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423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423A
KR20200001423A KR1020180074391A KR20180074391A KR20200001423A KR 20200001423 A KR20200001423 A KR 20200001423A KR 1020180074391 A KR1020180074391 A KR 1020180074391A KR 20180074391 A KR20180074391 A KR 20180074391A KR 20200001423 A KR20200001423 A KR 20200001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supply
port
nozzle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현
김한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423A/ko
Publication of KR20200001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탁수 또는 순환수가 균일하게 분사되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노즐은 하부 노즐과, 상기 하부 노즐 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노즐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 노즐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상부노즐 급수 포트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노즐 급수포트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 {Washing machine }
본 발명은 터브로부터 배출되어 순환관을 따라 순환된 물을 드럼 내로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포함한다. 최근의 세탁기는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순환 펌프를 이용하여 순환시키고, 이렇게 순환된 물을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통상 하나 또는 두 개의 노즐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하나의 노즐만이 구비되는 경우는 물론이고, 두 개의 노즐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분사 방향이 제한적이어서 세탁물을 고르게 적시지 못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유동에 다양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와 같은 구조로는 획기적인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세탁기의 경우, 상기 순환 펌프에 순환관이 연결되어,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상기 순환관을 따라 안내되고, 이렇게 안내된 물이 다시 상기 노즐과 상기 순환관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노즐로 공급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노즐이 두개가 구비된 경우, 상기 순환 펌프와 연결된 두 개의 순환관과 상기 두 개의 순환관과 각각 연결된 두 개의 노즐 급수관이 필요하여, 제품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상기 순환관들과 노즐 급수관들을 조립하는 과정으로 인해 제품의 제조 공정이 번거로웠다.
또한, 상기 순환관, 상기 노즐 급수관들, 상기 노즐들 간의 연결부가 많아, 세탁기의 운용시 그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고, 특히, 상기 노즐 급수관의 외주면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순환수에 의해 젖어, 상기 순환수에 포함된 세제의 응고나 오염물의 침착으로 인해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세탁기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기를 드럼 세탁기라고 한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이하 세탁기라 한다.) 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과 드럼 또는 세탁수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세탁기의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순환시키고, 순환된 물을 노즐을 통해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종래의 세탁기는 통상적으로 하나 또는 두 개의 노즐만을 구비하여 드럼 내부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분사 방향이 제한되므로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골고루 분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탁기는 순환펌프에 순환관이 연결되고 순환펌프에 의해 이동하는 세탁수가 노즐과 순환관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의해 노즐로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 경우, 순환펌프와 연결된 순환관과, 순환관과 연결된 노즐 급수관이 각각 별도로 필요하므로 제품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공정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져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세탁수가 다양한 각도를 가지면서 드럼 내부로 분사될 수 있는 세탁기에 대한 필요가 있다.
최근의 세탁기는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순환 펌프를 이용하여 순환시키고, 이렇게 순환된 물을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통상 하나 또는 두 개의 노즐을 구비하기 때문에, 노즐을 통한 분사 방향이 제한적이어서 세탁물을 고르게 적시지 못하였다.
또한, 건조기능이 추가된 세탁기에서 다수 개의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 노즐 급수관과 터브 내로 열풍을 공급하는 급기덕트의 간섭 문제와, 급기덕트와 밸런서의 간섭 문제 등이 존재한다.
또한, 복수의 분사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 세탁의 최적을 성능을 내기 위해서 복수의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탁수의 양이 균일해야 하는데, 하나의 급수관을 통해 공급받는 세탁수가 분사 노즐의 위치에 따라 분사되는 양이 차이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이 개스킷에 구비되고, 터브로부터 배출되어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하, 순환수라고 함.)이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복수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을 상기 개스킷에 설치하되, 상기 노즐 급수관의 외주면이 상기 복수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탁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이 하나의 공통된 노즐 급수관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노즐 급수관을 통해 안내된 물이 상기 개스킷 상에서 상이한 높이들에 배치된 노즐들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상기 드럼 내측의 깊숙한 위치에까지 도달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다량의 포가 투입된 상태에서 투과세탁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포를 고르게 적실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드럼의 내부를 향해 분사되는 세탁수가 다양한 각도를 가지면서 분사되어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골고루 분사될 수 있는 세탁기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배수펌프로부터 순환되는 물을 서로 분리 설치되는 환형유로로 유입시키고, 개스킷 상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노즐을 통해 세탁수를 드럼 내부로 분사할 수 있는 세탁기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각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유량이 가변될 수 있으며, 다량의 세탁물이 드럼에 투입되더라도 상기 각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탁수가 고르게 분사될 수 있는 세탁기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이 셋 이상의 서로 다른 높이에서 드럼 내로 분사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이 하나의 공통된 유로를 통해 안내되고, 상기 유로를 통해 안내된 물이 상기 유로 상에서 상이한 높이들에 배치된 노즐들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유로와 상기 셋 이상의 노즐들이 개스킷에 설치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노즐들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유량(또는, 수압)을 가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상기 드럼 내측의 깊숙한 위치에까지 도달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다량의 포가 투입된 상태에서 투과세탁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포를 고르게 적실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복수의 노즐에 하나의 환형 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하면서, 개스킷에 설치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급기덕트와 간섭을 방지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환형 유로를 통해 복수의 노즐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경우, 세탁수의 위치에 상관 없이 복수의 노즐에서 균일한 양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복수의 노즐 중 다른 노즐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노즐의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복수의 노즐에 세탁수를 제공하는 노즐 급수관의 노즐 급수포트 중 다른 노즐 급수포트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노즐 급수포트의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상기 케이싱 사이를 밀봉하는 환형의 개스킷;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펌프를 통해 압송된 물을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은, 하부 노즐과, 상기 하부 노즐 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노즐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 노즐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노즐은 개스킷의 내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노즐은 상기 개스킷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상부 노즐과 제 2 상부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노즐은 상기 개스킷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하부 노즐과 제 2 하부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펌프를 통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안내하고, 상기 개스킷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배치되는 노즐 급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하부 노즐과 연결되는 하부 노즐 급수포트와, 상기 상부 노즐과 연결되는 하부 노즐 급수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노즐 급수포트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노즐 급수포트의 단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에서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순환관 연결포트;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관로부; 및 상기 관로부 및 상기 복수의 노즐과 연결되는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의 단면적은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의 단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의 단면적은 상기 관로부의 단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관로부의 단면적은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의 단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관로부는, 일단이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와 연결된 제1 관로부와, 일단이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 및 상기 제1 관로부와 연결되는 제2 관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로부의 타단과 상기 제2 관로부의 타단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은 상기 노즐 급수포트가 결합되는 포트 삽입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트 삽입관은 상기 개스킷의 외주에서 상기 개스킷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상기 케이싱 사이를 밀봉하는 환형의 개스킷;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펌프를 통해 압송된 물을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 및 상기 펌프를 통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안내하는 노즐 급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은 하부 노즐과, 상기 하부 노즐 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하부 노즐과 연결되는 하부 노즐급수포트와, 상기 상부 노즐과 연결되는 하부 노즐급수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노즐 급수 포트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노즐 급수포트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에서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순환관 연결포트;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고, 상기 상부노즐 급수포트 및 상기 하부노즐 급수포트와 연결되는 관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노즐 급수포트 및 상기 하부노즐 급수포트의 단면적은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의 단면적은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노즐 급수관을 구성하는 이송 관로가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이송 관로에 상기 복수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순환수가 닿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이송 관로의 외주면이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관로가 상기 개스킷의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유지 수선을 위해 상기 이송 관로를 분리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송 관로가 상기 개스킷의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와 간섭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이 하나의 공통된 노즐 급수관을 통해 복수개의 노즐로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량의 포가 투입된 상태에서 투과세탁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이 포를 고르게 적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노즐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더라고, 노즐의 위치를 고려하여서, 노즐의 단면적, 이송관로의 단면적을 조절하여서, 각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량 간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즐 급수관이 배치되는 않는 영역에 급기덕트가 배치되어서, 급기덕트와 노즐 급수관 사이에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런서가 배치되는 않는 영역에 급기덕트가 배치되어서, 급기덕트와 밸런서 사이에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펌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펌프의 순환수 챔버의 단면을 보이는 도면(a)과, 배수 챔버의 단면을 보이는 도면(b)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순환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개스킷과 노즐 급수관의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립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조립체를 좌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5는 노즐 급수관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의 일부분이다.
