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078A -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078A
KR20120027078A KR1020100089174A KR20100089174A KR20120027078A KR 20120027078 A KR20120027078 A KR 20120027078A KR 1020100089174 A KR1020100089174 A KR 1020100089174A KR 20100089174 A KR20100089174 A KR 20100089174A KR 20120027078 A KR20120027078 A KR 20120027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ple
corn
grains
purple corn
c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8122B1 (ko
Inventor
이주원
오봉준
김현진
민주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서
Priority to KR20100089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1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과 통상적인 옥수수 낱알을 각각 건조, 클리닝, 팝핑(popping) 및 분쇄공정을 거친 각각의 분쇄물 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티백포장을 하거나 차음료로 형성함으로써, 자색의 심미감을 부여하여 소비자로부터 구매욕구를 자아내어 소비를 촉진시키고, 안토시아닌의 기능적 효과로 인해 인체에 이로운 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OF LEACHED TEA CONTAINING PURPLE CORN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자색옥수수를 주원료로 한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색옥수수 속대, 자색옥수수 낱알, 통상의 옥수수 낱알을 각각 건조, 이물질제거, 팝핑(popping) 및 분쇄공정을 거친 각각의 분쇄물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침출차 조성물을 형성한 후 이를 티백에 포장하여 제공함으로써, 천연 자색을 띠는 옥수수 침출차를 제공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줄 수 있고, 옥수수의 구수한 향미를 제공함은 물론 상기 자색옥수수 낱알 및 자색옥수수 속대에 포함된 안토시아닌과 같은 인체에 이로운 성분을 섭취할 수 있어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색옥수수는 남아메리카 페루 안데스산맥의 특정 지역에서 자생하는 종으로 학명은 Zea Mays L.로 잎은 진한 녹색이며, 잎맥, 낱알, 속대는 진한 보라색을 띤다. 문헌적으로 보면 잉카문명 때부터 재배되어 왔던 기록이 있으며, 현지에서는 "Chicha Morada"라는 전통음료의 재료나 주식으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다.
자색옥수수는 안토시아닌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그 구성성분은 cyanidin 3-O-β-D-glucoside, pelargnidin 3-O-β-D-glucoside, peonidin 3-O-β-D-glucoside 등으로 이루어진다. 안토시아닌은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는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최근 안토시아닌에 대한 연구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항염증, 항암, 항당뇨, 항산화, 특히 시력에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안토시아닌은 검은 색, 자색, 보라색 또는 빨간색을 나타내는 검은 콩, 검은 쌀, 자색고구마, 블루베리, 포도 등의 식물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를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은 상기의 항염, 항당뇨, 항산화 등의 건강 기능측면에서 세인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자색옥수수 침출차는 상기와 같이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한 자색옥수수 속대와 낱알을 주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구수한 옥수수차와 혼합하여 기호성과 기능성을 겸비한 제품으로 세계적으로도 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제품유형인 침출차는 천연식물을 분리, 건조, 볶음 등과 같은 소정의 가공공정을 거쳐 조성물을 형성한 후 이를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여과지에 포장한 후 물에 침출시켜 음용하는 것으로서, 국내에서는 주로 녹차, 둥굴레차, 보리차, 옥수수차 등으로 음용하고 있다.
상기 침출차중 본 발명과 유사한 기지의 옥수수차는 건조된 옥수수 낱알을 갈색이 될 때까지 볶은 후, 이를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끓는 물에서 우려내어 음용하는 데, 상기 옥수수차는 보리차와 같이 한국인의 기호에 맞는 구수한 향을 갖고 있어서 주전자용과 같은 대용량으로 광범위하게 소비되어 왔다.
