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179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179B1
KR101992179B1 KR1020190001883A KR20190001883A KR101992179B1 KR 101992179 B1 KR101992179 B1 KR 101992179B1 KR 1020190001883 A KR1020190001883 A KR 1020190001883A KR 20190001883 A KR20190001883 A KR 20190001883A KR 101992179 B1 KR101992179 B1 KR 101992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gasket
water
nozzle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248A (ko
Inventor
이정훈
김현동
우경철
임명훈
정환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1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5Counterweights mounted to the tub; Mount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전면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담고 전면이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드럼과,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통시키고, 상기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을 내주부에 구비한 개스킷과, 상기 개스킷에 고정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관은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환형의 유로와, 각각이 상기 환형의 유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스킷을 통과하고, 상기 환형의 유로를 통해 안내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터브로부터 배출되어 순환관을 따라 순환된 물을 드럼으로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포함한다. 최근의 세탁기는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순환 펌프를 이용하여 순환시키고, 이렇게 순환된 물을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통상 하나 또는 두 개의 노즐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하나의 노즐만이 구비되는 경우는 물론이고, 두 개의 노즐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분사 방향이 제한적이어서 세탁물을 고르게 적시지 못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유동에 다양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와 같은 구조로는 획기적인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세탁기의 경우, 상기 순환 펌프에 순환관이 연결되어,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상기 순환관을 따라 안내되고, 이렇게 안내된 물이 다시 상기 노즐과 상기 순환관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노즐로 공급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노즐이 두개가 구비된 경우, 상기 순환 펌프와 연결된 두 개의 순환관과 상기 두 개의 순환관과 각각 연결된 두 개의 안내관이 필요하여, 제품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상기 순환관들과 안내관들을 조립하는 과정으로 인해 제품의 제조 공장이 번거로웠다.
또한, 상기 순환관, 상기 안내관들, 상기 노즐들 간의 연결부가 많아, 세탁기의 운용시 그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고, 특히, 상기 안내관의 외주면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순환수에 의해 젖어, 상기 순환수에 포함된 세제의 응고나 오염물의 침착으로 인해 위생상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이 개스킷에 구비되고, 터브로부터 배출되어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하, 순환수라고 함.)이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복수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환형의 안내관을 상기 개스킷에 설치하되, 상기 안내관의 외주면이 상기 복수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탁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이 하나의 공통된 안내관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안내관을 통해 안내된 물이 상기 개스킷 상에서 상이한 높이들에 배치된 노즐들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세째, 상기 노즐들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유량(또는, 수압)을 가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상기 드럼 내측의 깊숙한 위치에까지 도달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섯째, 다량의 포가 투입된 상태에서 투과세탁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포를 고르게 적실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전면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담고 전면이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드럼과,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통시키고, 상기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을 내주부에 구비한 개스킷과, 상기 개스킷에 고정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관은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환형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의 유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노즐로 물이 공급된다.
상기 환형의 유로는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에 배치된다. 상기 환형의 유로로부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가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급수포트가 각각, 상기 개스킷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로 물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안내관을 구성하는 환형의 유로가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환형의 유로에 상기 복수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순환수가 닿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환형의 유로의 외주면이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둘째, 상기 환형의 유로가 상기 개스킷의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유지 수선을 위해 상기 환형의 유로를 분리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이 하나의 공통된 안내관을 통해 복수개의 노즐로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넷째, 다량의 포가 투입된 상태에서 투과세탁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포를 고르게 적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개스킷과 안내관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조립체를 우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9는 안내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안내관의 우측면도(a)와, (a)에 표시된 A와 B 지점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의 III-I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이 적용된 세탁기의 부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싱(10)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2h)가 형성된다. 케이싱(10)은 전면이 개방되고, 좌측면, 우측면, 후면을 갖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개구된 전면에 결합되고, 투입구(12h)가 형성된 전면 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의 저면과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저면에는 세탁기를 지지하는 수평한 베이스(15)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은 캐비닛(11)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탑플레이트(13)와, 전면 패널(12)의 상측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 내에는 물이 담기는 터브(31)가 배치될 수 있다. 터브(31)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가 개스킷(60)에 의해 케이싱(10)에 형성된 투입구(12h)와 연통되어 있다.
