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260B1 - 세탁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260B1
KR102552260B1 KR1020180038836A KR20180038836A KR102552260B1 KR 102552260 B1 KR102552260 B1 KR 102552260B1 KR 1020180038836 A KR1020180038836 A KR 1020180038836A KR 20180038836 A KR20180038836 A KR 20180038836A KR 102552260 B1 KR102552260 B1 KR 102552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valve
washing water
pump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760A (ko
Inventor
박수일
신진혁
김영수
김성준
엄윤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우성밸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우성밸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260B1/ko
Priority to CN201910265496.8A priority patent/CN110359240B/zh
Priority to US16/374,362 priority patent/US10934659B2/en
Priority to EP19167048.8A priority patent/EP3550066B1/en
Publication of KR2019011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세척수를 저장하는 공간을 형서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세척수의 상기 터브로 순환하거나,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밸브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세척수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펌프에서 유입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로 보내는 순환유로 및 상기 펌프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상기 배수유로와 연결되는 제1챔버; 및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양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상기 펌프에 의해 유동하는 세척수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챔버를 상기 배수유로 또는 순환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디스크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따라 세척수를 순환하거나 배수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척수가 담기는 터브와, 터브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터브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터브로 순환시키는 순환관을 포함한다.
터브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배수관 또는 순환관으로 펌핑하기 위해서는 각각에 연결되는 펌프가 2개 구비되어야하며, 이는 펌프 2개에 해당하는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하나의 펌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양방향으로 순환관과 배수관을 연결할 수 있으나, 이는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나, 펌프모터의 오작동으로 역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하나의 펌프를 이용하여 터브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배수하거나 순환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과제는 일방향으로 작동하는 펌프를 이용하여 터브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배수하거나 순환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과제는 단순구조로 배수모드와 순환모드에서 펌프에서 작동하는 펌프모터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펌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배수하거나, 순환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과제는 펌프에서 배출된 세척수의 유로를 절환하는 구조에 세척수에 포함된 린트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세척수를 저장하는 공간을 형서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세척수의 상기 터브로 순환하거나,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밸브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세척수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펌프에서 유입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로 보내는 순환유로 및 상기 펌프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상기 배수유로와 연결되는 제1챔버; 및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양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상기 펌프에 의해 유동하는 세척수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챔버를 상기 배수유로 또는 순환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디스크밸브를 포함하여, 하나의 펌프와 밸브어셈블리를 통해 세척수의 압력에 따라 세척수를 순환시키거나 배수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크밸브는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챔버와 상기 배수유로 사이를 폐쇄하고,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유로 사이를 폐쇄하여, 디스크밸브의 배치에 따라 배수유로 또는 순화유로로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펌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할 때, 상기 디스크밸브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배수유로를 연결하여, 세척수의 압력에 따라 디스크밸브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펌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일 때, 상기 디스크밸브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여, 세척수의 압력에 따라 디스크밸브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밸브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유동하는 세척수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디스크밸브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세척수의 유동압력과 탄성력의 크기에 따라 디스크밸브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밸브어셈블리가 세척수를 상기 터브로 다시 보내는 순환모드일 때, 상기 펌프는 상기 제1챔버로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디스크밸브에 가하는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디스크밸브에 가하는 탄성력 이하로 세척수를 배출시켜, 세탁기의 모드에 따른 펌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밸브어셈블리가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모드일 때, 상기 펌프는 상기 제1챔버로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디스크밸브에 가하는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디스크밸브에 가하는 탄성력보다 크도록 세척수를 배출시켜, 세탁기의 모드에 따른 펌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는 제1채널과, 상기 제1챔버와 상기 배수유로를 연결하는 제2채널이 형성되어, 제1챔버로 유입된 세척수가 제1채널 또는 제2채널을 통해 순환유로나 배수유로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디스크밸브의 일부구성이 배치되는 제2챔버가 형성되어, 제1챔버와 제2챔버에 걸쳐 디스크밸브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제1챔버, 상기 제1채널이 형성되는 제1밸브하우징과, 내부에 상기 제2채널이 형성되는 제2밸브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하우징은, 상기 디스크밸브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바디와, 내부에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는 제1채널을 형성하는 제1커넥터를 포함하고, 제2밸브하우징은, 내부에 제2채널을 형성하는 제2커넥터와, 상기 디스크밸브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디스크가이더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제1밸브하우징과 제2밸브하우징의 결합으로, 디스크밸브를 밸브하우징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펌프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제1채널이나 제2채널로 보낼 수 있다.
