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429A -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의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의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26429A KR20230126429A KR1020220023566A KR20220023566A KR20230126429A KR 20230126429 A KR20230126429 A KR 20230126429A KR 1020220023566 A KR1020220023566 A KR 1020220023566A KR 20220023566 A KR20220023566 A KR 20220023566A KR 20230126429 A KR20230126429 A KR 202301264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thing
- rising
- winger
- clothes
- hang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9931 harmfu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SFSSNUMVMOOMR-NJFSPNSNSA-N methanone Chemical compound O=[14CH2] WSFSSNUMVMOOMR-NJFSPNSN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5 volatile organic compou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6—Clothes; Hosiery
-
- G01N2033/008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실시예는, 레일시스템; 상기 레일시스템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행거장치; 및 상기 행거장치에 결합되는 옷걸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장치는, 상기 행거장치에 결합되는 후크부, 의류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의 양측을 지지하는 윙어부 및 상기 윙어부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링부에는 오염도 검출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오염도 검출 센서는 상기 의류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의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유해 물질들이 다수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포름알데히드와 TVOC(총휘발성유기화합물)가 존재한다. 의류는 매일 사용하는 다른 것과는 다르게 신체에 직접적으로 닿는다. 그런 의류에 몸에 해로운 물질이 있다면 당연히 안 될 것이다. 세탁을 하더라도 하고 난 후 그리고 입는 중 입고 난 후에도 외부 요소에 의해서 옷은 오염이 될 수 있다. 물론 시각으로 보이는 오염, 후각으로 느껴지는 오염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몸에 해로운 물질이 옷에 존재할 수도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에 의해 오염된 옷이 몸에 닿는다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있다. 예를 들어 세탁소에 세탁을 맡긴 후 세탁이 된 후겉의 비닐포장에 의한 유해 물질, 장기간 옷 보관으로 인한 유해 물질 등 여러 상황을 거쳐 우리의 의류들은 오염될 수 있다. 그러한 옷들의 유해요소를 측정해 주고 옷의 착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면 우리는 더욱 안심하고 옷을 입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통 우리가 옷을 입는데 있어서 세탁을 언제 해야 하는지 애매할 때가 많다. 그 이유는 옷의 종류와 원단, 그리고 가격대에 따라서도 세탁을 얼마나 자주 해야 하는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몇 번 입었는지와 상관없이 세탁을 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시점은 유해물질이 옷에 붙어있는 경우이다. 이때 우리가 만든 의류 오염도 측정기를 사용하면 옷에 유해물질이 붙어있는지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세탁을 많이 하면 안 되는 종류의 옷도 세탁이 필요한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있고, 세탁을 한 직후에도 유해물질 없이 깨끗이 되었는지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18793호의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8434호의 의류 처리 장치 등의 의류의 전면적인 세탁이 아닌 미세먼지 제거나 유해 물질 제거 그리고 쾌적성을 높이기 위한 등의 간이한 방식의 세탁 능력을 제공하는 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6029호와 같이 의류를 전면적으로 세탁하는 방식의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도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대체로 수납된 의류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도에 기초하여 세척 방식이나 세척 강도 그리고 세척 시간을 결정한다. 즉, 이러한 장치는 의류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보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의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기술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류의 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 비로소 사용하는 장치이고, 의류를 단순히 옷걸이에 걸어서 보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의류의 세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가 아니다.