도 17은 도 9에 도시된 포트 삽입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9에 도시된 노즐 급수포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1는 노즐 급수관들이 개스킷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은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제 1 노즐 급수관과 제 2 노즐 급수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펌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은 도 24에 도시된 노즐 급수관들이 개스킷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은 도 24에 도시된 노즐 급수관들이 개스킷에 설치된 상태를 정면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노즐 급수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싱(10)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2h)가 형성된다. 케이싱(10)은 전면이 개방되고, 좌측면, 우측면, 후면을 갖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개구된 전면에 결합되고, 투입구(12h)가 형성된 전면 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의 저면과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저면에는 세탁기를 지지하는 수평한 베이스(15)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은 캐비닛(11)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탑플레이트(13)와, 전면 패널(12)의 상측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 내에는 물이 담기는 터브(31)가 배치될 수 있다. 터브(31)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입구가 형성된다, 캐비닛(11)과 터브(31)는 환형의 개스킷(601)에 의해 연결되어,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통로가 상기 터브(31)의 입구로부터 투입구(12h)에 이르는 구간에 형성된다.
투입구(12h)를 개폐하는 도어(20)가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대략 중앙부가 개구되고, 전면 패널(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21)과, 도어 프레임(21)의 개구된 중앙부에 설치되는 투명한 윈도우(22)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2)는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적어도 일부분이 개스킷(601)의 내주면에 의해 둘러 쌓인 영역 내로 위치될 수 있다.
개스킷(601)은 터브(31)에 담긴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개스킷(601)은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로 연장되는 관상의 형태이다. 개스킷(601)의 상기 전단부는 케이싱(10)에 고정되고, 상기 후단부는 터브(31)의 입구 둘레에 고정된다. 개스킷(601)은 유연한 또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601)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개스킷(601)의 관상의 형태의 내측을 한정하는 부분을 개스킷(601)의 내주부(또는, 내주면)이라고 하고, 그 반대쪽 부분을 개스킷(601)의 외주부(또는, 외측면)이라고 한다.
터브(31) 내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32)은 세탁물을 수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대략 수평한 회전 중심선(C)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만, 여기서의 "수평"은 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로써 사용된 용어는 아니다. 즉,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중심선(C)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역시 수직보다는 수평에 근접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평하다고 할 수 있다. 터브(31) 내의 물이 드럼(32)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드럼(32)에는 다수의 통공(32h)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32)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리프터(34)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터(34)는 드럼(32)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드럼(32)의 회전시, 세탁물이 리프터(34)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되는 것을 반복한다.
드럼(3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8)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38)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38a)이 터브(31)의 후면부를 통과하여 드럼(32)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38)는 직결식 세탁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 모터는 터브(31)의 후방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38a)은 로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터브(31)는 베이스(15)에 설치된 댐퍼(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32)의 회전시 유발되는 터브(31)의 진동이 댐퍼(16)에 의해 감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터브(31)를 케이싱(10) 내에 매다는 헹거(예를 들면, 스프링)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터브(31)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미도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이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급수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31) 또는 드럼(32) 내로 세제, 섬유 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35)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35)에는 첨가제들이 그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5)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미도시)와, 섬유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디스펜서(35)의 각 수용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33)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을 각각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94, 도 3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은, 냉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냉수를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하는 제 1 급수공급관(34a)과, 상기 냉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냉수를 상기 섬유 유연제 수용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 2 급수공급관(34b)과, 온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온수를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하는 제 3 급수공급관(34c)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601)에는 드럼(32) 내로 물을 분사하는 직수 노즐(42)이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직수 노즐(42)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관(39)이 구비될 수 있다. 직수 노즐(42)은 와류 노즐 또는 분무 노즐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직수 노즐(42)은, 전방에서 바라볼 시, 수직선(OV)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2)는 직수 노즐(42)보다 더 드럼(32)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직수 노즐(42)을 통해 분사된 수류가 윈도우(22)에 닿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윈도우(22)가 세척되는 효과가 있다.
디스펜서(35)로부터 배출된 물은 급수 밸로우즈(37)를 통해 터브(31)로 공급된다. 터브(31)의 측면에는 급수 밸로우즈(37)와 연결된 급수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31)에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 밸로우즈(17)가 상기 배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터브(31)로부터 배출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901)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7)를 단속하는 배수밸브(9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31)의 전면에는, 터브(31)의 입구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밸런서(81, 82)가 구비될 수 있다. 밸런서(81, 82)는 터브(31)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이다. 밸런서(81, 82)는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31)의 전면에, 좌, 우 양측으로 각각 제 1 밸런서(81)와 제 2 밸런서(82)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터브(31)의 전면 상부에 상부 밸런서(83)가 구비되고, 터브(31)의 전면 하부에, 하부 밸런서(8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펌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펌프의 순환수 챔버의 단면을 보이는 도면(a)과, 배수 챔버의 단면을 보이는 도면(b)이다.
펌프(901)는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배출된 물을 배수관(19)으로 압송하는 기능과, 순환관(18)으로 압송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펌프(901)에 의해 압송되어 순환관(18)을 따라 안내되는 물을 순환수라고 한다.
펌프(901)는 펌프 하우징(91), 제 1 펌프 모터(92), 제 1 임펠러(915), 제 2 펌프 모터(93) 및 제 2 임펠러(917)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하우징(91)에는 유입포트(911), 제 1 토출포트(912) 및 제 2 토출포트(913)가 형성될 수 있다. 펌프 하우징(91) 내에는 제 1 임펠러(915)가 수용되는 제 1 챔버(914)와, 제 2 임펠러(917)가 수용되는 제 2 챔버(9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임펠러(915)는 제 1 펌프 모터(92)에 의해 회전되고, 제 2 임펠러(917)는 제 2 펌프 모터(93)에 의해 회전된다.