상기 디스크밸브는, 제1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채널 사이에 형성된 채널연통홀을 개폐하는 제1디스크밸브; 상기 제1챔버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채널 사이에 형성된 챔버연통홀을 개폐하는 제2디스크밸브 및 상기 제1디스크밸브와 상기 제2디스크밸브를 연결하는 디스크연결바를 포함하여, 제1디스크밸브와 제2디스크밸브 각각에 작용하는 힘이 전체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크밸브는 상기 제1채널로 유입되는 세척수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압력을 전달받고, 상기 제2디스크밸브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부터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받아, 디스크밸브가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크밸브는, 상기 제1챔버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전달받는 디스크판; 디스크판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채널 사이를 밀폐하는 실러를 포함하여, 제1디스크밸브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채널연통홀을 닫을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크밸브는 하측으로 면적이 줄어드는 원뿔대형상을 가져, 챔버연통홀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제1챔버로 보내도록 내측에 세척수가 유동하는 펌프채널을 형성하는 펌프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펌프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밸브어셈블리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제1챔버의 유로단면의 직경은 펌프커넥터 내부에 형성된 펌프채널의 유로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밸브는 상기 제1챔버의 유입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펌프채널에서 유입된 세척수가 디스크밸브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외둘레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탄성부재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배수시 유동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린트가 탄성부재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하우징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를 둘러싸고, 상기 디스크밸브의 상측에 고정배치되는 제1탄성부재하우징; 및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를 둘러싸고, 상기 밸브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배치되는 제2탄성부재하우징을 포함하여, 배수시 유동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린트가 탄성부재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하나의 펌프를 이용하여 배수와 순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2개의 펌프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양방향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펌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따라 배수와 순환을 수행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고, 세척수의 역류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탄성부재에 린트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하우징을 포함하여, 밸브어셈블리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어셈블리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밸브하우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밸브하우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크밸브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7a의 제1디스크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크밸브 및 디스크연결바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밸브가 제1위치에 배치될 때의 밸브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밸브가 제2위치에 배치될 때의 밸브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9a의 배치에서의 세척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b는 도 9b의 배치에서의 세척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세탁물 처리장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캐비닛(10)은 전방으로 투입구(12h)가 형성되는 전면(12), 좌우측을 커버하는 측면(13), 후방을 커버하고, 급수관 또는 배수관의 일부가 관통하는 후면(14), 상측을 커버하는 상면(11) 및 세탁물 처리장치를 지지하는 수평한 저면(1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12)의 상측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14)이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0) 내에는 세척수가 담기는 터브(31)가 배치될 수 있다. 터브(31)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가 개스킷(43)에 의해 캐비닛(10)에 형성된 투입구(12h)와 연통되어 있다.
투입구(12h)를 개폐하는 도어(20)가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대략 중앙부가 개구되고, 전면(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도어 프레임(21)과, 도어 프레임(21)의 개구된 중앙부에 설치되는 투명한 윈도우(22)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43)은 터브(31)에 담긴 세턱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단부는 캐비닛(10)의 전면(12)과 결합되고, 후단부는 터브(31)의 입구 둘레와 결합되며, 상기 전단부와 상기 후단부 사이가 관상의 형태로 연장된다. 개스킷(43)은 유연한 또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43)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브(31) 내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32)은 세탁물을 수용하며, 상기 세탁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대략 수평한 회전 중심선(C)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만, 여기서의 "수평"은 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로써 사용된 용어는 아니다. 즉,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중심선(C)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5도 이하)로 기울어진 경우 역시 수평에 근접하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수평하다고 할 수 있다. 터브(31) 내의 세척수가 드럼(32)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드럼(32)에는 다수의 통공(32h)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3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8)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38)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38a)이 터브(31)의 후면부를 통과하여 드럼(32)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38)는 직결식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터는 터브(31)의 후방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38a)은 로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터브(31)는 저면(15)에 설치된 댐퍼(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32)의 회전시 유발되는 터브(31)의 진동이 댐퍼(16)에 의해 감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터브(31)를 캐비닛(10) 내에 매다는 헹거(예를 들면, 스프링)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터브(31)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미도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를 단속하는 급수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31) 또는 드럼(32) 내로 세제, 섬유 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35)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35)에는 첨가제들이 그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5)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미도시)와, 섬유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디스펜서(35)의 각 수용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33)는 각각의 급수공급관(34)을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은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 1 급수공급관과 상기 섬유 유연제 수용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 2 급수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는, 상기 제 1 급수공급관을 단속하는 제 1 급수밸브와, 상기 제 2 급수공급관을 단속하는 제 2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43)에는 드럼(32) 내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직수 노즐(42)이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직수 노즐(42)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관(39)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33)는 직수 공급관(39)을 단속하는 제 3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35)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는 급수 밸로우즈(37)를 통해 터브(31)로 공급된다. 터브(31)에는 급수 밸로우즈(37)와 연결된 급수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31)에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 밸로우즈(17)가 상기 배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터브(31)로부터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36)와, 펌프(36)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배수관(19) 또는 순환관(18)으로 선택적으로 보내는 밸브어셈블리(100)가 구비될 수 있다.
