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684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684A
KR20210004684A KR1020190081470A KR20190081470A KR20210004684A KR 20210004684 A KR20210004684 A KR 20210004684A KR 1020190081470 A KR1020190081470 A KR 1020190081470A KR 20190081470 A KR20190081470 A KR 20190081470A KR 20210004684 A KR20210004684 A KR 20210004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port
residual water
pip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룡
최영경
이현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684A/ko
Priority to PCT/KR2020/008483 priority patent/WO2021006517A1/ko
Priority to EP20836546.0A priority patent/EP3995621A4/en
Publication of KR2021000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1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 개스킷과 상기 복수의 노즐에 순환수를 공급하는 분배관을 포함하고, 개스킷은 개스킷 바디를 관통하는 잔수 배출구와 연통된 잔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분배관은 상기 잔수 배출관에 삽입되는 출입포트를 포함하여, 세탁 종료 시에는 개스킷 바디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회수하고, 세탁 중에는 상기 잔수 배출구로부터 순환수가 분사되어 도어의 윈도우를 세척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로부터 배출되어 순환관을 따라 순환된 물을 드럼 내로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등 물리적 작용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포함한다.
공개특허공보 10-2018-0131894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는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와,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 개스킷과, 상기 개스킷에 고정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는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개시하고 있는 세탁기는, 세탁 후 상기 개스킷에 물이 잔존하여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개스킷을 관통하는 잔수 배출구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잔수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간 물을 회수 또는 배수하기 위한 호스가 필요하고, 이러한 호스는 상기의 안내관과 간섭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스를 이용하여 잔수를 배출하는 경우, 세탁기의 조립시 작업공정 및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8-013189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스킷에 잔존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개스킷에 잔존하는 물을 배출하는 잔수 배출관과 복수의 노즐에 물을 안내하는 분배관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호스가 필요하지 않은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도어의 윈도우를 세척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전방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전방명에 개구부가 형성된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개구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스킷 바디와, 상기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과, 상기 개스킷 바디를 관통하는 잔수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잔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개스킷;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공급하는 분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분배관은,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관로; 상기 이송관로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에 물을 공급하는 복수의 토출포트; 및 상기 이송관로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 측으로 돌출된 출입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포트는 상기 잔수 배출관에 삽입된다.
상기 개스킷 바디는,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중앙부; 및 상기 하측 중앙부로부터 좌, 우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하부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잔수 배출구는 상기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잔수 배출구 및 상기 잔수 배출관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개스킷 바디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되는 림부; 상기 림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케이싱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경부; 및 상기 내경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케이싱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내경부보다 직경이 큰 외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수 배출구는 상기 외경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잔수 배출구는 상기 내경부의 상기 림부로부터 절곡된 부분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유입포트가 위치한 유입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출입포트는 상기 유입구간으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유입구간으로부터 상기 이송관로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포트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출입포트의 내경은 상기 유입포트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출입포트는, 상기 유입포트를 상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원통형 면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측 테두리를 이루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내측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윈도우는, 하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윈도우의 하측부는 상기 잔수 배출구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개스킷 바디에 상기 개스킷 바디를 관통하는 잔수 배출구가 형성되어 개스킷에 잔존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개스킷은 잔수 배출구와 연통된 잔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분배관은 잔수 배출관에 삽입되는 출입포트를 포함하여 잔수 배출관과 분배관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잔수를 회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개스킷은 잔수 배출구와 연통된 잔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분배관은 잔수 배출관에 삽입되는 출입포트를 포함하여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호스없이 잔수를 회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넷째, 출입포트를 유입포트가 위치한 유입구간에 배치하여,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잔수 배출구로 분사되어 도어의 윈도우를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개스킷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개스킷과 분배관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개스킷의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분배관의 사시도(a) 및 정면도(b)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2 도 1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30)와, 상기 터브(30)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50, 이하 '구동부'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의 전방면에는, 세탁물 투입구(12)가 형성된 전방패널(11)이 배치되고,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20)가 배치되며, 세제가 투입되는 디스펜서(1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내부에는 급수밸브(15), 급수관(16), 급수호스(17)가 설치되어, 급수시 급수밸브(15), 급수관(16)을 통과한 세탁수는 디스펜서(14)에서 세제와 혼합된 다음, 급수호스(17)를 통하여 터브(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급수밸브(15)에 직수 공급관(18)이 연결되어 직수 공급관(18)을 통하여 세탁수가 세제와 혼합되지 않고 터브(30)내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펌프(70)와 분배관(80)이 설치되고, 상기 펌프(70)와 터브(30)는 배출 호스(72)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관(80)과 상기 펌프(70)는 직결되거나 순환관(87)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70)가 작동되면 터브(30)내에 저장된 세탁수가 분배관(80)을 통하여 드럼(40)내부로 분사되어 순환될 수 있다. 상기 펌프(70)는 배수관(74)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관(74)을 통하여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펌프(70)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와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나, 이와 달리 배수펌프 및 순환펌프가 별개로 설치될 수 있고, 배수펌프와 순환펌프가 별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배수펌프에 상기 배수관(74)이 연결되고 순환펌프에 상기 순환관(87)이 연결됨이 당연하다.
