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257A -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257A
KR20120033257A KR20110097372A KR20110097372A KR20120033257A KR 20120033257 A KR20120033257 A KR 20120033257A KR 20110097372 A KR20110097372 A KR 20110097372A KR 20110097372 A KR20110097372 A KR 20110097372A KR 20120033257 A KR20120033257 A KR 20120033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leather
nonwoven fabric
short fibers
polyester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9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778B1 (ko
Inventor
이응민
정종석
황영남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3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11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3Composite fibres sea-isla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8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6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ea-isla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8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ultra-fine two-component fibres, e.g. island/sea, or ultra-fine one component fibres (< 1 deni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1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fibres of specified chemical or physical nature, e.g. natural silk
    • D06N3/0036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8Artificial lea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438Artificial wood or leather grain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861Coated or impregnated synthetic organic fiber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서로 다른 성분들로 각각 제조된 2종 이상의 단섬유들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촉감, 유연성, 통기성, 및 충만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획기적인 경량화가 가능한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인공피혁은, 0.001 내지 0.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단섬유들을 포함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내에 함침되어 있는 고분자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들은, -CH2-의 반복단위를 갖되 상기 반복단위의 개수가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이다.

Description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피혁을 대체할 수 있는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공피혁은 극세섬유가 3차원적으로 교락되어 형성된 부직포에 고분자 탄성체가 함침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천연피혁과 유사하게 부드러운 질감 및 독특한 외관을 가짐으로써, 신발, 의류, 장갑, 잡화, 가구, 및 자동차 내장재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공피혁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등 다양한 종류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인공피혁은 단일 성분의 단섬유들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인공피혁을 구성하는 단섬유들은 서로 유사한 기계적 물성을 갖고 유사한 교락 거동을 나타낸다. 그 결과, 단섬유들 간의 인접 거리 및 공극이 유사하게 발현된다. 또한, 단섬유들 간의 상호 작용이 크게 차별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만족할 만한 촉감, 충만감, 및 유연성을 갖는 인공피혁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인공피혁이 천연피혁과 유사한 충만감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수축 공정을 통해 부직포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또한, 인공피혁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연제 처리 방법, 텀블링 처리 방법 등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촉감, 외관 등과 같은 인공피혁의 다른 특성들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직포의 내부 구조 제어와 같이 인공피혁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다른 성분들로 각각 제조된 2종 이상의 단섬유들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촉감, 유연성, 통기성, 및 충만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획기적인 경량화가 가능한 인공피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서로 다른 성분들로 각각 제조된 2종 이상의 단섬유들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촉감, 유연성, 통기성, 및 충만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획기적인 경량화가 가능한 인공피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0.001 내지 0.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단섬유들을 포함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내에 함침되어 있는 고분자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들은, -CH2-의 반복단위를 갖되 상기 반복단위의 개수가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해성분 및 도성분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을 준비하는 공정 - 여기서, 상기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의 도성분들은 -CH2-의 반복단위를 갖되 상기 반복단위의 개수가 서로 다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들임 -, 상기 2 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로 부직포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의 해성분들을 용출하여 극세 부직포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공피혁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일반적 서술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특허청구범위의 발명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피혁은 탄성 회복력이 서로 다른 2 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을 포함한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 회복력을 갖는 단섬유는 부직포 형성을 위한 교락 공정 중에 용수철과 같은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용수철 구조를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인공피혁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반복단위 -CH2-가 2개) 단섬유만을 포함한 인공피혁에 비하여 우수한 압축탄성(두께 방향)을 갖고, 내부에 균일한 크기로 균일하게 형성된 공극들을 갖는다. 