펌프(36)는 터브(31)로부터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를 밸브어셈블리로 압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밸브어셈블리(100)는 펌프(36)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배수관(19) 또는 순환관(18)으로 선택적으로 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관(18)은 터브(31)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펌프(36)는 세척수를 압송하기 위한 임펠러(미도시)와,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는 펌프 하우징(미도시)과,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펌프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하우징에는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미도시)와, 임펠러에 의해 압송된 세척수를 밸브어셈블리(100)로 토출하는 토출포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포트는 밸브어셈블리(100)의 펌프커넥터(150)와 연결될 수 있다.
펌프(36)는 유량(또는, 토출 수압)이 가변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 펌프(36)를 구성하는 펌프 모터는 회전속도 제어가 가능한 가변속 모터일 수 있다. 상기 펌프 모터는 BLCD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모터의 속도 제어를 위한 드라이버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버는 인버터 드라이버일 수 있다. 인버터 드라이버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목표한 주파수로 모터에 입력한다.
펌프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펌프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펌프 모터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값을 제어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어셈블리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밸브하우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밸브하우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크밸브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크밸브 및 디스크연결바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어셈블리는, 펌프(36)에서 배출된 세척수의 압력에 따라, 세척수를 배수관(19) 또는 순환관(18)으로 선택적으로 보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어셈블리는 펌프(36)에서 회전하는 펌프 모터의 회전속도(RPM)에 따라 밸브어셈블리(100)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배수관(19) 또는 순환관(18)으로 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어셈블리(100)는, 디스크밸브(160)의 배치에 따라, 펌프(36)에서 유입된 세척수가 순환관(18) 내부에 형성된 순환유로와 연통하는 제1채널(124a, 124b) 또는 배수관(19) 내부에 형성된 배수유로와 연통하는 제2채널(138)을 선택적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펌프(36)로부터 밸브어셈블리(100)로 유입된 세척수는, 디스크밸브(160)의 배치에 따라, 캐비닛(10) 외부로 배수되거나, 터브(31)로 다시 순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어셈블리(100)는 외형을 형상하고, 내부에 세척수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밸브하우징(110), 밸브하우징(110) 내측에서 세척수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순환유로 및 배수유로와 연결된 제1챔버(114), 제1챔버(114) 내부를 이동하며 제1챔버(114) 내부의 세척수를 순환유로 또는 배수유로로 선택적으로 보내는 디스크밸브(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수유로와 연결된 제1챔버’에서 ‘연결된’의 의미는 배수유로와 제1챔버가 다른 연결통로 없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해석되거나, 배수유로와 제1챔버 사이에 다른 연결통로가 배치되어 상기의 다른 연결통로를 통해 연결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유로와 연결된 제1챔버’의 의미는, 도 3을 참조하면, 제1챔버(114)가 제2챔버(122) 및 제2채널(138)을 통해 배수유로와 연결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밸브하우징>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하우징(110) 내부에는 펌프(36)에서 배출된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1챔버(114), 제1챔버(114)와 순환유로를 연결하는 제1채널(124a, 124b) 및 제1챔버(114)와 배수유로를 연결하는 제2채널(138)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하우징(110) 내부에는 제1챔버(114)와 제2채널(138)을 연결하고, 디스크밸브(160)의 일부가 배치되는 제2챔버(12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하우징(110)은 내부에 제1챔버(114), 제2챔버(122) 및 제1채널(124a, 124b)을 형성되는 제1밸브하우징(112)과 내부에 제2채널(138)을 형성되는 제2밸브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하우징(110)은 상기와 같이, 제1밸브하우징(112)과 제2밸브하우징(130)의 복수의 구조로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제1밸브하우징(112)과 제2밸브하우징(130)이 일체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밸브하우징(112)은 내부에 제1챔버(114)와 제2챔버(122)를 형성하는 하우징바디(113), 내부에 제1채널(124a, 124b)을 형성하는 제1커넥터(126a, 126b)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밸브하우징(112)은 제2밸브하우징(130)과 체결되는 제1체결부(127)와, 이하에서 설명할 펌프커넥터(150)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부(128)에는 펌프커넥터(150)와 체결되도록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바디(113)는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하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바디(113) 내부에는 제1챔버(114)와 제2챔버(122)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챔버(114)와 제2챔버(122)의 중심은 하우징바디(113)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축(Z-Z’)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바디(113) 내부에는 제1챔버(114)와 제2챔버(122)가 상하로 배치된다. 하우징바디(113) 내부에는 제1챔버(114)와 제2챔버(122)를 구분하는 내부격벽(116)이 형성된다. 내부격벽(116)은 제1챔버(114)와 제2챔버(122)를 구분한다. 내부격벽(116)의 중심에는 제1챔버(114)와 제2챔버(122)를 연통시키는 챔버연통홀(118)이 형성된다. 하우징바디(113)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를 가진다. 하우징바디(113)의 상부에 제2챔버(122)가 배치되고, 하우징바디(113)의 하부에 제1챔버(114)가 배치된다.