제 1 챔버(914)와 제 1 토출포트(912)는, 제 1 임펠러(915)의 회전방향으로 감아진 볼류트(volute) 형태의 유로를 이루며, 제 2 챔버(916)와 제 2 토출포트(913)은 제 2 임펠러(917)의 회전방향으로 감아진 볼류트 형태의 유로를 이룬다. 여기서, 각 임펠러(915, 917)의 회전 방향은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써, 미리 정해진 것이다. 유입포트(911)는 배수 밸로우즈(17)와 연결되고, 제 1 챔버(914)와 제 2 챔버(916)는 유입포트(911)와 연통된다.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터브(31)로부터 배출된 물이 유입포트(911)를 통해 제 1 챔버(914)와 제 2 챔버(916)로 공급된다.
제 1 챔버(914)는 제 1 토출포트(912)와 연통되고, 제 2 챔버(916)는 제 2 토출포트(913)와 연통된다. 따라서, 제 1 펌프 모터(92)가 작동되어, 제 1 임펠러(915)가 회전되면, 제 1 챔버(914) 내의 물이 제 1 토출포트(912)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제 2 펌프 모터(93)가 작동될 시에는, 제 2 임펠러(917)가 회전되어, 제 2 챔버(916) 내의 물이 제 2 토출포트(913)를 통해 배출된다. 제 1 토출포트(912)는 순환관(18)과 연결되고, 제 2 토출포트(913)는 배수관(19)과 연결된다
펌프(901)는 유량(또는, 토출 수압)이 가변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 펌프 모터들(92, 93)은 회전속도 제어가 가능한 가변속 모터일 수 있다. 각각의 펌프 모터(92, 93)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펌프 모터(92, 93)의 속도 제어를 위한 드라이버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버는 인버터 드라이버일 수 있다. 인버터 드라이버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목표한 주파수로 모터에 입력한다.
펌프 모터들(92, 93)을 제어하는 제어부(1000, 도 32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펌프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펌프 모터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값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0, 도 32 참조.)는 펌프 모터(92, 93)의 회전 속도뿐만 아니라, 회전 방향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펌프에 적용되던 유도 모터는 기동시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없는 것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방향으로 각 임펠러의 회전을 제어하기 어려워, 임펠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토출포트(912, 913)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펌프 모터(92, 93)의 기동시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토출포트(912, 913)를 통해 토출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0, 도 32 참조.)는 펌프 모터(92, 93)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부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자.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순환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 7의 (a), (b) 및 (c)는 각각 순환관의 사시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이다.
순환관(18)의 일단은 후술하는 노즐 급수관(701)의 하부에서 돌출된 순환관 연결포트(75)와 연결되고, 타단은 펌프(901)의 제 1 토출포트(912)와 연결된다. 펌프가 순환관 연결포트(75)와 제 1 토출포트가 일직선상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경우, 순환관(18)은 일직선의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다만, 그 이외의 경우에는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순환관(18)은 순환관 연결포트(75)에 압입 결합되는 제 1 순환유로(18a)와, 제 1 순환유로(18a)에서 터브(31)의 하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제 2 순환유로(18b)와, 제 2 순환유로(18b)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제 3 순환유로(18c)와, 제 3 순환유로(18c)에서 하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펌프(901)에 압입 결합되는 제 4 순환유로(18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순환유로(18a)와 제 2 순환유로(18b), 제 2 순환유로(18b)와 제 3 순환유로(18c), 및 제 3 순환유로(18c)와 제 4 순환유로(18d)의 벤딩 각도는 모두 90도를 이룰 수 있고, 제 1 순환유로(18a)와 제 4 순환유로(18d)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축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순환유로(18a)와 제 4 순환유로(18d)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 2 순환유로(18b)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 3 순환유로(18c)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 1, 4 순환유로(18a, 18d)는 지표면과 대략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제 2, 3 순환유로(18b, 18c)는 지표면과 대략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순환관(18)은 탄력성 있되, 형상을 유지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순환관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EPDM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1, 2, 3, 4 순환유로(18a, 18b, 18c, 18d)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순환유로(18d)는 벨로우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개스킷(601)은 케이싱(10)의 투입구(12h) 둘레에 결합되는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31)의 입구 둘레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62)와,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는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연장부(63)는 케이싱 결합부(61)와 연결되는 환형의 전단부로부터 터브 결합부(62)와 연결되는 환형의 후단부를 갖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로 연장되는 관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 패널(12)은 투입구(12h)의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케이싱 결합부(61)가 끼워질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1)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61r)이 형성될 수 있다. 홈(61r)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케이싱 결합부(61)가 투입구(12h) 둘레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터브(31)는 입구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터브 결합부(62)가 끼워진다. 터브 결합부(62)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62r)이 형성될 수 있다. 홈(62r)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터브 결합부(62)가 터브(31)의 입구 둘레에 공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케이싱 결합부(61)는 전면 패널(12)에 고정되나, 터브 결합부(62)는 터브(31)의 움직임에 따라 변위된다. 따라서, 연장부(63)는 터브 결합부(62)의 변위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스킷(601)은,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 사이 구간(또는, 연장부(63))에, 터브(31)가 편심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철되는 접철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연장부(63)에는 케이싱 결합부(61)로부터 터브 결합부(62)를 향해(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관상의 림부(64)가 형성되고, 접철부(65)는 림부(64)와 터브 결합부(6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1)은, 림부(64)의 전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구(12h)의 외측에서 도어(20)의 배면과 밀착되는 외측 도어 밀착부(68)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1)는 외측 도어 밀착부(68)의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전술한 홈(61r)이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1)은, 림부(64)의 전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구(12h)의 내측에서 도어(20)의 배면(바람직하게는, 윈도우(22))과 밀착되는 내측 도어 밀착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드럼(32)은 회전 과정에서 진동(즉, 드럼(32)의 회전 중심선(C)이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터브(31)의 중심선(대략, 드럼(32)의 회전 중심선(C)과 동일 함.) 역시 이동하며, 이때의 이동 방향(이하, "편심 방향" 이라고 함.)은 반경 방향 성분을 갖는다.
접철부(65)는 터브(31)가 편심 방향으로 이동할 시 접히거나 펼쳐진다. 접철부(65)는 림부(64)로부터 케이싱 결합부(61) 측으로 절곡된 내경부(65a)와, 내경부(65a)으로부터 터브 결합부(62) 측으로 절곡되어 터브 결합부(62)와 연결되는 외경부(65b)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31)의 중심이 편심 방향으로 이동될 시, 접철부(65)의 일부분이 접혀지면, 그 부분에서 내경부(65a)와 외경부(65b) 사이가 줄어들고, 반대로 접철부(65)가 펼쳐지는 타 부분에서는 내경부(65a)와 외경부(65b) 사이가 벌어진다.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개스킷(601)은 드럼(32) 내로 순환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을 포함한다.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은 개스킷(601)과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은 개스킷(601)의 내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은 개스킷(601)의 내부에 형성된 관형상의 홀일 수 있다.
노즐(610a, 610b, 610c, 610d)은 개스킷(601) 상에서의 높이에 따라, 하부 노즐(610b, 610c) 및 상부 노즐(610a, 610d)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노즐(610a, 610b, 610c, 610d)은 4개가 구비되었고, 이들은 개스킷(60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하부 노즐(610b)과 제 2 하부 노즐(610c), 하부 노즐들(610b, 610c)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상부 노즐(610a)과 제 2 상부 노즐(610d)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이 복수개가 구비되면, 드럼의 내부에 여러 곳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지만, 각 노즐의 위치에 따라 세탁수의 분사량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이는 세탁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노즐 급수관(701)은 펌프(901)에 의해 압송된 순환수를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로 안내하는 것이고, 개스킷(601)에 고정된다.