한편, 상기 터브(30)는 단일의 터브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2 터브체(30a, 30b)가 서로 체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2 터브체(30a, 30b)가 체결되어 터브(30)를 형성함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터브체(30a)를 단순히 '터브(30)'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터브(30)는 케이싱(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30)의 전방에는, 전방패널(11)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12)에 대응되도록 개구부(32, 도 4 참조)가 형성된다.
터브(30) 내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4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40)은 세탁물을 수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전방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대략 수평한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만, 여기서의 "수평"은 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로써 사용된 용어는 아니다. 즉,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중심선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역시 수직보다는 수평에 근접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평하다고 할 수 있다. 터브(30) 내의 물이 드럼(4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드럼(40)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4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리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터는 드럼(40)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드럼(40)의 회전시, 세탁물이 리프터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되는 것을 반복한다.
드럼(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5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이 터브(30)의 후면부를 통과하여 드럼(40)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50)는 직결식 세탁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 모터는 터브(30)의 후방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은 로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케이싱(10)과 터브(30)를 연결하는 개스킷(60)과, 드럼(40)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66, 67, 도 6 참조.)과, 터브(30)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70)와, 펌프(70)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노즐(66, 67)로 안내하는 분배관(80)을 포함한다. 또한, 터브(30)의 전방면(31)에 배치되는 밸런서(90)와, 펌프(70)로부터 압송된 물을 분배관(80)으로 안내하는 순환관(8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및 도 9을 참조하면, 개스킷(60)은 케이싱(10)의 세탁물 투입구(12)와 터브(30)의 개구부(32)를 연결하는 통로(60P)를 형성하는 개스킷 바디(61, 62)를 포함한다. 개스킷(60) 바디(61, 62)의 중심방향을 향하는 내측 둘레면을 내주면(62)이라 하고, 이와 반대편의 외측 둘레면을 외주면(61)이라 할 수 있다.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62)은 상기 세탁물 투입구(12)와 상기 개구부(32)를 연결하는 통로(60P)를 형성한다.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은 밸런서(90)의 내측 둘레면과 대향될 수 있다. 개스킷(60) 바디의 외주면(61)은 분배관(80)과 대향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투입구(12)를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의 투입구(12) 테두리와 상기 개구부(32)를 형성하는 터브(30)의 개구부(32) 테두리 사이에 개스킷(60)이 배치되어, 상기 터브(30)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30)로부터 누설됨이 방지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개스킷(60)은 고무와 같은 유연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대략 원통형(이하, 관상이라고도 함.)으로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개스킷(60)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등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개스킷(60)의 전방 가장자리가 전방패널(11)의 상기 투입구(12) 테두리에 연결되고, 개스킷(60)의 후방 가장자리가 터브(30)의 상기 개구부(32) 테두리에 연결되어, 개스킷(60)의 전, 후방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바디(61, 62)는 세탁물 투입 통로(60P)를 형성하고, 터브와 전방패널 사이가 밀봉되고, 도어(20)가 닫히는 경우, 도어(20)와 개스킷(60)의 선단부가 밀착되어, 도어(20)와 개스킷(60) 사이가 밀봉되므로, 세탁수의 누설이 방지된다.
