67: 노즐
70: 펌프 80: 분배관
81, 82: 이송관로 81a, 82a: 상부 포트 구간
81b, 82b: 하부 포트 구간 81c, 82c: 상부 안내 구간
81d, 82d: 중간 안내 구간 81e, 82e: 절곡 구간
81f, 82f: 하부 안내 구간 83, 84: 토출포트
85: 유입포트 86: 순환관
90: 밸런서

Claims (20)

  1. 전방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전방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개구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스킷 바디와, 상기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포트 삽입관을 포함하는 개스킷;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공급하는 분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관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관로; 및
    상기 이송관로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포트 삽입관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토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포트 삽입관은, 상기 개스킷 바디를 좌, 우로 배분한 제1, 2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상부 포트 삽입관 및 제1 하부 포트 삽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포트는,
    상기 제1 상부 포트 삽입관과 결합되는 제1 상부 토출포트; 및
    상기 제1 하부 포트 삽입관과 결합되는 제1 하부 토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은,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보다 하측에 상기 이송관로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를 포함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개스킷 바디 중 제1 영역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관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로부는,
    상기 유입포트가 배치되는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외주면을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된 제1 하부 안내 구간;
    상기 제1 하부 안내 구간의 상단부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 구간; 및
    상기 제1 절곡 구간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하부 포트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으로부터 돌출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상부 포트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1 상부 포트 구간으로부터 돌출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포트 삽입관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상부 포트 삽입관은 상기 수평선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하부 포트 삽입관과 상기 수평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상부 포트 삽입관과 상기 수평선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운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상부 포트 구간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사이의 거리보다 먼 세탁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부는,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 및 제1 상부 포트 구간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이 호 형상으로 형성된 세탁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부는,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으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에 해당하는 높이까지 상측으로 연장된 제1 중간 안내 구간; 및
    상기 제1 중간 안내 구간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된 제1 상부 안내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포트 구간은, 상기 제1 상부 안내 구간의 상단부에서 상기 개스킷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안내 구간과 제1 하부 안내 구간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에 접하고,
    상기 제1 상부 포트 구간과 제1 하부 포트 구간은 상기 가상의 원에 이격되는 세탁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안내 구간과 제1 하부 안내 구간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세탁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안내 구간 및 제1 하부 안내 구간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상부 포트 구간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상부 안내 구간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하부 안내 구간과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큰 세탁기.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부는,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내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상, 하부 토출포트는, 각각 제1 상, 하부 포트 구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세탁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포트 구간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의 내측면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1 상부 토출포트 및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는 서로 평행하게 돌출된 세탁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 삽입관은, 상기 제2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2 상부 포트 삽입관 및 제2 하부 포트 삽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포트는,
    상기 제2 상부 포트 삽입관과 결합되는 제2 상부 토출포트; 및
    상기 제2 하부 포트 삽입관과 결합되는 제2 하부 토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세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개스킷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상, 하부 토출포트와 상기 제2 상, 하부 토출포트는 상기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세탁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은,
    상기 제1, 2 하부 토출포트보다 하측에 상기 이송관로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개스킷 바디 중 제1 영역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관로부; 및
    상기 개스킷 바디 중 제2 영역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 관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로부의 일단 및 제2 관로부의 일단은 상기 유입포트가 배치된 구간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관로부의 타단 및 제2 관로부의 타단은 서로 분리되는 세탁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은,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상기 제1 상, 하부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통되는 제1 상부 노즐 및 제1 하부 노즐로 공급하는 제1 분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배관은,
    상기 제1 영역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제1 이송관로;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이 유입되고,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보다 하측에 상기 제1 이송관로로부터 돌출되는 제1 유입포트; 및
    상기 제1 상, 하부 토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 하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1 이송관로로부터 돌출되는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관로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개스킷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적어도 상단부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유입 구간;
    상기 제1 유입 구간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하부 포트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입포트는 상기 제1 유입 구간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으로부터 돌출되는 세탁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관로는,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반대 편인 외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하부 토출포트는 상기 제1 하부 포트 구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유입포트는 상기 제1 유입 구간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세탁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은,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상기 제1 상, 하부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통된 제1 상부 노즐 및 제1 하부 노즐로 공급하는 제1 분배관; 및
    상기 펌프로부터 압송된 물을 상기 제2 상, 하부 포트 삽입관과 각각 연통된 제2 상부 노즐 및 제2 하부 노즐로 공급하는 제2 분배관을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190072392A 2018-06-27 2019-06-18 세탁기 KR20200001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72551A JP7200269B2 (ja) 2018-06-27 2019-06-25 洗濯機
PCT/KR2019/007664 WO2020004905A1 (en) 2018-06-27 2019-06-25 Washing machine
AU2019292271A AU2019292271B2 (en) 2018-06-27 2019-06-25 Washing machine
US16/455,078 US11168435B2 (en) 2018-06-27 2019-06-27 Washing machine
CN202210920917.8A CN115262179A (zh) 2018-06-27 2019-06-27 洗衣机
CN201910565943.1A CN110644190B (zh) 2018-06-27 2019-06-27 洗衣机
EP19182946.4A EP3594403A1 (en) 2018-06-27 2019-06-27 Washing machine
US17/505,232 US11840793B2 (en) 2018-06-27 2021-10-19 Washing machine
AU2023201429A AU2023201429A1 (en) 2018-06-27 2023-03-08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390 2018-06-27
KR20180074390 2018-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96A true KR20200001496A (ko) 2020-01-06