제1챔버(114)는, 하측이 개방되면, 하측으로 펌프(36)와 연결된다. 제1챔버(114)는 펌프(36)에서 배출된 세척수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챔버(114)는 순환유로로 연결되는 제1채널(124a, 124b)과 연결된다. 제1챔버(114)는 배수유로와 연결되는 제2채널(138)와 연결된다. 제1챔버(114)는 디스크밸브(160)의 제2디스크밸브(180)가 배치되는 제2챔버(122)를 통해 제2채널(138)과 연결된다.
제1챔버(114)는 제2챔버(122)의 상류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챔버(114)는 제2챔버(122)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챔버(114)는 제1채널(124a, 124b)의 상류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챔버(114)는 제1채널(124a, 124b)의 하측에 배치된다.
즉, 제1챔버(114)의 하류에는 제2챔버(122)와 제1채널(124a, 124b)이 배치되며, 디스크밸브(160)에 의해 제1챔버(114)의 세척수가 제2챔버(122) 또는 제1채널(124a, 124b)로 유동할 수 있다.
제1챔버(114)와 제1채널(124a, 124b) 사이에는 두개의 공간을 연통시키는 채널연통홀(120a, 120b)이 형성된다.
제1챔버(114)는 이하에서 설명할 디스크밸브(160)의 제1디스크밸브(161)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디스크밸브(161)는 제1챔버(114)의 내부에서 중심축(Z-Z’)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며, 채널연통홀(120a, 120b)을 개폐한다.
제1챔버(114)의 유로직경(D1)은 펌프커넥터(150)가 형성하는 펌프커넥터(150)의 내측에 형성된 펌프채널(152)의 유로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펌프채널(152)을 유동하는 세척수는 제1챔버(114)로 이동하면서, 가압되고, 반경의 외측방향으로 퍼지면서 유동할 수 있다. 펌프채널(152)을 따라 펌프(36)에서 유동하는 세척수는 유로직경이 큰 제1챔버(114) 내부로 유동하면서, 제1디스크밸브(161)의 디스크판(162) 하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챔버(114)의 유로직경(D1)은 제1디스크밸브(16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챔버(122)는 제1챔버(114)에서 유입된 세척수를 배수유로와 연결되는 제2채널(138)로 보낸다. 제2챔버(122)는 제1챔버(114)의 하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챔버(122)는 제1챔버(114)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챔버(122)는 디스크밸브(160)의 제2디스크밸브(18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챔버(122)는 디스크밸브(160)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9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챔버(122)에는 디스크밸브(16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디스크가이더(132)와 제2밸브하우징(1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이 배치된다.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은 제2디스크밸브(180)의 제1탄성부재하우징(184)과 함께 제2챔버(122) 내부에 배치된다. 제1탄성부재하우징(184)과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은 탄성부재의 외둘레에 이격배치되어, 세척수를 따라 유동하는 린트가 탄성부재에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제2챔버(122)는 제2채널(138)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밸브하우징(112)에서 제2챔버(122)의 상측은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며, 제1밸브하우징(112)이 제2밸브하우징(130)과 결합할 때, 제2챔버(122)는 제2채널(138)과 연결된다. 제2챔버(122)가 형성하는 유로의 직경은 제1챔버(114)가 형성하는 유로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챔버(122)의 유로단면의 직경은 제2채널(138)의 유로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챔버(122)는 제2채널(138)에 포함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제2챔버(122)와 제2채널(138)이 구분되지 않고, 제2채널 하나로 설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채널(138) 내부에 제2디스크밸브(180) 및 디스크가이더(132)와 탄성부재하우징(136, 18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커넥터(126a, 126b)는 하우징바디(113)의 상부 외둘레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126a, 126b)는 하우징바디(113)의 외둘레면에서 서로 반대되는 양측에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커넥터 각각은 하우징바디(113)의 중심축(Z-Z’)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커넥터 각각은 터브(3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순환관(18) 각각에 연결된다.