개스킷(60)은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로 연장되는 관상의 형태이다. 개스킷(60)의 상기 전단부는 케이싱(10)에 고정되고, 상기 후단부는 터브(30)의 입구 둘레(33)에 고정된다. 개스킷(60)은 유연한 또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60)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60)은 케이싱(10)의 투입구(12) 둘레에 결합되는 케이싱 결합부(68a)와, 터브(30)의 입구 둘레(33)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68b)와, 케이싱 결합부(68a)와 터브 결합부(68b) 사이에서 연장되는 개스킷 바디(61, 6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8a)와 터브 결합부(68b)는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바디부는 케이싱 결합부(68a)와 연결되는 환형의 전단부로부터 터브 결합부(68b)와 연결되는 환형의 후단부를 갖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로 연장되는 관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패널(11)은 투입구(12)의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케이싱 결합부(68a)가 끼워질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8a)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케이싱 결합부(68a)가 투입구(12) 둘레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터브(30)는 터브(30)의 개구부(32)를 형성하는 입구 둘레(33)가 전방면(31)으로부터 돌출되어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터브 결합부(68b)가 끼워진다. 터브 결합부(68b)에는 철사로 형성된 클램프가 감기는 환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의 터브 결합부(68b)가 터브의 입구 둘레(33)에 결합되고, 상기 홈을 따라 클램프가 감겨진 후, 클램프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터브 결합부(68b)가 터브(30)의 입구 둘레(33)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케이싱 결합부(68a)는 전방패널(11)에 고정되나, 터브 결합부(68b)는 터브(30)의 움직임에 따라 변위된다. 따라서, 개스킷 바디(61, 62)는 터브 결합부(68b)의 변위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스킷(60)은, 케이싱 결합부(68a)와 터브 결합부(68b) 사이 구간(또는, 개스킷 바디(61, 62))에, 터브(30)가 편심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철되는 접철부(61b, 이하 '내경부'라고도 함.)가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 바디(61, 62)는 케이싱(10, 또는 케이싱 결합부(68a))으로부터 터브(30, 또는 터브 결합부(68b))를 향해(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관상의 림부(61a)와, 림부(61a)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케이싱(10)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경부(61b)와, 상기 내경부(61b)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터브(30) 방향으로 연장되고, 림부(61a) 및 내경부(61b)보다 직경이 큰 외경부(61c)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40)은 회전 과정에서 진동(즉, 드럼(40)의 회전 중심선(도 2 참조)이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터브(30)의 중심선(대략, 드럼(40)의 회전 중심선과 동일 함.) 역시 이동하며, 이때의 이동 방향(이하, "편심 방향" 이라고 함.)은 반경 방향 성분을 갖는다.
내경부(61b)와 외경부(61c)의 전방측은 터브(30)가 편심 방향으로 이동할 시 접히거나 펼쳐진다. 터브(30)의 중심이 편심 방향으로 이동될 시, 내경부(61b)의 일부분이 접혀지면, 그 부분에서 내경부(61b)와 외경부(61c) 사이가 줄어들고, 반대로 내경부(61b)가 펼쳐지는 타 부분에서는 내경부(61b)와 외경부(61c) 사이가 벌어진다.
개스킷(60)은, 개스킷 바디(61, 62)의 전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구(12)의 외측에서 도어(20)의 배면과 밀착되는 외측 도어 밀착부(68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8a)는 외측 도어 밀착부(683)의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전술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개스킷 바디(61, 62)의 전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구(12)의 내측에서 도어(20)의 배면(바람직하게는, 윈도우(23))과 밀착되는 내측 도어 밀착부(6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도어(20)는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어(20)는 상기 도어의 외측 테두리를 이루고,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 프레임(21)을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21)은 중앙에 원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 프레임(21)에 형성된 원형의 홀에 위치하는 윈도우(22, 23)를 포함한다. 윈도우(22, 23)는 도어 프레임(21)과 결합한다. 윈도우(22, 23)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럼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윈도우(22, 23)는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전방측에 위치하는 외측 윈도우(22)와 후방측에 위치하는 내측 윈도우(23)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윈도우(22)는 사용자가 드럼(40)의 내부를 관찰할 때 시야의 왜곡을 줄이기 위해 평탄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평탄이란 완전히 평평한 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곡면을 이루되 꺽이지 않은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내측 윈도우(23)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외측 윈도우(22)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내측 윈도우(23)는 도어 프레임(21)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다. 즉 내측 윈도우(23)는 도어 프레임(21)과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한다.
내측 윈도우(23)는, 하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상측부(23a)와, 상기 상측부(23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측부(23b)를 포함한다. 또한, 내측 윈도우(23)는 상측부(23a)와 하측부(23b)를 둘러싸는 윈도우 둘레부(23c)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둘레부(23c)는 도어 프레임(21)과 결합된다. 윈도우 둘레부(23c)는 도어 프레임(2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사용자의 눈은 일반적으로 세탁물 투입구(12)보다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윈도우(22, 23)의 상측부분을 통해 드럼(40)의 내부를 관찰하게 된다. 따라서, 내측 윈도우(23)의 상측부(23a)는 하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되, 경사도가 급격하게 바뀌지 않게 경사진다. 또한, 내측 윈도우(23)의 상측부(23a)는 윈도우(22, 23)의 상하방향 중심보다 하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내측 윈도우(23)의 하측부(23b)는 터브의 전방면(31)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세탁이 진행됨에 따라 세탁수가 개스킷(60)의 전방부(즉, 림부(61a) 및 케이싱 결합부(68a))으로 튀는 것을 상당 정도 방지할 수 있다.