사람이 한번 의류를 착용한 후에 세척을 매번하는 것은 아니고 육안 상의 오염 정도나 악취 등에 따른 주관적인 판단을 통해 의류의 세척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육안이나 냄새 등 만으로는 의류의 오염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고 잘 확인되지 않는 오염 물질이 가득한 의류를 다시 착용하는 것은 신체에 해롭다. 따라서, 의류를 보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의류의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의류의 외관의 오염도는 육안으로 어느 정도 용이하게 관찰이 가능하고, 실제 사람들은 의류의 외관의 오염도에 기초하여 의류의 세척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신체와 직접적으로 맡닿는 곳은 의류의 내부 영역이라 할 수 있어 의류의 내부 영역에서 의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보관 중인 의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여 의류의 세척의 필요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육안상 잘 확인하지 않으나 신체에 직접적으로 맡닿는 부위인 의류의 내부 영역에 대한 오염 상태를 측정하여 의류의 세척의 필요성을 알려주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형태가 매우 다양한 점을 고려하여 의류의 길이에 무관하게 의류의 내부 전체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레일시스템; 상기 레일시스템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행거장치; 및 상기 행거장치에 결합되는 옷걸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장치는, 상기 행거장치에 결합되는 후크부, 의류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의 양측을 지지하는 윙어부 및 상기 윙어부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링부에는 오염도 검출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오염도 검출 센서는 상기 의류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윙어부는 상기 후크부를 중심으로 양쪽 각각으로 연장된 제1 윙어부 및 제2 윙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링부는 상기 제1 윙어부의 제1 폴링삽입홈에 수납된 제1 폴링부 및 상기 제2 윙어부의 제2 폴링삽입홈에 수납된 제2 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링부는 상기 제1 폴링삽입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윙어부의 측면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폴링부의 끝단이 지면을 향하고, 상기 제2 폴링부는 상기 제2 폴링삽입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2 윙어부의 측면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폴링부의 끝단이 지면을 향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옷걸이장치는 상기 옷걸이장치에 걸린 상기 의류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윙어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윙어무빙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행거장치는, 행거 및 상기 행거에 연결되는 옷걸이무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무빙장치는 제1 및 제2 거치부와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무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무빙부의 결합 지점에는 상기 후크부가 체결되는 후크홈이 형성되고, 상기 옷걸이장치의 털림 동작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무빙부는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 상에서 좌우 왕복운동하고, 상기 털림 동작 중에 상기 제1 오염도 검출 센서는 상기 의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레일시스템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라이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이징장치는 상기 의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폴링부와 도킹되는 라이징부를 포함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라이징장치는 상기 의류의 내부 영역 내에 상기 라이징부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의류의 내부 영역을 촬영하는 의류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라이징부는 제1 및 제2 라이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라이징부 각각은 상기 라이징장치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폴링부 각각에 도킹되고, 상기 제1 및 제2 라이징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폴링부 각각에 도킹된 후 높이가 감소하여 도킹이 해제되고 상기 제1 및 제2 라이징부 각각에 설치된 제2 오염도 검출 센서는 상기 의류 내부에서 상기 의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의류의 내부 영역의 촬영 영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징부와 상기 폴링부의 도킹을 위하여 상기 윙어무빙부를 제어하여 상기 의류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보관중인 의류의 세척 시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에는 의류로부터 강제로 먼지나 냄새 등을 수집하여 의류의 오염도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신체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맏닿으면서도 육안으로 잘확인되지 않는 의류의 내부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의류의 총 길이와 무관하게 의류의 내부의 전체적인 영역에서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의류의 하측 방향에서 돌출되는 라이징부가 의류 내부로 정확하게 수납되도록 하기 위하여 의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옷걸이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는 폴링부를 펼쳐진 상태의 옷걸이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6은 옷걸이무빙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은 옷걸이무빙장치에서 제1 및 제2 무빙부가 이동함에 따라 옷걸이장치가 흔들림 동작을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옷걸이장치에 의류가 걸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라이징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의류 검출 센서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옷걸이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는 폴링부를 펼쳐진 상태의 옷걸이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6은 옷걸이무빙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은 옷걸이무빙장치에서 제1 및 제2 무빙부가 이동함에 따라 옷걸이장치가 흔들림 동작을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옷걸이장치에 의류가 걸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라이징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의류 검출 센서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옷걸이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5는 폴링부를 펼쳐진 상태의 옷걸이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옷걸이무빙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7은 옷걸이무빙장치에서 제1 및 제2 무빙부가 이동함에 따라 옷걸이장치가 흔들림 동작을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1은 옷걸이장치에 의류가 걸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라이징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5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10)은 복수의 의류(1)를 수납할 수 있다.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10)은 옷걸이장치(100), 행거장치(200), 라이징장치(300) 및 레일시스템(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10)은 복수의 선반(2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20)은 의류(1)의 수납 영역을 서로 구분할 수 있고, 선반(20)의 상단에 물품이 놓여 질 수 있다.
