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867A - 화상 형성 장치 및 스테이플러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스테이플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5867A KR20120035867A KR1020110100497A KR20110100497A KR20120035867A KR 20120035867 A KR20120035867 A KR 20120035867A KR 1020110100497 A KR1020110100497 A KR 1020110100497A KR 20110100497 A KR20110100497 A KR 20110100497A KR 20120035867 A KR20120035867 A KR 201200358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pler
- period
- image forming
- stapling
- curr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4/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by discontinuous stitching with filamentary material, e.g. wir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G03G15/6544—Details about the binding means or procedur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27—Stap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스테이플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과, 화상 형성 유닛과 스테이플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원과, 스테이플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스테이플러의 동작과 화상 형성 유닛의 동작을 일부 병행하여 실행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유닛의 소비 전력과 스테이플러의 소비 전력의 합이 전원이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이하가 되도록, 스테이플러의 동작을 금지하는 기간이 설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화상이 형성된 기록재를 임의의 타이밍으로 스테이플링 처리 가능한 스테이플러를 탑재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스테이플러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및 복사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복수매의 용지(인쇄된 기록재) 다발의 단부를 스테이플링하는 스테이플러를 구비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스테이플러를,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는 옵션 장치로서 별도로 준비할 수 있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유저가 임의의 타이밍으로 기록재 용지에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들 스테이플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용 어댑터를 마련해서 상용 교류(AC) 전압을 직류(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 또는 화상 형성 장치와 전력을 공용하게 되고, 그 전원으로부터 DC 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전원이 사용된다.
전자의 전원에서는, 스테이플러용 전용 전원이 제공되기 때문에, 전원은 스테이플러에서 필요한 전력만을 공급하도록 요구되어 설계가 용이하다. 그러나,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과는 다른 별도의 전원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비용이 높아지거나, 장치의 전원 사이즈가 증가한다. 이는 저가격화나 소형화를 저해한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와 스테이플러는 전원을 공유한다. 따라서, 전자와 비교해서 비용의 저가격화나 사이즈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는, 스테이플링 처리가 임의의 타이밍으로 실행되면, 전력 공급 타이밍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테이플링 처리의 타이밍이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동작의 타이밍과 겹치지 않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링을 위한 기구부를 동작하기 위한 구동 유닛으로서 직류(DC)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DC 모터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기구부의 캠이나 기어에 구동력을 부여해서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스테이플러에서는, 예를 들면 과전류와 같은 이상 상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전원 회로나 기구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또는 소비 전력의 저감을 위해, DC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 값 이하로 제한하는 회로, 또는 스테이플러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 차단 회로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9112호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을 공유하는 구성으로, 스테이플러와 전원 사이에 전류 제한 회로를 접속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전원은 전류 제한 회로를 사용하여 돌입 전류(inrush current)와 같은 과전류를 제어하여 부하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된 경우에, 즉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을 스테이플러와 공용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스테이플러가 동작하는 타이밍을 미리 알고 있으면, 그 동작을 제어하거나 정지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나, 임의의 타이밍으로 유저에 의해 스테이플링 처리가 실행되면, 상기 처리를 화상 형성 동작과 겹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1) 스테이플링 처리와 화상 형성 동작이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실행 타이밍에 차이를 두는 것.
(2) 전력 소비가 전원의 용량을 넘지 않도록, 화상 형성 동작중 스테이플링 처리를 금지하는 일부 기간(부하가 커지는 기간)을 설정하는 것.
(1)의 방법에서는, 임의의 타이밍으로 스테이플링 처리의 실시가 지시되는 경우, 그 타이밍에 스테이플링 처리를 위한 전류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스테이플링 처리가 지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플링 처리 시의 생산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2)의 방법에서는, 스테이플링 처리의 도중에 상기 동작이 금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플링 도중에 상기 동작이 정지하면, 스테이플은 움직이지 않게 될 수 있다[소위, 스테이플 잼(staple jam)의 발생].
본 발명은 스테이플러가 제공된 장치에 있어서, 저렴한 소형 전원을 갖는 구성으로, 임의의 타이밍으로 실행되는 스테이플링 처리의 생산성의 감소를 경감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기록재를 스테이플링 하는 스테이플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과, 화상 형성 유닛과 스테이플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원과, 스테이플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스테이플러의 동작과 화상 형성 유닛의 동작을 일부 병행하여 실행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유닛의 소비 전력과 스테이플러의 소비 전력의 합이 전원이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이하가 되도록, 스테이플러의 동작을 금지하는 기간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어,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서 동작하고, 기록재에 임의의 타이밍으로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스테이플러가 제공된다.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링 처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스테이플러의 동작과 화상 형성 유닛의 동작을 일부 병행하여 실행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유닛의 소비 전력과 스테이플러의 소비 전력의 합이 전원이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이하가 되도록, 스테이플러의 동작을 금지하는 기간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태양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명세서의 일부로 통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 특징 및 태양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스테이플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및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및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5는 프린트 처리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a 및 도 6b는 스테이플러로의 전류 및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 등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로 흐르는 전류 및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및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로 흐르는 전류 및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및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로 흐르는 전류 및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및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스테이플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및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및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5는 프린트 처리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a 및 도 6b는 스테이플러로의 전류 및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 등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로 흐르는 전류 및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및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로 흐르는 전류 및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및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로 흐르는 전류 및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및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 특징 및 태양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이 설명된다. 이하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레이저 빔 프린터(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빔 프린터는 프린터의 상부에 접속되어 장착되는 스테이플러(2)를 구비한다. 스테이플러(2)의 전원은 레이저 빔 프린터와 공유된다. 유저는 임의의 타이밍으로 스테이플러(2)를 사용하여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레이저 빔 프린터 본체(이하, 프린터 본체라고 함)를 나타낸다. 이 프린터는, 인라인 방식(in-line type)이며, 옐로(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의 4가지 색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을 병렬로 배치하고, 4가지 색상의 토너 화상을 겹쳐 풀컬러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각 색상의 화상 형성 유닛으로서, 레이저 스캐너(11Y, 11M, 11C 및 11K)와 카트리지(12Y, 12M, 12C 및 12K)가 제공된다. 카트리지(12Y, 12M, 12C 및 12K)는,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 드럼(13Y, 13M, 13C 및 13K)과, 각각의 감광 드럼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너(14Y, 14M, 14C 및 14K)와, 각각의 감광 드럼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롤러(15Y, 15M, 15C 및 15K)와, 각각의 감광 드럼에 레이저 스캐너에 의해 형성된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서 현상하는 현상 롤러(16Y, 16M, 16C 및 16K)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감광 드럼(13Y, 13M, 13C 및 13K)은 감광 드럼이 중간 전사 벨트(17)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중간 전사 벨트(17)를 거쳐 각각의 감광 드럼의 맞은편에 1차 전사 롤러(18Y, 18M, 18C 및 18K)가 제공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7)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너(19)(블레이드를 중간 전사 벨트에 접촉시켜 토너를 긁어내는 방식)가 제공된다. 클리너(19)로 긁어낸 토너는 폐 토너 용기(20)에 저장된다. 기록재로서의 용지(S)를 수납하는 카세트(22)에는, 수납된 용지(S)의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23) 및 용지(S)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지 유무 센서(24)가 제공된다.