노즐 급수관(701)은, 순환관(18)과 연결되는 순환관 연결포트(75)와, 순환관 연결포트(75)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관로부(71a)와, 관로부(71a)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를 포함한다.
노즐 급수관(701)은, 순환관(18)으로부터 배출된 순환수를 분지시켜, 제 1 부분류(FL1, 도 13 참조.)와 제 2 부분류(FL2, 도 13 참조.)를 형성한다. 노즐 급수관(701)은, 제 1 부분류(FL1)가 안내되는 제 1 유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노즐 급수포트(72a, 72b)가 형성되어, 각각의 제 1 노즐 급수포트(72a, 72b)를 통해, 이와 대응하는 제 1 노즐(610a, 610b)로 순환수를 토출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부분류(FL2)가 안내되는 제 2 유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즐 급수포트(72c, 72d)가 형성되어, 각각의 제 2 노즐 급수포트(72c, 72d)를 통해, 이와 대응하는 제 2 노즐(610c, 610d)로 순환수를 토출한다.
관로부(71a)는 순환관 연결포트(75) 및 노즐 급수포트들(72a, 72b, 72c, 72d)과 연결되어서, 순환관 연결포트(75)를 통해 유입된 물을 각 노즐 급수포트들(72a, 72b, 72c, 72d)로 안내한다.
관로부(71a)는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관로부(71a1)와,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관로부(71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관로부(71a1)의 일단과 제 2 관로부(71a2)의 일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렇게 연결된 부분에서 순환관 연결포트(75)가 돌출된다. 그러나, 제 1 관로부(71a1)의 타단과 제 2 관로부(71a2)의 타단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즉, 관로부(71a)는 전체적으로 "Y"자 형태로 이루어져, 하나의 입구(즉, 순환관 연결포트(75))를 통해 유입된 순환수를 두 개의 유로로 분지시켜 안내하는 구조이며, 이때 두 개의 유로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관로부(71a)는 전체적으로 환형으로 이루어지나, 원주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이다. 즉, 원주 상에서 절개된 부분이 제 1 관로부(71a1)와 제 2 관로부(71a2) 사이에 해당한다.
관로부(71a)의 단면적(S3)은 일정할 수도 있지만, 관로부(71a)의 높이에 따른 내부 압력의 차등을 해소하기 위해, 관로부(71a)의 단면적(S3)은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커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대적으로 관로부(71a)의 일부분 보다 상부에 위치된 관로부(71a)의 타부분의 단면적은 관로부(71a)의 일부분 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관로부(71a)의 단면적(S3)은, 관로부(71a)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단면 상에서, 관로부(71a)에 세탁수가 유동되는 공간의 면적을 의미한다.
관로부(71a)는 개스킷(601)의 외주부 둘레에 배치되고, 순환관(18)을 통해 펌프(901)와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는, 관로부(71a)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며, 각각의 노즐 급수포트들(72a, 72b, 72c, 72d)은 개스킷(601)에 형성된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에 삽입된다.
노즐 급수포트들(72a, 72b, 72c, 72d)은 노즐들(610a, 610b, 610c, 610d)과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가 대응하는 노즐(610a, 610b, 610c, 610d)로 순환수를 공급한다.
노즐 급수포트들(72a, 72b, 72c, 72d)은 관로부(71a) 및 노즐들(610a, 610b, 610c, 610d)과 연결된다. 노즐들(610a, 610b, 610c, 610d)은 하부노즐 급수포트(72b, 72c)와, 하부노즐 급수포트(72b, 72c) 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노즐 급수포트(72a, 72d)를 포함한다.
상부노즐 급수포트(72a, 72d)는 상부 노즐(610a, 610d)과 연결되고, 하부노즐 급수포트(72b, 72c)는 하부 노즐(610b, 610c)과 연결된다. 상부노즐 급수포트(72a, 72d)들은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도 있고,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하부노즐 급수포트(72b, 72c)들은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도 있고,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부노즐 급수포트(72a, 72d)는 제 1 상부 노즐(610a)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제 1 상부 노즐 급수포트(72a), 제 2 상부 노즐(610d)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제 2 상부 노즐 급수포트(72d)을 포함하고, 하부노즐 급수포트(72b, 72c)는 제 1 하부 노즐(610b)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제 1 하부 노즐 급수포트(72b), 제 2 하부 노즐(610c)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제 2 하부 노즐 급수포트(72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유로는, 관로부(71a)에 의해 형성된 유로 중에서, 순환관 연결포트(75)가 연결된 유입구(71h, 또는, 순환관 연결포트(75)의 출구)로부터 제 1 하부 노즐 급수포트(72b)를 거쳐 제 1 상부 노즐 급수포트(72a)에 이르도록 안내하는 구간으로, 이 구간에서 순환수는 제 1 방향(전방에서 바라볼 시, 시계방향)으로 안내된다.
제 2 유로는, 관로부(71a)에 의해 형성된 유로 중에서, 순환수를 유입구(71h)로부터 제 2 하부 노즐 급수포트(72c)를 거쳐 제 2 상부 노즐 급수포트(72d)에 이르도록 안내하는 구간으로, 이 구간에서 순환수는 제 2 방향(전방에서 바라볼 시, 시계반대방향)으로 안내된다.
노즐 급수관(701)은 관로부(71a)로부터 돌출되어 순환관(18)과 연결되는 순환관 연결포트(75)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관 연결포트(75)는 관로부(71a)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순환관 연결포트(75)는, 복수의 노즐들(610a, 610b, 610c, 610d) 중 어느 것보다도 하측에서 관로부(71a)와 연결된다. 순환관 연결포트(75)는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들(72a, 72b, 72c, 72d) 중 어느 것 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한편, 각각의 노즐(610a, 610b, 610c, 610d, 610e)은 개스킷(601)의 연장부(63)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노즐 유입관(611)과, 노즐 유입관(611)과 연결된 노즐 헤드(61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유입관(611)은 연장부(63)와 연결된 일단에 포트 통과공이 형성되고, 타단은 대응하는 노즐(610a, 610b, 610c, 610d)과 연결되어 있다.
특히,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 차이를 가지고 배치된 유로의 구종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들(610a, 610b, 610c, 610d)간에 균일하거나, 오차가 적은 양의 순환수 또는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해 각 관들의 단면적을 조정한다.
상부 노즐(610a, 610d)의 단면적은 하부 노즐(610b, 610c)의 단면적 보다 크다. 여기서, 노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노즐의 내부공간의 단면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노즐의 단면적은 노즐 유입관(611)의 단면적을 의미한다. 상부 노즐(610a, 610d)의 단면적은 하부 노즐(610b, 610c)의 단면적 보다 크면, 상부 노즐(610a, 610d)에서 압력저하로 인해 세탁수의 분사량이 저하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부 노즐(610a, 610d)의 단면적은 하부 노즐(610b, 610c)의 단면적 대비 1.2 배 내지 2배 일 수 있다.