따라서, 우수한 촉감, 유연성, 통기성, 및 충만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획기적인 경량화가 가능한 인공피혁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용수철 구조는 표면 모우의 방향을 직립시키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한쪽 방향으로 모우가 누워 있는 통상의 인공피혁에 비하여 모우의 방향에 따른 마찰계수의 차이를 최소화된 인공피혁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공피혁은 방향성에 따른 마찰특성 차이로부터 기인하는 불쾌감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한편, -CH2- 반복단위를 3개 이상 갖는 한 종류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만으로 부직포가 구성될 경우, 내부적으로 용수철 구조가 형성되기는 쉬우나 단섬유들 간의 교락이 어려워 부직포의 밀도 및 기계적 강도 저하가 야기되고, 그 결과 업체에서 요구되는 외관, 촉감 및 물리적 특성을 갖는 인공피혁이 제조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고분자 탄성체,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과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공피혁은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우수한 물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인공피혁은, 신발, 의류, 장갑, 잡화, 가구, 및 자동차 내장재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공피혁은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내에 함침되어 있는 고분자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는 0.001 내지 0.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단섬유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범위의 섬도를 갖는 단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는 우수한 촉감을 가지게 된다. 상기 단섬유의 섬도가 0.001 데니어 미만이면 부직포의 촉감은 좋아지지만 그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세탁 후 염료의 손실 정도를 나타내는 세탁 견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단섬유의 섬도가 0.5 데니어를 초과할 경우 부직포의 촉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단섬유의 섬도는, 골드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샘플을 채취하고,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하여 일정한 배율로 상기 샘플의 단면사진을 촬영하고, 단섬유의 직경을 측정하며, 이렇게 측정된 단섬유 직경을 아래의 식에 적용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섬도(데니어) = 9πD2ρ/4000
상기 식에서 π는 원주율 이고, D는 단섬유 단면 지름(㎛) 이고, ρ는 섬유 밀도값(g/㎤) 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을 포함한다. 상기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은 -CH2-의 반복단위를 갖는다. 다만, 서로 다른 종류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은 서로 다른 개수의 -CH2- 반복단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 각각은 2 내지 4개의 상기 반복단위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단섬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단섬유,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단섬유 중 2종 이상의 단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는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갖는다. 또한, 높은 용융점을 갖는 덕분에,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는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기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 중 하나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를 필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의 함량은 5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 부직포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질 수 있고, 반면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의 함량이 9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부직포를 구성하는 단섬유들이 치밀한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부직포로 제조된 인공피혁의 촉감, 유연성, 및 충만감이 떨어질 수 있다.
인공피혁의 촉감, 유연성, 및 충만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중 하나로서, 상기 인공피혁의 제조에 이용되는 부직포의 단섬유들이 얼마나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가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직포가 20% 이하의 중량 변동계수(CV%)를 가질 정도로 상기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이 균일하게 혼합된다. 만일, 부직포의 중량 변동계수가 20%를 초과하면 그 부직포로 제조된 인공피혁의 촉감, 유연성 및 충만감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중량 변동계수(CV%)는 부직포의 다양한 위치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여 샘플들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단위 면적당 중량을 이용하여 표준 편차 및 산술 평균을 계산하고 아래의 식으로부터 변동계수를 구한다.
변동계수(CV%) = 표준편차/산술 평균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은 서로 다른 '20 % 신장시 탄성 회복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단섬유들의 '20% 신장시 탄성 회복율' 중에는 최대값과 최소값이 존재하고, 상기 최대값에 대한 상기 최소값의 비율은 10 내지 80 %이다.
20% 신장시 탄성 회복율의 최대값에 대한 최소값의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이면, 부직포를 구성하는 2종 이상의 단섬유들이 서로 치밀하게 교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 회복율을 갖는 단섬유가 용수철과 같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직포로 제조된 인공피혁은 우수한 촉감, 유연성 및 충만감을 발현할 수 있다.
만일 20% 신장시 탄성 회복율의 최대값에 대한 최소값의 비율이 10% 미만이면, 2종 이상의 단섬유들이 서로 치밀하게 교락될 수는 있으나 부직포 내에 용수철 구조가 형성되기 어렵다. 따라서, 인공피혁의 촉감, 유연성 및 충만감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20% 신장시 탄성 회복율의 최대값에 대한 최소값의 비율이 80%를 초과할 경우, 부직포 자체가 용이하게 제조되지 못할 수 있다.
