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021B1 -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021B1
KR102649021B1 KR1020190043866A KR20190043866A KR102649021B1 KR 102649021 B1 KR102649021 B1 KR 102649021B1 KR 1020190043866 A KR1020190043866 A KR 1020190043866A KR 20190043866 A KR20190043866 A KR 20190043866A KR 102649021 B1 KR102649021 B1 KR 10264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
drum
water suppl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029A (ko
Inventor
문효준
주국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9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0Temperature of washing liquids; Hea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구비되며,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터브 내에 물을 투입하도록 형성된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를 통과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 및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유량계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상기 드럼에 수용된 포량에 연계된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 급수를 중단하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유량계를 통해 판단된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포적심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세탁과정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 또는 세탁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포함한다.
터브 내에 물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의류처리장치는 급수펌프와 순환펌프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급수펌프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터브 내로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순환펌프는 터브 내에 존재하는 물이나, 상기 터브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상기 터브로 재공급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급수펌프와 순환펌프의 동작은, 각각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적합한 패턴으로 제어된다.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모드나, 터브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 부피 및 종류에 따라, 터브 내에 공급할 물의 양을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는 터브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이용하여, 결정된 양만큼의 물이 공급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러나, 터브 내의 수위는 세탁물의 종류나, 세탁 환경 및 터브의 회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수위 센서를 이용하여 터브 내에 공급된 물의 양을 판단하는 방법은 신뢰성이 낮다.
따라서, 수위 센서의 출력을 기준으로 급수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따르면, 터브 내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급수펌프의 동작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해야만 한다.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세탁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7062호를 참조하면, 상술한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급수과정이 종료된 후에, 급수량을 보상하기 위하여, 급수펌프를 재가동시키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하지만,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7062호의 추가 급수 단계의 경우에도, 수위 센서의 출력을 기준으로 급수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이러한 방법으로는 상술한 신뢰성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없다.
아울러,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터브 내에 존재하는 세탁물을 충분히 적시기 위하여, 급수과정과 별도로 터브 내에 물을 공급하는 포적심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순환펌프를 동작시켜, 터브 내에 존재하는 물이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포적심 과정을 수행한다.
즉, 포적심 과정은, 소정의 시간동안 순환펌프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포적심 과정은 세탁 시간을 증가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세탁이 완료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터브에 물이 공급되는 급수과정과, 터브 내에 존재하는 세탁물을 적시기 위한 포적심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세탁이 완료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면서, 세탁성능을 유지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세탁이 완료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면서, 세탁에 소요되는 에너지 소모량을 줄이고, 세탁에 소요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과정, 포적심과정 및 세탁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구비되며,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터브 내에 물을 투입하도록 형성된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를 통과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 및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유량계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상기 드럼에 수용된 포량에 연계된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 급수를 중단하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유량계를 통해 판단된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포적심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세탁과정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 전에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드럼에 수용된 포량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포량에 근거하여, 상기 터브에 유입되어야 할 물의 기준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급수밸브를 통해 통과하는 물의 양을 상기 유량계를 통해 측정하고, 상기 유량계를 통해 측정된 물의 양이 상기 결정된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급수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포적심과정 대신 상기 세탁과정에 바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터브의 입구 상측 전면에서 하향 경사진로 형태로 드럼 내부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직수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터브의 입구 상측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상기 직수노즐을 통해 물을 급수시키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급수과정에서 급수되는 물은, 상기 드럼 내 존재하는 포에 직접적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직수노즐을 통해 상기 터브의 입구 상측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수노즐을 통해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는 동안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과정에서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과 상기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세탁 실동률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세탁과정은 상기 급수된 물을 히팅(heating)시키는 히팅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팅과정에서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과 상기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히팅 실동률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를 수용하는 케이싱의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드럼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개스킷,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압송하는 펌프,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된 세탁수를 안내하는 순환관 및 상기 개스킷에 고정되어 상기 순환관을 통해 안내된 세탁수를 상기 복수의 노즐로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을 더 포함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노즐 급수관으로 공급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으로 분사되는 세탁수는 순환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유량계를 통해 측정된 물의 양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순환수가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노즐 급수관으로 공급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으로 분사되는 세탁수는 순환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과정에서 상기 순환수가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세탁과정은 상기 급수된 물을 히팅(heating)시키는 히팅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팅과정에서 상기 순환수가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노즐 급수관으로 공급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으로 분사되는 세탁수는 순환수이고, 터브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순환수가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수의 분사에 의해 물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내려가는 것이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감지되면, 상기 순환수의 분사를 중단시키도록 상기 펌프를 미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과정, 포적심과정 및 세탁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과정에서, 유량계를 이용하여 급수밸브를 통해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드럼에 수용된 포량에 연계된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유량계를 통해 판단된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포적심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세탁과정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급수과정 전에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드럼에 수용된 포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포량에 근거하여, 상기 터브에 유입되어야 할 물의 기준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터브의 입구 상측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직수노즐을 통해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급수되는 동안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세탁과정에서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과 상기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세탁 실동률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고 펌프에 의해 노즐 급수관으로 공급되며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으로 분사되는 순환수가 상기 세탁과정에서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투입구 측에 구비된 급수노즐과, 상기 투입구 측에 구비된 순환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급수펌프에 의해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과정 및 포적심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탁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포적심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포적심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과정에서 유량계를 이용하여 포량별로 급수되어야 하는 물의 양만큼만 급수하는 것이 가능하여, 급수과정의 소요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과정 및 히팅과정에서 모터의 실동률을 소정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세탁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과정에서 터브의 투입구 상측에 구비된 직수노즐을 통해 드럼 내부에 존재하는 포로 직접적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포적심과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급수과정에서 포가 충분히 적셔지도록 하여, 세탁 소요 시간을 줄이면서도 세탁 성능은 유지시키거나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과정에서 복수의 노즐을 통해 드럼으로 순환수를 분사하도록 하여, 포적심 과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드럼 내에 존재하는 포를 충분히 적신 상태로 세탁을 수행하여 세탁시간 단축 및 세탁성능 개선의 효과를 동시에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에 도시된 펌프의 순환수 챔버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의 (b)는 도 5에 도시된 펌프의 배수 챔버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개스킷 및 노즐 급수관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개스킷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개스킷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노즐 급수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개스킷과 노즐 급수관의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노즐들의 위치와 노즐의 분사폭을 표시한 것이다.
도 13은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에 도시된 펌프의 순환수 챔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5에 도시된 펌프의 배수 챔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의류처리장치의 일 예로 세타기를 예로드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에 투입된 의류 등의 세탁물(또는 건조물)을 처리하는 기기로, 세탁기에 한하지 않고 건조기나 건조 겸용 세탁기가 될 수도 있음을 명시한다.