용지(S)를 화상 형성 유닛을 향해서 반송하는 반송로에는, 급지 롤러(25), 분리 롤러 쌍(26),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7)이 제공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7)의 반송로에 있어서의 용지(S)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근방에, 레지스트레이션 센서(28)가 제공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7)와 접촉하는 2차 전사 롤러(29)가 제공되고, 2차 전사 롤러(29)로부터 용지(S)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정착 디바이스(30)가 제공된다. 카세트(22)로부터 급지 롤러(25)에 의해 급지된 용지(S)의 반송 타이밍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중간 전사 벨트(17) 상의 화상이 2차 전사 롤러에 의해 용지(S)에 전사된다. 용지(S)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 디바이스(30)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어서 용지(S)에 정착된다. 화상이 형성된 용지(S)는 배지 되어서 배지 트레이(31)에 순차적으로 적재된다.
화상이 형성된 용지(S)의 다발을 스테이플링 처리하는 후 처리 장치로서의 스테이플러(2)는 프린터 본체(1)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스테이플러(2)는, 유저가 프린터 본체(1)로부터 배출되어서 배지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S)의 다발을 정렬하고, 그 다발의 단부를 임의의 타이밍으로 스테이플러(2)에 삽입해서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스테이플러(2)의 구성을 도시한다. 스테이플러(2)는 커넥터(2r), 모터 구동 회로(2b), DC 브러시 모터(2c), 기어(2d), 볼록부(2e), 전환 부재(2f), 스테이플러 저부(2h) 및 스테이플(2i)을 포함한다. 커넥터(2r)는 화상 형성 장치(1)와 스테이플러(2)를 전원선 및 접지선을 사용하여 접속한다. 기어(2d)는 모터 샤프트에 장착되고, 볼록부(2e)는 기어에 부착된다. 전환 부재(2f)는 스테이플러 상부(2g)에 고정되어서 볼록부(2e)에 맞물림으로써 기어(2d)의 회전 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전환한다. 스테이플러 저부(2h)는 스테이플러(2)에 고정되고, 스테이플(2i)은 스테이플러 상부에 장전된다. 또한, 스테이플러(2)는, 모터 구동 회로(2b)에 신호를 출력해서 DC 브러시 모터(2c)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와, 용지(S)가 공간(2j)에 삽입되는 것에 응답하여 온이 되는 스위치(2t)와, 기어(2d)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회로(2y)를 포함한다.
스테이플러(2)에서, 용지(S)가 삽입되어 스위치(2t)가 온이 되면,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가 스위치(2t)로부터 상승 신호를 취득하고, 상승 신호에 따라, 1회, DC 브러시 모터(2c)가 구동되도록 모터 구동 회로(2b)에 신호를 보낸다. 1회의 DC 브러시 모터(2c)의 구동이 완료한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 위치 검출 회로(2y)가 기어(2d)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기어(2d)가 1회전을 마친 것에 응답하여,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에 신호를 송신한다. 1회의 스테이플링 처리가 완료된 후에, 유저가 용지(S)의 다발을 빼고, 재차 용지(S)를 삽입하면,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가 재차 DC 브러시 모터(2c)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모터 구동 회로를 제어한다. 상기의 제어에 의해, 용지(S)가 삽입되어 있는 동안, 연속해서 스테이플링 처리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스테이플러(2)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은 프린터 본체(1)에 제공된 전원으로부터 공급된다. 위치 검출 회로(2y)는 변환 부재(2f)의 상하 동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 및 전원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회로 블럭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전원(3)은,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 전압(AC 전압이라고도 함)을 일정한 DC 전압으로 변환해서 전압을 출력한다. 프린터 컨트롤러(4)(이후, 본체 컨트롤러(4)라 함)는 프린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체 컨트롤러(4)는 중앙 처리 유닛(CPU), 리드 온리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프린터 본체(1)에 의한 화상 형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류 검출 회로(5)는 전원(3)으로부터 스테이플러(2)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한다. 제어 회로(7)는 전류 검출 회로(5)로부터의 전류 검출 신호(Visns), 또는 본체 컨트롤러(4)로부터의 금지 신호(Vcont)의 상태에 따라, 출력 전환 회로(6)에 보내진 스테이플러 동작 허가 신호(Vstp)의 상태를 전환한다. 출력 전환 회로(6)는, 제어 회로(7)로부터의 스테이플러 동작 허가 신호(Vstp)를 사용하여 스테이플러(2)로의 전류 공급의 허가 및 금지를 전환한다.
