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121A - 아크 용접 장치 및 아크 용접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크 용접 장치 및 아크 용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121A
KR20120035121A KR1020110100175A KR20110100175A KR20120035121A KR 20120035121 A KR20120035121 A KR 20120035121A KR 1020110100175 A KR1020110100175 A KR 1020110100175A KR 20110100175 A KR20110100175 A KR 20110100175A KR 20120035121 A KR20120035121 A KR 20120035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circuit
generation period
arc
current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7258B1 (ko
Inventor
마사후미 무라카미
다카히데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ublication of KR20120035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23K9/0953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using compu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Arrangements or circuits for arc welding with pulsed current or voltage
    • B23K9/091Arrangements or circuits for arc welding with pulsed current or voltage characterised by the circuits
    • B23K9/092Arrangements or circuits for arc welding with pulsed current or voltage characterised by the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pulses produ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73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consumable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아크 용접 장치는, 소모 전극과 용접 부재 사이에서 단락 회로 상태 및 아크 상태를 반복하여 발생시키면서 용접을 실행한다. 아크 용접 장치는 검출유닛 및 조정유닛을 구비한다. 검출유닛은 금회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 및 금회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조정유닛은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 및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서의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조정한다.

Description

아크 용접 장치 및 아크 용접 시스템{ARC WELDING DEVICE AND ARC WELDING SYSTEM}
개시된 실시예는 아크 용접 장치 및 아크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모 전극을 이용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에 있어서 스퍼터링을 억제하고 안정한 용접을 수행하기 위한 많은 용접 방법이 종래 기술로부터 제안되고 있다.
아크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고 안정된 용접 상태를 빠르게 회복할 목적으로, 1회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가 검출되고, 다음 아크 발생 기간에 있어서 용접 전원의 출력 전압이 검출된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에 비례해서 감소되며, 다음 아크 발생 기간에 있어서의 용접 전류가 1회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에 역비례해서 증가된다. 일본 특허 공보 제 4028075 호에 기재된 기술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용접 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도 4에서 도시된 용접 전류 및 용접 전압의 파형과 같이, 용접 동안에 단락 회로를 개방하기 위한 용접 전류(도 4의 파선부)는 그 증가율이 매회 일정하기 때문에 용접 상태에 적절한 단락 회로 전류 파형을 갖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에 따라, 단락 회로가 정상적으로 개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상 단락 회로가 발생할 수도 있고, 용접이 불안정하게 될 수도 있다.
일본 특허 공보 제 4028075 호
입열(入熱 : heat input)의 부족 및 용접이 불안정하게 될 때의 대응을 고려하여,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미리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스퍼터링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의 일 형태는 용접 상태에 따라 신속하게 단락 회로를 개방함으로써 용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스퍼터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아크 용접 장치 및 아크 용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아크 용접 장치는 소모 전극과 용접 부재 사이에 단락 회로 상태 및 아크 상태를 반복하여 발생시키면서 용접을 실행한다. 아크 용접 장치는 검출유닛 및 조정유닛을 구비한다. 검출유닛은 금회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 및 금회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조정유닛은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 및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조정한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락 회로는 용접 상태에 따라 신속하게 개방되어, 용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퍼터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다 완전한 이해 및 거기에 수반되는 많은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할 때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용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아크 용접 장치에 있어서 용접 전류와 용접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아크 용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전류와 용접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용접 장치는, 소모 전극과 용접 부재 사이에 단락 회로 상태 및 아크 상태를 반복하여 발생시키면서 용접을 실행한다. 아크 용접 장치는 검출유닛 및 조정유닛을 구비한다. 검출유닛은 금회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 및 금회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조정유닛은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 및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조정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아크 용접 장치 및 아크 용접 시스템의 실시예를 이하 에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아크 용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아크 용접 전원(1)에는 교류의 상용 전원(2)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상용 전원(2)은 아크 용접 전원(1) 내의 주 정류 회로(3)의 입력측에 접속된다.
주 정류 회로(3)는 입력된 교류를 정류하여 스위치유닛(5)에 출력한다. 스위치유닛(5)은 용접 제어유닛(4)으로부터 제공되는 용접 전류 지령값 및 용접 전압 지령값과 실제의 용접 전류값 및 용접 전압값이 일치하도록 주 정류 회로(3)의 출력상에 PWM 제어를 실행한다. 용접 전류값은 전류 검출기(9)에서 검출되며 용접 전압값은 전압 검출기(10)에서 검출된다.