용수철 구조를 형성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 회복율을 갖는 단섬유 덕분에 인공피혁의 두께 방향으로의 압축 탄성 특성이 향상된다. 상기 압축 탄성 특성은 압축율 및 복원율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직포로 형성된 본 발명의 인공피혁은 8 내지 50 %의 압축율(두께 방향)을 갖는다. 인공피혁의 압축율이 8%미만일 경우 딱딱하고 견고한 느낌이 발현되고 상기 압축율이 50%를 초과할 경우 충만감 등의 질감이 저하된다.
한편, 복원율은 압축 후 하중을 제거했을 때 회복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상기 부직포로 제조된 본 발명의 인공피혁은 80% 이상의 복원율을 갖는다. 인공피혁의 복원율이 80% 미만이면 인공피혁의 형태 안정성 및 충만감이 저하되고 고급스러운 감성이 발현될 수 없다.
또한, 탄성 회복율이 높은 섬유는 외력에 대한 회복 특성이 우수하다. 인공피혁이 높은 탄성 회복율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면, 내부의 용수철 구조로 인하여 버핑 공정과 같은 연삭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표면 기모가 더욱 직립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인공피혁 표면의 정방향(모우 방향) 및 역방향 마찰계수의 차이가 현저히 줄어들어 인공피혁 표면의 방향에 따른 질감 차이를 감소시키고, 방향성에 따른 이질감을 최소화하여 표면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의 마찰계수 차이가 작을수록 인공피혁의 촉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찰계수 차이는 0.3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상기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은 5 내지 100 ㎜의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은 범위의 길이를 갖는 단섬유들이 서로 교락됨으로써 부직포 제조 공정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부직포로 제조된 인공피혁은 우수한 물성을 발현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단섬유의 길이가 5 ㎜ 미만일 경우 부직포의 제조가 어려울 수 있고 인공피혁의 강도 및 촉감 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 상기 단섬유의 길이가 10 ㎜를 초과할 경우 부직포 제조 공정이 어려워질 수 있다.
부직포 내에 함침되는 고분자 탄성체로서 폴리우레탄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디올계, 폴리에스테르디올계 또는 폴리에테르디올계 단독 또는 이들을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분자 탄성체로서 폴리실록산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고분자 탄성체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실록산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공피혁 내의 상기 고분자 탄성체 함량은 20 ~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탄성체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신도를 얻을 수 없고, 상기 고분자 탄성체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인공피혁의 촉감이 저하되고, 인공피혁이 변색될 위험이 증가하며, 인공피혁의 신도도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인공피혁은 '10% 신장시 탄성 회복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 80% 이상의 탄성 회복율을 갖는 인공피혁은 장시간 압력을 받더라도 상기 압력이 제거될 경우 원래 형태로 원활하게 되돌아올 수 있다. 이러한 우수한 탄성 회복율 덕분에, 본 발명의 인공피혁이 신발, 의류, 장갑, 잡화, 가구, 및 자동차 내장재 등과 같은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면, 제품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자연스럽고 고급스러운 제품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피혁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해성분 및 도성분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는, 해성분 폴리머 용융액과 도성분 폴리머 용융액을 각각 준비한 후 복합 방사용 구금을 통해 복합 방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필라멘트를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필라멘트를 연신한다. 상기 연신된 필라멘트에 크림프(crimp)를 형성하고, 상기 크림프가 부여된 필라멘트를 소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단섬유 형태의 해도형 복합 섬유를 완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의 도성분들은 -CH2-의 반복단위를 갖되 상기 반복단위의 개수가 서로 다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들이다.
