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660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660B1
KR102550660B1 KR1020200175395A KR20200175395A KR102550660B1 KR 102550660 B1 KR102550660 B1 KR 102550660B1 KR 1020200175395 A KR1020200175395 A KR 1020200175395A KR 20200175395 A KR20200175395 A KR 20200175395A KR 102550660 B1 KR102550660 B1 KR 10255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drain
diaphragm
draina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380A (ko
Inventor
원광재
표준호
반석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660B1/ko
Priority to PCT/KR2021/018411 priority patent/WO2022131651A1/en
Priority to EP21906955.6A priority patent/EP4263928A1/en
Priority to US18/256,789 priority patent/US20240026594A1/en
Publication of KR2022008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8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for unidirectional fluid flow in reversible pumps
    • F04D29/48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for unidirectional fluid flow in reversible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Abstract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펌프에 구비되는 유로선택부에 관한 것이다. 유로선택부는 제1유입부와 연통되는 배수유입홀 및 제1유출부와 연통되는 배수유출홀을 포함하는 배수유로와 제2유입부와 연통되는 순환유입홀 및 제2유출부와 연통되는 순환유출홀을 포함하는 순환유로를 포함하는 유로바디부 및 상기 유로바디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배수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를 구획하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배수유로를 폐쇄시키거나 상기 순환유로를 폐쇄시키도록 구비되는 다이아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1토출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입홀에서 상기 순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2토출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펌프 자체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시 다른 구성들과의 접촉이 방지되어 펌프 및 다른 구성들의 파손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 세탁물을 건조하는 장치,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과정 중 드럼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세탁 과정을 거쳐 발생하는 물 또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의류처리장치의 물 또는 세탁수의 순환과 배수를 위한 펌프를 각각 별도의 모터를 통해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게 되고, 복수개의 모터가 필요하므로 비용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하나의 모터와 임펠러를 이용하여 임펠러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순환펌프와 배수펌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물 또는 세탁수의 유로 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으로 배수와 순환이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순환 과정 또는 배수 과정에서 원치않는 유로를 향해 물 또는 세탁수가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국 등록특허 09689403호에는 배수유로 및 순환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배수유로 및 순환유로가 펌프하우징에 삽입되는 구조로 유동저항이 큰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밸브는 배수유로 및 순환유로를 밸브 전체가 차폐하는 방식으로 차폐가 용이 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나아가, 배수유로 및 순환유로가 펌프하우징의 토출관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인 펌프의 사이즈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배수유로 및 순환유로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밸브가 배수유로 및 순환유로를 효율적으로 차폐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아가, 펌프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펌프 구성의 배치 및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모터와 임펠러를 이용하여 순환펌프와 배수펌프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유로선택부가 구비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펌프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유로선택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유로선택부 내부의 순환유로 및 배수유로의 유동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유로선택부 내부의 순환유로 및 배수유로의 차폐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펌프 효율이 증대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유로선택부 내부에 구비되는 다이아프레임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여 펌프 효율이 증대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캐비닛에 펌프가 설치되는 경우 캐비닛 외부와 배수유로의 연통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캐비닛에 펌프가 설치되는 경우 터브와 순환유로의 연통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캐비닛에 설치되는 펌프의 높이를 최소화 하여 드럼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펌프하우징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토출관에 연결되는 유로선택부는 토출관의 연장방향과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펌프 자체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유로선택부의 형상에 따라 내부에 구비되는 다이아프레임의 형상도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레임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여 유로선택부 내부에 구비되는 순환유로 및 배수유로 중 어느 하나의 차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유로로 물이 안내되는 경우 배수유로로의 역류가 방지되어 캐비닛 외부로 물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배수유류로로 물이 안내되는 순환유로로의 역류가 방지되어 터브로 물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의 변형 정도를 고려하여 순환유로 및 배수유로의 형태는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캐비닛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펌프의 크기가 최소화 되도록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터브로 순환시키도록 구비되는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터브와 연통되어 상기 터브로부터 물이 유입되며, 임펠러를 수용하는 펌프하우징, 상기 펌프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물이 토출되는 제1토출관, 상기 제1토출관과 이격 구비되며 상기 펌프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물이 토출되는 제2토출관 및 상기 제1토출관 및 상기 제2토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캐비닛 외부로 물이 배출되거나 상기 터브로 물이 순환되도록 구비되는 유로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는 상기 제1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1토출관으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제1유입부, 상기 제2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2토출관으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제2유입부, 상기 캐비닛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유입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안내하는 제1유출부, 상기 터브와 연통되어 상기 제2유입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제2유출부, 상기 제1유입부와 연통되는 배수유입홀 및 상기 제1유출부와 연통되는 배수유출홀을 포함하는 배수유로와 상기 제2유입부와 연통되는 순환유입홀 및 상기 제2유출부와 연통되는 순환유출홀을 포함하는 순환유로를 포함하는 유로바디부 및 상기 유로바디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배수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를 구획하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배수유로를 폐쇄시키거나 상기 순환유로를 폐쇄시키도록 구비되는 다이아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1토출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입홀에서 상기 순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2토출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의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길이는 상기 배수유로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로의 상기 순환유입홀에서 상기 순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길이는 상기 순환유로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제1토출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2토출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토출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배수유입홀의 최대높이는 상기 제1토출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배수유출홀의 최소높이보다 크게 구비되며, 상기 제2토출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순환유입홀의 최대높이는 상기 제2토출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배수유출홀의 최소높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토출관 및 상기 제2토출관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유입홀은 상기 배수유출홀과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입홀은 상기 순환유출홀과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바디부는 상기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다이아프레임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배수폐쇄면 및 상기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타면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다이아프레임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순환폐쇄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폐쇄면은 상기 배수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순환폐쇄면은 상기 순환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폐쇄면은 상기 배수유로로 물이 유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도록 경사지며, 상기 순환폐쇄면은 상기 순환유로로 물이 유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임펠러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배수폐쇄면의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배수유로를 폐쇄시키며, 상기 임펠러가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순환폐쇄면의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배수유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임펠러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배수폐쇄면을 향하여 돌출 변형되는 정도가 상기 임펠러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순환폐쇄면을 향하여 돌출 변형되는 정도가 크게 구비되며,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상기 순환폐쇄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상기 배수폐쇄면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임펠러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배수폐쇄면을 향하여 돌출 변형되는 정도가 상기 임펠러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순환폐쇄면을 향하여 돌출 변형되는 정도가 작게 