또한, 상부노즐 급수포트(72a, 72d)의 단면적(S1)은 하부노즐 급수포트(72b, 72c)의 단면적(S2) 보다 크다. 노즐 급수포트(72)의 단면적은 노즐 급수포트(72)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노즐 급수포트(72)의 내부공간의 단면적을 의미한다. 상부노즐 급수포트(72a, 72d)의 단면적(S1)은 하부노즐 급수포트(72b, 72c)의 단면적(S2) 보다 크면, 상부노즐 급수포트(72a, 72d)에서 압력저하로 인해 세탁수의 분사량이 저하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상부노즐 급수포트(72a, 72d)의 단면적(S1)은 하부노즐 급수포트(72b, 72c)의 단면적(S2) 대비 1.2 배 내지 2배 일 수 있다.
물론, 상부노즐 급수포트(72a, 72d)의 단면적(S1)은 하부노즐 급수포트(72b, 72c)의 단면적(S2) 보다 클 때, 상부 노즐(610a, 610d)의 단면적과 하부 노즐(610b, 610c)의 단면적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 도 있지만, 상부 노즐(610a, 610d)의 단면적은 하부 노즐(610b, 610c)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들의 각 단면적은 순환관 연결포트(75)의 단면적 (S4)보다 클 수 있다. 상부노즐 급수포트(72a, 72d)의 단면적(S1) 및 하부노즐 급수포트(72b, 72c)의 단면적(S2)은 순환관 연결포트(75)의 단면적 (S4)보다 클 수 있다.
물론,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들의 각 단면적은 순환관 연결포트(75)의 단면적 (S4)보다 클 때, 상부 노즐(610a, 610d)의 단면적과 하부 노즐(610b, 610c)의 단면적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 도 있지만, 상부 노즐(610a, 610d)의 단면적은 하부 노즐(610b, 610c)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관로부(71a)의 단면적(S3)은 순환관 연결포트(75)의 단면적 (S4)보다 클 수 있다. 관로부(71a)는 순환관 연결포트(75) 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관로부(71a)에서 생기는 압력저하를 보완할 수 있다.
도 17은 도 9에 도시된 포트 삽입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9에 도시된 노즐 급수포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포트 삽입관과 노즐 급수포트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취한 단면이다.
개스킷(601)은, 복수의 노즐 유입관(611)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스킷(601)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은 대응하는 노즐 유입관(611)과 연통되고, 각각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가 대응하는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 내로 삽입된다. 노즐 급수포트들(72a, 72b, 72c, 72d)로부터 토출된 순환수가, 노즐 유입관(611)을 통해 노즐 헤드(612)로 공급된다.
개스킷(601)에 노즐 급수관(701)을 공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 내에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가 삽입된 상태에서,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과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를 서로 결속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램프를 이용하여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의 외주부를 조여줌으로써,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으로부터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가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결속 부재의 조립으로 인해, 조립공수가 늘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결속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바로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와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한다.
특히, 이하, 제 2 상부 노즐(610d)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포트(72d)와 포트 삽입관(650d)이 체결되는 구조를 예로 드나,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노즐 급수포트들(72a, 72b, 72c)과 이와 대응하는 포트 삽입관들(650a, 650b, 650c) 역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노즐 급수포트(72d)는 포트 삽입관(650d)에 형성된 압입홀(651)로 압입되어 개스킷(601)에 결합된다. 노즐 급수포트(72d)는 포트 삽입관(650d)에 형성된 압입홀(651)로 압입되어 개스킷(60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노즐 급수포트(72d)의 외경은 압입홀(65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압입홀(651)은 포트 삽입관(650d)의 내경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므로, 노즐 급수포트(72d)의 외경은 포스 삽입관(650d)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노즐급수포트(72d)에는 외둘레면에 압입돌기(725)가 형성된다. 압입돌기(725)는 노즐급수포트(72d)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압입돌기(725)는 노즐급수포트(72d)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실시예에 압입돌기(725)는 노즐급수포트(72d)의 길이방향을 따라 7개가 형성되나, 노즐급수포트(72d)에 형성되는 압입돌기(725)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노즐급수포트(72d)는 포트삽입관(650d)에 형성된 압입홀(651)로 압입되어 포트삽입관(650d)에 결합된다. 이때, 압입돌기(725)는 포트삽입관(650d)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반경으로 압입될 수 있다. 개스킷(601)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압입돌기(725)는 포트삽입관(650d)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포트삽입관(650d)의 내주면을 탄성변형시키며 포트삽입관(650d)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압입될 수 있다.
노즐급수포트(72d)가 포트삽입관(650d)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정의할시, 압입돌기(725)는 후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수직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면은 수직면보다 경사가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급수포트(72d)가 포트삽입관(650d)에 형성된 압입홀(651)로 압입될시 상기 경사면으로 인해 압입이 용이하게 되고, 압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수직면으로 인해 노즐급수포트(72d)가 포트삽입관(650d)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결속부재(예를 들면, 클램프)를 이용하지 않고도 노즐 급수관(701)을 개스킷(601)에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속부재를 조이기 위한 작업 소요시간이 필요치 않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를 포트삽입관(650d)의 외둘레면에 체결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포트삽입관(650d)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어, 포트삽입관(650d)의 길이로 인한 유로저항을 줄일 수 있다. 포트 삽입관(650d)은 개스킷(601)의 외주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포트 삽입관(650d)의 짧은 길이 덕분에, 노즐 급수포트(72d)를 포트 삽입관(650d)에 압입을 완료하였을 때 관로부(71a)를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시켜 융기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거나, 상기 융기부의 높이나 길이를 줄이거나, 완만하게 굴곡시킬 수 있어, 관로부(71a) 내를 흐르는 물의 유로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포트 삽입관(650d)의 짧은 길이 덕분에, 개스킷(601) 및 밸런서(81, 82)와의 사이에 노즐 급수관(701)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 확보된 공간에 체적이 큰 밸런서(81, 82, 83, 84)를 설치할 수 있다.
각각의 포트 삽입관(650a, 650b, 650c, 650d)과, 대응하는 노즐 유입관(611)은 실질적으로 동일선상에서 연장된다. 노즐유입관(611)은 길이방향이 개스킷(601)의 중심(O)을 향하지 않고 대략 수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노즐유입관(611)은 개스킷(601)의 중심을 향해 물을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한 방향으로 물을 안내한다.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은 하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되, 드럼(32) 내로 분사하는 한 쌍의 상부 노즐(610a, 610d)과, 한 쌍의 상부 노즐(610a, 610d)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는 한 쌍의 하부 노즐(610b, 610c)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 노즐(610b, 610c)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 제 1 하부 노즐(610b)과 제 2 하부 노즐(610c)을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상부 노즐(610a, 610b)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 제 1 상부 노즐(610a)과 제 2 상부 노즐(610d)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 1 상부 노즐(610a)의 구성은 다른 노즐들(610b, 610c, 610d)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11,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상부 노즐(610a)은 개스킷(601)의 연장부(63)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경부(65b)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노즐 유입관(611)은 관상의 형태로써, 외경부(65b)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대응하는 노즐 헤드(612)와 연결된다.