내측 윈도우(23)의 하측부(23b)는 후술하는 잔수 배출구(69h)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70)로부터 압송된 물이 잔수 배출구(69h)를 통해 내측 윈도우(23)를 향해 분사되어, 내측 윈도우(23)를 세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잔수 배출구(69h)로부터 토출된 물은 내측 윈도우(23)의 하측부(23b)와 윈도우 둘레부(23c)를 향해 분사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노즐(66, 67)은 개스킷(60)의 내주면(62)상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노즐(66, 67)은, 상부 노즐(66a, 67a)과 상부 노즐(66a, 67a)보다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노즐(66b, 6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노즐(66a, 67a)은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 노즐(66b, 67b)은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66, 67)은, 상기 개스킷 바디(61, 62)를 좌, 우로 배분한 제1, 2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노즐(66)과,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노즐(6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즐(66)은 개스킷 내주면(62)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노즐(67)은 개스킷 내주면(62)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노즐(66) 및 제2 노즐(67)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노즐(66) 및 제2 노즐(67)은 각각 두개씩 구비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노즐(66)은 상기 제1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상부 노즐(66a) 및 제1 하부 노즐(6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노즐(66b)은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제1 상부 노즐(66a)은 상기 제1 하부 노즐(66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노즐(66a)은 상기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노즐(67)은 상기 제2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2 상부 노즐(67a) 및 제2 하부 노즐(6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노즐(67b)는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상부 노즐(67a)은 상기 제2 하부 노즐(67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노즐(67a)은 상기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2 하부 노즐(66b, 67b)은 드럼(40) 내로 순환수를 분사하되, 상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제1, 2 상부 노즐(66a, 67a)은 드럼(40) 내로 순환수를 분사하되, 하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순환수란, 터브(30)로부터 배출되어 펌프(70)에 의해 압송되고, 분배관(80)으로 안내되고, 노즐(66, 67)을 통해 드럼(40) 내로 분사되는 물을 의미한다.
개스킷(60)에는 드럼(40) 내로 물을 분사하는 직수 노즐이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를 통해 공급된 물을 직수 노즐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관(18)이 구비될 수 있다. 직수 노즐은 와류 노즐 또는 분무 노즐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직수 노즐은, 전방에서 바라볼 시, 수직선(OV)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 윈도우(23)는 직수 노즐보다 더 드럼(40)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직수 노즐을 통해 분사된 수류가 내측 윈도우(23)에 닿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측 윈도우(22)가 세척되는 효과가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개스킷(60)은, 노즐(66, 67)과 연통되는 포트 삽입관(63, 64)을 구비한다. 포트 삽입관(63, 64)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토출포트(83, 84)가 포트 삽입관(63, 64)에 삽입되고, 포트 삽입관(63, 64)은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분배관(80)으로부터 노즐(66, 67)로 공급되는 물이 포트 삽입관(63, 64)과 토출포트(83, 84)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포트 삽입관(63, 64)은 전술한 노즐(66, 67)과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노즐(66, 67)과 같은 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포트 삽입관(63, 64)은, 개스킷 바디(61, 62)를 좌, 우로 배분한 제1, 2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포트 삽입관(63)과,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포트 삽입관(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트 삽입관(63)은 제1 노즐(66)과 연통되고, 제2 포트 삽입관(64)은 제2 노즐(67)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포트 삽입관(63)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포트 삽입관(64)은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포트 삽입관(63)은 제1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1 상부 포트 삽입관(63a) 및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은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제1상부 포트 삽입관(63a)은 상기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포트 삽입관(63a)은 상기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은 제1 하부 노즐(66b)과 연통되고, 제1 상부 포트 삽입관(63a)은 제1 상부 노즐(66a)과 연통된다. 제1 상부 포트 삽입관(63a)과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포트 삽입관(64)은 제2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는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 및 제2 하부 포트 삽입관(6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4b)은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은 상기 제2 하부 포트 삽입관(64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은 상기 개스킷(60)의 중심(O)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부 포트 삽입관(64b)은 제2 하부 노즐(67b)과 연통되고,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은 제2 상부 노즐(67a)과 연통된다.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과 제2 하부 포트 삽입관(64b)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2 노즐(66, 67)의 상부 노즐(66a, 67a) 및 제1, 2 포트 삽입관(63, 64)의 상부 포트 삽입관(63a, 64a)은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2 노즐(66, 67)의 하부 노즐(66b, 67b) 및 제1, 2 포트 삽입관(63, 64)의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은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드럼(40)에 수용된 세탁물에 원활히 물을 분사하고, 드럼(40)의 어느 위치에 있는 세탁물에도 골고루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하부 노즐(66b, 67b)과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 사이의 거리는, 상부 노즐(66a, 67a)과 상기 수평선(OH)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과 상기 수평선(OH) 사이의 거리는, 상부 포트 삽입관(63a, 64a)과 상기 수평선(OH)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드럼(40)에 수용된 세탁물은 중력에 의해 드럼(40) 내부의 하측에 쌓이고, 하부 노즐(66b, 67b)은 드럼(40)에 수용된 세탁물에 원활히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개스킷(60)의 최저점으로부터 상당 높이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하부 노즐(66b, 67b), 개스킷(60)의 중심(O) 및 개스킷(60)의 최저점이 이루는 각도는 45도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은 개스킷(60)의 중심(O) 및 개스킷(60)의 최저점이 이루는 각도는 45도 이상일 수 있다.