용접 제어유닛(4)은 전류 검출기(9) 및 전압 검출기(10)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용접 전류값 및 용접 전압값을 제어한다. 또한 용접 와이어(14)의 송급을 실시하는 송급 장치(15)를 제어하여, 용접 와이어를 소정의 속도로 워크(W)를 향하여 송급시킨다.
스위치유닛(5)의 출력은 주 변압기(6)의 1차 측에 접속되고, 1차 변압기(6)의 2차 측은 2차 정류 회로(7)의 입력측에 접속된다. 2차 정류 회로(7)의 한쪽의 출력측에는 직류 리액터(8)를 경유하여 출력 단자(11)가 접속되고, 2차 정류 회로(7)의 다른 출력측에는 출력 단자(12)가 접속된다.
2개의 출력 단자중 하나는 용접 토치(13)를 거쳐서 용접 와이어(14)에 접속되며, 다른쪽은 워크(W)에 접속된다.
외부 컨트롤러(1)는 아크 용접 전원(1)에 지령을 부여하며, 아크 용접 전원(1)으로부터 출력되는 용접 상태를 모니터한다. 용접을 실행할 때, 외부 컨트롤러(16)가 아크 용접 전원(1)에 용접 전압 및 용접 전류의 지령을 부여한다. 외부 컨트롤러(16)가 아크 용접 전원(1)에 부여하는 용접 전압 및 용접 전류의 지령은 용접 작업중의 전압값 및 전류값의 절대값의 평균과 같은 대략의 것으로, 아크 용접 전원(1)은 외부 컨트롤러(16)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용접 와이어(14)와 워크(W) 사이에 용접 전류 및 용접 전압을 부여하고, 이것을 1μs 내지 1ms 단위로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에 의해, 용접 와이어(14)의 선단부를 용해시켜서 용접을 실행한다.
단락 회로가 발생하면, 아크 용접 전원(1)은 용접 전류 지령에 의한 정전류 제어를 실행하여 단락 회로를 해제(개방)하며, 아크가 발생하면, 아크 용접 전원 (1)은 용접 전압 지령에 의한 정전압 제어를 행하여 용접 와이어를 용해시킴으로써, 단락 회로 상태 및 아크 상태가 안정되게 반복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용접 중의 용접 전류 파형 패턴의 형상 등을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파라미터가 미리 아크 용접 전원(1)의 기억유닛(17)에 기억되어 있다. 기억유닛(17)은 구체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스위치유닛(5) 내에서의 처리에 의해 용접 전압, 용접 전류의 파형을 파형 패턴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아크를 보호하기 위한 실드 가스를 용접 와이어 선단부에 공급하는 부분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 및 아크 기간의 길이, 또는 용접 전압의 평균값을 계측하고, 그 값에 따라서 다음의 단락 회로 기간에서의 용접 전류의 증가율을 변화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압 검출기(10)의 검출값을 이용하여 용접 제어부(4)에서 단락 회로 발생 기간 또는 아크 발생 기간이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압값이 소정값 이하이면 단락 회로 발생 기간(단락 회로 기간)으로 판단하고, 전압값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아크 발생 기간(아크 기간)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소정값은 파라미터로서 기억유닛(17)에 기억될 수 있다. 단락 회로 기간과 아크 기간이 교체될 때마다 용접 제어유닛(4) 내의 타이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타이밍을 시작하거나 멈춤으로써 매회의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 및 아크 기간의 길이를 취득할 수 있다.
전압 검출기(10)의 검출값을 소정의 샘플링 시간마다 취득 및 누적할 수도 있으며, 누적된 값을 1회분의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 및 아크 기간의 길이의 합으로 나누어서, 단락 회로 기간 및 아크 기간의 한 사이클에 있어서의 실제의 평균 전압값을 취득할 수도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아크 용접 장치에 있어서 용접 전류와 용접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Ts1, Ts2 및 Ts3는 단락 회로 기간을 나타내고, Ta1, Ta2, Ta3는 아크 기간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작업 중에는 단락 회로 상태와 아크 상태를 1μs 내지 1ms 단위의 짧은 주기로 반복한다. 도 2는 용접 작업 중의 용접 전류 및 용접 전압의 일부분을 추출한 것이다. ㅿIs1, ㅿIs2 및 ㅿIs3는 각각 Ts1, Ts2 및 Ts3에 있어서 용접 전류의 단위 시간당 증가율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용접 전류를 직선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지령한 것이다.
