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143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143B1
KR102619143B1 KR1020190013997A KR20190013997A KR102619143B1 KR 102619143 B1 KR102619143 B1 KR 102619143B1 KR 1020190013997 A KR1020190013997 A KR 1020190013997A KR 20190013997 A KR20190013997 A KR 20190013997A KR 102619143 B1 KR102619143 B1 KR 10261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tub
discharge
connector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965A (ko
Inventor
강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143B1/ko
Priority to EP20154872.4A priority patent/EP3690120B1/en
Priority to US16/779,242 priority patent/US11105035B2/en
Priority to EP21217982.4A priority patent/EP4008829B1/en
Publication of KR2020009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965A/ko
Priority to US17/400,716 priority patent/US1167425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5Counterweights mounted to the tub;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과 터브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스킷과, 상기 개스킷의 내주면 상에 구비되어 드럼내로 물을 분사하고, 상기 내주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2 노즐과,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터브의 전방면에 배치되되,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2 밸런서와,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제1, 2 노즐로 안내하는 순환수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수 공급관은, 상기 개스킷과 상기 제1, 2 밸런서 사이에 배치되고,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제1, 2 노즐로 안내하는 이송관로와, 상기 제1, 2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제1, 2 토출부로부터 상기 개스킷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1, 2 커넥터에 각각 삽입되는 제1, 2 토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밸런서는, 상기 제1, 2 밸런서에 대향하는 제1, 2 토출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2 토출포트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개스킷과 순환수 공급관을 클램프로 조여 체결하지 않아도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로부터 배출되어 순환관을 따라 순환된 물을 드럼내로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전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등 물리적 작용들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등(이하, '포'라고도 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포함한다. 최근의 세탁기는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순환 펌프를 이용하여 순환시키고, 이렇게 순환된 물을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 경우, 상기 순환 펌프에 순환수 공급관이 연결되어,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상기 순환수 공급관을 따라 안내되고, 이렇게 안내된 물이 다시 상기 노즐과 상기 순환수 공급관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노즐로 공급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공개특허공보 10-2018-0131894)는 순환수 공급관으로부터 순환수가 공급될 때, 순환수 공급관이 개스킷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순환수 공급괍의 노즐 급수포트를 개스킷의 포트 삽입관에 삽입한 뒤 클램프로 체결하였다.
그러나, 순환수 공급관과 개스킷의 조립시 좁은 공간에 클램프를 체결하는 번거로운 단계가 추가되고, 이는 기계로 수행할 수 없어 조립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클램프를 체결하기 위하여 순환수 공급관은 개스킷으로부터 적어도 클램프의 너비만큼 이격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순환수 공급관에 융기부를 구비하고 있었고, 상기 융기부와 밸런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에 배치되는 밸런서와 하측에 배치되는 밸런서를 분리하여 상하로 이격시키고, 상, 하측에 배치된 밸런서 사이에 융기부가 배치되어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18-013189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순환수 공급관이 개스킷으로부터 탈거되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순환수 공급관과 개스킷을 클램프로 체결하지 않고도 탈거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밸런서를 이용하여 순환수 공급관을 개스킷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크고 무거운 밸런서를 터브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개스킷과 터브를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드럼내로 분사하는 제1, 2 노즐로 안내하는 순환수 공급관을 포함한다.
상기 순환수 공급관은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수 공급관은 유입된 물을 상기 제1, 2 노즐로 안내하는 이송관로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로는, 터브 전방면의 좌, 우 양측에 배치된 제1, 2 밸런서와 개스킷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제1, 2 노즐과 연통된 홀이 형성된 제1, 2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제1, 2 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수 공급관은 제1, 2 토출부로부터 상기 개스킷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2 토출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2 토출포트는 상기 제1, 2 커넥터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제1, 2 토출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1, 2 밸런서에 대향된다.