이하에서는,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의류처리장치 또는 세탁기를 혼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싱(10)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2h)가 형성된다. 케이싱(10)은 전면이 개방되고, 제 1 측면, 우측면, 후면을 갖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개구된 전면에 결합되고, 투입구(12h)가 형성된 전면 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의 저면과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저면에는 세탁기를 지지하는 수평한 베이스(15)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은 캐비닛(11)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탑플레이트(13)와, 전면 패널(12)의 상측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 내부에는 물이 담기는 터브(31)가 배치될 수 있다. 터브(31)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입구(또는, 터브입구(31h))가 형성된다. 캐비닛(11)과 터브(31)는 환형의 개스킷(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투입구(12h)를 개폐하는 도어(20)가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대략 중앙부가 개구되고, 전면 패널(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21)과, 도어 프레임(21)의 개구된 중앙부에 설치되는 투명한 윈도우(22)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2)는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적어도 일부분이 개스킷(60)의 내주면에 의해 둘러 쌓인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터브(31)에 담긴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개스킷(60)은 환형의 전단부로부터 환형의 후단부로 연장되어, 투입구(12h)와 터브입구(31h)를 연결하는 관상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개스킷(60)의 상기 전단부는 케이싱(10)의 전면패널(12)에 고정되고, 상기 후단부는 터브(31)의 터브입구(31h)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유연한 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60)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고무와 같은 유연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개스킷(60)의 관상의 형태의 내측을 한정하는 부분을 개스킷(60)의 내주부(또는, 내주면)라고 하고, 그 반대쪽 부분을 개스킷(60)의 외주부(또는, 외측면)이라고 한다.
터브(31) 내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터브(31) 내의 물이 드럼(32)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드럼(32)에는 다수의 통공(32h)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32)은 세탁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대략 수평한 회전 중심선(C)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만, 여기서의 "수평"은 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로써 사용된 용어는 아니다. 즉,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중심선(C)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역시 수직보다는 수평에 근접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평하다고 할 수 있다.
드럼(32)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리프터(34)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터(34)는 드럼(32)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드럼(32)의 회전시, 세탁물이 리프터(34)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되는 것을 반복한다.
드럼(3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8)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38)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38a)이 터브(31)의 후면부를 통과하여 드럼(32)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38)는 직결식 세탁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 모터는 터브(31)의 후방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38a)은 로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터브(31)는 베이스(15)에 설치된 댐퍼(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32)의 회전시 유발되는 터브(31)의 진동이 댐퍼(16)에 의해 감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터브(31)를 케이싱(10) 내에 매다는 헹거(예를 들면, 스프링)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터브(31)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미도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이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급수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31) 또는 드럼(32) 내로 세제, 섬유 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35)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35)에는 첨가제들이 그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5)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미도시)와, 섬유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디스펜서(35)의 각 수용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33)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을 각각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은, 냉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냉수를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하는 제 1 급수공급관(34a)과, 상기 냉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냉수를 상기 섬유 유연제 수용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 2 급수공급관(34b)과, 온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온수를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하는 제 3 급수공급관(34c)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60)에는 드럼(32) 내로 물을 분사하는 직수노즐(42)이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직수노즐(42)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관(39)이 구비될 수 있다. 직수노즐(42)은 와류 노즐 또는 분무 노즐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전방에서 바라볼 시 직수노즐(42)은 회전 중심선(C)의 연직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35)로부터 배출된 물은 급수 밸로우즈(37)를 통해 터브(31)로 공급된다. 터브(31)의 측면에는 급수 밸로우즈(37)와 연결된 급수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31)에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 밸로우즈(17)가 상기 배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터브(31)로부터 배출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901)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7)를 단속하는 배수밸브(9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펌프(901)는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배출된 물을 배수관(19)으로 압송하는 기능과, 순환관(18)으로 압송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펌프(901)에 의해 압송되어 순환관(18)을 따라 안내되는 물을 순환수라고 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펌프(901)는 펌프 하우징(91), 제 1 펌프 모터(92), 제 1 임펠러(915), 제 2 펌프 모터(93) 및 제 2 임펠러(917)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하우징(91)에는 유입포트(911), 제 1 토출포트(912) 및 제 2 토출포트(913)가 형성될 수 있다. 펌프 하우징(91) 내에는 제 1 임펠러(915)가 수용되는 제 1 챔버(914)와, 제 2 임펠러(917)가 수용되는 제 2 챔버(9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임펠러(915)는 제 1 펌프 모터(92)에 의해 회전되고, 제 2 임펠러(917)는 제 2 펌프 모터(93)에 의해 회전된다.
제 1 챔버(914)와 제 1 토출포트(912)는, 제 1 임펠러(915)의 회전방향으로 감아진 볼류트(volute) 형태의 유로를 이루며, 제 2 챔버(916)와 제 2 토출포트(913)은 제 2 임펠러(917)의 회전방향으로 감아진 볼류트 형태의 유로를 이룬다. 여기서, 각 임펠러(915, 917)의 회전 방향은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써 미리 정해진 것이다.
유입포트(911)는 배수 밸로우즈(17)와 연결되고, 제 1 챔버(914)와 제 2 챔버(916)는 유입포트(911)와 연통된다.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터브(31)로부터 배출된 물이 유입포트(911)를 통해 제 1 챔버(914)와 제 2 챔버(916)로 공급된다.
제 1 챔버(914)는 제 1 배출포트(912)와 연통되고, 제 2 챔버(916)는 제 2 배출포트(913)와 연통된다. 따라서, 제 1 펌프 모터(92)가 작동되어, 제 1 임펠러(915)가 회전되면, 제 1 챔버(914) 내의 물이 제 1 배출포트(912)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제 2 펌프 모터(93)가 작동될 시에는, 제 2 임펠러(917)가 회전되어, 제 2 챔버(916) 내의 물이 제 2 배출포트(913)를 통해 배출된다. 제 1 배출포트(912)는 순환관(18)과 연결되고, 제 2 토출포트(913)는 배수관(19)과 연결된다.
펌프(901)는 유량(또는, 토출 수압) 가변이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 펌프 모터들(92, 93)은 회전속도 제어가 가능한 가변속 모터일 수 있다. 각각의 펌프 모터(92, 93)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펌프 모터(92, 93)의 속도 제어를 위한 드라이버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버는 인버터 드라이버일 수 있다. 인버터 드라이버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목표한 주파수로 모터에 입력한다.