도 4에서는, 도 3에서 제시한 블럭도에 있어서, 전류 검출 회로(5), 출력 전환 회로(6) 및 제어 회로(7)의 회로 구성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전류 검출 회로(5)는, 전류 검출 저항(5a) 및 전류 검출 증폭기(5b)를 포함한다. 전류 검출 증폭기(5b)는, 연산 증폭기(5c) 및 전류 미러 회로(5d)를 사용하여 전류를 검출해서 전압으로서의 출력을 얻는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전류 검출 증폭기(5b)는, 전류 검출 저항(5a)의 양단의 차동 전압을 연산 증폭기(5c)에 받아들이고, 전류 미러 회로(5d)에서 레벨 시프트 처리와 증폭을 행하여 전류-전압 변환하며, 전류 검출 신호(Visns)를 출력한다.
제어 회로(7)는 NOR 회로(7a)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7)는, 전류 검출 회로(5)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검출 신호(Visns) 및 본체 컨트롤러(4)로부터 입력되는 금지 신호(Vcont) 중 하나가 하이 레벨(이하, “H”레벨이라 함)이 되면, NOR 회로(7a)의 출력을 로우 레벨(이하, “L”레벨이라 함)로 설정한다. 출력 전환 회로(6)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6a)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7)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출력 전환 회로(6)는 FET(6a)의 게이트 전압을 변화시키고, 스테이플러(2)로의 공급 전류가 전환된다. FET로서 P 채널형의 FET를 사용하는 경우, 게이트가 “L”레벨이 될 때,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 전류가 흘러, 전원으로부터 스테이플러(2)로 전류가 공급되게 된다.
도 5는, 프린터 본체(1)가 대기 상태(화상 형성의 지시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로부터 1매의 용지에 화상 형성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처리에 있어서의, 프린터 본체(1)[스테이플러(2)가 아님]의 부하에 흐르는 전류값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3)으로부터의 공급 전류의 리미트 값은 예를 들면, 14A이다. 이 리미트 값은 전원의 사양이나 지역 및 요구되는 규제 등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우선, 파형 A1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이 개시되면, 초기화 시퀀스가 개시된다. 그러면, 부하 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 시퀀스에서, 화상 형성의 준비 단계로서, 감광 드럼의 위상 조정, 정착 디바이스의 온도 조정 등과 같은 필요한 동작이 실행된다. 이 초기화 시퀀스의 종료 후에, 화상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하여진다. 화상 형성 동작에 있어서, 레이저 스캐너를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 개시 및 정착 디바이스의 온도 조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부하 전류는 한층 더 증가한다.
도 5에 개시되는 중간 지점 P3으로부터 지점 P4까지의 기간 T1에서, 모터의 구동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부하 전류가 늘어나서 최대값에 이른다. 지점 P3은,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처리가 개시되는 지점 P1로부터 기간 T4 경과 후, 화상 형성이 개시되는 지점 P2로부터 기간 T3 경과 후 등에, 화상 형성 동작을 위해 미리 결정된 시퀀스를 따라 정해진다. 기간 T1에 있어서의 최대 전류값은, 본 실시예에서는 12A이다.
그 후에, 프린트 동작이 지점 P5에서 종료되면, 프린터는 다시 대기 상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동작중의 부하 전류값은, 리미트 전류가 14A인 것에 대하여, 최대 부하 전류가 12A이며, 마진값(14A-12A)은 2A이다. 한편, 스테이플러(2)에 필요한 전류값은 최대 3A이다. 그러나, 최대 부하 전류 12A+ 스테이플러의 최대 전류값 3A = 15A이다. 따라서, 리미트 전류 14A를 초과한다. 다음에, 리미트 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동작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테이플러(2)에 필요한 전류값의 파형은 삼각 파형의 전류 파형이다.
도 6a 및 도 6b는, 스테이플러(2)에 공급되는 전류 Is의 전류 파형 B2, 스테이플러(2) 이외의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 Ie(도 5에 도시된 전류값 Ie)의 전류 파형 B1, 및 전원(3)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Ip의 전류 파형 B3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이 도 6a 및 도 6b에서는, 도 5에 있어서 부하 전류가 최대값에 도달하는 기간 T1의 임의의 타이밍으로 유저가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한다.
스테이플러 전류 Is의 전류 파형 B2는, DC 브러시 모터(2c)가 기동하는 것에 의해 급격하게 증가하고, 그 최대값은 3A가 된다. DC 브러시 모터(2c)의 회전에 의해, 스테이플이 용지(S)에 박히게 된다. 이 동작 후에, 전류는 서서히 감소하고, 전류값이 실질적으로 0A가 되어 DC 브러시 모터(2c)의 회전을 정지하는 때에, 스테이플링 처리를 종료한다. 전류 파형 B2는 부하, 즉 스테이플링 처리되는 용지(S)의 두께 및 단단함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전류 파형 B2에서 부하가 최대값에 도달하는 것으로 상정된다.
도 6a에서, 스테이플러(2) 이외의 부하 전류 Ie가 10A인 경우, 유저가 스테이플링 처리를 시작하면, 지점 P11에서, 스테이플러(2)의 DC 브러시 모터(2c)가 구동을 개시하여, 스테이플러 전류 Is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Is의 증가에 따라,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 Ip도 증가한다. 지점 P12에서,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 Ie가 12A까지 증가하면,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 Ip가 리미트 전류인 14A를 초과하여 15A가 된다. 이러한 증가 후에, 스테이플러 전류 Is의 전류 파형에 따라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 Ip는 변동하고, 기간 T1 경과 후의 지점 P13에서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 Ie가 10A까지 감소한다. 이러한 감소 후에, 스테이플링 처리가 종료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가 최대값에 도달하는 타이밍(값이 12A가 되는 타이밍)에서, 유저가 스테이플링 처리를 하면, 출력 전류 Ip가 전원 용량을 초과해버린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전원으로부터의 출력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스테이플링 처리나 화상 형성 동작이 도중에 정지할 가능성이 있다.