제1커넥터(126a, 126b)는 제1챔버(114)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커넥터(126a, 126b) 내부에 형성된 제1채널(124a, 124b)은 제1챔버(114)의 상측에서 제1챔버(114)와 연결된다. 제1커넥터(126a, 126b) 내부에 형성된 제1채널(124a, 124b)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유로의 단면적이 줄어든다. 따라서, 순환관(18)으로 유동하는 세척수의 유동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제2밸브하우징(130)은 내부에 제2채널(138)을 형성하는 제2커넥터(131)와, 디스크밸브(16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디스크가이더(132)를 포함한다. 또한, 제2밸브하우징(130)은 탄성부재(190)의 외둘레에 이격배치되는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채널(138)은 제2챔버(122)의 하류에 배치된다. 제2채널(138)은 제2챔버(122)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채널(138)의 유로단면의 직경은 하류로 갈수록 줄어드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배수관(19)으로 유동되는 세척수의 유동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디스크가이더(132)는 제2커넥터(131)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가이더(132)는, 제1밸브하우징(112)과 제2밸브하우징(130)이 결합할 때, 제2챔버(122) 내부에 배치된다.
디스크가이더(132)는 제1밸브하우징(112)의 중심축(Z-Z’)을 따라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디스크밸브(160)의 디스크연결바(186)가 삽입되는 가이더홈(133)이 형성된다. 디스크밸브(160)의 디스크연결바(186)는 디스크가이더(132)의 가이더홈(133)에 삽입되어, 중심축(Z-Z’)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밸브하우징(130)은 제2커넥터(131)의 하측단부에서 디스크가이더(132)와 연결되어 디스크가이더(132)를 지지하는 가이더연결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더연결부(134)는 세척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디스크가이더(132)가 제2밸브하우징(130)의 하측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바(Bar)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은 가이더연결부(134)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은 내부가 중공이고, 하측으로 개방된 원통형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의 내측상부에는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탄성부재고정부(137)가 배치된다.
또한, 제2밸브하우징(130)은 제1밸브하우징(112)과 체결되는 체결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밸브하우징(130)은 제1밸브하우징(112)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밸브하우징(130)의 체결부(142)와 제1밸브하우징(112)의 제1체결부(127)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밸브하우징(130)은 제1밸브하우징(112)의 하우징바디(113)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Z-Z’)을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하우징(110)은 펌프(36)와 연결되고, 펌프(36)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제1챔버(114)로 보내는 펌프커넥터(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커넥터(150)는 펌프(36)와 밸브하우징(110) 내측의 공간을 연결한다.
펌프커넥터(150)는 내측에 세척수가 유동하는 펌프채널(152)을 형성한다. 펌프채널(152)이 형성하는 유로단면의 직경(D2)은 제1챔버(114)가 형성하는 유로단면의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펌프커넥터(150)를 유동하는 세척수는 제1챔버(114)로 유입될 때, 가압되어 반경의 외측방향으로 퍼지면서 유동할 수 있다. 펌프커넥터(150)는 제1밸브하우징(112)과 체결되는 체결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밸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밸브(160)는 제1챔버(114)와 제2챔버(122) 사이에 형성된 챔버연통홀(118) 또는 제1챔버(114)와 제1채널(124a, 124b) 사이에 형성된 채널연통홀(120a, 120b)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밸브(160)는 중심축(Z-Z’)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챔버연통홀(118) 또는 채널연통홀(120a, 120b)을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밸브(160)는 이하에서 설명할 탄성부재(190)에서 발생하는 탄성력과 펌프(36)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챔버연통홀(118)을 막거나, 채널연통홀(120a, 120b)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밸브(160)는 제1챔버(114) 내부에 배치되어 채널연통홀(120a, 120b)을 개폐하는 제1디스크밸브(161), 제2챔버(122)에 배치되어 챔버연통홀(118)을 개폐하는 제2디스크밸브(180) 및 제1디스크밸브(161)와 제2디스크밸브(180)를 연결하는 디스크연결바(18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디스크밸브(161)는 제1챔버(114)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크밸브(161)는 펌프(36)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디스크밸브(161)는 제1챔버(114)의 유입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크밸브(161)는 제1챔버(114)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전달받는 디스크판(162), 디스크판(162)의 상측에 배치되어, 채널연통홀(120a, 120b)에 밀폐하는 실러(172) 및 디스크연결바(186)가 연결되는 디스크연결부(16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판(162)은 중심이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링형상의 판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판(162)은 중앙부분에 세척수가 유동하는 관통홀(16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판(162)의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홀(166)의 직경(D3)은 펌프커넥터(150) 내부에 형성된 펌프채널(15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판(162)의 외부직경(D4)은 펌프커넥터(150) 내부에 형성된 펌프채널(152)의 직경(D2)보다 크고, 제1챔버(114)의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된다.