상기 제1, 2 밸런서는 상기 제1, 2 토출포트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상기 제1, 2 토출부의 외측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개스킷의 내주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2 토출포트는 상기 제1, 2 토출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2 밸런서 사이의 이격된 거리보다 적어도 두 배 이상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제1, 2 토출부가 상기 개스킷의 내주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밸러서는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호 형의 내측 둘레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2 밸런서의 내측 둘레면은 상기 순환수 공급관의 토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측으로 말려진 입구 둘레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터브의 입구 둘레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세탁기는 상기 터브 결합부에 위치하고 철사로 형성된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브와 개스킷은 상기 클램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제1, 2 토출부를 연결하는 관로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관로부와 상기 제1, 2 밸런서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클램프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1, 2 토출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2 밸런서 각각의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클램브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 2 노즐 각각은, 상기 개스킷의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1, 2 하부 노즐과, 상기 제1, 2 하부 노즐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1, 2 상부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하부 노즐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제1 하부 커넥터와, 상기 제1 상부 노즐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제1 상부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하부 노즐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제2 하부 커넥터와, 상기 제2 상부 노즐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제2 상부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포트는, 상기 제1 하부 커넥터에 삽입되는 제1 하부 토출포트와, 상기 제1 상부 커넥터에 삽입되는 제1 상부 토출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토출포트는, 상기 제2 하부 커넥터에 삽입되는 제2 하부 토출포트와, 상기 제2 상부 커넥터에 삽입되는 제2 상부 토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순환수 공급관에 유입된 물을 개스킷의 제1, 2 커넥터로 안내하는 이송관로가 제1, 2 밸런서와 개스킷 사이에 배치되어, 순환수 공급관이 개스킷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1, 2 밸런서가 제1, 2 커넥터에 삽입되는 제1, 2 토출포트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제1, 2 토출부의 외측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개스킷과 순환수 공급관을 클램프로 조여 체결하지 않아도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터브와 개스킷을 철사로 형성된 클램프로 고정하고, 이송관로의 관로부와 제1, 2 밸런사 사이의 이격거리를 상기 클램프의 직경보다 크게 배치하여 밸런서를 터브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개스킷과 터브를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순환수 공급관 및/또는 개스킷의 서비스시 사용자의 거주지 등에서 크고 무거운 밸런서를 분리한 뒤 개스킷을 터브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밸런서는 터브에 부착된 상태로 개스킷을 터브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개스킷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순환수 공급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터브, 개스킷, 순환수 공급관 및 밸런서의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30)와, 상기 터브(30)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50, 이하 '구동부'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의 전방면에는, 세탁물 투입구(12)가 형성된 전방패널(11)이 배치되고,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20)가 배치되며, 세제가 투입되는 디스펜서(1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내부에는 급수밸브(15), 급수관(16), 급수호스(17)가 설치되어, 급수시 급수밸브(15), 급수관(16)을 통과한 세탁수는 디스펜서(14)에서 세제와 혼합된 다음, 급수호스(17)를 통하여 터브(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급수밸브(15)에 직수 공급관(18)이 연결되어 직수 공급관(18)을 통하여 세탁수가 세제와 혼합되지 않고 터브(30)내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펌프(70)와 순환수 공급관(80)이 설치되고, 상기 펌프(70)와 터브(30)는 배출 호스(72)로 연결되고, 상기 순환수 공급관(80)과 상기 펌프(70)는 직결되거나 연결관(86)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70)가 작동되면 터브(30)내에 저장된 세탁수가 순환수 공급관(80)을 통하여 드럼(40)내부로 분사되어 순환될 수 있다. 상기 펌프(70)는 배수관(74)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관(74)을 통하여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70)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와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나, 이와 달리 배수펌프 및 순환펌프가 별개로 설치될 수 있고, 배수펌프와 순환펌프가 별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배수펌프에 상기 배수관(74)이 연결되고 순환펌프에 상기 연결관(86)이 연결됨이 당연하다.
한편, 상기 터브(30)는 단일의 터브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2 터브체(30a, 30b)가 서로 체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2 터브체(30a, 30b)가 체결되어 터브(30)를 형성함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터브체(30a)를 단순히 '터브(30)'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터브(30)는 케이싱(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30)의 전방에는, 전방패널(11)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12)에 대응되도록 개구부(32, 도 4 참조)가 형성된다.
터브(30) 내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4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40)은 세탁물을 수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전방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대략 수평한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만, 여기서의 "수평"은 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로써 사용된 용어는 아니다. 즉,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중심선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역시 수직보다는 수평에 근접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평하다고 할 수 있다. 터브(30) 내의 물이 드럼(4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드럼(40)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4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리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터는 드럼(40)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드럼(40)의 회전시, 세탁물이 리프터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되는 것을 반복한다.