투입구(12h)를 개폐하는 도어(20)가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대략 중앙부가 개구되고, 전면 패널(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도어 프레임(21)과, 도어 프레임(21)의 개구된 중앙부에 설치되는 투명한 윈도우(22)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60)은 터브(31)에 담긴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단부는 케이싱(10)의 전면(또는, 전면 패널(12))과 결합되고, 후단부는 터브(31)의 입구 둘레와 결합되며, 상기 전단부와 상기 후단부 사이가 관상의 형태로 연장된다. 개스킷(60)은 유연한 또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60)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개스킷(60)의 관상의 형태의 내측을 한정하는 부분을 개스킷(60)의 내주부(또는, 내주면)이라고 하고, 그 반대쪽 부분을 개스킷(60)의 외주부(또는, 외측면)이라고 한다.
터브(31) 내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32)은 세탁물을 수용하며, 상기 세탁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대략 수평한 회전 중심선(C)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만, 여기서의 "수평"은 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로써 사용된 용어는 아니다. 즉,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중심선(C)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5도 이하)로 기울어진 경우 역시 수평에 근접하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수평하다고 할 수 있다. 터브(31) 내의 물이 드럼(32)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드럼(32)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3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8)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38)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38a)이 터브(31)의 후면부를 통과하여 드럼(32)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38)는 직결식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터는 터브(31)의 후방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38a)은 로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터브(31)는 베이스(15)에 설치된 댐퍼(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32)의 회전시 유발되는 터브(31)의 진동이 댐퍼(16)에 의해 감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터브(31)를 케이싱(10) 내에 매다는 헹거(예를 들면, 스프링)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터브(31)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미도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를 단속하는 급수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31) 또는 드럼(32) 내로 세제, 섬유 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35)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35)에는 첨가제들이 그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5)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미도시)와, 섬유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디스펜서(35)의 각 수용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33)는 각각의 급수공급관(34)을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은 상기 세제 수용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 1 급수공급관과 상기 섬유 유연제 수용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 2 급수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는, 상기 제 1 급수공급관을 단속하는 제 1 급수밸브와, 상기 제 2 급수공급관을 단속하는 제 2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스킷(60)에는 드럼(32) 내로 물을 분사하는 직수 노즐(42)이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직수 노즐(42)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관(39)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33)는 직수 공급관(39)을 단속하는 제 3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35)로부터 배출된 물은 급수 밸로우즈(37)를 통해 터브(31)로 공급된다. 터브(31)에는 급수 밸로우즈(37)와 연결된 급수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31)에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 밸로우즈(17)가 상기 배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배출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36)가 구비될 수 있다.
펌프(36)는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배출된 물을 배수관(19)으로 압송하는 기능과, 후술하는 순환관(18)으로 압송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펌프(36)에 의해 압송되어 순환관(18)을 따라 안내되는 물을 순환수라고 한다.
펌프(36)는 물을 압송하기 위한 임펠러(미도시)와,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는 펌프 하우징(미도시)과,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펌프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하우징에는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미도시)와, 임펠러에 의해 압송된 물을 배수관(19)으로 토출하는 배수 토출포트(미도시)와, 상기 임펠러에 의해 압송된 물을 순환관(18)으로 토출하는 순환수 토출포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 모터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임펠러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배수 토출포트를 통해 물이 토출되거나, 상기 순환수 토출포트를 통해 물이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펌프 하우징의 구조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9354호 등에 이미 공지된 것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순환관(18)의 입구는 상기 순환수 토출포트와 연결되어 있고, 출구는 후술하는 안내관(70)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터브(31)로부터 배출된 물을 순환관(18)으로 압송하는 순환 펌프와, 터브(31)로부터 배출된 물을 배수관(19)으로 압송하는 배수 펌프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 하에,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순환 펌프가 작동되거나 (예를 들어, 세탁 시), 상기 배수 펌프가 작동될(예를 들어, 배수 시) 수 있다.
한편, 펌프(36)는 유량(또는, 토출 수압)이 가변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 펌프(36)를 구성하는 펌프 모터는 회전속도 제어가 가능한 가변속 모터일 수 있다. 상기 펌프 모터는 BLCD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모터의 속도 제어를 위한 드라이버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버는 인버터 드라이버일 수 있다. 인버터 드라이버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목표한 주파수로 모터에 입력한다.