제 1 실시예가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용접 제어유닛(4)이,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를 측정하여, 단락 회로 기간이 길어지면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이 증가하도록 스위치유닛(5)에 지령을 출력한다. 단락 회로 기간이 짧아지면, 용접 제어부(4)가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작게 하도록 스위치유닛(5)에 지령을 출력한다. 즉, 단락 회로 기간이 길어지면 워크에의 입열량이 작아져, 이상 단락 회로가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것을 억제해서 용접을 안정시키려는 것이다. 또한, 용접 제어부(4)는 검출유닛 및 조정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2를 예로 들면, 단락 회로 기간(Ts2)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2)은, 단락 회로 기간(Ts1)의 길이에 연동하여 변화하고, 단락 회로 기간(Ts3)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3)은 단락 회로 기간(Ts2)의 길이에 연동하여 변화한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결정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예가 설명될 것이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최저값이 미리 규정되며, 그 최저값에 실제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값을 더하여 얻어진 값을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로 한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ㅿIs[A/ms],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최저값을 ㅿIs_min[A/ms], 실제의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를 ts[ms] 로 했을 경우,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이 (식 1)에 의하여 결정된다.
ㅿIs = ㅿIs_min+(Bs1ㆍts) (식 1)
여기서, Bsl[A/ms²]는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에 관련된 가중 계수이며, 양의 정수이다. ㅿIs_min, Bs1에 대해서는 미리 실험을 실행함에 의해 적절한 값이 결정된다. 또한, ㅿIs_min, Bs1가 파라미터로서 기억유닛(17)에 기억될 수도 있으며, 용접 조건의 변경에 수반하여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식 1)에 의해서 얻어진 ㅿIs가 너무 크거나 부적절하면,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미리 설정된 규정값으로 할 수도 있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결정하는 또다른 방법으로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기준값 및 단락 회로 기간의 기준값이 미리 규정될 수도 있으며, 단락 회로 기간의 기준값과 실제의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의 차이만큼,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기준값을 증감하여 얻어진 값을,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로 할 수도 있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기준값을 ㅿIs_ref[A/ms], 단락 회로 기간의 기준값을 Ts[ms], 실제의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를 ts[ms]로 했을 경우,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이 (식 2)에 의해 결정된다.
ㅿIs = ㅿIs_ref+Bs2ㆍ(ts-Ts) (식 2)
여기서, Bs2[A/ms2]는 (식 1)의 Bs1과 마찬가지로,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에 관련된 가중 계수이며, 양의 정수이다. ㅿIs_ref, Bs2, Ts에 대해서는 미리 실험을 실행함에 의해 적절한 값이 결정된다. 또한 ㅿIs_ref, Bs2, Ts를 파라미터로서 기억유닛(17)에 기억시킬 수도 있으며, 용접 조건의 변화에 수반하여 필요에 따라서 변경시킬 수 있다.
(식 2)에 따르면, 실제 단락 회로 기간(ts)의 길이가 기준값(Ts)보다 긴 경우에는 ㅿIs는 ㅿIs_ref보다 큰 값이 되며, 실제 단락 회로 기간(ts)의 길이가 기준값(Ts)보다 짧은 경우에는 ㅿIs는 ㅿIs_ref보다 작은 값이 된다. 즉 Ts는,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기준값보다 크게 할 지 또는 작게 할 지에 대한 문턱값과 같은 작용을 한다. 또한, (식 2)에 의해서 획득된 ㅿIs가 너무 크거나 또는 너무 작거나 하여 부적절한 경우에는,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미리 설정된 규정값으로 할 수도 있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식 1) 및 (식 2)에서와 같이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무단계 방식으로 획득하는 것이 아니고,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에 대해서 복수의 문턱값(Ts_th1, Ts_th2, Ts_th3, Ts_th4,...)(단, 0<Ts_th1<Ts_th2<Ts_th3<Ts_th4<...)을 설정하고, 실제의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 ts[ms]에 따라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을 (식 3)에 따라 결정할 수도 있다.