즉, 제1 해도형 복합 섬유는 해성분 및 도성분으로서 제1 및 제2 폴리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해도형 복합 섬유는 해성분 및 도성분으로서 제1 및 제3 폴리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해성분 및 도성분으로서 제1 및 제4 폴리머들을 포함하는 제3 해도형 복합 섬유가 더 준비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해도형 복합 섬유들은 해성분으로서 동일한 폴리머를 포함하고 도성분으로서 서로 다른 폴리머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후속의 해성분 용출 공정을 위하여, 용제에 용해되는 특성 면에서 상기 제1 폴리머는 상기 제2 내지 제4 폴리머들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폴리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상기 제3 폴리머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이고, 상기 제4 폴리머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로 부직포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섬유들에 대하여 오프닝, 블렌딩, 및, 카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단섬유 형태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을 균일하게 혼섬하여 웹을 제조한다. 이어서, 얻어진 웹들을 크로스래핑 공정을 통해 적층한 후 니들펀칭을 통해 각 해도형 복합섬유들을 교락시키면서 적층된 웹들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부직포를 제조한다.
상기 2 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섬유들을 혼섬하여 웹을 제조하는 공정은 선택적으로, 에어제트를 이용한 에어레이 방법, 수중에서 혼합하는 초지 방법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섬유들을 교락시키는 공정은 고속 유체 처리 방법, 케미컬 본드 방법, 또는 핫 에어 스루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렇게 제조된 부직포는 100 내지 700 g/㎡의 단위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 중량을 갖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완성된 최종 제품은 최적의 밀도를 가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부직포 내에 고분자 탄성체를 함침시킨다.
예를 들어, 고분자 탄성체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고분자 탄성체 용액에 상기 부직포를 침지시킨다. 상기 고분자 탄성체 용액은 소정의 용매에 폴리우레탄을 용해시키거나 분산시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폴리우레탄을 용해시키거나 물 용매에 폴리우레탄을 분산시켜 상기 고분자 탄성체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고분자 탄성체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지 않고, 실리콘 고분자 탄성체를 직접 이용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안료,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유연제, 착색제 등이 상기 고분자 탄성체 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를 상기 고분자 탄성체 용액에 침지시키기 전에, 상기 부직포를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으로 패딩 처리함으로써 그 형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탄성체 용액의 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부직포에 함침되는 고분자 탄성체의 함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최종 인공피혁에 포함되는 고분자 탄성체의 함량이 20 ~ 30%임을 고려할 때, 상기 고분자 탄성체 용액의 농도는 5 ~ 20중량% 범위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5 ~ 20중량% 농도의 고분자 탄성체 용액의 온도를 10 ~ 30℃ 범위로 유지한 상태에서 0.5 ~ 15분 동안 상기 부직포를 고분자 탄성체 용액 내에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탄성체 용액에 부직포를 침지시킨 후에는 응고조에서 부직포에 함침된 고분자 탄성체를 응고시키고 그 후에 수세조에서 수세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고분자 탄성체 용액이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용매에 폴리우레탄을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진 경우에는, 상기 응고조를 물과 소량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의 혼합물로 구성하여 상기 응고조에서 고분자 탄성체를 응고시키면서 부직포에 함유된 디메틸포름아마이드가 상기 응고조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수세조에서는 부직포에 패딩 처리한 폴리비닐알코올 및 잔존한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가 부직포로부터 제거된다.