선반(20)은 레일시스템(400)에 체결될 수 있다. 선반(2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반(20)은 레일시스템(40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반(20)은 레일시스템(400)으로부터 탈 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레일시스템(400)은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10)의 프레임(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2)은 공간 내의 벽면에 마주하는 형태로 위치하고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10) 내의 구성들과 결합되어 이들의 위치를 고정 결합하는 의류 수납 가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선반(20)의 상측이나 하측에는 의류(1)가 수납되는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선반(20)의 하측에는 행거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행거장치(200)는 행거(210)와 복수의 옷걸이무빙장치(220)로 구성될 수 있다. 행거(210)는 선반(20)의 하측에 위치하고 선반(2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반(20)의 위치 이동에 따라 행거장치(200)의 위치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즉, 의료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10) 상에 수납되는 의류(1)의 길이를 고려하여 의류(10)가 구김 없이 수납 가능하도록 선반(2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행거장치(200)의 위치도 상하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옷걸이무빙장치(220)는 행거(210)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옷걸이무빙장치(220)는 하나의 행거(210)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옷걸이무빙장치(220)가 행거(210)에서 미리 설정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지점 상에는 옷걸이무빙장치(220)와 행거(210)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5에서의 제어부(510)는 옷걸이무빙장치(220)와 상호간의 정보의 교환이 가능할 수 있고, 옷걸이무빙장치(220)는 구동 전력을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접속된 단자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행거장치(200) 상에는 복수의 의류(1)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옷걸이장치(10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그리고 도 15를 참조하면, 옷걸이장치(100)는 후크부(110), 윙어부(120), 폴링부(130), 윙어무빙부(140), 회전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옷걸이장치(100)의 후크부(110)는 고리 형태를 가지고 행거장치(200)에 연결됨으로서 옷걸이장치(100)를 행거장치(200)에 걸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옷걸이장치(100)를 행거장치(200)에 걸거나 행거장치(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옷걸이장치(100)의 윙어부(120)는 후크부(110)를 중심으로 양갈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옷걸이장치(100)에 걸린 의류(1)를 의류(1)의 내부에서 의류(1)의 어깨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의류(10)는 옷걸이장치(100)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옷걸이장치(100)에는 바지가 걸릴 수도 있고, 이 경우 윙어부(120)는 바지의 허리 측 양쪽을 바지의 내측에서 지지함으로써 바지가 옷걸이장치(100)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윙어부(120)는 제1 윙어부(121)와 제2 윙어부(122)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윙어부(121, 122)는 후크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여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폴링부(130)는 윙어부(120)의 하측면을 통해 윙어부(120) 상에 수납되고 윙어부(120)의 측면의 일 영역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폴링부(130)는 제1 폴링부(131) 및 제2 폴링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링부(131)는 제1 윙어부(121)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1 폴링삽입홈(121g)에 수납될 수 있다.
제2 폴링부(132)는 제2 윙어부(122)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2 폴링삽입홈(122g)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제1 폴링부(131)는 제1 윙어부(121)의 측면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 폴링부(131)가 제1 폴링부(131)의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시 제1 폴링부(131)의 타측 영역부터 제1 폴링삽입홈(121g)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1 폴링부(131)의 타측 끝단은 하측 방향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제2 폴링부(132)는 제2 윙어부(122)의 측면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2 폴링부(132)가 제2 폴링부(132)의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시 제2 폴링부(132)의 타측 영역부터 제2 폴링삽입홈(122g)으로부터 인출되어 제2 폴링부(132)의 타측 끝단은 하측 방향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폴링부(131)와 제2 폴링부(132)의 타측은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윙어부(12)에는 폴링부(130)의 회전을 위한 회전장치(150)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장치(150)는 제1 회전장치(151)와 제2 회전장치(15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장치(151)는 제1 윙어부(121)에 설치되어 제1 폴링부(131)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제2 회전장치(152)는 제2 윙어부(122)에 설치되어 제2 폴링부(132)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장치(150)는 모터와 각종 기어로 구성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제어 명령신호에 기초하여 폴링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윙어무빙부(140)는 후크부(110)에 연결되고 옷걸이장치(100)의 중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윙어무빙부(140)에는 윙어부(12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윙어부(121) 및 제2 윙어부(122) 각각의 일측은 윙어무빙부(140)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윙어부(121, 122)는 윙어무빙부(14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윙어부(120)는 윙어무빙부(140) 상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즉, 윙어무빙부(140)는 윙어부(120)는 도 5의 (b)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과 같이 소정의 방향으로 윙어부(12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부(110)와 윙어무빙부(140)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윙어부(120) 만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윙어부(120)가 윙어무빙부(140) 상에서 윙어무빙부(140)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윙어무빙부(140)의 하측에는 윙어부(120)의 유동을 위한 여유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윙어무빙부(140)의 측면에는 제1 공간(411)이 마련되어 윙어부(120)가 소정의 반경 범위 내에서 회전 시 윙어무빙부(140) 상에서 윙어부(120)가 이동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옷걸이장치(100)의 후크부(110)에는 전력 및 전기적인 신호의 수신 및 전송을 위한 복수의 제1 접속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폴링부(130) 상에는 복수의 오염도 검출 센서(550)가 마련될 수 있다.