펌프 모터들(92, 93)을 제어하는 제어부(180, 도 13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펌프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펌프 모터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값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펌프 모터(92, 93)의 회전 속도뿐만 아니라, 회전 방향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펌프에 적용되던 모터는 기동시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없는 것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방향으로 각 임펠러의 회전을 제어하기 어려워, 임펠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토출포트(912, 913)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펌프 모터(92, 93)의 기동시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토출포트(912, 913)를 통해 토출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펌프 모터(92, 93)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부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자.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개스킷 및 노즐 급수관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개스킷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개스킷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노즐 급수관의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개스킷(60)은 전면패널(12)의 투입구(12h) 둘레에 결합되는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입구(31h) 둘레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62)와,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 사이에서 연장되는 개스킷 바디(6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12)은 투입구(12h)의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케이싱 결합부(61)가 끼워질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1)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61r)이 형성될 수 있다. 홈(61r)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케이싱 결합부(61)가 투입구(12h) 둘레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터브(31)는 입구 둘레가 외측으로 말려 있으며, 이렇게 말려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 내에 터브 결합부(62)가 끼워진다. 터브 결합부(62)에는 철사가 감기는 환형의 홈(62r)이 형성될 수 있다. 홈(62r)을 따라 철사가 감겨진 후, 철사의 양단이 결속됨으로써, 터브 결합부(62)가 터브(31)의 입구 둘레에 공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케이싱 결합부(61)는 전면 패널(12)에 고정되나, 터브 결합부(62)는 터브(31)의 움직임에 따라 변위된다. 따라서, 개스킷 바디(63)는 터브 결합부(62)의 변위에 대응하여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스킷(60)은, 케이싱 결합부(61)와 터브 결합부(62) 사이 구간(또는, 개스킷 바디(63))에, 터브(31)가 편심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철되는 접철부(63b)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60)은, 림부(63a)의 전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구(12h)의 외측에서 도어(20)의 배면과 밀착되는 외측 도어 밀착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61)는 외측 도어 밀착부(68)의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전술한 홈(61r)이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림부(63a)의 전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구(12h)의 내측에서 도어(20)의 배면(바람직하게는, 윈도우(22))와 밀착되는 내측 도어 밀착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드럼(32)은 회전 과정에서 진동(즉, 드럼(32)의 회전 중심선(C)이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터브(31)의 중심선(대략, 드럼(32)의 회전 중심선(C)과 동일 함.) 역시 이동하며, 이때의 이동 방향(이하, "편심 방향" 이라고 함.)은 반경 방향 성분을 갖는다.
접철부(63b)는 터브(31)가 편심 방향으로 이동할 시 접히거나 펼쳐진다. 접철부(63b)는 림부(63a)로부터 케이싱 결합부(61) 측으로 절곡된 내경부(631)와, 내경부(631)으로부터 터브 결합부(62) 측으로 절곡되어 터브 결합부(62)와 연결되는 외경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에서 바라볼 시, 내경부(631)는 외경부(632)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에 위치한다.
터브(31)의 중심이 편심 방향으로 이동될 시 접철부(63b)의 일부분이 접혀지면, 그 부분에서 내경부(631)와 외경부(632) 사이가 줄어들고, 반면에 이렇게 접혀지는 부분의 반대쪽에서는 접철부(63b)가 펼쳐져 내경부(631)와 외경부(632) 사이가 벌어진다.
림부(63a)에는 직수노즐(42)과 스팀분사노즐(47)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림부(620)에는 직수노즐(42)이 설치되는 직수노즐 포트(621)와, 스팀분사 노즐(47)이 설치되는 스팀분사노즐 포트(622)가 배치될 수 있다. 직수노즐 포트(621) 및 스팀분사노즐 포트(820)는 개스킷(6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전방에서 바라볼 때 외경부(632)의 좌측부 및/또는 우측부에는 복수개의 포트 삽입관(641, 642, 643, 644)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에서 바라볼 시, 개스킷 바디(63)를 좌, 우로 배분한 제 1, 2 영역 중 상기 제 1 영역(예를 들어, 기준선(L)의 좌측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제 1, 2 포트 삽입관(641, 642)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영역(예를 들어, 기준선(L)의 우측 영역)에 상하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제 3, 4 포트 삽입관(643, 644)이 구비된다.
포트 삽입관(641, 642, 643, 644)은 외경부(63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포트 삽입관(641, 642, 643, 644)은 외경부(632)의 좌측부에 2개(641, 642), 우측부에 2개(643, 644)가 배치된다. 구분을 위해 이들을 각각 제 1 포트 삽입관(641), 제 2 포트 삽입관(642), 제 3 포트 삽입관(643) 및 제 4 포트 삽입관(644)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개스킷(6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노즐(650)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650)은 외경부(632)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포트 삽입관(641, 642, 643, 644)에 대응하여 4개의 노즐(650a, 650b, 650c, 650d, 도 12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포트 삽입관(641, 642, 643, 644)이 대응하는 노즐(650a, 650b, 650c, 650d)과 연통된다. 즉, 각 포트 삽입관(641, 642, 643, 644)에 형성된 중공이 노즐(650a, 650b, 650c, 650d)의 입구와 연통된다.
제 1 포트 삽입관(641)의 하측에 제 2 포트 삽입관(642)이 배치된다. 제 1 포트 삽입관(641)과 제 2 포트 삽입관(64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포트 삽입관(641)과 제 2 포트 삽입관(642)는 수평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포트 삽입관(641)과 제 2 포트 삽입관(642)에 각각 형성된 중공들 역시 수평하게 연장되며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 3 포트 삽입관(643)의 하측에 제 4 포트 삽입관(644)이 배치된다. 제 3 포트 삽입관(643)과 제 4 포트 삽입관(644)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3 포트 삽입관(643)과 제 4 포트 삽입관(644)는 수평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3 포트 삽입관(643)과 제 4 포트 삽입관(644)에 각각 형성된 중공들 역시 수평하게 연장되며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외경부(632)의 하부에는 개스킷(60) 내부에 고인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잔수포트(645)가 구비될 수 있다. 잔수포트(645)는 외경부(632)의 외주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잔수포트(645)를 통해 접철부(63b)에 고인 세탁수가 배수될 수 있다.
개스킷 바디(63)는 대칭 기준선(L)에 대해 대칭 구조일 수 있다. 제 1 포트 삽입관(641)과 제 3 포트 삽입관(643)는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포트 삽입관(642)과 제 4 포트 삽입관(644)은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포트 삽입관(641) 및 제 3 포트 삽입관(643)은 좌, 우 대칭 구조, 즉, 대칭 기준선(L)에 대해 대칭되는 구조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포트 삽입관(642)과 제 4 포트 삽입관(644)도 좌우 대칭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림부(63a)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폭(또는, 전후방향으로의 길이)이 넓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내경부(631)의 폭이 점점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외경부(632)가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포트 삽입관(643)이 제 4 포트 삽입관(644) 보다 더 터브(31)와 근접해 있고, 반대쪽도 마찬가지로 제 1 포트 삽입관(641)이 제 2 포트 삽입관(642) 보다 더 터브(31)에 근접해 있다.