펌프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펌프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펌프 모터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값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펌프 모터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부의 제어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자.
도 3을 참조하면, 터브(31)의 전면에는, 터브(31)의 입구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밸런서(81, 82, 83)가 구비될 수 있다. 밸런서(81, 82, 83)는 터브(31)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이다. 밸런서(81, 82, 83)는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31)의 전면 상부에, 좌, 우 양측으로 각각 제 1 상부 밸런서(81)와 제 2 상부 밸런서(82)가 구비되고, 터브(31)의 전면 하부에는 하부 밸런서(8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개스킷과 안내관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조립체를 우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9는 안내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안내관의 우측면도(a)와, (a)에 표시된 A와 B 지점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의 III-I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1 참조하면, 개스킷(60)은 케이싱(10)의 투입구(12h) 둘레에 결합되는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31)의 입구 둘레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62)와,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는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연장부(63)는 케이싱 결합부(61)와 연결되는 환형의 전단부로부터 터브 결합부(62)와 연결되는 환형의 후단부를 갖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로 연장되는 관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 패널(12)은 투입구(12h)의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케이싱 결합부(61)가 끼워질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 참조.)
케이싱 결합부(61)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61r)이 형성될 수 있다. 홈(61r)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케이싱 결합부(61)가 투입구(12h) 둘레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터브(31)는 입구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터브 결합부(62)가 끼워진다. (도 11 내지 도 13 참조.) 터브 결합부(62)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62r)이 형성될 수 있다. 홈(62r)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터브 결합부(62)가 터브(31)의 입구 둘레에 공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케이싱 결합부(61)는 전면 패널(12)에 고정되나, 터브 결합부(62)는 터브(31)의 움직임에 따라 변위된다. 따라서, 연장부(63)는 터브 결합부(62)의 변위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스킷(60)은,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 사이 구간(또는, 연장부(63))에, 터브(31)가 편심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철되는 접철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연장부(63)에는 케이싱 결합부(61)로부터 터브 결합부(62)를 향해 평평하게 연장되는 평탄부(64)가 형성되고, 접철부(65)는 평탄부(64)와 터브 결합부(6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평탄부(64)의 전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구(12h)의 외측에서 도어(20)의 배면과 밀착되는 외측 도어 밀착부(68)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1)는 외측 도어 밀착부(68)의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홈(61r)이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평탄부(64)의 전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구(12h)의 내측에서 도어(20)의 배면(바람직하게는, 윈도우(22)) 과 밀착되는 내측 도어 밀착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드럼(32)은 회전 과정에서 진동(즉, 드럼(32)의 회전 중심선(C)이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터브(31)의 중심선(대략, 드럼(32)의 회전 중심선(C)과 동일 함.) 역시 이동하며, 이때의 이동 방향(이하, "편심 방향" 이라고 함.)은 반경 방향 성분을 갖는다.
접철부(65)는 터브(31)가 편심 방향으로 이동할 시 접히거나 펼쳐진다. 접철부(65)는 평탄부(64)로부터 케이싱 결합부(61) 측으로 절곡된 내경부(65a)와, 내경부(65a)으로부터 터브 결합부(62) 측으로 절곡되어 터브 결합부(62)와 연결되는 외경부(65b)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31)의 중심이 편심 방향으로 이동될 시, 접철부(65)의 일부분이 접혀지면, 그 부분에서 내경부(65a)와 외경부(65b) 사이가 줄어들고, 반대로 접철부(65)가 펼쳐지는 타 부분에서는 내경부(65a)와 외경부(65b) 사이가 벌어진다.
한편, 개스킷(60)은 외경부(65b)로부터 돌출된 환형의 돌출부(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69)는 터브 결합부(6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개스킷(60)은 드럼(32) 내로 순환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 610e)을 포함한다.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 610e)는 개스킷(60)의 내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안내관(70)은 펌프(36)에 의해 압송된 순환수를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 610e)로 안내하는 것으로, 개스킷(60)에 고정된다.