오염도 검출 센서(550)는 가스 센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폴링부(130)의 하측 끝단에는 제1 도킹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옷걸이무빙장치(220)는 제1 거치부(221), 제2 거치부(222), 제1 무빙부(223), 제2 무빙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치부(221)는 제1 무빙부(22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수납하고 제1 무빙부(223)가 제1 거치부(221)로부터의 인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거치부(222)는 제2 무빙부(224)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수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거치부(221, 222) 사이에는 제1 및 제2 무빙부(223, 224)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무빙부(223, 224)가 서로 마주하는 영역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무빙부(223, 224)가 서로 만나는 영역에는 소정의 깊이의 후크홈(220g)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부(110)가 후크홈(220g)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거치부(221) 및 제2 거치부(222)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및 제2 무빙부(223, 224)의 무빙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터 및 각종 기어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제1 거치부(221) 내의 무빙부동작부(510)는 제1 거치부(221)에 설치되고 제1 무빙부(223)를 밀고 당길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무빙부(223)는 옷걸이무빙장치(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고, 제1 무빙부(223)에 연결된 제2 무빙부(224) 또한 왕복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후크홈(220g)에 체결된 후크부(110)가 왕복 운동하게 됨으로써 옷걸이장치(100)가 좌우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즉, 옷걸이장치(100)는 행거(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서 왕복 운동함에 따라 옷걸이장치(100)는 털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옷걸이장치(100)에 걸린 의류(1)의 털림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옷걸이무빙장치(220)는 일 측면에서부터 타 측면까지 연통되는 행거홀(220h)이 형성될 수 있다. 옷걸이무빙장치(220)의 행거홀(220h)을 통해 행거(21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210) 상에는 복수의 옷걸이무빙장치(220)가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행거홀(220h) 상에는 행거(210)에 마련된 단자와 접속 가능한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옷걸이무빙장치(220)가 행거(210)에 체결되면 이들 단자는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홈(220g) 상에는 전술한 후크부(110)의 복수의 제1 접속단자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제2 접속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속단자가 서로 접속되어 회전장치(150)의 구동을 위한 전력 신호, 회전장치(15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 폴링부(130)를 통해 검출된 오염도 검출 정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다양한 형상의 의류(1)가 옷걸이장치(100)에 걸릴 수 있다. 옷걸이장치(100)에 의류(1)가 걸린 후에 옷걸이장치(100)의 윙어부(120)는 의류(1)의 내측에서 의류(1)를 지지할 수 있다. 의류(1)가 옷걸이장치(100)에 걸리고 나서, 옷걸이장치(100)가 행거장치(200)에 연결되면 도 9 및 도 11에서와 같이 옷걸이장치(100)의 폴링부(130)가 의류(1)의 내측에서 회전하여 하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라이징장치(300)는 라이징부(310), 하우징(320), 플레이트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20)은 라이징장치(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라이징부(310)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라이징동작부(540)가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320)의 상부면에는 플레이트부(330)가 설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33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센싱 영역(330s)이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영역(330s) 각각은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영역(330s) 각각에는 상부 방향의 객체를 검출할 수 있는 의류 검출 센서(540)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영역(330s) 각각에는 라이징출력홀(310h)이 형성될 수 있다. 라이징출력홀(310h)은 서로 이격된 두 개의 홀(310h1, 310h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라이징출력홀(310h)을 통해 라이징부(310)가 출력될 수 있다.