구비되며,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상기 배수폐쇄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상기 순환폐쇄면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단면은 상기 유로바디부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배수유로의 연장방향으로 길이가 상기 제1토출관의 연장방향으로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배수유로를 향하는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일면에 함몰 구비되는 제1슬릿부 및 상기 순환유로를 향하는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타면에 함몰 구비되는 제2슬릿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릿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토출관의 연장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슬릿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2토출관의 연장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릿부는 상기 배수유로의 연장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슬릿부는 상기 순환유로의 연장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릿부는 상기 배수폐쇄면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슬릿부는 상기 순환폐쇄면가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릿부는 함몰이 방지되는 제1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슬릿부는 함몰이 방지되는 제2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지부는 상기 배수폐쇄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방지부는 상기 순환폐쇄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릿부의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일면에서 함몰되는 위치는 상기 제2슬릿부의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타면에서 함몰되는 위치와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유로바디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배수유로 또는 상기 순환유로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변형되는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바디부는 상기 결합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함몰 구비되는 결합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바디부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도록 결합안착부의 외측에서 함몰 구비되는 결합돌기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하나의 모터와 임펠러를 이용하여 순환펌프와 배수펌프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유로선택부가 구비되는 펌프를 통해 내부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탁시 펌프와 터브(또는 드럼) 및 기타 구성들의 접촉이 방지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로선택부에 물이 유동되는 경우 물의 유동저항이 감소되어 펌프 효율이 증대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수유로 및 순환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레임의 변형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이아프레임의 양방향으로 변형정도를 고려한 유로바디부의 설계로 펌프 효율이 증대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에 결합된 펌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펌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로선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다이아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다이아프레임에 구비된 슬릿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로선택부와 비교를 위한 유로선택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로선택부의 배수유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로선택부의 순환유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임펠러 회전방향에 따라 물이 토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다이아프레임의 변형정도가 다름을 나타낸 도면 및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폐쇄면과 순환폐쇄면이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를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0), 상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30)을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1)는 세탁조의 내부로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탑 로드 방식과 프론트 로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것이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탑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과 같이,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으며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갖는 조작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도어(40)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1)는 세탁물의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급수부(미도시)를 통해 터브(2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세탁 과정 중에는 드럼(30) 내부의 물을 순환 시키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세탁이 완료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의 한정적인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하나의 모터와 임펠러를 이용하여 상기 임펠러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서 순환펌프와 배수펌프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배수펌프(일명 양방향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배수펌프는 하나의 모터와 임펠러를 이용하여 상기 임펠러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서 순환펌프와 배수펌프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펌프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에 결합된 펌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펌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다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0)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터브(20)의 하측에 위치되는 배수펌프(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50)는 상기 터브(20)의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터브(20)로 순화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50)는 상기 터브(20)와 연통되어 상기 터브(20)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펌프하우징(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하우징(53)은 상기 터브(20)와 연결되는 펌프유입관(53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유입관(5381)은 상기 터브배수관(75)을 통해 상기 터브(2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유입관(5381)은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터브배수관(75)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유입관(5381)의 타측은 마개(53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개(538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마개(5383)를 제거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하우징(53)은 임펠러(537)를 수용하는 임펠러하우징(5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은 상기 펌프유입관(5381)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은 상기 펌프유입관(5381)과 임펠러유입관(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브(20)로부터 상기 펌프유입관(5381)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임펠러유입관을 통해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에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유입관은 상기 펌프유입관(5381)의 일측 및 상기 펌프유입관(5381)의 타측 사이에서 상기 펌프유입관(5381)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펌프유입관(5381)을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임펠러유입관에 의해 경로가 변경되어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브(20)로부터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펌프유입관(5381)의 타측에 분리되어 모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임펠러(537)는 파손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하우징(53)은 모터하우징(53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539)은 상기 임펠러(537)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다.
임펠러하우징(535)은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으로부터 연장되어 임펠러(537)의 회전에 의해 물이 토출되는 제1토출관(5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하우징(535)은 상기 임펠러(537)의 회전에 의해 물이 토출되는 제2토출관(5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토출관(533)은 상기 제1토출관(531)과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토출관(531) 및 상기 제2토출관(533)은 나란한 방향(H)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50)는 제1토출관(531) 및 제2토출관(533)과 연결되는 유로선택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부(51)는 임펠러(537)의 회전방향에 따라 캐비닛(10) 외부로 물이 배출되거나 터브(20)로 물이 순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펠러(53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된 물은 터브(20)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53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된 물은 캐비닛(10)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반대로, 임펠러(53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된 물은 터브(20)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53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된 물은 캐비닛(10)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펠러(53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된 물은 터브(20)로 안내되고, 임펠러(53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임펠러하우징(535)에 유입된 물은 캐비닛(10) 외부로 안내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유로선택부(51)는 제1토출관(531)과 연결되는 제1유입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부(513)는 상기 제1토출관(531)으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51)는 제2토출관(533)과 연결되는 제2유입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부(515)는 상기 제2토출관(533)으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51)는 캐비닛(10)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유입부(513)를 통과한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안내하는 제1유출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51)는 터브(20)와 연통되어 상기 제2유입부(515)를 통과한 물을 상기 터브(20)로 안내하는 제2유출부(5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51)는 제1유입부(513)와 연통되는 배수유입홀(5111a) 및 제1유출부(517)와 연통되는 배수유출홀(5111b)을 포함하는 배수유로(5111)와 제2유입부(515)와 연통되는 순환유입홀(5113a) 및 제2유출부(519)와 연통되는 순환유출홀(5113b)을 포함하는 순환유로(5113)를 포함하는 