0 < ts < Ts_th1 의 경우 ㅿIs = As1
Ts_th1 ≤ ts < Ts_th2 의 경우 ㅿIs = As2
Ts_th2 ≤ts < Ts_th3 의 경우 ㅿIs = As3 (식 3)
Ts_th3 ≤ ts < Ts-th4 의 경우 ㅿIs = As4
(여기서, 0 < As1 < As2 < As3 < As4)
Ts_th1 내지 Ts_th4, As1 내지 As4에 대해서는 미리 실험을 실행함에 의해 적절한 값이 결정된다. 또한 Ts_th1 내지 Ts_th4, As1 내지 As4가 파라미터로서 기억유닛(17)에 기억될 수도 있으며, 용접 조건의 변경에 수반하는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다. (식 3)에서는 ㅿIs가 4단계로 변화되지만, 단계의 수는 단지 일례로 인지되어져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단락 회로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보다 크게 하여, 단락 회로를 신속하게 개방함으로써, 단락 회로 개방시의 이상 단락 회로를 억제하며, 용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퍼터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가 측정되며,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에 따라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이 변화되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용접 제어부(4)가 아크 기간의 길이를 측정하여, 아크 기간이 길어지면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이 작아지도록 스위치유닛(5)에 지령을 출력한다. 아크 기간이 짧아지면, 용접제어 유닛이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증가시키도록 스위치부(5)에 지령을 출력한다. 즉, 아크 기간이 짧아지면 워크에의 입열량이 작아져, 이상 단락 회로가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것을 억제하여 용접을 안정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용접 제어부(4)는 검출유닛 및 조정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2를 예로 들면, 단락 회로 기간(Ts2)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2)은, 아크 기간(Ta1)의 길이에 연동하여 변화되며, 단락 회로 기간(Ts3)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3)은 아크 기간(Ta2)의 길이에 연동하여 변화된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결정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예가 설명될 것이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최대값이 미리 규정되며, 최대값으로부터 실제의 아크 기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값을 빼서 구해진 값을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로 한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ㅿIs[A/ms],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최대값을 ㅿIs_max[A/ms〕, 실제의 아크 기간의 길이를 ta[ms] 로 했을 경우,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이 (식 4)에 따라 결정된다.
ㅿIs = ㅿIs_max-(Ba1ㆍta) (식 4)
여기서, Ba1[A/ms2]은 아크 기간의 길이에 관한 가중 계수이며, 양의 정수이다. ㅿIs_max, Ba1에 대해서는 미리 실험을 실행함에 의해 적절한 값이 결정된다. ㅿIs_max, Ba1이 파라미터로서 기억유닛(17) 내에 기억될 수도 있으며, 용접 조건의 변경에 수반하여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식 4)에 의해서 구해진 ㅿIs가 너무 작고 부적절한 경우에는,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미리 설정한 규정값으로 할 수도 있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결정하는 또다른 방법으로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기준값 및 아크 기간의 기준값이 미리 규정될 수도 있으며, 아크 기간의 기준값 및 실제의 아크 기간의 길이의 차이만큼,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기준값을 증감시켜 획득된 값을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로 할 수도 있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기준값을 ㅿIs_ref[A/ms], 아크 기간의 기준값을 Ta[ms], 실제의 아크 기간의 길이를 ta[ms] 로 했을 경우,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이 (식 5)에 따라 결정된다.
ㅿIs = ㅿIs_ref-Ba2ㆍ(ta-Ta) (식 5)
여기서 Ba2[A/ms2]는 (식 4)의 Ba1과 마찬가지로, 아크 기간의 길이에 관한 가중 계수이며 양의 정수이다. ㅿIs_ref, Ba2, Ta에 대해서는 미리 실험을 실행함에 의해 적절한 값이 결정된다. ㅿIs_ref, Ba2, Ta가 파라미터로서 기억유닛(17)에 기억될 수도 있으며, 용접 조건의 변경에 수반하여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다.