노즐 헤드(612)는 노즐 급수포트(72a)로부터 토출된 물이 충돌하는 충돌면(612a)과, 충돌면(612a)의 좌측변과 우측변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충돌면(612a)을 따라 유동하는 수류의 좌측과 우측 경계를 각각 한정하는 좌측면(612b)과 우측면(612c)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 헤드(612)의 좌측면(612b)과 우측면(612c)이 이루는 각도(α)는 대략 45도 내지 55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0도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충돌면(612a), 좌측면(612b) 및 우측면(612c)은 노즐헤드(612)의 출구(612d)로 연장된다. 노즐헤드(612)의 충돌면(612a)은 노즐유입관(611)의 출구(611c)와 대향되고, 개스킷(601)의 중심(O)을 향해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같이, 노즐유입관(611)은 길이방향이 개스킷(601)의 중심(O)을 향하지 않고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어 물을 수평한 방향으로 안내하고, 노즐헤드(612)의 충돌면(612a)만이 개스킷(601)의 중심(O)을 향해 경사져서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유입관(611)을 유동하여 노즐헤드(612)로 안내되는 물이 중력의 영향을 적게 받아,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로부터 드럼(32) 내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만약, 노즐유입관(611)의 길이방향이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지 않고 개스킷(601)의 중심(O)을 향해 배치된다면, 상부 노즐(610a, 610d)의 노즐유입관(611)을 유동하는 물은 아래로 흐르는 과정에서 중력이 가해져 하부 노즐(610b, 610c)보다 빠르게 드럼(32) 내로 분사되고, 하부 노즐(610c, 610d)의 노즐유입관(611)을 유동하는 물은 위로 흐르는 과정에서 중력이 가해져 상부 노즐(610a, 610d)보다 느리게 드럼(32) 내로 분사되기 때문에,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로부터 드럼(32) 내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곤란해지나,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유입관(611)의 길이방향이 대략수평하게 배치되어, 물을 수평한 방향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로부터 드럼(32) 내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노즐유입관(611)은 입구부(611a)와 출구부(611b)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부(611a)는 노즐급수포트(72a)가 압입되는 포트삽입관(650a)의 압입홀(651)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압입홀(651)과 직경이 같게 형성된다. 출구부(611b)는 입구부(611a)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입구부(611a) 및 노즐헤드(612)를 연결하고, 입구부(611a)에서 노즐헤드(612)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다. 입구부(611a)의 직경이 압입홀(651)의 직경과 같게 형성되어 노즐급수포트(72a)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입구부(611a)에서 저항을 적게 받아 유로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고, 출구부(611b)의 출구(611c)가 직경이 가장 작게 형성되어 노즐헤드(612)로 고압의 물을 토출할 수 있다.
노즐 헤드(612)의 출구를 이루는 충돌면(612a)의 끝단, 또는 상기 출구와 근접한 부분에는, 다수개의 돌기(612d)가 횡방향(또는, 수류의 폭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충돌면(612a)을 따라 진행하는 수류가 돌기(612d)와 부딪힌 후, 출구를 통해 분사된다. 노즐 헤드(612)를 통해 분사된 수류는, 돌기(612d)들 사이를 통과하여 분사된 부분은 두께가 두꺼운 반면에, 돌기(612d)을 타고 넘은 후 분사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며, 따라서, 두꺼운 메인 물 줄기들 사이 사이에 얇은 수막이 펼쳐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노즐 급수관(701)은 개스킷(601)의 외주면 및 밸런서(81, 82) 사이에 배치된다. 노즐 급수관(701)은 개스킷(601)의 외주면 및 밸런서(81, 8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노즐 급수관(701)은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이 기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노즐(610a, 610d)은 유입구(71h) 보다 상측에 형성되고, 유입구(71h)를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노즐(610a, 610b)은 관로부(71a)의 중심(O, 도 11 참조.)을 지나는 수직선(OV)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각각의 상부 노즐(610a, 610d)의 분사 방향 역시 수직선(OV)에 대해 대칭이다.
한 쌍의 상부 노즐(610a, 610d)은 노즐 급수관(701)의 중심(O) 또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는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참고로, 도 11에 표시된 OH는 중심(O)을 지나는 수평선임.). 각각의 상부 노즐(610a, 610d)은 하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드럼(32)을 정면에서 들여다볼 시, 순환수는 드럼(32)의 입구측에서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 상측 영역을 통과하며, 드럼(32) 내로 깊이 들어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분사된다.
한 쌍의 하부 노즐(610b, 610c)은 유입구(71h) 보다는 상측이나, 한 쌍의 상부 노즐(610a, 610d) 보다는 하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하부 노즐(610b, 610c)은 유입구(71h)를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선(OV)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각 하부 노즐(610b, 610c)의 분사 방향이 수직선(OV)에 대해 대칭이다.
한 쌍의 하부 노즐(610b, 610c)은 노즐 급수관(701)의 중심(O) 또는 드럼(32)의 중심 보다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하부 노즐(610b, 610c)은 상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드럼(32)을 정면에서 들여다볼 시, 순환수가 드럼(32)의 입구측에서는 드럼(32)의 중심(C) 보다 하측 영역을 통과하며, 드럼(32) 내로 깊이 들어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로 분사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급수관(701)은 한 쌍의 상부 노즐(610a, 610d)과 한 쌍의 하부 노즐(610b, 610c)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주변부에 비해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아웃렛(717a, 717b, 717c, 717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을 이하, 제 1 아웃렛(717a), 제 2 아웃렛(717b), 제 3 아웃렛(717c), 제 4 아웃렛(717d)이라고 한다.
제 1 아웃렛(717a)과 제 4 아웃렛(717d)은 각각 제 1 관로부와(71a1) 제 2 관로부(71a2)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각각 제 1 상부 노즐(610a)과 제 2 상부 노즐(610d)의 유입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아웃렛(717b)과 제 3 아웃렛(717c)은 각각 제 1 하부 노즐(610b)과 제 2 하부 노즐(610c)의 노즐 유입관(611)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아웃렛(717a, 717b, 717c, 717d)의 외측으로 개스킷(601)의 외주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융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순환수를 토출하는 노즐 급수포트들(72a, 72b, 72c, 72d)은 각각의 아웃렛(717a, 717b, 717c, 717d)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관로부(71a)의 단면은 반경방향으로 정의한 높이가, 개스킷(601)의 길이방향(또는, 세탁기의 전후 방향)으로 정의한 폭보다 짧은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로부(71a)의 단면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룰 수 있고, 이 경우, 직사각형의 장변은 상기 폭이 되고, 단변은 상기 높이가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개스킷(601)과 밸런스들(81, 82) 사이의 협소한 간격 내에도 관로부(71a)를 설치할 수 있다. 관로부(71a)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의 공간(즉, 순환수가 안내되는 공간)의 단면 역시 마찬가지로, 높이(h)가 폭(d)보다 짧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순환관(18)을 통해 공급된 순환수는, 순환관 연결포트(75)를 통해 노즐 급수관(701) 내로 유입된 후, 양쪽으로 분지되어 유로를 따라 상승하며, 아래에 위치한 노즐로부터 차례로 분사가 이루어진다. 펌프(901)의 작동압은 압송된 물이 상부 노즐(610a, 610d)까지 미칠 수 있는 정도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 1 펌프 모터(92)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노즐들(610a, 610b, 610c, 610d)의 분사압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사압 제어의 한 가지 실시예로써, 모든 노즐들(610a, 610b, 610c, 610d)에 의해 동시에 분사가 이루어지는 범위 내에서 제 1 펌프 모터(92)의 속도가 가변 제어될 수 있고, 노즐들(610a, 610b, 610c, 610d)에 의해 순환수가 분사되는 동안, 세탁물이 드럼(32)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드럼(32)과 함께 회전되는 필트레이션모션(filtration motion)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노즐 급수관(701)의 중심(O, 또는, 개스킷(601)의 중심)에 대해, 상부 노즐(610b, 610e)은 개스킷(601)이 수직선(OV)과 만나는 두 지점 중 상부에 위치한 지점(또는, 직수 노즐(42))과 각도 θ1를 이루고, 하부 노즐(610c, 610d)은 상부 노즐(610b, 610e)과 각도 θ2를 이룬다고 할 때, θ1은 대략 50도 내지 60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5도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θ2 대략 50도 내지 65도이고,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55도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개스킷(601)에는 직수 노즐(42, 도 4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 직수 노즐(42)은 외부 수원(예를 들어, 수도 꼭지)으로부터 공급된 물(즉, 직수)을 드럼(32) 내로 분사하는 것이다. 개스킷(601)의 림부(64)에는 직수 노즐(42)이 설치되는 제 1 설치관(61c)이 형성될 수 있다.