드럼(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5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이 터브(30)의 후면부를 통과하여 드럼(40)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50)는 직결식 세탁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 모터는 터브(30)의 후방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은 로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케이싱(10)과 터브(30)를 연결하는 개스킷(60)과, 드럼(40)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66, 67)과, 터브(30)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70)와, 터브(30)의 전방면(31)에 배치되는 밸런서(90)와, 펌프(70)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노즐(66, 67)로 안내하는 순환수 공급관(80)을 포함한다. 또한, 펌프(70)로부터 압송된 물을 순환수 공급관(80)으로 안내하는 연결관(86)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66, 67)은 후술하는 개스킷(60)의 내주면(62)상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노즐(66, 67)은 상기 개스킷 내주면(62)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2 노즐(66, 67)을 포함한다. 제1 노즐(66)은 개스킷 내주면(62)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노즐(67)은 개스킷 내주면(62)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 노즐(66) 및 제2 노즐(67)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노즐(66) 및 제2 노즐(67)은 각각 두개씩 구비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노즐(66)은 개스킷(60)의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하부 노즐(66b)과, 상기 제1 하부 노즐(66b)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상부 노즐(66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노즐(66a)은 상기 개스킷(60)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노즐(67)은 개스킷(60)의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하부 노즐(67b)과, 상기 제2 하부 노즐(67b)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 노즐(67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노즐(67a)은 상기 개스킷(60)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2 하부 노즐(66b, 67b)은 드럼(40) 내로 순환수를 분사하되, 상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제1, 2 상부 노즐(66a, 67a)은 드럼(40) 내로 순환수를 분사하되, 하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순환수란, 터브(30)로부터 배출되어 펌프(70)에 의해 압송되고, 순환수 공급관(80)으로 안내되고, 노즐(66, 67)을 통해 드럼(40) 내로 분사되는 물을 의미한다.
개스킷(60)에는 드럼(40) 내로 물을 분사하는 직수 노즐이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를 통해 공급된 물을 직수 노즐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관(18)이 구비될 수 있다. 직수 노즐은 와류 노즐 또는 분무 노즐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직수 노즐은, 전방에서 바라볼 시, 수직선(OV)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2)는 직수 노즐보다 더 드럼(40)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직수 노즐을 통해 분사된 수류가 윈도우(22)에 닿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윈도우(22)가 세척되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개스킷(60)은 케이싱(10)의 세탁물 투입구(12)와 터브(30)의 개구부(32)를 연결하는 통로(60P)를 형성한다. 개스킷(60)의 중심방향을 향하는 내측 둘레면을 내주면(62)이라 하고, 이와 반대편의 외측 둘레면을 외주면(61)이라 할 수 있다.
개스킷(60)의 내주면(62)은 상기 세탁물 투입구(12)와 상기 개구부(32)를 연결하는 통로(60P)를 형성한다. 개스킷(60)의 외주면(61)은 밸런서(90)의 내측 둘레면(90a)과 대향될 수 있다. 개스킷(60)의 외주면(61)은 순환수 공급관(80)과 대향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투입구(12)를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의 투입구 테두리와 상기 개구부(32)를 형성하는 터브(30)의 테두리 사이에 개스킷(60)이 배치되어, 상기 터브(30)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30)로부터 누설됨이 방지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개스킷(60)은 고무와 같은 유연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그 대략적인 형상이 원통형의 실린더 형상(이하, 관상이라고도 함.)으로 형성되어, 개스킷(60)의 전방 가장자리가 전방패널(11)의 상기 투입구 테두리에 연결되고, 개스킷의 후방 가장자리가 터브(30)의 상기 개구부 테두리에 연결되어, 개스킷(60)의 전, 후방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바디부(61, 62)는 세탁물 투입 통로를 형성하고, 터브와 전방패널 사이가 밀봉되고, 도어(20)가 닫히는 경우, 도어(20)와 개스킷(60)의 선단부가 밀착되어, 도어(20)와 개스킷(60) 사이가 밀봉되므로, 세탁수의 누설이 방지된다.
개스킷(60)은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로 연장되는 관상의 형태이다. 개스킷(60)의 상기 전단부는 케이싱(10)에 고정되고, 상기 후단부는 터브(30)의 입구 둘레(33)에 고정된다. 개스킷(60)은 유연한 또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60)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개스킷(60)의 관상의 형태의 내측을 한정하는 부분을 개스킷의 내주부(62, 또는, 내주면)이라 할 수 있고, 그 반대쪽 부분을 개스킷(60)의 외주부(61, 또는, 외주면)이라고 할 수 있다.