한편, 근년에는 상기 옥수수차의 맛에 이뇨작용의 효과를 부가한 옥수수 수염차가 부종, 신장병 또는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고 하여 티백용 침출차로서 판매가 신장하였으나, 옥수수 수염의 비릿한 맛과 냄새 등이 기호도 면에서 식상한 점과 기능적 효과도 불분명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판매가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강한 항산화 효능을 가진 자색옥수수 속대와 그 낱알을 주 원료로 하여 새로운 건강 기능성 자색 옥수수 침출차를 소비자에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항산화 효능을 가진 자색음료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자색옥수수 속대와 자색옥수수 낱알을 주원료로 사용하여 침출차를 만들었다. 먼저, 기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자색옥수수 속대에는 건조, 클리닝, 분쇄공정, 자색옥수수 낱알에는 건조, 클리닝, 팝핑(popping), 분쇄공정을 거친 다음 실제 음용에 맞는 자색을 띠는 적정한 양을 결정하고 동시에 옥수수 본연의 맛과 향을 보강해 줄 수 있는 통상의 옥수수 낱알을 부원료로서 상기의 자색옥수수 낱알과 같은 방법으로 별도로 가공하여, 각각의 분쇄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주전자용 포장을 하거나 일인용 티백포장 또는 이를 침출하여 차음료로서 형성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새로운 심미감과 효능을 가진 자색옥수수 침출차를 시장에 제시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키고, 몸에 이로운 안토시아닌의 기능적 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즉, 맛과 향, 수색, 효능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색옥수수 침출차의 주원료가 되는 자색옥수수 속대, 자색옥수수 낱알, 부원료인 옥수수 낱알을 일정량 선별하여 구비한 다음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의 자색색소(안토시아닌) 파괴가 최소화 되도록 건조함과 동시 옥수수 낱알 또한 건조시키고, 건조된 자색옥수수 속대, 자색옥수수 낱알, 옥수수 낱알을 정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자색옥수수 낱알과 옥수수 낱알을 각각 팝핑(popping)하여 구수한 향과 자색의 색소가 잘 우러나오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재료들을 분쇄한 다음 자색옥수수 속대 분쇄물 10 ~ 20중량%, 자색옥수수 낱알 분쇄물 10 ~ 30중량%, 옥수수 낱알 분쇄물 60 ~ 80중량%를 혼합기에 투입, 혼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한 후 이 조성물을 티백에 담아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자색의 심미감을 부여하고 맛과 향을 강화하여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고, 통상의 옥수수에 포함된 성분에 의한 피부노화예방, 변비 및 동맥경화 예방 등의 기능 외에 자색옥수수에 포함된 성분인 안토시아닌을 위시한 여러 유용 성분으로 인한 항염증, 항산화, 조직재생, 콜레스테롤 감소, 면역력 증강 등의 기능적 효과를 부여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안토시아닌은 시력건강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수험생을 비롯한 컴퓨터사용을 많이 하는 직장인들의 시력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색옥수수 침출차의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색옥수수 침출차는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 통상적인 옥수수 낱알로 크게 구성되며, 자색 옥수수 침출차의 제조방법은 제 1 ~ 제7단계(S10) ~ (S7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자색옥수수(Zea mays L.)는 페루 안데스 산맥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물로서, 여러 음식의 주부재료로서 소비되고 있는바, 주요 성분인 cyanidin 3-O-β-D-glucoside, pelargnidin 3-O-β-D-glucoside, peonidin 3-O-β-D-glucoside 등의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안토시아닌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강한 항산화작용으로 시력건강, 혈압강하, 혈액순환, 항당뇨, 항암, 항염증 등에 효과가 있는 식물 원료로서, 이와 같은 자색옥수수를 수확하여 그 속대와 낱알을 탈립기로 분리시켜 자색옥수수 속대와 자색옥수수 낱알을 각각 일정 과정을 거쳐 구비하면 된다.
상기 옥수수 낱알은 통상의 옥수수를 수확한 후 이를 탈립기에 투입하여 속대와 분리시켜 얻어진 것으로서, 일정 과정을 거쳐 옥수수 낱알을 구비하면 된다.
상기 자색옥수수 속대(Cob), 자색옥수수 낱알(Kernel), 자색옥수수 전체(Whole; 낱알, 속대 포함)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표 1]과 같다. 특히, 자색옥수수 속대에 안토시아닌 함량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안토시아닌 함량 / 신선물 100g 자색옥수수 속대 대비
안토시아닌함량 비율(%)
자색옥수수 속대 3752mg -
자색옥수수 낱알 681mg 18.2%
자색옥수수 전체 1642mg 43.8%
고구마 182mg 4.86%
블루베리 385mg 10.27%
또한, 상기 자색옥수수 속대, 자색옥수수 낱알, 자색옥수수 전체의 총페놀(Total Phenolics) 함량은 [표 2]와 같다.