도 6b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와는 달리,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 Ie가 10A이고,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 Ie가 최대값이 되는 타이밍인 지점 P22보다도 앞쪽의 지점에, 기간 T2를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기간인 기간 T1과는 별도로, 제1 기간의 직전에 제2 기간으로서의 기간 T2가 설정된다.
도 6b에서는, 기간 T2보다 앞의 지점 P21에서, 유저가 스테이플링 처리를 개시한다. 지점 P21에서, 스테이플러(2)의 DC 브러시 모터(2c)가 구동하기 시작하고, 스테이플러 전류 Is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스테이플러 전류 Is의 증가에 따라,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 Ip도 증가한다. 파형 B3(b)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점 P22에서,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 Ie가 12A까지 증가하기 전의 기간 T2 동안에, 스테이플러 전류 Is는 3A의 최대값을 취한다.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 Ie와 스테이플러 전류 Is의 합인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 Ip는, 스테이플러 전류 Is의 전류 파형 B2가 부하로 인해 소정의 전류 파형을 갖더라도, 전원 용량으로서의 리미트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기간 T2가 설정되며, 이것이 본 실시예의 특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14A가 리미트 값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간 T2를 설정함으로써, 기간 T1+ T2의 기간에 유저가 스테이플링 처리를 하는 경우에, 스테이플링 처리가 금지된다. 기간 T1+ T2에 앞선 임의의 타이밍이나 기간 T1의 경과 후에, 유저가 스테이플링 처리를 시작하는 경우에는, 스테이플링 처리를 허가한다. 이에 의해, 출력 전류 Ip가 리미트 전류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기간 T1+ T2보다 앞선 임의의 타이밍에서 스테이플링 처리를 시작하고, 스테이플링 처리가 기간 T1+ T2에서 완료되자마자 스테이플링 처리를 금지하는 제어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도 7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전류 검출 회로(5)로부터 제어 회로(7)에 출력되는 전류 검출 신호(Visns)를 나타내는 D1과, 본체 컨트롤러(4)로부터 제어 회로(7)에 출력되는 금지 신호(Vcont)를 나타내는 D2와, 제어 회로(7)로부터 출력 전환 회로(6)에 출력되는 스테이플러 동작 허가 신호(Vstp)를 나타내는 D3과,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 Ie의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D4와, 전원으로부터 스테이플러에 흐르는 전류 Is의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D5와,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 Ie와 스테이플러 전류 Is의 합인 전원(3)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류 Ip의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D6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에 있어서, 스테이플러 동작 허가 신호(Vstp)가 “L”레벨일 때에, 스테이플링 처리를 허가한다. 스테이플러 동작 허가 신호(Vstp)가“H”레벨일 때에, 스테이플링 처리를 금지한다. 전류 검출 신호(Visns)는, 스테이플러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에 “H”레벨이 되고, 스테이플러 전류가 흐르지 않고 있을 때에 “L”레벨이 된다. 본체 컨트롤러(4)로부터의 금지 신호(Vcont)가 “H”레벨이거나, 또는 스테이플러 동작 허가 신호(Vstp)가 “L”레벨일 때, 지점 P41에서, 유저가 용지(S)를 스테이플러(2)에 삽입하고, 스테이플링 처리를 시작한다.
스테이플러(2)의 DC 브러시 모터(2c)가 구동하고, 스테이플러 전류 Is가 흐르기 시작함과 동시에, 전류 검출 신호(Visns)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전환된다. 아직 스테이플러 전류 Is가 흐르고 있는 기간의 지점 P42에서, 기간이 설정된 기간 T2에 들어가고, 컨트롤러로부터의 금지 신호(Vcont)가 “H”레벨에서 “L”레벨이 된다. 이 동작은 스테이플링 처리를 금지시킨다. 그러나, 전류 검출 신호(Visns)는 여전히 “H”레벨이고, 스테이플러 동작 허가 신호(Vstp)는 “H”레벨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테이플링 처리는 허가 상태를 유지한다. 지점 P43에서,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 Ie가 기간 T1에서 증가해서 최대의 전류값이 되면, 스테이플링 처리는 계속된다.