Family

ID=6915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392A KR20200001496A (ko) 2018-06-27 2019-06-18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40793B2 (ko)
JP (1) JP7200269B2 (ko)
KR (1) KR20200001496A (ko)
CN (1) CN115262179A (ko)
AU (2) AU2019292271B2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2833B (zh) 2009-08-24 2014-07-30 株式会社东芝 滚筒式洗衣机
KR101608657B1 (ko) * 2009-10-13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JP5493884B2 (ja) 2010-01-08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EP2634303B1 (en) 2010-01-08 2017-12-13 Panasonic Corporation Washing machine
JP5325861B2 (ja) 2010-09-28 2013-10-2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ES2598833T3 (es) 2011-04-14 2017-01-30 Lg Electronics Inc. Lavadora que comprende boquillas de pulverización
EP2623663B1 (en) 2012-02-06 2018-04-04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with drying duct comprising a nozzle
EP2719814A1 (en) * 2012-10-09 2014-04-16 Candy S.p.A.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enhanced detergent activation
KR20140140435A (ko) 2013-05-29 201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16136154A1 (ja) 2015-02-27 2016-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KR102378129B1 (ko) 2015-04-27 2022-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7217449B (zh) 2016-03-22 2020-05-2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观察窗垫喷淋装置及洗衣机
KR102523465B1 (ko) * 2017-11-09 202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0004905A1 (en) * 2018-06-27 2020-01-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92271B2 (en) 2022-12-08
AU2019292271A1 (en) 2021-02-18
US11840793B2 (en) 2023-12-12
AU2023201429A1 (en) 2023-04-06
JP2021529044A (ja) 2021-10-28
CN115262179A (zh) 2022-11-01
US20220034021A1 (en) 2022-02-03
JP7200269B2 (ja)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44192B (zh) 洗衣机
CN110644190B (zh) 洗衣机
EP3587655B1 (en) Washing machine
JP7343672B2 (ja) 洗濯機及び洗濯機の組立方法
KR20200001496A (ko) 세탁기
EP3587654B1 (en) Washing machine
KR102619143B1 (ko) 세탁기
KR20200001497A (ko) 세탁기
KR20200001494A (ko) 세탁기
JP7142732B2 (ja) 洗濯機及び洗濯機の組立方法
KR20210004684A (ko) 세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