드럼(40)에 수용된 세탁물에 골고루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상부 노즐(66a, 67a)은 하부 노즐(66b, 67b)과 상당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부 노즐(66a, 67a) 및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직선과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부 포트 삽입관(63a, 64a) 및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직선과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OH)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이상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개스킷의 내주면(62)에는 포트 삽입관(63, 64)에 대응되는 부위에 돌출부(65)가 내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65)에 노즐(66)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5)는 제1 상, 하부 포트 삽입관(63a, 63b) 및 제2 상, 하부 포트 삽입관(64a, 64b)에 대응되는 부위에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내지 제4 돌출부(65a, 65b, 65c, 65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돌출부(65a, 65b, 65c, 65d)에는 각각 제1 상, 하부 노즐(66a, 66b) 및 제2 상, 하부 노즐(67a, 67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분배관(80)은, 펌프(70)로부터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관로(81, 82)와, 이송관로(81, 82)로부터 개스킷 바디(61, 62) 측으로 돌출되고 포트 삽입관(63, 64)과 결합되는 토출포트(83, 84)를 포함한다. 또한, 분배관(80)은 펌프(70)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85)를 포함할 수 있고, 이송관로(82)는 유입포트(85)를 통해 유입된 물을 토출포트(83, 84)로 안내할 수 있다.
분배관(80)은 토출포트(83, 84)가 포트 삽입관(63, 64)에 삽입되어 개스킷(60)에 결합될 수 있다. 분배관(80)의 이송관로(81, 82)는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에 배치된다. 이송관로(81, 82)는 개스킷(60)의 수용부(610)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 및 밸런서(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분배관(80)은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이 설치될 수 있다.
분배관(80)은 개스킷(60)보다 경질 또는 경직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배관(80)은 세탁기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써, 특히, 터브(30)의 진동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지는 유연성의 개스킷(60)과 비교할 시, 분배관(80)은 상대적으로 강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순환관(87)은 터브(30)의 진동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유연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분배관(80)은 순환관(87)보다 경질 또는 경직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배관(80)은, 대략적으로 상측부(88)가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분배관(80)은 펌프(70)로부터 펌핑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85)와, 상기 유입된 물을 드럼(40) 내부로 분사되도록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토출포트(83, 84)와 상기 유입포트(85)와 토출포트(83, 84)를 연결하는 이송관로(81, 82)를 구비하고, 이송관로(81, 82)의 좌측 관로부(81)의 일단과 우측 관로부(82)의 일단은 유입포트(85)가 구비된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좌측 관로부(81)의 타단과 상기 우측 관로부(82)의 타단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송관로(81, 82)의 하측부에 유입포트(85)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분배관(80)의 좌, 우측에 각각 토출포트(83, 84)가 내측방향(또는, 개스킷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포트(85)와 펌프(70)에 형성된 순환포트(78) 사이에 순환관(87)이 배치되어, 터브내의 세탁수가 상기 순환관(87)을 통하여 상기 유입포트(85)로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포트(83, 84)는, 개스킷(60)의 상부 포트 삽입관(63a, 64a)과 결합하는 상부 토출포트(83a, 84a)와, 개스킷(60)의 하부 포트 삽입관(63b, 64b)과 결합하는 하부 토출포트(83b, 8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토출포트(83a, 84a)와 하부 토출포트(83b, 84b)는 이송관로(81, 82)로부터 개스킷의 중심(O)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상, 하부 토출포트(83, 84)는 서로 나란하게(또는, 평행한 방향이라고도 함.) 돌출될 수 있다.
토출포트(83, 84)는 이송관로(81, 82)의 내측면(개스킷의 외주면(61)을 향하는 면)로부터 개스킷(60)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포트 삽입관(63, 64)에 삽입된다. 토출포트(83, 84)는 이송관로(81, 82)를 따라 유동하는 순환수를 노즐(66, 67)로 안내하여 드럼(40)내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토출포트(83, 84)의 직경은 포트 삽입관(63, 64)의 내측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토출포트(83, 84)가 포트 삽입관(63, 64)에 압입될 수 있다. 순환수가 토출포트(83, 84)로부터 노즐(66, 67)을 향하여 유동할 때, 반작용에 의해 이송관로(81, 82)의 토출포트(83, 84)가 위치한 구간에 개스킷(60)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반작용 힘에 의해 분배관(80)이 개스킷(6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포트 삽입관(63, 64)은 개스킷(60)의 외주면(61)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고, 토출포트(83, 84)의 직경은 포트 삽입관(63, 64)의 내측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포트(83, 84)는, 이송관로(81, 82)의 좌측 관로부(81)로부터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토출포트(83)와, 이송관로(81, 82)의 우측 관로부(82)로부터 개스킷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토출포트(84)를 포함한다. 제1 토출포트(83)는 제1 포트 삽입관(63)에 삽입되어 순환수를 제1 노즐(66)로 안내하고, 제2 토출포트(84)는 제2 포트 삽입관(64)에 삽입되어 순환수를 제2 노즐(67)로 안내한다.