지점 P44에서, 스테이플러 전류 Is가 0A가 되고, 전류 검출 신호(Visns)가 “H”레벨로부터 “L”레벨로 전환되면, 스테이플러 동작 허가 신호(Vstp)가 “L”레벨에서 “H”레벨이 변경되고, 스테이플링 처리가 금지된다. 그 후에, 지점 P45에서,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 Ie가 감소할 때, 본체 컨트롤러(4)로부터의 금지 신호(Vcont)가 “H”레벨로부터 “L”레벨로 전환된다. 따라서, 스테이플러 동작 허가 신호(Vstp)가 “H”레벨로부터 “L”레벨로 전환되고, 스테이플링 처리는 허가 상태가 된다. 이상의 흐름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테이플링 처리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일련의 동작이다. 도 7에서 설명한 일련의 스테이플링 처리에 있어서, 전류 파형 D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류 Ip는 리미트 전류값인 14A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것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값이 최대값이 되는 타이밍에 앞서 스테이플링 처리가 개시될 경우에 있어서, 스테이플링 처리를 허가 또는 금지하기 위한 기간을 설정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스테이플링 처리중에 스테이플링 처리를 정지시키는 것에 따른, 스테이플의 막힘(jamming)이나 스테이플러의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플링 처리 개시 후 즉시 스테이플링 처리를 금지하기 때문에, 전원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기간에 스테이플링 동작을 시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플링 처리에 있어서의 스테이플링 동작의 금지 기간을 가능한 짧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생산성의 감소나 장치 개시 타이밍의 지연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종 전류값은 단지 일례이며, 리미트 전류값이나 스테이플링 처리의 최대의 전류값 등은 장치의 사양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스테이플러는, 용지가 삽입된 것을 검출하고, DC 모터를 1회 구동하는 제어를 행한다. 그러나, 스테이플러에 컨트롤러를 탑재하지 않고, 용지의 검출에 연동한 기구를 마련해서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 검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서 설명했지만,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 및 전원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2 및 도 3과 공통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전원(3)으로부터 스테이플러(2)에 공급되는 전류 Is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회로(5)를 마련하지 않고, 스테이플러(2)에 용지(S)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항상 검출하는 용지 유무 검출 유닛(2t)을 마련한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 유무 검출 유닛(2t)의 검출 결과에 따라, 스테이플러 동작을 허가 또는 금지하는 제어가 행해진다. 용지 유무 검출 유닛(2t)으로부터 스테이플러(2)에 탑재한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에 용지 유무 검출 신호(Vpsns)가 보내진다.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는, 용지 유무 검출 신호(Vpsns)에 따라, 모터 구동 회로(2b)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Vmot)를 출력한다. 도 9의 타이밍 차트를 참고하여, 부하 전류가 최대값을 취하는 기간 T1을 포함한 영역에 유저가 용지(S)를 2회로 나누어서 스테이플링 처리할 경우의 스테이플링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에서는, 용지 유무 검출 유닛(2t)으로부터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에 출력되는 용지 유무 검출 신호(Vpsns)를 나타내는 E1과,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컨트롤러(4)로부터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에 출력되는 금지 신호(Vcont)를 나타내는 E2와,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로부터 모터 구동 회로(2b)에 출력되는 모터 구동 신호(Vmot)를 나타내는 E3과,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 내부의 스테이플 금지 신호(Vstep2)를 나타내는 E4와,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 Ie의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E5와, 전원(3)으로부터 스테이플러에 흐르는 전류 Is의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E6과, 전원(3)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출력 전류 Ip의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E7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용지 유무 검출 신호(Vpsns)는, 기록재로서의 용지(S)가 삽입되어 있으면 “H”레벨이 되고, 용지(S)가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L”레벨이 된다. 모터 구동 신호(Vmot)는, 제1 실시예와 같은 조건에서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로부터 출력된다.
본체 컨트롤러(4)로부터의 금지 신호(Vcont)가 “H”레벨이고, 모터 구동 신호(Vmot)가 “L”레벨에 있을 때, 지점 P51에서, 유저가 용지(S)를 스테이플러(2)에 삽입하고, 용지 유무 검출 신호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전환된다. 이 동작과 동시에,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가 모터 구동 신호(Vmot)를 “H”레벨로 설정하고, 모터 구동 회로(2b)가 모터를 구동한다. 그 후, E5로 나타내는 파형으로 스테이플러 전류 Is가 흐르기 시작한다. 스테이플러 전류 Is가 흐르고 있는 지점 P52에서, 동작이 전술한 기간 T2로 진입하고, 컨트롤러로부터의 금지 신호(Vcont)가 “H”레벨로부터 “L”레벨로 전환된다. 그러면, 스테이플링 처리는 금지 상태로 진입한다. 그러나, 이미 모터 구동 회로(2b)는 동작하고 있어, 스테이플링 동작은 정지하지 않는다. 지점 P53에서,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 Ie가 기간 T1에서 증가하여 최대 전류값을 취하더라도, 스테이플링 처리는 계속된다.
스테이플링 동작이 종료되고, 용지(S)가 스테이플러(2)로부터 빠져나오고, 용지 유무 검출 신호(Vpsns)가 “H”레벨로부터 “L”레벨로 전환되면, 금지 신호(Vcont)가 “L”레벨에 있기 때문에,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 내에 스테이플 금지 신호(Vstep2)를 설정해서 스테이플링 동작을 금지한다. 지점 P55에서, 유저가 다음 용지(S)를 스테이플러에 삽입하고, 용지 유무 검출 신호(Vpsns)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전환되어도,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로부터의 제어 신호(Vcont)는 “L”레벨을 유지하고,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 내의 스테이플 금지 신호(Vstep2)는 스테이플링 동작의 금지 상태를 유지한다. 용지(S)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점 P56에서 기간 T1이 종료되면, 금지 신호(Vcont)는 “L”레벨에서 “H”레벨로 전환되고,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 내의 스테이플 금지 신호(Vstep2)에 의해 스테이플링 동작을 허가하고, 모터 구동 신호(Vmot)를 “H”레벨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모터가 구동해 스테이플링 동작이 개시된다. 그리고, 스테이플러 전류 Is의 전류는 파형 E6과 같이 증가한다. 전술한 동작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테이플링 처리가 용지를 삽입 및 제거함으로써 여러 번 연속해서 행하여질 경우의 일련의 동작이다. 이 일련의 스테이플링 처리에 있어서도, 전류 파형 E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원 출력 전류 Ip는 리미트 전류인 14A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 유무 검출 유닛(2t)으로서 스위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포토인터럽터와 같은 광학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용지 유무 검출 유닛(2t)을 사용함으로써, 스테이플러 전류 검출 회로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저렴한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 구동 회로(2b)를 제어하기 위해서 스테이플러(2)에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를 제공한 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체 컨트롤러(4)를 사용하여 유사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 및 전원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2, 도 3 및 도 8과 공통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테이플러(2)로 용지(S)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용지 유무 검출 유닛(2t)을 채용해서 스테이플러 동작의 허가와 금지를 제어한다. 제2 실시예와 다른 것은, 용지(S)의 다른 위치에 연속으로 스테이플링 동작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연속 스테이플링 동작중에 용지(S)가 흔들려서 스테이플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이중으로 스테이플링이 되는 것을 예방하는 용지 보유 유닛(9)을 마련한 것이다. 용지 보유 유닛(9)은, 예를 들면 클러치 및 클러치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사용하여 구동되는 부재로서, 예를 들면, 용지를 보유해서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는 용지의 양단부를 집어 정렬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지 보유 유닛(9)의 구동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로부터 용지 보유 신호(Vhold)를 출력한다. 다른 위치에서의 스테이플링 동작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2쌍의 스테이플링 기구에 의해 실행되는데, 다시 말해, 다른 위치에 2개의 스테이플러(2)를 제공한다.