총페놀 함량 / 신선물 100g 자색옥수수 속대 대비
총페놀함량 비율(%)
자색옥수수 속대 4395mg -
자색옥수수 낱알 657mg 14.9%
자색옥수수 전체 1756mg 40.0%
고구마 945mg 21.5%
블루베리 672mg 15.3%
한편, 상기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을 선별을 하여 자색색소(안토시아닌) 파괴가 최소화 되도록 건조시키고, 이와 별도로 통상의 옥수수 낱알을 건조시킨 다음, 각각의 재료들을 정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팝핑(popping)하여 구수한 향과 자색의 색소가 잘 우러나오도록 한 상태에서 분쇄한 후 자색옥수수 속대 분쇄물 10 ~ 20중량% 및 자색옥수수 낱알 분쇄물 10 ~ 30중량%과 옥수수 낱알 분쇄물 60 ~ 80중량%을 혼합기에 투입 혼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한 후 이 조성물을 티백에 담아 포장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원료를 이용하여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 통상적인 옥수수 낱알을 선별하여 구비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제1단계(S10)에 의해 선별된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의 자색색소 파괴가 최소화되도록 건조함과 동시에 옥수수 낱알이 일정량 수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각각 건조시키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제2단계(S20)에 의해 건조된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과 옥수수 낱알에 각각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원료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3단계(S30)와;
상기 제3단계(S30)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자색옥수수 낱알과 옥수수 낱알을 각각 팝핑(popping)하여 구수한 향을 낼 수 있도록 하며, 자색 색소가 잘 우러나올 수 있도록 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제4단계(S40)를 거친 자색옥수수 낱알 및 옥수수 낱알과 상기 제3단계(S30)을 거친 자색옥수수 속대를 분쇄기에 각각 투입, 분쇄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제5단계(S50)를 거쳐 형성된 자색옥수수 속대 분쇄물, 자색 옥수수 낱알 분쇄물, 자색옥수수 속대 분쇄물을 각각 일정 비율로 혼합기에 투입, 혼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6단계(S60); 및
상기 제6단계(S60)에 의해 형성된 조성물을 티백에 담은 후 이를 장기 보관 및 판매가 용이하도록 폴리에틸렌(PE)나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알루미늄박 포장지를 이용하여 밀봉 포장하는 제7단계(S7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색옥수수 차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1단계(S10)는 원료를 선정하는 기술적 단계로, 자색의 신비감과 효능적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자색옥수수 속대 및 낱알을 주원료로 선정하여 기호성과 효능이 뛰어난 침출차의 원료로 구성하고, 통상적인 옥수수 낱알을 가공하여 제조한 차를 부원료로 각각 일정량을 구비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2단계(S20)는 상기 제1단계(S10)를 거쳐 선별된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 옥수수 낱알과 옥수수 낱알을 각각 건조하는 공정으로서, 자색색소(안토시아닌) 함유량이 가장 높은 자색옥수수 속대는 온도 및 빛에 의한 색소파괴를 최소화 하기위해 50열풍 또는 햇빛이 차단되고 습기가 없으며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수분함유량이 10% 이하로 건조하고, 자색옥수수 낱알은 12~15% 수분을 함유할 때까지 50열풍 또는 햇빛이 차단되고 습기가 없으며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자연 건조하고, 옥수수 낱알은 12~15% 수분을 함유할 때까지 70열풍 또는 햇빛으로 자연 건조하여 팝핑(popping)하기 좋도록 건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단계(S30)는 상기 제2단계(S20)를 거쳐 건조된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과 옥수수 낱알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정화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원료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4단계(S40)는 상기 제3단계(S30)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자색옥수수 낱알과 옥수수 낱알을 팝핑(popping) 즉, 상기의 원료를 건조열과 압력의 변화에 의하여 팽창시켜 침출차의 구수한 향과 자색색소가 잘 우러나오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색옥수수 낱알은 7 ~ 10kgf/cm2 의 가공조건으로 팝핑(popping)처리하여 생 자색옥수수의 비린 맛 및 자색옥수수 낱알의 자색색소 파괴를 최소화하여 침출 시 본연의 자색색소가 잘 우러나올 수 있게 하고, 상기 옥수수 낱알은 10 ~ 14kgf/cm2 의 가공 조건으로 팝핑(popping) 처리하여 옥수수차의 구수한 향미를 잘 나타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옥수수 낱알의 팝핑(popping)시 상기의 가공 조건보다 낮은 압력으로 가공할 경우 생 옥수수의 비린 맛이 발현되어 기호성이 떨어지며, 상기의 가공 조건 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공할 경우 수색이 탁해져서 식감이 저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5단계(S50)는 상기 제4단계(S40)를 거쳐 팝핑(popping) 처리된 자색옥수수 낱알 및 옥수수 낱알과 상기 제3단계(S30)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자색옥수수 속대를 분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색옥수수 낱알 및 옥수수 낱알과 자색옥수수 속대를 각각 3상 5마력 분쇄기에 투입하여 0.5 ~ 1.5mm로 분쇄하여 12 메쉬(mesh)의 상단체를 통과시킴과 동시에 이를 다시 60메쉬(mesh)의 하단체를 통과시켜 60메쉬(mesh) 하단체 위에 잔존한 자색옥수수 낱알 분쇄물 및 옥수수 낱알 분쇄물과 자색옥수수 속대 