제1 토출포트(83)는, 제1 하부 포트 삽입관(63b)에 삽입되는 제1 하부 토출포트(83b)와, 제1 하부 토출포트(83b)보다 상측에 형성되고 제1 상부 포트 삽입관(63a)에 삽입되는 제1 상부 토출포트(8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포트(84)는, 제2 하부 포트 삽입관(64b)에 삽입되는 제2 하부 토출포트(84b)와, 제2 하부 토출포트(84b)보다 상측에 형성되고 제2 상부 포트 삽입관(64a)에 삽입되는 제2 상부 토출포트(84a)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포트(85)는 복수의 토출포트(83, 84) 중 어느 것보다도 하측에서 이송관로(81, 82)와 연결된다. 유입포트(85)는 하부 토출포트(83b, 84b)보다 하측에서 이송관로(81, 82)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이송관로(81, 82)는, 개스킷 바디(61, 62)의 외주면(61)에 배치된다. 이송관로(81, 82)는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복수의 토출포트(83, 84)로 안내한다.
이송관로(81, 82)는, 유입포트(85)를 기준으로 이송관로(81, 82)의 좌측부를 형성하는 제1 관로부(81)와, 우측부를 형성하는 제2 관로부(82)를 포함한다. 제1 관로부(81)와 제2 관로부(82)는 하측에서 서로 연결되고, 제1, 2 관로부가 서로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유입포트(85)가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송관로(81, 82)는 유입포트(85)로부터 유입된 물을 좌, 우 양측으로 분지시켜 상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송관로(81, 82)는 유입포트(85)로부터 유입된 순환수를 분지시켜, 제1 부분류(제1 관로부(81)를 따라 흐르는 물)와 제2 부분류(제2 관로부(82)를 따라 흐르는 물)를 형성시킨다. 제1 부분류는 제1 노즐(66)을 통해 드럼(40) 내로 분사될 수 있고, 제2 부분류는 제2 노즐(67)을 통해 드럼(40) 내로 분사될 수 있다.
이송관로(81, 82)는 적어도 일부분이 개스킷 바디(61, 62)와 밸런서(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관로(81, 82)는 내측면이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과 대향되고, 외측면이 밸런서(90)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관로(81, 82)는, 전체적으로 중심각의 크기가 180도 이상인, 상측이 개구(88)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관로(82)는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관로부(81)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관로부(8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관로부(81)와 제2 관로부(82)는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관로(81, 82)는 유입포트(85)가 위치한 유입구간(85s)을 구비한다. 상기 유입구간(85s)은 상기 제1 관로부(81)와 제2 관로부(8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관로부(81) 및 제2 관로부(82)는 각각 유입구간(85s)과 연결된다. 유입구간(85s)은 이송관로(81, 82)의 하측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유입구간(85s)은 개스킷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유입포트(85)는 유입구간(85s)으로부터 개스킷 바디(61, 62)의 반대측으로 돌출된다. 유입포트(85)는 유입구간(85s)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유입포트(85)는 이송관로(81, 82)를 기준으로 후술하는 출입포트(86)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전술한 포트 삽입관(63, 64), 돌출부(65), 노즐(66, 67) 및 토출포트(83, 84)는 그 개수 및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돌출부(65) 및 노즐(66, 67)이 생략되고, 토출포트(83, 84)로부터 드럼(40) 내부로 물이 분사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노즐(66, 67)은 개스킷(60)과 별개로 형성되어 개스킷(60)에 결합되거나, 개스킷(6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스킷 바디(61, 62)에는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62)에 잔존하는 물(이하, '잔수'라고 함.)을 회수하기 위한 잔수 배출구(69h)가 형성된다. 잔수 배출구(69h)는 개스킷 바디(61, 62)를 관통한다.