개스킷(60)은 케이싱(10)의 투입구(12) 둘레에 결합되는 케이싱 결합부(미도시)와, 터브(30)의 입구 둘레(33)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68)와, 케이싱 결합부와 터브 결합부(68) 사이에서 연장되는 바디부(61, 6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와 터브 결합부(68)는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바디부는 케이싱 결합부와 연결되는 환형의 전단부로부터 터브 결합부(68)와 연결되는 환형의 후단부를 갖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로 연장되는 관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패널(11)은 투입구(12)의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케이싱 결합부가 끼워질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케이싱 결합부가 투입구(12) 둘레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터브(30)는 터브(30)의 개구부(32)를 형성하는 입구 둘레(33)가 전방면(31)으로부터 돌출되어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터브 결합부(68)가 끼워진다. 터브 결합부(68)에는 철사로 형성된 클램프(36)가 감기는 환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의 터브 결합부(68)가 터브의 입구 둘레(33)에 결합되고, 상기 홈을 따라 클램프(36)가 감겨진 후, 클램프(36)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터브 결합부(68)가 터브(30)의 입구 둘레(33)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케이싱 결합부는 전방패널(11)에 고정되나, 터브 결합부(68)는 터브(30)의 움직임에 따라 변위된다. 따라서, 바디부는 터브 결합부(68)의 변위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스킷(60)은, 케이싱 결합부와 터브 결합부(68) 사이 구간(또는, 바디부)에, 터브(30)가 편심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철되는 접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노즐(66, 67)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커넥터(63, 64)를 구비한다. 커넥터(63, 64)는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토출포트(83, 84)가 커넥터(63, 64)에 삽입되고, 커넥터(63, 64)는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순환수 공급관(80)으로부터 노즐(66, 67)로 공급되는 물이 커넥터(63, 64)와 토출포트(83, 84)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63, 64)는 전술한 노즐(66, 67)과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노즐(66, 67)과 같은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63, 64)는 제1 노즐(66)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제1 커넥터(63)와 제2 노즐(67)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제2 커넥터(64)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는 개스킷 외주면(61)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커넥터(64)는 개스킷 외주면(61)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63)는 개스킷(60)의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하부 커넥터(63b)와, 상기 제1 하부 커넥터(63b)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상부 커넥터(6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커넥터(63a)는 상기 개스킷(60)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커넥터(63b)는 제1 하부 노즐(66b)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상부 커넥터(63a)는 제1 상부 커넥터(63a)와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넥터(64)는 개스킷(60)의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하부 커넥터(64b)와, 상기 제2 하부 커넥터(64b)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 커넥터(6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커넥터(64a)는 상기 개스킷(60)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부 커넥터(64b)는 제2 하부 노즐(67b)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상부 커넥터(64a)는 제2 상부 커넥터(64a)와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개스킷의 내주면(62)에는 커넥터(63, 64)에 대응되는 부위에 돌출부(65)가 내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65)에 노즐(66)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5)는 제1 상, 하부 커넥터(63a, 63b) 및 제2 상, 하부 커넥터(64a, 64b)에 대응되는 부위에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내지 제4 돌출부(65a, 65b, 65c, 65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돌출부(65a, 65b, 65c, 65d)에는 각각 제1 상, 하부 노즐(66a, 66b) 및 제2 상, 하부 노즐(67a, 67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순환수 공급관(80)은, 펌프(70)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81)와, 유입포트(8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커넥터(63, 64)로 안내하는 이송관로(82)와, 이송관로(82)로부터 개스킷(60)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커넥터(63, 64)에 삽입되는 토출포트(83, 84)를 포함한다.
순환수 공급관(80)은 개스킷(60)의 외주면(61)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수 공급관(80)은 개스킷(60)의 외주면(61) 및 밸런서(90)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써, 순환수 공급관(80)은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이 설치될 수 있다.
순환수 공급관(80)은 상측부(88)가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순환수 공급관(80)은 펌프(70)로부터 펌핑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81)와, 상기 유입된 물을 드럼(40) 내부로 분사되도록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토출포트(83, 84)와 상기 유입포트(81)와 토출포트(83, 84)를 연결하는 이송관로(82)를 구비하고, 이송관로(82)의 좌측 관로부(82a, 82b)의 일단과 우측 관로부(82c, 82d)의 일단은 유입포트(81)가 구비된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좌측 관로부(82a, 82b)의 타단과 상기 우측 관로부(82c, 82d)의 타단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송관로(82)의 하측부에 유입포트(81)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순환수 공급관(80)의 좌, 우측에 각각 토출포트(83, 84)가 내측방향(또는, 개스킷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포트(81)와 펌프(70)에 형성된 배출포트(78) 사이에 연결관(86)이 배치되어, 터브내의 세탁수가 상기 연결관(86)을 통하여 상기 유입포트(81)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포트(81)는 복수의 토출포트(83, 84) 중 어느 것보다도 하측에서 이송관로(82)와 연결된다.