분쇄물을 각각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6단계(S60)는 상기 제5단계(S50)를 거쳐 분쇄된 각각의 원료들을 혼합하여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색옥수수 속대 분쇄물 10 ~ 20중량%, 자색옥수수 낱알 분쇄물 10 ~ 30중량%, 옥수수 낱알 분쇄물 60 ~ 80중량%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1500 ~ 2000rpm으로 15 ~ 20분 동안 균일하게 혼합하여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7단계(S70)는 상기 제6단계(S60)를 거쳐 형성된 조성물을 포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티백 또는 여과지에 1.5 ~ 10g씩 자동포장기(Tea packer)를 통하여 포장하고, 낱개의 티백 또는 여과지 다수를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알루미늄 포장지 등으로 밀봉 포장하여 향, 산소, 수분 등의 배출 및 침투를 차단하여 보관 또는 판매가 용이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은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을 주원료로 하고 통상적인 옥수수 낱알을 첨가함으로써, 기호적 기능적 가치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의 옥수수차의 구수한 맛을 더욱 강화시킴은 물론 침출차가 자색의 신비한 색상을 띠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어 기호성을 한층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 옥수수차가 내포하고 있던 피부노화예방, 변비 및 동맥경화 예방 등의 기능적 효능뿐만 아니라 자색옥수수에 내포된 안토시아닌을 위시한 여러 유용 성분으로 인해 시력건강, 항염증, 항산화, 조직재생, 콜레스테롤감소, 면역력 증강 등의 효능을 추가적으로 갖게 되어 소비욕구를 촉진시켜 차(茶, tea) 산업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된 옥수수 침출차를 음용함으로써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10 ~ S70 : 제1단계 ~ 제7단계

Claims (6)

  1. 자색옥수수 침출차의 원료가 되는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과 통상적인 옥수수 낱알을 일정량 선별하여 구비한 다음 이를 각각 건조시키고, 건조된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과 옥수수 낱알을 정화된 공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자색옥수수 낱알과 옥수수 낱알을 각각 팝핑(popping)하여 구수한 향과 자색의 색소가 잘 우러나오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재료들을 분쇄한 다음 자색옥수수 속대 분쇄물 10 ~ 20중량%, 자색옥수수 낱알 분쇄물 10 ~ 30중량%, 옥수수 낱알 분쇄물 60 ~ 80중량%를 혼합기에 투입, 혼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한 후 이 조성물을 티백에 담아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2.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과 통상적인 옥수수 낱알을 선별하여 구비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제1단계(S10)에 의해 선별된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의
    자색색소 파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건조함과 동시에 통상적인 옥수수 낱알에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건조시키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제2단계(S20)에 의해 건조된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과 옥수수 낱알을 각각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원료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3단계(S30)와;
    상기 제3단계(S30)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자색옥수수 낱알과 옥수수 낱알을 각각 팝핑(popping)하여 구수한 향을 낼 수 있도록 하며, 자색 색소가 잘 우러나올 수 있도록 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제4단계(S40)를 거친 자색옥수수 낱알 및 옥수수 낱알과 상기 제3단계를 거친 자색옥수수 속대를 분쇄기에 각각 투입, 분쇄 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제5단계(S50)를 거쳐 형성된 자색옥수수 속대 분쇄물 및 자색옥수수 낱알 분쇄물과 옥수수 낱알 분쇄물을 각각 일정 비율로 혼합기에 투입, 혼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제6단계(S60); 및
    상기 제6단계(S60)에 의해 형성된 조성물을 티백에 담은 후 이를 장기 보관 및 판매가 용이하도록 폴리에틸렌(PE)나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알루미늄 포장지를 이용하여 밀봉 포장하는 제7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20)에서 자색옥수수 속대는 50열풍 또는 햇빛이 차단되고 습기가 없으며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수분함유량이 10% 이하로 될 때까지 건조하고, 자색옥수수 낱알은 12~15% 수분을 함유할 때까지 50열풍 또는 햇빛이 차단되고 습기가 없으며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자연 건조하여 팝핑(popping)하기 좋도록 건조하고, 옥수수 낱알은 70열풍 또는 햇빛으로 12~15% 수분을 함유할 때까지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S40)에서 상기 자색옥수수 낱알은 7 ~ 10kgf/cm2 의 가공조건으로 팝핑(popping)처리하여 생 자색옥수수의 비린 맛 과 자색옥수수 낱알의 자색색소 파괴를 최소화하여 침출 시 본연의 자색색소가 잘 우러나올 수 있도록 하고, 옥수수 낱알은 10 ~ 14kgf/cm2 의 가공 조건으로 팝핑(popping) 처리하여 구수한 향미를 잘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S50)에서 상기 자색옥수수 속대 및 자색옥수수 낱알과 옥수수 낱알을 각각 3상 5마력 분쇄기에 투입하여 0.5 ~ 1.5mm로 분쇄하여 12 메쉬(mesh)의 상단체를 통과시킴과 동시에 이를 다시 60메쉬(mesh)의 하단체를 통과시켜 60메쉬(mesh) 하단체 위에 잔존한 