세탁시 복수의 노즐(66, 67)로부터 드럼으로 세탁수를 분사하고, 드럼(40)이 회전함에 따라 세탁수가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62)으로 튈 수 있고, 세탁이 끝난 후에도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62)에 잔존할 수 있다. 잔수는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62)에 고여 오염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잔수를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62)으로부터 배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잔수 배출구(69h)를 통해 배출된 물이 분배관(80)으로 회수된다. 잔수 배출구(69h)로부터 배출된 물을 분배관(80)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개스킷(60)은 잔수 배출구(69h)와 연통된 잔수 배출관(69)을 포함한다. 잔수 배출관(69)의 내부에는 잔수 배출구(69h)가 연장된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잔수는 중력에 의해 개스킷 바디 내주면(62)의 하측에 고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잔수 배출구(69h) 및 잔수 배출관(69)을 개스킷 바디(61, 62)의 하측부에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잔수를 배출 내지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측 윈도우(23)의 구조, 복수의 노즐(66, 67)의 위치 등의 요인에 의해 개스킷 바디(61, 62)의 전방부를 이루는 림부(61a)에 비해, 개스킷 바디(61, 62)의 후방부를 이루는 외경부(61c)에 잔수가 고일 확률이 높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60)은 드럼(40)과 함께,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어, 림부(61a)에 튄 세탁수도 외경부(61c)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잔수 배출구(69h) 및 잔수 배출관(69)은 외경부(61c)에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 바디(61, 62)는 관상으로 형성되어, 개스킷 바디의 중심(O)으로부터 수직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중앙부(69c)가 개스킷 바디(61, 62)의 최하측 지점일 수 있다. 따라서, 잔수 배출구(69h) 및 잔수 배출관(69)은 상기 하측 중앙부(69c)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분배관(80)은 잔수 배출구(69h)를 통해 배출된 물을 회수하기 위하여 출입포트(86)를 포함한다. 출입포트(86)는 잔수 배출관(69)과 결합된다. 분배관(80)은 개스킷(60)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질로 형성되어, 출입포트(86)가 잔수 배출관(69)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토출포트(83, 84) 및 포트 삽입관(63, 64)의 직경과 마찬가지로, 출입포트(86)의 외경은 잔수 배출관(69)의 내경(즉, 잔수 배출구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출입포트(86)가 잔수 배출관(69)에 압입될 수 있다.
이송관로(81, 82)는 밸런서(90) 등의 구조물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에 접촉하거나, 약간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송관로(81, 82) 중 출입포트(86)가 돌출된 부분(즉, 유입구간(85s))과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은 출입포트(86)와 잔수 배출관(69)이 결합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잔수 배출구(69h)는 개스킷 바디(61, 62)의 하측 중앙부(69c)에 위치할 수 있고, 하측 중앙부(69c)와 이송관로(81, 82) 사이에 출입포트(86)와 잔수 배출관(69)이 결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측 중앙부(69c)는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61) (후술하는 하부면을 제외한 부분)에 접하는 가상의 원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가게 형성된다.
개스킷 바디(61, 62)는 하측 중앙부(69c)로부터 좌, 우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하부면(69s)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면(69s)은 상기의 가상의 원의 현이 될 수 있다. 상기 하부면(69s)은 개스킷 바디(61, 62)의 최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된다. 잔수 배출구(69h)는 하부면(69s)에 위치할 수 있다. 잔수 배출구(69h)는 개스킷 바디의 외경부(61c)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하부면(69s)은 외경부(61c)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잔수 배출구(69h)는 세탁이 종료된 후에는 잔수를 회수하기 위한 것이나, 세탁 중에는, 펌프(70)에 의해 압송된 물이 잔수 배출구(69h)를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출입포트(86)를 유입구간(85s)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입포트(86)는 이송관로(81, 82)로부터 개스킷 바디(61, 62) 측으로 돌출되되, 유입포트(85)가 위치한 유입구간(85s)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출입포트(86)는 유입구간(85s)으로부터 개스킷 바디(61, 62)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유입포트(85)는 이송관로(81, 82)를 기준으로 유입구간(85s)으로부터 출입포트(86)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유입포트(85)는 출입포트(86)의 중심축을 하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직선을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출입포트(86)는 유입포트(85)를 상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원통형 면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70)에 의해 압송된 물이 유입포트(85) 및 출입포트(86)를 통해 상측으로 강하게 분사될 수 있다.
다만, 출입포트(86)의 내경이 지나치게 크면, 유입포트(85)를 통해 유입된 순환수 중 많은 양이 출입포트(86)를 통해 잔수 배출구(69h)로 안내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노즐(66, 67)로 분사되는 물의 양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포트(86)의 내경은 상기 유입포트(85)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세탁 중 내측 윈도우(23)에 튄 세탁수는, 세탁후에도 내측 윈도우(23)에 남을 수 있다. 내측 윈도우(23)의 상측부(23a)에 위치한 물은 중력에 의해 하측부(23b)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내측 윈도우(23)의 하측부(23b)에는 세탁수에 의한 얼룩이 생길 우려가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잔수 배출구(69h)는 내측 윈도우(23)의 하측부(23b)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70)로부터 압송된 물이 잔수 배출구(69h)를 통해 내측 윈도우(23)를 향해 분사되어, 내측 윈도우(23)의 하측부(23b)와 윈도우 둘레부(23c)를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내측 윈도우(23)에 생길 수 있는 얼룩을 효과적으로 지울 수 있다.