안내관(70)은, 순환관(18)을 통해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환형의 유로(71, 또는, 유동관)와, 환형의 유로(71)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 72e)를 포함한다.
환형의 유로(71)는 개스킷(60)의 외주부 둘레에 배치되고, 순환관(18)을 통해 펌프(36)와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 72e)는, 환형의 유로(71)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며, 개스킷(60)을 통과하여, 대응하는 노즐(610a, 610b, 610c, 610d, 610e)로 순환수를 공급한다.
안내관(70)은 환형의 유로(71)로부터 돌출되어 순환관(18)과 연결되는 순환관 연결포트(75)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관 연결포트(75)는 환형의 유로(71)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노즐(610a, 610b, 610c, 610d, 610e)은 개스킷(60)의 연장부(63)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노즐 유입관(611, 도 11 내지 도 13 참조.)과, 노즐 유입관(611)과 연결된 노즐 헤드(61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유입관(611)은 연장부(763)와 연결된 일단에 포트 통과공이 형성되고, 타단은 대응하는 노즐(610a, 610b, 610c, 610d, 610e)과 연결되어 있다.
개스킷(60)은, 복수의 노즐 유입관(611)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스킷(60)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 650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 650e)은 대응하는 노즐 유입관(611)과 연통되고, 각각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 72e)가 대응하는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 650e) 내로 삽입된다. 노즐 급수포트들(72a, 72b, 72c, 72d, 72e)로부터 토출된 순환수가, 노즐 유입관(611)을 통해 노즐 헤드(612)로 공급된다.
한편, 개스킷(60)에 안내관(70)을 공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 650e) 내에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 72e)가 삽입된 상태에서,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 650e)과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 72e)를 서로 결속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램프를 이용하여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 650e)의 외주부를 조여줌으로써,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 650e)으로부터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 72e)가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각각의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 650e)과, 대응하는 노즐 유입관(611)은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안내관(71)의 중심(O)을 향해 연장된다.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 610e)은 하방으로 순환수를 분사하는 상부 노즐(610a)과, 상부 노즐(610a)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되, 상부 노즐(610a) 보다 드럼(32) 내로 더 깊숙이 분사하는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과,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는 한 쌍의 하부 노즐(610c, 610d)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상부 노즐(610a)의 구성은 다른 노즐들(610b, 610c, 610d, 610e)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노즐(610a)은 개스킷(60)의 연장부(63)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경부(65b)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노즐 유입관(611)은 관상의 형태로써, 외경부(65b)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대응하는 노즐 헤드(612)와 연결될 수 있다.
노즐 헤드(612)은 노즐 급수포트(72a)로부터 토출된 물이 충돌하는 충돌면(612a)과, 충돌면(612a)의 좌측변과, 우측변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충돌면(612a)을 따라 유동하는 수류의 좌측과 우측 경계를 각각 한정하는 좌측면(612b)과 우측면(612c)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 헤드(612)의 좌측면(612b)과 우측면(612c)이 이루는 각도(α)는 대략 45도 내지 55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0도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노즐 헤드(612)의 출구를 이루는 충돌면(612a)의 끝단, 또는 상기 출구와 근접한 부분에는, 다수개의 돌기(612d)가 횡방향(또는, 수류의 폭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충돌면(612a)을 따라 진행하는 수류가 돌기(612d)와 부딪힌 후, 출구를 통해 분사된다. 노즐 헤드(612)를 통해 분사된 수류는, 돌기(612d)들 사이를 통과하여 분사된 부분은 두께가 두꺼운 반면에, 돌기(612d)을 타고 넘은 후 분사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며, 따라서, 두꺼운 메인 물 줄기들 사이 사이에 얇은 수막이 펼쳐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순환관 연결포트(75)는, 복수의 노즐들(610a, 610b, 610c, 610d, 610e) 중 어느 것보다도 하측에서 환형의 유로(71)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순환관 연결포트(75)는 환형의 유로(71)의 최저점에 연결된다.