디스크판(162)의 하면은, 제1챔버(114)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영향을 받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디스크밸브(161)는 제1챔버(114)의 유입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펌프커넥터(150)에서 제1챔버(114)로 유입되며 반경방향의 외측방향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제1디스크밸브(161)의 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디스크판(162)의 상면에는 실러(172)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러(172)는 디스크판(162)의 상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러(172)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러(172)는, 디스크밸브(160)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채널연통홀(120a, 120b)을 막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러(172)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연결부(164)는 디스크연결바(186)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연결부(164)는 디스크판(16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66)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연결부(164)는 디스크판(162)의 중심에 배치된다. 디스크연결부(164)는 디스크판(162)과 지지대(168)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연결부(164)는 디스크연결바(186)가 삽입되는 연결바홈(170)이 형성된다. 디스크연결바(186)는 별도의 체결수단(192)에 의해 디스크연결부(164)에 고정될 수 있다.
제2디스크밸브(180)는 일측에서 연결되는 탄성부재(19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크밸브(180)는 일측에서 연결되는 탄성부재(190)의 탄성력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크밸브(180)는 제1챔버(114)와 제2챔버(122) 사이에 형성되는 챔버연통홀(118)을 개폐하는 밸브코르크(182), 밸브코르크(182) 상측에서 탄성부재(190)의 일측을 고정하는 탄성부재고정부(185) 및 탄성부재(190)에 린트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둘레에 이격배치되는 제1탄성부재하우징(18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코르크(182)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코르크(182)는 하측으로 면적이 줄어드는 원뿔대형상을 가진다. 밸브코르크(182) 내부에는 탄성부재(19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밸브코르크(182) 내부에는 탄성부재(190)가 고정되는 탄성부재고정부(185)가 배치된다.
제1탄성부재하우징은 밸브코르크(182)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탄성부재(19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탄성부재하우징(184)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부재하우징(184)은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의 외둘레 일부를 감싸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하우징(184)의 내주면의 직경(D5)은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의 외주면의 직경(D6)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연결바(186)는 제1디스크밸브(161)와 제2디스크밸브(180)를 연결한다. 디스크연결바(186)는 제1디스크밸브(161)와 제2디스크밸브(180)에 각각 고정된다. 디스크연결바(186)는 제1디스크밸브(161)와 제2디스크밸브(180)를 일정간경으로 이격배치한다.
디스크연결바(186)는 상단부가 디스크가이더(132)의 가이더홈(133)에 삽입된다. 디스크연결바(186)는 디스크가이더(132)의 가이더홈(13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크연결바(186)는 제2디스크밸브(180)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1디스크밸브(161)에 전달한다. 디스크연결바(186)는 제1디스크밸브(161)에 작용하는 세척수의 압력을 제2디스크밸브(180)에 전달한다.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하우징>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어셈블리(100)는 디스크밸브(16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는 제2디스크밸브(180)에 인장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제2디스크밸브에 일정한 크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부재로 대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90)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디스크밸브(160)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90)는 하측방향으로 디스크밸브(160)에 탄성력을 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90)는 제2밸브하우징(130)과 제2디스크밸브(180) 사이에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90)는 제2밸브하우징(130)의 제2탄성부재하우징(136)과 제2디스크밸브(180)의 제1탄성부재하우징(184) 각각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어셈블리(100)는 세척수를 따라 유동하는 린트가 탄성부재(190)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부재(190)의 외둘레에 배치되는 탄성부재하우징(136, 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하우징(136, 184)은, 탄성부재(190)의 하부를 둘러싸는 제1탄성부재하우징(184)과, 탄성부재(190)의 상부를 둘러싸고, 제1탄성부재하우징(136) 내측에 삽입되는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은 밸브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은 제2밸브하우징(130)의 하측에서 고정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부재하우징(184)은 디스크밸브(160)의 상측에 고정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부재하우징(184)은 제2디스크밸브(180)에 고정배치된다. 따라서, 제1탄성부재하우지(184)은 디스크밸브(160)와 함께 밸브하우징(110) 내측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의 외부직경(D6)은 제1탄성부재하우징(184)의 내부직경(D5)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탄성부재하우징(184)이 제2탄성부재하우징(136)의 외둘레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크밸브의 작동>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밸브가 제1위치에 배치될 때의 밸브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밸브가 제2위치에 배치될 때의 밸브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a는은 도 9a의 배치에서의 세척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b는 도 9b의 배치에서의 세척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36) 내부에 배치된 펌프 모터는 터브(31) 내부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경우와, 터브(31) 내부의 세척수를 순환하는 경우에 있어서, 회전수를 달리할 수 있다.