(식 5)에 따르면, 실제의 아크 기간(ta)의 길이가 기준값(Ta)보다 긴 경우 ㅿIs는 ㅿIs_ref보다 작은 값이며, 실제의 아크기간(ta)의 길이가 기준값(Ta)보다 짧은 경우 ㅿIs는 ㅿIs_ref 보다 큰 값이다. 즉, Ta는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기준값보다 크게 할 지 또는 작게 할 지에 대한 문턱값과 같은 작용을 한다. 또한, (식 5)에 의해 획득된 ㅿIs가 너무 작거나 너무 크거나 하여 부적절한 경우,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미리 설정된 규정값으로 할 수도 있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식 4) 및 (식 5)와 같이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무단계 방식으로 획득하는 것이 아니고, 아크 기간의 길이에 대해서 복수의 문턱값(Ta_th1, Ta_th2, Ta_th3, Ta_h4,...)(단 0<Ta_th1<Ta_th2<Ta_th3<Ta_th4<...)이 설정될 수도 있으며, 실제의 아크 기간 길이 ta[ms]에 따라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이 (식 6)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0 < ta < Ta_th1 의 경우 ㅿIs = Aa1
Ta_th1 ≤ ta < Ta_th2 의 경우 ㅿIs = Aa2
Ta_th2 ≤ ta < Ta_th3 의 경우 ㅿIs = Aa3 (식 6)
Ta_th3 ≤ ta < Ta_th4 의 경우 ㅿIs = Aa4
(여기서, Aa1>Aa2>Aa3>Aa4>0)
Ta_th1 내지 Ta_th4, Aa1 내지 Aa4에 대해서는 미리 실험을 실행함으로써 적절한 값을 결정해 둔다. 또한 Ta_th1 내지 Ta_th4, Aa1 내지 Aa4가 파라미터로서 기억유닛(17)에 기억될 수도 있으며, 용접 조건의 변경에 수반하여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다. (식 6)에서는 ㅿIs를 4단계로 변화시키고 있지만, 단계의 수는 단지 일례로 인지되어져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아크 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크게 하여 신속하게 단락 회로를 개방함으로써, 단락 회로 개방시의 이상 단락 회로를 억제하며, 용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퍼터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가 지금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나 아크 기간의 길이가 측정되며, 각각의 길이에 따라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의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이 변화되지만, 제 3 실시예에서는, 용접 제어부(4)가 단락 회로 기간 및 아크 기간에 있어서의 평균 용접 전압값을 측정하여, 평균 전압값이 커질때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의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감소시키도록 스위치유닛(5)에 지령을 출력한다. 반대로, 단락 회로 기간 및 아크 기간에서 평균 용접 전압값이 작아지면,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의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크게 하도록 스위치유닛(5)에 지령을 출력한다. 즉, 평균 전압값이 작아지면, 워크에 입열량이 작아져 이상 단락 회로가 쉽게 발생되며, 이것을 억제하여 용접을 안정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용접 제어유닛(4)은 검출유닛 및 조정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2를 예로 들면, 단락 회로 기간(Ts2)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2)은 단락 회로 기간(Ts1) 및 아크 기간(Ta1)에서의 평균 용접 전압값(V1)에 연동하여 변화하며, 단락 회로 기간(Ts3)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3)은 단락 회로 기간(Ts2) 및 아크 기간(Ta2)에서의 평균 용접 전압값(V2)에 연동하여 변화한다.
도 2에서는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수평인 선분으로 평균 용접 전압값(V1, V2, V3)을 나타내고 있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결정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예가 설명될 것이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최대값이 미리 규정되며, 그 최대값으로부터 실제의 단락 회로 기간 및 아크 기간에서의 평균 용접 전압값에 대응하는 값을 빼서 얻어진 값을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로 한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ㅿIs[A/ms],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최대값을 ㅿIs_max[A/ms], 실제의 단락 회로 기간 및 아크 기간에서의 평균 용접 전압값을 va [V]로 했을 경우,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이 (식 7)에 따라 결정된다.
ㅿIs = ㅿIs_max-(Bv1ㆍva) (식 7)
여기서, Bv1[A/(msㆍV)]는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에 관한 가중 계수이며, 양의 정수이다. ㅿIs_max, Bv1에 대해서는 미리 실험을 실행함으로써 적절한 값을 결정한다. 또한, ㅿIs_max, Bv1가 파라미터로서 기억유닛(17)에 기억될 수도 있으며, 용접 조건의 변경에 수반하여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식 7)에 의해서 구해진 ㅿIs가 너무 작거나 부적절한 경우에는,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미리 설정된 규정값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결정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기준값, 단락 회로 기간 및 아크 기간에서의 평균 용접 전압값의 기준값이 미리 규정될 수도 있으며, 평균 용접 전압값의 기준값과 실제의 평균 용접 전압값의 차이만큼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기준값을 증감시킴에 의해 획득된 값을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로 할 수도 있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의 기준값을 ㅿIs_ref[A/ms], 평균 용접 전압값의 기준값을 Va[V], 실제의 단락 회로 기간 및 아크 기간에서의 평균 용접 전압값을 va[V] 로 했을 경우,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ㅿIs)이 (식 8)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ㅿIs = ㅿIs_ref-Bv2ㆍ(va-Va) (식 8)
여기서, Bv2[A/(msㆍV)]는 (식 7)의 Bv1과 마찬가지로, 평균 용접 전압값에 관한 가중 계수이며 양의 정수이다. ㅿIs_ref, Bv2에 대해서는 미리 실험을 실행함에 의해 적절한 값이 결정된다. ㅿIs_ref, Bv2가 파라미터로서 기억유닛(17)에 기억될 수도 있으며, 용접 조건의 변경에 수반하여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다.