즉, 환형의 유로(71)는 순환관 연결포트(75)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71h)가 최저점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은 유입구(71h) 보다 상측에 형성되고, 유입구(71h)를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은 환형의 유로(71)의 중심(O, 도 6 참조.)을 지나는 수직선(OV)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각각의 중간 노즐(610b, 610e)의 분사 방향 역시 수직선(OV)에 대해 대칭이다.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은 안내관(71)의 중심(O) 보다는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참고로, 도 6에 표시된 OH는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임.). 각각의 중간 노즐(610b, 610e)은 하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드럼(32)을 정면에서 들여다볼 시, 순환수는 드럼(32)의 입구측에서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 상측 영역을 통과하며, 드럼(32) 내로 깊이 들어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분사된다.
한 쌍의 하부 노즐(610c, 610d)은 유입구(71h) 보다는 상측이나,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 보다는 하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하부 노즐(610c, 610d)은 유입구(71h)를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선(OV)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각 하부 노즐(610c, 610d)의 분사 방향이 수직선(OV)에 대해 대칭이다.
한 쌍의 하부 노즐(610c, 610d)은 안내관(71)의 중심(O) 보다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하부 노즐(610c, 610d)은 상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드럼(32)을 정면에서 들여다볼 시, 순환수가 드럼(32)의 입구측에서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 하측 영역을 통과하며, 드럼(32) 내로 깊이 들어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로 분사된다.
상부 노즐(610a)은 바람직하게는 수직선(OV) 상에 배치되며, 상부 노즐(610a)을 통해 분사되는 순환수의 형태는 수직선(OV)에 대해 대칭이다.
한편, 환형의 유로(71)는 주변부에 비해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한 복수의 융기부(717a, 717b, 717c, 717d, 717e)를 포함할 수 있다. 융기부들(717a, 717b, 717c, 717d, 717e)은 복수의 노즐 유입관(611)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개스킷(60)의 외주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다. 노즐 급수포트들(72a, 72b, 72c, 72d, 72e)은 각각의 융기부(717a, 717b, 717c, 717d, 717e)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부들(717a, 717b, 717c, 717d, 717e)은 상부 노즐(610a), 한 쌍의 중간 노즐(610b, 610e) 및 한 쌍의 하부 노즐(610c, 610d)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이들을 이하, 위에서부터 시계 반대방향으로 차례로, 제 1 융기부(717a), 제 2 융기부(717b), 제 3 융기부(717c), 제 4 융기부(717d), 제 5 융기부(717e)라고 한다. 융기부들(717a, 717b, 717c, 717d, 717e) 사이의 구간에 해당하는 연결부들(711, 712, 713, 714, 715, 716)을 각각 제 1 연결부(711), 제 2 연결부(712), 제 3 연결부(713, 714), 제 4 연결부(715), 제 5 연결부(716)라고 한다.
여기서, 제 3 연결부(713, 714)는, 개스킷(60)의 외주부와 하부 밴런서(83)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3 융기부(717c)는 제 1 상부 밸런서(81)와 하부 밸런서(83) 사이에 배치되고, 제 4 융기부(717d)는 제 2 상부 밸런서(82)와 하부 밸런서(83) 사이에 배치된다. 실시예와 같이, 하부 밸런서(83)와 개스킷(60)의 외주부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여 제 3 융기부(717c)와 제 4 융기부(717d)가 배치되기 어려운 경우, 상기 간격 내에 제 3 연결부(713, 714)를 배치하고, 하부 밸런서(83)와 상부 밸런서들(81, 82) 사이에 제 3 융기부(717c)와 제 4 융기부(717d)를 배치함으로써, 안내관(7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환형의 유로(71)의 단면은 반경방향으로 정의한 높이가, 개스킷(60)의 길이방향(또는, 세탁기의 전후 방향)으로 정의한 폭보다 짧은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개스킷(60)과 밸런스들(81, 82, 83) 사이의 협소한 간격 내에도 환형의 유로(71)를 설치할 수 있다.