라이징부(310)는 제1 및 제2 라이징부(311, 312)로 구성되고, 제1 라이징부(311)는 제1 라이징출력홀(310h1)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출력되고, 제2 라이징부(312)는 제2 라이징출력홀(310h2)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라이징부(310)는 순차적으로 수납되어 복수의 층을 이루는 바 타입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라이징부(310)는 라이징출력홀(310h)을 통해 인출된 후 의류(1)의 내측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라이징부(310)는 상부 방향으로 인출되면서 라이징부(310)의 끝단과 윙어부(120)의 끝단이 서로 접속, 즉 도킹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라이징부(310)의 끝단에는 위어부(120)의 제1 도킹 단자와 접속되는 제2 도킹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라이징부(311)는 제1 윙어부(121)와 접속되고, 제2 라이징부(312)는 제2 윙어부(122)와 접속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의류 검출 센서(54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라이징동작부(540)를 구동하여 제1 및 제2 라이징부(311, 312) 각각의 인출 길이를 제어하고, 최종적으로 제1 및 제2 라이징부(311, 312)가 제1 및 제2 윙어부(121,122)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라이징장치(30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시스템(400) 상에 체결될 수 있다. 라이징장치(300)는 레일시스템(400) 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라이장장치(300)는 선반(20)의 하측에 위치하고, 라이징장치(300)와 선반(20) 사이에는 행거장치(200)가 위치하여 의류(1)가 수납된다.
레일시스템(400)은 레일부(410), 레일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410)는 서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레일부(410)는 프레임(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410)의 제1 레일부(411) 및 제2 레일부(412)는 서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고 제1 레일부(411)와 제2 레일부(412) 사이에는 복수의 의류(1)가 위치하게 된다. 제1 레일부(411)에는 제1 레일체결부(421)가 결합되어 제1 레일부(411)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제2 레일부(412)는 제2 레일체결부(422)에 결합되어 제2 레일부(412)를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레일체결부(411, 412)의 사이에는 라이징장치(300)가 위치하고 라이징장치(300)는 제1 및 제2 레일체결부(411, 412)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레일체결부(411, 412)의 이동에 따라 라이징장치(3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의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옷걸이장치(100)를 옷걸이무빙장치(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후크홈(220g)에 체결된 후크부(110)를 후크홈(220g)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옷걸이장치(100)를 행거장치(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옷걸이장치(100)에 의류(1)를 걸 수 있다. 그리고, 의류(1)가 걸린 옷걸이장치(100)를 옷걸이무빙장치(220)에 체결할 수 있다. 즉, 후크부(110)는 후크홈(220g)에 끼워지면서 옷걸이장치(100)가 행거장치(200) 상에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부(510)는 후크홈(220g) 상에 마련된 압력 센서의 압력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옷걸이장치(100) 상에 의류(1)의 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레임(2)이나 옷걸이무빙장치(220) 상에 입력 버튼이 마련되고, 제어부(510)는 입력 버튼을 통해 턴온 신호가 입력된 것을 감지하면 옷걸이장치(100) 상에 의류(1)가 걸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버튼은 옷걸이무빙장치(220) 각각에 마련되고 제어부(510)는 옷걸이무빙장치(220) 각각의 입력 버튼의 턴온 신호의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해당 옷걸이무빙장치(220)에 의류(1)가 걸린 옷걸이장치(100)가 체결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옷걸이장치(100)의 윙어부(120)의 상부면에는 접촉 감지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접촉 감지 장치는 의류(1)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옷걸이장치(100)에 의류(1)가 걸리면 접촉 감지 장치는 의류(1)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접촉 감지 장치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옷걸이장치(100) 상에 의류(1)가 걸려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의류(1)가 걸린 옷걸이장치(100)의 회전장치(150)를 제어하여 폴링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폴링부(131, 132)는 의류(1)의 내부에 하측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있고, 의류(1)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제어부(510)는 라이징장치(300)의 센싱영역(330s)들 중에서 의류(1)가 걸린 옷걸이장치(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센싱영역(330s) 상의 의류 검출 센서(540)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윙어무빙부(140) 내에 설치된 윙어무빙동작부(530)를 제어할 수 있다.