이어서, 상기 고분자 탄성체가 함침된 부직포를 열 캘린더링한다. 상기 열 캘린더링은 상기 고분자 탄성체가 함침된 부직포를 가열된 롤러를 통과시켜 가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 롤러의 온도는 80 ~ 200℃ 범위로 유지할 수 있는데, 상기 가열 롤러의 온도가 80℃ 미만일 경우 충분한 열 캘린더링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가열 롤러의 온도가 200℃를 초과할 경우 부직포 표면의 단섬유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 캘린더링 공정을 통해 고분자 탄성체가 재배열되고 부직포 표면의 단섬유들이 균일하게 정렬되기 때문에, 후술할 후가공 공정시 균일한 기모가 부직포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열 캘린더링 된 부직포에서 해성분을 제거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의 해성분들을 용출하면 도성분들만이 남게 되어 극세화된 단섬유들로 구성된 극세 부직포가 형성된다. 해성분의 용출 공정은 가성 소다 수용액과 같은 알칼리 용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앞에서 예시된 제1 내지 제3 해도형 복합 섬유들로 제조된 부직포의 경우, 해성분인 제1 폴리머가 용출됨으로써 도성분인 제2 내지 제4 폴리머들만이 남게 되어 극세화된 단섬유들로 구성된 극세 부직포가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고분자 탄성체의 함침 공정은 상술한 극세화 공정 전이 아닌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고분자 탄성체가 극세화 공정 전의 부직포 내에 고분자 탄성체를 함침시키는 대신에, 극세화 공정에 의해 형성된 극세 부직포 내에 상기 고분자 탄성체를 함침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극세 부직포에 대하여 기모(raising)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기모 공정은 사포와 같은 연마 수단으로 상기 극세 부직포의 표면을 마찰시켜 부직포 표면에 다량의 모우들(mows)을 생성시키는 공정이다.
이어서, 상기 기모 처리된 부직포를 염색하고 후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피혁의 제조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인공피혁은 8 내지 50%의 압축율 및 80% 이상의 복원율을 가지며, 그 표면의 정방향(모우 방향) 및 역방향의 마찰계수의 차이가 0.30 이하이다.
이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으로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도성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해성분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복합 방사하여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형성된 필라멘트를 연신, 크림핑 및 절단하여 3.5 데니어의 섬도 및 50 ㎜의 길이를 갖는 단섬유 형태의 제1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1 복합섬유의 도성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은 70중량%이었고, 해성분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은 30중량%이었다.
또한, 도성분으로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복합섬유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4.0 데니어의 섬도 및 51 ㎜의 섬유 길이를 갖는 단섬유 형태의 제2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2 복합섬유의 도성분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은 70중량%이었고, 해성분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은 30중량%이었다.
이어서, 상기 제1 복합섬유 및 제2 복합섬유의 함량이 각각 90 중량% 및 10 중량%가 되도록 공급한 후, 오프닝 및 브랜딩을 거쳐 개섬 및 혼합시킨 후 카딩-크로스래핑 공정을 거쳐 웹 적층체를 형성한 후 상기 적층체의 웹들을 니들펀칭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부직포를 고온에서 열수축시켜 부직포 밀도를 높였다. 이어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폴리우레탄을 용해시켜 얻은 15 중량% 농도의 폴리우레탄 용액에 상기 고밀도 부직포를 8분 동안 침지시킨 후, 25 중량% 농도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수용액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을 응고시켰다. 그리고, 70 ℃의 물로 수 회에 걸쳐 수세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이 함침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이 함침된 부직포를 10 중량% 농도 및 100 ℃의 가성소다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상기 부직포에서 해성분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용출시켜 도성분만 남김으로써 극세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조도 #240번 사포를 이용하여 상기 극세 부직포의 표면을 버핑처리하고,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고압 래피드 염색기에서 염색한 후 고착 세정하고 건조한 후, 유연제 및 대전방지제 처리를 하여 인공피혁을 얻었다.