유로바디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로바디부(511)는 일측에 제1유입부(513) 및 제2유입부(515)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에 제1유출부(517) 및 제2유출부(519)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입부(513)는 제1토출관(531)에서 제2토출관(533)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입부(513)는 상기 유로바디부(511)까지 굴곡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유입부(513)는 배수펌프(50)의 높이 자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바디부(511)가 상기 제1유입부(513)와 상기 제2유입부(515) 사이에 위치되어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입부(515)는 제2토출관(533)에서 제1토출관(53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입부(515)는 상기 유로바디부(511)까지 굴곡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유입부(515)는 배수펌프(50)의 높이 자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바디부(511)가 상기 제1유입부(513)와 상기 제2유입부(515) 사이에 위치되어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유입부(513) 및 제2유입부(515)는 유로바디부(511)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유로선택부(51)는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선택부(51)는 제1토출관(531) 및 제2토출관(533)에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유로바디부(511)는 상기 유로바디부(511)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이아프레임(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은 배수유로(5111)와 순환유로(5113)를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은 임펠러(537)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배수유로(5111)를 폐쇄키거나 상기 순환유로(5113)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은 상기 유로바디부(511)의 내부면과 함께 일측에 배수유로(5111)를 형성하며 타측에 순환유로(5113)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바디부(511)는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과 함께 내부면이 배수유로(5111)를 형성하는 배수바디부(51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바디부(511A)와 결합되며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과 함께 내부면이 순환유로(5113)를 형성하는 순환바디부(5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바디부(511A)는 상기 순환바디부(511B)와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수바디부(511A) 및 상기 순환바디부(511B)의 결합 및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1)의 한정적인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배수펌프(50)의 크기를 더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50)는 유로선택부(51)가 토출관의 연장방향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로선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유로선택부(51)가 토출관의 연장방향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L)은 제1토출관(531)이 연장되는 방향(H)과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순환유입홀(5113a)에서 순환유출홀(5113b)을 향하는 방향(L)은 제2토출관(533)이 연장되는 방향(H)과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과 제1토출관(531)이 연장되는 방향이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순환유입홀(5113a)에서 순환유출홀(5113b)을 향하는 방향과 제2토출관(533)이 연장되는 방향이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배수유입홀(5111a) 및 배수유출홀(5111b)이 구비되는 배수바디부(511A)는 제1토출관(531)이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까지 연장되는 배수유로(5111)가 제1토출관(531)이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순환유입홀(5113a) 및 순환유출홀(5113b)이 구비되는 순환바디부(511B)는 제2토출관(533)이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순환유입홀(5113a)에서 순환유출홀(5113b)까지 연장되는 순환유로(5113)가 제2토출관(533)이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선택부(51)가 포함되는 배수펌프(50) 자체의 크기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배수펌프(50) 자체의 크기가 최소화 되면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50) 자체의 크기가 최소화 되면 배수펌프(50)와 다른 구성들을 함께 배치하는 경우 배치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다만,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과 제1토출관(531)이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경사가 너무 크게되면, 유로선택부(51)의 제작이 어려울 수 있다. 나아가, 유로선택부(51)의 구조적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순환유입홀(5113a)에서 순환유출홀(5113b)을 향하는 방향과 제2토출관(533)이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경사가 너무 크게되면, 유로선택부(51)의 제작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유로선택부(51)의 구조적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토출관(531)의 단부로부터 배수유입홀(5111a)의 최대높이는 제1토출관의 단부로부터 배수유출홀(5111b)의 최소높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토출관(531)의 단부로부터 배수유입홀(5111a)의 높이와 제1토출관(531)의 단부로부터 배수유출홀(5111b)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일정 범위 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펌프(50) 자체의 크기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유로선택부(51)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나아가, 유로선택부(51)의 구조적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1토출관(531)의 단부로부터 배수유입홀(5111a)의 최대높이와 제1토출관(531)의 단부로부터 배수유출홀(5111b)의 최대높이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제1토출관(531)의 단부로부터 배수바디부(511A)의 최대높이가 최대한 낮게 구비될 수 있어 배수펌프(50)의 전체 크기가 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배수바디부(511A)가 평평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어 제작이 더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2토출관(533)의 단부로부터 순환유입홀(5113a)의 최대높이는 제2토출관의 단부로부터 순환유출홀(5113b)의 최소높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토출관(533)의 단부로부터 순환유입홀(5113a)의 높이와 제2토출관(533)의 단부로부터 순환유출홀(5113b)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일정 범위 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펌프(50) 자체의 크기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유로선택부(51)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나아가, 유로선택부(51)의 구조적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2토출관(533)의 단부로부터 순환유입홀(5113a)의 최대높이와 제2토출관(533)의 단부로부터 순환유출홀(5113b)의 최대높이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제2토출관(533)의 단부로부터 순환바디부(511B)의 최대높이가 최대한 낮게 구비될 수 있어 배수펌프(50)의 전체 크기가 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순환바디부(511B)가 평평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어 제작이 더 용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과 제1토출관(531)이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경사는 90도일 수 있다. 즉, 배수유로(5111)는 제1토출관(531)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순환유입홀(5113a)에서 순환유출홀(5113b)을 향하는 방향과 제2토출관(533)이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경사는 90도일 수 있다. 즉, 순환유로(5113)는 제2토출관(533)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수직인 방향 및 90도인 방향은 엄밀한 사전적 의미가 아닌 제작 및 설치에 있어 공차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펌프하우징(53)으로부터 유로선택부(51)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펌프(50)에 구비되는 여러 구성요소를 컴팩트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펌프(50) 자체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즉, 배수펌프(50)를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에 넣는다고 가정하면, 상자와 배수펌프(50) 사이에 사공간이 최대한 감소될 수 있다. 즉, 배수펌프(50) 자체의 공간 활용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배수유로(5111)의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길이는 배수유로(5111)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5113)의 순환유입홀(5113a)에서 순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길이는 순환유로(5113)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배수바디부(511A)는 배수유입홀(5111a) 및 배수유출홀(5111b)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소정길이 이상의 길이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순환바디부(511B)는 순환유입홀(5113a) 및 순환유출홀(5113b)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소정길이 이상의 길이가 필요할 수 있다.
배수유로(5111)는 소정길이 이상 연장되어 물의 충분한 유동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유로(5111)로 유입되거나 배수유로(5111)에서 유출되는 물의 유동저항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만약, 배수유로(5111)의 연장길이가 짧게 구비된다면, 배수유로(5111)로 유입된 물은 배수유로(5111)를 형성하는 배수바디부(511A)의 내면 또는 다이아프레임(60)과의 충돌에 의해 와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와류는 배수유출홀(5111b) 및 제1유출부(517)에 영향을 끼쳐 펌프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와류의 영향은 소정길이 이상 확보된 배수유로(5111) 내에서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와류의 배수유출홀(5111b) 및 제1유출부(517)에 대한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배수유로(5111)의 연장길이는 임펠러(537)의 회전속도, 배수펌프(50)의 용량, 배수유입홀(5111a)의 직경, 배수유출홀(5111b)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5113)는 소정길이 이상 연장되어 물의 충분한 유동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유로(5113)로 유입되거나 순환유로(5113)에서 유출되는 물의 유동저항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만약, 순환유로(5113)의 연장길이가 짧게 구비된다면, 순환유로(5113)로 유입된 물은 순환유로(5113)를 형성하는 순환바디부(511B)의 내면 또는 다이아프레임(60)과의 충돌에 의해 와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와류는 순환유출홀(5113b) 및 제2유출부(519)에 영향을 끼쳐 펌프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와류의 영향은 소정길이 이상 확보된 순환유로(5113) 내에서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와류의 순환유출홀(5113b) 및 제2유출부(519)에 대한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순환유로(5113)의 연장길이는 임펠러(537)의 회전속도, 배수펌프(50)의 용량, 순환유입홀(5113a)의 직경, 순환유출홀(5113b)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50)는 터브(20)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캐비닛(1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10) 내부에는 세탁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설치 될 수 있으며, 