환형의 유로(71)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의 공간(즉, 순환수가 안내되는 공간)의 단면 역시 마찬가지로, 높이(h)가 폭(d)보다 짧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형의 유로(71)의 내측 단면(즉, 환형의 유로(71)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의 공간의 단면)은, 환형이 유로(71)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유로(71)의 상부로 갈수록 펌프(36)로부터의 높이가 증가되기 때문에, 수압 보상을 위해, 환형의 유로(71)의 하부 보다 상부에서의 내측 단면의 넓이를 줄인 것이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단면(SA)과 단면(SB)은 각각 도 10의 (a)에 표시된 A 지점과 B 지점에서의 환형 유로(71)의 내측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써, A 지점에서의 단면의 폭(d(A))이 B 지점에서의 단면의 폭(d(B)) 보다 짧음을 보여주고 있다. (d(A)<d(AB)<d(B))
한편, 순환관(18)을 통해 공급된 순환수는, 순환관 연결포트(75)를 통해 안내관(71) 내로 유입된 후, 양쪽으로 분지되어 유로를 따라 상승하며, 아래에 위치한 노즐로부터 차례로 분사가 이루어진다. 펌프(36)의 작동압은 압송된 물이 상부 노즐(610a)까지 미칠 수 있는 정도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펌프 모터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노즐들(610a, 610b, 610c, 610d, 610e)의 분사압을 가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사압 제어의 한 가지 실시예로써, 모든 노즐들(610a, 610b, 610c, 610d, 610e)에 의해 동시에 분사가 이루어지는 범위 내에서 펌프 모터의 속도가 가변 제어될 수 있다. 노즐들(610a, 610b, 610c, 610d, 610e)에 의해 순환수가 분사되는 동안, 세탁물이 드럼(32)의 내측면에 달라 붙은 상태로 드럼(32)과 함께 회전되는 필트레이션모션(filtration motion)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복수회 실시될 수 있다. 펌프 모터의 가속은 각 필트레이션모션의 실시 시점과 동기화될 수 있으며, 감속은 각 필트레이션모션의 종료를 위해 드럼(32)을 제동하는 시점과 동기화될 수 있다.
즉, 필트레이션모션을 위해 드럼(32)이 가속되기 시작하면 펌프 모터도 가속이 이루어져, 세탁물이 드럼(32)에 완전히 부착되어 드럼(32)과 함께 회전되는 중(즉, 드럼(32)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이 정점에 이르더라도, 원심력이 중력보다 커서 세탁물이 낙하되지 않는 상태)에 노즐(610a, 610b, 610c, 610d, 610e)을 통한 분사압이 최고가 될 수 있다. 필트레이션모션이 실시되는 중에, 펌프 모터의 회전속도가 최대가 되었을 시, 노즐들(610a, 610b, 610c, 610d, 610e)로부터 분사된 순환수가 드럼(32)의 내로 가장 깊숙한 곳까지 이르며, 특히, 중간 노즐(610b, 610e)을 통해 분사되는 순환수가 다른 노즐들(610a, 610c, 610d)과 비교하여, 가장 드럼(32)의 깊숙한 곳까지 이를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안내관(71)의 중심(O, 또는, 개스킷(60)의 중심)에 대해, 중간 노즐(610b, 610e)은 상부 노즐(610a)과 각도 θ1를 이루고, 하부 노즐(610c, 610d)은 중간 노즐(610b, 610e)과 각도 θ2를 이룬다고 할 때, θ1은 대략 50도 내지 60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55도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θ2 대략 50도 내지 65도이고,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55도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개스킷(60)에는 직수 노즐(42, 도 2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 직수 노즐(42)은 외부 수원(예를 들어, 수도 꼭지)으로부터 공급된 물(즉, 직수)을 드럼(32) 내로 분사하는 것이다. 개스킷(60)의 평탄부(64)에는 직수 노즐(42)이 설치되는 제 1 설치관(61c, 도 1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에는 스팀 분사노즐(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스팀 생성기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드럼(32) 내로 분사하는 것이다. 개스킷(60)의 평탄부(64)에는 상기 스팀 노즐이 설치되는 제 2 설치관(61d, 도 1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와 반대로, 상기 스팀 노즐이 제 1 설치관(61c)에 설치되고, 직수 노즐(42)이 제 2 설치관(61d)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이 적용된 세탁기의 부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70a)은, 환형의 유로(71)를 구성하는 융기부들(717c, 717d)과 연결부들(711', 712, 713, 714, 715')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70)과 차이가 있을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환형의 안내관(70a)은 한 쌍의 하부 노즐(610c, 610d)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는 융기부들(717c, 717d)이 형성되나, 상부 노즐(610a)과 중간 노즐들(610b, 610c)과 대응하는 위치들에는 융기부가 미형성된다. 연결부들(711', 712, 713, 714, 715')은 실질적으로 소정의 원주 상에 배치되고, 융기부들(717c, 717d)은 상기 원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밸런서들(81, 82)과 개스킷(60)의 외주부 사이의 간격이, 하부 밸런서(83)와 개스킷(60)의 외주부 사이의 간격보다 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상부 밸런서들(81, 82)과 개스킷(60)의 외주부 사이의 간격은 충분히 멀어, 그 간격 내에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e)을 배치할 수 있으나, 하부 밸런서(83)와 개스킷(60)의 외주부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좁아 포트 삽입관(650c, 650d)을 배치할 수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와 같이, 하부 노즐들(610c, 610d)과 대응하는 위치들에만 융기부(717c, 717d)를 형성하여도, 융기부들(717c, 717d) 사이의 연결부들(713, 714)은 하부 밸런서(83)와 개스킷(60)의 외주부 사이에 배치하고, 융기부들(717c, 717d)은 각각 상부 밸런서(81, 82)와 하부 밸런서(83)들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안내관(70a)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도면에 표시된 g는 연결부들(711', 715')과 개스킷(60)의 외주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다.

Claims (17)

  1. 전면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담고 전면이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드럼;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통시키고, 상기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을 내주부에 구비하고, 외주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노즐로 각각 연장되는 중공들이 형성된 환형의 개스킷; 및