도 11의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다른 2곳의 위치에서 2회 실행되는 연속 스테이플링 동작을 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1은, 용지 유무 검출 유닛(2t)으로부터 출력되는 용지 유무 검출 신호(Vpsns)를 나타내는 F1과,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로부터 용지 보유 유닛(9)에 출력되는 용지 보유 신호(Vhold)를 나타내는 F2와, 본체 컨트롤러(4)로부터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에 출력되는 금지 신호(Vcont)를 나타내는 F3과,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로부터 모터 구동 회로[2c(a)]에 출력되는 모터 구동 신호(Vmot1)를 나타내는 F4(a)와,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로부터 모터 구동 회로[2c(b)]에 출력되는 모터 구동 신호(Vmot2)를 나타내는 F4(b)와,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 내에 설정되는 스테이플 금지 신호(Vstep3)를 나타내는 F5와,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 Ie의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F6과, 전원(3)으로부터 스테이플러(2)에 흐르는 전류 Is의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F7과, 전원(3)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출력 전류 Ip의 파형을 나타내는 F8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부하 전류가 최대값을 취하는 기간 T1을 포함한 영역에 있어서, 유저가 스테이플링 처리할 경우에 관한 동작을 설명한다.
용지 유무 검출 신호(Vpsns)가 “L”레벨에 있고, 용지 없음 상태를 나타내고, 용지 보유 신호(Vhold)가 “L”레벨에 있고, 용지 보유 유닛(9)에 의해 용지를 보유하지 않는 자유인 상태를 나타내며, 본체 컨트롤러(4)로부터의 금지 신호(Vcont)가 “H”레벨에 있고,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 내의 스테이플 금지 신호(Vstep3)가 “L”레벨에 있을 때, 지점 P61에서, 유저가 스테이플러(2)에 용지(S)를 삽입하고, 용지 유무 검출 신호(Vpsns)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전환된다.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가 용지 유무 검출 신호(Vpsns)를 받으면,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는, 지점 P62에서 용지 보유 신호(Vhold)를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전환하여, 용지 보유 유닛(9)을 구동시킨다. 그 후, 용지(S)는 용지 보유 유닛(9)에 보유되어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와 동시에,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가 모터 구동 신호(Vmot1)를 “H”레벨로 설정하여, 모터 구동 회로[2c(a)]가 모터(1)(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여 1회째의 스테이플링 동작이 실행된다. 그 후, F7로 나타내는 파형으로 스테이플러 전류 Is가 흐른다.
스테이플러 전류 Is가 흐르고 있는 지점 P63에 있어서, 동작은 상기의 기간 T2로 진입하고, 컨트롤러로부터의 금지 신호(Vcont)가 “H”레벨에서 “L”레벨로 전환되어, 스테이플링 처리의 금지 상태가 된다. 그러나, 용지 유무 검출 신호(Vpsns)는 여전히 “H”레벨이고, 이미 모터 구동 회로[2c(a)]는 동작하고 있다. 따라서, 스테이플링 동작은 정지되지 않는다. 지점 P64에서, 스테이플러 이외의 부하 전류 Ie가 기간 T1에서 증가하여 최대 전류값을 취하더라도, 스테이플링 동작은 계속된다.
스테이플링 동작이 종료되면, 금지 신호(Vcont)가 “L”레벨에 있으므로, 지점 P65에서,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 내의 스테이플 금지 신호(Vstep3)를 “H”레벨로 설정해서 스테이플러 동작의 금지 상태가 된다. 금지된 기간 동안, 용지 보유 유닛(9)은 용지(S)를 보유한 상태를 유지한다. 지점 P66에 있어서, 기간 T1이 종료되면, 금지 신호(Vcont)는 “L”레벨에서 “H”레벨로 전환되고,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 내의 금지 신호(Vstep3)는 “L”레벨로 설정되고, 모터 구동 신호(Vmot2)는 “H”레벨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모터 구동 회로[2c(b)]가 모터(2)(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해서 2회째의 스테이플링 동작이 개시된다. 그 후, 스테이플러 전류 Is의 전류는 파형 F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가한다.
2회째의 스테이플링 동작이 종료된 후, 지점 P67에서, 용지 보유 신호(Vhold)가 “H”레벨로부터 “L”레벨에 전환되고, 용지 보유 유닛(9)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 후, 용지(S)는 자유인 상태가 된다. 지점 P68에서, 유저가 용지(S)를 스테이플러(2)로부터 빼내고, 용지 유무 검출 신호(Vpsns)가 “H”레벨로부터 “L”레벨로 전환되고, 스테이플링 처리가 완료한다.