(식 8)에 따르면, 실제의 평균 용접 전압값(va)이 기준값(Va)보다 큰 경우에는 ㅿIs는 ㅿIs_ref보다 작은 값이 되며, 실제의 평균 용접 전압값(va)이 기준값(Va)보다 작은 경우에는 ㅿIs는 ㅿIs_ref보다 큰 값이 된다. 즉, Va는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기준값보다 크게 할 지 또는 작게 할 지에 대한 문턱값과 같은 작용을 한다. 또한, (식 8)에 의해서 구해진 ㅿIs가 너무 작거나 또는 너무 커서 부적절한 경우에는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미리 설정된 규정값으로 할 수도 있다.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식 7) (식 8)에서와 같이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무단계 방식으로 구하지 않고, 평균 용접 전압값에 대해 복수의 문턱값(Vth1, Vth2, Vth3, Vth4,...)(단 0 < Vth1 < Vth2 < Vth3 < Vth4 <...)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실제의 평균 용접 전압값(va)[V]에 따라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Is)을 (식 9)에 따라 결정할 수도 있다.
0 < va < Vth1 의 경우 ㅿIs = Av1
Vth1 ≤ va < Vth2 의 경우 ㅿIs = Av2
Vth2 ≤ va < Vth3 의 경우 ㅿIs = Av3 (식 9)
Vth3 ≤ ta < Vth4 의 경우 ㅿIs = Av4
(여기서, Av1 > Av2 > Av3 > Av4 > 0)
Vth1 내지 Vth4, Av1 내지 Av4에 대해서는 미리 실험을 실행함에 의해 적절한 값이 결정된다. 또한, Vth1 내지 Vth4, Av1 내지 Av4가 파라미터로서 기억유닛(17)에 기억될 수도 있으며, 용접 조건의 변경에 수반하여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식 9)에서는 ㅿIs를 4단계로 변화시키고 있지만, 단계의 수는 단지 일례로 인지되어져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평균 전압값이 작아짐에 따라,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크게 하여, 신속하게 단락 회로를 개방함으로써, 단락 회로 개방시의 이상 단락 회로를 억제하고 용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스퍼터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아크 용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아크 용접 장치를 선단부에 용접 토치(13)를 장착한 로봇(20)과 조합하여 구성한 아크 용접 시스템을 나타낸다.
송급 장치(15)는 로봇(20)에 탑재되어, 용접 와이어 공급부(19)에 내장된 용접 와이어(14)를 로봇 선단부의 용접 토치(13)에 송급한다.
도 1에 있어서 외부 컨트롤러(16)는 도 3에 있어서는 로봇 컨트롤러로서 기능한다. 즉, 로봇(20)을 제어하여 선단부의 용접 토치(13)의 위치와 방향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용접 토치(13)의 선단이 워크(W)에 대해서 소망하는 용접선을 그리도록 이동시키면서 용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아크 용접 전원(1)에 용접에 관한 지령이 부여되거나 용접 상태가 모니터링된다.