건조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구성요소들이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구성요소들은 용이하게 지지 및 배치되기 위해 캐비닛(10)의 바닥면(11)에 배치되거나 캐비닛(10)의 바닥면(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토출관(531)은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토출관(533)은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토출관(531)이 연장되는 방향(H)은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멀어지는 방향(H)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토출관(533)이 연장되는 방향(H)은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멀어지는 방향(H)과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토출관(531) 및 제2토출관(533)은 캐비닛(10)의 바닥면(11)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접촉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유출관(73) 및 터브(20)와 연통되는 터브순환관(71)과 배수펌프(50)의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배수유로(5111) 및 순환유로(5113)는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토출관(531) 및 제2토출관(533)이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배수유로(5111) 및 순환유로(5113)는 펌프하우징(53)의 상부 측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50)의 캐비닛(10)의 바닥면(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이가 최소화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과정 중 세탁에 의한 진동으로 배수펌프(50)의 상측에 위치되는 터브(20) 및 터브(20)의 부속 구성들과의 접촉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나란한 방향(L)은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L)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나란한 방향(L)은 상술한 순환유입홀(5113a)에서 순환유출홀(5113b)을 향하는 방향(L)과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배수펌프(50)의 접촉에 의한 파손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 및 터브(20)의 부속구성 들의 접촉에 의한 파손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나아가, 펌프하우징(53)과 터브(20) 사이의 빈 공간에 유로선택부(51)를 배치시켜 의류처리장치(1)의 공간활용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배수유입홀(5111a)은 배수유출홀(5111b)과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순환유입홀(5113a)은 순환유출홀(5113b)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유로(5111)는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까지 캐비닛(10)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5113)는 순환유입홀(5113a)에서 순환유출홀(5113b)까지 캐비닛(10)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펌프(50)의 크기를 감소 시킬 수 있어 의류처리장치(1) 내부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50)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유로선택부(51)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유로선택부(51) 자체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제작 또한 용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로선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로선택부와 비교를 위한 유로선택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로선택부의 배수유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유로선택부의 순환유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유로바디부(511)는 배수유로(5111)를 형성하는 일면에 구비되는 배수폐쇄면(5111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수바디부(511A)는 배수폐쇄면(5111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은 다이아프레임(60)에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에 따라 양방향으로 돌출변형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폐쇄면(5111c)은 임펠러(537)가 일방향(C1)으로 회전시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C1)은 시계방향일 수 있다. 즉, 임펠러(537)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토출관(533)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토출관(533)으로 유입된 물은 제2유입부(515)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2유입부(515)를 통과한 물은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결과,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은 배수폐쇄면(5111c)과 접촉되어 배수유로(51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배수폐쇄면(5111c)은 다이아프레임(60)에 의해 배수유출홀(5111b)로 물이 안내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순환바디부(511B)의 내주면과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 사이에 형성되는 순환유로(5113)는 개방될 수 있다. 순환유로(5113)를 통과한 물은 제2유출부(519)를 통해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5 참조)
즉, 세탁과정에서 물을 순환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임펠러(537)를 일방향(C1)으로 회전시켜 물을 공급 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에 의해 배수유출홀(5111b)은 물의 유입이 최대한 방지되어 펌프 효율이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유로바디부(511)는 순환유로(5113)를 형성하는 타면에 구비되는 순환폐쇄면(5113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순환바디부(511B)는 순환폐쇄면(5113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은 다이아프레임(60)에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에 따라 양방향으로 돌출변형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폐쇄면(5113c)은 임펠러(537)가 타방향(C2)으로 회전시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방향(C2)은 시계반대방향일 수 있다. 즉, 임펠러(537)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토출관(531)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토출관(531)으로 유입된 물은 제1유입부(513)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부(513)를 통과한 물은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결과,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은 순환폐쇄면(5113c)과 접촉되어 순환유로(5113)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순환폐쇄면(5113c)은 다이아프레임(60)에 의해 순환유출홀(5113b)로 물이 안내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배수바디부(511A)의 내주면과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유로(5111)는 개방될 수 있다. 배수유로(5111)를 통과한 물은 제1유출부(517)를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6 참조)
즉, 세탁과정에서 물을 캐비닛(10) 외부로 배수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임펠러(537)를 타방향(C2)으로 회전시켜 물을 공급 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에 의해 순환유출홀(5113b)은 물의 유입이 최대한 방지되어 펌프 효율이 높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 도 9 및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도 9와 같이 배수폐쇄면(F)이 수직으로 형성된다면 배수유로(5111) 개방시 배수유입홀(5111a)을 통과한 물은 배수폐쇄면(F)에 의해 강한 유동 저항을 받게 될 수 있다. 또한, 배수유로(5111) 폐쇄시 배수폐쇄면(5111c)과 다이아프레임(60)의 접촉되는 부분이 감소되어 배수유출홀(5111b)로 물이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로써, 펌프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배수폐쇄면(5111c)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유로(5111) 개방시 배수유입홀(5111a)을 따라 유입되는 물은 배수유출홀(5111b)로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다. 즉, 배수유로(5111)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배수유로(5111) 폐쇄시 다이아프레임(60)과 배수폐쇄면(5111c)이 접촉하는 부분이 증대되어 배수유출홀(5111b)로 안내되는 물이 최대한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펌프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배수폐쇄면(5111c)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도록 배수유로(5111)는 연장길이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즉, 유로바디부(511)는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까지의 최단거리가 배수유입홀(5111a)의 직경 및 배수유출홀(5111b)의 직경의 합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유로바디부(511)는 배수유입홀(5111a) 및 배수유출홀(5111b)을 제작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배수폐쇄면(5111c)의 경사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배수폐쇄면(5111c)의 경사는 제1토출관(531)의 연장방향과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도 에서 50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수폐쇄면(5111c)의 경사가 크게 형성된다면 유로바디부(511) 자체의 크기가 증대되어 배수펌프 자체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유로(5111)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키면서, 배수유로(5111)의 연장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순환폐쇄면(5113c)은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유로(5113) 개방시 순환유입홀(5113a)을 따라 유입되는 물은 순환유출홀(5113b)로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다. 즉, 순환유로(5113)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5113) 폐쇄시 다이아프레임(60)과 순환폐쇄면(5113c)이 접촉하는 부분이 증대되어 순환유출홀(5113b)로 안내되는 물이 최대한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펌프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순환폐쇄면(5113c)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도록 배수유로(5111)는 연장길이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즉, 순환바디부(511B)는 순환유입홀(5113a)에서 순환유출홀(5113b)까지의 최단거리가 순환유입홀(5113a)의 직경 및 순환유출홀(5113b)의 직경의 합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유로바디부(511)는 순환유입홀(5113a) 및 순환유출홀(5113b)을 제작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순환폐쇄면(5113c)의 경사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순환폐쇄면(5113c)의 경사는 제2토출관(533)의 연장방향과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도 에서 50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순환폐쇄면(5113c)의 경사가 크게 형성된다면 유로바디부(511) 자체의 크기가 증대되어 배수펌프 자체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유로(5113)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키면서, 순환유로(5113)의 연장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배수폐쇄면(5111c)은 배수유로(5111)로 물이 유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즉, 배수유입홀(5111a)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방향과 대응되도록 경사지 질 수 있다. 