직수노즐(42)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펌프(901)가 작동되어, 순환관(18)을 통해 순환수가 공급되는 중에, 직수공급관(39)을 통해서도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급수부(33)를 제어함으로써, 총 5개의 노즐(610a, 610b, 610c, 610d, 42)을 통해 동시에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601)은, 전방에서 보았을 시, 소정의 직선에 대해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직수 노즐(42)은 상기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노즐들(610a, 610b)은 상기 직선을 기준으로 제 2 노즐들(610c, 610d)과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복수의 노즐(610a, 610b, 610c, 610d)과 직수 노즐(42)을 통해서 동시에 분사가 이루어질 시, 이들 노즐들(610a, 610b, 610c, 610d, 42)을 통해 분사되는 수류들의 전체적인 형태가, 정면에서 바라볼 시 좌, 우 대칭의 균형을 이루게 된다.
개스킷(601)에는 스팀 분사노즐(47)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분사노즐(47)은 상기 스팀 생성기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드럼(32) 내로 분사하는 것이다. 개스킷(601)의 림부(64)에는 상기 스팀 분사노즐(47)이 설치되는 제 2 설치관(61d)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와 반대로, 상기 스팀 분사노즐(47)이 제 1 설치관(61c)에 설치되고, 직수 노즐(42)이 제 2 설치관(61d)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개스킷(601)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홈(60r)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60r)은, 전방에서 바라볼 때, 개스킷(601)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60r)은 개스킷(601)의 접철부(65)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경부(61b)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하, 좌측에 형성된 안착홈을 제 1 안착홈(60r1)이라고 하고, 우측에 형성된 안착홈을 제 2 안착홈(60r2)이라고 한다. 제 1 관로부(71a1)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 1 안착홈(60r1) 내에 위치되고, 제 2 관로부(71a2)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 2 안착홈(60r2) 내에 위치된다.
안착홈(60r)의 폭은 관로부(71a)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안착홈(60r)은 관로부(71a)가 안착홈(60r)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깊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관로부(71a1, 71a2)가 개스킷(60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되면, 각각의 관로부(71a1, 71a2)가 밸런서(81, 82) 등의 다른 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생략한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1는 노즐 급수관들이 개스킷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은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제 1 노즐 급수관과 제 2 노즐 급수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펌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3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펌프(902)로부터 토출된 순환수를 안내하는 제 1 순환관(181), 제 2 순환관(182) 및 노즐 급수관(710)을 포함하고, 노즐 급수관(710)은 제 1 노즐 급수관(71b1)과 제 2 노즐 급수관(71b2)을 포함한다. 제 1 순환관(181)과 제 2 순환관(182)은 길이와 단면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펌프(902)는 순환수를 토출하는 두 개의 포트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두 개의 포트를 제 1 순환수 토출포트(912a)와 제 2 순환수 토출포트(912b)라고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 1 임펠러(915)가 회전될 시, 제 1 챔버(914) 내의 순환수가 제 1 순환수 토출포트(912a)와 제 2 순환수 토출포트(912b)를 통해 동시에 토출된다.
제 1 노즐 급수관(71b1)은 제 1 순환관(181)에 의해 제 1 순환수 토출포트(912a)와 연결되고, 제 2 노즐 급수관(71b2)은 제 2 순환관(182)에 의해 제 2 순환수 토출포트(912b)와 연결된다.
즉, 펌프(902)로부터 토출된 전체 순환수 중에서, 제 1 부분류(FL1)는 제 1 순환관(181) 및 제 1 노즐 급수관(71b1)에 의해 형성된 제 1 유로를 따라, 제 1 노즐들(610a, 610b)로 공급되고, 제 2 부분류(FL2)는 제 2 순환관(182) 및 제 2 노즐 급수관(71b2)에 의해 형성된 제 2 유로를 따라, 제 2 노즐들(610c, 610d)로 공급된다.
각각의 노즐 급수관(71b1, 71b2)은 관상의 관로부(710b1, 710b2)와, 관로부(710b1, 710b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를 포함한다. 개스킷(601)에는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와 대응하는 노즐들(610a, 610b, 610c, 610d)이 형성되어, 대응하는 급수포트(72a, 72b, 72c, 72d)로부터 순환수를 공급받는다. 노즐들(610a, 610b, 610c, 610d)은 한 쌍의 상부 노즐(610a, 610d)과 한 쌍의 하부 노즐(610b, 61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노즐 급수관(71b1)은 제 1 관로부(710b1)의 하측으로부터 개스킷(601)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순환관 연결 포트(75a)를 포함하고, 제 2 노즐 급수관(71b2)은 제 2 관로부(710b2)의 하측으로부터 개스킷(601)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순환관 연결 포트(75b)를 포함한다. 한편, 제 1, 2순환관(181, 182)을 통해 공급된 순환수는, 제 1, 2순환관 연결포트(75a, 75b)를 통해 제 1, 2 노즐 급수관(71b1, 71b2) 내로 유입된 후, 양쪽으로 분지되어 유로를 따라 상승하며, 하부 노즐, 상부 노즐 순서로 분사가 이루어진다. 펌프(902)의 작동압은 압송된 물이 상부 노즐(610a, 610d)까지 미칠 수 있는 정도로 제어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31) 전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의 큰 상부 밸런서(83)와 하나의 큰 하부 밸런서(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노즐 급수관들(71b1,71b2)을 각각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순환관(181, 182)과 연결하고, 특히, 각 노즐 급수관(71b1, 71b2)과 순환관(181, 182)의 연결이, 상부 밸런서(83)와 하부 밸런서(84) 사이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하부 밸런서(84)와의 간섭을 회피하였다.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 기능뿐만 아니라 건조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 히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터브(31) 내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이 완료된 후, 건조 히터와 송풍팬을 작동하여, 드럼(32)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실시예는 송풍팬에 의해 압송된 공기를 터브(31) 내로 토출하는 급기덕트(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기덕트(660)는 개스킷(60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터브(3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급기덕트(660)는 개스킷(601)에 형성되어 터브(3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홀이다. 이러한, 급기덕트(660)는 개스킷(601)의 주변에 배치되는 노즐 급수관(701)과 밸런서(81, 82) 등 관 간섭되어 설치 및 배치에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배치를 설명한다.