실시예 2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대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제2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1 복합섬유 및 제2 복합섬유의 함량이 각각 70 중량% 및 30 중량%가 되도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제1 복합섬유 및 제2 복합섬유의 함량이 각각 50 중량% 및 50 중량%가 되도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제1 복합섬유 및 제2 복합섬유의 함량이 각각 30 중량% 및 70 중량%가 되도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제1 복합섬유 및 제2 복합섬유의 함량이 각각 10 중량% 및 90 중량%가 되도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제1 및 제2 복합섬유들 외에, 70중량%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성분) 및 30중량%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해성분)을 포함하는 제3 복합섬유가 더 사용되었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복합섬유들 각각의 함량이 90%, 5%, 5%가 되도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제1 내지 제3 복합섬유들의 함량이 각각 50%, 25%, 및 25%가 되도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제1 내지 제3 복합섬유들의 함량이 각각 10%, 60%, 및 30%가 되도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제1 내지 제3 복합섬유들의 함량이 각각 10%, 30%, 및 60%가 되도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2 복합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1 복합섬유만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1 복합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2 복합섬유만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의해 제조된 인공피혁들의 탄성 회복율, 질감, 표면 촉감, 마찰 특성, 및 압축 탄성(압축율 및 복원율)을 다음의 방법들로 각각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탄성 회복율(%)
200㎜ 거리를 표시한 시료를, 클램프 사이의 간격을 250㎜로 한 인장시험기에 장착하고, 속도 50㎜/분으로 신장률 10%까지 신장시키고, 1 분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인장과 동일한 속도로 하중을 제거한 다음 시료를 3분간 방치한 후 기존 표시된 거리의 실제 거리(x)를 측정하여 다음의 식으로 탄성 회복율을 측정하였다.
탄성 회복율(%) = [(200 - x)/200]×100
질감
인공피혁의 질감의 측정을 위하여 전문가 5인으로 구성된 평가단을 구성하였다. 유연성, 충만감, 및 꺽임성의 3가지 항목들에 대하여 관능 시험을 실시하여 각 0점 ~ 5점(5점:최우수)으로 1점 단위로 평가하였다. 각 항목의 점수들을 합산한 후 5인의 전문가들이 부여한 합산 점수들을 다시 합산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이 평가하였다.
합계 질감
0 ~ 15 ×
16 ~ 30
31 ~ 45
46 ~ 60
61 ~ 75
표면 촉감
인공피혁의 표면 촉감의 측정을 위하여 전문가 5인으로 구성된 평가단을 구성하였다. 표면의 부드러움을 각 0점 ~ 5점(5점:최우수)으로 1점 단위로 평가하였다. 5인의 전문가들이 부여한 점수들을 합산하여 아래의 표 2와 같이 평가하였다.
합계 표면 촉감
0 ~ 5 ×
6 ~ 10
11 ~ 15
16 ~ 20
21 ~ 25
마찰 특성
마찰 특성은 인공피혁 표면의 정방향(모우 방향) 및 역방향으로의 마찰계수를 각각 측정하여 그 차이로 평가하였으며, 측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모우의 입모 방향과 같은 방향인 정방향의 마찰계수와 모우의 입모 방향과 반대 방향인 역방향의 마찰계수를 도요세키(ToYoSeik) 회사 제품인 마찰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부 마찰재와 하부 마찰재는 시험하고자 하는 동일한 시험편을 사용하되, 상부 마찰재는 모우 방향이 마찰 시험기의 운동방향과 항상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하였다. 한편, 하부 마찰재는, 정방향 마찰계수 측정 시에는 마찰 시험기 운동 방향과 모우의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되도록 부착되었고, 역방향 마찰계수 측정 시에는 마찰 시험기의 운동 방향과 모우의 방향이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부착되었다.
피마찰재인 하부 마찰재의 이동거리를 약 20㎝로 하고, 추 무게는 200g으로 하고, 로드 셀(Lood Cell)은 1 ㎏으로 하며, 차트 스케일(Chart scale)은 X1으로 하여 각종 마찰계수를 3회 측정한 후 이들 측정값들을 평균함으로써 최종 마찰계수 값을 산출하였다.
마찰계수 값은 최대 정지 마찰력을 보이는 값으로 읽는다.
이렇게 측정된 각각의 마찰계수 값을 이용하여 정마찰계수와 역마찰계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을 취하여 마찰 특성을 구하였다.
마찰특성 = |정마찰계수 - 역마찰계수 |
압축 탄성
인공피혁의 압축 탄성(두께 방향)은 압축율 및 복원율로 파악될 수 있으므로, G&P Technology사의 VMS PV-Series 장치를 이용하여 인공피혁의 압축율 및 복원율을 각각 측정하였다.