제1토출관(531)을 통과한 물은 제1유입부(513)의 형태에 따라 배수유입홀(5111a)로 유입되는 유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토출관(531)이 배수유로(5111)보다 하측에 위치된다면, 물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폐쇄면(5111c)은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에 가까워지도록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유로(5111)로 물이 부드럽게 유입되어 유동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순환폐쇄면(5113c)은 순환유로(5113)로 물이 유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즉, 순환유입홀(5113a)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방향과 대응되도록 경사지 질 수 있다. 제2토출관(533)을 통과한 물은 제2유입부(515)의 형태에 따라 순환유입홀(5113a)로 유입되는 유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토출관(533)이 순환유로(5113)보다 하측에 위치된다면, 물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폐쇄면(5113c)은 순환유입홀(5113a)에서 순환유출홀(5113b)에 가까워지도록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순환유로(5113)로 물이 부드럽게 유입되어 유동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다이아프레임(60)은 임펠러(537)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배수폐쇄면(5111c)의 단부와 접촉하여 배수유로(51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 전체가 배수폐쇄면(5111c)과 접촉하여 배수유로(5111)를 폐쇄시키는 것이 아닌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의 일부와 배수폐쇄면(5111c)의 단부가 접촉하여 배수유로(51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은 배수폐쇄면(5111c)과 선접촉하여 배수유로(51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선접촉은 사전적 의미의 선접촉이 아닌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의 최소부분과 배수폐쇄면(5111c)의 최소부분이 접촉되어 배수유로(5111)를 폐쇄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즉, 더 넓은 의미의 선접촉)
이로써,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 전체 또는 면접촉을 통해 배수폐쇄면(5111c)을 폐쇄시키는 경우보다 배수유로(5111)가 더 넓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배수유로(5111)를 제작 함있어 배수유로(5111)는 크기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의 탄성재질을 선택함에 있어서도, 선택의 폭이 넓어 질 수 있다. 나아가, 다이아프레임(60)은 유로바디부(511) 내부에 설치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폐쇄면(5111c)이 경사지게 구비된다면, 배수폐쇄면(5111c)은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과 접촉되는 부분(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이로써, 다이아프레임(60)은 더 효율적으로 배수유로(51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은 임펠러(537)가 타방향으로 회전시 순환폐쇄면(5113c)의 단부와 접촉하여 순환유로(5113)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 전체가 순환폐쇄면(5113c)과 접촉하여 순환유로(5113)를 폐쇄시키는 것이 아닌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의 일부와 순환폐쇄면(5113c)의 단부가 접촉하여 순환유로(5113)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은 순환폐쇄면(5113c)과 선접촉하여 순환유로(5113)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선접촉은 사전적 의미의 선접촉이 아닌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의 최소부분과 배수폐쇄면(5111c)의 최소부분이 접촉되어 배수유로(5111)를 폐쇄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즉, 더 넓은 의미의 선접촉)
이로써,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 전체 또는 면접촉을 통해 순환폐쇄면(5113c)을 폐쇄시키는 경우보다 순환유로(5113)가 더 넓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순환바디부(511B)를 제작 함있어 순환바디부(511B)는 크기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의 탄성재질을 선택함에 있어서도, 선택의 폭이 넓어 질 수 있다. 나아가, 다이아프레임(60)은 유로바디부(511) 내부에 설치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폐쇄면(5113c)이 경사지게 구비된다면, 순환폐쇄면(5113c)은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과 접촉되는 부분(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이로써, 다이아프레임(60)은 더 효율적으로 순환유로(5113)를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유로바디부(511)의 크기가 작게 구비되면, 유로바디부(511) 내부에 구비되는 다이아프레임(60)의 크기도 작게 구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레임(60)의 형상은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며,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형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다이아프레임(60)의 단면이 유로바디부(511)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토출관(531)의 연장방향(H)은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L)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수유로(5111)는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제1토출관(531)의 연장방향(H)으로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에 배수유로(5111)가 형성되는 유로바디부(511)는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의 길이가 제1토출관(531)의 연장방향으로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배수펌프(50)가 캐비닛(10)의 바닥면(11)에 설치된다면, 유로바디부(511)는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나란한 방향(L)으로 길이가 캐비닛(10)의 바닥면과 멀어지는 방향(H)으로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다이아프레임(60)의 형상은 이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다이아프레임(60)은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제1토출관(531)의 연장방향(H)으로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다이아프레임(60)은 배수유로(5111)의 연장방향(L)으로 길이가 제1토출관(531)의 연장방향으로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다이아프레임(60)은 캐비닛(10)의 바닥면(11)과 나란한 방향(L)으로 길이가 캐비닛(10)의 바닥면과 멀어지는 방향(H)으로 길이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이아프레임(60)의 배수유로(5111)의 연장방향(L)으로 길이를 가로길이로 설명하고, 다이아프레임(60)의 제1토출관(531)의 연장방향(H)으로 길이를 세로길이로 설명한다.
다이아프레임(60)은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크게 구비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레임(J)이 원형으로 구비되는 경우(도 7(a) 참조)보다 유로바디부(511)의 공간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즉, 다이아프레임(60)이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도 7(b) 참조)된다면, 가로길이(L1)보다 세로길이(L2)가 더 짧게 구비되므로 세로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거리(L1-L2) 만큼 사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유로바디부(511)의 단면과 다이아프레임(60)의 단면이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유로바디부(511) 자체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즉, 다이아프레임(J)의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된다면, 유로바디부(511)는 이를 수용하기 위해, 전체 크기가 증대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다이아프레임(60)의 세로길이(L2)는 가로길이(L1)보다 작게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유로바디부(511)의 크기도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펌프 자체의 크기가 최대한 감소 될 수 있다. 또한, 유로바디부(511) 및 다이아프레임(60)의 제작에 있어 재료가 감소되어 경제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다이아프레임(60)이 가로길이보다 세로길이가 더 작게 구비된다면, 다이아프레임(60)은 세로방향(H)으로 변형이 가로방향(L)으로 변형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다이아프레임(60)에 슬릿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다이아프레임에 구비된 슬릿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다이아프레임의 일면에 구비되는 슬릿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다이아프레임의 타면에 구비되는 슬릿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 8(c)는 다이아프레임의 일면 및 타면에 구비되는 슬릿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다이아프레임(60)이 슬릿부(65,6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아프레임(60)은 배수유로(5111)를 향하는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에 함몰 구비되는 제1슬릿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슬릿부(65)는 다이아프레임(60)의 압력에 따른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배수펌프(50) 작동시 배수유로(5111) 또는 순환유로(5113)중 어느 하나의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임펠러(537)의 회전이 변경되는 경우에 배수유로(5111) 또는 순환유로(5113)중 다른 하나의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슬릿부(65)의 함몰 깊이는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에서 타면(61b)까지의 길이(다이아프레임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슬릿부(65)가 과도하게 함몰되면, 압력에 의해 다이아프레임(60) 자체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1슬릿부(65)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아프레임(60)은 세로방향 변형이 더 어려울 수 있다. 제1슬릿부(65)는 다이아프레임(60)의 세로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어 제1토출관(531)의 연장방향(세로방향)으로 이격배치 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은 재질, 크기, 사용 압력에 따라 가로방향 변형이 용이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1슬릿부(65)는 다이아프레임(60)의 가로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복수개 구비되어 배수유로(5111)의 연장방향으로 이격배치 될 수 있다. 즉, 제1슬릿부(65)는 다이아프레임(6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배치 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은 순환유로(5113)를 향하는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에 함몰 구비되는 제2슬릿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슬릿부(67)는 다이아프레임(60)의 압력에 따른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배수펌프(50) 작동시 배수유로(5111) 또는 순환유로(5113)중 어느 하나의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임펠러(537)의 회전이 변경되는 경우에 배수유로(5111) 또는 순환유로(5113)중 다른 하나의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슬릿부(67)의 함몰 깊이는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에서 일면(61a)까지의 길이(다이아프레임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슬릿부(67)가 과도하게 함몰되면, 압력에 의해 다이아프레임(60) 자체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2슬릿부(67)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아프레임(60)은 세로방향 변형이 더 어려울 수 있다. 제2슬릿부(67)는 다이아프레임(60)의 세로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어 제2토출관(533)의 연장방향(세로방향)으로 이격배치 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은 재질, 크기, 사용 압력에 따라 가로방향 변형이 용이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2슬릿부(67)는 다이아프레임(60)의 가로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복수개 구비되어 순환유로(5113)의 연장방향(가로방향)으로 이격배치 될 수 있다. 즉, 제2슬릿부(67)는 다이아프레임(6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배치 될 수 있다.