전술한 동작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1회의 용지 삽입에 대하여 다른 위치에 여러 번 연속으로 스테이플링 처리할 경우의, 스테이플링 처리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일련의 동작이다. 이 일련의 스테이플링 처리에 있어서도, 전류 파형 E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원 출력 전류 Ip는 리미트 전류인 14A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 유무 검출 유닛(2t)에 더해서, 용지 보유 유닛(9)을 마련했다. 이 용지 보유 유닛(9)에 의해, 용지를 확실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스테이플링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위치에 스테이플링 처리할 경우에 스테이플링 처리의 위치가 벗어나지 않도록 스테이플링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 보유 유닛(9)을 위해, 클러치 및 클러치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에 의해 가이드 부재를 구동하는 기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용지를 유지할 수 있는 기구이면 가이드 부재 이외의 구성, 예를 들면 용지를 집어서 고정하는 부재나 롤러가 사용될 수도 좋다. 여러 번의 스테이플링 처리는, 스테이플러(2)를 스테이플링 위치로 여러 번 이동시킴으로써 하나의 스테이플러(2)를 사용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또한, 스테이플링 동작중이고 용지가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발광 다이오드(LED)의 점등에 의해 유저에게 통지할 수도 있는데, 이는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 및 전원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8과 공통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컨트롤러(4)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스테이플러(2)가 상기의 기간 T2를 전환한다. 스테이플러(2)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된다. 예를 들면, 스테이플러(2)는 화상 형성 속도 등의 사양이 다른 복수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테이플러에 접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최대 부하 전류는 변경될 수 있다. 최대 부하 전류가 서로 다르면, 그 상이한 최대 부하 전류에 따라 설정되는 금지 기간을 전환함으로써,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합한 금지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플러가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컨트롤러(4)로부터 송신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 따라, 기간 T2가 전환되어 설정된다. 이에 따라, 스테이플링 처리를 금지하는 기간을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최대 부하 전류의 차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간 T2의 전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는, 본체 컨트롤러(4)로부터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에 화상 형성 장치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신호선이 전술한 도 8에 추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속도가 12ppm(분당 화상 형성 매수)의 장치 A와 화상 형성 속도가 16ppm의 장치 B에 접속될 수 있는 스테이플러(2)가 설명된다. 이 경우, 스테이플러(2)를 장치 A에 접속하면, 장치 A의 본체 컨트롤러(4A)로부터 “기종 ID1”의 정보가 송신된다. 스테이플러(2)가 장치 B 접속하면, “기종 ID2”의 정보가 송신된다.
스테이플러(2)의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가 “기종ID1”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화상 형성 장치 A(12ppm)에 대응하여 기간을 T2a로 설정한다. 또한, 스테이플러(2)의 스테이플러 컨트롤러(2x)가“기종ID2”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 B(16ppm)에 대응하여 기간을 T2b로 설정한다. 화상 형성 장치 A의 최대 부하 전류의 값은, 화상 형성 장치 A의 화상 형성 속도가 화상 형성 장치 B의 화상 형성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 B의 최대 부하 전류의 값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B의 최대 부하 전류는 12A이며, 화상 형성 장치 A의 최대 부하 전류는 11A이다. 이 경우에, 설정되는 기간 T2는, T2a< T2b의 관계를 갖는다. 최대 부하 전류가 작으면, 기간 T2가 짧은 기간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스테이플러가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최대 부하 전류의 차이에 따라, 스테이플링 처리의 금지 기간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 화상 형성 장치이며,
기록재를 스테이플링(stapling)하는 스테이플러와,
상기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스테이플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원과,
상기 스테이플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테이플러의 동작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동작을 일부 병행하여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소비 전력과 상기 스테이플러의 소비 전력의 합이 상기 전원이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이하가 되도록, 상기 스테이플러의 동작을 금지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의 동작을 금지하는 기간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응하는 제1 기간과, 상기 제1 기간 전으로 설정되고 상기 스테이플러에 의한 스테이플링 처리에 필요한 전력에 대응하는 제2 기간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에, 화상 형성 중에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이 최대값에 도달하고,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 직전으로 설정되고 상기 스테이플러에 의한 스테이플링 처리에 필요한 최대 전력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 전에 상기 스테이플러에 의한 스테이플링 동작을 시작한 후에, 상기 처리가 상기 제2 기간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스테이플링 동작을 계속하고, 상기 스테이플링 동작이 종료되면, 다음 스테이플링 동작을 금지하고, 상기 제1 기간이 경과되면, 다음 스테이플링 동작을 허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전류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이플러에 의한 스테이플링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에 상기 기록재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용지 유무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지 유무 검출 유닛에 의해 용지가 있는 것으로 검출한 타이밍이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 이외이면, 상기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에 의한 스테이플링 처리 시, 상기 스테이플러에 삽입된 상기 기록재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용지 보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지 보유 유닛은, 상기 기록재의 복수의 지점에 연속해서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기록재를 보유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는 최대 부하 전류가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가능하고, 상기 기간을 상기 스테이플러가 접속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최대 부하 전류에 따라 전환하는 화상 형성 장치.