도 1에서는 생략했지만, 도 3에서는 실드 가스가 가스 실린더(18)로부터 용접 토치(13)에 공급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아크 용접 시스템에 의하면, 단락 회로 기간의 길이, 아크 기간의 길이 또는 단락 회로 기간 및 아크 기간에 있어서 용접 전압값의 평균값에 따라서, 차회의 단락 회로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변동시킴으로써, 용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퍼터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 : 아크 용접 전원 3 : 주 정류 회로
4 : 용접 제어유닛 6 : 주 변압기
8 : 직류 리액터 15 : 송급 장치

Claims (10)

  1. 소모 전극과 용접 부재 사이에 단락 회로 상태와 아크 상태를 반복하여 발생시키면서 용접을 실행하는 아크 용접 장치에 있어서,
    금회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 및 금회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유닛과,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 및 상기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조정하는 조정유닛을 포함하는
    아크 용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유닛은 상기 금회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를 검출하며,
    상기 조정유닛은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가 커짐에 따라 상기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증가시키며,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가 작아짐에 따라 차회의 상기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감소시키는
    아크 용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로부터 상기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미리 기억하는 제 1 기억유닛을 더 포함하는
    아크 용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유닛은 금회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를 검출하며,
    상기 조정유닛은,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증가시키며,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단락 회로 발생 기간의 길이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감소시키는
    아크 용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문턱값을 미리 기억하는 제 2 기억유닛을 더 포함하는
    아크 용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유닛은 상기 금회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를 검출하며,
    상기 조정유닛은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가 커짐에 따라 상기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상기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감소시키며,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가 작아짐에 따라 상기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증가시키는
    아크 용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유닛은 상기 금회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를 검출하며,
    상기 조정유닛은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상기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감소시키며,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아크 발생 기간의 길이가 상기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증가시키는
    아크 용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금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 및 상기 아크 발생 기간에 있어서 용접 전압의 평균값을 구하는 산출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유닛은 상기 용접 전압의 평균값이 커짐에 따라서 상기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감소시키며, 상기 용접 전압의 평균값이 작아짐에 따라 상기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증가시키는
    아크 용접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금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 및 아크 발생 기간에 있어서 용접 전압의 평균값을 구하는 산출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유닛은 상기 용접 전압의 평균값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감소시키며, 상기 용접 전압의 평균값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차회의 단락 회로 발생 기간에 있어서 단락 회로 전류의 증가율을 증가시키는
    아크 용접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크 용접 장치와,
    상기 소모 전극의 선단부를 상기 용접 부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로봇을 포함하는
    아크 용접 시스템.
KR1020110100175A 2010-10-04 2011-09-30 아크 용접 장치 및 아크 용접 시스템 KR101527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4843 2010-10-04
JP2010224843A JP5071543B2 (ja) 2010-10-04 2010-10-04 アーク溶接装置およびアーク溶接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121A true KR20120035121A (ko) 2012-04-13
KR101527258B1 KR101527258B1 (ko) 2015-06-08

Family

ID=4467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175A KR101527258B1 (ko) 2010-10-04 2011-09-30 아크 용접 장치 및 아크 용접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33431B2 (ko)
EP (1) EP2436471B1 (ko)
JP (1) JP5071543B2 (ko)
KR (1) KR101527258B1 (ko)
CN (1) CN1024417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4323A1 (en) * 2012-04-05 2013-10-10 Lincoln Global, Inc. Process for surface tension transfer short ciruit welding
CN102717170B (zh) * 2012-06-01 2015-12-09 江门市保值久机电有限公司 一种应用脉冲电流的手弧焊接装置的焊接方法
CN104602847B (zh) * 2012-10-01 2016-12-2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弧焊接控制方法
EP2918365B1 (en) 2012-11-07 2017-07-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Arc wel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rc welding
JP6387530B2 (ja) * 2013-10-21 2018-09-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
JP6287598B2 (ja) * 2014-06-05 2018-03-07 株式会社安川電機 アーク溶接システム、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溶接品の製造方法
JP6299521B2 (ja) * 2014-08-19 2018-03-28 株式会社安川電機 アーク溶接装置、アーク溶接システム、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被溶接物の製造方法
CN104493329B (zh) * 2014-11-20 2016-08-31 上海沪临重工有限公司 一种调制脉冲免清根打底焊接方法