제1슬릿부(65)는 배수폐쇄면(5111c)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슬릿부(65)는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에서 함몰 구비되므로, 배수폐쇄면(5111c)과 접촉된다면 제1슬릿부(65) 사이로 물이 유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수유출홀(5111b)로 물이 안내될 수 있어 펌프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제1슬릿부(65)는 배수폐쇄면(5111c)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제1슬릿부(65)는 함몰이 방지되는 제1방지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방지부(66)는 배수폐쇄면(5111c)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폐쇄면(5111c)이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제1방지부(66)는 배수폐쇄면(5111c)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방지부(66)는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이아프레임(60)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변형되더라도 항상 같은 모양으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방지부(66)는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제1슬릿부(65)를 통해 배수유출홀(5111b)로 물이 안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슬릿부(65)에 의해 다이아프레임(60)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되면서 제1방지부(66)에 의해 펌프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2슬릿부(67)는 순환폐쇄면(5113c)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슬릿부(67)는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에서 함몰 구비되므로, 순환폐쇄면(5113c)과 접촉된다면 제2슬릿부(67) 사이로 물이 유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순환유출홀(5113b)로 물이 안내될 수 있어 펌프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제2슬릿부(67)는 순환폐쇄면(5113c)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제2슬릿부(67)는 함몰이 방지되는 제2방지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지부(68)는 순환폐쇄면(5113c)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폐쇄면(5113c)이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제2방지부(68)는 순환폐쇄면(5113c)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방지부(68)는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이아프레임(60)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변형되더라도 항상 같은 모양으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방지부(68)는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제2슬릿부(67)를 통해 순환유출홀(5113b)로 물이 안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슬릿부(67)에 의해 다이아프레임(60)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되면서 제2방지부(68)에 의해 펌프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제1슬릿부(65)는 제2슬릿부(67)와 구비되는 위치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슬릿부(65)의 다이아프레임(60)의 중심(O)으로부터 이격거리는 제2슬릿부(67)의 다이아프레임(60)의 중심(O)으로부터 이격거리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슬릿부(65)의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에서 함몰되는 위치는 제2슬릿부(67)의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에서 함몰되는 위치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다이아프레임(60)을 정면에서 바라볼 경우, 제1슬릿부(65)가 함몰되는 위치는 제2슬릿부(67)가 함몰되는 위치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슬릿부(65)가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에서 함몰되는 위치와 제2슬릿부(67)가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에서 함몰되는 위치가 동일하게 구비되면, 다이아프레임(60)의 제1슬릿부(65) 및 제2슬릿부(67)가 구비되는 부분은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얇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슬릿부(65)가 함몰되는 위치는 제2슬릿부(67)가 함몰되는 위치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다이아프레임(60)의 변형을 용이하게 유도하면서, 다이아프레임(60)의 구조적 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슬릿부(65) 제2슬릿부(67)를 보면, 제1슬릿부(65)는 타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슬릿부(65)는 단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타원형상 중 함몰되는 부분은 제1슬릿부(65)가 될 수 있으며, 함몰이 방지되는 부분은 제1방지부(66)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슬릿부(65)는 복수 개 구비되어 다이아프레임(6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방지부(66)는 다이아프레임(60)의 중심으로부터 배수폐쇄면(5111c)과 경사가 대응되도록 사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방지부(66)는 배수폐쇄면(5111c)과 대응되는 경사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방지부(66)는 'X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방지부(66)는 배수폐쇄면(5111c)과 대응되는 경사와 대칭되는 방향으로도 연장되어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 중 배수폐쇄면(5111c)과 접촉되는 부분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1방지부(66)는 다이아프레임(60)의 전체적인 강성을 일정이상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슬릿부(67)는 타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슬릿부(67)는 단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타원형상 중 함몰되는 부분은 제2슬릿부(67)가 될 수 있으며, 함몰이 방지되는 부분은 제2방지부(68)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슬릿부(67)는 복수 개 구비되어 다이아프레임(6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방지부(68)는 다이아프레임(60)의 중심으로부터 순환폐쇄면(5113c)과 경사가 대응되도록 사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방지부(68)는 순환폐쇄면(5113c)과 대응되는 경사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방지부(68)는 'X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방지부(68)는 순환폐쇄면(5113c)과 대응되는 경사와 대칭되는 방향으로도 연장되어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 중 순환폐쇄면(5113c)과 접촉되는 부분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2방지부(68)는 다이아프레임(60)의 전체적인 강성을 일정이상 유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슬릿부(65) 및 제2슬릿부(67)는 장축 및 단축의 길이는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슬릿부(65) 및 제2슬릿부(67)는 다이아프레임(60)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되어 다이아프레임(60)의 구조적 강성을 일정이상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다이아프레임(60)은 일방향으로 돌출정도와 타방향으로 돌출정도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탄성물질의 특성상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바디부는 다이아프레임의 변형정도를 고려하여 배수폐쇄면 및 순환폐쇄면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다이아프레임의 변형정도가 다름을 나타낸 도면 및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폐쇄면과 순환폐쇄면이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a)는 다이아프레임이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3(b)는 다이아프레임이 타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13(c)는 다이아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돌출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d)는 다이아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돌출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또한, 도 14(a)는 배수펌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b)는 다이아프레임이 접하는 배수폐쇄면 및 순환폐쇄면의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3(c)는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돌출변형된 정도를 나타낸 것이고,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일방향 돌출변형정도와 대칭인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d)는 X축은 다이아프레임의 가로방향 길이를 나타낸 것이고, Y축은 다이아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변형정도를 나태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배수폐쇄면(5111c)과 순환폐쇄면(5113c)이 다이아프레임(60)의 돌출정도에 따라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3(c) 및 도 13(d)를 참조하면, 다이아프레임(60)은 임펠러(537)의 일방향 회전시 돌출 변형되는 정도가 임펠러(537)의 타방향 회전시 돌출 변형되는 정도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아프레임(60)의 중앙부분에서 변형되는 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레임(60)의 중앙부분에 대응되는 배수폐쇄면(5111c) 또는 순환폐쇄면(5113c)의 형상이 다르게 구비됨이 바람직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이아프레임(60)의 변형이 전체적으로 차이가 있음으로 배수폐쇄면(5111c) 또는 순환폐쇄면(5113c) 전체의 profil을 비대칭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3(c) 및 도 13(d)에는 일방향 회전시 돌출 변형되는 정도(D1)가 타방향 회전시 돌출 변형되는 정도(D2)보다 크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면과 반대로 타방향 회전시 돌출 변형되는 정도(D2)가 일방향 회전시 돌출 변형되는 정도(D1)보다 크게 구비되더라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아프레임(60)은 임펠러(537)의 일방향 회전시 배수폐쇄면(5111c)을 향하여 돌출 변형되는 정도가 임펠러(537)의 타방향 회전시 순환폐쇄면(5113c)을 향하여 돌출 변형되는 정도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이아프레임(60)의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L)으로 중심으로부터 순환폐쇄면(5113c)까지의 거리(K1)는 다이아프레임(60)의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배수폐쇄면(5111c)까지의 거리(K2)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도14(b)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대칭 배수폐쇄면(5111c)과 순환폐쇄면(5113c)이 대칭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순환폐쇄면(5113c)을 향하여 다이아프레임(60)이 변형되는 정도가 배수폐쇄면(5111c)을 향하여 다이아프레임(60)이 변형되는 정도보다 작아 순환폐쇄면(5113c)이 배수폐쇄면(5111c)보다 더 내측에 구비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반대로, 다이아프레임(60)은 임펠러(537)의 일방향 회전시 배수폐쇄면(5111c)을 향하여 돌출 변형되는 정도가 임펠러(537)의 타방향 회전시 순환폐쇄면(5113c)을 향하여 돌출 변형되는 정도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이아프레임(60)의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배수폐쇄면(5111c)까지의 거리(K2)는 다이아프레임(60)의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을 향하는 방향(L)으로 중심으로부터 순환폐쇄면(5113c)까지의 거리(K1)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4(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반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아프레임(60)의 양방향 돌출변형 정도가 다르다면, 배수폐쇄면(5111c) 및 순환폐쇄면(5113c)은 이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다이아프레임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아프레임(60)은 유로바디부(511)와 결합되는 결합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은 결합부(63)의 내측에 구비되는 변형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부(61)는 임펠러(537)의 회전방향에 따라 배수유로(5111) 또는 순환유로(5113)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결합부(63)는 