이송관로(82)는 유입포트(81)으로부터 유입된 순환수를 분지시켜, 제1 부분류와 제2 부분류를 형성시킨다. 제1 부분류는 제1 노즐(66)을 통해 드럼(40) 내로 분사될 수 있고, 제2 부분류는 제2 노즐(67)을 통해 드럼(40) 내로 분사될 수 있다.
이송관로(82)는 개스킷(60)과 밸런서(90) 사이에 배치된다. 이송관로(82)는 내측면이 개스킷(60)과 대향되고, 외측면이 밸런서(90)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송관로(82)는 개스킷의 외주면(61)과 밸런서(90)의 내측 둘레면(91a, 92a) 사이에 배치된다. 이송관로(82)는 내측면이 개스킷의 외주면(61)과 대향되고, 외측면이 밸런서(90)의 내측 둘레면(91a, 92a)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1 토출부(85a, 85b)의 외측면(85e)은 제1 밸런서(91) (제1 밸런서의 내측 둘레면(91a))에 대향되고, 제2 토출부(85c, 85d)의 외측면(85e)은 제2 밸런서(92) (제2 밸런서의 내측 둘레면(92a))에 대향된다.
이송관로(82)는 개스킷(60)과 후술하는 제1, 2 밸런서(91, 92) 사이에 배치된다. 이송관로(82)는 커넥터(63, 64)에 대응하는 위치에 토출부(85)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63, 64)와 노즐(66, 67)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토출부(85) 또한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송관로(82)는 복수의 토출부(85)를 연결하는 관로부(82a~82d)를 구비한다.
이송관로(82)는, 제1 커넥터(63)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토출부(85a, 85b)를 구비하고, 제2 커넥터(64)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토출부(85c, 85d)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토출부(85a, 85b)는 이송관로(82)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토출부(85c, 85d)는 이송관로(82)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 토출부(85a, 85b)는, 제1 상부 커넥터(63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상측 토출부(85a)를 구비하고, 제1 하부 커넥터(63b)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하측 토출부(85b)를 구비한다. 제2 토출부(85c, 85d)는, 제2 상부 커넥터(64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상측 토출부(85c)를 구비하고, 제2 하부 커넥터(64b)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하측 토출부(85d)를 구비한다.
제1 상측 토출부(85a)는 이송관로(82)의 좌측 끝단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상측 토출부(85c)는 이송관로(82)의 우측 끝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송관로(82)는 상기 토출부(85a, 85b, 85c, 85d)가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관로(82)는 토출부(85)에서 밸런서(90)와 가장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토출부(85)는 밸런서(90)와 접촉하고, 이송관로(82)의 다른부분(후술하는 관로부(82a~82d))은 밸런서(90)와 이격될 수 있다.
관로부(82a~82d)는 이송관로(82)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관로부(82a, 82b)와 이송관로(82)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 관로부(82c, 8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로부(82a, 82b)는, 제1 상측 토출부(85a)와 제1 하측 토출부(85b)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상측 관로부(82a)와, 제1 하측 토출부(85b)와 유입포트(81)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하측 관로부(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로부(82c, 82d)는, 제2 상측 토출부(85c)와 제2 하측 토출부(85d)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상측 관로부(82c)와, 제2 하측 토출부(85d)와 유입포트(81)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하측 관로부(82d)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포트(83, 84)는 이송관로의 토출부(85)로부터 개스킷(60)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커넥터(63, 64)와 삽입된다. 토출포트(83, 84)는 이송관로(82)를 따라 유동하는 순환수를 노즐(66, 67)로 안내하여 드럼(40)내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토출포트(83, 84)의 직경은 커넥터(63, 64)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토출포트(83, 84)가 커넥터(63, 64)에 압입될 수 있다. 순환수가 토출포트(83, 84)로부터 노즐(66, 67)을 향하여 유동할 때, 반작용에 의해 토출부(85)에 개스킷(60)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반작용 힘에 의해 순환수 공급관(80)이 개스킷(6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63, 64)는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고, 토출포트(83, 84)의 직경은 커넥터(63, 64)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포트(83, 84)의 외경에는 둘레를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토출포트(83, 84)의 길이(83l, 84l)는 토출부(85)의 외측면(85e)과 밸런서(90)의 내측 둘레면(91a, 92a) 사이에 이격된 거리(D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토출포트의 길이(83l, 84l)는 토출부(85)의 외측면(85e)과 밸런서(90)의 내측 둘레면(91a, 92a) 사이에 이격된 거리(D1)보다 적어도 두 배 이상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터브(30)의 진동에 의해 유연한 재질의 개스킷(60)과 개스킷(60)에 설치된 순환수 공급관(80)은 진동할 수 있고, 터브(30)의 전면에 고정된 밸런서(90)와 상대적 거리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토출포트(83, 84)의 길이(83l, 84l)는 상기 이격 거리(D1)보다 적어도 두 배 이상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 하다.