개스킷(60)에는, 순환수를 드럼(32) 내부로 토출시키는 복수의 노즐(650a, 650b, 650c, 650d)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650a, 650b, 650c, 650d)은 제 1 포트 삽입관(641), 제 2 포트 삽입관(642), 제 3 포트 삽입관(643), 제 4 포트 삽입관(644)과 각각 연결된다. 이하, 제 1 포트 삽입관(641)과 연통되어 순환수를 공급받는 노즐을 제 1 노즐(650a)이라 하고, 제 2 포트 삽입관(642)과 연통되어 순환수를 공급받는 노즐을 제 2 노즐(650b)이라 하고, 제 3 포트 삽입관(643)과 연통되어 순환수를 공급받는 노즐을 제 3 노즐(650c)이라 하고, 제 4 포트 삽입관(644)과 연통되어 순환수를 공급받는 노즐을 제 4 노즐(650d)이라 한다. (도 12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포트 삽입관(641, 642, 643, 644)은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고, 이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61, 762, 763, 764) 역시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며, 따라서, 각 노즐 급수포트(761, 762, 763, 764)에 의한 순환수의 공급 또는 안내는 수평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노즐(650a, 650b, 650c, 650d)은 상기와 같이 수평한 방향으로 공급된 순환수를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노즐 급수포트(761, 762, 763, 764)/포트 삽입관(641, 642, 643, 644)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순환수가 공급되더라도 각 노즐(650a, 650b, 650c, 650d)에 의한 토출방향은 수평에 대해 소정 각도로 상향 또는 하향할 수 있다.
도 12는 개스킷과 노즐 급수관의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노즐들의 위치와 노즐의 분사폭을 표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개스킷(60)에는 4개의 노즐(6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4 개의 노즐(650) 중 상측에 위치하는 2개의 노즐(650a, 650c)을 각각 상부 노즐(650a, 650c)이라고 하고, 이들을 다시 전방에서 바라볼 시 좌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 1 상부 노즐(650a)이라고 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 2 상부 노즐(650c)이라고 한다.
상부 노즐(650a, 650c)는 개스킷(60)의 중심(O) 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하방으로 순환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중심(O)은 개스킷(60)의 좌우 대칭 기준선(L) 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점이고, 바람직하게는, 개스킷(60)의 높이(H)의 절반에 위치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방에서 바라볼 시, 제 1 상부 노즐(650a)은 기준선(L)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어, 기준선(L)의 우측 영역으로 하방으로 순환수를 분사한다. 전방에서 바라볼 시, 제 2 상부 노즐(650c)은 기준선(L)의 우측 영역에 배치되어, 기준선(L)의 좌측 영역으로 하방으로 순환수를 분사한다.
제 1 상부 노즐(650a)과 제 2 상부 노즐(650c)은 기준선(L)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제 1 상부 노즐(650a)과 제 2 상부 노즐(650c)을 통해 분사되는 수류의 형태 또한 기준선(L)에 대해 대칭이다.
또한, 상부 노즐(650a, 650c)의 하측에 위치하는 2개의 노즐을 하부 노즐(650b, 650d)이라고 하고, 이들을 다시 전방에서 바라볼 시 좌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 1 하부 노즐(650b)이라고 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 2 하부 노즐(650d)이라고 한다.
전방에서 바라볼 시, 제 1 하부 노즐(650b)은 기준선(L)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어, 기준선(L)의 우측 영역으로 상방으로 순환수를 분사한다.
전방에서 바라볼 시, 제 2 하부 노즐(650d)은 기준선(L)의 우측 영역에 배치되어, 기준선(L)의 좌측 영역으로 상방으로 순환수를 분사한다.
제 1 하부 노즐(650b)과 제 2 하부 노즐(650d)은 기준선(L)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제 1 하부 노즐(650b)과 제 2 하부 노즐(650d)을 통해 분사되는 수류의 형태 또한 기준선(L)에 대해 대칭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 노즐(650a, 650c)의 분사폭 각도(β1)는 하부 노즐(650b, 650d)의 분사폭 각도(β2)보다 작을 수 있다. 순환관 연결포트(73)로 공급된 순환수는 노즐 급수관(701)을 따라 상승하는 중에 일부가 하부 노즐(650b, 650d)을 통해 분사되고, 나머지가 상부 노즐(650a, 650c)을 통해 분사되기 때문에, 상부 노즐(650a, 650c)을 통한 토출 유량은 하부 노즐(650b, 650d)을 통한 토출 유량보다 작다. 따라서, 상부 노즐(650a, 650c)의 분사폭을 하부 노즐(650b, 650d)의 분사폭 보다 작게 함으로써(β1<β2), 상부 노즐(650a, 650c)의 토출 수압을 상대적으로 보상하여 모든 노즐(650a, 650b, 650c, 650d)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한 수압으로 물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드럼(32) 내에서 상하로 고르게 순환수가 분사되기 위해서는 상부 노즐(650a, 650c)과 하부 노즐(650b, 650d)이 높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 경우, 중력에 의한 분사 수류의 쳐짐으로 인해 상부 노즐(650a, 650c)로부터 분사된 수류가 실제로는 기하학적으로 예측한 것보다 하측의 영역에 이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력에 의한 수류의 처짐을 고려할 시, 상부 노즐(650a, 650c)은 2/3H보다 더 상측에 배치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편, 펌프(901)가 작동되어 하부 노즐(650b, 650d)을 통해 순환수가 분사될 시, 터브(31) 내의 수위는 1/3H 지점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전방에서 바라볼 시 제 1 노즐(650a)의 분사방향(DR1)은 제 1 포트 삽입관(641)의 길이 방향(또는, 제 1 노즐(650a)로 물이 유입되는 방향, 즉, 입수방향)에 대해 각 a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각도 a는 133 내지 138도 일 수 있다.
제 1 노즐(650a)과 제 3 노즐(650c)은 대칭으로 배치되는 관계이므로, 제 3 노즐(650c)의 분사항향(DR3)이 제 3 포트 삽입관(643)과 이루는 각도 역시 a이다.
또한, 전방에서 바라볼 시 제 2 노즐(650b)의 분사방향(DR2)은 제 2 포트 삽입관(642)의 길이 방향(또는, 제 2 노즐(650b)로 물이 유입되는 방향, 즉, 입수방향)에 대해 각 b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각도 b는 109도 내지 111도이다.
제 2 노즐(650b)과 제 4 노즐(650d)은 대칭으로 배치되는 관계이므로, 제 4 노즐(650d)의 분사방향(DR4)이 제 4 포트 삽입관(644)과 이루는 각도 역시 b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노즐 급수관(701)은, 순환관(18)과 연결되는 순환관 연결포트(73)와, 순환관 연결포트(73)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 관로(74)와, 이송 관로(74)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61, 762, 763, 764, 72e)를 포함한다.
노즐 급수관(701)은, 순환관(18)으로부터 배출된 순환수를 분지시켜, 제 1 부분류(FL1, 도 13 참조.)와 제 2 부분류(FL2, 도 13 참조.)를 형성한다. 노즐 급수관(701)은, 제 1 부분류(FL1)가 안내되는제 1 유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노즐 급수포트(762, 763)가 형성되어, 대응하는 노즐 급수포트(762, 763)를 통해 대응하는 노즐(650b, 650c)로 순환수를 토출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부분류(FL2)가 안내되는 제 2 유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노즐 급수포트(764, 72e)가 형성되어, 대응하는 노즐 급수포트(764, 72e)를 통해 대응하는 노즐(650d)로 순환수를 토출한다. 이송 관로(74)는 상기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관로부(75)와, 상기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관로부(7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관로부(75)의 일단과 제 2 관로부(76)의 일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렇게 연결된 부분에서 순환관 연결포트(73)가 돌출된다. 그러나, 제 1 관로부(75)의 타단과 제 2 관로부(76)의 타단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즉, 이송 관로(74)는 전체적으로 "Y"자 형태로 이루어져, 하나의 입구(즉, 순환관 연결포트(73))를 통해 유입된 순환수를 두 개의 유로로 분지시켜 안내하는 구조이다.