    상기 개스킷에 고정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관은,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환형의 유로; 및
    각각이 상기 환형의 유로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개스킷에 형성된 중공들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환형의 유로를 통해 안내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케이싱의 투입구 둘레에 결합되는 케이싱 결합부;
    상기 터브의 입구 둘레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 및
    상기 케이싱 결합부와 상기 터브 결합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상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의 유로는,
    상기 연장부의 외주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환형을 이루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노즐은,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노즐 급수포트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노즐 유입관; 및
    상기 노즐 유입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 헤드를 포함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노즐의 상기 노즐 유입관들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포트 삽입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는,
    상기 복수의 포트 삽입관에 각각 삽입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유로는,
    상기 복수의 포트 삽입관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각,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복수의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는,
    상기 복수의 융기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전면에는,
    상기 터브의 입구 둘레를 따라 소정의 중량을 갖는 복수의 밸런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융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밸런서 사이에 배치되는 세탁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케이싱 결합부로부터 상기 터브 결합부를 향해 평평하게 연장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와 상기 터브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터브의 변위에 대응하여 접철되는 접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부는,
    상기 평탄부로부터 상기 케이싱 결합부 측으로 절곡된 내경부; 및
    상기 내경부로부터 상기 터브 결합부 측으로 절곡된 외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 유입관은,
    상기 외경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유로의 단면은,
    반경방향으로 정의한 높이가 상기 개스킷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한 폭보다 짧은 외형을 갖는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입구 둘레를 따라 배치된 소정의 중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밸런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형의 유로는,
    상기 개스킷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런서 사이에 배치되는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유로의 내측 단면은,
    상기 환형의 유로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면적이 작아지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유로의 내측 단면은,
    상기 환형의 유로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짧아지는 세탁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은,
    하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상부 노즐;
    상기 상부 노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상기 환형의 유로의 유입구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중간 노즐; 및
    상기 유입구 보다 상측이고, 상기 한 쌍의 중간 노즐 보다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 노즐을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중간 노즐은 상기 환형의 유로의 중심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세탁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 노즐은 상기 안내관의 중심 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세탁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것인 세탁기.
  15. 전면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담고 전면이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드럼;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통시키고, 상기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을 내주부에 구비하고, 외주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노즐로 각각 연장되는 중공들이 형성된 환형의 개스킷; 및
    상기 개스킷에 고정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관은,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환형의 유로; 및
    각각이 상기 환형의 유로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개스킷에 형성된 중공들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환형의 유로를 통해 안내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케이싱의 투입구 둘레에 결합되는 케이싱 결합부;
    상기 터브의 입구 둘레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 및
    상기 케이싱 결합부와 상기 터브 결합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케이싱 결합부로부터 후방으로 평평하게 연장되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와 상기 터브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접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부는,
    상기 평탄부로부터 상기 케이싱 결합부 측으로 절곡된 내경부; 및
    상기 내경부의 외측에서 상기 내경부로부터 상기 터브 결합부 측으로 절곡되는 외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의 유로는,
    상기 외경부의 외주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환형을 이루는 세탁기.