토출포트(83, 84)는, 제1 토출부(85a, 85b)로부터 개스킷(60)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토출포트(83)와, 제2 토출부(85c, 85d)로부터 개스킷(60)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토출포트(84)를 포함한다. 제1 토출포트(83)는 제1 커넥터(63)에 삽입되어 순환수를 제1 노즐(66)로 안내하고, 제2 토출포트(84)는 제2 커넥터(64)에 삽입되어 순환수를 제2 노즐(67)로 안내한다.
제1 토출포트(83)는, 제1 하부 커넥터(63b)에 삽입되는 제1 하부 토출포트(83b)와, 제1 상부 커넥터(63a)에 삽입되는 제1 상부 토출포트(8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토출포트(83b)와 제1 상부 토출포트(83a)는 각각 제1 상측 토출부(85a)와 제1 하측 토출부(85b)로부터 돌출되고, 각각 제1 상부 커넥터(63a)와 제1 하부 커넥터(63b)에 삽입되어 제1 상부 노즐(66a)과 제1 하부 노즐(66b)로 순환수를 안내할 수 있다.
제2 토출포트(84)는, 제2 하부 커넥터(64b)에 삽입되는 제2 하부 토출포트(84b)와, 제2 상부 커넥터(64a)에 삽입되는 제2 상부 토출포트(8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토출포트(84b)와 제2 상부 토출포트(84a)는 각각 제2 상측 토출부(85c)와 제2 하측 토출부(85d)로부터 돌출되고, 각각 제2 상부 커넥터(64a)와 제2 하부 커넥터(64b)에 삽입되어 제2 상부 노즐(67a)과 제2 하부 노즐(67b)로 순환수를 안내할 수 있다.
연결관(86)의 일단은 순환수 공급관(80)의 하부에서 돌출된 유입포트(81)와 연결되고, 타단은 펌프(70)의 배출포트(78)와 연결된다. 펌프(70)가 배출포트(74)가 유입포트(81)와 일직선상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경우, 연결관(86)은 일직선의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다만, 그 이외의 경우에는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86)이 벤딩되어 형성된 경우, 연결관(86)은 일단이 순환수 공급관의 유입포트(81)와 연결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연결부, 제1 연결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터브(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 제2 연결부로부터 펌프측으로 절곡되는 제3 연결부 및 제3 연결부로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펌프(70)와 연결되는 제4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는 각각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관(86)은 유연하되 형상이 유지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 연결부는 벨로우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터브(30)의 전방면(31)에 밸런서(90)가 체결될 수 있다. 밸런서(90)는 터브(30)의 전방면(31) 및 개스킷(60)의 외측에 배치된다. 밸런서(90)는 터브(30)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밸런서(90)는 이송관로(82)의 토출부(85)의 외측면(85e)과 접촉되거나, 소정의 간격(D1)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간격(D1)이라 함은, 순환수 공급관(80)이 개스킷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토출포트(83, 84)의 길이(83l, 84l)보다 짧은 간격(D1)을 의미한다. 즉, 밸런서(90)는, 토출부(85)의 외측면(85e)으로부터 토출포트의 길이(83l, 84l)보다 짧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포트(83, 84)의 길이(83l, 84l)는 토출부(85)의 외측면(85e)과 밸런서(90) 사이의 이격된 거리(D1)보다 적어도 두 배 이상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포트(83, 84)로부터 순환수가 토출될 시의 수류압 또는 터브(30)의 진동에 의해 토출포트(83, 84)가 횡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토출부(85)가 밸런서(90)와의 접촉(또는, 간섭)되기 때문에 이동이 제지되며, 토출포트(83, 84)가 커넥터(63, 64)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토출포트의 길이(83l, 84l) 만큼 이동되기 전에 밸런서(90)와 간섭되기 때문에, 토출포트(83, 84)가 커넥터(63, 64)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밸런서(90)는 개스킷(6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밸런서(91)와 개스킷(6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밸런서(92)를 포함한다. 제1 밸런서(91)와 제2 밸런서(91)는 상측 및 하측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2 밸런서(91, 92)는 서로 개스킷(6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OV)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의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수직선(OV)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밸런서(91)는, 제1 밸런서(91)에 대향하는 제1 토출부(85a, 85b)의 외측면(85e)으로부터 제1 토출포트(83)의 길이(83l)보다 짧은 간격(D1)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 밸런서(92)는, 제2 밸런서(92)에 대향하는 제2 토출부(85c, 85d)의 외측면(85e)으로부터 제2 토출포트(84)의 길이(84l)보다 짧은 간격(D1)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2 밸런서(91, 92)의 내측 둘레면(91a, 92a)은 개스킷(60)의 외주면(61)과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내측 둘레면(91a, 92a)은 개스킷(60)의 외주면(61)과 대응하는 호 형으로 형성된다.