노즐(650a, 650b, 650c, 650d)은 개스킷(60) 상에서의 높이에 따라 상부 노즐(650a, 650d)과 하부 노즐(650b, 650c)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노즐(650a, 650b, 650c, 650d)은 4개가 구비되었고, 이들은 개스킷(6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하부 노즐(650b)과 제 2 하부 노즐(650c), 하부 노즐들(650b, 650c)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상부 노즐(650a)과 제 2 상부 노즐(650d)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 급수포트들(761, 762, 763, 764)은 노즐들(650a, 650b, 650c, 650d)과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노즐 급수포트(761, 762, 763, 764)가 대응하는 노즐(650a, 650b, 650c, 650d)로 순환수를 공급한다.
노즐 급수포트들(761, 762, 763, 764)은 제 1 상부 노즐(650a)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제 1 상부 노즐 급수포트(762), 제 2 상부 노즐(650d)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제 2 상부 노즐 급수포트(72e), 제 1 하부 노즐(650b)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제 1 하부 노즐 급수포트(763), 제 2 하부 노즐(650c)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제 2 하부 노즐 급수포트(7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관로(74)는 개스킷(60)의 외주부 둘레에 배치되고, 순환관(18)을 통해 펌프(901)와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노즐 급수포트(761, 762, 763, 764)는 이송 관로(74)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며, 개스킷(60)에 삽관되어 대응하는 노즐(650a, 650b, 650c, 650d)로 순환수를 공급한다.
노즐 급수관(701)은 이송 관로(74)로부터 돌출되어 순환관(18)과 연결되는 순환관 연결포트(73)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관 연결포트(73)는 이송 관로(74)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성능을 유지 또는 개선시키면서 세탁 완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구성 및 제어방법에 대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4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설정들(예를 들어, 세탁코스, 세탁, 헹굼, 탈수 시간, 탈수속도 등)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설정에 따라 세탁기가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 가능한 코스별로 급수펌프(1310), 순환펌프(또는 펌프(901)), 유량계(1320), 급수밸브(1330), 배수밸브(1340) 등의 제어 알고리즘이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설정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기가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세탁기)는, 급수과정, 포적심과정 및 세탁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급수과정은, 터브 안에 물(또는 세탁수)을 투입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포적심과정은, 드럼 내에 수용된 포(세탁물)에 물을 적시는 과정을 의미하며, 포에 물이 충분이 적셔지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세탁과정은 실제로 포를 세탁하는 과정으로, 물 및 세제(또는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이용하여 오염된 포를 세탁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급수과정, 포적심과정 및 세탁과정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세탁과정 이후에는, 헹굼과정 및 탈수과정이 순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급수과정, 포적심과정 및 세탁과정에서 세탁이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방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터브(31), 상기 터브 내(31)에 구비되며, 일 축(회전 중심선(c))을 기준으로(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드럼(32), 상기 트럼(32)을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38), 상기 터브(31) 내에 물을 투입하도록 형성된 급수밸브(1330) 및 상기 급수밸브(1330)를 통과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1330)는,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 또는 급수펌프(1310)로부터 공급된 물을 터브(31)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미도시)와,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이 급수공급관(34a, 34b, 34c)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급수부(33)를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급수밸브(1330)는, 드럼(32) 내로 물을 분사하는 직수노즐(42)에 물을 안내하는 직수 공급관(39)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급수부(3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급수밸브(1330)는, 디스펜서(35)로부터 배출된 물이 급수 밸로우즈(37)를 통해 터브(31)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급수밸브(1330)는, 터브(31)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공급관, 직수 공급관 또는 급수 밸로우즈(37)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133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급수부(33)에 구비될 수도 있고, 급수공급관, 직수공급관 및 급수 밸로우즈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급수밸브(1330)를 통과한 물의 양을 측정하도록 형성된 유량계(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계는, 급수밸브(13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급수밸브(1330)가 설치된 관 상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량계(1320)는 급수밸브(1330) 및 배수밸브(134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밸브(1330) 또는 배수밸브(1340)를 통과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량계(1320)를 이용하여 급수밸브(1330)를 통과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180)는 유량계(1320)를 이용하여, 급수펌프(1310) 또는 급수밸브(1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유량계(1320)를 이용하여, 급수밸브(1330)를 통과한 물의 양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물의 양이 설정된 기준치에 도달하면, 급수펌프(1310)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급수밸브(1330)를 잠글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가 급수펌프(1310)를 구비한 경우, 제어부(180)는, 산출된 물의 양이 설정된 기준치에 도달하는 것에 근거하여 급수펌프(131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급수밸브(1330)를 잠글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가 급수펌프(1310)를 미구비하고, 외부 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경우, 제어부(180)는, 산출된 물의 양이 설정된 기준치에 도달하는 것에 근거하여 급수밸브(1330)를 잠글 수 있다.
상기 기준치는, 터브에 수용된 세탁물(포)의 중량, 부피, 종류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치는,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급수과정에서, 유량계(1320)를 이용하여 급수밸브(1330)를 통해 터브(31)에 유입된 물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드럼(32)에 수용된 포의 양(포량)에 연계된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 급수를 중단하도록 상기 급수밸브(1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급수과정에서 유량계(1320)를 통해 판단(결정)된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는 것에 근거하여, 포적심 과정을 생략하고 세탁과정에 진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급수과정 전에 드럼(32) 내에 수용된 세탁물(포)의 양(포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급수과정 전에 드럼(32)을 회전시키도록 모터(38)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모터(38)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드럼(32)에 수용된 포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측정된 포량에 근거하여, 터브(31)에 유입되어야 할 물의 기준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포량 별로 연계된 터브에 유입되어야 하는 물의 기준치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미도시) 또는 제어부(180)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정보와 측정된 포량을 이용하여, 터브(31)에 유입되어야 할 물의 기준치를 결정할 수 있다.
포량이 측정되고, 터브(31)에 유입되어야 할 물의 기준치가 결정되면, 제어부(180)는, 급수과정에 진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급수과정에서 급수밸브(1330)를 통해 통과하는 물의 양을 유량계(1320)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유량계(1320)를 통해 측정된 물의 양이 상기 결정된 기준치에 도달하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급수과정을 종료하고, 포적심과정 대신 세탁과정에 바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4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급수과정을 수행한 후, 포적심과정을 수행한다. 즉, 기존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이 개시되면, 급수펌프가 소정의 시간동안 동작하고(또는 급수밸브가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되고), 이후에 포적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순환펌프(901)가 소정의 시간동안 동작한다.