원형의 압자에 900 gf/㎠의 초하중(load)을 걸고 30초간 유지하였다. 이어서, 상기 초하중을 제거한 후 30초가 경과한 시점에서의 인공피혁의 최대 두께(T1)를 1/1000 ㎜까지 측정하였다. 초하중을 다시 30초간 가한 후 두께 최소치(T2)를 1/1000 ㎜까지 측정하였다. 이어서, 초하중을 제거한 후 30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인공피혁의 두께(T3)를 1/1000 mm까지 측정하였다. 그리고, 아래의 식들을 이용하여 압축율 및 복원율을 각각 계산하였다.
압축율(%) = [(T1 - T2)/T1]×100
복원율(%) = [(T3 - T2)/(T1 - T2)]×100
구분 탄성 회복율
(%)
질감 표면
촉감
마찰
특성
압축율
(%)
복원율
(%)
실시예 1 90 0.10 13.5 95.0
실시예 2 87 0.21 12.0 93.0
실시예 3 92 0.10 15.3 95.3
실시예 4 93 0.09 18.2 97.0
실시예 5 93 0.15 15.5 96.5
실시예 6 92 0.20 13.0 95.1
실시예 7 89 0.15 13.0 94.7
실시예 8 87 0.18 14.3 95.2
실시예 9 88 0.22 16.1 95.0
실시예 10 82 0.25 10.2 92.2
비교예 1 76 0.35 7.3 70
비교예 2 78 × 0.33 8.0 78

Claims (15)

  1. 0.001 내지 0.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단섬유들을 포함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내에 함침되어 있는 고분자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들은, -CH2-의 반복단위를 갖되 상기 반복단위의 개수가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 각각은 2 내지 4개의 상기 반복단위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5 내지 95 중량%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를 포함하는 인공피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20% 이하의 중량 변동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은 서로 다른 20% 신장시 탄성 회복율을 갖고,
    상기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의 상기 20% 신장시 탄성 회복율의 최대값에 대한 최소값의 비율은 10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인공피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들은 5 내지 100 ㎜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피혁의 10% 신장시 탄성 회복율은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피혁의 모우 방향에 평행한 정방향 및 그 역방향 각각에 대한 상기 인공피혁의 마찰계수의 차이가 0.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피혁은 8 내지 50 %의 압축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피혁은 80% 이상의 복원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
  11. 해성분 및 도성분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을 준비하는 공정 - 여기서, 상기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의 도성분들은 -CH2-의 반복단위를 갖되 상기 반복단위의 개수가 서로 다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들임 -;
    상기 2 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로 부직포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의 해성분들을 용출하여 극세 부직포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 부직포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부직포에 고분자 탄성체를 함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 부직포에 고분자 탄성체를 함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형성하는 공정은 에어레이법, 초지법, 및 카딩-크로스래핑법 중 1 가지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부직포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부직포가 20% 이하의 중량 변동계수를 갖도록 상기 2종 이상의 해도형 복합 섬유들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100 내지 700 g/㎡의 단위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KR1020110097372A 2010-09-29 2011-09-27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 KR101782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4743 2010-09-29
KR1020100094743 2010-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257A true KR20120033257A (ko) 2012-04-06
KR101782778B1 KR101782778B1 (ko) 2017-10-24

Family

ID=4589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372A KR101782778B1 (ko) 2010-09-29 2011-09-27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09738A1 (ko)
EP (1) EP2623655B1 (ko)
JP (1) JP5731654B2 (ko)
KR (1) KR101782778B1 (ko)
CN (1) CN103154358B (ko)
WO (1) WO201204403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083A (ko) * 2016-03-30 2017-10-1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8709B (zh) * 2011-05-10 2013-03-27 丹阳市丹祈鱼跃纺织有限公司 玉米生物基纤维皮感休闲面料的制备方法
CN106079680A (zh) * 2016-06-20 2016-11-09 福建鑫华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革基布及其制备方法
KR20180103307A (ko) * 2017-03-09 2018-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표면촉감이 우수한 고밀도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4589A (ja) * 1982-06-04 1983-12-13 東レ株式会社 繊維性起毛面を有する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DE69424918T2 (de) * 1993-10-29 2000-10-12 Kuraray Co Rauhlederartiges Kunstleder