의류 검출 센서(540)는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검출 센서(540)는 상부 방향을 촬영한 촬영 영상을 제어부(5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의류(1)의 내측 영역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6은 의류 검출 센서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촬영 영상(cp)은 의류(1)의 하측 방향에서 상측을 향해 촬영된 영상으로 의류(1)와 의류(1)의 내부 영역(1i) 상의 옷걸이장치(100)가 촬영 영상(cp)에 나타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촬영 영상(cp)에서 내부 영역(1i)의 위치를 판별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라이징부(311, 312)의 상승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510)는 내부 영역(1i) 상에 기 저장된 라이징부(310)의 위치 정보가 매칭, 즉 내부 영역(1i)이 지면한 수직한 상태에서 그대로 아래로 이동하면 라이징부(310)가 그대로 내부 영역(1i)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1 및 제2 라이징부(311, 312)가 상승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부(510)는 내부 영역(1i) 상에서 제1 및 제2 폴링부(131, 132)의 마커가 인식되면 제1 및 제2 라이징부(311, 312)가 상승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마커는 제1 및 제2 폴링부(131, 132)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도 16의 (a)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라이징부(311, 312)와 제1 및 제2 폴링부(131, 132)의 도킹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10)는 라이징동작부(540)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라이징부(311, 312)를 상승시킬 수 있다. 만약, 도 16 (a)와는 달리 도 16의 (b)에서와 같이 내부 영역(1i) 확인되어 제1 라이징부(311)와 제1 폴링부(131)는 서로 도킹이 가능한 상태이나 제2 폴링부(122)는 의류(1)의 일부 영역에 의해 가려져 제2 라이징부(312)와 제2 폴링부(132)가 서로 도킹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10)는 라이징동작부(540)를 제어하여 제1 라이징부(311)만을 제1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의 제1 높이는 제1 라이징부(311)기 의류(1)의 내부에 삽입되면서도 제1 폴링부(131)와는 도킹이 되지 않은 높이이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윙어무빙동작부(530)를 제어하여 윙어부(12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다시 촬영된 촬영 영상(cp)을 분석하여 제2 라이징부(312)와 제2 폴링부(132)의 도킹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킹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510)는 윙어무빙동작부(530)를 제어하여 윙어부(120)를 이전과는 다른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촬영 영상(cp)을 분석하여 제2 라이징부(312)와 제2 폴링부(132)의 도킹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 과정을 반복한 후, 제2 라이징부(312)와 제2 폴링부(132)의 도킹이 가능하면, 제어부(510)는 라이징동작부(540)를 제어하여 제2 라이징부(312)를 제1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510)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윙어무빙동작부(530)를 제어하여 윙어부(120)의 위치를 변경하여 폴링부(130)와 라이징부(310)의 도킹의 시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도킹이 불가능한 상태로 인식하는 경우 출력부(560)를 통해 도킹 불가능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윙어무빙동작부(530)를 제어하여 윙어부(120)를 초기 위치로 전환하고, 그 후 라이징동작부(540)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라이징부(311, 312)를 제2 높이로 상승시켜 라이징부(310)와 폴링부(130)를 서로 도킹시킬 수 있다. 여기서의 제2 높이는 제1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라이징부(310)와 폴링부(130)를 서로 도킹시키는 높이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 높이는 선반(20)와 플레이트부(330) 상의 수직 거리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510)는 폴링부(130)의 제1 도킹단자와 라이징부(310)의 제2 도킹단자의 접속을 감지하면, 의류 오염 상태 동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의류 오염 상태 동작 모드에서 라이징부(310)의 높이를 감소시켜 제1 높이가 되도록 하여 폴링부(130)와 라이징부(310)의 도킹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실시예는 라이징부(310)가 상승할 때 의류(1)의 일부 영역에 의해 라이징부(310)가 덮히거나 라이징부(310)의 상승에 따라 의류(1)가 말려 같이 상승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초 라이징부(310)와 폴링부(130)의 도킹을 진행하고, 도킹이 완료된 경우 의류(1)가 라이징부(310)와 함께 말려 올라가는 등의 현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옷걸이장치(100)의 털림 동작 수행을 위하여 라이징부(310)와 폴링부(130)의 도킹을 해제하게 된다.