이와 같이, 급수펌프와 순환펌프가 각각 동작함에 따라, 세탁 시간이 증가하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급수과정이 종료된 후에도, 필요에 따라 추가 급수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추가 급수과정은 포적심과정과 동시에 수행되었으며, 추가 급수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포적심과정을 생략할 수 없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이 도시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단일 급수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곧바로 세탁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유량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물의 양을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추가 급수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적심 과정도 생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급수밸브(1330)에서 통과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1320)를 구비함으로써, 측정된 포량별로 터브(31)에 유입되어야 할 물의 양만큼만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포적심과정을 생략하여 포적심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만큼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포적심과정을 생략하더라도, 세탁과정 전에 포가 충분히 적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포적심과정을 생략하더라도, 세탁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세탁성능을 종래와 비교하여 유지시키거나 오히려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급수밸브(1330)에 연결되고, 터브(31)의 입구 상측 전면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드럼(32) 내부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직수노즐(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노즐(42)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직수노즐(42)일 수 있다.
개스킷(60)에는 드럼(32) 내로 물을 분사하는 직수노즐(42)이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직수노즐(42)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관(39)이 구비될 수 있다. 직수노즐(42)은 와류 노즐 또는 분무 노즐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전방에서 바라볼 시 직수노즐(42)은 회전 중심선(C)의 연직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급수과정에서, 상기 직수노즐(42)을 통해 터브(31)로 급수할 수 있으며, 이 때, 드럼(32) 내부로 직접 물(세탁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직수노즐(42)은, 터브입구(31h)의 상측(즉,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에 배치되어, 드럼 내부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수노즐에는, 급수밸브(1330)가 연결될 수 있으며, 급수밸브(1330)의 개폐여부에 근거하여, 직수노즐의 물 분사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급수과정에서, 터브(31)의 입구 상측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직수노즐(42)을 통해 물을 급수시키도록 급수밸브(13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과정에서 급수되는 물은, 드럼(32) 내 존재하는 포에 직접적으로 분사되도록 직수노즐(42)을 통해 터브(31)의 입구 상측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수노즐(42)뿐만 아니라, 급수 밸로우즈(37), 스팀분사노즐(47)도 터브 입구(h)의 상측에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에서 후방 방향으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직수노즐(42)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은, 급수 밸로우즈(37) 및 스팀분사노즐(47)에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직수 노즐(42), 급수 밸로우즈(37) 및 스팀분사노즐(47)은 급수노즐로 통칭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노즐은 앞서 설명한 직수노즐(42)에 대하여 설명한 것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직수노즐(42)이 급수노즐로 치환될 수 있다.
급수과정에서 물이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세탁수는 드럼 내부에 존재하는 포로 직접적으로 유입(분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의 포적심 과정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급수과정에서 충분히 포의 적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 급수과정에서 포의 적심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직수노즐(42)을 통해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는 동안 드럼(32)을 회전시키도록 모터(38)를 제어할 수 있다.
직수노즐(42)을 통해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물이 분사된다는 것은, 터브 입구 상측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물이 분사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드럼(32) 내부의 포에 직접적으로 물을 분사하여 포를 충분히 적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별도의 포적심 과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포적심 과정에 수행되는 시간(t2, 예를 들어, 4분)만큼 세탁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급수과정만으로도 포를 충분히 적시는 것이 가능하므로, 포적심 과정을 생략하더라도 세탁성능을 유지하거나 개선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세탁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세탁과정에서,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과 드럼이 회전되지 않은 시간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세탁 실동률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모터(38)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실동률이란,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을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과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 시간으로 나눈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실동률이 높을수록, 드럼이 회전되지 않은 시간 대비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드럼의 회전이 많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동률이 높을수록 모터에 소요되는 전력은 증가되지만, 모터의 회전이 지속되는 시간의 비율이 높아져 드럼 내에 존재하는 포와 세탁수가 유동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세탁력이 올라가게 된다.
세탁 실동률은, 세탁과정에서의 실동률을 의미할 수 있다.
종래에는, 세탁 실동률이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 20초 및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 시간 10초여서, 20/(20+10) = 67%의 실동률로 모터(38)를 제어하였다. 이 경우, 종래에는 세탁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제1 시간(t4)이었으며, 일 예로, 30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어부(180)는, 세탁과정에서 세탁 실동률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모터(38)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값은, 사용자 설정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결정되거나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36초동안 드럼을 회전시키고, 4초동안 드럼을 정지시키도록 모터(38)를 제어하여, 세탁실동률이 36/(36+4) = 90%가 되도록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세탁과정을 상기 제1 시간(t4)보다 짧은 제2 시간(t4’)동안만 수행하여도, 종래에 비해 세탁성능이 유지되거나 오히려 개선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시간(t4’)은 20분일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세탁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10분가량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탁과정은, 급수된 물을 히팅(heating)시키는 히팅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과정은, 히터(온열기)를 통해 터브(31) 내에 존재하는 세탁수(및 포)의 온도를 올리는(히팅시키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브(31)의 일부분(예를 들어, 하단부분)에는, 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히터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히팅과정에서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과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히팅 실동률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모터(38)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히팅 실동률은, 히팅과정에서의 실동률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소정값은, 마찬가지로, 사용자 설정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결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종래에는, 히팅과정에서 드럼을 8초동안 회전시키고, 8초동안 정지시켜 실동률이 50%가 되도록 모터(38)를 제어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히팅과정에 소요되는 시간(t3)이 대략 13분정도 소요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180)는, 히팅과정에서 드럼을 회전시키는 시간을 36초로 제어하고,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 시간을 4초로 제어하여, 히팅과정의 소요시간(t3’)이 8분 30초가 되도록 하여, 종래에 비해 히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면서도, 세탁성능은 유지시키거나 개선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히팅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히팅과정을 포함하는 세탁과정(t4’)의 소요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세탁 실동률 및 히팅 실동률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모터를 제어하여, 세탁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세탁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의류처리장치의 전면(투입구 또는 터브의 입구)에 구비되며, 드럼 내부로 복수의 노즐을 통해 순환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입구에서 드럼 내부 방향으로 복수의 노즐을 통해 순환수를 분사하여, 포적심과정을 생략시킬 수 있으며, 세탁성능을 종래에 비해 유지시키거나 개선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터브(31)를 수용하는 케이싱(10)의 투입구(12h)와 터브(31)의 입구(31h)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드럼(32) 내로 세탁수(또는 순환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650)을 구비하는 개스킷(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31)에서 배출된 세탁수를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압송하는 펌프(901), 상기 펌프(901)로부터 토출된 세탁수를 안내하는 순환관(18) 및 상기 개스킷(60)에 고정되어 상기 순환관(18)을 통해 안내된 세탁수를 복수의 노즐(650)로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70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펌프(901)를 이용하여 터브(31)에서 배출된 세탁수를 노즐 급수관(701)으로 압송하고, 노즐 급수관(701)으로 압송된 세탁수는 개스킷(60)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650a, 650b, 650c, 650d, 650)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브에서 배출된 세탁수를 다시 드럼(또는 터브) 내부로 분사시키는 것은 순환수로 명명될 수 있다. 