터브(31) 내부의 세척수를 캐비닛(10)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모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36)는 제1설정압력으로 세척수를 배출한다. 배수모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36)의 펌프 모터는 제1설정회전속도로 회전한다.
터브(31) 내부의 세척수를 터브(31)로 다시 보내는 순환모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36)는 제2설정압력으로 세척수를 배출한다. 순환모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36)의 펌프 모터는 제2설정회전속도로 회전한다.
펌프(36)의 펌프 모터는 순환모드에서보다 배수모드에서 더 빨리 회전한다. 따라서, 배수모드에서 펌프(36)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은 순환모드에서 펌프(36)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제1설정압력이 제2설정압력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설정회전속도가 제2설정회전속도보다 크게 형성된다.
탄성부재(190)는 디스크밸브(160)에 하측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세탁물 처리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디스크밸브(160)에는 탄성부재(190)에 의한 탄성력만이 제공된다. 디스크밸브(160)는 탄성부재(190)에 의한 탄성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동이 가능한 범위에서 하측에 배치된다.
디스크밸브(160)는 탄성부재(190)에 의한 탄성력이 가해지는 경우, 디스크밸브(160)는 챔버연통홀(118)의 외둘레에 형성된 내부격벽(116)과 제2디스크밸브(180)가 맞닿는 부분에 배치된다. 즉, 세탁물 처리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디스크밸브(160)는 탄성부재(190)에 의해 하측에 배치되어 챔버연통홀(118)을 폐쇄한다.
탄성부재(190)에 의해 디스크밸브(160)에 가해지는 탄성력은, 배수모드에서, 펌프(36)에 의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디스크밸브(160)에 가하는 압력보다 작게 형성된다. 탄성부재(190)에 의해 디스크밸브(160)에 가해지는 탄성력은, 순환모드에서, 펌프(36)에 의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디스크밸브(160)에 가하는 압력보다 크게 형성된다.
세탁물 처리장치의 배수모드에서는, 펌프(36)에서 배출된 세척수가 디스크밸브(160)에 가하는 압력이 탄성부재(190)가 디스크밸브(160)에 가하는 압력보다 크게 형성되어, 디스크밸브가 세척수의 유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세탁물 처리장치의 배수모드에서, 디스크밸브(160)는 상측으로 이동한다.
세탁물 처리장치의 배수모드에서, 디스크밸브(160)는 제1위치에 배치된다. 디스크밸브(160)는 제1위치에서, 제1디스크밸브(161)는 채널연통홀(120a, 120b)을 막도록 배치되고, 제2디스크밸브(180)는 아 챔버연통홀(118)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챔버연통홀(118)을 개방하도록 배치된다.
세탁물 처리장치의 순환모드에서는, 펌프(36)에서 배출된 세척수가 디스크밸브(160)에 가하는 압력이 탄성부재(190)가 디스크밸브(160)에 가하는 압력보다 작게 형성되어, 디스크밸브가 탄성부재(190)의 탄성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세탁물 처리장치의 순환모드에서, 디스크밸브(160)는 하측으로 이동한다.