잔수 배출구(69h)를 통해 토출된 물이 내측 윈도우(23)를 향해 분사되기 위하여, 잔수 배출구(69h)는 개스킷 바디의 내경부(61b) 중 림부(61a)로부터 절곡된 부분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순환관(87)의 일단은 분배관(80)의 하부에서 돌출된 유입포트(85)와 연결되고, 타단은 펌프(70)의 순환포트(78)와 연결된다. 펌프(70)의 순환포트(78)가 유입포트(85)와 일직선상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경우, 순환관(87)은 일직선의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다만, 그 이외의 경우에는 순환관(87)이 유연한 재질의 호스로 형성되거나,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순환관(87)은 유연하되 형상이 유지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순환관(87)은 벨로우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30)의 전방면(31)에 배치되는 밸런서(90)를 포함한다. 밸런서(90)는 터브(30)의 전방면(31)에 체결될 수 있다. 밸런서(90)는 터브(30)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이다. 밸런서(90)는 터브(30)의 전방면(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밸런서(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밸런서(90)는 터브(30)의 전방면(31)에 좌, 우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제1 밸런서(91)와 제2 밸런서(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런서(91)는 개스킷(6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밸런서(92)는 개스킷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밸런서(91)와 제2 밸런서(91)는 상측 및 하측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2 밸런서(91, 92)는 서로 개스킷(60)의 중심(O)을 지나는 수직선(OV)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의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수직선(OV)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케이싱 20: 도어
23: 내측 윈도우 30: 터브
40: 드럼 60: 개스킷
69: 잔수 배출관 69h: 잔수 배출구
70: 펌프 80: 분배관
85: 유입포트 85s: 유입구간
86: 출입포트

Claims (9)

  1. 전방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전방명에 개구부가 형성된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개구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스킷 바디와, 상기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과, 상기 개스킷 바디를 관통하는 잔수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잔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개스킷;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공급하는 분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관은,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
    상기 개스킷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관로;
    상기 이송관로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에 물을 공급하는 복수의 토출포트; 및
    상기 이송관로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 측으로 돌출된 출입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포트는 상기 잔수 배출관에 삽입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 바디는,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중앙부; 및
    상기 하측 중앙부로부터 좌, 우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하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잔수 배출구는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배출구 및 상기 잔수 배출관은, 상기 개스킷 바디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하측에 위치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 바디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되는 림부;
    상기 림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케이싱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경부; 및
    상기 내경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케이싱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내경부보다 직경이 큰 외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수 배출구는 상기 외경부에 형성된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배출구는 상기 내경부의 상기 림부로부터 절곡된 부분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유입포트가 위치한 유입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출입포트는 상기 유입구간으로부터 상기 개스킷 바디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유입구간으로부터 상기 이송관로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포트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포트의 내경은 상기 유입포트의 내경보다 작은 세탁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포트는, 상기 유입포트를 상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원통형 면의 내측에 위치하는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측 테두리를 이루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내측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윈도우는, 하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윈도우의 하측부는 상기 잔수 배출구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세탁기.
KR1020190081470A 2019-07-05 2019-07-05 세탁기 KR20210004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70A KR20210004684A (ko) 2019-07-05 2019-07-05 세탁기
PCT/KR2020/008483 WO2021006517A1 (ko) 2019-07-05 2020-06-29 세탁기
EP20836546.0A EP3995621A4 (en) 2019-07-05 2020-06-29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70A KR20210004684A (ko) 2019-07-05 2019-07-05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684A true KR20210004684A (ko) 2021-01-13

Family

ID=7411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470A KR20210004684A (ko) 2019-07-05 2019-07-05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995621A4 (ko)
KR (1) KR20210004684A (ko)
WO (1) WO202100651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894A (ko) 2017-06-01 2018-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8473A (ja) * 1997-05-29 1998-12-15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0605732B1 (ko) * 2004-08-09 2006-08-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도어 가스켓의 배수 호스
KR101480448B1 (ko) * 2007-09-13 2015-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US8776297B2 (en) * 2009-10-13 2014-07-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AU2017384896B2 (en) * 2016-12-28 2020-11-1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CN208562877U (zh) * 2018-06-15 2019-03-0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滚筒洗衣机及其喷淋系统和密封窗垫
KR20200070543A (ko) * 2018-12-10 202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992179B1 (ko) * 2019-01-07 2019-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894A (ko) 2017-06-01 2018-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6517A1 (ko) 2021-01-14
EP3995621A1 (en) 2022-05-11
EP3995621A4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333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112524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0644192B (zh) 洗衣机
CN110644190B (zh) 洗衣机
US11214912B2 (e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190203397A1 (en) Washing machine
KR20210004684A (ko) 세탁기
KR102486261B1 (ko) 세탁기
EP3591114B1 (en) Washing machine
KR102493160B1 (ko) 세탁기
US11105035B2 (en) Washing machine
JP7200269B2 (ja) 洗濯機
KR20200070543A (ko) 세탁기
RU2754895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ее сборки
JP7213896B2 (ja) 洗濯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