즉, 터브(31)로부터 배출되고 펌프(901)(또는 순환펌프)에 의해 노즐 급수관(701)으로 공급되며 복수의 노즐(650)을 통해 드럼(32)으로 분사되는 세탁수는 순환수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은, 터브 입구(31)에 형성된 개스킷(60)에 형성되어, 드럼 내부로 분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을 통해, 터브(31)의 전면에서 서로 다른 복수의 지점(복수의 노즐)에서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순환수를 분사시키는 멀티분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급수과정에서, 유량계를 통해 급수밸브(1330)를 통과하여 터브(31)로 유입된 물의 양(즉, 유량계를 통해 측정된 물의 양)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순환수가 드럼에 분사되도록 펌프(90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값은, 측정된 포량에 연계된 기준치보다 작은 값(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값은, 펌프(901)를 동작시켜 순환수를 드럼에 멀티분사시키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값은, 사용자 설정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결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180)는, 급수과정에서, 유량계(1320)를 이용하여 물이 포량에 연계된 기준치에 도달하기 전, 기 설정된 값(소정량)만큼 물이 터브에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순환수가 드럼(32)에 분사되도록 펌프(90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급수과정에서 터브입구에서 드럼 내의 포로 직접적으로 순환수를 멀티분사시킴으로써, 별도의 포적심과정 없이 급수과정만으로 포를 충분히 적실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포적심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포적심과정의 시간(t2)을 단축시켜 세탁 완료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성능도 포적심과정이 있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유지되거나 오히려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180)는, 유량계(1320)를 이용하여 물이 포량에 연계된 기준치에 도달하기 전, 기 설정된 값(소정량)만큼 물이 터브에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순환수가 드럼(32)에 분사되도록 펌프(90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순환수를 드럼(32)에 분사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터브에 채워진 물을 배출시킨 뒤 펌프를 이용하여 다시 분사시키는 과정이므로, 터브에 채워진 물의 수위가 낮아지게 될 수 있다.
물의 수위가 낮아진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순환수를 분사하기 위해 펌프(901)를 가동시키는 경우, 드럼(32)에 구비된 옷감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센서(미도시)는, 터브(31)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센싱(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센서는 수위주파수를 센싱하고, 센싱된 수위주파수에 근거하여, 터브(31)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위주파수와 터브(31)에 채워진 물의 수위는 반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주파수가 높은 경우, 터브(31)에는 적은 물의 채워진 것을 의미하고, 수위주파수가 낮은 경우, 터브(31)에는 많은 물이 채워진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수위주파수별로 터브에 채워진 물의 수위(또는 물의 양)은 기 연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수위주파수별 물의 수위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 또는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순환수가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말로, 제어부(180)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위주파수가 특정값 이하인 경우(즉,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순환수가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순환수의 분사에 의해 물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내려가는 것이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감지되면, 상기 순환수의 분사를 중단시키도록 상기 펌프를 미동작시킬 수 있다.
다른 말로, 제어부(180)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위주파수가 상기 특정값 초과인 경우(즉,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마인 경우), 상기 순환수의 분사를 중단시키도록 상기 펌프를 미동작시킬 수 있다(또는, 순환수가 드럼에 분사되지 않도록 펌프를 미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유량계(1320)를 통해 측정된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상기 기 설정된 값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물의 수위(즉, 실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인 경우에는, 순환수를 드럼에 분사시키지 않도록 펌프(901)를 미동작 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유량계(1320)를 통해 측정된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고, 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순환수가 드럼에 분사되도록 펌프(901)를 제어할 수 있다(즉, 순환수 분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유량계(1320)를 통해 측정된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과는 무관하게, 수위센서를 통해 결정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 것에 근거하여, 순환수가 드럼에 분사되도록 펌프(901)를 제어할 수 있다.
순환수를 드럼에 분사하는 것에 의해 물의 수위가 줄어들고, 수위센서를 통해 물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이하(또는 미만)으로 내려가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순환수를 드럼에 분사시키지 않도록 펌프(901)를 미동작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인 경우, 순환수를 미분사 시키는 것(즉, 펌프를 동작시키지 않는 것)은 옷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로직의 일 예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가 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초과)인 경우, 순환수를 드럼(32)에 분사시키고, 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이하)인 경우, 순호나수를 드럼(32)에 미분사시키는 과정은, 급수과정 및/또는 세탁과정(또는 히팅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세탁과정에서 상기 순환수가 드럼(32)에 분사되도록 펌프(90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급수과정이 완료된 후 바로 세탁과정에 진입하는 경우, 세탁과정에서 터브(31)를 통해 배출된 순환수(세제가 융해된 물)를 드럼 내에 존재하는 포로 다시 분사하고, 순환수를 직접적으로 포로 분사하되, 서로 다른 지점(복수의 노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순환수를 분사하는 멀티분사를 수행함으로써, 세탁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세탁과정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급수된 물을 히팅시키는 히팅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히팅과정에서 순환수가 드럼에 분사되도록 펌프(90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히팅과정에서 순환수를 드럼 내부로 멀티분사시킴으로써, 히팅을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포의 온도도 균일하게 상승시켜 세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면, 단일 급수과정만으로 급수와 포적심을 수행하기 위해, 급수노즐과, 순환노즐(노즐 급수관)이 터브의 투입구(터브입구(31h))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순환펌프(펌프(901))에 의해 유동되는 물은 환형으로 형성된 순환노즐(노즐 급수관(701))에 의해, 터브 내에서 다양한 패턴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순환펌프는, 앞서 설명한 펌프(901)일 수 있으며, BLDC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급수펌프가 동작 중일 때(또는 급수밸브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질 때), 급수가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순환펌프를 구성하는 BLDC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급수와 동시에 멀티분사를 수행하여, 충분한 포 적심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유량계(1320)를 이용하는 경우, 추가 급수를 수행할 필요 없이, 터브에 정확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유량계(1320)를 이용하는 경우, 급수과정 전에 측정된 포량(물에 젖지 않은 포량, 건포량)에 연계된 물의 양만큼만 급수를 수행함으로써, 물 사용량을 줄이고 농도 세탁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80)는 급수펌프(또는 급수밸브)와 순환펌프를 함께 작동시킴으로써, 급수과정에서, 세탁물(포)을 적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급수펌프의 동작이 개시된 후, 터브의 수위(또는 급수밸브를 통해 유입된 물의 양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것)에 근거하여 순환펌프(901)의 동작 개시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급수펌프의 동작이 개시된 후, 터브의 수위가 소정 치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순환펌프의 동작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급수펌프와 순환펌프를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별도의 포적심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터브 내의 세탁물을 충분히 적실 수 있다.