세탁물 처리장치의 순환모드에서, 디스크밸브(160)는 제2위치에 배치된다. 디스크밸브(160)는 제2위치에서, 제2디스크밸브(180)는 챔버연통홀(118)을 막도록 배치되고, 제1디스크밸브(161)는 채널연통홀(120a, 120b)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채널연통홀(120a, 120b)을 개방하도록 배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캐비닛 18 : 순환관
19 : 배수관 31 : 터브
100 : 밸브어셈블리 110 : 밸브하우징
112 : 제1밸브하우징 114 : 제1챔버
122 : 제2챔버 124 : 제1채널
130 : 제2밸브하우징 132 : 디스크가이더
136 : 제2탄성부재하우징 138 : 제2채널
150 : 펌프커넥터 160 : 디스크밸브
161 : 제1디스크밸브 180 : 제2디스크밸브
186 : 디스크연결바 190 : 탄성부재

Claims (21)

  1.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세척수를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로 순환하거나,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밸브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세척수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펌프에서 유입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로 보내는 순환유로 및 상기 펌프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를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유로와 연결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양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상기 펌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챔버를 상기 배수유로 또는 상기 순환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디스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는 제1채널과, 상기 제1챔버와 상기 배수유로를 연결하는 제2채널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디스크밸브의 일부구성이 배치되는 제2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구분하고,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연통시키는 챔버연통홀이 형성되는 내부격벽이 배치되고,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채널 사이를 연통시키는 채널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밸브는 상기 챔버연통홀과 상기 채널연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밸브는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챔버와 상기 배수유로 사이를 폐쇄하고,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유로 사이를 폐쇄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할 때, 상기 디스크밸브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배수유로를 연결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일 때, 상기 디스크밸브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밸브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유동하는 세척수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디스크밸브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어셈블리가 세척수를 상기 터브로 다시 보내는 순환모드일 때, 상기 펌프는 상기 제1챔버로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디스크밸브에 가하는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디스크밸브에 가하는 탄성력 이하로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어셈블리가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모드일 때, 상기 펌프는 상기 제1챔버로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디스크밸브에 가하는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디스크밸브에 가하는 탄성력보다 크도록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제1챔버, 상기 제1채널이 형성되는 제1밸브하우징과,
    내부에 상기 제2채널이 형성되는 제2밸브하우징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하우징은,
    상기 디스크밸브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바디와,
    내부에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는 제1채널을 형성하는 제1커넥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2밸브하우징은,
    내부에 제2채널을 형성하는 제2커넥터와, 상기 디스크밸브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디스크가이더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밸브는,
    제1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채널 사이에 형성된 채널연통홀을 개폐하는 제1디스크밸브;
    상기 제1챔버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채널 사이에 형성된 챔버연통홀을 개폐하는 제2디스크밸브 및
    상기 제1디스크밸브와 상기 제2디스크밸브를 연결하는 디스크연결바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밸브는 상기 제1채널로 유입되는 세척수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압력을 전달받고,
    상기 제2디스크밸브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유로를 연결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부터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받는 세탁물 처리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밸브는,
    상기 제1챔버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전달받는 디스크판;
    디스크판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채널 사이를 밀폐하는 실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크밸브는 하측으로 면적이 줄어드는 원뿔대형상을 가지는 세탁물 처리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제1챔버로 보내도록 내측에 세척수가 유동하는 펌프채널을 형성하는 펌프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제1챔버의 유로단면의 직경은 펌프커넥터 내부에 형성된 펌프채널의 유로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밸브는 상기 제1챔버의 유입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2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외둘레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탄성부재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하우징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를 둘러싸고, 상기 디스크밸브의 상측에 고정배치되는 제1탄성부재하우징; 및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를 둘러싸고, 상기 밸브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배치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하우징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2탄성부재하우징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180038836A 2018-04-03 2018-04-03 세탁물 처리장치 KR102552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836A KR102552260B1 (ko) 2018-04-03 2018-04-03 세탁물 처리장치
CN201910265496.8A CN110359240B (zh) 2018-04-03 2019-04-03 洗衣机
US16/374,362 US10934659B2 (en) 2018-04-03 2019-04-03 Washing machine
EP19167048.8A EP3550066B1 (en) 2018-04-03 2019-04-03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836A KR102552260B1 (ko) 2018-04-03 2018-04-03 세탁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760A KR20190115760A (ko) 2019-10-14
KR102552260B1 true KR102552260B1 (ko) 2023-07-05

Family

ID=6609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836A KR102552260B1 (ko) 2018-04-03 2018-04-03 세탁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34659B2 (ko)
EP (1) EP3550066B1 (ko)
KR (1) KR102552260B1 (ko)
CN (1) CN1103592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6190B2 (en) 2020-09-30 2024-04-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 with hydraulically actuated diverter valve
KR102550660B1 (ko) * 2020-12-15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335B1 (ko) * 2008-03-14 2014-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00119451A (ko) * 2009-04-30 201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953260B (zh) * 2011-08-23 2015-07-15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洗衣机、洗衣机水流通路控制装置及洗衣机水路控制方法
PL2816149T3 (pl) * 2013-06-20 2017-07-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Pompa pralk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34659B2 (en) 2021-03-02
US20190301077A1 (en) 2019-10-03
KR20190115760A (ko) 2019-10-14
EP3550066A1 (en) 2019-10-09
EP3550066B1 (en) 2020-07-29
CN110359240B (zh) 2021-07-20
CN110359240A (zh)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6871B2 (en) Washing machine
KR102459589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992179B1 (ko) 세탁기
KR102552260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939085B1 (ko) 세탁기
KR102643584B1 (ko) 세탁기
KR102554903B1 (ko) 세탁물 처리장치
US20220349110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KR102493160B1 (ko) 세탁기
KR10220373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04339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642445B1 (ko) 세탁기
KR102655311B1 (ko) 세탁기
KR20200001423A (ko) 세탁기
EP3995616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170048619A (ko) 세탁기
KR20190111361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