제어부(510)는 폴링부(130)와 라이징부(310)의 도킹 해제 후, 옷걸이무빙동작부(520)를 제어하여 의류(1)의 털림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옷걸이장치(100)를 흔들어서 옷걸이장치(100)에 걸린 의류(1)가 흔들리도록 할 수 있다. 폴링부(130)와 라이징부(310)가 서로 도킹이 해제되고 이격된 상태이므로 옷걸이장치(100)의 털림 동작에 따라 폴링부(130)가 흔들 거림 시 라이징부(310)에 의한 물리적인 방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어부(510)는 털림 동작 진행 중에 폴링부(130) 및 라이징부(310)에 설치된 오염도 검출 센서(550)를 통해 의류(1)의 내측에서 감지되는 의류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는 의류(1)를 강제로 흔들면서 의류(1)로부터 냄새, 각종 유해 물질, 먼지의 배출이 원활하여 오염도 검출 센서(550)의 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오염도 검출 센서(550)는 폴링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오염도 검출 센서(550)는 라이징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오염도 검출 센서(500)는 프롬알데히드, ph, 균, 악취 등 복수의 오염 물질을 각각 센싱할 수 있는 복수의 서로 다른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의류(1)의 내부 상측의 오염도는 폴링부(130)에 의해 그리고 의류(1)의 내부의 중간 영역과 하측 영역의 오염도는 라이징부(310)에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1)의 내부의 전체적인 영역의 오염도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최초, 라이징부(310)와 폴링부(130) 사이의 도킹을 위해 라이징부(310)가 라이징장치(300)로부터 인출되고, 그 후, 폴링부(130)의 털림 동작을 위해 폴링부(130)와 라이징부(310)가 서로 약간 이격된다. 따라서, 의류(1)의 총 길이에 따라서 라이징부(310)가 라이징장치(300)로부터 인출되는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의류(1)의 총 길이에 무관하게 의류(1)의 내부의 전체적인 영역의 오염도의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510)는 오염도가 검출된 의류(1)의 오염도 측정 정보를 출력부(5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560)는 시각적, 청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560)는 옷걸이무빙장치(2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옷걸이무빙장치(220)가 마련되는 경우 이들 각각에 출력부(56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오염도의 검출 정보를 통신부(57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510)는 오염도의 검출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의류(1)의 세척 필요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부(560)를 통해 표시하거나 외부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의류(1),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10)
선반(20), 옷걸이장치(100)
후크부(110), 윙어부(120), 제1 윙어부(121)
제1 폴링삽입홈(121g), 제2 윙어부(122), 제2 폴링삽입홈(122g)
폴링부(130), 제1 폴링부(131), 제2 폴링부(132)
윙어무빙부(140), 제1 공간(141)
회전장치(150), 제1 회전장치(151), 제2 회전장치(152)
행거장치(200), 행거(210), 옷걸이무빙장치(220)
제1 거치부(221), 제2 거치부(222)
제1 무빙부(223), 제2 무빙부(224)
행거홀(220h), 후크홈(220g)
라이징장치(300), 라이징부(310), 제1 라이징부(311), 제2 라이징부(312)
라이징출력홀(310h), 제1 라이징출력홀(310h1), 제2 라이징출력홀(310h2)
하우징(320), 플레이트부(330), 센싱영역(330s), 레일시스템(400)
레일부(410), 제1 레일부(411), 제2 레일부(412)
레일체결부(420), 제1 레일체결부(421), 제2 레일체결부(422)
제어부(510), 옷걸이무빙동작부(520), 윙어무빙동작부(530)
의류 검출 센서(540), 라이징동작부(540), 오염도 검출 센서(550)
디스플레이부(560), 통신부(570)
선반(20), 옷걸이장치(100)
후크부(110), 윙어부(120), 제1 윙어부(121)
제1 폴링삽입홈(121g), 제2 윙어부(122), 제2 폴링삽입홈(122g)
폴링부(130), 제1 폴링부(131), 제2 폴링부(132)
윙어무빙부(140), 제1 공간(141)
회전장치(150), 제1 회전장치(151), 제2 회전장치(152)
행거장치(200), 행거(210), 옷걸이무빙장치(220)
제1 거치부(221), 제2 거치부(222)
제1 무빙부(223), 제2 무빙부(224)
행거홀(220h), 후크홈(220g)
라이징장치(300), 라이징부(310), 제1 라이징부(311), 제2 라이징부(312)
라이징출력홀(310h), 제1 라이징출력홀(310h1), 제2 라이징출력홀(310h2)
하우징(320), 플레이트부(330), 센싱영역(330s), 레일시스템(400)
레일부(410), 제1 레일부(411), 제2 레일부(412)
레일체결부(420), 제1 레일체결부(421), 제2 레일체결부(422)
제어부(510), 옷걸이무빙동작부(520), 윙어무빙동작부(530)
의류 검출 센서(540), 라이징동작부(540), 오염도 검출 센서(550)
디스플레이부(560), 통신부(570)
Claims (8)
- 레일시스템;
상기 레일시스템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행거장치; 및
상기 행거장치에 결합되는 옷걸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장치는,
상기 행거장치에 결합되는 후크부, 의류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의 양측을 지지하는 윙어부 및 상기 윙어부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링부에는 오염도 검출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오염도 검출 센서는 상기 의류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윙어부는 상기 후크부를 중심으로 양쪽 각각으로 연장된 제1 윙어부 및 제2 윙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링부는 상기 제1 윙어부의 제1 폴링삽입홈에 수납된 제1 폴링부 및 상기 제2 윙어부의 제2 폴링삽입홈에 수납된 제2 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링부는 상기 제1 폴링삽입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윙어부의 측면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폴링부의 끝단이 지면을 향하고,
상기 제2 폴링부는 상기 제2 폴링삽입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2 윙어부의 측면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폴링부의 끝단이 지면을 향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장치는 상기 옷걸이장치에 걸린 상기 의류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윙어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윙어무빙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장치는,