  16. 전면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담고 전면이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드럼;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통시키고, 상기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셋 이상의 노즐을 내주부에 구비하고, 외주부로부터 상기 셋 이상의 노즐로 각각 연장되는 중공들이 형성된 환형의 개스킷;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순환관; 및
    상기 개스킷에 고정되고, 상기 순환관을 통해 안내된 물을 상기 셋 이상의 노즐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관은,
    상기 순환관과 연결되는 순환관 연결포트;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환형의 유로; 및
    각각이 상기 환형의 유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스킷을 통과하고, 상기 환형의 유로를 통해 안내된 물을 상기 셋 이상의 노즐로 각각 공급하는 셋 이상의 노즐 급수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의 유로는,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의 출구로부터 양측으로 갈라진 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 둘레를 따라 연장된 후 서로 만나 환형을 이루고,
    상기 터브의 입구 둘레를 따라 배치된 소정의 중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밸런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형의 유로는,
    상기 개스킷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런서 사이에 배치되는 세탁기.
  17. 전면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담고 전면이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드럼;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통시키고, 상기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을 내주부에 구비하고, 외주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노즐로 각각 연장되는 중공들이 형성된 환형의 개스킷;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순환관; 및
    상기 개스킷에 고정되고, 상기 순환관을 통해 안내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관은,
    상기 순환관과 연결되는 순환관 연결포트;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환형의 유로; 및
    각각이 상기 환형의 유로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개스킷에 형성된 중공들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환형의 유로를 통해 안내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의 유로는,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의 출구로부터 양측으로 갈라진 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연장된 후 서로 만나 환형을 이루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의 상측에서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한 쌍의 하부 노즐; 및
    상기 한 쌍의 하부 노즐의 상측에서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한 쌍의 중간 노즐을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190001883A 2019-01-07 2019-01-07 세탁기 KR101992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83A KR101992179B1 (ko) 2019-01-07 2019-01-07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83A KR101992179B1 (ko) 2019-01-07 2019-01-07 세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596A Division KR101939085B1 (ko) 2016-12-28 2017-06-01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248A KR20190005248A (ko) 2019-01-15
KR101992179B1 true KR101992179B1 (ko) 2019-06-24

Family

ID=6503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883A KR101992179B1 (ko) 2019-01-07 2019-01-07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1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517A1 (ko) * 2019-07-05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143B1 (ko) * 2019-02-01 2023-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638188B1 (ko) * 2019-02-01 2024-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순환수 급수관을 구비한 세탁기 및 상기 순환수 급수관의 제조방법
KR20230100473A (ko) * 2021-12-28 2023-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급수 경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세탁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0921A (ja) * 2010-06-01 2011-12-15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1627201B1 (ko) * 2011-04-14 2016-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204A (ko)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101600795B1 (ko) * 2009-10-13 2016-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1397053B1 (ko) * 2010-08-23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0921A (ja) * 2010-06-01 2011-12-15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1627201B1 (ko) * 2011-04-14 2016-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517A1 (ko) * 2019-07-05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248A (ko)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179B1 (ko) 세탁기
KR102573125B1 (ko) 세탁기
KR101939085B1 (ko) 세탁기
EP3564425B1 (en) Washing machine
KR102643584B1 (ko) 세탁기
EP3550066B1 (en) Washing machine
KR102642445B1 (ko) 세탁기
JP7208268B2 (ja) 洗濯機
EP3587652A1 (en) Washing machine
KR20180131893A (ko) 세탁기
KR102655311B1 (ko) 세탁기
US2021027756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200001448A (ko) 세탁기
KR20190111350A (ko) 세탁기
KR20200001423A (ko) 세탁기
KR20190115771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220156222A (ko) 세탁기
KR20180123909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