US11541475B2 (en) 2015-06-15 2023-01-03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short-arc welding
US10688583B2 (en) * 2016-07-22 2020-06-23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power supplies having adjustable current ramping rates
JP6809759B2 (ja) * 2016-09-28 2021-01-06 株式会社ダイヘン アーク溶接制御方法
US10695856B2 (en) * 2016-10-07 2020-06-30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short arc welding
CN110076415B (zh) * 2018-01-26 2021-11-19 株式会社达谊恒 电弧焊接控制方法
CN110912418B (zh) * 2019-11-25 2021-01-15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基于强励梯形波信号的电弧供电系统及电弧供电电源
JP7319238B2 (ja) * 2020-08-31 2023-08-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アーク溶接の制御方法、溶接電源、溶接システム及び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3018A (en) * 1983-10-27 1985-11-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hort circuiting transfer arc welding machine
JPH0632856B2 (ja) 1985-04-10 1994-05-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消耗電極式ア−ク溶接機
JPS6311786A (ja) 1986-07-01 1988-01-19 日立建機株式会社 地下配管埋設用横穴掘削工法
US5281791A (en) * 1989-02-28 1994-01-25 Mitsubishi Denki K.K. Pulsed arc welding apparatus
JP2534374B2 (ja) * 1989-12-29 1996-09-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ク溶接機
JP3206714B2 (ja) 1995-11-14 2001-09-10 日立ビアメカニクス株式会社 パルス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装置
JP4028075B2 (ja) 1998-03-27 2007-12-26 株式会社ダイヘン 短絡移行式アーク溶接方法
JPH11277235A (ja) * 1998-03-27 1999-10-12 Daihen Corp 短絡移行式アーク溶接方法
JP3075263B2 (ja) * 1998-06-17 2000-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ルス出力制御方法及び消耗電極式パルスアーク溶接装置
JP3003673B2 (ja) 1998-06-17 2000-01-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消耗電極式パルスアーク溶接方法
JP2000015441A (ja) 1998-07-08 2000-01-18 Daihen Corp 短絡移行式アーク溶接方法
JP4940449B2 (ja) * 1999-03-18 2012-05-30 株式会社安川電機 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方法及び装置
JP2001222309A (ja) * 2000-02-10 2001-08-17 Yaskawa Electric Corp ロボット制御装置
US6583386B1 (en) * 2000-12-14 2003-06-24 Impact Engineer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weld monitoring and tracking
US6552303B1 (en) * 2001-05-29 2003-04-22 Lincoln Global, Inc. System for enabling arc welders
US6747247B2 (en) * 2001-09-19 2004-06-08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type power supply with a state-based controller
JP4547850B2 (ja) * 2002-07-12 2010-09-22 株式会社ダイヘン アーク溶接の短絡判別方法
US7049545B2 (en) * 2003-09-23 2006-05-23 Illinois Tool Works Inc. MIG welding machine having 115V inverter
JP4916650B2 (ja) * 2004-07-12 2012-04-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ーク溶接ロボット
JP4857534B2 (ja) 2004-07-13 2012-0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ーク溶接ロボット
JP3844004B1 (ja) * 2005-05-31 2006-11-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ルスアーク溶接制御方法及びパルスアーク溶接装置
PL1924384T3 (pl) * 2005-09-12 2014-01-31 Esab Ab Sposób sterowania spawaniem MIG/MAG i urządzenie spawalnicze stosujące tę metodę
US9442481B2 (en) * 2008-01-09 2016-09-13 Illinois Tool Works Inc. Automatic weld arc monitoring system
US8624161B2 (en) * 2009-03-03 2014-01-07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process employing variable minimum current
WO2010146844A1 (ja) * 2009-06-19 2010-1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80416A1 (en) 2012-04-05
US9233431B2 (en) 2016-01-12
JP5071543B2 (ja) 2012-11-14
EP2436471B1 (en) 2020-06-03
JP2012076131A (ja) 2012-04-19
EP2436471A2 (en) 2012-04-04
EP2436471A3 (en) 2017-11-29
KR101527258B1 (ko) 2015-06-08
CN102441728B (zh) 2015-05-20
CN102441728A (zh)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258B1 (ko) 아크 용접 장치 및 아크 용접 시스템
US9114472B2 (en) Arc welding control method and arc welding apparatus
US8809736B2 (en) Arc welding method and arc welding apparatus
AU201427850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nomalous cathode event control with control of welding current according to the state detected voltage
US2019027560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rc welding and arc welding device
US11014186B2 (en) Wire fed arc welding method having abnormal arc or abnormal short circuit welding steps
US10464155B2 (en) Waveform compens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condary weld component response
KR20140136378A (ko) 펄스 아크 용접의 출력 제어 방법
US20170001254A1 (en) Arc welding control method
JP2012152805A (ja) 溶接用電源装置及び溶接機
MX2011009275A (es) Sistemas y metodos para la deteccion de corto circuito.
US10493553B2 (en) Arc welding control method
MX2019000667A (es) Fuentes de energia de soldadura que tienen tasas ajustables de cambio gradual de la corriente.
US1012443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neck detection for welding power supply
US11224929B2 (en) Arc welding method
KR102099988B1 (ko) 전원 장치 및 아크 가공용 전원 장치
JP2016144826A (ja) パルスアーク溶接の出力制御方法
JP5868712B2 (ja) 溶接用電源装置
JP4459768B2 (ja) 交流パルスアーク溶接の溶接電流制御方法
JP2016128186A (ja) パルスアーク溶接の出力制御方法
JP2019140714A (ja) パルス電源装置
EP3539706B1 (en) Non-consumable electrode pulse arc welding control method
JP2023040450A (ja) アーク溶接方法
JP2011200918A (ja) 交流非消耗電極アーク溶接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