얇은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변형부(61)는 다이아프레임(60)의 전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유로바디부(511)는 결합부(63)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유로바디부(511)의 둘레를 따라 함몰 구비되는 결합안착부(5119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안착부(5119a)는 배수바디부(511A) 및 순환바디부(511B)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다이아프레임(60)은 결합부(63)가 배수바디부(511A)의 결합안착부(5119a) 및 순환바디부(511B)의 결합안착부(5119a) 사이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구성 없이 다이아프레임(60)을 유로바디부(5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유로선택부(51)는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결합부(63)의 두께는 변형부(61)의 두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변형부(61)는 압력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어야 하고 결합부(63)는 다이아프레임(60) 전체를 유로바디부(511)내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결합부(63)는 소정두께 이상 구비되어 다이아프레임(60)을 유로바디부(511) 내부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아프레임(6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63)는 다이아프레임(60)의 최외곽을 이루므로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63)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다이아프레임(60)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으며, 결합안착부(5119a)에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다이아프레임(60)은 결합부(63)의 외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결합돌기(6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로바디부(511)는 결합돌기(631)와 결합되도록 결합안착부(5119a)의 외측에서 함몰 구비되는 결합돌기안착부(511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631)는 제1토출관(531)의 연장방향으로 결합부(63)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안착부(5119b)는 결합부(63)에 대응되도록 결합안착부(5119a)의 세로방향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63)와 결합돌기안착부(5119b)에 의해 다이아프레임(60)은 유로바디부(511) 내부에 더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레임(60)은 균형적으로 유로바디부(511)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631)의 돌출방향은 배수바디부(511A) 또는 순환바디부(511B)를 향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안착부(5119b)는 결합돌기(631)의 돌출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수바디부(511A) 또는 순환바디부(511B)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배수바디부(511A)는 제1유입부(513) 및 제1유출부(517)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유로선택부(51)를 제작함에 있어 최대한 공정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공정이 감소됨에 따라 비용이 절약되고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순환바디부(511B)는 제2유입부(515) 및 제2유출부(519)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유로선택부(51)를 제작함에 있어 최대한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정이 감소됨에 따라 비용이 절약되고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배수바디부(511A)는 순환바디부(511B)와 결합을 위해 제1체결공(5119d)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체결공(5119d)은 배수바디부(511A)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순환바디부(511B)는 제1체결공(5119d)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5139d)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미도시)를 제1체결공(5119d) 및 제2체결공(5139d)에 삽입하여 배수바디부(511A)와 순환바디부(511B)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바디부(511B)는 순환바디부(511B)의 외주면에서 배수바디부(511A)를 향하여 돌출구비되는 바디결합부(5139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바디부(511A)는 바디결합부(5139c)에 대응되는 위치에 바디결합부(5139c)가 결합될 수 있도록 바디결합홈(5119c)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바디부(511A)는 순환바디부(511B)와 강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5, 도 16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토출관(531)은 제1유입부(513)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부(513)의 외주면에는 펌프하우징(53)과 결합될 수 있는 제1유입체결공(513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토출관(533)은 제2유입부(515)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유입부(515)의 외주면에는 펌프하우징(53)과 결합될 수 있는 제2유입체결공(515a)이 구비될 수 있다. 펌프하우징(53)에는 제1유입체결공(513a)과 대응되는 제1펌프체결공(미도시) 및 제2유입체결공(515a)과 대응되는 제2펌프체결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를 제1유입체결공(513a) 및 제1펌프체결공에 삽입하여 유로선택부(51)를 펌프하우징(53)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를 제2유입체결공(515a) 및 제2펌프체결공에 삽입하여 유로선택부(51)를 펌프하우징(53)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5(b) 및 도16(b)을 참조하면, 배수바디부(511A)는 배수유입홀(5111a)에서 배수유출홀(5111b)까지 연장되되 함몰되어 구비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함몰되어 구비되는 부분은 배수폐쇄면(5111c)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다이아프레임(60)과 배수폐쇄면(5111c)의 접촉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유로바디부(511)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배수펌프(50)의 전체크기가 감소 될 수 있다. 또한, 배수바디부(511A)는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수폐쇄면(5111c)이 배수바디부(511A)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순환바디부(511B)는 순환유입홀(5113a)에서 순환유출홀(5113b)까지 연장되되 함몰되어 구비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함몰되어 구비되는 부분은 순환폐쇄면(5113c)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다이아프레임(60)과 순환폐쇄면(5113c)의 접촉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유로바디부(511)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배수펌프(50)의 전체크기가 감소 될 수 있다. 또한, 순환바디부(511B)는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순환폐쇄면(5113c)이 순환바디부(511B)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여, 순환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탁과정 중 드럼(30)에 물을 순환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터브배수관(75)을 통하여 펌프유입관(5381)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펌프유입관(5381)을 통과한 물은 임펠러유입관을 통과해 임펠러하우징(53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임펠러하우징(535)으로 유입된 물은 임펠러(537)와 접할 수 있다. 임펠러(537)가 일방향(C1)으로 회전하면 임펠러하우징(535)의 물은 제2토출관(533)을 통하여 제2유입부(515)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2유입부(515)를 통과한 물은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결과,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은 배수폐쇄면(5111c)과 접촉되어 배수유로(51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배수폐쇄면(5111c)은 다이아프레임(60)에 의해 배수유출홀(5111b)로 물이 안내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순환바디부(511B)의 내주면과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 사이에 형성되는 순환유로(5113)는 개방될 수 있다. 순환유로(5113)를 통과한 물은 제2유출부(519)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2유출부(519)를 통과한 물은 터브순환관(71)을 통과하여 터브(2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도 12 및 도 16을 참조하여, 배수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탁과정 중 터브(20) 내부에서 캐비닛(10) 외부로 물이 배출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터브배수관(75)을 통하여 펌프유입관(5381)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펌프유입관(5381)을 통과한 물은 임펠러유입관을 통과해 임펠러하우징(53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임펠러하우징(535)으로 유입된 물은 임펠러(537)와 접할 수 있다. 임펠러(537)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임펠러하우징(535)의 물은 제1토출관(531)을 통하여 제1유입부(513)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1토출관(531)으로 유입된 물은 제1유입부(513)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부(513)를 통과한 물은 상기 다이아프레임(60)의 일면(61a)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결과,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은 순환폐쇄면(5113c)과 접촉되어 순환유로(5113)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순환폐쇄면(5113c)은 다이아프레임(60)에 의해 순환유출홀(5113b)로 물이 안내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배수바디부(511A)의 내주면과 다이아프레임(60)의 타면(61b)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유로(5111)는 개방될 수 있다. 배수유로(5111)를 통과한 물은 제1유출부(517)를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배수펌프가 캐비닛의 전방 및 측방에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유출부(517)는 배수바디부(511A)와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배수유출관(73)은 캐비닛(10)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1유출부(517)와 배수유출관(73)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제1유출부(517)가 구비될 수 있다. 제작의 편의성을 위해 제1유출부(517)는 배수바디부(511A)와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유출부(519)는 순환바디부(511B)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유출부(517)가 일측으로 유로바디부(51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바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하여 제2유출부(519)는 순환바디부(511B)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유출부(519)는 순환바디부(511B)와 나란하게 연장됨에 따라 터브(20)와 가까워 질 수 있어 터브순환관(71)과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의류처리장치 10 : 캐비닛
20 : 터브 30 : 드럼
50 : 배수펌프 51 : 유로선택부
511 : 유로바디부 511A : 배수바디부
511B : 순환바디부 5111a : 배수유입홀
5111b : 배수유출홀 5111c : 배수폐쇄면
5113a : 순환유입홀 5113b : 순환유출홀
5113c : 순환폐쇄면 53 : 펌프하우징
60 : 다이아프레임 65 : 제1슬릿부
67 : 제2슬릿부

Claims (22)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터브로 순환시키도록 구비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터브와 연통되어 상기 터브로부터 물이 유입되며, 임펠러를 수용하는 펌프하우징;
    상기 펌프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물이 토출되는 제1토출관;
    상기 제1토출관과 이격 구비되며, 상기 펌프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물이 토출되는 제2토출관; 및
    상기 제1토출관 및 상기 제2토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캐비닛 외부로 물이 배출되거나 상기 터브로 물이 순환되도록 구비되는 유로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선택부는
    상기 제1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1토출관으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제1유입부;