JP3927769B2 (ja) * 1997-10-31 2007-06-13 帝人コードレ株式会社 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JP4046901B2 (ja) * 1999-07-16 2008-02-13 株式会社クラレ 多成分系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皮革様シート
JP2002069789A (ja) * 2000-09-05 2002-03-08 Asahi Kasei Corp 人工皮革用織物および人工皮革
JP2002294571A (ja) * 2001-03-30 2002-10-09 Kuraray Co Ltd 難燃性皮革様シート基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ITMI20012108A1 (it) * 2001-10-12 2003-04-12 Alcantara Spa Produzione di tessuto non tessuto scamosciato con microfibra ad elevata elasticita'
TWI230216B (en) * 2002-03-11 2005-04-01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Manufacture method for artificial leather composite reinforced with ultra-fine fiber non-woven fabric
JP4271553B2 (ja) * 2003-10-31 2009-06-03 株式会社クラレ 耐光堅牢性の良好なスエード調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73909A (ko) * 2004-01-12 2005-07-18 주식회사 휴비스 인공피혁용 초극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복합섬유 및 그 제조 방법
JP5162837B2 (ja) * 2006-03-02 2013-03-13 東レ株式会社 シート状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てなる内装材および衣料資材
JP5088293B2 (ja) * 2007-10-29 2012-12-05 東レ株式会社 皮革様シート状物、それを用いた内装材、衣料用資材および工業用資材ならびに皮革様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KR101062675B1 (ko) * 2007-12-04 2011-09-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공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51976B1 (ko) * 2007-12-12 2010-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신율 특성이 우수한 차량용 인공피혁
US9074317B2 (en) * 2008-12-31 2015-07-07 Kolon Industries, Inc. 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671917B (zh) * 2009-08-25 2011-06-01 浙江航天无纺布有限公司 用于合成革和人造革的无纺布及其生产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083A (ko) * 2016-03-30 2017-10-1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09738A1 (en) 2013-08-15
EP2623655A2 (en) 2013-08-07
JP5731654B2 (ja) 2015-06-10
EP2623655A4 (en) 2017-04-05
CN103154358A (zh) 2013-06-12
CN103154358B (zh) 2014-12-31
JP2013540908A (ja) 2013-11-07
WO2012044036A3 (ko) 2012-06-21
WO2012044036A2 (ko) 2012-04-05
KR101782778B1 (ko) 2017-10-24
EP2623655B1 (en)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7367C1 (ru) Искусственная кожа со сверхтонкими волокнами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TWI250239B (en) A composite sheet used for artificial leather with low elongation and excellent softness
EP3128071B1 (en) Artificial leather
CN101331265A (zh) 具有优异的强度和伸长率性质的绒面状人造革
KR101782778B1 (ko)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8526A (ko)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JP2004534673A (ja) 改善されたステッチボンド布及び同製法
KR101056501B1 (ko) 분할형 극세사 부직포
JP2004521194A (ja) 磨耗耐性およびドレープ性不織布
KR102314886B1 (ko)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TW202027994A (zh) 人工皮革基材、其製造方法及絨毛狀人工皮革
JP5230144B2 (ja) ポリプロピレンマルチフィラメント混繊糸を用いたパイル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69505A (ja) 極細繊維からなる押圧加工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85253B1 (ko)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
JP2013067917A (ja) 皮革様シート
JP2008127705A (ja) ポリプロピレンマルチフィラメント繊維を用いた繊維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08414B2 (ja) 立毛繊維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44687B1 (ko)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35369A (ko) 인공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04686B1 (ko) 유연성이 우수한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JP5029217B2 (ja) 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KR101664492B1 (ko) 피혁상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TWI342351B (en) Leather-like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263040B1 (ko) 인공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23949B1 (ko) 인공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