개스킷(601)에는, 송풍팬에 의해 압송된 공기를 터브(31) 내로 토출하는 급기덕트(660)가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1)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개스킷(601)과 비교하여, 급기덕트(660)를 더 포함하는 차이가 있으나, 그 밖의 구성들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노즐 급수관(701)은 개스킷(601)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스킷(601)의 외주를 감싸는 폐곡선으로 정의되는 주변 영역에서 노즐 급수관(701)은 일부 영역에 배치되고 일부 영역에는 배치되는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개스킷(601)의 외주를 감싸는 주변 영역에서 노즐 급수관(701)이 배치되지 않는 미배치 영역(801)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노즐 급수관(701)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별개로 물을 공급받고, 외주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급수관(701)은 1개가 구비되고, 미배치 영역(801)에 노즐 급수관(701)이 배치되는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 노즐 급수관(701)은 폐곡선의 일부가 오픈된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노즐 급수관(701)의 관로부(71a)는 일단이 순환관 연결포트(75)와 연결된 제1 관로부(71a1)와, 일단이 순환관 연결포트(75) 및 제1 관로부(71a1)와 연결되는 제2 관로부(71a2)를 포함하고, 제1 관로부(71a1)의 타단(702)과 제2 관로부(71a2)의 타단(703)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관로부(71a1)의 타단(702)과 제2 관로부(71a2)의 타단(703) 사이의 공간은 이격공간(704)으로 정의되고, 이격공간(704)은 미배치 영역(801)과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노즐 급수관(701)의 형상은 노즐 급수관(701)과 급기덕트(660) 배치공간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미배치 영역(801)은 주변 영역 중 일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배치 영역(801)은 주변 영역에서 드럼의 중심축(O)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미배치 영역(801)은 드럼의 중심축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급기덕트(660)는 개스킷(601)의 둘레에서 상측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스킷(601)의 둘레에서 상측영역은 개스킷(601)의 둘레를 드럼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4등분 했을 때, 다른 영역 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개스킷(601) 둘레에서 상측영역은 드럼의 중심축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미배치 영역(801)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급기덕트(660)는 제1 관로부(71a1)의 타단(702)과 제2 관로부(71a2)의 타단(703) 사이의 이격공간(704)에 배치될 수 있다. 급기덕트(660)는 노즐 급수관(701)과 전후방향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다. 제1 관로부(71a1)의 말단과 제2 관로부(71a2)의 말단 사이에 급기덕트(660)가 배치되어서 노즐 급수관(701)과 급기덕트(660)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밸런서(81, 82)는 터브(31)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런서(81, 82)는 터브(31)의 둘레에서 좌측영역에 배치되는 제1밸런서(81)와, 터브(31)의 둘레에서 우측영역에 배치되는 제2밸런서(8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31) 둘레의 좌측영역은 터브(31)의 중심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영역이고, 터브(31) 둘레의 우측영역은 터브(31)의 중심에서 우측에 위치되는 터브(31)의 중심을 기준으로 터브(31) 둘레의 우측영역과 마주보는 영역이다.
터브(31)의 둘레의 상측영역은 밸런서(81, 82)가 배치되지 않고, 미배치 영역(801)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에서 보아 터브(31) 둘레의 상측영역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미배치 영역(801)과 밸런서(81, 82)가 배치되는 않는 터브(31) 둘레의 상측영역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면, 밸런서(81, 82)와 노즐 급수관(701)의 간섭을 줄일 수 있고, 미배치 영역(801)에 배치되는 급기덕트(660)와 밸런서(81, 82) 사이에 간섭을 줄일 수 있다.
급기덕트(660)는 2개의 밸런서(81, 82)들 사이에 위치되어서, 급기덕트(660)와 밸런서(81, 82)들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덕트(660)는 밸런서(81, 82)가 배치되는 않는 터브(31) 둘레의 상측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급기덕트(660)는 밸런서(81, 82)들과 상하방향 또는/및 전후 방향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상기 케이싱 사이를 밀봉하는 개스킷;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펌프를 통해 압송된 물을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은,
    하부 노즐과, 상기 하부 노즐 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노즐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 노즐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은 개스킷의 내주부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노즐은 상기 개스킷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상부 노즐과 제 2 상부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노즐은 상기 개스킷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하부 노즐과 제 2 하부 노즐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를 통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안내하고, 상기 개스킷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배치되는 노즐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하부 노즐과 연결되는 하부 노즐 급수포트와, 상기 상부 노즐과 연결되는 상부 노즐 급수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노즐 급수포트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노즐 급수포트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에서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순환관 연결포트;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관로부; 및
    상기 관로부 및 상기 복수의 노즐과 연결되는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의 각 단면적은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의 단면적 보다 큰 세탁물 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의 단면적은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의 단면적 보다 큰 세탁물 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는,
    일단이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와 연결된 제1 관로부와,
    일단이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 및 상기 제1 관로부와 연결되는 제2 관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로부의 타단과 상기 제2 관로부의 타단 사이는 서로 이격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노즐 급수포트가 결합되는 포트 삽입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트 삽입관은 상기 개스킷의 외주에서 상기 개스킷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1.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상기 케이싱 사이를 밀봉하는 개스킷;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펌프를 통해 압송된 물을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 및
    상기 펌프를 통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안내하는 노즐 급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은,
    하부 노즐과,
    상기 하부 노즐 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하부 노즐과 연결되는 하부 노즐급수포트와, 상기 상부 노즐과 연결되는 상부 노즐급수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노즐 급수 포트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노즐 급수포트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에서 압송된 물이 유입되는 순환관 연결포트;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순환관 연결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고, 상기 상부노즐 급수포트 및 상기 하부노즐 급수포트와 연결되는 관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노즐 급수포트 및 상기 하부노즐의 단면적은 상기 급수포트 순환관 연결포트의 단면적은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180074391A 2018-06-27 2018-06-27 세탁기 KR20200001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391A KR20200001423A (ko) 2018-06-27 2018-06-27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391A KR20200001423A (ko) 2018-06-27 2018-06-27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23A true KR20200001423A (ko) 2020-01-06

Family

ID=6915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391A KR20200001423A (ko) 2018-06-27 2018-06-27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4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1824A1 (ko) * 2022-11-25 2024-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1824A1 (ko) * 2022-11-25 2024-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125B1 (ko) 세탁기
KR101992179B1 (ko) 세탁기
EP3293304B1 (en) Drain pump
KR102459589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939085B1 (ko) 세탁기
KR10240207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103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01423A (ko) 세탁기
KR10264902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7343672B2 (ja) 洗濯機及び洗濯機の組立方法
KR102552260B1 (ko) 세탁물 처리장치
AU2023200302A1 (en) Washing machine
EP3587654B1 (en) Washing machine
KR102642445B1 (ko) 세탁기
EP3587652A1 (en) Washing machine
KR20200001526A (ko) 세탁기
KR20200001494A (ko) 세탁기
KR20200001525A (ko) 세탁기
KR20190111350A (ko) 세탁기
US11346038B2 (en) Washing machine
KR102485726B1 (ko) 세탁기
KR20190115771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210004338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90111361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