행거 및 상기 행거에 연결되는 옷걸이무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무빙장치는
제1 및 제2 거치부와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무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무빙부의 결합 지점에는 상기 후크부가 체결되는 후크홈이 형성되고,
상기 옷걸이장치의 털림 동작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무빙부는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 상에서 좌우 왕복운동하고,
상기 털림 동작 중에 상기 제1 오염도 검출 센서는 상기 의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시스템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라이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이징장치는 상기 의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폴링부와 도킹되는 라이징부를 포함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징장치는 상기 의류의 내부 영역 내에 상기 라이징부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의류의 내부 영역을 촬영하는 의류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징부는 제1 및 제2 라이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라이징부 각각은 상기 라이징장치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폴링부 각각에 도킹되고,
상기 제1 및 제2 라이징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폴링부 각각에 도킹된 후 높이가 감소하여 도킹이 해제되고 상기 제1 및 제2 라이징부 각각에 설치된 제2 오염도 검출 센서는 상기 의류 내부에서 상기 의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내부 영역의 촬영 영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징부와 상기 폴링부의 도킹을 위하여 상기 윙어무빙부를 제어하여 상기 의류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3566A KR20230126429A (ko) | 2022-02-23 | 2022-02-23 |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의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3566A KR20230126429A (ko) | 2022-02-23 | 2022-02-23 |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의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6429A true KR20230126429A (ko) | 2023-08-30 |
Family
ID=8784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3566A KR20230126429A (ko) | 2022-02-23 | 2022-02-23 |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의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26429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28434A (ko) | 2011-09-09 | 2013-03-19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의류 처리 장치 |
KR20200096029A (ko) | 2019-02-01 | 2020-08-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KR20210118793A (ko) | 2018-09-06 | 2021-10-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2022
- 2022-02-23 KR KR1020220023566A patent/KR202301264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28434A (ko) | 2011-09-09 | 2013-03-19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의류 처리 장치 |
KR20210118793A (ko) | 2018-09-06 | 2021-10-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KR20200096029A (ko) | 2019-02-01 | 2020-08-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11973B2 (ja) |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6354331B (zh) | 触摸和悬停切换 | |
US8531517B2 (en) | IV monitoring by video and image processing | |
CN105426027B (zh) | 具有基于电容性数据的锐度的自适应触摸感测阈值的电容式触摸屏 | |
AU2002226351B2 (en) | Device for monitoring a wash process | |
CN104644061B (zh) | 带有矫正装置的自移动机器人及其矫正方法 | |
JP4122521B2 (ja) | 天井走行車システム | |
EP3645441A1 (en) | Elevator being monitored with passenger's smart mobile device | |
KR102052654B1 (ko) | 분류정보 제공 기능을 가지는 수납가구 | |
KR20230126429A (ko) |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의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 |
CN109208245A (zh) | 一种自动洗衣方法 | |
JP2016009460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KR102566520B1 (ko) | 터치 스크린을 위한 제어 및 프로세싱 유닛,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사용 방법 | |
US20180007862A1 (en)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odent behavioural monitoring | |
KR20150136644A (ko) |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수처리기기 | |
JP6127706B2 (ja) | 心電計 | |
CN110699910B (zh) | 洗衣机及自动放置衣物的方法 | |
CN106371629A (zh) | 一种移动终端的操作方法、装置及移动终端 | |
AU2018225435B2 (en) | A diagnostic test reader system | |
CN105708420A (zh) | 一种睡眠情况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 |
JP2019216807A5 (ko) | ||
KR20110048847A (ko) |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 |
KR20080105538A (ko) | 로봇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 |
CN114487390A (zh) | 用于检测医用导流装置中的液体流动的检测盒及检测系统 | |
CN107608545A (zh) | 触控事件的处理方法及装置、终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