-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동작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유닛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재에 임의의 타이밍으로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스테이플러이며,
상기 스테이플링 처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테이플러의 동작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동작을 일부 병행하여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소비 전력과 상기 스테이플러의 소비 전력의 합이 상기 전원이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이하가 되도록, 상기 스테이플러의 동작을 금지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스테이플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의 동작을 금지하는 기간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에 대응하는 제1 기간과, 상기 제1 기간 전으로 설정되고 상기 스테이플러에 의한 스테이플링 처리에 필요한 전력에 대응하는 제2 기간을 포함하는 스테이플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에, 화상 형성 중에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이 최대값에 도달하고,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 직전으로 설정되고 상기 스테이플러에 의한 스테이플링 처리에 필요한 최대 전력에 대응하는 스테이플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 전에 상기 스테이플러에 의한 스테이플링 동작을 시작한 후에, 상기 처리가 상기 제2 기간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스테이플링 동작을 계속하고, 상기 스테이플링 동작이 종료되면, 다음 스테이플링 동작을 금지하고, 상기 제1 기간이 경과되면, 다음 스테이플링 동작을 허가하는 스테이플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에 상기 기록재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용지 유무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지 유무 검출 유닛에 의해 용지가 있는 것으로 검출한 타이밍이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 이외이면, 상기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하는 스테이플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링 처리 시, 상기 스테이플러에 삽입된 상기 기록재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용지 보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지 보유 유닛은, 상기 기록재의 복수의 지점에 연속해서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기록재를 보유하는 스테이플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는 최대 부하 전류가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가능하고, 상기 기간을 상기 스테이플러가 접속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최대 부하 전류에 따라 전환하는 스테이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225880A JP5634201B2 (ja) | 2010-10-05 | 2010-10-05 | 画像形成装置及びステープラ |
JPJP-P-2010-225880 | 2010-10-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5867A true KR20120035867A (ko) | 2012-04-16 |
KR101456324B1 KR101456324B1 (ko) | 2014-11-03 |
Family
ID=4588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0497A KR101456324B1 (ko) | 2010-10-05 | 2011-10-04 | 화상 형성 장치 및 스테이플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067337B2 (ko) |
JP (1) | JP5634201B2 (ko) |
KR (1) | KR101456324B1 (ko) |
CN (2) | CN10244587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02876B2 (ja) * | 2010-08-23 | 2014-01-29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記録材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
JP6202878B2 (ja) * | 2013-05-09 | 2017-09-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材綴じ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
JP6192376B2 (ja) * | 2013-06-18 | 2017-09-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6015578B2 (ja) * | 2013-07-01 | 2016-10-26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6032153B2 (ja) * | 2013-08-15 | 2016-11-2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16121010A (ja) * | 2014-12-25 | 2016-07-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BR112018006526A2 (pt) | 2015-09-30 | 2018-12-11 |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 gestão de energia de impressora |
CN112455114A (zh) * | 2019-09-09 | 2021-03-09 | 美克司株式会社 | 电动订书机 |
JP7186740B2 (ja) * | 2020-03-17 | 2022-12-09 | 株式会社東芝 | Dcブラシモータ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
US11526112B2 (en) * | 2020-05-19 | 2022-12-13 | Konica Minolta, Inc. | Post-process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
JP7557168B2 (ja) | 2020-07-17 | 2024-09-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後処理装置、後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後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JP2022075115A (ja) * | 2020-11-06 | 2022-05-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後処理装置 |
JP2022164104A (ja) * | 2021-04-15 | 2022-10-27 | マックス株式会社 | 電動ステープラ及び用紙処理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94379A (en) * | 1991-01-25 | 1992-03-10 | Xerox Corporation | Copier with on-line and convenience staplers with shared power supply |
JPH06115276A (ja) * | 1992-10-09 | 1994-04-26 | Fuji Xerox Co Ltd | フィニッシャを設けた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ステープラの制御方法 |
US5730438A (en) * | 1996-11-25 | 1998-03-24 | Xerox Corporation | Reproduction apparatus with lower peak power requirement with integral battery powered stapling and low power recharging system |
JP2000226152A (ja) * | 1999-02-04 | 2000-08-15 | Konica Corp | 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
JP4467781B2 (ja) * | 2000-12-15 | 2010-05-26 | パナソニッ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4405207B2 (ja) * | 2003-08-19 | 2010-01-27 | 株式会社リコー | 用紙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用紙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JP3857263B2 (ja) * | 2003-09-26 | 2006-12-13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用紙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3943069B2 (ja) * | 2003-09-30 | 2007-07-11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用紙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4287232B2 (ja) * | 2003-09-30 | 2009-07-01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ステイプル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4405898B2 (ja) * | 2003-12-26 | 2010-01-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
JP4219293B2 (ja) * | 2004-03-25 | 2009-02-04 | シャープ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7346309B2 (en) * | 2004-08-05 | 2008-03-18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Bookbinding system and image forming system |
JP4418734B2 (ja) * | 2004-11-08 | 2010-02-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用のステイプル装置 |
JP4218763B2 (ja) * | 2006-01-27 | 2009-02-04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後処理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
JP2007261700A (ja) * | 2006-03-27 | 2007-10-11 | Canon Finetech Inc | シート処理装置と画像形成装置 |
JP2008009112A (ja) | 2006-06-29 | 2008-01-17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画像形成装置 |
US7732947B2 (en) * | 2006-08-03 | 2010-06-08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Power unit and image forming system |
JP5068612B2 (ja) * | 2007-09-14 | 2012-11-07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 |
JP5206715B2 (ja) * | 2010-03-15 | 2013-06-12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出力制御方法 |
-
2010
- 2010-10-05 JP JP2010225880A patent/JP5634201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9-30 CN CN201110305229.2A patent/CN10244587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9-30 CN CN201510024803.5A patent/CN104635449B/zh active Active
- 2011-10-04 US US13/252,415 patent/US9067337B2/en active Active
- 2011-10-04 KR KR1020110100497A patent/KR10145632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082497A1 (en) | 2012-04-05 |
JP5634201B2 (ja) | 2014-12-03 |
US9067337B2 (en) | 2015-06-30 |
CN102445877A (zh) | 2012-05-09 |
JP2012076910A (ja) | 2012-04-19 |
KR101456324B1 (ko) | 2014-11-03 |
CN104635449A (zh) | 2015-05-20 |
CN104635449B (zh) | 2017-11-28 |
CN102445877B (zh) | 2016-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6324B1 (ko) | 화상 형성 장치 및 스테이플러 | |
JP4793920B2 (ja) | 電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US8867947B2 (en)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including switching regulator and linear regulator,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5414402B2 (ja) | 電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5565216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862341B2 (ja) | モータ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901958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performs gradation correc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 |
US8867935B2 (en) | Power contro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EP2367064A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electrophotographic process | |
EP1731970B1 (en) | Control apparatus system | |
JP2017070014A (ja) | モータ制御装置、駆動装置、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4942154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057655B2 (ja) | ブラシレスモータ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7094142A (ja) | 装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 |
JP5470292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5257831A (ja) | 画像形成装置 | |
JP6245447B2 (ja) | 電源回路、及び画像形成装置 | |
US20110317190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0220434A (ja) | モータ制御装置 | |
JP6579063B2 (ja) |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 |
JP2007225655A (ja) | 画像形成装置 | |
JP6589818B2 (ja) | モーター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23036196A (ja) | 誤動作防止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誤動作防止方法 | |
KR20140013992A (ko) | 인쇄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 |
JP2012027209A (ja) | 電源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