제1, 2 밸런서(91, 92)의 내측 둘레면(91a, 92a)은 순환수 공급관(80)의 토출부(85)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부(91b, 92b)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91b, 92b)는 전술한 순환수 공급관(80)이 개스킷(60)으로부터 분리될 때, 탈거되지 않도록 순환수 공급관(80)을 지지해 주는 부분일 수 있다.
지지부(91b, 92b)는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91b, 92b)는 관로부(82a~82d)와 토출부(85)의 반경 편차보다 작은 편차를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91b, 92b)가 오목하게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순환수 공급관(80)은 볼록하게 형성된 토출부(85)에서 밸런서(90)와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관로부(82a~82d)와 밸런서(90)의 이격거리(D2)는 토출부(85)와 밸런서(90)의 이격거리(D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2 밸런서(91, 92)는, 순환수 공급관(80)의 관로부(82a~82d)와 제1, 2 밸런서(91, 92) 사이의 이격거리(D2)가 클램프(36)의 직경(36D)보다 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개스킷(60) 또는 순환수 공급관(80)의 서비스시 터브(30)로부터 개스킷(60)을 분리할 경우, 클램프(36)가 관로부(82a~82d)와 밸런서(90) 사이에서 손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시 세탁기가 설치된 사용자의 거주지 등에서 크기가 크고 무거운 밸런서를 분리하여 방치할 필요 없이, 밸런서(90)가 터브(30)에 결합된 채로 개스킷(60)과 순환수 공급관(80)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지지부(91b, 92b)는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서비스시 클램프(36)가 토출부(85)와 밸런서(90) 사이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만, 관로부(82a~82d)와 밸런서(90) 사이의 이격거리(D2)와 달리 상기 제1, 2 토출부(85a, 85b, 85c, 85d)의 외측면(85e)과 상기 제2 밸런서(91, 92) 각각의 사이의 이격거리(D1)는 상기 클램프(36)의 직경(36D)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순환수 공급관(80)의 외측면은 관로부(82a~82d)가 차지하는 비율이 토출부(85)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크고, 개스킷(60)은 유연한 재질이기 때문에, 클램프(36)가 토출부(85)와 밸런서(90) 사이에서 걸리더라도, 개스킷(60)을 움직여 클램프(36)를 수월하게 빼낼 수 있고, 토출부(85)와 밸런서(90) 사이에서 클램프가 빠져나오면 클램프(36)를 세탁기로부터 분리하고, 개스킷(60)을 터브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케이싱 30: 터브
40: 드럼 60: 개스킷
63, 64: 커넥터 66, 67: 노즐
68: 터브 결합부 70: 펌프
80: 순환수 공급관 81: 유입포트
82: 이송관로 83, 84: 토출포트
85: 토출부 90: 밸런서

Claims (10)

  1. 전방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전방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개구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스킷;
    상기 개스킷의 상기 통로를 한정하는 내주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고, 상기 내주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2 노즐;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터브의 전방면 및 상기 개스킷의 외측에 배치되되,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2 밸런서;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제1, 2 노즐로 안내하는 순환수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제1 노즐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노즐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수 공급관은,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
    상기 개스킷과 상기 제1, 2 밸런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제1, 2 노즐로 안내하는 이송관로; 및
    상기 이송관로의 상기 제1, 2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제1, 2 토출부로부터 상기 개스킷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에 각각 삽입되는 제1, 2 토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런서는, 상기 제1 밸런서에 대향하는 제1 토출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토출포트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밸런서는, 상기 제2 밸런서에 대향하는 제2 토출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토출포트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개스킷의 내주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토출포트는 상기 제1, 2 토출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2 밸런서 사이의 이격된 거리보다 적어도 두 배 이상 길게 형성된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제1, 2 토출부가 상기 개스킷의 내주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밸런서는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호 형의 내측 둘레면을 구비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밸런서의 내측 둘레면은 상기 순환수 공급관의 토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하는 세탁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측으로 말려진 입구 둘레를 구비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터브의 입구 