또한, 유량계를 이용하여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추가 급수 과정이 필요 없이, 필요한 양의 물을 터브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순환펌프의 동작이 종료되는 시점은, 급수펌프의 동작이 종료되는 시점(또는 급수밸브가 잠기는 시점)과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순환펌프의 동작은, 급수펌프의 동작보다 먼저 종료될 수도 있다.
이때, 급수펌프에 의해 유동되는 물(또는 외부 수원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터브의 투입구 측에 설치된 급수 노즐(직수노즐(42), 급수 밸로우즈(37), 스팀분사노즐 등)을 통하여 터브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순환펌프에 의해 유동되는 물은, 터브의 투입구 측에 설치된 환형 노즐(복수의 노즐, 노즐 급수관)을 통하여 터브(드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일 예로,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급수과정, 포적심과정 및 세탁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과정에서, 유량계를 이용하여 급수밸브를 통해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드럼에 수용된 포량에 연계된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유량계를 통해 판단된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포적심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세탁과정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과정 전에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드럼에 수용된 포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포량에 근거하여, 상기 터브에 유입되어야 할 물의 기준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터브의 입구 상측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직수노즐을 통해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급수되는 동안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세탁과정에서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과 상기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세탁 실동률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고 펌프에 의해 노즐 급수관으로 공급되며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으로 분사되는 순환수가 상기 세탁과정에서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앞서 설명한 제어부(180)가 수행하는 동작/기능/제어방법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과정 및 포적심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탁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포적심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포적심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과정에서 유량계를 이용하여 포량별로 급수되어야 하는 물의 양만큼만 급수하는 것이 가능하여, 급수과정의 소요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과정 및 히팅과정에서 모터의 실동률을 소정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세탁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과정에서 터브의 투입구 상측에 구비된 직수노즐을 통해 드럼 내부에 존재하는 포로 직접적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포적심과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급수과정에서 포가 충분히 적셔지도록 하여, 세탁 소요 시간을 줄이면서도 세탁 성능은 유지시키거나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과정에서 복수의 노즐을 통해 드럼으로 순환수를 분사하도록 하여, 포적심 과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드럼 내에 존재하는 포를 충분히 적신 상태로 세탁을 수행하여 세탁시간 단축 및 세탁성능 개선의 효과를 동시에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급수과정, 포적심과정 및 세탁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구비되며,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
    상기 터브 내에 상기 급수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투입하도록 형성된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를 통과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순환펌프; 및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유량계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상기 드럼에 수용된 포량에 연계된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 급수를 중단하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급수펌프의 동작이 개시된 후, 상기 터브의 수위에 근거하여 상기 급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가 함께 작동하도록 상기 급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유량계를 통해 판단된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포적심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세탁과정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 전에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드럼에 수용된 포량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포량에 근거하여, 상기 터브에 유입되어야 할 물의 기준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급수밸브를 통해 통과하는 물의 양을 상기 유량계를 통해 측정하고,
    상기 유량계를 통해 측정된 물의 양이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급수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포적심과정 대신 상기 세탁과정에 바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터브의 입구 상측 전면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드럼 내부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직수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터브의 입구 상측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상기 직수노즐을 통해 물을 급수시키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과정에서 급수되는 물은, 상기 드럼 내 존재하는 포에 직접적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직수노즐을 통해 상기 터브의 입구 상측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수노즐을 통해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는 동안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과정에서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과 상기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세탁 실동률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과정은 상기 급수된 물을 히팅(heating)시키는 히팅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팅과정에서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과 상기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히팅 실동률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를 수용하는 케이싱의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드럼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개스킷;
    상기 순환펌프로부터 토출된 세탁수를 안내하는 순환관; 및
    상기 개스킷에 고정되어 상기 순환관을 통해 안내된 세탁수를 상기 복수의 노즐로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펌프는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상기 복수의 노즐로 압송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노즐 급수관으로 공급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으로 분사되는 세탁수는 순환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유량계를 통해 측정된 물의 양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순환수가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노즐 급수관으로 공급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으로 분사되는 세탁수는 순환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과정에서 상기 순환수가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과정은 상기 급수된 물을 히팅(heating)시키는 히팅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팅과정에서 상기 순환수가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노즐 급수관으로 공급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으로 분사되는 세탁수는 순환수이고,
    터브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측정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순환수가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수의 분사에 의해 물의 수위가 상기 일정 수위 미만으로 내려가는 것이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감지되면, 상기 순환수의 분사를 중단시키도록 상기 순환펌프를 미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급수과정, 포적심과정 및 세탁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
    상기 급수과정에서, 유량계를 이용하여 급수밸브를 통해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급수과정에서,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의 동작이 개시된 후, 상기 터브의 수위에 근거하여 상기 급수펌프와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순환펌프가 함께 작동하도록 상기 급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드럼에 수용된 포량에 연계된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 급수를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유량계를 통해 판단된 상기 터브에 유입된 물의 양이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포적심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세탁과정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과정 전에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드럼에 수용된 포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포량에 근거하여, 상기 터브에 유입되어야 할 물의 기준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과정에서 상기 터브의 입구 상측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직수노즐을 통해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급수되는 동안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과정에서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시간과 상기 드럼이 회전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세탁 실동률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노즐 급수관으로 공급되며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으로 분사되는 순환수가 상기 세탁과정에서 상기 드럼에 분사되도록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043866A 2019-02-01 2019-04-15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649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4088 2019-02-01
KR1020190014088 2019-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29A KR20200096029A (ko) 2020-08-11
KR102649021B1 true KR102649021B1 (ko) 2024-03-20

Family

ID=7204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866A KR102649021B1 (ko) 2019-02-01 2019-04-15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0986B (zh) 2020-07-23 2024-04-12 乐金显示有限公司 触摸显示装置、触摸电路及其触摸驱动方法
KR20230126429A (ko) 2022-02-23 2023-08-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의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942B1 (ko) * 2005-07-01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237U (ko) * 1997-12-26 1999-07-15 전주범 세탁기의 수위 감지장치
KR102210011B1 (ko) * 2013-09-05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43584B1 (ko) * 2016-12-28 202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80089688A (ko) * 2017-02-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942B1 (ko) * 2005-07-01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29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5101B2 (ja) 洗濯機及びその製造方法
EP2698462B1 (en) Washing machine
KR100504501B1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US7908895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86031B1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US8621894B2 (en) Washing machine to wash laundry with bubbles
KR102060067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2339751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варианты)
AU2016234990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4298614A (ja) 蒸気噴射式ドラム洗濯機
KR20080087597A (ko) 세탁기
US1128003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03656B1 (ko)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4902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5144276B2 (ja) ドラム洗濯機の制御方法
KR102127844B1 (ko) 세탁기
US11021832B2 (en) Detergent box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080079474A (ko) 세탁기
US11952697B2 (en)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557579B1 (ko)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46639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210004339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1770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48038B1 (ko) 세탁기
KR10245958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