    상기 제2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2토출관으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제2유입부;
    상기 캐비닛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유입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안내하는 제1유출부;
    상기 터브와 연통되어 상기 제2유입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제2유출부;
    상기 제1유입부와 연통되는 배수유입홀 및 상기 제1유출부와 연통되는 배수유출홀을 포함하는 배수유로와 상기 제2유입부와 연통되는 순환유입홀 및 상기 제2유출부와 연통되는 순환유출홀을 포함하는 순환유로를 포함하는 유로바디부; 및
    상기 유로바디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배수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를 구획하며, 상기 유로바디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배수유로를 폐쇄시키거나 상기 순환유로를 폐쇄시키도록 구비되는 다이아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의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길이는 상기 배수유로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로의 상기 순환유입홀에서 상기 순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길이는 상기 순환유로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제1토출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2토출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배수유입홀의 최대높이는 상기 제1토출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배수유출홀의 최소높이보다 크게 구비되며,
    상기 제2토출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순환유입홀의 최대높이는 상기 제2토출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배수유출홀의 최소높이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1토출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입홀에서 상기 순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은 상기 제2토출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토출관 및 상기 제2토출관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입홀은 상기 배수유출홀과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입홀은 상기 순환유출홀과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바디부는
    상기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다이아프레임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배수폐쇄면; 및
    상기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타면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다이아프레임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순환폐쇄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폐쇄면은 상기 배수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순환폐쇄면은 상기 순환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폐쇄면은 상기 배수유로로 물이 유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도록 경사지며, 상기 순환폐쇄면은 상기 순환유로로 물이 유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임펠러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배수폐쇄면의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배수유로를 폐쇄시키며,
    상기 임펠러가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순환폐쇄면의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배수유로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임펠러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배수폐쇄면을 향하여 돌출 변형되는 정도가 상기 임펠러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순환폐쇄면을 향하여 돌출 변형되는 정도가 크게 구비되며,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상기 순환폐쇄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상기 배수폐쇄면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임펠러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배수폐쇄면을 향하여 돌출 변형되는 정도가 상기 임펠러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순환폐쇄면을 향하여 돌출 변형되는 정도가 작게 구비되며,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상기 배수폐쇄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상기 배수유입홀에서 상기 배수유출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상기 순환폐쇄면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단면은 상기 유로바디부의 단면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배수유로의 연장방향으로 길이가 상기 제1토출관의 연장방향으로 길이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배수유로를 향하는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일면에 함몰 구비되는 제1슬릿부; 및
    상기 순환유로를 향하는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타면에 함몰 구비되는 제2슬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릿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토출관의 연장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슬릿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2토출관의 연장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릿부는 상기 배수유로의 연장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슬릿부는 상기 순환유로의 연장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바디부는
    상기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다이아프레임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배수폐쇄면; 및,
    상기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타면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다이아프레임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순환폐쇄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슬릿부는 상기 배수폐쇄면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슬릿부는 상기 순환폐쇄면가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릿부는 함몰이 방지되는 제1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슬릿부는 함몰이 방지되는 제2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지부는 상기 배수폐쇄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방지부는 상기 순환폐쇄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릿부의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일면에서 함몰되는 위치는 상기 제2슬릿부의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타면에서 함몰되는 위치와 상기 다이아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유로바디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배수유로 또는 상기 순환유로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변형되는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바디부는 상기 결합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함몰 구비되는 결합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바디부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도록 결합안착부의 외측에서 함몰 구비되는 결합돌기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75395A 2020-12-15 2020-12-15 의류처리장치 KR102550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95A KR102550660B1 (ko) 2020-12-15 2020-12-15 의류처리장치
PCT/KR2021/018411 WO2022131651A1 (en) 2020-12-15 2021-12-07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1906955.6A EP4263928A1 (en) 2020-12-15 2021-12-07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8/256,789 US20240026594A1 (en) 2020-12-15 2021-12-0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95A KR102550660B1 (ko) 2020-12-15 2020-12-1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380A KR20220085380A (ko) 2022-06-22
KR102550660B1 true KR102550660B1 (ko) 2023-07-03

Family

ID=8205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395A KR102550660B1 (ko) 2020-12-15 2020-12-1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26594A1 (ko)
EP (1) EP4263928A1 (ko)
KR (1) KR102550660B1 (ko)
WO (1) WO202213165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3608B2 (ja) 2010-10-05 2014-07-09 株式会社ニフコ 流体分配バルブ並びにこれを備えた流体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35432B1 (ko) * 2015-12-02 2017-05-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7579A (en) * 1972-11-20 1976-02-10 Karl Suss Kg Process for the double-sided exposure of a semiconductor or substrate plates, especially wafers, as well as apparatus for the purpose of parallel and rotational alignment of such a plate
KR0132543Y1 (ko) * 1995-12-28 1999-04-15 배순훈 세탁기용 투웨이펌프
KR100220407B1 (ko) * 1996-10-28 1999-09-15 전주범 유로전환 하우징을 지닌 온수순환펌프
JP4153210B2 (ja) * 2002-01-28 2008-09-24 アスモ株式会社 バルブ装置、及びポンプ装置
KR20180091363A (ko) * 2017-02-06 2018-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펌프
KR102552260B1 (ko) * 2018-04-03 2023-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20200092607A (ko) * 2019-01-25 2020-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3608B2 (ja) 2010-10-05 2014-07-09 株式会社ニフコ 流体分配バルブ並びにこれを備えた流体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813742B1 (ko) 2010-10-05 2017-12-2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유체분배밸브 및 이것을 구비한 유체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5432B1 (ko) * 2015-12-02 2017-05-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63928A1 (en) 2023-10-25
KR20220085380A (ko) 2022-06-22
US20240026594A1 (en) 2024-01-25
WO2022131651A1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89963B (zh) 排水泵
EP3505673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080275B2 (en) Drain hos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10644190B (zh) 洗衣机
EP3587655B1 (en) Washing machine
KR102550660B1 (ko) 의류처리장치
CN111945392B (zh) 排水泵及包括其的衣物处理装置
KR102557928B1 (ko) 리프터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102486261B1 (ko) 세탁기
KR102557404B1 (ko) 세탁기
EP4155448A1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KR102560671B1 (ko) 의류처리장치
EP3850147B1 (en) Water transmission device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EP3591114B1 (en) Washing machine
KR10251722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70089709A (ko)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한 세탁장치
CN110073048B (zh) 洗衣机
KR102442971B1 (ko) 세탁기
EP3690120B1 (en) Washing machine
JP7117077B2 (ja) 洗濯機
KR10246147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39084B1 (ko)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CN117242218A (zh) 洗涤烘干机
KR102296054B1 (ko) 유로 변환 펌프
WO2022270040A1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