둘레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탁기는 상기 터브 결합부에 위치하고 철사로 형성된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와 개스킷은 상기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제1, 2 토출부를 연결하는 관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로부와 상기 제1, 2 밸런서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클램프의 직경보다 큰 세탁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제1, 2 토출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1, 2 밸런서 각각의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클램프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세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노즐 각각은, 상기 개스킷의 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1, 2 하부 노즐과, 상기 제1, 2 하부 노즐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1, 2 상부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하부 노즐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제1 하부 커넥터와, 상기 제1 상부 노즐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제1 상부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하부 노즐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제2 하부 커넥터와, 상기 제2 상부 노즐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제2 상부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토출포트는, 상기 제1 하부 커넥터에 삽입되는 제1 하부 토출포트와, 상기 제1 상부 커넥터에 삽입되는 제1 상부 토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토출포트는, 상기 제2 하부 커넥터에 삽입되는 제2 하부 토출포트와, 상기 제2 상부 커넥터에 삽입되는 제2 상부 토출포트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190013997A 2019-02-01 2019-02-01 세탁기 KR102619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997A KR102619143B1 (ko) 2019-02-01 2019-02-01 세탁기
EP20154872.4A EP3690120B1 (en) 2019-02-01 2020-01-31 Washing machine
US16/779,242 US11105035B2 (en) 2019-02-01 2020-01-31 Washing machine
EP21217982.4A EP4008829B1 (en) 2019-02-01 2020-01-31 Washing machine
US17/400,716 US11674258B2 (en) 2019-02-01 2021-08-12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997A KR102619143B1 (ko) 2019-02-01 2019-02-01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965A KR20200095965A (ko) 2020-08-11
KR102619143B1 true KR102619143B1 (ko) 2023-12-29

Family

ID=6942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997A KR102619143B1 (ko) 2019-02-01 2019-02-01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105035B2 (ko)
EP (2) EP4008829B1 (ko)
KR (1) KR1026191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657B1 (ko) * 2009-10-13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5861B2 (ja) * 2010-09-28 2013-10-2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5799200B2 (ja) * 2011-02-23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EP2719814A1 (en) 2012-10-09 2014-04-16 Candy S.p.A.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enhanced detergent activation
US9982381B2 (en) * 2014-08-19 2018-05-29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643584B1 (ko) * 2016-12-28 202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939085B1 (ko) 2017-06-01 2019-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992179B1 (ko) * 2019-01-07 2019-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657B1 (ko) * 2009-10-13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05035B2 (en) 2021-08-31
EP3690120A1 (en) 2020-08-05
EP4008829B1 (en) 2023-09-06
EP4008829A1 (en) 2022-06-08
KR20200095965A (ko) 2020-08-11
US11674258B2 (en) 2023-06-13
EP3690120B1 (en) 2022-01-05
US20210372027A1 (en) 2021-12-02
US20200283946A1 (en)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9121B2 (en) Washing machine
US11168435B2 (en) Washing machine
JP7343672B2 (ja) 洗濯機及び洗濯機の組立方法
KR102619143B1 (ko) 세탁기
US10934659B2 (en) Washing machine
EP3587654B1 (en) Washing machine
JP7200269B2 (ja) 洗濯機
JP7142732B2 (ja) 洗濯機及び洗濯機の組立方法
JP7213896B2 (ja) 洗濯機
KR20210004684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