자색옥수수 속대 분쇄물 및 자색옥수수 낱알 분쇄물과 옥수수 분쇄물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S60)에서 상기 자색옥수수 속대 분쇄물 10 ~ 20중량%, 자색옥수수 낱알 분쇄물 10 ~ 30중량%, 옥수수 낱알 분쇄물 60 ~ 80중량%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1500 ~ 2000rpm으로 15 ~ 20분 동안 균일하게 혼합하여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00089174A 2010-09-11 2010-09-11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98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9174A KR101198122B1 (ko) 2010-09-11 2010-09-11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9174A KR101198122B1 (ko) 2010-09-11 2010-09-11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078A true KR20120027078A (ko) 2012-03-21
KR101198122B1 KR101198122B1 (ko) 2012-11-12

Family

ID=4613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89174A KR101198122B1 (ko) 2010-09-11 2010-09-11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1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31A (ko) * 2017-01-02 2018-07-11 주식회사 동서 식품용 분말 원료를 압착 성형한 비드와 다류 원료를 혼합 제조한 티백형 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1680A (ko) * 2017-11-07 2019-05-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항산화능이 증진된 옥수수차의 제조방법
KR20210065716A (ko) * 2019-11-27 2021-06-04 (주)팜텍코리아 자색 옥수수 침출차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560B1 (ko) * 2015-01-13 2016-11-23 한국식품연구원 자색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142B1 (ko) 2006-12-12 2007-06-28 녹차원(주)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옥수수 수염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838250B1 (ko) 2007-05-17 2008-06-23 (주)엔돌핀에프앤비 옥수수 및 옥수수 수염을 원료로 한 티백차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31A (ko) * 2017-01-02 2018-07-11 주식회사 동서 식품용 분말 원료를 압착 성형한 비드와 다류 원료를 혼합 제조한 티백형 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1680A (ko) * 2017-11-07 2019-05-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항산화능이 증진된 옥수수차의 제조방법
KR20210065716A (ko) * 2019-11-27 2021-06-04 (주)팜텍코리아 자색 옥수수 침출차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122B1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252B1 (ko)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CN101720957A (zh) 紫玉米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704417A (zh) 一种苦荞茶
KR101650183B1 (ko) 곡물류 및 구근류를 이용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KR101718520B1 (ko) 아로니아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98122B1 (ko)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74617B1 (ko) 포도껍질과 포도씨로부터 포도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포도추출물
CN106616109A (zh) 一种灵芝饮品的制作方法
JP6028986B2 (ja) 梨汁の副産物を用いたティーバッグタイプ梨茶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梨汁の副産物を用いたティーバッグタイプ梨茶
KR100762498B1 (ko) 포도잎 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도잎 차
KR102340831B1 (ko)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JP3527625B2 (ja) 飲料用ホウトウクウ組成物
KR102084859B1 (ko) 울금꽃 모링가 발효효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6674B1 (ko) 하수오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하수오 발효식품
KR101878412B1 (ko) 양파껍질과 자연재료를 이용한 전통건강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3247B1 (ko) 마늘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558134B1 (ko)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8160A (ko) 생약제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90140A (ko) 과자모형의 청국장 제조방법
KR20130057380A (ko) 기능성 미숫가루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10018234A (ko)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 첨가 녹차와 그 제조 방법
KR101947889B1 (ko)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쌀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쌀눈
KR101724901B1 (ko) 모링가 잎이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
KR100881635B1 (ko) 무 및 무잎을 이용한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7155A (ko) 황칠, 여주 및 돼지감자를 이용한 티백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